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04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oE in sharing screen between plural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oE in sharing screen between plural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044B1
KR102003044B1 KR1020130038843A KR20130038843A KR102003044B1 KR 102003044 B1 KR102003044 B1 KR 102003044B1 KR 1020130038843 A KR1020130038843 A KR 1020130038843A KR 20130038843 A KR20130038843 A KR 20130038843A KR 102003044 B1 KR102003044 B1 KR 10200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qoe
type
fram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7237A (en
Inventor
김용태
김신애
백윤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24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57889A1/en
Priority to CN201410114580.7A priority patent/CN104077098B/en
Priority to EP14161452.9A priority patent/EP2785070B1/en
Priority to US14/224,570 priority patent/US10447756B2/en
Publication of KR2014011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2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단말기들 간의 화면 공유시 QoE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유형을 판별하여 판별된 컨텐츠 유형에 적합한 QoE 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QoE 정책에 따라 화면을 인코딩하는 파라미터인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를 조절하여 화면을 인코딩함으로써 복수 개의 단말기들이 화면 공유시 컨텐츠 유형별로 최적의 체감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mproving QoE when a screen is share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it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QoE policy suitable for a content type determined by discriminating a content type displayed on a current screen, The frame rate and the resolution are adjusted to encode the screen, so that a plurality of terminals can maintain an optimal quality of view per content type when sharing a screen.

Description

복수 개의 단말기들 간의 화면 공유시 QoE(Quality of Experience)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oE in sharing screen between plural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improving QoE (Quality of Experience) in screen sharing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단말기들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화면 데이터의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screen data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via a network.

복수 개의 단말기들 간의 화면 공유시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전송하는 스트림의 비트레이트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상태가 원활한 경우(unloaded) 높은 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고 네트워크 상태가 원활하지 못한 경우(loaded or congestion) 낮은 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A bit rate of a stream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network state when a screen is share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stream having a high bit rate when the network state is smooth (unloaded) and a stream having a low bit rate when the network state is not smooth (loaded or conges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네트워크 상태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화면 공유 시 화면의 끊김 현상이 발생하거나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considers only the network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een is disconnected or the resolution is lowered when the screen is shared.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기들 간의 화면 공유시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을 고려하여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QoE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oE for transmitting screen data in consideration of a type of content displayed on a current screen when a screen is share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면을 다른 단말과 공유하는 단말에서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QoE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상기 화면의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화면 이미지를 상기 다른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mproving QoE in a terminal sharing a screen with anoth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 type of content displayed on a current screen; Determining a QoE polic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Encoding an imag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screen image to the another terminal.

상기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에서 상기 인코딩 단계는 상기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조절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enhancing QoE, the encoding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a frame rate and resolution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상기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에서 상기 컨텐츠 유형은 그래픽 컨텐츠, 실사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improving QoE, the content type preferably includes graphic contents, real-life contents, and text contents.

상기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에서 상기 QoE 정책은 상기 컨텐츠의 움직임 변화가 많을 수록 프레임 레이트가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ethod for improving QoE, it is preferable that the QoE policy is set to have a higher frame rate as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content is greater.

상기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improving Qo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is performed based on the name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상기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에서 상기 결정 단계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이 복수개일 경우 각 컨텐츠 유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컨텐츠 유형에 대응되는 QoE 정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improving QoE, the determining step may include selecting a QoE policy corresponding to a content type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for each content type when a plurality of types of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re selected desirable.

상기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에서 상기 조절 단계는 상기 화면을 공유하는 단말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레이트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공유하는 화면의 인코딩에 적용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improving QoE, the adjusting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an allowable bit rate based on a network state between terminals sharing the screen; And adjusting a frame rate and a resolution applied to the encoding of the shared picture according to the bit rate determination resul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면을 다른 단말과 공유하는 단말에서 QoE 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현재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QoE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상기 화면의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화면 이미지를 상기 다른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in which at least one program is stored; And a processor for enhancing QoE in a terminal sharing the screen with another terminal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program, wherein the at least one program includes: determining a type of an application displayed on a current screen; Determining a QoE polic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Encoding an imag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screen image to the other terminal.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인코딩 단계는 상기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조절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e encoding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a frame rate and a resolution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유형은 그래픽 컨텐츠, 실사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e content type may include graphic content, actual content, and text content.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QoE 정책은 상기 컨텐츠의 움직임 변화가 많을 수록 프레임 레이트가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e QoE policy is preferably set to have a higher frame rate as the movement of the content changes more.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name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결정 단계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그래픽 컨텐츠, 상기 실사 컨텐츠 및 상기 텍스트 컨텐츠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컨텐츠 유형에 대응되는 QoE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ontent typ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a QoE corresponding to a content type having a highest priority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for the graphic conten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policy.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조절 단계는 상기 화면을 공유하는 단말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레이트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공유하는 화면의 인코딩에 적용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adjusting step comprises: determining an allowable bit rate based on a network state between terminals sharing the screen; And adjusting a frame rate and a resolution applied to the encoding of the shared picture according to the bit rate determination resul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improving QoE is recor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기들 간에 화면 공유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유형에 따른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유형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유형에 따른 QoE 정책을 도시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내에 복수 개의 컨텐츠 유형이 존재할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하여 QoE 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oE 를 향상시키는 송신장치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screen sharing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QoE according to a conten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ten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table showing a QoE policy according to conten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a plurality of content types exist in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QoE by analyzing a network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E capable of operating as a transmitter for improving Q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on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기들 간에 화면 공유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송신 단말기(102)는 화면 공유 시, 공유 대상이 되는 화면 이미지를 송신하는 단말이며 수신 단말기(106)는 공유 대상이 되는 화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포함한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screen sharing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transmitting terminal 102 is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screen image to be shared when a screen is shared, and the receiving terminal 106 is a terminal for receiving a screen image to be share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C, a smart phone, a tablet, and the like.

송신 단말기(102)는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6)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기(102)에서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사진의 목록이 현재 송신 단말기(102)의 화면 이미지(104)로 표시될 수 있다. 화면을 공유하는 경우, 송신 단말기(102)는 현재 화면 이미지(104)를 캡쳐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기(106)로 송신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terminal 102 transmits the screen image currently displayed through the network to the receiving terminal 106. For example, when a photo album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2, a list of photos may be displayed as a screen image 104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2 at present. When the screen is shared, the transmitting terminal 102 can capture the current screen image 104 and transmit it to the receiving terminal 106 via the network.

수신 단말기(106)가 캡쳐된 화면 이미지(104)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 단말기(106)는 송신 단말기(102)와 동일한 화면 이미지(108)를 공유하게 된다.When the receiving terminal 106 receives the captured screen image 104, the receiving terminal 106 shares the same screen image 108 as the transmitting terminal 102. [

한편, 송신 단말기(102)에서 화면 이미지(104)를 송신하는데 있어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화면 이미지(104) 송신시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태와 함께 QoE (quality of experience)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QoE 란 서비스 이용자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총체적인 허용도를 의미한다.  Meanwhile, in transmitting the screen image 104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102,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etwork state. This is because the allowable bit rate in transmission of the screen image 104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etwork condi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QoE (quality of experience) along with the network status. QoE means the total tolerance of the application or service perceived by the service user.

일예로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 대부분의 화면 이미지가 정지되어 있거나 스크롤 조절에 따라 단순하게 움직여 진다. 반면에 지도 어플리케이션에서 가독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을 공유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상태 분석을 통해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가 결정되면, 결정된 비트레이트 안에서 해상도를 프레임 레이트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설정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ap application, most screen images are frozen at the time of application execution or simply moved according to the scroll control. On the other hand, readabili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map applications. Therefore, when the map application shares the screen on which the map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the allowable bit rate is determined through the network state analysis, the resolution is set to a higher level than the frame rate within the determined bit rate.

한편, 네트워크 상태가 동일하여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가 동일한 값으로 결정된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이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결정된 비트레이트 안에서 프레임 레이트를 해상도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유지한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allowable bit rate is determined to be the same value due to the same network status,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are as high as the game application, the frame rate is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resolution within the determined bit rate.

즉,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 값이 같은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를 결정해야 하는 수준이 다르므로 각각의 특성에 맞춰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여 QoE 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That is, even if the allowable bit rate values are the same,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rate must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Therefore,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rate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o maintain the optimal QoE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유형에 따른 QoE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단말들 간의 화면 공유시 QoE의 향상은 송신 장치에서 수행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QoE according to a conten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ment of QoE when a screen is share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is performed in a transmitter.

단계 202에서, 송신장치에서는 화면 공유 시 수신 단말기로 송신할 화면 이미지의 컨텐츠의 유형을 판별한다. In step 202, the transmitting apparatus determines the type of contents of the screen image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when the screen is shared.

컨텐츠의 유형은 그래픽 컨텐츠, 실사(real image)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화면 이미지가 움직이는 정도도 컨텐츠 유형의 분류 기준이 될 수 있다. 즉 같은 그래픽 컨텐츠인 경우에도 화면 이미지의 움직임이 많고 적음에 따라 컨텐츠 유형을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컨텐츠 유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ype of content can be classified into graphic content, real image content, and text content. In addition, the extent to which the screen image moves can also be a classification criterion of the content type. That is, even in the case of the same graphic content, the content type can be classifi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reen image is small and small. However, the content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그래픽 컨텐츠의 일예로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는 움직임이 많으므로 QoE 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프레임 레이트를 높은 수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An example of graphics content is a game application. Because the image of the game application is motion-intensive, the frame rate can be set to a high level in order to keep the QoE optimal.

반면에 메인 화면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메인 화면에서의 아이콘으로 표시된 목록들은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그래픽 컨텐츠에 해당하지만 메인 화면의 경우 화면 이미지가 대부분 정지되어 있거나 움직임이 매우 단순하다. 따라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보다 프레임 레이트가 낮게 해상도는 높게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ain screen is runni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correspond to the graphic contents as in the game application, but in the case of the main screen, the screen image is mostly stopped or the movement is very simple. Therefore, the resolution can be determined to be higher with a lower frame rate than the game application.

한편 실사 컨텐츠의 일예로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과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화면 이미지의 움직임이 많다. 반면에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움직임이 많지 않다. 따라서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의 프레임 레이트가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높은 수준으로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camera applications and photo album applications are examples of actual content. In the case of the camera application, the motion of the screen image is large because it performs functions such as moving picture or photograph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hotobook applications, there is not much movement. Therefore, the frame rate of the photo album application is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the frame rate of the photo album application.

참고로 실사 컨텐츠의 해상도는 일반적으로 그래픽 컨텐츠의 해상도보다 높게 설정된다.For reference, the resolution of the actual content is generally set high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graphic content.

텍스트 컨텐츠의 일예로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텍스트 컨텐츠의 경우 가독성이 중요한 요소이므로 프레임 레이트보다 해상도를 높은 수준으로 결정한다.An example of text content is an email application. For text content, read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so the resolution is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the frame 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은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초로 판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이름은 OS별로 어플리케이션을 지칭할 수 있는 모든 식별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name of the application. Here, the application name may correspond to al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refer to the application by OS.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이용한 컨텐츠 유형의 판별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method of determining a content type using an application n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을 참고하면, 현재 단말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기 위해 명령어(302)를 입력한다.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명령어(302)가 입력되면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확인 과정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기 위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3, an instruction 302 is input to detect an application currently running in the terminal. When a command 302 for detecting a running application is inputted, a process of confirming the name of the applic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put. The information for detecting the running application in the confirmation process is not limited to the name of the application.

일예로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기 위한 정보는 비트스트림 내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판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프로그램 내에 어플리케이션 별로 고유한 헤더정보를 메모리에 미리 설정해 놓은 후, 화면 공유시 화면 이미지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얻어지는 헤더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한다. 검색 결과 매칭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별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for detecting an application can be determined using header information in a bitstream. Specifically, after setting header information unique to each application in a program of the terminal in a memory, information matching with header information obtained by parsing a bitstream of a screen image at the time of screen sharing is retrieved from the memory. The matching application can be identified by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어플리케이션의 무단 복제를 막기 위해 프레임마다 삽입해 놓은 워터 마킹 정보 등을 이용해서도 어플리케이션을 판별할 수 있다. 워터 마킹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별 고유한 워터마킹 정보를 미리 설정해 놓으면 매칭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함으로써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별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unauthorized copying of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can be discriminated by using the watermarking information inserted for each frame. Even when watermarking information is used, if watermarking information unique to each application is set in advance, an application to b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can be determined by searching matching applications.

현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확인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어떤 컨텐츠 유형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명령어(304)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 상에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컨텐츠 유형을 매핑해 놓은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어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가 확인되면 리스트에서 매핑되는 컨텐츠 유형을 찾을 수 있다. When the currently activated application is confirmed, it inputs an instruction 304 that determines which content type the application belongs 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st in which a type of an application and a content type are mapped is stored in a memory, and if a type of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is identified, a content type mapped in the list can be found.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컨텐츠 유형을 매핑하는 기준은 일예로 어플리케이션 별로 그래픽, 실사 이미지와 같은 영상의 종류 및 움직임 정보의 양 등의 특성에 기초한다. The criteria for mapping the type of application and the content type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ype of image such as graphic and real image, and the amount of motion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이 텍스트 컨텐츠인지 여부는 텍스트 검출(det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텍스트 검출 알고리즘은 특정되지 않고 다양한 텍스트 검출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type of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text content can be determined using a text detection algorithm. The text detection algorith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pecified, and various text detection algorithms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이 실사 컨텐츠인지 여부는 코덱의 사용 여부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일예로, iomx를 통해 비디오 디코더가 사용중인 것을 확인하여 현재 화면에 실사 동영상이 재생 중인 것으로 확인된다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유형을 실사 컨텐츠로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typ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real-world content or not can be determined by using whether or not the codec is used. For exampl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video decoder is being used through the iomx and the live video is being reproduced on the current screen, the content typ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can be discriminated as the live video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표시되는 화면 내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유형을 판별할 수 있다. 미리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 범위에 따른 컨텐츠 유형을 매핑한 다음, 설정해 놓은 범위에 현재 화면의 움직임 벡터 가 해당되면 해당 설정 범위에 매핑되는 컨텐츠 유형을 검출함으로써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 유형을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type can be determined using a motion vector in a currently displayed picture. After setting a range in advance and mapping a content type according to the setting range, if the motion vector of the current screen corresponds to the set range, the content type mapped to the setting range is dete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typ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have.

움직임 벡터의 총합과 함께 텍스트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컨텐츠 유형을 판별할 수도 있다. 텍스트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가 화면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 정보를 획득한 후 움직임 벡터 총합을 기준으로 한 컨텐츠 유형 분류에 대해 해상도에 따라 컨텐츠 유형을 세분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 The content type may be determined using a text detection algorithm together with the sum of motion vectors. After obtaining the ratio information that the text occupies in the screen using the text detection algorithm, the content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um of the motion vectors can be classifi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구체적으로 화면 내에서 텍스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 미만일 경우에는 해상도의 중요도를 낮추고 소정의 값 이상일 경우에는 해상도의 중요도를 높여 이에 따라 해상도를 결정하는 데 있어 가중치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if the ratio occupied by the text in the scree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importance of the resolution is lowered. If the ratio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importance of resolution is increased and the weight value can be set differently in determining the resolution accordingly.

단계 204에서 송신장치는 컨텐츠 유형의 판별 결과에 따라 QoE 정책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oE 정책은 네트워크 분석 결과 현재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가 결정되면,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 범위 내에서 컨텐츠의 유형에 따라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분석에 따른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 결정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step 204, the transmitting apparatus determines the QoE polic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ent type. The QoE poli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ra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within the allowable bit rate range when the currently acceptable bit rate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network analysis.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allowable bit rate according to the network analys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단계 206에서 송신장치는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현재 화면을 인코딩한다. 일예로 현재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이 게임인 경우에는 그래픽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많아 사용자가 화질열화를 상대적으로 적게 인식하게 되므로 프레임 레이트를 높게 설정한다. In step 206, the transmitting apparatus encodes the current scre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a game, the user sets the frame rate to be high because the user perceives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relatively with a large amount of motion and graphic contents.

단계 208에서 송신 장치는 인코딩된 화면을 수신 장치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In step 208,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the encoded picture to the receiving apparatus. One or more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r mor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유형에 따른 QoE 정책을 도시한 표이다.FIG. 4 is a table showing a QoE policy according to conten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유형이 그래픽 컨텐츠거나 실사 컨텐츠일 경우 해상도는 VGA와 QVGA 사이에서 변동하고 프레임 레이트는 5fps와 30fps에서 가변적으로 바뀔 수 있다. 또한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유형이 텍스트 컨텐츠일 경우 해상도는 HD와 VGA 사이에서 변동하고 프레임 레이트는 1fps와 15fps에서 가변적으로 바뀔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 typ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graphic content or real content, the resolution varies between VGA and QVGA, and the frame rate can be variably changed between 5 fps and 30 fps. Also, if the content typ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text content, the resolution may vary between HD and VGA, and the frame rate may be variably changed at 1 fps and 15 fps.

프레임 레이트는 움직임이 많아 데이터 손실에 따른 화질 열화가 적은 그래픽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장 높게 설정할 수 있고 해상도의 경우에는 가독성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텍스트 컨텐츠의 해상도를 가장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의 설정은 상기의 설정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rame rate can be set to the highest frame rate of the graphic content with a small amount of motion due to data loss and the resolution of the text content with the highest readability can be set to the highest. Here, the setting of the frame rate and the resolu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etting.

일예로 네트워크 상황을 분석한 결과 허용 가능한 스트림의 비트레이트가 100kbits 인 경우,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유형이 그래픽 컨텐츠일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를 15fps, 실사 컨텐츠일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를 10fps, 텍스트 컨텐츠일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를 1fps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it rate of the allowable stream is 100 kbits, the frame rate is 15 fps when the content typ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graphic content, the frame rate is 10 fps when the content is real content, The frame rate can be set to 1 fps.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태가 변화함에 따라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가 변하므로 변경된 비트레이트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 또한 변한다. 일예로 비트레이트가 증가할 경우 컨텐츠 유형별로 비트레이트 증가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 증가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llowable bit rate changes as the network status changes, the frame rate and resolution also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d bit rate. For example, if the bit rate increases, the frame rate increase rat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nt type.

구체적으로 프레임 레이트를 1씩 증가시키는데 요구되는 비트레이트를 그래픽 컨텐츠의 경우는 10kbits, 실사 컨텐츠의 경우는 15kbits 및 텍스트 컨텐츠의 경우는 30kbits로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it rate required for increasing the frame rate by 1 can be set to 10 kbits in the case of graphic contents, 15 kbits in case of real contents, and 30 kbits in case of text contents.

예를 들어 허용 가능한 스트림의 비트레이트가 100kbits 인 경우, 그래픽 컨텐츠의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가 15fps, 실사 컨텐츠일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가 10fps, 텍스트 컨텐츠일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가 1fps 였다고 가정한다. 네트워크 상태 변화에 따라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가 280kbits로 증가하는 경우, 그래픽 컨텐츠는 비트레이트가 33fps, 실사 컨텐츠는 비트레이트가 26fps, 텍스트 컨텐츠의 경우에는 비트레이트가 7fps로 증가한다. For example, when the bit rate of the allowable stream is 100 kbits, it is assumed that the frame rate is 15 fps in the case of graphic contents, 10 fps in case of real contents, and 1 fps in case of text contents. When the allowable bit rate increases to 280 kbi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network state, the graphic content has a bit rate of 33 fps, the real content has a bit rate of 26 fps, and the text content has a bit rate of 7 fp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유형은 움직임 정도를 기준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일예로 그래픽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작은 경우 및 그래픽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큰 경우로 컨텐츠 유형을 세분화할 수 있다. 실사 컨텐츠 역시 움직임이 작은 경우와 큰 경우로 세분화할 수 있다. 텍스트 컨텐츠의 경우는 움직임이 없거나 매우 작으므로 본 일 실시예에서는 움직임을 기준으로 별도로 분류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yp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can be subdivided based on the degree of motion. For example, the content type can be subdivided when the content is graphical but the movement is small or when the content is graphical and moving. Actual contents can also be subdivided into small and large movements. In the case of the text content, since there is no motion or is very small, it is not separately classified on the basis of mo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컨텐츠 유형에 따른 QoE 정책은 그래픽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작은 경우(GRAPHIC_SMALLMOTION)에는 프레임 레이트는 높게 설정하지만 해상도는 실사 컨텐츠나 텍스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래픽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의 메인 화면을 예로 볼 수 있다.The QoE policy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sets the frame rate to be high when the graphic content is small but the motion is small (GRAPHIC_SMALLMOTION), but the resolution can be set lower than the actual content or text.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 case where the graphic content is small in movement may be exemplified as a main screen of the terminal.

그래픽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큰 경우(GRAPHIC_LARGEMOTION)는 움직임이 큰 경우 상대적으로 화질열화를 인식하기 어려우므로 해상도 보다 프레임 레이트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래픽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큰 경우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일 예로 볼 수 있다.  In the case of graphic contents and large motion (GRAPHIC_LARGEMOTION),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when the motion is large, so the frame rate can be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resolution.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 case in which the graphic content is large in motion may be a game application.

실사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작은 경우(REAL_SMALLMOTION)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일예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있는데 움직임이 작은 경우 대부분 정지하거나 단순한 움직임인 경우이므로 프레임 레이트 보다 해상도를 높은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If the application is REAL_SMALLMOTION, the application may be a gallery application. If the motion is small, it is mostly a stop or a simple motion. Therefore, the resolution can be set to a higher level than the frame rate.

실사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큰 경우(REAL_LARGEMOTION)는 움직임이 큰 경우 상대적으로 화질열화를 인식하기 어려우므로 해상도보다 프레임 레이트를 높은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해상도는 그래픽 컨텐츠에 비해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설정된다.If the motion is large but the motion is large (REAL_LARGEMOTION), the frame rate can be set to a higher level than the resolu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image deterioration relatively when the motion is large. At this time, the resolution is generally set to a higher level than the graphic content.

텍스트 컨텐츠인 경우(TEXT_SMALLMOTION)는 가독성이 중요시되므로 프레임 레이트 보다 해상도를 높은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텍스트 컨텐츠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일례로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및 지도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다. For text content (TEXT_SMALLMOTION), readability is important, so you can set the resolution to a higher level than the frame rate. Examples of applications corresponding to the text content include an e-mail application, a web page, and a map applic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내에 복수 개의 컨텐츠 유형이 존재할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 내에 복수 개의 컨텐츠 유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래픽 컨텐츠, 실사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컨텐츠 유형에 대응되는 QoE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a plurality of content types exist in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tent types in the screen, the QoE policy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ype having the highest priorit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for the graphic content, the real content, and the text content.

일예로 도 5를 참고하면, A영역(502)은 실사 컨텐츠, B영역(504)은 텍스트 컨텐츠 및 C영역(506)은 그래픽 컨텐츠에 해당한다.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가 실사 컨텐츠, 그래픽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라면 실사 컨텐츠에 적합한 QoE 정책을 결정한 후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현재 화면의 인코딩에 적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절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A area 502 corresponds to actual content, the B area 504 corresponds to text content, and the C area 506 corresponds to graphic content. If the preset priority is the actual content, the graphic content, or the text content, the QoE policy suitable for the real content is determined, and the parameter applied to the encoding of the current scree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QoE policy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내에 복수 개의 컨텐츠 유형이 존재할 경우 화면 내에 존재하는 컨텐츠 유형별 비율에 따라 QoE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도 5를 참고하면 그래픽 컨텐츠인 C 영역(506)이 화면 내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므로 그래픽 컨텐츠에 적합한 QoE 정책을 결정한 후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현재 화면의 인코딩에 적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절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tent types in a screen, the QoE polic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content types existing in the screen.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since the C area 506, which is graphic content, occupies the largest portion in the screen, a QoE policy suitable for the graphics content is determined and parameters to be applied to the encoding of the current screen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QoE policy determin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컨텐츠 유형이 존재할 경우에 QoE 정책을 결정하는 기준은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또는 화면 내에 존재하는 컨텐츠 유형별 비율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content types exist,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QoE policy is not limited to a preset priority or a ratio of content types existing in the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하여 QoE 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QoE by analyzing a network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단계 602에서 송신장치는 화면을 공유하는 복수 개의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한다. 일예로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를 이용한다. RTCP 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스트림 송수신에 참여하는 단말에 주기적인 제어 패킷을 전송하여 얻어지는 데이터로부터 네트워크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특히 스트림 수신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신측 전송율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In step 602,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alyzes a network state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sharing a screen. For example, 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is used to analyze network status. RTCP performs network monitoring from data obtained by periodically transmitting control packets to terminals participating in stream transmission / reception on the network. In particular, it i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a stream receiving end and calculate a receiving side transmission rate.

네트워크 상태는 스트림 송수신이 원활한 언로드(unload) 상태, 스트림 송수신에 부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로드(load)상태 및 패킷 손실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혼잡(congested)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The network state can be classified into an unload state in which stream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smooth, a load state in which a load starts to occur in stream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congested state in which packet loss starts to occu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태 분석은 현재의 네트워크 상태와 최근 n개의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최근 n개의 네트워크 상태는 버퍼에 일정기간 동안 저장된 네트워크 상태를 독출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status analysis can be performed by analyzing the current network status and the latest n network statuses. Recently, n network states can be obtained by reading the network state stored in the buff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단계 604에서 송신장치는 네트워크 상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스트림 송신에 있어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를 결정한다. In step 604, the transmitting apparatus determines an allowable bit rate for stream transmission based on the network state analysis result.

단계 606에서 송신장치는 단계 604에서 결정된 비트레이트를 기초로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상태 분석에 따라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가 결정되면 결정된 비트레이트를 기초로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에 적합한 QoE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QoE 정책에 기초하여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조절한다.In step 606, the transmitting device adjusts the frame rate and resolution based on the bit rate determined in step 604. Specifically, when the allowable bit r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etwork state analysis, the QoE policy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ed bit rate. And adjusts the frame rate and resolution based on the determined QoE policy.

일예로 t시점에서 송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로 공유하고자 하는 화면의 이미지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t시점에서의 네트워크 상태는 로드 상태이고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는 100kbps라고 가정한다.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으로 그래픽 컨텐츠이면서 움직임이 큰 경우에 해당한다.For example, at time t, the transmitting terminal starts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creen to be shared to the receiving terminal. Assume that the network state at time t is in the load state and the allowable bit rate is 100 kbps.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game application is graphic content and has a large movement.

t시점으로부터 n개의 네트워크 상태 분석이 끝난 시점에서 현재 네트워크 상태와 n개의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한 결과 네트워크 상태가 언로드 상태라고 가정하고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는 280kbps라고 가정한다.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가 증가함에 따라 화면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 값 역시 변화하게 된다.Assume that the network state is unloaded and the allowable bit rate is 280 kbps after analyzing the current network state and n network states at the end of n network state analysis from the time t. As the allowable bit rate increases, the frame rate and resolution values used to encode the scene also change.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으로 프레임 레이트가 해상도 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래픽 컨텐츠의 경우 프레임 레이트를 1씩 증가시키는데 요구되는 비트레이트가 10kbits라고 가정하면 현재 화면 이미지의 프레임 레이트는 18 만큼 증가하게 된다.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should be maintained at a higher frame rate than the resolution by the game application. Assuming that the bit rate required to increase the frame rate by 1 in the case of graphic contents is 10 kbits, the frame rate of the current screen image is increased by 18.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oE 를 향상시키는 송신장치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는 QoE 를 향상시키는 송신장치가 스마트폰인 경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고 pc,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를 포함한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E capable of operating as a transmitter for improving Q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an example of a case where a transmitting apparatus for improving QoE is a smartphone is show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as described above, but includes various devices such as a PC and a tablet.

이동 통신부(701)는 3G/4G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과의 호 설정,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한다. 서브 통신부(702)는 블루투스나 NFC 등 근거리 통신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 수신부(703)는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701 performs call setup, data communication, and the like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a cellular network such as 3G / 4G. The sub communication unit 702 performs functions for local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NFC.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703 receives the DMB broadcasting signal.

카메라부(704)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렌즈 및 광학 소자들을 포함한다. The camera unit 704 includes lenses and optical elements for photographing or photographing.

센서부(705)는 단말(7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중력 센서,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사람의 근접도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5 may include a gravity sensor for sensing movement of the terminal 700,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the brightness of light,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proximity of a person, a motion sensor for sensing movement of a person, have.

GPS 수신부(706)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GPS receiver 706 receives GPS signals from satellites.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using such GPS signals.

입출력부(710)은 외부 기기나 사람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버튼(711), 마이크(712), 스피커(713), 진동 모터(714), 커넥터(715), 키패드(716)을 포함한다. The input / output unit 710 provides an interface with an external device or a person and includes a button 711, a microphone 712, a speaker 713, a vibration motor 714, a connector 715, and a keypad 716 .

터치 스크린(718)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의 터치 입력은 드래그 제스처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며, 탭 제스처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717)는 터치 스크린(718)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을 제어부(750)에 전달한다. 전원 공급부(719)는 멀티 비전 컨트롤러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소스와 연결된다.The touch screen 718 receives the user's touch input. Here, the touch input may be a drag gesture or a tap gesture. The touch screen controller 717 transmits the touch input in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718 to the controller 750. A power supply 719 is connected to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the power required by the multivision controller.

제어부(750)는 메모리(7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단말(700)이 QoE를 향상시키는 장치로 동작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750 executes th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760 to allow the terminal 700 to operate as a device for improving Q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메모리(7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동 통신 모듈(761), Wi-Fi 모듈(762), 블루투스 모듈(763), DMB 모듈(762), 카메라 모듈(765), 센서 모듈(766), GPS 모듈(767), 동영상 재생 모듈(768), 오디오 재생 모듈(769), 전원 모듈(770), 터치 스크린 모듈(771), UI 모듈(772), QoE 제어 모듈(7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Th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760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761, the Wi-Fi module 762, the Bluetooth module 763, the DMB module 762, Module 765, a sensor module 766, a GPS module 767, a moving picture playback module 768, an audio playback module 769, a power module 770, a touch screen module 771, a UI module 772, A QoE control module 773, and the like.

각 모듈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QoE 제어 모듈(773)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네트워크 상에서 복수 개의 단말 간의 화면 공유 시 QoE 제어 모듈(773)은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에 따라 화면의 인코딩에 적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절한다.The function of each module can be intuitively deduced from the nam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only the QoE control module 773 will be described here. The QoE control module 773 controls the parameters applied to the encoding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즉, QoE 제어 모듈(773)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속하는 컨텐츠 유형을 판별하고, 판별된 컨텐츠 유형에 적합한 QoE 정책을 결정하여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를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That is, the QoE control module 773 includes instructions for determining a content type to which a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belongs, determining a QoE policy suitable for the determined content type, and determining a frame rate and resolu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판별은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초로 수행된다. QoE 제어 모듈(773)은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추출하면 메모리 내에 저장된 리스트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떠한 컨텐츠 유형에 속하는 지 판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performed based on the name of the application. The QoE control module 773 may include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nam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If the name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extracted by the extracting unit, it can be determined which content type the application belongs by using the list stored in the memory.

또한, QoE 제어 모듈(773)은 복수 개의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화면을 공유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비트스트림을 결정하고 결정된 비트스트림을 기초로 하여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유형에 적합한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를 결정한다.In addition, the QoE control module 773 analyzes a network state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share a screen through a network, determines a bitstream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and determines a content type suitable for a content type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the determined bitstream Determine the frame rate and re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2: 송신 단말기
104: 현재 화면 이미지
106: 수신 단말기
108: 송신 단말기와 동일한 화면 이미지
102: transmitting terminal
104: current screen image
106: receiving terminal
108: Same screen image as the transmitting terminal

Claims (15)

화면을 다른 단말과 공유하는 단말에서 QoE 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화면에 복수의 유형의 컨텐츠가 표시된 경우, 각 컨텐츠 유형의 비율에 기초하여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에 관한 QoE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상기 화면의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화면 이미지를 상기 다른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for improving QoE in a terminal sharing a screen with another terminal,
Determining a type of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Determining a QoE policy related to a frame rate and a resolution based on a ratio of each content type when a plurality of types of conten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Encoding an imag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And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screen image to the another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단계는 상기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조절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ncoding step is performed using a frame rate and a resolution that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유형은 그래픽 컨텐츠, 실사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ype of the content includes graphic content, real content, and text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oE 정책은 상기 컨텐츠의 움직임 변화가 많을 수록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oE policy is set such that the higher the frame rate is, the more the movement of the content chang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is performed based on the name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각 컨텐츠 유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컨텐츠 유형에 대응되는 QoE 정책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selecting a QoE policy corresponding to a content type having a highest priority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for each content type when a plurality of types of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re selected Lt;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을 공유하는 단말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레이트의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공유하는 화면의 인코딩에 적용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ncoding step comprises: determining an allowable bit rate based on a network state between terminals sharing the screen; And
And adjusting a frame rate and a resolution applied to the encoding of the shared pictu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bit rate.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면을 다른 단말과 공유하는 단말에서 QoE 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화면에 복수의 유형의 컨텐츠가 표시된 경우, 각 컨텐츠 유형의 비율에 기초하여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에 관한 QoE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상기 화면의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화면 이미지를 상기 다른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A memory in which at least one program is stored; And
And a processor for enhancing QoE in a terminal sharing the screen with another terminal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program,
Wherein the at least one program comprises:
Determining a type of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Determining a QoE policy related to a frame rate and a resolution based on a ratio of each content type when a plurality of types of conten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Encoding an imag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And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screen image to the another termina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단계는 상기 결정된 QoE 정책에 따라 조절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9. The transmitter as claimed in claim 8, wherein the encoding step is performed using a frame rate and a resolution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QoE polic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유형은 그래픽 컨텐츠, 실사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9. The transmission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type of the content includes graphic contents, real contents, and text content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QoE 정책은 상기 컨텐츠의 움직임 변화가 많을 수록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9. The transmitter as claimed in claim 8, wherein the QoE policy is set such that the higher the frame rate is, the more the movement of the content chang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The transmitting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is performed based on the name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유형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각 컨텐츠 유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컨텐츠 유형에 대응되는 QoE 정책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in the determining step, when a plurality of content types ar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 QoE policy corresponding to a content type having the highest priority is selected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for each content type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을 공유하는 단말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허용 가능한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레이트의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공유하는 화면의 인코딩에 적용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ncoding comprises: determining an allowable bit rate based on a network state between terminals sharing the screen; And
And adjusting a frame rate and a resolution applied to the encoding of the shared pictur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bit rate.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is recorded.
KR1020130038843A 2013-03-25 2013-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oE in sharing screen between plural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003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2450 WO2014157889A1 (en) 2013-03-25 2014-03-24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experience in sharing screen among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201410114580.7A CN104077098B (en) 2013-03-25 2014-03-25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xperience for sharing screen between the devices
EP14161452.9A EP2785070B1 (en) 2013-03-25 2014-03-25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experience in sharing screen among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14/224,570 US10447756B2 (en) 2013-03-25 2014-03-25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experience in sharing screen among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4804P 2013-03-25 2013-03-25
US61/804,804 2013-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237A KR20140117237A (en) 2014-10-07
KR102003044B1 true KR102003044B1 (en) 2019-07-24

Family

ID=5199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843A KR102003044B1 (en) 2013-03-25 2013-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oE in sharing screen between plural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0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117B1 (en) * 2017-07-21 202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display system
CN117294690B (en) * 2023-11-22 2024-04-12 荣耀终端有限公司 QoE evalua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068A (en) * 2009-07-08 2011-01-27 Nec Corp Quality control device, quality control system, qualit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20133727A1 (en) 2010-11-26 2012-05-31 Centre De Recherche Informatique De Montreal Inc. Screen sharing and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9406A4 (en) * 2006-01-13 2009-08-0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edit information with media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068A (en) * 2009-07-08 2011-01-27 Nec Corp Quality control device, quality control system, qualit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20133727A1 (en) 2010-11-26 2012-05-31 Centre De Recherche Informatique De Montreal Inc. Screen sharing and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237A (en)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77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experience in sharing screen among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192516B2 (en)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content from a source device to a sink device
US9204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CN110121114B (en) Method for transmitting stream data and data transmitting apparatus
KR1020911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poviding image
RU2656230C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98849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encoded image data,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WO201910933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5536594A (en) Aggressive video frame drop
EP29860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ideo quality based on network environment
KR20150022532A (en) Method for reproducing a content, terminal thereof, and system thereof
JP646304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00259880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996117B (en) Video transcod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0030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oE in sharing screen between plural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70013206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5009350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viewing distance
CN113141541B (en) Code rate swi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6032383A1 (en) Sharing of multimedia content
CN117278538B (en) Method for adjusting parameters of encoder and electronic equipment
JP66042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7440175A (en) Method, apparatus, system, device and medium for video transmission
KR20220020707A (en) Image recording device, image storage device,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o image storage device by image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image by image storage device
Gajanayaka et al. Research Directions for Network Based Video Streaming with Emphasis for Live Screen Mirr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