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300B1 -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300B1
KR102322300B1 KR1020210009375A KR20210009375A KR102322300B1 KR 102322300 B1 KR102322300 B1 KR 102322300B1 KR 1020210009375 A KR1020210009375 A KR 1020210009375A KR 20210009375 A KR20210009375 A KR 20210009375A KR 102322300 B1 KR102322300 B1 KR 102322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afety device
information
occupan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3743A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1158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08926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300B1/en
Publication of KR2021001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7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3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42
    • B60W242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는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전방 정보 및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 그리고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며,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A vehicl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vehicle collision and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t least one of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front information, and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t includes a safety devic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Description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Vehicl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은 안전벨트, 에어백 등의 안전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장치가 적절하게 작동하면, 차량의 충돌 시에도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In general, vehicles include safety devices such as seat belts and airbags. When these safety devices operate properly, they can protect occupants even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그런데, 이러한 안전장치가 충돌 상황, 탑승자의 자세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정해진 매뉴얼대로만 작동하게 될 경우, 과잉 보호 또는 보호 미흡으로 인한 2차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벨트의 작동이 탑승자에게 충격을 가하여, 탑승자의 장기가 손상되거나 경추가 부상을 입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충돌 강도, 충돌 방향, 탑승자의 자세, 탑승자의 신체 조건 등이 고려되지 않은 채로 에어백이 작동되어, 에어백으로 인한 인명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if the safety device is operated only according to the prescribed manual without considering the collision situation, the posture of the occupant, etc., it may cause a secondary injury due to excessive protection or insufficient protect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impacts the occupant, and there are often cases in which the occupant's organs are damaged or the cervical spine is injured. In addition, the airbag is operated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collision intensity, the collision direction, the posture of the occupan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and the like, resulting in fatal accidents due to the airbag.

한편, 차량은 운전자를 환기시키거나 운전자에게 위험 상황을 미리 알리기 위한 경보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보 장치는 운전자의 눈동자를 감지하는 센서, 차량의 전방을 감지하는 센서 등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경보 장치는 차량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실제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운전자를 보호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may include an alarm device for ventilating the driver or notifying the driver of a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Such an alarm device may be combin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driver's pupil, a sensor for detecting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like. However, since the warning device is a device for preventing a vehicle accident, it cannot protect the driver when an accident actually occur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는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전방 정보 및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 그리고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 제어부는 작동될 안전장치의 종류,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방향,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세기,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위치 및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A vehicl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t least one of vehicle speed information, fro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a safety devic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times of the safety device is determined.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레이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mera,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 radar device.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는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의 자세 및 신체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sture and a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in the vehicle.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의 자세 및 신체 조건 중 적어도 하나는 탑승자의 머리의 위치, 손의 위치 및 상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osture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in the vehicle may be at least one of a position of the occupant's head, a position of a hand, and a position of an upper body.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의 자세 및 신체 조건 중 적어도 하나는 탑승자의 머리와 핸들 간 거리, 탑승자의 머리와 시트의 머리 받침 간 접촉 여부, 핸들을 조작하는 손, 탑승자의 상체와 핸들 간 거리 및 탑승자의 상체와 시트의 등받이 간 접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osture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in the vehicle is a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head and the steering wheel, whether the occupant's head and the headrest of the seat are in contact, the hand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upper body and the handle, and the occupant's upper bod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hether the contact between the and the backrest of the seat.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의 자세 및 신체 조건 중 적어도 하나는 탑승자의 앉은키, 상체의 폭 및 신체 치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osture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in the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tting height, upper body width, and body size of the occupant.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차량의 조작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may further collec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전방 정보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조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충돌을 예측할 수 있다.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may predict a collision by using at least one of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상기 안전장치 제어부는 충돌의 시점, 강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결과를 더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by further using a result of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timing, intensity, and location of the collision.

상기 안전장치는 안전벨트, 에어백 및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afety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at belt, an air bag, and a seat.

차량 내의 탑승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안전장치 제어부는 탑승자 별로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ccupants in the vehicle,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for each occupant.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좌석 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더 수집하고, 상기 안전장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may further collect user's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for each seat, and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may further use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상기 좌석 별 정보는 좌석 별 탑승자의 나이, 앉은키 및 카시트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for each sea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ge of an occupant for each seat, a sitting height, and whether a car seat is install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안전장치 지원 방법은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전방 정보 및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전방 정보 및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작동될 안전장치의 종류,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방향,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세기,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위치 및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A method for supporting a safety device of a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llecting at least one of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occupants in the vehicle, and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safety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fro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occupants in the vehicle, wherein in the controlling step, a type of a safety device to be operated,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safety device, and the safety device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trength of the safety device,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safety device, and the operating timing of the safety device is determ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장치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충돌 상황, 탑승자의 자세, 탑승자의 신체 조건 등을 고려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supporting a vehicle safety device is provided. In particular, since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is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collision situation, the posture of the occupan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and the like, the occupant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안전장치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 지원 장치가 안전장치의 작동 유형을 판단하고,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vehicl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afety device support method of a vehicl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peration type of the safety devic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안전장치 지원 장치(10)는 차량 정보 수집부(100) 및 안전장치 제어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10 includes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a safety device control unit 200 .

차량 정보 수집부(100)는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전방 정보 및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한다.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collects at least one of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front information, and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그리고, 안전장치 제어부(200)는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며, 차량 정보 수집부(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And,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200 detects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정보 수집부(100)는 속도 감지 유닛(110), 전방 감지 유닛(120), 탑승자 감지 유닛(130), 조작 정보 수집 유닛(140) 및 정보 수집 유닛(1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안전장치 제어부(200)는 충돌 감지 유닛(210), 판단 유닛(220) 및 제어 유닛(23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ncludes a speed detection unit 110 , a front detection unit 120 , an occupant detection unit 130 , an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 , and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 150). 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200 includes a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 a determination unit 220 , and a control unit 230 .

차량 정보 수집부(100)의 속도 감지 유닛(110)은 차량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속도 감지 유닛(110)은 차량의 속도 및 가속도 중 하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일부일 수 있다.The speed sensing unit 110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detects at least one of a vehicle speed and an acceleration. The speed sensing unit 110 may sense one of the vehicle speed and acceleration in real time, and may be a part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전방 감지 유닛(120)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한다. 여기서,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 사람, 동물, 기타 대상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전방 감지 유닛(120)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의 유무, 객체의 크기, 객체의 위치, 객체의 수, 객체의 형상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전방 감지 유닛(120)은 카메라,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방 감지 유닛(120)은, 예를 들면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tance System, ADAS)의 일부일 수 있다.The front detection unit 120 detects an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Here, the object positioned in front of the vehicle may mean another vehicle, person, animal, or other object positioned in front of the vehicle. The front detection unit 120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positioned in front of the vehicle, the size of the object, the location of the object, the number of objects, the shape of the object, and the like. The front detection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radar device, or the like. The forward sensing unit 120 may be, for example, a part of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탑승자 감지 유닛(130)은 차량 내 탑승자의 위치, 자세 및 신체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일 예로, 탑승자 감지 유닛(130)은 탑승자의 머리의 위치, 손의 위치, 상체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탑승자 감지 유닛(130)은 탑승자의 머리와 핸들 간의 거리, 탑승자의 머리와 시트의 머리 받침 간의 접촉 여부, 어느 손이 핸들을 조작하고 있는지, 탑승자의 상체와 핸들 간의 거리, 탑승자의 상체와 시트의 등받이 간의 접촉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탑승자 감지 유닛(130)은 탑승자의 앉은 키, 상체의 폭, 신체 치수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탑승자 감지 유닛(130)은 카메라,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탑승자 감지 유닛(130)은, 예를 들면 운전자 상태 감지(Driver Status Monitoring, DSM)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탑승자 감지 유닛(130)은 운전자뿐만 아니라 동승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탑승자 감지 유닛(130)은 차량 내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30 detects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posture,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head, the position of the hand, the position of the upper body, and the like of the occupant. That is,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head and the handle, whether the occupant's head and the headrest of the seat are in contact, which hand is operating the handle,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upper body and the handle, and the occupant's upper body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seat back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another example,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the seated height, upper body width, body size, and the like of the occupant.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radar device, or the like.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30 may be, for example, a part of a Driver Status Monitoring (DSM) device.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not only the driver but also the passenger. To this end, one or more occupant detection units 130 may be mounted in the vehicle.

조작 정보 수집 유닛(140)은 차량의 조작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조작 정보는 운전자가 차량을 조작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조작 정보는, 예를 들면 방향 지시등 작동 정보, 가속 페달 작동 정보, 브레이크 작동 정보, 핸들 작동 정보 등일 수 있다. 조작 정보 수집 유닛(140)은, 예를 들면 블랙박스 카메라, ECU 등일 수 있다.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 collect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Here,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the driver manipulates the vehicle. The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turn signal operation information, accelerator pedal operation information, brake operation information, steering wheel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 may be, for example, a black box camera, an ECU, or the like.

정보 수집 유닛(150)은 속도 감지 유닛(110), 전방 감지 유닛(120), 탑승자 감지 유닛(140) 및 조작 정보 수집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며, 저장한다. 정보 수집 유닛(150)은 속도 감지 유닛(110), 전방 감지 유닛(120), 탑승자 감지 유닛(130) 및 조작 정보 수집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주기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거나, 이벤트 발생 시에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 유닛(150)은 수집된 정보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수집된 정보가 미리 저장된 정보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collects and stores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speed detection unit 110 , the front detection unit 120 ,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40 ,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 .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periodically collects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speed detection unit 110 , the front detection unit 120 ,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30 ,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 , or only when an event occurs.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compares the collected information with the pre-stored information, and when the collected information differs from the pre-stored information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collected information may be stored.

또한, 정보 수집 유닛(150)은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충돌을 예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 유닛(150)은 속도 감지 유닛(110)으로부터 수집한 차량의 속도 정보, 전방 감지 유닛(120)으로부터 수집한 차량의 전방 정보 및 조작 정보 수집 유닛(140)으로부터 수집한 차량의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유닛(150)은 탑승자 감지 유닛(140)으로부터 수집한 탑승자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의 강도, 방향 등을 더 예측할 수도 있다.Also,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may predict a collision by analyz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50 collects vehicle spe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peed sensing unit 110 , front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llected from the front sensing unit 120 , and the vehicle collect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0 . A collision of a vehicle can be predicted us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may further predict the strength, direction, etc.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occupant during a collision by using the occupa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40 .

한편, 안전장치 제어부(200)의 충돌 감지 유닛(210)은 차량의 충돌 시에 동작하며, 충돌의 시점, 강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충돌 감지 유닛(210)은 차량 외부 및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감지 유닛(210)은 차량의 전방, 차량의 후방, 차량의 양측방, 차량의 천장, 차량의 바닥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차량에 여러 개의 충돌 감지 유닛(2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충돌 감지 유닛(210)은, 예를 들면 카메라,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충격 센서, 레이더 장치 등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충돌 감지 유닛(210)은 감지된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of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200 operates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detects at least one of the timing, intensity, and location of the collision.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rear of the vehicle, both sides of the vehicle, the ceiling of the vehicle, the floor of the vehicle, etc., and a plurality of collision detection units 210 in one vehicle. may be installed.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may be, for example, a camera,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impact sensor, a radar device, or the like. Although not shown,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the detected result.

충돌 감지 유닛(210)이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면, 감지된 결과를 판단 유닛(220)으로 전달한다. 충돌 감지 유닛(210)이 판단 유닛(220)으로 감지된 결과를 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예를 들면 충돌 시점으로부터 0.1초 이내, 바람직하게는 0.05초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초 이내일 수 있다.When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detects a vehicle collision, the detected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20 . The time required for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to transmit the detected result to the determination unit 220 may be, for example, within 0.1 seconds, preferably within 0.05 seconds, and more preferably within 0.02 seconds from the time of the collision. have.

판단 유닛(220)은 충돌 감지 유닛(210)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 및 차량 정보 수집부(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장치의 작동 유형을 판단한다. 여기서, 안전장치는 안전벨트, 에어백, 시트 등일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operation type of the safety device using the result detected by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 Here, the safety device may be a seat belt, an air bag, a seat, or the like.

판단 유닛(220)은 충돌 감지 유닛(210)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 및 차량 정보 수집부(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안전장치를 작동시킬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유닛(220)은 안전벨트, 에어백, 시트의 전부를 작동시킬 것인지, 아니면 일부만을 작동시킬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 유닛(220)은 차량 내에 설치된 여러 개의 안전벨트 또는 여러 개의 에어백의 전부를 작동시킬 것인지, 아니면 일부만을 작동시킬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유닛(220)은 작동되는 안전장치의 작동 방향, 세기, 위치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which safety device to operate using the result detected by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210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all or only a portion of the seat belt, the airbag, and the seat. Also, th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all or only some of several seat belts or several airbag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the operating direction, strength, position, etc. of the safety device to be operated.

제어 유닛(230)은 판단 유닛(220)에 의하여 판단된 결과를 이용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230)은 안전장치와 연결되어,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using the resul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20 . The control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safety devi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안전장치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2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afety device support method of the vehicl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descriptions of contents overlapping those of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안전장치 지원 장치(10)의 차량 정보 수집부(100)는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전방 정보 및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한다(S300). 한편, 안전장치 지원 장치(10)의 안전장치 제어부(200)는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다(S310). 그리고, 안전장치 제어부(200)는 단계 S300에서 수집한 정보 및 단계 S310에서 감지한 결과를 안전장치의 작동 유형을 판단한다(S320). 이때, 안전장치 제어부(200)는 탑승자의 자세, 위치 및 신체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및 충돌의 강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안전장치의 작동 위치, 작동 강도 및 작동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장치 제어부(200)는 판단된 작동 유형에 따라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of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10 collects at least one of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front information, and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 S300 ). On the other hand,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200 of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10 detects a vehicle collision (S310). Then,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e operation type of the safety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300 and the result detected in step S310 (S320). At this time,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position, operating strength, and operating timing of the safety device using at least one of the posture, position,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and at least one of the strength and position of the collision. have. And,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type.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 지원 장치가 안전장치의 작동 유형을 판단하고,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peration type of the safety devic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안전장치 지원 장치는 차량 내 탑승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탑승자 정보는, 예를 들면 탑승자의 위치, 자세, 신체 조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탑승자 정보는 탑승자 감지 유닛, 예를 들면 차량의 룸미러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40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안전장치 지원 장치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 경우,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판단 유닛은 탑승자의 상체를 구속하여 탑승자가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벨트의 작동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의 앉은 키가 작은 경우, 안전벨트의 충격 흡수 장치(410)가 동작하는 시기를 조절하거나, 안전벨트의 충격 흡수 장치(41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안전벨트로 인하여 탑승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안전벨트의 충격 흡수 장치(410)가 동작하는 시기, 충격 흡수 장치(410)의 위치 이동 여부, 충격 흡수 장치(410)의 위치 이동 방향 등은 충격의 강도, 방향 등을 더 고려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판단 유닛은 탑승자 정보, 충격의 강도 및 충격의 방향 등을 모두 고려하여 충격 흡수 장치(410)가 동작하는 시기, 충격 흡수 장치(410)의 위치 이동 여부, 충격 흡수 장치(410)의 위치 이동 방향 등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occupants in a vehicle. The occupant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the position, posture,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Such occupant information may be detected by an occupant detection unit, for example, the camera 400 installed around the vehicle's rearview mirror. When the safety device assisting device detects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determination unit of the safety device supporting device may determine the operation type of the seat belt restraining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to prevent the occupant from being thrown forward. For example, when the seated height of the occupant is small, the body of the occupant due to the seat belt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410 of the seat belt 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410 of the seat bel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impact on the The timing of the ope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410 of the seat belt, whether the position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410 moves,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41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impact. have. The determination unit of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considers all of the occupant information, the strength of the impact, the direction of the impact, and the like, when the shock absorbing device 410 operates, whether the shock absorbing device 410 moves, and the shock absorbing device 410 . ), the position and movement direction, etc.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 지원 장치가 안전장치의 작동 유형을 판단하고,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5 show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peration type of the safety devic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Descriptions of contents overlapping those of FIG. 4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안전장치 지원 장치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 경우,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판단 유닛은 에어백의 작동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장치 지원 장치는 탑승자의 안면부와 핸들 간의 거리에 따라 에어백의 작동 시기, 압력 및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탑승자의 안면부와 핸들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에어백이 A와 같이 작동하도록 하고, 탑승자의 안면부와 핸들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에어백이 B와 같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탑승자의 안면부와 핸들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에어백의 압력을 줄임으로써 탑승자의 안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when the safety device assisting device detects a vehicle collision, the determination unit of the safety device supporting device may determine an operation type of the airbag. For example, the safety device assisting device may determine the operating timing, pressure and position of the airbag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face part and the handle.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face part and the hand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irbag may operate like A,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face and the handl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airbag may operate like B.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face part and the hand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hock applied to the occupant's face part may be alleviated by reducing the airbag pressure.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 지원 장치가 안전장치의 작동 유형을 판단하고,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5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6 show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peration type of the safety devic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Contents overlapping those of FIGS. 4 to 5 will be omitted.

도 6를 참조하면, 안전장치 지원 장치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 경우,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판단 유닛은 시트의 작동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장치 지원 장치는 탑승자의 상체의 위치, 자세 등으로부터 충돌 후 반작용에 의하여 튕겨져 나가는 전진 거리, 이후 상체가 복귀되는 이동 경로, 시간, 거리 등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장치 지원 장치는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시트의 머리 받침 또는 등받이의 이동 거리, 이동 시기, 이동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when the safety device supporting device detects a vehicle collision, the determination unit of the safety device supporting device may determine an operation type of the seat. For example,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may estimate a forward distance that is bounced off due to a reaction after a collision from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occupant's upper body, and a movement path, time, distance, and the like, where the upper body is returned thereafter. 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may adjust the moving distance, moving timing, moving position, etc. of the headrest or back of the seat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의 탑승자가 복수인 경우 탑승자 별로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안전장치 지원 장치는 탑승자 별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장치 지원 장치는 탑승자 정보, 충돌의 강도, 충돌의 위치, 충돌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탑승자 별로 안전장치의 작동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석의 탑승자의 안면부가 핸들과 가까우며, 조수석의 탑승자는 어린이이고, 운전자석 방향에서 충돌이 가해진 경우, 안전장치 지원 장치는 운전자석과 조수석에 작동하는 안전장치의 종류, 작동 시기, 작동 강도 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ccupants in the vehicle,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may be controlled for each occupant. To this end,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may collect occupant information for each occupant. 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may determine the operation type of the safety device for each occupant in consideration of occupant information, the intensity of the collision, the location of the collision, the direction of the collision, and the like. For example, if the driver's seat occupant's face part is close to the steering wheel, the passenger's seat occupant is a child, and a collision occurs from the driver's seat direction, the safety device assisting device determines the type of safety device that operates o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and when to operate , operating strength, etc. can be set differently.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 정보 수집부(100)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수집하는 설정 정보 수집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운전 시작 전, 사용자는 설정 정보 수집 유닛을 이용하여 좌석 별 탑승자의 나이, 앉은키, 카시트 장착 여부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충돌 감지 유닛이 충돌을 감지한 경우, 판단 유닛(220)은 속도 감지 유닛(110), 전방 감지 유닛(120), 탑승자 감지 유닛(130) 및 조작 정보 수집 유닛(140)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뿐만 아니라 설정 정보 수집 유닛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도 함께 고려하여 안전 장치의 작동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user's setting information. Before starting driving, the user may input the age of the occupant for each seat, the sitting height, whether a car seat is installed, and the like using the sett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When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detects a collision, the determination unit 220 performs not only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peed detection unit 110 , the front detection unit 120 ,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30 ,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eration type of the safety device by consider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tt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s well.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차량 정보 수집부
200: 안전장치 제어부
110: 속도 감지 유닛
120: 전방 감지 유닛
130: 탑승자 감지 유닛
210: 충돌 감지 유닛
220: 판단 유닛
100: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safety device control unit
110: speed detection unit
120: front sensing unit
130: occupant detection unit
210: collision detection unit
220: judgment unit

Claims (14)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전방 정보 및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 그리고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면, 충돌 감지 결과 및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 제어부는 작동될 안전장치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방향,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세기,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위치 및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며,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는 탑승자의 앉은키, 상체의 폭 및 신체 치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안전벨트, 에어백 및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좌석 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더 수집하고,
상기 안전장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좌석 별 정보는 좌석 별 탑승자의 나이, 앉은키 및 카시트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지원 장치.
In the vehicl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t least one of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occupants in the vehicle, and
When a collision of a vehicle is detected, a safety device control unit that controls operation of a safety device based on a collision detection result and occupa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cluding,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ype of safety device to be operated, and further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safety device, the operating strength of the safety device,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safety device, and the operating timing of the safety device,
The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tting height, upper body width, and body size of the occupant,
The safety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at belt, an air bag and a seat,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urther collects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for each seat,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further uses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The information for each seat is a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ge of the occupant for each seat, the sitting height, and whether the car seat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레이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s a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 radar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는 탑승자의 머리의 위치, 손의 위치 및 상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안전장치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wherein the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sition of a head, a position of a hand, and a position of an upper body of the occupa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는 탑승자의 머리와 핸들 간 거리, 탑승자의 머리와 시트의 머리 받침 간 접촉 여부, 손으로 핸들을 조작하는지 여부, 탑승자의 상체와 핸들 간 거리 및 탑승자의 상체와 시트의 등받이 간 접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안전장치 지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includes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head and the steering wheel, whether the occupant's head and the headrest of the seat are in contact, whether the handle is operated by h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upper body and the hand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s upper body and the seat backrest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contac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차량의 조작 정보를 더 수집하는 안전장치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s a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to further collec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전방 정보,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조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충돌을 예측하는 안전장치 지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predicts a collision by using at least one of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 결과는 충돌의 시점, 강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ision detection result includes at least one of a timing, intensity, and location of a collis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차량 내의 탑승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안전장치 제어부는 탑승자 별로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ccupants in the vehicle, the safety devic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for each occupa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의 안전장치 지원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전방 정보 및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면, 충돌 감지 결과와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작동될 안전장치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방향,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세기,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위치 및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며,
상기 차량 내의 탑승자 정보는 탑승자의 앉은키, 상체의 폭 및 신체 치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안전벨트, 에어백 및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는 좌석 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더 수집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좌석 별 정보는 좌석 별 탑승자의 나이, 앉은키 및 카시트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지원 방법.
In the safety device support method of the vehicle safety device support device,
collecting at least one of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forwar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and
When a collision of a vehicle is detect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afety device based on the collision detection result and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In the controlling step, the type of the safety device to be operated is determined, and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safety device, the operating strength of the safety device,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safety device, and the operation timing of the safety device is further determined,
The occupant information in the vehic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tting height, upper body width, and body size of the occupant,
The safety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at belt, an air bag and a seat,
In the collecting step,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for each seat is further collected,
In the controlling step,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is controlled by further using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for each seat is a safety device support method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ge of the occupant for each seat, the sitting height, and whether the car seat is installed.
KR1020210009375A 2014-01-29 2021-01-22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KR1023223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375A KR102322300B1 (en) 2014-01-29 2021-01-22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589A KR102208926B1 (en) 2014-01-29 2014-01-29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KR1020210009375A KR102322300B1 (en) 2014-01-29 2021-01-22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589A Division KR102208926B1 (en) 2014-01-29 2014-01-29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743A KR20210013743A (en) 2021-02-05
KR102322300B1 true KR102322300B1 (en) 2021-11-08

Family

ID=7455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375A KR102322300B1 (en) 2014-01-29 2021-01-22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3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634A (en) 2021-12-29 2023-07-06 재단법인 경북자동차임베디드연구원 Safety device control system using vehicle occupant posture and 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4474A (en) * 2004-09-24 2008-05-08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Automobile with protective system that works preventively
JP2010204847A (en) * 2009-03-02 2010-09-16 Toyota Motor Corp Driver condition detection device and collision early detection device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2060B2 (en) * 1997-12-02 2006-10-11 マツダ株式会社 Vehicle control device
KR100655208B1 (en) * 2005-06-03 2006-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ssenger Safety Apparatus
KR100931162B1 (en) * 2007-11-21 2009-12-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Vehicle seat bel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20541B1 (en) * 2007-11-21 2011-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an occupant in a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4474A (en) * 2004-09-24 2008-05-08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Automobile with protective system that works preventively
JP2010204847A (en) * 2009-03-02 2010-09-16 Toyota Motor Corp Driver condition detection device and collision early detection device us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634A (en) 2021-12-29 2023-07-06 재단법인 경북자동차임베디드연구원 Safety device control system using vehicle occupant posture and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743A (en)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4979B2 (en) Automobile with protective system that works preventively
US9725087B2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JP5780253B2 (en) Emergency call device for vehicles
US20200164827A1 (en) Knee airba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30320654A1 (en) Vehicle Side Impact Detection Using Vehicle Yaw
US105132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apting a seating position of an occupant of a vehicle
US9415737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10510255B2 (en) Method for reducing collision damage
CN110325408B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US20170144621A1 (en) Front passenger knee bolster deployment control
CN104228742A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2016068751A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of vehicle
EP3243706B1 (en) A vehicle safety system
KR102322300B1 (en)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KR20140011833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rear seat passen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214279A1 (en) Seatbelt lockout system
KR102208926B1 (en)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EP2839997B1 (en) Arrangement for control of vehicle seat belt alert arrangement, a seat, a vehicle, a method and use of the arrangement
JP2008519720A (en) Car with occupant restraint system
KR20120071995A (en) Control method for side impact passenger protecting apparatus
US10906491B2 (en) Safety and comfort restraining device for a vehicle occupant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device
JP4296422B2 (en) Ottoman device for vehicle
JP2004017671A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201301130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bag
JP2008056016A (en) Vehicular safety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