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723B1 -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723B1
KR102110723B1 KR1020190176674A KR20190176674A KR102110723B1 KR 102110723 B1 KR102110723 B1 KR 102110723B1 KR 1020190176674 A KR1020190176674 A KR 1020190176674A KR 20190176674 A KR20190176674 A KR 20190176674A KR 102110723 B1 KR102110723 B1 KR 10211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tch
material information
customer
customer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룡
이명아
안승욱
Original Assignee
안병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룡 filed Critical 안병룡
Priority to KR102019017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723B1/ko
Priority to PCT/KR2020/000933 priority patent/WO20211327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와치를 자동 인식하여 관련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 소요가 큰 샘플북의 제작을 배제한 상태에서 고객이 스와치에 대응하는 자재의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자재별로 식별 가능한 인식부를 구비한 스와치와; 상기 스와치의 인식부를 통해 자동으로 자재를 식별하기 위한 고객 단말기와; 복수개의 상기 스와치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자재 정보를 분류하여 빅데이터화 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가 식별한 자재 정보에 대해 피드백하기 위한 자재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BIG DATA MATERIAL INFORMATION BASED ON SWATCH AUTOMATIC RECOGNITION}
본 발명은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와치를 자동 인식하여 관련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 소요가 큰 샘플북의 제작을 배제한 상태에서 고객이 스와치에 대응하는 자재의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와치(Swatch)라 함은 직물, 편물, 가죽 등과 같은 자재의 조직, 색상, 가공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견본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와치는 예를 들어 의류업체에서 스와치를 확인하여 1차적으로 원단을 선택한 다음 몇 벌만 만들 정도로 샘플 원단을 구입하여 의류를 제작하고, 그 후에 최종적으로 결정된 원단을 대량으로 주문하는데 활용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소상공인들 이외에 중소기업 이상의 규모가 큰 업체에서는 매년 해당 업체에서 취급하는 자재의 스와치 및 이의 정보를 함께 수집한 샘플북을 주기적으로 제작하여 바이어, 전시회 등에 홍보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은 샘플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전시회와 같이 방문 고객이 다수인 상황에서 소량의 샘플북으로 자재를 설명하며 응대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샘플북 특성상 부피가 커 이를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장소를 마련하는데도 많은 애로사항이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샘플북을 대체하여 여러 자재 정보를 고객의 니즈에 맞게 쉽고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83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18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와치의 자동 인식을 통해 관련 자재 정보를 고객이 온라인상에서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샘플북을 제작하는데 불필요한 시간 및 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고객이 스와치에 매칭되는 각종 자재의 여러 정보를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는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자재별로 식별 가능한 인식부를 구비한 스와치와; 상기 스와치의 인식부를 통해 자동으로 자재를 식별하기 위한 고객 단말기와; 복수개의 상기 스와치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자재 정보를 분류하여 빅데이터화 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가 식별한 자재 정보에 대해 피드백하기 위한 자재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자재 정보는 자재별 용도, 소재, 물성 및 가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자재 기초 정보와, 자재별 생산을 위한 공정 및 표준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생산 기초 정보와, 자재별 샘플 오더, 대량 오더, 보관, 포장 및 운송 절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류 기초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자재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복수개의 스와치를 통해 인식 후 선택한 자재에 대해 자재 정보가 포함된 가상의 샘플북을 제공하기 위한 샘플북 제공모듈과, HMD(Head Mount Display)로 기능할 수 있는 고객 단말기를 통해 샘플북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샘플북 내 자재를 실사 이미지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상에서 각도를 회전시키며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VR 영상 제공모듈과, 상기 샘플북 및 가상현실에서 고객 단말기가 복수 개의 자재를 누적 선택한 다음 일괄적으로 주문/결제 처리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주문 연계 모듈과, 상기 스와치의 인식부를 통해 접속하는 고객 단말기를 대상으로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 제공모듈과, 나이, 직급, 근무처, 경력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집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별로 확인하는 자재의 선호도를 통계화하기 위한 고객 분석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인식부는 스와치상에 자재 명칭으로 표시되는 텍스트이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스와치상의 텍스트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식별된 자재에 대한 자재 정보를 자재정보 관리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부는 스와치상에 표시되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더 포함하거나, 스와치상에 구비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가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통신하여 자재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추가로, 상기 자재정보 관리서버는 카테고리별로 자재 정보를 구분하여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자재정보 분류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스와치 자동 인식을 통해 고객에게 자재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시간/비용 소요가 큰 샘플북 제작이 불필요함
2. 실물 스와치에 대응되는 자재의 다양한 정보를 시간/장소에 무관하게 고객에게 제공 가능함
3. 전시회, 박람회 등 복잡한 장소에서도 고객이 단말기로 관심 대상인 스와치를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각종 자재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고객 유치에 도움을 줄 수 있음
4. 비교적 부피가 큰 샘플북 제작을 배제시키고 크기가 작은 스와치만을 보관하도록 하여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5. 신규 자재 개발 시점에 스와치만 고객에게 전달하여도 충분한 제품 소개를 할 수 있음
6. 과거에 개발된 제품 소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객의 선택 옵션을 다양화하고 제품 판촉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음
7.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하여 판촉 및 마케팅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음
8. 향후 폐기물로 처리될 수 있는 샘플북을 제작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친환경적으로 에너지/자원 등을 절감할 수 있음
9. 복수의 자재 제조/유통 업체들이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자재 구입 업체 또는 자재 사용 업체들이 활용하는 자재 관련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음
10. 이전에는 자재 개발부터 샘플북 제작까지 고객에게 홍보하기 위한 과정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재 개발 시점부터 즉시 관련 정보를 업로드/업데이트하여 실시간으로 고객에게 자재, 제품 소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빠른 피드백이나 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
도 1은 종래 샘플북의 일례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중 자재정보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스와치, 고객 단말기 및 자재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각의 자재별로 식별 가능한 인식부를 구비한 스와치와, 스와치의 인식부를 통해 자동으로 자재를 식별하기 위한 고객 단말기와, 복수개의 스와치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자재 정보를 분류하여 빅데이터화 하고 고객 단말기가 식별한 자재 정보에 대해 피드백하기 위한 자재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와치(Swatch)는 직물, 편물, 가죽 등과 같은 자재의 조직, 색상, 가공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견본으로, 이러한 스와치에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인식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고객 단말기가 스와치에 매칭되는 자재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며, 고객 단말기가 스와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인식부 형태의 일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스와치 인식부 형태의 일례>
1. QR 코드
- 스와치상에 표시되어 고객 단말기로 스캔하면 직접적으로 스와치에 대응하는 자재 정보를 제공하거나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고객 단말기를 접속시켜 다양한 자재 정보를 제공하게 됨
- 숫자 최대 7,089자, ASCII 문자 최대 4,296자, 이진(8비트) 최대 2,953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 바코드보다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이 뛰어남
- 자재 정보를 기록하여 고객 단말기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거나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빅데이터화 된 자재 정보 중 특정 정보로 고객 단말기를 링크시키기 위한 QR 코드는 기존에 공지된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음
2. 바코드
- 스와치상에 표시되어 고객 단말기로 스캔하면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고객 단말기를 접속시켜 해당 스와치와 관련된 자재 정보를 제공하게 됨
- 고객 단말기가 스와치에 대응되는 자재를 판독할 수 있도록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를 조합하여 각각의 스와치별로 표기함에 따라 특정 스와치를 스캔하면 자재정보 관리서버로부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형식에 따른 다양한 자재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
3. NFC 태그
- 고객 단말기가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통신하여 스와치에 대응되는 자재를 식별하게 됨
-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지된 바에 따르면 13.56MHz의 대역에서 약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의 무선 통신을 지원함
- 따라서 스와치에 고객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고객 단말기를 접속시켜 다양한 자재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됨
- NFC 태그는 읽기 및 쓰기가 반복적으로 가능함에 따라 새로운 스와치에 대해서도 태그 방식에 따라 자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재활용이 가능함
4. 텍스트
- 인식부를 단순한 형태의 텍스트로 지정하고 고객 단말기가 텍스트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자재를 식별하게 됨
- 텍스트는 자재 명칭, 고유 식별자 등일 수 있으며, 고객 단말기가 기존 텍스트 분석 기술을 통해 스와치상의 텍스트를 인식하면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고객 단말기를 접속시켜 해당 스와치에 대응되는 자재에 대한 다양한 자재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됨
- NFC 태그 방식과 비교하여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주로 소프트웨어적으로 인식 처리가 가능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구현이 간단한 장점을 가짐
상기 고객 단말기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자재 정보에 대해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태블릿, 넷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자재정보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재정보 관리서버는 일종의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바일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고객 단말기로 기능할 수 있는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중 자재정보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재정보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자재정보 분류모듈
- 카테고리별로 자재 정보를 구분하여 고객 단말기에 제공함
- 자재 정보로는 자재별 용도, 소재, 물성, 가격 등의 자재 기초 정보와, 자재별 생산을 위한 공정, 표준작업 등의 생산 기초 정보와, 자재별 샘플 오더, 대량 오더, 보관, 포장, 운송 절차 등의 물류 기초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재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과 같이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음
- 예로써 자재 기초 정보, 생산 기초 정보, 물류 기초 정보와 같은 대분류, 대분류의 각 하위분류, 텍스트/이미지/동영상의 정보 형식 분류 등과 같이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자재 정보를 분류함으로써 고객 단말기가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한 이후로 고객이 관심있어 하는 주제별 검색을 가능하도록 지원함
- 참고로 자재 정보는 고객 입장에서 자재 기초 정보를 통해 자재 특성이나 가격대를 파악하고 생산 기초 정보에 따라 자재 생산 프로세스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며 물류 기초 정보에 의해 주문부터 수령까지 일정을 다른 경로를 통하지 않고도 사전 확인할 수 있도록 함
* 이벤트 제공모듈
- 스와치의 인식부를 통해 접속하는 고객 단말기를 대상으로 이벤트를 제공함
- 예로써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고객들에게 경품 쿠폰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의 관심대상으로 단말기를 통해 인식된 스와치 자재로 제작된 의류, 신발 등을 경품으로 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음
-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여러 고객이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할인권 발행, 물품 구매를 위한 포인트 적립 등 기타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음
* 샘플북 제공모듈
- 고객 단말기가 복수개의 스와치를 통해 인식 후 선택한 자재에 대해 자재 정보가 포함된 가상의 샘플북을 제공함
- 일례로 고객이 관심 있어하는 여러 자재의 스와치를 미팅, 박람회, 전시회 등에서 본인 단말기로 인식시키면 자재정보 관리서버에서 자동으로 자재별 이미지와 함께 해당 자재에 대한 자재 기초 정보, 생산 기초 정보, 물류 기초 정보 등을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형태로 추출하여 샘플북에 반영함
- 기업 입장에서는 별도의 실물 샘플북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고객 입장에서는 실물 샘플북에서는 제공되기 어려운 다양한 자재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 제조/유통 업체는 스와치만을 국내외 기존 거래처 또는 잠재 거래처에 배송하면서 해당 스와치로 구성된 가상 샘플북을 거래처(고객) 단말기로 메일 전송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자재 소개가 가능함
- 가상의 샘플북을 통해 스토리텔링 방식에 따라 자재를 소개하여 고객 유치 확률을 높일 수 있음
* VR 영상 제공모듈
- HMD(Head Mount Display)로 기능할 수 있는 고객 단말기를 통해 샘플북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샘플북 내 자재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함
- 스와치를 직접적으로 제공받기 어렵거나 스와치를 분실한 고객, 스와치가 자재 제조/유통업체에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고객에게 자재의 실사 이미지를 적용한 가상현실로 조직, 색상 등을 충실히 소개할 수 있도록 기능함
- 자재를 사용한 완제품을 가상현실에서 고객에게 보여줄 수도 있으며, 이러할 경우 3D 형태의 완제품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며 확인할 수 있음
- 또 다른 방식으로는 가상현실상에서 자재를 활용하여 완제품을 제작하는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고객 본인 취향에 부합하는 완제품을 제작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함
* 주문 연계 모듈
- 단순히 자재정보 관리서버에서 제공될 수 있는 별도의 주문결제 모듈을 통해 고객 단말기가 선택한 자재의 소량 주문, 대량 주문, 결제까지 지원할 수도 있으나, 상술된 샘플북, 가상현실상에서 자재를 확인하는 과정에 바로 관심 자재를 선택하여 주문결제 모듈과 연동시켜 주문 및 결제까지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함
- 샘플북 또는 가상현실에서 복수 개의 자재를 누적 선택한 다음 일괄적으로 주문/결제 처리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정보권한 설정모듈
- 고객 단말기로 제공되는 자재 정보 중 특정 정보에 대해서 공개/비공개를 설정하여 권한 부여된 고객 단말기에만 공개/비공개 정보가 모두 제공되도록 함
- 예를 들어 자재 기초 정보, 생산 기초 정보, 물류 기초 정보와 같은 대분류, 대분류의 각 하위분류 등에 대해 선택적 또는 종합적으로 공개 또는 비공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스와치의 인식부를 통해 자재를 식별한 고객 단말기에 대해서는 고객을 바이어로 취급하여 모든 자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자재정보 관리서버에 직접 접속하는 고객은 일반인인 것으로 간주하여 공개 설정된 자재 정보에 한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
- 비공개 자재 정보에 대해서는 고객이 자재정보 관리서버 회원 가입 후 유료로 확인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고객 분석 모듈
- 자재정보 관리서버로 회원 가입 시 수집한 고객 정보(나이, 직급, 근무처, 경력, 성별 등), 스와치를 통해 자재정보 관리서버로 접속하는 고객의 경우 관리자가 직접 입력한 고객 정보 등에 기초하여 고객별로 자주 확인하는 자재의 선호도(예: 연령/직급/업체/경력/성별 자재 선호도)를 통계화함
- 고객의 취향을 객관적인 자료로 통계화하여 자재를 제안하거나 홍보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각각의 자재별로 식별 가능한 인식부를 구비한 스와치와;
    상기 스와치의 인식부를 통해 자동으로 자재를 식별하기 위한 고객 단말기와;
    복수개의 상기 스와치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자재 정보를 분류하여 빅데이터화 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가 식별한 자재 정보에 대해 피드백하기 위한 자재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자재 정보는 자재별 용도, 소재, 물성 및 가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자재 기초 정보와, 자재별 생산을 위한 공정 및 표준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생산 기초 정보와, 자재별 샘플 오더, 대량 오더, 보관, 포장 및 운송 절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류 기초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자재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복수개의 스와치를 통해 인식 후 선택한 자재에 대해 자재 정보가 포함된 가상의 샘플북을 제공하기 위한 샘플북 제공모듈과,
    HMD(Head Mount Display)로 기능할 수 있는 고객 단말기를 통해 샘플북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샘플북 내 자재를 실사 이미지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상에서 각도를 회전시키며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VR 영상 제공모듈과,
    상기 샘플북 및 가상현실에서 고객 단말기가 복수 개의 자재를 누적 선택한 다음 일괄적으로 주문/결제 처리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주문 연계 모듈과,
    상기 스와치의 인식부를 통해 접속하는 고객 단말기를 대상으로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 제공모듈과,
    나이, 직급, 근무처, 경력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집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별로 확인하는 자재의 선호도를 통계화하기 위한 고객 분석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인식부는 스와치상에 자재 명칭으로 표시되는 텍스트이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스와치상의 텍스트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식별된 자재에 대한 자재 정보를 자재정보 관리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스와치상에 표시되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스와치상에 구비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는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통신하여 자재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재정보 관리서버는 카테고리별로 자재 정보를 구분하여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자재정보 분류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76674A 2019-12-27 2019-12-27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KR10211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74A KR102110723B1 (ko) 2019-12-27 2019-12-27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PCT/KR2020/000933 WO2021132793A1 (ko) 2019-12-27 2020-01-20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74A KR102110723B1 (ko) 2019-12-27 2019-12-27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723B1 true KR102110723B1 (ko) 2020-05-13

Family

ID=7073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74A KR102110723B1 (ko) 2019-12-27 2019-12-27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0723B1 (ko)
WO (1) WO202113279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4369A (zh) * 2020-12-31 2021-04-30 大为国际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工程造价管理系统
KR20220039142A (ko)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팩앤롤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
KR20220039143A (ko)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팩앤롤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
KR20220091094A (ko) 2020-12-23 2022-06-30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실시간 자재 적재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07B1 (ko) 2012-08-02 2016-03-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염색원단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60717B1 (ko) * 2016-10-11 2017-07-24 유재현 보조재의 규격 사이즈를 이용한 맞춤형 의류 및 신발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763097B1 (ko) * 2017-01-02 2017-08-03 김희수 섬유원단 통합 경영관리시스템
KR101788398B1 (ko) 2015-09-23 2017-10-20 히다카신이치 스와치 등록 및 스와치에 대응하는 원단 주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724B1 (ko) * 2017-08-16 2019-06-07 장희주 원단 고유식별자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 연계 인터넷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07B1 (ko) 2012-08-02 2016-03-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염색원단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88398B1 (ko) 2015-09-23 2017-10-20 히다카신이치 스와치 등록 및 스와치에 대응하는 원단 주문 방법
KR101760717B1 (ko) * 2016-10-11 2017-07-24 유재현 보조재의 규격 사이즈를 이용한 맞춤형 의류 및 신발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763097B1 (ko) * 2017-01-02 2017-08-03 김희수 섬유원단 통합 경영관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142A (ko)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팩앤롤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
KR20220039143A (ko)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팩앤롤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
KR20220091094A (ko) 2020-12-23 2022-06-30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실시간 자재 적재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CN112734369A (zh) * 2020-12-31 2021-04-30 大为国际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工程造价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2793A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723B1 (ko)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US8655771B2 (en) Transaction arbiter system and method
CN104040540B (zh) 利用标签和移动设备的产品信息系统及方法
US10949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promotional sample product
JP6372856B2 (ja) 電子商取引支援方法
US201402975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nd Communicating about OEM Products
CN102509231A (zh) 一种通过嵌入拍买软件客户端的移动终端实现推荐提成即时交易的信息处理系统及其方法
CN104170519A (zh) 智能设备辅助的商务
JP201402964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01697B1 (ko) 공간 이미지에 적합한 추천 상품의 매칭 시스템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06164965A (zh) 用于找出并交付服务的系统和方法
KR20130007506A (ko) 즉시주문용 정보태그를 이용한 상품 및 서비스 주문방법 및 시스템
KR20130079461A (ko) 이차원바코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메시지 전달 방법과 시스템
KR102359000B1 (ko) 사용자와 소상공인 매칭 방법 및 시스템
JP2013061903A (ja) クーポン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69089A (ja) 市場情報収集システム
KR20120124135A (ko) Sns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40022308A (ko) Qr코드를 이용한 실시간 상품 관리 시스템
JP2005332257A (ja) 顧客サービス提供/商品動向把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041158A (zh) 基于标签的广告服务系统
KR20120059480A (ko) 바코드를 이용한 포인트 관리 서비스 및 포인트 관리 시스템
CN202433966U (zh) 一种通过嵌入拍买软件客户端的移动终端实现推荐提成即时交易的信息处理系统
JP2021501952A (ja) デジタルリーダーを利用した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方法{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s using a digital encoder}
KR20080030202A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홍보 방법 및 상품 판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