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448B1 -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448B1
KR102308448B1 KR1020210030696A KR20210030696A KR102308448B1 KR 102308448 B1 KR102308448 B1 KR 102308448B1 KR 1020210030696 A KR1020210030696 A KR 1020210030696A KR 20210030696 A KR20210030696 A KR 20210030696A KR 102308448 B1 KR102308448 B1 KR 102308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er
terminal device
children
chatbot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호
나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Priority to KR1020210030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4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care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care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mmunicating with a teacher terminal device of a teacher who manages children and parent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parents of the children; and a control unit which allow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a chatbot service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he teacher and the parent, provides an answer to children's disposition inquired wh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queries the children's disposition through the chatbot service, and provides a content of convers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conversation, when an exclusive conversation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is requested. Therefore, even if there is frequent change of the teachers, it is easy to analyze the children's disposition.

Description

유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Infant care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챗봇 등을 이용하여 여러 곳의 유치원을 관리하되, 각 유치원별로 생성된 인공지능(AI) 챗봇이 해당 유치원 교사와 챗봇, 챗봇과 해당 유치원 학부모들로 연결해주는 유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care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manages kindergartens in several places using, for example, a chatbot,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tbot generated for each kindergarten corresponds to the same. It relates to a kindergarten teacher and a chatbot, a child care device that connects the chatbot and the kindergarten parents,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과 학부모와는 현재 전화, 카톡 등의 문자 및 가정통신문을 통해 상호 의사소통을 진행하고 있으나, 빈번한 교사의 교체로 인해 교사들이 아이들의 성향을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교사로서는 학부모들로부터 개별적인 질문을 받게 되는데 이럴 때 업무에 실제 교육보다는 기타 업무로 인해 상당한 업무 로드(load)가 걸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학부모들의 질의 내용이 거의 유사한 경우(예: 내일 준비물, 비용, 식사 종류 등등)가 대부분이다. 이를 위해 단톡방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럴 경우 아동에 대한 개인적인 대화가 어렵기 때문에 선생들은 일일이 학부모들에게 연락해야 하는 일도 있다.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and parents are current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ext messages such as phone calls and KakaoTalk and home correspondenc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eachers cannot understand children's tendencies due to frequent teacher change, and as teachers, parents You will receive individual questions from the staff. In particular, most of the parents' questions are similar (eg, what to prepare for tomorrow, cost, type of meal, etc.). In some cases, group chat rooms are used for this purpose, but in this case, since it is difficult to have a personal conversation with children, teachers sometimes have to contact the parents one by one.

무엇보다 교사들의 잦은 교체로 인해 이전 교사가 파악한 학생의 특성을 후임 교사는 전혀 파악되지 않으며, 교사 및 학부모 간의 전화번호 노출 등과 같이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사생활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도 있다.Above all, due to the frequent change of teachers, the successor teachers do not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dentified by the former teacher,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or privacy such as exposure of phone number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45297호(2019.01.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45297 (Jan. 29, 201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8206호(2018.05.09)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58206 (2018.05.0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64303호(2020.10.0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64303 (2020.10.05)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예는 가령 챗봇 등을 이용하여 여러 곳의 유치원을 관리하되, 각 유치원별로 생성된 인공지능 챗봇이 해당 유치원 교사와 챗봇, 챗봇과 해당 유치원 학부모들로 연결해주는 유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kindergartens in several places using, for example, a chatbot, but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created for each kindergarten connects the kindergarten teacher with the chatbot, the chatbot and the parent of the kindergarten child management devic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관리장치는, 아이들을 관리하는 교사의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아이들의 학부모가 소지하는 학부모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교사와 학부모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 간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 서비스를 허용하며, 상기 교사 단말장치에서 상기 챗봇 서비스를 통해 상기 아이들의 성향을 질의할 때 질의한 아이의 성향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며, 상기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간 단독 대화가 요청될 때 상기 대화의 요청에 따라 대화 내용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child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teacher terminal device of a teacher who manages children and a parent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the parents of the children, and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acher and the parent. Allow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chatbot service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and provides an answer to the child's disposition inquired when the teacher's terminal device queries the child's disposition through the chatbot service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convers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versation when an independent conversation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is reques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사 단말장치 및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상기 아이들의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아이의 성향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rovide the chatbot service by performing a disposition analysis of the child based on an analysis result of the children'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에서 상기 교사 단말장치로 질의할 때 상기 질의에 대한 기저장된 답변이 있는 경우 상기 답변을 제공하며, 상기 답변이 없을 때 상기 교사 단말장치로 답변을 요청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rovide the answer when there is a pre-stored answer to the query when the parent terminal device makes a query to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may request an answer from the teacher terminal device when there is no answ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을 관리하는 담당 교사가 교체된 것으로 판단될 때 아이들의 성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자동 전송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managing the children has been replaced, the controller may automaticall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of the children's tendenci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의 활동과 관련되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각 아이의 학부모 단말장치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analyze big data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the children and periodicall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parent terminal device of each child.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사와 상기 학부모들의 상호 관계를 근거로 복수의 챗봇을 각각 생성하여 각 챗봇을 통해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plurality of chatbots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s, respectively, and provide the chatbot service through each chatbo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관리장치의 구동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아이들을 관리하는 교사의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아이들의 학부모가 소지하는 학부모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교사와 학부모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 간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 서비스를 허용하며, 상기 교사 단말장치에서 상기 챗봇 서비스를 통해 상기 아이들의 성향을 질의할 때 질의한 아이의 성향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며, 상기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간 단독 대화가 요청될 때 상기 대화의 요청에 따라 대화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child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mmunicating with a teacher terminal device of a teacher who manages children and a parent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the parents of the children, and a control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chatbot service is allowed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nd wh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queries the children's tendencies through the chatbot service and providing an answer to the child's disposition inquiring, and providing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versation when a single conversation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is reques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경우 교사의 빈번한 교체가 있다 하더라도 아이들의 성향 분석이 쉽게 가능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사의 적응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even if there is a frequent change of teachers, it is possible to easily analyze children's tendencies, so that teachers can quickly adap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사와 학부모 간 연락처의 노출을 최대한 자제하면서 아이에 대한 개인적인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의 우려나 소통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reduce the security concerns or the hassle of communication by allowing a personal conversation with the child while maximally restraining the exposure of the contact inform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교사의 경우 준비물이나 식사 종류 등과 같은 공지를 할 때 학부모들로부터 반복되는 질문을 받지 않아도 되므로, 불필요한 업무를 줄이고 실제 교육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acher does not have to receive repeated questions from parents when making announcements, such as preparations or meals, it is possible to reduce unnecessary work and focus on actual edu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교사와 학부모 간 상호 관계를 근거로 형성되는 챗봇 서비스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유아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 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유아관리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fa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tbot service formed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child care device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an infant car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child care device of FIG. 1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교사와 학부모 간 상호 관계를 근거로 형성되는 챗봇 서비스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a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tbot service formed based on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a teacher and a par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관리시스템(90)은 교사 단말장치(100), 학부모 단말장치(105), 통신망(110), 유아관리장치(120) 및 서드파티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child care system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acher terminal device 100 , a parent terminal device 105 , a communication network 110 , a child care device 120 , and a third party. Some or all of the device 130 .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라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유아관리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유아관리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third-party device 130 are omitted so that the child care system 90 is configured, or a par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hild care device 120 or It means that all of them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into a network device (e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교사 단말장치(100)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또는 초중고교의 교사나 사설학원의 강사 등이 소지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교사 단말장치(100)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데스크톱컴퓨터, 랩톱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챗봇은 채팅 로봇을 의미한다. 챗봇은 인공지능(AI)이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일상 언어로 사람과 대화를 하며 답을 주는 대화형 메신저다. 인공지능형 챗봇은 복잡한 질문에도 응답할 수 있고 자기학습도 가능하다. 챗봇은 현재 기업들에서 고객센터의 직원들이 하던 업무 일부를 24시간 수행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사와 학부모의 중개자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teacher of a daycare center, kindergarten, elementary, junior high, or high school, or an instructor of a private academy.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phone capable of using an AI-based chatbot service. Here, the chatbot means a chat robot. A chatbot is a conversational messenger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mmunicates with people in everyday language and gives answers based on big data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can respond to complex questions and are capable of self-learning. Chatbots are currently in charge of performing some of the tasks performed by employees at customer centers around the clock at companies.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eacher and the parent act as an intermediary.

무엇보다 예를 들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경우 교사들은 학부모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간단하게는 전달사항에서부터, 아이들의 활동사진을 주기적으로 학부모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서비스는 기존에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등을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전달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학부모들의 반복적인 질문에 교사들에게 많은 피로와 번거로움을 줄 수 있다.Above all, for example, in a daycare center or kindergarten, teachers can perform various tasks to communicate to parents. In brief, we provide parents with pictures of their children's activities on a regular basis. In general, these services are usually provided on the website operated by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In particular, repeated questions from parents can give teachers a lot of fatigue and trouble when there is a messag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사 단말장치(100)에서 유아관리장치(120)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경우 자신이 담당하는 학급 아이들의 학부모들과 가령 단(체)톡방과 같은 형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더 정확하게는 단톡방과 같은 기능을 갖지만 외형으로 드러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챗봇만이 인지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챗봇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가 교사 단말장치(100)를 통해 아이들의 활동사진을 올리는 경우, 유아관리장치(120)는 챗봇 서비스를 통해 사진 이미지를 분석하고, 아이의 얼굴을인식하여 해당 아이의 학부모 단말장치(105)로 사진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물론 교사와 학부모의 상호 관계를 근거로 시스템 내부적으로, 가령 DB에는 서로 매칭되어 그룹이 형성될 수 있음으로, 이를 근거로 학부모 단말장치(105)로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학부모 전체에 대한 전송이며, 선별적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얼굴 인식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accesses and uses the service of the child care device 120, the servi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group chat room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ren in the class they are in charge of. It can be used, and more precisely, it has the same function as a group chat room, but it is not revealed externally, and it can be seen that only the chatbot recognizes it. You can use the chatbot service in this form. For example, when a teacher uploads an activity picture of children through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the child care device 120 analyzes the picture image through the chatbot service, recognizes the child's face, and recognizes the child's parent terminal. Allowing pictures to be sent to device 105 is representative. Of course,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 a group can be formed by matching each other in the system, for example, in the DB, and based on this, a pict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 However, this is transmission for all parents, and when it is necessary to selectively transmit, a face recogni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또한, 교사 단말장치(100)는 근무지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근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기존 학부모들과 자동으로 매칭되어 챗봇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가령 현재 근무지의 아이들에 대한 성향 파악이나 학부모들의 성향 파악이 필요한 경우에는 채팅 서비스를 통해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받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학부모들과 채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교사는 교사 단말장치(100)를 통해 해당 근무지를 담당하는 챗봇과 대화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교사가 교사 자신에 대한 평가를 요청할 때, 또는 학부모가 학부모 자신에 대한 평가를 챗봇에 요청할 때, 이는 시스템 운영 정책상 답변이 차단될 수 있고, 챗봇은 이를 교사나 학부모에게 알릴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can use the chatbot service by automatically matching with the existing parents only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work place when the work place is changed, for example, identifying the propensity for children in the current work place or parents If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tendencies, these analysis results can be received through the chat service. Of course, there is no chat with parents when such information is requested.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teacher has a conversation with the chatbot in charge of the corresponding workplace through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 Also, when a teacher requests an evaluation of the teacher, or when a parent requests an evaluation of the parent to the chatbot, the response may be blocked according to the system operation policy, and the chatbot may notify the teacher or the parent.

예를 들어, 근무지의 특정 학부모로부터 자신의 아이와 관련한 대화를 하였가고 가정해 보자. 물론 이 또한 학부모는 학부모 단말장치(105)를 통해 챗봇에 대화를 제공한 상태이다. 가령, 자신의 아이 특이사항을 입력하여 당일 특이 사항이 입력되었다면 해당 아이를 담당하는 교사 단말장치(100)로 전달하는 형태이다. 이처럼 교사 단말장치(100)는 일반 채팅과 같이 학부모들과 대화를 직접 한다기보다는 채팅 로봇을 통해 간접적으로 대화를 한다고 볼 수 있다.For example, suppose you have a conversation about your child with a specific parent at work. Of course, this is also a state in which the parent provides a conversation to the chatbot through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 For example, if the child's specific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specific information is input on the day, it is transmitted to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in charge of the child.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communicates indirectly through a chat robot, rather than directly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 parents as in general chatting.

교사는 교사 단말장치(100)를 통해 가정통신문, 일일스케줄, 식단, 준비물을 입력할 수 있고, 아동별 특징(예: 성향, 학습 태도 및 진행 상황, 생활패턴, 학우와의 관계, 특이사항 등 입력), 일일 활동사진 입력, 통학 정보 입력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챗봇은 자연어 처리가 가능할 수 있음으로, 교사의 대화 내용을 이해할 수 있고, 또한 자료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자료에 해당하는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어서 이를 근거로 적절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챗봇을 학습을 수행하므로 이전 데이터의 학습을 통해 교사가 해당 자료를 왜 입력하였는지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인식할 수 없을 때 교사의 교사 단말장치(100)로 구체적인 행위를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The teacher can input home correspondence, daily schedule, diet, and preparations through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and each child's characteristics (eg, disposition, learning attitude and progress, life pattern,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special matters, etc.) input), daily activity photo input, and school information input, etc. can be performed. Since the chatbot can process natural language, it can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teacher's conversation, and when data is input, it can determine what kind of data it belongs to, so that an appropriate action can be made based on this. In addition, since the chatbot is trained,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recognize why the teacher entered the data through the learning of the previous data. If it cannot be recognized, a specific action may be requested from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of the teacher.

학부모 단말장치(105)는 교사 단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이나 국내 S사의 갤럭*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의 유아관리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챗봇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자신의 아이가 소속되어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교사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교사와 연락이 필요한 경우에는 챗봇을 통해 우회적으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별도의 1:1 대화 채널을 형성해 달라고 요청한 경우에는 유아관리장치(120)에서 챗봇 서비스를 통해 형성해주는 단독 채널을 통해 대화를 이어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전화번호로 인터넷 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을 예일 수 있다.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like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domestic S company's Galaxy*Gear. In the case of subscribing to the chatbot service provided by the child care device 120 of FIG. 1 , the child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teacher of the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to which his/her child belongs, or if it is necessary to contact the teacher, it is bypassed through the chatbot conversation can take place. Of course, when a request to form a separate 1:1 conversation channel is requested, the conversation may be continued through a single channel formed through the chatbot service in the child care device 120 . For example, it may be a good example to make an Internet call to a virtual phone number.

예를 들어, 학부모 단말장치(105)도 교사 단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학습을 담당하여 서비스하는 챗봇과 대화가 이루어진다. 학부모 단말장치(105)의 경우에도 자신의 아이에 대한 성향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 데이터를 유아관리장치(120)에 제공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가 활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령 아동의 특이사항(예: 패턴, 성격, 알레르기, 음식 등), 당일 특이 사항 등(예: 열, 설사, 준비물 안 가지고 갔음, 퇴교 시간 등)에 대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담당 교사에게 전달해줘"라고 입력한 경우, 챗봇은 해당 내용을 아이의 교사가 소지하는 교사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like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is in charge of their own learning and has a conversation with a service chatbot. In the case of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basic data may be provided to the child care device 120 so that the child's propensity can be identified so that the data can be utilized, for example, You can enter information about patterns, personality, allergies, food, etc.) and special items on the day (eg fever, diarrhea, not bringing anything with you, time to leave school, etc.). And, when "transfer to the teacher in charge" is input, the chatbot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possessed by the child's teacher.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하의 클라우드 컴퓨팅 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 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mi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 wired/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interlock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Wibro network, etc. is meant to includ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for example, in a cloud computin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can connect to a switching center of a telephone company, etc.,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accesses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to transmit data. or by accessing various repeaters such as a Base Transmissive Station (BTS), NodeB, and e-NodeB to process data.

통신망(110)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촬영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 포인트는 교사 단말장치(100)나 학부모 단말장치(105)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유아관리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AP). Her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which is often installed in a building. Femto or pico base s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access to the imaging device 100, etc. in the classification of small base stations. Of course,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or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radio frequency (RF) such as ultra high frequency (UHF) and very high frequency (VHF), and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may extract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forward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for example, the child care device 12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he access point may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유아관리장치(120)는 가령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교사와 학부모들 간 유아 관리를 위한 챗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론 챗봇 서비스는 회원가입 시 제공하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등의 정보를 근거로 특정 유치원이나 어린이집별로, 더 정확하게는 해당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학급별로 챗봇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유아관리장치(120)에서 A 유치원 챗봇(200), B 유치원 챗봇(210), C 유치원 챗봇(220)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A 유치원 챗봇(200)은 A 유치원의 교사와 학부모들 간 소통을 담당하며, 교사가 교체되는 경우에는 유연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유아관리장치(120)는 A 유치원의 a 학급과 b 학급을 담당하는 챗봇이 분리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전자의 경우가 데이터의 활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가령, A 유치원의 각 챗봇은 서비스명이 붙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랑챗봇, 우주챗봇 등과 같이 작명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infant management device 120 provides, for example, a chatbot service for managing childre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f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Of course, it is desirable that the chatbot service be provided for each specific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or more precisely, for each class of the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provided at the time of membership registration. 2 shows that the kindergarten chatbot A 200, the kindergarten B chatbot 210, and the kindergarten chatbot C 220 can be provided in the child care device 120. Of course, the Kindergarten A chatbot 200 is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of Kindergarten A, and may operate to enable flexible activities when the teacher is replaced. Of course, the child care device 120 may operate the chatbot in charge of class a and class b of kindergarten A separately. Since this can be variously design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ystem designer,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However, the former case may be preferable in terms of data usability. For example, each chatbot in Kindergarten A may have a service name. For example, it can be named and used, such as Arang chatbot and space chatbot.

유아관리장치(120)는 어린이집의 아이들에 대한 성향 정보, 또는 교사들의 성향 정보, 나아가 아이의 학부모들에 대한 성향 정보를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운영 정책상 자신이 자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때는 제한될 수도 있다. 또한 이직한 교사의 접속 권한을 챗봇은 차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경우에는 이직에 따라 교사들의 빈번한 교체가 있을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새로운 교사는 담당하는 학급의 아이들에 대한 성향 분석이 어려울 수 있고, 또 학부모들의 성향도 파악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경우 교사 단말장치(100)를 통해 챗봇 서비스에 접속하여 특정 아이를 지칭하여 성향을 묻거나 해당 아이의 학부모에 대한 성향을 물을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유아관리장치(120)는 해당 유치원 등을 담당하는 챗봇을 통해 물음에 대한 답변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성향 분석을 위하여 유아관리장치(120)는 챗봇 서비스를 통해 해당 유치원의 교사나 학부모들로부터 제공되는 자료를 인공지능 프로그램 등을 통해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The child care device 120 may provide the requestor with propensity information about the children of the daycare center, or the propensity information of teachers, and furthermore propensity information about the parents of the children. However, it may be restricted when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itself according to the operation policy. In addition, the chatbot can block access to teachers who have changed jobs. For example, in the case of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there may be frequent change of teachers according to job change, and in this case, it may be difficult for a new teacher to analyze the children in the class in charge,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arents' tendency. It may take time. Accordingly, the teacher may access the chatbot service through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and refer to a specific child to inquire about the child's disposition or ask the child's disposition towards the parent. In this case, the child care device 120 may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through a chatbot in charge of the kindergarten. Of course, for this tendency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child care device 120 analyzes data provided from teachers or parents of the kindergarten through the chatbot service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and provides analysis results.

예를 들어, 교사와 학부모가 아이의 A라는 유치원을 통해 상호 관계가 형성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따라서, A 유치원을 담당하는 챗봇은 A 유치원과 관련한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한 상태가 되므로, 이를 통해 A 유치원을 둘러싼 다양한 답변을 교사와 학부모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학부모가 A 유치원의 특정 교사에 대한 성향을 한번 물었다고 가정하자. 이의 경우 데이터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학부모가 A 유치원에 없는 B 유치원의 교사에 대한 성향을 물었다고 가정해 보자. 당연히 이의 경우에는 해당 교사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B 유치원의 상황을 보자. B 유치원의 경우에도 A 유치원과 마찬가지로 담당 챗봇이 생성되어 있다. 그러나, A 유치원과 B 유치원의 챗봇은 담당하는 유치원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지만, 그 답변 범위는 얼마만큼의 데이터가 학습이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For example, suppose that a teacher and a parent form a mutual relationship through child A's kindergarten. Therefore, since the chatbot in charge of Kindergarten A learns various data related to Kindergarten A, it can provide teachers and parents with various answers surrounding Kindergarten A. For example, suppose a parent asks once about the disposition towards a particular teacher in Kindergarten A. In this case, an answer can be provided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of the data. By the way, let's assume that the parents asked the disposition towards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B, which is not in Kindergarten A. Naturally, in this case, we will not be able to provide an answer to the teacher concerned. Then, let's look at the situation of Kindergarten B. In the case of Kindergarten B, as in Kindergarten A, a chatbot in charge is created. However, the chatbots of Kindergarten A and Kindergarten B provide answers to the kindergartens in charge, but the range of responses may vary depending on how much data has been learned.

전달사항으로써 교사가 일일스케줄, 식단을 올리면 챗봇은 교사가 담당하는 아이들 부모에게 금일 스케줄 및 식단을 챗 프로그램으로 알려주거나, 부모가 당일 아이들의 질병 상태를 알려주면 챗봇은 교사에게 알려준다. 또한, 데이터 활용을 보면, 교사가 아동의 식사 특징을 물어보면 이전 교사 또는 학부모가 입력된 정보인 알레르기 정보, 선호 음식, 숟가락 사용 여부 등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부모가 아동의 놀이 특징을 물어보면 챗봇은 교사가 기록한 특정 아동의 놀이 패턴을 알려준다. 나아가 교사가 금일 활동사진을 찍어 올리면, 챗봇은 아동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진에 포함된 아이의 부모들에게 해당 사진을 전달할 수 있다.As a message, if the teacher uploads the daily schedule and meal plan, the chatbot informs the parents of the children in charge of today's schedule and diet through the chat program, or if the parent informs the child's disease status on the day, the chatbot informs the teacher. In addition, when looking at data utilization, when a teacher asks about a child's me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uch as allergy information, preferred food, and whether or not a spoon is used, which is information entered by a previous teacher or parent, is provided. When a parent asks about a child's play characteristics, the chatbot informs the child's play pattern recorded by the teacher. Furthermore, if the teacher takes a picture of today's activity and uploads it, the chatbot can recognize the child's face and deliver the picture to the parents of the child included in the picture.

이외에도 유아관리장치(120)는 해당 유치원 내에서 발생하는 특정 상황(예: 교육, 친구들 간의 이야기 등)에 따른 영상 및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이 수신되면 서버로서 동작하는 유아관리장치(120)는 들어오는 영상에서 각 아이의 얼굴을확인한 후 해당 아이들의 음성을 자막(예: 자막으로 처리하는 이유는 여러 아이가 이야기하는 경우 특정 아이의 음성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서버에서는 특정 아이의 얼굴 및 입술을 통해 정확한 음성을 확인한 후 매칭하여 해당 아이들의 이름 및 음성을 자막 표시)으로 처리하여 일정 시간 해당 영상을 편집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는 편집된 동영상을 부모에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ild care device 120 receives an image according to a specific situation (eg, education, talk between friends, etc.) occurring in the kindergarten and a voice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is received. After checking each child's face in the video, the child's voice is subtitled (e.g., the reason for processing the child's voice as subtitles is that if several children are talking, the specific child's voice cannot be confirmed, so the server uses the specific child's face and lip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edit the video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matching the children's names and voices with subtitles) after checking the audio. And the server can deliver the edited video to the parent.

상기의 구성 결과, 특정 아이가 실제 놀이, 협업, 수업 등을 통해 활동성, 참여도 등을 부모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모들에게 아이가 유치원 활동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of the above configuration, by allowing a specific child to deliver activity, participation, etc. to the parent through actual play, collaboration, class, etc., it enables parents to grasp accurate information through the child's activities in kindergarten.

서드파티장치(130)는 유아관리장치(120)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업체의 관리자장치, 또는 유아관리장치(120)에서 유아 관리를 위해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제작업체의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업체의 관리자는 관리자메뉴(예: http://admin.chatbot.co.kr)로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와 관련한 공지사항 등을 입력하고 사용자들이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화면상에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나타내는 챗봇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아이콘이나 화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송파아랑챗봇, 광진아랑챗봇과 같은 형태로 챗봇 명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학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소속되어 있는 챗봇을 선택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해당 챗봇의 실행 화면의 주변에는 공지사항 등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The third-party device 130 is a manager device of an operator that provides the service of the child care device 120 , or a manufacturer who creates and provides a program so that the child care device 120 provides a chatbot service for child care All devices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administrator of the service provider can access the admin menu (e.g., http://admin.chatbot.co.kr), enter notices related to the service, and allow users to check it. have. For example, various icons or screens for a chatbot service representing a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may be formed on the main screen. For example, a chatbot nam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Songpa Arang chatbot and Gwangjin Arang chatbot, and parents may select the chatbot to which their child belongs and use the service in the form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 notice may be provided around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chatbot.

도 3은 도 1의 유아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child care device of FIG.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관리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유아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 the infant care device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ome or all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 the controller 310 ,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 and the storage unit 330 . include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유아 관리부(3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330 are omitted, or components such as the infant care unit 320 are integrated into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310. As meaning that can be configured and the like,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을 경유하여 교사 단말장치(100) 및 학부모 단말장치(105), 그리고 서드파티장치(130)와 각각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유아관리장치(120)에서 제공하는 가령 유치원별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A 유치원 챗봇은 A 유치원의 업무를 담당한다고 볼 수 있고, B 유치원 챗봇은 B 유치원 업무를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communicates with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 and the third-party device 1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FIG. 1 ,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provide, for example, a chatbot service for each kindergarten provided by the child care device 120 of FIG. 1 . In other words, Kindergarten A chatbot is in charge of Kindergarten A's work, and Kindergarten B chatbot is in charge of Kindergarten B work.

예를 들어, A 유치원 챗봇은 A 유치원 교사의 접속을 인식하고, 또 그 대화 내용을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물론 이를 위해 텍스트 인식 모듈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인식된 대화 내용을 근거로 질의 등에 답변할 수 있다. 물론 음성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자연어 처리 인식 기술이 많이 발전되어 있음으로 이러한 인식 모듈을 통해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답변을 제공한다. 가령 A 유치원의 교사가 교체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챗봇은 교체된 B 교사가 접속하게 되면 먼저 교사 교체 여부를 물을 수 있으며, 사실관계를 확인해 볼 수도 있다. 이후 B 교사가 특정 아이를 지정하여 성향을 물으면 그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이러한 동작에 관여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kindergarten A chatbot can recognize the connection of kindergarten teacher A and recognize the conversation content based on text. Of course, a text recognition module can be used for this, and based on the recognized conversation You can answer questions, etc. Of course,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in the form of voice. Recently, a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cogni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 lot, such a recognition module understands the conversation content and provides an answer accordingly.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teacher in Kindergarten A is replaced. When the replaced teacher connects, the chatbot can first ask whether the teacher has been replaced, and can also check the facts. Afterwards, when teacher B designates a specific child and asks for a disposition, data analysis results can be provide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participate in this operation.

좀 더 살펴보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교사가 A 챗봇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면 A 챗봇이 지정된 가령 유치원의 업무를 처리하고, 다른 교사는 B 챗봇에 접속하였다면 B 챗봇이 지정된 유치원의 업무를 처리한다고 볼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교사 단말장치(100)나 학부모 단말장치(105)의 식별정보 등을 근거로 이러한 업무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In more detai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performs the tasks of the kindergarten designated by the chatbot A when the teacher accesses the chatbot A and requests a service, and when the other teacher connects to the chatbot B, the chatbot B performs the tasks of the designated kindergarte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processing is performed, a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classify and process these tasks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or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유아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교사 단말장치(100)에서 A 유치원의 교사가 접속하여 자신이 담당하는 아이의 성향을 질의했다고 가정해 보자. 제어부(310)는 이의 경우 유아 관리부(320)를 통해 A 챗봇을 실행시키고, 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A 챗봇을 통해 A 유치원의 교사와 학부모 간 1:1 대화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의 대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 채널을 형성하는 것은 별도의 채팅창을 생성해 주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챗봇은 해당 교사와 학부모 간 대화를 있다는 것을 대화창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화를 중개해 줄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제어부(310)는 유아 관리부(320)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 unit 310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 and the storage unit 330 of FIG. 3 .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teacher of Kindergarten A accesses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and inquires about the child's disposi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10 may execute the chatbot A through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and provide an answer thereto. Als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1:1 conversation request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 of Kindergarten A through the chatbot A, the controller 310 may form a conversation channel thereof. Here, forming a conversation channel may mean creating a separate chat window, but the chatbot may recognize that there is a convers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 through text analysis of the chat window. This can help mediate the conversation.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unit 31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

유아 관리부(320)는 교사와 학부모 간 상호 관계를 근거로 챗봇 서비스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교사와 학부모가 A 유치원을 통해 상호 관계가 형성되었다면 A 챗봇은 A 유치원의 업무를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자신의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유아 관리부(320)는 교사와 학부모가 B 유치원을 통해 관계가 형성되면 새롭게 생성된 B 채봇은 B 유치원의 업무를 담당한다. A 챗봇과 B 챗봇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므로, 서로 다른 영역에서 동작한다고 볼 수 있다.The child management unit 320 forms a chatbot service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 In other words, if the teacher and parent have a mutual relationship through Kindergarten A, it can be said that Chatbot A is in charge of Kindergarten A. It classifies and stores the data provided through its own channel and analyzes it to provide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when the child management unit 320 establish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 through Kindergarten B, the newly created Chabot B takes charge of the tasks of Kindergarten B. Since chatbot A and chatbot B collect and analyze different data, it can be seen that they operate in different areas.

또한, 유아 관리부(320)는 A 유치원의 교사가 교체될 때 새로운 교사가 접속하는 경우 교사의 교체 여부를 물을 수 있다. 그리고, 교사의 교체를 인식한다. 또한, 새로운 교사의 질의에 답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교사가 특정 아이의 성향뿐 아니라 학부모의 성향을 물었다고 가정해 보자. 챗봇은 이를 인식하고, 그동안 수집하여 분석한 해당 아이와 학부모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새로운 교사의 질의에 답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챗봇은 텍스트나 음성 기반으로 대화를 형성하지만, 음성을 함께 송출하는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Also, when the teacher of Kindergarten A is replaced, the early childhood management unit 320 may inquire whether the teacher is replaced when a new teacher connects. And, it recognizes the change of teachers. You can also answer new teachers' questions. For example, suppose a new teacher asks the parent's disposition as well as the disposition of a particular child. The chatbot recognizes this and can answer the new teacher's qu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hild and the parent that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Of course, these chatbots form a conversation based on text or voice, but in the case of transmitting voice together, voice data may be provided.

나아가 유아 관리부(320)는 A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업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전달사항을 입력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특정 학급의 아이들과 관련된 학부모들의 학부모 단말장치(105)로 전달사항을 전송하면서 A 유치원 a 교사의 공지라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또한, A 유치원의 교사가 금일 활동사진을 올리면, 해당 사진에 있는 아이의 얼굴을인식하고, 이를 통해 해당 아이와 관계되는 학부모 단말장치(105)로 사진을 전송하면서 특정 사실을 통지한다. 이외에도 유아 관리부(3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교사가 아동의 식사 특징을 물어보면 이전 교사 또는 학부모가 입력한 정보인 알레르기 정보, 선호 음식, 숟가락 사용 여부 등등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부모가 아동의 놀이 특징을 물어보면 챗봇은 교사가 기록한 특정 아동의 놀이 패턴을 알려줄 수 있다.Furthermore,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manages the overall work performed in Kindergarten A. For example, suppose a teacher enters a messag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fact that the notice of the kindergarten teacher A whil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of the parents related to the children of a specific class. In addition, when the teacher of Kindergarten A uploads an activity picture today, the face of the child in the picture is recognized, and a specific fact is notified while transmitting the picture to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related to the child. In addition,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when the teacher asks about the child's meal characteristics, it provides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llergy information, preferred food, whether a spoon is used, which is information entered by a previous teacher or parent, etc., When a parent asks about a child's play characteristics, the chatbot can inform the play pattern of a particular child recorded by the teacher.

상기의 동작을 위해 유아 관리부(320)는 텍스트인식 모듈이나 자연어처리모듈 등 S/W 모듈이나 H/W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챗봇의 대화창에 입력되는 텍스트들에 대하여 텍스인식 모듈이나 자연어처리모듈을 통해 교사나 학부모들의 대화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처리를 위해서는 품사 등의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자연어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For the above operation,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may include a S/W module or a H/W module such as a text recognition module or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dule. With respect to the texts input to the chatbot's chat window, the text recognition module 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dule can recognize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example,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with reference to a library such as parts of speech.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유아 관리부(32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나 학부모의 대화창에 입력된 데이터가 제공되면, 이를 유아 관리부(320)로 제공하여 분석 및 그 분석에 따른 답변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30 may temporarily store various types of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and then provide it to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 For example, when data input to a teacher's or parent's chat window is provided, it may be provided to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to provide an analysis and an answer according to the analysis.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유아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으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the control unit 310,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and the storage unit 330 of FIG. 3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since the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would like to substitut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진 비트 정보의 연산 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유아관리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유아 관리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10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chip.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arithmetic unit (ALU), an instruction interpreter and a registry, and the memory may include a RAM. The control circuit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may perform an operation operation of true bi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ion interpretation unit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onverting a high-level language into a machine language and a machine language into a high-level language, including an interpreter or a compiler, The registry may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by copy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infant management unit 320 at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of the infant care device 120, loading it into a memory, that is, RAM, and then executing it, it is possible to quickly increase the data operation processing speed. hav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 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ild car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관리장치(120)는 교사나 학부모의 상호 관계를 근거로 교육 기관별 챗봇을 생성한다(S400). 여기서, 교육 기관별 챗봇이란 교사 단말장치(100)나 학부모 단말장치(105)에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하면 초기에 제공되는 메인화면에 특정 지역의 유치원이나 초중고교 등의 교사와 학부모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챗봇 아이콘 등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 하더라도 앱의 실행 시에 메인화면상에 자신과 관계있는 특정 챗봇만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child care device 120 creates a chatbot for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 ( S400 ). Here, the chatbot for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is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or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When the application (hereinafter, the app) is executed, teachers and parents of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a specific area can use it on the main screen that is initially provided. It may mean that a chatbot icon or the like is provided. Of course, even if this is not the case, it may mean that only a specific chatbot related to the user is provided on the main screen when the app is executed.

챗봇을 통한 일종의 그룹이 형성되면, 해당 챗봇을 통해 교사와 학부모들은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전달사항을 공지하면 해당 전달사항을 전달받을 학부모들의 학부모 단말장치(105)로 챗봇은 공지사항을 전달한다. 그리고, 학부모들이 전달사항 등과 질의가 있을 때도 해당 공지사항을 근거로 답변을 제시하거나 해당 공지사항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교사가 학부모들의 질의마다 매번 답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When a group is formed through a chatbot, teachers and parents can communicate through the chatbot. For example, when a teacher announces a message, the chatbot delivers the announcement to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of the parents who will receive the message. In addition, when parents have questions about information, etc., they can provide answers or provide notices based on the notice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f the teacher having to answer each parent's question every time.

또한, 유아관리장치(120)는 특정 채널을 통해 교사나 학부모들에게서 오고 가는 데이터가 쌓이면 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S410 ~ S430). 대표적으로 아이, 교사, 학부모들의 성향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서비스 초기에 교사나 학부모들이 기본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는 있다. 이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가 누적되면 누적된 데이터를 계속해서 분석하고 학습을 통해 교사나 학부모의 질의에 답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hild care device 120 generates an analysis result by analyzing the accumulation of data coming and going from teachers or parents through a specific channel (S410 to S430).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analyze the tendencies of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Of course, for this purpose, teachers or parents can provide basic data at the beginning of the service. Based on this, when data is accumulate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nalyze the accumulated data and answer the ques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learning.

이처럼 유아관리장치(120)는 가령 교사 단말장치(100)에서 소속 교육기관, 가령 A 유치원의 챗봇에 접속하여 아이의 성향을 질의하는 경우(S440), 학습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 결과를 교사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450).As such, when the child care device 120 connects to the chatbot of the affiliated educational institution, such as Kindergarten A, i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and queries the child's disposition (S440),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the learning data is analyzed by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provided (S450).

예를 들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경우에는 이직으로 교사의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새로운 교사는 학급 아이들과 학부모들의 분위기를 파악하는 게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해당 유치원 챗봇이 있는 경우 새로운 교사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업무의 부담을 상당 부분 줄여줄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teacher change may occur frequently due to turnover. In this case, the new teacher will have a lot of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mood of the class children and parents. Accordingly, if there is a corresponding kindergarten chatbot, it is possible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to new teacher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burden of work.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사 단말장치(100), 학부모 단말장치(105) 및 유아관리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으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and the child care device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so the contents would like to replace it with

도 5는 도 1의 유아관리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child care device of FIG. 1 .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관리장치(120)는 아이들을 관리하는 교사의 교사 단말장치(100)와 아이들의 학부모가 소지하는 학부모 단말장치(105)와 통신한다(S500). 가령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의 메인화면에서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hild car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acher terminal device 100 for a teacher who manages children and a parent terminal device for parents of children ( 105) and communicate (S500). For example, in order to perform communication, an app may be executed on the main screen of a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또한, 유아관리장치(120)는 교사와 학부모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교사 단말장치(100)와 학부모 단말장치(105)간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 서비스를 허용하며, 교사 단말장치(100)에서 챗봇 서비스를 통해 아이들의 성향을 질의할 때 질의한 아이의 성향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며, 교사 단말장치(100)와 학부모 단말장치(105)간 단독 대화 요청이 있을 때 대화 요청을 근거로 대화 내용을 제공한다(S510).In addition, the child care device 120 allow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chatbot service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105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acher and the parent, and the teacher terminal device 100 ) provides an answer to the child's disposition when inquiring about the child's disposition through the chatbot service. The conversation contents are provided (S510).

예를 들어, 챗봇은 A 교사가 아이 a의 학부모와 대화를 하게 되면 A 교사와 아이 a의 학부모에게 대화 내용을 서로 전달하며, 아이 b의 학부모와 대화를 하는 경우 A 교사와 아이 b의 학부모에게 대화 내용을 서로 전달함으로써 교사 및 학부모 간 전화번호 노출 등을 가급적 지양하고,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사생활이 노출되는 경우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가령, 기존에는 단톡방이라는 것을 통해 교사의 사생활이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면 이를 줄여줄 수 있다. 물론 교사와 학부모 간에는 연락처를 요청하여 통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에도 음성 대화가 목적이므로 인터넷 전화와 같이 즉흥적으로 대화 채널을 챗봇이 형성해 줌으로써 개인 연락처 등이 노출되는 문제를 가급적 줄일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teacher A has a conversation with the parent of child a, the chatbot communicates the conversation between teacher A and the parent of child a, and if teacher A has a conversation with the parent of child b, it sends the conversation to teacher A and the parent of child b. By communicating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it is possible to avoid exposing phone number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s much as possible, and to improve problems in cases where personal information is exposed or privacy is exposed. For example, if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teachers' private lives could be exposed through group chat rooms, this can be reduced. Of course, a call can be made by requesting contact inform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 but even in this case, the purpose of voice conversation is to reduce the problem of exposing personal contact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by allowing the chatbot to create an improvised conversation channel like an internet phone call.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유아관리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으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infant care apparatus 12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ed information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so it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가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가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가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 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히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rovide a program module that performs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 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 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 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교사 단말장치 105: 학부모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유아관리장치
130: 서드파티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유아 관리부
330: 저장부
100: teacher terminal device 105: parent terminal device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infant care device
130: third-party device 3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10: control unit 320: infant management unit
330: storage

Claims (7)

아이들을 관리하는 교사의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아이들의 학부모가 소지하는 학부모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교사와 학부모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 간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 서비스를 허용하고, 상기 교사 단말장치에서 상기 챗봇 서비스를 통해 상기 아이들의 성향을 질의할 때 질의한 아이의 성향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며, 상기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간 1:1의 단독 대화가 요청될 때 상기 단독 대화의 요청에 따라 대화 채널을 형성해 대화 내용을 중개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사 단말장치 및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상기 아이들의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아이의 성향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을 관리하는 담당 교사가 교체된 것으로 판단될 때 아이들의 성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자동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교체된 담당 교사가 접속할 때 교사 교체 여부를 물어 사실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사와 상기 학부모들의 상호 관계를 근거로 교육기관별로 복수의 챗봇을 각각 생성하여 각 챗봇을 통해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아관리장치.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mmunicating with a teacher terminal device of a teacher who manages children and a parent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the parents of the children; and
Wh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chatbot service is allowed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nd the teacher terminal device queries the children's tendencies through the chatbot service Provides an answer to the child's disposition to inquire, and when a 1:1 private conversation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is requested, a conversation channel is formed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single conversation and provided by mediating the conversation contents control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chatbot service by performing a tendency analysis of the chil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children'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managing the children has been replaced, automatically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of the children's tendencies,
The control unit confirms the factual relationship by asking whether the teacher is replaced when the replaced teacher accesses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chatbots for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s, respectively, and provides a chatbot service through each chatbo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에서 상기 교사 단말장치로 질의할 때 상기 질의에 대한 기저장된 답변이 있는 경우 상기 답변을 제공하며, 상기 답변이 없을 때 상기 교사 단말장치로 답변을 요청하는 유아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answer when there is a pre-stored answer to the query when the parent terminal device asks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when there is no answer, the child care device requests an answer to the teacher terminal device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의 활동과 관련되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각 아이의 학부모 단말장치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유아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alyzes big data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the children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s to the parent terminal device of each child.
삭제delete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아이들을 관리하는 교사의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아이들의 학부모가 소지하는 학부모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교사와 학부모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 간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 서비스를 허용하고, 상기 교사 단말장치에서 상기 챗봇 서비스를 통해 상기 아이들의 성향을 질의할 때 질의한 아이의 성향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며, 상기 교사 단말장치와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간 1:1의 단독 대화가 요청될 때 상기 단독 대화의 요청에 따라 대화 채널을 형성해 대화 내용을 중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사 단말장치 및 상기 학부모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상기 아이들의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아이의 성향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이들을 관리하는 담당 교사가 교체된 것으로 판단될 때 아이들의 성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자동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교체된 담당 교사가 접속할 때 교사 교체 여부를 물어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사와 상기 학부모들의 상호 관계를 근거로 교육기관별로 복수의 챗봇을 각각 생성하여 각 챗봇을 통해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아관리장치의 구동 방법.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 teacher terminal device of a teacher who manages children, and a parent terminal device owned by the parents of the children; and
A control unit allow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chatbot service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nd displays the children's tendencies through the chatbot service i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When an inquiry is made, it provides an answer to the child's disposition, and when a 1:1 private conversation between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is requested, a conversation channel is formed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exclusive conversation to mediate the conversation contents to provide; including,
providing, by the controller, the chatbot service by analyzing the child's tendenc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children'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acher terminal device and the parent terminal device;
automatically transmitting, by the control unit, an analysis result of the children's tendenci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managing the children has been replaced;
confirming, by the control unit, a factual relationship by asking whether the teacher has been replaced when the replaced teacher accesses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and
generating, by the controller, a plurality of chatbots for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s, respectively, and providing a chatbot service through each chatbot;
Driving method of the infant care device further comprising.
KR1020210030696A 2021-03-09 2021-03-09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08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96A KR102308448B1 (en) 2021-03-09 2021-03-09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96A KR102308448B1 (en) 2021-03-09 2021-03-09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448B1 true KR102308448B1 (en) 2021-10-05

Family

ID=7807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696A KR102308448B1 (en) 2021-03-09 2021-03-09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4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621B1 (en) * 2022-01-19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based child personality type test ser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206B1 (en) 2017-12-07 2018-05-15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administration service of chat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1945297B1 (en) 2017-11-10 2019-02-07 (주)페르소나시스템 Server for producing and providing of chatbot linked with instant messenger
KR20190095617A (en) * 2018-01-26 2019-08-16 전용근 Private educational student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KR102017541B1 (en) * 2019-02-13 2019-09-03 (주)인더코어비즈니스플랫폼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KR20200094311A (en)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레드타이 Method for providing chatbot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102164303B1 (en) 2019-02-11 2020-10-12 유시연 Customer cent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of unmanned locker system using chatbot
KR20200117474A (en) * 2019-04-04 2020-10-1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Intellectual Learn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91672B1 (en) * 2019-12-20 2020-12-16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에듀 personalized learning method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 and Learner Analysis, and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297B1 (en) 2017-11-10 2019-02-07 (주)페르소나시스템 Server for producing and providing of chatbot linked with instant messenger
KR101858206B1 (en) 2017-12-07 2018-05-15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administration service of chat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90095617A (en) * 2018-01-26 2019-08-16 전용근 Private educational student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KR20200094311A (en)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레드타이 Method for providing chatbot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102164303B1 (en) 2019-02-11 2020-10-12 유시연 Customer cent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of unmanned locker system using chatbot
KR102017541B1 (en) * 2019-02-13 2019-09-03 (주)인더코어비즈니스플랫폼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KR20200117474A (en) * 2019-04-04 2020-10-1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Intellectual Learn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91672B1 (en) * 2019-12-20 2020-12-16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에듀 personalized learning method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 and Learner Analysis,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621B1 (en) * 2022-01-19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based child personality type test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dorai et al. Evolution, challenges, and application of intelligent ICT education: An overview
Tissenbaum et al. Supporting classroom orchestration with real-time feedback: A role for teacher dashboards and real-time agents
Hughes Participatory design for the social media needs of emergency public information officers.
US20220076283A1 (en) Personal Corporate Survey Chatbot Management
KR102308448B1 (en)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21163454A (en) Computer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improving way of interacting with individuals in communication between two persons
KR102282798B1 (en) Apparatus for Intellectual Learn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ópez et al. A conceptual framework for smart device-based notifications
Hofmann JUST BECAUSE WE CAN-GOVERNMENTS'RATIONALE FOR USING SOCIAL MEDIA
Reyes-Cruz et al. Demonstrating interaction: The case of assistive technology
JP7163757B2 (en) Convers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102082245B1 (en) Apparatus for Learning Service having Multi-view Method
KR102171103B1 (en) Apparatus for Matching Person Service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ngh et al. A reflection on translation issues in user-centred design
Miltchev et al. Development of digital competencies and skills in the field of use of cloud services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Paz Online collaboration platforms: Communication implications for workplace virtual teams
Mishra et al. Communication in the time of Covid-19
KR20200012120A (en) Dialogue Service Apparatus for Preventing Reduced Cognitive Funtion
Rennecker et al. “Invisible whispering”: Restructuring meeting processes with instant messaging
Rivas Participatory research for person-centered care: involving undocumented and recent migrants
Klaassen et al. Digitalization in schools: Four examples of Embeddedness
Žišt et al. Deployment of a community information platform in Santo Antão island: A case study from Cabo Verde
Papapicco Whats… App at work? Instant messaging improves professional well-being
Timokhina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of educational services in COVID-19 pandemia: Social and technological aspects
KR20240076857A (en) Coaching servic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