KR19990065359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5359A
KR19990065359A KR1019980000608A KR19980000608A KR19990065359A KR 19990065359 A KR19990065359 A KR 19990065359A KR 1019980000608 A KR1019980000608 A KR 1019980000608A KR 19980000608 A KR19980000608 A KR 19980000608A KR 19990065359 A KR19990065359 A KR 19990065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469B1 (ko
Inventor
김현욱
김성일
이성범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8000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46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5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5Selective call encoders for paging networks, e.g. paging centr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CDMA 방식의 단전문 서비스 발신을 이용하여 문자 무선호출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단전문 서비스 발신 메시지를 단전문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단전문 서비스 서버는 무선호출 시스템을 통해 무선호출 번호 및 메시지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단전문 서비스에 이용됨.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함) 방식의 단전문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함) 발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MA 방식은 음성을 디지털로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의 효율과 고품질의 음질을 전송할 수 있고, 고유의 디지털 전송으로 음성과 더불어 간단한 메시지(shor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어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단전문 서비스 발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SMS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메시지 센터(Message Center)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SMS 서버가 필요하다.
또한 무선호출망은 생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가 시스템에 접속되면 무선호출 서버와 SMS 서버를 상호접속이 가능하다. 이것은 일반적인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을 기반으로 접속이 가능하며 또한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이하 TCP/IP라 함)을 기반으로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선호출 서버와 SMS 서버간 상호 접속은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호출망에 메시지의 전송도 가능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단전문 서비스는 트래픽 채널을 점유한 상태에서 일반전화기 등의 키 패드 자판을 이용하여 단전문을 입력하도록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단전문 입력시 원하는 문자 전송을 위한 한글, 영문 등의 문자 편집 및 전송에 많은 어려움이 따랐을 뿐만아니라, 단전문을 입력하거나 또는 편집하는 동안에도 통신망의 트래픽 채널을 이용함으로 채널 부하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에게 요금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키 패드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전송할 단전문 입력 및 편집을 완료한 후에 CDMA 방식의 단전문 서비스 발신 기능을 이용하여 일시에 문자 무선호출 단말기에 단전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단전문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단전문 서비스를 위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이동통신 시스템 302 : 메시지 센터
303 : 단전문 서비스 서버 304 : 무선호출 서버
305 : 무선호출 시스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단전문 서비스 서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호출 서버를 구비한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단전문 서비스 발신 메시지를 단전문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단전문 서비스 서버가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을 통해 무선호출 번호 및 메시지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단전문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공중교환전화망(Public Swiching Telephone Network : PSTN)(101)과 접속하여 일반 호를 처리하고, 이동 교환 센터(Mobile Swiching Center)(102)는 교환 기능을 수행하며,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 Location Register)(103)는 해당 이동 교환 센터와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기억 장치이고,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104)는 가입자 정보, 제공 서비스 종류 등을 기록한다.
또한, 메시지 센터(Message Center)(105)는 SM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SMS 서비스를 관장하고 홈 위치 등록기(104)로부터 가입자 위치 및 해당 정보를 읽어와서 이동 교환 센터(102)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든 SMS 이벤트에 대해서는 메시지 센터(105)를 거쳐서 수행되며 메시지 센터(105)에서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가 지원할 수 있다.
메시지 센터(105)와 접속하는 SMS 서버(106)는 SMS를 가입한 가입자 관리와 여러 가지 정보 제공자(Information Provider)와 접속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은 SMS 서버(106)를 무선호출 서버에 접속하는 방안이다.
이동 교환 센터(102)는 SMS 포맷에 맞게 가공한 다음 채널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동전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107)로 전송되며, 기지국장비인 기지국 송수신기(Base Station Tranceiver System)(108)는 기지국 제어기에서 입력된 신호를 이동전화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공간에 복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109)는 IS-95-A에 정의된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SMS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니면 전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이용하게 되며 단말기가 통화중이면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이용한다. 이때 메시지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는 전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의 페이징 채널 및 트래픽 채널에 전송되며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에 대해서는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에 전송되며 SMS 서비스 제공을 위한 근간을 이루고 있다.
도 2 는 단전문 서비스를 위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무선호출 가입자가 광역서비스 지역 확인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가입자 입력장치(202)에 접속하게 되면, 무선호출 시스템은 입력된 무선호출 번호를 이용하여 유효한 가입자, 가입지역, 현재 이동지역, 가입한 서비스 종류 등을 검색한다. 먼저 유효한 가입자인 경우 가입자는 음성 사서함(205)의 음성멘트를 이용하게 된다.
사용자의 호출이 완료하게 되면 음성 사서함(205)에서는 해당 완료멘트를 송출하여 이의 정보를 무선호출 중앙처리장치(203)로 송출한 다음 무선호출 터미널(207)로 신호를 전송한다. 무선호출 터미널(207)에서는 무선호출 기지국(208)으로 전송하여 무선호출기를 소지한 가입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무선호출 서버(206)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생활정보전송과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타망과 연동되거나 정보 제공자와 접속된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301)은 SMS 발신 메시지를 모두 메시지 센터(302)로 전송하고, 메시지 센터(302)는 무선호출망 번호(예를 들어, 012-xxx-xxxx)가 입력되면 이를 SMS 서버(303)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무선호출망 번호인 012-xxx-xxxx가 입력되면 메시지 센터(302)는 012를 인식하여 이를 SMS 서버(303)로 전송한다.
SMS 서버(303)는 무선호출망 번호를 이용하여 무선호출 서버(304)로 무선호출 번호와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무선호출 서버(304)는 무선호출 번호 및 메시지를 무선호출 시스템(305)에 전송하여 일반 호출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이동통신 SMS 서버(303)와 무선호출 서버(304)의 접속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기반으로 접속된다. 즉 SMS 서버(303)의 주소인 IP와 무선호출 서버(304)의 IP를 이용한 통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호간 근거리 통신망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전문 서비스 발신 모드로 전환한 다음 수신 주소와 메시지를 작성한다. 수신 주소는 무선호출 번호가 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니면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단전문 서비스 발신 메시지를 이동 교환 센터로 전송하고(40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전문 서비스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면 이동 교환 센터는 단전문 서비스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센터로 전송한다(402).
이후, 메시지 센터에서는 무선호출망 식별번호가 수신 주소일 경우 수신 주소 및 메시지를 단전문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403), 단전문 서비스 서버는 정상적으로 메시지가 수신하면 수신 완료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며(404), 메시지 센터에서는 해당 이동 교환 센터로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405), 이동 교환 센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406).
한편, 단전문 서비스 서버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호출 서버로 무선호출 번호 및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고(407), 무선호출 서버에서는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무선호출 번호 및 메시지를 전송한다(408). 참고적으로, 상기 무선호출 서버는 기존의 한글 서비스 및 생활 정보 서비스 제공을 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에서는 무선호출 단말기로 무선 호출 번호 및 메시지를 전송하여 동작을 완료한다(40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단전문 서비스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에서 메시지 발신을 이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국내의 한글, 영문 및 숫자를 편집하여 무선호출 망을 통해 문자 무선호출 단말기를 소유한 가입자에게 문자를 전송할 수 있고,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 무선 호출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단전문 서비스의 송수신측이 일대일 방식으로 신호의 전송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전문 서비스 서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호출 서버를 구비한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단전문 서비스 발신 메시지를 단전문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단전문 서비스 서버가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을 통해 무선호출 번호 및 메시지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 교환 센터로 상기 수신 주소 및 단전문 서비스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교환 센터가 메시지 센터로 상기 수신 주소 및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메시지 센터가 상기 단전문 서비스 서버로 상기 수신 주소 및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전문 서비스 서버는 수신 완료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이동 교환 센터로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교환 센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단전문 서비스 서버는 상기 무선호출 서버로 상기 무선호출 번호 및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무선호출 서버가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상기 무선호출 번호 및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로 상기 무선호출 번호 및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간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KR1019980000608A 1998-01-12 1998-01-12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KR10027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608A KR100275469B1 (ko) 1998-01-12 1998-01-12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608A KR100275469B1 (ko) 1998-01-12 1998-01-12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359A true KR19990065359A (ko) 1999-08-05
KR100275469B1 KR100275469B1 (ko) 2000-12-15

Family

ID=1953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608A KR100275469B1 (ko) 1998-01-12 1998-01-12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4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452A (en) * 1992-11-27 1995-02-21 Motorola, Inc. Selective call signaling system with combined wide area paging and high data rate transmissions via radio telephone trans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5469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3331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とマルチメディア通信可能な携帯無線通信端末及び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US7319880B2 (en) Method of forwarding an SMS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556823B2 (en) Location dependent service for mobile telephones
US6185426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location information about caller
EP1321002B1 (en) Instant video- and voicemail messaging method and means
EP1672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short text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EP0910223A2 (en) Mobile radio terminal with SMS function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759297B2 (ja) 遍在無線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
US201001973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mitting maintenance of privacy of main number assigned to wireless device
US7957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o a wireless network the operational mode of a wireless communicator
CN100474977C (zh) 用于处理呼叫的方法和系统
KR100347325B1 (ko) Imt-2000 시스템에서의 셀 방송 서비스 처리장치 및방법
KR2001001175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2754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호출 단말기사이의 단전문 서비스 방법
US6253078B1 (en) Method for paging high-speed subscriber by roaming reservation in radio paging switching system
KR20020069535A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275479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에서 발신전화번호를 이용한 응답메시지 전송방법
KR100467544B1 (ko) 유무선 통신단말장치에서의 메시지 통합관리방법
KR20030021771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채팅방법
KR20030008902A (ko) 이동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간 양방향 통신 방법
KR0181148B1 (ko) 무선 호출시스템의 전지역 호전환방법
JP3028952B1 (ja) 簡易型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簡易型位置情報文字メールサービス方法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22944B1 (ko)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직접 전송 방법
KR100449858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송채널을 이용한 개인 학습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