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831B1 -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831B1
KR102126831B1 KR1020190098865A KR20190098865A KR102126831B1 KR 102126831 B1 KR102126831 B1 KR 102126831B1 KR 1020190098865 A KR1020190098865 A KR 1020190098865A KR 20190098865 A KR20190098865 A KR 20190098865A KR 102126831 B1 KR102126831 B1 KR 10212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user
word
recommend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권
김진수
노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네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네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네디아
Priority to KR102019009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831B1/ko
Priority to US16/679,648 priority patent/US2021004889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831B1/ko
Priority to PCT/KR2020/010653 priority patent/WO20210296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목록창에서 선택되는 단어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영어의 알파벳이 아닌 한자의 처음입력문자 입력을 통해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에 입력한 처음입력문자에 기초하여 선정된 추천 단어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문자, 복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의 입력을 통해 여러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 단어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FIRST-INPUT-CHARAC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국이 발전함에 따라, 한자를 사용해야 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자는 글자체계가 비교적 간단하고 개수가 적은 한글이나 영문자와 다르게 상형문자를 포함하는 표의 문자로서, 정형화되지 않은 수 만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터, 휴대폰 등 전자기기는 한정된 수의 버튼을 가진 키보드를 입력수단으로 가지기 때문에,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한자 자체를 그대로 입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종래에 한어병음 입력 방법이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어병음 입력 방법은 영어의 알파벳으로 한자의 발음을 입력하고 입력된 영어의 알파벳과 동일한 발음을 가진 한자를 후보로 나열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입력하기 원하는 문자를 찾아서 선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알고 있더라도 알파벳으로 한자를 입력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확한 발음을 알고 있지 않은 경우 정확히 대응되는 한자를 입력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발음을 갖는 한자들이 너무 많은 경우 한 글자를 입력할 때마다 같은 발음을 갖는 수많은 한자군에서 입력하려는 문자를 선택하여야 하므로 빠르게 한자를 입력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한어병음 입력 방법과 달리 한자를 직접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영어의 알파벳이 아닌 한자의 처음입력문자, 단문자 및 복문자의 입력을 통해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단문자는 한자의 형태 중 한 선으로 이루어진 모양을 의미한다. 또한, 복문자는 한자의 형태 중 두 선 이상으로 이루어진 모양을 의미한다. 그리고 처음입력문자는 한자의 가장 윗부분 또는 가장 왼쪽 윗부분에 있는 단문자 또는 한자에 포함된 모든 복문자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음입력문자, 단문자, 복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의 입력을 통해 여러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 단어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목록창에서 선택되는 단어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되고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글자 구분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글자 구분 기호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 및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의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 또는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의 가장 윗부분 또는 가장 왼쪽 윗부분에 포함된 단문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에 포함된 모든 복문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의 상기 추천 단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의 입력 순서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를 갖는 단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장 버튼을 누르면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축소 버튼을 누르면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수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목록창에서 선택되는 단어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단어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자 구분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상기 입력부는 상기 글자 구분 기호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 및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 또는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의 가장 윗부분 또는 가장 왼쪽 윗부분에 포함된 단문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에 포함된 모든 복문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상기 추천 단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의 입력 순서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를 갖는 단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장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축소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어의 알파벳이 아닌 한자의 처음입력문자 입력을 통해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처음입력문자, 단문자, 복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의 입력을 통해 여러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 단어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추천 목록창이 확대되지 않은 화면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추천 목록창이 확대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이 포함된 가상 키보드의 예시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하여 한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하여 두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여 두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고 추천 목록창을 확대하여 두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여 세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고 추천 목록창을 확대하여 세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제2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3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고 추천 목록창을 확대하여 세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는 입력부(2), 제어부(3) 및 디스플레이부(4)를 포함한다.
입력부(2)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문자(Single Character), 복문자(Multiple Character), 처음입력문자(First-Input-Character) 및 글자 구분 기호(Letter Separator)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서 단문자는 한자의 형태 중 한 선으로 이루어진 모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자는 하나 이상의 단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입력부(2)를 통해 한자에 포함되는 단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가 입력받을 수 있는 단문자를 나열한 것이다.
Figure 112019082985499-pat00001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는 24가지의 단문자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는 단문자로 표 1에 포함된 24가지의 단문자 중 일부만을 입력 받거나, 표 1에 포함된 24가지의 단문자 중 일부와 표 1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단문자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문자는 한자의 형태 중 두 선 이상으로 이루어진 모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입력부(2)를 통해 한자에 포함되는 복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가 입력받을 수 있는 복문자를 나열한 것이다.
Figure 112019082985499-pat00002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는 28가지의 복문자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는 복문자로 표 2에 포함된 28가지의 복문자 중 일부만을 입력 받거나, 표 2에 포함된 28가지의 복문자 중 일부와 표 2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복문자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하기 표 3은 본 발명에서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가 입력 받을 수 있는 복문자 중 일부와 그에 대응되는 글자를 나열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문자 중 일부는 해당 복문자에 대응되는 간체자 또는 번체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기 표 3의 각 번호에 해당되는 칸의 좌측에 있는 복문자를 입력함으로써 하기 표 3의 각 번호에 해당되는 칸의 우측에 있는 간체자 또는 번체자를 입력할 수 있다.
Figure 112019082985499-pat00003
본 발명에서 처음입력문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의 가장 윗부분 또는 가장 왼쪽 윗부분에 있는 단문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에 포함된 모든 복문자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에 입력하려는 한자의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면,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는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글자 구분 기호는 단어 내에서 글자와 글자 사이의 경계를 나타내는 표시이다. 글자 구분 기호는 두 글자 이상의 단어를 입력할 때, 단어의 첫 번째 글자에 포함되는 처음입력문자 및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와 두 번째 글자에 포함되는 처음입력문자 및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구별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글자 구분 기호를 이용하여 첫 번째 글자에 포함되는 처음입력문자 및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 와 두 번째 글자에 포함되는 처음입력문자 및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각각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입력부(2)를 통해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를 기초로 복수개의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때 입력부(2)가 사용자로부터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은 경우,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만일 입력부(2)가 사용자로부터 처음입력문자를 입력받고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 받은 경우,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은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 받은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가 사용자로부터 처음입력문자와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 받은 경우,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단어를 선정한다.
만일 입력부(2)가 사용자로부터 처음입력문자를 입력받고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 받고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 받은 경우,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은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 받은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 받은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할 수 있다.
만일 입력부(2)가 사용자로부터 처음입력문자를 입력받고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 받고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은 경우,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처음으로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은 때, 사용자로부터 처음으로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 받은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는 사용자로부터 그 다음으로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은 때, 사용자로부터 처음으로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와 그 다음으로 입력 받은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는 입력 진행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처음입력문자, 단문자, 복문자또는 글자 구분 기호를 표시하고, 추천 목록창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를 표시하고, 입력창에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는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단어를 선정하면 즉시 추천 목록창에 추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는 컴퓨터, 스마트 폰 등의 전자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력부(2)가 사용자로부터 처음입력문자 등을 입력 받는 방식 및 디스플레이부(4)가 입력 진행창에 처음입력문자 등을 표시하고 추천 목록창에 추천 단어를 표시하고 입력창에 단어를 표시하는 방식은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가 컴퓨터일 경우 입력부(2)는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의 타이핑 또는 마우스의 클릭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처음입력문자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4)는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 등의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4)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각 정보는 사용자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시각 정보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4)가 입력 진행창, 추천 목록창 및 입력창 등에 표시할 수 있는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또는 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가 스마트 폰일 경우 입력부(2) 및 디스플레이부(4)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각각 처음입력문자 등을 입력 받고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입력부(2)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터치를 통해 처음입력문자 등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가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추천 목록창이 확대되지 않은 화면의 예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터치 스크린(10)은 가상 키보드(11), 추천 목록창(12), 입력 진행창(16) 및 입력창(17)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제일 하단에 가상 키보드(11)를 표시하고, 그 위쪽으로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상에서 추천 목록창(12)의 상부의 왼쪽에 입력 진행창(16)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는 가상키보드(11), 추천 목록창(12) 또는 입력 진행창(16)이 표시되지 않은 화면 전체에 입력창(17)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11)를 눌러 입력부(2)에 처음입력문자, 단문자, 복문자 또는 글자 구분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는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처음입력문자, 단문자, 복문자 또는 글자 구분 기호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입력창(17)에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추천 목록창(12)에 추천 단어가 표시되고 있을 때, 추천 목록창(12)의 오른쪽에는 확장 버튼(14)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가 증가된 화면은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추천 목록창이 확대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확장 버튼(14)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4)는 더 많은 추천 단어를 포함하는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터치 스크린(10) 상의 추천 목록창(12)의 상부에 표시할 수 있다. 확대 추천 목록창(13)은 추천 목록창(12)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을 통해 표시하는 입력창(17)의 크기는 줄어들 수 있다.
확대 추천 목록창(13)은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 추천 목록창(13)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을 스크롤하여 더 많은 추천 단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추천 목록창(12)의 오른쪽에는 축소 버튼(15)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가 감소된 화면은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이 포함된 가상 키보드(11)의 예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10)는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 전환 버튼(41), 삭제 버튼(42), 글자 구분 기호 버튼(43) 및 모드 전환 버튼(44)을 포함할 수 있다.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단문자 및 복문자가 표시된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 1에 포함된 모든 단문자와 표 2에 포함된 복문자 중 일부가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의 각 버튼의 상단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을 눌러 각 버튼의 상단에 표시된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에 입력될 수 있는 모든 단문자 및 복문자 중 일부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표 2에 포함된 복문자 중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의 상단에 표시되지 않은 복문자가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의 각 버튼의 하단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을 눌러 각 버튼의 하단에 표시된 복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에 입력될 수 있는 복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누름으로써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의 상단에 표시된 단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누름으로써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의 하단에 표시된 복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11) 상의 전환 버튼(41)을 눌러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의 각 버튼에 표시된 단문자와 복문자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누름으로써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의 상단에 표시된 복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누름으로써 각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의 하단에 표시된 단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삭제 버튼(42)을 눌러 처음입력문자, 단문자, 복문자 또는 글자 구분 기호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을 눌러서 입력창(17)에 단어를 입력한 경우에도 삭제 버튼(34)을 눌러 단어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글자 구분 기호 버튼(43)을 눌러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글자 구분 기호 버튼을 눌러서 두 글자 이상의 단어를 입력할 때, 단어의 첫 번째 글자에 포함되는 처음입력문자 및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와 두 번째 글자에 포함되는 처음입력문자 및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각각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모드 전환 버튼(44)을 눌러 가상 키보드(11)에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이 아닌 다른 종류의 버튼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단문자 및 복문자 버튼(40)이 아닌 다른 종류의 버튼은 알파벳 입력 버튼, 한글 입력 버튼 등 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드 전환 버튼(44)을 통해 다른 종류의 버튼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종래에 이용하던 다른 종류의 한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의 디스플레이부(4)를 통해 표시되는 한자 입력 화면은 종래의 다른 종류의 한자 입력 방법에 따른 한자 입력 화면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종류의 한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입력 진행창(16) 및 추천 목록창(12)은 본 발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드 전환 버튼(44)을 이용하여, 여러 글자의 한자를 입력할 때, 몇 글자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몇 글자는 종래에 사용하던 다른 종류의 한자 입력 방법을 혼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1)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하여 한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5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제1 문자(5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 문자(5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1 문자(5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더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표시한다. 도 5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로 제2 문자(51) 및 제3 문자(52)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 문자(50)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로 입력한 제2 문자(51) 및 제3 문자(52)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추천 단어는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의 입력 순서에 관계 없이 제1 처음입력문자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를 갖는 단어로 구성된다. 즉,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2 문자(51) 및 제3 문자(52) 순서로 입력을 한 경우와 사용자가 제3 문자(52) 및 제2 문자(51) 순서로 입력을 한 경우에 관계없이 동일한 단어를 추천 단어로 선정한다. 이 때 제1 문자(50), 제2 문자(51) 및 제3 문자(52)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서 제1 단어(53)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추천 목록창(12)에서 제1 단어(53)를 선택하면 입력창(17)에 제1 단어(60)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 단어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했기 때문에,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단어는 지워지고, 입력 진행창(16)은 사라지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하여 두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7은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제4 문자(7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4 문자(7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4 문자(7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글자 구분 기호(80)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4 문자(70) 및 글자 구분 기호(80)를 표시한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4 문자(7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는 사용자가 글자 구분 기호(80)를 입력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단어를 입력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때 제4 문자(7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제2 단어(81)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추천 목록창(12)에서 제2 단어(81)를 선택하면 입력창(17)에 제2 단어(90)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 단어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했기 때문에,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단어는 지워지고, 입력 진행창(16)은 사라지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여 두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10은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제5 문자(10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5 문자(10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5 문자(10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더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표시한다. 도10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로 제6 문자(101)만을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5 문자(100)와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로 입력한 제6 문자(101)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5 문자(100) 및 제6 문자(101)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글자 구분 기호(110)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5 문자(100), 제6 문자(101) 및 글자 구분 기호(110)를 표시한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5 문자(100) 및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로 입력한 제6 문자(101)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는 사용자가 글자 구분 기호(110)를 입력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단어를 입력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3)는 제5 문자(100) 및 제6 문자(101)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 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5 문자(100) 및 제6 문자(101)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5 문자(100), 제6 문자(101), 글자 구분 기호(110)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12는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제7 문자(12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문자로 입력한 제5 문자(100) 및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로 입력한 제6 문자(101)를 포함하는 글자 및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7 문자(12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5 문자(100) 및 제6 문자(101)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이고, 제7 문자(12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두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서 제3 단어(121)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추천 목록창(12)에서 제3 단어(121)를 선택하면 입력창(17)에 제3 단어(130)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 단어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했기 때문에,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단어는 지워지고, 입력 진행창(16)은 사라지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고 추천 목록창을 확대하여 두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14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제8 문자(14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8 단문자(140) 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8 문자(14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글자 구분 기호(150)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8 문자(140), 글자 구분 기호(150)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15는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제9 문자(151)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8 문자(140)를 포함하는 글자 및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9 문자(151)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8 문자(14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이고, 제9 문자(151)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두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어서, 사용자가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한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확대 추천 목록창(13)에 표시된 단어 중에서 제4 단어(160)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확대 추천 목록창(13)에서 제4 단어(160)를 선택하면 입력창(17)에 제4 단어(170)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 단어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했기 때문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은 사라지고,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단어는 지워지고, 입력 진행창(16)은 사라지게 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여 세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1 처음입력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181)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처음입력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181)를 표시한다. 도 18은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제10 문자(18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0 문자(18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는 사용자가 글자 구분 기호(181)를 입력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단어를 입력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3)는 제10 문자(18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 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10 문자(18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0 문자(180), 글자 구분 기호(181)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19는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제11 문자(19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0 문자(180)를 포함하는 글자 및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1 문자(19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10 문자(18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이고, 제11 문자(19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두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서 제5 단어(191)를 선택할 수 있다. 제5 단어(191)는 3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이지만, 제5 단어(191)가 제어부(3)에 의해 추천 단어로 선정되면 3 글자 모두에 대한 처음입력문자의 입력 없이도 3 글자로 이루어진 제5 단어(191)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추천 목록창(12)에서 제5 단어(191)를 선택하면 입력창(17)에 제5 단어(200)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 단어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했기 때문에,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단어는 지워지고, 입력 진행창(16)은 사라지게 된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고 추천 목록창을 확대하여 세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21은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제12 문자(21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2 문자(21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12 문자(21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글자 구분 기호(220)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2 문자(210), 글자 구분 기호(150)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22는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제13 문자(221)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2 문자(210)를 포함하는 글자 및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3 문자(221)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12 문자(21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이고, 제13 문자(221)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두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어서, 사용자가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한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확대 추천 목록창(13)에 표시된 단어 중에서 제6 단어(230)를 선택할 수 있다. 제6 단어(230)는 3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이지만, 확장 버튼(14)을 이용하여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게 하고, 제6 단어(230)가 제어부(3)에 의해 확대 추천 목록창(13)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로 선정되면 3 글자 모두에 대한 처음입력문자의 입력 없이도 3 글자로 이루어진 제6 단어(230)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도 24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확대 추천 목록창(13)에서 제6 단어(230)를 선택하면 입력창(17)에 제6 단어(240)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 단어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했기 때문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은 사라지고,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단어는 지워지고, 입력 진행창(16)은 사라지게 된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가 스마트 폰 일 때, 제1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제2 처음입력문자, 글자 구분 기호 및 제3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하고 추천 목록창을 확대하여 세 개의 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1 처음입력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251)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처음입력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251)를 표시한다. 도 25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제14 문자(25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4 문자(25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는 사용자가 글자 구분 기호(251)를 입력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단어를 입력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3)는 제14 문자(25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 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14 문자(25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4 문자(250), 글자 구분 기호(251) 및 제2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26은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제15 문자(260)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4 문자(250)를 포함하는 글자 및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5 문자(260)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14 문자(25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이고, 제15 문자(26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두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의 가상 키보드(11)를 이용하여 입력부(2)에 글자 구분 기호(270) 및 제3 처음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입력 진행창(16)에 사용자가 입력한 제14 문자(250), 글자 구분 기호(251), 제15 문자(260), 글자 구분 기호(270) 및 제3 처음입력문자를 표시한다. 도 27은 사용자가 제3 처음입력문자로 제16 문자(271)를 입력한 경우이다.
그러면 제어부(3)는 사용자가 제1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4 문자(250)를 포함하는 글자, 사용자가 제2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5 문자(260)를 포함하는 글자 및 사용자가 제3 처음입력문자로 입력한 제16 문자(271)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3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한다. 이 때 제14 문자(25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이고, 제15 문자(260)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두 번째 글자이고, 제16 문자(271)를 포함하는 글자는 추천 단어의 세 번째 글자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스크린(10)의 추천 목록창(12)에 제어부(3)가 선정한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추천 목록창(12)에 없으면,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 스크린(10)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을 포함하는 추천 목록창(1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확장 버튼(14)을 눌러서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확대 추천 목록창(13)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축소 버튼(15)을 눌러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되는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확대 추천 목록창(13)에 표시된 단어 중에서 제7 단어(272)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확대 추천 목록창(13)에서 제7 단어(272)를 선택하면 입력창(17)에 제7 단어(280)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 단어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했기 때문에, 확대 추천 목록창(13)은 사라지고, 추천 목록창(12)에 표시된 추천 단어는 지워지고, 입력 진행창(16)은 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은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영어의 알파벳이 아닌 한자의 처음입력문자 입력을 통해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에 입력한 처음입력문자에 기초하여 선정된 추천 단어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처음입력문자 및 글자 구분 기호의 입력을 통해 여러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 단어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2: 입력부 3: 제어부
4: 디스플레이부 11: 가상 키보드
12: 추천 목록창 16: 입력 진행창
17: 입력창

Claims (16)

  1. 사용자로부터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목록창에서 선택되는 단어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의 가장 윗부분 또는 가장 왼쪽 윗부분에 포함된 단문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에 포함된 모든 복문자 중 어느 하나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되고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글자 구분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구분 기호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 및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의 입력 순서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를 갖는 단어로 구성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장 버튼을 누르면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수가 증가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축소 버튼을 누르면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수가 감소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9. 사용자로부터 제1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추천 목록창에서 선택되는 단어를 입력창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의 가장 윗부분 또는 가장 왼쪽 윗부분에 포함된 단문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한자에 포함된 모든 복문자 중 어느 하나인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1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단어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글자 구분 기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자 구분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글자 구분 기호가 입력된 후 사용자로부터 제2 처음입력문자를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 및 상기 제2 처음입력문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가지며 2이상의 글자로 구성되는 추천 단어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의 입력 순서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처음입력문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문자 또는 복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를 갖는 단어로 구성되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장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수를 증가시키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축소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목록창에 표시되는 상기 추천 단어의 수를 감소시키는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KR1020190098865A 2019-08-13 2019-08-13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65A KR102126831B1 (ko) 2019-08-13 2019-08-13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679,648 US20210048893A1 (en) 2019-08-13 2019-11-11 Device for inputting chinese word based on first-input chinese charac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0/010653 WO2021029658A1 (ko) 2019-08-13 2020-08-12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65A KR102126831B1 (ko) 2019-08-13 2019-08-13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831B1 true KR102126831B1 (ko) 2020-06-25

Family

ID=7140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865A KR102126831B1 (ko) 2019-08-13 2019-08-13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48893A1 (ko)
KR (1) KR102126831B1 (ko)
WO (1) WO20210296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658A1 (ko) * 2019-08-13 2021-02-18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8118A (ko) * 2020-12-03 2022-06-10 정석근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108A (ko) * 2008-07-30 2010-02-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휴대용단말기
KR20150102635A (ko) * 2014-02-28 2015-09-07 이영재 단어 자동 추천 시스템
KR101846238B1 (ko) * 2017-07-06 2018-04-0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6572B2 (ja) * 2002-06-03 2009-05-20 株式会社デンソー 中国漢字入力装置、中国漢字入力方法
CN101663880A (zh) * 2007-04-27 2010-03-03 吴谊镇 用于输入中文字符的方法和设备
KR102126831B1 (ko) * 2019-08-13 2020-06-25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108A (ko) * 2008-07-30 2010-02-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휴대용단말기
KR20150102635A (ko) * 2014-02-28 2015-09-07 이영재 단어 자동 추천 시스템
KR101846238B1 (ko) * 2017-07-06 2018-04-0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658A1 (ko) * 2019-08-13 2021-02-18 주식회사 베네디아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8118A (ko) * 2020-12-03 2022-06-10 정석근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55122B1 (ko) 2020-12-03 2023-07-12 정석근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48893A1 (en) 2021-02-18
WO2021029658A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70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1449781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US20080291171A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KR101846238B1 (ko)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0610432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KR102126831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642932B2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JP2017509080A (ja)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KR101284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US1010190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entering and displaying on touch screen display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4133523B2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
KR102451164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16948B1 (ko)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6210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US20200019307A1 (en) Symbol input device and symbol input control method
KR102339191B1 (ko)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KR102138434B1 (ko) 문자 입력 방법
EP2916200A2 (en)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