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339B1 -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339B1
KR101650339B1 KR1020100022505A KR20100022505A KR101650339B1 KR 101650339 B1 KR101650339 B1 KR 101650339B1 KR 1020100022505 A KR1020100022505 A KR 1020100022505A KR 20100022505 A KR20100022505 A KR 20100022505A KR 101650339 B1 KR101650339 B1 KR 10165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vowel
touch
consonant
drag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265A (ko
Inventor
박세환
박성욱
김형준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2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39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A2791701A priority patent/CA2791701A1/en
Priority to RU2012123742/07A priority patent/RU2560127C2/ru
Priority to CN201180012253.5A priority patent/CN102783124B/zh
Priority to JP2012556970A priority patent/JP5777645B2/ja
Priority to EP11753581.5A priority patent/EP2491704B1/en
Priority to PCT/KR2011/001584 priority patent/WO2011111976A2/en
Priority to US13/042,696 priority patent/US8799779B2/en
Priority to AU2011225054A priority patent/AU2011225054B9/en
Publication of KR2011010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에 관한 것으로, 문자 작성 또는 편집을 위한 문자 입력 영역 및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층에 마련되어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문자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며,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 출력된 자음 및 모음을 멀티 터치하는 멀티 터치 이벤트 수집 시 수집된 멀티 터치 이벤트들을 통합한 문자를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Text Input Method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입력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이 가능하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대표적인 예로 개인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있다. 상기 PDA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상기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특정 기기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구성들을 기반으로 정보수집, 저장, 작성, 검색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PDA는 휴대폰 모듈을 탑재하여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복합기로서 발전하고 있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터치스크린은 표시부와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로 구성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포인터를 가지고 표시부에 출력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해당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해당 아이콘에 링크된 문자 등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그런데 상기 터치스크린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제한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키맵들은 크기가 제한을 받거나 키들의 숫자가 한정되는 등의 제약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문자 입력을 위한 많은 개수의 키 아이콘을 포함하는 키맵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키맵의 크기는 확장하고 키들의 개수는 줄이면서도 빠르고 편리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자들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작성 또는 편집을 위한 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 포함된 자음과 모음을 멀티 터치함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멀티 터치된 자음 및 모음을 통합하여 하나의 문자로 입력하는 입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문자 작성 또는 편집을 위한 문자 입력 영역 및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층에 마련되어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문자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 출력된 자음 및 모음을 멀티 터치하는 멀티 터치 이벤트 수집 시 수집된 멀티 터치 이벤트들을 통합한 문자를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다양한 문자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 터치 이벤트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로서, 터치된 지점의 좌표 값과, 터치의 형태 예를 들면 터치 다운, 터치 해제, 드래그 등을 구분하는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터치스크린(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특정 키맵을 터치스크린(140) 상에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140)의 적어도 두 개의 지점을 멀티 터치하는 방식으로 터치하는 경우, 터치된 영역에 할당된 키들의 조합을 기반으로 특정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 입력을 보다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들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및 영상이나 화상을 전송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 등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 운용을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폰북 정보 등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의 구성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무선주파수부(110) 운용을 위하여 폰북에 저장된 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선택하거나 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숫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키 버튼이나 키패드 없이 풀 터치스크린으로 지원되는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운용을 위하여 터치스크린(140) 상에 문자를 포함하는 키맵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키맵은 한글 문자 키맵, 3*4 키맵, 4*3 키맵, 쿼티 키맵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한글 문자 키맵을 이용하여 문자를 작성하고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이용하여 작성된 문자를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풀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 별도의 키 버튼이나 키패드를 채용하지 않고 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140)을 채용하는 경우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다수개의 키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키맵과 키맵에 따른 터치 패널(143) 세팅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맵은 한글 문자 키맵, 쿼티 키맵, 3*4 키맵, 4*3 키맵, 메뉴 맵, 소프트 키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한글 문자 키맵의 특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예를 들면 문자 입력 모드 선택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모드는 상기 한글 문자 키맵에 포함된 특정 문자들을 모드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자 입력 모드이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에 대하여 후술하는 화면 예시도 등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키맵들이 전환되는 경우, 이를 알람할 수 있으며, 전환된 키맵에서 특정 문자들이 터치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선택을 알리는 특정 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문자 키맵 상에서 멀티 터치에 의하여 문자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일반 문자 선택에 따른 특정 음과 구분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의 특정 음 및 알람 등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표시부(141)와 터치 패널(143)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40)은 표시부(141) 전면에 터치 패널(143)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의 크기는 터치 패널(143)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표시부(141)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풀 스크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1)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등을 표시한다. 즉 표시부(141)는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4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면 표시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4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143)과 함께 터치스크린(140)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입력부(12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1)는 한글 문자 키맵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한글 문자 키맵은 한글 자음 14문자 즉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모음 3글자 즉, 천지인 "ㅡ, ㅣ, '", 및 기타 쌍자음 지정을 위한 문자 "쌍", 띄어쓰기를 위한 문자"┗┛", 영문 키맵 변환 선택 문자 "A", 숫자 키맵 변환 선택 문자 "123", 뒤로 가기 문자 "←"와, 입력 문자"
Figure 112010015978005-pat00001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부(141)는 상술한 한글 문자 키맵에 포함된 모음 3글자를 특정 기능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입력 모드 선택키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 선택키를 이용하여 상기 모음 3글자를 어떠한 모드로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 선택키는 상기 입력부(120)에서와 같이 특정 사이드 키로 할당되거나, 상기 표시부(141) 상에 특정 아이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43)은 표시부(141) 상층에 배치되어 표시부(141)에 출력되는 특정 이미지나, 특정 항목들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해 일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터치 패널(143)은 표시부(141)에 출력된 한글 문자 키맵의 각 키들의 유효 터치 영역을 세팅하고, 해당 유효 터치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패널(143)은 특정 키 선택을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 터치 다운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이벤트, 터치 다운 상태를 해제할 경우에 발생하는 터치 해제 이벤트를 생성하고, 제어부(160)가 관리하는 버퍼(153)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패널(143)은 멀티 터치가 가능하도록 일정 영역 예를 들면 표시부(141)의 셀 단위로 터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패널(143)은 사용자가 터치 패널(143) 상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멀티 터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 이벤트들을 상기 버퍼(15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140)으로 형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40) 운용을 위한 키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맵, 쿼티 키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키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고,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목록으로 가지는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특히 상기 키맵은 전술한 한글 문자 키맵과, 한글 문자 키맵에 포함된 모음들을 다양한 입력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모드 선택키에 대응하는 키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 선택키에 대응하는 키 아이콘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른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을 포함한다. 상기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은 메시지 작성 기능, 텍스트 작성과 편집 기능, 특정 컨텐츠에 문자 삽입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은 사용자가 문자 작성을 위한 메뉴 선택 시 활성화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은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키맵 예를 들면 숫자 및 특수 문자 키맵, 영문자 키맵, 한글 문자 키맵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 상기 한글 문자 키맵에 포함된 특정 문자를 기반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이콘 출력 루틴, 키맵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버퍼링하는 루틴,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따라 버퍼링된 터치 이벤트들을 기반으로 특정 문자를 입력하고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은 기타 다양한 나라의 언어를 기반으로 설계된 문자 키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 출력 루틴은 토글 방식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 선택 방식을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또는 각 문자 입력 모드 선택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콘들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 모드 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정보,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표시부(141)가 터치스크린(140)에 포함되도록 제작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40)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다양한 키맵들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해당 키맵들을 표시부(141)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일부 영역은 제어부(160) 관리에 따르는 버퍼(153) 영역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퍼(153)의 위치는 상기 저장부(150)를 물리적으로 구현한 메모리의 일정 영역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60) 내에 위치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문자 키맵 기반의 문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문자 작성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을 로드하고, 문자 작성을 위한 환경을 터치스크린(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문자 입력 영역, 문자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문자 작성 화면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한 터치 패널(143)을 특정 키맵에 대응하도록 세팅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 출력된 특정 키맵 예를 들면 한글 문자 키맵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 이벤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터치 패널(143)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터치 이벤트를 버퍼(153)에 저장하고, 터치 해제 이벤트가 입력된 이후 버퍼(153)에 저장된 터치 이벤트들을 확인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14자의 자음 중 한 문자와 3자의 모음 중 한 문자를 동시 터치하는 경우, 해당 문자들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버퍼(153)에 저장하고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시 터치된 두 문자의 합성으로 생성된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버퍼(153)에 저장된 터치 이벤트들을 확인하여 키맵에 포함된 복수개의 키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가 저장된 경우,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해당 키 아이콘에 대응하는 문자들을 조합하여 특정 문자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특정 문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멀티 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후 버퍼(153)에 저장되는 터치 이벤트의 순서에 따라 문자들의 조합을 다르게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ㅈ"문자 선택 이후 "ㆍ" 및 "ㅣ"이 선택되면, "저"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ㆍ"문자 선택 이후 "ㅈ" 및 "ㅣ"가 선택되면 "찌"가 입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 발생 순서에 따라 다른 문자가 입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특정 모드나 특정 문자들에 따라 문자 입력 순서에 관계없이 동일한 문자가 입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 일반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문자들의 순서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특정 문자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복자음 생성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특정 모음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와 자음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가 생성되면 해당 터치 이벤트들을 통합하여 선택된 자음의 복자음이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선택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보다 빠른 문자 완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ㆍ"를 선택하는 한편, "ㅈ" 문자를 선택하고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 이후 터치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문자들의 터치 이벤트를 종합하여 "쟈"라는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문자 입력 모드 선택에 따라 다양한 문자 입력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은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가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초기화 과정 및 부팅 과정을 수행한 이후,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201 단계에서와 같이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203 단계에서 해당 입력 신호가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 신호가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2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100)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통신 기능,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03 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207 단계로 분기하여 문자 작성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특히 문자 작성을 위한 키맵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설정 또는 휴대 단말기(100)를 설계하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키맵 예를 들면 한글 문자 키맵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한글 문자 키맵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143) 영역을 터치 이벤트 발생 유효 영역으로 세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209 단계에서 상기 한글 문자 키맵이 출력된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터치 또는 멀티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터치 또는 멀티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2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문자 작성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문자 작성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2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209 단계에서 특정 문자를 지시하는 터치 또는 멀티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211 단계에서 생성된 터치 또는 멀티 터치 다운 이벤트를 버퍼(153)에 버퍼링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21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멀티 터치 다운이 유지된 상태에서 멀티 터치 다운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후 터치 해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213 단계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된 이후 터치 해제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퍼(153)에 버퍼링된 터치 다운 이벤트와 상기 드래그 이벤트에 따른 문자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40) 상의 제1 위치에서 발생하는 제1 Tap 동작과, 터치스크린(140) 상의 제2 위치에서 발생하며 Tap 동작 이후 연속적으로 Drag 동작이 발생함에 따른 "Tap-Drag" 동작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터치 다운 이벤트 및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Tap and Tap-Drag"에 의해 선택된 문자들의 조함으로 특정 문자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40) 상의 제1 위치에서 제1 Tap 동작 이후 연속적으로 Drag 동작이 발생함에 따른 제1 Tap-Drag 동작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와, 제2 위치에서 제2 Tap 동작 이후 연속적으로 Drag 동작이 발생함에 따른 제2 Tap-Drag 동작이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발생하면, 해당 터치 이벤트에 따른 문자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13 단계에서 드래그 동작에 따른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217 단계로 분기하여 드래그 이벤트 없이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이벤트 없이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219 단계로 진입하여 버퍼(153)에 버퍼링된 멀티 터치 이벤트 즉 "Tap and Tap"에 따른 문자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17 단계에서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213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215 단계 및 219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221 단계로 진입하여 문자 입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문자 입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2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들 예를 들면 "Tap and Tap", "Tap-Drag and Tap", "Tap-Drag and Tap-Drag"에 따라 특정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문자 입력에 대하여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설명에서 앞서 도 3에 도시된 문자 입력은 "Tap and Tap-Drag" 입력에 따른 문자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 활성화에 따라 문자 표시 영역(145) 및 문자 입력 영역(14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 입력 영역(146)은 자음과 모음, 쌍자음 및 스페이스 선택을 위한 키 아이콘과, 영문 변환 및 숫자 변환 선택을 위한 키 아이콘과, 백스페이스 및 엔터키에 대응하는 키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음은 전체 14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를 포함하며, 모음은 3글자 즉, 천지인 "ㅡ, ㅣ, '"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자 입력 영역(146)을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모음 중 "ㅣ" 키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한편, "ㅇ"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ㅣ" 와 상기 자음"ㅇ"이 동시 터치된 상태에서 자음이 선택된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방향에 따라 입력할 수 있는 문자를 표시부(141)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자음 "ㅇ"을 터치 다운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외"를, 하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위"를, 우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애"를, 좌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에"를 입력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예상 입력 문자들과 상기 자음 "ㅇ"과의 이격 거리를 설계자의 의도 또는 사용자 설정 조정을 통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자음을 터치 다운한 상태에서 해당 자음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하는 방향에 따른 모음 예를 들면 "ㅏ, ㅓ, ㅗ, ㅜ"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추가로 멀티 터치하여 선택한 모음 "ㅣ"를 앞서 선택한 모음과 결합하여 특정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ㅣ" 선택을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에 대한 버퍼링 과정과 특정 자음 예를 들면 "ㅇ" 선택을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에 대한 버퍼링 과정 및 상기 특정 자음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방향에 대한 드래그 이벤트의 버퍼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버퍼링된 각 터치 이벤트들을 조합하여 드래그 방향에 따른 특정 문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제어부(160)가 모음과 자음 선택을 위한 멀티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자음의 위치를 기준으로 입력할 수 있는 예정 입력 문자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예정 입력 문자 출력은 설계자의 의도나 사용자의 설정 조정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특정 자음과 특정 방향에 대한 드래그 및 특정 모음을 기반으로 복잡한 문자를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도 3과 유사하게 문자 표시 영역(145)과 문자 입력 영역(146)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문자 입력 영역(146)에 배열된 키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특정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모음 "ㅣ"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특정 자음 예를 들면 "ㅇ"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동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자음을 선택한 위치에서 특정 드래그 동작 예를 들면 특정 지점을 축으로 왕복 드래그를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좌측으로 왕복 드래그를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경우, 해당 자음과 좌측 방향에 따른 복모음 예를 들면 "ㅕ"를 버퍼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이미 터치된 모음 "ㅣ"과 자음 "ㅇ"를 통합하여 "예" 문자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우측 방향으로 왕복 드래그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얘" 문자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입력 시점은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이 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왕복 드래그가 발생하더라도 도 3에서 설명한 "외" 및 "위" 만을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특정 자음과 모음으로 생성할 수 있는 문자들에 대한 DB(Data Base)를 미리 저장하고, 발생할 수 있는 문자가 DB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측 방향으로 왕복 드래그를 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요+ㅣ"라는 문자가 DB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왕복 드래그를 일반 드래그로 판단하고 "외" 문자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동작으로서 생성할 수 있는 문자가 존재하지 않음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알람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41) 상에 문자 표시 영역(145)과 문자 입력 영역(146)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입력 영역(146)은 전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문자 입력 영역(146)과 동일한 문자 입력 영역(146)이다. 이러한 문자 입력 영역(146)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멀티 터치로서 모음 "ㆍ"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하는 한편, 자음 "ㅇ"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자음 "ㅇ"을 선택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멀티 터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모음 "ㆍ"에 대한 터치 다운 이벤트와, 자음 "ㅇ"에 대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버퍼링하고, 상기 자음 "ㅇ"이 발생한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특정 방향의 드래그 이벤트를 버퍼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드래그 이벤트 방향에 따라 특정 문자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좌측 방향의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 "여"를, 우측 방향의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 "야"를, 상측 방향의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 "요"를, 하측 방향의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 "유"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모음 "ㆍ"이 선택된 상태에서 자음이 선택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드래그 이벤트 방향으로의 모음 획 추가를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41) 상에 문자 입력 영역(146)과 문자 표시 영역(145)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 영역(146) 중 모음 "ㅡ"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하는 한편, 좌하측에 마련된 "쌍"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모음 "ㅡ"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ㅡ"를 선택하는 터치 다운 이벤트, 선택된 모음이 위치한 지점에서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 및 상기 "쌍"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조합하여 특정 문자 예를 들면 "ㅛ" 또는 "ㅠ"를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쌍"을 선택하고, 모음 "ㅡ"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ㅡ"의 위치에서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ㅛ"를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ㅠ"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가 상술한 문자를 입력하는 시점은 사용자가 멀티 터치를 해제하는 시점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쌍" 문자와 모음 "ㅡ" 문자를 동시 누른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모음 "ㅡ"의 위치에서 드래그 이벤트 생성 시 그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는 모음 "ㅡ" 문자만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하고 연속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드래그 이벤트가 해제된 시점에 상술한 "ㅛ" 또는 "ㅠ"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ㅡ"가 선택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별도의 문자 입력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따라 모음의 획이 추가되어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모음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모음 추가를 통한 문자 입력을 정상적인 문자 입력 방식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무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문자들에 대한 DB가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DB를 참조하여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생성될 문자의 유효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 활성화 요청에 따라 문자 표시 영역(145)과 문자 입력 영역(146)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문자 입력 영역(146) 중 모음 "ㅣ"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하는 한편, 좌하측에 마련된 "쌍"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모음 "ㅣ"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하는 터치 다운 이벤트, 선택된 모음이 위치한 지점에서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 및 상기 "쌍"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조합하여 특정 문자 예를 들면 "ㅕ" 또는 "ㅑ"를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쌍"을 선택하고, 모음 "ㅣ"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모음 "ㅣ"의 위치한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ㅕ"를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ㅑ"를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가 상술한 문자를 입력하는 시점은 사용자가 멀티 터치를 해제하는 시점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쌍"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하지 않고, 모음 "ㅣ"만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을 수행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ㅣ"이 선택된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 드래그 이벤트 및 터치 해제 이벤트가 수집되면 "ㅕ"를 입력하여 상기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ㅣ"이 선택된 지점을 기준으로 우측 드래그 이벤트 및 터치 해제 이벤트가 수집되면 "ㅑ"를 입력하여 상기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특정 문자가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되는 시점을 터치 해제 시점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특정 자음이나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하고 연속적으로 드래그 이벤트의 드래그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해당 문자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문자 표시 영역(145) 및 문자 입력 영역(146)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우중간에 위치한 모음들을 한 번에 선택함으로써 특정 문자 입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음 "ㅡ"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하고 연속적으로 우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모음 "ㅣ"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복모음 "ㅢ"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음 "ㅣ"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연속적으로 모음 "ㆍ"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ㅏ"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모음 "ㆍ"를 먼저 선택하고 이후 모음 "ㅣ"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모음 "ㅓ"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모음 "ㅣ"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하고, 연속적으로 "ㆍ"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이벤트 발생 이후 다시 모음 "ㅣ"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ㅐ"를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모음 "ㅡ"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 생성 이후 연속적으로 모음 "ㆍ"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ㅜ"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반대로 "ㆍ"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 생성 이후 모음 "ㅡ"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ㅗ"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자음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 다운 이벤트 발생 이후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자음과 상술한 모음들과 조합된 문자를 입력하여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음 "ㅇ"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모음 선택 방식으로 특정 모음 예를 들면 "ㅢ"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문자 "의"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자음 "ㅌ"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술한 모음 선택 방식으로 특정 모음 예를 들면 "ㅐ"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태"를 입력하여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9는 "Tap and Tap"에 의한 문자 입력의 일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멀티 터치 방식을 기반으로 복자음을 입력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 활성화 요청에 따라 901 화면에서와 같이 문자 표시 영역(145)과 문자 입력 영역(146)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141)에 출력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쌍" 문자에 대응하는 키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와 특정 자음 예를 들면 "ㄱ" 문자에 대응하는 키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멀티 터치에 따른 각 키 아이콘 정보를 버퍼링하여 저장한 후 상기 버퍼링된 정보들을 통합하여 복자음 "ㄲ"을 입력하여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문자 입력 모드 선택에 따라 특정 모음을 복자음 생성을 위한 키 아이콘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상기 모음을 일반 모음으로 사용하도록 지원하는 모음 일반 모드와 자음을 복자음으로 변경하도록 지원하는 복자음 변경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자음 변경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903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모음 "ㆍ"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와 특정 자음 예를 들면 "ㅈ"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하면, 선택된 모음과 자음을 통합하여 복자음 "ㅉ"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음의 종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에 의한 문장의 입력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뉴 항목에서 문자 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문자 작성 프로그램(151) 활성화를 위해 할당된 핫 키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는 문자 입력 영역(146)과 문자 표시 영역(145)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안녕하세요"라는 문장을 입력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키 아이콘들을 선택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1001 화면에서와 같이 자음 "ㅇ"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한 이후 연속적으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자음 "ㅇ"을 선택하는 터치 다운 이벤트를 버퍼링하고 이후 연속으로 입력된 우측 방향 드래그 이벤트를 통합하여 "아"를 입력하여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1003 화면에서와 같이 입력된 "아"의 종성으로 자음 "ㄴ"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입력된 자음 "ㄴ"와 이전에 입력이 완료된 "아"를 결합하여 "안"이라는 문자를 완성하고, 이를 문자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녕"을 입력하기 위하여 1005 화면에서와 같이 모음 "ㆍ"을 선택하는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하는 한편, 자음 "ㄴ"을 선택하고 연속하여 자음 "ㄴ"이 선택된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의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ㆍ"과 자음 "ㄴ" 및 좌측 방향 드래그 이벤트를 통합하여 "녀" 문자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자 표시 영역(145)에는 "안녀"가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1007 화면에서와 같이 상기 "녀"의 종성으로 선택된 "ㅇ"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전에 입력된 "녀"와 현재 입력된 자음 "ㅇ"을 결합하여 "녕" 문자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문자 표시 영역(145)에는 "안녕"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1009 화면에서와 같이 "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자음 "ㅎ"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과 선택된 자음 "ㅎ"이 위치한 지점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들을 통합하여 "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세" 입력을 위하여 1011 화면에서와 같이 모음 "ㅣ"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 및 자음 "ㅅ"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자음 "ㅅ"이 터치된 지점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된 터치 이벤트들을 통합하여 "세" 문자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ㅣ"이 입력 시점 및 상기 자음 "ㅅ" 입력과 좌측 방향 드래그 이벤트 입력 시점의 순서에 관계없이 두 개의 멀티 터치가 입력되면 "세"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요"를 입력하기 위하여 1013 화면에서와 같이 모음 "ㆍ"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 자음 "ㅇ"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 및 상기 자음 "ㅇ"이 선택된 지점에서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자음 "ㅇ"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와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이벤트 및 모음 "ㆍ"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를 통합하여 "요"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은 특정 자음과 특정 모음을 멀티 터치하고, 특정 자음 또는 특정 모음이 선택된 위치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하면 생성된 터치 이벤트들을 통합하여 복잡한 문자의 입력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상기 도 11은 "Tap-Drag and Tap-Drag" 기반의 문자 입력을 나타낸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정 복모음을 터치 다운과 드래그 동작을 멀티 터치된 키 아이콘들의 조합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얘"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자음 "ㅇ"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하는 한편 모음 "ㅣ"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자음 "ㅇ"을 선택한 위치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모음 "ㅣ"을 선택한 위치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자음 "ㅇ"을 선택한 터치 다운 이벤트와 연속된 동작으로 발생하는 우측 드래그 이벤트의 통합으로 "아" 문자를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모음 "ㅣ"를 선택한 터치 다운 이벤트와 연속된 동작으로 발생하는 좌측 드래그 이벤트의 통합으로 "ㅓ" 문자를 고려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아"와 상기 "ㅓ"를 통합하여 상기 "얘" 문자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특정 문자 입력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키맵 상에서 복수의 키 아이콘이 선택되는 멀티 터치 이벤트에 따라 특정 문자 예를 들면 복자음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Tap and Tap" 방식의 멀티 터치에 따라 특정 문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ap-Drag and Tap" 방식 또는 "Tap and Tap-Drag" 방식의 멀티 터치에 따라 복잡한 문자 입력을 간편하게 입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Tap-Drag and Tap-Drag" 방식을 통하여 복잡한 복모음 입력을 간편하게 입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nd"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은 각각의 터치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주파수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터치스크린 150 : 저장부
151 : 문자 작성 프로그램 153 : 버퍼
160 : 제어부

Claims (18)

  1. 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키 아이콘을 멀티 터치함에 따른 멀티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멀티 터치 이벤트를 기반으로 선택된 키 아이콘들을 통합하여 특정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과정; 및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드래그 이벤트 수집 과정은
    상기 문자 입력 영역 중 자음이 위치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문자 입력 영역 중 모음이 위치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자음 및 모음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지점에서 일정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한 후 다시 상기 자음 및 모음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지점으로 드래그되어 복귀하는 왕복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자음이 위치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는 경우 모음 "ㅣ"에 상기 드래그 이벤트 방향에 따른 모음의 획 추가로 생성되는 문자와 상기 멀티 터치 시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을 결합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모음이 위치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모음에 상기 드래그 이벤트 방향으로의 획을 추가한 문자와 상기 멀티 터치 시 선택된 자음을 결합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선택된 자음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 방향에 따라 모음 "ㅣ"에 모음의 획을 추가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모음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에 방향에 따라 해당 모음에 획을 추가하는 과정;
    상기 획이 추가된 모음과, 상기 자음 및 상기 모음"ㅣ"에 추가된 획을 포함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왕복 드래그 이벤트 발생 시 모음 "ㅣ"와, 상기 왕복 드래그 이벤트 방향으로의 획 추가 및 모음 "ㅣ"를 포함하는 복모음과 상기 멀티 터치 시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을 포함하는 문자를 통합하여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복자음 생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복자음 생성 모드 활성화 시, 상기 멀티 터치 이벤트에 따라 모음 및 자음이 선택되면, 선택된 자음을 복자음으로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표시 이전에 표시될 문자가 기 저장된 문자 데이터베이스 목록에 없는 경우 해당 문자 표시를 무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은
    "ㅡ", "ㅣ" 및 "ㆍ"을 포함하는 모음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를 포함하는 자음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복자음 입력을 위한 "쌍" 키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1. 문자 입력 영역 및 문자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층에 마련되어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멀티 터치 이벤트 및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 및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문자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 출력된 적어도 한 개의 키 아이콘을 멀티 터치하는 상기 멀티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멀티 터치 이벤트들을 기반으로 멀티 터치 된 키 아이콘들을 통합한 특정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키 아이콘들 중 자음이 위치한 영역에서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키 아이콘들 중 모음이 위치한 영역에서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키 아이콘들 중 자음 및 모음이 위치한 영역에서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두 개의 드래그 이벤트;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선택된 키 아이콘들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영역에서 일정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한 이후 처음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왕복 드래그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버퍼가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이 위치한 지점에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모음 "ㅣ"에 상기 드래그 이벤트 방향에 따른 모음의 획을 추가한 문자와 상기 멀티 터치 시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을 결합한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터치 상태의 모음이 위치한 영역에서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면, 상기 선택된 모음에 상기 드래그 이벤트 방향으로의 획을 추가한 문자와 상기 멀티 터치 시 선택된 자음으로 결합한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터치 상태의 자음이 위치한 영역에서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 및 상기 터치 상태의 모음이 위치한 영역에서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면, 상기 선택된 자음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 방향에 따라 모음 "ㅣ"에 모음의 획을 추가하고, 상기 선택된 모음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에 방향에 따라 해당 모음에 획을 추가한 후 상기 획이 추가된 모음과, 상기 자음 및 상기 모음"ㅣ"에 추가된 획을 포함하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왕복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는 경우, 모음 "ㅣ"와, 상기 왕복 드래그 이벤트 방향으로의 획 및 모음 "ㅣ"를 포함하는 복모음과 상기 멀티 터치 시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을 포함하는 문자를 통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자 입력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자음의 복자음을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 포함된 모음 및 자음으로 생성 가능한 문자들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 이전에 입력될 문자가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 목록에 없는 경우 해당 문자 입력을 무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자음이 위치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는 경우, 드래그 하는 방향에 따라 “ㅏ”, “ㅓ”, “ㅗ”, “ㅜ” 중 하나의 모음과 상기 멀티 터치 시 선택된 자음을 결합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이 위치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이벤트를 수집하는 경우, 드래그 하는 방향에 따라 “ㅏ”, “ㅓ”, “ㅗ”, “ㅜ” 중 하나의 모음과 상기 멀티 터치 시 선택된 자음을 결합한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22505A 2010-03-12 2010-03-12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5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505A KR101650339B1 (ko) 2010-03-12 2010-03-12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RU2012123742/07A RU2560127C2 (ru) 2010-03-12 2011-03-08 Способ ввода текста в переносном устройстве и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его
CN201180012253.5A CN102783124B (zh) 2010-03-12 2011-03-08 便携式装置中的文本输入方法和支持该方法的便携式装置
JP2012556970A JP5777645B2 (ja) 2010-03-12 2011-03-08 携帯端末機の文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携帯端末機
CA2791701A CA2791701A1 (en) 2010-03-12 2011-03-08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11753581.5A EP2491704B1 (en) 2010-03-12 2011-03-08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PCT/KR2011/001584 WO2011111976A2 (en) 2010-03-12 2011-03-08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3/042,696 US8799779B2 (en) 2010-03-12 2011-03-08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AU2011225054A AU2011225054B9 (en) 2010-03-12 2011-03-08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505A KR101650339B1 (ko) 2010-03-12 2010-03-12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265A KR20110103265A (ko) 2011-09-20
KR101650339B1 true KR101650339B1 (ko) 2016-09-05

Family

ID=4456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505A KR101650339B1 (ko) 2010-03-12 2010-03-12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99779B2 (ko)
EP (1) EP2491704B1 (ko)
JP (1) JP5777645B2 (ko)
KR (1) KR101650339B1 (ko)
CN (1) CN102783124B (ko)
CA (1) CA2791701A1 (ko)
RU (1) RU2560127C2 (ko)
WO (1) WO20111119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771B1 (ko) * 2011-09-21 2013-07-17 김호성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55404A (ko) * 2011-11-18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30226590A1 (en) * 2012-02-29 2013-08-29 Pantech Co., Ltd. Voice input apparatus and method
CN102662590A (zh) * 2012-04-12 2012-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图标处理方法及装置
KR102051585B1 (ko) * 2012-08-27 2019-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이용한 핸드 라이팅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D767579S1 (en) * 2012-09-12 2016-09-27 G & G Commerce Ltd. Computer keyboard
JP2015219630A (ja) * 2014-05-15 2015-12-0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54710B1 (ko) * 2015-02-24 2016-09-06 전자부품연구원 손동작 기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2017943B1 (ko) * 2017-09-13 2019-09-04 권혁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N111399739B (zh) * 2020-03-11 2022-04-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触摸事件转换处理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119A (en) * 1992-06-11 1996-07-09 Hitachi, Ltd. Character inputting method allowing input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haracter speci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dopting the same
US7145554B2 (en) * 2000-07-21 2006-12-05 Speedscript Ltd. Method for a high-speed writing system and high -speed writing device
US7168046B2 (en) * 2001-04-26 2007-0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1068486B1 (ko) * 2004-04-23 2011-09-28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WO2008010432A1 (fr) * 2006-07-20 2008-01-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interface utilisateur, programme informatique et son support d'enregistrement
WO2008016286A1 (en) * 2006-08-04 2008-02-07 Eui-Jin Oh Data input device
KR100805770B1 (ko) 2006-08-16 2008-02-21 에이디반도체(주) 문자입력장치
JP4694579B2 (ja) * 2007-04-11 2011-06-08 株式会社フェイビー 文字入力システム
KR20090025610A (ko) * 2007-09-06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처리 방법 및 한글 입력장치
SG152092A1 (en) * 2007-10-26 2009-05-29 Creative Tech Ltd Wireless handheld device able to accept text input and methods for inputting text on a wireless handheld device
KR100878191B1 (ko) * 2007-10-27 2009-01-13 주식회사 자코드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TW200923758A (en) * 2007-11-27 2009-06-01 Wistron Corp A key-in method and a content display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application thereof
KR101102725B1 (ko) * 2008-02-20 201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900087B1 (ko) * 2008-03-31 2009-06-01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 입력 방법
KR101412586B1 (ko) * 2008-07-01 201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KR101504201B1 (ko) 2008-07-02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JP2010033272A (ja) * 2008-07-28 2010-02-12 Fujitsu Ltd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US8584031B2 (en) * 2008-11-19 2013-11-12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RU2008152168A (ru) * 2008-12-29 2009-09-27 Владимир Витальевич Мирошниченко (RU) Символ плюс
US8745518B2 (en) * 2009-06-30 2014-06-03 Oracle America, Inc. Touch screen input recognition and character selection
US8217787B2 (en) * 2009-07-14 2012-07-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touch text input
KR20100024471A (ko) * 2010-02-12 2010-03-05 김정욱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1704A4 (en) 2016-03-02
RU2560127C2 (ru) 2015-08-20
CA2791701A1 (en) 2011-09-15
JP2013522714A (ja) 2013-06-13
WO2011111976A3 (en) 2012-01-05
CN102783124B (zh) 2016-08-17
JP5777645B2 (ja) 2015-09-09
WO2011111976A2 (en) 2011-09-15
US8799779B2 (en) 2014-08-05
AU2011225054B2 (en) 2015-06-25
RU2012123742A (ru) 2014-04-20
EP2491704A2 (en) 2012-08-29
AU2011225054A1 (en) 2012-07-05
US20110225529A1 (en) 2011-09-15
CN102783124A (zh) 2012-11-14
EP2491704B1 (en) 2018-08-08
KR20110103265A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339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5918144B2 (ja) 携帯用装置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KR101566379B1 (ko) 입력 신호 종류 별 사용자 기능 활성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EP218245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9590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an icon from a pag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to another page
US8707195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via a touch-sensitive surface
US9001056B2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multiple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1640463B1 (ko)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EP2151980B1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processing messages using the same
KR20100124438A (ko) 휴대 단말기의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30120271A1 (en)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EP237253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list in portable terminal
US20110298723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via a Touch-Sensitive Surface
KR20110047409A (ko)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00124440A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52748A (ko)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80232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ptional key map of portable terminal
KR2010013494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00062251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47195A (ko)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 변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219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30398A (ko) 명령어 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683076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조키맵 운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