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609B1 -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609B1
KR101661609B1 KR1020150022426A KR20150022426A KR101661609B1 KR 101661609 B1 KR101661609 B1 KR 101661609B1 KR 1020150022426 A KR1020150022426 A KR 1020150022426A KR 20150022426 A KR20150022426 A KR 20150022426A KR 101661609 B1 KR101661609 B1 KR 10166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dvertisement
charging device
charging
advertisem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0009A (en
Inventor
윤상훈
Original Assignee
윤상훈
김진아
이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훈, 김진아, 이진영 filed Critical 윤상훈
Priority to KR102015002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09B1/en
Publication of KR2016010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02J2007/00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장치는 충전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충전부,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디스플레이, 및 충전 제어신호 및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인증코드의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charging device includes a charging unit that provides electrical energy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 display that exposes advertising content that includes an authentication code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initiation signal, and a charging control signal and an advertisement initiation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he terminal to input an authentication code.

Description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apparatus and a charg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전자 기기 단말, 특히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 컨텐츠 및 그에 대응하는 인증코드를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충전장치 및 충전이 되는 동안에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노출된 인증코드를 입력하여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구비하는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electronic device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device having a display for exposing advertising contents and a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code,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points by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s exposed through the terminals.

최근 각종 서비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편의성과 다양성을 가진 다양한 외식업체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외식업체들의 예로, 브랜드화된 커피 전문점, 햄버거 치킨, 음료, 아이스크림 등을 취급하는 패스트푸드점, 가족 고객을 타겟으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 패밀리 레스토랑 등을 들 수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various service industries, a variety of food service companies with convenience and diversity are operating. Examples of such restaurants include fast-food restaurants serving branded coffee shops, hamburger chicken, beverages, ice cream, and family restaurants serving a variety of menus targeted at family customers.

스마트폰 사용자가 서비스 매장, 특히 외식업장에 입장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을 원할 경우, 예를 들어 카운터에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맡겨서 충전을 하거나, 미리 준비한 충전 잭을 외식업장 내에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을 한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카운터에 맡겨서 충전을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개인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으며, 스마트폰이 분실될 우려도 있다. 그리고 미리 준비한 충전 잭을 이용하여 충전을 하게 되면 충전 잭을 항상 구비해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외식업장의 내부구조상 충전을 전혀 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2817호
If the user of the smartphone wants to charge the smartphone while entering the service shop, especially the restaurant, for example, charge the user's smartphone to the counter or charge the prepared charging jack to the outlet installed in the restaurant Connect and charge. However, when charging the smartphone by leaving it on the counter,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on the smartphone may be exposed to others, and the smartphone may be lost. In addition, if the battery is charged by using the prepared charging jack, it is inconvenient to always have the charging jack,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staurant can not be charged at all.
[Patent Document] Published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52817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있어서,광고 컨텐츠와 해당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인증코드를 함께 노출시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인증코드의 입력을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 charging device having a display,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authentication code associat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are exposed together, and a request signal for instructing the user terminal to input an authentication code may be transmitted.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충전장치에 노출된 인증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코드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키면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와 함께 노출된 인증코드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하여 광고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높여,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광고 노출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user can receive points accruing the authentication code by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exposed to the charging de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harging service while expos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by utilizing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ccumulate points on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uthentication code exposed together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advertisement exposure through the display of the charging device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충전부,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충전 제어신호 및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인증코드의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harging unit that provides electrical energy to a user terminal based on a charge control signal; a display that exposes advertising content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code in response to an advertisement initiation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he user terminal to input the authentication c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킨 이후에 사용자 단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고, 상기 인증코드에 대한 요청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충전장치, 및 상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충전되고,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수신한 입력코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including an authentication code to provide electric energy to a user terminal after expos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user terminal which is charged by receiving the electric energy and receives the input code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o the server to earn points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광고 컨텐츠와 인증코드를 함께 노출시키면서 사용자 단말에 인증코드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장치의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인증코드를 입력함으로써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더욱 집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충전장치를 통하여 표시되는 광고 노출의 효과가 커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quest signal for guiding the user terminal to input the authentication code while expos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and the authentication code together through the display while providing the electric energy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of the charging device, the user can accumulate points by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oncentrates more on the display of the charging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advertisement exposure display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는,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사용자 단말에 충전을 위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광고 컨텐츠를 미리 시청하여야만 한다. In addition,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lectrical energy for charging the user terminal on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exposed. Therefore, the user must preview the advertisement contents in order to receive the charging service.

또한, 서비스 업주, 특히 외식업체의 업주는 충전장치가 비치된 업장에 대한 고객 선호를 이용하여 집객력을 높여 매출을 증대할 수 있으며, 자체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 광고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인의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 광고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이득이 있으며, 통신망을 이용할 때 통신 사업자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operator, especially the owner of the food service company, can increase the sales by raising the collecting power by utilizing the customer preference for the business where the charging device is provided, and if the self-advertisement is exposed, the advertising effect can be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there is a benefit to charge an advertisement fee when an advertisement of another person is exposed, and an opportunity to receive various services from a communication carrier can be expanded whe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기 전에 광고를 노출함으로써 고객에게 충전 이전의 시간에 광고에 집중하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광고를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시로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노출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dvertisement effect by allowing the user to concentrate on the advertisement before the charging time by exposing the advertisement to the user before charging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Various contents can be provided. Also, by providing updated content from time to time, advertisement exposure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면 광고 컨텐츠의 노출과 충전 서비스를 모두 중단함으로써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of the charging device is obscur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on the display by stopping both the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charging service.

도 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형 충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를 기능별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광고 컨텐츠 종류와 인증코드의 연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초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장치가 원격으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1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charg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typ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functions of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charg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n association between an advertisement content type and an authentication cod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itial operation of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dvertisement contents remotely.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충전시스템(1)은 충전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충전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harging system 1 may include a charging device 100 and a user terminal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충전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유/무선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에너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함으로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 잭과 같은 케이블을 통한 물리적 연결, NFC(Near Field Connection) 연결 및 블루투스 연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The charging device 100 provides charging service by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the user terminal 200 in a state where the charg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wirelessly.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by at least one of a physical connection via a cable such as a charging jack, a near field connection (NFC) connection, and a Bluetooth connection.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킨 이후에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harging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including an authentication code to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the user terminal 200 after expos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또한, 충전장치(100)는 특정한 광고 컨텐츠와 함께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인증코드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생성되어 충전장치(10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도 4 참조). 즉, 특정한 광고 컨텐츠에 대해서는 특정 인증코드가 표시될 수 있어, 인증코드를 통하여 광고 영상을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0 can display an authentication code together with specific advertisement contents.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generated to correspond to each of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stored in a memory inside the charging apparatus 100 (see FIG. 4). That is, a specific authentication code can be displayed for a specific advertisement content, and an advertisement image can be identified through an authentication code.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광고 영상이 제공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인증코드를 표시하거나, 광고 컨텐츠가 어느 정도 재생되어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기 이전의 얼마간의 시간 동안만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초짜리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충전장치(100)는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15초 동안 인증코드를 지속적으로 표시하거나 광고 컨텐츠가 10초 동안 재생된 이후의 5초 동안에만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harging device 100 may display the authentication code continuous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reproduced to some extent and the re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completed, can 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playing a 15-second advertisement image, the charging device 100 may continuously display the authentication code for 15 seconds during which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reproduced, or only for 5 seconds 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reproduced for 10 seconds Code can be displayed.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표시한 인증코드에 대한 입력을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화면에 대하여 사용자는 충전장치(100)에 표시된 인증코드를 입력하고, 입력코드로서 서버(300)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코드와 함께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 등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charging device 100 may send a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0 to induce an input to the authentication code indicating the display.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he user inputs the authent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charging device 100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server 300 as an input code.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input code, for example, the user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to the server 300.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표시하기 시작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에 요청신호를 전송하거나, 인증코드가 표시되지 않더라도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에는 사용자 단말(200)에 지속적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등으로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the charging device 100 may initiate display of an authentication code on the display and simultaneously transmit a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0, or, even if the authentication code is not displayed, To the user terminal 200 by transmitting the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0 continuously.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입력코드와 매칭되는 광고 컨텐츠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코드는 특정한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매칭되도록 생성될 수 있는데, 입력코드와 광고 컨텐츠의 연관정보는 충전장치(100)와 서버(300)가 공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에 따라서 사용자가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시청한 광고 컨텐츠를 식별하고, 해당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포인트를 사용자 계정에 적립한다. The server 300 may determine the advertisement content matching the input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code may be generated so as to match with respect to a specific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associ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input code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may be shared by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identifies the advertisement contents viewed by the user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accumulates the designated points in the user contents in the advertisement contents.

실시예에 따라,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에 적립된 포인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다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포인트 적립내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rver 300 may send the point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user account to the user terminal 200 again so that the point accumulation details ar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동안에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표시된 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함으로써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도 충전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집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충전장치(100)를 통한 광고 효과가 향상된다. In this way, while the charging service is being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0, the user can input the authentication code display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o accumulate points have. Accordingly, the user can concentrate on the display of the charging apparatus 100 while being provided with the charging service, thereby improving the advertisement effect through the charging apparatus 10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llustrates a charg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복수의 충전 연결부(126),충전 잭(400)이 인입되는 충전 잭 인입부(121),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charg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isplay 130, a plurality of charging connection portions 126, a charging jack inlet portion 121 through which the charging jack 400 is drawn, and a power supply requesting switch 151 can do.

디스플레이(130)는 충전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충전 연결부(126)는 충전장치(100)에 전원을 제공함으로써 충전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전성 단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splay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charging connection part 126 provides power to the charging device 100 so that the charging device 100 can be electrically charged Terminals.

서비스 매장, 특히 외식업체에 입장한 고객 중 충전을 원하는 고객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 및/또는 충전 잭(400)을 지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를 지급받은 사용자는 자신의 자리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장치(100)의 충전 잭 인입부(120)에 지급된 충전 잭(400) 인입하고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시킴으로써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A customer who wants to charge the service shop, especially a customer entering the food service company, can receive the charging device 100 and / or the charging jack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ho has paid the char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charging jack 400 provided to the charging jack inlet 120 of the charging apparatus 100 at his / The user can receive the charging service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0 by connecting the charging device 100 with the charging device 200.

실시예에 따라, 충전 잭(400)이 연결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주고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ven if the charging jack 400 is not connected,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and receive electric energy in a wireless charging mode.

충전장치(100)를 지급받은 사용자는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를 눌러 전원 공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지만,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에 기초하여 충전장치(100)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노출을 시작할 수 있다.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charging device 100 can request the power supply by pressing the power supply request switch 151. 4 and 5, based on the power supply request switch 151, the charging device 100 can start to expose the advertisement contents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code.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광고 컨텐츠와 함께 인증코드를 노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장치(100)는 인증코드의 입력을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된 코드는 서버(300)에 제공되어 사용자 계정에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포인트 적립을 위하여 충전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표시되는 인증코드를 확인하고자 할 것이고, 이에 따라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The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expose the authorization code along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via the display 130. [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device 100 may provide a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0 to induce the input of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od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300, It is implemented to earn points in your account. Accordingly,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200 will check the authent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130 of the charging device 100 for the purpose of accumulating points, there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

충전장치(100)가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노출하는 시점, 사용자 단말(200)에 요청신호를 제공하는 방식 등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The time at which the charging device 100 exposes the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display 130, the manner in which the request signal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etc.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광고 컨텐츠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노출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200)에 전원, 즉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고객은 광고를 시청한 이후에 이동단말(200)을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에 더욱 집중할 수 있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harging device 100 may supply power, i.e., electrical energy, to the user terminal 200 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 has been exposed for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Accordingly, since the customer using the user terminal 200 can charge the mobile terminal 200 after watching the advertisement, the user can concentrate more on the advertisement and maximize the advertisement effect.

충전장치(100)에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2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광고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개시 방식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The process of supplying power to the user terminal 200 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exposed to the charging device 100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man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charging device 100 may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harging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vertisement is expo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rough the display 130. This charging start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는 측면 일측에 구비된 충전 잭 인입부(121), 측면 타측에 충전 연결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장치(100)는 전원 공급 선과 연결된 크래들에 충전 연결부(126)를 연결시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The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rging jack inlet 12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de and a charging connection 126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The charging apparatus 100 may store the electrical energy by connecting the charging connection 126 to the cradl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를 복수 개 포함하는 집합형 충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llective type fill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fill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집합형 충전장치는 복수의 충전장치들(100)이 삽입될 수 있는 크래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140')은 내부에 각 충전장치들(100)의 측면 타측에 형성된 충전 연결부(126)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공급부(143) 및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는 전원선 연결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llective charging apparatus may include a cradle 140 'into which a plurality of charging apparatuses 100 may be inserted. The cradle 14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43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e connection unit 126 formed on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charging devices 100 and a power line connection unit 141 to which a power line can be connected .

집합형 충전장치에는 각 충전장치들(100)이 삽입되어 그에 상응하는 전원 공급부(143)를 통하여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부(120)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Each of the charging devices 100 is inserted into the collective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energy is supplied to the charging device 120 via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part 143 to store electric energy in the charging part 120.

또한, 크래들(140')은 로컬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어, 원격 서버와 통신을 하여 광고 등의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충전장치들(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원격 서버로 송신할 수도 있다. 특히, 크래들(140')은 복수의 충전장치들(100)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한 번의 연결로 다수의 컨텐츠들을 수신한 이후에 복수의 충전장치들(10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네트워크를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radle 140 'may function as a local server, and may communicate with a remote server to receive content such as advertisements or transmi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harging devices 100 to a remote server. In particular, when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0 are connected, the cradle 140 'sequentially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0 after receiving a plurality of contents through one connection And distributes the network.

예를 들어, 크래들(140')은 충전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제공된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 및 플레이 카운트의 로드데이터를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원격 서버로부터 스케쥴링된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radle 140 'may transmit the load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play count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130 of the charging device 100 to the remote server, A content file can be receiv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를 기능별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functions of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충전장치(100)는 제어부(110), 충전부(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메모리(140), 입력부(150), 통신부(160), 연결 인식부(170) 및 센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harg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ontroller 110, a charger 120, and a display 130. The charg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140, an input unit 150, a communication unit 160, a connection recognizing unit 170, and a sensor unit 180.

제어부(110)는 충전부(12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40), 입력부(150), 통신부(160), 연결 인식부(170) 및 센서부(180)와 연결되어 이들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 및 충전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120, the display 130, the memory 140, the input unit 150, the communication unit 160,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170, and the sensor unit 180,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for performing operations, a register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and instruction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harging device 100.

제어부(110)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1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AMD 및 넥스젠 (Nexgen)을 포함하는 외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 PC(powerPC)와 같이 다양한 아키텍처(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10 such as Alpha of Digital Corporation, MIPS of M1PS Technology, NEC, IDT, Siemens and the like, Intel, Cyrix, AMD and Nexgen X86, and PowerPC from IBM and Motorola. ≪ Desc / Clms Page number 2 >

제어부(110)는 충전 제어부(111), 카운트부(113), 디스플레이 제어부(115) 및 요청신호 생성부(117)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may include a charge control unit 111, a count unit 113, a display control unit 115, and a request signal generation unit 117.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은 도 2에 도시한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는 입력부(150)를 통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으로서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display control unit 115 may generate an advertisement start signal in response to the power supply request input and display the advertisement content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display 130. [ The power supply request input may be made via the power supply request switch 151 shown in FIG. The power supply request switch 151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10 as a power supply reques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0.

실시예에 따라, 연결 인식부(170)를 통하여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한 것에 응답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이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특정한 스위치가 입력되거나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입력은 충전장치(100)의 입력부(150) 또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request input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recognizin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is completed through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170. [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supply request inpu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a specific switch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nput or a user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10 through the input unit 150 of the charging device 100 or the communication unit 160.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인증코드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인증코드는 각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인증코드는 해당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되거나,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기 일정 시간 이전부터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control unit 115 may separately display the authentication code while reproduc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The authentication code is set to correspond to each advertisement content.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continuously displayed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or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re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completed.

카운트부(113)는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을 카운트하여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unting unit 113 may provide time information by counting time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충전 제어부(111)는 광고 개시신호에 따라서 카운트가 시작된 이후의 시간 정보를 카운트부(113)로부터 수신하여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11)는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함으로써 충전부(120)가 활성화된 충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기 에너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도록 한다. The charging control unit 111 can receive the time information from the counting unit 113 after the start of the counting in accordance with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and judge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exposed. The charging control unit 111 activates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exposed to thereby provide the electric energy to the user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ctivated by the charging unit 120 .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제공된 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요청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request signal generating unit 117 may generate a request signal for instructing the user terminal 200 to input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130. [ The request signal may cause a screen for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200. [

실시예에 따라,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요청신호를 제공하거나, 카운트부(113)를 통하여 제공된 시간 정보 및 메모리(140)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일정 시간 이전부터 요청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The request signal generator 117 may provide the request signal continuously while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being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130 or may provide the request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to the tim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unt unit 113 and the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The request signal may be provided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re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ends based o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요청신호 생성부(117)에서 요청신호가 생성되는 것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인증코드가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인증코드를 표시하거나,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일정 시간 이전부터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controller 115 may operate so that the authentication c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30 in the same manner that the request signal is generated in the request signal generator 117. [ In this case, the display control unit 115 may continuously display the authentication code while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displayed, or may display the authentication code before a certain time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ends.

충전부(120)는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어부(110)에 포함된 충전 제어부(111)의 충전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는 광고 컨텐츠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노출된 이후에 충전부(120)가 충전을 개시하도록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한다. The charging unit 120 may store electrical energy transferred from a power source and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 charge control signal of the charge control unit 111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0. [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the charge control signal so that the charging unit 120 starts charging 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exp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충전부(120)는 활성화된 충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 잭(400)을 통하여, 또는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을 충전시킨다. The charging unit 120 charges the user terminal 200 by transmitting the electric energy stored therein in response to the activated charging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0 via the charging jack 400 or wirelessly.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명령과 같은 외부 입력을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충전장치(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와 같은 물리적 버튼 혹은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제공된 입력 신호가 사용자 단말(200)과 충전장치(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50 transmits an external input, such as a user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10. For example, the input unit 150 may include a physical button such as a power supply request switch 151 provided in the charging apparatus 100, a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display 130, and an input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 signal may be received via an interfa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harging device 100, or the like.

메모리(140)는 광고 컨텐츠,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인증코드 및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충전장치(100)가 설치된 점포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40 may store advertisement contents, authentication codes associat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s, reproduction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emory 140 may store shop information in which the charg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메모리(140)는 서버(300)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인증코드를 포함한 광고 컨텐츠 등을 수신하고 각 광고 컨텐츠의 재생 시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100)에서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시간을 저장하여 광고 노출 결과로서 서버(300)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제공으로 인한 비용 산정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mory 140 may receive the advertisement contents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cod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server 300, and may store the reproduction time of each advertisement content. Also, the time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exposed in the charging device 100 may be stored, an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300 as an advertisement exposure result, so that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can be utilized for cost estimation by the advertisement. Memory 140 may be comprised of volatile and / or non-volatile memories.

통신부(16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직접 또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PC형태인 로컬 제어 서버(예를 들어, 크래들(140')) 매개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6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receives advertisement contents from a remot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 communication provider or via a local control server (for example, a cradle 140 ') in the form of a PC located in a service shop Lt; / RTI > The communication unit 160 can perform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연결 인식부(170)는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의 연결 상태를 인식한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 인식부(170)는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었으며 둘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완료되었는 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인식부(170)는 NFC 칩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NFC 연결이 완료되었는 지를 인식하거나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었는 지를 인식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170 recognizes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170 can recognize whether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re physically connected and the interface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the two is completed. Also, the connection recognizing unit 170 may recognize whether the NFC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is completed or not, including the NFC chip, or recognize whether the Bluetooth connection is complet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연결 인식부(170)를 통하여 연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전원 공급 요청 신호로서 인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를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하지 않고도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170, the control unit 110 may recognize the connection as a power supply request signal. Accordingly,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charging service without performing any operation such as pressing a separate switch in order to receive the charging service.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연결 인식부(170)를 통하여 연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장치(100)가 설치된 점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170 and transmits the stor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to the user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사용자 단말(200)는 점포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장치(100)가 설치된 점포의 개략적인 정보나 쿠폰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는 점포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점포를 방문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계정과 함께 점포 방문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점포 방문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can receive the shop information and display the outline information or coupon information of the shop where the charg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200. [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stor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visits the store, and stores the store visit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user account to the server 300 to receive points .

센서부(180)는 충전장치(100), 특히 디스플레이(130)의 근처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130)가 가려지는 지를 감지한다. 디스플레이(130)가 가려지는 것은 광고 시청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는 간접적인 지표이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180)는 근접 센서 및/또는 중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80 is provided near the charging apparatus 100, particularly, the display 130 to sense whether the display 130 is covered. Obscuring the display 130 is an indirect indicator for determining that the advertisement is not view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portion 18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nd / or a gravity sensor.

센서부(180)의 감지정보는 제어부(110)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30)가 가려지면 전기 에너지의 제공 및/또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카운트부(113)는 카운트를 중단할 수도 있다.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80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10 so that the display 130 can be turned off to stop providing electrical energy and / or exposing advertising content. The counting unit 113 may also stop counting.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부(111)는 카운트부(113)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이 수신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는 데, 이러한 시간의 카운트가 정지되어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130)가 가려진다면, 사용자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카운트가 시작된 이후, 일단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가 제공되고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충전 제어부(111)는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충전 제어신호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harge control unit 111 activates the charge control signal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power supply request input is received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ount unit 113, and the counting of the time is stopped If the display 130 is continuously hidden, the user can not receive the charging service. Also, even if electric energy is being supplied to the user terminal 200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counting has been started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the charg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the charge control The signal can be deactivated.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도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을 중단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노출이 중단되므로 인증코드의 노출도 중단되며 광고 컨텐츠의 재생 완료 시간에 종속되는 요청신호의 생성 시점 또한 뒤로 미루어질 수 있다. The display control unit 115 can also stop the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stop the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stop the exposure of the authentication code, and generate the request signal dependent on the reproduction completion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It can be put back.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를 가리게 되면 충전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가 항상 노출되도록 둠으로써 광고 컨텐츠의 노출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As a result, since the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vide the charging service smoothly when the display 130 is covered, the user can make the display 130 always exposed, Can be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charg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의 좌측 상단에 인증코드가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코드는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되거나 광고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점 이전부터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authentication code is display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display while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display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while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displayed, or may be displayed from a point before the reproduction end point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충전장치(100)의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인증코드가 표시되는 것과 함께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일정 시점 이전부터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request signal generation unit 117 of the charging device 100 generates and transmits a request signal together with the authentication code being displayed. That is, the request signal generating unit 117 can continuously transmit the request signal while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displayed, and can transmit the request signal from a certain point in time before the re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ends.

요청신호를 전송 받은 사용자 단말(200)에는 인증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된 인증코드는 입력코드로서 서버(300, 도 1 참조)에 전송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having received the request signal may display a screen for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see FIG. 1) as an input code.

도 6은 광고 컨텐츠 종류와 인증코드의 연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association between an advertisement content type and an authentication code.

도 6을 참조하면, 광고 컨텐츠 종류와 인증코드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광고 컨텐츠와 인증코드의 연관 정보는 충전장치(100)와 서버(300)에 공통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types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the authentication codes can be matched and stored. The associ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advertisement contents and the authentication code can be commonly stored in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rver 300.

충전장치(100)는 광고 컨텐츠와 인증코드의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또는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특정한 시점에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harging device 100 may display the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display 130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association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authentication code or at a specific time point at which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reproduced.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입력코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고 인증코드를 입력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장치(100)에 S사 광고가 표시되면서 '3516'의 인증코드가 함께 노출된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3516'을 입력할 수 있다. 서버(300)는 '3516'의 입력코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S사의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였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S사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적립하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The server 300 can determine through the input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what advertisement contents the user watches and input the authentication code. For example, when the advertisement of S company is displayed on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authentication code of '3516' is exposed together, the user can input '3516'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he server 300 can identify through the input code of '3516' that the user has viewed the advertisement contents of the company 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information by accumulating points corresponding to the S company for the user account.

인증코드는 광고 컨텐츠 종류별로 무작위로 생성될 수 있으며, 서버(300)에서 생성되어 충전장치(100)에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공되어 광고 컨텐츠와 인증코드의 연관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randomly generated for each advertisement content type and may be generated in the server 300 and provided in the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so that the association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upda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초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itial operation of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시점의 충전장치(100a)는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이다. 충전 잭(400)과 같은 케이블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면, 충전장치(100a)에 포함된 연결 인식부(170)는 연결 성립을 확인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harging apparatus 100a at the first time is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is turned off.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170 included in the charging device 100a can recognize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recognize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as a power supply request input when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cable such as the charging jack 400. [ Also, the power supply request input can be recognized based on the power supply request switch 151 as shown in FIG.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시점의 충전장치(100b)의 제어부(1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30)에 광고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power supply request input, the display control unit 115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0 of the charging apparatus 100b at the second time may generate an advertisement start signal. The advertisement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30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컨텐츠 하단에 '15초후에 충전을 시작합니다. '라는 문구가 표시되어, 아직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어부(110)에 포함된 카운트부(113)는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을 카운트하여 시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충전 제어부(111)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5초)이 경과한 이후에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여 충전부(12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7, charging starts at the bottom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after 15 seconds. Quot; is displayed to notify the user that the charging service is not yet being provided. The counting unit 113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0 counts time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to provide tim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he charge control unit 111 counts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5 seconds) elapses, the charging control signal is activated to cause the charging unit 120 to supply the user terminal 200 with electric energy.

이에 따라, 제3 시점의 충전장치(100c)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하여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00c at the third time point can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the user terminal 200. [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이나 그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면, 시간의 카운트가 중단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제공도 중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display is hidden before or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unting of the time may be stopped and the provis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may also be stopp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에 연결이 성립되면, 연결 인식부(170)에 의하여 연결이 인식된다 (단계 S1110). 실시예에 따라, 충전 장치(100)와 연결이 성립되면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자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2110).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충전단말(100)과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 교환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충전장치(100)에서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when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170 recognizes the connection (step S1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device 100 is established, the application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200 (step S2110). Th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200 may further facilitat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While the charging service is being provided in the charging apparatus 100,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인증코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이 제공되거나 충전장치(100)의 점포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충전장치(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과 충전장치(100)를 연동시켜 충전장치(100)에서 제공되는 화면이 그대로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creen for inputting an authentication code may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shop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0 may be displayed, and a signal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charging device 100).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y operate so that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harging device 100 are interlocked and the screen provided in the charging device 100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s it is.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이 성립된 후, 충전장치(100)는 충전장치(100)가 설치된 점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점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점포 정보를 표시하거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버(300)에 점포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여 점포 방문에 대한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도 있다.After the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is established, the charging device 100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tore where the charging device 100 is install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the shop information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received shop information or transmits the shop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You can also earn points for.

충전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노출되기 시작하며, 카운트부(113)는 카운트를 시작하여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1120).The charging device 100 generates an advertisement start signal in response to an external power supply request input, thereby caus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to be exposed to the display, and the counting unit 113 starts counting to generate time information Step S1120).

충전 제어부(111)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 S1130). 기설정된 시간은 충전 제어부(111)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으며,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 상이해질 수도 있다. The charg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step S1130).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charge control unit 111 or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provided advertisement contents.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 제어부(111)는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여 충전부(120)가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한다.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harge controller 111 activates the charge control signal so that the charger 120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electrical energy.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노출할 수 있다 (단계 S1140).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코드는 광고 컨텐츠와 함께 지속적으로 노출되거나,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기 이전 일정시간 동안 노출될 수 있다. 인증코드가 노출됨에 따라서 충전장치(100)의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charging device 100 can expose the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display (step S1140). As described above,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continuously exposed together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or may be exp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re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completed. As the authentication code is exposed, the request signal generator 117 of the charging device 100 may generate a request signal and provide the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0.

사용자 단말(200)는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코드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S2120).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된 코드는 입력코드로서 서버(300)에 전송되며, 입력코드 정보에는 입력코드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a code input screen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step S2120). The cod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as an input code, and the input cod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which the input code is transmitted.

서버(300)는 인증코드를 통하여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된 코드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300)는 해당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사용자 계정에 적립하고 (단계 S3110), 포인트 적립의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The server 300 can identify the advertisement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d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rough the authentication code. The server 300 may accumulat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contents in the user account (step S3110), and may transmit the result of the point accumul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

충전장치(100)가 동작함에 있어서, 센서부(18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모든 동작들이 중단될 수도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In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apparatus 100, all operations may be stopp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180 as described above.

또한, 충전장치(100)와 서버(300)는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광고 컨텐츠 및 광고 노출 결과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장치(100)가 특정한 점포에 설치되는 경우에, 점포의 영업 시간을 제외한 시간이면서,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은 시간을 선택하여 하루에 한 번, 또는 일주일에 한 번을 주기로 서버(300)는 광고 컨텐츠를 충전장치(100)에 전송하고, 충전장치(100)는 광고 노출 결과를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rver 300 can transmit and receive advertisement contents and advertisement exposure results at a predetermined periodic interval.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a specific shop, the time when the network traffic is low and the time excluding the business hours of the store are selected, and the server 300 is operated once a day or once a week May send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charging device 100 and the charging device 100 may provide the advertisement exposure result to the server 300. [

도 9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장치가 원격으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9 and 1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dvertisement contents remotely.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의 통신부(16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SS7 음성망 또는 TCP/IP 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하는 중앙 제어 서버(500)로부터 직접 또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로컬 제어 서버(600)를 매개로 하여 컨텐츠 및 업데이트 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9 and 10, the communication unit 160 of the char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control server 500 located remotely via an SS7 voice network or a TCP / IP network provided by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e content and the updated content can be received via the local control server 600 directly or at the service shop.

제공된 컨텐츠는 충전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직접 제공되거나, 충전장치(130)의 NFC칩이나 QR코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되거나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provided contents may be provided directly through the display 130 of the charging device 100 o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NFC chip or QR code of the charging device 130 and output to the user terminal 100 or in real time Can be output.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형 충전기의 형태로 제공된 크래들(140')은 로컬 제어 서버(600)에 대응할 수 있다. 크래들(140')은 중앙 제어 서버(500)로부터 컨텐츠 등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복수의 충전장치들(10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a cradle 140 'provided in the form of an assembled charger as shown in FIG. 3 may correspond to a local control server 600. The cradle 140 'receives and stores content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500, and can sequentially provide the content to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0.

로컬 제어 서버(600)가 복수의 충전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복수의 충전장치들이 한꺼번에 중앙 제어 서버(500)로 접속하는 경우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로컬 제어 서버(600)는 순차적으로 충전장치들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As the local control server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network traffic when a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access the central control server 500 all at once, Can sequentially control the network connection of the charging devices.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100: 충전장치
110: 제어부
120: 충전부
130: 디스플레이
140: 메모리
150: 입력부
160: 통신부
170: 연결 인식부
180: 센서부
100: Charging device
110:
120:
130: Display
140: Memory
150:
160:
170:
180:

Claims (20)

충전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충전부;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카운트부;
상기 광고 컨텐츠, 상기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상기 인증코드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충전 제어신호 및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인증코드의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재생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과 상기 카운트부가 제공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것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에 상기 인증코드를 해당 광고 컨텐츠에 포함시켜 노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A charging unit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harge control signal;
A display for exposing advertising content comprising an authorization code in response to an advertisement initiation signal;
A counting unit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by counting time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A memory for stor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the authentication code associat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playing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charge control signal and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and for generating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he user terminal to input the authentication code,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basis of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stored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being reproduced and the tim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unt unit, And controls to cause the code to be included and exposed in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content.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play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in response to a power supply request input; And
And a charg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charge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카운트부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harge control unit receives the time information from the count unit and activates the charge control signal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that the display is block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카운트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unting unit stops counting when the display is blocked based on detection of the sensor unit.
삭제dele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 및 상기 카운트부의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request signal based o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ount uni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충전 제어신호의 활성화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rge control unit stops activation of the activated charge control signal based on detection of the sensor unit.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카운트부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킨 이후에 사용자 단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고, 상기 인증코드에 대한 요청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충전장치; 및
상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충전되고,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수신한 입력코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장치는 재생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과 상기 카운트부가 제공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것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에 상기 인증코드를 해당 광고 컨텐츠에 포함시켜 노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And a counting unit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by counting time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and after expos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for a preset time, the electric energy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 charg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And
And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electric energy and is charged and receives the input code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o the server to earn points,
Wherein the charging device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basis of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stored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being reproduced and the tim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unt section, And controls to cause the code to be included and exposed in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conten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은 케이블을 통한 물리적 연결, NFC 연결 및 블루투스 연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arging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remain connected by at least one of a physical connection via a cable, an NFC connection, and a Bluetooth connec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충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harging device comprises:
A display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advertisement start signal in response to an external power supply request input; And
And a charg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harge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start signal.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인식하는 연결 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결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충전장치가 설치된 점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recognizing unit that recognizes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is completed through the connection recognizing unit, the charging device transmits shop information on which the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to the user terminal Lt; / RTI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카운트부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harge control unit receives the time information from the count unit and activates the charge control signal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광고 컨텐츠, 상기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상기 인증코드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harging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the authentication code associat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playback tim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harging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sensing that the display is covered.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카운트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unting unit stops counting when the display is blocked based on detection of the sensor uni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isplay control unit stops the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when the display is blocked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sensor uni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기설정된 주기를 두고 상기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arging device updates the advertisement content by recei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server at a predetermined period.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계정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입력코드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적립하는 상기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server for earning points corresponding to advertising content corresponding to an input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for an accoun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KR1020150022426A 2015-02-13 2015-02-13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661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26A KR101661609B1 (en) 2015-02-13 2015-02-13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26A KR101661609B1 (en) 2015-02-13 2015-02-13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009A KR20160100009A (en) 2016-08-23
KR101661609B1 true KR101661609B1 (en) 2016-10-10

Family

ID=5687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426A KR101661609B1 (en) 2015-02-13 2015-02-13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917B1 (en) * 2018-09-19 2023-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u wireless charging
DE202018005486U1 (en) 2018-11-24 2019-05-31 Axel Lieker Integrated mobile advertising system, publishing entertainment and cultural content through streaming, complete digital analysis, selection and order of gastronomic offerings of a restaurant and loading of mobile devices.
KR20200105231A (en)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에이텍 Charger rental service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831A (en) * 2008-03-31 2009-10-22 Yahoo Japan Corp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data by using battery charger, and to provid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23B1 (en) * 2005-11-18 2007-06-04 하대철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having function of advertising using display apparatus.
KR20120126261A (en) * 2011-05-11 2012-11-21 (주)맥스카드시스템즈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using identification code, and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KR20130124700A (en) * 2012-05-07 2013-11-15 네오프리즘이엔티 주식회사 Advertising system using advertising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831A (en) * 2008-03-31 2009-10-22 Yahoo Japan Corp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data by using battery charger, and to provid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009A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5960B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mobile device work
US20110258467A1 (en) Leveraging a Power Distribution System to Provide a Mobile Marketing Platform
CN107480965A (en) Information-pushing method and device under line
JP4444232B2 (en) Charging system, charger, and char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20110258093A1 (en) Portable Power Distribution Enhancements
KR20150105795A (en) Customized servi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ing beacon signal
WO2012110880A1 (en) A device and system for vending value token
US20160275471A1 (en) Wearable Point of Sale (WPOS) Terminal
KR101661609B1 (en)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160275472A1 (en) Modular and Wearable Point of Sale Terminal
US20150317706A1 (en) Server device, information device, power outlet, charging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and charging information generating program
US20140089095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WPT) With Integrated Advertising Channel
US20110258110A1 (en) Leveraging a Power Distribution System to Provide Establishment Services
KR20120120084A (en) Method of providing battery charging service, system enabing the method, and method of providing optional services
KR20160044824A (en) Charging system having display and method for exposing advertisement using the same
WO2016191954A1 (en) Wireless charging serving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20210134541A (en) Wireless charger
KR101820092B1 (en)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image charging bell system having the same
KR1019618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rcade game divice using beacon
JP6070416B2 (en) Payment system using vending machines
KR20200003508A (en) The Systems that connect to the server in real time
KR20170037013A (en)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using multimedia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KR20180031109A (en) The system of the advertisement serving in the portable device
TWI463441B (en) The number of points accumulated and the number of redemption methods
KR101621321B1 (en) Multimedia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portable device for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nd application perform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