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992B1 -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992B1
KR101975992B1 KR1020120107490A KR20120107490A KR101975992B1 KR 101975992 B1 KR101975992 B1 KR 101975992B1 KR 1020120107490 A KR1020120107490 A KR 1020120107490A KR 20120107490 A KR20120107490 A KR 20120107490A KR 101975992 B1 KR101975992 B1 KR 10197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image forming
internet
direc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584A (ko
Inventor
박현욱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992B1/ko
Priority to US13/908,124 priority patent/US9117164B2/en
Priority to EP13176812.9A priority patent/EP2713635B1/en
Priority to CN201380049366.1A priority patent/CN104662996B/zh
Priority to PCT/KR2013/008571 priority patent/WO2014051326A1/en
Publication of KR20140040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45Managing the interface to the data source, e.g. choosing an interface for data reception
    • G06K15/405Choosing a data source, e.g. on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외부의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수행하는 Wi-Fi Direct 연결부; 인터넷에의 연결을 수행하는 인터넷 연결부; 상기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의 상기 인터넷 연결부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단말과의 Wi-Fi Direct 연결시 화상형성장치가 AP(Access Point)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소프트 AP 모듈;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AP로서 동작하면 상기 무선 단말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 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et access thereof}
본 발명은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무선 단말의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무선 기기들끼리 별도의 무선접속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연결하는 기기간(Peer to Peer, 이하 P2P) 통신은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P2P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가 있다. 블루투스는 현재 전송 속도 및 전송 범위의 측면에 있어서 다소 제한이 있기는 하나 계속해서 새로운 버전이 개발되면서 보완되어가고 있다.
한편, Wi-Fi 얼라이언스(Alliance)에서 규정하는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Wireless LAN) 규격인 Wi-Fi는 기본적으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에 접속함으로써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지만 애드혹(ad-hoc) 기능을 이용하면 P2P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애드혹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보안에 취약하고, 전송 속도가 떨어지며 설정 방법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최근에 Wi-Fi 얼라이언스에서는 P2P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Wi-Fi 다이렉트(Wi-Fi Direct)를 제안하였다. Wi-Fi 다이렉트는 AP를 통하지 않고 무선 기기간 P2P 연결이 가능하게 하며, 최대 250Mbps의 속도를 지원하고, WPA2(Wi-Fi Protected Access 2)를 이용하여 보안 설정을 함으로써 애드혹 통신의 단점을 대폭 개선하였다. 또한, 최대 200m에 이르는 전송 범위를 지원함으로써 앞으로 P2P 통신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Wi-Fi 다이렉트의 등장으로 인해 P2P 통신은 앞으로 그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P2P 통신 기술은 프린터, 스캐너, 팩스 또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안전하고 간편한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 인증, 연결 제어, 권한 제어 및 보안 관리 등에 대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무선 단말의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외부의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수행하는 Wi-Fi Direct 연결부; 인터넷에의 연결을 수행하는 인터넷 연결부; 상기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의 상기 인터넷 연결부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단말과의 Wi-Fi Direct 연결시 화상형성장치가 AP(Access Point)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소프트 AP 모듈;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AP로서 동작하면 상기 무선 단말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 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은, 화상형성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에 구비된 소프트 AP 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AP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 외부의 무선 단말로부터 Wi-Fi Direct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에 구비된 DHCP 서버 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이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항상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준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들 및 레거시 무선랜 기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에서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을 수행한 결과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간의 연결 과정 중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WPS 실행을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프로파일 저장 기능에 따라 정보가 저장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들의 목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동시 연결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가 무선 단말 및 인터넷에 교차 연결(cross connection)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모바일 인쇄 기능을 사용할 때 무선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에 대해서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한 예로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rinter, MFP)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 연결 및 동작 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무선랜 기기들 및 레거시 무선랜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110)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스마트폰(120),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노트 PC(130) 및 레거시(legacy) 무선랜 노트 PC(140)와 무선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레거시 무선랜 노트 PC(140)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지 않는 기존의 무선랜 기술이 적용된 노트 PC를 의미한다.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무선랜 기기(이하 "Wi-Fi 다이렉트 기기"라고 한다.)는 기존의 Wi-Fi를 지원하는 기기들과 달리, 인프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기기간(Peer to Peer, 이하 P2P) 연결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Wi-Fi 기술의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미 구축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공유기, 즉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에 Wi-Fi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해야 한다. 이때, AP에 무선 연결된 Wi-Fi 기기들은 스테이션(station)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한다.
하지만, Wi-Fi 다이렉트 기술의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의 어느 하나가 AP의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AP의 역할을 수행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에 무선 연결되어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도 Wi-Fi 다이렉트 기기들간의 무선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Wi-Fi 다이렉트 기기들간에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면 Wi-Fi 기기와 같은 레거시 무선랜 기기들은 AP의 역할을 수행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를 AP로 인식하고 이에 무선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인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 Wi-Fi 다이렉트 스마트폰(120) 및 Wi-Fi 다이렉트 노트 PC(130)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들끼리 무선 연결되어 P2P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가 AP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이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에서 AP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를 P2P 그룹의 그룹 오너(Group Owner, 이하 GO)라고 한다. 그리고 Wi-Fi 다이렉트 스마트폰(120)과 Wi-Fi 다이렉트 노트 PC(130)는 GO인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에 무선 연결되어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기기들을 클라이언트(client)라고 한다. 한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무선랜 노트 PC(140)는 GO인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를 AP로 인식하고 무선 연결됨으로써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이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에서 복합기(110)가 GO가 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다른 Wi-Fi 다이렉트 장치인 스마트폰(120) 또는 노트 PC(130) 중 어느 하나가 GO가 되고 복합기(110)는 클라이언트가 되어 무선 연결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GO가 될 지의 여부는 Wi-Fi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서 협상(negotiation)을 통해 결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해당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Wi-Fi 다이렉트 기기는 협상을 통하지 않고 연결 전에 스스로 GO가 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Wi-Fi 다이렉트 기기를 독립 그룹 오너(Autonomous Group Owner, 이하 AGO)라고 한다. 또한, AGO를 중심으로 형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독립 P2P 그룹(Autonomous P2P Group)이라고 한다. 독립 P2P 그룹이 형성된 경우 레거시 무선랜 기기는 AGO를 인프라 네트워크의 AP와 같이 인식하고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 Wi-Fi 다이렉트 기기들끼리 P2P 그룹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가 있는 경우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이에 접속하여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Wi-Fi 다이렉트 기기들간의 무선 연결 프로세스 및 Wi-Fi 다이렉트 기술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이하 "Wi-Fi 다이렉트 복합기"라고 한다.)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프린터, 스캐너 또는 팩시밀리 등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P2P 통신 방법의 한 예로 Wi-Fi 다이렉트를 들고 있으나 적용이 가능한 내에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등의 다른 종류의 P2P 통신 방법을 이용한 실시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는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Wi-Fi 다이렉트 복합기(210)와 Wi-Fi 다이렉트 노트 PC(220)간에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Wi-Fi 다이렉트 연결 과정은 크게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및 보안 연결(security connection)로 나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 기기 중의 하나인 복합기(210)는 사용자로부터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 요청(201)을 받고 주변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202) 이러한 기기 검색 요청은 복합기(2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합기(210)에 구비된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을 수 있다. 복합기(210)에서 기기 검색을 수행한 결과 주변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있다면 복합기(21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검색된 기기를 보여주고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청(203)을 받는다. 연결 요청(203) 역시 복합기(2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버튼 또는 터치 패널을 누르는 형태로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가 복수 개인 경우 복합기(210)는 디스플레이부에 이를 목록으로 보여주고 사용자는 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연결 요청(203)을 받으면 연결하고자 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 간에는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이 수행된다.(204)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이란 어떤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이 서로 연결될 것이고, 이때 어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GO 또는 클라이언트가 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GO가 될 것인지는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협상(negotiation)을 통해 결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4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룹이 형성되었으면 그룹에 속하는 기기들은 서로 보안 연결(security connection)이 되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기술이 Wi-Fi Protected Setup(이하, WPS)이다. WPS란 Wi-Fi를 지원하는 기기들 간에 간단하게 보안 연결을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WPS에는 PIN(Personal Identificaion Number) 방식과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이 있는데 PIN 방식이란 미리 설정된 PIN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보안 연결을 하는 것이고, PBC 방식이란 Wi-Fi 다이렉트 기기에 구비된 WPS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보안 연결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PBC 방식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복합기(210)에 구비된 WPS 버튼을 눌러서 보안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205) 그리고 일정 시간(일반적으로 120초) 내에 노트 PC(220)에 구비된 WPS 버튼, 또는 노트 PC(220)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상에 구현된 WPS 버튼을 눌러서 보안 연결을 할 수 있다. 노트 PC(220)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상에 구현된 WPS 버튼이란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노트 PC(220)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object)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는 아래의 도 5의 식별 번호 510에 나타내었다.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노트 PC(220)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WPS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보안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WPS 버튼을 눌러서 보안 연결을 요청하면 Wi-Fi 다이렉트 기기 중에서 그룹 형성 과정에서 GO가 되도록 결정된 기기는 클라이언트가 되도록 결정된 기기에 보안 정보를 전송한다.(206) Wi-Fi 다이렉트에서는 WPA2(Wi-Fi Protected Access 2)-PSK(Pre-Shared Key) 인증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보안 연결을 하므로 기존의 WEP(Wired Equivalent Privacy)나 WAP(Wi-Fi Protected Access) 방식에 비해 강력한 보안 성능을 갖는다.
WPS를 실행하면 클라이언트인 Wi-Fi 다이렉트 기기는 GO인 Wi-Fi 다이렉트 기기에 연결되며,(207) 이때 GO인 Wi-Fi 다이렉트 기기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인 Wi-Fi 다이렉트 기기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208)함으로써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P2P 연결이 완료된다.
지금까지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연결을 위한 기본적인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각 연결 과정의 구체적인 내용 및 Wi-Fi 다이렉트 기술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 3은 Wi-Fi 다이렉트 기기에서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을 수행한 결과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Wi-Fi 다이렉트 기기에서 기기 검색을 수행하면 무선랜 패킷인 탐색 요청(probe request) 및 탐색 응답(probe response)을 통해 기기의 타입(type) 및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의 기기 정보를 교환하고, 기기 검색을 수행한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표시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에서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SSID 및 기기 타입을 텍스트 또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검색된 기기들을 모두 목록에 표시할 수도 있지만 기기 타입 별로 필터링하여 원하는 타입의 기기만을 포함하는 목록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Wi-Fi 다이렉트 기술에서는 기기의 타입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정의하고 있다. 기기 타입은 예를 들어,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 프린터, 스캐너, 팩스, 복사기 및 카메라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하나의 카테고리는 다시 서브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다시 PC, 서버, 노트북 등의 서브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도 4는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연결 과정 중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룹 형성 과정이란 간단히 어떤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이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것인지 여부 및 어느 기기가 GO가 되고 어느 기기가 클라이언트가 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Wi-Fi 다이렉트 복합기(410)에서 기기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에서 노트 PC(420)를 선택하고 연결을 시도하면 복합기(410)는 노트 PC(420)에 GO 협상(negotiation) 요청을 전송한다.(401)
GO 협상 요청을 수신한 노트 PC(420)는 복합기(410)와 자신의 집중도 값(intent value)를 비교하여 복합기(410)의 집중도 값이 큰 경우 복합기(410)가 GO가 되도록 결정하고, 반대인 경우 노트 PC(420)가 GO가 되도록 결정한다. 이때, 집중도 값이란 각 기기에 업무가 집중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제조사 정책 및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복합기와 같이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기기는 비교적 높은 집중도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집중도 값을 비교하여 어느 기기가 GO가 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였다면 노트 PC(420)는 그 결과를 GO 협상 응답으로 복합기(410)에 전송한다.(402) 이를 수신한 복합기(410)는 협상 내용을 정확히 수신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한 GO 협상 내용을 다시 노트 PC(420)로 전송하는 GO 협상 확인(403)을 함으로써 그룹 형성 과정을 종료된다. 그룹 형성이 완료되면 GO인 장치는 보안 정보 및 그룹에 포함된 기기들의 SSID 등을 관리한다.
그룹 형성이 완료되면 그룹에 포함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WPS(Wi-Fi Protected Setup)를 통해 보안 연결된다. 도 5는 WPS 실행을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은 Wi-Fi 다이렉트 복합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WPS를 실행하기 위해 WPS 버튼(510) 또는 PIN 코드(520)를 선택할 수 있다. WPS 버튼(510)을 통해 WPS를 실행하는 경우 복합기에서 WPS 버튼(510)을 누르고, 일정 시간 내에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에서 WPS 버튼을 누르면 기기들간에는 자동으로 보안 정보가 교환되고 보안 연결이 된다. 이때, GO인 기기에서 보안 정보를 제공하면 클라이언트인 기기는 이를 수신한다. 또한 이때, WPA2(Wi-Fi Protected Access 2)-PSK(Pre-Shared Key) 인증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보안 연결을 하므로 강력한 보안 성능을 갖는다.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한 번 연결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인 프로파일(profile) 저장 기능을 갖는다. 도 6은 프로파일 저장 기능에 따라 정보가 저장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목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이 Wi-Fi 다이렉트 복합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이라고 하면, 제 1 목록(610)의 정보는 현재 복합기에 무선 연결된 기기를 나타내고 제 2 내지 4 목록(620~640)의 정보는 현재 복합기에 연결되지는 않았지만 복합기의 기기 검색 범위 내에 있는 기기들을 나타내며, 제 5 목록(650)의 정보는 복합기에 적어도 한 번 연결된 적이 있지만 현재는 검색되지 않는 기기를 의미한다. 만약 제 5 목록(650)의 정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면 사용자는 삭제(remove) 버튼(651)을 눌러서 해당 목록을 삭제할 수도 있다. Wi-Fi 다이렉트 기기는 이와 같은 프로파일 저장 기능을 가지므로 한 번 연결된 기기의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동일한 기기가 다시 연결을 시도할 경우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WPS 실행 없이 보다 빠르게 연결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i-Fi 다이렉트 기기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Wi-Fi 다이렉트와 P2P 연결이 될 수도 있는데 이를 교차 연결(Cross Connection)이라고 한다. 도 7은 교차 연결된 Wi-Fi 다이렉트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 복합기(720)는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인 스마트폰(710)과 P2P 연결이 되는 동시에 인프로 네트워크의 AP(730)에도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복합기(720)는 스마트폰(710)에 P2P 연결되었으므로 스마트폰(710)으로부터 직접 인쇄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고, 동시에 인프라 네트워크의 AP(730)를 통해 인프라 네트워크로부터 직접 인쇄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Wi-Fi 다이렉트 기기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차 연결되는 경우, 또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와 P2P 연결이 되는 경우 각각의 연결, 즉 인프라 네트워크에의 연결과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와의 연결에 각각 다른 IP 주소 및 MAC 주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멀티호밍(multihoming) 기술을 통해 Wi-Fi 다이렉트 기기는 교차 연결된 각 인터페이스 별로 다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는 복합기의 모든 기능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지만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는 제한된 일부의 기능에 대한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도 8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는 무선랜 인터페이스 모듈(Wireless LAN interface module)(810), 이더넷 인터페이스 모듈(Ethernet interface module)(820), 중앙처리부(Central Processing Unit, CPU)(830), 메모리부(84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850), 스캐너 모듈(860), 팩스 모듈(870) 및 프린트 엔진(8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840)는 RAM(Random Access Memory)(842) 및 ROM(Read Only Memory)(844)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무선랜만 지원하는 복합기라면 이더넷 인터페이스 모듈(820)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합기가 아닌 프린터의 경우라면 스캐너 모듈(860) 및 팩스 모듈(870)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무선랜 인터페이스 모듈(810)은 IEEE 802.11 b/g/n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해 중앙처리부(830)가 탑재된 복합기의 메인 보드와 통신할 수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 모듈(820)은 IEEE 802.3에 따라 유선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중앙처리부(830)는 복합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부(840)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인쇄 데이터 등이 저장되고 필요할 때에 읽힌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50)은 사용자가 복합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복합기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50)은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LCD 또는 LED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2 또는 4 라인의 형태로 단순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다양한 그래픽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그래픽 UI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캐너 모듈(860), 팩스 모듈(870) 및 프린트 엔진(880)은 각각 스캔 기능, 팩스 기능 및 프린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도 9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소프트웨어의 각 구성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랜 동글 펌웨어(WLAN dongle firmware)(901)는 무선랜 연결을 위한 펌웨어로서 무선랜 동글 하드웨어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부팅시 복합기의 메인 보드에서 무선랜 동글 하드웨어로 전송될 수도 있다. Bus 드라이버(902) 및 STA(station) 호스트 드라이버(903)는 무선랜 하드웨어와 통신하기 위한 저레벨(low level)의 버스 드라이버이다. 무선랜 제어 채널(904) 및 무선랜 데이터 채널(905)은 무선랜 펌웨어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을 의미한다. Wi-Fi 다이렉트 모듈(907)은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하고 무선랜 펌웨어에 동작 명령을 내리는 모듈이다.
IEEE 802.11u GAS(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모듈(908)은 IEEE 802.11u GAS 기능을 수행하고, WPS 모듈(910)은 WPS 기능을 수행한다. 소프트 AP(Soft AP) 모듈(911)은 복합기가 AP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TCP/IP(913)는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Wi-Fi 다이렉트 연결 관리자(912)는 Wi-Fi 다이렉트 연결과 관련된 제어를 하기 위한 모듈이다. Wi-Fi 다이렉트 사용자 인터페이스(915)는 사용자가 Wi-Fi 다이렉트와 관련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내장형 웹 서버(Embedded Web Server, EWS)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914)에 포함될 수 있다. DHCP 서버(916)는 클라이언트로 연결되는 Wi-Fi 다이렉트 기기에 자동으로 IP를 할당한다.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917)은 네트워크와 관련된 각종 응용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0a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가 무선 단말 및 인터넷에 교차 연결(cross connection)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Wi-Fi Direct를 지원하는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되는 동시에 인터넷에도 연결될 수 있다. 도 10a을 참조하면,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20)가 무선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경우 인터넷(1040)에 연결된 AP(Access Point)(1030)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는 Wi-Fi Direct를 지원하는 무선 단말(1010)과 Wi-Fi Direct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0b를 참조하면,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20)가 유선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경우 인터넷(1040)에 연결된 라우터(router)(1050)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Wi-Fi Direct를 지원하는 무선 단말(1010)과 Wi-Fi Direct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10a 및 도 10b에서 화상형성장치(1020)가 그룹 오너로서 동작한다면 화상형성장치(1020)는 무선 단말(1010)이 화상형성장치(1020)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무선 단말(1010)의 인터넷 접속을 중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1010)은 화상형성장치(102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자 한다면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 패킷을 화상형성장치(1020)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 단말(1010)은 화상형성장치(1020)와 Wi-Fi Direct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으로 데이터 패킷을 화상형성장치(10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화상형성장치(1020)는 무선 단말(1010)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을 수행한 후 패킷을 AP(1030) 또는 라우터(1050)로 전송함으로써 인터넷상의 목적지 서버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무선 단말(1010)이 화상형성장치(102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게 되면 화상형성장치(1020)는 무선 단말(1010)과 인터넷 망 사이에서 패킷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화상형성장치(1020)에 부담이 많아져 고유의 기능인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방해를 받고 화상형성장치(102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무선 단말(1010)이 대용량의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등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화상형성장치에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이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항상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준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화상형성장치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0), 제어부(1120), 소프트 AP 모듈(1130), DHCP 서버 모듈(1140), Wi-Fi Direct 연결부(1150), 인터넷 연결부(1160) 및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20)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관리부(1121) 및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작업의 수행을 지시하는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는 화상형성장치(1100)의 각종 설정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에 대해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설정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120)는 화상형성장치(1100)가 기동되면 소프트 AP 모듈(1130)을 구동하여 화상형성장치(1130)가 AP로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100)가 항상 그룹 오너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외부의 무선 단말이 화상형성장치(1100)에 Wi-Fi Direct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DHCP 서버 모듈(1140)을 구동하여 무선 단말에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서브넷 마스크 및 DNS(Domain Name System) 서버 주소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한다.
이때, 제어부(1120)는 화상형성장치(1100)에 연결된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에 따라 다른 값의 게이트웨이 주소가 무선 단말에 할당되도록 DHCP 서버 모듈(114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이 허용된다면 화상형성장치의 Wi-Fi Direct 인터페이스 IP 주소를 무선 단말의 게이트웨이 주소로서 할당하고,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이 차단된다면 무선 단말의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하지 않거나 0.0.0.0과 같은 널값(null value)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20)는 Wi-Fi Direct 연결부(1150)를 통해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허용할지 아니면 차단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Wi-Fi Direct 연결부(1150)를 통해 연결된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면 제어부(1120)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1122)는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여 인터넷 연결부(1160)에 전달함으로써 목적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20)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 변환 관리부(1121)는 수신한 모든 패킷에 대해서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1122)를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170)는 제어부(1120)의 제어에 따라 인쇄 또는 스캔 등의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의 화상형성장치(1100)에서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첫번째로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의 기기 타입에 따라 인터넷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100)가 외부의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되면 화상형성장치는 무선 단말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므로 무선 단말의 기기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이 Wi-Fi Direct 기기 타입 카테고리 중에서 어느 카테고리에 해당되는지을 알 수 있는데, 만약 컴퓨터나 멀티미디어 기기 타입과 같이 대용량 파일의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 기기 타입에 해당된다면 이러한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Wi-Fi Direct 기기 타입 카테고리에 포함된 기기 타입들을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타입과 차단되는 기기 타입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였다가 무선 단말이 Wi-Fi Direct 연결되거나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한 경우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인터넷 접속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확인한 기기 타입이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기기 타입에 해당된다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인터넷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120)는 무선 단말에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하지 않거나 0.0.0.0과 같은 널값을 할당하도록 DHCP 모듈(11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 관리부(1121)는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1122)를 제어하며, 수신한 패킷을 목적지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다.
두번째로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에 따라 인터넷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등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 중이라면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Wi-Fi Direct 연결부(1150)를 통해 연결된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였다면, 제어부(1120)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동작 상태가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는 동작 상태라면 수신한 패킷의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여 목적지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고, 확인된 동작 상태가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동작 상태라면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목적지 서버로 전송하지도 않는다.
세번째로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이 화상형성장치(1100)의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인지에 따라 인터넷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무선 단말이 화상형성장치(1100)에 Wi-Fi Direct 연결되었으면 Wi-Fi Direct 연결을 통해 인쇄 명령 또는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100)에 전송하여 인쇄가 되도록 하는 모바일 인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에 저장된 사진 등의 이미지 파일을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인터넷상의 웹 서버에 연결하여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인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글 닥스(Google Docs), 페이스북(Facebook) 또는 트위터(Twitter) 등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상에 나타난 이미지 파일을 인쇄할 수 있다. 도 12는 모바일 인쇄 기능을 사용할 때 무선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1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바일 인쇄 기능 수행시 화면(1200)에 표시된 메뉴 중에서 "Gallery"(1201) 또는 "PDF"(1204) 항목을 선택하면 무선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pdf 파일을 인쇄하고, "Google Docs"(1202), "Web Page"(1203), "Facebook"(1205) 또는 "Twitter"(1206)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사용자가 해당 웹 페이지상에서 선택한 이미지를 인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기능의 수행을 위해 인터넷 접속이 필요한 경우라면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고, 그 외의 경우는 인터넷 접속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Wi-Fi Direct 연결부(1150)를 통해 연결된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였다면, 제어부(1120)는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포트를 확인하고, 확인된 네트워크 포트에 기초하여 수신된 패킷이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이라면 수신한 패킷의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여 목적지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고,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이 아니라면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목적지 서버로 전송하지도 않는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인터넷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100)에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들에 대해서 화상형성장치(1100)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에 대해서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1300)상에는 인터넷 접속에 대한 온/오프 설정을 할 수 있는 영역(1301)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부분을 온 또는 오프로 설정함으로써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도록 설정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인터넷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120)는 무선 단말에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하지 않거나 0.0.0.0과 같은 널값을 할당하도록 DHCP 모듈(11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 관리부(1121)는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1122)를 제어하며, 수신한 패킷을 목적지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이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항상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준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우선 S14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S14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스스로 그룹 오너로서 동작을 시작한다. 그룹 오너로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는 S1405 단계에서 외부의 무선 단말로부터 Wi-Fi Direct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S1407 단계에서 무선 단말에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서브넷 마스크 및 DNS 서버 주소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고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완료한다.
이어서 S1409 단계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S1411 단계에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기로 결정되었으면 S1413 단계에서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고,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기로 결정되었으면 S1415 단계에서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차단한다.
도 15 내지 도 19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였다. 도 15 및 도 16은 무선 단말의 기기 타입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17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18은 인쇄 기능 수행을 위한 패킷인지 여부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실시예이고, 도 19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실시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우선 S15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S15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스스로 그룹 오너로서 동작을 시작한다. 그룹 오너로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는 S1505 단계에서 외부의 무선 단말로부터 Wi-Fi Direct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S1507 단계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의 기기 타입을 확인한다. 그리고, S1509 단계에서 무선 단말의 기기 타입이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타입이라면 S1511 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단말의 게이트웨이 주소에 화상형성장치의 Wi-Fi Direct 인터페이스 IP 주소를 할당하고 Wi-Fi Direct 연결을 완료한다. 이어서, S1513 단계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S1515 단계에서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소스(source) IP 주소를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로 변경하고 패킷을 목적지 서버에 전송한다. 한편, S150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기기 타입이라면 S1517 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단말의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하지 않거나 널값을 할당하고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완료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우선 S16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S16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스스로 그룹 오너로서 동작을 시작한다. 그룹 오너로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는 S1605 단계에서 외부의 무선 단말로부터 Wi-Fi Direct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S1607 단계에서 무선 단말에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서브넷 마스크 및 DNS 서버 주소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고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완료한다.
이어서 S1609 단계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S1611 단계에서 무선 단말의 기기 타입이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타입이라면 S1613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소스 IP 주소를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로 변경하고 패킷을 목적지 서버에 전송하고,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기기 타입이라면 종료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우선 S17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S17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스스로 그룹 오너로서 동작을 시작한다. 그룹 오너로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는 S1705 단계에서 외부의 무선 단말로부터 Wi-Fi Direct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S1707 단계에서 무선 단말에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서브넷 마스크 및 DNS 서버 주소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고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완료한다.
이어서 S1709 단계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S171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가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는 동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는 동작 상태라면 S1713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소스 IP 주소를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로 변경하고 패킷을 목적지 서버에 전송하고,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동작 상태라면 종료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우선 S18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S18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스스로 그룹 오너로서 동작을 시작한다. 그룹 오너로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는 S1805 단계에서 외부의 무선 단말로부터 Wi-Fi Direct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S1807 단계에서 무선 단말에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서브넷 마스크 및 DNS 서버 주소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고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완료한다.
이어서 S1809 단계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S1811 단계에서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포트를 확인한다. S1813 단계에서는 확인한 네트워크 포트에 기초하여 수신한 패킷이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에 해당된다면 S1815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소스 IP 주소를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로 변경하여 패킷을 목적지 서버에 전송하고,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이 아니라면 종료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우선 S19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S19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스스로 그룹 오너로서 동작을 시작한다. 그룹 오너로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는 S1905 단계에서 외부의 무선 단말로부터 Wi-Fi Direct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S1907 단계에서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확인한다. S1909 단계에서 사용자 설정의 확인 결과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S1911 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단말의 게이트웨이 주소에 화상형성장치의 Wi-Fi Direct 인터페이스 IP 주소를 할당하고 Wi-Fi Direct 연결을 완료한다. 이어서, S1913 단계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S1915 단계에서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소스 IP 주소를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로 변경하고 패킷을 목적지 서버에 전송한다. 한편, S190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S1917 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단말의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하지 않거나 널값을 할당하고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이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항상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준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0: 화상형성장치 1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20: 제어부 1121: 네트워크 주소 변환 관리부
1122: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 1130: 소프트 AP 모듈
1140: DHCP 서버 모듈 1150: Wi-Fi Direct 연결부
1160: 인터넷 연결부 1170: 화상형성작업 수행부

Claims (20)

  1.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외부의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수행하는 Wi-Fi Direct 연결부;
    인터넷에의 연결을 수행하는 인터넷 연결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의 상기 인터넷 연결부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단말과의 Wi-Fi Direct 연결시 화상형성장치가 AP(Access Point)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소프트 AP 모듈;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AP로서 동작하면 상기 무선 단말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 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하여 상기 인터넷 연결부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 및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 허용 여부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단말의 기기 타입을 확인하고, 확인된 기기 타입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기기 타입이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기기 타입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단말에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하지 않거나 널값(null value)을 할당하도록 상기 DHCP 서버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기기 타입이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기기 타입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관리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하지 않도록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가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상태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관리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하지 않도록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수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이라면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포트를 확인하여 상기 전송된 패킷이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에 구비된 소프트 AP 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AP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
    외부의 무선 단말로부터 Wi-Fi Direct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에 구비된 DHCP 서버 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하여 상기 인터넷상의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한 패킷을 상기 인터넷상의 서버로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무선 단말과 Wi-Fi Direct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의 기기 타입이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기기 타입에 해당되거나 Wi-Fi Direct 연결된 무선 단말에 대해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기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단말에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하지 않거나 널값(null value)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의 기기 타입을 확인하고, 확인된 기기 타입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인터넷상의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패킷이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이라면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차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패킷이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포트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패킷이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인터넷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107490A 2012-09-26 2012-09-26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KR10197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90A KR101975992B1 (ko) 2012-09-26 2012-09-26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US13/908,124 US9117164B2 (en) 2012-09-26 2013-06-03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et access in image forming apparatus
EP13176812.9A EP2713635B1 (en) 2012-09-26 2013-07-17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et access in image forming apparatus
CN201380049366.1A CN104662996B (zh) 2012-09-26 2013-09-25 支持WiFi直通的图像形成装置和在图像形成装置中控制因特网接入的方法
PCT/KR2013/008571 WO2014051326A1 (en) 2012-09-26 2013-09-25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et access in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90A KR101975992B1 (ko) 2012-09-26 2012-09-26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84A KR20140040584A (ko) 2014-04-03
KR101975992B1 true KR101975992B1 (ko) 2019-05-08

Family

ID=4887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490A KR101975992B1 (ko) 2012-09-26 2012-09-26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17164B2 (ko)
EP (1) EP2713635B1 (ko)
KR (1) KR101975992B1 (ko)
CN (1) CN104662996B (ko)
WO (1) WO2014051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8187B2 (ja) * 2013-06-12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44893B2 (ja) * 2013-07-19 2018-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097383A (ja) * 2013-10-11 2015-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121471A1 (en) * 2013-10-25 2015-04-30 Nordstro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 Proximate Accessory Device for a Mobile Device
CN105850166A (zh) * 2013-12-27 2016-08-10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网络以及标识号设定方法
CN104243442A (zh) * 2014-05-06 2014-12-24 周宏斌 网络访问系统、网络防护设备和终端服务器
JP6439301B2 (ja) * 2014-07-10 2018-1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341785B2 (ja) * 2014-07-24 2018-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02399B2 (ja) * 2014-11-17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近距離無線通信部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25005B1 (en) 2014-11-26 2020-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communication using a preferred transfer mode
US10205776B2 (en) * 2014-12-23 2019-02-12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CN105991720B (zh) 2015-02-13 2019-06-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配置变更方法、设备及系统
JP6489870B2 (ja) * 2015-02-26 2019-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65723B2 (ja) * 2015-04-09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01486B1 (ko) 2015-04-22 2019-07-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화상 형성장치, 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6750840B2 (ja) * 2015-05-29 2020-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方法、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32333B2 (ja) * 2015-07-21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35713B2 (ja) * 2015-08-21 2020-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31173B2 (ja) * 2015-09-29 2020-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JP6314951B2 (ja) * 2015-10-08 2018-04-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407450A (zh) * 2015-10-21 2016-03-16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智能设备、电子装置及基于近场通信的网络连接方法
KR102461009B1 (ko) * 2016-01-29 2022-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CN105827440B (zh) * 2016-03-11 2019-12-13 北京安云世纪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路由配置方法
CN107333099B (zh) * 2016-04-28 2019-11-19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具有无线中继功能的网络摄影机
US11334252B2 (en) * 2016-08-08 2022-05-17 Dynalink Technologies, Llc Dynamic data communication in an encapsulated area
KR20180059207A (ko) * 2016-11-25 2018-06-04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WO2018106227A1 (en) 2016-12-07 2018-06-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ent delivery network including mobile devices
JP7005154B2 (ja) * 2017-03-16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9246800B (zh) * 2017-06-08 2020-07-10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连接的方法及设备
JP6904826B2 (ja) 2017-07-14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080595B2 (ja) 2017-07-14 202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516019B1 (ko) * 2017-09-11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6897858B2 (ja) * 2018-02-27 2021-07-07 村田機械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自動倉庫システム
CN110121015A (zh) * 2019-04-01 2019-08-13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选择配置的控制方法和装置
CN112040083B (zh) * 2020-09-10 2022-08-23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网络控制方法、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系统
WO2022091913A1 (ja) * 2020-10-30 2022-05-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検出器及び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2940A1 (en) 2009-10-02 2011-04-07 Michael Peter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establish peer-to-peer communications
CN102685856A (zh) * 2012-06-08 2012-09-19 重庆邮电大学 无线通信方法与无线直接连接通信系统
US20130107318A1 (en) 2011-10-31 2013-05-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1834B2 (ja) 2007-06-28 2011-03-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10084404A1 (en) 2009-01-20 2010-07-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localization
KR101784322B1 (ko) 2010-11-25 2017-10-1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40725B1 (ko) 2011-09-02 2018-03-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p2p 연결 제어 방법
KR101872358B1 (ko) 2011-11-22 2018-06-2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2940A1 (en) 2009-10-02 2011-04-07 Michael Peter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establish peer-to-peer communications
US20130107318A1 (en) 2011-10-31 2013-05-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system
CN102685856A (zh) * 2012-06-08 2012-09-19 重庆邮电大学 无线通信方法与无线直接连接通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84A (ko) 2014-04-03
US9117164B2 (en) 2015-08-25
US20140085666A1 (en) 2014-03-27
EP2713635A1 (en) 2014-04-02
CN104662996A (zh) 2015-05-27
EP2713635B1 (en) 2020-03-04
CN104662996B (zh) 2020-01-31
WO2014051326A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992B1 (ko)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KR101840723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주소록 관리 방법
KR101872358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KR101760349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사용자 인증을 통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KR101840725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p2p 연결 제어 방법
KR102006405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방법
US93172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support wi-fi direct and method of wi-fi direct connecting therein
KR101760350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작업 권한 제어 방법
EP2782399B1 (en) Method of connecting networks using Wi-Fi Direct i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image forming system
EP256620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security based on signal intensity thereof
KR102022330B1 (ko)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