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836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836A
KR20200144836A KR1020190072969A KR20190072969A KR20200144836A KR 20200144836 A KR20200144836 A KR 20200144836A KR 1020190072969 A KR1020190072969 A KR 1020190072969A KR 20190072969 A KR20190072969 A KR 20190072969A KR 20200144836 A KR20200144836 A KR 2020014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viding
providing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ent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란
배무공
하남수
박별
이봉석
정고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836A/ko
Priority to PCT/KR2020/006876 priority patent/WO2020256306A1/en
Priority to EP20827355.7A priority patent/EP3906700B1/en
Priority to US16/894,284 priority patent/US11122319B2/en
Publication of KR2020014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836A/ko
Priority to US17/402,156 priority patent/US1160170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6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by muting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코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TV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소스(컨텐츠 제공 장치)가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및 상황에 따라 컨텐츠 소스가 빈번하게 변경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셋탑 박스, TV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스마트 폰 등을 컨텐츠 소스로 선택하여 이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TV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다만, 컨텐츠 소스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컨텐츠 소스의 현재 설정 볼륨이 작거나 뮤트(mute) 상태인 경우에도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TV의 원격 제어 장치로 TV의 볼륨을 조작한다. 다만, 이 경우 TV 볼륨을 높게 조작하더라도 컨텐츠 소스의 설정된 볼륨 상태로 인해 사용자가 청취하는 볼륨은 크게 증가되지 않아 사용자는 TV 결함으로 오인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는, 사용자가 컨텐츠 소스의 설정 볼륨을 높이기 위해 컨텐츠 소소의 원격 제어 장치를 별도로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상태를 파악하여 전자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로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을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코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연결 히스토리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코드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한 각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른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응답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 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하나의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뮤트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가 특정 타입의 컨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타입의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뮤트(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조정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화면을 기설정된 주기로 캡쳐하여 복수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캡쳐 이미지 간 픽셀 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추가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UI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UI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UI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U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임계 값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코드 정보가 저장된 제어 방법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뮤트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연결 히스토리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한 각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른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응답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 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하나의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뮤트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가 특정 타입의 컨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타입의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뮤트(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조정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출력 화면을 기설정된 주기로 캡쳐하여 복수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캡쳐 이미지 간 픽셀 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추가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UI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UI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UI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U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뮤트 상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임계 값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낮거나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 경우를 식별하여 전자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로 컨텐츠 제공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원격 제어 장치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륨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코드 정보가 저장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은 전자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셋탑 박스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 폰 등으로 다양한 타입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이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업자 및 컨텐츠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업자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You TubeTM, 넷플릭스TM 등)을 이용하여 서버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기기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셋탑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휴대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작게 설정되거나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입력을 하더라도 실제로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리의 크기는 미미하게 증가하거나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뮤트 상태란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에서 뮤트 버튼이 눌리거나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0이되어 출력되는 소리가 없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의 볼륨 값이 낮게 설정되거나 셋탑 박스가 뮤트 상태인 경우, TV 리모컨을 통해 TV 볼륨 값을 증가시키더라도 실질적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는 증가되지 않아 사용자는 TV 문제로 오인하거나 셋탑 박스의 볼륨 값을 증가시키는 별도의 조작이 필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상태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제어하는 명령을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제어하는 명령으로 전환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및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각각으로부터 컨텐츠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원격 제어 장치로 전자 장치(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와이파이 모듈(미도시), 블루투스 모듈(미도시), IR(infrared) 모듈, LAN(Local Area Network) 모듈,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이더넷(Ethernet), USB(Universal Serial Bus), MIPI CS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Camera Serial Interfac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IR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미러링 기능을 이용하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와이파이 모듈로 구현되어 스마트 폰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되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셋탑 박스로 구현되는 경우, HDMI에 의해 연결된 셋탑 박스로부터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정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뮤트 설정 정보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고유한 식별 번호, 식별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고,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코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코드 정보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이며,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의 각 키에 대한 정보 및 각 키를 선택하면 발생하는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파형)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어떤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연결될지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므로 메모리(120)는 서로 다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 각각의 제어 코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코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연결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연결 히스토리란 컨텐츠 제공 장치(200) 별로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 및 연결된 이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별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코드 정보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연결 히스토리 등은 임베디드 서버, 외부 서버 등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상태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기설정된 타입의 제어 신호가 이러한 판단을 위한 트리거 신호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이며,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와 혼동 방지를 위해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는 단순히 "원격 제어 장치”로 기재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장치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로 기재한다.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 수신이란 임계 시간 내에 임계 횟수 이상이 수신되는 경우일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시간은 전자 장치(100)의 제조시에 기 설정되거나, 전자 장치(100)의 사용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작게 설정되거나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키더라도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리의 크기의 증가는 미미하거나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볼륨 값 조작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원격 제어 장치의 볼륨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버튼을 연속적으로 임계 횟수 이상 누르거나, 임계 시간 이상 누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되는 신호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제어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기설정된 레벨만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코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레벨은 기 저장되어 있거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의 횟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복수의 제어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횟수가 3회인 경우, 볼륨 값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5회 수신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최초 3회의 신호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3 단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최초 3회의 신호를 트리거 신호로 인식하여 3회 이후에 전송된 2회의 신호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2 단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상태 정보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정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뮤트 설정 정보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뮤트 상태란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에서 뮤트 버튼이 눌리거나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0이되어 출력되는 소리가 없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LKFS란 사람의 청각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볼륨 값의 표준 단위를 의미한다.
일 예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LKFS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설정된 볼륨 값에 대응되는 소리의 크기가 -24dB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인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설정된 볼륨 값에 대응되는 소리의 크기가 -80db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 상태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수신된 제어 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에 기본 설정된 장치(전자 장치(100))가 아닌 다른 장치(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제어 하기 위한 MBR(Multi-Brand Remote) 신호이며,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와 동일한 신호이거나 수신된 제어 신호가 변환된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정보를 메모리(120)로부터 획득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전송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정보 또는 인포 프레임(Infoframe) 등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CEC 정보는 HDMI로 연결된 장치들이 서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인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간 주고받는 정보로서,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포 프레임은 소스에서 싱크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포함된 구조이며, 이러한 데이터에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고유한 식별 번호, 식별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캡쳐된 화면에 포함된 소스 식별 정보, 컨텐츠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어 식별되면 프로세서(130)는 해당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연결 히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 해당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면 프로세서(130)는 연결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스니핑은 제어 신호에 포함된 패킷 정보를 해킹하는 동작이며, 프로세서(130)는 패킷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의 도달 대상인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패킷 정보와 유사한 패킷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한 각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응답 상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 중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된 후보 제어 코드 정보가 A, B 및 C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코드인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순차적으로 A, B 및 C의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기설정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순차적으로 수신된 기설정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A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볼륨 증가 신호, B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볼륨 증가 신호 및 C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볼륨 증가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응답하는 시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 중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가 B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볼륨 증가 신호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한 후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증가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B 컨텐츠 제공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가 B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므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가 B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신호라는 정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시점 정보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응답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어떠한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응답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A, B 및 C의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A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볼륨 증가 신호, B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볼륨 감소 신호 및 C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채널 변경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응답하는 기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 중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볼륨 감소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B 컨텐츠 제공 장치임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은 연결 히스토리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미도시)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특정 이미지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하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원격 제어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특정 이미지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이미지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이며,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로고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업자 로고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메뉴 화면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30)는 후보 제어 코드 정보 A, B 및 C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화면은 일 예일 뿐 이미지 분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면 해당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어 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기설정된 채널의 영상을 전자 장치(100)로 제공하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원격 제어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기설정된 채널의 영상을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셋탑 박스인 경우, 셋탑 박스의 사업자 별로, 같은 채널 번호라도 서로 다른 방송국의 영상을 제공하기도 한다. 예컨대, A 셋탑 박스에서는 1번 채널에 CBS가 대응되고, B 셋탑 박스에서는 1번 채널에 NBC가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1 번 채널의 영상을 전자 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 CBS 로고가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A 셋탑 박스인 것으로 식별하고, 이미지 내에 NBC 로고가 있으면 B 셋탑 박스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의 문자 인식 방식을 통하여 이미지 내 로고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식별되면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모든 제어 코드 정보를 메모리(1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하기 위해 A 제어 코드 정보에 포함된 볼륨 증가에 관한 제어 코드 정보 만을 획득하였으나, 이후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A 컨텐츠 제공 장치이면 프로세서(130)는 A 컨텐츠 제공 장치의 모든 제어 코드 정보를 메모리(1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에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가 특정 타입의 컨텐츠이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더라도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지 않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타입의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뮤트(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조정되는 컨텐츠이며, 예를 들어, 특정 타입의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메뉴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자동으로 출력되는 볼륨이 감소될 수 있다.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메뉴 화면에 의해 가려지게되어 현재 메뉴 화면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우선 순위가 메뉴 화면 보다 낮아지며 사용자가 메뉴 화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뮤트(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에 볼륨 값을 임계 값 이하 또는 뮤트 상태로 자동 조정되는 경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하는 기능이므로, 이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더라도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에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가 특정 타입의 컨텐츠라는 정보를 제공받거나 디스플레이의 출력 화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화면을 기설정된 주기로 캡쳐하여 복수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고, 복수의 캡쳐 이미지 간 픽셀 값 차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캡쳐 이미지의 픽셀 값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이미지 내의 전체 픽셀들을 n*m 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블록들로 구분하고 각 블록의 위치에 따른 픽셀 값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캡쳐 이미지 간 각 블록의 위치에 따른 픽셀 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를 식별하고, 임계 값 이하인 캡쳐 이미지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식별되면 디스플레이에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출력 화면의 픽셀 값은 크게 변경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메뉴 화면의 출력 여부가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1초 주기로 출력 화면을 캡쳐하고 연속된 3개의 캡쳐 이미지 간 픽셀 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에 메뉴 화면이 출력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특정 타입의 컨텐츠의 픽셀 값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픽셀 값 정보와 캡쳐 이미지의 픽셀 값 간 차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메뉴 화면을 구성하는 각 블록의 위치에 따른 픽셀 값을 메모리(12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의 출력 화면을 기설정된 주기로 캡쳐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캡쳐 이미지의 픽셀 값을 식별하고, 저장된 메뉴 화면의 픽셀 값 및 캡쳐 이미지의 픽셀 값을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저장된 메뉴 화면의 픽셀 값 및 캡쳐 이미지의 픽셀 값 차이가 임계 값 이하인 캡쳐 이미지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식별되면 디스플레이에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30)는 이미지의 블록 구분 없이 픽셀 평균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주기로 디스플레이의 출력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 내에 특정 타입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표식이 있으면, 디스플레이에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쳐된 이미지 내에 "전체 메뉴", "메뉴", "설정" 등과 같이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표식이 디스플레이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에 메뉴 화면이 출력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의 문자 인식 방식을 통하여 특정 타입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표식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의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에 도달한 이후에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추가적으로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볼륨 값이 임계 값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볼륨 값이 임계 값에 도달한 이후에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추가적으로 수신되면 더 이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킬 필요는 없으므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임계 값이 15이고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며 현재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13인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증가시켜 15에 도달한 이후에도 볼륨 값 증가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15에 도달한 이후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임계 값 이후에는, 원격 제어 장치가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로 전환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환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로 실시간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 정보를 전송하거나 특정 시점에서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정보 및 원격 제어 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가 특정 시점(예를 들어, 현재 시점)부터 볼륨 변경 명령이 원격 제어 장치에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라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임계 값에 도달한 이후부터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로 전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식별하고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동작하지 않도록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동작하면 하나의 제어 명령에 전자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모두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 및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가 중첩되지 않도록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 또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상승하여 임계 값에 도달하는 경우, 제1 제어 명령 이후 연속하여 입력되는 제2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이 상승할 수 있다. 제1 제어 명령 및 제2 제어 명령은 짧은 시간 내에 입력될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 및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 또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제어하여 볼륨 UI가 중첩되어 표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가 표시되고 사라진 후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를 표시하거나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 만을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 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제어가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제어를 가이드하는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임계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임계 값을 예측하는 모델일 수 있다.
일 예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각 컨텐츠 제공 장치(200) 별로 볼륨 히스토리를 관리하고, 볼륨 히스토리를 학습하여 각 컨텐츠 제공 장치(200) 별로 임계 값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식별된 임계 값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재 학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학습 네트워크 모델과 관련된 기능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30) 및 메모리(120) 또는 데이터 학습 서버(미도시)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 AP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기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에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원하는 특성의 학습 네트워크 모델이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학습 네트워크 모델이 수행되는 기기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시스템을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레이어는 복수의 가중치(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의 연산을 통해 레이어의 연산을 수행한다. 신경망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이 있으며, 본 개시에서의 신경망은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학습 알고리즘은,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대상 기기(예컨데, 로봇)을 훈련시켜 소정의 대상 기기 스스로 결정을 내리거나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있으며, 본 개시에서의 학습 알고리즘은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에서는 볼륨 값에 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은 볼륨 값 이외의 다른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채널 변경 명령이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채널이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채널 변경 명령이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사용자의 목적은 전자 장치(100)의 채널이 아닌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채널 변경에 있는 것으로 식별하여 프로세서(130)는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원격 제어 장치가 수신된 제어 신호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 조작 없이도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채널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가 전자 장치(100)의 전용 리모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가 전자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모두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콘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로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사용자 입력부(140), 디스플레이(150) 및 스피커(16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영상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1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132)를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메인 CPU(131), GPU(132), NPU(133)를 포함한다.
메인 CPU(131)는 메모리(12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CPU(131)가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20)에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액세스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GPU(132)는 그래픽처리를 위한 고성능의 처리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빠르게 처리하고 바꾸어 화면으로 출력할 프레임 버퍼 안의 영상 생성을 가속하도록 설계된, 전문화된 전자 회로일 수 있다. 또한, GPU(132)는 VPU(Visual Processing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NPU(133)는 AI 칩셋(또는 AI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으며 AI 가속기(AI accelerator)일 수 있다. NPU(133)는 딥뉴럴네트워크 수행에 최적환 된 프로세서 칩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NPU(133)는 GPU(132)를 대신하여 딥러닝 모델을 실행하는 처리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NPU(133)는 GPU(132)와 함께 딥러닝 모델을 실행하는 처리 장치에 해당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 및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변경 명령, 볼륨 값 변경 명령 등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명령을 음성 형태로 수신하기 위해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거나, 사용자 명령을 터치로 입력 받기 위한 디스플레이(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150)가 구비된 전자 장치(예를 들어,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150)가 구비되지 않은 셋탑 박스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가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스피커(160)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된 소리의 크기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작거나 뮤트 상태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이 크더라도 사운드가 사용자에게 작게 들리거나 들리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도 3과 같이 스피커(160)가 구비된 전자 장치(예를 들어,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스피커(160)가 구비되지 않은 셋탑 박스 등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가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에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연결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연결 히스토리를 확인하여 현재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연결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①).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신규 연결로 확인되면 해당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연결 히스토리에 추가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기존 연결 이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120)로부터 해당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②).
또는,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한 각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응답 상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 중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하나의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정보를 메모리(1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②).
이후,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③).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에 볼륨 값 증가 신호가 연속적으로 5회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④).
여기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상태 정보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정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뮤트 설정 정보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언뮤트(unmute)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⑥). 원격 제어 장치는 수신된 언뮤트(unmute)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언뮤트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언뮤트 상태는 뮤트 상태가 되기 이전의 볼륨 값을 갖는 상태 또는 임계 값으로 변경된 상태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가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⑦).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인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⑧).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볼륨 값이 임계 값에 도달한 이후에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볼륨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추가적으로 수신되면 더 이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킬 필요는 없으므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아닌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가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볼륨 증가 신호에 기초하여 볼륨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⑨).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원격 제어 장치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이다.
도 5에 도시된 ① 내지 ⑨의 각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① 내지 ⑨와 동일한 단계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100)에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연결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연결 히스토리를 확인하여 현재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연결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①).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기존 연결 이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120)로부터 해당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②).
또는,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400)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②).
이후,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③).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④).
전자 장치(10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⑤).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언뮤트(unmute)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⑥).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가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⑦).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인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⑧).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가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볼륨 증가 신호에 기초하여 볼륨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⑨).
각 단계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란 사람의 청각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볼륨 값의 표준 단위를 의미한다.
일 예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LKFS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설정된 볼륨 값에 대응되는 소리의 크기가 -24dB 이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인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설정된 볼륨 값에 대응되는 소리의 크기가 -80db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 상태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t1부터 t2까지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인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t2부터 t3 동안의 볼륨 값에 대응되는 소리의 크기는 -80dB 미만이므로 전자 장치(100)는 해당 기간 동안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 상태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t3 이후의 시간에서 볼륨 값에 대응되는 소리의 크기는 -24dB 이하 -80dB 미만이므로 전자 장치(100)는 해당 기간 동안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리스트를 도시한 것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장치 정보가 획득되기 전의 소스 리스트(710)와 장치 정보가 획득된 후의 소스 리스트(720)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이와 같은 소스 리스트는, 원격 제어 장치(300)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장치 정보를 획득하였다면, 획득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소스 명을 갱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장치 정보가 획득되기 전에는 갱신 전 소스 리스트(710)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서는 소스의 포트 이름(HDMI 1, HDMI 2, AV 1, 등)을 포함한 소스 리스트가 제공되지만, 장치 정보가 획득된 후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식별 정보(G-cast, S Blu-ray Disk, S-USB 등)를 포함한 소스 명으로 갱신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신된 소스 리스트(720)에는 사업자 정보, 기기 종류 등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갱신된 소스 리스트(720)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셋탑 박스로 구현되는 경우 사업자 정보와 기기 종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블루레이, DVR, HTS(home theater system)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기기 종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OTT(Over The Top), 게임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조사 정보 및 기기 이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갱신된 소스 리스트(720)에는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사업자 정보, 기기 종류 등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 직접 기기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장치 정보는 상술한 것과 같이 소스 명 갱신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외부 서버로 전송되어 수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서버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에 대응되는 EPG를 외부 서버가 전자 장치(10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장치 정보는 통계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륨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상승하여 임계 값에 도달하는 경우, 제1 제어 명령 이후 연속하여 입력되는 제2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이 상승할 수 있다. 제1 제어 명령 및 제2 제어 명령은 짧은 시간 내에 입력될 경우 도 8의 좌측 도면과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810) 및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820)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810) 및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820)가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두 UI(810, 820)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어 서로의 정보를 방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 또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제어하여 볼륨 UI가 중첩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우측 도면과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810)가 표시되는 시점에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820)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 또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 중 하나 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에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가 특정 타입의 컨텐츠이면,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더라도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타입의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뮤트(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조정되는 컨텐츠이며, 도 9와 같이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메뉴 화면일 수 있다.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메뉴 화면에 의해 가려지게되어 현재 메뉴 화면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우선 순위가 메뉴 화면 보다 낮아지며 사용자가 메뉴 화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뮤트(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의 특성으로 인해 볼륨 값이 감소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필요는 없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코드 정보가 저장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10).
여기서, 상태 정보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정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뮤트 설정 정보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102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임계 값 이하 또는 뮤트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1030).
다만,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가 특정 타입의 컨텐츠이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타입의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뮤트(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조정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출력 화면을 기설정된 주기로 캡쳐하여 복수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고, 복수의 캡쳐 이미지 간 픽셀 값 차이에 기초하여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연결 히스토리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전송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원격 제어 장치(400)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를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한 각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의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300)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응답 상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 중 하나를 식별하고, 식별된 하나의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의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값이 임계 값에 도달한 이후에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추가적으로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 및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가 중첩되지 않도록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볼륨 UI 또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 U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임계 값을 식별할 수 있다.
각 단계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메모리 130 : 프로세서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디스플레이
160 : 스피커 200 : 컨텐츠 제공 장치
300 : 전자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
400 : 컨텐츠 제공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코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연결 히스토리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코드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한 각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른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응답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 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하나의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뮤트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가 특정 타입의 컨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특정 타입의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뮤트(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조정되는 컨텐츠인,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화면을 기설정된 주기로 캡쳐하여 복수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캡쳐 이미지 간 픽셀 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추가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UI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UI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UI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U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임계 값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11.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코드 정보가 저장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값이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뮤트 상태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연결 히스토리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컨텐츠 제공 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한 각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른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응답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제어 코드 정보 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하나의 제어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뮤트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가 특정 타입의 컨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지 않으며,
    상기 특정 타입의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뮤트(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조정되는 컨텐츠인,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출력 화면을 기설정된 주기로 캡쳐하여 복수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캡쳐 이미지 간 픽셀 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추가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UI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UI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볼륨 UI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U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뮤트 상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현재 볼륨 값이 상기 임계 값 이하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뮤트(mute)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임계 값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90072969A 2019-06-19 2019-06-1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44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69A KR20200144836A (ko) 2019-06-19 2019-06-1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0/006876 WO2020256306A1 (en) 2019-06-19 2020-05-28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0827355.7A EP3906700B1 (en) 2019-06-19 2020-05-28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6/894,284 US11122319B2 (en) 2019-06-19 2020-06-05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7/402,156 US11601705B2 (en) 2019-06-19 2021-08-13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69A KR20200144836A (ko) 2019-06-19 2019-06-1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836A true KR20200144836A (ko) 2020-12-30

Family

ID=7403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969A KR20200144836A (ko) 2019-06-19 2019-06-1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122319B2 (ko)
EP (1) EP3906700B1 (ko)
KR (1) KR20200144836A (ko)
WO (1) WO202025630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0139A (zh) * 2021-03-10 2021-06-22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3085477A1 (ko) * 2021-11-15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39004A1 (ko) * 2022-08-19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836A (ko) *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727633A (zh) * 2019-09-17 2020-01-24 广东高云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SoC FPGA的边缘人工智能计算系统构架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731A (ko) * 1997-04-29 1998-11-25 배순훈 티브이의 음성 뮤트 해제 제어방법
KR100790102B1 (ko) 2001-11-1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볼륨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61440B1 (ko) 2004-07-24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변경에 따른 음량 자동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06020560A2 (en) * 2004-08-09 2006-02-23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audio/visual content from various sources
JP2007067539A (ja) * 2005-08-29 2007-03-15 Seiko Epson Corp 音声出力装置、音量増加方法、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音量増加プログラム、音量増加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0820673B1 (ko) * 2006-05-11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70110583A (ko) 2006-05-15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기기에서의 오디오 볼륨 조절장치 및 방법
KR101356483B1 (ko) 2006-11-23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US8977974B2 (en) * 2008-12-08 2015-03-10 Apple Inc. Ambient noise based augmentation of media playback
KR20100129440A (ko) 2009-06-01 2010-12-09 주식회사 아이티사룩스 Pc 일체형 tv의 오디오 볼륨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99762B1 (ko) * 2013-04-09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632746B2 (en) * 2015-05-18 2017-04-25 Echostar Technologies L.L.C. Automatic muting
US9886233B2 (en) * 2015-10-23 2018-02-06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content diagnostics
US9508253B1 (en) 2015-12-10 2016-11-29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 remote control device
KR20170081953A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407127B1 (ko) 2016-01-05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06380B1 (ko) * 2016-01-05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15036B1 (ko) 2016-07-05 2022-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7901A (ko) 2016-09-07 2018-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8703A (ko) 2016-09-09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설정 방법
KR102519165B1 (ko) * 2016-11-24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200144836A (ko) *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0139A (zh) * 2021-03-10 2021-06-22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010139B (zh) * 2021-03-10 2023-09-05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3085477A1 (ko) * 2021-11-15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39004A1 (ko) * 2022-08-19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6700B1 (en) 2024-03-20
US11601705B2 (en) 2023-03-07
EP3906700A4 (en) 2022-07-27
US11122319B2 (en) 2021-09-14
EP3906700A1 (en) 2021-11-10
US20210377588A1 (en) 2021-12-02
US20200404358A1 (en) 2020-12-24
WO2020256306A1 (en)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483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78927B2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869079B2 (e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f peripheral device
CN108737888A (zh) 显示设备、显示系统以及用于控制显示设备的方法
KR102443079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05735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0946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1105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1032811A1 (en) Selecting an image analysis area based on a comparison of dynamicity levels
KR20220072493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82332B1 (ko) 전자 장치, 이의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23031933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18000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302101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fingerprint database,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system
US2022016529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1617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40028164A (ko)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KR2023004880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75781A (ko) 오디오신호 처리를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26000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42792A (ko) 오디오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25993A (ko)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3286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43872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05511A (ko) 특정 서비스를 수행하는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