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973B1 - 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973B1
KR102379973B1 KR1020210086324A KR20210086324A KR102379973B1 KR 102379973 B1 KR102379973 B1 KR 102379973B1 KR 1020210086324 A KR1020210086324 A KR 1020210086324A KR 20210086324 A KR20210086324 A KR 20210086324A KR 102379973 B1 KR102379973 B1 KR 10237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ssenger
payment
g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태기
김순희
유소영
이준
유승민
고상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8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9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9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50/3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system for paying a fare using a smart do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ystem for paying a fare performs fare payment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owned by a passenger who gets on or off a vehicle. The system for paying a fare comprises: a door state collecting unit acquiring a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of the vehicle; and a near-field communicating unit interconnected with the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s to transmit a wireless signal and interconnected with the us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to transmit and receive payment-related information.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요금결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

본 개시는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요금결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bill pay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smart doo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에서 요금결제는 승객이 교통카드 또는 스마트폰을 결제 단말기에 직접 태그(tag)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버스 출입구 또는 지하철 개찰구 등에 설치되는 결제 단말기는 보안응용모듈(SAM: Security Application Module)을 탑재하고 있으며, 근접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해 교통카드 또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결제절차를 진행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fare payment in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or subway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a passenger directly tags a transportation card or smartphone to a payment terminal. Payment terminals installed at bus exits or subway ticket gates are equipped with a Security Application Module (SAM) and us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o link with a transportation card or smartphone to process the payment. do.

종래의 결제방식에 따르면, 승객들이 버스 승/하차시 또는 지하철 개찰구 통과시에 교통카드를 태그하기 위해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버스에서는 승객의 하차과정에서 태그되지 않은 교통카드를 다시 태그하기 위한 행위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거나 위험한 상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yment metho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passengers have to wait to tag a transportation card when getting on/off the bus or passing through a subway ticket gate. In particular, many accidents or dangerous situations occur due to the act of re-tagging an untagged transportation card in the process of getting off the bu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교통카드를 결제 단말기에 접촉하지 않고 결제가 가능한 태그리스(tagless) 요금결제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와 같은 이용자 단말기 및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태그리스 요금결제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 tagless fare payment system that enables payment without contacting a transportation card with a payment terminal. In particular,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 tagless payment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종래의 기술들은 앞문 승차 및 뒷문 하차를 전제로, 승차 확인용 비콘과 하차 확인용 비콘을 별도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뒷문 승차 또는 앞문 하차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출입문이 하나만 존재하는 광역버스 및 출입문이 3개 존재하는 하는 굴절버스 등에는 종래의 기술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In the prior art, on the premise of getting on at the front door and getting off at the rear door, a beacon for confirming boarding and a beacon for confirming getting off are used separately. However, in general, boarding at the back door or getting off at the front door is also perform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prior art to a wide-area bus having only one door and an articulated bus having three doors.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승객이 하차 확인용 비콘 부근으로 이동시 자동으로 하차관련 요금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승객이 승차 후 고의적으로 하차 확인용 비콘 부근으로 이동함에 따라, 부정하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passenger moves to the vicinity of the beacon for confirmation of getting off, because the payment related to getting off is automatically made, as the passenger intentionally moves to the vicinity of the beacon for confirming getting off after boarding, illegal disembarkation may occur. there is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비콘의 신호 세기가 너무 약한 경우 결제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승차관련 요금결제를 완료한 승객이 승차 확인용 비콘 근처로 이동시 이중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콘의 신호 세기의 정밀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f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 is too weak, payment may not be performed, and a double payment may be made when a passenger who has completed the ride-related fare payment moves near the ride confirmation beaco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precise adjustment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 is required.

본 개시는, 무선통신을 활용한 요금결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비콘 출력 세기의 세밀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요금결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A mai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billing method and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fine adjustment of beacon output strength when performing bill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나아가 본 개시는, 이중결제, 부정승하차 및 하차지점 전 하차 처리와 같은 인식오류를 차단할 수 있는 요금결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main purpose to provide a fare payment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blocking recognition errors such as double payment, illegal getting on and off, and processing before alighting point.

나아가 본 개시는 특정 출입문을 승차용 또는 하차용으로 제한하지 않고 모든 출입문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운영할 수 있는 요금결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main purpose to provide a fare payment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operating so that getting on and off at all doors is possible without limiting a specific door to boarding or getting off.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이 소지한 이용자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 요금결제를 수행하는 요금결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획득하는 출입문 상태 수집부; 및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이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결제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billing system for performing bill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passenger getting on or off a vehicle, wherein a door state collecting unit for acquiring an open/closed state of a door of the vehicle ; and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 wireless signal in conne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and transmits and receives payment-related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a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wireless signal.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이 소지한 이용자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 요금결제를 수행하는 요금결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 및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이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결제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billing method for performing bill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passenger getting on or off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acquiring an open/closed state of a door of the vehicle;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yment-related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wireless sig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통신을 활용한 요금결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비콘 출력 세기의 세밀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fine adjustment of the beacon output strength is not required when payment is performe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중결제, 부정승하차 및 하차지점 전 하차 처리와 같은 인식오류를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effect that recognition errors such as double payment, illegal getting on and off, and getting off processing before getting off point can be blocked.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출입문에서 승차 또는 하차 관련 요금결제처리가 가능하여, 특정 출입문을 승차용 또는 하차용으로 제한하지 않고 운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cess a fare payment related to boarding or alighting at all doors, so that a specific door can be operated without limiting it to boarding or alighting.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문이 구비된 모든 형태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vehicles equipped with door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지원 표시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i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mar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boarding/unloading assistance indicator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firming getting on and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ll pay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In addition, the '...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i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결제 시스템(10)은 스마트 도어(110), 운영서버(130), 교통카드 단말기(120) 및 디스플레이(14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요금결제 시스템(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bill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ll or part of the smart door 110 , the operation server 130 ,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 and the display 140 . include Not all blocks shown in FIG. 1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in another embodiment, some blocks included in the payment system 10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결제 시스템(10)은 이용자 단말기(100)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해진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실시예들에 따라, 요금결제 시스템(10)은 버스나 지하철 등 차량의 승차 또는 하차시 해당 차량의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The fee pay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system for paying a predetermined fe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ee payment system 10 may be used to pay a usage fee of a corresponding vehicle when boarding or alighting a vehicle, such as a bus or subway.

이용자 단말기(100)는 차량의 승객이 소지하는 단말이다. 이는, 예를 들어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carried by a passenger of a vehicle. These include, for example, a tablet PC, a laptop, a personal computer (PC),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이용자 단말기(100)는 승객이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함에 따라, 스마트 도어(110) 및 운영서버(130)와 연동하여 요금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As a passenger gets on or off the vehicle, the user terminal 100 may perform payment by interworking with the smart door 110 and the operation server 130 .

이를 위해 이용자 단말기(100)에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02)이 탑재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102)은 승객의 키 조작에 따라 실행되거나, 이용자 단말기(100) 내에서 상시적으로 실행되고 있을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102)은 승객에게 현재위치, 요금, 사용 내역, 노선도, 시간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102)은 승차처리가 완료되면, 모바일 승차권을 발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에서, 승객은 모바일 승차권을 운전자 등에게 보여줌으로써, 요금을 정상적으로 결제하였음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하차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결제 어플리케이션(102) 내 모바일 승차권이 사라지도록 하여 기 발급된 모바일 승차권을 중복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객은 결제 어플리케이션(102) 내 별도의 이력관리 메뉴를 통해, 자신의 승하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equipped with a payment application 102 . The payment application 102 may be executed according to a passenger's key manipulation or may be constantly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100 . The payment application 102 may provide the passenger with current location, fare, usage history, route map, timetabl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payment application 102 may issue a mobile ticket when the boarding process is completed. Accordingly, in the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the passenger can verify that the fare has been paid normally by showing the mobile ticket to the driv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embarkation process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plicate use of the previously issued mobile ticket by causing the mobile ticket to disappear in the payment application 102 . The passenger may check his/her getting on/off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history management menu within the payment application 102 .

스마트 도어(110)는 이용자 단말기(100)와 결제관련 정보를 송수신하고,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을 검지하는 장치이다. 스마트 도어(110)는 차량의 출입문과 일체로 구현되거나, 자립형(stand-alone) 장치로 구현되어 출입문 또는 출입문 인근의 차체(car body)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마트 도어(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The smart door 110 is a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payment-related information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detects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The smart door 110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door of the vehicle, or may be implemented as a stand-alone device and installed on the door or a car body near the do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mart door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B .

운영서버(130)는 스마트 도어(110), 교통카드 단말기(120) 및/또는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정보 및/또는 부정승차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장치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서버(130)는 스마트 도어(110)로부터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운영서버(130)는 수신한 영상을 이용하여 부정승하차 의심승객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부정승하차 단속에 활용할 수 있다. 운영서버(130)는 부정승차 의심상황의 영상 및 부정하차 의심상황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rver 130 is a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payment information and/or illegal rider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oor 110 ,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receive an image of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from the smart door 110 .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use the received image to analyze the information on the passengers suspected of getting on and off the train, and based on this, it can be used to crack down on illegal boarding and alighting in the future.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store the image of the suspicious riding situation and the image of the illegal getting off situation.

운영서버(130)는 스마트 도어(110)로부터 수신한 영상에서 승차 승객과 하차 승객을 검출할 수 있다. 운영서버(130)는 검출된 승차 승객 및 하차 승객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객에 대한 정보는, 승객의 얼굴, 키, 체격, 옷 색깔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130 may detect a passenger on board and a passenger getting off from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mart door 110 .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detected passengers on board and passengers getting off, respectively. 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passenger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passenger's face, height, physique, and color of clothes.

운영서버(130)는 스마트 도어(11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영상에서 중복하여 검출되는 승객을 부정승하차 의심승객으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서버(130)는 부정승차 의심상황의 영상에서 검출된 승차 승객과 부정하차 의심상황의 영상에서 검출된 하차 승객을 비교하여 공통으로 포함되는 승객을 부정승하차 의심승객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승객을 검출하기 위해, 운영서버(130)는 승차 승객의 영상과 하차 승객의 영상 간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detect a passenger, which is repeatedly detected from a plurality of images received from the smart door 110 , as a passenger suspected of getting on and off. For example, the operation server 130 compares the passenger detected in the image of the suspected illegal boarding situation with the getting off passenger detected in the image of the illegal boarding and alighting situation, and can detect the passenger included in common as the suspected illegal boarding and alighting. there is. In order to detect a passenger included in a plurality of images in common,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calculate a similarity between the image of the boarding passenger and the image of the disembarking passeng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운영서버(130)는 검출된 부정승하차 의심승객에 대한 정보와 기저정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운영서버(130)는 부정승하차 의심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운영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부정승하차자 이력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130 may compare the detected information on the suspected illegal boarding and alighting passengers with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database.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update the database by using the object suspected of getting on and off.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us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for illegally boarding and alighting person history management.

교통카드 단말기(120)는 태그기반의 요금결제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이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하지 않은 승객의 요금결제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교통카드 단말기(120)는 차량의 출입문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카드 단말기(120)는 차량의 앞문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교통카드 단말기(120)는 결제정보 연계 부정승하차 감지를 위해, 태그기반의 요금결제정보를 스마트 도어(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is a terminal capable of tag-based fare payment, and may be provided for a passenger who does not have the user terminal 100 to pay a fare.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may be installed near the door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may be installed near the front door of the vehicle.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may transmit tag-based fare payment information to the smart door 110 in order to detect illegal boarding and alighting in connection with payment information.

디스플레이(140)는 이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요금결제 완료 정보를 출력하여, 차량의 운전자 또는 승객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차량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14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lay 140 outputs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can recognize it. To this end, the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displays 140 .

예컨대, 디스플레이(140)는 차량의 운전석 인근에 설치되어, 승객의 승/하차시 운전자가 결제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이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하지 않는 등 스마트 도어(110)를 이용한 결제가 처리되지 않은 승객을 인지할 수 있으며, 해당 승객에게 교통카드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140 is installed near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whether payment is complete when a passenger gets on/off. Accordingly, the driver can recognize a passenger whose payment has not been processed using the smart door 110 , such as not possessing the user terminal 100 , and can pay the passenger using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 can guide you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차량의 출입문 인근 등 승객이 확인하기 용이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용자 단말기(100) 및 스마트 도어(110) 간 연동을 이용한 요금 결제가 완료되면, 이용자 단말기(100)에 기저장된 승객의 별칭(nick name)이 디스플레이(140)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객은 이용자 단말기(100)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결제 완료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출입문이 닫히는 경우 디스플레이(140)에 출력된 출력한 승객의 별칭 목록이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정보가 장기간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다른 정류장의 승/하차 승객 정보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140 may be provided at a location that is easy for passengers to check, such as near the door of the vehicle. When the fare payment using the linkag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mart door 110 is completed, the nickname of the passenger pre-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140 . Accordingly, the passenger can recognize whether the payment has been completed without directly checking the user terminal 10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s door is closed, the displayed passenger's alias list output on the display 140 disappears, so that the passenger's information is not expo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fusion with the boarding/alighting passenger information of other stops. can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mar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지원 표시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boarding/unloading assistance indicator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firming getting on and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110)는 위치정보 수집부(200), 출입문 상태 수집부(210),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 근거리 통신부(230), 요금처리부(240), 카메라(250), 스피커(260), 원거리 통신부(270) 및 정보처리부(28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도어(1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110)가 외부에 구축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요금결제를 처리하는 경우, 요금처리부(2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도어(110)는 이용자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smart doo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 a door state collection unit 210 , a boarding/unloading support indicator light 220 ,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 It includes all or part of the charge processing unit 240 , the camera 250 , the speaker 260 ,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unit 270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 Not all blocks shown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blocks included in the smart door 110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in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smart door 110 processes a bill payment for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ly built cloud server (not shown), the bill processing unit 240 may not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smart door 110 may play a role of relaying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loud server (not shown).

위치정보 수집부(200)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위치정보 수집부(200)는 운영서버(130) 또는 별도의 교통정보서버(미도시)로부터 차량이 정차할 정류장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위치정보 수집부(2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00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may collect information on the stop at which the vehicle will stop from the operation server 130 or a separate traffic information server (not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출입문 상태 수집부(210)는 출입문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출입문 상태 수집부(210)는 출입문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로서 운전석에 구비된 출입문 개폐 스위치로부터 개폐명령을 수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출입문 상태 수집부(210)는 출입문에 구비된 모터로부터 출입문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The door state collecting unit 21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The door state collecting unit 210 may collect open/close commands from a door open/close switch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as information on the open/close state of the do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oor state collecting unit 210 may collect information on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from a motor provided in the door.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은 차량의 외부 바닥면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되듯이,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은 차량의 외부 바닥면에 기정의된 문자 또는 도형(300 내지 30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은 바닥면에 미리 정해진 광 패턴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oarding/unloading support indicator 220 is a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n external floor surface of the vehic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getting on and off support indicator light 220 may display predefined characters or figures 300 to 304 on the external floor surface of the vehicle. To this end, the getting on and off support indicator 22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a predetermined light pattern on the floor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은 기정의된 문자 또는 도형(300 내지 304)을 이용하여 승객의 안전을 지원하거나 승객에게 각종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내부가 혼잡한 경우, 복수개의 출입문을 승차용 출입문 및 하차용 출입문으로 구분하고, 기정의된 문자 또는 도형(300 내지 304)을 이용하여 승객에게 승하차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출입문 중 일부에만 경사판이 설치되는 경우 등에 기정의된 문자 또는 도형(300 내지 304)을 이용하여 경사판이 설치된 출입문의 위치를 알릴 수도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출입문 중 일부에만 교통카드 단말기(120)가 구비되는 경우, 기정의된 문자 또는 도형(300 내지 304)을 이용하여 교통카드 단말기(120)가 구비된 출입문을 알릴 수도 있다. 전술한 예시들은 일 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이 전달할 수 있는 정보는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getting on/off support indicator 220 may support the safety of passengers or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to the passengers using predefined characters or figures 300 to 304 . For example, when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congested, a plurality of doors may be divided into a boarding door and a disembarking door, and the boarding and disembarking location may be notified to the passenger using predefined characters or figures 300 to 304 . Alternatively, when the inclined plate is installed only in some of the plurality of doors, the position of the door on which the inclined plate is installed may be notified using predefined characters or figures 300 to 304 . Furthermore, when the traffic card terminal 120 is provided only in some of the plurality of doors, the door equipped with the traffic card terminal 120 may be notified using predefined characters or figures 300 to 304 .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getting on and off assistance indicator 220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은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boarding/unloading support indicator 22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근거리 통신부(230)는 이용자 단말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230)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용자 단말기(100)와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30 is a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3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and signals with the user terminal 100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Low Energy (BLE).

근거리 통신부(230)는 출입문 상태 수집부(210)가 수집한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송출을 중단할 수 있다.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may transmit or stop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collected by the door state collection unit 210 .

예컨대, 도 4a에 도시되듯이, 차량(40)의 출입문(400-1 및 400-2)이 열린 상태인 경우, 근거리 통신부(230)는 차량(40)의 내부 및 외부로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30)는 BLE 브로드캐스팅(Bluetooth Low Energy broadcasting)을 이용하여, 차량(40)의 외부의 통신 커버리지(410-1 및 410-2) 및 내부의 통신 커버리지(420-1 및 420-2) 내에 위치한 이용자 단말기(100)가 페어링(pairing) 과정 없이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30)가 송출하는 무선신호에는 요금결제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무선신호는 지불금액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 when the doors 400-1 and 400-2 of the vehicle 40 are in an open stat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40. ca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uses BLE broadcasting (Bluetooth Low Energy Broadcasting), the communication coverage outside the vehicle 40 (410-1 and 410-2) and the communication coverage inside the vehicle 40 (420-1 and 420-2) ), the user terminal 100 located in the can receive a wireless signal without a pairing (pairing) process.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may include information necessary for bill payment. For exampl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ayment amount and the like.

반면, 도 4b에 도시되듯이, 차량(40)의 출입문(400-1 및 400-2)이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부(230)는 무선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객이 차량(40) 내부에서 출입문(400-1 및 400-2) 근처로 이동하더라도, 하차 처리나 이중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B , when the doors 400 - 1 and 400 - 2 of the vehicle 40 are close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may not transmit a wireless signal. Accordingly, even if the passenger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40 to the vicinity of the doors 400 - 1 and 400 - 2 , disembarkation processing or double payme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erformed.

한편, 근거리 통신부(230)는 차량(40)의 내부 및 외부에 무선신호를 송출함에 있어, 각기 다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부(230)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may transmit a radio signal including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40 .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 may extra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to determine whether the passenger gets on or off.

예컨대, 차량(40)의 외부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제1 무선신호라 지칭하고 차량(40)의 내부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제2 무선신호라고 지칭할 때, 승객이 차량(40)에 승차하는 경우, 이용자 단말기(100)는 제1 무선신호를 먼저 수신하고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용자 단말기(100)는 수신한 무선신호 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 순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고, 스마트 도어(110)와 연동하여 승차 관련 요금결제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radio signal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40 is referred to as a first radio signal and a radio signal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40 is referred to as a second radio signal, a passenger rides in the vehicle 40 .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first radio signal first and then receives the second radio signal. The user terminal 100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to confirm that the wireless signal has been received in the order of the first wireless signal and the second wireless signal, and interlocks with the smart door 110 to perform a ride-related fare payment procedure can be performed.

반면, 승객이 차량(40)에서 하차하는 경우, 이용자 단말기(100)는 제2 무선신호를 먼저 수신하고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용자 단말기(100)는 수신한 무선신호 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2 무선신호 및 제1 무선신호 순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고, 스마트 도어(110)와 연동하여 하차 관련 요금결제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enger gets off the vehicle 40 , the user terminal 100 first receives the second wireless signal and then receives the first wireless signal. The user terminal 100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to confirm that the wireless signal has been receiv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wireless signal and the first wireless signal, and interworks with the smart door 110 to process alighting-related fare payment can be performed.

한편, 승객이 차량(40) 내 출입문(400-1 및 400-2) 인근에 서 있는 경우, 이용자 단말기(100)는 출입문(400-1 및 400-2)이 열림에 따라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지만, 제1 무선신호는 수신하지 않으므로 결제절차가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근거리 통신부(230)는 상이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무선신호들을 이용하여 승객이 실제로 하차하기 이전에 하차 처리나 이중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enger stands near the doors 400-1 and 400-2 in the vehicle 40,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second wireless signal as the doors 400-1 and 400-2 are opened. However, since the first wireless signal is not received, the payment procedure is not performed. In this way,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may prevent the disembarkation process or double payment from being performed before the passenger actually disembarks by using wireless signals having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요금처리부(240)는 이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요금결제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요금처리부(240)는 보안응용모듈(SAM: Security Application Module)로 구현될 수 있다. 요금처리부(240)는 기정의된 거래 프로토콜에 따라 일련의 요금결제절차를 처리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이용자 단말기(100)와 결제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요금처리부(240)가 요금결제절차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자 단말기(100)와 송수신하는 결제관련 데이터의 종류, 이에 포함되는 정보 및 데이터 송수신 순서 등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fee processing unit 240 performs a fee payment for the user terminal 100 . To this end, the charge processing unit 240 may be implemented as a security application module (SAM: Security Application Module). The fee processing unit 240 may transmit/receive payment-related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100 using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to process a series of fee payment procedures according to a predefined transaction protocol. The type of payment-relate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harge processing unit 240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order to process the payment procedure, information included therein, and the order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general in the relevant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카메라(250)는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을 촬영한다. 카메라(250)는 버스 승하차 인원수를 검지하고,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을 촬영하기 위해 구비된다. 카메라(250)는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녹화를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camera 250 photographs passengers getting on or off the vehicle. The camera 250 is provided to detect the number of people getting on and off the bus, and to photograph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the bus. The camera 250 may be controlled to start or end recording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스피커(260)는 승객에서 안내방송 및/또는 부정승하차 경고방송을 송출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speaker 260 is provided to transmit an announcement and/or an illegal boarding and alighting warning broadcast from the passenger.

원거리 통신부(270)는 운영서버(130)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부(270)는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또는 셀룰러 망(cellular network) 등을 통한 무선 통신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운영서버(130)와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270 is a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server (130). For example,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270 uses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wireless LAN (WIFI), UWB (Ultra Wideband), radio frequency (Radio Frequency) or cellular network (cellular network), such as the operation server 130 ) and various data and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정보처리부(280)는 스마트 도어(110)가 수집한 각종 정보들을 처리하고, 이용자 단말기(100), 운영서버(130) 및/또는 디스플레이(140) 등으로 전송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proces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mart door 110 and generat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 the operation server 130 , and/or the display 140 .

예컨대, 정보처리부(280)는 이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140)가 이용자 단말기(100)에 기저장된 승객의 별칭을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을 생성하고, 차량의 출입문이 닫힌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기출력된 별칭 목록이 제거되도록 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처리부(280)는 근거리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승객의 별칭을 수집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부(230), 원거리 통신부(270) 또는 별도의 유/무선 통신모듈(미도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40)에게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ayment for the user terminal 100 is comple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generates a command for the display 140 to output an alias of a passenger pre-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door of the vehicle is closed. When the status is changed, a command that causes the previously output alias list to be removed can be generated. To this e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collect the passenger's alias from the user terminal 100 using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 an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unit 270 , or separat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140 using a module (not shown).

정보처리부(280)는 출입문 상태 수집부(21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 근거리 통신부(230) 및 카메라(2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정보처리부(280)는 출입문 개폐상태의 변경에 대응하여,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 근거리 통신부(230) 및 카메라(2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정보처리부(280)는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이 켜지고, 근거리 통신부(230)가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카메라(250)가 촬영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정보처리부(280)는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이 꺼지고, 근거리 통신부(230)가 무선신호를 송출을 중단하고 카메라(250)가 촬영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control the getting on and off support indicator light 220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 the camera 250 , and the like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door state collecting unit 21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control the getting on and off support indicator light 220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 the camera 250 , and the lik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door opening/closing state.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chang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turns on the getting on and off support indicator light 220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a wireless signal, and the camera 250 starts shooting. You can control it to start. Similarly, when the door is chang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turns off the getting on and off support indicator light 220,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stops transmitting the wireless signal, and the camera 250 stops shooting. You can control it to quit.

정보처리부(280)는 결제처리결과 및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처리결과는 요금처리부(240)의 결제처리결과 뿐만아니라, 교통카드 단말기(120)의 결제처리결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도어(110)는 교통카드 단말기(120)와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거나 근거리 통신부(230) 또는 원거리 통신부를 이용하여 교통카드 단말기로부터 결제처리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determine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Here,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may include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of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as well as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of the fare processing unit 240 . To this end, the smart door 110 is provided wit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on with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or uses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30 or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from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may receive.

정보처리부(280)는 카메라(250)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승하차 승객수 및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를 비교하여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승하차 승객수가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보다 많은 경우,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처리부(280)가 영상으로부터 승하차 승객의 수를 계수하는 방법은 종래의 영상 인식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정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determine the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by comparing the number of passengers on boarding and alighting detected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50 and the number of completed fare payment processing.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assengers on boarding and alighting detected from the imag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ompleted fare payment processing, it may be determined as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Here, the method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to count the number of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from the image is common in the conventional image recognition fiel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is is not limited in a specific way.

정보처리부(280)는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을 부정승차 의심상황 및 부정하차 의심상황으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처리부(280)는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승차 승객수가 승차관련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보다 많은 경우, 부정승차 의심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보처리부(280)는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하차 승객수가 하차관련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보다 많은 경우, 부정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classify and determine the suspected illegal boarding and alighting situation into a fraudulent riding suspicious situation and a fraudulent getting off situation.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assengers detected from the imag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ride-related fare payment processing comple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determine that the illegal riding is suspected. Similarly, when the number of alighting passengers detected from the imag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alighting-related fare payment processing comple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determine that the alighting is suspected.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정보처리부(280)는 의심상황 영상을 저장하고, 스피커(260)를 이용하여 안내방송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의심상황 영상은,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된 시점의 전/후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녹화된 영상일 수 있다. 안내방송은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정보, 이용자 단말기(100)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 교통카드 단말기(120)를 이용할 것을 알리는 정보 및/또는 교통카드 단말기(120)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spicious situation is illegal,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store the image of the suspicious situation and transmit the announcement using the speaker 260 . Here, the suspicious situation image may be an image record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before/after the time point at which it is determined as the illegal riding and disembarking situation. The announcement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has occurre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terminal 100 is not in possess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or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to use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etc.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정보처리부(280)는 원거리 통신부(270)를 이용하여 의심상황 영상 및/또는 결제 처리결과 정보를 운영서버(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80 may transmit the suspicious situation image and/or payment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30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270 .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ll pay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스마트 도어(110)는 출입문 열림이 감지되면,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을 온(on)시키고, 차량의 내부 및 외부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카메라(250)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시작한다(S500 및 S502).When the smart door 110 detects that the door is opened, it turns on the getting on and off support indicator light 220 ,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and starts taking an image using the camera 250 . (S500 and S502).

무선신호를 수신한 이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 도어(110)와 연동하여 기정의된 거래 프로토콜에 따라 일련의 요금결제절차를 수행한다(S510). 이때, 이용자 단말기(100)는 수신한 무선신호의 순서에 기초하여 승차관련 요금결제절차 또는 하차관련 요금결제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 순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한 경우 승차관련 요금결제절차를 수행하고, 제2 무선신호 및 제1 무선신호 순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하차관련 요금결제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receiving the wireless signal performs a series of billing procedures according to a predefined transaction protocol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door 110 (S510).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perform a fare payment procedure related to boarding or a fee payment procedure related to alighting based on the order of the received wireless signals. For example, when a wireless signal is received in the order of the first wireless signal and the second wireless signal, a fare payment procedure related to boarding is performed, and when the wireless signal is receiv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wireless signal and the first wireless signal, a fare payment related to getting off procedure can be performed.

한편, 이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하지 않은 승객은 교통카드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태그기반 요금결제를 수행한다(S520). 교통카드 단말기(120)는 결제처리결과를 스마트 도어(110)에게 전달한다. On the other hand, a passenger who does not have the user terminal 100 performs tag-based fare payment using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S520).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20 transmits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to the smart door 110 .

스마트 도어(110)는 무선신호 및/또는 교통카드 단말기(120)를 이용한 결제처리결과 및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을 판단한다(S530). 스마트 도어(110)는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승하차 승객수 및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를 비교하여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110)는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승차 승객수가 승차관련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보다 많은 경우, 부정승차 의심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도어(110)는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하차 승객수가 하차관련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보다 많은 경우, 부정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mart door 110 determines the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wireless signal and/or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using the traffic card terminal 120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S530). The smart door 110 may determine the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by comparing the number of passengers on boarding and alighting detected from the image and the number of completed fare payment processing.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assengers detected from the imag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ride-related fare payment processing completed, the smart door 110 may determine a suspicious riding situation. Similarly, when the number of alighting passengers detected from the imag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alighting-related fare payment processing completed, the smart door 110 may determine a suspicious situation of illegal alighting.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스마트 도어(110)는 의심상황 영상을 저장하고, 스피커(260)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을 송출한다.When it is determined as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the smart door 110 stores an image of the suspicious situation and transmits an announcement using the speaker 260 .

출입문 닫힘이 감지되면, 스마트 도어(110)는 승하차 지원 표시등(220)을 오프(off)시키고, 무선신호 송출을 중단하고, 영상 촬영을 종료한다(S540 및 S542). 한편, 출입문 닫힘이 감지되기 전까지 과정 S510 내지 S532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이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closing of the door is sensed, the smart door 110 turns off the boarding/unloading support indicator 220 , stops transmitting the wireless signal, and ends image capturing ( S540 and S542 ). Meanwhile, one or more of steps S510 to S532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closing of the door is detected.

스마트 도어(110)는 결제처리결과 및 저장된 의심상황 영상들을 운영서버(130)에게 전송한다(S550).The smart door 110 transmits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and the stored suspicious situation images to the operation server 130 (S550).

운영서버(130)는 의심상황 영상을 기초로, 부정승하차 의심승객에 대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한다(S552).The operation server 130 analyz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suspicious passenger on the basis of the suspicious situation image (S552).

도 5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each process is sequentially executed in FIG. 5 ,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ther word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 may change the order described in FIG. 5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r perform one or more of the respective processes. Since it will be possible to appl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y executing in parallel, FIG. 5 is not limited to a time-series order.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systems and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integrated circuitry,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and/or combination can be realized. These various implementations may include being implemented in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executable on a programmable system. The programmabl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mable processor (which may be a special purpose processor) coupled to receive data and instructions from, and transmit data and instructions to, a storage system,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t least one output device. or may be a general-purpose processor). Computer programs (also known as programs,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s or code) contain instructions for a programmable processor and are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es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are non-volatile or non-transitory, such as RO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memory card,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and storage device. It may be a medium, and may further include a transitory medium such as a data transmission medium.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탑 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탑,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systems and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mable computer. Here, the computer includes a programmable processor, a data storage system (including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other types of storage system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example, a programmable computer may be one of a server, a network appliance, a set-top box, an embedded device, a computer expansion module,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a Personal Data Assistant (PDA), a cloud computing system, or a mobile device.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 요금결제 시스템
100: 이용자 단말기 102: 결제 어플리케이션
110: 스마트 도어 120: 교통카드 단말기
130: 운영서버 140: 디스플레이
200: 위치정보 수집부 210: 출입문 상태 수집부
220: 승하차 지원 표시등 230: 근거리 통신부
240: 요금처리부 250: 카메라
260: 스피커 270: 원거리 통신부
280: 정보처리부
10: Payment system
100: user terminal 102: payment application
110: smart door 120: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130: operation server 140: display
200: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door status collection unit
220: getting on and off assist indicator 230: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40: fee processing unit 250: camera
260: speaker 270: telecommunication unit
280: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laims (16)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이 소지한 이용자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 요금결제를 수행하는 요금결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획득하는 출입문 상태 수집부;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이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결제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승객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출입문이 닫힌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승객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시스템.
A billing system that performs bill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passengers getting on or off the vehicle,
a door state collecting unit for acquiring an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 wireless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and transmits/receives payment-related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a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wireless signal; and
Compris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on a display when payment for the user terminal is comple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door is changed to the closed state, the fare pay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is removed so as no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무선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signal when the door changes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and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signal when the door changes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 및 외부 각각을 향해, 상이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A bil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including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대한 결제처리결과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을 판단하는 정보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passenger getting on or off the vehicl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determines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result of payment processing for the user terminal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 bil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승차 승객수가 승차관련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보다 많은 경우 부정승차 의심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하차 승객수가 하차관련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보다 많은 경우 부정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f the number of boarding passengers detected from the video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ompleted boarding-related fare payment processing, it is judged as a suspicious condition for illegal boarding. A bil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기설정된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을 의심상황 영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llegal boarding and alighting is suspected, the image taken for a preset time is stored as an image of the suspicious situ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심상황 영상을 기초로, 부정승하차 의심승객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운영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are pay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server that analyzes information on passengers suspected of getting on and off the train based on the suspicious situation ima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부정승차 의심상황 영상에서 검출된 승차 승객과 부정하차 의심상황 영상에서 검출된 하차 승객을 비교하여 공통으로 포함되는 승객을 부정승하차 의심승객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perating server is
A fare pay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enger, which is included in common, is detected as a passenger suspected of getting on and off by comparing the passenger detected in the image of the suspected illegal riding situation and the disembarking passenger detected in the image of the suspicious situation of illegal riding.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이 소지한 이용자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 요금결제를 수행하는 요금결제 방법으로서,
스마트 도어가 상기 차량의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이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결제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승객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는 과정; 및
상기 출입문이 닫힌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승객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거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방법.
A fee payment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passenger getting on or off the vehicle,
a process in which the smart door acquire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transmitting, by the smart door, a wireless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yment-related information by the smart door interlocking with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wireless signal; and
when the payment for the user terminal is completed, the smart door outputting the passenger information on a display; and
When the door is changed to the closed state,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mart door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A billing method compri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하는 과정은,
상기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무선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ding process is
When the door changes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he smart door transmits the radio signal, and when the door changes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the smart door stops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payment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하는 과정은,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차량의 내부 및 외부 각각을 향해, 상이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ding process is
A bil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 door transmits a wireless signal including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을 촬영하는 과정; 및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대한 결제처리결과 및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을 판단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 process in which the smart door is interlocked with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to photograph a passenger getting on or off the vehicle; and
A process in which the smart door determines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based on a result of payment processing for the user terminal and a photographed image
A bil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승차 승객수가 승차관련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보다 많은 경우 부정승차 의심상황으로 판단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검지된 하차 승객수가 하차관련 요금결제 처리완료 건수보다 많은 경우 부정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bove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is,
If the number of boarding passengers detected from the above video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ompleted boarding-related fare payment processing, it is judged to be in a suspicious condition, and if the number of alighting passengers detected from the above video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exit-related fare payment processing completed, it is judged as a suspicious condition A pay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제12항에 있어서,
부정승하차 의심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을 의심상황 영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n image captured for a preset time by the smart door as an image of the suspicious situation when it is determined as a suspicious situation of getting on and off.
제14항에 있어서,
운영서버가 상기 의심상황 영상을 기초로, 부정승하차 의심승객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nalyzing, by the operation server, information on the suspicious passenger on the basis of the suspicious situation imag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운영서버가 부정승차 의심상황 영상에서 검출된 승차 승객과 부정하차 의심상황 영상에서 검출된 하차 승객을 비교하여 공통으로 포함되는 승객을 부정승하차 의심승객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결제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nalysis process is
A fare pay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server compares the passenger detected in the image of the suspected illegal boarding situation with the getting off passenger detected in the image of the suspected illegal boarding situation, and detects the passenger included in common as the suspicious passenger.
KR1020210086324A 2021-07-01 2021-07-01 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 KR1023799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24A KR102379973B1 (en) 2021-07-01 2021-07-01 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24A KR102379973B1 (en) 2021-07-01 2021-07-01 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973B1 true KR102379973B1 (en) 2022-03-29

Family

ID=8099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324A KR102379973B1 (en) 2021-07-01 2021-07-01 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9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31B1 (en) * 2023-03-31 2023-12-01 (주)블루모바일 Method for tagless recognition of boarding and alighting using directional signals and system us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259A (en) * 2005-06-24 2006-12-29 박인정 Method of passenger check and apparatus therefor
KR100848398B1 (en) * 2007-02-14 2008-07-25 금호산업주식회사 Passenger control system
KR101155246B1 (en) * 2010-09-14 2012-07-03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access service using wlan access point built in public transport vehicle
KR101259875B1 (en) * 2012-10-18 2013-05-03 주식회사 모바일허브 Getting off system in bus and operating method thesame
KR20170075353A (en) * 2015-12-23 2017-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s and methods for getting on/off vehicle
KR20190087110A (en) * 2018-01-16 2019-07-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Non-contacting pay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259A (en) * 2005-06-24 2006-12-29 박인정 Method of passenger check and apparatus therefor
KR100848398B1 (en) * 2007-02-14 2008-07-25 금호산업주식회사 Passenger control system
KR101155246B1 (en) * 2010-09-14 2012-07-03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access service using wlan access point built in public transport vehicle
KR101259875B1 (en) * 2012-10-18 2013-05-03 주식회사 모바일허브 Getting off system in bus and operating method thesame
KR20170075353A (en) * 2015-12-23 2017-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s and methods for getting on/off vehicle
KR20190087110A (en) * 2018-01-16 2019-07-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Non-contacting pay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31B1 (en) * 2023-03-31 2023-12-01 (주)블루모바일 Method for tagless recognition of boarding and alighting using directional signals and system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6425B1 (en) Validation in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enforcement system according to visual object flow
US10009745B2 (en) Validation in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enforcement system according to visual objects
CA2901683C (en)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access control system
US11688217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JP5846565B1 (en)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parking lot system
KR101258689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visitors using cars
US200701266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parked cars
KR1010156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school bus
KR101428011B1 (en) Method for Recognizing Vehicle Information of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US201903925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parking zone
KR102000555B1 (en) System confirming parking position
KR101259875B1 (en) Getting off system in bus and operating method thesame
KR1015398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CA2867173A1 (en) Beacon-based mobile payments
EP3002735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of a public module interface of a data exchange system using NFC technology
US20180374278A1 (en) Paym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of a product and/or associated ser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the corresponding data
KR1023799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re Payment Using Smart Door
CN108260077B (e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identity information of stolen vehicle
JP2015133022A (en) Toll collection station, toll collection system, toll collection method, and program
JP5323366B2 (en) In-car ticket gate support method and in-car ticket gate support system
JP2015103137A (en) Parking lot system
KR102163504B1 (en) Toll Unpaid Prevention System for Detecting an Unpaid Vehicles in Expressway Limit Vehicle Surveillance System
KR101671904B1 (en) System for tracing vehicle using blackbox for vehicle
KR101998879B1 (en)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27281B1 (en) Bus security service system using traffic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