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114A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114A
KR20080097114A KR1020070084999A KR20070084999A KR20080097114A KR 20080097114 A KR20080097114 A KR 20080097114A KR 1020070084999 A KR1020070084999 A KR 1020070084999A KR 20070084999 A KR20070084999 A KR 20070084999A KR 20080097114 A KR20080097114 A KR 20080097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area
event occurs
text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080B1 (ko
Inventor
신근호
원영민
한영섭
김기덕
이광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8153772.2A priority Critical patent/EP1988444A3/en
Priority to US12/150,954 priority patent/US20080291171A1/en
Publication of KR2008009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하는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고,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터치 스크린에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하는 문자를 쉽게 찾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키 입력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문자 입력, 키패드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말기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대신에 터치 스크린에 쿼티(QWERTY) 자판이나 키패드 모양을 그대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단말기의 예로는 전자수첩, 이동통신 단말기 및 PDA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로 인하여 터치 스크린의 크기 또한 그만큼 소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터치 스크린에는 전체 자판이 모두 출력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각 자판이 터치 스크린에 작은 크기로 출력되더라도 사용자는 너무 작은 자판으로 인해 원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즉, 사용자는 작게 출력된 자판들로 인해 원하는 자판 대신에 간혹 옆의 자판을 잘못 입력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자판을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작은 크기의 터치 스크린에서 전체 자판을 모두 표시하면 서 사용자로부터 정확한 입력을 받는 것이 어려운 이유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를 만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입력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단말기는 제한된 크기의 터치 스크린에 키패드 자판을 모두 출력하는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에 자판들이 작게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문자 입력을 정확하게 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의 오류를 최소화하면서 빠른 동작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자판 기능을 위한 문자들을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 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는 과정과,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제 1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제 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표시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각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2개의 문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문자 그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문자 그룹들을 상기 각 문자 영역마다 표시하고, 상기 각 문자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 이벤트(Release)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문자 그룹들을 상기 문자 영역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여, 상기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 해제 이벤트 및 드래그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여,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제 1 및 제 2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2개의 문자들이 포함된 문자 그룹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문자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및 해제(Release)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문자 그룹들을 상기 제 1 문자 영역마다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제 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고,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 문자 영 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표시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키 입력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쉽게 찾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PDA 등의 여러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하는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고,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터치 스크린에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하는 문자를 쉽게 찾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키 입력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는 무선부(100), 메모리(11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무선부(100)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20)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이하 '키 영역'이라 칭함)에 표시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 및 특수 문자들(이하 '문자'라 칭함)을 저장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아 제어 부(130)의 제어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Icon) 및 문자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120)은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영역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한다.
제어부(13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터치 스크린(120)상에 출력된 키 영역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에서 발생된 프레스 이벤트, 해제 이벤트 및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선택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터치 스크린(120)에 출력한다. 여기서 프레스 이벤트는 키 영역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질 경우 발생하며, 해제 이벤트는 키 영역의 눌림이 해제되었을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드래그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키 영역들 상에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있을 경우에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크게 3가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을 받는다. 즉, 제어부(130)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 및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를 고려하여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고, 두 번의 터치 입력을 통한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3가지 방법 중 먼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200 단계에서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키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키 영역은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터치 스크린(12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개수로 조정되어질 수 있다. 문자 그룹은 키 영역의 총 개수에 종속적으로 나누어진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문자 그룹의 개수는 키 영역의 개수와 동일하게 생성이 되며, 키 영역의 개수가 많을수록 하나의 문자 그룹을 구성하는 문자의 개수는 적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키 영역이 8개로 나누어지고 하나의 문자 그룹이 4개의 문자들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영역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20)에는 영어 알파벳으로 구성된 문자 그룹들이 순서대로 각 키 영역마다 할당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키 영역(300)의 상단에는 키 영역을 통해 선택된 문자들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310)이 출력된다.
도 3에서 키 영역(300)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키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는 기준 문자로 설정이 되어 키 영역에 표시된 다른 문자들과는 다른 색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준 문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법 이외에도 문자의 폰트(Font) 및 굵기 등이 기준 문자 이외의 문자들과는 다른 형태로 표시가 될 수 있다.
기준 문자는 문자 그룹의 문자들이 확대되어 표시될 때에 기준점의 역할을 한다. 즉,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을 중심으로 기준 문자 이외의 문자들은 프 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에 표시된 문자 그룹의 배열 형태로 확대되어 표시 된다. 여기서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그룹의 키 영역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키 영역은 크게 전체 입력 모드와 개별 입력 모드로 나누어진다. 먼저 전체 입력 모드에서는 전술한 도 3과 같이 문자 그룹들이 키 영역마다 각각 할당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전체 입력 모드에서 표시된 키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202 단계에서 2개 이상의 키 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어느 하나의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204 단계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 내의 문자들을 각각의 키 영역에 확대 표시한다. 이때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는 키 영역들은 전체 입력 모드의 키 영역들과 동일한 키 영역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전체 입력 모드에서 개별 입력 모드로 전환이 되면, 전체 입력 모드에서 표시되었던 문자 그룹들은 모두 사라지게 된다. 한편, 문자들은 팝업(Pop up) 형태의 2개 이상의 키 영역에 확대 표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들이 확대 표시가 되면 206 단계로 진행하여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표시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자는 선택된 키 영역을 시각적인 효과로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해당 키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시자(Indicator)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해당 키 영역의 테두리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키 영역을 음영으로 표시하는 표시자를 이용하여 해당 키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보인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영어 알파벳 'F'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도 4(a)에서와 같이 문자 그룹의 키 영역이 표시된 전체 입력 모드에서 'F'가 포함되어 있는 키 영역인 'EFGH'를 선택하여 누른다. 그러면 눌려진 키 영역에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서 해당 키 영역의 테두리 색을 변화시키는 표시자가 표시된다. 표시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로 발생한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위치가 변경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자를 통해 선택된 키 영역을 한눈에 알아볼 수가 있다.
도 4(a)와 같이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한 키 영역의 문자들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기준 문자인 'E'를 중심으로 전체 입력 모드에서 키 영역에 표시된 배열대로 나타난다. 기준 문자 'E'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로 한 번의 터치로 출력이 가능한 문자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확대 출력되는 문자들을 드래그 입력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근접한 배열로 표시한다. 이렇 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좀 더 적은 노력으로 손쉽게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문자들이 확대 표시가 되면 208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210 단계에서 기준 문자를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도 4(a)와 같이 표시된 문자 그룹의 키 영역을 한 번 터치할 경우 기준 문자인 'E'를 출력하게 된다. 이는 해제 이벤트를 발생한 키 영역에 기준 문자가 할당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체 입력 모드에서 한 번의 터치로 기준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212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표시자를 표시한다. 도 4(b)에서처럼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키 영역이 눌려진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눌려지는 키 영역에 대응되도록 표시자의 위치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E'에서 'F'의 키 영역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킴에 따라 표시자의 위치도 그에 대응하여 변경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214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216 단계로 진행하여 표시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으로 선택된 'F'가 표시된 키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비로소 도 4(c)에서처럼 디스플레이 영역에 'F'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다시 전체 입력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가로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으로 프레스 이벤트 및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켜 문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그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가 출력된다. 또한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서로 최대한 근접하게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드래그 입력으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적은 노력으로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500 단계에서 키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전체 입력 모드로 진입을 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120)에 키 영역이 표시되는 방식은 전술한 도 4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502 단계에서 키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키 영역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의 전환을 위하여 504 단계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 내의 문자들을 각각의 키 영역에 확대 표시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표시된 전체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는 'R'을 입력하기 위하여, R'이 포함된 키 영역인 'QRST'를 누른다. 그러면 'QTRS'의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됨과 동시에 터치 스크린(120)에는 도 6(b)와 같이 문자들이 키 영역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이때 키 영역에 문자가 표시되는 방식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경우와는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두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의 양손의 위치를 고려하여 문자들을 배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드래그 입력으로 문자를 선택받지 않으므로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할 때와 같이 문자들이 근접하게 배열될 필요가 없다.
이처럼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어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한 제어부(130)는 506 단계에서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표시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기준 문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즉, 기준 문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처럼 한 번의 터치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508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510 단계에서 기준 문자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즉, 하나의 키 영역 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추가로 발생한 프레스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 512 단계로 진행하여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을 어느 하나의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또 다른 손가락으로 원하는 문자 'R'이 표시된 키 영역을 누른다. 이때 표시자는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그대로 표시된다.
제어부(130)는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514 단계로 진행하여 추가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키 영역에 표시자를 표시한다. 즉, 도 6(d)에서처럼 사용자가 기준 문자인 'S'가 표시된 키 영역에서 손가락을 뗄 경우, 표시자는 또 다른 손가락으로 눌려진 'R'이 표시된 키 영역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516 단계에서 표시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518 단계로 진행하여 표시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한다. 도 6(d)를 살펴보면 'R'이 표시된 키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도 6(e)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R'이 출력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기준 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또 다른 손가락으로 원하는 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 원하는 문자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다시 전체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추가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문자의 입력이 좀 더 빠르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들이 전체 입력 모드와 개별 입력 모드에 따라 다르게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문자를 보다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한편 전술한 두 가지 실시 예와는 달리 사용자는 두 번의 터치 입력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터치 입력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후 바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70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키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은 전체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702 단계에서 표시된 키 영역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판단 결과 터치가 되었을 경우 704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된 키 영역 내의 문자들을 각각의 키 영역에 확대 표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이전 단계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두 가지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후 바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즉, 터치 입력에 따라 전체 문자 입력 모드에서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706 단계에서 확대 표시된 문자에 대응되는 키 영역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터치된 키 영역이 있을 경우 708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이전 단계로 되돌아간 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터치 입력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체 입력 모드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 키 영역들 중 원하는 문자 'R'이 포함되어 있는 키 영역을 터치한다. 그러면 터치된 키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인 'QTRS'가 도 8(b)와 같이 확대되어 표시가 된다. 이때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전체 입력 모드의 키 영역에 표시된 바와 같은 배열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별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확대 표시된 문자들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키 영역이 터치되는지를 판단한다. 키 영역의 터치가 있을 경우 제어부(130)는 터치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고 다시 전체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키 영역이 터치될 때마다 터치된 키 영역에 표시자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키 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두 번의 터치 입력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좀 더 직관적으로 키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3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문자 입력 방법은 기존의 문자 입력 방법과 비교하여 볼 때 입력 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키 입력에 대한 오류를 감소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 영역에 문자 대신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여 사 용자로부터 전술한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메뉴 아이콘을 선택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단 문자 입력을 할 때뿐만 아니라 메뉴 선택 및 모드의 전환 등과 같이 키 입력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인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표시자가 표시되어 있는 키 영역(이하, '컨트롤 키'라 칭함)은 일종의 옵션(Option) 키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될 경우,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영역이 도 9(b)와 같이 표시가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전술한 3가지 문자 입력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키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키 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단의 키 영역에는 한글 및 영어 대소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이 출력되고, 하단의 키 영역에는 특수 문자 확장형, 특수 문자 및 숫자가 표시된 키 영역이 출력된다. 도 9(b)에 도시된 엔터(Enter)키와 스페이스(Space)키는 확인 및 띄어쓰기 등을 할 때 사용이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도 9(a)에 도시된 컨트롤 키를 한번 터치함으로써 스페이스 키를 터치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도시된 키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키 영 역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별 키 영역을 보인 도면이다. 도 9(b)에 도시된 키 영역들 중 'Hangul' 키 영역이 선택되면, 키 영역에는 도 10(a)와 같이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된다. 또한 'Num' 키 영역이 선택이 되면 도 10(b)와 같이 숫자들이 키 영역에 표시되고, '@' 키 영역이 선택되면 도 10(c)에서처럼 특수 문자들이 키 영역에 표시된다.
전체 입력 모드에서 키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은 전술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그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의 경우 하나의 키 영역당 4개의 문자들로 구성이 되지만 한글의 경우에는 그 구성이 달라진다. 즉,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의 개수가 영어 알파벳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한글의 경우 하나의 키 영역당 표시되는 문자의 개수는 더 많아진다.
한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는지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들의 배열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인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키 영역에는 자음과 모음이 각각 키 영역의 좌우에 할당되어 표시가 된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개수는 영어 알파벳의 개수보다 많기 때문에 하나의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이 와 같이 표시된 키 영역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키 영역을 드래그함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문자들을 도 11(b)와 같이 모두 최소한의 거리를 갖도록 근접하게 배열시킴으로써, 드래그를 통한 사용자의 문자 선택이 좀 더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a)와 같이 초기에 표시되는 키 영역은 도 11(a)에 표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된 키 영역에서 사용자는 먼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어느 하나의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12(b)에서와 같이 문자들은 확대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기준 문자인 'ㄱ'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의 위치에 그대로 표시되며, 그 외의 문자들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의 반대편에 정렬되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기준 문자 이외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또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추가로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반대편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추가로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120)에는 기준 문자와 그 외의 문자들이 서로 반대쪽 위치에 정렬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정렬 방식은 사용자에게 좀 더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터치 스크린(120)에는 2x4의 블록 형태로 배열된 키 영역이 표시된다. 키 영역의 구성은 터치 스크린(12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며, 이에 따라 문자들이 키 영역에 배열되는 방식도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가 큰 경우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인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20)의 화면이 클 경우에는 표시되는 키 영역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3(a)에서 키 영역은 터치 스크린(120)의 크기에 대응하여 2x5의 형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왼쪽에 표시된 자음 키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에 표시된 모음 키 영역들이 사라지면서 자음들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즉, 왼쪽에는 자음 그룹들이 표시된 키 영역들이 나타나게 되고, 오른쪽에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에 대응하는 자음들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이때 기준 문자에 대응하는 키 영역은 표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이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준 문자는 한 번의 터치로 간단하게 출력될 수 있다.
이처럼 키 영역의 개수는 터치 스크린(120)의 화면 크기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별 키 영역을 보인 도면인 도 14를 참조하면, 2.2 인치(Inch)의 화면으로 구성된 세로형 터치 스크린(120)은 도 14(a)와 같이 8개의 키 영역에 4개의 문자를 할당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정확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1.8 인치의 화면으로 구성된 세 로형 터치 스크린(120)의 경우에는 도 14(b)에서처럼 6개의 키 영역에 6개의 문자들이 할당됨으로써 화면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정확하게 키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키 영역의 개수를 터치 스크린(120)의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좀 더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가지 문자 입력 방법은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120)에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도 적용이 될 수가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서 중간 행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문자 그룹이 표시된 키 영역에서 원하는 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을 선택한다.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전술한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행에 위치한 'J'를 입력할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J'가 포함된 키 영역인 'JKL'을 선택한다. 그러면 화면이 전환되어 'JKL'이 위치한 행의 문자 그룹들이 사라지고 'J','K','L'이 각각 키 영역에 할당이 되어, 도 15(b)와 같이 확대 표시된다. 이때 표시자는 디폴트로 기준 문자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표시자에 대응하는 문자가 도 15(c)와 같이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서 마지막 행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과정의 예시도인 도 16을 참조하면, 마지막 행에 위치 한 'S'를 입력하는 경우를 보인 도 16에서도 전술한 도 15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16(a)에서 'S'가 포함된 'PRS'의 키 영역을 선택한다. 그러면 'PRS'가 포함된 행의 문자 그룹 키 영역이 사라지면서 도 16(b)와 같이 'P','R','S'가 각각 키 영역에 할당이 되어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S'가 표시된 키 영역을 선택하게 되면 도 16(c)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S'가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들이 키 영역들에 쿼티(QWERTY) 형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또 다른 문자 입력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티 형식의 키 영역들을 보인 도면인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키 영역에는 문자들이 컴퓨터 키보드의 자판 배열 방식인 쿼티 형식에 따라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8(a)에서와 같이 원하는 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180)에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만약 'D'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키(180)의 가운데 표시된 문자인 'S'로부터 'D'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도 18(c)와 같은 팝업창(182)에 그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인 'D'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팝업창을 통해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지시되는 문자를 식별한 후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켜 해당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해당 문자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문자 입력을 더욱 간편하게 하여 문자 입력 시간을 절약시 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쿼티 형식의 키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키 영역(170,172,174)에는 각각 서로 다른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다. 여기서 서로 다른 특정 문자 모드는 숫자 입력 모드, 영문자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특수 문자 입력 모드 및 입력된 문자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항목을 제공하는 모드(이하 '편집 모드'라 칭함) 중 2개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191 단계에서 키 영역에 특정 문자 모드를 위한 기능을 할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P'가 표시된 키 영역(170)에 숫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되고, 문자 'M'이 표시된 키 영역(172)에는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다. 그리고 띄어쓰기 기능이 할당된 키 영역(174)에는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192 단계에서 특정 문자 모드로의 진입 요구가 있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진입 요구를 판단하기 위해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어느 하나의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과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비교하여 진입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진입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193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194 단계에서 진입한 모드에 대응되는 항목들을 각각의 키 영역에 할당하여 표시한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130)는 진입 요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195 단계로 진행하여 키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전술한 도 17에 도시된 키 영역들 중 문자 'P'와 숫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키 영역(170)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숫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 요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문자 'P'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진입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숫자 입력 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키 영역에 숫자들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130)는 문자 'M'과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키 영역(172)에서 프레스 이벤트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여 문자 'M'을 출력하거나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띄어쓰기 기능과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키 영역(174)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띄어쓰기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편집 모드의 진입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 여, 복수개의 편집 항목을 도 20c와 같이 키 영역들 각각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된 편집 항목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이벤트 및 해제 이벤트를 통해 선택할 수가 있다.
이처럼 제어부(130)는 특정 문자 모드로의 진입 요구를 판단하기 위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진입 요구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특정 문자 모드에 대응되는 문자들 또는 편집 항목들이 각각 문자들이 표시된 키 영역들에 해당 문자들을 대신하여 표시되지만, 이는 팝업창에 표시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해당 특정 문자 모드가 할당된 키 영역을 각각 선택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드 선택 키(176) 영역을 선택하여 좀 더 다양한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도 17에 도시된 모드 선택 키 영역(176)에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항목(이하 '모드 항목'으로 칭함)들은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들이 표시된 키 영역들에 문자들을 대신하여 각각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21b에 도시된 것처럼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켜 원하는 모드 항목(213)을 지시하고, 그 지시된 모드 항목(213)의 키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특정 문자 모드에서 제공되는 문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드 항목은 숫자 입력 모드, 영문자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및 특수 문자 입력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모드 항목은 대문자 입력 모드, 소문자 입력 모드, 대소문자 입력 모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입력된 문자에 따라 예측되는 단어가 출력되는 방식인 T9 입력 모드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문자 또는 편집 항목들을 제공받아 좀 더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한편, 모드 항목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키 영역에 토글(Toggle)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모드 항목들을 그룹별로 나누어서,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모드 항목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모드 항목들에 대한 각 그룹들은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입력 모드, 숫자 입력 모드, 특수 문자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 도 22(b)와 같은 대문자 입력 모드(Q-AB), 소문자 입력 모드(Q-ab), 대소문자 입력 모드(Q-Ab), 특수 문자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 및 도 23(c)와 같은 T9 방식에 따른 대문자 입력 모드(T9-AB), 소문자 입력 모드(T9-ab), 대소문자 입력 모드(T9-Ab), 특수 문자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모드 항목들이 포함된 각 그룹들은 팝업창이나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 영역들에 각 그룹별로 표시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키 입력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PDA 등의 여러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영역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터치 입력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별 키 영역을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가 큰 경우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별 키 영역을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서 중간 행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서 마지막 행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과정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티 형식의 키 영역들을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티 형식의 키 영역들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20a, 도 20b 및 도 2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문자 모드에서의 화면을 보인 도면,
도 2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항목들이 표시된 키 영역들을 보인 도면,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선택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토글되는 모드 항목들의 그룹을 보인 도면.

Claims (30)

  1.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는 과정과,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문자 그룹이 할당된 문자 영역들에 상기 문자 그룹 대신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을 팝업(Pop up)창 형태의 2개 이상의 문자 영역에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영역들은
    블록 형태의 문자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형태는
    2x4, 4x2, 3x4 및 4x3 중 어느 하나의 배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그룹은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Icon)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 발생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기준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문자는
    상기 문자 그룹이 할당된 문자 영역에서 상기 기준 문자 이외의 문자들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영역을 지시하는 과정은
    상기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이동되는 표시자를 상기 지시된 문자가 표시된 문자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는 특정 문자 영역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특정 문자 영역의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제 1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제 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표시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문자 그룹이 할당된 제 1 문자 영역들에 상기 문자 그룹 대신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2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을 팝업(Pop up)창 형태의 2개 이상의 문자 영역에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문자 영역들은
    블록 형태의 문자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형태는
    2x4, 4x2, 3x4 및 4x3 중 어느 하나의 배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그룹은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Icon)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 발생 후,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에 속한 기준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문자는
    상기 문자 그룹이 할당된 제 1 문자 영역에서 상기 기준 문자 이외의 문자들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서 상기 제 2 문자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1.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 분할하여 복수개의 문자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 이상의 문자를 할당하고, 상기 문자 영역들 중 하나 이상에 서로 다른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을 각각 할당하는 과정과,
    어느 하나의 특정 문자 모드에 대한 진입 요구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진입 요구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진입한 모드에 대응되는 항목들을 각각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진입 요구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특정 문자 모드는 숫자 입력 모드, 영문자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특수 문자 입력 모드 및 입력된 문자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항목을 제공하는 모드 중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4.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각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2개의 문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문자 그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문자 그룹들을 상기 각 문자 영역마다 표시하고, 상기 각 문자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 이벤트(Release)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문자 그룹들을 상기 문자 영역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여, 상기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 해제 이벤트 및 드래그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여,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 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 그룹에 속한 기준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영역을 2x4, 4x2, 3x4 및 4x3 중 어느 하나의 블록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확대시켜 표시하고, 상기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는 특정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특정 문자 영역의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8.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제 1 및 제 2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2개의 문자들이 포함된 문자 그룹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문자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및 해제(Release)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문자 그룹들을 상기 제 1 문자 영역마다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제 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고,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표시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의 문자 그룹에 속한 기준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영역을 2x4, 4x2, 3x4 및 4x3 중 어느 하나의 블록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20070084999A 2007-04-30 2007-08-23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9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3772.2A EP1988444A3 (en) 2007-04-30 2008-03-31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12/150,954 US20080291171A1 (en) 2007-04-30 2008-04-30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1970 2007-04-30
KR1020070041970 2007-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114A true KR20080097114A (ko) 2008-11-04
KR101391080B1 KR101391080B1 (ko) 2014-04-30

Family

ID=4007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999A KR101391080B1 (ko) 2007-04-30 2007-08-23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1080B1 (ko)
CN (1) CN1012991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3654B2 (en) 2011-09-09 2015-06-23 Pantech Co., Ltd.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mart touch operation
KR20160051353A (ko) * 2014-11-03 2016-05-11 유성영 글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KR101646688B1 (ko) * 2015-02-27 2016-08-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6201292A (zh) * 2015-04-29 2016-12-0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防误触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34935B (zh) * 2009-08-18 2013-04-24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触摸屏字符输入的方法及装置
CN102667753B (zh) * 2009-12-23 2016-08-2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便于文本编辑的方法和装置
WO2011081354A2 (en) * 2010-01-04 2011-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 input apparatus
KR101632750B1 (ko) * 2010-01-13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CN102279698A (zh) * 2010-01-29 2011-12-14 诺基亚公司 虚拟键盘、输入方法和相关的存储介质
KR101771259B1 (ko) * 2011-07-0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CN106843692B (zh) * 2012-08-30 2021-05-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触摸屏字符显示方法及装置
CN103197890A (zh) * 2013-04-03 2013-07-10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输入处理方法和装置
CN105988704B (zh) * 2015-03-03 2020-10-02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高效的触摸屏文本输入系统及方法
CN104714739B (zh) * 2015-03-06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503422B1 (ko) * 2015-12-17 2023-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538B1 (en) 1998-08-13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eyboard and a text buffer on electronic devices
US6271835B1 (en) 1998-09-03 2001-08-07 Nortel Networks Limited Touch-screen input device
US7194699B2 (en) 2003-01-14 2007-03-20 Microsoft Corporation Animating images to reflect user selection
KR20060023978A (ko) * 2005-11-30 2006-03-15 캬츄야수 오노 입력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3654B2 (en) 2011-09-09 2015-06-23 Pantech Co., Ltd.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mart touch operation
KR20160051353A (ko) * 2014-11-03 2016-05-11 유성영 글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KR101646688B1 (ko) * 2015-02-27 2016-08-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6201292A (zh) * 2015-04-29 2016-12-0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防误触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080B1 (ko) 2014-04-30
CN101299177A (zh)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70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1391080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7886233B2 (en) Electronic text input involving word completion functionality for predicting word candidates for partial word inputs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KR101085655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6000385B2 (ja) 多国語キー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USRE48242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1167352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EP228467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KR20140073245A (ko)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60209932A1 (en) Hybrid keyboard for mobile device
KR101046914B1 (ko) 귀환적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27329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JP2014512585A (ja) 拡張キーを利用した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KR2013003155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A2541580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JP5913771B2 (ja) タッチ式ディスプレイの入力システムおよび入力パネルの表示方法
KR101016948B1 (ko)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6210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9150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