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044B1 -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044B1
KR102387044B1 KR1020167028883A KR20167028883A KR102387044B1 KR 102387044 B1 KR102387044 B1 KR 102387044B1 KR 1020167028883 A KR1020167028883 A KR 1020167028883A KR 20167028883 A KR20167028883 A KR 20167028883A KR 102387044 B1 KR102387044 B1 KR 102387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delete delete
cannabis
cannabinoid
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755A (ko
Inventor
윌리엄 레빈
사뮤엘 코헨
Original Assignee
이준 파마슈티컬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파마슈티컬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이준 파마슈티컬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4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3Albumins, e.g. HSA, BSA, ovalbumin or a Keyhole Limpet Hemocyanin [KH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61P25/12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for grand-m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체예는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관계하는데, 이들 방법은 칸나비노이드 또는 대마초를 대마초 연기, 대마초 증기, 칸나비노이드 용액 및 대마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에서 획득하고, 그리고 대마초 연기, 증기, 칸나비노이드 용액 또는 대마초 추출물을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과 합동하여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는 혈장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 및 혈장 단백질에 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계한다.

Description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조성물{PROTEIN-BOUND CANNABINOID COMPOSITIONS}
관련된 출원
본 출원은 35 U.S.C. 119(e) 하에, 2014년 3월 18일자 제출된 U.S. 가출원 61/954,634, 그리고 2014년 12월 24일자 제출된 U.S. 가출원 62/096,558에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의 공개는 본원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의 구체예는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계한다.
배경
대마초는 종 칸나비스 사티바 (Cannabis sativa), 칸나비스 인디카 (C. indica), 그리고 칸나비스 루델랄리스 (C. ruderalis)를 포함하는 식물의 속이다. 대마초 식물은 섬유 제조 (hemp), 약용 이용 및 기분 전환 약물 이용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를 위해 재배되었다. 대마초는 또한, 마리화나로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대마초가 많은 국가에서 약용 용도 (의학적 마리화나로서 또한 알려져 있음)에 이용되는 가장 흔한 방식 중에서 한 가지는 연기흡입을 통한다. 마리화나를 연기흡입하는 것은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흡입 전 물을 통해 연기를 여과하는 수관 (마리화나용 물파이프로서 또한 알려져 있음)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종이에 말아 마리화나 담배 (구어적으로 "조인츠 (joints)"로서 또한 알려져 있음)를 형성함으로써 전형적으로 수행된다. 연기흡입에 전형적으로 이용되는 상기 식물의 부분은 전체 꽃 및 발아 잎이다.
칸나비노이드는 인간에서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에 활성인 화합물이다. 피토-칸나비노이드로서 또한 알려져 있는 식물 기원의 칸나비노이드는 대마초 속의 식물에서 풍부하다. 칸나비스 사티바 (Cannabis sativa) 내에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2가지 알려진 칸나비노이드는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산 (THCA) 또는 이의 탈카르복실화된 산물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THC) 및 칸나비디올산 (CBDA) 또는 이의 탈카르복실화된 산물 칸나비디올 (CBD)이다. 많은 칸나비노이드의 항정신성 효과 및 다른 의학적 효과가 연구되었다. 가령, THC는 항정신성 (진정) 효과, 진통 효과, 항산화 효과 및 식욕 증가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CBD는 정신분열병 및 파킨슨병을 앓는 환자에서 신경보호 효과 및 개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 칸나비노이드, 활성 대마초 화합물 및 이들의 효과는 본원에 참조로서 편입된 ElSohly et al.에서 개시된다.
칸나비노이드에 더하여, 테르펜 및 플라보노이드가 대마초 종 내에 존재한다. 일부 테르펜은 생물학적 효과를 갖고, 그리고 대마초 식물 물질의 약리학적 효과의 일부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마초 식물 물질 내에 존재하는 예시적인 테르펜은 베타-미르센 및 알파-피넨을 포함한다. 테르펜 및 그들의 정체는 본원에 참조로서 편입된 Casano et al.에서 더욱 설명된다.
비록 대마초의 개별 화학적 성분이 단리되긴 했지만, 많은 사법당국은 다양한 징후를 위한 의학적 대마초 식물 물질의 이용 및 판매를 승인한다.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의학적 대마초의 잠재적 이익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통증 경감, 예를 들면, 만성 통증 또는 암 관련된 통증, 신경병성 통증; 예로서, HIV/AIDS를 앓는 환자에서 및 화학요법을 제공받는 환자에서 식욕의 결여 및 메스꺼움;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면, 다발성 경화증; 간질; 녹내장; 신경변성 질환 및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TSD). (Greydanus, 2013) 염증성 질환, 예를 들면, 크론병은 다른 징후인데, 여기서 대마초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Naftali, 2011)
의학적 대마초를 연기흡인하는 것은 비록 일정한 징후에서 유익한 것으로 증명되긴 했지만, 단점이 있다. 대마초는 식물이기 때문에, 연기흡입되는 상기 식물의 부분에서 활성 성분의 양이 식물의 부분에 따라 및 식물마다 상이할 수 있다. 변하는 성장 조건 (가령, 식물이 하루에 제공받는 햇볕의 양, 또는 온도)은 대마초 성장 시설에서 변할 수 있고, 따라서 활성 성분의 농도가 1년의 과정 동안 변하는 산물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의학적 대마초를 이용하여 치료되는 환자는 활성 칸나비노이드의 적절한 투약에 대한 제어를 결여할 수 있다.
의학적 대마초를 연기흡입하는 것의 다른 단점은 대마초 연기의 성분 중에서 일부의 부정적인 충격이다. 상기 식물 물질로부터 연기는 원하는 칸나비노이드에 더하여 발암물질원을 포함할 수 있다. (Melamede, 2005) 이에 더하여, 연기흡입을 통한 심한 대마초 이용은 가속된 폐 감퇴와 연관되었다. (Pletcher, 2012)
아편은 파파베르 솜니페름(Papaver somniferum)으로서 알려져 있는 아편 양귀비 식물의 꽃눈의 수지로부터 획득되는 자연발생 라텍스이다. 아편 및 아편 양귀비로부터 다른 식물 물질은 예로서, 모르핀 및 코데인을 비롯하여, 아편유사제로서 알려져 있는 많은 제약학적으로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아편은 고대뿐만 아니라 현세에서 이용되는 약물인데, 그 이유는 모르핀이 다양한 징후에서 효과적이고, 그리고 환자에서 진통을 제공하고, 다양한 유형의 통증을 치료하고, 숨가쁨을 경감하는데 효과적이다. 아편은 아편을 가열함으로써 및 연기 또는 증기를 차후 흡입함으로써 연기흡입 또는 기화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아편 양귀비 식물 물질의 연기흡입 및/또는 기화에 의한 아편 투여는 대마초에 대하여 앞서 다뤄진 바와 같이, 연기흡입의 부작용뿐만 아니라 투약에 대한 제어의 결여로 인해 불리할 수 있다.
요약
본 발명의 구체예는 대마초 식물 또는 대마초 식물로부터 유래된 연기의 칸나비노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런 조성물은 혈장 단백질 및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연기/증기 사이에 상호작용을 모의할 수 있다. 이런 조성물은 환자가 대마초를 연기흡입하고, 따라서 대마초 연기 흡입과 연관된 유해한 효과를 경험해야 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있다. 이런 조성물을 만들기 위한 방법 역시 본원에서 제공된다. 신규한 조성물은 수용성이고, 인간에 의한 투여 및 급속한 흡수를 위한 품질 관리되고, 정확하게 투약되는 제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허용한다. 이들 조성물은 환자가 계측된 양의 활성 칸나비노이드 또는 복수의 칸나비노이드의 조합, 또는 대마초 식물에서 다른 활성 화합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특징화되고 정량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대마초 연기와 연관된 약리학적 이익과 유사한 약리학적 이익을 대마초 연기 흡입과 연관된 유해한 효과 없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의 양상은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제조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대마초 식물 물질을 가열하여 연기 및/또는 증기를 형성하고, 그리고 연기 및/또는 증기를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에 도입한다. 추가 구체예는 대마초로부터 활성 칸나비노이드의 단리를 위한 방법에 관계하고,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대마초 식물 물질을 가열하여 연기 및/또는 증기를 형성하고, 그리고 연기 및/또는 증기를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에 도입한다.
본 발명의 추가 구체예는 용매에 용해된 대마초 추출물 또는 가열된 대마초 추출물 또는 대마초 연기/증기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조성물에 관계한다. 대마초 추출물은 이것이 유래되는 식물 물질로부터 유래된 복수의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대마초 추출물은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를 수성 단백질에 결합하기 위해 수성 단백질과 합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수성 매체에서 단백질에 결합된 칸나비노이드 또는 최소한 2개의 칸나비노이드,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칸나비노이드 일반적으로, 물에서 매우 낮은 용해도를 갖는다. 이러한 속성은 이전에, 대마초에 기초된 수성 제약학적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유발하였다. 물에서 칸나비노이드의 낮은 용해도 때문에, 대마초 추출물 또는 연기/증기를 수성 매체 내로 단순히 도입하는 것은 수성 매체에서 칸나비노이드의 용해를 유의미하게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한편, 대마초 추출물 또는 연기/증기의 도입 전에 혈장 단백질, 예를 들면, 알부민이 수성 매체 내로 도입될 때, 활성 칸나비노이드는 상기 단백질에 의해 결합되고 수성 용액에서 용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단백질에 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은 그 내에 개별 칸나비노이드의 정체 및 양을 결정하기 위해 정제되고 및/또는 정량될 수 있다. 서로로부터 칸나비노이드의 분리가 또한, 이후 수행될 수 있다.
혈장 단백질은 소수성 분자, 예를 들면, 약물, 호르몬 또는 소수성 아미노산에 친화성을 갖는 영역을 보유한다. 이론에 한정됨 없이, 대마초 연기/증기가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에 도입될 때, 혈장 단백질은 연기/증기 내에 칸나비노이드에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된다. 대마초 추출물이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에 도입될 때, 혈장 단백질은 추출물 내에 칸나비노이드에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더욱 제안된다. 결과의 수성 용액은 이후, 대마초 추출물 또는 연기/증기에서 기원하고 수성 용액에서 용해되었던 비-결합된 화학적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정제될 수 있다. 단백질, 그리고 특히 혈장 단백질, 예를 들면, 알부민, 지질단백질, 당단백질, 그리고 α, β와 γ 글로불린에 의해 결합되는 칸나비노이드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신체 내로 도입될 수 있다. 혈장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이후, 혈장 내에서 순환하고, 그리고 특수한 혈장 단백질 수용체와 상호작용하거나 또는 신체 내에서 칸나비노이드를 방출하여, 원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제공한다. 혈장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대마초 연기의 흡입과 연관된 유해한 효과 없이, 이것이 기원한 대마초 연기/증기와 실제적으로 동등한 또는 이보다 큰 상이한 약리학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혈장 단백질은 완전한 혈장 단백질 또는 혈장 단백질의 부분을 포함하는 펩티드를 통합할 수 있다. 혈장 단백질의 부분은 칸나비노이드를 흡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혈장 단백질은 자연발생 혈장 단백질의 변이체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혈장 단백질에 연결된 표적화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표적화 혈장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에 관계한다. 표적화 모이어티는 환자 내에 일정한 장기 또는 세포 유형에서 우세를 갖는 리간드에 결합하는 분자일 수 있다. 가령, 리간드는 암에서 유력하고 비-암 세포에서 덜 유력한 리간드일 수 있다. 이런 구체예의 이점은 혈장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특정한 장기 또는 세포 유형으로 표적화하거나 또는 칸나비노이드가 중추신경계로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는 능력이다.
이론에 한정됨 없이, 환자가 대마초 식물 물질을 연기흡입할 때, 환자의 폐 내로 도입되는 연기/증기에서 칸나비노이드는 환자의 혈류 내로 흡수되고 혈장 단백질에 의해 운반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제안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활성 칸나비노이드가 환자의 혈류 내에서 혈장 단백질에 의해 결합되고 쉽게 흡수된다는 점에서 유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의 한 양상은 단백질-결합된 아편유사제의 제조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아편 식물 물질을 가열하여 연기 및/또는 증기를 형성하고, 그리고 연기 및/또는 증기를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에 도입한다. 이런 방법은 증강된 속성, 예를 들면, 증강된 생체이용률을 갖는 신규한 조성물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추가 구체예는 테르펜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대마초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조성물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추가 구체예는 아편 식물 물질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조성물에 관계한다. 아편 식물 물질은 다양한 아편유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 물질, 또는 식물 물질로부터 만들어진 추출물은 아편유사제를 수성 단백질에 결합하기 위해 수성 단백질과 합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수성 매체에서 단백질에 결합된 아편유사제 또는 최소한 2개의 상이한 아편유사제,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연발생 아편유사제는 물에서 낮은 용해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속성은 이전에, 아편에 기초된 수성 제약학적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유발하였다. 물에서 아편의 낮은 용해도 때문에, 아편 연기/증기를 수성 매체 내로 단순히 도입하는 것은 수성 매체에서 아편유사제의 용해를 유의미하게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제안된다. 다른 한편, 아편 추출물 또는 아편 연기/증기의 도입 전에 혈장 단백질, 예를 들면, 알부민이 수성 매체 내로 도입될 때, 활성 아편유사제는 상기 단백질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수성 용액에서 용해될 수 있다.
다른 식물 또는 동물로부터 자연발생 제약학적으로 활성 성분은 대마초에 대하여 본원에서 제공된 것들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런 자연발생 제약학적으로 활성 성분의 무제한적 실례는 다음을 포함한다: 스테로이드, 예를 들면, 엑디스테로이드 및 피코엑디스테로이드.
논의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구체예의 특질 또는 특질들의 특징적인 조건 또는 관계를 수식하는 형용사, 예를 들면, "실제적으로" 및 "약"은 상기 조건 또는 특징이 이것이 의도되는 적용을 위한 구체예의 작업을 위해 허용되는 관용 이내로 규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단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닌 포괄적 "또는"인 것으로 고려되고, 그리고 이것이 결합하는 항목 중에서 최소한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시한다.
이러한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설명되는 개념의 선별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요약은 청구된 요부의 핵심 특질 또는 필수적인 특질을 확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또한 청구된 요부의 범위를 제한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구체예의 무제한적 실례는 본 단락 이후에 열거되는, 여기에 부착된 도면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하나 이상의 도면에서 보이는 동일한 구조, 요소 또는 부분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보이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번호로 표지화된다.
도면 1a 및 1b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과정을 묘사하는 흐름 도표를 보여준다;
도면 2a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혈장 단백질 용액에 대마초 연기를 노출함으로써 합성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표본의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 시험으로부터 크로마토그램을 묘사한다;
도면 2b는 대마초 연기에 노출되었던 단백질이 없는 대조 용액의 표본의 HPLC 시험으로부터 크로마토그램을 묘사한다;
도면 3a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획득된 칸나비노이드 조성물과 대비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 획득된 2가지 칸나비노이드 조성물에 대한 2가지 농도에서, 염증의 지표인 핵 인자-카바B (NFκB)의 저해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묘사한다;
도면 3b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획득된 칸나비노이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핵 인자-카바B (NFκB)의 저해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묘사한다;
도면 4는 배양의 2개의 상이한 시점에서 변하는 농도의 THC를 포함하는 용액에서 알부민에 흡착된 THC의 양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묘사한다; 그리고
도면 5는 수성 용액에서 변하는 농도의 에탄올의 효과 및 결과의 용액 내에 단백질에 THC 흡착에 대한 충격이 도시된 그래프를 묘사한다.
상세한 설명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증강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새로운 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 1a가 참조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및/또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치료를 위한 방법 100을 묘사하는 흐름 도표를 보여준다.
방법 100은 차단 10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대마초 식물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대마초 연기 및/또는 증기를 생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대마초 식물 물질은 잎, 꽃, 분비모, 수지, 팅크제, 추출물, 오일, 그리고 캘러스와 같은 대마초 조직 배양 부분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 따라, 대마초 식물 물질은 잎 및 꽃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대마초 식물 물질은 칸나비스 사티바 (Cannabis sativa), 칸나비스 인디카 (C. indica), 그리고 칸나비스 루델랄리스 (C. ruderali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대마초 종으로부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대마초 종은 전술한 대마초 종 중에서 최소한 한 가지에 근거된 혼합된 종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대마초 식물 물질은 칸나비스 사티바 (C. sativ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연기는 대마초 식물 물질의 연소 또는 가열에 의해 생산된다. 한 구체예에서, 연기/증기는 식물 물질을 약 40℃ 및 식물 물질의 대략 연소 온도 사이의 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생산된다. 대마초 식물 물질의 연소 및/또는 가열은 연소 및/또는 가열 시에 형성된 증기 및/또는 연기의 수집에 적합한 챔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 100은 차단 2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대마초 연기/증기를 수성 단백질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단백질은 혈장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혈장 단백질은 알부민, 지질단백질, 당단백질, 그리고 α, β와 γ 글로불린 또는 희석된 혈장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조합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혈장 단백질은 자연발생 단백질 또는 재조합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알부민은 인간 혈청 알부민 또는 소 혈청 알부민 또는 난알부민 (OVA)을 포함할 수 있다.
대마초 연기/증기를 수성 단백질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은 연기/증기를 수집하고 이를 수성 단백질 용액을 통해 발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임의선택적으로, 강제된-공기 기화기가 대마초 연기/증기를 수성 단백질 용액과 접촉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임의선택적으로, 유체를 인도하기 위한 파이프를 갖고, 이들 파이프가 변하는 직경을 갖는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연기/증기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알부민 용액 흐름 내로 흘러간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최소한 하나의 염 및 최소한 하나의 완충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용액은 혈액과 실제적으로 등장성이다. 한 구체예에 따라, 용액은 하르트만 용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중량/용적 (w/v) 기초에서 약 0.001% 내지 약 80%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w/v 기초에서 약 0.01% 내지 약 40%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약 20% (w/v)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단백질의 농도는 약 10 mg/ml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추가 무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무수 용매는 알코올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알코올은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약 25%-33%의 농도에서 무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대마초 연기를 수성 단백질 용액과 접촉시킬 때, 수성 용액 내에 단백질은 연기 내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에 결합하여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것과 다른 물-불용성 칸나비노이드는 이후, 수성 단백질 용액에서 용해될 수 있다.
방법 100은 차단 3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수성 단백질 용액을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분석은 대마초 식물 물질의 칸나비노이드 프로필 (정체 및 양)을 결정하기 위해 수성 용액 또는 정제된 세척 단백질의 표본에서 수행될 수 있다. 분석은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HPLC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100은 차단 4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단리하고 및/또는 정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단리하고 및/또는 정제하는 것은 비단백질-결합된 용해된 화합물을 용액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예로서, 용매 또는 염을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킴에 의해, 또는 예로서, 가열함으로써 단백질을 변성시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침전물은 이후, 비단백질 결합된 용해된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정제는 구멍-크기 구배를 통해 또는 투석 튜브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정제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용액으로부터 물의 제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물의 제거는 진공, 가열, 동결건조, 또는 이들 방법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100은 차단 5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부형제와 합동하여 제약학적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다음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Δ9-THC, Δ8-THC, 테트라히드로칸나비노익산 (THCA), CBD, 칸나비디올산 (CBDA), 칸나피놀 (CBN), 칸나비게롤 (CBG), 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THCV), 칸나비게롤릭산 CBGA 및 칸나비크로멘 (CBC).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제약학적 조성물은 단위 약형에서 편의하게 제공되고, 그리고 약학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 중에서 한 가지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단위 약형은 정제, 캡슐, 로젠지, 웨이퍼, 패치, 앰풀, 바이알, 계량 흡입기 또는 미리 충전된 주입기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최소한 하나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의 형태에서 투여된다.
경구 투여를 위해, 제약학적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정제, 알약, 캡슐, 분말, 기타 등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양한 부형제, 예를 들면, 구연산나트륨, 탄산칼슘 및 인산칼슘을 내포하는 정제는 다양한 붕괴제, 예를 들면, 전분 및 바람직하게는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및 일정한 복합체 규산염과 함께, 결합 작용제,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크로오스, 젤라틴 및 아카시아와 함께 이용된다. 추가적으로, 윤활제, 예를 들면,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나트륨 라우릴 황산염 및 활석이 종종, 정제화 목적에 매우 유용하다. 유사한 유형의 고형 조성물은 또한, 연성과 경성-충전된 젤라틴 캡슐에서 충전제로서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물질은 또한, 락토오스 또는 유당뿐만 아니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수성 현탁액 및/또는 엘릭시르가 경구 투여에 요망될 때, 본 발명의 성분은 다양한 감미제, 풍미제, 착색제, 유화제 및/또는 현탁제 뿐만 아니라 물,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다양한 유사 조합과 같은 희석제와 합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제어된 방출 제제, 예를 들면, 느린 방출 또는 빠른 방출 제제에서 투여될 수 있다. 이런 제어된 방출 용량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목적으로, 참기름 또는 낙화생유에서 또는 수성 프로필렌 글리콜에서 용액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수용성 염의 무균 수성 용액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런 수성 용액은 필요하면, 적절하게 완충될 수 있고, 그리고 액체 희석제는 먼저 충분한 식염수 또는 글루코오스와 등장성이 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들 수성 용액은 정맥내, 근육내, 피하 및 복강내 주사 목적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제약학적 조성물은 0.1%-95%, 바람직하게는 1%-70%의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들) (전체 칸나비노이드 중량에 근거됨)의 활성 양을 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일일 용량은 0.1 마이크로그램 (μg) 및 1500 밀리그램 (mg) 사이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는 단일요법으로서 치료에 관계하고, 여기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이용되는 유일 활성 제약학적 작용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는 복합 요법에 관계하고, 여기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활성 제약학적 작용제와 합동으로 이용된다. "와 합동으로"는 양쪽 약물이 체내에서 동일한 시점에서 실제적으로 효과적이라는 것을 지칭한다. 양쪽 약물은 실제적으로 동시에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양쪽 약물은 상이한 시점에서 투여될 수 있지만 신체에 동시에 영향을 준다.
방법 100은 차단 6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제약학적 조성물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 100은 대마초 식물 물질을 아편 양귀비 식물 물질로 대체함으로써, 아편유사제를 획득하기 위해 아편 양귀비 식물 물질에 대하여 실시될 수 있다.
도면 1b가 참조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및/또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치료를 위한 방법 200을 묘사하는 흐름 도표를 보여준다.
방법 200은 차단 110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대마초 식물 물질로부터 대마초 추출물을 생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대마초 식물 물질은 잎, 꽃, 분비모, 수지, 팅크제, 추출물 및 오일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 따라, 대마초 식물 물질은 잎 및 꽃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대마초 추출물은 대마초 식물 물질을 용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한 구체예에 따라, 용매는 알코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용매는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의 혼합물이다.
방법 200은 차단 12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대마초 추출물을 수성 단백질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단백질은 혈장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혈장 단백질은 알부민, 지질단백질, 당단백질, 그리고 α, β와 γ 글로불린 또는 희석된 혈장 또는 난알부민 (OVA)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조합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혈장 단백질은 자연발생 단백질 또는 재조합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알부민은 인간 혈청 알부민 또는 소 혈청 알부민 또는 난알부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대마초 추출물을 수성 단백질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은 수성 용액에서 0.1% 내지 33% 칸나비노이드 추출물 (용매에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천천히 혼합되고 및/또는 10 분 및 48 시간 사이의 시간 동안 배양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최소한 하나의 염 및 최소한 하나의 완충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용액은 혈액과 실제적으로 등장성이다. 한 구체예에 따라, 용액은 하르트만 용액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용액은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중량/용적 (w/v) 기초에서 약 0.001% 내지 약 80%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w/v 기초에서 약 0.01% 내지 약 40%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 따라, 수성 용액은 약 20% (w/v)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다.
대마초 추출물을 수성 단백질 용액과 접촉시킬 때, 수성 용액 내에 단백질은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에 결합하여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것과 다른 물-불용성 칸나비노이드는 이후, 수성 단백질 용액에서 용해될 수 있다.
방법 200은 차단 112를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대마초 식물 물질의 연기 또는 증기를 포함한다. 연기 또는 증기는 방법 100, 차단 10에서처럼 형성될 수 있다.
방법 200은 차단 122를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연기 또는 증기를 용매와 접촉시켜 칸나비노이드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용매는 알코올일 수 있다.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방법 200은 차단 124를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칸나비노이드 용액을 수성 단백질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차단 124의 접촉은 대마초 추출물을 칸나비노이드 용액으로 대체하는 변형을 제외하고, 차단 120의 대마초 추출물의 접촉과 유사할 수 있다.
방법 200은 차단 13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수성 단백질 용액을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분석은 대마초 식물 물질의 칸나비노이드 프로필 (정체 및 양)을 결정하기 위해 수성 용액의 표본에서 수행될 수 있다. 분석은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HPLC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200은 차단 14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단리하고 및/또는 정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단리하고 및/또는 정제하는 것은 비단백질-결합된 용해된 화합물을 용액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예로서, 용매 또는 염을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킴에 의해, 또는 예로서, 가열함으로써 단백질을 변성시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침전물은 이후, 비단백질 결합된 용해된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정제는 구멍-크기 구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정제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용액으로부터 물의 제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물의 제거는 진공, 가열, 동결건조, 또는 이들 방법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200은 차단 15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부형제와 합동하여 제약학적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다음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Δ9-THC, Δ8-THC, 테트라히드로칸나비노익산 (THCA), CBD, 칸나비디올산 (CBDA), 칸나피놀 (CBN), 칸나비게롤 (CBG), 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THCV), 칸나비게롤릭산 CBGA 및 칸나비크로멘 (CBC).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내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는 차단 110에서 생산된 출발 대마초 추출물과 프로필에서 유사할 수 있다.
방법 200은 차단 16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제약학적 조성물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 200은 대마초 식물 물질을 아편 양귀비 식물 물질로 대체함으로써, 아편유사제를 획득하기 위해 아편 양귀비 식물 물질에 대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투여는 흡입을 통해 수행된다. 흡입은 코 루트를 통한 또는 입을 통한 흡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투여는 설하 또는 협측 투여, 경구 투여, 경피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통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제약학적 조성물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 투여된다. 한 구체예에 따라, 질환 또는 장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화학요법에 관련된 통증 장애; AIDS와 관련된 통증 장애 및 "소모" 증후군; 메스꺼움 및 구토, 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AIDS 또는 간염과 관련된 메스꺼움 및 구토; 신경병성 통증; 식욕부진 또는 악액질; 신경변성 질환; 뇌졸중 또는 외상을 포함하는 저산소증; 다발성 경화증 또는 외상성 횡단 장애와 관련된 마비 증상; 이상긴장 운동 장애; 기관지 천식; 간질 발작 또는 전신 간질; 알코올 의존, 벤조디아제핀 의존 및 아편제 의존과 관련된 금단 증상; 파킨슨병; 치매, 알츠하이머병; 관절염; 녹내장; 편두통; PTSD; 크론병; 진전, 파킨슨병 진전; 주의력 결핍 장애; 주의력 결핍 과다활동 장애;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월경곤란증.
실시예 1a: 대마초 연기로부터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형성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다음의 방법에 따라 형성되었다. 수성 알부민 용액은 20 (mg))의 소 혈청 알부민 (BSA, Millipore, USA로부터)을 10 밀리리터 (ml) ml 하르트만 용액 (B. Braun Melsungen AG, Germany)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되었다. BSA는 분당 50회전수에서 진탕기 (Heidolph POLYMAX 1040)를 이용하여 완전하게 용해되었다.
대마초-충전된 담배는 꽃 및 발아 잎으로부터, 0.8gr 갈아진 대마초 ("Seach" Israel에 의해 제공됨)를 내포하는 담배 페이퍼를 이용하여 형성되었다. 파스튜르 피펫은 이의 광폭 단부에서 종적으로 절단되었고, 그리고 담배가 절단 단부 내로 박혔다. 상기 피펫의 좁은 단부는 주입기에 부착되었다. 담배는 증기 후드에서 불이 붙여지고, 그리고 담배 연기가 주입기 플런저를 잡아당김으로써 주입기 내에 수집되었다. 연기는 이후, 플런저를 탈압박함으로써 BSA 용액 내로 천천히 방출되었다. 대략 350 ml의 연기-내포 공기가 BSA 용액을 통해 부드럽게 발포되었다.
대조로서, 10 ml의 하르트만 용액의 용액이 BSA의 첨가 없이 제조되었고, 그리고 대마초 연기 형성 및 발포의 유사한 절차가 수행되었다.
3 ml 용적의 BSA 용액 및 대조 용액을 갖는 표본은 각각 HPLC 유리 바이알 내로 삽입되었고, 그리고 열린 바이알은 37℃에서 24 시간 동안 진공 오븐 내로 삽입되었다.
증발 후 고체상은 모르타르 및 막자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압좌되었다. 분말은 메탄올 클로로포름 9:1 추출물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되었고, 30 분 동안 초음파처리되고, 그리고 이후, 여과되고 HPLC 시험 튜브 내로 첨가되었다.
HPLC는 HP1050 AGILENT, DAD 검출기, XBridge C18 3.5 μm 4.6x150mm 칼럼을 이용하여, 그리고 다음의 파라미터에 따라 수행되었다:
Figure 112016100649630-pct00001
구배 프로그램:
Figure 112016100649630-pct00002
결과:
HPLC는 대마초 연기가 도입된 후에 BSA 수성 용액이 상기 용액에서 용해되었던 CBN, THCA, THC 및 CBC를 포함하는 많은 활성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상응하는 크로마토그램은 270nm 파장에 근거하여, 도면 2a에서 도시된다. 상기 크로마토그램은 분 단위의 시간의 추이에서 최고 강도 (밀리-흡광도 단위, mAU의 단위에서)를 보여준다. 다른 한편,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 용액에서는 도면 2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어떤 활성 칸나비노이드도 검출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방법이 칸나비노이드에 결합하고 이들의 용해도를 증강하는 작용제로서 혈장 단백질을 이용하여, 수성 용액에서 대마초 연기/증기로부터 유의미한 양의 활성 칸나비노이드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형성된 수성 용액은 이들이 쉽게 정량되고, 정제되고, 그리고 다양한 루트에서 투여를 위한 제약학적 조성물로 조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수성 용액의 칸나비노이드 프로필은 폐를 통해 투여될 때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이미 밝혀진 대마초 연기/증기의 것과 유사하다. 동시에, 혈장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더욱 정확하게, 그리고 대마초를 연기흡입하는 것과 연관된 부정적인 폐 건강 영향 없이 투여될 수 있다.
실시예 1b: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형성 및 칸나비노이드의 정량
실시예 1a에 따른 BSA/물 용액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변하는 양의 추가 용매를 이용하한 추가 실험이 수행되었다. 25% 및 33% 사이 범위의 에탄올이 특히, 용액 ml당 10 mg 단백질에서 특히 유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용액은 10 mg/ml 농도의 BSA를 갖는 물 용액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었다. 50 ml의 물 용액은 25 ml의 에탄올과 혼합되었다. 1g 담배의 대마초 (Seach, Israel에 의해 제공됨, 배치 B12)에 불이 붙여지고, 그리고 연기를 가스 트랩을 통해 용액 내로 점진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진공 펌프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a에서 설명된 기구를 이용하여 연기가 BSA/물/에탄올 용액을 통해 발포되었다. 상기 용액은 실시예 1a에서 이용된 용액보다 정도가 덜하긴 하지만 거품이 발생하였다.
연기를 용액 내로 도입한 후, 상기 용액은 배양을 위해 3개의 배치로 분할되었다. 배치 A는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배치 B는 교반 없이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배치 C는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칸나비노이드 정체 및 양은 HPLC에 의해 결정되었다. 칸나비노이드의 양 및 유형은 아래와 같이, 배양 조건에 근거하여 변하였다:
Figure 112016100649630-pct00003
33% 에탄올을 포함하는 수성 단백질 용액은 어떤 무수 용매도 갖지 않는 상응하는 수성 단백질 용액보다 mg BSA당 대략 3-배 더욱 높은 칸나비노이드 함량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c: 다양한 농도의 단백질/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형성
30 마이크로그램의 THC 표준이 1.5 마이크로리터 및 15 마이크로리터 사이에 다양한 양에서, 다양한 양의 에탄올 (절대)에 용해되었다. THC 용액은 이후, BSA의 0.5 ml의 20 마이크로그램/ml 용액과 합동되었다. 결과의 용액은 각각, 전체적으로 10 마이크로그램의 BSA 및 30 마이크로그램의 THC를 가졌지만, 그들의 에탄올 함량에서 변하였다.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단백질에 THC의 흡착이 증가한다. 결과는 도면 5에서 목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33% 초과 농도의 에탄올을 갖는 용액에서, 단백질 침전물 및 혼탁 혼합물이 형성되는 것이 목격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1d: 연기 및 증기로부터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형성 및 유기 용매에서 흡수된 연기 또는 증기에 비하여 정량
어떤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이 유기 용매와 대비하여 BSA를 이용한 과정에서 가용화되는 지를 증명하기 위해, 2개의 상이한 배치로부터 대마초가 연기흡입되고 및/또는 기화되었다. 증기는 210℃의 온도에서 "볼케이노" 기화기를 이용하여 형성되었다. 연기/ 증기는 부피로 33% 에탄올을 포함하는, 실시예 1b에서 설명된 BSA/물/에탄올 용액을 통해, 또는 순수한 에탄올 (99% 에탄올) 용액을 통해 통과되었다. 용액은 자력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되었고 48 시간 동안 배양되었는데, 이 시간 동안, 대부분의 에탄올이 증발하였다. 대마초의 배치 중에서 하나는 THC가 높았고, 그리고 대마초의 다른 배치는 THC 및 CBD 둘 모두가 높았다.
BSA/ 물/ 에탄올 용액은 연기 또는 증기와 합동된 후에 세척되었고, 그리고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의 양이 분석되었다. THC가 높은 대마초의 계통에 대한, 퍼센트 (중량/ 중량)로 표시된 칸나비노이드의 상대적 농도 (전체 칸나비노이드 함량에 비하여)의 비교의 결과는 아래 표에서 도시된다.
Figure 112016100649630-pct00004
CBD 및 THC가 높은 대마초의 계통에 대한, 퍼센트 (중량/ 중량)로 표시된 칸나비노이드의 상대적 농도 (전체 칸나비노이드 함량에 비하여)의 비교의 결과는 아래 표에서 도시된다.
Figure 112016100649630-pct00005
이들 표로부터 목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기 또는 증기가 에탄올성 용매에 비하여 BSA 물 용액과 접촉될 때 상이한 칸나비노이드 프로필이 존재한다. BSA 물 용액과 접촉할 때 획득된 칸나비노이드의 프로필은 대마초 연기 또는 증기의 흡입 후 인간 혈류에서 흡수된 프로필과 유사한 것으로 제안된다.
실시예 1e: THC 표준을 이용하여 BSA의 흡착능 결정.
물에서 알부민 용액 (20μg/ ml) 및 에탄올이 제조되었다. THC 표준이 20 μg/ ml 및 60 μg/ ml 사이의 농도에서 첨가되었다. BSA 단백질에 흡착된 THC의 양은 부드럽게 와동하면서, 2 시간 또는 12 시간 동안 배양 후 각 농도에 대해 결정되었다. 결과는 도면 4에서 도시된다. 상기 도면에서 목격되는 바와 같이, 알부민 mg당 50 μg 초과 농도의 흡착된 THC가 획득될 수 있다. 칸나비노이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유사한 농도 범위에서 단백질에 흡착될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된다.
실시예 1f: 추가 단백질을 이용하여 대마초 증기로부터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형성
CBD가 높은 대마초 식물 물질의 증기는 볼케이노 기화기를 이용하여 형성되었고, 그리고 증기는 벼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 (HSA), 소 γ-글로불린 또는 난백알부민 (닭)의 1mg/ml 용액을 통해 흘러갔다. 단백질 용액은 1:2 비율에서 에탄올 및 물을 이용하여 형성되었다. 이들 용액은 30℃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단백질에 흡착된 전체 칸나비노이드에 비하여 각 칸나비노이드의 백분율이 결정되었고, 그리고 아래 표에서 도시된다.
Figure 112016100649630-pct00006
이들 결과는 HSA 및 난백알부민이 BSA와 유사하게 행동한다는 것을 지시하였다. HSA 및 난백알부민은 각각, 단백질 mg당 약 4 마이크로그램의 칸나비노이드를 흡착하였다. 다른 한편, γ-글로불린은 더욱 낮은 수준의 칸나비노이드를 흡착하고 상이한 프로필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2a: 대마초 추출물로부터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형성
대마초 추출물은 아래와 같이 제조되었다: 짧게 말하면, 대마초 식물 물질은 건조되고, 갈아지고, 균질화되어 갈아진 대마초가 형성된다. 갈아진 대마초는 메탄올/클로로포름 (9:1의 용적/용적 비율)으로 추출된다. 초음파처리 및 여과가 이후 수행된다. 칸나비노이드의 정체는 증발, 적절한 용매에서 용해에 의한 HPLC에 의해 결정된다.
대마초 식물 물질의 건조는 높은 진공 하에 약 37±2℃에서 약 24 시간 동안 발생하고, 그리고 이후, 갈아져 미세한 분말이 형성된다. 200 mg의 갈아진 분말은 10 ml의 메탄올/클로로포름과 합동되고, 그리고 얼음 욕조에서 30 분 동안 최대 파워에서 초음파처리된다. 상층액은 이후, 0.2 마이크론 필터를 통해 여과된다.
대마초 추출물의 표본은 칸나비노이드의 함량에 대해 분석되었다. 대마초 추출물은 이후, 10 mg/ml에서 20% 에탄올을 갖는 알부민 용액 (BSA)과 합동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단백질에 흡착된 전체 칸나비노이드에 비하여 각 칸나비노이드의 백분율이 결정되었고, 그리고 아래 표에서 도시된다.
Figure 112016100649630-pct00007
이러한 실험은 증기로부터 칸나비노이드가 단백질 용액에서 흡착되었던 실험 1에서 칸나비노이드의 프로필과 상이한 프로필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험에서 흡착된 칸나비노이드 대 단백질의 중량 비율은 약 1 대 5이었다.
실시예 2b: 칸나비노이드 용액으로부터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형성
Seach Ltd, Israel로부터 획득된, 높은 THC 계통으로부터 대마초 싹 (3g)은 담배로 말려지고 연소되거나 또는 기화되고, 그리고 결과의 연기 및 증기는 200 ml 에탄올과 합동되었다. 200 ml 용액은 약 3 ml의 용적으로 농축되었다. 연기 및 증기로부터 에탄올에 용해된 칸나비노이드의 양이 결정되었고, 그리고 아래 표에서 설명된다 (마이크로그램/ml):
Figure 112016100649630-pct00008
대마초 증기 및 대마초 연기로부터 100 마이크로리터의 에탄올성 칸나비노이드 용액은 각각, 5mg 알부민 (BSA)/ml의 농도에서 제조되었던 500 마이크로리터의 수성 알부민 용액과 혼합되었다. 에탄올성 칸나비노이드 용액과 합동된 수성 알부민 용액은 열린 튜브에서 30℃에서 12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12 시간 후, 이들 튜브는 혼합되고, 원심분리되고, 그리고 비-흡착된 칸나비노이드가 용액으로부터 분리되었다. 농축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건조되고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정량되었다.
Figure 112016100649630-pct00009
실시예 3: 아편으로부터 단백질-결합된 아편유사제의 형성
단백질 결합된-아편은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에 관하여 설명된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4a: 비-결합된 칸나비노이드에 비하여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생물학적 효과
NFκB 전사 인자는 염증, 면역 반응, 세포 증식 및 아폽토시스에 대항하여 보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뮤린 대식세포 세포주 RAW264.7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획득됨)은 NF-κB 루시페라아제 리포터 구조체로 형질도입되고, 그리고 NF-κB 루시페라아제 리포터 유전자 구조체를 내포하는 세포에서 NF-κB 단백질에 대한 시험 조성물의 저해 효과를 결정하기 위한 검정에서 이용되었다. 이용된 시험 조성물은 THC가 높은 대마초로부터 미가공 식물 추출물, 그리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동일한 대마초 식물 물질로부터 유래된 대마초 식물 추출물로부터 제조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혼합물이었다. 저해는 2가지 용량, 밀리리터당 1.56 마이크로그램 (μg/ml) 및 0.78 μg/ml의 THCA에서 결정되었다. 식물 추출물은 세포 배양액에 첨가하기 전에 배지에서 용해되었다. 지질다당류 (LPS)가 NF-κB 루시페라아제 리포터를 유도하는데 이용되었고, 그리고 추출물은 저해 활성에 대해 시험되었다. 칼세인 AM (칼세인의 아세토메톡시 유도체)이 정규화를 위한 RAW264.7 세포 수를 결정하기 위한 형광 염료로서 이용되었다. 상기 모형에서 발광이 NF-κB의 활성화에 상관되기 때문에, 발현의 저해는 발광의 저해와의 상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모형에서 저해의 높은 백분율을 갖는 조성물은 포유동물에서 NF-κB 활성의 저해에 의해 염증을 감소시키는 그들의 잠재적 용도를 지시한다. 1.56 및 0.78 μg/ml 농도의 THCA에서 NF-κB 루시페라아제 리포터에 대한 식물 추출물 및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둘 모두의 효과가 시험되었고, 그리고 도면 3a에서 도시된다. 양쪽 농도에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미가공 대마초 식물 추출물보다 NF-κB 루시페라아제 리포터 유도를 저해하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는데, 이것은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가 미가공 대마초 식물 추출물에 비하여 증강된 항염증성 성질을 갖고 더욱 낮은 용량에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지시한다.
차후 실험에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30 킬로달톤의 컷오프를 갖는 Amicon Ultra 원심 필터를 이용하여 광범위하게 세척되었다. 표본은 0.5 ml의 물로 세척되고 1, 2 또는 4 회 반복되었다. 1, 2 및 심지어 4 회 세척된 표본은 상기 모형에서 저해에 대한 유사한 효과를 보여주었는데, 이것은 칸나비노이드가 알부민에 의해 강하게 흡착되지만, 이들이 세포에 노출될 때 그들의 생리활성 성질을 유지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실시예 4b: 비-결합된 칸나비노이드에 비하여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생물학적 효과
실시예 2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6 마이크로그램/ml의 농도에서 연기로부터 제조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및 증기로부터 제조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비교하는, 실시예 4a에서 설명된 시험관내 모형이 수행되었다. 등가량에서 단백질 단독은 대조로서 이용되었다.
단백질 단독 및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효과는 도면 3b에서 도시된다. 연기로부터 획득된 및 증기로부터 획득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둘 모두 단백질 단독보다 NF-κB 루시페라아제 리포터 유도를 저해하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5a: 식욕 증가의 모형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칸나비노이드의 생체내 시험
생쥐 (C57BL 균주)는 서로로부터 격리되고 1 주 동안 규칙적인 간격에서 사양된다. 생쥐는 4개의 군으로 군화된다. 1 주의 규칙적인 사양 후, 사료가 24 시간 동안 각 생쥐의 케이지로부터 제거된다. 사료를 제공하기 30 분 전에, 각 생쥐는 시험 약물, 양성 대조 (에탄올성 대마초 추출물 또는 순수한 THC) 또는 운반제만을 포함하는 음성 대조가 투여된다. 사료 없이 24 시간 후, 계측된 양의 사료가 제공된다. 사료의 제공 후 1 시간 및 2 시간에, 남아있는 양의 사료가 계량되고 사료의 최초 양과 비교된다. 시험 생쥐는 복막내 (IP), 코 또는 경구 (위관영양) 루트를 통해, 100 마이크로리터의 양으로 인산염 완충된 식염수 (PBS)에서 여러 용량 중에서 한 가지 (1, 2, 3 또는 6 mg의 THC 등가물/생쥐 체중 kg)의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가 투여된다. 양성 대조 생쥐는 복막내 (IP), 코 또는 경구 (위관영양) 루트를 통해, 100 마이크로리터에서 PBS에서 용해된 대마초의 에탄올성 추출물, 또는 PBS에서 용해된, 에탄올에서 용해된 순수한 THC의 형태에서 1, 2, 3 또는 6 mg의 THC (또는 등가물)이 투여된다. 음성 대조 생쥐는 복막내 (IP), 코 또는 경구 (위관영양) 루트를 통해 PBS에서 에탄올이 투여된다. 시험은 삼중으로 반복되고, 그리고 결과는 맹검인 연구자에 의해 집계된다.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생쥐 투여된 용량은 활성 치료를 제공받지 않은 생쥐에 비하여 생쥐에서 식욕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용량이 투여된 생쥐는 비단백질 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동등한 용량이 투여된 생쥐보다 더욱 큰 정도로 식욕 증가를 경험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된다.
실시예 5b: 신경병증 및 신경병성 통증의 모형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칸나비노이드의 생체내 시험.
생쥐 (C57BL 균주)는 8개의 군으로 군화된다. 각 생쥐는 1.7 mg/kg의 양에서 10 주 동안 주 2회 IP 루트를 통해 빈크리스틴이 투여된다. 생쥐는 시험 약물, 양성 대조 또는 음성 대조가 투여된다. 생쥐는 10 주 동안, 열판, 로타로드 검사 및 꼬리 치기 검사를 이용하여 통증에 대한 감수성에 대해 주 1회 시험된다. 시험 생쥐는 코 루트를 통해, 인산염 완충된 식염수 (PBS)에서 100 마이크로리터의 양으로 여러 용량 중에서 한 가지 (1, 2, 3 또는 6 mg of THC 등가물/생쥐 중량의 kg)의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가 투여된다. 양성 대조 생쥐는 코 루트를 통해, 100 마이크로리터에서 PBS에서 용해된 대마초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PBS에서 용해된, 에탄올에서 용해된 순수한 THC의 형태에서 1, 2, 3 또는 6 mg의 THC (또는 등가물)가 투여된다. 음성 대조 생쥐는 코 루트를 통해 PBS에서 에탄올이 투여된다. 시험은 삼중으로 반복되고, 그리고 결과는 맹검인 연구자에 의해 집계된다.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가 투여된 생쥐는 통증을 더욱 오랫동안 견뎌내고, 따라서, 열판 검사 시에 꼬리 치기 또는 레그 리프트까지 더욱 긴 시간을 보여주고, 그리고 로타로드 검사에서 더욱 많은 성공을 보여주는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실시예 5c: 파킨슨병의 모형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칸나비노이드의 생체내 시험
생쥐 (C57BL 균주)는 8개의 군으로 군화된다. 각 생쥐는 투여 사이에 1 시간 간격을 두고, 20mg/kg의 1-메틸-4-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 (MPTP)의 2회 용량이 투여된다. 48 시간 후, 각 생쥐는 서로로부터 1 시간 이격된 다른 2회 용량이 투여된다.
생쥐는 실시예 5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험 약물 및 대조 약물이 투여된다. 생쥐는 발자국 분석, 로타로드 검사, 열판 및 꼬리 치기 검사를 이용하여 파킨슨병 증상에 대해 시험된다.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가 투여된 생쥐는 대조군으로부터 생쥐에 비하여 MPTP에 의해 유도된 파킨슨병 증상에서 향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최소한 하나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 혈장 단백질에 결합된 최소한 하나의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더욱 제공된다. 임의선택적으로, 조성물은 물을 더욱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조성물은 물이 실제적으로 없다. 임의선택적으로, 혈장 단백질은 알부민, 지질단백질, 당단백질, α, β와 γ 글로불린, 그리고 희석된 혈장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단백질은 알부민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알부민은 인간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 또는 난알부민 (OVA)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혈장 단백질은 재조합 단백질이다. 임의선택적으로, 조성물은 10%보다 적은 비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단백질 대 칸나비노이드의 비율은 중량/중량 기초에 따라100:1 내지 1:1 사이이다. 임의선택적으로, 단백질 대 칸나비노이드의 비율은 중량/중량 기초에 따라 20:1 내지 1:1 사이이다. 임의선택적으로, 칸나비노이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Δ9-THC, Δ8-THC, 테트라히드로칸나비노익산 (THCA), CBD, 칸나비디올산 (CBDA), 칸나피놀 (CBN), 칸나비게롤 (CBG), 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THCV), 칸나비게롤릭산 CBGA 및 칸나비크로멘 (CBC). 임의선택적으로, 조성물은 추가 활성 제약학적 작용제를 더욱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조성물은 혈장 단백질에 연결된 표적화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제조를 위한 방법이 더욱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칸나비노이드 또는 대마초를 대마초 연기, 대마초 증기, 칸나비노이드 용액 및 대마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에서 획득하고; 그리고 칸나비노이드 또는 대마초를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과 합동하여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대마초를 대마초 연기, 대마초 증기 및 대마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에서 획득하고, 그리고 대마초 연기, 증기 또는 추출물을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과 합동하여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대마초 식물 물질을 가열하여 대마초 연기 또는 대마초 증기를 형성하고, 그리고 연기 또는 증기를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과 접촉시키는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대마초 식물 물질을 가열하여 대마초 연기 또는 대마초 증기를 형성하고, 연기 또는 증기를 용매와 접촉시켜 칸나비노이드 용액을 형성하고; 그리고 칸나비노이드 용액을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단백질 용액 또는 현탁액과 합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용매는 알코올이다. 임의선택적으로, 알코올은 에탄올이다.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용액으로부터 단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칸나비노이드는 연소되어 연기를 형성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대마초 식물 물질을 용매와 합동함으로써 대마초 추출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용매는 알코올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용매는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비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혈장 단백질은 알부민, 지질단백질, 당단백질, α, β와 γ 글로불린, 그리고 희석된 혈장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단백질은 알부민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알부민은 인간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 또는 난알부민 (OVA)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비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제거한 후에, 중량으로 10% 보다 적은 비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결과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칸나비노이드 중에서 한 가지 또는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한다: Δ9-THC, Δ8-THC, 테트라히드로칸나비노익산 (THCA), CBD, 칸나비디올산 (CBDA), 칸나피놀 (CBN), 칸나비게롤 (CBG), 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THCV), 칸나비게롤릭산 CBGA 및 칸나비크로멘 (CBC). 임의선택적으로,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은 알코올을 더욱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알코올은 용액의 1% 내지 약 33% 사이의 범위에서 존재한다. 임의선택적으로, 합동 시에 혈장 단백질 대 칸나비노이드의 비율은 2:3 및 1:10 사이이다. 임의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을 교반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은 약 24 내지 약 48 시간 동안 교반된다. 임의선택적으로,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은 약 30℃의 온도에 있다. 임의선택적으로,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은 진공 하에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더욱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최소한 하나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 혈장 단백질에 결합된 최소한 하나의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질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화학요법에 관련된 통증 장애; AIDS와 관련된 통증 장애 및 "소모" 증후군; 메스꺼움 및 구토, 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AIDS 또는 간염과 관련된 메스꺼움 및 구토; 신경병성 통증; 식욕부진 또는 악액질; 신경변성 질환; 뇌졸중 또는 외상을 포함하는 저산소증; 다발성 경화증 또는 외상성 횡단 장애와 관련된 마비 증상; 이상긴장 운동 장애; 기관지 천식; 간질 발작 또는 전신 간질; 알코올 의존, 벤조디아제핀 의존 및 아편제 의존과 관련된 금단 증상; 파킨슨병; 치매, 알츠하이머병; 관절염; 녹내장; 편두통; PTSD; 크론병; 진전, 파킨슨병 진전; 주의력 결핍 장애; 주의력 결핍 과다활동 장애;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월경곤란증.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최소한 하나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 혈장 단백질에 결합된 최소한 하나의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위 용량 제약학적 조성물이 더욱 제공된다. 임의선택적으로, 단위 용량 제약학적 조성물은 1 mg 및 1 g 사이의 양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으로, 단위 용량 제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캡슐, 로젠지, 웨이퍼, 패치, 앰풀, 바이알, 계량 흡입기 또는 미리 충전된 주입기 의 형태이다.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동사, "포함한다," "포함한다" 및 "갖는다," 및 이들의 활용은 각 동사의 대상 또는 대상들이 상기 동사의 주어 또는 주어들의 성분, 요소 또는 부분의 반드시 완전한 목록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본 출원에서 발명의 구체예의 설명은 실례로서 제공되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설명된 구체예는 상이한 특질을 포함하는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모든 구체예에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일부 구체예는 이들 특질 중에서 단지 일부 또는 이들 특질의 가능한 조합을 활용한다.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체예, 그리고 설명된 구체예에서 언급된 특질의 상이한 조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체예의 변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인용된 문헌
Casano, S et al.. "Variations in Terpene Proviles of Different Strains of Cannabis sativa L. Aca Hort. 925, ISHS 2011.
De Backer, B., 2009. Innovativ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HPLC/DAD method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jor cannabinoids in cannabis plant material.. J. Chromatogr., Volume B 877, pp. 4115-4124.ElSohly, M.A. ed. Forensic Science 및 Medicine: Marijuana 및 the Cannabinoids. Chapter II, pages 17-49
Greydanus, D., 2013. Marijuana: current concepts. Frontiers in Public Health, Volume 1, pp. 1-17.
Melamede, R., 2005. Cannabis and tobacco smoke are not equally carcinogenic. Harm Reduction Journal, 2(21).
Naftali, T., 2011. Treatment of Crohn's Disease with Cannabis:. IMAJ, Volume 13, pp. 455-8.
Pletcher, M., 2012. Association Between Marijuana Exposur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7(2), pp. 173-181.

Claims (42)

  1.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 혈장 단백질에 결합된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화학요법에 관련된 통증 장애 및 통증 상태에서 선택되는 통증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단백질은 알부민, 지질단백질, 당단백질, α, β 및 γ 글로불린 중 하나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건조된 형태인, 통증 치료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백질은 알부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알부민은 인간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 또는 난알부민 (OV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혈장 단백질은 재조합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 내지 10%의 비-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대 칸나비노이드의 비율은 중량/중량 기준으로 100:1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단백질 대 칸나비노이드의 비율은 중량/중량 기준으로 20:1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칸나비노이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Δ9-THC, Δ8-THC, 테트라히드로칸나비노익산 (THCA), CBD, 칸나비디올산 (CBDA), 칸나피놀 (CBN), 칸나비게롤 (CBG), 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THCV), 칸나비게롤릭산 CBGA 및 칸나비크로멘 (CBC).
  9. 삭제
  10.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장 단백질 대 칸나비노이드의 비율은 중량/중량 기준으로 2:3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칸나비노이드 또는 대마초를 대마초 연기, 대마초 증기, 칸나비노이드 용액 및 대마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에서 획득하고;
    칸나비노이드 또는 대마초를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과 합동하여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형성하고, 이때 상기 단백질은 알부민, 지단백질, 당단백질, α-, β-, γ-글로불린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고, 그리고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를 건조시켜, 건조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12.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위 용량 제약학적 조성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1 mg 내지 1 g 양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위 용량 제약학적 조성물.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정제, 캡슐, 로젠지, 웨이퍼, 패치, 앰풀, 바이알, 계량 흡입기 또는 미리 충전된 주입기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용량 제약학적 조성물.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167028883A 2014-03-18 2015-03-18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조성물 KR102387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54634P 2014-03-18 2014-03-18
US61/954,634 2014-03-18
US201462096558P 2014-12-24 2014-12-24
US62/096,558 2014-12-24
PCT/IB2015/051991 WO2015140736A1 (en) 2014-03-18 2015-03-18 Protein-bound cannabinoid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755A KR20160141755A (ko) 2016-12-09
KR102387044B1 true KR102387044B1 (ko) 2022-04-14

Family

ID=5414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883A KR102387044B1 (ko) 2014-03-18 2015-03-18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0653787B2 (ko)
EP (1) EP3119391A4 (ko)
KR (1) KR102387044B1 (ko)
AU (1) AU2015232994B2 (ko)
CA (1) CA2942867C (ko)
WO (1) WO2015140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3493B2 (en) 2013-12-02 2021-06-15 Intelgenx Corp. Film dosage form with extended release mucoadhesive particles
CA3111682A1 (en) 2014-06-26 2015-12-30 Island Breeze Systems Ca, Llc Mdi related products and methods of use
US10757944B2 (en) 2016-04-26 2020-09-01 WillowPure, LLC Ozone treatment for elimination of pathogens
WO2017186889A1 (en) * 2016-04-29 2017-11-02 Rousselot B.V. Protein based excipient for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US10143706B2 (en) 2016-06-29 2018-12-04 Cannscience Innovations, Inc. Decarboxylated cannabis resins, use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3509571A4 (en) * 2016-09-12 2020-05-27 Izun Pharmaceuticals Corp. SYSTEM FOR SMOKE AND STEAM COLLECTION FROM PLANT MATERIAL
US10239808B1 (en) 2016-12-07 2019-03-26 Canopy Holdings, LLC Cannabis extracts
EP3592371B1 (en) * 2017-03-09 2023-06-07 Izun Pharmaceuticals Corp. Stabilized protein-bound cannabinoid compositions
EP3595693B1 (en) * 2017-03-16 2021-12-15 Izun Pharmaceuticals Corp. Cannabinoid formulations and dosage
CN108853079A (zh) * 2017-05-15 2018-11-23 汉义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大麻素类化合物在治疗肠易激综合征中的应用
IL255268B (en) * 2017-10-26 2019-01-31 Izun Pharmaceuticals Corp Smoke capture system and method
EP3703671A4 (en) * 2017-10-31 2021-08-11 Buzzelet Development And Technologies Ltd NEW CANNABIS COMPOSITIONS AND INDUSTRIAL METHODS FOR MAKING THEM
US11202771B2 (en) 2018-01-31 2021-12-21 Treehouse Biotech, Inc. Hemp powder
EP3864000A4 (en) 2018-10-10 2022-08-10 Treehouse Biosciences, Inc. CANNABIGEROL SYNTHESIS
US11602504B2 (en) 2018-11-05 2023-03-14 Intelgenx Corp. Lipophilic active oral film formula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3027876A1 (en) * 2018-12-18 2020-06-18 Tetra Bio-Pharma Cannabis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966938B2 (en) 2019-01-04 2021-04-06 Jonand4, Ll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ngover symptoms
WO2020214220A2 (en) * 2019-01-15 2020-10-22 Gustin John C Cannabinoid systems and methods: water-solubility, targeting, and augmentation
EP3923915A4 (en) * 2019-02-11 2023-03-22 John Robert Chancey METHODS OF MAKING AND USING PHYTOCANNABINOIDS COMPLEXED WITH A PROTEIN, PEPTIDE, AMINO ACCHARIDE, POLYSACCHARIDE, DISACCHARIDE, ORMONOSACCHARIDE
US20220249585A1 (en) * 2019-07-25 2022-08-11 Hempvana, Llc Medication coated with hemp or other cannabinoid
AU2020339841A1 (en) * 2019-08-29 2022-03-03 Izun Pharmaceuticals Corp. Protein based cannabis compositions
US20230398080A1 (en) * 2020-01-02 2023-12-14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 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Floating drug delivery systems comprising cannabinoids
CA3164293A1 (en) 2020-01-10 2021-07-15 Real Isolates, Llc Methods for obtaining compounds from a plant or fungus material, respectiv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AU2021291438A1 (en) * 2020-06-19 2023-02-16 Cannovex Bv Pulmonary formulation comprising cannabinoids
CN116528834A (zh) 2020-10-01 2023-08-01 耶路撒冷希伯来大学伊森姆研究发展有限公司 蛋白质结合大麻素制剂及其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251A1 (en) 2012-05-03 2013-11-07 Echo Pharmaceuticals B.V. Cannabis plant isolate comprising /\9-tetrahydrocannabinol and a method for preparing such an isola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363A (en) * 1988-08-16 1990-06-12 Elsohly Mahmoud A Method for effecting systemic delivery of delta-9-tetrahydrocannabinol
HUP9701554D0 (en) 1997-09-18 1997-11-28 Human Oltoanyagtermeloe Gyogy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lazma proteins
GB9726916D0 (en) 1997-12-19 1998-02-18 Danbiosyst Uk Nasal formulation
ATE367809T1 (de) 1998-04-21 2007-08-15 Us Health Cannabinoiden als antioxidantien und neuroschützende mittel
US6730330B2 (en) 2001-02-14 2004-05-04 Gw Pharma Limite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GB2377218A (en) 2001-05-04 2003-01-08 Gw Pharmaceuticals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extraction of active substances and enriched extracts from natural products
GB2404023B (en) * 2004-07-02 2005-07-06 Cozart Bioscience Ltd Delta-9-tetrahydrocannabinol detection method
EP2135601A1 (en) 2008-06-20 2009-12-23 Capsulution Nanoscience AG Stabilization of amorphous drugs using sponge-like carrier matrices
WO2010124280A2 (en) * 2009-04-24 2010-10-28 New Century Pharmaceuticals, Inc. Human serum albumin-based topical ointment for treatment of acne, psoriasis, egfr-induced toxicity, premature skin aging and other skin conditions
US8445034B1 (en) 2010-11-02 2013-05-21 Albert L Coles, Jr.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organic cannabis tin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251A1 (en) 2012-05-03 2013-11-07 Echo Pharmaceuticals B.V. Cannabis plant isolate comprising /\9-tetrahydrocannabinol and a method for preparing such an iso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755A (ko) 2016-12-09
WO2015140736A1 (en) 2015-09-24
EP3119391A1 (en) 2017-01-25
AU2015232994A1 (en) 2016-11-03
US11458207B2 (en) 2022-10-04
US20240042047A1 (en) 2024-02-08
CA2942867C (en) 2022-08-30
EP3119391A4 (en) 2017-12-27
US20230045447A1 (en) 2023-02-09
US20200276324A1 (en) 2020-09-03
US10653787B2 (en) 2020-05-19
CA2942867A1 (en) 2015-09-24
US11793883B2 (en) 2023-10-24
AU2015232994B2 (en) 2020-05-28
US20150265720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044B1 (ko) 단백질-결합된 칸나비노이드 조성물
JP4249388B2 (ja) イチョウ抽出物の調製法
JP2004250449A (ja) 草本植物である、ハマウツボ科の全寄生植物[cistanchetubulosa(schenk.)wight]から抽出されるフェニルエタノイド配糖体を含む医薬調製物、これ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の使用
Kayano et al. In vitro and in vivo assessment of the anti-malarial activity of Caesalpinia pluviosa
US11472758B2 (en) Methods for obtaining compounds from a plant or fungus material, respectiv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9128498A1 (zh) 一种银杏二萜内酯组合物
TW200916111A (en) Plant extract and its therapeutic use
WO2008145064A1 (fr) Procédé d'obtention d'un extrait contenant du séquoyitol à partir d'une espèce du genre trifolium, de soja et de ginkgo biloba, et utilisation de celui-ci
CN110603047A (zh) 大麻素制剂及剂量
Soni et al. Effect of methanolic root extract of Blepharispermum subsesssile DC in controlling arthritic activity
TW201006483A (en) Plant extract and its therapeutic use
CN106728205B (zh) 化橘红提取物在制备防治pm2.5颗粒诱导慢性阻塞性肺疾病急性发作药物中的应用
CN102670670B (zh) 一种高银杏萜类内酯含量的银杏达莫注射液的制备方法
WO2019113861A1 (zh) 一种银杏提取物药用原料及其制备方法
CN115368329A (zh) 二聚倍半萜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CN102727551B (zh) 一种中药有效部位在抗hiv潜伏治疗上的应用
BG111420A (bg) Състав на екстракт от hippeastrum papilio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 на лекарствени средства и хранителни добавки
JP2016517863A (ja) ユリノキの樹皮から慢性骨髄性白血病の治療成分を抽出分離する方法
Onyeaghala et al. Chemic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opular detoxifying herbal remedy yoyo bitters (yyb) using gc-ms, nmr and ftir analysis
WO2013159411A1 (zh) 银杏内酯注射液及其制备方法
WO2001039785A1 (fr) Formulation contenant un extrait de feuille de cacahouet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TWI685345B (zh) 艾草萃取物用於抑制肺癌細胞的用途
JPH0761993A (ja) 茶葉サポニン類の製造法及び茶葉サポニン類を含む薬剤
RU2491949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ммунотропного средства как основы для препарата "иммунофлан"
WO2022147270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annabis and mushroom extract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