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797B1 -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Google Patents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797B1
KR102158797B1 KR1020180101464A KR20180101464A KR102158797B1 KR 102158797 B1 KR102158797 B1 KR 102158797B1 KR 1020180101464 A KR1020180101464 A KR 1020180101464A KR 20180101464 A KR20180101464 A KR 20180101464A KR 102158797 B1 KR102158797 B1 KR 10215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4596A (en
Inventor
조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페이
Priority to KR102018010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797B1/en
Publication of KR2020002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5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7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가맹점에서는 POS 단말로 메뉴 등록과 주문 처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가맹점 POS 단말에서 메뉴정보를 등록받아서 주문관리서버로 전송하면, 주문관리서버는 수신한 메뉴정보를 해당 가맹점에 연계하여 저장한다. 주문관리서버는 가맹점에 대한 주문을 위하여 접속한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가맹점에 연계되어 저장된 메뉴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한 가맹점의 메뉴화면을 전송하고, 고객 스마트폰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결제를 수행한다. 주문관리서버는 결제가 완료된 주문에 관한 정보를 가맹점 POS 단말로 전송하고, POS 단말은 주문에 대한 진행 정보를 주문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맹점은 메뉴 변경 시에 온라인 주문을 위한 웹페이지에 별도로 메뉴 정보를 등록할 필요가 없다.Affiliated stores provide an ord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conveniently perform menu registration and order processing with a POS terminal. When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at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he order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received menu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affiliated store.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menu screen of the affiliated store created by using the menu information stored in connection with the affiliated store to the smartphone of the customer who has accessed for an order to the affiliated store, receives the order from the customer's smartphone, and performs payment. .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payment completed order to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and the POS terminal transmits progress information on the order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ffiliate store does not need to separately register menu information on the web page for online ordering when changing the menu.

Description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가맹점의 POS(point-of-sale) 단말과 연동되어 메뉴 관리 및 주문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주문을 하고 가맹점에서는 POS 단말로 메뉴 등록과 주문 처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at enables convenient menu management and order management by interlocking with a point-of-sale (POS) terminal of an affiliate store, and in more detail, a customer places an order using a smartphone. And the affiliated store relates to an ord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easily perform menu registration and order processing with a POS terminal.

스마트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주문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101696호에는, 고객이 매장의 테이블에 설치된 NFC 태그에 스마트폰을 근접시키면 스마트폰이 중앙 서버에서 제공하는 매장 웹페이지를 연결되어 주문을 하도록 하고, 이 웹페이지를 통해 생성된 주문이 매장의 POS 시스템과 공유되도록 하는 주문처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1869486호에는, 고객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주문을 하면 음식점 스마트폰으로 주문 내역이 전달되고, 음식점 스마트폰을 전달받은 주문내역을 주방 단말기로 전달하고, 주방 단말기로부터의 음식 조리 단계를 고객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주문 결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A number of systems and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conveniently place an order using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1696, when a customer brings a smartphone to an NFC tag installed on a table in a store, the smartphone connects to the store web page provided by the central server to place an order. An order processing system is disclosed that allows orders generated through a web page to be shared with a store's POS system. In addition, in Korean Patent No. 10-1869486, when an order is placed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customer's smartphone, the order details are transmitted to the restaurant smartphone, and the order details received from the restaurant smartphone are delivered to the kitchen terminal, and An order payment system for providing food cooking steps to a customer's smartphone is disclosed.

그러나, 이들 주문 시스템은 고객이 매장에서 주문을 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어서, 매장에 가면서 미리 주문하거나 또는 배달 주문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However, since these ordering systems are applied when a customer places an order at a store, it is difficult to apply when ordering in advance or placing an order for delivery while going to the store.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15200호는 고객이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주문을 할 수 있도록 중개하고 있으나, 고객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치하여야 하고, 가맹점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문을 받기 위하여 별도로 주문서버에 메뉴정보를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15200 is intermediary so that customers can place orders from outside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phone, but the customer must install a dedicated application in advance, and the affiliated store uses a smartphone. In order to receive the used order,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register menu information in the order server.

또한, 메뉴 항목이 추가되거나 변경될 때마다 스마트폰으로 주문하기 위한 모바일 웹에 표시되는 내용을 일일이 수정하여야 하는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메뉴 항목이 변경된 시점과 모바일 웹에 변경된 내용이 반영되는 시점이 달라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문시에 최신의 메뉴 항목이 표시되지 않을 우려도 있다.In addition, whenever a menu item is added or changed,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mobile web for ordering with a smartphone must be manually modified. Not only is it cumbersome, but also the time when the menu item is changed and the time when the changed contents are reflected on the mobile web are different. There is also a fear that the latest menu items may not be displayed when ordering using a 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고객 입장에서는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고, 가맹점 입장에서는 메뉴 항목이 변경된 경우에도 스마트폰으로 주문하기 위한 모바일 웹에 표시되는 내용을 별도로 등록할 필요가 없는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der management method in which a customer can easily place an order, and an affiliate store does not need to separately register content displayed on a mobile web for ordering with a smartphone even when a menu item is changed, and It aims to provide a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은, 가맹점 POS 단말에서 메뉴정보를 등록받는 메뉴정보등록단계; 가맹점 POS 단말이 등록된 메뉴정보를 소정의 규격으로 변환하는 메뉴정보변환단계; 가맹점 POS 단말이 변환된 메뉴정보를 주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메뉴정보전송단계; 주문관리서버가 수신한 메뉴정보를 해당 가맹점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메뉴정보저장단계; 주문관리서버가 가맹점에 연계되어 저장된 메뉴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한 가맹점의 메뉴화면을 고객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메뉴정보표시단계; 주문관리서버가 고객 스마트폰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결제를 수행하는 주문단계; 주문관리서버가 결제가 완료된 주문에 관한 정보를 가맹점 POS 단말로 전송하는 주문정보전달단계를 구비한다. An ord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nu information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menu information at an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A menu information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registered menu in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standard by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Menu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transmitting the converted menu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A menu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the menu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rder management server in association with a corresponding affiliate store; A menu information display step of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the menu screen of the affiliated store created using the stored menu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affiliated store to the customer's smartphone; An ordering step in which the order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 order from the customer's smartphone and performs payment; The order management server includes an order information delivery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order for which payment has been completed to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메뉴정보등록단계는, POS 단말이 메뉴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POS 단말이 가맹점의 관리자로부터 메뉴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메뉴정보등록단계는, 웹 POS 서버가 가맹점 관리자로부터 메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웹 POS 서버가 입력받은 메뉴 정보를 POS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POS 단말이 웹 POS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메뉴정보표시단계는, 고객 스마트폰으로부터 가맹점 전화번호로 전화를 수신한 ARS 서버가 해당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고객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단계와,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접속한 고객 스마트폰으로 주문관리서버가 요청받은 가맹점에 연계되어 저장된 메뉴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한 가맹점의 메뉴화면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nu information registration step may include a step of displaying a screen through which the POS terminal can register menu information, and a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menu information by the POS terminal from the manager of the affiliated store. In the menu information registration step, the web POS server receives menu information from the affiliate store manager, the web POS server transmits the input menu information to the POS terminal, and the POS terminal transmits the menu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b POS server. It may include the step of storing. In the menu information display step, the ARS server receiving a call from the customer's smartphone to the affiliated store's phone number provides information to the customer's smartphone that allows access to a web page where an order can be ordered for the affiliated store, and the affiliated store can be ordered. 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a menu screen of the affiliate store created by using the stored menu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requested affiliate store by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o the customer's smartphone connected to the web pag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은, 주문에 대한 진행정보가 입력되면 가맹점 POS 단말이 주문관리서버로 입력된 진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주문관리서버가 주문한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진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the ord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gress information for an order is input,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progress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and the order management server proceeds to the customer's smartphone ordere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은, 가맹점에 설치되는 POS 단말과, 주문관리서버를 구비한다. POS 단말은 메뉴 정보가 갱신되면 이를 주문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주문관리서버는 갱신된 메뉴 정보를 모바일 웹에 표시하기에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주문을 위해 접속한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한다. An ord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 terminal installed in an affiliated store and an order management server. When the menu information is updated, the POS terminal transmits it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and the order management server converts the updated menu information into a format suitable for display on the mobile web, and provides it to the smartphone of the customer who accessed for order.

일 실시예에서, 주문 관리 시스템은 웹 POS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웹 POS 서버가 가맹점 관리자로부터 메뉴 정보를 입력받아서 POS 단말에 전송하면, POS 단말이 웹 POS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뉴 정보를 갱신 저장한다. In one embodiment, the order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web POS server. When the web POS server receives menu information from the affiliate store manager and transmits it to the POS terminal, the POS terminal updates and stores the menu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b POS server.

일 실시예에서, 주문 관리 시스템은 ARS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가맹점의 전화번호는 상기 ARS 서버로 착신전환되어 있으며, 고객 스마트폰으로부터 가맹점 전화번호로 전화를 수신한 ARS 서버가 해당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고객 스마트폰에 제공한다.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접속한 고객 스마트폰으로 주문관리서버가 요청받은 가맹점에 연계되어 저장된 메뉴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한 가맹점의 메뉴화면을 전송한다. In one embodiment, the order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RS server. The phone number of each affiliated store is forwarded to the ARS server, and the ARS server that received a call from the customer's smartphone to the affiliated store's phone number provides information to the customer's smartphone to access the web page where you can order the affiliated store. d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connects to the requested affiliate store and transmits the created affiliated store's menu screen using the stored menu information to the customer's smartphone connected to the affiliated store through a web page where they can order.

일 실시예에서, POS 단말은 주문에 대한 진행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주문에 대한 진행정보가 입력되면 가맹점 POS 단말이 주문관리서버로 입력된 진행정보를 전송하며, 주문관리서버가 주문한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진행정보를 전송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S terminal may provide a means for inputting progress information for an order. When progress information for an order is input,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progress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and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progress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f the customer who placed the ord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맹점은 메뉴의 신규 등록, 삭제, 가격 변경 등의 사정에 따라 메뉴 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업장의 POS 단말에 메뉴 정보 등록을 하면 고객의 주문을 위한 웹페이지에도 변경된 메뉴 정보가 자동으로 반영되므로, 메뉴 변경 시에 온라인 주문을 위한 웹페이지에 별도로 메뉴 정보를 등록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맹점은 매장 정보 안내 및 주문결제를 위한 모바일 웹페이지를 별도로 운영할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mber store needs to change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circumstances such as a new registration, deletion, price change, etc. of a menu, when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POS terminal of the business, a web for customer's order Since the changed menu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reflected on the pag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register the menu information on the web page for online ordering when the menu is changed. In addition, affiliated stores do not need to separately operate a mobile web page for information on store information and order payment.

고객 입장에서는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확인한 정보가 업장의 POS 단말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와 동기되어 있으므로, 항상 최신의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업장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주문을 하는 경우에도 최신의 메뉴 정보를 확인하면서 주문을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the information checked by accessing online is synchronized with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POS terminal of the business, so you can always check the latest information and order.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place an order while checking the latest menu information even when placing an order by calling the business phone nu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고객이 가맹점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주문을 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가맹점에서 POS 단말을 사용하여 메뉴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가맹점에서 PC를 사용하여 웹 POS에 접속하여 메뉴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가맹점에서 웹POS에 접속하여 메뉴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의 한가지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고객의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주문 화면의 예로서, 픽업 옵션인 경우의 화면예이다.
도 8은 고객의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주문 화면의 예로서, 배달 옵션인 경우의 화면예이다.
도 9는 고객이 메뉴 항목을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예이다.
도 10은 주문할 항목을 모두 선택하고 결제를 할 때의 화면예이다.
도 11은 매장 수령 옵션으로 주문한 고객에게 상품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의 예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POS 단말에서 배달대행을 요청할 때의 화면예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ord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low of an ord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when a customer places an order by dialing an affiliate store phone numb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low when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using a POS terminal in an affiliated st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low when an affiliate store accesses a web POS using a PC and registers menu inform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show an example of a screen for managing menu information by accessing a web POS at an affiliate store.
7 is an example of an order screen displayed on a customer's smartphone and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a pickup option.
8 is an example of an order screen displayed on a customer's smartphone and is an example of a delivery option.
9 i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a customer selects a menu item.
10 i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all items to be ordered are selected and payment is made.
11 is an example of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duct preparation is complete to a customer who has placed an order with a store receipt option.
12A to 12C are screen examples when a POS terminal requests a delivery agency.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절차, 구성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procedures, configuration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ord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실시형태의 주문 관리 시스템은, 인터넷(N2)에 연결되어 있는 주문관리서버(100)와, 전화망(N1)에 연결되어 있는 ARS 서버(200)와, 가맹점에 설치되고 데이터통신망에 접속된 POS 단말(300)을 구비한다. POS 단말(300)은 가상 사설망(N3) 또는 인터넷을 통해 주문관리서버(10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주문관리서버(100)와 ARS 서버(200)는 전용선 또는 전용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The order management system of the embodiment of FIG. 1 includes an order management server 100 connected to the Internet N2, an ARS server 200 connected to a telephone network N1, and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stalled at an affiliated store. It is equipped with a POS terminal 300. The POS terminal 300 exchanges data with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virtual private network (N3) or the Internet.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ARS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dedicated line or a dedicated network, or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고객이 스마트폰(400)을 사용하여 가맹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ARS 서버(200)가 전화를 받아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 고객이 웹으로 접속 기능을 선택하면, ARS 서버(200)는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가맹점에 대한 주문을 위한 웹페이지로의 링크를 전송한다. 고객은 이 링크를 클릭하여 해당 가맹점의 주문 페이지에 접속하여 주문 및 결제를 진행하게 된다. 또는, 스마트폰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고객이 '보이는 ARS'를 선택하면 ARS 서버(200)는 음성 안내와 함께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전송하고, 고객은 음성으로 안내를 받으면서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보면서 주문 및 결제를 진행한다. 또는, 고객이 가맹점으로 전화걸기를 선택하면, ARS 서버(200)는 해당 가맹점으로 통화전환(call transfer) 한다. 또는, ARS 음성 안내에 따라 주문을 진행하도록 하는 옵션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When a customer makes a call to the affiliated store's phone number using the smartphone 400, the ARS server 200 receives the phone call and transmits a voice guidance message. When the customer selects the access function through the web, the ARS server 200 transmits a link to the web page for an order for the affiliated store to the customer's smartphone. Customers click this link to access the affiliated store's order page to proceed with ordering and payment. Alternatively, when a customer who has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phone selects'visible ARS', the ARS server 200 transmit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along with a voice guidance, and the customer receives the voice guidance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Order and pay while viewing the displayed information. Alternatively, when the customer selects to make a call to an affiliated store, the ARS server 200 performs call transfer to the affiliated store.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have an option to proceed with the order according to the ARS voice guidance.

각 가맹점의 주문용 웹페이지, 또는 '보이는 ARS'용 웹페이지는 주문관리서버(100)가 제공한다. 주문관리서버(100)는 가맹점의 POS 단말(300) 또는 가맹점의 웹 POS 서버(미도시)로부터 음식명, 음식사진, 단가 등을 포함하는 메뉴에 관한 정보(이하, '메뉴 정보'라 함)를 받아서 저장해두고, 모바일용 웹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또는, 가맹점의 POS 단말(300) 또는 가맹점의 웹 POS 서버로부터 받은 메뉴 정보를 모바일용 웹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 후에 저장해두고, 고객으로부터의 접속이 있으면 이를 바로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문관리서버(100)는 또한 주문에 대한 결제도 처리한다. 결제는 신용카드 결제, 카카오페이, 더페이 등과 같은 각종 간편결제, 현금이체결제 등 기존의 다양한 결제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provides an order web page for each affiliate store or a web page for'visible ARS'.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includes information on a menu including food name, food photo, and unit price from the affiliated store's POS terminal 300 or the affiliated store's web POS server (not shown) (hereinafter referred to as'menu information') It receives and stores it, processes it into a format that can be displayed on a mobile web page, and sends it to the customer's smartphone. Alternatively, the menu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ffiliated store's POS terminal 300 or the affiliated store's web POS server is processed and stored in a form that can be displayed on a mobile web page,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it immediately when there is a connection from a customer. It is possible.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also processes payment for an order. Payment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existing payment methods such as credit card payment, various simple payments such as Kakao Pay, The Pay, and cash transfer payment.

가맹점 매장에 설치된 POS 단말(300)은, 상품의 주문 및 결제 정보를 그때마다 입력하고 통신 회선 경유로 중앙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단말 장치로서, 식당이나 카페 등의 경우에는 POS 단말(300)에 판매되는 메뉴 항목이 등록되어 있어서, 주문을 받을 때에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 주문 수량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총 금액이 계산되어 해당 금액에 대해 현금결제, 카드결제 등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POS 단말(300)에 입력된 주문 항목이 자동으로 주방에 설치된 단말장치에 전달되어, 별도로 주방에 주문 내역을 통지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The POS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affiliated store store is a terminal device configured to input product order and payment information each time and transmit it to a central computer via a communication line. In the case of a restaurant or cafe, the POS terminal 300 Since the menu items to be sold are registered, the total amount is automatically calculated when a menu item is selected and the order quantity is entered when receiving an order, so that payment such as cash or credit card payment can be performed. . In addition, there is a case where the order item input to the POS terminal 300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installed in the kitchen,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notify the order details to the kitchen.

본 발명에서는 POS 단말(300)에 메뉴 항목을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POS 단말(300)에서 메뉴 항목의 변경, 추가,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POS 단말(300)이 변경된 메뉴 정보를 주문관리서버(100)로의 전송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여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뉴 항목을 모바일 웹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구성이 POS 단말(300)에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POS 단말(300)이 메뉴 정보를 주기적으로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 menu item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to the POS terminal 300 is added. To this end, when an event such as change, addition, or deletion of menu items occurs in the POS terminal 300, the POS terminal 300 converts the changed menu information into a form for transmiss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order management server Send to (100).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nverting menu items into a mobile web forma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POS terminal 300.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POS terminal 300 to periodically transmit menu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시되지 않은 웹 POS 서버를 사용하여 메뉴의 등록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웹 POS 서버와 POS 단말(300)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또는 메뉴 정보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메뉴 정보의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웹 POS 서버를 통해 메뉴 정보의 변경을 수행한 경우에도 POS 단말(300)이 변경된 메뉴 정보를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주문관리서버(100)로의 메뉴 정보의 전송을 POS 단말(300) 대신에 웹 POS 서버가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menu registration using a web POS server (not shown). In this case, it may be configured to synchronize menu information periodically or whenever menu information is changed between the web POS server and the POS terminal 300. In addition, even when the menu information is changed through the web POS server, the POS terminal 300 transmits the changed menu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web POS server to perform transmission of the menu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instead of the POS terminal 300.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주문관리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웹페이지에 메뉴 정보를 등록하면 주문관리서버(100)가 등록된 메뉴 정보를 POS 단말(300)로 전송하여 POS 단말(300)의 메뉴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on a web page operated by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transmits the registered menu information to the POS terminal 300,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menu information to be updated.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가맹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주문을 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Next, an operation of the ord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 2 shows a case in which a customer places an order by calling the affiliate store's phone number with a smartphone.

본 실시형태에서, 각 가맹점의 전화번호는 ARS 서버(200)로 착신전환 등록되어 있어서, 고객이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ARS 서버(200)가 전화에 응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고객이 가맹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단계 S201), ARS 서버(200)가 전화를 받아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203). 이 때의 동작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고객이 가맹점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주문을 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lephone number of each affiliated store is registered with the ARS server 200 for call forwarding, and the ARS server 200 is set to answer the call when a customer makes a call to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That is, when the customer makes a call to the affiliated store's telephone number (step S201), the ARS server 200 receives the call and transmits a voice guidance message (step S203). An example of the operation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3.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when a customer places an order by dialing an affiliate store phone numb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S 서버(200)는 전화가 오면 예를 들면, "맛으로 승부하는 OOO, 강남점입니다. '보이는 ARS'는 1번, 음성 ARS를 통한 주문은 2번, 매장 연결은 0번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310). When the ARS server 200 receives a call, for example, "OOO to compete with taste, Gangnam branch. Please press 1 for'visible ARS', 2 for an order through voice ARS, 0 for store connection." The same voice message is transmitted (step S310).

고객이 1번을 눌러서 화면을 보면서 메뉴 주문을 하는 옵션을 선택하면(단계 S320의 '예'), ARS 서버(200)는 고객의 스마트폰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웹페이지의 링크를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문자 메시지 전송한다(S330). 이 링크에는 고객이 전화를 건 가맹점의 ID 정보(예를 들면, 가맹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어서, 고객이 이 링크를 따라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해당 가맹점의 메뉴 정보가 바로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링크에는 고객의 전화번호 등 고객을 구분하기 위한 고객 ID 정보도 포함시켜서, 신규 고객 여부, 애플리케이션 설치 여부 등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모바일 웹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링크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customer presses 1 to select the option to place a menu order while viewing the screen ('Yes' in step S320), the ARS server 200 checks whether the required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customer's smartphone, and the required application is If it is not installed, a tex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ustomer's smartphone with a link to a web page on which the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S330). This link contains the affiliated store's I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ffiliated store's phone number) that the customer called, so when the customer connects with this link and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menu information of the affiliated store is immediately displayed. It is desirable. In addition, this link can be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a new customer or an application has been installed by including customer ID information to identify customers such as the customer's phone numb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link for accessing the mobile web page using a web browser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고객이 0번을 눌러서 매장에 전화를 걸어서 주문을 하는 옵션을 선택하면(단계 S340의 '예'), ARS 서버(200)는 가맹점 매장 전화번호로 전화를 돌려준다(단계 S350). 고객이 2번을 눌러서 음성 ARS를 통해 주문을 하는 옵션을 선택하면(단계 S340의 '아니오'), ARS 서버(200)는 음성 ARS를 통해 주문을 받는다(단계 S360). When the customer dials 0 and selects the option of placing an order by calling the store (YES in step S340), the ARS server 200 returns the phone number to the affiliate store's phone number (step S350). When the customer presses 2 and selects the option of placing an order through the voice ARS (No in step S340), the ARS server 200 receives the order through the voice ARS (step S360).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건 고객이 화면을 보면서 주문을 하는 옵션을 선택한 경우에(단계 S205), 고객의 스마트폰(400)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문자 메시지 전송한다(S207).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구성한 실시예에서는, 해당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웹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링크를 전송한다. Returning to FIG. 2 again, when a customer who makes a call to a smartphone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selects the option to place an order while viewing the screen (step S205), when the requir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on the customer's smartphone 400 To transmit a text message to the customer's smartphone link information that can install the application (S207). Alternatively, in the embodiment configured to access using a web browser without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a link for accessing a mobile web page where an order can be placed for the affiliated store is transmitted.

고객이 SMS로 발송된 링크를 눌러서 링크가 실행되면(단계 S209), 실시예에 따라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또는 웹브라우저가 실행되어 해당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웹페이지에 접속된다. 상기 링크 정보에는 고객의 전화번호 등의 고객 ID 정보와 가맹점의 전화번호 등의 가맹점 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이러한 ID 정보가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When the customer clicks the link sent by SMS and the link is executed (step S209), a dedicated application is executed or a web browser is executed to access a mobile web page for placing an order for the affiliated st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link information includes customer ID information, such as a customer's phone number, and affiliate store ID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of an affiliate store, such I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주문관리서버(100)는 수신한 가맹점 ID에 연계되어 저장된 메뉴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한 메뉴 화면을 고객의 스마트폰(4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11). 이때의 메뉴 화면의 예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픽업해 가는 경우의 화면예이고, 도 8은 배달을 하는 경우의 화면예이다. 고객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화면예와 같은 절차를 거쳐서 음식을 주문하고 결제한다(단계 S213). 예를 들면, 도 7 또는 도 8의 화면에서 고객은 주문할 음식의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면, 도 9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이 화면에서 주문수량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도 9의 화면에서 '+주문추가' 버튼을 눌러서 주문할 음식을 더 추가하거나 '다음단계'버튼을 눌러서 결제 단계로 들어간다. 도 10의 화면에서 고객이 선택한 항목에 대한 총 금액이 표시되고 고객은 원하는 결제수단을 선택한 후에 결제를 진행한다.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transmits the menu screen generated by using the menu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received affiliate store ID to the customer's smartphone 400 (step S211). Examples of the menu screen at this time are shown in FIGS. 7 and 8. 7 i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picking up food ordered by a customer, and FIG. 8 i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delivering. The customer orders and pays for food through the same procedure as the screen example shown in FIGS. 7 to 10 (step S213). For example, on the screen of FIG. 7 or 8, when the customer presses the'order' button of the food to be ordered, the screen as shown in FIG. 9 is displayed, and the order quantity can be designated on this screen. In addition, the customer presses the'+ Add Order' button on the screen of FIG. 9 to add more food to order or press the'next step' button to enter the payment step. In the screen of FIG. 10, the total amount for the item selected by the customer is displayed, and the customer selects a desired payment method and then proceeds with payment.

결제가 이루어지면 주문관리서버(100)는 주문 내역을 가맹점의 POS 단말(300)로 전송한다(단계 S215). 주문 내역에는 주문한 음식과 수량 이외에도 픽업 또는 배달 여부, 배달인 경우에는 배달할 주소, 픽업인 경우에는 픽업 예정 시간, 및 주문자의 전화번호, 결제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주문 내역을 카톡 등의 메신저를 통해 가맹점 관리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문 내역을 수신한 POS 단말(300)은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주방에 설치된 단말장치로 통보한다. 픽업 시간이 지정되어 있는 주문의 경우에는 픽업 예정 시간에 맞게 조리가 될 수 있도록, 픽업 예정 시간도 함께 주방의 단말장치로 통보한다. 또한, POS 단말(300)은 주문 내역을 수신하였음을 주문관리서버(100)에 전송하고(단계 S217), 주문관리서버(100)는 이를 고객의 스마트폰(400)에 통지한다(단계 S219). 이후의 고객에의 통지는 카톡 등의 메신저, 문자 메시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통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객에의 통지를 POS 단말(300)에서 직접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payment is made,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transmits the order details to the POS terminal 300 of the affiliated store (step S215). In addition to the ordered food and quantity, the order details may include whether to be picked up or delivered, in the case of delivery, the address to be delivered, in the case of pickup, the scheduled pickup time, the orderer's phone number, and whether to pay.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order details to be notified to the affiliated store manager through a messenger such as KakaoTalk. Upon receiving the order details, the POS terminal 300 stores the order details and notifies the terminal device installed in the kitchen. In the case of an order with a designated pick-up time, the scheduled pick-up time is also notified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kitchen so that cooking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pick-up time. In addition, the POS terminal 300 transmits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that it has received the order details (step S217), and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notifies the customer's smartphone 400 (step S219) . Subsequent notification to the customer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essenger such as KakaoTalk, a text message, and a notifica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POS terminal 300 to directly notify the customer.

가맹점에서는 해당 주문에 대한 진행상황을 POS 단말(300)에 입력함으로써 진행상황을 고객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식 배달 출발시에 또는 픽업 준비가 완료된 경우에 이를 POS 단말(300)에 입력하면(단계 S221), POS 단말(300)은 이를 주문관리서버(100)에 전송하고(단계 S223), 주문관리서버(100)는 이를 고객의 스마트폰(400)에 통지한다(단계 S225). 도 11에 상품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affiliated store may notify the customer of the progress by inputting the progress of the corresponding order to the POS terminal 300. For example, when food delivery departs or when pickup preparation is completed, this input into the POS terminal 300 (step S221), the POS terminal 300 transmits it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step S223) ,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notifies this to the customer's smartphone 400 (step S225). 11 shows an example of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duct preparation is complete.

또한, 배달 주문의 경우에, POS 단말(300)에서 배달대행사를 선택하여 배달을 의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주문관리서버(100)로부터 배달 주문을 접수하면, POS 단말(300)은 미리 선택된 배달대행사로 배달 주문에 관한 정보(주문자, 수령자, 배송지 등)를 전송하여, 배달음식이 준비되는 시점에 배달대행사에서 가맹점 매장으로 와서 음식을 픽업해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elivery order,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POS terminal 300 to select a delivery agency to request delivery. In one embodiment, upon receiving a delivery order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the POS terminal 3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order (orderer, recipient, delivery destination, etc.) to a pre-selected delivery agency, so that the delivery food is prepared. When it becomes available, the delivery agency can come to the affiliated store to pick up the food.

도 12a는 POS 단말에서 배달요청을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가맹점 관리자는 도 12a와 같은 주문 내역(②)을 보여주는 화면에서 배달을 해야 할 주문 항목(①)을 선택하고 '배달요청' 버튼을 클릭한다(③).12A show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making a delivery request in a POS terminal. The affiliated store manager selects an order item to be delivered (①) on the screen showing the order details (②) as shown in FIG. 12A and clicks the'delivery request' button (③).

그러면, 도 12b의 화면에서와 같이 배달과 관련된 조작을 할 수 있는 화면이 POS 단말에 표시된다. 도 12b의 화면은, 도 12a에서 선택한 주문 항목의 주문 내역을 보여주는 창(①), 배달할 주소, 연락처 등 주문자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창(②), 배달대행업체, 배송결제옵션, 픽업요청시간 등 배달에 관한 상세를 보여주는 창(③)을 구비하고 있다. 주문 내역 창(①)과 주문자 정보창(②)에 표시되는 정보는 단계 S215에서 주문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주문 내역 정보로부터 추출된 정보이다. 배달 상세 정보는 가맹점 관리자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고 입력한다. 가맹점 관리자가 배달 상세 정보를 입력하고 나서 '배달요청' 버튼(④)을 클릭하면 이 정보는 주문관리서버(100)를 거쳐 배달대행업체로 전달된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 정보가 가맹점 POS 단말에서 바로 배달대행업체로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n, as shown in the screen of FIG. 12B, a scree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related to delivery is displayed on the POS terminal. The screen of FIG. 12B is a window showing the order details of the order item selected in FIG. 12A (1), a window showing information on the orderer such as address to be delivered and contact information (②), delivery agency, delivery payment option, pickup request time It is equipped with a window (③) that shows the details of delivery.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order details window (①) and the orderer information window (②) is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order detail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in step S215. Delivery details are appropriately selected and entered by the merchant manager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en the affiliated store manager inputs detailed delivery information and then clicks the'delivery request' button (④),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elivery agency through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O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is information to be transferred directly from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to the delivery agency.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가맹점에서 메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가맹점에서 POS 단말을 사용하여 메뉴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가맹점에서 PC를 사용하여 웹 POS에 접속하여 메뉴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Next, a method of managing a menu at an affiliated sto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low when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using a POS terminal in an affiliated st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web POS using a PC in an affiliated st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flow when accessing and registering menu informa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POS 단말(300)을 사용하여 메뉴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맹점의 관리자는 신규 메뉴 항목의 등록, 기존 메뉴 항목의 삭제, 기본 메뉴 항목의 가격 변경 등과 같이 메뉴 정보를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뉴 등록 기능을 선택한다. 그러면, POS 단말(300)이 메뉴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 가맹점의 관리자가 이 화면에서 메뉴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410). 메뉴 정보에는 메뉴명, 사진, 가격, 카테고리(예: 식사, 요리, 주류 등), 설명, 최소 주문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POS 단말(300)은 변경된 메뉴 정보를 POS 단말(300)에 저장하고, 또한 주문관리서버(100)로의 전송을 위한 형태로 변환한다(단계 S420). POS 단말(300)이 변환된 메뉴정보를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단계 S430). 주문관리서버(100)로의 전송을 위한 형태는 예를 들면, 미리 규정된 형식으로의 변환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웹에서의 표시를 위한 형태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메뉴 변경이 있는 경우에 메뉴 정보를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POS 단말(300)이 메뉴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주문관리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First, an operation in the case of registering menu information using the POS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en the administrator of the affiliated store wants to update menu information such as registering a new menu item, deleting an existing menu item, or changing a price of a basic menu item, the administrator selects a menu registration function. Then, the POS terminal 300 displays a screen in which menu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The administrator of the affiliated store inputs menu information on this screen (step S410). Menu information may include menu name, photo, price, category (eg, meals, dishes, alcohol, etc.), description, and minimum order quantity. The POS terminal 300 stores the changed menu information in the POS terminal 300 and converts it into a form for transmiss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step S420). The POS terminal 300 transmits the converted menu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step S430). The form for transmiss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for example, a conversion to a predefined form, and may be a form for display on a mobile web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shows a case of transmitting menu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when there is a menu change,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OS terminal 300 periodically or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o be transmitted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메뉴의 등록은 웹 POS 서버에 접속하거나 주문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의 동작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웹 POS 서버가 POS 단말의 메뉴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웹 POS 서버 대신에 주문관리서버(100)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가맹점의 관리자가 PC를 사용하여 웹 POS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하면,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상품정보 등록을 위한 화면에서 신규 상품의 상품명, 판매단가, 이미지 등을 등록할 수 있다. 도 6b는 다수의 상품이 등록된 경우의 화면예로서, 관리자는 좌측창에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상품을 선택하여 정보를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상품에 대해서 해당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도 7의 예에서는 'Hot Menu', 'Chicken', 'Side Menu', 'Beverage')를 지정할 수도 있다.Menu registr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by accessing the web POS server or accessing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An example of the operation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5.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ase in which a web POS server manages a web page for menu management of a POS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instead of the web POS server. When the administrator of the affiliated store logs in to the web POS server using a PC, as shown in FIG. 6A, the product name, sales unit price, image, etc. of a new product can be registered on the screen for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6B i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a plurality of products are registered, and an administrator can change or delete information by selecting a product already registered in the left pane. In addition, for each product, a category to which the product belongs ('Hot Menu','Chicken','Side Menu', and'Beverage' in the example of FIG. 7) may be designated.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서 메뉴 정보가 변경되거나 신규등록되면(단계 S510), 웹 POS 서버는 메뉴 정보를 POS 단말(3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고 가맹점 POS 단말(300)로 전송한다(단계 S520). When the menu information is changed or newly registered through such a procedure (step S510), the web POS server converts the menu information into a format usable in the POS terminal 300 and transmits it to the affiliate store POS terminal 300 (step S520. ).

한편, 변경된 메뉴가 사용될 시작일과 종료일을 지정할 수도 있다. 즉, 새로운 메뉴가 적용될 날짜 이전에 미리 메뉴 정보를 갱신해두고 시작일을 새로운 메뉴가 적용될 날짜로 지정해두면, 웹 POS 서버는 지정된 날짜에 새로운 메뉴 정보를 POS 단말(300)로 전송하여, 새로운 메뉴가 지정된 날짜에 POS 단말(300)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ate a start date and an end date to use the changed menu. That is, if the menu information is updated in advance before the date when the new menu is applied and the start date is designated as the date when the new menu is applied, the web POS server transmits the new menu information to the POS terminal 300 on the specified date, and the new menu is It can be applied to the POS terminal 300 on a specified date.

갱신된 메뉴정보를 수신한 POS 단말(300)은 이를 POS 단말에서 사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단계 S540). POS 단말(300)은 또한 갱신된 메뉴정보를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단계 S550). 실시예에 따라서는 POS 단말에서 사용하는 포맷과 주문관리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한 포맷을 같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주문관리서버(100)는 수신한 메뉴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560).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웹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뉴 정보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고, 고객이 접속하면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모바일 웹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Upon receiving the updated menu information, the POS terminal 300 converts it into a format used by the POS terminal and stores it (step S540). The POS terminal 300 also converts and transmits the updated menu information to a format for transmiss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step S55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ormat used in the POS terminal and the format for transmiss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00 stores the received menu information (step S56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converted and stored in a format suitable for display on the mobile web. Alternative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enu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database format, and when a customer connect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is database may be converted into a format suitable for display on the mobile web and transmitted to the customer's smartphone. Do.

이상의 설명에서는 메뉴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의 정보 동기화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뉴 정보 이외에도 매장 영업일 및 영업시간, 매장주소, 중간휴식시간(break time), 매장 전화번호 등의 정보도 POS 단말, 웹 POS 서버, 주문관리서버 사이에서 동기화 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information synchronization when updating menu information has been described, but in addition to menu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store business days and hours, store address, break time, store phone number, etc. , Synchronized between order management servers.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고객이 가맹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주문을 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고객이 스마트폰이나 PC를 사용하여 주문을 위한 웹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여 주문을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 case in which a customer places an order by dialing the phone number of a member store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er places an order by directly accessing a web page for ordering using a smartphone or PC It can also be applied in case.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re illustrated abov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are not availabl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주문관리서버,
200 ARS 서버,
300 POS 단말,
400 스마트폰.
100 order management server,
200 ARS servers,
300 POS terminal,
400 smartphones.

Claims (9)

웹 POS 서버에서 메뉴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가맹점 매장에 설치되며 상품의 주문 및 결제 정보를 입력하고 메뉴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가맹점 POS 단말이 웹 POS 서버로부터 상기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갱신 저장하는 단계;
가맹점 POS 단말이 상기 메뉴 정보를 주문관리서버로 전송하면 주문관리서버가 상기 메뉴 정보를 해당 가맹점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메뉴정보저장단계;
주문관리서버가 가맹점에 연계되어 저장된 메뉴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한 가맹점의 메뉴화면을 고객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메뉴정보표시단계;
주문관리서버가 고객 스마트폰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결제를 수행하는 주문단계;
주문관리서버가 결제가 완료된 주문에 관한 정보(이하, '주문 내역'이라 함)를 가맹점 POS 단말로 전송하는 주문정보전달단계
를 구비하며,
웹 POS 서버에서 새로운 메뉴 정보를 등록받을 때 상기 새로운 메뉴가 사용될 시작일을 지정 받으며, 웹 POS 서버는 상기 시작일에 상기 새로운 메뉴 정보를 POS 단말로 전송하여 새로운 메뉴가 지정된 날짜에 POS 단말에 적용되도록 하며,
상기 주문 내역에는 주문한 음식, 픽업 또는 배달인지 여부, 배달인 경우에는 배달할 주소, 픽업인 경우에는 픽업 예정 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가맹점 POS 단말은 배달인 경우에는 배달대행사로 배달 주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며,
주문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주문내역을 수신한 POS 단말은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주방에 설치된 단말장치로 통보하되, 픽업 시간이 지정되어 있는 주문의 경우에는 픽업 예정 시간도 함께 통보하는, 주문 관리 방법.
Registering menu information in a web POS server;
An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installed in an affiliated store store, inputting product order and payment information, and registered menu information, receiving the menu information from a web POS server and storing the update;
A menu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the menu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affiliated store when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transmits the menu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A menu information display step of transmitting the menu screen of the affiliated store generated by using the menu information stored in connection with the affiliated store by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o the customer smartphone;
An ordering step in which the order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 order from the customer's smartphone and performs payment;
Order information delivery step in which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order for which payment has been comple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order details') to the affiliated store's POS terminal
And,
When new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web POS server, the start date for which the new menu will be used is designated, and the web POS server transmits the new menu information to the POS terminal on the start date so that the new menu is applied to the POS terminal on the specified date. ,
The order details include the food ordered, whether it is pickup or delivery, the address to be delivered in the case of delivery, and the scheduled pickup time in the case of pickup,
In the case of delivery,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order to the delivery agency,
The POS terminal receiving the order details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stores it and informs the terminal device installed in the kitchen at the same time, but in the case of an order with a designated pickup time, the order management method also notifies the scheduled pickup ti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정보표시단계는,
고객 스마트폰으로부터 가맹점 전화번호로 전화를 수신한 ARS 서버가 해당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고객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단계와,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접속한 고객 스마트폰으로 주문관리서버가 요청받은 가맹점에 연계되어 저장된 메뉴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한 가맹점의 메뉴화면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문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menu information comprises:
ARS server receiving a call from the customer's smartphone to the affiliated store's phone numbe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customer's smartphone to access a webpage where an order can be made for the affiliated store;
An order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enu screen of the affiliate store created by using the stored menu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requested affiliate store by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o a customer's smartphone connected to a web page that can order an affiliate store.
제1항에 있어서,
주문에 대한 진행정보가 입력되면 가맹점 POS 단말이 주문관리서버로 입력된 진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주문관리서버가 주문한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진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주문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rogress information for the order is input,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progress information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Step of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o transmit the progress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f the customer who ordered
Order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가맹점 매장에 설치되며, 상품의 주문 및 결제 정보를 입력하고 메뉴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POS 단말과,
메뉴 정보를 저정하고 있는 웹 POS 서버와,
주문관리서버를 구비하며,
웹 POS 서버가 가맹점 관리자로부터 메뉴 정보를 입력받아서 POS 단말에 전송하면, POS 단말이 웹 POS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뉴 정보를 갱신 저장하며,
상기 POS 단말은 메뉴 정보가 갱신되면 이를 주문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주문관리서버는 갱신된 메뉴 정보를 모바일 웹에 표시하기에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주문을 위해 접속한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며,
웹 POS 서버에서 새로운 메뉴 정보를 등록받을 때 상기 새로운 메뉴가 사용될 시작일을 지정 받으며, 웹 POS 서버는 상기 시작일에 상기 새로운 메뉴 정보를 POS 단말로 전송하여 새로운 메뉴가 지정된 날짜에 POS 단말에 적용되도록 하며,
주문관리서버는 고객의 스마트폰을 통해 수신한 주문 내역을 가맹점 POS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주문 내역에는 주문한 음식, 픽업 또는 배달인지 여부, 배달인 경우에는 배달할 주소, 픽업인 경우에는 픽업 예정 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가맹점 POS 단말은 배달인 경우에는 배달대행사로 배달 주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며,
주문관리서버로부터 주문내역을 수신한 POS 단말은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주방에 설치된 단말장치로 통보하되, 픽업 시간이 지정되어 있는 주문의 경우에는 픽업 예정 시간도 함께 통보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A POS terminal installed in the affiliated store, where product order and payment information is entered, and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A web POS server storing menu information,
Equipped with an order management server,
When the web POS server receives menu information from the affiliate store manager and transmits it to the POS terminal, the POS terminal updates and stores the menu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b POS server,
When the menu information is updated, the POS terminal transmits it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he order management server converts the updated menu information into a format suitable for display on the mobile web and provides it to the smartphone of the customer who accessed for the order.
When new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web POS server, the start date for which the new menu will be used is designated, and the web POS server transmits the new menu information to the POS terminal on the start date so that the new menu is applied to the POS terminal on the specified date. ,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order details received through the customer's smartphone to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The order details include the food ordered, whether it is pickup or delivery, the address to be delivered in the case of delivery, and the scheduled pickup time in the case of pickup,
In the case of delivery, the affiliated store POS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order to the delivery agency,
The POS terminal receiving the order details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stores it and informs the terminal device installed in the kitchen at the same time, but in the case of an order with a specified pickup time, the order management system also notifies the scheduled pickup tim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ARS 서버를 더 포함하며,
각 가맹점의 전화번호는 상기 ARS 서버로 착신전환되어 있으며,
고객 스마트폰으로부터 가맹점 전화번호로 전화를 수신한 ARS 서버가 해당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고객 스마트폰에 제공하고,
가맹점에 대해서 주문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접속한 고객 스마트폰으로 주문관리서버가 요청받은 가맹점에 연계되어 저장된 메뉴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한 가맹점의 메뉴화면을 전송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an ARS server,
Each affiliated store's phone number is forwarded to the ARS server,
The ARS server, which receives a call from the customer's smartphone to the affiliated store's phone number, provides information to the customer's smartphone that allows access to a webpage where an order can be placed for the affiliated store,
An order management system that transmits the menu screen of the affiliated store created by using the stored menu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requested affiliated store by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o the customer's smartphone connected to the web page where the affiliated store can order.

삭제delete
KR1020180101464A 2018-08-28 2018-08-28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21587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464A KR102158797B1 (en) 2018-08-28 2018-08-28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464A KR102158797B1 (en) 2018-08-28 2018-08-28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96A KR20200024596A (en) 2020-03-09
KR102158797B1 true KR102158797B1 (en) 2020-09-22

Family

ID=6980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464A KR102158797B1 (en) 2018-08-28 2018-08-28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7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517B1 (en) * 2020-04-14 2022-07-15 주식회사 플렌다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providing the menu renewable in advance
KR102588797B1 (en) * 2022-08-09 2023-10-13 주식회사 유니이앤티 Unmanned order service apparatus using table remote ordering and payment link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382A (en) * 2012-03-05 2013-09-13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A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ales information
KR101495030B1 (en) * 2013-05-23 2015-02-27 (주) 씨제이오쇼핑 Apparatus and system for ordering product using auto response service and method there of
KR20160041102A (en) * 2014-10-06 2016-04-18 오승민 Coffee order system using the smart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96A (en)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96679A1 (en) Web integrated point-of-sale system
JP5667993B2 (en) Standby order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apparatus, standby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tandby order management program
WO2015137559A1 (en) Uchef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erminal
CA2836049C (en) Web integrated point-of-sale system
JP2019003634A5 (en)
KR102158797B1 (en)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200129360A (en) Automated call forwarding ord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ARS
KR101272658B1 (en) Order system and method using qr code
KR20120056847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er contact
US20130166401A1 (en) Real time integrated shopping service
KR20140127989A (en)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menu board based on NFC TAG,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menu board based on NFC TAG using the same
KR20180000073A (en) Supporting method for order receiving and delivering with web-pos
JP6682735B2 (en) Transfer guidance notification server and its program
JP6924523B1 (en) Delivery support device
US20130253964A1 (en) Reserv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reservation management device
JP2015121848A (en) Reserv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20180015200A (en) Order and deliv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pplication
US20200074532A1 (en) Simplified online ordering platform
KR20220104569A (en) The method of exposing advertisements from certain affiliated restaurants to the first screen on the order device and application stored on recording medium to execute it
US202300515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2202816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62101B1 (en) Intelligent mobile information manag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1739357B1 (en) Combined wire-wireless delivery stamp issue system using dual tone multiple frequency (dtmf),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50025139A (en) An autoresponse order and payment system
KR20180110692A (en) Integrated order system based on nfc and order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