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463B1 -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463B1
KR101640463B1 KR1020090043413A KR20090043413A KR101640463B1 KR 101640463 B1 KR101640463 B1 KR 101640463B1 KR 1020090043413 A KR1020090043413 A KR 1020090043413A KR 20090043413 A KR20090043413 A KR 20090043413A KR 101640463 B1 KR101640463 B1 KR 10164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ouch
item
touch drag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428A (ko
Inventor
신현경
이봉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63B1/ko
Priority to US12/776,619 priority patent/US8910068B2/en
Priority to PCT/KR2010/003090 priority patent/WO2010134729A2/en
Priority to CN201510338387.6A priority patent/CN104951232B/zh
Priority to EP10777916A priority patent/EP2433209A4/en
Priority to JP2012511755A priority patent/JP5694299B2/ja
Priority to EP20189224.7A priority patent/EP3783472A1/en
Priority to CN201080022717.6A priority patent/CN102439555B/zh
Publication of KR2010012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428A/ko
Priority to US14/548,406 priority patent/US2015007459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롤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들이 배치된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지정된 항목에 대하여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하며, 이에 따라, 화면의 전환 없이 빠르고 편리하게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 기능, 항목, 리스트, 스크롤, 터치 이벤트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방향으로 스크롤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항목이 스크롤되지 않는 일정 방향으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지정된 항목에 대한 기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일측에 기구적으로 배치되는 키패드 등을 통하여 일정 문자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하여 그 크기가 한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형의 휴대 단말기에서 적절한 표시부 크기를 확보하기 위하여 키패드를 제거하고 표시부에 터치 패널을 배치하는 터치스크린을 지원하기도 한다.
한편, 종래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가 제공하는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입출력 조건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해당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생성, 활성화된 메뉴 화면 확인, 원하는 항목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 선택된 항목을 기반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 등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 휴대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반복적이며 불필요한 작업 수행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특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기능을 빠르고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스크롤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배치되는 영역을 출력하고, 제1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여 특정 항목을 지정하면,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기 지정된 항목에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색과 형태 중 적어도 일부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는,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 스크롤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배치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항목들의 이미지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목을 지정하는 제1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점 범위 내에서 상기 지정된 항목에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지정된 항목에 링크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추가적인 입력 신호 생성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지정"은 표시부에 출력되고 있는 특정 항목 예를 들면 메뉴 항목이나, 컨텐츠, 통화 로그 등을 지시하는 것으로, 해당 항목을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기 직전 상태가 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표 시부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지정"한 이후, 해당 항목을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입력 신호 생성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가 정의하는 일정 영역 내에서의 터치 이벤트 발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항목이 "지정"된 상태는 해당 항목에 제공되는 입력 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지속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입력 신호가 제거되거나, 또는 제거된 이후 추가적인 입력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항목을 지정하기 위하여 해당 항목이 출력되는 영역에서 제1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터치 다운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해제하기 위하여 터치 다운 이벤트를 제거 즉, 터치 업 이벤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지정"된 항목을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지정"된 항목에 제공되는 터치 다운 이벤트를 변화시키는 동작 예를 들면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기 "지정된" 항목을 무브(move), 드래그(drag), 스윕(sweep)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특정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포함된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본원 발명의 터치스크린 운용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배치 된 특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특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저장부에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검색을 통하여 101 화면에서와 같은 화면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웹 페이지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특정 웹 페이지 주소를 101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 형태의 리스트로 출력할 수 있다. 101 화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101 화면은 상단에 무선주파수부의 수신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알람 설정을 나타내는 아이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 등이 배열되는 인디케이터 영역(11)과,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메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목(Title) 영역(13), 해당 메뉴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개의 항목들이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는 리스트 영역(15), 기타 화면 전환 및 메뉴 선택을 위한 제어키 영역(1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11)과 상기 제어키 영역(17)은 설계자의 의도 및 휴대 단말기의 특성,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101 화면에서 제거되거나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영역(15)에는 다수개의 리스트 즉, "List1, List2, List3, List4, List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스트 영역(15)은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은 일정 영역을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고, 또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리스트들을 일정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일정 방향으로의 스크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리스트 영역(15)에 배열되어 있는 리스트들 외에 추가적인 리스트들이 상기 메뉴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작업을 요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는 리스트의 일정 영역을 터치한 이후,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리스트 영역(15)의 일정 항목 예를 들면 "List2"가 배치된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리스트 영역(15)에 표시되고 있는 항목들 중 "List2" 항목을 기반으로 하는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하여 상기 "List2" 항목을 지정할 수 있다. "List2" 항목 지정을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해당 항목이 배열되어 있는 터치 패널 영역에 대하여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터치 다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103 화면에서와 같이, 지정된 항목이 지정되기 이전 항목의 형태나 색 또는 다른 항목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특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으로 할당된 이미지를 다른 리스트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해당 이미지를 특정 색으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해당 이미지를 반전시키거나, 해당 이미지의 테두리를 기준으로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가 키패드를 제공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의 방향키나 숫자키 등을 운용하여 해당 항목을 지정할 수 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103 화면에서 해당 메뉴가 제공하는 추가적인 항목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크롤 기능을 위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103 화면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리스트 영역(15)의 일정 부분 예를 들면 "List2" 영역에서 터치 다운을 수행하고, 105 화면에서와 같이 손가락 등의 물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리스트 영역(15)에서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터치 다운 이벤트 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 또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스크롤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105 화면에서와 같이, 스크롤 기능 수행을 하고, 스크롤 기능 수행에 따라 리스트 영역(15)의 화면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즉, 휴대 단말기는 리스트 영역(15)에서 보이지 않던 추가적인 리스트들을 표시부에 출력하고, 그에 대응하여 이전 리스트 영역(15)에 출력되고 있던 특정 항목들 예를 들면 리스트 영역(15)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된 리스트들을 표시부에서 제거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103 화면에서 "List2"가 터치됨에 따라 제공되던 효과를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면서 해제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103 화면에서 반전 또는 형태 변경을 통하여 다른 리스트들과 구별되도록 표시된 "List2" 항목을 105 화면에서는 최초 101 화면에서의 상태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스크롤 기능에 따라 리스트 영역(15)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03 화면에서 105 화면으로의 스크롤 기능 수행은 상술한 터치 무브 또는 터치 드래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플릭(Flick) 이벤트 등에 의해서도 상기 스크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롤 기능에 따른 리스트 영역(15)의 이동은 상기 터치 무브 또는 터치 드래그의 이동 거리, 상기 플릭 이벤트의 가속도 세기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동 거리 또는 가속도 세기에 다른 리스트 영역(15)의 이동 거리는 설계자의 설계 규격, 사용자의 설정 등에 의해 고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103 화면에서, "List2" 항목을 선택한 사용자는 해당 항목을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요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는 107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항목이 지정된 상태에서,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List2" 항목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List2" 항목을 지정한 이후, 지정된 "List2" 항목을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스윕, 무브, 드래그시킬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항목에 대하여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에 따라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항목이 지정된 이후 상기 조건에 만족되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루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스크롤이 가능한 리스트 영역(15)에 배치된 상기 "List2" 항목이 지정된 상태에서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일정 형태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해당 항목을 삭제하거나, 해당 항목을 재생하거나, 해당 항목을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해당 항목을 편집하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설정은 실질적으로 설계자에 의해 제공되거나, 상기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편집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하다.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설정된 범위 및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시점에 대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일정 방향으로 발생되는 터치 이벤트들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표시부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 용자가 "List2" 항목을 지정하여 좌측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시키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으로 배정되어 있는 이미지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라져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배경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현재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사용자 기능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용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들이 리스트 영역(15)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 상에서 121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항목 즉, "List2" 항목을 지정하고, 해당 항목을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시킬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List2" 항목을 지정한 효과와 상기 "List2" 항목에 대한 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노출된 배경에 상기 "List2" 항목이 이동하는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제1 기능 정보(Func1)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노출된 배경에 "List2" 항목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 기능의 설명을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ist2" 항목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Lsit2" 항목이 삭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노출된 배경에 상기 "List2" 항목 삭제를 알릴 수 있는 제1 기능 정보(Func1)를 텍스트 예를 들면, "삭제" 또는 "Delete"를 출력하거나, 삭제의 의미를 가지는 휴지통 아이콘이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123 화면에서와 같이, "List2" 항목을 지정한 이후 좌측 방향으로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드래그시킬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121 화면에서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List2" 항목을 지정한 효과와 상기 "List2" 항목에 대한 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노출된 배경에 상기 "List2" 항목이 이동하는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제2 기능 정보(Func2)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노출된 배경에 "List2" 항목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 기능의 설명을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ist2" 항목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Lsit2" 항목을 편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노출된 배경에 상기 "List2" 항목 편집을 알릴 수 있는 제2 기능 정보(Func2)를 텍스트 예를 들면, "편집" 또는 "Edit"를 출력하거나, 편집의 의미를 가지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121 화면에서의 노출된 배경과 123 화면에서의 노출된 배경은 동일한 색과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기능 수행에 대한 직관력을 높이기 위하여 다른 색,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적어 도 하나의 항목이 스크롤 기능을 가지면서 배치된 영역에서,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항목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사용자 기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기능을 하나의 화면에서 처리할 수 있어, 불필요한 화면 전환이나 입력 신호 생성을 수행하지 않게 되어 보다 편리한 단말기 운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항목 이동에 따른 효과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표시부(141)는 제목 영역(13)과, 리스트 영역(15)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영역(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들이 일정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스크롤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에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해당 항목에 제공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기 설정된 효과(Effect)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List2" 항목을 지정하였고, 해당 항목이 출력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제2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좌측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하였다고 가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List2" 항목의 일정 부분의 색과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경계 부분을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List2" 항목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우측 측면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우측 측면과 배경 사이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측 측면은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 내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우측 측면은 좌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List2" 항목과 인접해 있는 다른 항목들 예를 들면 "List1" 항목이 표시된 영역의 일부를 가리도록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우측 측면과 노출되는 배경과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우측 측면은 배경으로부터 이탈되는 시점에서 일정 거리 이동할 동안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가 일정 거리 이후부터는 배경과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List2" 항목 이미지는 노출된 배경과 대면되고 있던 배면의 노출된 면적이 상기 우측 측면의 이동에 따라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상기 우측 측면의 이동은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우측 측면의 이동 거리와 속도는 터치 드래그에 의해 발생되는 드래그 거리, 드래그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변화는 우측 측면이 배경으로부터 이탈되어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측 측면이 배경으로 부터 이탈되어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List2" 항목을 지정한 이후, 스크롤이 발생하는 않는 범위 내에서 좌측 방향을 가지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의 이미지 변화에 따라 노출되는 배경 일측에 상기 "List2" 항목의 이미지 변화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정보(Func)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기능 정보(Func)는 상기 이미지의 변화에 있어서 좌측 또는 우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 및 설계자에 의하여 변경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항목 이동에 따른 효과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표시부(141)는 제목 영역(13)과, 리스트 영역(15)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영역(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들이 일정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스크롤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에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List2" 항목을 지정하였고, 해당 항목이 출력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터치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하였다고 가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List2" 항목의 일정 부분이 변화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 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일정 부분이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으로 말리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List2" 항목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우측 측면과 우측부가 배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이후, 우측 측면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우측 측면이 이미지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동하다가, 이미지의 전면과의 각도가 180도 즉, 평행하게 배치된 이후, 이미지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말려가도록 표시되며, 이때,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차지하고 있던 배경의 노출 영역은 말리는 양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다. 상기 배경의 노출 영역에는 상기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변화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Func)가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좌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우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일정 부분을 변경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일정 부분은 좌측 측면과 좌측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방향이 다른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좌측에 형성된 배경에는 상기 우측에 형성된 배경에서와 동일 또는 다른 기능 정보(Func)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항목 이동에 따 른 효과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표시부(141)는 제목 영역(13)과, 리스트 영역(15)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영역(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들이 일정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스크롤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에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List2" 항목을 지정하였고, 해당 항목이 출력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터치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하였다고 가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List2" 항목의 일정 부분이 변화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일정 부분이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제거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List2" 항목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터치 이벤트가 좌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동안 우측 가장자리에서 좌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씩 제거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제거되는 일정 부분의 이미지에 따라 배경의 일정 부분이 노출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영역에서 제거되는 일정 부분의 이미지는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의 속도와 이동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거되는 일정 부분의 이미지 영역은 제거되고 있음을 지시하기 위한 효과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이 물결무늬로 표현되거나, 모래가 흩 어지듯 입자가 점진적으로 작게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차지하고 있던 배경이 조금씩 노출되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배경에 출력되도록 할당된 기능 정보(Func)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 정보(Func)는 상기 배경으로부터 제거된 양에 따라 일정 부분씩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능 정보(Func)의 일부만이 노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항목 이동에 따른 효과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표시부(141)는 제목 영역(13)과, 리스트 영역(15)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영역(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들이 일정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스크롤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에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List2" 항목을 지정하였고, 해당 항목이 출력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터치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하였다고 가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List2" 항목의 일정 부분이 변화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일정 부분이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구겨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List2" 항목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터치 이벤트가 좌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동안 우측 가장자리에서 좌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씩 구겨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의 일정 부분이 점진적으로 구겨짐에 따라 배경의 일정 부분이 노출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영역에서 구겨지는 일정 부분의 이미지는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의 속도와 이동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부분의 이미지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수록 구겨지는 이미지의 양이 많아지도록 표현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A"에서와 같이 터치 드래그의 이동거리가 많지 않은 경우, 구겨짐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게 표시되며, 터치 드래그의 이동거리가 많은 경우, "B"에서와 같이 구겨짐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양이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기 설정된 경계점을 넘거나 "List2" 항목의 이미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구겨짐 표시의 완료 형태로서, 상기 "List2" 항목 이미지를 "C"에서와 같이 해당 이미지가 뭉쳐서 구겨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 이미지의 일정 부분이 구겨짐에 따라 노출되는 배경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정보(Func)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정보(Fun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이나 특정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 정보(Func)가 "삭제"에 해당하는 정보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지통" 아이콘을 노출된 배경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뭉쳐서 구겨져 있는 이미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해당 이미지를 지정하고, 드래그하여 상기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들이 배치된 화면에서, 특정 항목을 지정하고,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화면의 전환 없이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리스트 관리 및 사용자 기능 이용을 매우 편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List2" 항목을 "삭제"하기 위하여 "휴지통" 아이콘으로 터치 드래그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별도의 터치 드래그 이벤트 수집 과정 없이, 상기 "B" 상태에서 "C"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뭉쳐서 구겨진 이미지를 자동으로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시켜 "삭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B" 상태에서 기 설정된 경계지점을 넘지 않고 상기 사용자가 터치 상태를 해제 예를 들면 터치 업 이벤트를 생성하면, 구겨진 이미지가 다시 펴지도록 표시하면서 원래의 상태인 "List2" 항목 이미지가 출력되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항목 이동에 따른 효과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표시부(141)는 제목 영역(13)과, 리스트 영역(15)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영역(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들이 일정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스크롤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에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List2" 항목을 지정하였고, 해당 항목이 출력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터치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하였다고 가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List2" 항목이 변화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할당된 영역 내에서 설정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List2" 항목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터치 이벤트가 좌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동안 기 설정된 축(E)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상기 축(E)을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의 좌측부(EL)는 배경 이미지의 뒤편으로 이동하고, 상기 축(E)을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의 우측부(ER)는 배경 이미지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이미지가 좌측으로 회전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원근감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의 좌측부(EL)는 축(E)으로부터 좌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의 우측부(ER)는 축(E)으로부터 우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배경의 일측에 해당 이미지 변화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 정보(Func)를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기능 정보(Func)를 우측 배경에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좌측 배경에 출력하거나, 좌우측 배경에 모두 출력할 수 도 있다.
한편, 상술한 좌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따른 이미지 출력 효과는 우측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터치 드래그 이벤트를 우측 방향으로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축(E)을 기점으로 상기 이미지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이미지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노출되는 배경에는 상기 좌측 회전 시 노출된 배경에 출력되는 기능 정보(Func)와 동일 또는 다른 기능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의 회전이 일정 경계 각도 이상 예를 들면 배경의 단면을 기준으로 60도 ~ 90도 사이의 특정 각도 이상을 넘어서는 경우, 상기 기능 정보(Func)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의 회전량을 터치 드래그 이벤트의 속도와 거리에 따라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미지의 회전량이 기 설정된 경계 각도를 넘지 않는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원래의 상태 즉, 배경이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미지 변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표시부(141)는 제목 영역(13)과, 리스트 영역(15)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영역(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들이 일정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스크롤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에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List2" 항목을 지정하였고, 해당 항목이 출력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터치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하였다고 가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List2" 항목이 변화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 예를 들면 직사각형 이미지가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 진행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영역 중 서로 인접된 모서리 영역이 이미지가 놓인 배경으로부터 분리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함으로서, 이미지가 가장자리 영역에서부터 갈라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의 영역들이 점진적으로 일정 방향으로 갈라짐에 따라 노출되는 배경을 표시하고, 상기 배경에는 앞서 설명한 기능 정보(Func)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에 따른 지정 항목의 색과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이미지 변화를 요약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는 제어부 제어 하에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의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 항목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을 상기 이미지가 놓인 배경으로부터 분리시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일측 가장자리 영역의 배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일측 가장 자리 영역과 상기 이미지의 전면 사이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표시하여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부는 제어부 제어 하에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의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 항목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을 상기 이미지가 놓인 배경으로부터 분리시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이 상기 이미지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하다가, 전면과 수평을 이루는 시점에서 상기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이 상기 이미지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말리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의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 항목의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할당된 이미지의 색과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이미지 상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이미지의 가장자리 영역과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까지의 영역이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배경으로부터 분리되어 일정 형태로 접히며 이동 되도록 표시하고, 일정 경계 지점을 경과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놓인 배경 상에서 기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일정 지점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의 일부는 배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미지의 가장 자리 영영역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의 나머지 일부는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미지의 가장 자리 영역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 진행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적어도 두개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 영역이 서로 인접된 모서리 영역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하여 상기 이미지가 갈라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앞서 설명한 이미지의 변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이미지 변화를 제공할 수 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이미지의 색과 형태를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점진적으로 제거하는 이미지 변화를 설명하였지만, 이 과정에서 이미지의 색만을 제거하여, 해당 지정 항목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비쳐지도록 표시하고, 이에 따라 시각적으로 구분이 가능한 지정 항목의 배경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경에는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특정 항목을 지정할 경우, 해당 항목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변경되어 배경에 설정된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기능 정보를 바로 확인하고, 해당 기능 정보가 설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항목을 터치 드래그함으로써, 빠른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변화된 이미지를 변화되기 이전 이미지 상태로 복구하는 시점은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지나가기 이전에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지나간 이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지나가기 이전에,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지나간 이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중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따른 시점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발생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배치된 상태에서, 스크롤이 가능하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화면 전환 없이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기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사용자가 지정한 항목에 대하여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지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공되는 표시 효과는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항목 전체에 통합적으로 적용되거나, 항목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적용될 수 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용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 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터치스크린(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스크롤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배치된 영역에서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기능을 별도의 화면 전환 없이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기능은 상기 특정 항목이 지원 가능한 기능이며,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기능 변경을 위한 별도의 편집 메뉴 및 화면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이하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및 영상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주파수부(110)는 터치 패널(143)이 생성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제어부(160) 제어 하에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110)는 메뉴 아이콘 또는 이미지로 제공가능하며, 다른 휴대 단말기 기능과 함께 리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면, 무선주파수부(110)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들과 함께 배치된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의 특정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의 기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의 사용자 기능에 필요한 화면 예를 들면, 폰 북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이메일 작성 화면, 통화 로그 화면, 메신저 기능 지원 화면 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4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 생략되고 상기 터치스크린(14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앞서 설명한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각 이미지들이 변경되는 동안 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와 같이 이미지의 일정 부분이 구겨지는 동안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종이가 구겨짐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도 7과 같이 이미지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에 따른 공기 마찰음을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기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각 이미지 변화에 따른 적절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신호는 설계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세팅 및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사용자 기능에 대하여 음성 신호로서 알람할 수 있다. 즉, 특정 항목에 대하여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설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해당 터치 이벤트로 인해 수행될 사용자 기능에 대하여 음성 신호로 알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항목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특정 항목에 설정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삭제"를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표시부(141)와 터치 패널(143)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40)은 표시부(141) 전면에 터치 패널(143)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의 크기는 터치 패널(143)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1)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41)는 휴대 단말기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1)는 적어도 하나의 스 크롤이 가능한 항목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화면에서 상기 항목을 지정함에 따른 지정 효과, 상기 지정된 항목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 변화 효과, 상기 이미지 변화에 따라 노출되는 배경 효과, 상기 지정 항목에 대한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대응하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1)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표시부(14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1)는 터치 패널(143)의 크기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터치 패널(143)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43)은 상기 표시부(141)를 덮도록 배치되며 물체의 접촉 또는 물체의 접근 거리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43)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터치 패널(143)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해당 위치 정보와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의 종류는 터치 패널에 물체를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다운 이벤트, 물체의 접촉을 해제함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업 이벤트, 터치 다운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접촉을 이동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터치 무브 또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 일정 방향으로 가속도를 가지며 상기 접촉을 이동시킴에 의해 발생하는 플릭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패널(143)로부터 전달되는 터치 이벤트로부터 위치 정보와 터치 이벤트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에 매핑된 표시부의 특정 이미지를 확인한 이후, 이미지에 링크되어 있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고,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항목으로 가지는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른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터치 기능 지원을 위한 터치 운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운용 프로그램은 스크롤 기능을 위해 발생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현재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스크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루틴,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터치 이벤트 생성에 따라 지정된 항목에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루틴을 포함하며, 기타 터치 운용에 필요한 제어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발생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변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정보,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특정 항목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수행되어야 할 사용자 기능의 종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영역은 특정 항목에 대하여 "삭제", "편집", "전달", "작성" 등 다양한 사용자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링크시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항목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다수개의 항목들에 대하여 각 항목들이 터치 이벤트에 따라 수행되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빠른 사용자 기능 제공을 위한 신호 흐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표시부(141)에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스크롤이 가능한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특정 항목이 지정되고 스크롤이 수행되지 않는 일정 영역 범위 내에서 기 설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지정된 항목이 사용자 설정에 따라 수행할 사용자 기능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텍스트 정보, 아이콘이나 이미지 정보 및 소리 정보로서 알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임계점 이상으로 발생하면, 상기 지정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지정 항목에 관한 표시 효과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초기화된 상태가 완료되면, S101 단계에서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슬립(Sleep) 상태로 천이되었다가, 활성화되는 경우에도 해당 대기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가 활성화되는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라 터치 패널을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생성하는 입력 신호 예를 들면 입력부 운용을 통한 입력 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특정 응용 프 로그램이 활성화되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03 단계에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이 가능한 항목들을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입력 신호 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한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05 단계에서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 다운 이벤트가 지정하는 항목에 대하여 다른 항목들과 구별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한 지정 항목에 대하여 이전에 가졌던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음영을 반전하거나, 항목의 테두리를 하이라이트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는 S107 단계에서 스크롤이 가능한 방향으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S109 단계로 분기하여 발생된 터치 이벤트 방향에 따라 지정된 항목에 대한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한 사용자 기능이 하나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터치 이벤트 방향이 서로 상반되더라도 설정된 하나의 사용자 기능에 대하여 텍스트 정보, 아이콘이나 이미지, 음성 신호 등으로 알람을 수행한 이후, 해당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이 복수개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좌측 터치 드래그 이벤트, 우측 터치 드래그 이벤트, 좌우측 터치 드래그(Sweep)가 발생하면, 발생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사용자 기능에 대하여 알람하고, 해당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기능에 따른 화면 전환을 지원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기능이 해당 항목에 대한 편집 기능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S107 단계에서 스크롤이 가능한 방향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11 단계로 분기하여 지정된 항목을 기준으로 발생된 터치 이벤트 방향으로의 스크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S113 단계에서 단말기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 S103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화면 인터페이스 설명에서는 복수개의 항목들이 세로로 나열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복수개의 항목들에 대하여 가로로 나열시키고,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사용자 기능에 대한 알람 및 해당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항목들이 도 11의 201 화면에서와 같은 격자(Grid) 형태로 배열된 경우, 휴대 단말기는 스크롤이 가능한 방향으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203 화면에서와 같이, 스크롤이 가능한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의 스크롤 기 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205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이벤트로서 지정한 항목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지정 항목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표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능에 대한 알람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201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항목을 지정할 경우, 지정 효과를 표시하면서, 좌우 터치 드래그가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이미지 예를 들면 방향성 지시가 가능한 꺽쇠 형태의 이미지를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주변 또는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 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목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항목은 리스트 영역(15)에서 "L1"의 높이를 포함하는 면적을 가지게 되며, 상기 특정 항목의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는 높이가 "L1" 보다 크게 설정되는 "L2"를 포함하는 면적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List2" 항목을 지정하는 경우, 지정되지 않은 항목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정의되는 영역은 "L1" 을 포함하는 면적이 되며,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지정 항목에 대하여 L2를 포함하는 면적에서 상기 L1을 포함하는 면적을 제외한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가드 영역을 설정하게 된다. 이후,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가 상기 L2 높이를 포함하는 면적을 벗어나 그 이외의 영역 즉, "L2" 높이를 포함하는 면적을 벗어난 List1 영역의 적어도 일부 또는 "L2" 높이를 포함하는 면적을 벗어난 List3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발생하면, 휴대 단말기는 해당 터치 이벤트가 스크롤을 위한 터치 이벤트로서 인식하고, 스크롤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스크롤 기능 활성화에 따라 지정 항목에 대한 지정 상태를 해제하고, 지정 항목에 대하여 최초 지정되기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List2" 항목을 지정하고,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좌, 우 또는 좌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생한 사용자 기능 수행을 위한 터치 이벤트에 대한 이미지 변화 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 기능 알람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기능 수행을 위한 터치 이벤트가 경계 지점인 "d" 지점을 경과하거나, "d" 지점을 경과한 이후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항목에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계 지점은 실질적으로 상기 이미지 변화 효과에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에서 휴대 단말기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도 11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d" 지점을 지나치는 경우,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휴대 단말기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해당 이미지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까지 발생할 경우,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휴대 단말기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축 지점인 "E" 지점을 지나치면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특정 항목에 대하여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에 대하여 도시된 "d"의 지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점에 관계없이 상기 "d" 지점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한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설정된 표시 효과로서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일정 거리 동안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사용자 기능 활성화 시점을 결정하는 "d" 지점을 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터치 이벤트 해제에 해당하는 예를 들면, 터치 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변화된 이미지를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d" 지점을 지나고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에 설정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설계되거나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d" 지점을 경과한 이후라 하더라도,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는 범위 즉, "L2" 높이를 포함하는 면적을 벗어나는 범위로의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진행되면,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도록 하며, 해당 항목에 대한 이미지 변화 효과를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요약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지나가기 이전에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지나간 이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지정 항 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지나가기 이전에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지나간 이후, 상기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따라 상기 이미지 변화 효과를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이 가능한 항목이 표시된 화면에서, 특정 항목이 지정될 때, 항목의 특성에 따라 기능 수행이 가능한지 또는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특정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항목을 터치 다운 함으로써, 지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용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항목인 경우, 해당 항목이 기능 수행이 가능한 항목임을 나타내는 효과 - 예를 들면, 해당 항목의 테두리를 하이라이트 하거나, 해당 항목의 좌우 터치 드래그 가능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지정 항목이 기능 수행이 없는 항목 예를 들면 통화 걸기나 메시지 작성 등 통신 관련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 전화번호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이 상기 기능 수행이 불가능함을 지시하는 표시 효과 예를 들면, 해당 항목의 테두리를 점선으로 표시하거나 불가능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내측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통화 걸기나 메시지 작성 등 특정 기능이 불가능한 항목이면, "삭제"기능만을 배경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항목들이 출력되고 있는 페이지 화면의 메뉴 특성과, 특정 페이지 화면에 포함된 항목들에서 설정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특정 페이지 화면이 출력되면, 해당 화면에 출력되는 항목들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 화면에 설정된 기능들을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통신 관련 페이지 화면이 출력되면, 출력된 페이지 화면에 포함된 항목들에 할당된 전화번호가 유효한 전화번호인지를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전화번호가 예를 들면 "1004", "7979"처럼 완성되지 않은 전화번호이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번호로 시작되는 전화번호 예를 들면 "070-xxx-xxxx" 등일 경우, 휴대 단말기는 해당 항목에 대하여 터치 드래그가 불가능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배경에 출력되는 기능을 특정 기능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용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는 스크롤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배치된 상태에서, 화면의 전환 없이 지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기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잇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수개의 사용자 기능이 설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정 항목의 이미지 변화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정 항목의 이미지 변화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지정 항목의 이미지 변화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지정 항목의 이미지 변화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지정 항목의 이미지 변화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지정 항목의 이미지 변화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목의 배열이 격자 형태로 배열된 화면에서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시점 및 유효 경계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21)

  1. 스크롤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화면의 전경 영역에서 출력하는 과정;
    제1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여 특정 항목을 지정하는 과정;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기 지정된 항목에 상기 제 1 터치 이벤트로부터 연속되는 터치 드래그인 제2 터치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되는 동안 문자 정보, 아이콘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되는 영역인 상기 화면의 배경 영역에서 출력하는 과정;
    다른 터치 동작의 수신 없이, 상기 터치 드래그인 상기 제 2 터치 이벤트가 경계 지점을 넘어서 진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터치 이벤트 또는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색과 형태 중 적어도 일부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지정된 항목에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드래그는
    상기 터치 드래그의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의 방향에 따라 활성화 가능한 각기 다른 사용자 기능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의 변화를 취소하여 변화 이전 이미지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 과정은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지나가기 이전에 상기 터치 드래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복귀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지나간 이후, 상기 터치 드래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복귀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지나가기 이전에, 상기 터치 드래그가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귀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지나간 이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귀를 수행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색과 형태 적어도 일부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드래그의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을 상기 이미지가 놓인 배경으로부터 분리시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일측 가장자리 영역의 배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일측 가장 자리 영역과 상기 이미지의 전면 사이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표시하여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표시하는 과정;
    상기 터치 드래그의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을 상기 이미지가 놓인 배경으로부터 분리시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이 상기 이미지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하다가, 전면과 수평을 이루는 시점에서 상기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이 상기 이미지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말리도록 표시하는 과정;
    상기 터치 드래그의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의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할당된 이미지의 색과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진적으로 또는 일시에 제거시키는 과정;
    상기 이미지 상에서 상기 터치 드래그가 발생한 지점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이미지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한 지점까지의 영역이 상기 터치 드래그의 진행에 따라 배경으로부터 분리되어 일정 형태로 접히며 이동 되도록 표시하고, 일정 경계 지점을 경과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놓인 배경 상에서 기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표시하는 과정;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함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일정 지점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의 일부는 배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미지의 가장 자리 영역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의 나머지 일부는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미지의 가장 자리 영역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과정;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에서 서로 인접된 모서리 영역이 상기 이미지가 놓인 배경으로부터 분리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지점은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상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변화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상기 배경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기능을 설명하는 음성 신호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정보, 상기 아이콘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용자 기능을 설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지점은
    상기 터치 드래그가 발생한 지점에 따라 상기 이미지 영역 내에서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는
    상기 지정된 항목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는 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는
    복수개의 항목에 해당하는 이미지들이 서로 인접되어 배치되는 경우, 인접된 항목의 일부 면적을 포함하는 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항목이 상기 사용자 기능 적용이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해당 항목을 사용자 기능 적용이 가능한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15.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
    스크롤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배치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항목들의 이미지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특정 항목을 지정하는 제1 터치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기 지정된 항목에 상기 제 1 터치 이벤트로부터 연속되는 터치 드래그인 제2 터치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되는 동안 문자 정보, 아이콘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되는 영역인 상기 화면의 배경 영역에서 출력하고, 상기 제 1 터치 이벤트 또는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색과 형태 중 적어도 일부를 변화시켜 표시하며, 다른 터치 동작의 수신 없이, 상기 터치 드래그인 상기 제 2 터치 이벤트가 경계 지점을 넘어서 진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는
    터치 패널을 접촉하는 터치 다운 이벤트이고,
    상기 터치 드래그인 상기 제2 터치 이벤트는
    상기 터치 다운 이벤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일정 방향으로 접촉점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변화와 색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화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을 상기 이미지가 놓인 배경으로부터 분리시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일측 가장자리 영역의 배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일측 가장 자리 영역과 상기 이미지의 전면 사이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표시하여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을 상기 이미지가 놓인 배경으로부터 분리시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이 상기 이미지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하다가, 전면과 수평을 이루는 시점에서 상기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이 상기 이미지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말리도록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에 따라 상기 지정된 항목의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할당된 이미지의 색과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진적으로 또는 일시에 제거시키거나,
    상기 이미지 상에서 상기 터치 드래그가 발생한 지점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이미지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한 지점까지의 영역이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에 따라 배경으로부터 분리되어 일정 형태로 접히며 이동 되도록 표시하고, 일정 경계 지점을 경과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놓인 배경 상에서 기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진행함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일정 지점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의 일부는 배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미지의 가장 자리 영역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의 나머지 일부는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미지의 가장 자리 영역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에서 서로 인접된 모서리 영역이 배경으로부터 분리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의 변화를 취소하여 변화 이전 이미지 상태로 복구하여 표시하되,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지나가기 이전에 상기 터치 드래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이전 이미지 상태로 복구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지나간 이후, 상기 터치 드래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이전 이미지 상태로 복구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지나가기 이전에, 상기 터치 드래그가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전 이미지 상태로 복구하거나,
    상기 지정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설정된 경계 지점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지나간 이후, 상기 터치 드래그가 상기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전 이미지 상태로 복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변화에 따라 상기 이미지가 배치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배경이 노출될 경우, 상기 배경 영역에 상기 사용자 기능을 설명하는 텍스트 정보, 아이콘 정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사용자 기능을 설명하는 음성 신호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드래그 진행 방향에 따라 기 설정된 서로 다른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항목이 상기 사용자 기능 적용이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해당 항목을 사용자 기능 적용이 가능한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043413A 2009-05-19 2009-05-19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4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413A KR101640463B1 (ko) 2009-05-19 2009-05-19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12/776,619 US8910068B2 (en) 2009-05-19 2010-05-10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201510338387.6A CN104951232B (zh) 2009-05-19 2010-05-17 操作便携式终端的方法和支持所述方法的便携式终端
EP10777916A EP2433209A4 (en) 2009-05-19 2010-05-17 METHOD FOR USING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IS METHOD
PCT/KR2010/003090 WO2010134729A2 (en) 2009-05-19 2010-05-17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JP2012511755A JP5694299B2 (ja) 2009-05-19 2010-05-17 携帯端末の操作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携帯端末
EP20189224.7A EP3783472A1 (en) 2009-05-19 2010-05-17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201080022717.6A CN102439555B (zh) 2009-05-19 2010-05-17 操作便携式终端的方法和支持所述方法的便携式终端
US14/548,406 US20150074594A1 (en) 2009-05-19 2014-11-20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413A KR101640463B1 (ko) 2009-05-19 2009-05-19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428A KR20100124428A (ko) 2010-11-29
KR101640463B1 true KR101640463B1 (ko) 2016-07-18

Family

ID=4312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413A KR101640463B1 (ko) 2009-05-19 2009-05-19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10068B2 (ko)
EP (2) EP3783472A1 (ko)
JP (1) JP5694299B2 (ko)
KR (1) KR101640463B1 (ko)
CN (2) CN102439555B (ko)
WO (1) WO201013472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9643B2 (en) 2021-05-31 2024-04-02 Samsung Sd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nouncements from instant messaging ser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22766D0 (en) 1997-10-28 1997-12-24 British Telecomm Portable computers
JP5063150B2 (ja) * 2007-03-16 2012-10-3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101461954B1 (ko) * 2008-05-08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6922B1 (ko) * 2009-05-19 2016-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9542091B2 (en) 2010-06-04 2017-01-1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US8487955B2 (en) * 2010-06-30 2013-07-16 Xerox Corporation Language-based color editing for mobile devices
TWI435597B (zh) * 2010-10-20 2014-04-21 Altek Corp 結合臉部特徵辨識之相片資訊顯示方法及其具有攝像功能之電子裝置
KR102006740B1 (ko) 2010-10-20 2019-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8782513B2 (en) 2011-01-24 2014-07-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n electronic document
US20120272180A1 (en) * 2011-04-20 2012-10-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flipping based on a scrolling operation
JP5722696B2 (ja) * 2011-05-10 2015-05-2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3999028B (zh) * 2011-05-23 2018-05-15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不可见控件
KR101794000B1 (ko) * 2011-06-13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US20130055164A1 (en) * 2011-08-24 2013-02-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Objects on a Touch-Sensitive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351162B1 (ko) * 2011-08-30 2014-01-14 주식회사 팬택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US8788979B2 (en) * 2011-09-10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Secondary actions on a notification
KR101924835B1 (ko) 2011-10-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8631357B2 (en) * 2011-10-31 2014-01-14 Apple Inc. Dual function scroll wheel input
US9367233B2 (en) 2011-10-31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411797B2 (en) 2011-10-31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icer elements for filtering tabular data
CN108694012B (zh) * 2011-11-28 2022-04-22 联想(北京)有限公司 在屏幕上显示对象的方法和系统
US9524050B2 (en) 2011-11-29 2016-12-20 Google Inc. Disambiguating touch-input based on variation in pressure along a touch-trail
US8436827B1 (en) * 2011-11-29 2013-05-07 Google Inc. Disambiguating touch-input based on variation in characteristic such as speed or pressure along a touch-trail
US9400600B2 (en) * 2011-12-16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visual effects on a touchscreen display
KR101933054B1 (ko) * 2011-12-16 201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시각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167059A1 (en) * 2011-12-21 2013-06-27 New Commerce Solutions In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refining search results
JP6103807B2 (ja) * 2012-01-10 2017-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25073B1 (ko) 2012-02-06 2017-04-11 핫헤드 게임즈 인크. 카드 상자 및 팩의 가상 개봉
WO2013119702A1 (en) 2012-02-06 2013-08-15 Hothead Games, Inc. Virtual competitive group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5911326B2 (ja) * 2012-02-10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632119A1 (en) * 2012-02-27 2013-08-28 Doro AB Two-mode access linear UI
JP5828297B2 (ja) 2012-04-24 2015-12-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EP2658227B1 (en) * 2012-04-27 2018-12-05 LG Electronics Inc. Exchange of hand-drawings on touch-devices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EP2847661A2 (en) 2012-05-09 2015-03-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EP3185116B1 (en) 2012-05-09 2019-09-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6A1 (en) *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EP3410287B1 (en) 2012-05-09 2022-08-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CN104471521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针对改变用户界面对象的激活状态来提供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9A2 (en) *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70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display states in response to gesture
KR101297152B1 (ko) * 2012-06-20 2013-08-21 (주)휴즈플로우 맵핑 서버 및 맵핑 방법
KR20140002900A (ko) * 2012-06-28 201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음원 재생 방법 및 그 단말
CN102768617B (zh) * 2012-06-29 2016-12-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手持式电子设备及基于触摸屏的列表项编辑的方法
CN103513859A (zh) * 2012-06-29 2014-01-15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及图标显示装置
KR101952177B1 (ko) * 2012-07-30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21893A (ko) 2012-08-13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영역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2855085B (zh) * 2012-08-28 2015-04-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终端的文件操作方法
KR102080741B1 (ko) * 2012-08-29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798456B2 (en) * 2012-08-30 2017-10-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2061776B1 (ko) * 2012-09-05 2020-01-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객체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004855B2 (ja) 2012-09-14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677603B (zh) * 2012-09-17 2017-11-0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触控式区域性操作的方法及设备
US11086489B2 (en) * 2012-09-18 2021-08-10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moving or advancing a display region
JP6210664B2 (ja) * 2012-09-25 2017-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と記憶媒体
CN103777857A (zh) * 2012-10-24 2014-05-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实现视频画面转动的方法和装置
US9591347B2 (en) * 2012-10-31 2017-03-07 Google Inc. Displaying simulated media content item enhancements on mobile devices
JP2015537299A (ja) * 2012-10-31 2015-12-2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ディスプレイ方法
US9654426B2 (en) * 2012-11-20 2017-05-16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messages
US9729695B2 (en) 2012-11-20 2017-08-08 Dropbox Inc. Messaging client application interface
US9935907B2 (en) 2012-11-20 2018-04-03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a message client
US20140149935A1 (en) * 2012-11-28 2014-05-29 Michael Dudley Johnson User-Intent-Based Chrome
EP2743817A1 (en) * 2012-12-12 2014-06-18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Touch screen device for handling lists
CN107831991B (zh) 2012-12-29 2020-11-27 苹果公司 用于确定是滚动还是选择内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101755029B1 (ko) 2012-12-29 2017-07-06 애플 인크. 다중 접촉 제스처에 대한 촉각적 출력의 발생을 보류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5144057B (zh) 2012-12-29 2019-05-17 苹果公司 用于根据具有模拟三维特征的控制图标的外观变化来移动光标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JP5761216B2 (ja) * 2013-01-22 2015-08-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91908B2 (ja) * 2013-01-23 2017-03-08 Kddi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表示プログラム
US20140215409A1 (en) * 2013-01-31 2014-07-31 Wal-Mart Stores, Inc. Animated delete apparatus and method
KR20140100316A (ko) * 2013-02-06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89951B1 (ko) * 2013-03-14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025459B2 (en) 2013-03-14 2018-07-17 Airwatch Llc Gesture-based workflow progression
KR102120101B1 (ko) * 2013-04-03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9526B1 (ko) 2013-04-18 2020-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실행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154654B2 (ja) * 2013-04-22 2017-06-28 株式会社アナグラム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6218451B2 (ja) * 2013-06-18 2017-10-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グラム実行装置
US20140380198A1 (en) * 2013-06-24 2014-12-25 Xiaomi Inc. Method, device, and terminal apparatus for processing session based on gesture
JP2015022567A (ja) * 2013-07-19 2015-0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4423908B (zh) * 2013-08-26 2019-04-2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显示处理方法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JP2015088180A (ja) * 2013-09-25 2015-05-07 アークレイ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282451B1 (en) 2013-09-26 2019-05-07 Twitter, Inc. Context aware application manager
US11347754B1 (en) 2013-09-26 2022-05-31 Twitter, Inc. Context aware application manager
US10551995B1 (en) * 2013-09-26 2020-02-04 Twitter, Inc. Overlay user interface
KR102138515B1 (ko) * 2013-10-0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056047A1 (en) * 2013-10-14 2015-04-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daptive button size on a touch surface for hmi applications
KR101549867B1 (ko) 2013-12-1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372610B2 (en) * 2014-02-21 2016-06-21 Sonos, Inc. Media system controller interface
US10025461B2 (en) * 2014-04-08 2018-07-17 Oath Inc. Gesture input for item selection
KR102124321B1 (ko) * 2014-04-30 2020-06-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연락처와 통신하는 방법
US9898162B2 (en) * 2014-05-30 2018-02-20 Apple Inc. Swiping functions for messaging applications
US10866731B2 (en) 2014-05-30 2020-12-15 Apple Inc. Continuity of applications across devices
US9971500B2 (en) 2014-06-01 2018-05-15 Apple Inc. Displaying options, assigning notification, ignoring messages, and simultaneous user interface displays in a messaging application
KR102225943B1 (ko) * 2014-06-19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063280B (zh) 2014-06-25 2017-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控制方法
US10114521B2 (en) 2014-09-02 2018-10-30 Apple Inc. Multi-dimensional object rearrangement
US10073590B2 (en) 2014-09-02 2018-09-1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KR20160037508A (ko) * 2014-09-29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CN104461279A (zh) * 2014-10-30 2015-03-25 北京元心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屏上所显示的图形列表的操作方法
CN105991956A (zh) * 2015-01-27 2016-10-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控制视频通话界面的方法、装置及显示设备
US9989925B2 (en) * 2015-02-12 2018-06-05 Withings Analog type watch and time set method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CN106033307A (zh) * 2015-03-11 2016-10-1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邮件删除方法及终端设备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CN106201237A (zh) * 2015-05-05 2016-12-0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收藏方法及装置
KR101649666B1 (ko) * 2015-05-29 201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20160371872A1 (en) * 2015-06-18 2016-12-22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nsitions between content interfaces
CN104991701B (zh) * 2015-06-30 2021-02-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0229717B1 (en) 2015-07-24 2019-03-12 Snap, Inc. Interactive presentation of video content and associated information
JP2017033116A (ja) * 2015-07-30 2017-02-09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複数の使用モードを備える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10430840B2 (en) * 2015-08-21 2019-10-01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interstitial ad experience within a scrolling content frame
KR102408942B1 (ko) * 2015-10-19 202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5892835A (zh) * 2016-03-30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便签快速分享方法和装置
US9919213B2 (en) 2016-05-03 2018-03-20 Hothead Games Inc. Zoom controls for virtual environment user interfaces
US10637986B2 (en) 2016-06-10 2020-04-28 Apple Inc. 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543936B2 (en) 2016-06-16 2023-01-03 Airwatch Llc Taking bulk actions on items in a user interface
US10004991B2 (en) 2016-06-28 2018-06-26 Hothead Gam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camera views in virtualized environments
US10010791B2 (en) 2016-06-28 2018-07-03 Hothead Gam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camera views and customizable objects in virtualized environments
USD820880S1 (en) 2016-08-22 2018-06-19 Airwatch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6207698B2 (ja) * 2016-09-07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486938B2 (en) 2016-10-28 2019-11-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request using user device
CN107831976B (zh) * 2017-09-22 2020-12-11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消息显示方法及装置
US20190129576A1 (en) * 2017-10-27 2019-05-02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Processing of corresponding menu items in response to receiving selection of an item from the respective menu
JP6719087B2 (ja) * 2017-12-08 2020-07-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102403544B1 (ko) 2017-12-18 2022-05-30 애플 인크. 방출기들의 어드레스가능 어레이를 사용하는 비행 시간 감지
US10878531B2 (en) * 2018-08-17 2020-12-29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Robotic process automation
US10719230B2 (en) * 2018-09-27 2020-07-21 Atlassian Pty Ltd Recognition and processing of gesture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machine learning
JP6847154B2 (ja) * 2019-05-23 2021-03-24 Line株式会社 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
JPWO2021132716A1 (ko) 2019-12-27 2021-07-01
JP2022088193A (ja) * 2020-12-02 2022-06-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928303B2 (en) 2021-05-15 2024-03-12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CN115705119A (zh) * 2021-08-09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小窗退出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208A (ja) * 2004-05-11 2004-10-14 Nec Corp ページ情報表示装置
US20070150842A1 (en) * 2005-12-23 2007-06-28 Imran Chaudhri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100774927B1 (ko)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9381B2 (en)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JP2001069223A (ja) 1999-08-27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
JP2002333951A (ja) 2001-05-08 2002-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
GB0117543D0 (en) 2001-07-18 2001-09-12 Hewlett Packard Co Document viewing device
TWI238348B (en) * 2002-05-13 2005-08-21 Kyocera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US20060041847A1 (en) * 2004-08-23 2006-02-23 Wai-Lin Maw Pag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4166229B2 (ja) 2005-03-14 200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179890B1 (ko) 2006-02-09 201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디지털 이미지 표시방법 및 장치
US20090278806A1 (en) * 2008-05-06 2009-11-12 Matias Gonzalo Duarte Extended touch-sensitive control area for electronic device
KR100771626B1 (ko) * 2006-04-25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령 입력 방법
KR20070120368A (ko) 2006-06-19 2007-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인터페이스 기반의 메뉴 아이콘 제어방법 및 장치
US20080057940A1 (en) 2006-08-31 2008-03-06 Martin Wraber Christens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oftware provide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software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softwar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934156B2 (en) * 2006-09-06 2011-04-26 Apple Inc. Deletion gestures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JP4835357B2 (ja) 2006-09-29 2011-1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の表示方法
DE202007014957U1 (de) 2007-01-05 2007-12-27 Apple Inc., Cupertino Multimediakommunikationseinrichtung mit Berührungsbildschirm, der auf Gesten zur Steuerung, Manipulierung und Editierung von Mediendateien reagiert
US7956847B2 (en)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KR101397152B1 (ko) 2007-06-12 201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73679B1 (ko) 2007-09-04 2008-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KR101397080B1 (ko) * 2007-10-05 2014-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1162420B (zh) * 2007-11-29 2010-12-15 天津津科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基于触摸屏的旋转式连续变速浏览与检索方法
US20090271731A1 (en) * 2008-04-27 2009-10-29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thereof
KR101461954B1 (ko) 2008-05-08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0818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2768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093080B2 (ja) * 2008-12-05 2012-12-05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US8370762B2 (en) * 2009-04-10 2013-02-05 Cellco Partnership Mobile functional icon use in operational area in touch panel devices
US9563350B2 (en) * 2009-08-11 2017-0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208A (ja) * 2004-05-11 2004-10-14 Nec Corp ページ情報表示装置
US20070150842A1 (en) * 2005-12-23 2007-06-28 Imran Chaudhri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100774927B1 (ko)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Pod touch User Guide (2008.09.09.) 인터넷 URL : https://manuals.info.apple.com/MANUALS/0/MA660/en_US/iPod_touch_2.2_User_Guide.pd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9643B2 (en) 2021-05-31 2024-04-02 Samsung Sd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nouncements from instant messaging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4729A3 (en) 2011-03-03
EP2433209A2 (en) 2012-03-28
CN102439555A (zh) 2012-05-02
WO2010134729A2 (en) 2010-11-25
EP2433209A4 (en) 2013-01-09
JP5694299B2 (ja) 2015-04-01
US8910068B2 (en) 2014-12-09
US20100295805A1 (en) 2010-11-25
CN104951232A (zh) 2015-09-30
KR20100124428A (ko) 2010-11-29
JP2012527685A (ja) 2012-11-08
US20150074594A1 (en) 2015-03-12
CN104951232B (zh) 2019-01-18
CN102439555B (zh) 2015-07-15
EP3783472A1 (en)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463B1 (ko)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230359349A1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KR101646922B1 (ko) 휴대 단말기의 통신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10013098B2 (en)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939590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an icon from a pag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to another page
US971006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using a double touch gesture and terminal thereof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569427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18027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80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058095B2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1018639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80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730289B2 (ja) 携帯端末機の画面表示管理方法及び携帯端末機
CN105912071B (zh) 用于编辑用于主屏幕的页面的移动装置和方法
KR20130093043A (ko) 터치 및 스와이프 내비게이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20110055088A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650339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93097A (ko)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50007048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101129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5581A (ko) 표시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6711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353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