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547B1 - An operating platform for controlling the street parking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 operating platform for controlling the street parking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547B1
KR102404547B1 KR1020200092510A KR20200092510A KR102404547B1 KR 102404547 B1 KR102404547 B1 KR 102404547B1 KR 1020200092510 A KR1020200092510 A KR 1020200092510A KR 20200092510 A KR20200092510 A KR 20200092510A KR 102404547 B1 KR102404547 B1 KR 10240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street
cctv camera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3216A (en
Inventor
허정
최영선
백두진
김영준
심용남
김순곤
김영관
정종원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20009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547B1/en
Publication of KR2022001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2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가 제공된다. 상기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는 CCTV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구역(250)에 주차하거나 또는 상기 주차구역(250)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센터 운영 서버(110); 및 상기 센터 운영 서버(1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센터 운영 서버(110)의 관리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센터 운영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A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is provided. The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is a center operation server configured to identify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or exiting from the parking area 250 based on the image taken by the CCTV camera 210 . (110); and a center operating terminal 120 that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center operating server 110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the center operating server 110 .

Description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AN OPERATING PLATFORM FOR CONTROLLING THE STREET PARKING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A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and a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변(街路邊)에 제공되는 유료주차구역의 차량번호인식, 주차구역자동감지, 주차정보제공, 주차관리, 요금정산 등에 관한 일련의 과정을 무인 자동화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과 시내 주차 관리의 편의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and a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recognition of the vehicle number of a paid parking area provided on the roadside, automatic detection of parking area, provision of parking information,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and a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that can improve both user convenience and convenience of city parking management by unmanned automation of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parking management and fee settlement.

현대인에게 자동차는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서 인식되고 있고, 등록되는 자동차의 대수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에서는 자동차 주차를 위한 공간이 부족하여, 도심지 주요 도로변에는 불법 주차 및 장기 방치 차량이 많이 있어 차량 또는 사람의 이동을 어렵게 하고 있다. The automobile is recognized as an indispensable item in life by modern people, and the number of registered automobiles is also increasing every year. In a city with a high population density, there is not enough space for car parking, and there are many illegal parking and long-term abandoned vehicles on major roads in downtown, making it difficult for vehicles or people to move.

이러한 주차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차량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노상에 주차를 허용하도록 하고 이를 관리함으로써 주변 상권도 활성화하면서 동시에 주차 질서도 유지하고자 하는 제도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arking shortage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there are many systems that allow parking on the road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ede vehicle traffic and manage it to revitalize the surrounding commercial area and maintain parking order at the same time. is being implemented

하지만, 이러한 가로변 주차 공간은 다수의 차량이 자유롭게 통행하는 도로변에 있어 출입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차 확인, 주차권 발권, 주차 요금 징수 등의 업무를 인력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가로변 주차 공간 관리의 특성 상, 야간 또는 새벽 시간에는 그 관리의 허점과 어려움이 보다 명백하게 드러나게 된다.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trol access to these roadside parking spaces on the side of the road where a large number of vehicles pass freely, it is a situation that depends only on manpower for tasks such as parking confirmation, issuance of parking tickets, and collection of parking fees.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roadside parking space management that has no choice but to rely on manpower, loopholes and difficulties in management become more evident at night or early in the morning.

최근에는 인력이 아닌 촬영 장치 등을 활용하여, 노상 주차 영역에 주차하는 차량에 대해 관리 및 운영하는 서비스가 시민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그러한 촬영 장치 기반의 가로변 주차 관리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의 (a)는 복수의 주차 구역이 가로로 나란히 배열되고 각각의 주차 구역에 대해 촬영 장치(1)가 배치되는 구성을, 그리고 도 1의 (b)는 복수의 주차 구역이 세로로 나란히 배열되고 각각의 주차 구역에 대해 촬영 장치(1)가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한다.Recently, a service for managing and operating a vehicle parked in an on-street parking area is provided to citizens by using a photographing device, etc., rather than a manpower.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oadside parking management method based on such a photographing device, and (a) of FIG. 1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are arranged horizontally side by side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1 is disposed for each parking area. , and (b) of FIG. 1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arking zones are vertically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imaging device 1 is disposed for each parking zone.

하지만, 이와 같이 주차 구역에 주차하는 차량을 근접 촬영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번호를 식별하여 주차 요금을 징수하는 등의 방식은 (i) 촬영 장치(1)와 주차 차량 사이에 방해물(예를 들어, 불법 주차된 자전거, 대형음식쓰레기봉투,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 또는 차량이 규정된 주차 영역을 이탈하여 주차하거나 또는 비스듬하게 주차하는 등 비정상적인 주차가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차량의 번호를 정확하게 식별하기가 어렵게 되고, (ii) 각 주차면마다 촬영 장치(1)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재정적 부담이 상당하게 되며, (iii) 각 촬영 장치(1)마다 주차요금정산기를 추가로 구비해야 하는 경우에 그러한 설비를 구축하기 위한 재정적 부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However, by taking a close-up shot of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number of the vehicle and collecting a parking fee is (i) an obstacle (eg, illegal) between the photographing device 1 and the parking vehicle. When there is a parked bicycle, oversized food waste bag, etc.) or abnormal parking occurs, such as when the vehicle is parked outside the prescribed parking area or parked at an angl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the number of the vehicle. (ii)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hotographing device (1) for each parking surface, so the financial burden is significant, and (iii) for each photographing device (1),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provide a parking fee calculator. The financial burden to build will increase further.

그러므로, 이러한 무인 가로변 주차관리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 인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unmanned roadside parking management method, there is a need for a new type of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tha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vehicle recognition and further improves user convenience and a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is gradually increasing.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 차량의 인식 및 식별 신뢰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reliability of parked vehicles and a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do it with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하고 무인으로 주차관리 운영을 구현함으로써 관리 및 유지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sts by furthe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implementing unmanned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and a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개입이 없이도 자동으로 주차 인식, 출차 인식 및 요금 결제를 포함하는 일련의 절차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고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series of procedures including parking recognition, exit recognition, and payment of fees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user intervention,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significantly reducing cos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ng platform and a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는,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또는 상기 주차구역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센터 운영 서버; 및 상기 센터 운영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센터 운영 서버의 관리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센터 운영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configured to identify a vehicle parked in a parking area or exiting from the parking area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a CCTV camera being a center operating server; and a center operating terminal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center operating server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the center operating server.

또한, 상기 CCTV 카메라는 이동하는 복수의 차량을 동시에 추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터 운영 서버는,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동시 추적되는 상기 복수의 차량에 대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번호를 인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CTV camera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track a plurality of moving vehicles, and the center operation server is a vehicle numb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aptured images for the plurality of vehicles simultaneously tracked by the CCTV camera. It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recognize

또한, 상기 CCTV 카메라는 상기 CCTV 카메라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거리측정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센터 운영 서버는,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주차한 차량의 정보를 판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CTV camera has a built-in distance measuring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CCTV camera and the vehicle, and the center operation server is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It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또한, 상기 주차구역에는 주차구역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터 운영 서버는, 상기 주차구역센서에 의한 감지 값에 추가로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주차한 차량의 정보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king zone may be provided with a parking zone sensor, and the center operation serv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information of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zone based on a value detected by the parking zone sensor.

또한, 상기 주차구역센서는, 각각 고유 IP 주소를 갖고 상기 주차구역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는 2개의 주차구역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king zone sensor, each having a unique IP address may include two parking zone sensors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parking zone.

또한, 상기 CCTV 카메라는, 상기 주차구역에 대해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CCTV 카메라 및 상기 주차구역에 대해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CCTV 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센터 운영 서버는, 상기 제1 CCTV 카메라에 내장된 거리측정센서 및 상기 제2 CCTV 카메라에 내장된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제1 CCTV 카메라 및 상기 제2 CCTV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차량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주차한 차량의 정보를 판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CTV camera is composed of a first CCTV camera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area and a second CCTV camera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area, and the center operation server includes th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built in 1 CCTV camera and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built in the second CCTV camera, and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by the first CCTV camera and the second CCTV camera, the It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 및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또는 상기 주차구역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상기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CCTV 카메라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And it may include a street parking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CCTV camera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or exiting from the parking area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또한, 상기 가로 주차관리 장치는, 상기 주차구역에 배치되어 상기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차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주차구역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device, disposed in the parking area may further include a parking area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또한, 상기 CCTV 카메라에는,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거리측정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CTV camera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istance measuring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from the CCTV camera.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또는 상기 주차구역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대한 상기 차량의 주차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vehicle parked in a parking area or exiting from the parking area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a CCTV camera identifying; and calculating a parking fee of the vehicle for the parking area based on the parking or exiting of the identified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인식 및 식별의 신뢰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and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vehicle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하고 무인으로 주차관리 운영을 구현함으로써 관리 및 유지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and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sts by furthe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implementing unmanned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개입이 전혀 없이도 자동으로 주차 인식, 출차 인식 및 요금 결제를 포함하는 일련의 절차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and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ies of procedures including parking recognition, exit recognition, and fee payment ar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user intervention at all. By doing so, user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노상 주차 감지를 위한 촬영 장치(1)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 주차구역센서(220) 및 주차요금정산기(230)가 주차구역(250)에 대해 배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구역(250)에 매립 설치된 주차구역센서(220)에 의해 차량(500)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를 활용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차량을 다중 추적하고 차량 번호를 인식하며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게 회원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게 주변 가로주차 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게 내 정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게 내 주차 정보 조회 및 요금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shows a photographing device 1 for general on-street parking detection.
2A and 2B respectively show schematic block diagrams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CCTV camera 210, the parking area sensor 220, and the parking fee adjuster 230 are disposed in the parking area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500 is parked by the parking area sensor 220 embedded in the parking area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multi-tracking a plurality of moving vehicles by using a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and calculating a distance from a vehicle to be.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member subscription service to a user among the services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nearby street parking information inquiry service to a user among the services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my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to a user among the services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my parking information inquiry and payment service to the user among the services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은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가로 주차관리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a에 도시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가로 주차관리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가능한 결합이 복수의 엘리먼트를 상호 연결하는 선으로서 표현된다. 2A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A ,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 a street parking management device 200 , and a user terminal 300 . have. For reference, the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the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device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shown in FIG. 2A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and such a communication possible combination is a plurality of It is expressed as a line that interconnects elements.

참고로, 도 2a에 도시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가로 주차관리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 사이의 통신은 임의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에 기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device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shown in FIG. 2A may be based on any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For example, LAN,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Wireless LAN, Wi-Fi (Wireless Fidelity), NFC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etc.,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pplicable in the art may be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는 센터 운영 서버(110)와 센터 운영 단말(1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센터 운영 서버(110)에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의 운영을 위한 센터 운영 소프트웨어(SW)가 내장될 수 있고, 가로 주차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등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may include a center operation server 110 and a center operation terminal 120 . Although not shown in FIG. 2A,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may have a center operation software (SW) for operation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built-in, and stor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street parking. A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참고로, 센터 운영 서버(110)에 구비되는 저장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a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DD (Hard Disk Drive),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lash memory, CF (Compact Flash) card, SD (Secure Digital) card, SM (Smart Media) card, MMC (Multimedia) card, or memory stick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ossible types of storage devices.

센터 운영 서버(110)의 저장부에는 가로 주차장의 위치(예를 들어, 2D 또는 3D 지도(map)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 주차 총 면수, 현재 기준 주차 가능한 면수, 주차 요금(예를 들어, 기본 요금, 추가 요금, 1일 최대 요금 등), 지형(경사도 등), 사용자 후기,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부에서 관련된 가로 주차장 정보를 리트리브(retrieve)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In the storage unit of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the location of the street parking lot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2D or 3D map), the total number of parking spaces, the number of currently available parking spaces, the parking fee (for example, For example, data such as basic fee, additional fee, maximum daily fee, etc.), topography (slope, etc.), user reviews, etc. may be stored, and in response to a search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300 , the related horizontality in the storage unit The parking lot information may be retriev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

센터 운영 서버(110)는 CCTV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과 주차구역센서(220)의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주차구역(250, 도 3 참조)에 주차하거나 또는 주차구역(250)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운영 서버(110)는 가로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210), 주차구역센서(220), 주차요금정산기(230) 등을 등록 및 관리하고 실시간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가로 주차장 현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210), 주차구역센서(220), 주차요금정산기(230) 등을 집합적으로 ‘가로 주차관리 장치(200)’의 용어로 지칭하기로 한다.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receives the image taken by the CCTV camera 210, and by analyzing the received image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arking area sensor 220, park in the parking area (250, see FIG. 3) or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vehicle taking out from the parking area 250 . In addition,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can register and manage the CCTV camera 210, the parking area sensor 220, the parking fee adjuster 230, etc. installed in the street parking lot, and monitor the real-time statu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the CCTV camera 210 , the parking area sensor 220 , the parking fee adjuster 230 , etc. installed in the street parking lot site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term 'street parking management device 200 '.

또한, 센터 운영 서버(110)는 가로 주차장 현장에 복수로 마련된 주차구역(250)에 주차하는 차량의 감지하고, CCTV 카메라(21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영상, CCTV 카메라(210)로부터 획득되는 차량 거리 정보 또는 차량 좌표 정보(상세는 이하 후술함), 주차구역센서(220)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 감지 값 등의 정보를 분석 및 처리할 수 있고, 그러한 분석 및 처리의 결과로서 각 주차구역(250)의 주차 현황, 주차 구역 별 주차 이력 조회, 주차 시간, 주차요금정산현황 등을 조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detects a vehicle parked in a parking area 250 provided in plurality at the street parking lot site, and the vehicle image received from the CCTV camera 210, the vehicle distance obtained from the CCTV camera 210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proces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r vehicle coordinate information (detailed below), a vehicl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parking area sensor 220, and as a result of such analysis and processing, each parking area 250 You can inquire the parking status of , parking history by parking area, parking time, and parking fee settlement status.

센터 운영 단말(120)은 센터 운영 서버(1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센터 운영 서버(110)의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The center operation terminal 120 may be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

가로 주차관리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을 구현하기 위해서 가로 주차장 현장에 배치되는 임의의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로 주차관리 장치(200)는 CCTV 카메라(210), 주차구역센서(220), 주차요금정산기(230), 현장 관리자 단말(2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device 200 may include any facilities disposed on the street parking lot site in order to implement the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 As show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device 200 may include a CCTV camera 210 , a parking area sensor 220 , a parking fee calculator 230 , a field manager terminal 240 , and the like.

CCTV 카메라(210)는 가로변에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되어, 이동하는 차량을 촬영하면서 추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이동하는 복수의 차량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고, 센터 운영 서버(110)는 CCTV 카메라(210)에 의해 동시 추적되는 복수의 차량에 대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 자체에 소정의 영상분석알고리즘이 미리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동시 추적되는 복수의 차량에 대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차량 번호를 통신부를 통해 센터 운영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One or more CCTV cameras 210 may be installed on the roadside to track a moving vehicle while photographing it. More preferably,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ck a plurality of moving vehicles at the same time, and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is a plurality of vehicles that are simultaneously tracked by the CCTV camera 210 .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aptured image. Alternatively, a predetermined image analysis algorithm may be pre-programmed in the CCTV camera 210 itsel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hic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aptured images for a plurality of vehicles being tracked at the same time The number may be recognized, and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CTV 카메라(210)가 차량이 감시 범위에 진입할 때부터 감시 범위를 벗어나 통과할 때까지, 그리고 감시 범위에 진입하여 주차구역(250)에 진입하여 주차를 완료할 때까지 차량의 이동을 연속해서 추적하는 방식에 기초하므로, 주차 차량이 다른 방해물에 의해 은폐되어 차량번호식별이 곤란하게 되는 일반적인 무인 노상 주차관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CCTV 카메라(210)에 의한 차량 다중 추적 및 차량 번호 인식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a 및 도 5b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CTV camera 210 when the vehicle enters the monitoring range until it passes out of the monitoring range, enters the monitoring range, enters the parking area 250, and completes parking. Since it is based on the method of continuously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until The multi-vehicle tracking and vehicle number recognition by the CCTV camera 2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below.

참고로, 가로 주차장 현장에 단일 또는 복수로 설치되는 CCTV 카메라(210)는 고유 식별자를 가질 수 있고, CCTV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측에 송신될 때에 CCTV 카메라(210)의 고유 식별자가 촬영 영상과 함께 전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센터 운영 서버(110)는 수신된 촬영 영상을 송신한 CCTV 카메라(210)의 속성(예를 들어, 위치 정보 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For reference, a single or multiple CCTV cameras 210 installed in the street parking lot site may have a unique identifier, and when the image captured by the CCTV camera 210 is transmitted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side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CTV camera 210 may be delivered together with the captured image, and accordingly,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transmits the received captured image to the properties of the CCTV camera 210 (eg, location information, etc.) can be clearly identifi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가로 주차장 현장에 단일로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CCTV 카메라(210)가 가로 주차장 현장에서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주차구역(250)에 대해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CCTV 카메라, 및 주차구역(250)에 대해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CCTV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상호 반대 방향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ingly at the street parking lot site,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CTV camera 21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t the street parking lot site. . For example,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CTV camera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area 250 , and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area 250 . It may be configured as a second CCTV camera disposed,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이와 같이 복수의, 예를 들어 2대의 CCTV 카메라(210)를 조합하여 운영하게 되면, 다수의 차량이 동시에 진입하고 단순 이동 차량과 주차 시도 차량이 혼재되는 상황에서도 특정 차량에 대해 추적 연속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차선을 따라 양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추적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CCTV cameras 210 are combined and operated, tracking continuity for a specific vehicle is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in a situation where a plurality of vehicles enter at the same time and a simple moving vehicle and a parking attempt vehicle are mixe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tracking accuracy of a vehicle moving in both directions along a lane.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210)에는 거리측정센서가 추가로 내장될 수 있고,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CCTV 카메라(210)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거리측정센서는 CCTV 카메라(210)와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거나, 또는 CCTV 카메라(210)와 별도로 추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have a built-in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CCTV camera 210 and the vehicle. For reference,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may be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CCTV camera 210 o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CCTV camera 210 .

여기서, 센터 운영 서버(110)는 CCTV 카메라(210)에 내장된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CCTV 카메라(210)와 차량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한 주차구역(250)을 보다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c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Here,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looks at the parking area 250 where the vehicle is park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CTV camera 210 and the vehicl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built into the CCTV camera 210 . It can be determined clearly,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C below.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역(250)에는 주차구역센서(2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고, 센터 운영 서버(110)는 주차구역센서(220)에 의한 차량 감지 값에 기초하여 주차구역(250)에서의 차량 주차 여부를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 주차구역센서(220)는 각각 고유 IP 주소를 갖고 주차구역(250)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는 2개의 주차구역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주차구역센서(220)의 구성, 기능 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4a 및 도 4b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 parking zone sensor 22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parking zone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is based on the vehicle detection value by the parking zone sensor 220 .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may be additionally determined. The parking zone sensor 220 may be composed of two parking zone sensors that each have a unique IP address and are installed buried in the floor of the parking zone 250.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parking zone sensor 220 are described below. 4A and 4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현장 관리자 단말(240)은 가로 주차장의 주차 관련 사항을 현장에서 모니터링하고, 장애 발생, 민원 등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관리자를 두는 경우에 해당 관리자가 소유하는 단말에 해당하고, 현장 관리자 단말(240)은 태블릿(tabl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로 주차 관련 정보를 센터 운영 서버(11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장 관리자 단말(240)을 통해 주차구역(250)의 정보가 표출될 수 있고, 이러한 주차구역(250)에 관한 정보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의 운영자가 보유 및 관리하는 정보와 실질상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장 관리자 단말(240)을 통해 주차공간 배치도, 실시간 주차 현황, 주차 구역별 이력 조회, 차량 별 주차 시간, 주차요금 정산 현황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현장 관리자 단말(240)은 센터 운영 서버(110)와 실시간 연동될 수 있다.The site manager terminal 240 corresponds to a terminal owned by the manager in the case of monitoring the parking related matters of the street parking lot on the spot, and having a manager to prepare for situations such as failures and civil complaints, and the site manager terminal 240 ) may be implemented as a tablet or the like, and street parking-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 Accordingly, information of the parking area 250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site manager terminal 240,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area 250 includes information held and managed by the operator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and It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for example, through the site manager terminal 240, the parking space layout, real-time parking status, history inquiry by parking area, parking time by vehicle, parking fee settlement status, etc. can be inquired. To this end, the site manager terminal 24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locked with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in real time.

아래 기술할 주차요금정산기(230)에는 호출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주차요금정산기(230)를 통해 호출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에 현장 관리자 단말(240)에 호출 신호가 접수되고 호출이 접수된 주차요금정산기(230)의 위치가 표시되며, 경우에 따라 호출한 사람과 통화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가로 주차장 현장에 운영 관리자를 배제하는 주차장 환경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가로 주차관리 장치(200)에 현장 관리자 단말(240)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parking rate calculator 23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mplemented to enable a call function. When a user activates the call function through the parking rate adjuster 230, a call signal is received and a call is made to the site manager terminal 240 The received location of the parking fee calculator 230 is displayed, and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a function to call the person who called. For reference, in a parking lot environment in which an operation manager is excluded from the street parking lot site, the site manager terminal 240 may not be included i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200 shown in FIG. 2A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사용자, 사용자 단말을 소지하지 않은 사용자, 등)에 현장 결제를 위해 주차요금정산기(2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if the user is unable to pay the parking fee by the application (eg, a user who does not install the application, a user terminal) A parking fee calculator 2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on-site payment to users who do not have

주차요금정산기(230)는 현장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키오스크(kiosk) 형태의 이동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주차요금정산기(230)에는 정산기 모니터(231)가 구비되어 주차 관련 정보(예를 들어, 차량 번호, 주차 위치, 주차 시간, 주차 요금, 등)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확인한 후 주차 요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주차요금정산기(230)에서 가능한 결제 방식은 현금, 신용카드, 직불카드, 교통카드, NFC 기반 스마트폰 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rking fee adjuster 23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site or installed in a kiosk type mobile. vehicle number, parking location, parking time, parking fee, etc.) may be displayed visually, and the user may perform payment of the parking fee after confirming such information. For reference, the payment methods available in the parking fee calculator 230 may include cash, credit card, debit card, transportation card, NFC-based smartphone payment,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30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개인 또는 단체의 구성원이 소유하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300)은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로부터 다양한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is a terminal owned by a member of an individual or group who wants to use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terminal 300 is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to provide Various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s may be provided from the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서 사용자에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300)은 애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회원 가입함으로써 가로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for example, a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For this purpose, the user terminal 300 operates the application market. You can receive street parking management service by downloading, installing, and registering as a member through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로 주차장의 정보(예를 들어, 가로 주차장의 위치, 주차 총 면수, 현재 기준 주차 가능한 면수, 주차 요금, 지형(경사도 등), 사용자 후기, 등)를 조회할 수 있고,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가입 시에 등록한 차량에 대해 주차 위치, 주차 시간, 요금 등이 자동으로 산출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결제 수단을 미리 등록하는 경우에 주차 요금이 자동으로 결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관련하여 이하의 도 6 내지 도 9에서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30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treet parking lot through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street parking lot, the total number of parking areas, the number of currently available parking spaces, parking fees, topography (slope, etc.), user reviews, etc.), and the parking location, parking time, fee, etc.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provided for the vehicle registered at the time of subscribing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nd the parking fe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when the payment method is registered in advance. User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allowing payment to be made with The user interface (UI)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S. 6 to 9 below.

참고로, 사용자 단말(3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단말,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수 있다. For reference, the user terminal 300 is referred to as a subscriber unit, subscriber station, mobile station, mobile terminal, remote station, remote terminal, mobile device, access terminal,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r agent, user device, or user equipment (UE). may be referred to. An access terminal is a cellular phone, cordless phon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hone, wireless local loop (WLL) station,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handheld device with wireless connectivity capability, computing device or wireless modem connected to It may be another processing device.

참고로, 도 2a에 도시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는 전국에 설치되는 모든 가로 주차장을 통합 관리하는 센터일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주차하고자 하는 지역, 위치, 장소 등과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300)은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와 통신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shown in FIG. 2A may be a center that manages all street parking lots install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us the user terminal (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가 지방자치단체가 관리 및 운영하는 센터로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각각 관리 및 운영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를 전국 단위로 통합하여 관리 및 운영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10)이 추가로 구축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 2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In this reg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er managed and operated by a local government. In this case, street parking managed and operated by each local government, respectively. A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10 that integrates and manages and operates the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nationwide may be additionally built, and a block diagram showing such a configuration is exemplarily shown in FIG. 2B .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국 단위의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10)은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도 2b에는 하나의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10)은 플랫폼 운영 서버(11)와 플랫폼 운영 단말(12)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b, the nationwid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10 may be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local government unit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and the user terminal 300, and Fig. 2b Although only one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s 100 , and the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10 is a platform operation server 11 and It may be configured as a platform operating terminal (12).

또한, 도 2b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플랫폼 운영 서버(11)에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10)의 운영을 위한 플랫폼 운영 소프트웨어(SW)가 내장될 수 있고, 가로 주차장을 관리 운영하는 지방자치단체에 관한 정보, 가로 주차 관련 정보, 데이터 등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2b , the platform operation software (SW) for the operation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10 may be built in the platform operation server 11, and to the local government that manages and operates the street parking lot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street parking-related information, data, etc.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이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한편,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가로 주차장을 관리 및 운영하는 지방자체단체 단위의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로부터 주차 관련 정보가 전국 단위의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10)에 실시간으로 전달되고(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는 전국 단위의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10)과 실시간 연동되어 있음),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10)과 통신하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I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as shown in Fig. 2a, the user terminal 300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while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s shown in Fig. 2b. ), parking-related information is delivered in real time from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of the local government unit that manages and operates the street parking lot to the nationwid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10 (for example, local government). The group unit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is interlocked with the nationwid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10 in real time), based on this, the user terminal 300 communicates with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10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is respect.

다만, 후자의 경우도 결국은 사용자 단말(300)이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로부터 주차 관련 정보를 전달 받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10)과 통신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300)이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와 사용자 단말(300) 사이의 통신으로서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However, in the latter case as well, since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parking-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in the end, in this specification, the user terminal 300 communicates with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10 .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user terminal 300 includes communicating with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and therefore,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and the user terminal 300 It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 주차구역센서(220) 및 주차요금정산기(230)가 주차구역(250)에 대해 배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도면의 방향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6개의 주차구역(250) 및 세로 방향으로 3개의 주차구역(250), 총 9개의 주차구역(250)이 마련되고, 그 중간의 코너 영역에 주차요금정산기(230)가 설치될 수 있다.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CCTV camera 210, the parking area sensor 220, and the parking fee adjuster 230 are disposed in the parking area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drawing shown in FIG. 3 , six parking areas 25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ree parking areas 25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total of nine parking areas 250 are provided, and a corner in the middle A parking fee calculator 230 may be installed in the area.

또한, 가로 방향의 타단에 제1 CCTV 카메라(210-1)가 설치되고, 가로 방향의 일단 및 세로 방향의 일단에 제2 CCTV 카메라(210-2)가 설치되며, 세로 방향의 타단에 제3 CCTV 카메라(210-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에서는, 가로 방향 6개의 주차구역(250)이 제1 CCTV 카메라(210-1) 및 제2 CCTV 카메라(210-2)에 의해 양 방향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고, 세로 방향 3개의 주차구역(250)이 제2 CCTV 카메라(210-2) 및 제3 CCTV 카메라(210-3)에 의해 또한 양 방향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CTV camera 210-1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CCTV camera 210-2 is installed at one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ird CCTV camera 210-2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CTV camera 210-3 may be installed. In this combination, the six parking areas 25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monitored in both directions by the first CCTV camera 210-1 and the second CCTV camera 210-2, and the three parking areas in the vertical direction ( 250 can also be monitored in both directions by the second CCTV camera 210 - 2 and the third CCTV camera 210 - 3 .

하지만, CCTV 카메라(210-1, 210-2, 210-3)의 이러한 배치 구성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i) 3개의 CCTV 카메라(210-1, 210-2, 210-3) 중 어느 하나의 CCTV 카메라만이 구비되어 9개의 주차구역(250) 모두를 모니터링(예를 들어, 차량 촬영 및 번호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고, (ii) 제2 CCTV 카메라(210-2)가 없이 제1 CCTV 카메라(210-1)와 제3 CCTV 카메라(210-3)가 굽어져 배치되는 9개의 주차구역(250)을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However, this arrangement of the CCTV cameras (210-1, 210-2, 210-3) is only an exampl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 three CCTV cameras (210-1, 210-) 2 and 210-3), only one CCTV camera is provided to monitor all nine parking areas 250 (eg, vehicle photographing and number identification), and (ii) a second CCTV camera ( It will also be possible to monitor the nine parking areas 250 in which the first CCTV camera 210-1 and the third CCTV camera 210-3 are arranged bent without 210-2).

또한, 도 3에는 가로 방향의 주차구역(250)과 세로 방향의 주차구역(250) 사이에 주차요금정산기(230)가 1개 배치되는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고 있지만, 주차요금정산기(230)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 및 그에 따른 서비스의 구현 환경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FIG. 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parking fee adjuster 230 is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parking area 250 and the vertical parking area 250 as an example, th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arrangement location and number may vary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and the service accor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에서는 복수의 주차구역(250)이 직선으로 배열되는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이동하는 복수의 차량을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차량 번호를 식별할 수 있고, CCTV 카메라(210)에 내장된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CCTV 카메라(210)와 차량 사이의 거리가 실시간 측정되며, CCTV 카메라(210)의 위치 및 각 주차구역(250)의 위치가 미리 센터 운영 서버(110)에 저장되어 본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가 운영되어 제공되므로, 복수의 주차구역(250)이 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굽어져 형성되는 가로 주차장, 복수의 주차구역(250)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떨어져 형성되는 가로 주차장, 등에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FIG. 3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25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s an example,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tracks a plurality of moving vehicles to identify the vehicle nu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CCTV camera 210 and the vehicle is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built into the CCTV camera 210, and the location of the CCTV camera 210 and the location of each parking area 250 are pre-center Since this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service are operated and provided by being stored in the operation server 110,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250 are not formed in a straight line, but a curved parking lot and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250 are continuous.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street parking lot formed apart without being formed as a street parking lot.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구역(250)에 매립 설치된 주차구역센서(220)에 의해 차량(500)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500 is parked by the parking zone sensor 220 embedded in the parking zone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 주차장을 구성하는 복수의 주차구역(250) 각각에 주차구역센서(220)가 구비될 수 있고,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차구역센서(220)는 주차구역(250)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는 2개의 주차구역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주차구역센서(220)는 고유 IP 주소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king zone sensor 220 may be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parking zones 250 constituting a street parking lot, and as shown in FIG. 2A , the parking zone sensor 220 is a parking lot. It may include two parking area sensors buried in the floor of the area 250 , and each parking area sensor 220 may have a unique IP address.

추가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주차구역(250)에 인접하는 도시 시설물, 예를 들어 경계석(400)에는 해당 주차구역(250)의 식별 부호, 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 주차구역표시번호(410)로서 ‘P-1’이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주차구역표시번호(410)는 주차구역(250)의 바닥면에도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주차구역(250)의 식별 부호를 표시하여 또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의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주차한 것으로 표시되는 영역이 실제 자신이 주차한 영역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urban facilities adjacent to each parking area 250 , for example, a boundary stone 400 , have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250 ,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4 . 'P-1' may be displayed as the parking zone indication number 410, and this parking zone indication number 410 may also be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zone 250. By displaying and also provid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arking area 250 as such,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area displayed as being parked by the user through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matches the area in which he or she has actually parked can be checked intuitively.

본 발명에 따르면 CCTV 카메라(210)가 차량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추적하고 차량 번호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차량이 어떠한 주차구역(250)으로 진입하고 해당 주차구역(250)으로부터 출차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주차 및 출차 여부를 주차구역센서(220)를 통해 추가로 감지하여 판단함으로써 그 인식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식 오류를 최소화(바람직하게는, 인식 오류가 없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CTV camera 210 continuously track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identifies the vehicle number to determine which parking area 250 the vehicle enters and exits from the parking area 250. , by additionally detecting and judging whether to park or exit the vehicle through the parking area sensor 220, the recognition accuracy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us the recognition error can be minimized (preferably, there is no recognition error).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주차구역센서는 각 주차구역(250)의 폭 방향으로는 중심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는 차량의 길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고, 도 4b와 같이 차량(500)이 주차구역(250)에 진입하여 주차를 하게 되면 2개의 주차구역센서 모두에 의해 차량(500)이 감지됨으로써 해당 주차구역(250)에 차량(500)이 주차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two parking zone sensors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dispos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parking zone 250 and disposed inside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b. When 500 enters the parking area 250 and parks, the vehicle 500 is detected by both of the two parking area sensors,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500 is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250. have.

예를 들어, 주차구역센서(220)는 소정의 광을 방출하고 방출된 광이 반사되어 복귀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차량(500)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차량(500)이 주차구역(250)에 주차하였다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주차구역센서(220)의 일 방식에 불과하며 다른 방식, 기능, 원리에 의해 차량이 주차구역(250)에 주차하였다고 감지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parking area sensor 220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500 is parked based on the time when a predetermined light is emitted and the emitted light is reflected and returned. ) is only one method of the parking area sensor 220 for detecting the state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and it can also be detect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by other methods, functions, and principles. .

여기서, 주차구역센서(220)를 각 주차구역(250)에 단지 1개만 매립하여 설치하는 경우 보행자, 오토바이, 기타 장해물 등에 의해 감지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주차구역센서(220)를 각 주차구역(250)의 바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립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소정의 간격은 주차 가능한 모든 차량의 길이를 포괄할 수 있는 간격(예를 들어, 앞 좌석 중간 영역 및 뒤 좌석 중간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등)으로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Here, when only one parking area sensor 220 is buried in each parking area 250 and installed, a detection error may occur due to pedestrians, motorcycles, other obstacles, et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parking zone sensor 220 buried in the floor of each parking zone 25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re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an interval (for exampl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iddle area of the front seat and the middle area of the rear seat, etc.) can be set in advance.

센터 운영 서버(110)는 주차구역센서(220)의 감지 값에 기초하여 주차구역(250)에서의 차량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센터 운영 서버(110)는, 2개의 주차구역센서(220)의 감지 값이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30초, 1분 등) 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차량이 주차구역(250)에 주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 값과 함께 송신되는 각 주차구역센서(220)의 IP 주소 값을 통해 해당 주차구역(250)의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parking area sensor 220, where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includes two parking area sensors ( 220) is maintained in an ON state for a preset period (eg, 30 seconds, 1 minute, etc.),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and the detected value and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250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through the IP address value of each parking area sensor 220 transmitted together.

따라서, 2개의 주차구역센서(220)에서 매우 짧은 시간(예를 들어, 5초)에만 차량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차를 하고자 주차구역(250)에 진입하였으나 갑자기 다른 용무로 이탈하는 경우, 등)에는 해당 주차를 정상 주차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2개의 주차구역센서(220) 중에서 1개의 주차구역센서에서만 감지 값이 수신되는 경우 이를 비정상 주차로 인식(예를 들어, 쓰레기가 주차구역센서(220) 위에 배치되는 경우, 등)로 인식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후속 처리를 요청할 수도 있다. Therefore, when vehicle parking is detected only for a very short time (eg, 5 seconds) by the two parking zone sensors 220 (eg, the user enters the parking zone 250 to park, but suddenly other business , etc.), the corresponding parking may not be judged as normal parking, or if a detection value is received from only one parking zone sensor among the two parking zone sensors 220, it is recognized as abnormal parking (for example, For example, when garbage is disposed on the parking area sensor 220, etc.), it may be recognized and notified to the manager to request subsequent processing.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를 활용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차량을 다중 추적하고 차량 번호를 인식하며 차량(500)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5a to 5c illustrate a configuration for multi-tracking a plurality of moving vehicles using a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and calculating a distance from the vehicle 500 It is an example diagram for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가로 변에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되어, 이동하는 차량을 촬영하면서 추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이동하는 복수의 차량을 동시에 추적하면서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One or more CCTV cameras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and can be tracked while photographing a moving vehicle.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5a,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a vehicle number while simultaneously tracking a plurality of moving vehicles.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차량검지기(VDS; vehicle detection system)와 차량번호인식장치(AVI;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의 기능이 통합된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약 30 내지 50 미터의 식별 범위를 갖고 건물 5층 내지 8층의 높이에 설치되어 촬영 범위 내에 이동하는 차량을 동시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CCTV 카메라(210)의 식별 범위, 및 설치 높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또는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For example,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in which the functions of a vehicle detection system (VDS) and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AVI) are integrated. For reference,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dentification range of about 30 to 50 meters and is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5th to 8th floors of the building and can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track vehicles moving within the shooting range, but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identification range, and installation height, of the camera 210 may vary according to or according to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210)가 촬영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차량 3대를 연속적으로 추적하면서 촬영하고, 동시에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예를 들어, 12가3456, 78나9012, 34다5678 등)를 인식할 수 있다. 참고로, CCTV 카메라(210) 자체에서 소정의 영상분석알고리즘을 통해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고, CCTV 카메라(210)는 촬영 영상을 센터 운영 서버(110)로 송신하고 센터 운영 서버(110)에서 수신된 차량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식별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CCTV 카메라(210)의 해상도, 성능 등을 높게 구현하면, 눈/비가 많이 오는 기상 환경에서도, 그리고 야간 환경에서도 이동하는 복수의 차량을 연속적으로 추적하면서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example of Figure 5a,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ots while continuously tracking three moving vehicles within the shooting range, and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eg, 12 is 3456, 78 or 9012, 344 5678, etc.) can be recognized. For reference,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vehicle number by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through a predetermined image analysis algorithm in the CCTV camera 210 itself, and the CCTV camera 21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and the center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vehicle number by analyzing the vehicle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10 . If the resolution, performance, etc. of the CCTV camera 210 is high,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while continuously tracking a plurality of moving vehicles even in a weather environment with a lot of snow/rain and in a night environment.

그리고,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주차구역(200)에 대해 제1 방향에 배치되는 CCTV 카메라와, 주차구역(200)에 대해 제2 방향에 배치되는 CCTV 카메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주차구역(250)에 대해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5b,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CTV camera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area 200, and the second with respect to the parking area 200 It may consist of a CCTV camera disposed in th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parking areas 250 as shown in FIG. 5B .

복수의, 예를 들어 2개의 CCTV 카메라(210) 각각은 이동하는 복수의 차량을 연속적으로 추적하면서 차량 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후 방향에 배치되는 CCTV 카메라(210)로 영상 촬영 및 번호 식별을 구현하는 경우에, 차량이 다른 방해물에 의해 은폐됨으로써 차량번호식별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차량이 동시에 진입하고 단순 이동 차량과 주차 시도 차량이 혼재되는 다소 복잡한 상황에서도 특정 차량에 대한 추적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차선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추적 정확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CCTV cameras 210 each can identify a vehicle number while continuously tracking a plurality of moving vehicles. Therefore, in the case of implementing image shooting and number identification with the CCTV camera 210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problem that the vehicle number identification becomes difficult because the vehicle is concealed by other obstacles. Howev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racking continuity for a specific vehicle even in a rather complicated situation where multiple vehicles enter simultaneously and a simple moving vehicle and a parking attempt vehicle are mixed,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tracking accuracy of vehicles moving in both directions along a lane. can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에는 거리측정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거리측정센서를 활용하여 주차 차량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는 실시예가 도 5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In addition, the CCTV camera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distance measuring sensor.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exact location of a parked vehicle using such a distance measuring sensor is exemplified in FIG. 5C . is shown as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CCTV 카메라(210)는 내부에 내장된 거리측정센서를 활용하여 CCTV 카메라(210)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거리측정센서는 CCTV 카메라(210)를 통해 인식되는 차량(500)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범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c, the CCTV camera 210 can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CCTV camera 210 and the vehicle by using a distance measuring sensor built therein. For example,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a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position of a range set based on the size of the vehicle 500 recognized through the CCTV camera 210 .

센터 운영 서버(110)의 저장부(미도시)에는 가로 주차장을 구성하는 CCTV 카메라(210)의 고유 식별자(예를 들어, IP 등) 정보 및 위치 정보, 그리고 주차구역(250)의 위치 정보가 모두 저장되어 있고, 따라서 센터 운영 서버(110)는 특정 CCTV 카메라(210)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영상으로부터 해당 차량이 어떠한 주차구역에 주차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not shown) of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contains unique identifier (eg, IP, et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CTV camera 210 constituting the street parking lo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area 250 . All are stored, and therefore,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can easily determine in which parking area the vehicle is parked from the vehicl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CCTV camera 210 .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CCTV 카메라(210)에 좌표측정센서가 내장될 수 있고, 좌표측정센서는 CCTV 카메라(210)를 기준으로 차량(500)의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주차구역(250)에 대해 직선 방향뿐만 아니라 주차구역(250)에 대해 수직인 방향까지 차량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주차 인식 정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For refer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rdinate measuring sensor may be built in the CCTV camera 210, and the coordinate measuring sensor may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vehicle 500 based on the CCTV camera 21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parking recognition accuracy by accuratel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not only in a stra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area 250 but also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rking area 25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게 회원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주차장 서비스가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회원 가입의 서비스가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membership service to a user among the services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et park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application, among which the service of membership is exemplarily shown in FIG. 6 .

애플리케이션 마켓 등을 통해 사용자는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회원 가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운로드받은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아이콘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300)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고(도 6의 (a) 참조), 사용자가 회원 가입의 항목을 터치하면(도 6의 (b) 참조),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회원 가입을 위한 복수의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도 6의 (c) 참조).A user may download and install a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through an application market, etc., and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membership registr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 As shown in Fig. 6, the downloaded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300 in the form of a specific icon (see Fig. 6 (a)), and when the user touches an item of membership registration (See Fig. 6 (b)), a plurality of items for membership subscription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service may be displayed (see Fig. 6 (c)).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회원 가입을 위해 도 6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번호, 차종, 할인대상여부, 결제 수단 등을 등록할 수 있다. 도 6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회원 가입을 위한 사용자가 개인인지 또는 단체의 구성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단체의 구성원으로서 등록하는 경우에 (i) 사용자가 해당 단체의 구성원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ii) 입력 차량이 해당 단체의 등록 차량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iii) 입력 결제 수단이 해당 단체가 보유하는 결제 수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c) of FIG. 6 for registering as a member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service, it is possible to register a vehicle number, a vehicle model, whether or not to receive a discount, a payment method, and the like.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6 ,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the user for membership registration is an individual or a member of a group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and the user is a member of the group In the case of registration, (i) verifying whether the user is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ii) verifying whether the input vehicle is a registered vehicle of the organization, (iii) the input payment method is A step of verify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payment method, etc.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또한, 회원 가입 시에 사용자에게 주차 요금 등의 확인 과정을 거칠 것인지 문의하는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운영 및 관리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는 사용자가 본 서비스에 회원 가입을 할 때에 실제 가로 주차장 현장에서 주차구역, 주차시간, 주차요금 등을 확인한 후에 미리 설정한 결제 수단을 통해 최종 결제를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주차구역, 주차시간, 주차요금 등의 확인 과정이 없이도 미리 설정한 결제 수단을 통해 요금 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 interface for inquiring whether to go through a process of checking parking fees, etc.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user at the time of membership registration. For example,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which operates and manages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service, checks the parking area, parking time, parking fee, etc. at the actual street parking lot site when the user signs up for this service. Allows the user to select whether final payment is made through a preset payment method or whether to automatically make payment through a preset payment method without checking the parking area, parking time, parking fee, etc. You may.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게 주변 가로주차 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7A and 7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nearby street parking information inquiry service to a user among the services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는 특정 지역에 국한함이 없이 전국의 모든 무인 가로 주차장을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도 7a의 (a) 참조)), 가로 주차 구역의 정보를 확인을 요청하면(도 7a의 (b) 참조),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와 매칭하는 가로 주차장 정보가 도 7a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and operate all unmanned street parking lots nationwide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area. Therefore, when the user executes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see (a) of Fig. 7a) and requests to confirm the information of the street parking area (see (b) of Fig. 7a), matching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Street park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 as shown in FIG. 7A (c).

도 7a의 (c)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하여 주변의 가로 주차장을 검색하여 제공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목적지 기반 가로 주차장의 정보, 키워드 기반 가로 주차장의 정보, 품평 기반 가로 주차장의 정보, 등 다양한 검색 조건에 따라 가로 주차장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In (c) of FIG. 7a, a screen provided by searching for a nearby street parking lot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merely shown by way of example, and information on a destination-based street parking lot, information on a keyword-based street parking lot, and evalua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arch for a street parking lot according to various search conditions, such as information on the base street parking lot,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300 .

도 7a의 (c)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면서 동시에 그에 가장 인접한 단일 또는 복수의 가로 주차장이 표시되는데, 사용자는 특정 가로 주차장의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이 도 7b에 도시된다.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가로 주차장의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가로 주차장의 세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데, 가로 주차장의 세부 정보는 예를 들어 구역 명칭, 총 주차 면수, 현재 주차 가능 면수, 주차 요금(기본 요금, 추가 요금, 1일 최대 요금, 등), 지형(경사도 등), 사용자 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c) of Figure 7a,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displayed and at the same time a single or a plurality of street parking lots closest to it are displayed. The user can check detailed information of a specific street parking lot, which is shown in Figure 7b. As shown in FIG. 7B , when a user clicks an icon of a specific street parking lo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treet parking lot may be provid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treet parking lot includes, for example, a zone name, the total number of parking spaces, and the number of currently available parking spaces. , parking fees (base rate, surcharge, maximum daily rate, etc.), terrain (slope, etc.), user reviews, etc.

또한,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특정 주차구역(250)의 실시간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주차구역(250) 별 주차 이력 정보를 또한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별 주차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the drawings,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real-time park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parking area 250 , and also provides park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area 250 . and can provide park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게 내 정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my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to a user among the services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가로 주차관리 애프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회원 가입을 기술하였고, 필요에 따라 등록한 정보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가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In Fig. 6, the user membership registration for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service is described, and when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registered information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for modifying user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such an interface is exemplarily shown in FIG. 8 .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도 8의 (a) 참조), 내 정보관리 항목을 실행함으로써(도 8의 (b) 참조),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한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도 8의 (c) 참조), 수정된 회원 정보는 센터 운영 서버(110)의 저장부에 함께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에(즉, 센터 운영 서버(110)에) 등록한 차량을 다른 차량으로 변경할 수 있고, 결제 수단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현장주차정보 확인 후 결제/확인 과정 없이 자동 결제의 선택 항목을 변경할 수도 있다. The user executes the downloaded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see Fig. 8 (a)), and by executing my information management item (see Fig. 8 (b)), at least on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It may be modified and stored (refer to (c) of FIG. 8 ), and the modified member information may be updated together with the storage unit of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 For example, the user may change the vehicle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that is, in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to another vehicle, change the payment method, and select automatic payment without payment/confirmation after checking on-site parking information You can also change item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게 내 주차 정보 조회 및 요금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my parking information inquiry and payment service to the user among the services of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자창의 주차구역(250)에 차량(500)을 주차한 사용자는 ‘내 주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도 9의 (a) 참조), 그에 응답하여 센터 운영 서버(110)는 해당 사용자 차량의 주차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예를 들어, 도 9의 (b)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 차량이 주차된 위치가 특정한 컬러로서 표시될 수 있고, 주차한 차량 번호, 주차한 주차 구역, 주차 시작 시간 등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A user who parks the vehicle 500 in the parking area 250 of the horizontal main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my parking information' (refer to FIG. 9 (a)), and in response to that, operate the center The server 110 may provide parking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to the user terminal 300 (refer to (b) of FIG. 9). For example, as exemplarily shown in FIG. 9B , the location where the user's vehicle is currently parked may be displayed as a specific color, and the number of the parked vehicle, the parked parking area, the parking start time, etc.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확인 버튼을 클릭할 수 있으며, 차량 주차가 개시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분)이 경과하였지만 사용자의 확인이 없는 경우 주차 구역/주차 시작 시간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즉, 그 값으로 확정될 수 있다, 도 9의 (c) 참조). The user can click the OK button if the provided information matches, and if a preset time (for example, 30 minutes) has elapsed since vehicle parking started, but there is no confirmation from the user, the parking area/parking start time will be deactivated. It may be possible (ie, it may be determined by the value, see FIG. 9(c)).

도 9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로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경우 주차 종료 시간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주차 요금을 미리 등록한 결제 수단을 통해 지불함으로써 주차 요금의 결제가 이루어진다. As shown in (c) of FIG. 9 , when the user leaves the street parking lot, the parking end time is checked, and the parking fee is paid accordingly by paying the parking fee through a pre-registered payment means.

도 9의 예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에 주차 구역 확인, 주차 시작 시간 확인, 주차 종료 시간 확인을 거쳐 최종 요금 결제까지 진행하는 과정을 선택한 경우에 해당하는 서비스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에 이러한 주차 관련 정보 확인이 없이 자동으로 비용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선택하였다면 사용자가 주차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출차를 하게 되면 이러한 확인 과정이 없이 사전 등록된 결제 수단을 통해 비용이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본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example of FIG. 9 is a service corresponding to a case in which the user selects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parking area, confirming the parking start time, confirming the parking end time, and then proceeding to the final fee payment at the time of membership registration. If you choose to automatically pay the fee without checking the parking-related information, when the user parks and exits the vehic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fe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through the pre-registered payment method without such verification process This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may be implemented as much as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인식 및 식별의 신뢰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and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vehicle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하고 무인으로 주차관리 운영을 구현함으로써 관리 및 유지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and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sts by furthe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implementing unmanned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개입이 전혀 없이도 자동으로 주차 인식, 출차 인식 및 요금 결제를 포함하는 일련의 절차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and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ies of procedures including parking recognition, exit recognition, and fee payment ar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user intervention at all. By doing so, user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가로 주차관리 운영 플랫폼
11: 플랫폼 운영 서버
12: 플랫폼 운영 단말
100: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
110: 센터 운영 서버
120: 센터 운영 단말
200: 가로 주차관리 장치
210: CCTV 카메라
220: 주차구역센서
230: 주차요금정산기
240: 현장 관리자 단말
250: 주차구역
300: 사용자 단말
1000: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
10: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platform
11: Platform Operation Server
12: platform operating terminal
100: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10: center operation server
120: center operating terminal
200: street parking management device
210: CCTV camera
220: parking area sensor
230: parking fee calculator
240: field manager terminal
250: parking area
300: user terminal
1000: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Claims (10)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로서,
거리측정센서를 내장하는 CCTV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구역(250)에 주차하거나 또는 상기 주차구역(250)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센터 운영 서버(110); 및
상기 센터 운영 서버(1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센터 운영 서버(110)의 관리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센터 운영 단말(120)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운영 서버(110)는, 상기 CCTV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250)에 주차한 차량의 정보를 판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As a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A center operation server 110 configured to identify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or exiting from the parking area 250 based on the image taken by the CCTV camera 210 having a built-in distance measurement sensor; and
Doedoe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including a center operation terminal 120 configured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for the vehicle from the image taken by the CCTV camera 210, an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210)는 이동하는 복수의 차량을 동시에 추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터 운영 서버(110)는, 상기 CCTV 카메라(210)에 의해 동시 추적되는 상기 복수의 차량에 대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번호를 인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CCTV camera 210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track a plurality of moving vehicles,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is further configured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aptured images for the plurality of vehicles simultaneously tracked by the CCTV camera 210,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구역(250)에는 주차구역센서(220)가 구비되고,
상기 센터 운영 서버(110)는, 상기 주차구역센서(220)에 의한 감지 값에 추가로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250)에 주차한 차량의 정보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king area 250 is provided with a parking area sensor 220,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information of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based on a value detected by the parking area sensor 220,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구역센서(220)는, 각각 고유 IP 주소를 갖고 상기 주차구역(250)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는 2개의 주차구역센서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arking area sensor 220 includes two parking area sensors each having a unique IP address and installed in the floor of the parking area 250,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210)는, 상기 주차구역(250)에 대해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CCTV 카메라 및 상기 주차구역(250)에 대해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CCTV 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센터 운영 서버(110)는, 상기 제1 CCTV 카메라에 내장된 거리측정센서 및 상기 제2 CCTV 카메라에 내장된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제1 CCTV 카메라 및 상기 제2 CCTV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차량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250)에 주차한 차량의 정보를 판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CCTV camera 210 is composed of a first CCTV camera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area 250 and a second CCTV camera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area 250,
The center operation server 110,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built in the first CCTV camera and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built in the second CCTV camera, and the first CCTV camera and the second CCTV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information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based on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by the camera,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제 1 항에 따른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 및
주차구역(250)에 주차하거나 또는 상기 주차구역(250)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상기 가로 주차관리 운영 센터(1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CCTV 카메라(210)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장치(200)
를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reet parking management device 200 including a CCTV camera 210 configured to photograph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250 or exiting from the parking area 250 and transmit it to the street parking management operation center 100 . )
containing,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주차관리 장치(200)는, 상기 주차구역(250)에 배치되어 상기 주차구역(250)에 주차하는 차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주차구역센서(220)를 더 포함하는,
가로 주차관리 시스템(100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rizontal parking management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parking zone sensor 220 disposed in the parking zone 250 and configured to detect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zone 250 ,
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0).
삭제delete 거리측정센서를 내장하는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구역에 주차하거나 또는 상기 주차구역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주차한 차량의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 ―; 및
상기 식별된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대한 상기 차량의 주차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Identifying a vehicle parked in a parking area or exiting from the parking area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a CCTV camera having a built-in distance measuring sensor - The identifying step is performed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CCTV camera.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for a vehicle, and determining information of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nd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Calculating a parking fee of the vehicle for the parking area based on the parking or exiting of the identified vehicle;
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is recorde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200092510A 2020-07-24 2020-07-24 An operating platform for controlling the street parking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4045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10A KR102404547B1 (en) 2020-07-24 2020-07-24 An operating platform for controlling the street parking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10A KR102404547B1 (en) 2020-07-24 2020-07-24 An operating platform for controlling the street parking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216A KR20220013216A (en) 2022-02-04
KR102404547B1 true KR102404547B1 (en) 2022-06-02

Family

ID=8026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510A KR102404547B1 (en) 2020-07-24 2020-07-24 An operating platform for controlling the street parking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54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70B1 (en) * 2000-10-19 2003-05-14 한명국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and manless parking control method
KR101448804B1 (en) * 2013-03-15 2014-10-15 (주)나노디지텍 Apparatus for parking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KR20180014455A (en) * 2016-08-01 2018-02-09 블락스톤(주) Parking management system at on-street parking lot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216A (en)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0634A1 (en) Tolling with vehicle tracking
US9607214B2 (en) Tracking at least one object
US6340935B1 (en) Computerized park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20170323227A1 (en) System for managing parking spa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er vision
US20160140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Tracking
CA2843287C (en) Method of using virtual gantries to optimize the charging performance of in-vehicle parking systems
KR102187313B1 (en) A shar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WO20202499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ntrol of street occupancy by a vehicle
US20140344026A1 (en) Unifi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optical data processing
CN113744420B (en) Road parking charge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80110114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US20170046545A1 (en) Mobile system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the fee for the use of regulated parking spaces
AU2017204377A1 (en) Vehicle parking
KR102404547B1 (en) An operating platform for controlling the street parking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40035666A (en) Auto charges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traffic lane
KR102187314B1 (en) A shar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2320495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ying Parking Lot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1831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ars in parking lot using laser sensor
KR102214846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GPS and GPS unit for it
KR102432181B1 (en) Shar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Wilmot et al. Louisiana Transportation Research Center
CN117133145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and reversely searching vehicles based on LSTM network
CN116824715A (e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CN111726424A (en) Vehicle cloud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lligen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