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770B1 - Combine - Google Patents

Com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770B1
KR102590770B1 KR1020180070614A KR20180070614A KR102590770B1 KR 102590770 B1 KR102590770 B1 KR 102590770B1 KR 1020180070614 A KR1020180070614 A KR 1020180070614A KR 20180070614 A KR20180070614 A KR 20180070614A KR 102590770 B1 KR102590770 B1 KR 10259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time
point
combin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1526A (en
Inventor
마오 기타하라
가즈히로 다카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0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7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1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 A01D41/1272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0Arrangements of straw crush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8Control devices; Brakes; Bea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가 변화된 경우라도,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콤바인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예취 곡간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예취 곡간의 반송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반송 장치와, 반송 속도를 검출하는 반송 속도 검출부 H와, 곡립의 수량을 단위 시간마다 계측하는 계측부 M과, 예취 곡간이 제1점을 통과했을 때의 기체의 위치인 제1 기체 위치와, 예취 곡간이 제2점을 통과했을 때의 기체의 위치인 제2 기체 위치를 검출 가능한 위치 검출부(20)와, 단위 시간마다의 예취 곡간의 반송 거리를 산출하는 반송 거리 산출부(71)와, 반송 거리와, 제1점 및 제2점의 이격 거리와,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에 기초하여,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를 산출하는 계측 위치 산출부(72)를 구비한다.
[Problem] To provide a combine in which deviation between the harves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is actually harvested is unlikely to occur even when the conveyance speed in the conveyance device changes.
[Solution means] A conveyance device configured to convey the harvested grain stem along a conveyance path and to be able to change the conveyance speed of the harvested grain stem, a conveyance speed detection unit H that detects the conveyance speed, and a device that measures the quantity of grains per unit time. A measurement unit M, a position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the first gas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gas when the harvested grain stem passes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gas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gas when the harvested grain stem passed the second point ( 20), a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that calculates the conveyance distance of the harvested grain stalk for each unit time, a conveyance distance,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 first body position, and a second body It is provided with a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that calculate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based on the position.

Description

콤바인{COMBINE}Combine {COMBINE}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provided with a conveyance device for conveying harvested grain stems.

곡립의 수량을 경시적으로 계측함과 함께, 곡립의 수량과 포장에 있어서의 수확 위치를 대응지음으로써, 수량 맵을 생성 가능한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As a combine that measures the quantity of grains over time and can generate a quantity map by correlating the quantity of grains with the harvesting position in packaging, the o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is already known.

이 콤바인에 의하면, 수량 맵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생성된 수량 맵을 봄으로써, 포장에 있어서의 수량의 분포를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mbine, a quantity map can be created. And, the operator can know the distribution of quantity in packaging by looking at the generated quantity map.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12102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8-212102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곡립의 수량과 수확 위치를 대응짓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곡립의 수량과, 그 수량이 계측된 타이밍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위치를 대응짓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In the combi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s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harvesting position, it is conceivable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corresponds the quantity of grains with the position of the combine at the timing at which the quantity was measured. .

그러나, 일반적으로, 콤바인의 수확 작업 주행에 있어서는, 예취된 곡간은,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다. 그리고, 이 곡간은,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 또는 반송 후에 탈곡 처리된다. 이 탈곡 처리 후에, 이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계측된다.However, generally, in the harvesting operation of the combine, the harvested grain stem is conveyed by a conveyance device. And this grain culm is threshed during or after conveyance by a conveyance apparatus. After this threshing process,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is grain stem is measured.

즉, 포장에 있어서의 식립 곡간이 예취되는 타이밍과,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계측되는 타이밍 사이에는, 시간차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 시간차 사이에, 콤바인의 위치는 변화한다.That is,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ing at which the planted grain stem in packaging is harvested and the timing at which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s measured. And, between these time differences, the position of the combine changes.

그로 인해, 식립 곡간이 예취된 위치와,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계측된 타이밍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위치는 상이하다. 즉, 곡립의 수량과, 그 수량이 계측된 타이밍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위치를 대응짓는 구성에서는,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가 어긋나 버린다.Therefore, the position where the planted grain stem was harvested and the position of the combine at the timing when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were measured are different. That is, in a configuration that matches the quantity of grains with the position of the combine at the timing at which the quantity was measured, the harvesting position associated with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was actually harvested deviate.

여기서, 포장에 있어서의 식립 곡간이 예취되는 타이밍과,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계측되는 타이밍 사이의 시간차가 일정한 경우는, 콤바인의 위치를 항상 검출하는 구성이면, 곡립의 수량이 계측된 타이밍으로부터 그 시간차만큼 앞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Here, whe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ing at which the planted grain stem in packaging is harvested and the timing at which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s measured is constant, and the configuration is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combine is always detected, the quantity of grains is measured. From the timing, the position of the combine in the previous timing can be calculated by the time difference.

그리고, 이렇게 산출한 위치를 곡립의 수량에 대응짓는 구성이면,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And, if the position calculated in this way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quantity of grains, it can be avoided that the harve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is actually harvested deviate.

그러나, 이 구성이라도,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가 변경 가능한 경우에는,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가 어긋나 버린다. 이것은,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가 변화하는 것에 수반하여, 포장에 있어서의 식립 곡간이 예취되는 타이밍과,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계측되는 타이밍 사이의 시간차가 변화하기 때문이다.However, even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nveyance speed in the conveyance device can be changed, the harve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was actually harvested deviate. This is because, as the conveyance speed in the conveyance device change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ing at which the planted grain stem in packaging is harvested and the timing at which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s measured changes.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가 변화된 경우라도,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bine in which deviation between the harves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is actually harvested is unlikely to occur even when the conveyance speed in the conveyance device changes.

본 발명의 특징은,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예취 곡간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예취 곡간의 반송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반송 장치와,A conveyance device configured to convey the harvested grain stems along a conveyance path and to change the conveyance speed of the harvested grain stems,

상기 반송 속도를 검출하는 반송 속도 검출부와,A conveyance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conveyance speed,

상기 반송 장치보다도 반송 방향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곡립의 수량을 단위 시간마다 계측하는 계측부와,A measuring unit installed below the conveying devic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measuring the quantity of grains per unit time,

예취 곡간이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제1점을 통과했을 때의 기체의 위치인 제1 기체 위치와, 예취 곡간이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점보다도 반송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점을 통과했을 때의 기체의 위치인 제2 기체 위치를 검출 가능한 위치 검출부와,A first base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base when the harvested grain stem passes the first point in the conveyance path, and a second point where the harvested grain stem is located below the conveyance direction than the first point in the conveyance path. a position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aircraft,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aircraft when it passed through;

상기 반송 속도와 상기 단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시간마다의 예취 곡간의 반송 거리를 산출하는 반송 거리 산출부와,A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conveyance distance between harvested grains for each unit time based on the conveyance speed and the unit time;

상기 반송 거리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반송 거리와, 상기 제1점 및 상기 제2점의 이격 거리와, 상기 제1 기체 위치와, 상기 제2 기체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를 산출하는 계측 위치 산출부를 구비하는 데 있다.Based on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ed by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he first aircraft position, and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quantity It is provided with a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measurement position.

본 발명이면,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반송 거리가 산출된다. 그리고, 제1점 및 제2점의 이격 거리에 대한 반송 거리의 비율과, 제1 기체 위치부터 제2 기체 위치까지의 거리에 대한 제1 기체 위치부터 실제의 계측 위치까지의 거리의 비율은 상관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반송 거리와, 제1점 및 제2점의 이격 거리와,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에 기초하여 계측 위치를 산출함으로써, 계측 위치를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ance distan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conveyance speed in the conveyance device. And,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ircraft position to the actual measurement posi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ircraft position to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are correlated. It is done. Therefore, the measurement position can be calculated with high precision by calculating the measurement position based on the conveyance dista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he first body position, and the second body position.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계측 위치를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으면,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가 변화된 경우라도,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And, if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ed in this way is matched to the quantity of grains, even when the transport speed in the transport device changes, a deviation between the harve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is actually harvested is unlikely to occur.

즉, 본 발명이면,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가 변화된 경우라도,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onveyance speed in the conveyance device changes, a deviation between the harve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is actually harvested is unlikely to occu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계측 위치 산출부는, 상기 이격 거리에 대한 상기 반송 거리의 비율에 의해, 상기 제1 기체 위치와 상기 제2 기체 위치 사이의 위치 좌표를 비례 안분함으로써, 상기 계측 위치를 산출하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for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to calculate the measurement position by proportionally dividing the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first body position and the second body position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점 및 제2점의 이격 거리에 대한 반송 거리의 비율과, 제1 기체 위치부터 제2 기체 위치까지의 거리에 대한 제1 기체 위치부터 실제의 계측 위치까지의 거리의 비율은 상관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ircraft position to the actual measurement posi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ircraft position to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The ratios are correlated.

그로 인해, 상기한 구성과 같이, 이격 거리에 대한 반송 거리의 비율에 의해,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 사이의 위치 좌표를 비례 안분함으로써, 계측 위치를 산출하면, 계측 위치를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Therefore, as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f the measurement position is calculated by proportionally dividing the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first body position and the second body position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the measurement position is calculated with high accuracy. can do.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difficult for a discrepancy between the harves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is actually harvested to occu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반송 장치는, 예취부가 갖는 예취 반송 장치이며,The said conveyance device is a harvesting conveyance device which a harvesting part has,

상기 예취 반송 장치는, 상기 반송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The said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is suitable if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aid conveyance speed can be changed.

콤바인의 수확 작업 주행에 있어서, 예취 반송 장치가 단위 시간당 반송할 필요가 있는 예취 곡간의 양은, 콤바인의 상태에 따라 변화된다.In the harvesting operation of the combine, the amount of harvested grain stalks that the harvesting and conveying device needs to convey per unit time change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combine.

예를 들어, 콤바인의 주행 속도가 높을수록, 단위 시간당 예취되는 곡간의 양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단위 시간당 예취되는 곡간의 양이 많을수록, 예취 반송 장치가 단위 시간당 반송할 필요가 있는 예취 곡간의 양이 많아진다.For example, the higher the traveling speed of the combine, the greater the amount of grain harvested per unit time tends to increase. And the larger the amount of grain stalks harvested per unit time, the greater the amount of harvested grain stalks that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needs to convey per unit time.

즉, 콤바인의 주행 속도가 높을수록, 예취 반송 장치가 단위 시간당 반송할 필요가 있는 예취 곡간의 양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That is, the higher the traveling speed of the combine, the tendency is for the amount of harvested grain stalks that the harvesting and conveying device needs to convey per unit time to increase.

여기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콤바인의 상태에 따라, 예취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가 변화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콤바인의 상태에 적합한 반송 속도로 예취 곡간을 반송 가능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veyance speed in a harvesting conveyance apparatus changes according to the state of a combine can be implement|achieved. Therefore, a configuration capable of transporting harvested grain stems at a transport speed suitable for the state of the combine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예취부는, 식립 곡간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를 갖고 있으며,The reaping unit has a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planted grain stem,

상기 제1점은, 상기 절단 장치의 근방에 설정되어 있고,The first point is set near the cutting device,

예취 곡간이 상기 제1점을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제1점 통과 센서를 구비하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a first point passing sensor is provided to detect that the harvested grain stem has passed the first point.

제1점이 절단 장치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식립 곡간이 예취되는 타이밍과, 그 곡간이 제1점을 통과하는 타이밍 사이의 시간차가 비교적 커진다. 이에 의해, 식립 곡간이 예취된 타이밍에 있어서의 기체의 위치와, 제1 기체 위치의 어긋남이 비교적 커진다.When the first point is set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cutting devic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ing at which the planted grain stem is harvested and the timing at which the grain stem passes the first point becomes relatively large. As a resul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osition of the base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base at the timing when the planted grain stem was harvested becomes relatively larg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곡립의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는, 제1 기체 위치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그로 인해, 제1점이 절단 장치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곡립의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정밀도가 비교적 낮아져 버린다.And as mentioned above,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of grains is calculated based on the 1st body position. Therefore, when the first point is set in a position relatively far away from the cutting device, the precision of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of grains becomes relatively low.

여기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식립 곡간이 예취되는 타이밍과, 그 곡간이 제1점을 통과하는 타이밍 사이의 시간차가 비교적 작아진다. 이에 의해, 식립 곡간이 예취된 타이밍에 있어서의 기체의 위치와, 제1 기체 위치의 어긋남은 비교적 작아진다.He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ing at which the planted grain stem is harvested and the timing at which the grain stem passes the first point becomes relatively small. There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base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base at the timing when the planted grain stem is harvested becomes relatively small.

즉,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곡립의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정밀도가 양호해진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the precision of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of grains becomes goo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예취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곡간의 존부를 검출하는 곡간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A grain stem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grain stems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상기 제1점 통과 센서는, 상기 곡간 센서이면 적합하다.The said first point passing sensor is suitable if it is the said grain stem sensor.

이 구성에 의하면, 곡간 센서와는 별도로 제1점 통과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manufacturing costs can be suppress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irst point passing sensor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grain stem senso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점은, 탈곡 장치의 입구에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The second point is suitable if it is set at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제1점과 제2점이 서로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가 서로 가까운 위치가 된다. 그리고,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가 서로 가까울수록, 제1 기체 위치부터 제2 기체 위치까지의 거리의 상대적인 오차가 커진다.Wh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re set at positions close to each other, the first aircraft position and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become positions close to each other. And, the closer the first gas position and the second gas position are to each other, the larger the relative error i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gas position to the second gas position becomes.

여기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2점이 탈곡 장치의 입구보다도 반송 방향 상측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제1점과 제2점이 서로 멀리 떨어진다. 따라서, 제1 기체 위치부터 제2 기체 위치까지의 거리의 상대적인 오차가 작아진다.Her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2nd point is set above the conveyance direction rather than the entrance of a threshing apparatus, the 1st point and the 2nd point separate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relative error i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ircraft position to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becomes small.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예취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이,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상기 계측부의 계측 대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grain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that passed through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come a measurement object of the measurement uni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from the point of time that it has passed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device.

이 구성에 의하면, 베기 시작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은, 그 곡간이 제2점에 도달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 후에 계측부의 계측 대상이 된다. 그로 인해, 그 곡간이 제2점에 도달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 후에 계측부에 있어서의 계측을 개시하고, 단위 시간마다 수량을 계측함과 함께, 산출된 각 계측 위치에, 계측된 수량을 순차 대응지음으로써, 수량을 각 계측 위치에 적절하게 대응짓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grain obtained from the grain stem which started cutting becomes the measurement object of the measurement uni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grain stem reaches the second point. Therefore, measurement in the measuring unit start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grain stem reaches the second point, and the water quantity is measured for each unit time, and the measured quantity is sequentially mapped to each calculated measurement position.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rrespond the quantity to each measurement position.

도 1은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어부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포장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수확 작업 주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포장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주행 경로 중 직선적인 부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반송 거리의 추이 및 단위 시간마다의 수량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side view of the combine.
Figure 2 is a top view of the combine.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harvesting operation of the combine in packaging.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inear portion of the travel path of a combine in paving.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transition of the conveyance distance and the quantity per unit time.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 F의 방향을 「전」, 화살표 B의 방향을 「후」라 하고, 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 L의 방향을 「좌」, 화살표 R의 방향을 「우」라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 U의 방향을 「상」, 화살표 D의 방향을 「하」라 한다.The for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of arrow F shown in Figs. 1 and 2 is referred to as “front”, the direction of arrow B shown in Fig. 2 is referred to as “rear”, and the direction of arrow L shown in Fig. 2 is referred to as “left”. The direction of arrow R is called “right”. Additionally, the direction of arrow U shown in FIG. 1 is referred to as “up” and the direction of arrow D is referred to as “down.”

〔콤바인의 전체 구성〕〔Overall composition of the combine〕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탈형의 콤바인 A의 기체 전방부에는, 예취부(1)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1)는, 포장의 식립 곡간을 예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a harvesting unit 1 is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of the self-removing type combine A. The reaping unit 1 reaps the planted grain stems of the field.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취부(1)는, 예취 반송 장치(10)(본 발명에 관한 「반송 장치」에 상당)를 갖고 있다. 그리고, 예취 반송 장치(10)는, 절단 장치(10a)를 갖고 있다. 절단 장치(10a)는, 식립 곡간을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arvesting unit 1 has a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equivalent to the "convey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has a cutting device 10a. The cutting device 10a is configured to cut the planted grain stem.

이와 같이, 콤바인 A에 있어서의 예취부(1)는, 식립 곡간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10a)를 갖고 있다.In this way, the harvesting unit 1 in the combine A has a cutting device 10a that cuts the planted grain stem.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반송 장치(10)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곡간의 존부를 검출하는 곡간 센서 S(본 발명에 관한 「제1점 통과 센서」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grain stem sensor 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int pass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grain stem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there is.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1)의 상측에는, 운전부(2)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2)에는,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2)의 후방에는, 곡립 탱크(3)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3)의 좌측에는, 탈곡 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3) 및 탈곡 장치(4)의 상방에는, 언로더(5)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operation unit 2 is installed above the harvesting unit 1. An operator can board the operating unit 2. Moreover, as shown in FIG. 2, the grain tank 3 is installed behind the operation part 2. A threshing device 4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grain tank 3.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unloader 5 is installed above the grain tank 3 and the threshing apparatus 4.

또한, 콤바인 A의 기체 하부에는,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콤바인 A는, 주행 장치(6)에 의해 자주 가능하다.Additionally, a crawler-type traveling device 6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combine A. Combine A is often enabled by the traveling device 6.

예취부(1)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예취 반송 장치(10)에 의해, 반송 경로 T를 따라 탈곡 장치(4)로 반송된다.The grain stalk harvested by the reaping unit 1 is conveyed to the threshing device 4 along the conveyance path T by the harvesting conveyance device 10.

여기서, 콤바인 A에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엔진의 동력은, 트랜스미션(도시하지 않음)과, 예취 HST(도시하지 않음), 각각에 전달된다. 그리고,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주행 장치(6)로 동력이 전달되고, 예취 HST로부터 예취 반송 장치(10)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에 의해, 예취 반송 장치(10)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의 반송 속도가 콤바인 A의 주행 속도에 대략 연동하여 변화하게 된다. 즉, 예취 반송 장치(10)는, 반송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Here, combine A is equipped with an engine (not shown). The power of the engine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not shown) and the harvesting HST (not shown), respectively. And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to the traveling device 6, and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harvesting HST to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Thereby, the conveyance speed of the reaping grain stem in the harvesting conveyance apparatus 10 changes substantially in conjunction with the traveling speed of combine A. That is,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is configured so that the conveyance speed can be changed.

이와 같이, 콤바인 A는, 예취 곡간을 반송 경로 T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예취 곡간의 반송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송 장치는, 예취부(1)가 갖는 예취 반송 장치(10)이다.In this way, the combine A is equipped with a conveyance device configured to enable the conveyance speed of the harvested grain stalks to be changed while conveying the harvested grain stalks along the conveyance path T. And in this embodiment, the conveyance device is the harvesting conveyance device 10 which the harvesting part 1 has.

탈곡 장치(4)에 있어서, 예취 곡간은 탈곡 처리된다.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은, 곡립 탱크(3)에 저류된다. 곡립 탱크(3)에 저류된 곡립은, 필요에 따라, 언로더(5)에 의해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In the threshing device 4, the harvested grain stem is subjected to threshing treatment. The grains obtained by the threshing process are stored in the grain tank 3. The grain stored in the grain tank 3 is discharged out of the machine by the unloader 5 as needed.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2)의 상부에는, 위치 검출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20)는, 콤바인 A의 기체의 위치를 경시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a position detection unit 20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on unit 2.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ody of combine A over time.

〔제1점 및 제2점에 관한 구성〕[Configuration regarding the first and second points]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 T에 있어서는, 제1점 PA1 및 제2점 PA2가 설정되어 있다. 제2점 PA2는, 제1점 PA1보다도 반송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yance path T, the first point PA1 and the second point PA2 are set. The second point PA2 is located below the first point PA1 in the conveyance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점 PA1은, 절단 장치(10a)의 근방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점 PA2는 탈곡 장치(4)의 입구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곡간 센서 S는, 예취 곡간이 제1점 PA1을 통과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point PA1 is set near the cutting device 10a. Moreover, 2nd point PA2 is set at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apparatus 4. And the grain stem sensor S can detect that the harvested grain stem passed the 1st point PA1.

이와 같이, 콤바인 A는, 예취 곡간이 제1점 PA1을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제1점 통과 센서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점 통과 센서는, 곡간 센서 S이다.In this way, combine A is provided with the 1st point passage sensor which detects that the reaping grain stem passed 1st point PA1. And in this embodiment, the 1st point passing sensor is the grain stem sensor S.

〔계측부에 관한 구성〕[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unit]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4)에는, 가로 스크루(41)가 설치되어 있다. 가로 스크루(41)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스크루(41)는, 탈곡 장치(4)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곡립 탱크(3)를 향하여 반송한다.As shown in FIG. 2, the horizontal screw 41 is installed in the threshing apparatus 4. The horizontal screw 41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nd the horizontal screw 41 conveys the grain obtained by the threshing process in the threshing apparatus 4 toward the grain tank 3.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3)와 탈곡 장치(4) 사이에는, 양곡 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양곡 장치(9)는 세로 스크루(91)를 갖고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grain grain harvesting apparatus 9 is installed between the grain tank 3 and the threshing apparatus 4. The grain grain equipment 9 has a vertical screw 91.

가로 스크루(41)에 의해 반송된 곡립은, 세로 스크루(91)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세로 스크루(91)의 상단부까지 반송된 곡립은, 곡립 탱크(3) 내로 방출된다.The grain conveyed by the horizontal screw 41 is conveyed upward by the vertical screw 91. And the grain convey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crew 91 is discharged into the grain tank 3.

세로 스크루(91)의 상단부의 근방에는, 계측부 M이 설치되어 있다. 계측부 M은, 곡립 탱크(3) 내로 방출되는 곡립의 양을 단위 시간 tu마다 계측한다. 즉, 계측부 M은, 곡립의 수량을 단위 시간 tu마다 계측한다.A measurement unit M is installed near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crew 91. The measurement part M measures the quantity of the grain discharged into the grain tank 3 for every unit time tu. That is, the measurement part M measures the quantity of grains every unit time tu.

상세하게 설명하면, 계측부 M은, 세로 스크루(91)의 상단부로부터 방출되는 곡립에 의한 압박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계측부 M은, 이 압박력을 검출한다. 계측부 M은, 검출된 압박력에 기초하여, 곡립의 수량을 산출한다. 이에 의해, 계측부 M은, 곡립의 수량을 계측한다.To explain in detail, the measurement part M is configured to receive a pressing force due to grains emit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crew 91. And the measurement unit M detects this pressing force. The measurement unit M calculates the quantity of grains based on the detected compression force. Thereby, measurement part M measures the quantity of grains.

또한, 계측부 M은, 예취 반송 장치(10)보다도 반송 방향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measurement part M is installed below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in the conveyance direction.

이와 같이, 콤바인 A는, 예취 반송 장치(10)보다도 반송 방향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곡립의 수량을 단위 시간 tu마다 계측하는 계측부 M을 구비하고 있다.Thus, the combine A is installed below the conveyance direction rather than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apparatus 10, and is equipped with the measurement part M which measures the quantity of grain every unit time tu.

〔제어부에 관한 구성〕[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 A는, 반송 속도 검출부 H와, 제어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7)는, 반송 거리 산출부(71), 계측 위치 산출부(72), 수량 할당부(73), 수량 분포 데이터 저장부(74)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3, combine A is equipped with a conveyance speed detection part H and the control part 7.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 has a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a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a quantity allocation unit 73, and a quantity distribution data storage unit 74.

반송 속도 검출부 H는, 예취 반송 장치(10)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의 반송 속도를 경시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 속도 검출부 H에 의해 검출된 반송 속도는, 반송 거리 산출부(71)로 이송된다.The conveyance speed detection unit H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onveyance speed of the harvested grain stalk in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over time. The conveyance speed detected by the conveyance speed detection unit H is transferred to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이와 같이, 콤바인 A는, 반송 속도를 검출하는 반송 속도 검출부 H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combine A is equipped with a conveyance speed detection unit H that detects the conveyance speed.

반송 거리 산출부(71)는, 반송 속도 검출부 H로부터 수취한 반송 속도와, 단위 시간 tu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 tu마다의 예취 곡간 반송 거리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harvested grain conveyance distance for each unit time tu based on the conveyance speed received from the conveyance speed detection unit H and the unit time tu.

상세하게 설명하면, 반송 거리 산출부(71)는, 반송 속도 검출부 H로부터 수취한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반송 거리를 산출한다. 반송 거리는, 예취 곡간이 반송 경로 T에 있어서의 제1점 PA1로부터 반송된 거리이다.To explain in detail,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calculates the conveyance distance based on the conveyance speed received from the conveyance speed detection section H. The conveyance distance is the distance at which the harvested grain stem was conveyed from the first point PA1 in the conveyance path 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송 거리의 최댓값은, 제1점 PA1 및 제2점 PA2의 이격 거리 LM이다. 또한, 반송 거리 및 이격 거리 LM은, 모두 반송 경로 T를 따른 거리이다.In this embodiment, the maximum value of the conveyance distance is the separation distance LM between the first point PA1 and the second point PA2. In addition, the conveyance distanc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LM are both distances along the conveyance path T.

반송 거리 산출부(71)는, 베기 시작된 예취 곡간이 제1점 PA1을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반송 거리의 산출을 개시한다. 그리고, 반송 거리가 이격 거리 LM에 도달하면, 반송 거리는 리셋되어, 다시 제로부터 증가되어 간다. 그 후, 반송 거리가 이격 거리 LM에 도달할 때마다, 반송 거리는 리셋된다.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part 71 starts calculation of the conveyance distance from the time when the reaping grain stem which started to be cut passed the 1st point PA1. Then, when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the conveyance distance is reset and increases again from zero. After that, whenever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the conveyance distance is reset.

도 6에서는, 반송 거리의 추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반송 거리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이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In Fig. 6, an example of the transition of the conveyance distance is shown.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conveyance distance changes as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먼저, 시각 t00에, 반송 거리의 산출이 개시된다. 반송 거리의 산출이 개시되면, 산출되는 반송 거리는 시간 경과와 함께 증가되어 간다. 그리고, 시각 t35에, 반송 거리는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다.First, at time t00, calculation of the conveyance distance is started. Once calculation of the conveyance distance is started, the calculated conveyance distance increases with time. Then, at time t35,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시각 t35에 반송 거리는 리셋되어, 다시 제로부터 증가되어 간다. 그 후, 시각 t50과 시각 t60 사이에서, 반송 거리는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다. 이 시점에서, 반송 거리는 리셋되어, 다시 제로부터 증가되어 간다.At time t35, the conveyance distance is reset and increases again from zero. Then, between time t50 and time t6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At this point, the conveyance distance is reset and increases again from zero.

또한, 시각 t10 내지 시각 t80의 8개의 시점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는, 각각 L1 내지 L8이다. 그리고, 이들 반송 거리는, 반송 속도 검출부 H로부터 수취한 반송 속도와 단위 시간 tu에 기초하여, 반송 거리 산출부(71)에 의해 산출됨과 함께, 계측 위치 산출부(72)로 이송된다.Additionally, the conveyance distances at eight viewpoints from time t10 to time t80 are L1 to L8, respectively. Then, these conveyance distances are calculated by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based on the conveyance speed and unit time tu received from the conveyance speed detection unit H, and are transferred to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여기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 t10 내지 시각 t80의 8개의 시점의 시간 간격은, 단위 시간 tu이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L1 내지 L8은, 단위 시간 tu마다의 예취 곡간 반송 거리이다. 또한, 시각 t80과 시각 t90 사이의 시간 간격도, 단위 시간 tu이다.Here, as shown in FIG. 6,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eight viewpoints from time t10 to time t80 is the unit time tu. That is, L1 to L8 shown in FIG. 6 are the harvested grain conveyance distance for each unit time tu. Additionally, the time interval between time t80 and time t90 is also the unit time tu.

단위 시간 tu마다의 예취 곡간 반송 거리는, 예를 들어 반송 속도와 단위 시간 tu의 곱을 누적해 감으로써 산출된다.The conveyance distance between reaping grains for each unit time tu is calculated, for example, by accumulating the product of the conveyance speed and the unit time tu.

이와 같이, 콤바인 A는, 반송 속도와 단위 시간 tu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 tu마다의 예취 곡간 반송 거리를 산출하는 반송 거리 산출부(71)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combine A is provided with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part 71 which calculates the conveyance distance of the harvested grain stem for each unit time tu based on the conveyance speed and unit time tu.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거리 산출부(71)에 의해 산출된 반송 거리는, 계측 위치 산출부(72)로 이송된다.As shown in FIG. 3 ,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ed by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is transferred to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검출부(20)는, 콤바인 A의 기체의 위치 정보를 계측 위치 산출부(72)로 이송한다.Moreover, as shown in FIG. 3, the position detection part 20 transfer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body of combine A to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검출부(20)는, 콤바인 A의 기체의 위치를 경시적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위치 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는,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가 포함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detection part 2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body of combine A over time. And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0 includes the first body position and the second body position.

제1 기체 위치는, 예취 곡간이 반송 경로 T에 있어서의 제1점 PA1을 통과했을 때의 기체 위치이다. 또한, 제2 기체 위치는, 예취 곡간이 반송 경로 T에 있어서의 제2점 PA2를 통과했을 때의 기체 위치이다.The 1st base position is the base position when the reaping grain stem passed 1st point PA1 in the conveyance path T. In addition, the 2nd body position is a body position when the reaping grain stem passed 2nd point PA2 in the conveyance path T.

그리고, 위치 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된 위치는, 위치 정보로서, 계측 위치 산출부(72)로 이송된다. 즉, 계측 위치 산출부(72)로 이송된 위치 정보에는, 제1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제2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Then,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0 is transferred to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as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the positional information transferred to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includes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first body position and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second body position.

이와 같이, 콤바인 A는, 예취 곡간이 반송 경로 T에 있어서의 제1점 PA1을 통과했을 때의 기체의 위치인 제1 기체 위치와, 예취 곡간이 반송 경로 T에 있어서의 제1점 PA1보다도 반송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점 PA2를 통과했을 때의 기체의 위치인 제2 기체 위치를 검출 가능한 위치 검출부(20)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combine A is conveyed more than the 1st body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body when the reaping grain stem passed the 1st point PA1 in the conveyance path T, and the 1st point PA1 in the conveyance path T It is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ction unit 20 that can detect the second body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body when it passes the second point PA2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곡간 센서 S는, 예취 곡간이 제1점 PA1을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간 센서 S에 있어서의 검출 결과는, 계측 위치 산출부(72)로 이송된다.Moreover, as mentioned above, the grain stem sensor S detects that the harvested grain stem passed the 1st point PA1. And as shown in FIG. 3, the detection result in grain stem sensor S is transferred to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반송 거리 산출부(71)로부터 수취한 반송 거리와, 곡간 센서 S로부터 수취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위치 검출부(20)로부터 수취한 위치 정보로부터, 제1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제2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determines the first gas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0, based on the transport distance received from the transport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and the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grain stem sensor S.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aircraft are extracted.

상세하게 설명하면,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곡간 센서 S에 의해 예취 곡간이 제1점 PA1을 통과한 것이 검출된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제1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로서 추출한다. 또한,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그 예취 곡간의 반송 거리가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제2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로서 추출한다.If explained in detail,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extra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arvested grain stem has passed the first point PA1 by the grain stem sensor S as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first body position. . Moreover,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extra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conveyance distance of the harvested grain stem reached the separation distance LM as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2nd body position.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반송 거리 산출부(71)로부터 수취한 반송 거리와, 이격 거리 LM과,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에 기초하여, 곡립의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를 산출한다.And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corresponds to the quantity of grain based on the conveyance distance received from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part 71, the separation distance LM, the 1st body position, and the 2nd body position. Calculate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이와 같이, 콤바인 A는, 반송 거리 산출부(71)에 의해 산출된 반송 거리와, 제1점 PA1 및 제2점 PA2의 이격 거리 LM과,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에 기초하여,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를 산출하는 계측 위치 산출부(72)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combine A is based on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ed by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the separation distance LM of the first point PA1 and the second point PA2, the first body position, and the second body position. , and a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that calculates a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quantity.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산출된 계측 위치는, 수량 할당부(73)로 이송된다. 또한, 계측부 M에 의해 단위 시간 tu마다 계측된 수량은, 수량 할당부(73)로 이송된다.As shown in FIG. 3,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is transferred to the quantity allocation unit 73. Additionally, the quantity measured per unit time tu by the measurement unit M is transferred to the quantity allocation unit 73.

수량 할당부(73)는, 계측부 M으로부터 수취한 단위 시간 tu마다의 수량 각각에, 계측 위치 산출부(72)로부터 수취한 계측 위치를 대응짓는다. 이에 의해, 수량 분포 데이터가 생성된다. 수량 분포 데이터는, 포장에 있어서의 곡립의 수량 분포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The quantity allocation unit 73 matches the measurement position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to each quantity per unit time tu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unit M. Thereby, quantity distribution data is generated. Quantity distribution data is data showing the quantity distribution of grains in packaging.

수량 할당부(73)에 의해 생성된 수량 분포 데이터는, 수량 분포 데이터 저장부(74)에 저장된다. 작업자는, 조작 단말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수량 분포 데이터 저장부(74)에 액세스함으로써, 수량 분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The quantity distribution data generated by the quantity allocation unit 73 is stored in the quantity distribution data storage unit 74. The operator can use the quantity distribution data by accessing the quantity distribution data storage unit 74 through an operation terminal (not shown) or the like.

〔계측 위치의 산출에 대하여〕[About calculation of measurement position]

이하,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한 계측 위치의 산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calculation of the measurement position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 A는, 포장에 있어서 직선적으로 주행하고, 선회한다. 그 후, 직선적인 주행과 선회를 반복하면서, 포장에 있어서의 식립 곡간을 예취해 간다.As shown in FIG. 4, combine A travels linearly and turns on pavement. After that, the planted grain stems in the field are harvested while repeating linear running and turning.

도 5에서는, 포장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주행 경로 중 직선적인 부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콤바인 A의 수확 작업 주행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시간 tu마다 계측부 M에 의해 곡립의 수량이 계측된다.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이러한 직선적인 주행 경로에 있어서의, 각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를 산출한다.In Figure 5, an example of a straight portion of the travel path of combine A in paving is shown. In the harvesting work run of the combine A, the quantity of grain is measured by the measuring part M every unit time tu as mentioned above. Then,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calculates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each quantity in this linear travel path.

도 6에서는, 콤바인 A가 도 5에 도시하는 주행 경로를 주행했을 때의, 반송 거리 산출부(71)에 의해 산출된 예취 곡간의 반송 거리의 추이와, 계측부 M에 의해 계측된 단위 시간 tu마다의 수량이 도시되어 있다.In FIG. 6, the transition of the conveyance distance of the harvested grain stalk calculated by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part 71 when combine A ran the travel path shown in FIG. 5, and for each unit time tu measured by the measurement part M The quantity is shown.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한 계측 위치의 산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콤바인 A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함과 함께, 예취 곡간의 반송 거리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이하여, 단위 시간 tu마다의 수량이 도 6과 같이 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calculation of the measurement position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below, when combine A travels as shown in FIG. 5 and the conveyance distance of harvested grain changes as shown in FIG. 6 and the quantity of water per unit time tu becomes as shown in FIG. 6 Explain.

먼저, 콤바인 A의 수확 작업 주행에 있어서, 베기 시작된 곡간이 제1점 PA1을 통과한다. 이때, 곡간 센서 S에 의해, 예취 곡간이 제1점 PA1을 통과한 것이 검출된다. 이것에 따라, 이 시점에서의 콤바인 A의 위치 정보가, 제1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로서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추출된다. 도 5에서는, 이때의 제1 기체 위치가 위치 G1로서 도시되어 있다.First, during the harvesting operation of combine A, the grain stem that has begun to be cut passes the first point PA1. At this time, it is detected by the grain stem sensor S that the harvested grain stem has passed the first point PA1. According to thi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combine A at this point is extrac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as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1st body position. In Figure 5, the first aircraft position at this time is shown as position G1.

그리고, 이 시점에서, 반송 거리 산출부(71)에 의한 반송 거리의 산출이 개시된다. 도 6에서는, 이 시점이 시각 t00으로서 도시되어 있다.And at this point, calculation of the conveyance distance by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1 starts. In Figure 6, this point is shown as time t00.

시각 t00에 반송 거리의 산출이 개시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되는 반송 거리는 시간 경과와 함께 증가되어 간다. 그리고, 시각 t10에, 반송 거리는 L1에 도달한다. 그 후, 시각 t20에, 반송 거리는 L2에 도달한다. 그 후, 시각 t30에, 반송 거리는 L3에 도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각 t10 내지 시각 t80의 8개의 시점의 시간 간격은, 단위 시간 tu이다.When calculation of the conveyance distance starts at time t00, the calculated conveyance distance increases with time, as described above. And at time t1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L1. Afterwards, at time t2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L2. Afterwards, at time t3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L3. Additionally, as described above,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eight viewpoints from time t10 to time t80 is the unit time tu.

그리고, 시각 t35에, 반송 거리는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다. 이때,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반송 거리가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콤바인 A의 위치 정보를, 제2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로서 추출한다. 도 5에서는, 이때의 제2 기체 위치가 위치 G2로서 도시되어 있다.Then, at time t35,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extra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combine A at the time when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d the separation distance LM as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2nd body position. In Figure 5,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at this time is shown as position G2.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취 곡간이 탈곡 장치(4)의 입구를 통과하고 나서, 탈곡 장치(4)에서 탈곡 처리되고, 얻어진 곡립이 가로 스크루(41)와 세로 스크루(91)에 의해 반송되고, 그 곡립의 수량이 계측부 M에 의해 계측될 때까지의 시간이, 일정 시간 tp가 된다.Here,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reaping grain stem passes through the inlet of the threshing apparatus 4, the threshing process is carried out with the threshing apparatus 4, and the obtained grain is conveyed by the horizontal screw 41 and the vertical screw 91. And the time until the quantity of the grain i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M becomes a certain time tp.

즉, 콤바인 A는, 탈곡 장치(4)의 입구를 통과한 예취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이, 탈곡 장치(4)의 입구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tp 경과 후에 있어서의 계측부 M의 계측 대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combine A is configured so that the grain obtained from the reaping grain stem that passed through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4 becomes the measurement object of the measurement unit M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p has elapsed from the time of passing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4. It is done.

그리고, 이 일정 시간 tp에 기초하여, 계측부 M에 있어서의 계측의 개시 시점이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거리가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tp 후에, 계측부 M에 있어서의 곡립의 수량 계측이 개시된다. 그리고, 계측부 M에 있어서의 곡립의 수량 계측이 개시되고 나서, 단위 시간 tu마다 수량이 계측된다.Then, based on this constant time tp, the starting point of measurement in the measurement unit M is determined. More specifically, the quantity measurement of grains in the measurement unit M is star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p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And after the water quantity measurement of the grain in the measurement part M is started, the water quantity is measured for every unit time tu.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 t35에, 반송 거리는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 시각 t35부터 일정 시간 tp 후인 시각 t85에, 계측부 M에 있어서의 곡립의 수량 계측이 개시된다. 그리고, 시각 t85 이후, 단위 시간 tu마다 곡립의 수량이 계측된다.As shown in Fig. 6, at time t35,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And the quantity measurement of the grain in the measurement part M is started at time t85, which is a certain time tp after this time t35. And after time t85, the quantity of grain is measured for every unit time tu.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 t85, t95, t105에 계측된 수량은, 각각 W1, W2, W3이다.As shown in FIG. 6, the quantities measured at times t85, t95, and t105 are W1, W2, and W3, respectively.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각 t00부터 시각 t10까지의 단위 시간 tu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시각 t85에 계측된 수량 W1로 간주된다.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시각 t1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가, 수량 W1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로서 산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n unit time tu from time t00 to time t10 is regarded as the quantity W1 measured at time t85. And the position of combine A at time t10 is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a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with the quantity W1.

또한, 시각 t10부터 시각 t20까지의 단위 시간 tu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시각 t95에 계측된 수량 W2로 간주된다.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시각 t2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가, 수량 W2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로서 산출된다.In addition,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n unit time tu from time t10 to time t20 is regarded as the quantity W2 measured at time t95. And the position of combine A at time t20 is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a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with quantity W2.

또한, 시각 t20부터 시각 t30까지의 단위 시간 tu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시각 t105에 계측된 수량 W3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시각 t3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가, 수량 W3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로서 산출된다.In addition,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n unit time tu from time t20 to time t30 is regarded as the quantity W3 measured at time t105. And the position of combine A at time t30 is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a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with quantity W3.

여기서, 시각 t10, t20, t30 각각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는, 이격 거리 LM에 대한 반송 거리의 비율에 의해, 위치 G1과 위치 G2 사이의 위치 좌표를 비례 안분함으로써 산출된다.Here, the position of the combine A in each of time t10, t20, and t30 is calculated by proportionally dividing the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position G1 and the position G2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 t1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는, 이격 거리 LM에 대한 반송 거리 L1의 비율에 의해, 위치 G1과 위치 G2 사이의 위치 좌표를 비례 안분함으로써 산출된다.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combine A at time t10 is calculated by proportionally dividing the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position G1 and the position G2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1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환언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G1과 위치 G2 사이의 거리는 거리 D1이다. 그리고, 수량 W1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는, 위치 G1부터 거리 di1의 위치이다. 이 거리 di1은, D1과, 이격 거리 LM에 대한 시각 t10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 L1의 비율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5,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G1 and the position G2 is the distance D1. And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W1 is a position at a distance di1 from the position G1. This distance di1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D1 and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1 at time t10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즉,in other words,

di1=D1×(L1/LM)di1=D1×(L1/LM)

이 된다.This happens.

여기서, 포장에 있어서의 위치 좌표를, X 좌표와 Y 좌표의 조로서 (X, Y)의 형태로 나타내고, 위치 G1의 위치 좌표를 (x1,y1)이라 하고, 위치 G2의 위치 좌표를 (x2,y2)라 한다.Here, the position coordinates in the packaging are expressed in the form of (X, Y) as a combination of It is called ,y2).

이때, 수량 W1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At this time,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1 is,

x1+(x2-x1)×(di1/D1)x1+(x2-x1)×(di1/D1)

이 된다.This happens.

즉, 수량 W1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In other words,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1 is,

x1+(x2-x1)×(L1/LM)x1+(x2-x1)×(L1/LM)

이 된다.This happens.

마찬가지로, 수량 W1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Y 좌표는,Likewise, the Y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1 is,

y1+(y2-y1)×(L1/LM)y1+(y2-y1)×(L1/LM)

이 된다.This happens.

또한, 수량 W2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는, 위치 G1부터 거리 di2의 위치이다. 이 거리 di2는, D1과, 이격 거리 LM에 대한 시각 t20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 L2의 비율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Additionally,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W2 is a position at a distance di2 from the position G1. This distance di2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D1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2 at time t20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즉,in other words,

di2=D1×(L2/LM)di2=D1×(L2/LM)

이 된다.This happens.

그리고, 수량 W2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And,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quantity W2 is,

x1+(x2-x1)×(di2/D1)x1+(x2-x1)×(di2/D1)

이 된다.This happens.

즉, 수량 W2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In other words,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2 is,

x1+(x2-x1)×(L2/LM)x1+(x2-x1)×(L2/LM)

이 된다.This happens.

마찬가지로, 수량 W2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Y 좌표는,Likewise, the Y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2 is,

y1+(y2-y1)×(L2/LM)y1+(y2-y1)×(L2/LM)

이 된다.This happens.

또한, 수량 W3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는, 위치 G1부터 거리 di3의 위치이다. 이 거리 di3은, D1과, 이격 거리 LM에 대한 시각 t30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 L3의 비율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Additionally,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W3 is a position at a distance di3 from the position G1. This distance di3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D1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3 at time t30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즉,in other words,

di3=D1×(L3/LM)di3=D1×(L3/LM)

이 된다.This happens.

그리고, 수량 W3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And,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3 is,

x1+(x2-x1)×(di3/D1)x1+(x2-x1)×(di3/D1)

이 된다.This happens.

즉, 수량 W3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In other words,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3 is,

x1+(x2-x1)×(L3/LM)x1+(x2-x1)×(L3/LM)

이 된다.This happens.

마찬가지로, 수량 W3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Y 좌표는,Likewise, the Y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3 is,

y1+(y2-y1)×(L3/LM)y1+(y2-y1)×(L3/LM)

이 된다.This happens.

이와 같이,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이격 거리 LM에 대한 반송 거리의 비율에 의해,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 사이의 위치 좌표를 비례 안분함으로써, 계측 위치를 산출한다.In this wa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calculates the measurement position by proportionally dividing the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first body position and the second body position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그리고, 시각 t35에, 반송 거리가 이격 거리 LM에 도달하면, 반송 거리가 리셋된다. 또한, 시각 t35 이후는, 위치 G2가 제1 기체 위치로서 취급된다.Then, at time t35, when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the conveyance distance is reset. Additionally, after time t35, the position G2 is treated as the first aircraft position.

시각 t35 이후, 반송 거리는 다시 제로부터 시간 경과와 함께 증가되어 간다. 그리고, 시각 t40에, 반송 거리는 L4에 도달한다. 그 후, 시각 t50에, 반송 거리는 L5에 도달한다.After time t35, the conveyance distance starts from zero again and increases with time. And at time t4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L4. Afterwards, at time t5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L5.

그리고, 시각 t50과 시각 t60 사이에서, 반송 거리는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다. 이때,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반송 거리가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콤바인 A의 위치 정보를, 제2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로서 추출한다. 도 5에서는, 이때의 제2 기체 위치가 위치 G3으로서 도시되어 있다.And between time t50 and time t6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extra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combine A at the time when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d the separation distance LM as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2nd body position. In Figure 5,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at this time is shown as position G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 t115, t125에 계측된 수량은, 각각 W4, W5이다.As shown in FIG. 6, the quantities measured at times t115 and t125 are W4 and W5, respectively.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각 t30부터 시각 t40까지의 단위 시간 tu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시각 t115에 계측된 수량 W4로 간주된다.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시각 t4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가, 수량 W4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로서 산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n unit time tu from time t30 to time t40 is regarded as the quantity W4 measured at time t115. And the position of combine A at time t40 is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a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with quantity W4.

또한, 시각 t40부터 시각 t50까지의 단위 시간 tu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시각 t125에 계측된 수량 W5로 간주된다.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시각 t5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가, 수량 W5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로서 산출된다.In addition,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n the unit time tu from time t40 to time t50 is regarded as the quantity W5 measured at time t125. And the position of combine A at time t50 is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a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with quantity W5.

여기서, 시각 t40, t50 각각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는, 이격 거리 LM에 대한 반송 거리의 비율에 의해, 위치 G2와 위치 G3 사이의 위치 좌표를 비례 안분함으로써 산출된다.Here, the position of the combine A in each of time t40 and t50 is calculated by proportionally distribu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position G2 and the position G3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 t4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는, 이격 거리 LM에 대한 반송 거리 L4의 비율에 의해, 위치 G2와 위치 G3 사이의 위치 좌표를 비례 안분함으로써 산출된다.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combine A at time t40 is calculated by proportionally dividing the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position G2 and the position G3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4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환언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G2와 위치 G3 사이의 거리는 거리 D2이다. 그리고, 수량 W4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는, 위치 G2부터 거리 di4의 위치이다. 이 거리 di4는, D2와, 이격 거리 LM에 대한 시각 t40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 L4의 비율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5,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s G2 and G3 is the distance D2. And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W4 is the position at a distance di4 from the position G2. This distance di4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D2 and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4 at time t40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즉,in other words,

di4=D2×(L4/LM)di4=D2×(L4/LM)

이 된다.This happens.

여기서, 위치 G3의 위치 좌표를 (x3,y3)이라 한다.Her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position G3 are called (x3,y3).

이때, 수량 W4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At this time,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4 is,

x2+(x3-x2)×(di4/D2)x2+(x3-x2)×(di4/D2)

가 된다.It becomes.

즉, 수량 W4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In other words,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4 is,

x2+(x3-x2)×(L4/LM)x2+(x3-x2)×(L4/LM)

이 된다.This happens.

마찬가지로, 수량 W4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Y 좌표는,Likewise, the Y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4 is,

y2+(y3-y2)×(L4/LM)y2+(y3-y2)×(L4/LM)

이 된다.This happens.

또한, 수량 W5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는, 위치 G2부터 거리 di5의 위치이다. 이 거리 di5는, D2와, 이격 거리 LM에 대한 시각 t50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 L5의 비율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Additionally,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W5 is a position at a distance di5 from the position G2. This distance di5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D2 and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5 at time t50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즉,in other words,

di5=D2×(L5/LM)di5=D2×(L5/LM)

이 된다.This happens.

그리고, 수량 W5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And,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5 is,

x2+(x3-x2)×(di5/D2)x2+(x3-x2)×(di5/D2)

가 된다.It becomes.

즉, 수량 W5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In other words,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5 is,

x2+(x3-x2)×(L5/LM)x2+(x3-x2)×(L5/LM)

이 된다.This happens.

마찬가지로, 수량 W5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Y 좌표는,Likewise, the Y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5 is,

y2+(y3-y2)×(L5/LM)y2+(y3-y2)×(L5/LM)

이 된다.This happens.

그리고, 시각 t50과 시각 t60 사이에서, 반송 거리가 이격 거리 LM에 도달하면, 반송 거리가 리셋된다. 또한, 이 시점 이후는, 위치 G3이 제1 기체 위치로서 취급된다.Then, between time t50 and time t60, when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the conveyance distance is reset. Additionally, from this point on, position G3 is treated as the first aircraft position.

이 시점 이후, 반송 거리는 다시 제로부터 시간 경과와 함께 증가되어 간다. 그리고, 시각 t60에, 반송 거리는 L6에 도달한다. 그 후, 시각 t70에, 반송 거리는 L7에 도달한다. 그 후, 시각 t80에, 반송 거리는 L8에 도달한다.After this point, the conveyance distance goes from zero again and increases with time. And at time t6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L6. Afterwards, at time t7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L7. Afterwards, at time t8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L8.

그리고, 시각 t80과 시각 t90 사이에서, 반송 거리는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다. 이때,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반송 거리가 이격 거리 LM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콤바인 A의 위치 정보를, 제2 기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로서 추출한다. 도 5에서는, 이때의 제2 기체 위치가 위치 G4로서 도시되어 있다.And between time t80 and time t90,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s the separation distance LM.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extra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combine A at the time when the conveyance distance reached the separation distance LM as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2nd body position. In Figure 5,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at this time is shown as position G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 t135, t145, t155에 계측된 수량은, 각각 W6, W7, W8이다.As shown in FIG. 6, the quantities measured at times t135, t145, and t155 are W6, W7, and W8, respectively.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각 t50부터 시각 t60까지의 단위 시간 tu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시각 t135에 계측된 수량 W6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시각 t6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가, 수량 W6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로서 산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n unit time tu from time t50 to time t60 is regarded as the quantity W6 measured at time t135. And the position of combine A at time t60 is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a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with quantity W6.

또한, 시각 t60부터 시각 t70까지의 단위 시간 tu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시각 t145에 계측된 수량 W7로 간주된다.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시각 t7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가, 수량 W7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로서 산출된다.In addition,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n the unit time tu from time t60 to time t70 is regarded as the quantity W7 measured at time t145. And the position of combine A at time t70 is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a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with the quantity W7.

또한, 시각 t70부터 시각 t80까지의 단위 시간 tu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의 수량이, 시각 t155에 계측된 수량 W8로 간주된다. 그리고, 계측 위치 산출부(72)에 의해, 시각 t8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가, 수량 W8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로서 산출된다.In addition, the quantity of grains obtained from the harvested grain stem in the unit time tu from time t70 to time t80 is regarded as the quantity W8 measured at time t155. And the position of combine A at time t80 is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part 72 a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with quantity W8.

여기서, 시각 t60, t70, t80 각각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는, 이격 거리 LM에 대한 반송 거리의 비율에 의해, 위치 G3과 위치 G4 사이의 위치 좌표를 비례 안분함으로써 산출된다.Here, the position of combine A in each of time t60, t70, and t80 is calculated by proportionally dividing the position coordinate between position G3 and position G4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with respect to separation distance LM.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 t6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는, 이격 거리 LM에 대한 반송 거리 L6의 비율에 의해, 위치 G3과 위치 G4 사이의 위치 좌표를 비례 안분함으로써 산출된다.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combine A at time t60 is calculated by proportionally dividing the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position G3 and the position G4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6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환언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G3과 위치 G4 사이의 거리는 거리 D3이다. 그리고, 수량 W6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는, 위치 G3부터 거리 di6의 위치이다. 이 거리 di6은, D3과, 이격 거리 LM에 대한 시각 t60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 L6의 비율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5,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s G3 and G4 is the distance D3. And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W6 is the position at a distance di6 from the position G3. This distance di6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D3 and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6 at time t60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즉,in other words,

di6=D3×(L6/LM)di6=D3×(L6/LM)

이 된다.This happens.

여기서, 위치 G4의 위치 좌표를 (x4,y4)라 한다.Her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position G4 are called (x4,y4).

이때, 수량 W6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At this time,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6 is,

x3+(x4-x3)×(di6/D3)x3+(x4-x3)×(di6/D3)

이 된다.This happens.

즉, 수량 W6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In other words,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6 is,

x3+(x4-x3)×(L6/LM)x3+(x4-x3)×(L6/LM)

이 된다.This happens.

마찬가지로, 수량 W6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Y 좌표는,Likewise, the Y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6 is,

y3+(y4-y3)×(L6/LM)y3+(y4-y3)×(L6/LM)

이 된다.This happens.

또한, 수량 W7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는, 위치 G3부터 거리 di7의 위치이다. 이 거리 di7은, D3과, 이격 거리 LM에 대한 시각 t70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 L7의 비율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Additionally,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W7 is the position at a distance di7 from the position G3. This distance di7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D3 and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7 at time t70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즉,in other words,

di7=D3×(L7/LM)di7=D3×(L7/LM)

이 된다.This happens.

그리고, 수량 W7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And,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7 is,

x3+(x4-x3)×(di7/D3)x3+(x4-x3)×(di7/D3)

이 된다.This happens.

즉, 수량 W7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In other words,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7 is,

x3+(x4-x3)×(L7/LM)x3+(x4-x3)×(L7/LM)

이 된다.This happens.

마찬가지로, 수량 W7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Y 좌표는,Likewise, the Y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7 is,

y3+(y4-y3)×(L7/LM)y3+(y4-y3)×(L7/LM)

이 된다.This happens.

또한, 수량 W8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는, 위치 G3부터 거리 di8의 위치이다. 이 거리 di8은, D3과, 이격 거리 LM에 대한 시각 t80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 L8의 비율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Additionally,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the quantity W8 is a position at a distance di8 from the position G3. This distance di8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D3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L8 at time t80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즉,in other words,

di8=D3×(L8/LM)di8=D3×(L8/LM)

이 된다.This happens.

그리고, 수량 W8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And,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8 is,

x3+(x4-x3)×(di8/D3)x3+(x4-x3)×(di8/D3)

이 된다.This happens.

즉, 수량 W8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X 좌표는,In other words, th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8 is,

x3+(x4-x3)×(L8/LM)x3+(x4-x3)×(L8/LM)

이 된다.This happens.

마찬가지로, 수량 W8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의 Y 좌표는,Likewise, the Y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quantity W8 is,

y3+(y4-y3)×(L8/LM)y3+(y4-y3)×(L8/LM)

이 된다.This happe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각 t10 내지 t8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가, 각각 수량 W1 내지 W8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로서 산출된다. 그리고, 시각 t10 내지 t80에 있어서의 콤바인 A의 위치는, 수량 W1부터 순서대로, 계측된 순서에 따라 대응지어진다.As demonstrated above, the position of the combine A in time t10 - t80 is calculated as a measurement position for matching with quantity W1 - W8,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 of combine A from time t10 to t80 is matched according to the measured order in order from quantity W1.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예취 반송 장치(10)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반송 거리가 산출된다. 그리고, 제1점 PA1 및 제2점 PA2의 이격 거리 LM에 대한 반송 거리의 비율과, 제1 기체 위치부터 제2 기체 위치까지의 거리에 대한 제1 기체 위치부터 실제의 계측 위치까지의 거리의 비율은 상관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반송 거리와, 제1점 PA1 및 제2점 PA2의 이격 거리 LM과, 제1 기체 위치와, 제2 기체 위치에 기초하여 계측 위치를 산출함으로써, 계측 위치를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monstrated above, the conveyance distan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conveyance speed in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apparatus 10. And,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LM of the first point PA1 and the second point PA2 and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ircraft position to the actual measurement posi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ircraft position to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The ratios are correlated. Therefore, by calculating the measurement position based on the conveyance distance, the separation distance LM of the first point PA1 and the second point PA2, the first body position, and the second body position, the measurement position can be calculated with high accuracy. .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계측 위치를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으면, 예취 반송 장치(10)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가 변화된 경우라도,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And, if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ed in this way is correlated with the quantity of grains, even when the conveyance speed in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changes, there will be a discrepancy between the harves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was actually harvested. It is difficult to occur.

즉,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이면, 예취 반송 장치(10)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가 변화된 경우라도, 곡립의 수량에 대응지어진 수확 위치와, 실제로 곡간이 예취된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That is, with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conveyance speed in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changes, a deviation between the harves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and the position where the grain stem is actually harvested is unlikely to occur.

〔그 밖의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1) 탈곡 장치(4)의 입구를 통과한 예취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이, 탈곡 장치(4)의 입구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계측부 M의 계측 대상이 될 때까지의 기간은,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1) The period from when the grain obtained from the reaping grain stem that passed through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4 passes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4 until it becomes the measurement target of the measurement unit M does not need to be constant.

(2) 제2점 PA2는, 탈곡 장치(4)의 입구보다도 반송 방향 상측에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탈곡 장치(4)의 입구보다도 반송 방향 아래쪽에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2) 2nd point PA2 may be set above the inlet of the threshing apparatus 4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nd may be set below the inlet of the threshing apparatus 4 in the conveyance direction.

(3) 제1점 통과 센서가, 곡간 센서 S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3) The first point passing sens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grain stem sensor S.

(4) 곡간 센서 S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4) The grain stem sensor S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5) 제1점 PA1은, 절단 장치(10a)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5) The first point PA1 may be set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cutting device 10a.

(6) 예취 반송 장치(10)와 탈곡 장치(4)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반송 장치」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6) The “convey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rised of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10 and the threshing device 4.

(7) 주행 장치(6)는, 휠식이어도 되고, 세미크롤러식이어도 된다.(7) The traveling device 6 may be of a wheel type or a semi-crawler type.

(8) 계측 위치 산출부(72)는, 직선적인 주행 경로에 한하지 않고, 직선적인 부분과 곡선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주행 경로에 있어서, 곡립의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계측 위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8) The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72 is not limited to a straight travel path, but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measurement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quantity of grains in a travel path including a straight part and a curved part. You can stay.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뿐만 아니라,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self-removing type combines but also for normal type combines.

1: 예취부
4: 탈곡 장치
10: 예취 반송 장치(반송 장치)
10a: 절단 장치
20: 위치 검출부
71: 반송 거리 산출부
72: 계측 위치 산출부
A: 콤바인
H: 반송 속도 검출부
LM: 이격 거리
M: 계측부
PA1: 제1점
PA2: 제2점
S: 곡간 센서(제1점 통과 센서)
T: 반송 경로
tp: 일정 시간
tu: 단위 시간
1: Harvest Department
4: Threshing device
10: Reaping transfer device (transfer device)
10a: cutting device
20: Position detection unit
71: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72: Measurement position calculation unit
A: Combine
H: conveyance speed detection unit
LM: Separation distance
M: Measurement section
PA1: 1st point
PA2: 2nd point
S: Grain stem sensor (first point passing sensor)
T: return path
tp: constant time
tu: unit time

Claims (13)

포장에서 수확 작업을 하는 콤바인이며,
예취 곡간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예취 곡간의 반송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반송 속도가 기체의 주행 속도에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 속도를 검출하는 반송 속도 검출부와,
상기 반송 장치보다도 반송 방향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곡립의 단위 시간당 수량을 상기 단위 시간마다 계측하는 계측부와,
예취 곡간이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제1점을 통과했을 때의 기체의 위치인 제1 기체 위치와, 예취 곡간이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점보다도 반송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점을 통과했을 때의 기체의 위치인 제2 기체 위치를 검출 가능한 위치 검출부와,
상기 반송 속도와 상기 단위 시간에 기초하여, 예취 곡간이 상기 제1점으로부터 반송된 거리인 반송 거리를 상기 단위 시간마다 산출하는 반송 거리 산출부와,
상기 반송 거리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반송 거리와, 상기 제1점 및 상기 제2점의 이격 거리와, 상기 제1 기체 위치와, 상기 제2 기체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시간마다 계측된 상기 단위 시간당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상기 포장에서의 기체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It is a combine that performs harvesting work in the field.
A transport device configured to transport the harvested grain stems along a transport path and to change the transport speed of the harvested grain stems,
The transfer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the transfer speed is linked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aircraft,
A conveyance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conveyance speed,
A measuring unit installed below the conveying devic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measuring the quantity of grain per unit time for each unit time,
A first base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base when the harvested grain stem passes the first point in the conveyance path, and a second point where the harvested grain stem is located below the conveyance direction than the first point in the conveyance path. a position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aircraft,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aircraft when it passed through;
Based on the conveyance speed and the unit time, a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conveyance distance, which is the distance at which the harvested grain stem is conveyed from the first point, for each unit time;
Based on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ed by the conveyance distance calculation uni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he first aircraft position, and the second aircraft position, the measured value is measured for each unit time. A combine provided with a position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gas in the packaging to correspond to the quantity per unit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산출부는, 상기 이격 거리에 대한 상기 반송 거리의 비율에 의해, 상기 제1 기체 위치와 상기 제2 기체 위치 사이의 위치 좌표를 아래의 식을 통해 비례 안분함으로써, 상기 단위 시간마다 계측된 상기 단위 시간당 수량에 대응짓기 위한 상기 포장에서의 기체의 위치를 산출하되,
단위 시간에 있어서 예취된 곡립의 수량에 대응되는 계측 위치의 X좌표 = x1 + (x2 - x1) * (L1/LM)이고,
단위 시간에 있어서 예취된 곡립의 수량에 대응되는 계측 위치의 Y좌표 = y1 + (y2 - y1) * (L1/LM)이며,
단, 여기서 L1은 상기 이격 거리, LM은 상기 반송 거리, x1은 상기 제1 기체 위치의 X좌표, x2는 상기 제2 기체 위치의 X좌표, y1은 상기 제1 기체 위치의 Y좌표, y2는 상기 제2 기체 위치의 Y좌표인,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proportionally distributes the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first gas position and the second gas position by the ratio of the conveyance dista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through the equation below,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gas in the packaging to correspond to the quantity per unit time measured per unit time,
X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harvested in unit time = x1 + (x2 - x1) * (L1/LM),
Y coordinat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grains harvested in unit time = y1 + (y2 - y1) * (L1/LM),
However, here L1 is the separation distance, LM is the conveyance distance, x1 is the X coordinate of the first aircraft position, x2 is the Combine, which is the Y coordinate of the second gas 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예취부가 갖는 예취 반송 장치이며,
상기 예취 반송 장치는, 상기 반송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veying device is a harvesting and conveying device included in the harvesting unit,
The harvesting and conveying device is a combine configured to change the conveying spe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는 식립 곡간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점은, 상기 절단 장치의 근방에 설정되어 있고,
예취 곡간이 상기 제1점을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제1점 통과 센서를 구비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aping unit has a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planted grain stem,
The first point is set near the cutting device,
A combine provided with a first point passage sensor that detects that the reaping grain stem has passed the said first poi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곡간의 존부를 검출하는 곡간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점 통과 센서는, 상기 곡간 센서인,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grain stem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grain stems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harvesting and conveyance device,
The first point passing sensor is the grain stem sensor, the combin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은, 탈곡 장치의 입구에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cond point is set at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은, 탈곡 장치의 입구에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cond point is set at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은, 탈곡 장치의 입구에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cond point is set at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은, 탈곡 장치의 입구에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econd point is set at the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예취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이,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상기 계측부의 계측 대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The combine of Claim 6 which is comprised so that the grain obtained from the reaping grain culm which passed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apparatus becomes a measurement object of the said measurement par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passes from the time of passing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apparatu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예취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이,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상기 계측부의 계측 대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The combine of Claim 7 which is comprised so that the grain obtained from the reaping grain culm which passed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apparatus becomes a measurement object of the said measurement par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passes from the time of passing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apparatu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예취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이,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상기 계측부의 계측 대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8, which is configured so that the grain obtained from the reaping grain stem that passed through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device becomes a measurement object of the said measurement uni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of passing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예취 곡간으로부터 얻어진 곡립이, 상기 탈곡 장치의 입구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상기 계측부의 계측 대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The combine according to claim 9, which is configured so that the grain obtained from the reaping grain stem that passed through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device becomes a measurement object of the said measurement uni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of passing the entrance of the said threshing device.
KR1020180070614A 2017-06-26 2018-06-20 Combine KR1025907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4606A JP6827373B2 (en) 2017-06-26 2017-06-26 combine
JPJP-P-2017-124606 201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26A KR20190001526A (en) 2019-01-04
KR102590770B1 true KR102590770B1 (en) 2023-10-18

Family

ID=6482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614A KR102590770B1 (en) 2017-06-26 2018-06-20 Comb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27373B2 (en)
KR (1) KR102590770B1 (en)
CN (1) CN10910498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3588B2 (en) 2018-10-26 2023-05-23 Deere & Company Yield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641800B2 (en) 2020-02-06 2023-05-09 Deere & Company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with pre-emergence weed detection and mitigation system
US11240961B2 (en) 2018-10-26 2022-02-08 Deere & Company Controlling a harvesting machine based on a geo-spatial representation indicating where the harvesting machine is likely to reach capacity
US11079725B2 (en) 2019-04-10 2021-08-03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real-time model
US11178818B2 (en) 2018-10-26 2021-11-23 Deere & Company Harvesting machine control system with fill level processing based on yield data
US11467605B2 (en) 2019-04-10 2022-10-11 Deere & Company Zonal machine control
US11957072B2 (en) 2020-02-06 2024-04-16 Deere & Company Pre-emergence weed detection and mitigation system
US11672203B2 (en) 2018-10-26 2023-06-13 Deere & Company Predictive map generation and control
US11589509B2 (en) 2018-10-26 2023-02-28 Deere & Company Predictive machine characteristic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778945B2 (en) 2019-04-10 2023-10-10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real-time model
US11234366B2 (en) 2019-04-10 2022-02-01 Deere & Company Image selection for machine control
US11477940B2 (en) 2020-03-26 2022-10-25 Deere & Company Mobile work machine control based on zone parameter modification
US11474523B2 (en) 2020-10-09 2022-10-18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speed map
US11844311B2 (en) 2020-10-09 2023-12-19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874669B2 (en) 2020-10-09 2024-01-16 Deere & Company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635765B2 (en) 2020-10-09 2023-04-25 Deere & Company Crop state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592822B2 (en) 2020-10-09 2023-02-28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946747B2 (en) 2020-10-09 2024-04-02 Deere & Company Crop constituent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825768B2 (en) 2020-10-09 2023-11-28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983009B2 (en) 2020-10-09 2024-05-14 Deere & Company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889788B2 (en) 2020-10-09 2024-02-06 Deere & Company Predictive biomass map generation and control
US11927459B2 (en) 2020-10-09 2024-03-12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871697B2 (en) 2020-10-09 2024-01-16 Deere & Company Crop moisture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675354B2 (en) 2020-10-09 2023-06-13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864483B2 (en) 2020-10-09 2024-01-09 Deere & Company Predictive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849671B2 (en) 2020-10-09 2023-12-26 Deere & Company Crop state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845449B2 (en) 2020-10-09 2023-12-19 Deere & Company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711995B2 (en) 2020-10-09 2023-08-01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650587B2 (en) 2020-10-09 2023-05-16 Deere & Company Predictive power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895948B2 (en) 2020-10-09 2024-02-13 Deere & Company Predictive map generation and control based on soil properties
US11727680B2 (en) 2020-10-09 2023-08-15 Deere & Company Predictive map generation based on seeding characteristics and control
US11849672B2 (en) 2020-10-09 2023-12-26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889787B2 (en) 2020-10-09 2024-02-06 Deere & Company Predictive speed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827A (en) 1998-07-15 2000-02-02 Kubota Corp Combine harvester
JP2004024056A (en) 2002-06-21 2004-01-2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Method for computing position of machine body
JP2004024055A (en) 2002-06-21 2004-01-2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Yield-computing system in combine harvester
US20040194442A1 (en) 2000-11-24 2004-10-07 Koen Maertens Method of estimating crop yields
JP2007295932A (en) 2007-06-20 2007-11-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Combine harvester
US20140129146A1 (en) 2011-06-29 2014-05-08 Geosys Sa Method for correcting the time delay in measuring agricultural yield
US20160071223A1 (en) 2014-09-05 2016-03-10 The Climate Corporation Estimating crop yield data
US20160330906A1 (en) 2015-05-14 2016-11-17 Raven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harvest characteristics
JP2017055735A (en) 2015-09-18 2017-03-23 株式会社クボタ combine
JP2017060443A (en) 2015-09-25 2017-03-30 株式会社クボタ Combine-harvester
JP2017063636A (en) 2015-09-28 2017-04-06 井関農機株式会社 Combine and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JP2017077204A (en) 2015-10-20 2017-04-27 ヤンマー株式会社 Mapping system, mapp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0126282B2 (en) 2014-09-23 2018-11-13 Deere & Company Yield esti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0681A (en) * 1967-04-14 1969-10-07 Deere & Co Combine control system
GB2350275B (en) * 1999-05-25 2003-12-24 Agco Ltd Improvements in yield mapping
JP2008212102A (en) 2007-03-07 2008-09-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Combine
AR060425A1 (en) * 2007-04-11 2008-06-18 Consejo Nac Invest Cient Tec METHOD TO DECREASE LOSSES BY TAIL IN THE GRAIN HARVEST AND REGULATORY DEVICE OF THE ADVANCE SPEED OF A HARVESTOR
KR101072654B1 (en) * 2007-09-26 2011-10-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Work vehicle
KR101614342B1 (en) * 2011-07-20 2016-04-21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Combine
CN102577742A (en) * 2012-02-20 2012-07-18 南通大学 Real-time acre counting method based 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WO2014030511A1 (en) * 2012-08-24 2014-02-27 ヤンマー株式会社 Combine
WO2014050524A1 (en) * 2012-09-26 2014-04-03 株式会社クボタ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 and crop harvester
EP3485717A1 (en) * 2014-09-12 2019-05-22 Intelligent Agricultural Solutions, LLC Acoustic material flow sensor
KR102582905B1 (en) * 2015-03-18 2023-09-2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Combine, and grain-evaluation control device for combine
CN105741180B (en) * 2016-04-21 2021-06-18 江苏大学 Grain yield graph drawing system of combined harvester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827A (en) 1998-07-15 2000-02-02 Kubota Corp Combine harvester
US20040194442A1 (en) 2000-11-24 2004-10-07 Koen Maertens Method of estimating crop yields
JP2004024056A (en) 2002-06-21 2004-01-2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Method for computing position of machine body
JP2004024055A (en) 2002-06-21 2004-01-2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Yield-computing system in combine harvester
JP2007295932A (en) 2007-06-20 2007-11-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Combine harvester
US20140129146A1 (en) 2011-06-29 2014-05-08 Geosys Sa Method for correcting the time delay in measuring agricultural yield
US20160071223A1 (en) 2014-09-05 2016-03-10 The Climate Corporation Estimating crop yield data
US10126282B2 (en) 2014-09-23 2018-11-13 Deere & Company Yield estimation
US20160330906A1 (en) 2015-05-14 2016-11-17 Raven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harvest characteristics
JP2017055735A (en) 2015-09-18 2017-03-23 株式会社クボタ combine
JP2017060443A (en) 2015-09-25 2017-03-30 株式会社クボタ Combine-harvester
JP2017063636A (en) 2015-09-28 2017-04-06 井関農機株式会社 Combine and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JP2017077204A (en) 2015-10-20 2017-04-27 ヤンマー株式会社 Mapping system, mapp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04984B (en) 2022-06-21
KR20190001526A (en) 2019-01-04
CN109104984A (en) 2019-01-01
JP2019004796A (en) 2019-01-17
JP6827373B2 (en)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770B1 (en) Combine
EP3272205B1 (en) Combine, and grain-evaluation control device for combine
CN108137040B (en) Parking mode determination device
KR20210036973A (e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n external shape calculation system, an external shape calculation method, an external shape calculation program, and an external shape calculation program are recorded, a packaging map creation system, a packaging map creation program,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ackaging map creation program is recorded, and How to create a pavement map
EP3008990A3 (en) Yield estimation
SE9401964L (en)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lane of a vehicle ahead
DE502007006455D1 (en) Self-propelled agricultural harvester with controllable transfer device
RU2010144972A (en) MEASUREMENT DEVICE FOR DETERMINING THE MASS CONSUMPTION OF CLEANED CROPS
JP6811653B2 (en) combine
EP1980868A3 (en)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IC chip,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program
KR102245591B1 (en) Quantity distribution calculation device and quantity distribution calculation method
DE502006001315D1 (en) Machine for harvesting stalk-like plants
FR3030222B1 (en) SURGICAL GUIDANCE SYSTEM
CN108347883B (en) Combine harvester and grain yield management system for combine harvester
EP3830008A1 (en) Conveyor package-flow measuring system
CA2485326A1 (en) Machine for mowing stalk-like crops
CN110602944B (en) Combine harvester
US20210063547A1 (en) Method for the signal evaluation of signals of a rangefinder
CN103901412B (en) A kind of calibrating method and system rebuilding following-up type source scaler for pulse
JP6715595B2 (en) combine
SE0201818L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s of the targets through bistatic measurements with signals spread from the target
JP6768602B2 (en) Field map generation system
FR302423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 OPERATIONAL DISTANCE FROM AN INDETERMINALLY TERMINATED SEGMENT OF AN AIRCRAFT FLIGHT PLAN.
JP5881573B2 (en) Farm work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farm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230067558A1 (en) Road surface estimation apparatus, road surface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