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676B1 - Truck apparatus for rotational alignment of railway vehicles - Google Patents

Truck apparatus for rotational alignment of railway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676B1
KR101975676B1 KR1020170152658A KR20170152658A KR101975676B1 KR 101975676 B1 KR101975676 B1 KR 101975676B1 KR 1020170152658 A KR1020170152658 A KR 1020170152658A KR 20170152658 A KR20170152658 A KR 20170152658A KR 101975676 B1 KR101975676 B1 KR 101975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gie
linear motor
plat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계출
김원경
장병희
박광복
Original Assignee
(주)성신알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신알에스티 filed Critical (주)성신알에스티
Priority to KR102017015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6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6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3Electric propulsion by line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16Centre bearings or other swivel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lsters or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2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upling articulated trains, locomotives and tenders or the bogies of a vehicle; Coupling by means of a single coupling bar; Couplings preventing or limit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gie structure for rotational alignment of a railway vehicle, and specifically, to a bogie structure for rotational alignment of a railway vehicle, which minimizes a transportation cost and an initial investment cost of a distribution infrastructure which influences a distribution cost and a service and is applied to a seamless inter-modal automatic cargo transportation system for reducing a social environment cost such as greenhouse gas emission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ogie driving on a rail to stop after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using only a mechanical principle or allows the bogie which has rotated and stopped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drive on the rail while not passing through a separate device or a control process.

Description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TRUCK APPARATUS FOR ROTATIONAL ALIGNMENT OF RAILWAY VEHICL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gie structure for rotational alignment of a railway vehicle.

구체적으로는, 물류비용 및 서비스를 좌우하는 수송비용과 물류인프라 초기투자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교통 혼잡, 온실가스배출 등 사회환경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단절없는(seamless)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장치나 제어과정을 거치지 않고, 레일 위를 구동하는 대차를 기계적 원리만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정차하게 만들거나, 회전하여 정차한 대차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레일 위를 구동하게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pplied to a seamless intermodal automatic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to reduce social environmental cost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while minimizing transportation costs and logistics infrastructure initial investment costs that determine service costs and ser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gie structure for the alignment of a railway car, in which a bogie driving a rail is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using only a mechanical principle and then stopped or rotated, To rotate the rail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drive the rail.

철도는 레일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많은 수의 여객과 대량의 화물을 운송하는 대표적인 육상 운송시스템이다.Railways are a typical land transport system that transports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and large quantities of cargo to a vehicle traveling on a rail.

이러한 기존의 철도운송시스템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등 대용량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하역을 위한 별도의 작업선 운용, 철도하역단계 추가에 따른 물류비 증대, 선로용량의 한계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In order to transport large quantities of cargo such as containers using such existing railway transportation systems, there are problems such as extra work line operation for unloading, increase of logistics cost due to addition of a railway unloading stage, and limitation of line capacity.

특히, 기존 철도로 운송한 컨테이너 등의 대용량 화물을 차량으로 하역하기 위해서는 전동기관차(electric locomotive)를 떼어내고 디젤동차(diesel locomotive)로 기관차를 치환한 뒤 철도 상부의 전차선(pentagraph)이 없는 작업선으로 전체 열차를 입환(入換, shunting)한 다음 갠트리크레인이나 리치스태커 등 하역설비를 통해 Lo/Lo(Lift-on/Lift-off) 방식으로 하나씩 하역함으로써 친환경 운송수단인 철도운송 확산의 최대 제약요인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고가의 하역설비(갠트리크레인 등)나 하역장비(리치스태커, 스트레들 캐리어 등)의 구매 및 운용관련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에 따른 경제적 부담에 대한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order to unload large-capacity cargoes such as containers transported by conventional railways, electric locomotives are removed, locomotives are replaced with diesel locomotives, and workplaces without a pentagraph above the railway (Lift-on / lift-off) method through loading and unloading facilities such as gantry cranes and rich stackers after shipment of all train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purchase and operation costs of the unloading equipment (gantry cranes, etc.) and the handling equipment (rich stacker, strainer carrier, etc.) and the economic burden due to the maintenance cost are raised. to be.

이러한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물류비용 및 서비스를 좌우하는 수송비용과 물류인프라 초기투자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교통 혼잡, 온실가스배출 등 사회환경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단절없는(seamless)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이 연구 개발 중에 있으며,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화차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seamless intermodal system for reducing social environment cost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while minimizing the transportation cost affecting the logistics cost and the service and the initial investment cost of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An automatic cargo transportation system is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and a railway car for railroad sorting, which is applied to an intermodal automatic cargo transporta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이에 관련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특2003-0069208호의 차량수송장치가 기재되어 있다.As a related art, a vehicle transport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0069208 is disclosed.

상기 기술은, 운행 궤도를 따라 운행하는 대량수송장치는 차량들이 수평조향수단에 의해 일직선 형태에서 옆으로 나란한 형태로 접힐 수 있는 형태로 관절식으로 연결된 차량들로 구성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The technique describes that a mass transit device that travels along a trajectory consists of vehicles that are articulated in a form that allows the vehicles to collapse in a side-by-side fashion in a straight-line form by horizontal steering means.

또한, 구동 또는 제동 모터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장치의 일 부분은 상기 운행 궤도를 따라 배치되어 각 차량에 장착된 상기 모터장치의 제2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Also described is a drive or braking motor arrangement, wherein a portion of the motor arrangement is disposed along the trajectory and interacts with a second portion of the motor arrangement mounted to each vehicle.

또한, 구동기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모터장치의 제2 부분은 주 빔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면으로 구성된다. 주 빔은 차량에 부착되며 차량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것을 기재하고 있다.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drive machine, the second part of the motor device is constituted by at least one drive surface extending along the main beam. The main beam is attached to the vehicle and is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424323호에 기재된 대량 수송 시스템이 있다. As another technique, there is a mass transport system describ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0424323.

상기 기술은, 내부에 객실이 구비되고, 직선 위치에서 옆으로 나란한 위치로 겹쳐질 수 있도록 무한 배열로 관절 연결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차량; 상기 각 차량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조립 설치되며, 하단 중앙에 반동판(reaction disk)이 구비된 차량프레임; 상기 차량프레임의 양측 대각선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하단에 한쌍의 차륜과 가이드휠이 설치된 보기(bogie); 및 이 보기와 차량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힌지; 상기 차량프레임과 차량프레임의 사이 핀에 의해 상호 연결 설치되는 디스텐스빔(distance beam); 상기 대각선 방향에 각각 위치한 보기가 상단에 위치하여 이동하며, 가속하는 주행 방향에서는 폭이 좁게 설치되는 동시에 승객들이 승하차 하여 저속하는 플랫폼에서는 폭이 넓게 설치된 트랙; 및 상기 트랙과 트랙의 사이에는 선형유도전동기(lenear induction moter:LIM);가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aving a cabin inside and being continuously arranged to be jointly connected in an infinite arrangement so as to be superimposed on a side-by-side position in a straight line position; A vehicle frame assembl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vehicle and having a reaction disc at the bottom center; A bogie installed at both side diagonal directions of the vehicle frame and having a pair of wheels and a guide wheel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hinge interconnecting the view and the vehicle frame; A distance beam interconnected by a pin between the vehicle frame and the vehicle frame; A track having a wide width in a platform in which the width of the platform is set to be narrow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acceleration and a platform in which the passengers ride on and off, And a linear induction motor (LIM) between the track and the track.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차량이 가로 방향으로 움직일때 고속이고, 반면 접히는 과정에서 감속되며, 완전히 접혔을때 차량이 아주 저속으로 움직이며, 이때 승객은 차량 양끝 부분으로 각각 승차 및 하차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technique is fast when the vehicle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while decelerating in the folding process. When fully folded, the vehicle moves at a very low speed, at which time passengers can ride and get off It is.

특히, 등록특허공보 제10-0424323호에 기재된 대량 수송 시스템이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과 유사한데, 구체적으로 보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차 구조가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mass transportation system describ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0424323 is similar to the technology propos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ally, the vehicle structur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invention is different.

공개특허공보 특2003-0069208호(2003.08.25.)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69208 (Aug. 25, 2003) 등록특허공보 제10-0424323호(2004.03.24.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24323 (published on Mar. 24, 2004)

본 발명의 목적은, 물류비용 및 서비스를 좌우하는 수송비용과 물류인프라 초기투자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교통 혼잡, 온실가스배출 등 사회환경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단절없는(seamless)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mless intermodal automatic cargo transportation system for reducing social environment cost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while minimizing the transportation costs affecting the logistics cost and service and the initial investment cost of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And to provide a bogie for rotational alignment of an applied railway vehicl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 철도로 운송한 컨테이너 등 대용량의 화물을 차량으로 하역하기 위해서는 전동기관차(electric locomotive)를 떼어내고 디젤동차(diesel locomotive)로 기관차를 치환한 뒤 철도 상부의 전차선(pentagraph)이 없는 작업선으로 전체 열차를 입환(入換, shunting)한 다음 갠트리크레인이나 리치스태커 등 하역설비를 통해 Lo/Lo(Lift-on/Lift-off) 방식으로 하나씩 하역하는 복잡한 하역단계를 간소하고, 고가의 하역설비(갠트리크레인 등)나 하역장비(리치스태커, 스트레들 캐리어 등)의 구매 및 운용관련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 하역비용을 절감하는 위한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Specifically, in order to unload a large-capacity cargo such as a container transported by a conventional railway, the electric locomotive is removed, a diesel locomotive is substituted for the locomotive, (Lift-on / lift-off) method through a cargo handling facility such as a gantry crane or a rich stacker after completing unloading of the entire trains by using a work line with no load Railway system for intermodal automatic freight transport system to reduce loading and unloading costs such as expensiv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gantry cranes, etc.) and handling equipment (rich stacker, strainer carrier, etc.) And a bogie for rotational alignment of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는, 인터모달 운송시스템용 철도차량의 대차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철도차량이 플랫폼에 진입할 때 전후 대차가 각각의 레일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대차의 진행 선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 휠이 대차의 일측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대차의 단부에는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회전연결기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연결기는 대차의 양 사이드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는 2개의 연결기 프레임(121)과, 상기 연결기 프레임(121)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gie structure for rotational alignment of a railway vehicle, the bogie of a railway vehicle for an intermodal transportation system, A guide wheel guided by a guide rail for guiding a traveling line of a bogie is provided on one side frame of the bogie so that the front and rear bogie can rotate along the respective rails, The rotary connector includes two connector frames 121 connected to end portions of both side frames of the truck and a connection frame 125 connected to the connector frame 121. [ .

또한, 상기 가이드 휠은 상기 철도차량의 전부 및 후부 대차에 각각 구비되 고, 상기 전부 대차에 구비된 가이드 휠과 후부 대차에 구비된 가이드 휠은 서로 반대되는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at the guide wheels are ea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uide wheel and the guide wheel side frame opposite to each other provided on the rear bogie provided each having being, the entire balance in the whole, and the rear bogie of the rail vehicle .

또한, 상기 회전연결기(120)는 2개의 사이드 프레임(110)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연장되다가,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해지도록 절곡되되 서로 맞닿지 않도록 인접하게 2개로 구성된 연결기 프레임(121)과, 상기 2개의 연결기 프레임(121)이 인접한 단부의 상측과 하측에 구성되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122)과, 상기 상측과 하측에 구성된 2개의 고정 프레임(122)에 관통된 힌지(H1)와, 상기 힌지(H1)에 관통되어 힌지(H1)가 관통된 단부가 2개의 고정 프레임(122) 사이에 위치된 측 방향 프레임(123)과, 상기 측 방향 프레임(123)의 반대 단부에 다른 힌지(H2)를 통해 연결된 상/하 방향 프레임(124)과, 상기 상/하 방향 프레임(124)의 반대 단부에는 연결 프레임(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ry connector 120 includes a connector frame 121 that is connected to an end of each of the two side frames 110 and is bent so as to be adjacent at a certain point bu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fixing frame 122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wo connector frames 12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inge H1 A lateral frame 123 passing through the hinge H1 and having an end through which the hinge H1 penetrates is disposed between the two fixed frames 122; And a connection frame 125 is provided at an opposite end of the upper / lower frame 124 to the upper / lower frame 124 connected via another hinge H2.

또한, 상기 대차에는 그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리니어 모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ogie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near mo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또한, 상기 대차(100)는 대차의 양 측부를 구성하고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된 사이드 프레임(110);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센터 프레임(111);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휠은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측면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gie 100 includes a side frame 110 constituting both sides of the bogie and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center frame 111 connecting the side frames 11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wheels are coupl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side frame 110.

또한, 상기 대차(100)에는 리니어 모터(140)가 결합되는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전부 및 후부에 구비된 액슬박스의 일측에 브라켓(131)에 의해 결합되되, 대차의 전부 및 후부에 각각 1개씩 한쌍 구비되고, 상기 리니어 모터는 모터 연결부(141)를 통해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may include a linear motor hanger bar 130 coupled to a linear motor 140 coupled to the bogie 100.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ide frame 110, The linear moto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axle box by a bracket 131 and one pair on each of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ogie and the linear motor is coupled to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through a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

또한,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 단부(130a)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고무 부시(132)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무 부시(132)는 상기 행거바 단부(130a)의 관통구를 통과한 상태에서 이의 양단이 브라켓(131)에 체결됨으로써,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가 브라켓(131)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ger bar 130 further includes a rubber bush 132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end portion 130a of the hanger bar 130. The rubber bush 13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hanger bar end 130a Both ends of which are fastened to the bracket 131 so that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is connected to the bracket 131.

또한, 상기 모터 연결부(141)는, 상기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결함홉(141a)이 형성된 상측 연결부(141b)와, 상기 상측 연결부(141b)의 상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하면 일부가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에 안착되어 모터 연결부(141)가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돕는 상측 판부(141c)와, 상기 상측 연결부(141b)와 힌지(H4)를 통해 연결되는 하측 연결부(141d)와, 상기 하측 연결부(141d)의 하측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체결수단을 통해 리니어 모터(140)와 직접 체결되는 하측 판부(141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and has an upper connecting portion 141b formed with a defective hop 141a into which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can be inserted, And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linkage 141b is seated on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to support the motor connection portion 141 more firmly fixed to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 A lower connecting portion 141d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141b through a hinge H4 and a lower connecting portion 141d vertically formed below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141d and connected to the linear motor 140 And a lower side plate 141e which is directly engaged with the lower plate 141e.

또한, 상기 가이드 휠(15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 및 회전연결기(120) 중 어느 하나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2개의 연결판(151)과, 상기 2개의 연결판(151)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부판(152)과, 상기 하부판(152)의 저면에 '└┘' 형태로 구성되어 하부판(152)과 함께 박스 형태를 이루는 박스판(153)과, 상기 하부판(152)에서부터 박스판(153)의 저면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힌지(H3)와, 상기 힌지(H3)에 관통되어 힌지(H3)를 축으로 회전하는 휠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wheel 150 includes two connecting plates 151 vertical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ide frames 110 and the rotary connector 120 and a lower connecting plate 151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ng plates 151 A box plate 153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152 to form a box together with the lower plate 152, A hinge H3 for passing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hinge H3 and a wheel 154 passing through the hinge H3 and rotating about the hinge H3.

또한, 상기 대차(100)에는 회전판(113)이 더 구비되되, 상기 회전판(113)은 센터 프레임(111)에 구비되고, 상면에 롤러(113a)가 회전판(113)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 설치되어 대차와 차체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rriag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tary plate 113. The rotary plate 113 is provided in the center frame 111 and a plurality of rollers 113a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ry plate 113 So that the vehicle and the vehicle body can rotate smoothly.

또한, 사이드 프레임 및 센터 프레임으로 구성된 대차 프레임과 대차프레임에 구비된 한쌍의 차축, 각각의 차축에 구비된 한쌍의 차륜으로 구성된 인터모달 운송시스템용 철도차량의 대차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사이드 프레임 일측면에 가이드 휠이 구비되고, 상기 철도차량이 플렛폼에 진입하거나 진출할 경우, 상기 가이드 휠이 선로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되어 전후 대차가 각각의 레일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대차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차하거나, 대차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주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차의 단부에는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회전연결기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연결기는, 대차의 양 사이드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는 2개의 연결기 프레임과, 상기 연결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 bogie of a railway vehicle for an intermodal transportation system composed of a bogie frame composed of a side frame and a center frame, a pair of axles provided on the bogie frame, and a pair of wheels provided on the respective axles, The guide wheel is guided by the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ck so that the front and rear trucks can rotate along the respective rails so that the truck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rotary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railway cars to each other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ailcar, the rotary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nds of both side frames of the railcar, respectively, Two connector frames extending to the connector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ame.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에는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회전연결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대차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리니어 모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센터 프레임에는 회전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otary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railway cars to each other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de frame, and a linear motor is further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uck, and the center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tary plate.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는,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에 적용되어 화물의 하역과정을 단순화시켜 화물 하역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효과를 보유한다.The bogie structure for rotational alignment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ntermodal automatic cargo transportation system to simplify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thereby remarkably reducing the cost of cargo loading and unloading.

또한, 별도의 장치나 제어과정을 거치지 않고, 레일 위를 구동하는 철도차량의 대차를 기계적 원리만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정차하도혹 하거나, 회전하여 정차한 철도차량의 대차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레일 위를 구동하게 하는 효과도 보유하고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the railroad car running on the rail horizontally using only the mechanical principle, and then to stop the railroad car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also has the effect of driving it on the rail by rotating it.

또한, 다수의 대차들이 회전 정렬시 대차 사이의 간격 조절하는 효과도 보유하고 있다.In addition, many bogies have the effect of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bogies during rotational alignment.

또한, 200톤에 달하는 무거운 전동기관차를 배제하고 선형모터 혹은 선형전동기 추진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화차당 약 60톤의 하중만 지탱하여 상대적으로 경량 인프라 구조물 설계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보유하고 있다.In addition, by eliminating heavy electric locomotives of up to 200 tons and adopting a linear motor or linear motor propulsion system, it is possible to design a relatively lightweight infrastructure by supporting only about 60 tons of load per c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있어서, 인터모달 자동화물시스템용 철도차량이 플렛폼에 정차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도면 중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있어서, 인터모달 자동화물시스템용 플랫폼에 적용된 레일의 분기기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 평면측과 저면측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회전연결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가이드 휠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센터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사이드 프레임, 센터 프레임이 결합된 트럭프레임 및 회전연결기가 결합된 일예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철도차량의 차체가 얹혀져 고정된 일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ailway vehicle for an intermodal automatic cargo system is stopped on a platform in the railroad car arrangement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s an enlarged view of an area 'A' in FIG. 1.
FIG. 2 is a fragmentary view of a rail applied to a platform for an intermodal autoslice system in a railroad carriage arrangement for railroad c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rotationally aligned balustrade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 rotationally aligned balustrade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viewed from the plane side and the bottom side, respectively.
FIG. 6 illustrates a rotary connector in a rotary alignment type rail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guide wheel in a rotationally aligned balustrade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enter frame in a rotational alignment type rail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ide frame, a truck frame coupled with a center frame, and a rotation connector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rotational alignment type rail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vehicle body of a railway vehicle is mounted and fixed in a rotational alignment type truck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gie structure for rotational alignment of a railway vehicle.

구체적으로는, 물류비용 및 서비스를 좌우하는 수송비용과 물류인프라 초기투자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교통 혼잡, 온실가스배출 등 사회환경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단절없는(seamless)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장치나 제어과정을 거치지 않고, 레일 위를 구동하는 대차를 기계적 원리만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정차하게 만들거나, 회전하여 정차한 대차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레일 위를 구동하게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pplied to a seamless intermodal automatic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to reduce social environmental cost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while minimizing transportation costs and logistics infrastructure initial investment costs that determine service costs and ser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gie structure for the alignment of a railway car, in which a bogie driving a rail is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using only a mechanical principle and then stopped or rotated, To rotate the rail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drive the rail.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이란, 두 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연계하는데 필요한 하역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순화하고 두 물류거점을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의 자동운송기술의 일종으로 한 시스템으로 주요 기능은 물류거점에서 운송, 하역, 기존 수단과 연계하는 것이다.Intermodal automatic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is a kind of automatic transportation technology that dramatically simplifies the loading and unloading process required for linking two or more transportation methods and connects two logistics bases. Its main functions are transportation from the logistics bases, Unloading, and linking with existing means.

이러한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은 기존의 철도운송시스템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등 대용량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하역을 위한 별도의 작업선 운용, 철도하역단계 추가에 따른 물류비 증대, 선로용량의 한계 등의 문제점, 특히 기존 철도로 운송한 컨테이너 등의 대용량 화물을 차량으로 하역하기 위해서는 전동기관차(electric locomotive)를 떼어내고 디젤동차(diesel locomotive)로 기관차를 치환한 뒤 철도 상부의 전차선(pentagraph)이 없는 작업선으로 전체 열차를 입환(入換, shunting)한 다음 갠트리크레인이나 리치스태커 등 하역설비를 통해 Lo/Lo(Lift-on/Lift-off) 방식으로 하나씩 하역함으로써 친환경 운송수단인 철도운송 확산을 제약하는 문제점, 고가의 하역설비(갠트리크레인 등)나 하역장비(리치스태커, 스트레들 캐리어 등)의 구매 및 운용관련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에 따른 경제적 부담에 대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되어 연구 개발된 시스템이며, 물류비용 및 서비스를 좌우하는 수송비용과 물류인프라 초기투자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교통 혼잡, 온실가스배출 등 사회환경 비용을 절감 등의 효과를 포함하고 있다.This intermodal automatic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is designed to use the existing railway transportation system to transport large capacity cargoes such as containers, to carry out separate work lines for loading and unloading, to increase logistics costs by adding railway unloading stages, In particular, in order to unload large capacity cargoes such as containers transported by conventional railways, electric locomotives are removed, locomotives replaced by diesel locomotives, and workplaces without a pentagraph above the railway (Lift-on / lift-off) method through loading and unloading facilities such as gantry cranes and rich stackers, thereby limiting the spread of railway transportation, an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Problems, purchasing and operation of expensiv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gantry cranes, etc.) and loading equipment (rich stacker, stretcher carrier, etc.) , And maintenance costs. The system is designed and developed to minimize transportation costs and logistics infrastructure initial investment costs, while reducing traffic conges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ncluding the reduction of social environmental costs.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된 사항을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한다.More 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matt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있어서, 인터모달 자동화물시스템용 철도차량이 플렛폼에 정차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ailway vehicle for an intermodal automatic cargo system is stopped on a platform in the railroad car arrangement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a)는 회전정렬형 대차가 구비된 철도차량(이하 "화차"라 합니다)이 플랫폼 내에 진입하는 중으로서 정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b)는 회전정렬형 대차가 구비된 화차가 플랫폼 내에 완전히 정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1 (a) shows a process in which a railway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gon") provided with a rotationally aligned bogie enters a platform and stops. FIG. 1 (b) And the vehicle is completely stopped within the platform.

즉, 회전정렬형 대차가 구비된 화차의 각 차량은 후술되는 구조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주행 중에는 각 개별 화차가 일직선 방향으로 통상의 열차와 같이 주행하다가, 플랫폼에 접근하면, 플랫폼에 새롭게 적용된 레일을 따라, 각각의 화차가 각 화차의 하측에 구성된 대차의 회전에 의해 화차의 차체 단부가 플랫폼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each vehicle of the waggon equipped with the rotationally aligned bogie is interconnected by a structur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individual wagons are traveling in a straight line like a normal train while traveling, when approaching the platform, So that the car body end portion of the wagon is directed to the platform by the rotation of the bogie, which is constructed on the lower side of each wagons, along the rails.

도 2에 따른 플랫폼에 적용된 레일의 구성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에 있어서, 인터모달 자동화물시스템용 플랫폼에 적용된 레일의 분기기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railway carriage structure for a railway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age railway railway railroad carriage system shown in FIG. Lt; / RTI >

도 2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2,

플랫폼에 적용된 레일은, 플랫폼 내로 인접하면서부터 'Y'자 형태로 교차되는 레일(1)과, 상기 레일(1)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2)로 구성된다.The rails applied to the platform are composed of rails 1 which ar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in a Y shape from the adjoining to the platform and two guide rails 2 formed al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rails 1.

이때, 가이드 레일(2)은 후술되는 대차(10)의 가이드 휠(150)을 가이드하는 레일로서, 화차가 플랫폼에 접근하면 가이드 휠(150)이 가이드 레일(2)에 끼워져 삽입되도록 하고, 이후 가이드 레일(2)을 따라 가이드 휠(150)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화차에 구비된 전후 대차(100)가 각각의 레일(1)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At this time, the guide rail 2 guides the guide wheel 150 of the bogie 1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wagon approaches the platform, the guide wheel 1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 The guide wheels 150 are moved along the guide rails 2 so that the front and rear trucks 100 provided on the wagon can be rotated along the respective rails 1. [

상술된 바와 같이 대차(100)는 하나의 차량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에 총 2개로 구성되는데, 이때 전방의 대차를 전부대차로 지칭하고 후방의 대차를 후부대차로 지칭하는 경우, 전부대차가 플랫폼에 적용된 레일에 진입시 분기기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후부대차가 분기기에서 전부대차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화차의 차체 단부가 플랫폼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ogie 100 is composed of a total of two bogies, one for the front and the other for the one vehicle. In the case where the front bogie is referred to as a front bogie and the rear bogie is referred to as a rear bogie, When moving to the applied rail, the rear truck moves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ront truck, so that the end of the car body is pointing toward the platform.

이때, 후술되겠지만 화차의 차체는 차체의 하부에 구비된 센터핀을 통해 대차(100)와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어서, 대차(100)가 회전됨에 따라 화차의 차체는 그 단부가 플랫폼을 향하도록 된다.At this tim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ody of the wagon can be individually rotated with the bogie 100 through the center pin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as the bogie 100 rotates, the end of the body of the wagon is oriented toward the platform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통해 대차(100)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ogi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 평면측과 저면측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 3 is a plan view of a rotationally aligned type rail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rotationally aligned rail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첨부된 도면의 도 3 내지 도 5에 따르면, 대차(100)는 주요하게 사이드 프레임(110), 센터 프레임(111), 회전연결기(120),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 리니어 모터(140) 및 가이드 휠(150)을 포함한다.3 to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ogie 100 mainly includes a side frame 110, a center frame 111, a rotary connector 120, a linear motor hanger bar 130, a linear motor 140, And a guide wheel (150).

사이드 프레임(110)은, 측방향 프레임으로서, 대차의 측부를 구성한다.The side frame 110, as a lateral frame, constitutes a side portion of the carriage.

이때, 본 발명은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당연히 주행 차륜과 차축과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음이 당연하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 열차의 차륜, 차축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된다.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of course related to a truck, which of course includes a running wheel, an axle and a brake sys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conventional wheel, axle and brake system.

즉, 대차는 사이드 프레임(110) 및 센터 프레임(111)으로 구성된 대차 프레임에 한쌍의 차축이 구비되고, 각각의 차축에는 한쌍의 차륜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차륜의 구동력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대차의 구조는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내용이므로, 여기에서는 차륜, 차축 및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the bogie is provided with a pair of axles on a bogie frame composed of a side frame 110 and a center frame 111, a pair of wheels on each axle, and a braking system for braking the driving force of each wheel . The structure of such a bogie is know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wheel, axle and brake system is omitted here.

그러나 당업자라면 상술된 차륜, 차축 및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조는 당연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드 프레임(110)은 상술된 구조들이 구성되거나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structure of the wheel, axle and brake system described above. The side frames 110 also serve to construct or support the structures described above.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110)에는 센터 프레임(111)이 고정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8을 참조한다.In this side frame 110, the center frame 111 can be fixedly constructed, see FIG. 8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센터 프레임(111)을 나타낸 것이다.8 is a view showing a center frame 111 in a rotational alignment type rail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8에 따르면, 센터 프레임(111)은 2개의 사이드 프레임(110)을 수직방향으로 잇도록 구성되며, 각 단부에 사이드 프레임(110)과의 결합을 위한 삽입부재(111a)가 돌출된다. 이때, 사이드 프레임(110)에는 삽입부재(111a)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부재(111a)가 삽입될 수 있는 홈 구성이 마련됨이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8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enter frame 111 is configured to vertically connect two side frames 110, and an insertion member 111a for coupling with the side frames 110 is formed at each end Respectively. At this tim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ide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groove structure in which the insertion member 111a can be inser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1a.

또한, 센터 프레임(111)에는 센터핀이 삽입되는 센터피봇(111b)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센터피봇(111b)은 상기 센터핀이 센터피봇(111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센터핀과의 연결구조를 갖는다.The center pivot 111b may include a center pivot 111b for receiving the center pin 111. The center pivot 111b may include a center pin 111b, .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센터 프레임(111)에는 보강재(stiffener)가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도 8의 삽입부재(111a)를 제외한 나머지 사다리 형태의 구성이 보강재임).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stiffeners may be arranged in the center frame 111 (except for the insertion member 111a in FIG. 8, the ladder configuration is a reinforcing memb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센터 프레임(111)은, 도 9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는 양 사이드 프레임(110)의 단부에 연결하는 회전연결기(12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center frame 111 is coupled to the side frame 110 as shown in FIG. 9,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de frame 110 by a rotation connector 120 ) Are coupled and fix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사이드 프레임(110), 센터 프레임(111)이 결합된 대차 프레임 및 회전연결기가 결합된 일예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ide frame 110, a cargo frame to which a center frame 111 is coupled, and a rotation connector are combined in the rotational alignment type rail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회전연결기(12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rotary connecto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회전연결기를 나타낸 것이다.FIG. 6 illustrates a rotary connector in a rotary alignment type rail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6에 따른 회전연결기(120)는,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장되다가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해지도록 1회 절곡되되, 서로 맞닿지 않도록 인접하게 각각 2개로 구성된 연결기 프레임(121)을 포함한다.6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each side frame 110 and is bent once so as to be adjacent at a certain point, And a connector frame 121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s.

그리고 2개의 연결기 프레임(121)의 상호 인접한 단부의 상측 및 하측에는 고정 프레임(122)이 각각 고정 구성되어 2개의 고정 프레임(122)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The fixed frames 122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djacent ends of the two connector frames 121, respectively, so that a spac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wo fixed frames 122.

이러한 고정 프레임(122)은 힌지(H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힌지 삽입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힌지가 기재되는 모든 경우도 마찬가지이다.The hinge H1 may be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122, and a hinge insertion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therefor. This is the same in all cases where the hinge is described below.

이와 같이 고정 프레임(122)에 관통된 힌지(H1)에는 측 방향 프레임(123)도 함께 관통하되, 힌지(H1)가 관통된 단부는 2개의 고정 프레임(12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ateral frame 123 may also pass through the hinge H1 passing through the stationary frame 122 and the end of the hinge H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stationary frames 122 .

이러한 측 방향 프레임(123)의 반대 단부에는 상/하 방향 프레임(124)이 측 방향 프레임(123)과 힌지(H2)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At the opposite end of the lateral frame 123, the upper / lower frame 124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lateral frame 123 via the hinge H2.

또한, 상/하 방향 프레임(124)의 반대 단부에는 연결 프레임(125)이 구성된다.Further, a connection frame 125 is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up / down direction frame 124.

이러한 연결 프레임(125)은 어느 한 화차에 대하여 후부대차에 고정되면, 상기 화차와 인접한 다른 화차에 구비된 전부대차에 고정됨으로써, 화차의 연속 배열이 가능하다.When the connection frame 125 is fixed to the rear truck with respect to one of the wagons, it is fixed to the front wagons provided in the other wagons adjacent to the wagon, so that the wagons can be continuously arranged.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사이드 프레임(110) 각각의 하측에 차축의 단부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액슬박스(도면부호 미도시)가 구비된다.3 and 5, axle boxes (not shown) functioning to support and protect the ends of the axle are provided below the side frames 110, respectively.

액슬박스에는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됨으로써 연결된다.In the axle box,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is fasten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이때, 액슬박스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하나의 사이드 프레임(110)에 대하여 2개씩 구성되어 총 2쌍, 따라서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xle boxes are formed by two for one side frame 110, so that a total of four axle boxes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 액슬박스는 사이드 프레임(120)과 직접 체결되어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보조 프레임 등의 구성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Specifically, the axle box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ide frame 120, but may be connected via a separate auxiliary frame or the like.

이러한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의 주요 기능은 모터 연결부(141)를 통해 리니어 모터(140)가 대차(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main function of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is to allow the linear motor 140 to be fixed to the carriage 100 via the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더욱 상세하게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가 액슬박스에 연결되는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 7을 참조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is connected to the axle box is shown in FIG. 7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의 도 7에 따르면,According to Figure 7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는 1쌍의 액슬박스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으며, 이의 단부에는 대차의 진행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된 행거바 단부(130a)가 각각 구성된다.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has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air of axle boxes, and has a hanger bar end 130a formed at the end thereof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gie.

또한, 액슬박스의 일측으로는 브라켓(131)이 결합되는데, 이때, 브라켓(131)에 행거바 단부(130a)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즉, 행거바 단부(130a)가 브라켓(131)의 일면에서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되고, 이를 위해 브라켓(131)의 일면에는 행거바 단부(130a)가 삽입되기 위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cket 13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axle box, and the hanger bar end 130a is connected to the bracket 131 at this time. That is, the end portion 130a of the hanger bar 130 is connected to the one side of the bracket 131, and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 inserting the hanger bar end 130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131 .

그리고 행거바 단부(130a)의 관통구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고무 부시(132)가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고, 이의 양단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브라켓(131)의 일면에 체결된다. 또한 브라켓(131)과 액슬박스의 연결도 체결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A rubber bushing 132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hanger bar end portion 130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fastened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131 through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t both ends thereof. Al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bracket 131 and the axle box can be achieved through the fastening means.

리니어 모터(140)는 유도 전동기를 축을 따라 절개한 평면상에 전개한 것 같은 구조로, 고정자와 리액션 레일로 구성되고, 레일방향의 직선적인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The linear motor 140 has a structure such that it is developed on a plane cut along the axis of the induction motor. The linear motor 140 is composed of a stator and a reaction rail, and generates a linear driving force in the rail direction.

이러한 리니어 모터(140)가 열차에 적용되는 예시로서, 자기부상열차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리니어 모터(140)의 기능은 생략한다. 다만, 이러한 리니어 모터(140)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가 적용된 화차가 정차하는 경우, 평행 정차가 가능하도록 자력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As an example in which the linear motor 140 is applied to a train, since there is a magnetic levitation train, the function of the linear motor 14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However, the linear motor 140 drives the motor so as to enable a parallel stop when the vehicle is stopped by the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리니어 모터(140)는 단부의 상면에 모터 연결부(141)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연결되고, 상기 모터 연결부(141)는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와 리니어 모터(14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linear motor 140 is fastened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the like by a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The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is fixed to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So that the hanger bar 130 and the linear motor 140 can be connected.

이러한 모터 연결부(141)에 대해서는, 도 5의 확대도면을 참조한다.The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nlarged view of FIG.

모터 연결부(141)는,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결함홉(141a)이 형성된 상측 연결부(141b)와 상기 상측 연결부(141b)의 상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하면 일부가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에 안착되어 모터 연결부(141)가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돕는 상측 판부(141c)와, 상기 상측 연결부(141b)와 힌지(H4)를 통해 연결되는 하측 연결부(141d)와, 상기 하측 연결부(141d)의 하측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체결수단을 통해 리니어 모터(140)와 직접 체결되는 하측 판부(141e)로 구성 되어진다.The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and includes an upper connecting portion 141b formed with a defective hop 141a into which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can be inserted and fitted, An upper plate 141c vertic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1b and partially mounted on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to help the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to be more firmly fixed to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A lower connecting portion 141d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141b through a hinge H4 and a lower connecting portion 141d vertically formed below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141d and directly fastened to the linear motor 140 through fastening means And a lower side plate portion 141e.

이와 같이, 상측 연결부(141b)와 하측 연결부(141d)가 힌지(H4)를 축으로 유동됨으로써, 화차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이 리니어 모터(140)로 전달되어도 리니어 모터(140)가 유동되어 진동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us, even when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running of the wagon is transmitted to the linear motor 140 by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141b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141d flowing along the axis of the hinge H4, the linear motor 140 flow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from occurring.

가이드 휠(150)은, 상술된 바와 같이 화차가 플랫폼으로 접근할 때, 플랫폼에 적용된 레일에 구성된 가이드 레일(2)에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2)에 가이드되어 화차가 안정적으로 회전 주행 및 정차할 수 있도록 돕는 보조 휠의 역활을 한다.The guide wheel 150 is guided by the guide rail 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 formed on the rail applied to the platform when the car is approaching the platform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ar can be stably rotated and stopped To help you do that.

이러한 가이드 휠(150)은, 첨부된 도면의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Such a guide wheel 150 may refer to Fig. 7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가이드 휠을 나타낸 것이다.7 is a view showing a guide wheel in a rotationally aligned balustrade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7에 따른 가이드 휠(150)은,The guide wheel 150 according to FIG. 7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 및 연결기 프레임(121) 중 어느 하나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2개의 연결판(151)과, 상기 2개의 연결판(151)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부판(152)과, 상기 하부판(152)의 저면에 '└┘' 형태로 구성되어 하부판(152)과 함께 박스 형태를 이루는 박스판(153)과, 상기 하부판(152)에서부터 박스판(153)의 저면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힌지(H3)와, 상기 힌지(H3)에 관통되어 힌지(H3)를 축으로 회전하는 휠부(154)를 포함한다.Two connection plates 151 vertical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ide frames 110 and the connector frame 121 and a lower plate 152 connecting the lower sides of the two connection plates 151, A box plate 153 formed in a shape of a box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52 and having a box shape together with the bottom plate 152 and a box plate 153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152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plate 153 A hinge H3 and a wheel 154 passing through the hinge H3 and rotating about a hinge H3.

이때, 휠부(154)가 가이드 레일(2)에 삽입되어 동작된다.At this time, the wheel portion 154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 and opera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대차(100)에 차체가 놓여지는 구성과, 상기 차체로부터 대차(100)가 회전하는 동작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0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placed on the bogie 10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an operation relationship in which the bogie 100 is rotated from the vehicle body.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회전정렬형 대차 구조에서 철도차량의 차체가 얹혀져 고정된 일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vehicle body of a railway vehicle is mounted and fixed in a rotational alignment type truck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10에 따르면, According to FIG. 10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센터 프레임(111)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센터피봇(111b)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피봇(111b)이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주변에 'T'자 형태의 접속 플레이트 지지부(112a)에 의해 센터 프레임(111)의 일면으로부터 지지되는 접속 플레이트(112)가 형성된다.A center pivot 111b is formed in the center frame 111 and a connection plate support portion 112a having a 'T' shape around the point where the center pivot 111b is formed, A connection plate 112 supported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1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접속 플레이트(112)의 상측으로는 회전판(113)이 위치된다.A rotating plate 113 is positioned above the connecting plate 112.

이러한 회전판(113)은, 첨부된 도면의 도 3 등을 참조하면 상면에 롤러(113a)가 회전판(113)의 원주방향으로 차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 개 배열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and the lik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rotating plate 113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with a plurality of rollers 113a so that the vehicle body can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113. [

그리고 상기 센터 프레임(111)에 형성된 센터피봇(111b)에는 하부 센터플레이트(114)가 센터피봇(111b)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 센터플레이트(114)의 하면은 다단으로 구성되어, 일부가 상기 센터피봇(111b)의 내경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센터 프레임(111)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The lower center plate 114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enter pivot 111b in the center pivot 111b formed in the center frame 111. The lower center plate 114 has lower ends,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er pivot 111b and the other par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11. [

그리고 센터피봇(111b)에 삽입된 차체에 구비된 센터핀은 구체적으로 하부 센터플레이트(114)를 관통하는 형태로 센터피봇(111b)에 삽입될 수 있다.The center pin of the vehicle body inserted into the center pivot 111b may be inserted into the center pivot 111b through the lower center plate 114 in detail.

이때, 하부 센터플레이트(114)는 상면에 반구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센터핀이 관통되는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center plate 114 is recessed in a hemispherical shape on the upper surface, and a center portion through which the center pin passes is formed to protrude convexly, so that a step can be formed.

또한, 하부 센터플레이트(114)는 이의 외면 상부 센터플레이트(115) 측으로부터 전해지는 수직하중을 보강하기 위하여, 센터 프레임(111)에 닿는 저면 외곽에 강도 보강부(114b)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center plate 114 may be formed with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114b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contacting the center frame 111 to reinforce the vertical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center plate 115 side.

이러한 강도 보강부(114b)는 수평 바닥면과 수직 테두리면을 포함하고, 수평 바닥면의 높이는 하부 센터플레이트(114)의 맨 저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수직 테두리면의 외경은 하부 센터플레이트(114)의 내면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enter plate 114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edge surface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center plate 114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이와 같은 강도 보강부(114b)는 주물 제작시 하부 센터플레이트(114)와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 센터플레이트(114)의 취성을 대폭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114b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center plate 114 at the time of casting and greatly reinforces the brittleness of the lower center plate 114. [

이러한 하부 센터플레이트(114)의 상측으로는 상면이 그의 하부방향으로 오목한 반구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센터플레이트(114)에 삽입되기 위하여 반구형상의 몸체를 갖되, 상기 홈의 저면에는 하부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하부 센터플레이트(114)에 형성된 단턱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상부 센터플레이트(115)가 안착되며, 상기 상부 센터플레이트(115)는 반구형상의 몸체 테두리에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최종 구성을 갖는다.A hemispherical body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enter plate 114 and a hemispherical body is inserted into the lower center plate 114, And the upper center plate 115 having a hole into which the step formed in the lower center plate 114 can be inserted is mounted. The upper center plate 115 includes a flange portion at a hemispherical body edge, .

이러한 플랜지부 둘레에는 상부 센터플레이트(115)를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coupling the upper center plate 115 to the vehicle body may be formed around the flange portion.

이때, 상기 하부 센터플레이트(114)와 상부 센터플레이트(115) 사이에는 마찰 센터플레이트(114a)가 구비된다. 이러한 마찰 센터플레이트(114a)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a friction center plate 114a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center plate 114 and the upper center plate 115.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riction center plate 114a will be omitted.

상술된 구조에 대하여, 상기 회전판(113), 접속 플레이트(112) 및 상부 센터플레이트(115)의 플랜지부까지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와 핀의 조합으로 이들을 연결시킨다.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bolts are passed through to the flange portions of the rotating plate 113, the connecting plate 112, and the upper center plate 115 to connect them with a combination of a nut and a pin.

이에 따라, 대차(100)가 상술된 플랫폼에 적용된 레일을 주행하면서 전부대차와 후부대차의 방향이 달라지게 되는 경우, 차체가 안착되어 직접 맞닿는 회전판(115)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bogie 100 travels on a rail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platform, when the directions of the front bogie and the rear bogie are changed, the vehicle body is seated and rotated by the rotating plate 115 which is in direct contact therewith.

이때 차체의 회전은 회전판(113)에 형성된 롤러(113a)에 의해 회전이 용이해 진다.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vehicle body is facilitated by the roller 113a formed on the rotation plate 113.

그리고 첨부된 도면의 도 10에서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부 센터플레이트(115)까지 관통된 센터핀의 단부에 헤드부(도면부호 미도시)가 구성되어, 상기 센터핀이 상부 센터플레이트(115)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10, a head portion (not show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enter pin penetrating to the upper center plate 115, and the center pin is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plate 115,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헤드부는 센터핀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와 헤드 일측에 연결된 보조구성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만, 상부 센터플레이트(115)와 센터핀이 같이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면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것 상부 센터플레이트(115)외 센터핀이 같이 회전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head unit includes both a head formed at an end of the center pin and auxiliary structure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However, if the upper center plate 115 and the center pin are rotatable together, the structure may be changed to another structur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in other than the upper center plate 115 is rotated toge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H1, H2, H3, H4 : 힌지
1 : 주행 레일
2 : 가이드 레일
100 : 대차
110 : 사이드 프레임
111 : 센터 프레임
111a : 삽입부재
111b : 센터피봇
112 : 접속 플레이트
112a : 접속 플레이트 지지부
113 : 회전판
113a : 롤러
114 : 하부 센터플레이트
114a : 마찰 플레이트
115 : 상부 센터플레이트
120 : 회전연결기
121 : 연결기 프레임
122 : 고정 프레임
123 : 측 방향 프레임
124 : 상/하 방향 프레임
125 : 연결 프레임
130 : 리니어 모터 행거바
130a : 행거바 단부
131 : 브라켓
132 : 고무 부시
140 : 리니어 모터
141 : 모터 연결부
141a : 결합홈
141b : 상측 연결부
141c : 상측 판부
141d : 하측 연결부
141e : 하측 판부
150 : 가이드 휠
151 : 연결판
152 : 하부판
153 : 박스판
154 : 휠부
H1, H2, H3, H4: Hinge
1: Running rail
2: Guide rail
100: Truck
110: Side frame
111: center frame
111a: insertion member
111b: Center pivot
112: connecting plate
112a: connection plate support portion
113: Spindle plate
113a: Roller
114: Lower center plate
114a: Friction plate
115: upper center plate
120: Rotary connector
121: connector frame
122: Fixed frame
123: lateral frame
124: Up / down direction frame
125: Connection frame
130: Linear motor hanger bar
130a: end of hanger bar
131: Bracket
132: Rubber Bush
140: Linear motor
141: Motor connection
141a: coupling groove
141b:
141c:
141d: Lower connection
141e:
150: Guide wheel
151: connection plate
152:
153: box plate
154:

Claims (12)

인터모달 운송시스템용 철도차량의 대차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철도차량이 플랫폼에 진입할 때 전후 대차가 각각의 레일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대차의 진행 선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 휠이 대차의 일측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대차의 단부에는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회전연결기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연결기는,
대차의 양 사이드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는 2개의 연결기 프레임(121)과, 상기 연결기 프레임(121)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In a railroad car for an intermodal transportation system,
The bogie comprises:
A guide wheel guided by a guide rail for guiding a traveling line of the bogie is provided on one side frame of the bogie so that the front and rear bogies can rotate along the respective rails when the railway car enters the platform,
And a rotary connecto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bogie to connect the railway cars to each other,
The rotation connector includes:
And a connection frame (125) connected to the connector frame (12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connector frames (121) connected to and extending from the ends of both side frames of the truck, Balance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은,
상기 철도차량의 전부 및 후부 대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부 대차에 구비된 가이드 휠과 후부 대차에 구비된 가이드 휠은 서로 반대되는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wheel
The front and rear trucks of the railway car, respectively,
Wherein a guide wheel provided on the front bogie and a guide wheel provided on the rear bogie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de frames opposite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기(120)는,
2개의 사이드 프레임(110)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연장되다가, 어느 한 지점에서 인접해지도록 절곡되되 서로 맞닿지 않도록 인접하게 2개로 구성된 연결기 프레임(121)과,
상기 2개의 연결기 프레임(121)이 인접한 단부의 상측과 하측에 구성되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122)과,
상기 상측과 하측에 구성된 2개의 고정 프레임(122)에 관통된 힌지(H1)와,
상기 힌지(H1)에 관통되어 힌지(H1)가 관통된 단부가 2개의 고정 프레임(122) 사이에 위치된 측 방향 프레임(123)과,
상기 측 방향 프레임(123)의 반대 단부에 다른 힌지(H2)를 통해 연결된 상/하 방향 프레임(124)과,
상기 상/하 방향 프레임(124)의 반대 단부에는 연결 프레임(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ry connector 120 includes:
A connector frame 121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each of the two side frames 110 and is bent so as to be adjacent at a certain point bu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fixing frame 122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wo connector frames 121 adjacent to each other and having spaced spaces therebetween,
A hinge H1 passing through the two fixed frames 122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 lateral frame 123 passing through the hinge H1 and having an end through which the hinge H1 passes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fixed frames 122,
An upper / lower frame 124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lateral frame 123 via another hinge H2,
And a connecting frame (125) at an opposite end of the up / down direction frame (1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는,
그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리니어 모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ogie,
And a linear motor is further provided in a lower portion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100)는,
대차의 양 측부를 구성하고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된 사이드 프레임(110);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센터 프레임(111);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휠은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측면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gie (100)
A side frame (110) constituting both sides of the carriage and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center frame 111 connecting the side frames 110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guide wheel is coupled so as to protrude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side frame (1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대차(100)에는,
리니어 모터(140)가 결합되는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전부 및 후부에 구비된 액슬박스의 일측에 브라켓(131)에 의해 결합되되, 대차의 전부 및 후부에 각각 1개씩 한쌍 구비되고,
상기 리니어 모터는 모터 연결부(141)를 통해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truck 100,
Further comprising a linear motor hanger bar (130) to which the linear motor (140) is coupled,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is coupled to one side of an axle box provided at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ide frame 110 by brackets 131,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motor is coupled to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via a motor connection (14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 단부(130a)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고무 부시(132)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무 부시(132)는 상기 행거바 단부(130a)의 관통구를 통과한 상태에서 이의 양단이 브라켓(131)에 체결됨으로써,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가 브라켓(131)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rubber bushing (132)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end (130a) of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The rubber bushing 132 is connected to the bracket 131 by fastening both ends of the rubber bushing 132 to the bracket 131 in a state where the rubber bushing 13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hanger bar end 130a Wherein the railway car is provided with a railway car arrangement structur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 연결부(141)는,
상기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결함홉(141a)이 형성된 상측 연결부(141b)와,
상기 상측 연결부(141b)의 상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하면 일부가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에 안착되어 모터 연결부(141)가 리니어 모터 행거바(13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돕는 상측 판부(141c)와,
상기 상측 연결부(141b)와 힌지(H4)를 통해 연결되는 하측 연결부(141d)와,
상기 하측 연결부(141d)의 하측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체결수단을 통해 리니어 모터(140)와 직접 체결되는 하측 판부(141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of claim 7,
The motor connection part (141)
An upper connecting portion 141b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and formed with a defective hop 141a into which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can be inserted,
And an upper plate 141c which is vertic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141b and partially mounted on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to help the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to be more firmly fixed to the linear motor hanger bar 130. [ )Wow,
A lower connection portion 141d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141b through a hinge H4,
And a lower side plate portion 141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141d and directly coupled to the linear motor 140 through fastening means.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15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 및 회전연결기(120) 중 어느 하나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2개의 연결판(151)과,
상기 2개의 연결판(151)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부판(152)과,
상기 하부판(152)의 저면에 '└┘' 형태로 구성되어 하부판(152)과 함께 박스 형태를 이루는 박스판(153)과, 상기 하부판(152)에서부터 박스판(153)의 저면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힌지(H3)와,
상기 힌지(H3)에 관통되어 힌지(H3)를 축으로 회전하는 휠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wheel (150)
Two connection plates 151 vertical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ide frames 110 and the rotary connector 120,
A lower plate 152 connecting the lower sides of the two connection plates 151,
A box plate 153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52 and having a box shape together with the bottom plate 152 and a box plate 153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152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plate 153 A hinge H3,
And a wheel part (154) passing through the hinge (H3) and rotating around a hinge (H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100)에는,
회전판(113)이 더 구비되되, 상기 회전판(113)은 센터 프레임(111)에 구비되고, 상면에 롤러(113a)가 회전판(113)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 설치되어 대차와 차체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truck 100,
The rotating plate 113 is further provided on the center frame 111 and a plurality of rollers 113a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113, And the rotation of the railway car is made to rotate.
사이드 프레임 및 센터 프레임으로 구성된 대차 프레임과 대차프레임에 구비된 한쌍의 차축, 각각의 차축에 구비된 한쌍의 차륜으로 구성된 인터모달 운송시스템용 철도차량의 대차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사이드 프레임 일측면에 가이드 휠이 구비되고,
상기 철도차량이 플렛폼에 진입하거나 진출할 경우, 상기 가이드 휠이 선로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되어 전후 대차가 각각의 레일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대차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차하거나, 대차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주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차의 단부에는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회전연결기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연결기는,
대차의 양 사이드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는 2개의 연결기 프레임과, 상기 연결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A bogie of a railway vehicle for an intermodal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a bogie frame composed of a side frame and a center frame, a pair of axles provided on the bogie frame, and a pair of wheels provided on each axle,
A guide wheel is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ide frame of the truck,
When the railway vehicle enters or exits the platform, the guide wheels are guided by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ailway, so that the trucks rotate horizontally to stop the front and rear trucks along the respective rails, And is configured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ravel,
And a rotary connecto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bogie to connect the railway cars to each other,
The rotation connector includes: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connector frame, wherein the connection frame includes two connector frames extending and connected to ends of both side frames of the truck,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connector fram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리니어 모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센터 프레임에는 회전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The method of claim 11,
A linear motor is further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uck,
Wherein the center frame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plate.
KR1020170152658A 2017-11-15 2017-11-15 Truck apparatus for rotational alignment of railway vehicles KR101975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58A KR101975676B1 (en) 2017-11-15 2017-11-15 Truck apparatus for rotational alignment of railway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58A KR101975676B1 (en) 2017-11-15 2017-11-15 Truck apparatus for rotational alignment of railway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676B1 true KR101975676B1 (en) 2019-05-09

Family

ID=6654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658A KR101975676B1 (en) 2017-11-15 2017-11-15 Truck apparatus for rotational alignment of railway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6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857B1 (en) * 2019-03-14 2020-03-03 (주)성신알에스티 Rotary Aligned Bogies of Railway Vehicles
KR20210109344A (en)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천경기업 Apparatus for guiding arrangement of freight cars for inter-modal transport railroa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5001A1 (en) * 1997-09-24 1999-03-31 De Dietrich Ferroviaire System for the transport, loading and unloading on/off wagons of road vehicles, containers or other goods, and wagons adapted therefor
JP2001057712A (en) * 1999-08-18 2001-02-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Linear motor driven carrying vehicle
US20020108528A1 (en) * 2001-02-13 2002-08-15 Reinhard Albrich Installation for the downhill transportation of passengers from a higher station to a lower station
KR20030069208A (en) 2001-01-10 2003-08-25 게르트 안데르손 Vehicles transit apparatus
KR100424323B1 (en) 1998-05-13 2004-03-24 주식회사 노웨이트 mass transit system
KR101530010B1 (en) * 2013-12-12 2015-06-18 한국교통연구원 Rotatable align railway system and rotatalble align method for train
KR20170002934A (en) * 2015-06-30 2017-01-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Goods wag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5001A1 (en) * 1997-09-24 1999-03-31 De Dietrich Ferroviaire System for the transport, loading and unloading on/off wagons of road vehicles, containers or other goods, and wagons adapted therefor
KR100424323B1 (en) 1998-05-13 2004-03-24 주식회사 노웨이트 mass transit system
JP2001057712A (en) * 1999-08-18 2001-02-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Linear motor driven carrying vehicle
KR20030069208A (en) 2001-01-10 2003-08-25 게르트 안데르손 Vehicles transit apparatus
US20020108528A1 (en) * 2001-02-13 2002-08-15 Reinhard Albrich Installation for the downhill transportation of passengers from a higher station to a lower station
KR101530010B1 (en) * 2013-12-12 2015-06-18 한국교통연구원 Rotatable align railway system and rotatalble align method for train
KR20170002934A (en) * 2015-06-30 2017-01-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Goods wag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857B1 (en) * 2019-03-14 2020-03-03 (주)성신알에스티 Rotary Aligned Bogies of Railway Vehicles
KR20210109344A (en)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천경기업 Apparatus for guiding arrangement of freight cars for inter-modal transport railroad
KR102354475B1 (en) * 2020-02-27 2022-01-24 주식회사 천경기업 Apparatus for guiding arrangement of freight cars for inter-modal transport railr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6545B (en) A monorail bogie assembly comprising a linking member
CA1293960C (en) Railway system and elements thereof
KR100403717B1 (en) Trolley for rail tracks that are branched by means of switch points
HU193058B (en) System respectively mechanism making possible delivery in various ways
CZ280288B6 (en) Wagon for transportation as well as loading and unloading of long rails
KR101975676B1 (en) Truck apparatus for rotational alignment of railway vehicles
US20210340712A1 (en) Rail-switching unit
KR101654896B1 (en) Space saving bogie for railway car
KR101708816B1 (en) Goods wagon
WO2015088193A1 (en) Rotational alignment railway system and rotational alignment method for train
US9915035B1 (en) Bidirectional railroad track to maglev guideway transition system
KR102075857B1 (en) Rotary Aligned Bogies of Railway Vehicles
CN212221740U (en) Conveying device for container goods yard
KR101383222B1 (en) Railcar system for improvement driving performance
KR102013753B1 (en) Intermodal Track Automatic Freight Transport System
HU218996B (en) A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a goods train
KR102067794B1 (en) Intermodal freight transport system and intermodal freight transporting method
KR20220054671A (en) Improved intermodal transport system
JP2000085574A (en) Freight car for vehicle conveying
KR100660151B1 (en) Vehicles transit apparatus
US11845481B2 (en) Rail and train system
RU2423261C2 (en) Railway rolling stock unit and method of its operation
JPH10129479A (en) Transporting vehicle for rail and the like with derailment preventing function
KR102595933B1 (en)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transshipment using a swing locking frame
KR102595936B1 (en) Unmanned guided vehicle equipped with a foldable loc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unmanned guid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