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358B1 -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358B1
KR101872358B1 KR1020110122394A KR20110122394A KR101872358B1 KR 101872358 B1 KR101872358 B1 KR 101872358B1 KR 1020110122394 A KR1020110122394 A KR 1020110122394A KR 20110122394 A KR20110122394 A KR 20110122394A KR 101872358 B1 KR101872358 B1 KR 101872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address
device information
direc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670A (ko
Inventor
김병유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358B1/ko
Priority to EP12191023.6A priority patent/EP2613579B1/en
Priority to US13/682,977 priority patent/US8823988B2/en
Publication of KR2013005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6Printer job scheduling or printer resource hand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3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 layers, e.g. resolution of network layer into physical layer addresses o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21Translation architectures other than single NAT servers
    • H04L61/2525Translation at a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무선랜을 통하여 외부의 무선 기기와 P2P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 AP 모듈을 구동하여 AP로서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DHCP 서버를 구동하여 유동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 및 상기 무선 기기의 MAC 주소를 포함한 상기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상기 무선 기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thereof through IP address linkage}
본 발명은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무선 기기에 할당되는 유동 IP 주소를 연동시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무선 기기들끼리 별도의 무선 접속 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연결하는 기기간(Peer to Peer, 이하 P2P) 통신은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P2P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가 있다. 블루투스는 현재 전송 속도 및 전송 범위의 측면에 있어서 다소 제한이 있기는 하나 계속해서 새로운 버전이 개발되면서 보완되어가고 있다.
한편, Wi-Fi 얼라이언스(Alliance)에서 규정하는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Wireless LAN) 규격인 Wi-Fi는 기본적으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에 접속함으로써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지만 애드혹(ad-hoc) 기능을 이용하면 P2P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애드혹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보안에 취약하고, 전송 속도가 떨어지며 설정 방법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최근에 Wi-Fi 얼라이언스에서는 P2P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Wi-Fi 다이렉트(Wi-Fi Direct)를 제안하였다. Wi-Fi 다이렉트는 AP를 통하지 않고 무선 기기간 P2P 연결이 가능하게 하며, 최대 250Mbps의 속도를 지원하고, WPA2(Wi-Fi Protected Access 2)를 이용하여 보안 설정을 함으로써 애드혹 통신의 단점을 대폭 개선하였다. 또한, 최대 200m에 이르는 전송 범위를 지원함으로써 앞으로 P2P 통신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Wi-Fi 다이렉트의 등장으로 인해 P2P 통신은 앞으로 그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P2P 통신 기술은 프린터, 스캐너, 팩스 또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안전하고 간편한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 인증, 연결 제어, 권한 제어 및 보안 관리 등에 대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연동시켜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무선랜을 통하여 외부의 무선 기기와 P2P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 AP(Access Point) 모듈을 구동하여 AP로서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를 구동하여 유동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 및 상기 무선 기기의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주소를 포함한 상기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상기 무선 기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선랜상의 클라이언트들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AP로서의 역할과 상기 무선랜상의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 모두를 지원하고,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AP로서 동작할 때에 상기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무선 기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상기 무선 기기의 MAC 주소에 대응되는 유동 IP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에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무선 기기의 기기 타입, 제조사, 기기 명칭 또는 호스트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상기 연결이 해제된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무선 기기의 네트워크 포트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 결과 상기 무선 기기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기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소프트 AP 모듈을 구동하여 AP로서 동작할 때 외부의 무선 기기와 P2P 방식으로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무선 기기에 DHCP 서버를 구동하여 유동 IP 주소를 할당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 및 상기 무선 기기의 MAC 주소를 포함한 상기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하는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이 저장되는 무선 기기 정보 목록 저장부; 및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상기 무선 기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킨 후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선랜상의 클라이언트들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AP로서의 역할과 상기 무선랜상의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 모두를 지원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AP로서 동작할 때에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는, 상기 무선 기기에 대한 고정 IP 주소를 설정하는 고정 IP 주소 설정부; 상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가 저장되는 고정 IP 주소 저장부; 및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상기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키는 IP 주소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IP 주소 연동부는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상기 무선 기기의 MAC 주소에 대응되는 유동 IP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고정 IP 주소에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통신 제어부가 수신하는 기기 정보는 상기 무선 기기의 기기 타입, 제조사, 기기 명칭 또는 호스트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무선 기기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에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고, 상기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상기 연결이 해제된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기기의 네트워크 포트를 스캔하여 상기 무선 기기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검색하고, 검색된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와 P2P 방식으로 연결된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무선 기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연결 시마다 유동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유동 IP 주소를 반영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들 및 레거시 무선랜 기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에서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을 수행한 결과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간의 연결 과정 중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WPS 실행을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프로파일 저장 기능에 따라 정보가 저장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들의 목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동시 연결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에 저장되는 무선 기기 정보 목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에서의 IP 주소의 연동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에서의 IP 제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한 예로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rinter, MFP)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 연결 및 동작 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무선랜 기기들 및 레거시 무선랜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110)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스마트폰(120),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노트 PC(130) 및 레거시(legacy) 무선랜 노트 PC(140)와 무선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레거시 무선랜 노트 PC(140)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지 않는 기존의 무선랜 기술이 적용된 노트 PC를 의미한다.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무선랜 기기(이하 "Wi-Fi 다이렉트 기기"라고 한다.)는 기존의 Wi-Fi를 지원하는 기기들과 달리, 인프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기기간(Peer to Peer, 이하 P2P) 연결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Wi-Fi 기술의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미 구축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공유기, 즉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에 Wi-Fi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해야 한다. 이때, AP에 무선 연결된 Wi-Fi 기기들은 스테이션(station)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한다. 하지만, Wi-Fi 다이렉트 기술의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의 어느 하나가 AP의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AP의 역할을 수행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에 무선 연결되어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도 Wi-Fi 다이렉트 기기들간의 무선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Wi-Fi 다이렉트 기기들간에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면 Wi-Fi 기기와 같은 레거시 무선랜 기기들은 AP의 역할을 수행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를 AP로 인식하고 이에 무선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인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 Wi-Fi 다이렉트 스마트폰(120) 및 Wi-Fi 다이렉트 노트 PC(130)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들끼리 무선 연결되어 P2P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가 AP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이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에서 AP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를 P2P 그룹의 그룹 오너(Group Owner, 이하 GO)라고 한다. 그리고 Wi-Fi 다이렉트 스마트폰(120)과 Wi-Fi 다이렉트 노트 PC(130)는 GO인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에 무선 연결되어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기기들을 클라이언트(client)라고 한다. 한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무선랜 노트 PC(140)는 GO인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를 AP로 인식하고 무선 연결됨으로써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이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에서 복합기(110)가 GO가 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다른 Wi-Fi 다이렉트 장치인 스마트폰(120) 또는 노트 PC(130) 중 어느 하나가 GO가 되고 복합기(110)는 클라이언트가 되어 무선 연결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GO가 될 지의 여부는 Wi-Fi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서 협상(negotiation)을 통해 결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해당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Wi-Fi 다이렉트 기기는 협상을 통하지 않고 연결 전에 스스로 GO가 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Wi-Fi 다이렉트 기기를 독립 그룹 오너(Autonomous Group Owner, 이하 AGO)라고 한다. 또한, AGO를 중심으로 형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독립 P2P 그룹(Autonomous P2P Group)이라고 한다. 독립 P2P 그룹이 형성된 경우 레거시 무선랜 기기는 AGO를 인프라 네트워크의 AP와 같이 인식하고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 Wi-Fi 다이렉트 기기들끼리 P2P 그룹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가 있는 경우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이에 접속하여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Wi-Fi 다이렉트 기기들간의 무선 연결 프로세스 및 Wi-Fi 다이렉트 기술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이하 "Wi-Fi 다이렉트 복합기"라고 한다.)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프린터, 스캐너 또는 팩시밀리 등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P2P 통신 방법의 한 예로 Wi-Fi 다이렉트를 들고 있으나 적용이 가능한 내에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등의 다른 종류의 P2P 통신 방법을 이용한 실시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는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Wi-Fi 다이렉트 복합기(210)와 Wi-Fi 다이렉트 노트 PC(220)간에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Wi-Fi 다이렉트 연결 과정은 크게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및 보안 연결(security connection)로 나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 기기 중의 하나인 복합기(210)는 사용자로부터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 요청(201)을 받고 주변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202) 이러한 기기 검색 요청은 복합기(2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합기(210)에 구비된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을 수 있다. 복합기(210)에서 기기 검색을 수행한 결과 주변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있다면 복합기(21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검색된 기기를 보여주고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청(203)을 받는다. 연결 요청(203) 역시 복합기(2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버튼 또는 터치 패널을 누르는 형태로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가 복수 개인 경우 복합기(210)는 디스플레이부에 이를 목록으로 보여주고 사용자는 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연결 요청(203)을 받으면 연결하고자 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 간에는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이 수행된다.(204)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이란 어떤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이 서로 연결될 것이고, 이때 어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GO 또는 클라이언트가 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GO가 될 것인지는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협상(negotiation)을 통해 결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4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룹이 형성되었으면 그룹에 속하는 기기들은 서로 보안 연결(security connection)이 되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기술이 Wi-Fi Protected Setup(이하, WPS)이다. WPS란 Wi-Fi를 지원하는 기기들 간에 간단하게 보안 연결을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WPS에는 PIN(Personal Identificaion Number) 방식과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이 있는데 PIN 방식이란 미리 설정된 PIN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보안 연결을 하는 것이고, PBC 방식이란 Wi-Fi 다이렉트 기기에 구비된 WPS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보안 연결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PBC 방식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복합기(210)에 구비된 WPS 버튼을 눌러서 보안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205) 그리고 일정 시간(일반적으로 120초) 내에 노트 PC(220)에 구비된 WPS 버튼, 또는 노트 PC(220)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상에 구현된 WPS 버튼을 눌러서 보안 연결을 할 수 있다. 노트 PC(220)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상에 구현된 WPS 버튼이란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노트 PC(220)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object)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는 아래의 도 5의 식별 번호 510에 나타내었다.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노트 PC(220)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WPS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보안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WPS 버튼을 눌러서 보안 연결을 요청하면 Wi-Fi 다이렉트 기기 중에서 그룹 형성 과정에서 GO가 되도록 결정된 기기는 클라이언트가 되도록 결정된 기기에 보안 정보를 전송한다.(206) Wi-Fi 다이렉트에서는 WPA2(Wi-Fi Protected Access 2)-PSK(Pre-Shared Key) 인증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보안 연결을 하므로 기존의 WEP(Wired Equivalent Privacy)나 WAP(Wi-Fi Protected Access) 방식에 비해 강력한 보안 성능을 갖는다.
WPS를 실행하면 클라이언트인 Wi-Fi 다이렉트 기기는 GO인 Wi-Fi 다이렉트 기기에 연결되며,(207) 이때 GO인 Wi-Fi 다이렉트 기기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인 Wi-Fi 다이렉트 기기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208)함으로써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P2P 연결이 완료된다.
지금까지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연결을 위한 기본적인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각 연결 과정의 구체적인 내용 및 Wi-Fi 다이렉트 기술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 3은 Wi-Fi 다이렉트 기기에서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을 수행한 결과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Wi-Fi 다이렉트 기기에서 기기 검색을 수행하면 무선랜 패킷인 탐색 요청(probe request) 및 탐색 응답(probe response)을 통해 기기의 타입(type) 및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의 기기 정보를 교환하고, 기기 검색을 수행한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표시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에서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SSID 및 기기 타입을 텍스트 또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검색된 기기들을 모두 목록에 표시할 수도 있지만 기기 타입 별로 필터링하여 원하는 타입의 기기만을 포함하는 목록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Wi-Fi 다이렉트 기술에서는 기기의 타입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정의하고 있다. 기기 타입은 예를 들어,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 프린터, 스캐너, 팩스, 복사기 및 카메라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하나의 카테고리는 다시 서브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다시 PC, 서버, 노트북 등의 서브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도 4는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연결 과정 중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룹 형성 과정이란 간단히 어떤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이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것인지 여부 및 어느 기기가 GO가 되고 어느 기기가 클라이언트가 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Wi-Fi 다이렉트 복합기(410)에서 기기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에서 노트 PC(420)를 선택하고 연결을 시도하면 복합기(410)는 노트 PC(420)에 GO 협상(negotiation) 요청을 전송한다.(401) GO 협상 요청을 수신한 노트 PC(420)는 복합기(410)와 자신의 집중도 값(intent value)를 비교하여 복합기(410)의 집중도 값이 큰 경우 복합기(410)가 GO가 되도록 결정하고, 반대인 경우 노트 PC(420)가 GO가 되도록 결정한다. 이때, 집중도 값이란 각 기기에 업무가 집중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제조사 정책 및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복합기와 같이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기기는 비교적 높은 집중도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집중도 값을 비교하여 어느 기기가 GO가 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였다면 노트 PC(420)는 그 결과를 GO 협상 응답으로 복합기(410)에 전송한다.(402) 이를 수신한 복합기(410)는 협상 내용을 정확히 수신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한 GO 협상 내용을 다시 노트 PC(420)로 전송하는 GO 협상 확인(403)을 함으로써 그룹 형성 과정을 종료된다. 그룹 형성이 완료되면 GO인 장치는 보안 정보 및 그룹에 포함된 기기들의 SSID 등을 관리한다.
그룹 형성이 완료되면 그룹에 포함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WPS(Wi-Fi Protected Setup)를 통해 보안 연결된다. 도 5는 WPS 실행을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은 Wi-Fi 다이렉트 복합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WPS를 실행하기 위해 WPS 버튼(510) 또는 PIN 코드(520)를 선택할 수 있다. WPS 버튼(510)을 통해 WPS를 실행하는 경우 복합기에서 WPS 버튼(510)을 누르고, 일정 시간 내에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에서 WPS 버튼을 누르면 기기들간에는 자동으로 보안 정보가 교환되고 보안 연결이 된다. 이때, GO인 기기에서 보안 정보를 제공하면 클라이언트인 기기는 이를 수신한다. 또한 이때, WPA2(Wi-Fi Protected Access 2)-PSK(Pre-Shared Key) 인증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보안 연결을 하므로 강력한 보안 성능을 갖는다.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한 번 연결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인 프로파일(profile) 저장 기능을 갖는다. 도 6은 프로파일 저장 기능에 따라 정보가 저장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목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이 Wi-Fi 다이렉트 복합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이라고 하면, 제 1 목록(610)의 정보는 현재 복합기에 무선 연결된 기기를 나타내고 제 2 내지 4 목록(620~640)의 정보는 현재 복합기에 연결되지는 않았지만 복합기의 기기 검색 범위 내에 있는 기기들을 나타내며, 제 5 목록(650)의 정보는 복합기에 적어도 한 번 연결된 적이 있지만 현재는 검색되지 않는 기기를 의미한다. 만약 제 5 목록(650)의 정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면 사용자는 삭제(remove) 버튼(651)을 눌러서 해당 목록을 삭제할 수도 있다. Wi-Fi 다이렉트 기기는 이와 같은 프로파일 저장 기능을 가지므로 한 번 연결된 기기의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동일한 기기가 다시 연결을 시도할 경우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WPS 실행 없이 보다 빠르게 연결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i-Fi 다이렉트 기기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Wi-Fi 다이렉트와 P2P 연결이 될 수도 있는데 이를 동시 연결(Concurrent Connection)이라고 한다. 도 7은 동시 연결된 Wi-Fi 다이렉트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 복합기(720)는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인 스마트폰(710)과 P2P 연결이 되는 동시에 인프로 네트워크의 AP(730)에도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복합기(720)는 스마트폰(710)에 P2P 연결되었으므로 스마트폰(710)으로부터 직접 인쇄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고, 동시에 인프라 네트워크의 AP(730)를 통해 인프라 네트워크로부터 직접 인쇄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Wi-Fi 다이렉트 기기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시 연결되는 경우, 또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와 P2P 연결이 되는 경우 각각의 연결, 즉 인프라 네트워크에의 연결과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와의 연결에 각각 다른 IP 주소 및 MAC 주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멀티호밍(multihoming) 기술을 통해 Wi-Fi 다이렉트 기기는 동시 연결된 각 인터페이스 별로 다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는 복합기의 모든 기능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지만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는 제한된 일부의 기능에 대한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도 8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는 무선랜 인터페이스 모듈(Wireless LAN interface module)(810), 이더넷 인터페이스 모듈(Ethernet interface module)(820), 중앙처리부(Central Processing Unit, CPU)(830), 메모리부(84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850), 스캐너 모듈(860), 팩스 모듈(870) 및 프린트 엔진(8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840)는 RAM(Random Access Memory)(842) 및 ROM(Read Only Memory)(844)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무선랜만 지원하는 복합기라면 이더넷 인터페이스 모듈(820)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합기가 아닌 프린터의 경우라면 스캐너 모듈(860) 및 팩스 모듈(870)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무선랜 인터페이스 모듈(810)은 IEEE 802.11 b/g/n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해 중앙처리부(830)가 탑재된 복합기의 메인 보드와 통신할 수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 모듈(820)은 IEEE 802.3에 따라 유선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중앙처리부(830)는 복합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부(840)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인쇄 데이터 등이 저장되고 필요할 때에 읽힌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50)은 사용자가 복합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복합기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50)은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LCD 또는 LED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2 또는 4 라인의 형태로 단순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다양한 그래픽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그래픽 UI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캐너 모듈(860), 팩스 모듈(870) 및 프린트 엔진(880)은 각각 스캔 기능, 팩스 기능 및 프린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도 9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소프트웨어의 각 구성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랜 동글 펌웨어(WLAN dongle firmware)(901)는 무선랜 연결을 위한 펌웨어로서 무선랜 동글 하드웨어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부팅시 복합기의 메인 보드에서 무선랜 동글 하드웨어로 전송될 수도 있다. Bus 드라이버(902) 및 STA 호스트 드라이버(903)는 무선랜 하드웨어와 통신하기 위한 저레벨(low level)의 버스 드라이버이다. 무선랜 제어 채널(904) 및 무선랜 데이터 채널(905)은 무선랜 펌웨어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을 의미한다. Wi-Fi 다이렉트 모듈(907)은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하고 무선랜 펌웨어에 동작 명령을 내리는 모듈이다. IEEE 802.11u GAS(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모듈(908)은 IEEE 802.11u GAS 기능을 수행하고, WPS 모듈(910)은 WPS 기능을 수행한다. 소프트 AP(Soft AP) 모듈(911)은 복합기가 AP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TCP/IP(913)는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Wi-Fi 다이렉트 연결 관리자(912)는 Wi-Fi 다이렉트 연결과 관련된 제어를 하기 위한 모듈이다. Wi-Fi 다이렉트 사용자 인터페이스(915)는 사용자가 Wi-Fi 다이렉트와 관련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내장형 웹 서버(Embedded Web Server, EWS)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914)에 포함될 수 있다. DHCP 서버(916)는 클라이언트로 연결되는 Wi-Fi 다이렉트 기기에 자동으로 IP를 할당한다.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917)은 네트워크와 관련된 각종 응용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살펴본 Wi-Fi 다이렉트 기술은 다음과 같은 특장점을 갖는다.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는 언제 어디서나 연결이 가능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이 극대화 되었으며, 새로운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추가되는 경우 바로 연결을 하고 즉각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을 설정하기 전에 이용 가능한 기기 또는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어 사용 용이성이 향상되었으며, WPS에 의해 연결 버튼을 누르는 등의 간단한 작업을 통해 간편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며, WPA2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강력한 보안 성능을 갖는다.
또한, Wi-Fi 다이렉트 기술은 다음과 같은 기존의 무선랜 기술이 제공하지 못하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주변의 Wi-Fi 다이렉트 기기를 기기 타입(device type)별로 검색할 수 있는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 기능, 주변의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검색(service discovery) 기능, 전력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관리(power management) 기능, 기존의 인프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동시에 Wi-Fi 다이렉트 기기간 P2P 연결을 형성하는 동시 연결(concurrent connection) 기능, 인프라 네트워크 연결과 WiFi 다이렉트 연결 간에 보안 도메인(security domain)을 분리하는 기능, 인터넷 접속을 공유할 수 있는 교차 연결(cross connection) 기능 등이 있다.
또한, 기존 무선랜 기술인 IEEE 802.11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레거시 무선랜 기기들과도 호환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복합기는 스캔 투 SMB(Server Message Block), 스캔 투 FTP(File Transfer Protocol) 및 스캔 투 WebDAV(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등과 같은 스캔 투 서버(Scan to Server) 기능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기에서 스캔한 화상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서버의 IP 주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을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기기의 IP 주소를 무선 기기의 MAC 주소, 기기 타입, 제조상 및 기기 명칭과 같은 기기 정보와 함께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설정 및 저장해두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시 저장된 IP 주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무선 기기에 대하여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미리 설정 및 저장된 IP 주소는 사용자가 재설정하지 않는 한 처음 설정된 값을 유지하므로 이하에서는 고정 IP 주소라고 한다. 한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가 무선 기기에 DHCP 서버를 이용하여 할당하는 IP 주소는 무선 연결시마다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IP 주소를 이하에서는 유동 IP 주소라고 한다.
스캔 투 서버와 같이 IP 주소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 및 저장한 고정 IP 주소가 사용되는데, 복합기에 무선 기기가 연결될 때마다 유동 IP 주소가 새로 할당되어 기 저장된 고정 IP 주소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IP 주소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선 연결시마다 새로운 유동 IP 주소가 할당되더라도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기 저장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킴으로써 정확한 IP 주소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복합기의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관리 방법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특징적인 구성만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1)는 도 8의 무선랜 인터페이스부(810)에 대응되고, 도 10의 통신 제어부(12)는 도 8의 중앙 처리부(830) 내에서 통신 제어를 담당하는 부분이고, 도 10의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13)는 도 8의 중앙 처리부(830) 내에서 무선 기기 정보의 관리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부분이고, 도 10의 무선 기기 정보 목록 저장부(14)는 도 8의 메모리부(840)에서 무선 기기 정보 목록이 저장되는 공간이고, 도 10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5)는 도 8의 중앙 처리부(830) 내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담당하는 부분에 대응된다. 그 외 도 8에 도시된 프린트 엔진(880), 팩스 모듈(870) 및 스캐너 모듈(860)과 같은 복합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0에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 통신 제어부(12),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13), 무선 기기 정보 목록 저장부(14) 및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주소 연동부(16), 고정 IP 주소 설정부(17) 및 고정 IP 주소 저장부(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10)는 복합기(10)가 AP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 AP부 및 복합기(10)에 연결되는 무선 기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DHCP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기(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외부의 무선 기기(20)와 P2P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합기(10)의 각 구성의 기능 및 역할은 아래의 순서도 도면들의 설명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에 저장되는 무선 기기 정보 목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에서의 IP 주소의 연동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에서의 IP 제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14 내지 도 17의 순서도의 해당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을 설명한다. S1401단계에서 복합기(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외부의 무선 기기(20)와 P2P 방식으로 연결된다. 복합기(10) 및 무선 기기(20)가 모두 블루투스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P2P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복합기(10) 및 무선 기기(20)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경우 복합기(10) 또는 무선 기기(20) 중 어느 하나가 GO가 되어 소프트 AP(미도시)를 구동하여 AP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두 기기가 P2P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두 기기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10)가 GO가 되는 경우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복합기(10)와 무선 기기(20)는 도 2에 도시된 연결 과정을 거쳐서 P2P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복합기(10)에서 주변의 무선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기기 중 연결하고자 하는 무선 기기(20)를 선택하여 연결 요청을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룹 형성 과정을 거쳐서 복합기(10)가 GO로 동작하고, 무선 기기(20)에 구비된 WPS 버튼을 누르면 복합기(10)와 무선 기기(20)간에 보안 연결이 된다.
그리고는 S1403 단계에서 복합기(10)의 통신 제어부(12)는 DHCP 서버(미도시)를 구동하여 연결된 무선 기기(20)에 유동 IP 주소를 할당한다. 이때, DHCP 서버에 의해 무선 기기(20)에 할당되는 유동 IP 주소는 무선 연결시마다 변경될 수 있으므로 스캔 투 서버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무선 기기(2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다를 수 있다.
S1405 단계에서 복합기(10)의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13)는 연결된 무선 기기(20)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 및 MAC 주소를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하고, 무선 기기 정보 목록은 무선 기기 정보 목록 저장부(14)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기 목록의 예시적인 형태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다. 도 11을 참고하면, 각각의 무선 기기에 대하여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지 여부, 기기 타입, 제조사, 기기 명칭, MAC 주소 및 유동 IP 주소 등의 기기 정보가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다.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유동 IP 주소와 함께 저장되는 다른 기기 정보들은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에 대응되는 유동 IP 주소를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1407 단계에서는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응용 프로그램에서 무선 기기에 대하여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킨다. 이렇게 무선 기기 정보 목록을 이용하여 무선 연결시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기 저장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킴으로써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시 정확한 IP 주소, 즉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S1407 단계, 즉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에 연동시키는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S1501 단계에서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무선 기기의 MAC 주소에 대응되는 유동 IP 주소를 추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내에는 사용자가 무선 기기에 대한 고정 IP 주소와 함께 MAC 주소, 기기 타입, 제조사 및 기기 명칭 등과 같은 기기 정보를 저장해 놓는데 이러한 기기 정보를 가지고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대응되는 무선 기기를 찾고, 그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특히, MAC 주소는 각각의 무선 기기의 고유한 정보이므로 응용 프로그램 내에 저장된 무선 기기의 MAC 주소에 대응되는 유동 IP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무선 기기의 유동 IP 주소를 추출하였으면, S1503 단계에서 추출된 유동 IP 주소를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에 연동시킨다. 이러한 IP 주소 연동 설정을 위한 화면을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2의 SMB 서버 주소란(1)에서 설정을 통하여 IP 주소를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저장된 MAC 주소에 대응되는 유동 IP 주소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캔 투 서버와 같이 스캔 화상을 전송하는 기능의 응용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IP 제한 기능의 응용 프로그램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 유동 IP 주소는 서비스 제한 대상에 자동으로 추가되도록 하고 또한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삭제된 유동 IP 주소는 서비스 제한 대상에서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유동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기기들은 일부의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IP 제한 기능의 응용 프로그램에 IP 주소를 연동하는 설정 화면을 도 13에 도시하였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와 P2P 방식으로 연결되는 무선 기기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일 수도 있지만,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방식의 무선랜 기기일 수도 있다. 도 16은 복합기에 연결되는 무선 기기의 Wi-Fi 다이렉트 지원 여부에 따라서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되는 기기 정보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S1601 단계에서 복합기(10)에 무선 기기(20)가 P2P 방식으로 연결되면, S1602 단계에서 통신 제어부(12)는 DHCP 서버를 구동하여 무선 기기(20)에 IP 주소를 할당한다. S1603 단계에서 연결된 무선 기기(20)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경우 복합기(10)의 통신 제어부(12)는 도 3에서 설명한 기기 검색 과정을 거치면 Wi-Fi 다이렉트의 규약에 의해 무선 기기(20)의 기기 타입, 제조사, 기기 명칭 등의 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S1604 단계에서 통신 제어부(12)는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 MAC 주소, 기기 타입, 제조사 및 기기 명칭 등을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13)에 전달한다. 한편, 연결된 무선 기기(20)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S1603 단계에서 판단되었다면 통신 제어부(12)는 연결된 무선 기기의 기기 타입, 제조사 및 기기 명칭 등은 제외한 유동 IP 주소 및 MAC 주소만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유동 IP 주소 및 MAC 주소를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13)에 전달한다.
이어서 S1606 단계에서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13)는 통신 제어부(12)로부터 전달받은 유동 IP 주소 및 MAC 주소를 포함한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한다. S1607 단계에서 IP 주소 연동부(16)가 무선 기기 정보 목록을 이용하여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기 저장된 고정 IP 주소에 연동한 후 S1608 단계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확한 IP 주소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에 있어서, 복합기와 무선 기기간의 P2P 연결이 해제된 경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연결 해제된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S1701 단계에서 복합기(10)와 무선 기기(20)간의 P2P 연결이 해제되면 S1703 단계에서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연결 해제된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다면 S1705 단계에서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연결 해제된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삭제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복합기 11: 통신 인터페이스부
12: 통신 제어부 13: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
14: 무선 기기 정보 목록 저장부 15: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
16: IP 주소 연동부 17: 고정 IP 주소 설정부
18: 고정 IP 주소 저장부 20: 무선 기기

Claims (14)

  1. P2P(Peer to Peer)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무선랜을 통하여 외부의 무선 기기와 P2P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 AP(Access Point) 모듈을 구동하여 AP로서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를 구동하여 유동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 및 상기 무선 기기의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주소를 포함한 상기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상기 무선 기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선랜상의 클라이언트들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AP로서의 역할과 상기 무선랜상의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 모두를 지원하고,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AP로서 동작할 때에 상기 IP 주소를 할당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상기 무선 기기의 MAC 주소에 대응되는 유동 IP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에 연동되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무선 기기의 기기 타입, 제조사, 기기 명칭 또는 호스트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상기 연결이 해제된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의 네트워크 포트를 스캔하여 상기 무선 기기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기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소프트 AP 모듈을 구동하여 AP로서 동작할 때 외부의 무선 기기와 P2P 방식으로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무선 기기에 DHCP 서버를 구동하여 유동 IP 주소를 할당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 및 상기 무선 기기의 MAC 주소를 포함한 상기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하는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이 저장되는 무선 기기 정보 목록 저장부; 및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상기 무선 기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킨 후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선랜상의 클라이언트들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AP로서의 역할과 상기 무선랜상의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 모두를 지원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AP로서 동작할 때에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는,
    상기 무선 기기에 대한 고정 IP 주소를 설정하는 고정 IP 주소 설정부;
    상기 설정된 고정 IP 주소가 저장되는 고정 IP 주소 저장부; 및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 저장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기기에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상기 고정 IP 주소와 연동시키는 IP 주소 연동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P 주소 연동부는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상기 무선 기기의 MAC 주소에 대응되는 유동 IP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고정 IP 주소에 연동되도록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가 수신하는 기기 정보는 상기 무선 기기의 기기 타입, 제조사, 기기 명칭 또는 호스트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에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고, 상기 무선 기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무선 기기 정보 목록에서 상기 연결이 해제된 무선 기기의 기기 정보를 삭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기기의 네트워크 포트를 스캔하여 상기 무선 기기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검색하고, 검색된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0122394A 2011-11-22 2011-11-22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KR10187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394A KR101872358B1 (ko) 2011-11-22 2011-11-22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EP12191023.6A EP2613579B1 (en) 2011-11-22 2012-11-02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US13/682,977 US8823988B2 (en) 2011-11-22 2012-11-21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thereof through internet protocol address lin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394A KR101872358B1 (ko) 2011-11-22 2011-11-22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670A KR20130056670A (ko) 2013-05-30
KR101872358B1 true KR101872358B1 (ko) 2018-06-29

Family

ID=4732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394A KR101872358B1 (ko) 2011-11-22 2011-11-22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23988B2 (ko)
EP (1) EP2613579B1 (ko)
KR (1) KR101872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723B1 (ko) * 2011-09-02 2018-03-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주소록 관리 방법
KR101975992B1 (ko) 2012-09-26 2019-05-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KR102077823B1 (ko) * 2013-06-03 2020-02-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엔에프씨를 이용한 모바일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EP3011795B1 (en) * 2013-06-17 2017-12-13 Dasht BV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 network connection between devices
US20160192419A1 (en) * 2013-06-28 2016-06-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arching for device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6281223B2 (ja) * 2013-09-30 2018-0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CN103617011A (zh) * 2013-10-16 2014-03-05 艾塔斯科技(镇江)有限公司 一种打印方法和打印系统
JP6399743B2 (ja) * 2013-12-02 2018-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A2980952A1 (en) * 2015-05-18 2016-11-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Ip address allocation method in d2d communication and user equipment
JP7175584B2 (ja) * 2015-10-30 202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827745A (zh) * 2016-02-16 2016-08-03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基于媒体访问控制地址的寻址通信方法及装置
CN106792800B (zh) * 2016-11-29 2020-12-22 义乌市智享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多协议控制方法及用于多协议控制的ap装置
JP6874381B2 (ja) * 2017-01-16 2021-05-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862872B2 (ja) 2017-02-02 2021-04-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342032B2 (ja) * 2017-03-30 2018-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21170A (ja) * 2017-07-20 2019-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モジュール、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16019B1 (ko) * 2017-09-11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8810192A (zh) * 2018-07-20 2018-11-13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静态ip配置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047792A (zh) * 2018-10-15 2020-04-21 陈航 移动端智能网页打印系统
CN112333686B (zh) * 2020-11-05 2024-01-09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配网方法、终端设备、图像形成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511B1 (en) 1999-05-21 2002-12-17 3Com Corporation Method for preserving preassigned IP addresses in a remote access server
US20110082939A1 (en) 2009-10-02 2011-04-07 Michael Peter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proxy discovery and negotiations between network entities to establish peer-to-peer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598B1 (ko) * 2002-02-20 2004-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갖는 무선 랜 카드와 상기 랜카드가 장착된 네트워크 프린터와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를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JP5446519B2 (ja) * 2008-09-17 2014-03-19 株式会社リコー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225305A1 (en) * 2010-03-10 2011-09-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group owner intent
JP5093277B2 (ja) * 2010-03-29 2012-1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04517B2 (en) * 2010-05-31 2014-08-12 Blackberry Limited Management of mobile hotspot connections
KR101840723B1 (ko) * 2011-09-02 2018-03-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주소록 관리 방법
KR101840725B1 (ko) * 2011-09-02 2018-03-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p2p 연결 제어 방법
KR20130070051A (ko) * 2011-12-19 2013-06-27 제일모직주식회사 흠 저항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511B1 (en) 1999-05-21 2002-12-17 3Com Corporation Method for preserving preassigned IP addresses in a remote access server
US20110082939A1 (en) 2009-10-02 2011-04-07 Michael Peter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proxy discovery and negotiations between network entities to establish peer-to-peer communica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ALTEK: "Realtek Wi-Fi Direct Programming Guide". 2011.07.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670A (ko) 2013-05-30
US8823988B2 (en) 2014-09-02
US20130128311A1 (en) 2013-05-23
EP2613579B1 (en) 2018-08-08
EP2613579A1 (en)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358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ip 주소 연동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KR101840723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주소록 관리 방법
KR101975992B1 (ko)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KR101760349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사용자 인증을 통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KR101840725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p2p 연결 제어 방법
KR101760350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작업 권한 제어 방법
US93172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support wi-fi direct and method of wi-fi direct connecting therein
KR102006405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방법
EP2782399B1 (en) Method of connecting networks using Wi-Fi Direct i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image forming system
KR20130025749A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신호 세기에 기초한 보안 관리 방법
KR102022330B1 (ko)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