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879B1 -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879B1
KR101998879B1 KR1020180077392A KR20180077392A KR101998879B1 KR 101998879 B1 KR101998879 B1 KR 101998879B1 KR 1020180077392 A KR1020180077392 A KR 1020180077392A KR 20180077392 A KR20180077392 A KR 20180077392A KR 101998879 B1 KR101998879 B1 KR 101998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locking device
identifier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천우
최대훈
Original Assignee
(주)한컴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컴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한컴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18007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8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8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31
    • G07C9/00103
    • G07C9/00119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07C2009/003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and the lock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unmanned crossing gate for controlling the entry and exit of a user′s parking lot. The control method can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distance between a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and the crossing gat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step of transmitting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and the crossing gat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step of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in the terminal, and a step of opening the crossing gat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data.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인 차단장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n unmanned shut-

본 출원은 주차장에 이용되는 차단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및/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단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blocking device used in a parking l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blocking device using near-field and / or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들에게 자동차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실제로 현재 대한민국에 등록 된 자동차는 2000만대를 훌쩍 넘는 상황이며, 이렇게 자동차가 사회구성원들에게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주차공간 부족이라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정당하게 주차 할 수 있는 공간은 자동차를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공간으로 인식 될 수 밖에 없으며 결국 이런 상황과 맞물려 도심에서는 많은 주차장들이 생겨나고 또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주차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절대적인 공간의 부족, 주차장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 및 주차장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인력 비용 등의 이유로 인해 충분한 주차장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Automobiles are becoming an indispensable necessity for the society members living in modern society. In fact, the number of registered cars in Korea is over 20 million, and as the automobile becomes a necessity for the members of society, it is faced with a new problem of shortage of parking spaces. A parking space that is legitimately parked must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space for all people using the car. Eventually, many parking lots are being created and maintained in the city center.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re is not enough parking space because of lack of absolute space that can be used as parking lot, cost for installing parking equipment, and personnel cost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parking lot.

또한 어렵게 주차장을 찾는다 하더라도 이미 주차장 내에 주차 가능한 공간이 없어서 주차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다반사이다.Also, even if it is difficult to find a parking lot, there is no parking space in the parking lot.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사의 주차장과 같이 출퇴근 시간 외에 비어 있는 주차장이나, 교회의 주차장과 같이 지정된 시간 외에는 비어있는 주차장 또는 비어있는 시간이 많은 노면을 공유하여 주차장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utilize an empty parking lot other than a commute time, such as a parking lot of a company, or an empty parking lot other than a designated time, such as a church parking lot, .

그러나 작은 규모의 주차장인 경우 사람을 고용해서 관리하지만 인건비가 비싸며 24시간 운영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고용해서 주차장을 관리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기존의 무인주차 관리 시스템은 대부분 중대형주차장으로 차량의 출입구가 명확히 구분되어 자동화가 가능하나 시설 투자비가 비싸며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주차장 공유를 위한 움직임에 제동이 가해지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small-sized parking lot, it is managed by employing a person. However, it is costly to employ a person to hire a person to operate the system 24 hours a day, and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is mostly a medium- The entrance is clearly separated and automation is possible, but the investment cost is high and the maintenance is difficult, so the movement to share the parking lot is braking.

또한 이를 위해서는 주차가능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를 해줘야 하지만 기존의 주차면 내에 주차가능여부를 확인하는 설비는 그 설치 비용이 비싸고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In order to do so, the user must be notified of the availability of parking, but the facility for checking the availability of parking within the existing parking space h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또한 주차장 관리를 위한 차단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번호인식을 통하여 주차장 및 차단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기술적, 비용적 문제에 직면 할 수 있으며, 차단장치의 오작동여부에 대하여 인력을 통하여 확인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stalling a blocking device for the parking lot management, it is technically and costly to control the parking lot and the blocking device through number recognition, and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malfunction of the blocking device through the manpower You can face i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주차 및 출차 의도를 파악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차단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blocking device appropriately according to a situation by grasping the intention of parking and departing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차단 장치 및 상기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과 상기 차단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차단 장치로부터 상기 차단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게 상기 주차장에의 출입 요청 및 상기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장에의 출입을 위한 인증 데이터 -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식별자와 대응됨 - 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 장치가 오픈되도록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차단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a parking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access to a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parking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parking lo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locking devi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btaining an identifier of the blocking device from the blocking device, requesting the server to access the parking lot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er, authentication data for accessing the parking lot from th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interception device such that the interception device is opened.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 및 주차장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차단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차장을 관리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차단 장치에의 출입 요청 및 상기 차단 장치에서 부여된 상기 차단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주차장에의 출입을 위한 인증 데이터 -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식별자와 대응됨 - 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차단 장치가 개방된 경우, 상기 차단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차장에 진입 가능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에 진입 가능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주차장의 이용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 server for managing the parking lot by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device carried by a user and a blocking device controlling access to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request for access to the blocking device from th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an identifier of the blocking device assigned to the parking lot; checking whether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a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if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identifier stored in advance, Wherein the authentication data is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the information about the time when the user can enter the parking lot from the blocking device when the blocking device is opened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Based on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parking lot, It may include the step of managing the usage of the user of the car park.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주차장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과 상기 차단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과 상기 차단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단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인증이 수행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차단 장치를 오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b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entrance / exit of a user into a parking lot,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held by the user and the blocking devi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having the terminal and the blocking devi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en the terminal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And opening the blocking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data.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the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ie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Range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 However, if a specific term is defined as an arbitrar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the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displayed as necessary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mobi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But als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scu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차단 장치 및 상기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상기 단말과 상기 차단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차단 장치로부터 상기 차단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게 상기 주차장에의 출입 요청 및 상기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장에의 출입을 위한 인증 데이터 -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식별자와 대응됨 - 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 장치가 오픈되도록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차단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parking control server for managing access to and from a parking lot, and a parking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parking lot,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locking devi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an identifier of the interception device from the blocking device; requesting the server to access the parking lot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er; authentication data for accessing the parking lot from the server, Obtaining the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and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blocking device so that the blocking device is opened.

여기서, 상기 차단 장치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차단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erein,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including the step of performing pairing with the blocking device using the identifier of the b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기 이전에, 상기 차단 장치와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는 단말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provided before the terminal obtains the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serv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erminal, which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erver and the server.

여기서, 상기 진입키를 상기 차단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 장치에 상기 차단 장치의 오픈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ntry key to the interception device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the interception device to open the interception device.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 및 주차장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차단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차장을 관리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차단 장치에의 출입 요청 및 상기 차단 장치에서 부여된 상기 차단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주차장에의 출입을 위한 인증 데이터 -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식별자와 대응됨 - 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차단 장치가 개방된 경우, 상기 차단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차장에 진입 가능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에 진입 가능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주차장의 이용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server for managing a parking lot by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and a b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to a parking lot, Acquiring an identifier of the blocking device provided by the device; checking whether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identifier stored in advance; authentication data for accessing the parking lot if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identifier stored in advance;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the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when the blocking device is opened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user can enter the parking lot from the blocking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vehicle can enter the parking lot The control of the server comprises the step of managing the usage of the parking lot of the user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 장치가 개방되도록,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주차 차단 장치에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ere, a control method of a server that provides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parking block device so that the blocking device is opened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차단 장치와 LoRa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ere, a control method of a server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LoRa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blocking device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처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서버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ere, if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pre-stored identifier, a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that activates the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at the terminal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의 적어도 하나의 주차구역에 상기 사용자가 진입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의 적어도 하나의 주차구역에 상기 사용자가 진입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ble to enter at least one parking area of the car park; and if the user is able to enter at least one parking area of the car park, And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주차장의 적어도 하나의 주차구역에 상기 사용자가 진입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구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구역에 상기 사용자가 진입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ble to enter at least one parking zone of the car park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ble to enter the at least one parking zone from a sensor installed in the at least one parking zone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주차장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과 상기 차단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과 상기 차단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단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인증이 수행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차단 장치를 오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b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entry / exit of a user into a parking lot,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held by the user and the blocking devi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locking devi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in the terminal,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terminal And a step of opening the shielding device in response to receipt of the authentication data.

여기서, 상기 단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비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method of the intercep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user using the first beacon.

여기서, 상기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된 단말과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pairing with th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of the interception device transmitting or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data with the paired terminal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인증이 수행된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차단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는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ere, a control method of a blocking device in which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blocking device at the terminal is activated when the terminal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provided.

1.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1.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서버(200), 차단장치(300) 및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구성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서버 없이 상기 차단장치 및 단말만으로 구성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blocking device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server 200, a blocking device 300, and a terminal 400. 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100 may be a device having more or less configuration tha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control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only with the blocking device and the terminal without a server.

1.1 서버1.1 Server

상기 서버(200)는 상기 차단장치(300)와 데이터 통신하여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한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하여 식별자 및 식별자와 대응되는 인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차단장치(300) 및/또는 상기 단말(400)과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shutdown device 300 to obtain time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e server 200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terminal 400 to obtain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and the identifier . At this time, the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ception device 300 and / or the terminal 400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LoRa, LTE-M, sigfox, NB-IoT, Ingenu등의 사물 인터넷 통신망에 의해 상기 차단장치(300) 및/또는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interception device 300 and / or the terminal 400 by means of an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oRa, LTE-M, sigfox, NB-IoT,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서버(2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와이기그(Wigig),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더블유비(UWB, Ultra Wideband) 및 와이에이치디(WiHD)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차단장치(300) 및/또는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WiFi, Bluetooth, Beac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ZigBee, Wigi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The terminal 400 and / or the base station 200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an ultra wideband (UWB) But is not limited to, data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서버(200)는 주차장 내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차면 관리 장치와 데이터 통신 할 수 있다. 이 때, 주차면 관리 장치는 주차장 내에 차량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매립형 센서장치, CCTV를 이용한 센서장치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rver 200 may also be i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arking plane management device to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At this time,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may be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in the parking lot, and may be a buried type sensor device, a sensor device using CCTV,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1.2 차단장치1.2 Breaker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하여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한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하여 식별자를 제공하며, 식별자와 대응되는 인증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서버(200) 및/또는 상기 단말(400)과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interception device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to obtain time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e interception device 30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400 to provide an identifier, Authentication data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200 and / or the terminal 400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LoRa, LTE-M, sigfox, NB-IoT, Ingenu등의 사물 인터넷 통신망에 의해 상기 서버(200) 및/또는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interceptor 300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server 200 and / or the terminal 400 via an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oRa, LTE-M, sigfox, NB-IoT,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와이기그(Wigig),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더블유비(UWB, Ultra Wideband) 및 와이에이치디(WiHD)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서버(200) 및/또는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locking device 30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WiFi, Bluetooth, Beac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ZigBee, Wigig, RFID The terminal 200 and / or the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identification (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WiHD But is not limited to, data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차단장치(300)로의 접근을 판단하기 위한 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ing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loop for determining access of the user's vehicle to the blocking device 300.

1.3 단말1.3 Terminal

상기 단말(400)은 상기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 하여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와 대응되는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장치(300)와 데이터 통신하여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자와 대응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400)은 상기 서버(200) 및/또는 상기 차단장치(300)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terminal 400 is i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00 to transmit an identifier, obtain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data-communicate with the interception device 300 to obtain an identifier, It is possible to transmit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data. At this time, the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200 and / or the blocking device 300 by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예를 들어, 상기 단말(400)은 LoRa, LTE-M, sigfox, NB-IoT, Ingenu등의 사물 인터넷 통신망에 의해 상기 서버(200) 및/또는 상기 차단장치(300)와 데이터 통신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terminal 400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server 200 and / or the intercepting device 300 by means of an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oRa, LTE-M, sigfox, NB-IoT,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단말(400)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와이기그(Wigig),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더블유비(UWB, Ultra Wideband) 및 와이에이치디(WiHD)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서버(200) 및/또는 상기 차단장치(300)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erminal 400 may be a WiFi, a Bluetooth, a Beacon,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 ZigBee, a Wigig,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erver 200 and / or the intercepting device 300 and /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UWB), ultra wideband (UWB) But is not limited to, data communication.

또한 상기 단말(400)은 상기 차단장치의 오픈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공 할 수 있다.Also, the terminal 400 may provide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the opening of the blocking device.

1.4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1.4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차단 장치(300)의 오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locking device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blocking device 300 is open using data communication.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차단장치(300)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차단장치(300)는 단말(400)에 식별자를 제공(S210)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400)은 상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차단장치(300)에 대한 오픈 요청을 서버(200)를 향해 전송(S220)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공받은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식별자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와 대응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단말을 향하여 전송(S230)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단말(400)은 상기 전송 받은 인증데이터와 상기 차단장치(300)에 대한 오픈 요청을 상기 차단장치(300)를 향해 전송(S240)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전송 받은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여부를 결정(S250)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s vehicle approaches the blocking device 300, the blocking device 300 may provide an identifier to the terminal 400 (S210). At this time, the terminal 400 may transmit the open request to the server 200 (S220) by using the provided identifier and the interception device 300. At this time, the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provided identifier matches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to the terminal (S230). Here, the terminal 400 may transmi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data and the open request for the interception device 300 to the interception device 300 (S240). Also, at this tim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blocking device 300 is open based on the received authentication data (S250).

또한 상기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차단장치(3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와 상기 단말(400)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ing device control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erforming a pairing of the blocking device 300 and the terminal 400 using the identifier of the blocking device 300.

이 때, 단말(400)에 식별자를 제공하는 단계(S210)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접근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장치(300)로부터 일정거리 이하에서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감지하고, 상기 일정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다시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감지 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step S210 of providing the identifier to the terminal 400, the blocking device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accesses the vehicle, And can sense the user's vehicle again at a distance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식별자는 미리 저장된 식별자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er provided by the intercepting device 300 may be a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식별자는 상기 차단장치(300)가 상기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하여 제공받은 식별자일 수도 있다.Also, the identifier provided by the intercepting device 300 may be an identifier provided by the intercepting device 300 i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00.

또한 이 때, 서버(200)에 차단 장치(300)의 오픈요청과 함께 상기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S220)에 있어서, 상기 단말(400)은 사용자 입력부에서 발생된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200)를 향해 제공받은 식별자 및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in step S220, the terminal 400 transmits the identifier to the server 200 in response to an open request of the intercepting device 300, 200 and an open request of the intercepting device 300. In this case, At this time, the user input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f acquiring a necessary command from a user.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단말(400)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서버(200)를 향해 제공받은 식별자 및 상기 차단장치(3000)의 오픈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terminal 400 may transmit an identifier provided to the server 200 and an open request of the interception device 3000 even when no input data is generated in the user input unit.

또한 이 때, 단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30)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차단장치(3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미리 저장 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in the step S230 of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the server 200 may previously store an identifier identical to the identifier stored in advance in the blocking device 300. [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차단장치(300)로 제공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미리 저장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store an identifier identical to the identifier provided to the intercepting device 300 in advance.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의 일치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의 동일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의 상응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server 200 can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matches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server 200 in advan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is the same as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server 200, and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and the identifier provided to the server 200 Based on the correspondence of the identifiers stored in advance.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400)을 향해 상기 식별자와 대응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to the terminal 400 when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matches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server 200 in advance.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Also, the server 200 may not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f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does not match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server 200 in advance.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400)을 향해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비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server 200 may transmit unauthenticated data indicating that the identifiers do not match to the terminal 400 if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and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server 200 do not match .

또한, 상기 인증 데이터는 1회용 암호코드일 수 있다.Also,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a one-time password.

또한, 상기 서버(2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2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차면 관리 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에서 관리하는 모든 주차면이 차량 존재 상태인 경우 주차불가라고 판단 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에서 관리하는 주차면 중에 차량 비존재 상태인 주차면이 존재하는 경우 주차가능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can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At this time, the server 200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parking lot management device to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the parking is not possible when all the parking surfaces managed by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are in the presence state of the vehicle, and if there is a parking surface in the non-existent state among the parking surfaces managed by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It can be judged that parking is possible.

또한 상기 서버(2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 사용자 차량의 입차 횟수 및 출차 횟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와 동일하면 주차 불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 미만이면 주차 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판단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입차 횟수에서 상기 출차 횟수를 뺀 값과 주차장 내의 주차면 수를 비교하여 주차면 수의 값이 큰 경우 주차 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주차면 수가 상기 입차 횟수에서 상기 출차 횟수를 뺀 값 이하인 경우 주차 불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open times, the number of times of entry of the user vehicle, and the number of departure times of the shutoff device 300 i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hutoff device 3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based on this. For example, the server 200 compares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with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If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is equal to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 The server 200 compares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with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lot and determines that the parking is possible if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is less than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lot have. Also, 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compare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times of departure from the number of departure times and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on the basis of the judgment time point, and judge that parking is possible when the value of the parking space is large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arking is not possible when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times of departure from the number of times of entrance.

또한 상기 서버(2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하여 사용자 차량의 입차시간 및 출차시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입차시간 및 출차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차시간 이후 상기 출차시간 정보가 없는 사용자의 수와 주차장 내 주차면의 수를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server 200 can receive data on the entrance time and departure time of the user vehicle by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4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information, You may. 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compare the entrance time and departure time information to compare the number of users who do not have the departure time information after the entry time and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Can be determined.

이 때, 상기 주차장 내 주차가 불가능 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더라도 상기 단말(400)을 향해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If parking is not possible in the parking lot,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400 even if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matches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server 200 in advance, May not be transmitted.

또한, 상기 주차장 내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면 상기 단말(400)을 향해 주차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f it is impossible to park in the parking lot, the server 200 transmits a parking disabled message to the terminal 400 when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matches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server 200 in advance .

또한, 상기 서버(2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2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하기 위하여 주차면 관리 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에서 주차면에 주차된 시간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초로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Also, the server 200 can determine the parking fee of the outgoing vehicle. At this time, the server 200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arking lot management device to determine the parking rate of the outgoing vehicle. 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receive the parking tim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urface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and determine the parking rat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또한, 상기 서버(2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차단장치(300)에서 차단기가 오픈된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초로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also be i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blocking device 300 to determine the parking rate of the outgoing vehicle. 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receive time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breaker is opened in the blocking device 300, and may determine the parking fee of the outgoing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또한, 상기 서버(2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이 상기 차단장치(300)를 향해 차단장치 오픈 요청을 전송한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초로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400 to determine a parking fee of an outgoing vehicle. 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receive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400 transmits a request to open the shutoff device 300, and may determine the parking fee of the outbound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이 때, 상기 주차요금이 지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더라도 상기 단말(400)을 향해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따.In this case, if the parking fee is not paid,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400 even if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matches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server 200 in advance You may not be transmitting.

또한, 상기 주차요금이 지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면 상기 단말(400)을 향해 출차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f the parking fee is not paid, the server 200 transmits an out-of-service message to the terminal 400 when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matches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server 200 in advance Lt; / RTI >

또한 이 때, 차단장치(300)에게 차단장치(300)의 오픈요청과 함께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40)에 있어서, 상기 단말(400)은 사용자 입력부에서 발생된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장치(300)를 향해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 및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step S240, the terminal 40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intercepting device 300 together with the request to open the intercepting device 300. In step S240,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blocking device 300 and the open request of the blocking device 300 may b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user input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f acquiring a necessary command from a user.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단말(400)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차단장치(300)를 향해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 및 상기 차단장치(3000)의 오픈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terminal 400 can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interception device 300 and the open request of the interception device 3000 even when no input data is generated in the user input part.

또한 이 때, 상기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차단장치(300)의 오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50)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1회용 암호코드일 수 있다.Also, in this case, in the step S250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ception device 300 is ope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a one-time password.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주차가능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장치(3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차면 관리 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에서 관리하는 모든 주차면이 차량 존재 상태인 경우 주차불가라고 판단 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에서 관리하는 주차면 중에 차량 비존재 상태인 주차면이 존재하는 경우 주차가능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device 3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parking is possible. At this time, the blocking device 300 can communicate data with the parking plane management device to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the parking is not possible when all the parking surfaces managed by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are in the presence state of the vehicle, and if there is a parking surface in the non-existent state among the parking surfaces managed by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It can be judged that parking is possible.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 사용자 차량의 입차 횟수 및 출차 횟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와 동일하면 주차불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픗 횟수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 미만이면 주차 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판단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입차 횟수에서 상기 출차 횟수를 뺀 값과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면 수를 비교하여 주차면 수의 값이 큰 경우 주차 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주차면 수가 상기 입차 횟수에서 상기 출차 횟수를 뺀 값 이하인 경우 주차불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blocking device 300 may store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the number of times of entry and exit of the user vehicle, and the number of times of departure of the user vehicl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It can be judged whether or not.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compare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with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If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is equal to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It can be judged impossible. Also, the blocking device 300 compares the number of times of the blocking device 300 with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and judges that parking is possible if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is less than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 Also,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compare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times of departure from the number of times of entry from the number of times of parking in the parking lot on the basis of a determination time point, and determines that parking is possible when the value of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is large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arking is not possible when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times of departure from the number of times of entrance.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하여 사용자 차량의 입차시간 및 출차시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입차시간 및 출차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차시간 이후 상기 출차시간 정보가 없는 사용자의 수와 주차장 내 주차면의 수를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device 30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entering time and the leaving time of the user vehicle by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400 to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information, You can judge.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compare the entrance time and departure time information to compare the number of users who do not have the departure time information after the entry time and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이 때, 상기 주차장 내 주차가 불가능 한 경우,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가 적합한 것일지라도 상기 차단장치(300)를 오픈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parking in the parking lot is not possib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decide not to open the blocking device 300 even if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400 is appropriate.

또한, 상기 주차장 내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가 적합한 것일지라도 상기 단말(400)을 향해 주차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lso, when parking in the parking lot is impossible, the blocking device 300 can transmit a parking disabled message to the terminal 400 even if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400 is appropriate.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장치(3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하기 위하여 주차면 관리 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에서 주차면에 주차된 시간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초로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Also, the blocking device 300 can determine the parking fee of the outgoing vehicle. At this tim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parking plane management device to determine the parking rate of the outgoing vehicle.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receive the parking tim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urface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and may determine the parking rat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이 상기 차단장치(300)를 향해 차단장치 오픈 요청을 전송한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초로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device 300 may be i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400 to determine the parking fee of the outgoing vehicle.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receive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400 transmits a blocking device open request to the blocking device 300, and may determine the parking rate of the outgoing vehicle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

이 때, 상기 주차요금이 지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가 적합한 것일지라도 상기 차단장치(300)를 오픈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If the parking fee is not paid, the server 200 notifies the server 200 of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and the interception device 300 transmits th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terminal 400 It may be determined not to open the blocking device 300 even if the data is appropriate.

또한, 상기 주차요금이 지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가 적합한 것일지라도 상기 단말(400)을 향해 출차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lso, if the parking fee is not paid, the blocking device 300 may transmit an out-of-service message to the terminal 400 even if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400 is appropriate.

2.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2. The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the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차단 장치(300)의 오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blocking device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blocking device 300 is open using data communication.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차단장치(300)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차단장치(300)는 단말(400)에 인증 데이터를 제공(S310)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400)은 상기 제공받은 인증 데이터를 통해 인증을 수행(S320) 할 수 있다. 도한 이 때, 상기 단말(400)은 상기 인증 데이터와 상기 차단장치(300)에 대한 오픈 요청을 상기 차단장치(300)를 향해 전송(S330)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전송 받은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여부를 결정(S340)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s vehicle approaches the blocking device 300, the blocking device 300 may provid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400 (S310). At this time, the terminal 4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through the provided authentication data (S320). At this time, the terminal 4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and the open request for the interception device 300 to the interception device 300 (S330). Also, at this tim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determine whether to open the blocking device 300 based on the received authentication data (S340).

이 때, 단말(400)에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S310)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접근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장치(300)로부터 일정거리 이하에서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감지하고, 상기 일정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다시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감지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310 of provid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400, the interception device 30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interception device 3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from the interception device 300 The user's vehicle can be detected and the user's vehicle can be detected again at a distance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인증 데이터는 미리 저장된 인증 데이터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data provided by the intercepting device 300 may be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data.

또한 이 때,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20)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1회용 암호코드일 수 있다.Also, in this case, in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the authentication data (S320),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a one-time password.

또한 단말(400)은 상기 인증 데이터의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공 받은 인증 데이터가 적합한 인증 데이터인지를 판단 할 수 있다.Also, the terminal 400 can proceed to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For exampl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provided authentication data is suitable authentication data.

또한 단말(400)은 상기 인증 데이터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차단장치(300)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400 may activate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interception device 300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is completed.

또한 이 때, 차단장치(300)에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요청과 함께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330)에 있어서, 상기 단말(400)은 사용자 입력부에서 발생된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장치(300)를 향해 상기 인증 데이터 및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in the step S330 of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intercepting device 300 together with the request for opening the intercepting device 300, the terminal 4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intercepting device 300 based on the input data And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and the open request of the interception device 300 toward the interception device 300. At this time, the user input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f acquiring a necessary command from a user.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차단장치(300)의 오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40)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1회용 암호코드 일 수 있다.Also, in this case, in the step S3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ception device 300 is ope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a one-time password.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주차가능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장치(3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차면 관리 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에서 관리하는 모든 주차면이 차량 존재 상태인 경우 주차불가라고 판단 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에서 관리하는 주차면 중에 차량 비존재 상태인 주차면이 존재하는 경우 주차가능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device 3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parking is possible. At this time, the blocking device 300 can communicate data with the parking plane management device to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the parking is not possible when all the parking surfaces managed by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are in the presence state of the vehicle, and if there is a parking surface in the non-existent state among the parking surfaces managed by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It can be judged that parking is possible.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 사용자 차량의 입차 횟수 및 출차 횟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와 동일하면 주차불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픗 횟수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차단장치(300)의 오픈 횟수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 미만이면 주차 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판단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입차 횟수에서 상기 출차 횟수를 뺀 값과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면 수를 비교하여 주차면 수의 값이 큰 경우 주차 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주차면 수가 상기 입차 횟수에서 상기 출차 횟수를 뺀 값 이하인 경우 주차불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blocking device 300 may store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the number of times of entry and exit of the user vehicle, and the number of times of departure of the user vehicl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It can be judged whether or not.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compare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with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If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is equal to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It can be judged impossible. Also, the blocking device 300 compares the number of times of the blocking device 300 with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and judges that parking is possible if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300 is less than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 Also,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compare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times of departure from the number of times of entry from the number of times of parking in the parking lot on the basis of a determination time point, and determines that parking is possible when the value of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is large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arking is not possible when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times of departure from the number of times of entrance.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하여 사용자 차량의 입차시간 및 출차시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입차시간 및 출차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차시간 이후 상기 출차시간 정보가 없는 사용자의 수와 주차장 내 주차면의 수를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device 30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entering time and the leaving time of the user vehicle by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400 to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information, You can judge.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compare the entrance time and departure time information to compare the number of users who do not have the departure time information after the entry time and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이 때, 상기 주차장 내 주차가 불가능 한 경우,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가 적합한 것일지라도 상기 차단장치(300)를 오픈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parking in the parking lot is not possib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decide not to open the blocking device 300 even if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400 is appropriate.

또한, 상기 주차장 내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가 적합한 것일지라도 상기 단말(400)을 향해 주차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lso, when parking in the parking lot is impossible, the blocking device 300 can transmit a parking disabled message to the terminal 400 even if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400 is appropriate.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장치(3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하기 위하여 주차면 관리 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에서 주차면에 주차된 시간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초로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Also, the blocking device 300 can determine the parking fee of the outgoing vehicle. At this tim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parking plane management device to determine the parking rate of the outgoing vehicle.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receive the parking tim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urface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and may determine the parking rat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또한, 상기 차단장치(300)는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이 상기 차단장치(300)를 향해 차단장치 오픈 요청을 전송한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초로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판단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device 300 may be i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400 to determine the parking fee of the outgoing vehicle.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00 may receive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400 transmits a blocking device open request to the blocking device 300, and may determine the parking rate of the outgoing vehicle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

이 때, 상기 주차요금이 지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와 상기 서버(200)에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가 적합한 것일지라도 상기 차단장치(300)를 오픈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If the parking fee is not paid, the server 200 notifies the server 200 of the identifier provided from the terminal 400 and the interception device 300 transmits th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terminal 400 It may be determined not to open the blocking device 300 even if the data is appropriate.

또한, 상기 주차요금이 지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단장치(300)는 상기 단말(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데이터가 적합한 것일지라도 상기 단말(400)을 향해 출차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lso, if the parking fee is not paid, the blocking device 300 may transmit an out-of-service message to the terminal 400 even if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400 is appropriate.

3. 차량 접근 판단 방법3. How to determine vehicle approach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ie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310)는 상기 차단장치(310)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차량을 판단하기 위해 루프(320,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blocking device 3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loops 320 and 330 to determine a user's vehicle approaching the blocking device 310.

상기 차단장치(310)와 단말간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단장치의 오픈을 결정하는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차량이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장치(310)로 접근하고 있지 않으며, 주변을 지나는 사용자의 단말을 대상으로 차단장치의 오픈을 결정하려고 한다면 상기 차단장치(310)의 입장에서도 손실이 발생하며, 상기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필요없는 정보를 수신하게 되어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고, 상기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의 입장에서도 주차장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가 부정확해 질 수도 있다.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s vehicle is approaching in the case of the blocking device control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ning of the block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blocking device 310 and th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user is not approaching the blocking device 310 and attempts to determine the opening of the block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of the user passing the periphery, a loss occurs also in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device 310, It is possible to receive un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entrance, which may cause a loss, and overall control over the parking lot may become inaccurate even in the case of the shutoff device control system.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단장치(310)는 미리 정해진 거리에 설치된 루프(320,330)를 포함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루프(320,330)를 통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차단장치(310)로 접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하나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차단장치(310)는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루프(320)의 위쪽 모서리부근을 지나 상기 루프(320)의 아래쪽 모서리 부근을 통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차단장치(310)로 접근한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차단장치(310)는 상기 루프(320)을 통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주차의 목적을 가지고 상기 차단장치로 접근한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를 하나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차단 장치(310)는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루프(330)의 아래쪽 모서리 부근을 지나 상기 루프(330)의 위쪽 모서리 부근을 통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차단장치(310)로 접근한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차단장치(310)는 상기 루프(330)를 통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에서 출차의 목적을 가지고 상기 차단장치로 접근한다고 판단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locking device 310 may include loops 320 and 330 installed at predetermined distances. When the user's vehicle passes through the loops 320 and 330, It can be judged to be approaching.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in one plane, the blocking device 310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user's vehicle when the user's vehicle passes near the upper edge of the loop 32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 blocking device 310. Also, the blocking device 310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vehicle is approaching the blocking device with the purpose of parking the parking lot based on passing through the loop 320. 4, for example, the blocking device 310 may be positioned in a plane such that when the user's vehicle passes near the lower edge of the loop 330 and past the upper edge of the loop 33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of FIG. Also, the blocking device 310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vehicle is approaching the blocking device with the purpose of leaving the parking lot based on passing through the loop 330.

4. 주차면 관리 장치4. Parking unit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관리 장치는 각 주차면(500)에 설치된 센서들(510,520,530,540) 및 CCTV(6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는 상기 구성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들(510,520,530,540)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는 상기 CCTV(60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센서들(510,520,530,540) 및 상기 CCTV(600)이외에 주차면 분석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a parking spac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sensors 510, 520, 530, and 540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500 and a CCTV 6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parking space management device may be a device having more or less configuration than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parking space management device may be composed only of the sensors 510, 520, 530, 540, or the parking space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only the CCTV 600, and the sensors 510, 520, 530, 540 and the CCTV 600). ≪ / RTI >

또한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는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의 서버, 단말, 차단장치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주차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는 LoRa, LTE-M, sigfox, NB-IoT, Ingenu등의 사물 인터넷 통신망에 의해 상기 서버, 상기 차단장치 및/또는 상기 단말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vice may provide data related to the parking surface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server, a terminal, and a blocking device of the blocking device control system. For example, the parking plane management device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server, the blocking device, and / or the terminal by means of an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oRa, LTE-M, sigfox, NB-IoT, It is not.

또한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와이기그(Wigig),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더블유비(UWB, Ultra Wideband) 및 와이에이치디(WiHD)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서버, 상기 차단장치 및/또는 상기 단말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parking unit management device may be a Wifi, a Bluetooth, a Beacon,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 ZigBee, a Wigig,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The interception device and / or the terminal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IrDA, IrDA, UWB, and WiH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센서들(510,520,530,540)을 포함하는 주차면 관리 장치는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면(500)내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와 주차면(500)내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주차면(500)내의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Also, the parking space management device including the sensors 510, 520, 530, and 54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exists. For example, the presence of a vehicle within the parking surface 500 and the absence of a vehicle within the parking surface 500 may result in different sensed signals from the sensor, Can be determined.

또한 상기 CCTV(600)를 포함하는 주차면 관리 장치는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면(500)내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CCTV(600)에서 획득한 영상정보가 변경되므로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차이에 기초하여 주차면(500)내의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Also, the parking space management device including the CCTV 600 may determine whether a vehicle exists.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exists in the parking space 500,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in the CCTV 600 is changed. Therefore, the parking space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se where the vehicle exists and the case where the vehicle does not exis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resent.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5)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 주차장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차단 장치 및 상기 주차장의 주차면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주차면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차장을 관리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차단 장치에의 출입 요청 및 상기 차단 장치에서 상기 단말에 전송된 상기 차단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획득한 식별자가 입차를 위한 차량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에 전송된 식별자인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주차장에 위치하는 주차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식별자가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며, 주차 가능한 주차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차장에의 입차를 위한 인증 데이터 -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식별자와 대응됨 - 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며, 주차 가능한 주차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차 불가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지 않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차단 장치가 개방된 경우, 상기 차단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주차장의 이용을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획득한 식별자가 출차를 위한 차량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에 전송된 식별자인 경우
상기 서버가 주차 요금 지불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며, 상기 주차 요금이 지불된 경우 상기 주차장에의 출차를 위한 인증 데이터 -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식별자와 대응됨 -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며, 상기 주차 요금이 지불되지 않은 경우, 출차 불가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자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주차면 정보는 영상정보를 기초로한 주차면 정보인
서버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 server for managing a parking lot by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a b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from a parking lot, and a parking lot management device for monitoring the parking lot of the parking lot,
Obtaining a request for access from the terminal to the blocking device by the server and an identifier of the blocking device transmitted from the blocking device to the terminal;
If the identifier obtained by the server is an identifier transmitted to a terminal carried by a user of the vehicle for the entry,
The server obtains parking surface information located in the parking lot from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apparatus,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for entry into the parking lot, wherein the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identifier, when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a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and there is a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If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identifier stored in advance and there is no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a parking disable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Not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if the identifier is not included in the pre-stored identifier;
Obtaining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entering the parking lot from the blocking device when the blocking device is opened bas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And
Managing the use of the parking lot by the user based on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user entered the parking lot; Lt; / RTI >
If the identifier obtained by the server is an identifier transmitted to the terminal held by the user of the vehicle for departure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arking fee is paid,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identifier stored in advance, and when the parking fee is paid, authentication data for leaving the parking lot, the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out-of-service message to the terminal if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pre-stored identifier and the parking fee is not paid,
And not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if the identifier is not included in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Wherein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rver from the parking space management apparatus is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image information
How to control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단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차단 장치로부터 상기 차단 장치의 오픈 횟수, 출차 횟수, 입차 횟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차단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단 장치의 오픈 횟수, 상기 출차 횟수, 상기 입차 횟수 및 상기 주차면 관리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주차면 정보를 기초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cking device and obtain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open times, the number of times of exit, and the number of times of entry of the blocking device from the blocking device,
Determining whether or not parking is possible based on the number of open times of the blocking device obtained from the blocking device, the number of times of departure, the number of times of entry, and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arking space management device
How to control the ser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단 장치의 오픈 횟수와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rver compares the number of open times of the blocking device with the number of parking faces in the parking lot to determine whether the parking is available
How to control the ser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단 장치의 오픈 횟수가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 이상이면 주차 불가라고 판단하며, 상기 차단 장치의 오픈 횟수가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면의 수 미만이면 주차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parking is not possible if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and determines that parking is possible if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blocking device is less than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How to control the serv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s recor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77392A 2018-07-04 2018-07-04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9988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92A KR101998879B1 (en) 2018-07-04 2018-07-04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92A KR101998879B1 (en) 2018-07-04 2018-07-04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879B1 true KR101998879B1 (en) 2019-07-10

Family

ID=6725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392A KR101998879B1 (en) 2018-07-04 2018-07-04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8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9478A (en) * 2020-04-24 2020-08-04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Access control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7804A (en) * 2013-01-18 2014-07-28 Mitsubishi Precision Co Lt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7804A (en) * 2013-01-18 2014-07-28 Mitsubishi Precision Co Lt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9478A (en) * 2020-04-24 2020-08-04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Access control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211B2 (en) Electronic fence (E-Fence) control technology for dockless sharing vehicles
US10074222B2 (en)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validation system for zone-based validation
US9483887B1 (en) Hands-free access control
US10009745B2 (en) Validation in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enforcement system according to visual objects
US115212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parking zone
CN101315710B (en) Mobile based identification in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systems
US11398121B2 (en) Method for provisioning a device with an information element allowing to identify unauthorized users in a restricted area
KR101545953B1 (en) The method for admission control and location recognition and recoding medium recoding the method for admission control and location recognition
KR101564716B1 (en) Apparatus for managing open and shut in enclosure box
US9437061B2 (en) Arrangement for the authorised access of at least one structural element located in a building
EP31908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s operation
CN104091115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safety of terminals
KR101891781B1 (en)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mac address verif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137947A (en) Door Lock System For Vehicle
KR1020635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oor open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KR101547489B1 (en) The device for admission control and location recognition and security entrance system
KR101998879B1 (en)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554867B1 (en) System for managing visitor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3799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
KR20150050794A (en)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based on network, method for managing access based on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201600510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using mobile ticket
KR101874503B1 (en)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signal, Us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KR1022862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Railway Fare Payment Using Smart Block
KR20160149032A (en) Method for checking visitor using beacon
KR10235585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llegal Passengers Using Smart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