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933B1 -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 Google Patents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933B1
KR102595933B1 KR1020230055534A KR20230055534A KR102595933B1 KR 102595933 B1 KR102595933 B1 KR 102595933B1 KR 1020230055534 A KR1020230055534 A KR 1020230055534A KR 20230055534 A KR20230055534 A KR 20230055534A KR 102595933 B1 KR102595933 B1 KR 10259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ame
seating
sides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서교
전종우
조영진
연정흠
안두영
Original Assignee
(주)시스콘
부산항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스콘, 부산항만공사 filed Critical (주)시스콘
Priority to KR102023005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9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9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61D45/007Fixing containers

Abstract

본 기술은 환적된 컨테이너의 이송이 용이하되 해당 컨테이너의 부피에 따라 무효공간이 형성되지 않고도 에너지 및 이송에 대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무인 운반차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가 환적되어 이동시키기 위한 무인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무인 운반차는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 및 컨테이너가 탈착 가능하게 락킹되되 상기 구동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인 운반차는 컨테이너의 부피에 따라 하부 양측에 서로 간격을 갖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되 각각의 상기 회전안착부는 컨테이너 양측 모서리부가 형상 맞춤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technology is about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that facilitates the transfer of transshipped containers and saves energy and time for transfer without creating an ineffective space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container is transshipped and moved. In the unmanned guided vehicle, the unmanned guided vehicle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moves along the rail through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and a rotary seating unit that locks the container in a detachable manner a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the driving unit.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container, it is arranged in pairs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m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to move the container, and each of the rotating seating part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direc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corners of both sides of the container can be seat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Description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본 기술은 환적된 컨테이너의 이송이 용이하되 해당 컨테이너의 부피에 따라 무효공간이 형성되지 않고도 에너지 및 이송에 대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무인 운반차에 대한 것이다.This technology is about an unmanned guided vehicle that can easily transport transshipped containers while saving energy and transport time without creating an ineffective space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container.

일반적으로 열차는 복수의 철도차량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선로 위를 주행하는 여객 열차, 화물 열차, 전동차 등의 중요한 운송수단의 하나로서, 다수의 철도차량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안전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대략 수백 내지 수천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음은 물론, 한꺼번에 대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trains are one of the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passenger trains, freight trains, and electric trains that run on tracks by connecting multiple railroad cars in succession. They can run in a safe condition by connecting multiple railroad cars in seri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rry approximately hundreds to thousands of passengers, as well as transporting large amounts of cargo at once.

이와 같은 종래의 열차는 공개특허 제10-2010-0045932호, 등록특허 제10-1229348호 등에 제안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차량이 연결된다. In such a conventional train, multiple vehicles are connected as proposed in Publication Patent No. 10-2010-0045932, Registered Patent No. 10-1229348, etc.

즉, 일반적인 승객 운송용 여객 열차와 전동차, 지하철 등의 경우에는 객실용 차량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화물 열차의 경우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차량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in the case of general passenger trains, electric trains, and subway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the passenger trains have a structure in which passenger cars are continuously connected, and in the case of freight trains, the cargo cars capable of loading cargo are structured in a continuous connection.

한편, 철도차량의 경제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여객이나 화물 적재용 공간을 최대화하고 철도차량의 중량 및 무효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관건이다.Meanwhile,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efficiency of railway vehicles, the key is to maximize space for passenger or cargo loading and minimize the weight and void space of railway vehicles.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대차의 일 예로 콘테이너 화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ontainer freight car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bogie.

이에 의하면 일반적인 철도차량은 두 대의 대차(10)위에 차체(20)를 얹는 방식으로, 대차(10)는 차륜, 차축, 현수장치, 기초제동장치, 지지틀 등과 같은 구성품이 설치되어 철도차량을 안전하게 궤도 레일을 따라 안내하고, 진동을 완충시키고 차체(2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According to this, a general railway vehicle has a car body (20) placed on two bogies (10), and the bogies (10) are equipped with components such as wheels, axles, suspension devices, basic braking devices, and support frames to safely keep the railroad cars. It guides along the track rail, cushions vibration, and supports the car body 20.

상기한 종래기술의 대차를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환적하기 위해서는 전방과 후방의 구분은 물론, 환적된 컨테이너를 이송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화물선을 돌릴 수 있는 별도의 공간(U턴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In order to transship a container (C) us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bogie, not only is there a divis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but a separate space (U-turn space) is provided where the cargo ship can be tur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shipped container is to be transported.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resolved.

아울러, 종래의 대차는 서로 다른 부피를 갖는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가장 큰 부피를 갖는 컨테이너에 맞추어 작은 부피의 컨테이너를 환적하여 이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move containers with different volumes, conventional carts ha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ransship and transfer small volume containers according to the container with the largest volume.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피트(fit)의 컨테이너(C)를 이송시키기 위한 대차는 40피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대차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무효공간(S)의 형성으로 인한 이동에 대한 손실(에너지 및 시간 낭비)이 발생하게 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bogie for transporting a 20-foot (fit) container (C) must use a bogie that can transport 40 feet,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 void space (S). Loss (waste of energy and time) occurs due to movement.

국내등록특허 제10-1654896호(공고일:2016.09.08.)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654896 (announcement date: 2016.09.08.) 국내공개실용 제20-1988-12065호(공개일:1988.08.26.)Domestic Public Service No. 20-1988-12065 (Publication date: 1988.08.26.) 국내등록실용 제20-0137572호(공고일:1999.03.20.)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No. 20-0137572 (announcement date: 1999.03.20.) 국내등록실용 제20-0388140호(공고일:2005.06.17.)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No. 20-0388140 (announcement date: 2005.06.17.)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적이 이루어진 이후에 이동방향에 따라 별도로 대차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도 해당 컨테이너를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차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ort vehicle that can transport the container without creating a separate space for the cart to rotat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after transshipment.

또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부피를 갖는 컨테이너를 이송시에 무효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에너지는 물론, 시간에 대한 손실을 방지시킬 수 있는 운반차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transport vehicle that can prevent loss of energy as well as time by preventing void space from being formed when transporting containers with different volumes. There is another purpose.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는 컨테이너(C)가 환적되어 이동시키기 위한 무인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무인 운반차는 제어부(30)의 제어신호를 통해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10) 및 컨테이너(C)가 탈착 가능하게 락킹되되 상기 구동부(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안착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무인 운반차는 컨테이너(C)의 부피에 따라 하부 양측에 서로 간격(D1,D2)을 갖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컨테이너(C)를 이동시키되 각각의 상기 회전안착부(20)는 컨테이너(C) 양측 모서리부가 형상 맞춤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the swing lock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for transshipping and moving a container (C). The car has a driving unit 10 that moves along the rail R through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0, and a rotating seat 20 in which the container C is detachably locked and rotatable with the driving unit 10. Including, the unmanned guided vehicle is arranged in a pair so as to have a gap (D1, D2)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container (C) to move the container (C), and each of the rotating seating parts (20)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corners of both sides of the container (C) can be seat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또한, 상기 회전안착부(20)는 컨테이너(C) 하부가 잠금(LOCK) 또는 잠금 해제(UNLOCK) 될 수 있도록 안착되는 안착부재(21) 및 상기 안착부재(21)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구동부(10)에 지지되어 안착하는 컨테이너(C)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윙프레임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tary seating portion 20 is rotatably coupled to a seating member 21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member 21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can be locked or unlock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wing frame member 26 that absorbs the shock of the container C that is supported and seated on the driving unit 10.

또한, 상기 안착부재(21)는 상기 스윙프레임부재(26)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안착프레임(22)과, 상기 안착프레임(22)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컨테이너(C)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락킹(23) 및 컨테이너(C) 모서리부가 상기 안착프레임(22)과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프레임(22)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가이드(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ating member 21 includes a seating frame 22 rotatably coupled to the swing frame member 26,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frame 22 to lock or unlock the container C. It is preferable to include guides 24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frame 22 so that the locking 23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container C can be fitted with the seating frame 22 in a shape-matched manner.

또한, 상기 스윙프레임부재(26)는 상기 안착프레임(22)이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28)가 구비된 회전프레임(27) 및 상기 회전프레임(27) 양측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부는 상기 회전프레임(27)에 지지되며, 하부는 상기 구동부(10)에 지지되어 환적되는 컨테이너(C)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탄성체(29)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프레임(27)은 상기 탄성체(29) 하부가 상기 구동부(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10)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wing frame member 26 is capable of elastic restoration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frame 27 and the rotation frame 27 provided with a rotation motor 28 that provides power to rotate the seating frame 22. The upper part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frame 27, and the lower part is supported by the driving unit 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29 to absorb the shock of the container C being transshipped, and the rotating frame ( 27)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driving unit 10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elastic body 29 can be supported by the driving unit 10.

또한, 상기 구동부(10)는 제어부(30)가 구비되는 셔틀바디(11)와, 제어부(3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셔틀바디(11) 하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레일(R)에 안착되는 한 쌍의 휠부재(12) 및 컨테이너(C)를 환적시에 제어부(30)가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휠부재(12)와 결합하되 상기 회전안착부(20)가 탄성 복원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사이드프레임(1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0 includes a shuttle body 11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30, and a rail R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huttle body 11 so as to be controllable by the control unit 30. A pair of wheel members (12) and a container (C) are combined with the wheel member (12) so that the control unit (30) can be protected when transshipping the container (C), but the side where the rotary seat part (20) is inserted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restored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frame (17).

또한, 상기 휠부재(12)는 상기 셔틀바디(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구동모터(31)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종동기어(16)가 구비되는 크랭크축(13)과, 상기 크랭크축(13) 양측에 구비되되 레일(R)에 안착하는 휠(14)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17)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랭크축(13) 양측에 구비되는 연결체(1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heel member 1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uttle body 11, and has a crankshaft 13 on its outer surface provided with a driven gear 16 that engages with the drive motor 31 and each other. , a connecto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ankshaft 13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a wheel 14 mounted on the rail R and the side frame 17 ( It is desirable to include 15).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한 쌍의 무인대차에 각각 설치된 스윙프레임부재를 통해 안착부재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후, 해당 컨테이너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회전공간이 형성되지 않고도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the container can be seated and moved after rotating the seating member in the desired direction through the swing frame member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unmanned trucks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iner is to be transported. The effect of being able to quickly transport containers without creating a separate rotation space is expected.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적재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부피에 따라 한 쌍의 무인대차 간의 거리를 가변시켜 적재할 수 있어 무효공간의 비 생성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In addition, unlike in the past, the distance between a pair of unmanned trucks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container to be loaded, which is expected to prevent energy waste due to non-creation of ineffective space.

도 1은 종래의 대차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컨테이너의 부피에 따라 대차의 무효공간 형성 여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대한 구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대한 회전안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대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대한 A-A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대한 B-B 단면도.
도 10 및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에 대한 회전안착부 작용고나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에 대한 서로 다른 부피의 컨테이너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작용관계도.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bogie.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whether an invalid space is formed on a cart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container in FIG. 1.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ing part of Figure 3.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al seating portion of Figure 3.
Figure 7 is a plan view of Figure 3.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7;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7.
Figures 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seat for an unmanned guided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operational relationship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containers of different volumes are loaded on an unmanned guided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the swing lock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pecific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bbreviated or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이하, 간략하게 '무인대차'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 unmanned guided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n 'unmanned tru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대차(1)는 크게 구동부(10), 회전안착부(20) 및 이들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컨트롤러(미도시) 등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S. 3, 4, and 7, the unmanned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driving unit 10, a rotating seating unit 20, and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is a controller (not shown). ) and a control unit 30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설명하는 회전안착부(20)를 통해 환적된 컨테이너(C)가 제어부(30)의 제어를 통해 원격 등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레일(R)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셔틀바디(11), 휠부재(12) 및 사이드프레임(17)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driving unit 10 remotely moves the container C transshipped through the rotational seating uni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It is configured to be transported along the rail (R) in a desired direction by, etc., and includes a shuttle body (11), a wheel member (12), and a side frame (17).

예컨대 셔틀바디(11)는 내측으로 컨트롤러에 의해 원격으로 조작되는 제어부(30)가 장착되되 하부에는 휠부재(12)가 설치되며, 외면에는 사이드프레임(17)이 장착되어 컨테이너(C)를 환적시에 발생할 수 있는 파손으로부터 장착된 구성물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shuttle body 11 is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30 that is remotely operated by a controller on the inside, a wheel member 12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and a side frame 17 is installed on the outside to transfer the container C. Ensure that the installed components are protected from damage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이를 위해, 셔틀바디(11)에는 구동기어(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1)가 휠부재(12)를 구성하는 종동기어(16)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휠부재(12)가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For this purpose, the shuttle body 11 has a drive motor 31 for rotating the drive gear 32, which is tooth-coupled with the driven gear 16 constituting the wheel member 12 to form the wheel member 12. to provide power for operation.

한편, 본 발명에서의 셔틀바디(11) 내측에는 구동모터(31)와 회전모터(28)는 물론, 제어부(30)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33)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inside the shuttle body 11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ive motor 31 and a rotation motor 28 as well as a rechargeable battery 33 for applying the power required to operate the control unit 30 are detachable. Possibly installed.

또한, 휠부재(12)는 상술한 구동모터(31)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레일(R)을 따라 컨테이너(C)가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크랭크축(13), 휠(14) 및 연결체(1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heel member 12 is configured to allow the container C to be transported along the rail R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drive motor 31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crankshaft 13 and a wheel 14. and a connecting body (15).

이때, 휠부재(12)는 후에 설명하는 회전안착부(20)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대칭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C)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구동모터(31) 역시, 셔틀바디(11) 내측에 하나의 제어부(30)를 통해 개별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 members 12 are installed in pairs symmetrically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eating portion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enable stable transportation of the container C, and for this purpose, the wheel members 12 are driven. The motor 31 is also preferably installed inside the shuttle body 11 so that it can be individually operated through a single control unit 30 (see FIG. 7).

크랭크축(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셔틀바디(11) 전방 및 후방 하부에 배치되며, 외면에는 구동기어(32)와 서로 치 결합하는 종동기어(16)가 구비되어 구동모터(31)의 동력이 상기 종동기어(16)를 통해 상기 크랭크축(13)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the crankshaft 13 is arranged in a column shape at the front and rear lower portions of the shuttle body 11, and is provided with a driven gear 16 on the outer surface that engages with the drive gear 32 to drive the drive motor ( 31) so that the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crankshaft 13 through the driven gear 16.

휠(14)은 각각의 크랭크축(13)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13)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하며, 둘레면에는 레일(R)과 형상 맞춤으로 삽입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The wheels 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crankshaft 13 and have a structure that can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ankshaft 13, and ar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inserted in shape matching with the rail R. A groove is formed.

연결체(15)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휠(14)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크랭크축(13) 양단에 고정설치되며, 외면에는 사이드프레임(17)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한다.As shown, the connecting body 15 is fixedly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crankshaft 13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wheel 14 described above, and the side frame 17 on the outer surface can be separat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Combine so that

이때, 연결체(15) 내부에는 베어링 등을 통해 크랭크축(13)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체(15) 외면에 결합한 사이드프레임(17)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축(13)만 회전하는 구조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crankshaft 13 can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5 through a bearing, etc., and through this, the side frame 17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15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crankshaft 13 rotates is satisfied.

또한, 사이드프레임(1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사각의 띠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하부는 체결수단을 통해 다수의 하부와 체결되어 셔틀바디(11)는 물론, 상기 셔틀바디(11)에 설치된 구성물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the side frame 17 is made entirely of metal and is formed to have an overall square strip shape, and the lower part is fastened to a plurality of lower parts through a fastening means to form the shuttle body 11 as well as the abov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shuttle body 11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s, etc.

여기서, 사이드프레임(1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후에 설명하는 탄성체(29)를 포함하는 회전프레임(27) 양측이 관통공(18)에 삽입되는 구조를 만족하여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과 같은 스트레스를 탄성력에 의해 보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as shown, the side frame 17 satisfies the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of the rotating frame 27, which includes elastic bodies 29 to be described later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8, and is vertically moved. Stress, such as an applied load, can be reinforced by elastic force, and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below.

그리고, 상기 회전안착부(2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구동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컨테이너(C) 하부측 전방과 후방이 각각 지지되어 양방향(전방과 후방)으로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안착부재(21) 및 스윙프레임부재(26)를 포함한다.And,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rotary seating part 2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driving part 10 described above,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C are supported, respectively,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two directions (front and rear). It is configured to enable stable transport to the rear and includes a seating member 21 and a swing frame member 26.

예컨대 안착부재(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설치되는 스윙프레임부재(26)에 의해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되 컨테이너(C) 하부가 고정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안착프레임(22), 락킹(23) 및 가이드(24)를 포함한다.For example, as shown, the seating member 21 rotates in the forward (clockwise) or reverse direction by the swing frame member 26 installed at the bottom, and is configured to ensure that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C) is fixedly seated, and includes a seating frame ( 22), locking (23) and guide (24).

안착프레임(2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하부는 회전모터(28)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As shown, the seating frame 22 can be formed into the shape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its lower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motor 28.

안착프레임(22)은 사이드프레임(17) 내부 공간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이를 통해 컨테이너(C)가 안착된 상태에서 그 하중에 의해 본 발명인 무인대차(1)의 일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무인대차(1)가 정지하기 위한 브레이크(미도시)가 동작시, 해당 브레이크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게 된다(도 8 및 도 9 참조).The seating frame 22 is arranged to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side frame 17, and this prevents the unmanned tru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ing tilted in one direction due to the load when the container C is seated. Through this, when the brake (not shown) for stopping the unmanned vehicle 1 is activated, stress applied to the brake is minimized (see FIGS. 8 and 9).

안착프레임(22) 양측에는 각각 락킹(23) 및 가이드(24)가 형성되어 컨테이너(C)의 고정은 물론, 해당 컨테이너(C)가 상기 안착프레임(22)에 형상 맞춤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Locking frames 23 and guides 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frame 22, respectively, to help secure the container C as well as to seat the container C in a shape-matched manner on the seating frame 22. give.

여기서, 락킹(23)은 컨테이너(C)에 천공 형성된 삽입공(미도시)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Here, the locking 23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ontainer C.

이를 통해, 락킹(23)과 컨테이너(C)가 서로 체결시에는 제어부(30)가 안착프레임(22) 내측으로 구비되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락킹(23)이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하고, 상기 락킹(23)이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상기 락킹(2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컨테이너(C)와 안착프레임(22)이 상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when the locking 23 and the container C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a motor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seating frame 22 so that the locking 23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king 2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control unit 30 rotates the locking 23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container C and the seating frame 22 are fixed to each other. make it possible to maintain it.

이 과정에서 컨테이너(C)와 락킹(23) 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안착프레임(22)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24)가 컨테이너(C) 모서리부를 형상 맞춤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In this process, for stable coupling between the container (C) and the locking (23), one or more guides (24) ar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frame (22) to support the corners of the container (C) in a shape-matched manner.

이때, 각각의 가이드(24) 상면은 락킹(23)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5)이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무인대차(1)에 컨테이너(C)를 환적시에 해당 컨테이너(C) 하면이 상기 경사면(25)에 안내되듯 미끄러져 삽입공과 락킹(23) 간의 삽입이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each guide 24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25 having an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23, so that when the container C is transferred to the unmanned tru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 is It is desirable to slide as if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 25 so that insertion between the insertion hole and the locking 23 can be implemented more easily.

또한, 스윙프레임부재(26)는 상술한 안착부재(21)에 컨테이너(C)가 환적시에 해당 컨테이너(C)의 모서리부 방향 즉, 이송방향에 부합되게 상기 안착부재(21)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여 본 발명인 무인대차(1)의 내구성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프레임(27) 및 탄성체(29)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wing frame member 26 rotates the seating member 21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container C, that is, the transfer direction, when the container C is transshipped to the seating member 21 described above. At the same time, it is configured to absorb shock and prevent the durability of the unmanned vehic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ing deteriorated and includes a rotating frame 27 and an elastic body 29.

회전프레임(2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안착프레임(22)과 유사하게 소정길이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성형되되 양측에는 탄성체(29)가 구비된다.As shown, the rotating frame 27 is made of metal to have the shape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imilar to the seating frame 22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with elastic bodies 29 on both sides.

회전프레임(27) 길이 중앙부에는 안착프레임(22) 하부와 체결되어 상기 안착프레임(22)이 회전(최대 180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28)가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At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rotation frame 27, a rotation motor 28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frame 22 and provides power to rotate the seating frame 22 (up to 180 degrees)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 It is provided so that

이때, 회전프레임(27) 양측은 상술한 사이드프레임(17)에 서로 마주보게 천공 형성된 관통공(18)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회전프레임(27) 양측에 구비된 탄성체(29) 하부가 상기 사이드프레임(17)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rotating frame 27 are arranged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18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above-described side frame 17, and through this, elastic bodi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frame 27 ( 29)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lower part to be supported on the side frame 17.

아울러, 회전프레임(27)에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엔코더 센서나 근접 센서가 더 구비되어 회전모터(28)의 회전각도가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frame 27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ncoder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motor 28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30.

물론,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회전프레임(27)에는 회전모터(28)에 의해 안착프레임(22)이 회전한 이후에 해당 안착프레임(22)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rotation frame 27 may be separately equipped with a brake (not shown) to fix the seating frame 22 after the seating frame 22 is rotated by the rotation motor 28. there is.

하여, 안착프레임(22)에 안착하도록 컨테이너(C)의 환적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충격 등이 발생하게 되면 탄성체(29)의 탄성력이 이 충격을 흡수하여 무인대차(1)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shock due to a load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transshipment of the container C to be seated on the seating frame 22,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29 absorbs this shock and 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from deteriorating.

이를 위해, 관통공(18)의 너비는 삽입된 회전프레임(27)이 탄성체(29)에 의해 승강할 수 있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며, 안착프레임(22) 하면은 상기 회전프레임(27)이 승강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사이드프레임(17)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For this purpose,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18 is formed so that the inserted rotating frame 27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elastic body 29,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frame 22 is formed so that the rotating frame 27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y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rame 17 so that there is a sufficient gap between the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대차(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환적하고자 하는 컨테이너(C)의 부피를 확인 후, 레일(R) 상에 놓여진 한 쌍의 무인대차(1) 중 어느 하나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해당 컨테이너(C)의 부피에 부합하도록 상호 간의 거리(D1,D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First, as shown in FIG. 12, the operator checks the volume of the container (C) to be transshipped and then remotely controls one of a pair of unmanned trucks (1) placed on the rail (R) to load the corresponding container. Control the distances (D1, D2) between each other to match the volume of (C).

이때, 한 쌍의 무인대차(1) 간의 거리는 레일(R) 사이 등에 위치하도록 바닥면에 이웃하도록 설치된 마커센서(미도시)를 제어부가 인식하여 원하는 거리를 갖도록 한 쌍의 무인대차(1)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unmanned carts (1)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recognizing a marker sensor (not shown) installed adjacent to the floor so that it is located between the rails (R), and adjusting the pair of unmanned carts (1) to have the desired distance. It is desirable to place it.

이를 위해, 한 쌍의 무인대차(1) 중 어느 하나 즉,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고정된 상태인 무인대차(1)는 마커센서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하나의 무인대차(1)가 이동함에 따라 작업자가 설정한 거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one of the pair of unmanned trucks (1), that is, the unmanned truck (1) in a fixed state to secure the distance,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marker sensor when the other unmanned truck (1) is in a fixed state. As it moves, the distance set by the operator can be formed.

이후, 작업자는 각각의 무인대차(1)에 컨테이너(C) 하부 양측 모서리부가 가이드(24)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락킹(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회전모터(28)를 제어하여 한 쌍의 안착프레임(22)을 개별 회전시킨 후, 브레이크로 상기 상기 안착프레임(22)을 고정시킨다(도 10 및 도 11 참조).Afterwards, the worker controls each rotation motor 28 so that the lower two corners of the container C on each unmanned truck 1 can be supported on the guide 24 and stably inserted into the locking 23. After individually rotating the seating frame 22, the seating frame 22 is fixed with a brake (see FIGS. 10 and 11).

이때, 제어부(30)는 엔코더 센서와 근접 센서 등의 감지정보를 통하여 안착프레임(22)의 회전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desirable for the control unit 30 to check whether the rotation of the seating frame 22 has been completed through det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encoder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상기한 안착프레임(22)의 회전이 완료되면 한 쌍의 무인대차(1)에 다수 구비된 락킹(23)이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C)를 적재 후, 상기 락킹(23)을 회전시켜 해당 컨테이너(C)가 고정된 상태를 갖도록 한다.When the rotation of the above-described seating frame 22 is completed, the container C is loaded so that the locking 23 provided in plurality on the pair of unmanned trucks 1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n the locking 23 is installed. Rotate it so that the container (C) is in a fixed state.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컨테이너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구동모터(31)를 구동시켜 다수의 휠부재(12)가 레일(R)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operator drives the drive motor 3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iner is to be moved so that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12 rotate along the rail R to allow transpor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대차(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컨테이너(C)를 이송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한 쌍의 무인대차(1)에 각각 설치된 스윙프레임부재(26)를 통해 안착부재(21)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후, 해당 컨테이너(C)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회전공간이 형성되지 않고도 신속하게 컨테이너(C)를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nmanned tru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by moving the container (C) through the swing frame member (26) installed on each pair of unmanned truck (1)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iner (C) is to be transported. After rotating the seating member 21 in the desired direction, the container C is seated and can be moved, so the effect of quickly transporting the container C without forming a separate rotation space is expected.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적재하고자 하는 컨테이너(C)의 부피에 따라 한 쌍의 무인대차(1) 간의 거리(D1,D2)를 가변시켜 적재할 수 있어 무효공간(S)의 비 생성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In addition,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the distance (D1, D2) between a pair of unmanned carts (1)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container (C) to be loade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non-creation of void space (S). The effect of preventing energy waste is expec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본 발명에 따른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10: 구동부
11: 셔틀바디 12: 휠부재
13: 크랭크축 14: 휠
15: 연결체 16: 종동기어
17: 사이드프레임 18: 관통공
20: 회전안착부
21: 안착부재 22: 안착프레임
23: 락킹 24: 가이드
25: 경사면 26: 스윙프레임부재
27: 회전프레임 28: 회전모터
29: 탄성체
30: 제어부
31: 구동모터 32: 구동기어
33: 배터리
C: 컨테이너
R: 레일
1: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the swing lock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driving part
11: shuttle body 12: wheel member
13: Crankshaft 14: Wheel
15: Connector 16: Driven gear
17: Side frame 18: Through hole
20: Rotating seat
21: Seating member 22: Seating frame
23: Locking 24: Guide
25: slope 26: swing frame member
27: Rotation frame 28: Rotation motor
29: elastic body
30: control unit
31: drive motor 32: drive gear
33: battery
C: container
R: rail

Claims (6)

컨테이너(C)가 환적되어 이동시키기 위한 무인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무인 운반차는
제어부(30)의 제어신호를 통해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10); 및
컨테이너(C)가 탈착 가능하게 락킹되되 상기 구동부(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안착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무인 운반차는 컨테이너(C)의 부피에 따라 하부 양측에 서로 간격(D1,D2)을 갖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컨테이너(C)를 이동시키되 각각의 상기 회전안착부(20)는 컨테이너(C) 양측 모서리부가 형상 맞춤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In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for transshipping and moving the container (C),
The unmanned guided vehicle is
A driving unit 10 that moves along the rail R through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0; and
The container (C) is detachably locked, and includes a rotary seating unit (20)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the driving unit (10),
The unmanned guided vehicle is arranged in a pair so as to have a gap (D1, D2)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container (C) to move the container (C), and each of the rotary seating units (20) moves the container (C).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in which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corners on both sides can be seat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착부(20)는
컨테이너(C) 하부가 잠금(LOCK) 또는 잠금 해제(UNLOCK) 될 수 있도록 안착되는 안착부재(21); 및
상기 안착부재(21)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구동부(10)에 지지되어 안착하는 컨테이너(C)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윙프레임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tating seating part 20 is
A seating member 21 that is seat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C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swing locking frame comprising a swing frame member 26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member 21 and absorbs the shock of the container C sea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driving unit 10.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that can be used for transship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21)는
상기 스윙프레임부재(26)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안착프레임(22);
상기 안착프레임(22)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컨테이너(C)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락킹(23); 및
컨테이너(C) 모서리부가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프레임(22)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가이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ating member 21 is
A seating frame (22) rotatably coupled to the swing frame member (26);
Locking (2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frame (22) to lock or unlock the container (C); and
An unmanned transport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guides (24)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frame (22) so that the corners of the container (C) can be fitted and join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c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프레임부재(26)는
상기 안착부재(21)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28)가 구비된 회전프레임(27); 및
상기 회전프레임(27) 양측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부는 상기 회전프레임(27)에 지지되며, 하부는 상기 구동부(10)에 지지되어 환적되는 컨테이너(C)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탄성체(29);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프레임(27)은 상기 탄성체(29) 하부가 상기 구동부(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10)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wing frame member 26 is
A rotating frame (27) provided with a rotating motor (28) that provides power to rotate the seating member (21); and
The rotating frame 27 is provided on both sides to enable elastic recovery, the upper part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frame 27, and the lower part is supported by the driving unit 10 to absorb the shock of the container C being transshipped. Including an elastic body (29);
The rotating frame (27) is an unmanned guided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elastic body (29)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는
제어부(30)가 구비되는 셔틀바디(11);
제어부(3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셔틀바디(11) 하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레일(R)에 안착되는 한 쌍의 휠부재(12); 및
컨테이너(C)를 환적시에 제어부(30)가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휠부재(12)와 결합하되 상기 회전안착부(20)가 탄성 복원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사이드프레임(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iving unit 10 is
Shuttle body 11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30;
A pair of wheel members 12 rotatably mounted on rails R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huttle body 11 so as to be controllable by the control unit 30; and
A side frame (17) coupled to the wheel member (12) so that the control unit (30) can be protected when transshipping the container (C) and inserted so that the rotary seating unit (20) can be elastically restored.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featured swing locking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재(12)는
상기 셔틀바디(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구동모터(31)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종동기어(16)가 구비되는 크랭크축(13);
상기 크랭크축(13) 양측에 구비되되 레일(R)에 안착하는 휠(14);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17)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랭크축(13) 양측에 구비되는 연결체(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락킹 프레임을 이용하여 환적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According to clause 5,
The wheel member 12 is
A crankshaft (13) rotatably coupled to the shuttle body (11) and provided with a driven gear (16) on its outer surface that engages with the drive motor (31) by teeth;
Wheels 1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ankshaft 13 and seated on the rail R; and
An unmanned guided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comprising: a connecting body (1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ankshaft (13)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17).
KR1020230055534A 2023-04-27 2023-04-27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KR102595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534A KR102595933B1 (en) 2023-04-27 2023-04-27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534A KR102595933B1 (en) 2023-04-27 2023-04-27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933B1 true KR102595933B1 (en) 2023-10-31

Family

ID=8854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534A KR102595933B1 (en) 2023-04-27 2023-04-27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933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6548A (en) * 1954-07-28 1959-07-28 Andrew N Obes Freight transfer terminal and transfer dolly
KR880012065U (en) 1986-12-29 1988-08-26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Support device for transportation of railroad vehicles
KR0137572Y1 (en) 1994-12-30 1999-03-20 석진철 Container locking device for container transporting truck
KR200388140Y1 (en) 2005-04-12 2005-06-29 김화준 Device for locking containers for railway carriage
KR20070093791A (en) * 2006-03-15 2007-09-19 상하이 쩐화 포트 머신너리 코.,엘티디. Container transportation carrier and contatiner transportation system
KR20080007082A (en) * 2006-07-13 2008-01-17 상하이 쩐화 포트 머신너리 코.,엘티디. Rotary-type electric flat for container transportation
KR101654896B1 (en) 2014-12-22 2016-09-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pace saving bogie for railway car
KR102304283B1 (en) * 2020-11-10 2021-09-24 (주)성신알에스티 Bogie for railway vehicle powered by battery
KR20220067668A (en) * 2020-11-18 2022-05-25 부산항만공사 Smart container shuttl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6548A (en) * 1954-07-28 1959-07-28 Andrew N Obes Freight transfer terminal and transfer dolly
KR880012065U (en) 1986-12-29 1988-08-26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Support device for transportation of railroad vehicles
KR0137572Y1 (en) 1994-12-30 1999-03-20 석진철 Container locking device for container transporting truck
KR200388140Y1 (en) 2005-04-12 2005-06-29 김화준 Device for locking containers for railway carriage
KR20070093791A (en) * 2006-03-15 2007-09-19 상하이 쩐화 포트 머신너리 코.,엘티디. Container transportation carrier and contatiner transportation system
KR20080007082A (en) * 2006-07-13 2008-01-17 상하이 쩐화 포트 머신너리 코.,엘티디. Rotary-type electric flat for container transportation
US20080014054A1 (en) * 2006-07-13 2008-01-17 Hong Tian Rotary-type electric flat trolley for container transportation
KR101654896B1 (en) 2014-12-22 2016-09-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pace saving bogie for railway car
KR102304283B1 (en) * 2020-11-10 2021-09-24 (주)성신알에스티 Bogie for railway vehicle powered by battery
KR20220067668A (en) * 2020-11-18 2022-05-25 부산항만공사 Smart container shutt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399A (en) Intermodal transport
US54294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utomobiles in an enclosed semi-trailer
CN1326733C (en) System for transporting and skew loading/unloading of cars in combined railway/road transport railway station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06185353B (en) Shuttle beam for transporting a component on a vehicle body, cargo transfer installation with such a shuttle bea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argo
US20230173859A1 (en) Combined road/rail wheel device for foad and rail operation
US2010969A (en) Semitrailer
US2305444A (en) System for transporting freight
RU2282547C2 (en) Railway flat car with load slewing gear for combination rail and road carriage of either one semitrailer or two vehicles
CN110884513A (en) Piggyback transport vehicle
CN211592556U (en) Piggyback transport vehicle
CA1154753A (en) Rotary loader and side coupling system
SE503925C2 (en) Railway wagon
CN111361587A (en) Locking device, concave underframe and piggyback transport vehicle with same
KR102595933B1 (en)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US3774543A (en) Passenger vehicle static switching apparatus
JP4444796B2 (en) Locomotive
KR101975676B1 (en) Truck apparatus for rotational alignment of railway vehicles
KR10259593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unmanned guided vehicle using an unmanned guided vehicle container transfer system controlled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KR102595936B1 (en) Unmanned guided vehicle equipped with a foldable loc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unmanned guided vehicle
EP0784555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a goods train
KR102075857B1 (en) Rotary Aligned Bogies of Railway Vehicles
CN207416838U (en) A kind of mining area incline shaft transport safety device
CN110509943A (en) Vehicle frame and flatcar
CN106476844B (en) It detects a flaw automobile-used wheel and inspection car
US3677192A (en) Cargo handling and transpor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