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092B1 -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image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image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092B1
KR101820092B1 KR1020160042923A KR20160042923A KR101820092B1 KR 101820092 B1 KR101820092 B1 KR 101820092B1 KR 1020160042923 A KR1020160042923 A KR 1020160042923A KR 20160042923 A KR20160042923 A KR 20160042923A KR 101820092 B1 KR101820092 B1 KR 10182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terminal
advertisement
smart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6056A (en
Inventor
모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윙스
Publication of KR2017004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0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 노출이 가능한 충전 단말기 및 이를 갖는 영상충전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품 판매점의 충전 스테이션에 구비된 충전 단말기를 이용하여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준비 완료됨을 알리는 진동벨 기능을 구현하고, 진동벨 기능이 수행되기 전까지 고객에게 광고 영상을 표시하며, 또한 고객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충전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호출 신호를 수신받으면 진동하는 진동벨; 및 상기 진동벨에 함께 설치되어, 내장된 배터리 셀의 전원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 젠더를 포함하는 광고 노출이 가능한 충전 단말기 및 이를 갖는 영상충전벨 시스템을 개시한다.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being exposed to an advertisement and a video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a charging station of a merchandise sto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a customer's smartphone and a video charging bell system using the charging terminal, which displays a commercial image until a vibration bell function is perform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ring vibrating when a paging signal is received; And a charging gender for charging the smartphone with a power source of the built-in battery cell installed in the vibration bell, and a video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Figure 112016033784668-pat00001
Figure 112016033784668-pat00001

Description

광고 노출이 가능한 충전 단말기 및 이를 갖는 영상충전벨 시스템{CHARGING TERMINAL CAPABLE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IMAGE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nd a video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 노출이 가능한 충전 단말기 및 이를 갖는 영상충전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a video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same.

정보 처리 기술의 발달과 메모리칩의 대용량화로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 외에도 사진, 동영상, 게임 및 MP3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무리없이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배터리가 쉽게 소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접근성이 용이한 편의점, 휴게소 및 공공 장소 등에 휴대폰 충전장치를 설치하여 소모된 배터리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nd the large capacity of memory chips, it is now possible to enjoy multimedia contents such as photos, videos, games and MP3 in addition to the call function by using a mobile phone. However, when the multimedia contents are used by using a mobile phone, the battery is easily exhaus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in a convenience store, a resting place, and a public place, which are easy to access, so that a spent battery can be easily charged.

통상적으로, 휴대폰 충전장치는 소형의 개별 충전장치로 구성하거나, 대형화된 충전 박스 내에 다수의 충전 단자 또는 잭을 구성하여 건물의 외벽 또는 입구에 설치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유료 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Generally, it is common that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s constituted by a small individual charging device, or a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or jacks are formed in a large-sized charging box and installed at the outer wall or entrance of the building. do.

이 경우, 이용자의 대부분은 설치 장소를 이탈하여 다른 용무를 보다가 충전 종료 시간에 맞추어 핸드폰 배터리를 찾아가거나, 휴대폰 분실이라는 불안감 때문에 충전 완료까지 설치 장소를 이탈하지 않고 지루하게 기다리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is case, it is common that most of the users leave the installation place and look for other tasks to find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end time, or wait tiredly without leaving the installation place until the charging is finished due to anxiety that the mobile phone is lost.

이러한 핸드폰 충전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폰 충전기능에 부가적으로 광고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었는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12473호(광고판 전용 핸드폰 충전장치)에는 액정화면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충전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07603호(패널 부착형 핸드폰 충전장치)에는 광고를 시청하는 충전자에게 무료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utilize such a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more efficiently, a device capable of functioning as an advertisement in addition to a mobile phone charging function has been propose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2473 (a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dedicated for billboards) And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7603 (panel-mount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discloses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charging service free of charge to a user who watches an advertisement. .

그러나, 이러한 핸드폰 충전장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동안 액정화면을 통하여 손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충전장치에 내장된 광고가 특징없이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광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광고주는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면서도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키지 못함에 따라 광고를 차별화시켜 노출시키기 위한 욕구가 증대되어 왔다.However, suc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the advertisement can be easily expos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screen during the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However, since the advertisement embedded in the charging device is repeatedly displayed without characterizing it, do. In addition, since advertisers can not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while paying high costs, the desire to differentiate and expose advertisements has been increased.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include information not constituting the prior ar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피 전문점, 라운지, 식당 등의 충전 스테이션에 구비된 충전 단말기를 이용하여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준비 완료됨을 알리는 진동벨 기능을 구현하고, 진동벨 기능이 수행되기 전까지 고객에게 광고 영상을 표시하며, 또한 고객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충전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a vibration bell function that notifies that a product ordered by a customer is completed using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a charging station such as a coffee shop, a lounge, And to provide a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a customer's smartphone and a video charging system using the charging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단말기는 호출 신호를 수신받으면 진동하는 진동벨; 및 상기 진동벨에 함께 설치되어, 내장된 배터리 셀의 전원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 젠더를 포함한다.The charg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ng bell which vibrates when receiving a paging signal; And a charging gender which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vibration bell and charges the smart phone with the power of the built-in battery cell.

상기 충전 단말기는 상기 진동벨과 충전 젠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젠더에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충전앱이 설치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충전앱이 설치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제1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충전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제2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1전원이 상기 제2전원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전류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bell and the charging gender,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app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when the smart phon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gender, The first power is supplied to the smartphone when the mobile phone is installed, and the second power is supplied to the smartphone when the charging app is not installed, wherein the first power is supplied with a relatively large current .

상기 충전앱은 무선 통신을 통해 광고 동영상을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미리 저장한 후 스마트폰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harging application may receive the advertisement video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 it in real time or may store it in advance and output it to the smartphone screen.

상기 충전 단말기는, 상기 진동벨에 함께 설치되어, 광고 동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installed together with the vibrating bell for outputting an advertisement moving picture.

상기 표시부는 상기 광고 동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미리 저장한 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receive the advertisement moving imag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 the advertisement moving image in real time or after storing it in advance.

상기 충전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의 신호나 상기 진동벨의 연결 신호가 기준 세기보다 약할 경우 분실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loss warning sound when the sig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vibration ring is weaker than the reference strength.

상기 충전앱은 광고 동영상을 표시한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app may include a timer for counting the time at which the advertisement video is display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동영상을 표시한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timer for counting a time at which the advertisement moving picture is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충전벨 시스템은 상술한 상기 다수의 충전 단말기; 상기 다수의 충전 단말기가 연결되어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충전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And a charging station for allowing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to be connected and charged, wherein the charging station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상기 다수의 충전 단말기 각각은 삼각 형태를 하며 상호간 이격된 한쌍의 측면; 상기 한쌍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한쌍의 장면; 및 상기 한쌍의 측면 및 상기 한쌍의 장면을 연결하는 하나의 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젠더는 상기 한쌍의 측면 중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한쌍의 장면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scene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one outer surface connecting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the pair of scenes, wherein the filling gender is installed on one of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the display portion can be installed in one of the pair of scenes.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광고 서버가 연결되고,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동영상이 상기 충전 스테이션 또는 상기 충전 단말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The charging station may be connected to an advertisement server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dvertisement moving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ing station or the charging terminal from the advertisement server.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상기 충전 단말기의 호출을 위한 호출용 키패드가 더 연결될 수 있다.The charging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call keypad for calling the charging terminal.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무선 통신의 신호가 기준 세기보다 약할 경우 분실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lost alarm when the sig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weaker than a reference strength.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다수의 삼각 형태의 유닛이 꼭지점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중앙에 상부로 연장된 와이파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harging station comprises: a support plat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riangular-shaped units circularly about apexes; And a Wi-Fi antenna extending upwardly at a center of the support plate.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상기 유닛에 충전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 단말기는 상기 유닛에 탑재되며, 상기 충전 단말기의 충전 단자가 상기 유닛의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A charging terminal is formed in the unit of the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terminal is mounted on the unit, and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harging terminal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unit.

상기 와이파이 안테나의 높이가 상기 충전 단말기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The height of the Wi-Fi antenna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harging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충전 단말기 및 이를 갖는 영상충전벨 시스템은 커피 전문점, 라운지, 식당 등의 충전 스테이션에 구비된 충전 단말기를 이용하여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준비 완료됨을 알리는 진동벨 기능을 구현하고, 진동벨 기능이 수행되기 전까지 고객에게 광고 영상을 표시하며, 또한 고객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can be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of a coffee shop, a lounge, a restaurant, It implements the bell function, displays the advertisement image to the customer until the vibration bell function is performed, and also allows the user to charge the smart pho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및 광고를 노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oses various contents and advertisements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charging terminal, efficient targeted marketing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 단말기에 구비된 NFC 칩을 통하거나 표시부에 노출되는 QR 코드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설치된 충전앱과 연동시켜 스마트폰 화면 상에서도 다양한 컨텐츠 및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고, 나아가 충전앱을 통한 빠른 충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ose various contents and advertisements on a smartphone screen by interworking with a charging app installed in a smart phone through an NFC chip provided in a charging terminal or a QR code exposed on a display uni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harge quickly through the charging ap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 중에서 충전 스테이션 및 충전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각각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과 종래 기술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 중에서 충전 스테이션 및 충전 단말기의 동작을 각각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 중에서 충전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광고 집중도 향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타겟 마케팅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deo charging bell system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harging station and a charging terminal, respectively, in an image charging bell system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charging bell system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the prior art with a video charging system capable of expos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video charging bell system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A and 6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charging station and a charging terminal, respectively, in an image charging bell system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charging terminal among image charging bell systems capable of expos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ffect realized by a video charging bell system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dvertisement concentration improvement implemented by a video charging bell system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arget marketing implemented by a video charging system capable of expos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order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rawings,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connected "mean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the 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nd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re indirectly connected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 and / or "comprising,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terchangeable with the said form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It is obvious that n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related to space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But may be utilized for an easy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erms related to such a space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various process states or us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of the drawing is inverted, the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lower" or "below" will be "upper" or "above." Thus, "below" is a concept covering "upper" or "low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ler) and / or other associated equipment or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ny suitable hardware, firmware (e.g., custom semiconductor), software, or any appropriate combination of software, . For example, the various components of a controller (controller) and / or other associated equipment or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one integrated circuit chip or on a separate integrated circuit chip. In addition,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controller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and formed on the same substrate as the tape carrier package, printed circuit board, or controller (controller). In addition,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controller (controller) may be a process or thread execut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one or more computing devices, which execute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And interact with other components.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stored in a memory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ing device using standard memory devices, such as,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other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such as, for example, CD-ROMs, flash drives, and the like. Fur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functions of the various computing devices may be combined with one another, integrated into one computing device, or the functionality of a particular comput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within one or more other computing devices Lt; / RTI > can be dispersed in the < / RTI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deo charging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인터넷 케이블(101) 및 인터넷 통신망(102)을 통해 광고 서버(103)에 접속되고, 또한 상품 판매자가 고객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용 키패드(104)에 연결되며, 또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예를 들면, 와이파이 안테나(111)를 갖는 충전 스테이션(110)과, 충전 젠더(151)를 갖는 충전 단말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video charging bel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through the Internet cable 101 and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105 for supplying power. The video charging bell system 100 may include a charging station 110 having a Wi-Fi antenna 111 and a charging terminal 150 having a charging gantry 151, for example.

여기서, 충전 스테이션(110)과 충전 단말기(150)는 상호간 물리적/기계적으로 접속 및/또는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10)에 충전 단말기(150)가 결합되면, 충전 스테이션(110)에 의해 충전 단말기(150)가 충전되고,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충전 단말기(150)가 분리되면 이는 고객에게 진동벨 용도로 전달될 수 있다.Here,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terminal 150 are physically / mechanically connected and / or detachable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oupled to the charging station 110,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harged by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can be delivered to the customer for vibration bell purposes.

더불어, 충전 스테이션(110)과 충전 단말기(150)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상호간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광고 서버(103)로부터 전달된 광고 컨텐츠(예를 들면, 광고 동영상)가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충전 단말기(150)에 전달됨으로써, 충전 단말기(150)가 고객에게 광고 컨텐츠를 직접 표시할 수 있다. 더불어, 충전단말기(150)는 충전 젠더(151)를 통하여 이에 연결된 스마트폰(190)을 충전할 수 있다. 물론, 충전 스테이션(110)과 충전 단말기(150)는 무선 통신, RF 통신 및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 지그비, UWB, 적외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terminal 15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in a Wi-Fi manner, and advertisement contents (for example, advertisement video)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so that the charging terminal 150 can display the advertisement contents directly to the customer. In addition, the charging terminal 150 can charge the smartphone 190 connected thereto via the charging gantry 151.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terminal 150 may be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RF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ZigBee, UWB, infrar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예를 들면, 커피 전문점, 라운지, 식당과 같은 상품 판매점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에 구비된 충전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준비 완료됨을 알리는 진동벨 기능을 구현하고, 그와 동시에 고객의 스마트폰(190)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진동벨 기능이 수행되기 전까지 고객에게 광고 컨텐츠를 직접 표시하거나 고객의 스마트폰(190)에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roduct charging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merchandise store such as a coffee shop, a lounge, a restaurant, The user can charge the smartphone 190 of the customer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contents may be directly displayed to the customer or the advertisement contents may be output to the customer's smartphone 190 until the vibration bell function is performed.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은 기본적으로 판매점의 와이파이 공유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판매점 내에 있는 고객은 충전 스테이션(110)의 와이파이 공유기 기능을 이용하여 무료로 스마트폰(190)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파이 공유기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구성/작용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station 110 can basically operate as a Wi-Fi router of a retail store. That is, the customer in the store can utilize the Internet through the smartphone 190 free of charge using the Wi-Fi router function of the charging station 110. Since the configuration of such a Wi-Fi router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 operation effect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 중에서 충전 스테이션(110) 및 충전 단말기(150)의 개략적인 구성을 각각 도시한 블럭도이다.2A and 2B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harging station 110 and a charging terminal 150, respectively, in an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스테이션(110)은 유선 수신부(112), 호출신호 처리부(113), 저장부(114), 제어부(115), 경고부(116), 무선 송신부(117), 충전회로(118), 스위치(119)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무선 송신부(117)에는 와이파이 안테나(111)가 연결되고, 스위치(119)에는 충전단자(120)가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15)는 타이머(115a) 및/또는 신호세기 측정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2A, the charging station 110 includes a wire receiving unit 112, a call signal processing unit 113, a storage unit 114, a control unit 115, a warning unit 116,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117, A charging circuit 118, and a switch 119. [ Of course,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17 may be connected to the WiFi antenna 111, and the switch 119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5 may include a timer 115a and / or a signal strength measurement unit 115b.

유선 수신부(112)는, 예를 들면, 인터넷 케이블(101)을 통하여 광고 서버(103)로부터 광고 동영상/정지 영상과 같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15)에 전달한다.The wired receiver 112 receives advertisement contents such as advertisement moving image / still image from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via the Internet cable 101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ontrol unit 115. [

호출신호 처리부(113)는 상품 판매자가 호출용 키패드(104)를 조작하여 특정한 호출 번호를 입력하면, 이를 해석 및 처리하여 제어부(115)에 전달한다.When the merchandise seller operates the call keypad 104 to input a specific call number, the call signal processing unit 113 analyzes and processes the specific call number, and transmits the analyzed call number to the control unit 115.

저장부(114)는 유선 수신부(112)를 통해 수신된 광고 동영상이 제어부(115)에 의해 압축되고 저장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저장부(114)에는 충전 스테이션(110)의 전반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그리고 각종 변수 및 상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14 compresses and stores the advertisement moving image received through the wire receiving unit 112 by the control unit 115. [ Of course, the storage unit 114 may store firmware and / or software and various variables and constants to enable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110.

제어부(115)는 유선 수신부(112) 및 호출신호 처리부(113)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적절한 제어 신호를 무선 송신부(117), 경고부(116) 및 스위치(119)에 출력하여, 이들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15 processes signals received from the wired receiver 112 and the paging signal processor 113 and outputs appropriate control signals to the radio transmitter 117, the warning unit 116 and the switch 119, .

경고부(116)는 무선 송신부(117)를 통한 충전 단말기(150)와의 무선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 신호보다 작을 경우, 이를 상품 판매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시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The warning unit 116 alerts the audiovisual warning that the intens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charging terminal 15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17 is lower than the reference signal,

무선 송신부(117)는 저장부(114)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를 충전 단말기(15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와이파이 안테나(111)에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술한 호출용 키패드(104)를 통해 충전 단말기(150)를 호출하는 호출 신호 역시 이러한 무선 송신부(117)를 통해 충전 단말기(150)에 전달될 수 있다.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17 transmits the advertisement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4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and is connected to the WiFi antenna 111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a call signal for calling the charging terminal 150 through the above-described calling keypad 104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17.

충전회로(118)는 전원 공급부(105)로부터의 전원을 충전이 가능한 직류 레벨로 변환하며, 예를 들면, 정전류 정전압 방식으로 충전 단말기(150)에 충전 전압/전류를 공급한다.The charging circuit 118 converts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5 into a DC level that can be charged and supplies the charging voltage / current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for example, in a constant current constant voltage manner.

스위치(119)는 충전단자(120)에 충전 단말기(150)가 연결될 경우, 턴온되어 상술한 충전회로(118)로부터의 전압/전류를 충전 단말기(150)에 공급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15)가 충전 스테이션(110)에 충전 단말기(150)가 접속됨을 감지하면, 스위치(119)를 턴온하여 충전회로(118)로부터의 충전 전원이 충전 단말기(150)에 공급되도록 한다.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20, the switch 119 is turned on to supply the charging terminal 150 with the voltage / current from the charging circuit 118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15 detects that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control unit 115 turns on the switch 119 so that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circuit 118 is su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

한편, 제어부(115)의 타이머(115a)는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충전 단말기(150)가 분리될 때부터, 충전 스테이션(110)에 충전 단말기(150)가 재결합될 때 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하고, 이를 저장부(114)에 저장한다. 이러한 시간은, 예를 들면, 고객에게 광고가 표시된 시간이며, 이러한 시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광고 서버(103)에 전달되어, 추후 광고비를 책정하는데 이용되도록 한다.The timer 115a of the control unit 115 counts the time until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rejoined to the charging station 110 from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14. This time is, for example, the time at which the advertisement is displayed to the customer, and information on the time is transmitted to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5, so that it is used for setting the advertisement cost later.

한편, 제어부(115)의 신호세기 측정부(115b)는 무선 송신부(117) 및 와이파이 안테나(111)를 통한 무선 인터넷 통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데, 이러한 무선 인터넷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115)는 경고부(116)를 동작시켜, 충전 단말기(150)의 분실 위험을 상품 판매자에게 알리도록 한다.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unit 115b of the control unit 115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17 and the WiFi antenna 111. When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strength The control unit 115 operates the warning unit 116 to inform the merchandise seller of the risk of losing the charging terminal 150. [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단말기(150)는 진동벨(158) 및 충전 젠더(151)를 포함하며, 추가로 무선 수신부(152), 호출종료 버튼(153), 저장부(154), 제어부(155), 표시부(156), LED 램프(157), 경고부(159), 배터리 셀(160) 및 스위치(161)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2B, the charging terminal 150 includes a vibration ring 158 and a charging gender 151, and further includes a wireless receiving unit 152, a call termination button 153, a storage unit 154 A control unit 155, a display unit 156, an LED lamp 157, a warning unit 159, a battery cell 160, and a switch 161.

여기서, 스위치(161)에는 충전 젠더(151)가 연결된다. 또한, 충전 단말기(150)는 충전 스테이션(110)의 충전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접속 및/또는 분리되는 충전단자(162)를 포함한다. 더욱이, 제어부(155)는 타이머(155a), 신호세기 측정부(155b) 및/또는 앱확인부(155c)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witch 161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gender 151. The charging terminal 150 also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162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 or isola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20 of the charging station 110.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55 may include a timer 155a, a signal strength measurement unit 155b, and / or an application confirmation unit 155c.

무선 수신부(152)는 충전 스테이션(110)의 와이파이 안테나(111)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받고, 이를 제어부(155)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155)가 표시부(156)를 통하여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 더불어,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충전 단말기(150)를 호출하는 호출 신호 역시 이러한 무선 수신부(152)로 수신될 수 있다.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52 receives the advertisement content from the WiFi antenna 111 of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ransmits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control unit 155 so that the control unit 155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through the display unit 156 . In addition, a paging signal for calling the charging terminal 150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may also be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52.

호출종료 버튼(153)은 충전 단말기(150)가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품 판매자 및/또는 고객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호출 신호 출력이 종료되도록 한다. 즉, 호출종료 버튼(153)이 눌러지면, 호출종료 신호가 제어부(155)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155)는 LED 램프(157) 및/또는 진동벨(158)의 동작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The call termination button 153 is operated by the merchandise seller and / or the customer in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terminal 150 outputs the call signal, thereby terminating the call signal output. That is, when the call end button 153 is pressed, the call termin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5, so that the control unit 155 controls the LED lamp 157 and / do.

저장부(154)는 무선 수신부(152)로부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러한 저장부(154)에는 충전 단말기(150)의 동작을 위한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그리고 각종 변수와 상수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4 stores the advertisement contents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ption unit 15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5. Of course, the storage unit 154 may store firmware and / or software for operating the charging terminal 150, various variables and constants, and the like.

제어부(155)는 상술한 무선 수신부(152), 호출종료 버튼(153) 등으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표시부(156), LED 램프(157), 진동벨(158), 경고부(159) 및 스위치(161) 등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5 controls the display unit 156, the LED lamp 157, the vibration bell 158, the warning unit 159, and the warning unit 159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input from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52, the call end button 153, And the switch 161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order.

표시부(156)는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전달된 광고 컨텐츠를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고객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표시부(156)는 통상의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일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play unit 156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s deliver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to the custom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5. The display unit 156 may be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LED 램프(157)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전달된 호출 신호를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고객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LED lamp 157 serves to display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to the custom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5.

진동벨(158) 역시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전달된 호출 신호를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고객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벨(158)은, 예를 들면, 진동 모터일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The vibrating bell 158 also transmits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to the custom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5. The vibration bell 158 may be, for example, a vibration mo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경고부(159)는 충전 스테이션(110)의 동작과 유사하게, 충전 스테이션(110)과 충전 단말기(150) 사이의 인터넷 무선 통신 신호나 진동벨 기능을 위한 연결 신호의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을 경우, 이를 고객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고부(159)는, 예를 들면, 스피커로서 고객에게 충전 단말기(150)를 소지한 채 매장의 외측으로 나가지 말 것을 알려줄 수 있다.The warning unit 159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110 when the intensity of the connection signal for the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or the vibration bell function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less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 And informs the customer thereof. The warning unit 159 can, for example, notify the customer that he / she does not go outside the store with the charging terminal 150 as a speaker.

배터리 셀(160)은 충전 단말기(150)의 내측에 장착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리튬이온폴리머 전지 및 그 등가물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배터리 셀(160)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attery cell 160 may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and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for example, a lithium ion battery, a lithium polymer battery,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and the like. However, the type of the battery cell 160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배터리 셀(160)은 충전 단말기(150)의 충전단자(162)가 충전 스테이션(110)의 충전단자(120)에 연결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충전 단말기(150)는 충전 스테이션(110)에 기계적/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여야 한다.The battery cell 160 may be charged by connecting the charging terminal 162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to the charging terminal 120 of the charging station 110.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charging terminal 150 must be mechan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harging station 110.

스위치(161)는 충전 젠더(151)에 스마트폰(190)이 연결될 경우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턴온됨으로써, 배터리 셀(160)의 전원이 스위치(161) 및 충전 젠더(151)를 통해 스마트폰(190)의 배터리에 공급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55)는 충전 젠더(151)를 통하여 스마트폰(190)이 연결됨을 감지하면, 스위치(161)를 턴온하여 내장된 배터리 셀(160)에 의해 스마트폰(190)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스위치(161)는 부가적인 구성으로서 스위치(161) 없이 충전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스위치(161)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190)이 배터리 셀(160)에 충전을 위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면 바로 충전이 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switch 161 is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5 when the smartphone 190 is connected to the charged gangster 151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cell 160 is supplied through the switch 161 and the charged gangster 151 To be supplied to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190. That is, when the controller 155 detects that the smartphone 190 is connected through the charging gender 151, the controller 161 turns on the switch 161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190 by the built-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a switch 161 can be implemented as a charging terminal without the switch 161 a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In the absence of the switch 161, it is natural that charging can be started immediately when the smart phone 19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160 through a cable for charging.

한편, 제어부(155)의 타이머(155a)는 충전 단말기(150)가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분리될 때부터(즉, 충전 단말기(150)의 충전단자(162)가 충전 스테이션(110)의 충전단자(120)로부터 분리될 때부터) 충전 단말기(150)가 충전 스테이션(110)에 결합될 때까지의(즉, 충전 단말기(150)의 충전단자(162)가 충전 스테이션(110)의 충전단자(120)에 결합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이를 저장부(154)에 저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충전 스테이션(110)에 타이머(115a)가 설치될 경우, 충전 단말기(150)에는 타이머(155a)가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반대로, 충전 단말기(150)에 타이머(155a)가 설치될 경우 충전 스테이션(110)에 타이머(115a)가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타이머(155a)(115a)의 역할은 실제로 고객에게 광고 컨텐츠가 표시된 시간을 측정하여, 광고 서버(103)에 전송함으로써, 정확한 광고비 정산을 수행하는데 이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타이머(155a)(115a)는 광고 컨텐츠가 실제로 고객에게 출력된 시간 외에도 해당 광고 컨텐츠의 종류나 광고주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도 함께 광고 서버(103)로 전송할 수도 있다. 각 광고별로 광고 노출 시간이 계산될 수 있으므로, 각 광고주별로 개별 광고에 대한 광고비 정산이 가능하다.The timer 155a of the control unit 155 controls the charging of the charging station 110 from the time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I.e., the charging terminal 162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10 of the charging station 110) until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oupled to the charging station 110 (Until it is coupled to the storage unit 120)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54. Practically, when the timer 115a is installed in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charging terminal 150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timer 155a. Conversely, when the timer 155a is installed in the charging terminal 150, the charging station 110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timer 115a. As described above, the roles of the timers 155a and 115a are to actually measure the time at which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displayed to the customer, and transmit the measured time to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so that the timers 155a and 115a can be used to perform the accurate advertisement cost settlement. The timers 155a and 115a may transmit the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in addition to the time at which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actually output to the customer. Since the advertisement exposure time can be calculated for each advertisement, it is possible to set the advertisement cost for each advertisement for each advertiser.

제어부(155)의 앱확인부(155c)는 충전 젠더(151)에 스마트폰(190)이 결합될 때 스마트폰(190)에 충전앱(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제어부(155)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190)에 충전앱이 설치된 경우 스마트폰(190)에 제1전원(예를 들면, 2A)을 공급하고, 충전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폰(190)에 제2전원(예를 들면, 0.5A)을 공급함으로써, 고객이 스마트폰(190)에 충전앱을 설치한 경우 더욱 빨리 충전이 진행되도록 한다. 제어부(155)는, 예를 들어, 스위치(161)의 PWM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제1전원 및 제2전원의 레벨을 상호간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hecking unit 155c of the control unit 155 checks whether the charging application (application or program)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when the smartphone 19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gender 151. [ The control unit 155 supplies the first power source (for example, 2A) to the smartphone 190 when the charging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for example, (For example, 0.5 A) is supplied to the smart phone 190 to allow the charging to proceed more quickly if the customer installs the charging app on the smartphone 190. The control unit 155 can adjust the levels of the first power supply and the second power supply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PWM frequency of the switch 161, for example.

여기서, 충전 단말기(150)에 스마트폰(190)이 최초로 연결될 경우,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충전앱이 스마트폰(190)에 설치되어도 좋은지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설치용 충전앱은 저장부(154)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앱스토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마트폰(190)에 이러한 충전앱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단말기(150)의 충전 젠더(151)에 결합될 경우, 스마트폰(19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smartphone 19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for the first time,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the charging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 Of course, such a charging application for installa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54 or may be stored in an app store. When the charging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and is coupled to the charging gender 151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as described above, the advertisement video, the still image, and the lik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190 Can be displayed further.

제어부(155)의 신호세기 측정부(155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단말기(150)의 무선 수신부(152)와 충전 스테이션(110) 사이의 무선 인터넷 통신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며,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경고부(159)가 동작하도록 한다.The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155b of the control unit 155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52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and the charging station 110 as described above, The warning unit 159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5.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커피 전문점, 라운지, 식당 등의 충전 스테이션(110)에 구비된 충전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준비 완료됨을 알리는 진동벨 기능을 구현하고, 진동벨 기능이 수행되기 전까지 또는 진동벨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고객의 스마트폰(190)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추가적으로 고객에게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charging terminal 150 provided in the charging station 110 such as a coffee shop, a lounge, a restaurant, The user can charge the smartphone 190 of the customer until the vibration bell function is performed or the vibration bell function is performed and additionally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customer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 단말기(150)의 표시부(156)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및 광고를 노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충전 단말기(150)와 연결된 스마트폰(190)의 화면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및 광고를 노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oses various contents and advertisements through the display unit 156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efficient targeted marketing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contents and advertisements are exposed through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90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efficient targeted marketing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 단말기(150)에 NFC 칩을 구비하거나, 표시부(156)에 QR 코드를 노출시킴으로써, 이를 스마트폰(190)에 설치된 충전앱과 연동시켜 스마트폰(190) 디스플레이 상에서도 다양한 컨텐츠 및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고, 나아가 충전앱을 통한 빠른 충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NFC chip in the charging terminal 150 or expose the QR code to the display unit 156 so that the QR c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6, It is possible to expose various contents and advertisements on the display, and further, it is possible to charge quickly through a charging app.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의 외형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이러한 외형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hape of the image filling bell system 100 shown here is only one exampl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xternal shape.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스테이션(110)은 원판 형태의 지지판(125) 및 지지판(125)의 중심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 연장된 와이파이 안테나(111)를 포함할 수 있다. 3A and 3B, the charging station 110 may include a disk-shaped support plate 125 and a Wi-Fi antenna 111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25 to a predetermined height.

즉, 지지판(125)은 다수의 삼각 형태의 유닛(126)이 꼭지점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판(125)은 삼각 형태의 유닛(126)이 갖는 모든 꼭지점이 원점을 중심으로 배열됨으로써, 대략 구획된 원형의 피자 모양을 한다. 여기서, 각 유닛(126)에 충전 단말기(150)가 탑재되어 충전될 수 있다. 더불어, 지지판(125) 중 각 유닛(126)의 상면에는 다수의 충전단자(12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단말기(150)가 유닛(126) 위에 위치되는 것만으로 충전 단말기(150)의 충전단자(162)가 충전 스테이션(110)의 충전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That is, the support plate 125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riangular-shaped units 126 circularly about the vertexes. That is, the support plate 125 has a roughly circular pizza shape by arranging all the vertexes of the triangular unit 126 around the origin. Here, the charging terminal 150 can be mounted on each unit 126 and charg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1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unit 126 of the support plate 125. The charging terminal 162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20 of the charging station 110 only by placing the charging terminal 150 on the unit 126. [

와이파이 안테나(111)는 지지판(125)의 대략 중심에 설치되어 상부로 일정 높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와이파이 안테나(111)의 높이(길이)는 충전 단말기(15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The height of the WiFi antenna 111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The height of the WiFi antenna 111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

한편, 충전 단말기(150)는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110)에 8개 내지 12개 정도가 결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갯수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charging terminal 150 may be connected to one charging station 110 by about 8 to about 1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number.

충전 단말기(150)은 한쌍의 측면(165), 한쌍의 장면(166), 하나의 외면(167), 충전 젠더(151), 표시부(156) 및 호출종료 버튼(153)를 포함한다.The charging terminal 150 includes a pair of sides 165, a pair of scenes 166, an exterior 167, a charging gantry 151, a display 156 and a call end button 153.

한쌍의 측면(165)은 각각 대략 삼각 형태를 하며 상호간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한쌍의 장면(166)은 각각 한쌍의 측면(165) 사이에 길게 형성되며, 측면(165)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넓은 면적을 갖는다. 외면(167)은 한쌍의 측면(165) 및 한쌍의 장면(166)을 연결하며, 이는 일정 곡률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pair of side surfaces 165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Each pair of scenes 166 is elongate between a pair of sides 165 and has a relatively larger area relative to side 165. The outer surface 167 connects a pair of sides 165 and a pair of scenes 166, which may have a certain curvature.

여기서, 충전 젠더(151)는 한쌍의 측면(165)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표시부(156)는 한쌍의 장면(166)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호출종료 버튼(153)은 외면(167)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harging genders 151 may b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pair of side surfaces 165. The display unit 156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pair of scenes 16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67.

다르게 설명하면, 충전 단말기(150)가 세워진 채 충전 스테이션(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 젠더(151)는 충전 단자가 형성된 측면(165, 하부면)의 반대측 측면(165, 상부면)에 형성된다. 또한, 표시부(156)가 형성된 장면(166)은 다른 충전 단말기(150)의 표시부가 형성되지 않은 장면(166)에 밀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외면(167)은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충전 단말기(150)의 바깥면에 위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a state where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charging gender 151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165,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165 . The scene 166 in which the display unit 156 is formed may b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cene 166 in which the display unit of the other charging terminal 150 is not formed. Furthermore, the outer surface 167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150 arranged in a circle.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매장에서 상품(예를 들며, 커피)을 주문하면, 상품 판매자는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하나의 충전 단말기(150)를 분리하여 고객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충전 단말기(150)는 표시부(156)를 통해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며, 또한 충전 젠더(151)를 통하여 스마트폰(190)을 충전할 수도 있다. 한편, 상품이 준비되면 상품 판매자는 호출용 키패드(104)를 조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충전 단말기(150)는 진동벨을 동작시켜 고객에게 상품의 준비가 완료됨을 알려준다. 더불어, 충전 스테이션(110) 또는 충전 단말기(150)는 고객이 광고 영상을 시청한 시간을 카운트하여 이를 광고 서버(103)에 전달하게 되고, 따라서 광고 서버(103)는 정확한 금액의 광고비를 판매점에게 제공하게 된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ustomer orders a commodity (e.g., coffee) from a store, the commodity seller separates one charging terminal 150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delivers the same to the customer. T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unit 156, and may also charge the smartphone 190 through the charging gantry 151. Meanwhile, when the merchandise is prepared, the merchandise seller operates the keypad 104 for calling, and accordingly the charging terminal 150 operates the vibrating bell to inform the customer that the preparation of the merchandise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charging station 110 or the charging terminal 150 counts the time the customer watched the advertisement image and transmits the counted time to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Accordingly,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transmits the advertisement amount of the correct amount to the retailer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과 종래 기술을 비교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comparing the prior art with a video charging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종래의 주문 대기벨과 스마트폰 충전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광고 장치도 더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스테이션(110)과 충전 단말기(150)는, 예를 들면, 와이파이 통신 방식에 의해 상호간 동기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mbining a conventional order waiting bell and a smartphone charging device into one device. In addition, a display advertisement device have. At this time,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terminal 150 can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by, for example, a Wi-Fi communication metho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종래의 주문 대기벨, 디스플레이 광고 장치 및 스마트폰 충전 장치를 단순히 결합하여 도출한 것이라고 오해할 수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은 구성/작용효과를 갖는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이 지금까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 당업자에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주문 진동벨, 광고 표시 장치, 스마트폰 충전 장치 및/또는 광고비 정산 알고리즘이 하나의 장치에 포함된 구성이 절실히 요청되어 왔다는 점, 그리고 주문 진동벨, 광고 표시 장치, 스마트폰 충전 장치 등이 유기적으로 하나의 장치에 결합되어 유용하게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 시, 이는 본원 발명이 종래 기술을 단순히 결합하여 도출할 수 없음을 보이는 증거이다.Here,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isunderstood as merely combining the conventional order waiting bell, the display advertisement device, and the smartphone charging device, but in reality, the configuration / operation effect And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no video charging bell system 100 having such a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o fa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order vibrating bell, the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the smartphone charging device and /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nfiguration has been desperately requested and that the order vibrating bell, the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the smartphone charging device and the like are combined and used effectively in one device, this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simply combining the prior art It is evidence that it can not be deriv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image charging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대략 호출용 키패드(104)를 갖는 충전 스테이션(110)과, 충전 스테이션(1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충전 단말기(150)를 포함한다. 충전 단말기(150)나 스마트폰(190)의 화면을 통해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고, 스마트폰(190)이 결합되어 충전되며, 진동벨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5, the video charging bell system 100 includes a charging station 110 having a keypad 104 for paging and a charging terminal 150 that is connect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or the smartphone 190, the smart phone 190 is connected and charged, and the vibration bell function can be performed.

먼저,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충전 단말기(150)가 분리되면, 충전 단말기(150)에 스마트폰(190)이 연결될 경우 스마트폰(190)을 충전한다. 충전 단말기(150)에 표시부가 있는 경우 표시부를 통해 광고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부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190)의 화면을 통해 광고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190)의 화면을 통해 광고 컨텐츠 등을 표시할 때에는, 스마트폰(190)에 설치된 충전앱이 광고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한다. 더불어, 이때 충전 스테이션(110) 또는 충전 단말기(150)는 타이머(115a)(155a)를 이용하여 광고가 시작된 시간을 카운트한다. 경우에 따라, 충전 단말기(150)는 스마트폰(190)이 충전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First,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charging terminal 150 charges the smartphone 190 when the smartphone 190 is connected. If there is a display unit on the charging terminal 150, the advertisement contents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If there is no display unit, advertisement contents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90. Of course,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190, the charg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190 controls the output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charging station 110 or the charging terminal 150 counts the time at which the advertisement starts using the timer 115a (155a). In some cases, the charging terminal 150 may allow the smartphone 190 to download and install the charging application.

한편, 호출용 키패드(104)를 통하여 호출신호가 입력된 경우, 충전 스테이션(110)은 충전 단말기(150)에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all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keypad 104 for call, the charging station 110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

이후, 충전 단말기(150)가 회수되어 충전 스테이션(110)에 접속되면, 타이머(115a)(155a)가 종료되며, 지금까지 경과한 광고 표시 시간을 저장한다.Thereafter,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retrieved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timers 115a and 155a are terminated, and the elapsed advertisement display time is stored.

더불어, 광고 서버(103)는 광고 컨텐츠(동영상, 정지 영상 등)를 충전 스테이션(110)에 전달하며, 또한 충전 스테이션(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된 광고 표시 시간을 광고 서버(103)에 전송한다. 따라서, 광고 서버(103)는 이를 근거로 각 판매점에 지급할 정확한 광고비를 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광고 표시 시간 외에도 광고의 종류나 광고주에 대한 정보도 함께 광고 서버(103)에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delivers the advertisement contents (moving images, still images, etc.) to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station 110 transmits the advertisement display time stored as described above to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do. Therefore,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can calculate the correct advertisement cost to be paid to each store based on thi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advertisement display time, the type of the advertisemen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adverti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as well.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 중에서 충전 스테이션(110) 및 충전 단말기(150)의 동작을 각각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를 이용하여 충전 스테이션(110) 및 충전 단말기(150)의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6A and 6B are flowcharts showing operations of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terminal 150, respectively, in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terminal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도 6a를 참조하여, 충전 스테이션(11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어의 주체는 제어부(115)이다.First, referring to FIG. 6A,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110 will be mainly described. Here, the subject of control is the control unit 115. [

충전 스테이션(110)은 광고 컨텐츠 저장 및 충전 단말기 충전 단계(S1)와, 충전 단말기 분리 여부 판단 단계(S2)와, 광고 컨텐츠 전송 및 타이머 시작 단계(S3)와, 호출 여부 판단 단계(S4)와, 호출 신호 송신 단계(S5)와, 충전 단말기 접속 여부 판단 단계(S6)와, 광고 컨텐츠 전송 및 타이머 종료 단계(S7)와, 광고 시간 전송 단계(S8)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The charging station 110 stores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charges the charging terminal S1,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terminal is detached, determines whether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transmitted, starts the timer S3, , A call signal transmission step S5, a charging terminal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6, an advertisement content transmission and timer end step S7, and an advertisement time transmission step S8.

광고 컨텐츠 저장 및 충전 단말기 충전 단계(S1)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5)는 인터넷 케이블(101) 및 인터넷 통신망(102)을 통하여 광고 서버(103)로부터 광고 컨텐츠(예를 들면, 광고 동영상, 정지 영상 등등)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114)에 저장하고, 또한 스위치(119)를 턴온하여 전원 공급부(105)로부터의 전원이 충전단자(120)를 통하여 충전 단말기(150)에 공급되도록 한다. 즉, 충전 단말기(150)가 충전 스테이션(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충전 단말기(150)가 만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harging step S1 of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control unit 115 of the charging station 110 receives the advertisement contents (for example, the advertisement contents) from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via the Internet cable 101 and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102, And supplies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5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120 by turning on the switch 119. [ . That is,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oupled to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charging terminal 150 can be fully charged

충전 단말기 분리 여부 판단 단계(S2)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5)는 충전 스테이션(110)의 충전단자(120)로부터 충전 단말기(150)가 분리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충전 스테이션(110)과 충전 단말기(150) 사이에 기구적 또는 전기적 변화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기술은 당업자에게 주지된 내용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충전 단말기(150)가 분리되었다면, 아래의 단계(S3)가 수행된다.The control unit 115 of the charging station 11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terminal 150 has been detach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120 of the charging station 110. In step S2, This determination may be made using a mechanical or electrical change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charging terminal 150. Such a determination technique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following step S3 is performed.

광고 컨텐츠 전송 및 타이머 시작 단계(S3)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은 무선 송신부(117) 및 와이파이 안테나(111)를 이용하여, 충전 단말기(150)에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고, 또한 타이머(115a)를 이용하여 광고 시작 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타이머(115a)는 충전 스테이션(110)의 충전단자(120)로부터 충전 단말기(150)가 분리됨과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In the advertisement content transmission and timer start step S3, the charging station 110 transmits the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us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17 and the Wi-Fi antenna 111, To set the advertisement start time. Here, the timer 115a can operate simultaneously with the charging terminal 150 being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120 of the charging station 110.

이때, 충전 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5)는 신호세기 측정부(115b)를 통해 무선 인터넷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으면 경고부(116)를 동작시켜 상품 판매자가 이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5 of the charging station 110 operates the warning unit 116 when the intensity of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igna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through the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115b, .

호출 여부 판단 단계(S4)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5)는 상품 판매자에 의해 호출용 키패드(104)가 조작되어 호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호출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아래의 단계(S5)가 수행된다.In step S4, the control unit 115 of the charging station 110 determines whether the paging keypad 104 is operated by the merchandise seller to input a paging signal. If a paging signal has been input, the following step S5 is performed.

호출 신호 송신 단계(S5)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5)는 무선 송신부(117) 및 와이파이 안테나(111)를 통하여 충전 단말기(150)에 호출 신호를 송신한다.The control unit 115 of the charging station 110 transmits a paging signal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17 and the WiFi antenna 111 in the paging signal transmission step S5.

충전 단말기 접속 여부 판단 단계(S6)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5)는 충전 단말기(150)가 회수되어 충전 스테이션(110)의 충전단자(120)에 접속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기술은 당업자에게 주지된 내용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 unit 115 of the charging station 11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ollected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20 of the charging station 110 in step S6. Such a determination technique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만약, 충전 단말기(150)가 충전 스테이션(110)의 충전단자(120)에 접속되었다면, 아래의 단계(S7)가 수행된다.If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20 of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following step S7 is performed.

광고 컨텐츠 전송 및 타이머 종료 단계(S7)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5)는 광고 컨텐츠 전송 및 타이머(115a)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때, 타이머(115a)에 의해 측정된 광고 시간은 저장부(114)에 저장되도록 한다.In the advertisement content transmission and timer end step S7, the control unit 115 of the charging station 110 ends the advertisement content transmission and the operation of the timer 115a. At this time, the advertisement time measured by the timer 115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4. [

광고 시간 전송 단계(S8)에서, 충전 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5)는 저장부(114)에 저장된 광고 시간을 광고 서버(103)에 전송함으로써, 광고 서버(103)는 판매점별로 충전 단말기(150)를 통한 전체 광고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고 의뢰자는 광고 시간에 따른 정확한 광고비를 상품 판매점에 지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5 of the charging station 110 transmits the advertisement tim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4 to the advertisement server 103 in the advertisement time transmission step S8, 150). Accordingly, the advertiser can pay the accurate advertisement cost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time to the merchandise store.

이밖에도, 충전 스테이션(110)은 판매점 내에서 공유 와이파이 기기로 운용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charging station 110 may be operated as a shared WiFi device in a retail store, and this is a general description,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여, 충전 단말기(15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어의 주체는 제어부(155)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B. Here, the subject of control is the control unit 155. [

충전 단말기(150)는 충전 단말기 분리 여부 판단 단계(S11)와, 광고 컨텐츠 표시 시작 단계(S12)와, 스마트폰접속 여부 판단 단계(S13)와, 충전앱 존재 여부 판단 단계(S14)와, 고속 또는 저속 충전 단계(S15a, S15b)와, 호출 신호 수신 여부 단계(S16)와, 호출 동작 단계(S17)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The charging terminal 150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detachment determination step S11, an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start step S12, a smartphone access determination step S13, a charging application existence determination step S14, Or low-speed charging steps S15a and S15b, a paging signal reception step S16, and a calling operation step S17.

충전 단말기 분리 여부 판단 단계(S11)에서,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충전 단말기(150)의 충전단자(162)가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충전 단말기(150)의 충전단자(162)가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분리되었다면, 아래의 단계(S12)를 수행한다. 이때,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타이머(155a)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시작 시간을 기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terminal 162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detach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in step S11. If the charging terminal 162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the following step S12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may store the start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using the timer 155a.

광고 컨텐츠 표시 시작 단계(S12)에서,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무선 수신부(152)를 통하여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저장부(154)에 저장하며, 이와 같이 저장부(154)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부(156)를 통하여 표시한다. 물론, 충전 단말기(150)는 광고 컨텐츠를 저장부(154)에 저장하지 않고 직접 표시부(156)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stores the advertisement contents receiv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through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52 in the storage unit 154 in the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start step S12, And displays advertisement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4 through the display unit 156. [ Of course, the charging terminal 150 may directly display the advertisement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unit 156 without stor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in the storage unit 154. [

스마트폰 접속 여부 판단 단계(S13)에서,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충전 젠더(151)를 통하여 스마트폰(190)이 충전 단말기(1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접속 여부의 판단 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된 내용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충전 젠더(151)에 스마트폰(190)이 접속되면, 아래의 단계(S14)를 수행하고, 접속되지 않으면, 아래의 단계(S16)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phone 1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through the charging gender 151. In step S13,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such connection is established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the smartphone 19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gangster 151, the following step S14 is performed. If not connected, the following step S16 is performed.

충전앱 존재 여부 판단 단계(S14)에서,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앱확인부(155c)를 통하여, 충전 젠더(151)에 연결된 스마트폰(190)에 충전앱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connected to the charging gender 151 through the application checking unit 155c do.

충전앱이 설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스마트폰(190)에서 충전앱이 자동 실행되도록 스마트폰(19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190 so that the charging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in the smartphone 190. [

고속 또는 저속 충전 단계(S15a, S15b)에서,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스마트폰(190)에 충전앱이 설치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제1전압(상대적으로 고전압 및/또는 고전류)으로 스마트폰(190)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고(S15a), 스마트폰(190)에 충전앱이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경우 제2전압(상대적으로 저전압 및/또는 저전류)으로 스마트폰(190)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S15b).In the high-speed or low-speed charging step (S15a, S15b), 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generates a first voltage (relatively high voltage and / or high current) when the charging app is confirmed to be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Relatively low voltage and / or low current) to the smartphone 190 when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190 is charged (S15a) (S15b).

즉,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예를 들면, 스위치(161)를 PWM 제어하여, 배터리 셀(160)로부터 상대적으로 고전류가 스마트폰(190)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저전류가 스마트폰(190)에 공급되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performs PWM control of the switch 161, for example, so that a relatively high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cell 160 to the smartphone 190, Allowing the current to be supplied to the smartphone 190.

여기서, 제1전압은 배터리 셀(160)로부터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감쇠하지 않고 그대로 스마트폰(190)에 공급되는 값이고, 제2전압은 배터리 셀(160)로부터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감쇠하여 스마트폰(190)에 공급되는 값이다.Here, the first voltage is a value supplied to the smartphone 190 as it is without attenuating the voltage and / or current from the battery cell 160, and the second voltage is a voltage and / or current from the battery cell 160 And supplied to the smart phone 190. [

이때,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신호세기 측정부(155b)를 통해 무선 인터넷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으면 경고부(159)를 동작시켜 고객이 이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intensity of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igna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through the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155b, the controller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operates the warning unit 159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signal .

호출 신호 수신 여부 단계(S16)에서,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15)는 충전 스테이션(110) 및 무선 수신부(152)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호출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아래의 단계(S17)를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11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determines whether a paging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52 in step S16. If the paging signal has been received, 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performs the following step S17.

호출 동작 단계(S17)에서,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LED 램프(157) 및/또는 진동벨(158)을 동작시켜, 고객에게 주문한 상품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인지시킨다.In the calling operation step S17, the control unit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operates the LED lamp 157 and / or the vibration ring 158 to recognize that the preparation of the ordered product is completed to the customer.

한편, 이때 충전 단말기(150)의 제어부(155)는 타이머(155a)의 동작을 종료하여, 고객에게 표시된 광고 시간을 카운팅하고 이를 저장부(154)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단말기(150)의 타이머(155a)는 충전 스테이션(110)의 타이머(115a)가 있을 경우 없어도 좋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5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terminates the operation of the timer 155a, counts the advertisement time displayed to the customer, and stores the advertisement time in the storage unit 154. [ The timer 155a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may be omitted when the timer 115a of the charging station 110 is present.

이와 같이 하여, 고객은 충전 단말기(150)를 통해 주문한 상품이 완료되었는지 진동벨 기능으로 알 수 있고, 또한 일정 시간동안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거나 또는/및 스마트폰(190)을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ustomer can know whether the product ordered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completed or not by the vibration bell function, and also watch the advertisement conten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connect the smart phone 190 to perform charging .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 중에서 충전 단말기(150)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FIGS. 7A and 7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operations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among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90)이 최초로 충전 단말기(150)의 충전 젠더(151)에 연결되면, 충전앱의 설치를 권장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편리하게 충전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190)에 설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A, when the smartphone 19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gender 151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for the first time, a screen for recommending installation of the charging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customer can conveniently download the charging application and install the charging application on the smartphone 190.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90)에 충전앱이 설치된 경우에, 표시부(156)를 통해 별도의 광고가 더 홍보될 수 있으며, 특히 고속 충전(예를 들면, 2A 이상)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마트폰(190)에 충전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저속 충전(예를 들면, 0.5A)이 수행될 수 있다.7B, when the charging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a separate advertisement can be further promo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6, and especially fast charging (for example, 2A) is possible Do. However, if the charging app is not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a low-speed charging (e.g., 0.5A) may be perform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으로 구현되는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광고 집중도 향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타겟 마케팅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ffect realized by a video charging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image charg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arget marketing implemented by the video charging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라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충전 스테이션(110)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광고 및 준비 완료 알람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로 충전 단말기(150)로 전송하고, 광고 명칭 및 각 광고별 노출 시간을 각 기기별 각 광고별로 체크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최초로 고객에게 충전 단말기(150)(진동벨)를 지급할 때와 고객으로부터 회수하여 충전 스테이션(110)에 장착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광고를 표시한다. 또한, 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90)에 충전 젠더(151)의 연결 시 스마트폰(190)에 충전앱 설치 여부를 인식할 수 있고, 충전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여 충전을 가속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dvertisements transmits advertisement and ready alarm signals to the charging terminal 15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t the charging station 11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xposure time for each advertisement for each device. That is,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vibrating bell) is first paid to the customer and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is recovered from the customer and mounted in the charging station 110 Show ads for hours. In addition, the video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can recognize whether the charging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when the charging gender 151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190, In some cases, the charge can be accelerated by hardware or software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도난 방지를 위하여,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예를 들면, WIFI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세기가 약해지면 충전 스테이션(110) 및 충전 단말기(150)(진동벨) 모두에게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video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intensity of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ignal (for example, WIFI signal intensity) for theft prevention, and when the intensity is weak, It is possible to output a warning sound to all of the terminal 150 (vibrating be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WIFI 무선 공유기로도 사용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WIFI wireless router.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1세트당 1개의 충전 스테이션(110)과 최대 10대의 충전 단말기(150) 및 충전 젠더(151)로 구성될 수 있고, 충전 단말기(150)의 표면에 가맹점 로고 또는 문구 실크 인쇄가 가능하다.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charging station 110 per set and a maximum of ten charging terminals 150 and charging genders 151, ) On the surface of the merchant logo or phrase Silk printing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의 충전 스테이션(110)에는 호출용 키패드(104), 인터넷 케이블(101), WIFI 안테나(111) 등이 연결될 수 있고, 충전 단말기(150)에는 호출 종료 버튼, 주문 대기 호출 표시, 터치 엘시디 등이 구비될 수 있다.An Internet cable 101 and a WIFI antenna 111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station 110 of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rging terminal 110 ) May include a call end button, an order waiting call display, a touch screen,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의 충전 단말기(150)는 WIFI 커버리지 이탈 경보 발송(도난방지시스템 내장)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단말기(150)는 조각 케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표시부(156)는 비터치형(충전, 영상, 호출)이나 터치형(충전, 영상, 호출, 주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단말기(150)의 내부 배터리 셀(160)은 리튬 이온 전지가 사용될 수 있고, 스테이션 도킹 및 충전은 삽입형(충전 스테이션과 1:1 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150 of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WIFI coverage deviation alarm sending function (built in the theft prevention system). The charging terminal 1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iece of cake and the display unit 156 may be provided in a non-contact type (charging, image, calling) or a touch type (charging, image, calling, ordering). Also, the internal battery cell 160 of the charging terminal 150 may be a lithium ion battery, and the station docking and charging may be provided in an insertion type (1: 1 coupling with the charging statio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충전/호출/메뉴주문(충전벨 대여 서비스, 전원 콘센트 불필요, 장시간 충전/메뉴 홍보에 의한 재주문), 영상광고/외형광고/QR광고(표시부(156)에서 동영상 광고 가동으로 고객에게 직접 1:1 근접 광고 가능, 충전기 단말기(150)의 도장 및 인쇄 광고에서 로고 URL 도출 가능, 동영상이나 정지 화면에서 QR 코드 등에 의한 스마트폰 연동 가능), 컨텐츠/앱/NFC(광고외 동영상 컨텐츠(뮤직비디오, 뉴스 등) 제공, 터치 방식에서 간단한 게임 제공, 푸쉬업 서비스 시행, NFC 칩 탑재에 의한 모바일 웹 연계), 포인트/앱(포인트 업체(매장, 광고주) 제휴에 의한 스마트폰 연동 서비스, 고객의 포인트 앱 가입에 의한 리워드 포인트 강화 및 포인트 쿠폰 사용 촉진, 캠페인 및 지속 매장 방문 유도)을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harging / calling / menu order (charging bell rental service, power outlet is not required, recharge by prolonged charging / menu promotion), image advertisement / 1: 1 proximity advertisement can be directly made to the customer by the video advertisement operation on the display unit 156, logo URL can be derived from the painting and printing advertisement of the charger terminal 150, and the smart phone can be linked by QR code in video or still image ), Content / app / NFC (provision of non-commercial video contents (music video, news), provision of simple game in touch method, implementation of push-up service, connection with mobile web by NFC chip) Stores, and advertisers) to provide smartphone interlocking services, reinforce reward points by joining customer point apps, promote use of point coupons, drive campaigns and sustainable store visits) The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기능적으로 비터치형(충전, 영상, 호출) 또는 터치형(충전, 영상, 호출, 주문)의 충전 단말기(150)를 제공하고, 고객에게는 주문 대기 호출, 정보습득, 스마트폰 충전, 포인트 습득, 주문 편의성을 제공하며, 매장에는 업무 효율성, 부가수익(광고수익), 고객 만족도 상승, 재방문 유도 등의 효과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기업 또는 제품 홍보, 잠재수요 확보 및 실매출 발생, 노출시간에 의한 리포팅과 합리적 광고료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ing terminal 150 functionally not of a tape-type (charging, image, calling) or touch type (charging, image, , Providing customers with order-waiting calls, acquiring information, charging smartphones, acquiring points, and ordering convenience. In addition, the store provides business efficiency, additional revenue (advertising revenue), increased customer satisfaction, Can provide corporate or product promotion, potential demand and real sales, reporting by exposure time, and reasonable advertising fe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컨텐츠의 인터넷 전송(AP, IP기반)에 따른 시간별, 지역별, 매장별 이벤트가 가능하고, QR, NFC 등 스마트폰(190)과의 연동 솔루션(앱) 제공하며, 표시부(156)(즉, 터치 LCD)의 주문을 포스와 연동시 결제가 가능하며, 별도의 푸시 방식의 충전앱을 통하여 스마트폰(190)의 충전시간과 광고 노출시간을 매칭 또는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deo charging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events by time, region, and store according to Internet transmission (AP, IP-based) of contents, And can charge the order of the display unit 156 (i.e., the touch LCD) in conjunction with the force, and the charge time of the smartphone 190 through the separate charging application You can match or control the ad exposure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표시부(156) 또는 스마트폰(190)을 통하여 출력되는 광고에 대한 고객의 집중도 향상을 위하여, 각종 컨텐츠 제공 및 전자 메뉴판 기능을 추가하여 고객 시선을 유도하고, 고객이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피드백시 광고업체가 고객에게 할인쿠폰을 제공하여 차후 제품 구매가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providing and electronic menu plate functions for enhancing the concentration of customers on the advertisem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6 or the smart phone 190 To guide the customer's attention, and when the customer feedbacks the display advertisement, the advertisement company can provide the discount coupon to the customer so that the purchase of the subsequent product can be continu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차별화된 리포팅/모바일 광고 연계 수단과, 정확한 데이터로 광고주에게 차별화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1단계로 정확한 노출시간 데이터 확보를 위하여 충전 단말기(150)(진동벨)가 충전 스테이션(110)에서 분리된 시점부터 다시 충전 스테이션(110)으로 반납되는 시점을 확보하여 고객에게 노출된 시간 데이터를 확보하고, 2단계로서 QR 코드를 통한 쿠폰/포인트 제공을 위하여 광고 동영상에 QR 코드를 부여하여 고객의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포인트 제공 및 재방문 유도하며, 3단계로서 충전 앱을 통한 모바일 어플 광고를 위하여 스마트폰(190)과 충전 스테이션(110)의 연결시 충전 여부와 함께 충전 앱 설치에 관한 동의를 구하고, 충전 서비스 무료 제공으로 앱 설치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면서 충전앱을 통해 제휴 광고사 어플 노출 및 다운로드를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deo charging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fferentiated report to advertisers with differentiated reporting / mobile advertisement linking means and accurate data. More specifically,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can perform the following steps from the point when the charging terminal 150 (vibrating bell)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110 to secure accurate exposure time data in the first stage, 110) to obtain time data exposed to customers. In order to provide coupons / points through QR code as a second step, QR code is given to the advertisement video to provide points through the customer's smartphone application In step 3, when the smartphone 190 and the charging station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advertisement of the mobile application through the charging application, the user is requested to obtain a consent to install the charging application along with charging. You can drive exposure and download of affiliate advertising apps through a charging app while eliminating the disinclination to install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충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충전벨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90)의 배터리의 충전시 충전 스테이션(110)에 구비된 진동벨 기기의 대여시간동안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거나 스마트폰(190)과 연동하여 다양한 컨텐츠 및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 스테이션(110)과 스마트폰(190)의 배터리의 일대일 방식으로 도킹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및 광고를 노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 단말기(150)에 구비된 NFC 칩을 통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되는 QR 코드를 통하여 스마트폰(190)에 설치된 충전앱과 연동시켜 스마트폰(190)의 화면 상에서도 다양한 컨텐츠 및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고, 나아가 충전앱을 통한 빠른 충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exposing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mage charging bell system 100 using the charging terminal can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attery of the smart phone 190 is charged, It is possible to expose various contents and advertisements through the display device or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phone 190 during the rental time of the mobile phone. In addition, sinc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oses various contents and advertisements through a display device in a state where the charging station 110 and the smartphone 190 are docked in a one-to-one manner of a battery, .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creen displaying a screen of a smartphone 190 in cooperation with a charging app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90 through an NFC chip provided in the charging terminal 150 or a QR code exposed to a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expose a variety of contents and advertisements on the mobile phone, and to enable fast charging through a charging app.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노출이 가능한 충전 단말기 및 이를 갖는 영상충전벨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충전벨 시스템
101; 인터넷 케이블 102; 인터넷 통신망
103; 광고 서버 104; 호출용 키패드
105; 전원 공급부 110; 충전 스테이션
111; 와이파이 안테나 112; 유선 수신부
113; 호출신호 처리부 114; 저장부
115; 제어부 115a; 타이머
115b; 신호세기 측정부 116; 경고부
117; 무선 송신부 118; 충전 회로
119; 스위치 120; 충전 단자
125; 지지판 126; 유닛
150; 충전 단말기 151; 충전 젠더
152; 무선 수신부 153; 호출종료 버튼
154; 저장부 155; 제어부
155a; 타이머 155b; 신호세기 측정부
155c; 앱확인부 156; 표시부
157; LED 램프 158; 진동벨
159; 경고부 160; 배터리 셀
161; 스위치 162; 충전 단자
165; 측면 166; 장면
167; 외면 190; 스마트폰
100; The video charging bell system
101; Internet cable 102;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103; An advertisement server 104; Keypad for call
105; Power supply 110; Charging station
111; WiFi antenna 112; Wired receiver
113; A call signal processor 114; The storage unit
115; A control unit 115a; timer
115b; A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116; Warning part
117; Wireless transmission unit 118; Charging circuit
119; Switch 120; Charging terminal
125; A support plate 126; unit
150; A charging terminal 151; Charge gender
152; Wireless receiver 153; Call end button
154; Storage 155; The control unit
155a; Timer 155b; The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155c; An app checking unit 156; Display portion
157; LED lamp 158; Vibration ring
159; Warning section 160; Battery cell
161; Switch 162; Charging terminal
165; Side 166; scene
167; Outer surface 190; Smartphone

Claims (16)

호출 신호를 수신받으면 진동하는 진동벨;
상기 진동벨에 함께 설치되어, 내장된 배터리 셀의 전원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 젠더; 및
상기 진동벨과 충전 젠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젠더에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충전앱이 설치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충전앱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제1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충전앱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제2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1전원이 상기 제2전원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전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충전앱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경우 고속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말기.
A vibrating ring that vibrates upon receipt of a paging signal;
A charging gender installed in the vibration bell for charging the smart phone with power from a built-in battery cell;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brating bell and the charged gende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when the smartphon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gender,
When the charging app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supplying a first power to the smartphone,
If the charging app is not installed in the smartphone, supplying a second power to the smartphon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power source to be supplied with a relatively large current as compared with the second power source so as to perform fast charging when the charging app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앱은 무선 통신을 통해 광고 동영상을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미리 광고 동영상을 저장한 후 스마트폰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application is controlled to receive the advertisement video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o display the advertisement video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n real time or to output the advertisement video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fter storing the advertisement video in adv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말기는,
상기 진동벨에 함께 설치되어 광고 동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말기.
The charging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vibrating bell for outputting an advertisement moving im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광고 동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미리 저장한 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unit receives the advertisement moving imag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s the advertisement moving image in real time or after storing it in adv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말기는 충전 스테이션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결합된 경우 상기 내장된 배터리 셀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분리된 경우 고객에게 전달되되,
상기 충전 단말기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의 무선 통신의 신호의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약할 경우 분실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tation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charg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terminal charges the built-in battery cell. When the charging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lost alarm whe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station is weaker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동영상을 표시한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말기.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timer for counting a time at which the advertisement moving picture is displayed.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수의 충전 단말기; 및
상기 다수의 충전 단말기가 연결되어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충전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충전벨 시스템.
A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6, and 8; And
And a charging station for allowing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to be connected and charged,
Wherein the charging station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충전 단말기 각각은
삼각 형태를 하며 상호간 이격된 한쌍의 측면;
상기 한쌍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한쌍의 장면; 및
상기 한쌍의 측면 및 상기 한쌍의 장면을 연결하는 하나의 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젠더는 상기 한쌍의 측면 중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한쌍의 장면 중 하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충전벨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A pair of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triangular shape;
A pair of scene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A pair of side surfaces and an outer surface connecting the pair of scenes,
Wherein the filling gender is installed on one of the pair of sides,
Wherein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in one of the pair of scen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광고 서버가 연결되고,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 동영상이 상기 충전 스테이션 또는 상기 충전 단말기에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충전벨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n advertisement server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tation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advertisement moving picture is transmitted from the advertisement server to the charging station or the charging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상기 충전 단말기의 호출을 위한 호출용 키패드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충전벨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arging station is further connected to a call keypad for calling the charging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무선 통신의 신호가 기준 세기보다 약할 경우 분실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충전벨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harging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lost alarm when the sig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weaker than a reference intensit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다수의 삼각 형태의 유닛이 꼭지점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중앙에 상부로 연장된 와이파이 안테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충전벨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harging station
A support plat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riangular-shaped units circularly around the vertexes; And
And a Wi-Fi antenna extending upwardly at a center of the support pla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상기 유닛에 충전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 단말기는 상기 유닛에 탑재되며, 상기 충전 단말기의 충전 단자가 상기 유닛의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충전벨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A charging terminal is formed in the unit of the charging station,
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is mounted on the unit and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harging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uni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안테나의 높이가 상기 충전 단말기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충전벨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height of the Wi-Fi antenna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harging terminal.
KR1020160042923A 2015-10-20 2016-04-07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image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same KR1018200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6199 2015-10-20
KR1020150146199 2015-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056A KR20170046056A (en) 2017-04-28
KR101820092B1 true KR101820092B1 (en) 2018-02-28

Family

ID=5870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923A KR101820092B1 (en) 2015-10-20 2016-04-07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image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0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866Y1 (en) * 2017-11-28 2018-03-07 이경호 Auxiliary power supply with menu plate
KR102248351B1 (en) * 2019-11-14 2021-05-06 안희철 Lightnig for table calling and management functions and order sales system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47B1 (en) * 2013-08-16 2014-12-09 소형완 Pager with power charging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47B1 (en) * 2013-08-16 2014-12-09 소형완 Pager with power charg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056A (en) 201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7495B (en) Offline information push method and device
US20170124603A1 (en) Marketing display systems and methods
US88233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KR101766435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power to devices
US20140324585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container programmable displays
US20140089095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WPT) With Integrated Advertising Channel
KR101820092B1 (en)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image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same
US20140025507A1 (en) Real-time electronic display system
KR20180129700A (en) Smart waiting managerial system and method
KR101661609B1 (en)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0706068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WO2016191954A1 (en) Wireless charging serving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101807174B1 (en) Battery charging system for hand held phone
KR100904713B1 (en) A pager system
US20180033048A1 (en) Method for Vehicle Users to Generate Advertising Revenue and Display Notices of Missing Children & Emergency Alerts
KR20200090680A (en) Wireless charger with ultra short rage antenna
KR102137139B1 (en) Wireless charger with ultra short rage antenna
TWI630773B (en) Intelligent charging device,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KR101418927B1 (en) Mobile system for entering for an evnet, which is based on recharging time
TWM545406U (en) Push device and network for performing message push method
KR20190026109A (en) The system of the advertisement serving in the charger
US20160277809A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6779792A (en) Mobile advertisement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KR20190044724A (en) The system of the advertisement serving in the portable device and the charger
KR20180106297A (en) The system of the advertisement serving in the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