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491B1 -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491B1
KR101780491B1 KR1020110041379A KR20110041379A KR101780491B1 KR 101780491 B1 KR101780491 B1 KR 101780491B1 KR 1020110041379 A KR1020110041379 A KR 1020110041379A KR 20110041379 A KR20110041379 A KR 20110041379A KR 101780491 B1 KR101780491 B1 KR 10178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lider
content
mai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814A (ko
Inventor
이요한
윤수정
이상기
심수미
임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491B1/ko
Priority to EP12162046.2A priority patent/EP2521022A3/en
Priority to US13/433,750 priority patent/US8878799B2/en
Priority to CN201210111179.9A priority patent/CN102768612B/zh
Publication of KR20120123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814A/ko
Priority to US14/516,910 priority patent/US944870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가지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컨텐츠의 일정 영역 지정을 위한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포함하는 메인 슬라이더 및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 일부를 확장한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는 표시 패널, 상기 보조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 및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신호 발생에 따라 상기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Detecting method for item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복수의 요소로 구성된 컨텐츠 중 특정 영역을 보다 세밀하고 빠르게 검색 및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터치 패널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터치 패널에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해당 사용자 동작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 및 휴대성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표시 영역이 다른 장치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 휴대 단말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표시 영역 상에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한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된 특정 컨텐츠 예를 들면 복수의 프레임에 의하여 구성된 동영상 등을 재생하는 경우, 동영상의 특정 장면을 검색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는 동영상 청취 중에 특정 업무 등으로 인하여 시청을 원하는 특정 장면들을 놓치거나 동영상 재생을 종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추후 특정 장면부터 다시 보기를 원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휴대 단말기의 경우 작은 표시 영역 상에 장면 검색을 위한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면을 검색하기가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특정 장면 검색 작업을 포기하고 대략적인 장면을 검색한 후, 이미 시청이 완료된 장면부터 다시 시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휴대 단말기의 이동성의 특징 상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특정 장면을 정확히 검색하지 못할 경우 해당 사용자는 이미 시청한 장면을 계속해서 다시 보아야 하는 불편함을 느끼게된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불편함은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대형 표시 장치에서도 유사하게 발생하곤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된 컨텐츠 예를 들면 복수의 항목들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항목들은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슬라이더를 마련하여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다른 항목들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속도는 전체 항목들의 개수와 각 항목들이 표시되는 크기 및 슬라이더 상에서의 터치 이동 거리에 비례할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표시 항목이 크게 표시되고 많은 요소를 가지는 항목들에 대응하는 슬라이더를 이용하는 경우, 항목들의 이동 속도는 사용자에게 매우 빠르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항목을 보다 세밀하게 검색하고자 하더라도 슬라이더 상에서 터치 이동 거리를 세밀하게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과 어려움으로 인하여 적절한 검색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된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특정 영역을 보다 세밀하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은 컨텐츠의 일정 영역 지정을 위한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포함하는 메인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과정, 기 설정된 입력 신호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신호 확인 과정, 상기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 일부를 확장한 보조 슬라이더를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보조 슬라이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상세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는 컨텐츠의 일정 영역 지정을 위한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포함하는 메인 슬라이더 및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 일부를 확장한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는 표시 패널, 상기 보조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 및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신호 발생에 따라 상기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컨텐츠의 특정 영역을 보다 상세히 그리고 편리하게 검색하거나 상세 설정이 필요한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슬라이더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터치스크린(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요소 예를 들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영상 컨텐츠를 터치스크린(140)의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동영상의 특정 장면을 일반 검색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슬라이더와 상세 검색 제어할 수 있는 보조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슬라이더의 경우 메인 슬라이더가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 경우 출력되어 메인 슬라이더가 지시하는 컨텐츠의 특정 영역을 보다 상세하게 검색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메인 슬라이더 상에서 일정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여 메인 슬라이더의 일정 영역을 확장한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 제어 기능과 관련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조 슬라이더는 출력된 메인 슬라이더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메인 슬라이더 이하의 길이를 가지되 상기 메인 슬라이더를 기반으로 특정 영역을 검색 또는 지정할 수 있는 기능보다 세밀하게 특정 영역을 검색 또는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된 컨텐츠가 터치스크린(140)에 출력되는 경우, 메인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는 상기 터치스크린(140)에 출력될 수 있는 상기 컨텐츠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비율로 계산되어 터치스크린(140) 일측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슬라이더는 상기 메인 슬라이더 상의 검색바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폭 이내의 컨텐츠 부분 영역에 해당하는 길이를 일정 크기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슬라이더의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는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 중 일부를 일정 비율로 확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구간 검색을 비교하면, 사용자는 터치 패널(143) 상에서 검색을 위한 지시자 예를 들면 검색바를 메인 슬라이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거리를 보조 슬라이더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컨텐츠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검색바 이동 거리에 따른 컨텐츠 검색 크기를 메인 슬라이더 상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세밀한 컨텐츠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동영상 컨텐츠, 복수의 요소를 가지는 리스트 컨텐츠, 복수의 단계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설정을 위한 설정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컨텐츠는 카메라의 조리개 조절 설정 컨텐츠, 휴대 단말기의 조도 설정 컨텐츠,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설정 컨텐츠 등 설정의 크기가 일정 범위를 가지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110)는 외부 특정 서버 또는 타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동영상 컨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부(110)가 수신하는 동영상 컨텐츠는 실시간으로 터치스크린(140) 상에 출력될 수 있으며, 출력된 동영상 컨텐츠는 저장부(150)에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된 동영상 컨텐츠는 저장부(150)에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동영상 컨텐츠 재생 시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컨텐츠 검색을 위한 메인 슬라이더를 터치스크린(140)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컨텐츠의 일부 구간을 상세 검색할 수 있는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터치스크린(140) 상에 출력되는 쿼티 키 맵, 3*4 키맵, 4*3 키맵, 메뉴 맵, 제어키 맵 등으로 구현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4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슬라이더의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 및 상기 메인 슬라이더 제거를 위한 입력 신호,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 보조 슬라이더 제거를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인 슬라이더를 현재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 상세 제어를 위하여 터치스크린(140)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슬라이더는 컨텐츠 활성화 시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출력되다가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출력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표시 패널(14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부(120)는 표시 패널(141)로부터 제거된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재출력 및 제거를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도록 해당 메인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을 지원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표시 패널(141)에 메인 슬라이더가 출력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메인 슬라이더 운용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의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해당 터치 이벤트 생성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슬라이더 관련 효과음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설정 컨텐츠 출력을 지원하며, 오디오 설정 컨텐츠 활성화 시 오디오 크기 예를 들면 오디오 수집 시 수집 오디오의 이득 조절, 오디오 출력 시 출력 오디오 이득 조절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설정 컨텐츠 활성화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오디오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설정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관련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메인 슬라이더가 출력될 수 있고, 추가 입력 신호에 따라 메인 슬라이더에 인접된 영역 또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영역에 보조 슬라이더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표시 패널(141)과 터치 패널(143)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40)은 표시 패널(141) 전면에 터치 패널(143)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의 크기는 터치 패널(143)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41)은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 패널(141)은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14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41)은 터치 패널(143)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 패널(141)은 특정 컨텐츠 활성화에 따라 메인 슬라이더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슬라이더는 상기 컨텐츠가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전체 영역 중 특정 영역을 지정하거나 검색할 수 있는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가지며 출력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의 길이는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가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 전화에 따른 화면 전환을 지원하는 경우 전환되는 화면 비율에 따라 상기 메인 슬라이더는 두 개의 고정된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슬라이더는 설계자의 의도 및 사용자의 설정 제어에 따라 화면의 일측 예를 들면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곳에 출력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화면 중앙에 출력될 수 도 있다.
한편 메인 슬라이더가 출력된 상태에서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요청하는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보조 슬라이더가 메인 슬라이더에 인접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보조 슬라이더는 메인 슬라이더의 메인 검색바에 인접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보조 슬라이더에 의하여 검색할 수 있는 컨텐츠 일부 영역은 기 설정된 크기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크기는 전체 컨텐츠 길이의 일부 길이에 해당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보조 슬라이더에 포함되는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는 상기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에 비하여 작지만 일정 크기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는 길면 길수록 해당 컨텐츠의 일정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40) 화면에 상대적으로 큰 보조 슬라이더를 표시하는 것은 화면 인식에 장애를 줄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 슬라이더는 상기 메인 슬라이더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데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한되게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슬라이더는 메인 슬라이더의 메인 검색바가 출력된 영역을 기준으로 인접된 영역 또는 메인 슬라이더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슬라이더와 보조 슬라이더의 출력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패널(143)은 상기 표시 패널(141)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며 터치 물체 예를 들면 사용자 손가락 접촉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43)을 구성하는 센서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터치 패널(143)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해당 위치 정보와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60)에 전달된다. 특히 본 발명의 터치 패널(143)은 메인 슬라이더가 출력된 표시 패널(141)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터치 이벤트를 사용자 터치 동작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터치 이벤트는 메인 검색바 상에서 발생하는 롱-터치 이벤트, 메인 검색바를 수회 터치하는 탭-터치 이벤트, 메인 슬라이더 상에서 메인 검색바의 이동 방향과 관계가 없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터치 이벤트 등 다양한 터치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터치 이벤트는 롱-터치 이벤트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4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보조 슬라이더 지원을 위한 보조 슬라이더 지원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슬라이더 지원 프로그램(151)은 메인 슬라이더가 출력되는 컨텐츠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해당 컨텐츠의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 슬라이더 지원 프로그램(151)은 메인 슬라이더가 지원되는 컨텐츠 활성화를 확인하는 루틴, 해당 컨텐츠 활성화 시 메인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141) 일측에 출력하고 메인 슬라이더 지원을 위한 터치 패널(143)을 세팅하는 루틴, 메인 슬라이더 상의 터치 패널(143)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확인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슬라이더 지원 프로그램(151)은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메인 슬라이더의 메인 검색바가 위치한 영역을 중심으로 인접된 영역 또는 적어도 일부가 메인 슬라이더에 중첩되는 영역에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터치 패널(143)을 세팅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데이터,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터치 패널(143)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각 컨텐츠별로 보조 슬라이더 특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슬라이더는 컨텐츠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와 컨텐츠 검색 대응 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동일한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가지며 출력되는 메인 슬라이더에서, 메인 검색바를 일정부분 이동시킬 때 이동되는 컨텐츠의 변화 영역은 컨텐츠의 크기 및 컨텐츠의 표시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각 컨텐츠별 메인 슬라이더의 컨텐츠 검색 대응 비율 정보를 저장하고, 컨텐츠의 크기 변화에 따라 상기 컨텐츠 검색 대응 비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폰북과 같은 리스트 컨텐츠는 항목 추가로 인하여 컨텐츠의 크기가 증가되거나 삭제로 인하여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영역은 메인 슬라이더의 컨텐츠 검색 대응 비율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변화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보조 슬라이더의 컨텐츠 검색 대응 비율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보조 슬라이더의 컨텐츠 검색 대응 비율 정보는 메인 슬라이더의 일부 영역의 확장 비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동작이 메인 슬라이더가 필요한 컨텐츠 활성화를 요청하는 동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메인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신호 발생을 확인하고 해당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메인 슬라이더가 배치된 영역의 터치 패널(143)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컨텐츠의 일부 영역에 대한 상세 검색을 위한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 슬라이더 적용부(163) 및 출력 제어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는 터치 패널(143)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는 메인 슬라이더가 출력된 지점에서의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터치 이벤트를 슬라이더 적용부(163) 또는 출력 제어부(165)에 전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는 컨텐츠의 일정 영역 검색을 요청하는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 선택 또는 터치 패널(143) 상에서의 제스처 등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는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터치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터치 이벤트들은 슬라이더 적용부(163) 및 출력 제어부(165)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적용부(163)는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가 전달하는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컨텐츠를 확인한다. 이때 해당 컨텐츠가 메인 슬라이더 출력이 요구되는 컨텐츠인지 확인하고, 상기 슬라이더 적용부(163)는 컨텐츠 특성에 따라 메인 슬라이더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 적용부(163)는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가 전달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보조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 적용부(163)는 메인 슬라이더 상에서 발생하는 롱-터치 이벤트가 전달되면, 메인 슬라이더에 인접된 영역 또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영역에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보조 슬라이더는 컨텐츠의 일부 영역을 보다 세밀하게 검색 또는 지정하거나 특정 설정을 보다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상기 출력 제어부(165)는 슬라이더 적용부(163)가 메인 슬라이더 및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결정하는 경우, 해당 메인 슬라이더 및 보조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제어부(165)는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가 수집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컨텐츠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슬라이더 상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제어부(165)는 해당 터치 이벤트 및 컨텐츠 활성화에 따라 화면 변화를 지원한다. 또한 보조 슬라이더 상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제어부(165)는 보조 슬라이더가 대응하고 있는 컨텐츠 일부 영역을 보조 슬라이더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세 검색 또는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슬라이더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와 보조 슬라이더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동 거리를 가지는 드레그 터치 이벤트라 하더라도, 출력 제어부(165)는 각 슬라이더에 설정된 컨텐츠 검색 대응 비율에 따라 화면 변화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출력 제어부(165)는 메인 슬라이더 상에서 일정 거리 드레그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화면 변화의 정도를 보조 슬라이더 상에서 일정 거리 드래그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화면 변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보조 슬라이더가 메인 슬라이더에 대응하는 컨텐츠 일부 영역에 대하여 상세 검색 또는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 슬라이더의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는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일정 부분 또는 메인 슬라이더의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의 일부 영역을 확장 표시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확장 표시 과정에서 사용자가 보다 세밀한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출력 제어부(165)는 사전 설정에 따라 한정된 보조 슬라이더 영역 내에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다양한 형태로 확장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메인 슬라이더가 요구되는 컨텐츠 활성화 시 컨텐츠의 일부 영역을 상세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조 슬라이더를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용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슬라이더 출력에 따른 화면 인식 장애를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들의 상세 검색 또는 지정을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60)는 공급된 전원을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공급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301 단계에서와 같이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303 단계에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별도의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3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대기 화면 출력을 유지하거나,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슬립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03 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3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컨텐츠 활성화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307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컨텐츠에 메인 슬라이더 적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가 메인 슬라이더 적용 특성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309 단계로 분기하여 활성화된 컨텐츠 운용을 지원한다. 한편 활성화될 컨텐츠가 메인 슬라이더 적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컨텐츠를 활성화하면서 설계 방삭에 따라 디폴트로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메인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141) 일측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메인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141)의 상, 하, 좌, 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311 단계로 분기하여 보조 슬라이더 적용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 예를 들면 메인 슬라이더 상에서 발생하는 기 설정된 터치 이벤트 또는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해 설정된 특정 입력 신호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11 단계에서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30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해당 컨텐츠 활성화를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메인 슬라이더 출력 유지 또는 제거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슬라이더는 컨텐츠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일정 시간 경과 또는 요청에 따라 표시 패널(141) 상에서 일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311 단계에서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313 단계로 분기하여 보조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141)의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슬라이더를 메인 슬라이더에 인접된 영역 또는 메인 슬라이더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메인 슬라이더에 표시되는 메인 검색바를 기준으로 해당 메인 검색바에 인접된 영역 또는 적어도 일부가 메인 검색바에 중첩되는 영역에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315 단계로 분기하여 보조 슬라이더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조 슬라이더 종료를 위한 이벤트는 보조 슬라이더가 출력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별도의 입력 신호가 없는 상태, 또는 보조 슬라이더 제거를 위해 설정된 특정 입력 신호 발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유지하고, 보조 슬라이더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부분 상세 검색 또는 지정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315 단계에서 보조 슬라이더 종료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317 단계로 분기하여 보조 슬라이더를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41)에는 컨텐츠 활성화 화면과 메인 슬라이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전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메인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141) 상에서 일시적으로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319 단계에서 컨텐츠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종료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30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컨텐츠 운용을 지원한다. 한편 319 단계에서 컨텐츠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활성화되고 있는 컨텐츠를 종료하도록 제어하고 301 단계 이전으로 리턴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은 메인 슬라이더 적용이 필요한 컨텐츠의 부분 상세 지정 또는 검색을 위하여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고, 보조 슬라이더를 기반으로 컨텐츠의 부분 상세 지정 또는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조 슬라이더는 메인 슬라이더의 일정 부분 예를 들면 메인 검색바가 위치한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의 일정 영역을 확장한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상세 제어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화면 예시를 통하여 실제 운용에 관한 설명을 수행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상세 제어를 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츠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컨텐츠 지원을 위한 화면을 4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컨텐츠를 동영상 컨텐츠로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컨텐츠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슬라이더를 기반으로 일정 영역을 지시 또는 검색할 수 있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검색바가 구비되는 형태의 슬라이더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메인 슬라이더(50) 및 보조 슬라이더(60)는 검색바 없이 슬라이딩 가능 경로만을 가지는 슬라이더로 표시될 수 도 있다. 검색바가 없는 경우 상기 메인 슬라이더 및 보조 슬라이더는 슬라이딩 가능 경로 상에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상대적 위치를 일정 마크, 색 반전 등 구별이 가능한 다양한 표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능 경로의 표시 형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슬라이더 바디와 동일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슬라이딩 가능 경로가 곧 슬라이더 바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01 화면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41)은 특정 컨텐츠 활성화에 따라 화면 일측에 메인 슬라이더(5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슬라이더(50)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메인 슬라이더 바디(51)와, 메인 슬라이더(50) 내에 배치되는 메인 검색바(55), 메인 검색바(55)가 이동할 수 있는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5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53)의 전체 길이는 컨텐츠의 크기 및 컨텐츠의 표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53) 상에서 메인 검색바(55)가 이동하는 거리에 따른 컨텐츠의 변화 비율은 컨텐츠의 크기 즉 컨텐츠를 구성하는 전체 프레임들의 개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프레임을 가지는 컨텐츠에서 메인 검색바(55)가 이동하는 거리에 의한 컨텐츠 변화 비율은 적은 수의 프레임을 가지는 컨텐츠에서 메인 검색바(55)가 이동하는 거리에 의한 컨텐츠 변화 비율에 비하여 클 수 있다. 결과적으로 메인 검색바(55)가 조금만 움직여도 빠른 컨텐츠 변화가 발생함으로 사용자가 특정 프레임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슬라이더(50) 상에서 또는 메인 검색바(55) 상에서 기 설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403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 위치에 보조 슬라이더(60)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슬라이더(60)는 보조 슬라이더 바디(61)와, 보조 슬라이더(60) 내에 배치되는 보조 검색바(65), 보조 검색바(65)가 이동할 수 있는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는 상기 메인 슬라이더(50)의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53)의 일정 영역을 확장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검색바(65)가 상기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를 이동하는 동안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화하게 된다. 상기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 보조 검색바(65)가 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현재 프레임보다 앞서 배치된 프레임들이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며,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미 출력되었던 프레임들이 표시 패널(141)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는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53)의 일부 영역을 확장하여 구성된 것이어서, 해당 경로 상에서 보조 검색바(65)가 이동하는 경우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컨텐츠는 메인 슬라이더 상에서의 이동 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프레임 변화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슬라이더 바디(61)는 메인 슬라이더 바디(51)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슬라이더(60)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메인 슬라이더(50) 상에서 보조 슬라이더(60) 출력을 위한 터치 동작 예를 들면 롱-터치 동작을 수행한 이후, 연이어지는 동작으로 보조 슬라이더(60)의 보조 검색바(65)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 슬라이더(60)는 상기 메인 검색바(55)가 출력된 위치에 인접된 위치에 출력되거나 메인 검색바(55)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보조 슬라이더(60)를 이용한 컨텐츠 상세 제어가 완료되어 사용자가 터치 다운 동작을 해제하면, 제어부(160)는 보조 슬라이더(60)를 표시 패널(141) 상에서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슬라이더(60) 제거 방식은 사전 설정된 방식에 따르는 것으로, 제어부(160)는 터치 다운 동작 해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보조 슬라이더(60) 출력을 유지하고, 해당 시간 동안 별도의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보조 슬라이더(60)를 제거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슬라이더(60)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조 슬라이더(60)는 501 화면에서와 같이 한정된 보조 슬라이더 바디(61) 내에서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를 최대화할 수 있다. 즉 일정 폭과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보조 슬라이더 바디(61) 내에서 상기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가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경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보조 슬라이더(60)는 실제적인 물리 이동 가능 경로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보조 슬라이더(60)는 컨텐츠의 상세 제어를 지시하기 위한 보조 검색바 또는 현재 컨텐츠 지정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표식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지는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03 화면에서의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의 전체 길이가 1cm이며 100개의 프레임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경우, 보조 검색바(65)가 1mm 이동시 10개의 프레임이 표시 패널(141)에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501 화면에서와 같이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를 동일 공간 내에서 보다 확장된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의 전체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01 화면에서의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의 전체 길이는 10cm로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 검색바(65)가 1cm 이동시 10개의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표시 패널(141)에 출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프레임 검색 과정에서 보다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를 이용하여 보다 세밀한 프레임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조 슬라이더(60)는 5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 및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는 상기 403 화면에서 설명한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는 앞서 설명한 501 화면에서와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를 통하여 특정 프레임에 대한 상세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 상에서 보조 검색바(65)를 이동시키다가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를 통하여 보다 상세한 프레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와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가 만나는 교차점에 배치되는 프레임은 동일한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교차점에서 컨텐츠 지정값 또는 검색값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를 기반으로 보조 검색바(65)를 이동시키다가 특정 교차점에서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한 프레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교차점 사이의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의 일정 구간에 대응하는 프레임 수와 교차점 사이의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의 일정 구간에 대응하는 프레임 수는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가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확장된 형태임으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이동 거리에 따른 컨텐츠 변화가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한 프레임 검색 또는 지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보조 슬라이더(60)에 적용되는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3) 및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의 중첩 기술은 실질적으로 메인 슬라이더(5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인 슬라이더(50) 상에서 보조 슬라이더(60) 출력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인 슬라이더(50)와 일정 간격으로 교차하는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67)와 같은 변곡점을 가지는 보조 슬라이더(60)를 메인 슬라이더(50)에 연계하여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츠 활성화 과정에서 컨텐츠의 특정 영역을 보다 상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 슬라이더(50) 기반으로 선택적인 보조 슬라이더(60) 출력을 지원함으로써 화면 인식의 장애를 최소화하면서도 원하는 특정 부분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텐츠 상세 제어 기술은 동영상뿐만 아니라 음악 파일 검색에도 적용 가능하며, 또한 상세 설정이 필요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카메라 옵션 제어 설정이나 지도 검색 비율 조정 제어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을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50 : 메인 슬라이더 51 : 메인 슬라이더 바디
53 : 메인 슬라이딩 가능 경로 55 : 메인 검색바
60 : 보조 슬라이더 61 : 보조 슬라이더 바디
63 :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 65 : 보조 검색바
67 :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터치스크린 141 : 표시 패널
143 : 터치 패널 150 : 저장부
151 : 보조 슬라이더 지원 프로그램 160 : 제어부
161 : 터치 이벤트 수집부 163 : 슬라이더 적용부
165 : 출력 제어부

Claims (14)

  1. 컨텐츠의 일정 영역 지정을 위한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포함하는 메인 슬라이더를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과정;
    기 설정된 입력 신호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신호 확인 과정; 및
    상기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 일부를 확장한 보조 슬라이더를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보조 슬라이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조 슬라이더는 복수의 피크(peak) 및 밸리(valley)를 가지는 비선형의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라이더 출력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별도의 입력 신호 발생이 없거나, 상기 보조 슬라이더 제거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보조 슬라이더를 상기 표시 패널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라이더 출력 과정은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인접된 영역 및 메인 슬라이더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라이더 출력 과정은
    상기 메인 슬라이더에 포함된 검색바에 인접된 영역 및 검색바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확인 과정은
    상기 메인 슬라이더 상의 터치 패널에서 발생하는 상기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터치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과정;
    입력부로부터 발생하는 보조 슬라이더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을 확인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라이더는
    상기 컨텐츠의 일정 영역 지정 시 상세 제어를 위한 보조 검색바 또는 현재 컨텐츠 지정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라이더는
    상기 컨텐츠의 일정 영역 지정 시 상세 제어를 위한 보조 검색바 또는 현재 컨텐츠 지정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표식을 포함하는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와 적어도 한 지점에서 교차하며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지는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와 상기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의 교차점은 동일한 컨텐츠 지정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9. 컨텐츠의 일정 영역 지정을 위한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포함하는 메인 슬라이더 및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가능 경로 일부를 확장한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는 표시 패널;
    상기 보조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 및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신호 발생에 따라 상기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슬라이더는 복수의 피크(peak) 및 밸리(valley)를 가지는 비선형의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슬라이더 출력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별도의 입력 신호 발생이 없거나, 상기 보조 슬라이더 제거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보조 슬라이더를 상기 표시 패널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메인 슬라이더의 인접된 영역 및 메인 슬라이더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거나, 상기 메인 슬라이더에 포함된 검색바에 인접된 영역 및 검색바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보조 슬라이더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라이더는
    상기 컨텐츠의 일정 영역 지정 시 상세 제어를 위한 보조 검색바 또는 현재 컨텐츠 지정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표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라이더는
    상기 컨텐츠의 일정 영역 지정 시 상세 제어를 위한 보조 검색바 또는 현재 컨텐츠 지정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표식을 포함하는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
    상기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와 적어도 한 지점에서 교차하며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지는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와 상기 제2 보조 슬라이딩 가능 경로의 교차점은 동일한 컨텐츠 지정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상세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10041379A 2011-05-02 2011-05-02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80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79A KR101780491B1 (ko) 2011-05-02 2011-05-02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EP12162046.2A EP2521022A3 (en) 2011-05-02 2012-03-29 Method for finely controlling conten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3/433,750 US8878799B2 (en) 2011-05-02 2012-03-29 Method for finely controlling conten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201210111179.9A CN102768612B (zh) 2011-05-02 2012-04-16 精细地控制内容的方法以及支持该方法的便携式终端
US14/516,910 US9448709B2 (en) 2011-05-02 2014-10-17 Method for finely controlling conten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79A KR101780491B1 (ko) 2011-05-02 2011-05-02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814A KR20120123814A (ko) 2012-11-12
KR101780491B1 true KR101780491B1 (ko) 2017-09-21

Family

ID=4597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379A KR101780491B1 (ko) 2011-05-02 2011-05-02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878799B2 (ko)
EP (1) EP2521022A3 (ko)
KR (1) KR101780491B1 (ko)
CN (1) CN1027686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1213B2 (en) * 2011-09-16 2016-11-22 Skadool, Inc. Scheduling events on an electronic calendar utilizing fixed-positioned events and a draggable calendar grid
JP5451944B2 (ja) 2011-10-07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WO2013191063A1 (ja) * 2012-06-18 2013-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出力装置、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3902173B (zh) * 2012-12-26 2017-12-26 联想(北京)有限公司 便携式终端及其信息处理方法和显示处理方法
KR20140091302A (ko) * 2013-01-11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3984493B (zh) * 2013-02-07 2018-06-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滑动控制方法及终端
CN104102407B (zh) * 2013-04-08 2018-04-17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参数输入方法及系统
TW201441924A (zh) * 2013-04-24 201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可調節播放進度條的系統、音頻播放裝置及方法
CN104123079A (zh) * 2013-04-28 2014-10-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进度条的位置调整方法及装置
CN104281380B (zh) * 2013-07-08 2018-01-30 纬创资通(昆山)有限公司 虚拟调节钮的操作方法
US20150058801A1 (en) * 2013-08-23 2015-02-26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touch inspection tool
CN104636025B (zh) * 2013-11-13 2019-06-28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参数输入方法及系统
TWI539331B (zh) * 2014-03-03 2016-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以及使用者介面控制方法
CN106537891B (zh) 2014-08-12 2020-09-04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程序和信息处理方法
CN104238942A (zh) * 2014-09-04 2014-12-24 英业达科技有限公司 触控系统及其画面卷动方法
GB2536416A (en) * 2015-03-10 2016-09-21 Capp & Co Ltd A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GB2537348A (en) * 2015-03-23 2016-10-19 Motivii Ltd User input mechanism
US10481645B2 (en) 2015-09-11 2019-11-19 Lucan Patent Holdco, LLC Secondary gesture input mechanism for touchscreen devices
CN105657323A (zh) * 2015-12-30 2016-06-08 掌赢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方法、装置和系统
CN105933751A (zh) * 2016-04-28 2016-09-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节媒体文件播放进度的方法及装置
CN106896997B (zh) * 2016-06-28 2020-11-1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滑动控件控制方法及装置、滑块选择器
US10303352B2 (en) 2016-06-30 2019-05-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vigating long distances on navigable surfaces
KR20180014644A (ko) * 2016-08-01 2018-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JP7039179B2 (ja) * 2017-04-13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818159B (zh) * 2017-10-31 2022-02-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920060A (zh) * 2018-07-06 2018-11-30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音量的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1381746B (zh) * 2018-12-27 2021-07-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参数调节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30905B1 (ko) * 2019-11-01 2021-03-2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상세 조절 제어를 위한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US20210141524A1 (en) * 2019-11-08 2021-05-13 Rabbit Three Times, LLC System For Creating Programs
CN111443956B (zh) * 2020-03-23 2023-0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置控件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287964B2 (en) * 2020-06-17 2022-03-29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US11599258B2 (en) * 2021-02-18 2023-03-07 The Toronto-Dominion Bank User interface for smartwatches and wearable devices
USD1013716S1 (en) * 2021-04-01 2024-02-06 Instasiz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13715S1 (en) * 2021-04-01 2024-02-06 Instasiz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13705S1 (en) * 2021-07-20 2024-02-06 Splunk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time slider for a ma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1165A1 (en) * 2000-11-30 2008-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oom-Capable Scrollbar
US20100156830A1 (en) * 2008-12-15 2010-06-24 Fuminori Homm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306A (en) * 1990-08-09 1996-04-30 Apple Computer, Inc. Temporal event viewing and editing system
JPH11110181A (ja) 1997-10-07 1999-04-23 Ricoh Co Ltd スクロールバー表示制御装置およびスクロールバー表示制御方法、ならびに該表示制御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204846B1 (en) 1999-02-16 2001-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et user interface control for use in accessing information in a computer
JP4376340B2 (ja) * 1999-02-25 2009-12-02 富士通株式会社 曲線スライダ装置
JP2008512756A (ja) 2004-09-15 2008-04-24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画面上におけるコンテンツのハンドリングおよびスクロール
US8954852B2 (en) * 2006-02-03 2015-02-10 Sonic Solutions, Llc. Adaptive intervals in navigating content and/or media
KR101368713B1 (ko) * 2006-11-20 201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KR101496451B1 (ko) 2007-01-19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롤 바의 표시방법
JP2009295147A (ja) * 2008-05-07 2009-12-17 Hoya Corp スクロール表示可能な情報処理装置
KR101073057B1 (ko) * 2009-07-27 2011-10-12 한국과학기술원 비직선 타임라인을 이용한 타임라인 기반 콘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및 오디오 클립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1165A1 (en) * 2000-11-30 2008-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oom-Capable Scrollbar
US20100156830A1 (en) * 2008-12-15 2010-06-24 Fuminori Homm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1022A3 (en) 2017-08-30
EP2521022A2 (en) 2012-11-07
US20120280922A1 (en) 2012-11-08
US9448709B2 (en) 2016-09-20
US8878799B2 (en) 2014-11-04
US20150040054A1 (en) 2015-02-05
CN102768612A (zh) 2012-11-07
KR20120123814A (ko) 2012-11-12
CN102768612B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491B1 (ko)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841574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91478B1 (ko) 통합 입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864333B1 (ko)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9559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동 방법
EP237253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list in portable terminal
US20130009890A1 (en) Method for operating touch navigation function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1954794B1 (ko)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15818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110047409A (ko)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10093327A (ko) 3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10055088A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00124438A (ko) 휴대 단말기의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3454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책 페이지 넘김 장치 및 방법
KR101650339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821160B1 (ko)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키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30024255A (ko)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30046482A (ko)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10044496A (ko) 휴대 단말기의 입력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10064629A (ko) 휴대 단말기의 보조키맵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64609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의 이동 단말기
KR101863654B1 (ko)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 변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83076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조키맵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30081550A (ko) 페이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