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762B1 -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762B1
KR101999762B1 KR1020130038683A KR20130038683A KR101999762B1 KR 101999762 B1 KR101999762 B1 KR 101999762B1 KR 1020130038683 A KR1020130038683 A KR 1020130038683A KR 20130038683 A KR20130038683 A KR 20130038683A KR 101999762 B1 KR101999762 B1 KR 10199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volume
external device
external
incr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075A (ko
Inventor
권기현
고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762B1/ko
Priority to EP14162699.4A priority patent/EP2790392B1/en
Priority to US14/244,163 priority patent/US9288609B2/en
Publication of KR2014012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의 외부기기 연결 방법은,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기기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장치에서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전자 장치는 보급 초기에 단순히 무선 통화가 가능한 휴대 장치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하고 무선 인터넷이 도입됨에 따라 단순히 무선 통화가 가능한 휴대 장치에서 벗어나 일정관리, 게임, 리모컨, 이미지 촬영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자 장치와 외부기기를 연결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TV를 연결함으로써,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을 스마트폰과 연결된 TV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스피커를 연결함으로써,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스마트폰과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와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외부기기를 연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다수의 외부기기를 확인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기기를 선택한 후, 전자 장치 및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외부기기를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다수의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보다 간편한 절차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기기를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연결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와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연결된 외부기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다중 터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기기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다중 터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통신 시스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기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외부기기와 연결한 후, 상기 전자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설정된 조건 이상으로 수신되는 경우, 외부기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한 후, 전자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을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연결된 라디오를 통해 전자 장치에 저장된 음악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연결된 TV를 통해 전자 장치에 저장된 동영상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연결된 TV를 통해 전자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MP3, 네비게이션, 랩탑(Laptop), 넷북(Netbook), 컴퓨터(Computer), 텔레비전(Television), 냉장고 및 에어컨 등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30) 및 통신 시스템(140)을 포함한다. 메모리(110) 및 프로세서(120) 각각은 다수 개의 메모리(110) 및 다수 개의 프로세서(120)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데이터 저장부(111), 운영 체제 프로그램(11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 및 외부기기 프로그램(116)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은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프로그램은 또한 모듈로 표현하기도 한다.
메모리(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11)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기기가 연결되었던 이력(History)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와 제 1 라디오가 연결되었음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와 제 1 TV가 연결되었음을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었던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별 최종 음량을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기기의 음량을 일정 시간마다 확인하고, 외부기기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가장 마지막에 확인된 음량 정보를 해당 외부기기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를 감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음량 키 입력 횟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1)는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3회 요구됨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1)는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5회 요구됨을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를 감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음량 키 입력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1)는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2초 이상 유지되어야 함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1)는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3초 이상 유지되어야 함을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의 세분화된 음량과 외부기기의 음량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의 세분화된 음량 영역과 외부기기의 음량 영역을 동일한 단계로 세분화한 후, 각 단계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 영역이 7단계로 세분화된 경우, 외부기기의 음량 영역을 7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로 음량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체제 프로그램(112)(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은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운영 체제 프로그램(112)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메시지(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및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그래픽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즉,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터치 스크린(13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제 1 동영상이 실행되는 경우, 제 1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다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더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외부기기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제 1 라디오 및 제 1 TV가 포함된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외부 키를 통한 키 입력이 수신된 경우, 해당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음량 키(Button)가 눌린(Press) 경우, 해당 키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외부 키들 중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외부 키들 중에서 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하여,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경우,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횟수 이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외부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횟수 이상으로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기기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3회 이상 감지된 경우,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경우,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외부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으로 키 입력이 유지되는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기기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3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5)은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에 의해 제 1 라디오 및 제 1 TV가 감지된 경우, 제 1 라디오 및 제 2 TV가 포함된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목록에 디스플레이된 외부기기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외부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횟수 혹은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 입력되었으나, 전자 장치(100)의 무선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연결 가능한 무선 통신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사용자 제어에 의해 선택된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들 중에서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 감지 시,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가 다수인 경우,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외부기기에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순위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횟수가 많은 순위, 가장 최근에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순위, 설계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순위 및 사용자 제어에 의한 순위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위일 수 있다. 만약,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와의 연결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미리 저장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음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외부기기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더하여,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이 수행된 경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연결된 외부기기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동영상이 재생중인 경우, 연결된 TV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음악이 재생중인 경우, 연결된 라디오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연결된 TV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외부기기를 통해 사운드(오디오 신호)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의 청력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의 음량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외부기기를 통해 사운드를 출력해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량은 설계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혹은 사용자 제어에 의해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외부기기를 통해 사운드를 출력해야하는 경우, 현재 연결된 외부기기가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와의 연결이 종료되기 직전의 음량을 출력해줄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기기가 연결된 경우, 주기적으로 외부기기의 음량을 확인하고, 저장함을 가정으로 한다.
더하여,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 전체를 다수의 단계로 세분화하고, 연결된 외부기기의 음량 전체를 전자 장치(100)의 음량과 동일한 단계로 세분화하여, 음량의 각 단계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음량 전체가 10단계로 세분화된 경우,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은 연결된 외부기기의 음량 전체를 10단계로 세분화하여 음량의 각 단계를 매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1단계 증가시키는 경우, 연결된 외부기기의 음량 또한 1단계 증가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프로그램(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특정한 다수의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130)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touch-sensitive display)로서,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에 터치 입력/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130)은 터치 센서(미도시)를 통해 터치(혹은 접촉)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100)로 전달하고, 전자 장치(1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 스크린(130)은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사용자에게 텍스트, 그래픽 및 비디오를 바탕으로 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13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면을 포함하여, 햅틱(haptic) 접촉, 택타일(tactile) 접촉 또는 이들의 조합 방식에 의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130)의 터치 감지 지점은 터치 감지면에 대한 접촉에 사용된 손가락의 폭(digit)에 대응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30)은 터치 감지면을 통해 스타일러스(stylus) 펜(pen) 등과 같은 외부기기에 의한 접촉을 감지한다. 검출된 접촉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예를 들어, 소프트 키)에 대응하는 상호 작용(interaction)으로 변환한다.
터치 스크린(13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130)은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터치 스크린(130)은 용량형(capacitive) 검출, 저항형(resistive) 검출, 적외선형 (infrared) 검출 또는 표면 음파 검출 기술과 같은 여러 가지 터치 검출(혹은 감지(sensing)) 기술을 이용하여 터치 감지면에 대한 접촉의 시작, 접촉의 이동 또는 접촉의 중단이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은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터치 스크린(130)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나타내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30)은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프로그레스바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터치 스크린(130)은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 목록은 팝업 등과 같은 메시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하여, 터치 스크린(130)은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된 경우, 연결된 외부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30)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의 ID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40)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NFC(Near Feild Communnication), IrDA,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140)은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횟수 혹은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경우, 통신 시스템(140)에 현재 연결중인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외부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외부기기 연결 프로그램(116)에 의해 특정 외부기기가 선택된 경우, 통신 시스템(140)에 현재 연결중인 네트워크를 통해 선택된 외부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 및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를 포함한다.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외부 키를 통한 키 입력이 수신된 경우, 해당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음량 키(Button)가 눌린(Press) 경우, 해당 키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외부 키들 중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외부 키들 중에서 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하여,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경우,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횟수 이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외부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횟수 이상으로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기기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3회 이상 감지된 경우, 음량 감지 프로그램(115)은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경우,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외부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으로 키 입력이 유지되는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기기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3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음량 감지 프로세서(122)에 의해 제 1 라디오 및 제 1 TV가 감지된 경우, 제 1 라디오 및 제 2 TV가 포함된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목록에 디스플레이된 외부기기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외부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횟수 혹은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 입력되었으나, 전자 장치(100)의 무선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연결 가능한 무선 통신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선택된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들 중에서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 감지 시,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가 다수인 경우,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외부기기에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순위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횟수가 많은 순위, 가장 최근에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순위, 설계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순위 및 사용자 제어에 의한 순위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위일 수 있다. 만약,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와의 연결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미리 저장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음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외부기기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더하여,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이 수행된 경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연결된 외부기기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동영상이 재생중인 경우, 연결된 TV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음악이 재생중인 경우, 연결된 라디오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연결된 TV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외부기기를 통해 사운드(오디오 신호)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의 청력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의 음량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외부기기를 통해 사운드를 출력해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량은 설계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혹은 사용자 제어에 의해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외부기기를 통해 사운드를 출력해야하는 경우, 현재 연결된 외부기기가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와의 연결이 종료되기 직전의 음량을 출력해줄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기기가 연결된 경우, 주기적으로 외부기기의 음량을 확인하고, 저장함을 가정으로 한다.
더하여,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 전체를 다수의 단계로 세분화하고, 연결된 외부기기의 음량 전체를 전자 장치(100)의 음량과 동일한 단계로 세분화하여, 음량의 각 단계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음량 전체가 10단계로 세분화된 경우, 외부기기 연결 프로세서(124)는 연결된 외부기기의 음량 전체를 10단계로 세분화하여 음량의 각 단계를 매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1단계 증가시키는 경우, 연결된 외부기기의 음량 또한 1단계 증가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201단계에서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횟수 이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203단계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기기를 확인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외부기기를 감지한 후, 확인하거나 혹은 미리 감지된 외부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기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외부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외부기기가 미리 감지된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미리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확인된 외부기기와 연결한다. 이때, 확인된 외부기기가 다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선택된 외부기기와 연결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수행중인 기능의 출력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동영상이 재생중인 경우, 연결된 TV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음악이 재생중인 경우, 연결된 라디오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연결된 TV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수단(211)을 포함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음량 조절을 위한 키(Button)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100)는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기기를 확인하는 수단(213)을 포함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100)는 확인된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수단(215)을 포함하며,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의 출력을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수단(217)을 포함한다. 이때, 외부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MP3, 네비게이션, 랩탑(Laptop), 넷북(Netbook), 컴퓨터(Computer), 텔레비전(Television), 냉장고 및 에어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301단계서,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생중인 음악을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303단계에서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가 아닌 경우, 전자 장치(100)는 3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추가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3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키 입력이 미리 설정된 조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조건은 키 입력 횟수 혹은 키 입력 유지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경우,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횟수 이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최대인 경우,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 입력이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309단계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중이 아닌 경우,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연결 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를 나타내는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 제어에 따라 선택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감지된 외부기기의 목록을 제공한 후, 313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된 목록에서 외부기기를 선택한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제어에 따라 선택된 외부기기를 선택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외부기기와 연결한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한다. 만약,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들 중에서, 전자 장치(100)와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 감지 시, 전자 장치(100)는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와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가 다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외부기기에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만약,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와의 연결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음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외부기기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한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연결된 외부기기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a 도시된 바와 같이,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횟수 이상으로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기기를 감지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외부기기 목록에서 라디오가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연결된 라디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전자 장치(100)를 통해 출력하지 않고, 연결된 라디오를 통해서만 출력하거나 혹은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전자 장치(100) 및 라디오를 통해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5a 도시된 바와 같이,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시간 이상으로 키 입력이 유지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기기를 감지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외부기기 목록에서 TV가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동영상을 연결된 라디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6a 도시된 바와 같이,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횟수 이상으로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기기를 감지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외부기기 목록에서 TV가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를 연결된 TV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실시 예 및 모든 기능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 및 이들의 균등 구조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firmware), 또는 하드웨어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발 명의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실행되거나 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프로그램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머신 판독가능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머신 판독가능 전파 스트림에 영향을 주는 물질의 구성,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라는 용어는 예로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모든 기기, 장치 및 머신을 포함한다. 기기는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구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한다.

Claims (25)

  1. 전자 장치의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기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의 출력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거나 같은 횟수만큼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 기기를 감지하거나 혹은 미리 감지된 상기 외부기기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 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를 나타내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가 다수인 경우, 상기 다수의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들 중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의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들 중에서 상기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가 다수인 경우,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의 출력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중인 사운드를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MP3, 네비게이션, 랩탑(Laptop), 넷북(Netbook), 컴퓨터(Computer), 텔레비전(Television), 냉장고 및 에어컨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통신 시스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의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와 연결한 후, 상기 전자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의 출력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한 후,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거나 같은 횟수만큼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 기기를 감지하거나 혹은 미리 감지된 상기 외부기기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중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 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를 나타내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가 다수인 경우, 상기 다수의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들 중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의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를 식별한 후,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들 중에서 상기 연결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가 다수인 경우,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외부기기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중인 사운드를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출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MP3, 네비게이션, 랩탑(Laptop), 넷북(Netbook), 컴퓨터(Computer), 텔레비전(Television), 냉장고 및 에어컨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
  25. 삭제
KR1020130038683A 2013-04-09 2013-04-09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9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83A KR101999762B1 (ko) 2013-04-09 2013-04-09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14162699.4A EP2790392B1 (en) 2013-04-09 2014-03-31 Method for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4/244,163 US9288609B2 (en) 2013-04-09 2014-04-03 Method for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83A KR101999762B1 (ko) 2013-04-09 2013-04-09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75A KR20140122075A (ko) 2014-10-17
KR101999762B1 true KR101999762B1 (ko) 2019-07-12

Family

ID=5062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683A KR101999762B1 (ko) 2013-04-09 2013-04-09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88609B2 (ko)
EP (1) EP2790392B1 (ko)
KR (1) KR101999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943B1 (ko) * 2015-05-20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가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전자 장치
KR20170059816A (ko) * 2015-11-23 2017-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56840B1 (ko) * 2017-01-20 202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33966A (ko) * 2017-09-22 201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53752A (ko) 2018-11-09 202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144836A (ko) *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049972B (zh) * 2019-11-20 2021-04-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方法及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8475A1 (en) * 2006-03-30 2007-10-11 Goedken Terrance J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priority list
US20120110452A1 (en) * 2010-10-29 2012-05-03 Nokia Corporation Software application output volum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976B1 (ko) 1999-05-31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389829B1 (ko) 2001-06-15 200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에서 볼륨키의 조작으로 소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20060071902A (ko) * 2004-12-22 2006-06-27 컴텍주식회사 소음 차단용 헤드 셋
KR20070076328A (ko) 2006-01-18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뮤직 사운드 고속 감소장치 및감소방법
US7983612B2 (en) * 2007-01-08 2011-07-19 Varia Holdings Llc Controlling of wireless connection of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n illumination component or switch
US7649456B2 (en) * 2007-01-26 2010-01-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ed as a home controller
JP2008193149A (ja) * 2007-01-31 2008-08-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TW200913758A (en) * 2007-06-01 2009-03-16 Manifold Products Llc Wireless digital audio player
JP2009159188A (ja) * 2007-12-26 2009-07-16 Hitachi Ltd コンテンツ表示用サーバ
US20090303185A1 (en) * 2008-06-04 2009-12-10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n improved operating mode
US20100066677A1 (en) * 2008-09-16 2010-03-18 Peter Garrett Computer Peripheral Device Used for Communication and as a Pointing Device
KR20130007811A (ko) * 2011-07-11 2013-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8781828B2 (en) * 2012-04-26 2014-07-1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95687B2 (en) * 2012-08-01 2015-03-31 Sonos, Inc. Volume interactions for connected playback devices
US20140075311A1 (en) * 2012-09-11 2014-03-13 Jesse William Boettcher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on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8475A1 (en) * 2006-03-30 2007-10-11 Goedken Terrance J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priority list
US20120110452A1 (en) * 2010-10-29 2012-05-03 Nokia Corporation Software application output volum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0392B1 (en) 2020-01-08
EP2790392A1 (en) 2014-10-15
US9288609B2 (en) 2016-03-15
KR20140122075A (ko) 2014-10-17
US20140302799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5379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1999762B1 (ko)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459759B2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use histor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07861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1948645B1 (ko)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614061B (zh) 显示方法及终端
US11658932B2 (en) Message send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2090745B1 (ko) 전자장치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359436A1 (en)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4021536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US9798512B1 (en) Context-based volume adjustment
US201600069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20043564A1 (en) Method for inputting content and terminal device
US973389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arching content
CN102646037A (zh) 菜单显示处理方法和终端设备
KR20120079925A (ko) 휴대 단말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244627A1 (en) Method for providing phone book service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3804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forwarding an incoming call according to a remaining battery capacity
WO2017005080A1 (zh) 网页显示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15014138A1 (zh) 一种显示框显示的方法、装置和设备
US201800043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in portable terminal
WO2015070718A1 (en) Communication number notif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243668B2 (en) User 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of multimedia data on terminals
WO201501827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ound events
US201202944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call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