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507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viewing distan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viewing d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507A
KR20150093507A KR1020140014371A KR20140014371A KR20150093507A KR 20150093507 A KR20150093507 A KR 20150093507A KR 1020140014371 A KR1020140014371 A KR 1020140014371A KR 20140014371 A KR20140014371 A KR 20140014371A KR 20150093507 A KR20150093507 A KR 20150093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resolution
dista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3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광수
김동칠
박지우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4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507A/en
Publication of KR2015009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5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n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a viewing distance, assuring user satisfaction while reducing network traffic by adaptively selecting and providing a resolution and a quality of a video image according to a viewing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user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where a network resource is limited. For this,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ing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and a user′s quality of experience. A server determines and adaptively streams the resolution and the quality of the video image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once the user terminal measures the viewing distance between the users and transmits the measured distance,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network information to the server.

Description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VIEWING DISTANCE}[000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ANCED VIDEO STREAMING SERVICE [0002]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3]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자원이 한정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간 시거리에 따라 비디오 영상의 해상도와 품질을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streaming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stream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selecting a resolution and quality of a video image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user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최근 네트워크 기술과 스마트 기기들의 발달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the demand for video streaming service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실시간성을 보장하기 위해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므로, 네트워크 자원이 한정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비디오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재생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Since the video streaming service generally requires high bandwidth to guarantee the real time property, the quality of the video image is deteriorated or the reproduction is delayed in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where the network resources are limited.

특히, 모바일 단말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용자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비디오 트래픽은 더욱더 증가하였다. 모바일 단말은 접속한 네트워크 상태나 화면 크기 등과 같이 다양한 환경을 가지고 있어 서버에서 동일한 비디오 스트리밍을 출력한다면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관련 업체들은 MVO(Mobile Video Optimization) 기술을 적용한 장비를 제공하거나 HAS(HTTP Adaptive Streaming) 방식으로 비디오를 전송한다. Particularly, as the number of users of video streaming service increases with the rapid spread of mobile terminals, the video traffic is further increased. The mobile terminal has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the connected network state and the screen size, and it becomes inefficient if the server outputs the same video stream. To prevent this, related companies provide equipment using MVO (Mobile Video Optimization) technology or transmit video using HAS (HTTP Adaptive Streaming) method.

최근 들어서는 150Mbps급의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LTE-A 서비스 등장으로 모바일 단말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그런데, 사업자들이 네트워크 자원에 비해 고해상도, 고화질의 영상을 전송하게 되면 서비스의 질이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즉,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LTE-A service which supports 150Mbps high transmission rate has been introduc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providing video streaming service for mobile terminals. However, when operators transmit high-resolution and high-quality images compared to network resources, the quality of service is likely to deteriorate.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service is deteriorated.

이에 따라, 폭증하는 비디오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echniques to handle the increasing video traffic.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면서 사용자 만족도를 보장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ensuring user satisfaction while reducing network traffic.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제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를 측정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해상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측정된 시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결정한 해상도에 따른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terminal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resolution of an image based on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streaming unit for, when receiving a request to reproduce an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Server.

한편, 본 명세서의 제2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시거리 측정 모듈; 단말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 상기 시거리 측정 모듈을 통해 측정한 시거리 정보와, 화면 해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 상기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검출한 단말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스트리밍 서버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제어 모듈; 및 상기 시거리 정보와 단말 정보, 단말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환된 비디오 영상을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재생하는 스트림 재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ance measuring module that periodically measures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terminal; A network monitoring module for monitoring the network type and status of the terminal; A feedback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module, the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screen resolution, the network type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ed through the network monitoring module, and feeding back to the streaming server; And a streaming module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the video image adaptive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viewing informa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network type of the terminal, and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treaming server.

한편, 본 명세서의 제3 측면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 정보, 단말의 화면 해상도 및 네트워크 정보를 피드백받아 수집하는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 상기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에서 상기 시거리 정보와 화면 해상도를 기반으로 스트리밍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해상도 결정 모듈; 상기 해상도 결정 모듈에서 해상도가 결정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 중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의 품질을 조절하는 품질 조절 모듈; 및 상기 해상도 결정 모듈 또는 상기 품질 조절 모듈을 통해 변환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모듈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eaming server comprising: a feedback monitoring module for collecting feedback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terminal, a screen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network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 resolution determining module that determines a resolution of an image to be streamed based on the viewing information and the screen resolution from feedback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eedback monitoring module; A quality adjustment module for adjusting quality of an image based on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eedback monitoring module with respect to the image whose resolution is determined in the resolution determination module; And a streaming module for streaming the converted image through the resolution determining module or the quality adjusting module to the user terminal.

한편, 본 명세서의 제4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비디오 영상을 전송받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단말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시거리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 및 단말의 화면 해상도를 수집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피드백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피드백한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해상도 또는 품질이 적응적으로 변환된 영상을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video-based adaptive streaming service for a user terminal in a user terminal, the streaming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onitoring the network type and status of the terminal; Collecting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network information, and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periodically feeding back the information to the streaming server; Receiving, from the streaming server, an image adaptively converted in resolution or quality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fed back to the streaming server; And reproduc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treaming server by the user terminal.

한편, 본 명세서의 제5 측면에 따른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 정보, 단말의 화면 해상도 및 네트워크 정보를 피드백하여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피드백 정보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시거리 정보와 화면 해상도를 기반으로 스트리밍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수집한 피드백 정보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의 품질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해상도 및 품질이 결정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distance-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the method comprising: a streaming server collecting feedback information of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terminal, a screen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network information; Determining a resolution of an image to be streamed based on the viewing information and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streaming server in the collected feedback information; Adjusting the quality of the video based on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the collected feedback information; And a streaming server streaming the resolution and quality determined video to the user terminal when a video playback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자원이 한정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디오 트래픽이 차지하는 부하를 감소시켜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a network by reducing a load occupied by video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network resources are limited.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환경에 맞는 품질로 영상을 제공하고, 서비스의 품질(Quality of Service: QoS)를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with a quality suited to a user environment and to guarantee quality of service (Qo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distance-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reaming server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istance 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 및 장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method and apparatus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efore describ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blurred Please note.

본 명세서에서, 비디오, 영상, 또는 비디오 영상은 스트리밍 콘텐츠를 나타내는 의미로서 동일한 용어로 혼용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a video, an image, or a video image may be mixed with the same term as a meaning of a streaming content.

시거리(Viewing Distance)는 사람이 휴대 전화, 컴퓨터 모니터나 기타 표시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를 볼 때 사람과 표시 장치 사이의 거리를 일컫는다. 시거리는 장치 종류나 사람의 팔 길이 또는 기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팔이 길다면 시거리가 더 길어질 수 있다. 또한 50인치 크기의 모니터의 시거리는 일반적으로 5인치 크기의 휴대단말기의 시거리보다 길게 된다. 시거리는 표시 장치의 표시부와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가 될 수 있다. 이후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설명 없이 사용된 용어 "거리"는 "시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The Viewing Distance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a person and a display device when a person views a display device with a mobile phone, a computer monitor, or other display function. The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the arm length of a person, or other circumstances. For example, if a user has a long arm, the viewing distance may be longer. Also, the viewing distance of a 50 inch monitor is generally longer than the viewing distance of a 5 inch sized portable terminal. The viewing distance may be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user's eye. Hereinafter, the term "distance"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out any particular description shall be taken to mean "distanc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distance-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과, 스트리밍 서버(200), 이들간 통신을 연결하는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A system based on a distance-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 streaming server 200, and a network 300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therebetween.

사용자 단말(100)은 재생하고자 원하는 비디오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200)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의해 스트리밍 서버(200)로부터 비디오 영상을 전송받아 실시간 재생한다.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the streaming server 200 for a desired video image to be reproduced, and receives the video image from the streaming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를 측정하여 스트리밍 서버(200)로부터 시거리에 맞는 최적의 품질로 비디오 영상을 제공받는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and receives the video image from the streaming server 200 with an optimal quality according to the distance.

사용자 단말(100)은 주로 스마트 폰, 패블릿(phablet), 태블릿(tablet) 등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PC, 노트북, TV, 전화기 등 상기의 스트리밍 재생 기능 및 시거리 측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The user terminal 100 mainly use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hablets, tablets,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the streaming playback function and the distance measuring function such as a PC, a notebook, a TV, and a telephone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스트리밍 서버(200)는 하나의 비디오 영상에 대하여 해상도, 품질 등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비디오 영상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해당 비디오 영상을 스트리밍한다. 이때, 스트리밍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시거리에 적합한 최적의 해상도, 품질의 비디오 영상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스트리밍한다. The streaming server 200 stores video images of various types according to resolution, quality, and the like for one video image, and streams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streaming server 200 receives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selects the video image of the optimum resolution and quality suitable for the received distance, and streams the selected video image to the user terminal 100.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스트리밍 서버(200)간을 접속하여 비디오 영상을 송수신하는 코어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예컨대, 네트워크(300)는 2G, 3G, 4G, WiBro, WiMax, LTE 등 다양한 세대의 이동 통신망이나, 무선랜(W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망,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접 통신망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network 300 includes a core and an access network for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treaming server 200 to transmit and receive video images. For example, the network 3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various generations such as 2G, 3G, 4G, WiBro, WiMax, and LT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LAN (WLAN), a Wi-Fi, a Bluetooth, a Zigbee A local area network, or a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은 네트워크 자원이 한정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에 따라 비디오 영상을 적응적으로 제공한다. 이로써 비디오 영상을 스트리밍하는데 차지하는 트래픽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거리와 관계없이 항상 고품질의 비디오 영상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시거리가 가까우면 해상도 또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디오 영상을 제공하고 이와 반대로 시거리가 멀면 해상도 또는 또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상을 제공하면 네트워크 트래픽의 과중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daptively provides video ima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where network resources are limited. This minimizes the traffic load on streaming video images. For example, compared to providing high quality video images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viewing distance, providing a video image with a relatively low resolution or quality at a close range, and providing a relatively high resolution or quality image at a long distance Providing can reduce the amount of network traffic.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시거리 측정 모듈(110),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120), 피드백 제어 모듈(130), 스트림 재생 모듈(1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distance measurement module 110, a network monitoring module 120, a feedback control module 130, and a stream reproduction module 140.

시거리 측정 모듈(110)은 사용자와 단말 간 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이를 위해 시거리 측정 모듈(110)은 카메라 또는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시거리 측정 모듈(11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또는 눈동자를 인식하는 기술에 의해 단말과 사용자 얼굴/눈동자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거나, 또는 적외선 등의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과 사용자 얼굴/눈동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The distance measuring module 11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periodically. For this purpose, the viewing distance measurement module 110 may comprise a camera or a distance measuring sensor. That is, the distance measurement module 110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s face / pupil by a technique of recognizing the face or the pupil of the user using the camera, or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The distance between the face and the pupil can be measured.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100)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네트워크 타입은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있으며, 네트워크 상태는 대역폭, 전송 지연, 지터(jitter) 등을 포함한다. The network monitoring module 120 monitors the network type and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network types includ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iFi,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network conditions include bandwidth, transmission delay, and jitter.

피드백 제어 모듈(130)은 시거리 측정 모듈(110)을 통해 측정한 시거리 정보와,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120)을 통해 검출한 단말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 정보(이하, 네트워크 정보라 칭함), 화면 해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스트리밍 서버로 피드백한다. The feedback control module 130 controls the viewing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ement module 110 and the network type and status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ed through the network monitoring module 120 and the screen resolution And feeds back the information to the streaming server.

스트림 재생 모듈(140)은 시거리 정보와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 화면 해상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환된 비디오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재생한다. The stream playback module 140 receives the video image adaptive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information,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creen resolution from the streaming server and plays it.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reaming server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200)는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210), 해상도 결정 모듈(220), 품질 조절 모듈(230), 스트리밍 모듈(240)을 포함한다. The streaming server 200 includes a feedback monitoring module 210, a resolution determination module 220, a quality adjustment module 230, and a streaming module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도 2의 100)의 피드백 제어 모듈(도 2의 130)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거리 정보,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 및 화면 해상도를 각각 피드백받아 수집한다. The feedback monitoring module 210 receives and collects the viewing information,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creen resolution from the user terminal, respectively, in cooperation with the feedback control module 130 of the user terminal 100 of FIG.

해상도 결정 모듈(220)은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210)을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 중 시거리 정보와 단말의 화면 해상도를 기반으로 스트리밍할 비디오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시거리가 멀면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높은 비디오 영상을 결정하고, 시거리가 가까우면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낮은 비디오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The resolution determination module 220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video image to be streamed based on the viewing information and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terminal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eedback monitoring module 210. For example, if the distance is long, a video image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lution can be determined, and a video image having a relatively low resolution can be determined when the distance is close to the average.

해상도 결정은 시거리에 따라 사용자 체감 품질의 관계를 정의한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해상도 결정 모듈(220)에 시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시안이 느낄 수 있는 영상의 품질 정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체감 품질을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시거리 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체감 품질을 검출하여 사용자 체감 품질을 만족하는 해상도를 결정한다,The resolution determination can use a table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of user perceived quality according to the distance. That is, the resolution determining module 220 defines the user's perceived quality,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quality of the image that the user can perceive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and detects the user's perceived quality, Determine the resolution to be satisfied,

품질 조절 모듈(230)은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210)을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 중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비디오 영상의 품질을 조절한다. 이때, 품질 조절 모듈(230)은 해상도 결정 모듈에서 해상도가 결정된 비디오 영상에 대하여 품질을 조절한다. The quality adjustment module 230 adjusts the quality of the video image based on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eedback monitoring module 210. At this time, the quality adjustment module 230 adjusts the quality of the video image whose resolution is determined in the resolution determination module.

예컨대, 품질 조절은 비디오 영상의 코덱, 해상도, 전송율을 등급에 따라 구분하여 등급 변경으로 품질을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quality control can adjust quality by changing the codec, resolution, and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image according to a rating.

스트리밍 모듈(24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재생할 비디오 영상의 요청이 수신되면 해상도 결정 모듈(220) 또는 품질 조절 모듈(230)을 통해 해상도, 품질이 결정된 비디오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한다. 스트리밍시 스트리밍 모듈(240)은 비디오 영상을 계층적 코딩 기법, 실시간 트랜스 코딩 기법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다양한 품질에 따라 구분되는 영상을 미리 인코딩해 두었다가 전송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When a request for a video image to be reproduce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streaming module 240 streams the resolution and quality-determined video imag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solution determination module 220 or the quality adjustment module 230. In the streaming, the streaming module 240 may transmit a video image using a hierarchical coding technique, a real-time transcoding technique, or a method of pre-encod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qualities.

이상의 시스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Based on the above system configuration, 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istance 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 단말(100)이 시거리 측정 모듈을 통해 사용자와 단말 간 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S101). 측정 방법은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거나 카메라를 이용한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유추할 수 있다. First, the user terminal 100 periodically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through the distance measurement module (S101). The measurement method can be estimated by using a distance measuring sensor or by using a camera-based recognition technology.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이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를 모니터링한다(S102).Then, the user terminal 100 periodically monitors the network type and status through the network monitoring module (S102).

이후, 사용자 단말(100)이 시거리 측정 모듈을 통해 측정한 시거리 정보와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검출한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여 스트리밍 서버(200)로 피드백한다(S103). 이때, 사용자 단말(100)이 단말의 화면 해상도를 포함한 디바이스 정보(단말 정보)를 함께 피드백한다.Then, the user terminal 100 collects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ement module and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ed through the network monitoring module, and feeds back the collected network information to the streaming server 200 (S103).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feeds back the devic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terminal together.

이후, 사용자 단말(100)이 재생하고자 원하는 비디오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로 요청한다(S104). 예컨대, 요청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목록에서 원하는 영상의 재생을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the streaming server for a video image desired to be reproduced (S104). For example, the requesting method may be executed by an operation of selecting a desired image to be reproduced from the image lis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이후, 사용자 단말(100)이 스트리밍 서버(200)로부터 해당 비디오 영상을 수신하는 데, 이전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피드백하는 시거리 정보와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해상도 및 품질이 조절된 비디오 영상을 수신한다(S105).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video image from the streaming server 200, the resolution and quality are adjusted adaptively according to the viewing information periodically fed back in the previous process,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receives a video image (S105).

이후, 사용자 단말(100)이 수신한 비디오 영상을 재생한다(S106).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00 reproduces the received video image (S106).

한편, 스트리밍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피드백이 있는지 모니터링하다가, 사용자 단말(100)이 시거리 정보와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피드백받아 수집한다(S201).Meanwhile, the streaming server 200 monitors whether there is feedback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when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viewing information,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streaming server 200 collects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collects it (S201).

이후, 스트리밍 서버(200)가 피드백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비디오 영상의 해상도 및 품질을 결정한다(S202, S203). Then, the streaming server 200 determines the resolution and quality of the video image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202, S203).

즉,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피드백받은 시거리 정보와 단말 정보(화면 해상도)를 기반으로 비디오 영상의 해상도를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That is, the resolution of the video image is adaptively determined based on the viewing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screen resolution) fed back from the user terminal 100.

또,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피드백받은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비디오 영상의 품질을 조절한다. 이러한 품질 조절 과정은 선택적이며, 상기 해상도 결정 과정을 거친 비디오 영상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video image is adap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network information fed back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quality adjustment process is optional and can be performed on the video image subjected to the resolution determination process.

이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재생할 비디오 영상의 요청이 수신되면 스트리밍 서버(200)가 적응적으로 해상도 및 품질을 조절한 비디오 영상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204).Thereafter, when a request for a video image to be reproduce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streaming server 200 selects a video image adaptively adjusted in resolution and quality and transmits the selected video image to the user terminal 100 (S204).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200)는 비디오 영상이 차지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사용자가 느끼기에도 영상의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 수준으로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streaming server 200 can reduce the network traffic occupied by the video image and provide the video streaming service at a level at which the quality of the video does not deteriorate even though the user feels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이상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0: 사용자 단말 200: 스트리밍 서버
300: 네트워크 110: 시거리 측정 모듈
120: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 130: 피드백 제어 모듈
140: 스트림 재생 모듈 210: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
220: 해상도 결정 모듈 230: 품질 조절 모듈
240: 스트리밍 모듈
100: user terminal 200: streaming server
300: Network 110: Viewing distance measurement module
120: network monitoring module 130: feedback control module
140: Stream playback module 210: Feedback monitoring module
220: resolution determining module 230: quality adjusting module
240: Streaming module

Claims (12)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를 측정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해상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측정된 시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결정한 해상도에 따른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And
A streaming server for determining a resolution of an image based on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for stream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olution upon receiving a request to reproduce the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를 주기적으로 피드백받아 수집하고, 수집한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의 품질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eaming server includes:
Wherein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periodically fed back from the user terminal to collect and provide adaptively adjusted video quality based on the collected feedback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 체감 품질을 시거리에 따라 정의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체감 품질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해상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eaming server includes:
Wherein the resolution is determined to be the lowest resolution within a range in which the user's perceived quality is ensured by using a table defining the user's perceived quality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시거리 측정 모듈;
단말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
상기 시거리 측정 모듈을 통해 측정한 시거리 정보와, 화면 해상도를 포함한 단말 정보, 상기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검출한 단말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스트리밍 서버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제어 모듈; 및
상기 시거리 정보와 단말 정보, 단말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환된 비디오 영상을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재생하는 스트림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
A distance measurement module for periodicall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A network monitoring module for monitoring the network type and status of the terminal;
A feedback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module, the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screen resolution, the network type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ed through the network monitoring module, and feeding back to the streaming server; And
And a stream replay module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the adaptively converted video image from the streaming server according to the viewing informa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network type of the terminal, and the status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거리 측정 모듈은,
사용자의 얼굴 또는 눈동자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iewing distance measurement module includes:
A camera for recognizing a face or a pupil of a user, an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distance, and a user terminal for a distance-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 정보, 단말의 화면 해상도 및 네트워크 정보를 피드백받아 수집하는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
상기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에서 상기 시거리 정보와 화면 해상도를 기반으로 스트리밍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해상도 결정 모듈;
상기 해상도 결정 모듈에서 해상도가 결정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 중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의 품질을 조절하는 품질 조절 모듈; 및
상기 해상도 결정 모듈 또는 상기 품질 조절 모듈을 통해 변환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모듈을 포함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서버.
A feedback monitoring module for collectin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 resolution determining module that determines a resolution of an image to be streamed based on the viewing information and the screen resolution from feedback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eedback monitoring module;
A quality adjustment module for adjusting quality of an image based on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eedback monitoring module with respect to the image whose resolution is determined in the resolution determination module; And
And a streaming module for streaming the converted image through the resolution determining module or the quality adjusting module to the user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결정 모듈은
시거리에 따른 사용자 체감 품질의 관계를 정의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 체감 품질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해상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solution determination module
And determining a lowest resolution within a range in which a user's perceptual quality is guaranteed by using a table that defines a relationship of a user's perceived quality according to a viewing distan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모듈은 상기 피드백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에 따라 계층적 코딩 기법, 실시간 트랜스 코딩 기법, 또는 다양한 품질에 따라 미리 인코딩된 비디오 영상을 선택하는 전송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reaming module may use a hierarchical coding scheme, a real-time transcoding scheme, or a transmission method of selecting a video image that is pre-encoded according to various qualities according to feedback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eedback monitoring module Streaming server for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distance.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비디오 영상을 전송받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단말의 네트워크 타입 및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시거리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 및 단말의 화면 해상도를 수집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피드백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피드백한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해상도 또는 품질이 적응적으로 변환된 영상을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A streaming service providing method in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and reproduces a video image from a streaming serve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Monitoring the network type and status of the terminal;
Collecting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network information, and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periodically feeding back the information to the streaming server;
Receiving, from the streaming server, an image adaptively converted in resolution or quality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fed back to the streaming server; And
And reproduc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treaming server by the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눈동자를 인식하는 기술, 또는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comprises:
A method of recognizing a face or a pupil of a user through a camera, 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a terminal using a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a method of providing a video-based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at a user terminal.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와 단말 간 시거리 정보, 단말의 화면 해상도 및 네트워크 정보를 피드백하여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피드백 정보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시거리 정보와 화면 해상도를 기반으로 스트리밍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수집한 피드백 정보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의 품질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해상도 및 품질이 결정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The streaming server collecting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by feedback;
Determining a resolution of an image to be streamed based on the viewing information and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streaming server in the collected feedback information;
Adjusting the quality of the video based on the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the collected feedback information; And
And a streaming server for streaming a resolution-and-quality-determined video to the user terminal when a video playback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시거리에 따른 사용자 체감 품질의 관계를 정의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 체감 품질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거리 기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solution of the image comprises:
And determining a lowest resolution within a range in which a user's perceptual quality is ensured by using a table defining a relationship of a user's perceptual quality according to a viewing distance.
KR1020140014371A 2014-02-07 2014-02-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viewing distance KR201500935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71A KR20150093507A (en) 2014-02-07 2014-02-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viewing d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71A KR20150093507A (en) 2014-02-07 2014-02-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viewing di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507A true KR20150093507A (en) 2015-08-18

Family

ID=5405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371A KR20150093507A (en) 2014-02-07 2014-02-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viewing dist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507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771A1 (en) * 2016-08-30 2018-03-08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ion intention-based adaptive streaming service
WO2018043770A1 (en) * 2016-08-30 2018-03-08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ntion-based interactive split image streaming service
CN107920251A (en) * 2016-10-06 2018-04-17 英特尔公司 The method and system of video quality is adjusted based on the distance of beholder to display
KR102023905B1 (en) * 2018-11-09 2019-11-04 전자부품연구원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ulti-channel reproduction of tiled image
US10880534B2 (en) 2018-11-09 2020-12-29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iled video multi-channel playbac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771A1 (en) * 2016-08-30 2018-03-08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ion intention-based adaptive streaming service
WO2018043770A1 (en) * 2016-08-30 2018-03-08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ntion-based interactive split image streaming service
KR20180025367A (en) * 2016-08-30 2018-03-09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streaming service based on intension of producer
CN107920251A (en) * 2016-10-06 2018-04-17 英特尔公司 The method and system of video quality is adjusted based on the distance of beholder to display
KR102023905B1 (en) * 2018-11-09 2019-11-04 전자부품연구원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ulti-channel reproduction of tiled image
WO2020096119A1 (en) * 2018-11-09 2020-05-14 전자부품연구원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ulti-channel playback of segmented images
US10880534B2 (en) 2018-11-09 2020-12-29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iled video multi-channel playb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ufert et al. A survey on quality of experience of HTTP adaptive streaming
US10231014B2 (en) Virtual reality (VR) video distribution using edge resources
KR101936944B1 (en) Interactive video conferencing
KR1020203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segment using adaptive streaming
US20150156243A1 (en) Controlling resource usage of adaptive streaming sessions for transmission via a radio access network
CA2878329A1 (en) Device orientation capability exchange signaling and server adaptation of multimedia content in response to device orientation
US10484750B2 (en) Methods,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for managing a media stream
EP2904757B1 (en) Throttling a media stream for transmission via a radio access network
KR2015009350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viewing distance
US201401890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video transmission
CN104702922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video
US201401897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US20160277468A1 (en) Adapting Encoded Bandwidth
KR201201383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multimedia service
US104046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video bitstream
CN104581385A (en) Multi-screen interactive self-adaptive playback method and system
US7831265B1 (en) Mobile rate control in mobile to mobile video communication
KR20150034057A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JP7116196B2 (en) Network-controlled Uplink Media Transport for Collaborative Media Production in Limited Network Capacity Scenarios
US11265356B2 (en) Network assistance functions for virtual reality dyanmic streaming
KR1023890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KR2017010176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548501B1 (en) Chunk based seamless stream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Feng-Hui et al. QoE issues of OTT services over 5G network
CN109565615B (en) Mobile video opti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