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844B1 -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844B1
KR102515844B1 KR1020220131704A KR20220131704A KR102515844B1 KR 102515844 B1 KR102515844 B1 KR 102515844B1 KR 1020220131704 A KR1020220131704 A KR 1020220131704A KR 20220131704 A KR20220131704 A KR 20220131704A KR 102515844 B1 KR102515844 B1 KR 102515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rame
image
video imag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훈
Original Assignee
(주)위상공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상공감 filed Critical (주)위상공감
Priority to KR102022013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61Proximity, similarity or dissimilar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값을 수신 받아 상호 연산하여 GNSS 보정값을 출력하고 이를 무선 송출하는 기지국,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GNSS 보정값을 연산하여 측정점의 좌표를 연산 처리하고 해당 좌표에 따른 지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영상이미지와 상이점을 추출한 후, 편집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수의 촬영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기존 영상정보 데이터와 대비한 후 변화된 부분이 감지되면 이를 곧바로 보정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FOR MANAGING IMAGE INFORMATION DATA USING DRONE}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사영상은 중심투영인 항공사진을 편위수정하여 지도와 같이 정사투영의 형태로 보정함으로써 확보된다. 여기에서 편위수정은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발생된 경사(기울기)와 축척(촬영배율) 등을 수정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정사영상은 정사항공투영으로 지상 이미지를 확보하고, 확보된 정사항공촬영 사진이미지에 수치표고모델(DEM)을 활용하여 오류 없는 정사영상을 추출하고, 다시 정사영상의 색상을 보정하며 집성하고 오류 보정과 최종 품질검사를 거쳐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구축된다.
영상이미지(정사영상이미지) 확보를 위한 정사항공투영은 항공기 노선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60% 이상 중복하는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는 30% 이상을 중복하여 투영된 사진이미지를 확보한다.
수치표고모델은 중심투영으로 항공투영된 사진이미지의 기하학적인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정사영상 사진이미지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추출된 정사영상의 사진이미지는 색상, 명암 등을 보정하는 색상보정과정 및 낱장 단위의 영상이미지를 이웃한 영상이미지와 합성하는 영상집성과정을 거친다.
정사항공투영으로 확보된 정사영상 이미지의 색상보정과 영상집성 등이 포함되는 영상처리를 통하여 최종적인 정사영상지도 이미지가 완성되고, 정사영상지도의 각 지점에 대응되는 지상 각 위치에서 정밀하게 측량된 좌표정보(위치정보)를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영상이미지의 확보를 위한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촬영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항공촬영으로 정확한 식별이 어려운 지형지물에 대해서는 지상에서 별도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촬영할 필요가 있으므로 매우 번거롭다.
다시 말하면,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촬영은 한 번 촬영 후 다음 촬영까지의 대기시간이 길고 비용이 비싸므로 주기적으로 자주 촬영할 수 없어 지형지물의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지형지물의 변화가 발생한 지역을 최대한 신속히 보정하여 별도의 추가 비용이나 시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개발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촬영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기존 영상정보 데이터와 대비한 후 변화된 부분이 감지되면 이를 곧바로 보정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값을 수신 받아 상호 연산하여 GNSS 보정값을 출력하고 이를 무선 송출하는 기지국;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GNSS 보정값을 연산하여 측정점의 좌표를 연산 처리하고 해당 좌표에 따른 지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영상이미지와 상이점을 추출한 후, 편집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처리부는, 기존의 영상이미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저장모듈;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영상수신모듈; 수신된 영상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 좌표합성모듈에 의해 GNSS좌표가 입력된 영상이미지를 기존의 영상이미지와 동일 배율로 편집하는 배율편집모듈; 및 동일 배율로 편집된 영상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기존의 영상이미지와 대비하여 상이점을 추출하는 영상보정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좌표합성모듈은, 영상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이미지를 편집하여 형태와 규격을 맞추는 형태설정모듈; 형태설정모듈에서 재단한 영상이미지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기준점설정모듈; 기준점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기준점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비교점을 설정하는 비교점설정모듈; 및 기준점의 실제 GNSS좌표를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영상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확인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영상보정모듈은, 영상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고 좌표합성모듈과 배율편집모듈을 통해 처리된 영상이미지에서 레이어를 추출하여 가공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가공이미지모듈; 영상저장모듈에 저장된 기존 영상이미지와 가공이미지를 비교하여 상이점을 검출하는 비교검출모듈; 및 비교검출모듈에 의해 판독대상물로 분류된 가공이미지를 기존의 영상이미지 위에 배치하여 새로운 편집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편집이미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촬영부는, 다수의 프로펠러가 설치되는 드론본체; 드론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착지봉; 착지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촬영지지대; 촬영지지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모듈연결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카메라;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촬영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및 기초대의 측부에 결합되어 기초대를 지지하는 다수의 측면지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측면지지수단은, 기초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결합프레임에 마련되며 상부에 태양전지모듈이 마련되는 모듈프레임; 모듈프레임의 저면부에 회동 결합되는 연결대; 연결대가 신축되도록 연결대에 연결되는 포스트; 포스트에 승강되게 연결되며 하단부가 이동베이스에 접촉되는 가이드착지봉; 포스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가이드착지봉을 탄성 지지하는 포스트스프링; 및 포스트에 길이 조절되게 마련되며 착지봉의 측부를 홀딩하여 포스트를 지지하는 가변홀딩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모듈프레임은, 모듈프레임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연결대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프레임연결축; 프레임연결축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프레임기어이; 및 프레임연결축의 상부에 마련되는 프레임홀;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연결대프레임은, 연결대의 상단부를 절개하여 마련되며 프레임연결축이 삽입되는 절개홈; 절개홈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프레임기어이와 기어 맞물림되는 포스트기어이; 절개홈이 마련된 영역의 포스트에 마련되며 프레임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포스트홀; 및 포스트홀과 프레임홀을 통해 프레임연결축을 절개홈이 마련된 영역의 연결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모듈연결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승강부는, 기초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촬영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촬영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복수의 촬영드론으로 실시간 수집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기존 영상정보 데이터와 대비하여 변화된 부분을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정보는 서버에 저장하며 검증이 완료되면 정식 데이터로 저장하므로 영상신호를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표합성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정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율편집모듈을 이용하여 영상이미지를 축소 편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지지수단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지지수단이 기초대의 측부에 다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기지국(200), 촬영부(100) 및 처리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200), 촬영부(100) 및 처리부(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다.
상기 기지국(200)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아 상호 연산하여 GNSS 보정값을 출력하고, 출력된 GNSS 보정값을 무선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200)은 GNSS 안테나(211)를 배치하여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NSS 수신부(210), GNSS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지정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NSS 보정값을 출력하는 기지제어부(230) 및 DGNSS(Differential GNSS) 안테나(2210)를 배치하여 기지제어부로부터 GNSS 보정값을 전달받아 무선 송출하는 DGNSS 송신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200)은 기지제어부(230)를 통해 연산된 GNSS 보정값(위치값)을 DGNSS 송신부(220)로 전송하고, DGNSS 송신부(220)와 연결된 DGNSS 안테나(221)를 통해 후술되는 촬영부(100)로 무선 송출한다.
상기 촬영부(100)는 기지국(200)과 무선 통신하고,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GNSS 보정값을 연산하여 측정점의 좌표를 연산 처리하고 해당 좌표에 따른 지역을 촬영한다.
상기 처리부(300)는 원격지에 설치되며, 촬영부(100)에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영상이미지와 상이점을 추출한 후, 편집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처리부(300)는 영상저장모듈(310), 영상수신모듈(320), 좌표합성모듈(330), 배율편집모듈(340) 및 영상보정모듈(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처리부(30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표합성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영상저장모듈(310)은 기존의 영상이미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영상수신모듈(320)은 촬영부(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즉, 영상저장모듈(310)에는 지형 변화가 발생하기 전의 영상이미지가 저장되어 있고, 영상수신모듈(320)은 지형 변화가 발생한 후에 촬영된 영상이미지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좌표합성모듈(330)은 촬영부(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한다. 상기 좌표합성모듈(330)은 형태설정모듈(331), 기준점설정모듈(332), 비교점설정모듈(333) 및 좌표확인모듈(334)을 포함한다.
상기 형태설정모듈(331)은 영상수신모듈(320)에서 수신한 영상이미지를 편집하여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촬영부(1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다른 영상이미지들과 합성하기 위해 그 형태와 규격을 맞추는 것이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영상수신모듈(320)에서 수신한 영상이미지는 사각의 이미지로 그 형태가 재단되고, 사각이미지의 가로·세로 길이가 규격에 맞게 설정된다.
상기 기준점설정모듈(332)은 형태설정모듈(331)에서 재단한 영상이미지(P1)의 정중앙을 기준점(C)으로 잡는 것이다. 이때, 기준점(C)으로 잡힌 영상이미지(P1)의 해당지점은 지형지물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교점설정모듈(333)은 기준점(C)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임의의 지점을 비교점(R)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비교점(R)은 영상이미지(P1)의 대상인 실제 지리와 영상이미지(P1) 사이의 동일성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값이 된다. 비교점(R)의 설정은 특별한 제한조건이 없으므로 기준점(C)을 중심으로 영상이미지(P1)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좌표확인모듈(334)은 기준점(C)의 실제 GNSS좌표를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영상이미지(P1)에 기준점(C)을 중심으로 한 GNSS좌표의 합성작업을 준비한다.
이때, GNSS좌표의 규격을 영상이미지(P1)의 규격에 맞추어야 하므로 비교점(R)의 GNSS좌표를 확인하여 기준점(C)과 비교점(R) 사이의 '실제 거리'와 영상이미지(P1) 상에서의 기준점(C)과 비교점(R) 사이의 '이미지 거리'를 각각 확인한다.
상기 좌표확인모듈(334)은 이렇게 확인된 '실제 거리'와 '이미지 거리'의 비율을 연산하여 그 축척에 따라 GNSS좌표를 축소 또는 확대한다.
상기 좌표확인모듈(334)은 이렇게 축소 또는 확대된 GNSS좌표를 영상이미지(P1)에 합성하여 기준점(C)과 비교점(R) 이외에 당해 영상이미지(P1) 전체에 GNSS좌표가 적용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정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율편집모듈을 이용하여 영상이미지를 축소 편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a)는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미지(P1) 및 이러한 영상이미지(P1)의 배율을 편집한 영상이미지(P1')이고, 도 5(b)는 미리 저장된 기존의 영상이미지(P2)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율편집모듈(340)은 GNSS 좌표가 입력된 영상이미지(P1)를 기존에 저장된 영상이미지(P2)와 동일 배율로 편집하는 것으로, 영상이미지(P1) 자체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기존의 영상이미지(P2)와 정확히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율편집모듈(340)은 다양한 배율을 갖는 영상이미지(P1, P1', P2)의 배율을 일치시키기 위해 영상이미지(P1, P1', P2)의 해당 기준점(C)과 비교점(R) 사이의 거리(D)를 확인하고, 이러한 거리(D)가 일치되도록 영상이미지(P1, P1', P2)의 배율을 조정한다. 이때, 선택된 기준점(C) 및 비교점(R)은 새로이 촬영된 영상이미지(P1)와 기존에 저장된 영상이미지(P2)에서 동일한 지점일 것이다.
상기 영상보정모듈(350)은 동일 배율로 편집된 영상이미지(P1')를 미리 저장된 기존의 영상이미지(P2)와 대비하여 판독하는 것으로, 가공이미지모듈(351), 비교검출모듈(352) 및 편집이미지모듈(353)을 포함한다.
상기 가공이미지모듈(351)은 영상수신모듈(320)을 통해 수신되고 좌표합성모듈(330)과 배율편집모듈(340)을 통해 처리된 영상이미지에서 레이어를 추출하여 가공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가공이미지모듈(351)은 보정에 필요한 건물, 도로, 고도, 담장, 내륙수계의 레이어를 추출하며, 이를 와핑(Warphing) 작업을 하여 해독이 가능한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한 가공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비교검출모듈(352)은 영상저장모듈(310)에 저장된 기존 영상이미지와 가공이미지를 비교하여 상이점을 검출한다. 상기 비교검출모듈(352)은 생성된 가공이미지와 기존 영상이미지를 비교하여 위치 및 모양의 상이점을 검출하여 각각의 가공이미지를 판독대상물 또는 비판독대상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서처럼 기준점(C) 부근의 사거리를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 다수 건물이 새로이 추가(모양 상이)된 경우, 해당 가공이미지는 판독대상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편집이미지모듈(353)은 비교검출모듈(352)에 의해 판독대상물로 분류된 가공이미지를 분석한 후, 지형지물의 변화가 있는 것이 판독되면, 가공이미지의 추출된 레이어를 기존의 영상이미지 위에 덧씌워 새로운 편집이미지 파일을 생성·저장한다.
이와 같이, 수신된 영상이미지를 기저장된 영상이미지와 대비하여 상이점이 있는 영상이미지는 최신의 영상이미지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수집한 영상이미지, 즉 영상정보 데이터를 정식 데이터로 저장하여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 영상이미지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00)는 중앙에 배치되는 드론본체(110), 드론본체(110)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프로펠러(1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프로펠러(120)가 작동함에 따라 촬영부(100)는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촬영본체(1010)의 내부에는 제어부, 통신부 등이 내장되어 기지국(200) 및 처리부(30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부(100)는, 다수의 프로펠러(120)가 설치되는 드론본체(110), 드론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착지봉(520), 착지봉(5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초대(500), 기초대(50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촬영지지대(530), 촬영지지대(53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400), 모듈연결부(4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카메라(540), 기초대(5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촬영지지대(530)의 측면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530)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600) 및 기초대(500)의 측부에 결합되어 기초대(500)를 지지하는 다수의 측면지지수단(700)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지지대(530)는 카메라(540)를 지지하는 것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촬영지지대(530)의 상단에는 카메라(540)가 모듈연결부(400)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600)는 카메라(540)가 장착되는 촬영지지대(53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킴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카메라(540)의 수직선상 위치를 더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600)는, 기초대(5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610)와, 승강회전본체(610)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620)과, 모터프레임(620)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630)와, 모터프레임(620)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630)와 연결되어 촬영지지대(53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640)과, 좌우이동프레임(640)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640)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650)와, 회전부회전모터(650)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530)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촬영지지대(530)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660)과, 모터프레임(6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6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6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620)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69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회전본체(610)는 복수의 세로프레임(611)과 복수의 가로프레임(612)을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세로프레임(611)에는 세로프레임(611)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가이드랙(613)이 마련되고, 이 승강가이드랙(613)은 상하승강모터(690)의 구동 기어와 맞물려 모터프레임(6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모터(630)는 좌우이동프레임(640)을 촬영지지대(530)의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회전모터(650)는 홀더프레임(66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때 홀더프레임(660)에 결합된 촬영지지대(530)도 홀더프레임(660)과 같이 시계 방향(후방) 또는 반시계 방향(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승강모터(690)는 모터프레임(6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6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6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620)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모터프레임(620)의 승강에 따라 카메라(540)도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승강회전부(600)에 의해 능동적으로 카메라(540)의 수직 선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드론본체(110)의 속도 및 방향 등을 미리 알 수 있고, 제어부는 이에 대응되게 승강회전부(600)를 작동시켜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지지대(530)의 상부에는 제1커넥터(450)가 마련되고, 제1커넥터(450)는 모듈연결부(40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넥터(45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1돌기(451)가 마련되어 모듈연결부(4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연결부(400)는 촬영지지대(530)와 카메라(540)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것으로, 일측부에 제1커넥터(45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460)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410)와, 커플러바디(4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410)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420)와, 커플러바디(410)의 일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커버(430)와, 커플러바디(410)의 타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2커버(440)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바디(4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플러바디(410)의 일측부에는 제1커넥터(45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는 제2커넥터(46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벽에는 록킹홈(4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411)은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411)은 복수의 단턱부(412)의 사이에 마련되며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턱부(412) 중 어느 하나의 단턱부(412)에서 다른 하나의 단턱부(412)까지 두께가 얇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록킹부(420)의 제1두께부(421b)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411)은 두께가 얇게 마련되고, 록킹부(420)의 제2두께부(421c)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411)은 두께가 더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벽에는 단턱부(41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턱부(412)는 3개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에는 복수의 바디홀(413)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바디홀(413)에 잠금 부재를 삽입시켜 록킹부(420)의 록킹바디(421)를 가압함으로써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는 바디홀(413)의 내벽에 마련된 나사산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전방 외벽과 후방 외벽에는 바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커버(430)와 제2커버(440)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는, 커버 바디의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록킹부(420)는 커플러바디(4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421)와, 복수의 록킹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422)와,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연결시켜 복수의 록킹바디(421)의 이격 간극을 유지시키는 연결부재(423)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420)의 록킹바디(421)는 3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421)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토퍼돌기(421a)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421)는 제1두께부(421b)와, 제1두께부(421b)보다 더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421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두께부(421b)에서 제2두께부(421c)로 갈수록 록킹바디(421)의 두께는 점차적으로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의 스토퍼플랜지(422)는 록킹바디(421)의 내벽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가 서로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422)는 부채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록킹바디(421)에 접하는 영역이 길게 마련되고, 록킹바디(4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이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422)는 각각의 록킹바디(421)에 마련되고 각각의 록킹바디(4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의 연결부재(423)는 각각의 록킹바디(421)를 연결시켜 각각의 록킹바디(421)의 이격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각각의 록킹바디(421)가 같이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4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록킹바디(421)에 마련된 바디홈에 결합되어 본 실시 예를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에 탈착 시 스프링의 힘으로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커플러바디(410)의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423)는 원형 형상으로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423)는 록킹부(420)가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글 시, 잠그기 전보다 더 노출되어 록킹바디(421)의 잠금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록킹바디(42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4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하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록킹부(4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록킹부(420)가 커넥터를 잠그기 전에 제2두께부(421c)는 단턱부(412)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커플러바디(410)를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시키면, 두꺼운 영역의 록킹홈(411)이 제2두께부(421c)를 가압하여 제1커넥터(450)를 잠금시킬 수 있다. 이 잠금의 회전은 커플러바디(41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430)는 커플러바디(4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4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버(440)는 커플러바디(41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4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40)의 하부에는 제2커넥터(460)가 형성되어 모듈연결부(400)에 탈착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46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2돌기(461)가 이격 마련되어 모듈연결부(4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지지수단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지지수단이 기초대의 측부에 다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측면지지수단(700)은 기초대(500)에 탈착 결합되어 태양전지모듈(770)의 설치 장소로 제공됨과 아울러 기초대(500)의 측면을 지지하여 기초대(500)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지지수단(700)은 기초대(500)에 결합되어 기초대(500)와 같이 이동될 수도 있고, 기초대(500)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지지수단(700)은, 기초대(500)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710), 결합프레임(710)에 마련되며 상부에 태양전지모듈(770)이 마련되는 모듈프레임(720), 모듈프레임(720)의 저면부에 회동 결합되는 연결대(725), 연결대(725)가 신축되도록 연결대(725)에 연결되는 포스트(730), 포스트(730)에 승강되게 연결되며 하단부가 드론본체(110)에 접촉되는 가이드착지봉(740), 포스트(730)의 내부에 마련되어 가이드착지봉(740)을 탄성 지지하는 포스트스프링(750), 포스트(730)에 길이 조절되게 마련되며 착지봉(520)의 측부를 홀딩하여 포스트(730)를 지지하는 가변홀딩부(76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프레임(710)은 복수의 결합부재(711)를 이용하여 기초대(500)의 가장자리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500)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프레임(7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기초돌출부(510)가 형성되고, 결합프레임에(710)는 기초돌출부(510)가 삽입되는 홈이 마련된다.
복수의 결합부재(711)는 결합프레임(710)에 체결되어 결합프레임(711)의 내부로 삽입된 기초돌출부(510)의 영역의 상면부와 하면부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기초대(500)를 결합프레임(7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재(711)는 결합프레임(710)에 볼트 결합 또는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프레임(720)은 결합프레임(71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고, 모듈프레임(720)의 상면부에는 태양전지모듈(77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듈프레임(720)은 평면상 팔각형 형상을 가져 모듈프레임(720)을 기초대(500)의 사면 가장자리에 결합 시 서로 근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모듈프레임(720) 중 하나의 모듈프레임(720)의 측벽은 나머지 하나의 모듈프레임(720)의 측벽에 지지되어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770)은 모듈프레임(710)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복수로 마련되는 각각의 모듈프레임(710)에 태양전지모듈(770)이 마련되므로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량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770)은 집광판과, 집광판의 하층을 이루는 도광판 및 최하층을 이루는 반사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770)은 기초대(500)의 4면 방향 모두에 마련되므로 태양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태양광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모듈프레임(720)의 저면부에는 프레임연결축(721)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프레임연결축(721)의 하부에는 프레임기어이(722)가 마련되고, 프레임기어이(722)는 연결대(725)에 마련된 포스트기어이(725b)와 서로 기어 맞물려서 연결대(725)가 일시적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연결축(721)의 상부에는 프레임홀(723)이 마련되고, 프레임연결축(721)이 연결대(725)에 마련된 절개홈(725a)에 삽입 결합 시 프레임홀(723)은 연결대(725)에 마련된 포스트홀(725c)과 같은 위치에 마련되어 체결부(725d)의 체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725)는 프레임연결축(721)에 포스트(730)와 가이드착지봉(740)의 무게에 의해 회전되게 결합되며 경사면에 상관없이 연직선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모듈프레임(7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725)의 상단부에는 절개홈(725a)이 마련되고, 절개홈(725a)에는 프레임연결축(721)이 대부분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725a)의 바닥부에는 포스트기어이(725b)가 마련되고 포스트기어이(725b)는 프레임기어이(722)와 기어 맞물림되어 연결대(725)의 회전된 위치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절개홈(725a)이 마련된 영역의 연결대(725)에는 전술한 포스트홀(725c)이 마련되고, 포스트홀(725c)은 프레임홀(723)과 같이 체결부(725d)의 체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25d)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대(725)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연결대(725)와 프레임연결축(721)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725)의 하단부는 가이드착지봉(740)과 포스트(730)의 연결 구조가 그대로 적용되어 연결대(725)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730)는 연결대(725)와 같이 회전될 수 있고, 포스트(730)의 하단부에는 포스트홈(731)이 마련되고, 포스트홈(731)은 가이드착지봉(740)의 착지봉돌기(741)가 승강(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착지봉돌기(741)를 잡아줌으로써 가이드착지봉(7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착지봉(740)은 포스트(730)에 승강되며 마련되며 포스트(730)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착지봉(740)은 경사가 낮은 곳에서는 가이드착지봉(740)의 자체 하중에 의해 드론본체(110) 방향으로 하강되고, 경사가 높은 곳에서는 가이드착지봉(74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포스트스프링(750)에 의해 드론본체(110)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승강 높이는 포스트(730)에 마련된 포스트홈의 길이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스프링(750)은 하단부는 가이드착지봉(740)의 상단부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포스트(730)에 마련된 홈에 지지되어 가이드착지봉(740)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스프링(750)은 드론본체(110)로부터 포스트(730)와 모듈프레임(72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상쇄하여 결론적으로 태양전지모듈(77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포스트스프링(750)은 연결대(725)와 포스트(730)를 연결하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변홀딩부(760)는 일측부는 포스트(730)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착지봉(520)에 결합되어 포스트(730)를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으며 경사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가변홀딩부(760)는 포스트(730)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홀딩포스트(761), 일측부는 홀딩포스트(761)에 길이 조절되게 마련되고 타측부는 착지봉(520)에 탈착 결합되는 홀딩클램프(762), 홀딩포스트(761)의 내부에 마련되어 홀딩클램프(762)를 탄성 지지하는 홀딩스프링(763)을 포함한다.
상기 홀딩포스트(761)의 내벽에는 홀딩홈(761a)이 마련되고, 홀딩클램프(762)에는 홀딩홈(761a)에 걸림 지지되는 홀딩돌기(762a)가 마련된다. 상기 홀딩클램프(762)는 경사가 낮은 곳에서는 인출되어 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며, 경사가 높은 곳에서는 수축되어 경사가 낮은 곳에 비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홀딩홈(761a)의 크기를 홀딩돌기(762a)보다 크게 마련하여 홀딩클램프(762)가 홀딩포스트(761)에 경사지게 연결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는 드론본체(110)의 경사도가 높은 곳에서 더 유용할 수 있다.
즉, 홀딩홈(761a)의 직경이 홀딩돌기(762a)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홀딩클램프(762)는 홀딩포스트(761) 내에서 어느 정도 여유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딩클램프(762)가 홀딩포스트(76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딩포스트(761)의 내부에는 홀딩스프링(763)이 마련되고, 홀딩스프링(763)의 일측부는 홀딩클램프(762)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고 타측부는 홀딩포스트(761)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40)가 설치된 드론본체(110)의 이동에 따라 주변 경사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등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지봉(520)을 기준으로 우측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낮아져 기초대(500)의 높이가 낮아지고, 착지봉(520)을 기준으로 좌측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높아져 기초대(500)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이때, 측면지지수단(700)은 기초대(500)의 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일시적으로 기초대(5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측면지지수단(700)의 가이드착지봉(740)은 포스트(730)로부터 인출되어 하단부가 드론본체(110)에 지지되고, 홀딩클램프(762)는 홀딩포스트(761)로 인출되어 길이가 늘어난다. 이때 연결대(725)는 포스트(730)의 내부로 하강되어 길이가 줄어든다.
좌측에 배치되는 측면지지수단(700)의 가이드착지봉(740)은 경사에 의해 포스트(730)로 삽입되어 하단부가 드론본체(110)에 지지되고, 홀딩클램프(762)는 홀딩포스트(761)로 인출되어 길이가 늘어나지만 우측에 배치되는 홀딩포스트(761)에 비해 인출된 길이는 짧다. 이때 연결대(725)는 포스트(730)로부터 상승되어 길이가 늘어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촬영부 110 : 드론본체 120 : 프로펠러
200 : 기지국 210 : GNSS 수신부 211 : GNSS 안테나
220 : DGNSS 송신부 221 : DGNSS 안테나 230 : 기지제어부
300 : 처리부 310 : 영상저장모듈 320 : 영상수신모듈
330 : 좌표합성모듈 331 : 형태설정모듈 332 : 기준점설정모듈
333 : 비교점설정모듈 334 : 좌표확인모듈 340 : 배율편집모듈
350 : 영상보정모듈 351 : 가공이미지모듈 352 : 비교검출모듈
353 : 편집이미지모듈 400 : 모듈연결부 410 : 커플러바디
411 : 록킹홈 412 : 단턱부 413 : 바디홀
420 : 록킹부 421 : 록킹바디 421a : 스토퍼돌기
421b : 제1두께부 421c : 제2두께부 422 : 스토퍼플랜지
423 : 연결부재 430 : 제1커버 440 : 제2커버
450 : 제1커넥터 451 : 제1돌기 460 : 제2커넥터
461 : 제2돌기 500 : 기초대 510 : 기초돌출부
520 : 착지봉 530 : 촬영지지대 540 : 카메라
600 : 승강회전부 610 : 승강회전본체 611 : 세로프레임
612 : 가로프레임 613 : 승강가이드랙 620 : 모터프레임
630 : 좌우이동모터 640 : 좌우이동프레임 650 : 회전부회전모터
660 : 홀더프레임 690 : 상하승강모터 700 : 측면지지수단
710 : 결합프레임 711 : 결합부재 720 : 모듈프레임
721 : 프레임연결축 722 : 프레임기어이 723 : 프레임홀
725 : 연결대 725a : 절개홈 725b : 포스트기어이
725c : 포스트홀 725d : 체결부 730 : 포스트
731 : 포스트홈 740 : 가이드착지봉 741 : 착지봉돌기
750 : 포스트스프링 760 : 가변홀딩부 761 : 홀딩포스트
761a : 홀딩홈 762 : 홀딩클램프 762a : 홀딩돌기
763 : 홀딩스프링 770 : 태양전지모듈

Claims (1)

  1.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값을 수신 받아 상호 연산하여 GNSS 보정값을 출력하고 이를 무선 송출하는 기지국;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GNSS 보정값을 연산하여 측정점의 좌표를 연산 처리하고 해당 좌표에 따른 지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영상이미지와 상이점을 추출한 후, 편집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기존의 영상이미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저장모듈;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영상수신모듈; 수신된 영상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 좌표합성모듈에 의해 GNSS좌표가 입력된 영상이미지를 기존의 영상이미지와 동일 배율로 편집하는 배율편집모듈; 및 동일 배율로 편집된 영상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기존의 영상이미지와 대비하여 상이점을 추출하는 영상보정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좌표합성모듈은,
    영상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이미지를 편집하여 형태와 규격을 맞추는 형태설정모듈; 형태설정모듈에서 재단한 영상이미지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기준점설정모듈; 기준점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기준점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비교점을 설정하는 비교점설정모듈; 및 기준점의 실제 GNSS좌표를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영상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확인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보정모듈은,
    영상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고 좌표합성모듈과 배율편집모듈을 통해 처리된 영상이미지에서 레이어를 추출하여 가공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가공이미지모듈; 영상저장모듈에 저장된 기존 영상이미지와 가공이미지를 비교하여 상이점을 검출하는 비교검출모듈; 및 비교검출모듈에 의해 판독대상물로 분류된 가공이미지를 기존의 영상이미지 위에 배치하여 새로운 편집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편집이미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다수의 프로펠러가 설치되는 드론본체; 드론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착지봉; 착지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촬영지지대; 촬영지지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모듈연결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카메라;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촬영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및 기초대의 측부에 결합되어 기초대를 지지하는 다수의 측면지지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지지수단은,
    기초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결합프레임에 마련되며 상부에 태양전지모듈이 마련되는 모듈프레임; 모듈프레임의 저면부에 회동 결합되는 연결대; 연결대가 신축되도록 연결대에 연결되는 포스트; 포스트에 승강되게 연결되며 하단부가 이동베이스에 접촉되는 가이드착지봉; 포스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가이드착지봉을 탄성 지지하는 포스트스프링; 및 포스트에 길이 조절되게 마련되며 착지봉의 측부를 홀딩하여 포스트를 지지하는 가변홀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프레임은,
    모듈프레임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연결대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프레임연결축; 프레임연결축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프레임기어이; 및 프레임연결축의 상부에 마련되는 프레임홀;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는,
    연결대의 상단부를 절개하여 마련되며 프레임연결축이 삽입되는 절개홈; 절개홈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프레임기어이와 기어 맞물림되는 포스트기어이; 절개홈이 마련된 영역의 포스트에 마련되며 프레임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포스트홀; 및 포스트홀과 프레임홀을 통해 프레임연결축을 절개홈이 마련된 영역의 연결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연결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며,
    상기 승강회전부는,
    기초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촬영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촬영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촬영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220131704A 2022-10-13 2022-10-13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5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704A KR102515844B1 (ko) 2022-10-13 2022-10-13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704A KR102515844B1 (ko) 2022-10-13 2022-10-13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844B1 true KR102515844B1 (ko) 2023-03-30

Family

ID=8598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704A KR102515844B1 (ko) 2022-10-13 2022-10-13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305B1 (ko) * 2023-04-27 2023-11-24 (주)엔토포스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05304B1 (ko) * 2023-04-27 2023-11-24 (주)엔토포스 드론을 이용하여 3d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78B1 (ko) * 2009-04-29 2009-11-05 (주)지오투정보기술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오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8292B1 (ko) * 2012-07-12 2013-01-31 태양정보시스템(주)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방법
KR20180021604A (ko) * 2016-08-22 2018-03-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드론을 이용한 지상기준점 설정방법
KR101896061B1 (ko) * 2018-06-15 2018-09-06 삼아항업(주) 은폐된 지형지물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항공촬영시스템
KR20190134237A (ko) * 2018-05-25 2019-12-04 테이즈엔지니어링(주) 맵핑드론을 이용한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KR102203450B1 (ko) * 2020-08-19 2021-01-18 (주)태영정보시스템 드론을 통한 실시간 수집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307336B1 (ko) * 2021-06-04 2021-10-01 한국공간정보(주) 영상이미지의 오류 보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탑재하는 함체
KR102311383B1 (ko) * 2021-07-02 2021-10-13 주식회사 지오앤 드론을 이용한 오류 정보의 보정 처리가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368284B1 (ko) * 2021-07-14 2022-03-02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실시간 오류의 원격 수정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운용 시스템
KR102408570B1 (ko) * 2022-03-04 2022-06-14 (주)서원공간정보 3차원으로 건물의 입체 외곽선을 자동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84815B1 (ko) * 2022-07-25 2023-01-09 천지지에스티(주)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78B1 (ko) * 2009-04-29 2009-11-05 (주)지오투정보기술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오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8292B1 (ko) * 2012-07-12 2013-01-31 태양정보시스템(주) 원격으로 오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방법
KR20180021604A (ko) * 2016-08-22 2018-03-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드론을 이용한 지상기준점 설정방법
KR20190134237A (ko) * 2018-05-25 2019-12-04 테이즈엔지니어링(주) 맵핑드론을 이용한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KR101896061B1 (ko) * 2018-06-15 2018-09-06 삼아항업(주) 은폐된 지형지물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203450B1 (ko) * 2020-08-19 2021-01-18 (주)태영정보시스템 드론을 통한 실시간 수집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307336B1 (ko) * 2021-06-04 2021-10-01 한국공간정보(주) 영상이미지의 오류 보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탑재하는 함체
KR102311383B1 (ko) * 2021-07-02 2021-10-13 주식회사 지오앤 드론을 이용한 오류 정보의 보정 처리가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368284B1 (ko) * 2021-07-14 2022-03-02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실시간 오류의 원격 수정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운용 시스템
KR102408570B1 (ko) * 2022-03-04 2022-06-14 (주)서원공간정보 3차원으로 건물의 입체 외곽선을 자동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84815B1 (ko) * 2022-07-25 2023-01-09 천지지에스티(주)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305B1 (ko) * 2023-04-27 2023-11-24 (주)엔토포스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05304B1 (ko) * 2023-04-27 2023-11-24 (주)엔토포스 드론을 이용하여 3d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844B1 (ko)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2699B1 (ko) 대상 객체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데이터 획득을 위한 촬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721467B1 (ko) 촬영 후 왜곡된 영상의 보정기능을 갖는 영상처리 장치
US20060197867A1 (en) Imaging head and imaging system
CN101919235A (zh) 正射影像图像的生成方法以及摄影装置
KR102203450B1 (ko) 드론을 통한 실시간 수집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450702B1 (ko) 지상면의 연직촬영 유지를 통한 고정밀 항공촬영 편집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214081B1 (ko)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CN102597871A (zh) 立体摄影用对物光学系统以及内窥镜
CN112465969A (zh) 基于无人机航拍影像数据的实时三维建模方法及系统
JPH0554128A (ja) 写真測定を使用する自動ビデオ映像データベースの生成
CN113012292B (zh) 一种基于无人机航拍的ar远程施工监控方法及系统
CN104574332A (zh) 一种机载光电吊舱用图像融合方法
CN106447735A (zh) 一种全景相机几何标定处理方法
CN115683062B (zh) 一种国土空间规划检测分析系统
KR102512694B1 (ko) 신구 공간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512695B1 (ko) 원격으로 실시간 오류 수정이 용이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515845B1 (ko)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변하는 영상이미지 정보를 신속하게 수정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N1099878A (zh) 采用主被照体对位方法的单级式三维扩印机
KR102476569B1 (ko)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US6697573B1 (en) Hybrid stereoscopic motion picture camera with film and digital sensor
CN115950435A (zh) 无人机巡检影像的实时定位方法
Karras et al. Digital orthophotography in archaeology with low-altitude non-metric images
Madani et al. DMC practical experience and accuracy assessment
CN115143941A (zh) 一种基于云平台的智能测绘3d工业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