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541B1 -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541B1
KR102017541B1 KR1020190016533A KR20190016533A KR102017541B1 KR 102017541 B1 KR102017541 B1 KR 102017541B1 KR 1020190016533 A KR1020190016533 A KR 1020190016533A KR 20190016533 A KR20190016533 A KR 20190016533A KR 102017541 B1 KR102017541 B1 KR 10201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code
request
secret
chatbo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현석
Original Assignee
(주)인더코어비즈니스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더코어비즈니스플랫폼 filed Critical (주)인더코어비즈니스플랫폼
Priority to KR102019001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5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in a chatbot server, an authentication code and request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chat room of the user terminal and a chatbot; determining, at the chatbot server,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 request object match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and generating, at the chatbot serv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providing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chat room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Description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본 발명은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에 입력되는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capable of processing a user's request using an authentication code input to a chat room of a user terminal and the chatbot.

메신저는 PC(personal computer)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서비스로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는 대표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모바일 메신저에서 진화된 형태의 기술이 바로 챗봇이다. 챗봇은 사용자가 별도로 웹사이트나 앱을 따로 실행하지 않고도 대화하듯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다. 챗봇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쓰는 메신저를 통해 대화 또는 질문을 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Messenger is a service that was built around a personal computer (PC), and as smartphones appeared, it became a representative means of communicating with people. The evolution of this type of mobile messenger is the chatbot. Chatbot is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get information as if they are talking without having to launch a separate website or app. In the case of using a chatbot, the user can get the desired information by talking or asking a question through his or her messenger.

그러나 이와 같은 챗봇을 이용하여 질문을 하고자 하는 경우, 메신저 상에 다양한 대상에 대한 챗봇들과 전부 친구추가를 하여 각각의 챗봇과의 채팅방에서 질문이나 요청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A 호텔과 B 호텔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은 경우, A 호텔의 챗봇 및 B 호텔의 챗봇과 친구를 맺고, 각각의 호텔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은 해당 챗봇과의 대화방을 찾아서 질문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의 챗봇과 대화하는 경우, 문의할 대상을 항상 포함하여 질문을 하여야 하고 특정 대상에 대하여 계속하여 질문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호텔을 예약함에 있어 A 호텔의 여러 가지 정보를 물어보고 싶은 경우, 챗봇과의 채팅방에서 질문을 할때마다 A 호텔에 관한 것임을 함께 기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f you want to ask a question using a chatbot like this,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add a friend with all chatbots on various messengers on a messenger and make a question or request in a chat room with each chatbot. For example, if you want to get information about hotel A and hotel B, make friends with the chatbots of hotel A and the chatbots of hotel B.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each hotel, you need to find a chat room with that chatbot and ask a question. There was discomfort. In addition, when talking with an AI chatbot, there is a problem that you should always ask questions, including the subject to inquire, and cannot continue to ask a specific subject. For example, when booking a hotel, if you want to ask for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hotel A, whenever you ask questions in the chat room with the chatbot, it is inconvenient to mention that it is about the hotel.

또한, 챗봇에게 고도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요청을 하는 경우,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사용자가 불안감을 많이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5021호(2018.07.16. 공개)에서는 사용자가 태스크 수행을 요청하면 사용자의 보안정보가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안정보가 요구되는 경우 챗봇과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에서 사용자로부터 보안정보(예를 들어, 주민번호, 계좌번호, 계좌비밀번호 등)을 입력받아 태스크를 수행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챗봇은 보안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사이트 등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에 불과하고, 보안정보가 요청되는 태스크를 수행할 때마다 사용자는 보안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making a request that requires a high degree of security to the chatbot, a security problem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ccurred, the user has a lot of anxiet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35021 (published Jul. 16, 2018)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security information is required when the user requests to perform a task, and if the security information is required, In an independent application, a website, or a web page, a user receives security information (for example, a social security number, an account number, an account password, etc.) from a user and performs a task.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is method, the chatbot merely serves to access a site that requires the input of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user is inconvenient to input the security information every time a task for which security information is requested is performed. There was thi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5021호(2018.07.16.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35021 (published Jul. 16, 20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에 입력되는 인증코드에 따라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에 대한 응답정보를 채팅방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that can provide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to the chat room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hatbot through the chat room. hav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단말로 비밀인증코드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에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밀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요청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보안이 필요한 요청에 대하여도 간단하게 사용자인증을 한 후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when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input to the chat terminal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hatbo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that can process a request after simple user authentication even for a request requiring security.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챗봇서버에서,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증코드 및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유효한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receiving an authentication code and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hat room of a user terminal and a chatbot in a chatbot server, wherein Determining, at a chatbot server,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and at the chatbot server,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is compared with the request object. And generating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chat room.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요청대상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이 존재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validity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when the reque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exists in a database in which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quest object are matched and stored in the chatbot server. It may include the step.

상기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새로운 인증코드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거나 상기 요청대상들과 매칭되어 있는 인증코드들을 상기 채팅방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the chatbot, when a reque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the chatbot server requests to input a new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hat room or the request objects. And providing authentication codes matched with the chat room.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되기 전 가장 최근에 수신된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validity may further include, when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most recently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before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chatbot server.

상기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상기 챗봇서버에서, 사용자정보 및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하는 비밀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존재여부 및 유효기간 경과여부에 따라 비밀인증코드로써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아닌 경우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존재여부에 따라 공개인증코드로써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the chatbot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at the chatbot server,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including user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comprises the chatbot. In the server,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s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whether the valid period has elapsed and the chatbot server In the case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no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s a public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the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the step in the chatbot server,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in the chatbot server,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chat room.

상기 사용자정보 및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이면서 유효한 경우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사용자정보와 관련된 비밀요청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인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있다.The transmitting of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determining, by the chatbot server, whether the request information is secret reques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inform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nd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quest information is the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in the case of secret request information; and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if the request information is not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chat room.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 상기 비밀인증코드, 상기 요청대상 및 상기 유효기간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비밀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이 존재하고 현재시점이 상기 유효기간 이내이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아닌 경우,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요청대상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이 존재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request object and the validity period information is matched and stored in the received secret authentication database Determining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f the reque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de exists and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validity period; and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no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authentication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if a reque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exists in the database where a code and the request object are matched and store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챗봇서버에서, 사용자정보 및 유효기간을 포함하는 비밀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존재여부 및 유효기간 경과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이면서 유효한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t a chatbot server,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including user information and an expiration date to a user terminal, the chatbot server Receiving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hat room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hatbot, in the chatbot server,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nd determining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whether an expiration date has elapsed, receiving, by the chatbot server,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hat room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chatbot, and at the chatbot server, the authentication code. If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nd valid,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요청대상별로 매칭되어 있는 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에 입력하면, 이후에 새로운 인증코드가 입력될 때까지 챗봇은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에 대한 응답정보만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쉽고 간단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기존의 메신저를 이용하여 챗봇과 대화를 함에 있어, 요청대상들 모두를 친구로 추가하거나 각각의 채팅방을 개설할 필요없이 하나의 채팅방에서 인증코드를 바꿔가면서 대화함으로써 복수의 요청대상들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보안이 요구되는 요청사항에 대하여 처리를 하기 위하여 비밀인증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가 챗봇과의 채팅방에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입력한 경우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사용자인증을 완료하여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요청사항을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사용자인증을 통하여 보안이 요구되는 요청사항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when a verification code matching a request target is input to a chat room of a user terminal and a chatbot, the chatbot is input until a new authentication code is input thereto. The us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simply obtain a variety of information by generating and providing only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request targe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in a conversation with a chatbot using an existing messenger, all of the request targets may be added as a friend or each chat room may be opened. By changing the authentication code in a single chat room without the need to have all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request targets. In the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a user to process a request for security, and the user authenticates the secret to a chat room with a chatbot. If a code is entered,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in relation to the request target, and the request is sent to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for processing. Thus, the user can easily handle the request that requires security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here is thi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공개인증코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비밀인증코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사용자단말로 상기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챗봇과 대화하는 채팅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도 7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챗봇과 대화하는 채팅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인증코드를 변경하여 입력한 경우 챗봇과 대화하는 채팅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자단말로 입력된 요청사항이 관리자단말로 전달됨에 있어 자동번역이 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the database of FIG. 1.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the database of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web site for confirming the authent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f FIG. 1 in a text message.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when the website of FIG. 7 is accesse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hat room that communicates with a chatbot using the authentication code of FIG. 8.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when accessing the website of FIG. 7.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hat room that communicates with a chatbot using the authentication code of FIG. 10.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hat room that chats with a chatbot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changed and input.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utomatic translation is performed when a request inputted to a user terminal is delivered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도 1을 참조하면,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시스템(100)은 챗봇서버(120), 관리서버(14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챗봇서버(120)는 사용자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관리서버(140)는 관리자단말(1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챗봇서버(120)는 필요한 경우 관리서버(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챗봇서버(120)는 사용자단말(110)과 상기 챗봇이 대화하는 채팅방을 관리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단말(110)에서 입력되는 내용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응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채팅방에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사용자단말(110)은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인터넷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챗봇서버(120)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관리서버(140)는 이하에서 설명할 인증코드와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를 의미하며, 관리자단말(150)은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과 같이 관리서버(140)와 관련 내용을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1, a user request processing system 100 using a chatbot may include a chatbot server 120, a management server 140, and a database 130. The chatbot server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e management server 14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manager terminal 150, the chatbot server 120, if necessary, the management server 140 ) Can send and receive data. The chatbot server 120 relates to a server managing a chat room in which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hatb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hatbot server 120 receives content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generates various respons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m in the chat room. Can give The user terminal 110 refers to various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PC, a tablet, etc., which a user inputs using an input means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to transmit the user input contents to the chatbot server 120. The management server 140 refers to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to be described below, the manager terminal 150 can transmit and receive the related content with the management server 140, such as a smartphone, PC, tablet, etc. That means a variety of devices.

이하에서 사용자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코드는 '인증코드'라고 하고, 챗봇서버(120) 또는 다른 서버에서 사용자단말(110)로 전송된 코드는 보안성 여부에 따라 '공개인증코드' 또는 '비밀인증코드'라고 한다. 상기 공개인증코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비밀인증코드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개인증코드는 사용자단말과 무관하게 요청대상별로 동일한 코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호텔'의 공개인증코드가 '123'인 경우, 사용자와 무관하게 어떤 사용자단말을 통해서라도 상기 채팅방에 '123'을 입력하면, 챗봇서버(120)는 'X 호텔'에 관한 채팅을 진행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비밀인증코드는 사용자단말에 따라 서로 다른 코드로 표시될 뿐 아니라 동일한 사용자단말이라도 요청대상과 유효기간에 따라 다른 코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호텔에 대하여 2019.1.29. ~ 2019.1.30.'까지 유효한 값을 가지는 비밀인증코드와 'Y 호텔에 대하여 2019.1.29. ~ 2019.1.30.'까지 유효한 값을 가지는 비밀인증코드와 'X 호텔에 대하여 2019.1.30. ~ 2019.02.01.'까지 유효한 값을 가지는 비밀인증코드는 모두 다른 값일 수 있다. 상기 공개인증코드와 상기 비밀인증코드에 대하여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d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10 is referred to as an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ode transmitted from the chatbot server 120 or another server to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referred to as' public authentication code 'or'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and the information on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30).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may be displayed by the same code for each request target regardless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if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of 'X Hotel' is '123', if the user inputs '123' to the chat room through any user terminal irrespective of the user, the chatbot server 120 is connected to the 'X Hotel'. Can be perceived as proceeding with a cha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may not only be displayed as a different code according to the user terminal, but may also be displayed as a different code according to the request target and the validity period even for the same user terminal. For example, for hotel X 2019.1.29. ~ 2019.9.30. ~ 2019.1.30. 'Secret authentication code with valid value and' X Hotel. ~ 2019.02.01.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at has a valid value may be all different value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도 1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하여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operations of the method for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FIG. 1.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인 경우에 관한 실시예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2 is an embodiment of the case where the authentication code i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챗봇서버(120)는 사용자단말(110)과 상기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단말(110)로부터 인증코드 및 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상기 인증코드는 숫자, 문자 또는 특수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S210 단계는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요청정보가 함께 수신될 수도 있고, 다른 시점에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210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요청정보가 함께 수신된 경우 이하에서 설명하는 S220 단계와 S230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S210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만 수신된 경우 이하에서 설명하는 S220 단계만 수행되고 대기하다가 이후에 다시 S210 단계 중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S230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1 and 2, the chatbot server 120 may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and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hat room of the chatbot (S210). The authentication code may include numbers, letters or special symbols. In the case of Figure 2 step S210 may be received together with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quest information, or may be received at different times. For example,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quest information are received together at step S210, steps S220 and S230 described below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Alternatively, when only the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in step S210, only the step S220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and waits, and when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again during step S210, step S230 may be performed.

상기 S210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챗봇서버(120) 또는 다른 서버는 사용자단말(110)로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챗봇서버(120)는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챗봇서버(120)는 다른 서버는 문자메시지 또는 이메일 등을 통하여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110)로 전송하거나,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를 사용자단말(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는 도 7, 도 8 및 도 10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Before performing the step S210, the chatbot server 120 or another server may transmit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chatbot server 120 may transmit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chat room. Alternatively, the chatbot server 120 transmit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text message or an email, or sends a website address to the user terminal 110 to check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You can also send.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8, 10, and the like.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과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하는 사용자단말은 동일한 사용자단말일 수도 있고 상이한 사용자단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전송한 경우, 사용자가 PC를 이용하여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 채팅방에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110)과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입력하는 사용단말(110)이 동일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and the user terminal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hat room may be the same user terminal or different user terminals. For example, when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e-mail, the user may check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using a PC and input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into the chat room through a smart phon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user terminal 110 receiving the open authentication code and the use terminal 110 for inputting the open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hat room are the same will be described.

챗봇서버(120)는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220). 도 2의 경우는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인 경우에 대한 것이므로, S220 단계는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써 유효한지 판단하게 된다.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일 수도 있고 상기 비밀인증코드일 수도 있는 경우에 대하여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다.The chatbot server 120 may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S220). In the case of FIG. 2, since the authentication code i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step S220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The case where the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case where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or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써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으로,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요청대상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이 존재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상기 공개인증코드가 요청대상과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을 찾아 이후에는 상기 요청대상과 관련된 응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공개인증코드가 데이터베이스(13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인증코드가 잘못된 인증코드임을 알리거나, 새로운 인증코드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거나, 상기 요청대상들과 매칭되어 있는 인증코드들을 상기 채팅방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코드는 공개인증코드로 모든 사용자단말에게 동일하게 제공되는 코드이므로,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인증코드들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사용자단말(110)이 상기 요청대상의 정보를 상기 채팅방에 입력한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요청대상에 대응하는 공개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10)이 X 호텔에 대하여 질문을 하는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X 호텔의 상기 공개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110)로 제공하거나 전체 호텔들 또는 문의한 호텔과 이름이 유사한 호텔들의 공개인증코드들의 리스트를 사용자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As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the chatbot server 120 requests the reque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database 130 in which the authentication code matches the request object. If presen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That is, in the database 130,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is stored and matched with the request object, and the chatbot server 120 finds a reque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n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quest object. have. If, when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130, that is, the reque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130, the chatbot server 120 is Through the chat room,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notified of an incorrect authentication code, a request for inputting a new authentication code, or the authentication codes matched with the request objects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hat room. In the embodiment of FIG. 2, since the authentication code is a code provided to all user terminals in the same manner as an open authentication code, the authentication code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hat room.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10 inputs the request target information into the chat room, the chatbot server 12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with a public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target.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10 asks a question about the X hotel, the chatbot server 120 may provide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of the X hotel to the user terminal 110 or the entire hotels or the inquired hotel. A list of public authentication codes of hotels with similar name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S220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10)로부터 상기 채팅방에 X 호텔의 공개인증코드가 입력되고, 이후에 상기 채팅방에서 "예약 가능 날짜"라고 입력하는 경우, 챗봇서버(120)는 X 호텔에 관련해서만 예약 가능 날짜를 검색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챗봇서버(120)는 S23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될때마다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10)에서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채팅방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되기 전 가장 최근에 수신된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인증코드가 유효한 경우 매칭되는 요청대상에 대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챗봇서버(120)는 새로운 인증코드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이전에 입력된 인증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계속하여 요청정보에 대한 응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the chatbot server 120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rough the chat room. The respon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S230). For example, if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of the X hotel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chat room, and later enters the "bookable date" in the chat room, the chatbot server 120 is associated only with the X hotel. The searchable dates may be searched to generate response information, and the respon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hat room. In performing the step S230, the chatbot server 120 may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whenever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or example, if the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chat room in the user terminal 110, the chatbot server 120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most recently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before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authentication If the code is valid,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for the matching request target. Until the new authentication code is input, the chatbot server 120 may continue to generate response information about the reques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request target matched with the previously input authentication code.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에 관한 실시예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3 is an embodiment of the case where the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챗봇서버(120) 또는 다른 서버는 사용자단말(110)로 사용자정보 및 유효기간을 포함하는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S310). 상기 비밀인증코드는 사용자정보 및 유효기간을 포함하는 코드로써, 각각의 경우에 따라 개별적으로 생성되고 해당 사용자에게만 공개되는 코드이다. 따라서 도 2의 경우와 다르게 상기 비밀인증코드는 대상이 되는 사용자만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로 전송되어야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은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로써,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과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하는 사용자단말은 동일한 사용자단말일 수도 있고 상이한 사용자단말일 수도 있다.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110)과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입력하는 사용자단말(110)이 동일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1 to 3, the chatbot server 120 or another server may transmi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expiration date to the user terminal 110 (S310).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a code including user information and an expiration date, and is a code generated individually in each case and disclosed only to the corresponding user. Therefore, unlike the case of FIG. 2,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at can be confirmed only by the target user. The user terminal is a user terminal which can be identified by the target user, and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user terminal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hat room may be the same user terminal or different user terminals. have. As in the case of FIG. 2,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user terminal 110 receiving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the same as the user terminal 110 inputting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hat room will be described.

챗봇서버(120) 또는 다른 서버는 사용자단말(110)로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챗봇서버(120)는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챗봇서버(120)는 다른 서버는 문자메시지 또는 이메일 등을 통하여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110)로 전송하거나,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를 사용자단말(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는 도 7, 도 8 및 도 10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hatbot server 120 or another server may transmi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chatbot server 120 may transmi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chat room. Alternatively, the chatbot server 120 transmit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text message or e-mail, or sends a website address for checking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110. You can also send.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8, 10, and the like.

챗봇서버(120)는 사용자단말(110)과 상기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단말(110)로부터 인증코드 및 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20). 상기 인증코드는 숫자, 문자 또는 특수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tbot server 120 may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and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hat room of the chatbot (S320). The authentication code may include numbers, letters or special symbols.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지 판단할 수 있고(S330),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존재여부 및 유효기간의 경과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340). S330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아닌 경우 또는 S340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하지 않은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가 잘못된 인증코드임을 알리거나, 새로운 인증코드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도 2의 경우와 달리 챗봇서버(120)가 상기 인증코드를 잘못 입력한 사용자에게 상기 채팅방을 통하여 올바른 비밀인증코드를 알려주지는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chatbot server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S330), and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whether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exists and whether the validity period has passed. According to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can be determined (S340).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no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n step S330 or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not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n step S340, the chatbot server 120 informs that the authentication code is a wrong authentication code, or a new You may be asked to enter a verification code. However, unlike the case of FIG. 2, the chatbot server 120 may not inform the user who incorrectly inputs the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hat room to inform the correct secret authentication code.

도 3의 경우는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에 대한 것이므로, S340 단계는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지 판단하게 된다.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으로, 챗봇서버(120)는 상기 비밀인증코드, 상기 요청대상 및 상기 유효기간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130)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에 해당하고 현재시점이 상기 유효기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상기 요청대상 및 상기 유효기간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비일인증코드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찾아 현재시점이 유효기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유효기간이 경과한 상기 비밀인증코드도 저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다른 경우로, 챗봇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30)를 관리함에 있어 유효기간이 경과한 비밀인증코드는 삭제하도록 관리하고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이전에 삭제된 비밀인증코드와 중복되지 않도록 계속하여 새로운 비밀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으로, 챗봇서버(120)는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비밀인증코드에 해당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FIG. 3, since the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step S340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s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chatbot server 120 receives the secret code using the database 130 in which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request object, and the validity period information are matched and stored. If the authenticated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s to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urrent time is determined to be within the validity perio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at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stored in the database 130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quest object and the expiration date information, and the chatbot server 120 searches for the non-day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in the database 13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present time is within the validity period. In the case of using such a method,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whose expiration date has passed is also stored in the database 130. In another case, the chatbot server 120 manages to delete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at has passed the expiration date in managing the database 130 and continues to make sure tha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not duplicated with the previously deleted secret authentication code. Secret authentication code can be generated. In this case, as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chatbot server 120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s to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the database,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May be determined to be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챗봇서버(120)는 사용자단말(110)과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단말(110)로부터 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50). 도 3의 경우 S350 단계를 S320 단계와 분리하여 표시하고 있으나,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S350 단계는 S320 단계와 함께 수행되어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요청정보가 함께 수신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시점에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320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요청정보가 함께 수신된 경우 S330, S340 및 S360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S320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만 수신된 경우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S330 및 S340 단계가 수행되고 대기하다가 이후에 S350 단계가 수행되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S360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The chatbot server 120 may receive th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chat terminal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hatbot (S350). In FIG. 3, step S350 is displayed separately from step S320, bu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step S350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step S320 such that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ogether. It may be received at another time point as is. For example,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quest information are received together in step S320, steps S330, S340, and S360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As another example, when only the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in step S320, as described above, steps S330 and S340 are performed and then waited. If step S350 is performed later, step S360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S340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60).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사용자정보가 매칭되어 있으므로, 챗봇서버(120)는 상기 요청대상의 관리서버(140)로 상기 사용자정보와 함께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챗봇서버(120)에서 전달되는 상기 요청정보는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요청이므로, 관리서버(140)는 별도의 사용자인증을 다시 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 호텔의 101호에 투숙한 투숙객이 룸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X 호텔 101호 투숙객에게 부여되고 유효기간 이내인 비밀인증코드를 상기 채팅방에 입력한 후 룸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챗봇서버(120)는 X 호텔의 관리서버(140)로 101호로 룸서비스를 하라는 정보를 전달하고 X 호텔의 관리서버(140)는 101호에 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0 that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chatbot server 120 may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S360). . Since the authentication code is matched with the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30, the chatbot server 120 may transmit the request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us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of the request target. Since the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tbot server 120 is a request for which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management server 140 may transmit the reques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er information without performing separate user authentication. For example, if a guest staying at Room 101 of Hotel X makes a request for room service, and requests room service after entering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at is granted to Hotel X Hotel 101 and is valid within the chat room, The chatbot server 12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room server 101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of the X hotel, and the management server 140 of the X hotel may take measures to provide room service to the 101.

이상과 같이 챗봇서버(120)가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관리서버(150)로 전송한 이후, 도 2의 S230 단계와 마찬가지로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앞의 예와 같이 룸서비스 요청을 한 경우, 챗봇서버(120)는 X 호텔의 관리서버(140)에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한 후, "룸서비스 요청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내용을 상기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단말(110)로 전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hatbot server 120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50, the chatbot server 120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as in step S230 of FIG. Respons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When the room service request is made as in the previous example, the chatbot server 120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of the X hotel, and then reads "room service request is completed." The chat room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110.

챗봇서버(120)는 S36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 상기 비밀인증코드는 유효기간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챗봇서버(120)는 S330 및 S3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새로운 인증코드가 상기 채팅방에 입력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performing the S360 step, the chatbot server 120 may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whenever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since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has a validity period set, the chatbot server 120 may perform steps S330 and S340 each time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This operation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until a new authentication code is entered into the chat room.

S36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챗봇서버(120)는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사용자정보와 관련된 비밀요청정보인지 아닌지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이면서 유효하고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인 경우, 챗봇서버(120)는 S360 단계와 같이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140)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이면서 유효하지만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가 아닌 경우, 챗봇서버(120)는 도 2의 S230 단계와 같이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챗봇서버(120)는 상기 요청사항을 분석하여 상기 요청사항이 사용자정보와 관련된 것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사항인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 호텔 101호의 투숙객이 앞서와 같이 룸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정보와 관련된 것이므로 챗봇서버(120)는 S360 단계와 같이 동작하지만, X 호텔 101호의 투숙객이 X호텔 레스토랑의 위치를 문의하는 경우 사용자정보와 관련되지 않은 일반적인 사항에 관한 것이므로 챗봇서버(120)는 관리서버(140)로 상기 요청사항을 전달하지 않고 S230 단계와 같이 상기 응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채팅방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performing step S360, the chatbot server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quest information is secret reque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nformation, and operat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nd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quest information is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the chatbot server 120 send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in step S360. And the request information.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nd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but the request information is not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the chatbot server 120 is connected to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s in step S230 of FIG.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he respon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hat room. That is, the chatbot server 120 may operate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request is related to user information or genera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request. For example, if the guest of X Hotel 101 requests room service as described above, the chatbot server 120 operates as in step S360 because the user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user information, but the guest of X Hotel 101 inquires about the location of the X hotel restaurant. Since the chatbot server 120 is related to the general matters not related to the user information, the chatbot server 120 may generate the response information in step S230 and provide it through the chat room without transmitting the request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일 수도 있고 상기 비밀인증코드일 수도 있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or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챗봇서버(120)는 사용자단말(110)과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단말(110)로부터 인증코드 및 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S410 단계는 도 2의 S210 단계 또는 도 3의 S320 단계와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해당 부분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S410 단계 이전에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공개인증코드 또는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사용자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1 to 4, the chatbot server 120 may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and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chat room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hatbot (S410). Since step S410 is similar to step S210 of FIG. 2 or step S320 of FIG. 3, the overlapping content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or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before step S410.

챗봇서버(120)는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비밀인증코드인지 판단할 수 있고(S420),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서 유효한지 판단할 수 있다(S430).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비밀인증코드로서 유효한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S440).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인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140)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50). 만약,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가 아닌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470). 다만, 도 4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요청정보가 비밀요청정보인지 아닌지 판단하지 않고,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140)로 사용자정보 및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에 대하여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부분은 도 3의 설명으로 대체한다.The chatbot server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S420), and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t may be (S430).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chatbot server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quest information is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S440). If the request information is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the chatbot server 120 may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S450). If the request information is not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the chatbot server 120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sends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chat room. Can be provided (S470). 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4, the chatbot server 120 receives the reception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request information is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User information and reques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s described above, the case where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us, the duplicated part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FIG. 3.

S420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아닌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서 유효한지 판단할 수 있다(S460).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서 유효한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470). 이와 같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인 경우에 대하여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부분은 도 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no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n step S420, the chatbot server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S460).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the chatbot server 120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sends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chat room. Can be provided (S470). As described above, the case where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의 경우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유효기간만 경과하였을 뿐 유효기간을 제외하면 유효하였던 인증코드이고,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가 아닌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비밀인증코드에 매칭된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채팅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텔에 투숙하다가 체크아웃하여 비밀인증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였지만, 이후에 새로운 인증코드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이전에 투숙한 호텔에 관한 비밀요청정보가 아닌 요청정보에 대하여는 챗봇서버(120)에서 응답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4,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an authentication code that is valid only after the expiration date, except for the expiration date. If the request information is not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the chatbot server 120 matche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n response to the requested request,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chat room. For example, if a user checks out while staying in a hotel, the expiration date of the secret verification code has expired, but the chatbot is not requested for non-secret request information about the hotel before the new verification code is entered. The server 120 may generate and provide response information.

도 5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공개인증코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비밀인증코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the database 130 of FIG. 1,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the database 130 of FIG. 1. to b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공개인증코드는 상기 요청대상과 매칭되어 다른 코드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비밀인증코드는 상기 요청대상,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유효기간과 매칭되어 다른 코드값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경우 호텔의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별로 공개인증코드가 설정되고, 식당의 테이블별로 고객이 식사를 하는 동안을 유효기간으로 설정하여 비밀인증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은행별로 공개인증코드가 설정되고, 은행의 계좌별로 유효기간에 따라 비밀인증코드가 설정될 수도 있다.1 to 6,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the database 130 may be matched with the request object to have a different code value, and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may be the request object,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validity period. Can have different code values. 5 and 6, but the case of the hotel is taken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may be applied to other various cases. For example, a public authentication code may be set for each restaurant, and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may be set by setting a valid period for the customer to eat for each table of the restaurant. As another example, a public authentication code may be set for each bank, and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may be set for each bank account according to an expiration date.

도 7은 도 1의 사용자단말(110)로 상기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web site for confirming the authent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of FIG. 1 by a text message.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챗봇서버(120) 또는 다른 서버는 도 7과 같이 사용자단말(110)로 상기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링크된 웹사이트를 클릭하는 경우, 도 8 또는 도 9와 같이 웹사이트에 접속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이 도 7과 같은 문자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인증코드를 얻을 수 있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인증코드를 얻을 수 있다.1 to 7, the chatbot server 120 or another server may transmit a web site for verifying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110 as a text message as shown in FIG. 7. When the user clicks on the website linked to the received text message, the website may be accessed as shown in FIG. 8 or 9.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authentication code can be obtained through the text message as shown in FIG. 7, and the authentication code can be obtained through various other methods.

도 8은 도 7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챗봇과 대화하는 채팅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when accessing the website of FIG. 7,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hat room communicating with a chatbot using the authentication code of FIG. 8.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 7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도 8과 같은 화면이 사용자단말(11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웹사이트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의 상기 채팅방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단말(110)이 사용되는 국가에서 사용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들일 수 있고, 사용자 수에 따라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표시된 '828976'이 상기 인증코드이며, 도 5를 참조하면 '828976'은 '로얄 호텔 서울'의 공개인증코드이다. 도 9와 같이 상기 채팅방에 수신된 인증코드인 '828976'을 입력하는 경우, 챗봇서버(120)는 수신된 인증코드가 '로얄 호텔 서울'의 공개인증코드로써 유효하다고 판단하게 되므로 이후에 수신된 요청정보에 대하여는 '로얄 호텔 서울'과 관련된 응답정보를 생성하여 채팅방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를 입력한 후 '주차장'이라는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챗봇서버(120)는 '로얄 호텔 서울'과 관련된 '주차장'에 대한 응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채팅방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1 to 9, when the website of FIG. 7 is accessed, a screen as shown in FIG. 8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For example, a messenger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website, and when the messenger application is selected, the messenger application may be executed and linked to directly access the chat room on the messenger application. The messenger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website may be messenger applications used in the country where the user terminal 110 is used, and may be preferentia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In addition, '828976' shown in FIG. 8 is the authentication code, and referring to FIG. 5, '828976' is a public authentication code of 'Royal Hotel Seoul'. When entering the authentication code '828976' received in the chat room as shown in FIG. 9, the chatbot server 120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a public authentication code of 'Royal Hotel Seoul'. For the requested information, response information related to 'Royal Hotel Seoul'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chat room. For example, if the request information 'Parking Lot' is received after inputt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n FIG. 8, the chatbot server 120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for 'Parking Lot' related to 'Royal Hotel Seoul'. Can be provided through chat rooms.

도 10는 도 7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챗봇과 대화하는 채팅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when accessing the website of FIG. 7, and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hat room that communicates with a chatbot using the authentication code of FIG. 10.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 7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도 10과 같은 화면이 사용자단말(11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웹사이트에는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8 및 도 9와 관련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0에 표시된 '9xDg1cV'가 상기 인증코드이며, 도 6을 참조하면 '9xDg1cV'은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풀먼 호텔'의 '101호 / 전화번호 010-1234-5678'의 사용자에게 '2019.01.29. 14:00'부터 '2019.02.01. 11:00'의 유효기간동안 부여된 비밀인증코드임을 알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상기 채팅방에 수신된 인증코드인 '9xDg1cV'을 입력하는 경우, 챗봇서버(120)는 수신된 인증코드가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기간 내에서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이 유효한 비밀인증코드가 입력된 경우 이후에 수신된 요청정보에 대하여는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팅방에 인증코드인 '9xDg1cV'을 입력한 후 2019.01.30. 15:00 에 '청소요청'이라고 입력한 경우, 챗봇서버(120)는 현재 시점이 인증코드인 '9xDg1cV'의 유효기간 이내이므로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풀먼 호텔'의 관리서버로 '101호 청소요청'이라는 사용자정보 및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챗봇서버(120)는 상기 채팅방에 '청소요청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청정보를 호텔 서비스 뿐 아니라 객실 내의 조명을 제어하거나 블라인드를 자동 제어하는 등 객실자동화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도 11과 같이 인증코드인 '9xDg1cV'를 입력한 후 '인터넷'이라는 요청정보가 사용자단말(110)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요청정보는 비밀요청정보가 아니므로 챗봇서버(120)는 도 11과 같이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여 채팅방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11과 같이 인증코드인 '9xDg1cV'를 입력한 후 '인터넷'이라는 요청정보가 2019.02.01. 13:00에 사용자단말(110)로부터 수신되면, 인증코드인 '9xDg1cV'의 유효기간을 경과하였지만 비밀요청정보가 아니므로 이전에 선택된 요청대상인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풀먼 호텔'에 관련된 '인터넷'에 대응 정보를 응답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채팅방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1 to 11, when accessing the website of FIG. 7, a screen as shown in FIG. 1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messenger applica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websit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s of FIGS. 8 and 9. '9xDg1cV' shown in FIG. 10 is the authentication code, and referring to FIG. 6, '9xDg1cV' refers to a user of '101 / phone number 010-1234-5678' of 'Grand Ambassador Seoul Pullman Hotel' '2019.01.29. 14:00 'to' 2019.02.01. ' It can be seen that it is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given during the validity period of 11:00 '. When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9xDg1cV' received in the chat room as shown in FIG. 11, the chatbot server 120 may determine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within a valid period as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If the valid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with respect to the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thereafter. For example, after entering the authentication code '9xDg1cV' in the chat room 2019.01.30. If you input 'Cleaning Request' at 15:00, the chatbot server 120 is currently within the validity period of the validation code '9xDg1cV', so the '101 Cleaning Request' is used as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Grand Ambassador Seoul Pullman Hotel. User information and reques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chatbot server 120 may transmit a message that the cleaning request is completed to the chat room. Such request information may be applied to a room automation service such as controlling lighting in a room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linds. If the request information 'interne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fter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9xDg1cV' as shown in FIG. 11, the chatbot server 120 is shown in FIG. 11 since the request information is not secret reques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hrough a chat room. As another example, after entering the authentication code '9xDg1cV' as shown in Figure 11 the request information 'Internet' is 2019.02.01. Whe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t 13:00, the validity period of the authentication code '9xDg1cV' has passed, but it is not a secret request inform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s response information and provided through the chat room.

도 12는 인증코드를 변경하여 입력한 경우 챗봇과 대화하는 채팅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hat room that chats with a chatbot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changed and input.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인증코드 '828976'이 수신된 경우 '로얄 호텔 서울'과 관련된 공개인증코드로 인식하여 '로얄 호텔 서울'에 대한 인사말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비밀인증코드는 사용자가 해당 호텔의 객실에 체크인을 한 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단말로 전송된다고 가정하면, 인증코드 '9xDg1cV'이 수신된 경우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풀먼 호텔'과 관련된 비밀인증코드로 인식하여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풀먼 호텔'에 체크인이 완료되었음에 대한 인사말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코드가 입력된 후 다음 인증코드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가장 최근에 입력된 인증코드와 관련하여 챗봇서버(120)가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 to 12,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828976' is received as described above, a greeting for 'Royal Hotel Seoul' may be displayed by recognizing it as a public authentication code related to 'Royal Hotel Seoul'. Assuming tha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after checking in the room of the hotel,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9xDg1cV' is received, it is recognized as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associated with the 'Grand Ambassador Seoul Pullman Hotel' Grand Ambassador Seoul Pullman Hotel may be displayed a greeting that the check-in is complete. As described above, the chatbot server 120 may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most recently input authentication code after the authentication code is input and before the next authentication code is input.

도 13은 사용자단말(110)로 입력된 요청사항이 관리자단말(150)로 전달됨에 있어 자동번역이 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utomatic translation is performed when a request inpu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is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150.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비밀인증코드 '9xDg1cV'가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단말(110)을 통해 미국인이 'Call me a taxi, pleaase'라고 입력한 경우, 챗봇서버(120)는 'Call me a taxi, pleaase'를 한국어로 번역한 내용을 함께 한국호텔인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풀먼 호텔'의 관리서버(140)를 통해 관리자단말(150)로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리자단말(150)을 통해 한국인이 '바로 택시를 불러드리겠습니다. 택시가 오면 연락드리겠습니다'라고 입력하는 경우, 챗봇서버(120)는 미국인의 언어에 맞도록 상기 입력된 내용을 영어로 번역하여 함께 상기 채팅방에 제공할 수 있다.1 through 13, when the American inputs' Call me a taxi, pleaase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while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9xDg1cV 'is inputted, the chatbot server 120 is' Call me a taxi, pleaase 'translated into Korean can be delivered to the manager terminal 15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140 of the' Grand Ambassador Seoul Pullman Hotel '. Similarly, the Korean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150 'I'll call a taxi immediately. Taxi will be contacted if you input ', the chatbot server 120 can translate the input to English to match the language of the American and provide the chat room together.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3)

챗봇서버에서, 사용자정보 및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하는 비밀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증코드 및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존재여부 및 유효기간 경과여부에 따라 비밀인증코드로써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아닌 경우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존재여부에 따라 공개인증코드로써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Transmitting, at the chatbot server,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including user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t the chatbot server, an authentication code and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hat room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hatbot;
Determining, in the chatbot server,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s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whether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exists and the validity period has elapsed when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Determining, in the chatbot server,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s a public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equest object match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no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ing, at the chatbot server,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of a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nd
In the chatbot server,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generating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providing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chat room.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되기 전 가장 최근에 수신된 인증코드에 대하여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써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chatbot comprises:
When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with respect to the authentication code most recently received before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chatbot server or the authentication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웹사이트에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사용되는 국가에서 사용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의 상기 채팅방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chatbot comprises:
In the chatbot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or the website address to confirm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The web site displays messenger applications used in the country where the user terminal is used, and when the messenger application is selected, the messenger application is executed to be linked to the chat room on the messenger application. How to handle user requests using chatbo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경우 상기 사용자정보 및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이면서 유효한 경우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사용자정보와 관련된 비밀요청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인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비밀요청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comprises:
Determining, by the chatbot server, whether the request information is secret reques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inform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nd secret.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when the request information is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And
If the request information is not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generating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providing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chat room. A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 상기 비밀인증코드, 상기 요청대상 및 상기 유효기간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비밀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이 존재하고 현재시점이 상기 유효기간 이내이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써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가 아닌 경우,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요청대상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요청대상이 존재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공개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is determined using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When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 reque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ret authentication code exists in the database where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request object, and the expiration date information are matched and stored, and are currently present. And determining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f it is within the validity period.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s the public authentication code,
When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not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f the reque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exists in the database in which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quest object are matched and stored,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code. Method of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 chat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it is valid as a public authentication code.
챗봇서버에서, 사용자정보 및 유효기간을 포함하는 비밀인증코드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인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존재여부 및 유효기간 경과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과 챗봇의 채팅방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이면서 유효한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Transmitting, at the chatbot server, a secret authentication code including user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t the chatbot server,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hat room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chatbot;
Determining, at the chatbot server,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ccording to whether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exists and whether the valid period has elapsed when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Receiving, at the chatbot server,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hat room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chatbot; And
In the chatbot server,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nd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send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tbot How user requests are handl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비밀인증코드, 상기 요청대상 및 상기 유효기간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에 해당하고 현재시점이 상기 유효기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In the chatbot server,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s to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using a database where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request object, and the expiration date information are matched and stored, and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expiration date. And if it is determined, determining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비밀인증코드, 상기 요청대상 및 상기 유효기간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유효기간이 경과한 비밀인증코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비밀인증코드에 해당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로써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code,
At the chatbot server, matching and storing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he request object, and the expiration date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deleting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after the expiration date from the database; And
And in the chatbot server, determining tha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s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s to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stored in the database. How user requests are handl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비밀인증코드이면서 유효한 경우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사용자정보와 관련된 비밀요청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사용자정보와 관련된 비밀요청정보인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의 관리서버로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요청정보가 상기 사용자정보와 관련된 비밀요청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인증코드에 매칭되는 요청대상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응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request information comprises:
Determining, by the chatbot server, whether the request information is secret reques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inform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and secret.
In the chatbot server,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of a request targe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when the request information is secret reque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nformation; And
In the chatbot server, when the request information is not the secret reque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nformation, th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request object match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hat room.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a chatb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ovid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은,
상기 챗봇서버에서, 상기 비밀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웹사이트에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사용되는 국가에서 사용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의 상기 채팅방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ser reques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chatbot comprises:
The chatbot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website address for identifying the secret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The web site displays messenger applications used in the country where the user terminal is used, and when the messenger application is selected, the messenger application is executed to be linked to the chat room on the messenger application. How to handle user requests using chatbots.
KR1020190016533A 2019-02-13 2019-02-13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KR1020175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33A KR102017541B1 (en) 2019-02-13 2019-02-13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33A KR102017541B1 (en) 2019-02-13 2019-02-13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541B1 true KR102017541B1 (en) 2019-09-03

Family

ID=6795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533A KR102017541B1 (en) 2019-02-13 2019-02-13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5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448B1 (en) * 2021-03-09 2021-10-05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17554B1 (en) * 2022-02-18 2022-07-07 주식회사 튜닙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de-identified training data for conversation ser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869A (en) *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텍스트팩토리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assistant service using chatbot
KR20180112195A (en) * 2017-03-31 2018-10-12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sultation service that supports a cumulative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928294B1 (en) * 2017-03-31 2018-12-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managing reservation of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ex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935021B1 (en) 2017-01-06 2019-01-04 주식회사 머니브레인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user's request by using chatb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869A (en) *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텍스트팩토리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assistant service using chatbot
KR101935021B1 (en) 2017-01-06 2019-01-04 주식회사 머니브레인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user's request by using chatbot
KR20180112195A (en) * 2017-03-31 2018-10-12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sultation service that supports a cumulative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928294B1 (en) * 2017-03-31 2018-12-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managing reservation of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ex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448B1 (en) * 2021-03-09 2021-10-05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Apparatus for Infant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17554B1 (en) * 2022-02-18 2022-07-07 주식회사 튜닙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de-identified training data for conversation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3844B1 (en) Secure cloud-based messaging and storage
US11423164B2 (en) Multiple electronic signature method
US20080005119A1 (en) Remotely updating a user status on a presence server
CN107800765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system
KR101051407B1 (en) The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interactive security authentication on communication network
KR101492623B1 (en) Cloud server for providing business card page and method for providing business card page on the cloud server
KR20190080599A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emi-automatic communication using chatbot and consultant
KR102017541B1 (en)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of user by using chatbot
US20120330914A1 (en) Server, inter-business enterprise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50133055A (en) An electronic attendance method with a wireless access point
JP5325919B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3326488A (e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TWM554612U (en) Intelligent online customer service system
US11483169B2 (en) Automated message recipient identification with dynamic tag
US10749850B2 (en) Method for checking a parameter indicating a confidence level associated with a user account of an online service
US202102349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552957B2 (en) Resource access control with dynamic tag
JP2007334390A (en) Computer system, management computer, and program
JP5648833B2 (en) Personal ID integrated server system, personal ID integrated server, and hardware ID registration server
US20220407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qualification information
KR1025133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the counterpart of the messenger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JP2009290525A (en) Attendance confirmation system
KR102273738B1 (en) Auto login system for kiosk
US20240073161A1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18055229A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message transmission program, and message transmis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