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008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using mobile ticke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using mobile ti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008A
KR20160051008A KR1020140150330A KR20140150330A KR20160051008A KR 20160051008 A KR20160051008 A KR 20160051008A KR 1020140150330 A KR1020140150330 A KR 1020140150330A KR 20140150330 A KR20140150330 A KR 20140150330A KR 20160051008 A KR20160051008 A KR 20160051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gate control
entry
mobile devic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경필
김기현
송종섭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1008A/en
Publication of KR2016005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0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entry control, without performing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a balance confirmation, and an approval on a mobile ticket, by using a gate which controls an entry into an entry restric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te control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mobile device receives a beacon signal notifying the presence of a gate control device which controls the entry into the entry restriction area.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beacon signal, the mobile device makes inquiries about a ticket for the entry into the entry restriction area in a ticket depository and checks whether the ticket is available. When it is checked that the ticket is available,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control device.

Description

모바일 티켓을 이용한 게이트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using mobile ticke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ate using a mobile ticket,

본 발명은 모바일 티켓을 이용한 게이트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극장 등 티켓을 이용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장소에서 종래의 물리적 티켓이 아닌 모바일 티켓을 이용하여 게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ate using a mobile ticke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ate using a mobile ticket, rather than a conventional physical ticket, in a place where entrance and exit are controlled using a ticket such as a subway or a theater.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가 도래하면서, 여러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아날로그(Analog) 수단이 디지털화(Digitization)되었다. 종이, 마그네틱 카드(Magnetic stripe), 스마트 카드(Smart card) 등과 같은 전통적인 티켓 또한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피해가지 못하였고, 다양한 디지털 티켓이 하나의 모바일 장치를 통해 이용될 수 있는 모바일 티켓이 등장하였다. With the advent of the ubiquitous era, the analog means used in various industries have been digitized. Conventional tickets such as paper, magnetic stripe, and smart card have not been able to avoid this trend, and mobile tickets have emerged in which various digital tickets can be used through a single mobile device.

하지만, 지하철 역사 등과 같은 장소에서 모바일 티켓을 검표하고 모바일 장치 사용자의 진입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지하철 역사에 기 설치되어 있는 게이트에 대한 구성의 전반적인 변경이 불가피하다. 또한, 게이트에 대한 구성 변경 후 새로운 유형의 모바일 티켓이 등장하게 되면, 게이트에 대한 구성을 재변경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check the mobile ticket and control the entry of the mobile device user in a place such as the subway history,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gate installed in the subway history is inevitable. Further, when a new type of mobile ticket appears after a configuration change to the gate, there is a limit to re-change the configuration for the gate.

한국 등록 특허 10-0852587호Korean Patent No. 10-085258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입 제한 구역의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가 모바일 티켓에 대한 식별, 인증, 잔액 확인 및 승인을 수행하지 않고도, 모바일 티켓에 따른 진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erforming an entry control according to a mobile ticket without performing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balance confirmation and approval for a mobile ticket, And to provide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진입 제한 구역의 게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gate of an entry restriction area by using mobile ticket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a mobile device or an external database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티켓을 이용하여, 진입 제한 구역 중 사용자가 등록한 진입 제한 구역만의 게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gate of only an entry-restricted area registered by a user in an entry-restricted area using a mobile tick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장치가 분실 또는 도난 되지 않은 경우에만, 모바일 티켓을 이용하여 진입 제한 구역의 게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gate of a restricted area using a mobile ticket only when the mobile device is not lost or stolen,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은, 모바일 장치가,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티켓 보관소에서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티켓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te control method including: receiving a beacon signal indicating a presence of a ga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entry into an entry-restricted area; The mobile device inquiring a ticket for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in the ticket storag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beacon signal, and checking whether the ticket is available, ,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control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자동 진입 감지 기능이 'OFF'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진입 요청 입력이 제공 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진입 요청 입력이 제공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ecking of the availability of the ticket may include the step of the mobile device waiting for an input request input from the user to be provided when the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is 'OFF' Inquiring the ticket and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only if it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진입 제한 구역으로 구성된 진입 대상 구역 목록에 상기 진입 제한 구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진입 대상 구역 목록에 포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entry restriction zone is included in the entry zone list composed of one or more entry restriction zones, and if the entry restriction zone is included in the entry zone list And inquiring about the ticket and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only if it is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제어 장치를 운용하는 집중 통제 장치에 대하여,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의 게이트 오픈을 명령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includes transmitting, to a centralized control apparatus operating at least one gate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gate control apparatus, a request for commanding gate opening of the gate control apparatus Step < / RTI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중 통제 장치는,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 제어 장치 중 혼잡률이 최저인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entralized control apparatus selects a gate control apparatus having the lowest congestion rate among the one or more gate control apparatuses in response to the gate open command request, and transmits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apparatus can d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은, 모바일 장치가, 측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위 정보에 따른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위치가 진입 제한 구역을 기준으로 구획된 티켓 체크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티켓 체크 영역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티켓 보관소에서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티켓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te control method for a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compris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positioning information and stor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in the entry area, if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tha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ticket check area, inquiring a ticket for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area in the ticket storage; Checking whether the ticket is available, and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control device when the mobile device is able to use the ticket as a result of the che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 중 하나의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may include selecting one of the gate control devices capable of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us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nd sending an open comma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 중 상기 측위 정보에 따른 위치로부터 최근접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includes selecting a nearest gate control apparatus from a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mong gate control apparatuses capable of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And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 중 혼잡률이 최저인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includes: selecting a gate control apparatus having the lowest congestion rate among the gate control apparatuses capable of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and issuing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data.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티켓 보관소에서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티켓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 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comprising: receiving a beacon signal announcing the presence of a gate control device controlling entry into an entry-restricted area; Inquiring a ticket for entry into the entry restriction zone in the ticket storage and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and if the ticket is available, the gate control unit issues a gate open command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provid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티켓 보관소에서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 및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티켓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 network interface, a memory, and a storage device loaded with a computer program loaded on the memory and recorded by th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receiving a beacon signal announcing the presence of a ga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entry to an entry-restricted area via the network interface,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beacon signal,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inquiring a ticket for entry into an entry restricted area and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and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control device, Instruction Ca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가리키는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측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 중 하나의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further comprises a positioning module for receiving positioning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the computer program comprising: a gate capable of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us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nd may further comprise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selecting one gate control device of the control device and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 제한 구역의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가 모바일 티켓에 대한 식별, 인증, 잔액 확인 및 승인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진입 제한 구역에 기 설치되어 있는 게이트에 대한 최소한의 구성 추가 또는 구성 변경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gate for controlling entry of the entry-restricted area does not perform the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balance confirmation and approval for the mobile ticket, so that the minimum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implemented by only adding or changing the configuration.

또한, 기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티켓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모바일 장치가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모바일 티켓을 새로이 수집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mobile ticke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newly collect a mobile ticket for the mobile device to enter the entry restriction area.

또한, 사용자가 등록한 진입 제한 구역만의 게이트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gate of only the entry-restricted area registered by the user, entrance of the entry-restricted area that is not intended by the user can be prevented.

또한, 모바일 장치가 분식 또는 도난 되지 않은 경우에만 모바일 티켓을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습득자 또는 절도자가 습득 또는 절도한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bile ticket can be used only when the mobile device is not stolen or stole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len or the thief from entering the restricted area using the mobile device which has learned or stol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티켓을 이용한 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게이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티켓 조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자동 진입 감지 기능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티켓 사용 가능 여부 체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게이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a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i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gat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icket inquiry method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for setting an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ecking whether a ticket can be used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gat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First,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defined.

진입 제한 구역(Restricted area):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특정 사람들만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물리적인 장소를 의미한다.Restricted area: Not open to all people, but optionally a physical place where only certain people can en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제한 구역의 예로서, 지하철 역사의 승하차장, 공항의 탑승동, 극장의 상영관 및 경기장의 관람석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진입 제한 구역의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철 역사의 승하차장은 지하철 티켓을 소지한 자만이 진입할 수 있는 진입 제한 구역이다. 공항의 탑승동은 비행기 티켓을 소지하고, 탑승 수속을 밟은 자만이 진입할 수 있는 진입 제한 구역이다. 극장의 상영관은 극장 티켓을 소지한 자만이 진입할 수 있는 진입 제한 구역이다. 그리고, 경기장의 관람석은 경기 관람 티켓을 소지한 자만이 진입할 수 있는 진입 제한 구역이다.Examples of the entry restricted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subway depot, an airplane, an auditorium of a theater, and a stadium of a stadium. An example of the above-mentioned entry restriction are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The subway station's stop-and-go depot is a restricted-entry zone where only subscribers with subway tickets can enter. The airport's tram stop is a restricted-entry area where only those who carry a ticket and enter the check-in process can enter. Theater venues are restricted access areas where only those with theater tickets can enter. Also, the stadium seats in the stadium are entry restricted areas where only those who hold tickets to the stadium can enter.

게이트(Gate):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자들이 해당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문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제한 구역은 해당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게이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게이트는 게이트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Gate: Gate used by those who can enter the restricted area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The entry restriction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gates for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And each gate can be controlled by a gate control device.

티켓(Ticket):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고자 하는 자가 해당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하여 소지해야 하는 표를 의미한다. Ticket: Ticket is a ticket that a person wishing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must possess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고유(Inherent) 티켓, 신용 카드(Credit card), 체크 카드(Debit card), 교통 카드(Transportation card), 바우처(Voucher)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티켓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은 필수적으로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종이, 마그네틱 카드(Magnetic stripe), 스마트 카드(Smart card) 등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티켓과 차이가 있다. In particular, a tick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herent ticket, a credit card, a debit card, a transportation card, etc., provided by a specific service provider using a mobile device, , A voucher, or the like. Therefore, the ti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a conventional ticket using paper, a magnetic stripe, a smart card, or the like in that it essentially uses a mobil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은 비충전식 후불형 티켓과 충전식 선불형 티켓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충전식 후불형 티켓은 해당 티켓이 유효한 경우, 해당 티켓과 연동되는 계좌의 잔액과 무관하게 티켓의 사용이 승인될 수 있는 티켓이다. 그리고, 충전식 선불형 티켓은 해당 티켓이 유효하더라도, 해당 티켓과 연동되는 계좌에 일정 금액 이상의 잔액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티켓 사용이 승인될 수 있는 티켓이다.In addition, the ti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non-rechargeable post-paid ticket and a rechargeable prepaid ticket. Specifically, a non-rechargeable post-pay type ticket is a ticket in which, when the ticket is valid, the use of the ticket can be approved regardless of the balance of the account linked with the ticket. The rechargeable prepaid ticket is a ticket in which the use of the ticket can be approved only when a balance of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exists in the account linked to the ticket even if the ticket is valid.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티켓을 이용한 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ga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i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티켓을 이용한 게이트 제어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 시스템(10)은 모바일 장치(100), 게이트 제어 장치(200), 비콘 신호 장치(300), 집중 통제 장치(400) 및 네트워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ate control system 10 using a mobile ti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gate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device 100, a gate control device 200, a beacon signal device 300, a centralized control device 400, Network < RTI ID = 0.0 > 500 < / RTI >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티켓을 사용 처리하고, 사용자가 진입하고자 하는 진입 제한 구역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게이트 제어 장치(200) 또는 집중 통제 장치(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릿(Tablet), 랩탑(Laptop),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패블릿(Phablet),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 등과 같은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device 100 is a device for processing a ticket by itself, and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to a gate control device 200 which controls a gate of an entry restriction area to which a user intends to enter.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gate control device 200 or the centralized control device 400 through the network 500. [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a Laptop,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hablet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 electronic book reader (E-Book Reader),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논리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게이트 제어 장치(200)는 모바일 장치(100)의 명령에 따라 진입 제한 구역의 게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 장치(200)는 지하철 승하차장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승객이 지하철 티켓을 소지하였는지 검사하는 검표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gate control device 20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gate of the entry restriction area in accordance with a command of the mobile device 100. [ For example, the gate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rolley for checking whether a passenger who intends to enter a subway depot area has a subway ticke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제어 장치(2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모바일 장치(100) 또는 집중 통제 장치(400)로부터 게이트 오픈 명령을 수신한 경우, 해당 진입 제한 구역의 게이트를 오픈하여, 모바일 장치(100) 사용자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gate control device 200 receives a gate open command from the mobile device 100 or the centralized control device 400 through the network 500, the gate control device 200 opens the gate of the entry restriction area, (100) users.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 장치(200)는 단순히 모바일 장치(100) 또는 집중 통제 장치(400)와의 통신 능력 및 게이트 제어 능력만이 요구될 뿐, 티켓의 식별, 인증, 잔액 확인 및 승인 능력 등과 같은 복잡한 능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 장치(200)는 진입 제한 구역에 기 설치되어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한 최소한의 구성 추가 또는 구성 변경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gate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only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the gate control capability with the mobile device 100 or the centralized control apparatus 400, No complex capabilities are required, such as verification and approval capabilities. Therefore, the gate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only a minimal configuration addition or configuration change to the gate control apparatus installed in the entry restriction area.

비콘 신호 장치(300)는 모바일 장치(100)가 게이트 제어 장치(200)로부터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한 경우, 해당 모바일 장치(100)에 대하여 게이트 제어 장치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비콘(Beacon)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이다. 특히, 비콘 신호 장치(300)가 전송하는 비콘 신호에는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D) 또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한 식별 정보(ID)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 장치(300)는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태그(Tag),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태그, 와이파이(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태그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eacon signaling device 300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inform the mobile device 100 of the existence of the gate control device when the mobile device 100 approaches the gate control device 200 within a certain range . In particular,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by the beacon signaling device 300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the entry-restricted area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the gate control device 200. For example, the beacon signal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 a Bluetooth low energy (BLE) tag, a Wi-Fi, An access point, and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집중 통제 장치(400)는 진입 제한 구역의 게이트가 하나 이상인 경우, 각각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중앙에서 집중 운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중 통제 장치(400)는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게이트 제어 장치(200)의 게이트 오픈을 명령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게이트 오픈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한다. The centralized control device 400 is a device for centrally operating the gate control device 200 that controls each gate when there is more than one gate of the entry restricted area. More specifically, the centralized control apparatus 400 receives a request to command gate opening of the gate control apparatus 200 from the mobile device 100, an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gate open command request, And transmits a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 장치(200)가 복수 개인 경우, 집중 통제 장치(400)는 복수 개의 게이트 제어 장치(200) 중 하나의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선택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중 통제 장치(400)는 복수 개의 게이트 제어 장치(200) 중 혼잡률이 최저인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모바일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gate control device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ized control device 400 selects one gate control device 200 among the plurality of gate control devices 200, Command can be transmitted. More specifically, the centralized control apparatus 400 selects the gate control apparatus 200 having the lowest congestion rate among the plurality of gate control apparatuses 200 and transmits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apparatus 200 have. Further,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selected gate control device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 통제 장치(400)는 진입 제한 구역의 게이트 제어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나, 집중 통제 장치(400)를 통하여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운용할 경우, 각각의 게이트 제어 장치(200)와 모바일 장치(100)가 직접적으로 통신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실익이 있다.The centralized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sential for the gate control of the entry restriction area. However, when the gate control apparatus 200 is operated through the centralized control apparatus 400, There is a merit that the device 200 and the mobile device 100 need not communicate directly.

그리고, 네트워크(500)는 모바일 장치(100), 게이트 제어 장치(200) 및 집중 통제 장치(4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프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500)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와이드 밴드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DMA, WCDMA),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 이더넷(Ethernet), 디지털가입자선(x Digital Subscriber Line, xDSL), 광동축 혼합망(Hybrid Fiber Coax, HFC), 광가입자망(Fiber To The Home, FTTH) 등과 같은 유선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통신망이 될 수 있다.The network 500 is an infrastruct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mobile device 100, the ga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centralized control device 400. The network 5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 Wideband CDMA (WCDMA), a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LTE), Ethernet, Digital Subscriber Line (xDSL), Hybrid Fiber Coax (HFC), and Fiber Subscriber Line (LTE). The Home, FTTH), or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WiBro, WiMAX,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gat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게이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gate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비콘 신호 장치(300)로부터 게이트 제어 장치(200)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S110). 여기서, 비콘 신호에는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식별 정보(ID) 또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한 식별 정보(ID)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device 100 receives a beacon signal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gate control device 200 from the beacon signal device 300 (S110). Here, the beacon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the entry-restricted area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the gate control device 200. [

모바일 장치(100)는 S110 단계의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티켓 보관소에서 조회한다(S130). 여기서, 티켓 보관소는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서비스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티켓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 놓은 레거시(Legacy) 보관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 정보를 별도로 수집하지 않고, 기 구축되어 있는 티켓 보관소의 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beacon signal in step S110, the mobile device 100 inquires of the ticket storage for a ticket for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area (S130). Here, the ticket storage is not limited to a ticket for entering the restricted area but is a legacy storage room stor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tickets available in various service fields. Therefore,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ter the restricted area using the ticket information of the pre-built ticket store without separately collecting the ticket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restricted area have.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보관소는 모바일 장치(100) 스토리지의 일 영역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켓 보관소는 모바일 장치(100)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ticket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area of the storage of the mobile device 100, but the ticket stor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base (not shown) .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S110 단계를 통해 수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진입 제한 구역의 식별 정보(ID) 또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한 식별 정보(ID)를 이용하여 티켓을 조회할 수 있다. S130 단계의 티켓 조회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100 can inquire a ticket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entrance restriction area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received through step S110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gate control device 200 have. The ticket inquiry method in step S1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모바일 장치(100)는 S130 단계를 통해 조회된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한다(S150). S150 단계의 티켓 사용 가능 여부 체크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mobile device 100 checks whether or not the inquired ticket is available through step S130 (S150). The ticket availability check method in step S15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S150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티켓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150, if the ticket can not be used, the mobile device 100 ends without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S150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티켓 사용이 가능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S110 단계를 통해 수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식별 정보(ID) 또는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ID)를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한다(S17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0 that the ticket can be used, the mobile device 1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the entry restriction zone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received through step S110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 the gate control device 200 (S170).

이하, 도 2의 S130 단계의 티켓 조회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icket inquiry method of step S130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티켓 조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icket inquiry method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S110 단계 후, 자동 진입 감지 기능이 'ON'인지 판단한다(S131). S131 단계의 자동 진입 감지 기능의 설정을 위한 모바일 장치(100)의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after step S110, the mobi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is 'ON' (S131). The inte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for setting the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in step S13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S13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자동 진입 감지 기능이 'OFF'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 요청 입력이 제공되는 것을 대기한다(S133). S133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을 대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장치(100)가 비콘 신호 장치(300)로부터 더 이상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지역으로 벗어날 때까지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1, if the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is 'OFF', the mobile device 100 waits for the entry request input for the entry-restricted area from the user to be provided (S133). In step S133, the mobile device 100 may wait for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low the mobile device 100 to leave the area where it is no longer able to receive a beacon signal from the beacon signal device 300 You can wait for input unt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S133 단계의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 요청 입력 대기에 앞서, 사용자로부터 인접한 곳에 진입 제한 구역이 존재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팝업(Popup)하여 보여 줄 수 있다.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ps up a message informing the existence of the entry restriction area in the vicinity of the user before the entry request input waiting for the entry restriction area in step S133 .

모바일 장치(100)는 S131 단계의 진입 요청 입력 대기 동안 사용자로부터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 요청 입력이 제공되었는지 판단한다(S135).The mobi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n entry request input for the entry-restricted area has been provided by the user during the entry request input step S131 (S135).

S13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 요청 입력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5, if the entry request input for the entry-restricted area is not provided by the user, the mobile device 100 ends without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S13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자동 진입 감지 기능이 'ON' 경우, 또는 S13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 요청 입력이 제공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진입 대상 구역 목록에 해당 진입 제한 구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37). 여기서, 진입 대상 구역 목록은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진입 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진입 제한 구역을 포함한다. 즉, 진입 대상 구역 목록은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이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1 that the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is 'ON', o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5 that the entry request input for the entry-restricted area is provided by the user, the mobile device 100 enters the entr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stricted area is included (S137). Here, the entry subject zone list includes one or more entry restriction zones to which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intends to enter. That is, the entry subject zone list is a white list of entry restriction zones that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previously registers.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진입 대상 구역 목록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진입 대상 구역 목록에 미성년자가 출입할 수 있는 진입 제한 구역만을 등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100) 사용자의 탈선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entry subject zone list to prevent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from being allowed to enter the unintentional entry restriction zone.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nor, only the entry-restricted zone in which the minor can enter the entry-destination zone list is registered, Can be prevented.

S13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진입 대상 구역 목록에 해당 진입 제한 구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7, if the entry restriction zone is not included in the entry zone list, the mobile device 100 ends without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S13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진입 대상 구역 목록에 해당 진입 제한 구역이 포함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S110 단계를 통해 수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진입 제한 구역의 식별 정보(ID) 또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한 식별 정보(ID)를 이용하여 티켓을 조회(S139)하고, S150 단계를 이어서 수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7 that the entry restriction zone is included in the entry zone list, the mobile device 1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entry restriction zone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received through step S110, (S139)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ticket 200, and then performs step S150.

이하, 도 3의 S131 단계의 자동 진입 감지 기능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face for setting the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of step S131 of FIG.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자동 진입 감지 기능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for setting an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의 자동 진입 감지 기능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20)에는 메인 입력 컨트롤(30) 및 세부 입력 컨트롤(40)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interface 20 for setting the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may include a main input control 30 and a detailed input control 40.

메인 입력 컨트롤(30)은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자동 진입 감지 설정 기능의 'ON' / 'OFF' 또는 '허용' / '불허용')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컨트롤이다. 메인 입력 컨트롤(30)은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토글(Toggle) 스위치, 라디오 버튼(Radio button), 체크 박스(Check box), 편집 영역(Edit area) 등의 객체를 이용하여 입력 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ain input control 30 is an input control for receiving an input of an automatic entry detection setting function from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ON' / 'OFF' or 'allow' / 'not allow'. The main input control 30 receives input from a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using an object such as a toggle switch, a radio button, a check box, and an edit are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세부 입력 컨트롤(40)은 메인 입력 컨트롤(30)이 'ON' (또는 '허용')으로 설정된 경우,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세부적인 자동 진입 감지 방법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컨트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입력 컨트롤(40)은 엔에프씨(NFC, 41), 블루투스(Bluetooth, 43),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45), 와이파이(Wi-Fi, 47), 알에프아이디(RFID, 49) 등을 이용한 감지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세부 입력 컨트롤(40)은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토글 스위치, 라디오 박스, 체크 박스, 편집 박스 등의 객체를 이용하여 입력 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세부 입력 컨트롤(40)이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라디오 박스 객체를 이용하여 입력 받는 경우, 복수 개의 감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detailed input control 40 is an input control for receiving a detailed automatic entry detection method from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when the main input control 30 is set to 'ON' (or 'allow'). The detailed input control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NFC 41, a Bluetooth 43,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45, a Wi-Fi 47, (RFID) 49,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 the detailed input control 40 can be input from a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using an object such as a toggle switch, a radio box, a check box, an edit box,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when the detailed input control 40 is input using the radio box object from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ailed input control 40 is set to be able to select a plurality of sensing methods.

이하, 도 2의 S150 단계의 티켓 사용 가능 여부 체크 방법에 대해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icket availability checking method in step S150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티켓 사용 가능 여부 체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icket availability check method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S130 단계 후, 토큰이 만료되었는지 판단한다(S151). 여기서, 토큰은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가 설정한 기간 동안만 이용이 가능한 유효기간을 포함하며, 유효기간은 토큰 갱신 센터를 통해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즉, 토큰은 모바일 장치(100)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수단이다.Referring to FIG. 5, after step S130, the mobi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token has expired (S151). Here, the token includes a valid period available only for the period set by the token update center (not shown), and the valid period can be periodically updated through the token update center. That is, the token is a means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mobile device 1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토큰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가 분실 또는 도난 된 경우,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가 모바일 장치(100)의 토큰을 갱신하지 않음으로써, 모바일 장치(100)의 습득자 또는 절도자가 습득 또는 절도한 모바일 장치(100)를 이용하여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token to prevent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from being allowed to enter the entry-restricted area in an unintended situation. For example, if the mobile device 100 is lost or stole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ken update center (not shown) does not update the token of the mobile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quirer or the thief of the mobile device 100 from entering the restricted area using the mobile device 100 that has learned or steal.

S15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토큰이 만료 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에 대하여 토큰의 갱신을 요청한다(S153). S153 단계는 일시적인 네트워크 장애로 토큰이 갱신되지 못한 경우, 토큰의 갱신을 재시도하기 위함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1 that the token has expired, the mobile device 100 requests the token update center (not shown) to update the token (S153). In step S153, if the token is not updated due to a temporary network failure, the token update is retried.

모바일 장치(100)는 S153 단계를 통한 토큰 갱신 요청에도 불구하고, 토큰이 갱신되지 않거나,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를 통해 갱신된 토큰이 여전히 만료되었는지 판단한다(S155).The mobi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token is not updated or the token updated through the token update center (not shown) is still expired (S155) despite the token update request through step S153.

S15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토큰이 갱신되지 않거나, 갱신된 토큰이 여전히 만료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55, if the token is not updated or the updated token is still expired, the mobile device 100 ends without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S15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토큰이 유효한 경우, 또는 S15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갱신된 토큰이 유효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티켓 인증 센터(미도시)를 통해 티켓을 인증하여 유효한지 판단한다(S157). 여기서, 티켓 인증 센터(미도시)는 티켓이 정상적으로 발급되었는지, 티켓의 유효기간이 도과 되지 않았는지 등을 판단하는 인증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인증 센터(미도시)는 상기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1 that the token is valid or if the updated token is vali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55, the mobile device 100 authenticates the ticket through the ticket authentication center (not shown) ). Here, the ticket authentication center (not shown) is an authentication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a ticket is normally issued, whether the validity period of the ticket has not passed, and the like. The ticket authentication center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evice with the token update center (not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S15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티켓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57, if the ticket is not valid, the mobile device 100 ends without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S15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티켓이 유효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티켓이 충전식 선불형 티켓으로, 티켓과 연동되는 계좌에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의 잔액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59). 여기서, 기 설정된 금액은 티켓을 사용하기 위한 결제 금액, 또는 티켓을 사용하기 위한 보증 금액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충전식 선불형 교통카드의 티켓을 이용하여 지하철 승하차장에 진입하려는 경우, 상기 충전식 선불형 교통카드의 티켓에는 지하철 탑승을 위한 교통비 이상의 잔액이 존재하여야 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7 that the ticket is valid, the mobi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ticket is a rechargeable prepaid ticket and whether there is a balance of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in an account linked to the ticket (S159). Here, the predetermined amount may be a payment amount for using the ticket, or a guarantee amount for using the ticket. For example, when a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enter a subway depot area using a ticket of a rechargeable prepaid type card, the ticket of the rechargeable prepaid type card includes There must be a balance of transportation expenses.

S159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티켓과 연동되는 계좌에 잔액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59, if there is no balance in the account linked to the ticket, the mobile device 100 ends without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S159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티켓과 연동되는 계좌에 충분한 잔액이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티켓을 사용 처리(S161)하고, S170 단계를 이어서 수행한다. 여기서, 모바일 장치(100)는 티켓을 사용 처리 함에 외부의 티켓 승인 센터(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승인 센터(미도시)는 상기 티켓 인증 센터(미도시) 및 상기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59, if there is a sufficient balance in the account linked to the ticket, the mobile device 100 uses the ticket (S161) and performs step S170. Here, the mobile device 100 can use an external ticket approval center (not shown) to process the ticket. The ticket approval center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one device with the ticket authentication center (not shown) and the token update center (not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 / RTI >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gat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게이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at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현위치에 대한 측위 정보를 수신한다(S210).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의 일 구성 요소로 측위 모듈을 포함하고, 포함된 측위 모듈을 통해 측위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외부의 측위 장치(미도시)가 측위한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측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obile device 100 receives positioning information on a current location (S210).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ing module as an element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can acquire position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cluded positioning module, The device 100 may receive positioning information for the mobile device 100 positioned by an external positioning device (not shown).

모바일 장치(100)는 S21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측위 정보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가 진입 제한 구역을 기준으로 구획된 티켓 체크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여기서, 티켓 체크 영역은 진입 제한 구역을 기준으로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리라 예상되는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형 영역에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입 제한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격자형(Grid) 영역이 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100)는 위치 정보 서버(미도시)를 통해 티켓 체크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In step S220, the mobi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device 100 is located in a ticket check area defined based on the entry restriction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210. Herein, the ticket check area may be a circular area having a radius as a distance that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is expected to enter the entry restriction area based on the entry restriction area, but not limited thereto, (Grid) region. In particular, the mobile device 100 may update information about the ticket check area through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not shown).

S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모바일 장치(100)가 티켓 체크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20, if the mobile device 100 is not located in the ticket check area, the mobile device 100 ends without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S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모바일 장치(100)가 티켓 체크 영역에 위치한 경우,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진입하리라 예상되는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티켓 보관소에서 조회한다(S230). 여기서, 티켓 보관소는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서비스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티켓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 놓은 레거시 보관소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 mobile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ticket check area, it inquires the ticket storage for a ticket to enter the entry restriction area where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is expected to enter in step S230. Here, the ticket storage is not limited to a ticket for entering the restricted area, but is a legacy storage room stor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tickets available in various service fields.

모바일 장치(100)는 S230 단계를 통해 조회된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한다(S240). The mobile device 100 checks the availability of the inquired ticket through step S230 (S240).

S240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티켓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240, if the ticket can not be used, the mobile device 100 ends without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S240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티켓 사용이 가능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진입하리라 예상되는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 중 하나의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선택한다(S250).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240, if the ticket can be used, the mobi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is allowed to enter the entrance restriction zone by using one of the gate control devices 200 The device 200 is selected (S250).

보다 구체적으로,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가 오직 하나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해당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선택한다. More specifically, if there is only one gate that can enter the entry-restricted area, the mobile device 100 selects the gate control device 200 that controls that gate.

이와 달리,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가 복수 개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복수 개의 게이트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 개의 게이트 제어 장치(200) 중 모바일 장치(100)로부터의 거리 및/또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의 혼잡률을 기초로 하나의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모바일 장치(100)는 위치 정보 서버(미도시)로부터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한 위치 정보와 S210 단계를 통해 수신된 측위 정보에 따른 위치를 비교하여 최근접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위치 정보 서버(미도시)로부터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한 혼잡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한 혼잡도 정보를 기초로 혼잡률이 최저인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re are a plurality of gates that can enter the entry-restricted area, the mobile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distance from the mobile device 100 among the plurality of gate control devices 200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gates, respectively, and / It is possible to select one ga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congestion rate of the gate control device 200. [ More specifically, the mobile device 10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gate control device 200 from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not shown), an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received gate control device 200 and receives The nearest gate control apparatus 200 can be selected by comparing posi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lso, the mobile device 100 receives the congestion degree information for the gate control apparatus 200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not shown), and based on the congestion degree information for the received gate control apparatus 200, The gate control device 200 can be selected.

그리고, 모바일 장치(100)는 S250 단계를 통해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한다(S260).Then, the mobile device 100 transmits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step S250 (S260).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티켓 보관소(110), 모바일 통신부(120), 위치 측량부(130), 진입 요청 판단부(140), 티켓 조회부(150), 토큰 갱신부(160), 티켓 인증부(170), 티켓 사용 처리부(180) 및 진입 요청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a ticket storage 110, a mobile communication unit 120, a position measurement unit 130, an entry request determination unit 140, a ticket inquiry unit 150, a token update unit 160, a ticket authentication unit 170, a ticket usage processing unit 180, and an entry request unit 190.

티켓 보관소(110)는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서비스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티켓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 놓은 레거시 보관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보관소(110)는 모바일 장치(100)에 포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켓 보관소(110)는 모바일 장치(100) 외부의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다.The ticket storage unit 110 is not limited to a ticket for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but is a legacy storage unit stor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tickets available in various service fields. Although the ticket storag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100, the ticket storage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atabase outside the mobile device 100 .

모바일 통신부(12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게이트 제어 장치(200) 또는 집중 통제 장치(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엔에프씨(NFC),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알에프아이디(RFID) 등을 이용하여 비콘 신호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gate control apparatus 200 or the centralized control apparatus 400 via the network 5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20 through an NFC, And the lik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beacon signaling device 300. [

위치 측량부(130)는 모바일 장치(100)의 위치를 가리키는 측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측량부(130)는 지피에스(GPS)를 이용하여 측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와이파이 지오태깅(Wi-Fi Geotagging) 등을 이용하여 측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ing unit 130 is for receiving position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30 may receive positioning information using a GP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30 may receive positioning information from an access point AP f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or near-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Wi-Fi geotagging, and the like.

진입 요청 판단부(140)는 모바일 통신부(120)를 통해 비콘 신호 장치(3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거나, 위치 측량부(130) 또는 외부의 측위 모듈(미도시)로부터 측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진입 요청 판단부(140)는 측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측위 정보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가 진입 제한 구역을 기준으로 구획된 티켓 체크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진입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eacon signaling device 3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20 or the position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30 or an external positioning module (not shown) , To determine whether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requested. Particularly, when the position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e entry request determining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entry is requested according to whether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eceived positioning information is located in the ticket check area partitioned on the basis of the entry- Can be determined.

티켓 조회부(150)는 진입 요청 판단부(140)를 통해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요청된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티켓 보관소(110)로부터 조회하기 위한 것이다.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entry request determination unit 140 that the entry restriction area is requested to enter, the ticket inquiry unit 150 searches the ticket storage 110 for a ticket for entering the requested entry restriction area will be.

토큰 갱신부(160)는 토큰을 이용한 인증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가 유효한지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토큰 갱신부(160)의 토큰은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가 설정한 기간 동안만 이용이 가능한 유효기간을 포함하며, 유효기간은 토큰 갱신 센터를 통해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특히, 토큰 갱신부(160)는 토큰이 만료된 경우,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에 대하여 토큰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The token updating unit 160 is for judg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100 is valid through authentication using the token. Here, the token of the token renewal unit 160 includes a valid period that can be used only for the period set by the token update center (not shown), and the valid period can be periodically updated through the token update center. In particular, when the token has expired, the token updating unit 160 may request the token updating center (not shown) to update the token.

티켓 인증부(170)는 티켓 인증 센터(미도시)를 통해 티켓을 인증하여 유효한지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티켓 인증 센터(미도시)는 티켓이 정상적으로 발급되었는지, 티켓의 유효기간이 도과 되지 않았는지 등을 판단하는 인증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인증 센터(미도시)는 상기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티켓 인증부(170)는 티켓이 충전식 선불형 티켓인 경우, 티켓과 연동되는 계좌에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의 잔액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ticket authenticating unit 170 is for authenticating a ticket through a ticket authentication center (not shown) to determine whether it is valid. Here, the ticket authentication center (not shown) is an authentication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a ticket is normally issued, whether the validity period of the ticket has not passed, and the like. The ticket authentication center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evice with the token update center (not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In particular, when the ticket is a rechargeable prepayment ticket, the ticket authentication unit 170 can determine whether a balance of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exists in the account linked with the ticket.

티켓 사용 처리부(180)는 토큰 갱신부(160) 및 티켓 인증부(170)를 통해 모바일 장치(100) 및 티켓이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티켓을 사용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티켓 사용 처리부(180)는 티켓을 사용 처리 함에 있어 외부의 티켓 승인 센터(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승인 센터(미도시)는 상기 티켓 인증 센터(미도시) 및 상기 토큰 갱신 센터(미도시)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ticket use processing unit 180 is for processing the ticket when the mobile device 100 and the ticket are determined to be valid through the token updating unit 160 and the ticket authenticating unit 170. [ Here, the ticket use processing unit 180 may use an external ticket approval center (not shown) in processing the ticket. The ticket approval center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one device with the ticket authentication center (not shown) and the token update center (not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 / RTI >

진입 요청부(190)는 티켓 사용 처리부(180)를 통해 티켓이 사용 처리된 경우, 게이트 제어 장치(100)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The entry request unit 190 is for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control device 100 when a ticket is used through the ticket use processing unit 180. [

특히, 진입 요청부(190)는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 개의 게이트 제어 장치(200) 중 모바일 장치(100)로부터의 거리 및/또는 게이트 제어 장치(200)의 혼잡률을 기초로 하나의 게이트 제어 장치(200)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200)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gateways that can enter the entry-restricted area, the entry request unit 190 determines the distance and / or the distance from the mobile device 100 among the plurality of gate control devices 200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gates, Alternatively, one gate control device 200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congestion rate of the gate control device 200, and a gate open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device 200.

지금까지 도 7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다.Each of the components in FIG. 7 may refer to software or hardware such as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n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However,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addressable storage media, and configured to execute one or more processor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by a more detailed component or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component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8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바일 장치(100)는 명령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이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는 스토리지(630),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40), 위치를 측량하고 측위 정보를 생성하는 측위 모듈(650) 및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스토리지(6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40) 및 측위 모듈(650)과 연결되어 데이터 이동 통로가 되는 데이터 버스(6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a processor 610 for executing instructions, a memory 620, a storage 630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data in which a gat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 positioning module 650 and a processor 610, a memory 620, a storage 630, a network interface 640 and a positioning module 650 for positioning and generating positioning information, And a data bus 660 coupled to the data movement path.

스토리지(630)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실행 파일 및 리소스 파일 등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리지(630)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티켓 보관소에서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 및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티켓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630 may store data such as an executable file and a resource file for execution of the computer program. 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630 includes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receiving a beacon signal announcing the presence of a ga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entry into the entry-restricted zone via the network interface,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inquiring a ticket for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in the ticket storage, checking whether the ticket can be used, and if the ticket can be used, Lt; RTI ID = 0.0 > a < / RTI >

그리고, 측위 모듈(650)은 지피에스(GPS),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RSSI) 또는 와이파이 지오태깅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0)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module 65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using RSSI or Wi-Fi geo tagging received from an access point (AP) for a GPS,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position can be measur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2)

모바일 장치가,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티켓 보관소에서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티켓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방법.
A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beacon signal indicating a presence of a ga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entry to an entry-restricted area;
In response to receipt of the beacon signal, the mobile device inquiring a ticket for entry into the entry restriction zone in a ticket storage and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And
Wherein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control device when the check indicates that the ticket is available.
Gate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자동 진입 감지 기능이 'OFF'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진입 요청 입력이 제공 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진입 요청 입력이 제공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comprises:
The mobile device waits for an input request input from the user when the automatic entry detection function is OFF and inquires the ticket only when the entry request input is provid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ticket is usable ≪ / RTI >
Gate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진입 제한 구역으로 구성된 진입 대상 구역 목록에 상기 진입 제한 구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진입 대상 구역 목록에 포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compris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entry restriction zone is included in the entry zone list including one or more entry restriction zones; and if the entry zone list is included in the entry zone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 / RTI >
Gate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제어 장치를 운용하는 집중 통제 장치에 대하여,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의 게이트 오픈을 명령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comprises:
And transmitting to the centralized control apparatus operating the at least one gate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gate control apparatus a request to command gate opening of the gate control apparatus.
Gate control metho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통제 장치는,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 제어 장치 중 혼잡률이 최저인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것인,
게이트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centrat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In response to the gate open command request, selecting a gate control device having the lowest congestion rate among the at least one gate control device, and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device.
Gate control method.
모바일 장치가, 측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위 정보에 따른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위치가 진입 제한 구역을 기준으로 구획된 티켓 체크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티켓 체크 영역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티켓 보관소에서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티켓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방법.
The mobile device receiv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ing information is located in the partitioned ticket check area based on the entry restriction area;
Inquiring a ticket for entry into the entry restriction area in the ticket storage and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if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tha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ticket check are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Wherein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control device when the check indicates that the ticket is available.
Gate control metho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 중 하나의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comprises:
Selecting one of the gate control devices capable of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us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device;
Gate control metho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 중 상기 측위 정보에 따른 위치로부터 최근접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comprises:
Selecting a nearest gate control apparatus from a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mong gate control apparatuses capable of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and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apparatus;
Gate control metho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 중 혼잡률이 최저인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comprises:
Selecting a gate control device having the lowest congestion rate among the gate control devices capable of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area and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device;
Gate control method.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티켓 보관소에서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티켓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 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pled to the computing device,
Receiving a beacon signal announcing the presence of a gate control device controlling entry into the entry-restricted area;
Inquiring a ticket for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in a ticket storag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beacon signal and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And
And transmitting the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control device when the check indicates that the ticket can be used,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진입 제한 구역에 대한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장치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티켓 보관소에서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하기 위한 티켓을 조회하고, 상기 티켓의 사용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 및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티켓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One or more processors;
Network interface;
Memory; And
A storage device loaded with the computer program recorded by the processor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comprising: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receiving a beacon signal announcing the presence of a gate control device controlling entry into an entry-restricted area via the network interface;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querying a ticket for entry into the entry restriction zone at a ticket store and checking availability of the ticket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beacon signal; And
And a series of instructions to transmit a gate open command to the gate control device if the check indicates that the ticket is available,
Mobile devic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가리키는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측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 제한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 장치 중 하나의 게이트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게이트 제어 장치에 대하여 게이트 오픈 명령을 송신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bile device comprising:
And a positioning module for receiving positioning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The computer program comprising:
Further comprising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selecting one of the gate control devices capable of entering the entry restriction zone us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gate open command to the selected gate control device,
Mobile device.
KR1020140150330A 2014-10-31 2014-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using mobile ticket KR201600510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330A KR20160051008A (en) 2014-10-31 2014-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using mobile ti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330A KR20160051008A (en) 2014-10-31 2014-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using mobile ti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08A true KR20160051008A (en) 2016-05-11

Family

ID=5602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330A KR20160051008A (en) 2014-10-31 2014-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using mobile ti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00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31A (en) 2019-06-03 2020-12-11 (주)에이텍티앤 Subway bi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 internet of things device
KR102453247B1 (en) 2022-02-21 2022-10-12 (주)에이텍티앤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gate entry using mobil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31A (en) 2019-06-03 2020-12-11 (주)에이텍티앤 Subway bi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 internet of things device
KR102453247B1 (en) 2022-02-21 2022-10-12 (주)에이텍티앤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gate entry using mobil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4038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station monitoring
US10447790B2 (en) Information push
US988344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s
US10438029B2 (en) Mobile device and reader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CN113016172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AU2021257971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service station related to a vehicle
US100851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JP2018055638A (en) Determination device
CN110235167A (en) Th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supermarket shopping car
KR201600510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using mobile ticket
CN111656806A (en) Pre-activation of a mobile device to enable use at a serving terminal
KR20200021957A (en) projector shared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server device
Srisura et al. Periodical mobile recommendation toward parking conflict reduction
KR20150076528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taceless payment system using the terminal and payment method thereof
KR101998879B1 (en)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10395225B2 (e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for processing transportation fe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5046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mestic transit card service subscriber with overseas transit card service
US102192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596262B1 (en) Broadcasting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KR20150050794A (en)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based on network, method for managing access based on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101754402B1 (en) Method for Loading Application by using Status Distinction
US20230360020A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21100345A1 (en) Authorization device
KR101873401B1 (en) Operating method of proxy driver service server and proxy driver service server using beacon
KR20160043555A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electronic device and Automatic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