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151B1 -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151B1
KR101204151B1 KR1020120084676A KR20120084676A KR101204151B1 KR 101204151 B1 KR101204151 B1 KR 101204151B1 KR 1020120084676 A KR1020120084676 A KR 1020120084676A KR 20120084676 A KR20120084676 A KR 20120084676A KR 101204151 B1 KR101204151 B1 KR 101204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virtual keyboard
key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수
Original Assignee
장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수 filed Critical 장호수
Priority to KR102012008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과 영문 자모 및 숫자 입력 키가 한 화면의 가상 키보드를 통하여 표시되어 별도의 전환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글과 영문 자모 및 숫자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한글 및 영문 자모가 쿼티(QWERTY) 자판 배열에 따라 입력 키(10)에 각각 할당되며, 상기 다수의 입력 키(10) 중 하나의 입력 키에 두 개의 문자가 할당된 입력 키에 숫자 또는 특수 문자가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 키(10)에 모두 세 개의 문자가 할당되는 가상 키보드(125)와; 상기 가상 키보드(125)의 터치를 감지하여, 하나의 입력 키(10)에 대한 1회 터치, 2회 터치, 길게 터치 시 입력 키(10)에 할당된 세 개의 문자를 번갈아 변경시켜 인식하여 표시하는 문자 편집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별도의 전환 키를 이용하지 않고도 하나의 가상 키보드 화면에서 한글과 영문 및 숫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LETTER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과 영문 자모 및 숫자 입력 키가 한 화면의 가상 키보드를 통하여 표시되어 별도의 전환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글과 영문 자모 및 숫자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정보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개인용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용 개인 휴대 단말기로는 이동 중에 전화를 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 전화 기능 외에 인터넷 통신 기능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터치 스크린을 주 입력 장치로 사용하는 휴대용 PC인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휴대 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종래 일반적인 휴대 전화기를 빠른 속도록 대체하고 있으며, 태블릿 PC 또한 종래 노트북 컴퓨터 등을 대체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 특징 중 하나로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특히 스마트폰의 화면이 점차 커지는 추세이어서, 최근에는 종래 통신사별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되었던 문자 입력 방식에서 탈피하여 화면에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여 문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반 키보드는 한글 표준 두벌식 자판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이 표준 두벌식 자판은 1982년에 제정된 KS X 5002 "정보처리용 건반 배열"로 표준화된 것으로, 도 1은 이러한 대한민국 표준 두벌식 자판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두벌식 자판은 왼손에는 자음, 오른손에는 모음을 배치하여 자음-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 순서대로 한글 한 글자를 입력하도록 한 것으로, 한글을 제외한 영문과 숫자 및 기호의 배치는 영문 쿼티(QWERTY) 자판과 같아 입력에 필요한 글쇠의 수가 적어 배우기 쉬운 장점이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화면이 일반 키보드보다 작기 때문에 통상 키보드에서 사용하는 쿼티 자판을 그대로 이용하기보다 다소 변형된 형태의 가상 키보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가상 키보드는 일반 키보드에서와 같이 하나의 가상 키보드에 한글과 영문 및 숫자 기호 등을 동시에 표시하지 않고, 한글/영문/숫자 변환 키를 별도로 구성하여 한글 키보드, 영문 키보드, 숫자 및 기호 키보드를 따로 분리하여 화면에 가상 키보드로 표시하게 된다.
도 2는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서 한글을 표시한 가상 키보드 화면의 일례이고, 도 3은 영문을 표시한 가상 키보드 화면의 일례이며, 도 4는 숫자를 표시한 가상 키보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글이나 영문, 숫자 또는 기호 등의 문자를 입력할 때, 가상 키보드에서 제공하는 한글/영문/숫자 전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포함된 가상 키보드를 화면에 표시하여 문자를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문자 입력 방식은 한글과 영문 또는 숫자가 혼용된 문자를 입력하는 데 있어 여러 번 한글/영문/숫자 전환 키를 눌러 원하는 문자가 포함된 가상 키보드 화면으로 전환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이 번거롭고 시간이 다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휴대 단말기의 가상 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한글/영문/숫자 전환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등의 문자를 하나의 가상 키보드 화면에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문자를 편집하여 상용구로 등록한 후, 문자 입력시 등록된 상용구를 불러와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자주 사용하는 상용구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한글 및 영문 자모가 쿼티(QWERTY) 자판 배열에 따라 입력 키에 각각 할당되며, 상기 다수의 입력 키 중 하나의 입력 키에 두 개의 문자가 할당된 입력 키에 숫자 또는 특수 문자가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 키에 모두 세 개의 문자가 할당되는 가상 키보드와; 상기 가상 키보드의 터치를 감지하여, 하나의 입력 키에 대한 1회 터치, 2회 터치, 길게 터치 시 입력 키에 할당된 세 개의 문자를 번갈아 변경시켜 인식하여 표시하는 문자 편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문자 편집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터치 스크린에 가상 키보드를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가상 키보드 활성화모듈과, 상기 가상 키보드 활성화모듈에 의해 활성화된 가상 키보드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상태에 따라 터치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모듈과, 상기 문자인식모듈을 통하여 인식되는 문자를 조합하여 터치 스크린 화면에 표시하는 문자조합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문자인식모듈은 한글과 영문 자모 및 숫자가 함께 할당된 입력 키의 경우, 1회 터치시 한글 자모로 인식하고, 2회 터치시 숫자로 인식하며, 길게 터치시 영문 자모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숫자 1 내지 9는 가상 키보드의 상부로부터 2번째 열에 순차적으로 할당되어 배열되며, 숫자 0은 3번째 열의 첫 번째 입력 키에 할당된다.
여기에서 상기 숫자 0이 할당된 입력 키는 쿼티 자판 배열의 3번째 열 첫 문자 입력 키 좌측에 배열되며, 상기 숫자 0이 할당된 입력 키에는 하나의 특수 문자와 상용구를 등록하고 불러오는 상용구 입력 키가 할당되는데, 상기 상용구 입력 키가 선택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화면 일측에 상용구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상용구를 편집 또는 선택하여 불러오는 상용구 편집 창이 활성화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상 키보드의 4번째 열에는 영문 대/소문자 전환 키, 기호/특수 문자 전환 키, 한글/영문 전환키, 숫자/기호 전환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기능 키가 배열되는데, 상기 다수의 기능 키 중 어느 하나의 기능 키에는 가상 키보드가 활성화되기 이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을 가상 키보드 뒤 배경 화면으로 표시하는 배경 설정 키가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는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등의 문자를 하나의 가상 키보드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한글/영문/숫자 전환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상 키보드 화면에 표시된 한글과 영문 또는 숫자를 선택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이 간단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는 가상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상용구 입력 키를 선택하여 자주 사용하는 문자를 편집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시 이 상용구 입력 키를 선택하여 등록된 문자를 불러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문자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표준 두벌식 자판 배열을 나타낸 문자 배치도,
도 2는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 한글을 표시한 가상 키보드 화면 일례,
도 3은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 영문을 표시한 가상 키보드 화면 일례,
도 4는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 숫자를 표시한 가상 키보드 화면 일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개념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 화면 일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 화면 일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용구 입력 키를 터치하는 경우 활성화되는 가상 키보드의 화면 일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구 입력 창이 활성화 화면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개념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에는 가상 키보드(125)를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120)과, 상기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125)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여 문자를 편집하는 문자 편집부(130)와, 각종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140)와, 데이터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되는 메모리(150)와,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 화면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가상 키보드(125)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 가상 키보드(125)는 문자 편집부(130)를 통하여 활성화되어 사용자로부터 한글이나 영문 자모 및 숫자 등의 문자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문자 편집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의 가상 키보드(125)를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이 문자 편집부(130)에는 가상 키보드 활성화모듈(131)과 문자인식모듈(132) 및 문자조합모듈(133)이 구비된다. 상기 가상 키보드 활성화모듈(131)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에 가상 키보드(125)를 활성화시키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상기 문자인식모듈(132)은 가상 키보드 활성화모듈(125)에 의해 활성화된 가상 키보드(125)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상태에 따라 터치 문자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며, 상기 문자조합모듈(133)은 문자인식모듈(132)을 통하여 인식되는 문자를 조합하여 이를 터치 스크린(120)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키보드(125)는 하나의 화면에 한글과 영문 자모 및 숫자가 포함된 문자를 동시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화면 전환 없이 한글이나 영문 또는 숫자 등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된다.
상기 통신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통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프로그램이고, 상기 메모리(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억장치이며,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구동시키는 중앙 제어 장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 화면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보드(125)는 한글과 영문 및 숫자와 특수 문자 등의 문자가 각각 할당된 다수의 입력 키(10)와, 가상 키보드(125)의 동작을 설정하는 다수의 기능 키(20)가 4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한글과 영문 자모는 쿼티(QWERTY) 배열에 따라 입력 키(10)에 각각 배열되는데, 즉 한글 자모는 한글 표준 두벌식 자판 배열에 따라 가상 키보드(125)의 상부로부터 제1열과 제2열 및 제3열의 입력 키(10)에 배열되고, 영문 자모(알파벳)는 영문 쿼티 자판 배열에 따라 제1열과 제2열 및 제3열의 입력 키(10)에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 가상 키보드(125)의 제1열과 제2열 및 제3열에는 한글과 영문 자모가 각 입력 키(10)에 함께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표준 방식에 따라 한글 및 영문 자모가 가상 키보드(125)에 배열되게 되면, 제2열과 제3열의 경우 하나의 입력 키에 하나의 한글 자모와 하나의 영문 자모가 배치되어 하나의 입력 키에 2개의 문자가 할당되게 된다. 한편, 제1열의 경우에는 영문 Q, W, E, R, T에 해당하는 좌측 5개의 입력 키와 영문 O, P에 해당하는 우측 2개의 입력 키에 영문 자모 하나에 두 개의 한글 자모가 배치되어 하나의 입력 키에 3개의 문자가 할당되며, 이를 제외한 제1열의 나머지 입력 키에는 하나의 한글 자모와 하나의 영문 자모가 배치되어 하나의 입력 키에 2개의 문자가 할당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열에서 3개의 문자가 할당된 입력 키를 제외한 나머지 입력 키, 즉 하나의 입력 키에 2개의 문자가 할당된 입력 키에 숫자 또는 특수 문자를 할당하여 모두 하나의 입력 키에 3개의 문자가 할당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숫자는 입력의 편의성을 위하여 1부터 9까지 9개의 숫자를 제2열에 순차적으로 배치하였으며, 전화번호 입력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숫자 0은 제2열의 숫자 1이 할당된 입력 키와 인접하게 제3열의 왼쪽 끝에 별도 입력 키를 형성하여 할당하였다. 또한, 상기 숫자가 할당되지 않은 제1열 내지 제3열의 나머지 입력 키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시 자주 사용되는 특수 문자를 할당하였는데, 자주 사용되는 특수 문자로는 '(', ')', '@', '\', '$', 'vv', ',', '?', '!', '-'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숫자 0이 할당된 입력 키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특수 문자 '.'와, 자주 사용하는 문장을 상용구로 편집하고 등록하며 불러오는 상용구 입력 키(15)가 할당된다. 또한, 상기 제3열의 오른쪽 끝에 자주 사용되는 기능 키가 별로도 할당되는데, 이 기능 키의 일례로는 문자 지움 키(28)가 될 수 있다.
또한, 제4열에도 다양한 기능 키(20)가 할당되는데, 이러한 기능 키(20)로는 영문 대/소문자 전환 키(21), 기호/특수 문자 전환 키(22), 배경 설정 키(23), 스페이스 키(24), 한글/영문 전환 키(25), 숫자/기호 전환 키(26), 엔터 키(27) 등이 있다. 상기 기능 키(20) 중 배경 설정 키(23)는 가상 키보드(125)가 활성화되기 이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을 가상 키보드(125) 뒤 배경 화면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통하여 터치 스크린(120)에는 배경 화면 및 가상 키보드(125) 화면이 동시에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125)를 이용하면서도 이전에 실행시켜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예를 들며 TV나 영화 또는 기타 게임 등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보드(125)에서 제1열과 제2열 및 제3열에 배열된 입력 키(10)에는 하나의 입력 키 별로 한글/영문/숫자/특수 문자 등 3개의 서로 다른 문자가 할당되게 되며, 제3열 최우측 및 제4열에는 다양한 기능 키(20)가 구비되어 가상 키보드(125)의 동작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상 키보드(125)는 종래 일반적인 가상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제4열에 구비된 한글/영문 전환 키(25)와 숫자/기호 전환 키(26) 및 기호/특수 문자 전환 키(22) 등을 통하여 문자 종류를 먼저 선택한 후 입력 키(10)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 키(20)의 사용에 따른 입력 문자 선택은 기능 키(20) 선택에 따른 시간 소요와 번거로운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 키(20) 사용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별도의 기능 키(20)를 사용하지 않고도 해당 문자가 할당된 입력 키(10)를 1회, 2회, 길게(약 1초 내외)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 키에 할당된 문자가 바뀌어 입력되도록 하여 문자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문자 입력은 문자 편집부(130)의 문자인식모듈(132)에 의해 인식되게 되는데, 이 문자인식모듈(132)은 사용자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 및 반복 횟수 등의 입력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문자를 인식하게 된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6에 도시된 가상 키보드(125)의 각 입력 키(10)를 1회, 2회, 3회, 약 1초간 길게 누르는 경우 입력되는 문자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2061876106-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택하는 입력 키(10)에서 한글 문자(중앙에 위치한 문자)를 기준으로 1회 입력 시 중앙에 위치한 한글 자모가, 2회 반복 입력 시 오른쪽 아래에 위치한 한글 자모나 숫자 또는 특수 문자가, 3회 반복 입력시에는 2회 입력시 나타나는 문자에 더하여 중앙에 위치한 한글 자모가, 약 1초 정도 길게 누르는 경우에는 왼쪽 위에 위치한 영문 자모가 입력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영문 자모는 영문 대/소문자 전환 키(21)가 대문자로 설정된 경우의 일례로, 만약 이 대/소문자 전환 키(21)가 소문자로 설정된 경우에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만약 영문 'A'와 한글 'ㅁ' 및 숫자 '1'이 함께 설정된 입력 키를 1회 누르면 한글 'ㅁ'이 입력되고, 해당 입력 키를 2회 연속으로 누르면 숫자 '1'이 입력되며, 해당 입력 키를 3회 연속으로 누르게 되면 숫자 '1'에 'ㅁ'이 연속으로 입력되고, 해당 입력 키를 길게 누르면 영문 'A'가 입력되는 방식이다.
다음의 표 2는 이러한 원리에 따라 문자 "J호텔 203호"라는 문자가 입력되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2061876106-pat00002
또한, 다음의 표 3은 문자 "BOX가 100개"라는 문구가 입력되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112012061876106-pat00003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120)의 가상 키보드(125)에는 모든 한글 및 영문 자모와 0 내지 9의 숫자, 특수 문자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125)에 표시되는 한글 및 영문 자모, 숫자, 특수 문자 등을 입력할 때 별도의 기능 키(20)에 구비된 전환 키를 이용하지 않고도 해당 입력 키의 터치 방식을 변경하여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6의 가상 키보드(125)에서는 한글이 입력 키(10)의 중앙에 표시되고, 영문이 좌측 상단에 표시되며, 한글 자모나 숫자 또는 특수 문자가 우측 하단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한글 및 영문 자모와 숫자, 특수 문자 등은 해당 입력 키(10) 내에서 그 위치가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의 화면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한글 자모가 입력 키(10)의 아래 우측에 표시되고, 영문 자모가 입력 키(10)의 좌측 상부에 표시되며, 다른 한글 자모나 숫자, 특수 문자가 우측 상부에 표시된다. 이러한 도 7에 도시된 가상 키보드(125)의 입력 키 표시 방식은 종래 일반적인 키보드 표시 방식에 숫자나 특수 문자를 추가한 형태로서, 이러한 가상 키보드(125)의 각 입력 키(10)에 할당되는 문자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가상 키보드(125) 화면 중에서, 각 입력 키(10)의 한글 기본 자모를 기준으로 1회 입력시 한글 기본 자모가, 2회 입력시 숫자나 한글 자모 또는 특수 문자가, 길게 입력시 영문 자모가 입력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상 키보드(125)는 제3열의 좌측 끝에 배치된 상용구 입력 키(15)를 선택하여 자주 사용하는 문장을 편집하여 상용구로 등록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등록된 상용구 문장을 불러와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용구 입력 키를 터치하는 경우 활성화되는 가상 키보드의 화면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상용구 입력 키(15)는 특수 문자 '.' 및 숫자 '0'과 함께 제3열의 좌측 끝 입력 키에 할당되어 있는데, 이 상용구 입력 키(15)는 해당 입력 키를 약 1초간 길게 누르는 경우 선택된다.
상기 상용구 입력 키(15) 선택에 따라 상용구 편집 창이 활성화되게 되는데, 이 상용구 편집 창의 상부에는 이전에 등록하였던 다수의 상용구가 표시되며, 하부에는 편집 창 화면을 제어하는 조작 버튼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용구 편집 창에 표시되는 상용구 중 원하는 상용구를 선택하여 문장을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용구로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은행 계좌번호, 이메일 주소,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 상용구 편집 창을 통하여 새로운 상용구를 등록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편집 창의 빈 입력 칸을 터치하게 되면 새로운 상용구를 입력할 수 있는 상용구 입력 창이 활성화되며 이 상용구 입력 창에 필요한 상용구를 입력하여 등록하게 된다. 도 9는 이러한 상용구 입력 창이 활성화 화면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상용구 편집 창의 하단에 표시되는 조작 버튼은 등록된 상용구의 전후 이동 버튼 및 활성화된 상용구 편집 창을 닫고 원래의 가상 키보드(125) 화면으로 이동하는 닫힘 버튼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보드(125)는 자주 사용하는 문장을 상용구를 등록한 후, 문장 작성시 등록된 상용구 문장을 불러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문자 입력장치는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등의 문자를 하나의 가상 키보드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전환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터치 방식을 달리하여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문자를 상용구로 등록하여 필요시 등록된 상용구를 불러와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문자 입력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터치 스크린 125 : 가상 키보드
130 : 문자 편집부 131 : 가상 키보드 활성화모듈
132 : 문자인식모듈 133 : 문자조합모듈
140 : 통신부 150 : 메모리
10 : 입력 키 15 : 상용구 입력 키
20 : 기능 키 21 : 대/소문자 전환 키
22 : 기호/특수 문자 전환 키 23 : 배경 설정 키
24 : 스페이스 키 25 : 한글/영문 전환 키
26 : 숫자/기호 전환 키 27 : 엔터 키
28 : 지움 키

Claims (8)

  1.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한글 및 영문 자모가 쿼티(QWERTY) 자판 배열에 따라 입력 키(10)에 각각 할당되며, 상기 다수의 입력 키(10) 중 하나의 입력 키에 두 개의 문자가 할당된 입력 키에 숫자 또는 특수 문자가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 키(10)에 모두 세 개의 문자가 할당되는 가상 키보드(125)와;
    상기 가상 키보드(125)의 터치를 감지하여, 하나의 입력 키(10)에 대한 1회 터치, 2회 터치, 길게 터치 시 입력 키(10)에 할당된 세 개의 문자를 번갈아 변경시켜 인식하여 표시하는 문자 편집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편집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에 가상 키보드(125)를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가상 키보드 활성화모듈(131)과,
    상기 가상 키보드 활성화모듈(131)에 의해 활성화된 가상 키보드(125)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상태에 따라 터치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모듈(132)과,
    상기 문자인식모듈(132)을 통하여 인식되는 문자를 조합하여 터치 스크린(120) 화면에 표시하는 문자조합모듈(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식모듈(132)은 한글과 영문 자모 및 숫자가 함께 할당된 입력 키의 경우, 1회 터치시 한글 자모로 인식하고, 2회 터치시 숫자로 인식하며, 길게 터치시 영문 자모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1 내지 9는 가상 키보드(125)의 상부로부터 2번째 열에 순차적으로 할당되어 배열되며,
    숫자 0은 3번째 열의 첫 번째 입력 키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0이 할당된 입력 키는 쿼티 자판 배열의 3번째 열 첫 문자 입력 키 좌측에 배열되며, 상기 숫자 0이 할당된 입력 키에는 하나의 특수 문자와 상용구를 등록하고 불러오는 상용구 입력 키(15)가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구 입력 키(15)가 선택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120) 화면 일측에 상용구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상용구를 편집 또는 선택하여 불러오는 상용구 편집 창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125)의 4번째 열에는 영문 대/소문자 전환 키(21), 기호/특수 문자 전환 키(22), 한글/영문 전환 키(25), 숫자/기호 전환 키(26)를 포함하는 다수의 기능 키(20)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능 키(20) 중 어느 하나의 기능 키에는 가상 키보드(125)가 활성화되기 이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을 가상 키보드(125) 뒤 배경 화면으로 표시하는 배경 설정 키(23)가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20120084676A 2012-08-02 2012-08-02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1204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676A KR101204151B1 (ko) 2012-08-02 2012-08-02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676A KR101204151B1 (ko) 2012-08-02 2012-08-02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151B1 true KR101204151B1 (ko) 2012-11-22

Family

ID=4756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676A KR101204151B1 (ko) 2012-08-02 2012-08-02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1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771A1 (ko) * 2014-09-30 2016-04-07 이형태 빠른 입력이 가능한 qwerty 타입 소형 키보드
KR101668476B1 (ko) * 2015-07-24 2016-10-21 주식회사 에바 한영 변환이 용이한 문자입력장치
KR20200074556A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키보플 휴대용 키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771A1 (ko) * 2014-09-30 2016-04-07 이형태 빠른 입력이 가능한 qwerty 타입 소형 키보드
KR101668476B1 (ko) * 2015-07-24 2016-10-21 주식회사 에바 한영 변환이 용이한 문자입력장치
KR20200074556A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키보플 휴대용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4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user-input area on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JP6000385B2 (ja) 多国語キー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40170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ictographic languages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1183296A (zh) 通过手机触摸屏上显示的虚拟双拼键盘输入汉字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JP2017509080A (ja)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KR101030177B1 (ko) 데이터 입력장치 및 데이터 입력방법
CN106055251A (zh) 一种虚拟键盘及终端
US8922492B2 (en)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10190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entering and displaying on touch screen display
JP3197051U (ja) キー入力装置
JP4133523B2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
KR101074457B1 (ko)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KR100790550B1 (ko) 터치패널의 문자입력장치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102502846B1 (ko)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KR102260468B1 (ko)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JP7211481B2 (ja) 情報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20120078806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