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280B1 - A detecting apparatus of door - Google Patents

A detecting apparatus of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280B1
KR101711280B1 KR1020150082703A KR20150082703A KR101711280B1 KR 101711280 B1 KR101711280 B1 KR 101711280B1 KR 1020150082703 A KR1020150082703 A KR 1020150082703A KR 20150082703 A KR20150082703 A KR 20150082703A KR 101711280 B1 KR101711280 B1 KR 10171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essing portion
socket
sens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6084A (en
Inventor
한재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8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280B1/en
Publication of KR2016014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5Switch or sensor type used in alarm locks

Landscapes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도어 감지장치는도어의 배면으로부터 내부 공간인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가압부; 및 상기 도어의 후방에 배치되어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 공간의 벽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서 상기 도어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끼워져 상기 가압부의 이동 방향이 안내되도록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ensing device. The door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portion extending from a rear surface of a door toward a rear portion which is an inner space; And a sensing unit mounted on the frame and sensing a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with the pressing unit,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wall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engaging portion toward the door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are formed with fitting grooves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is fitt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guided .

Description

도어 감지장치{A detecting apparatus of do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ensing device.

캐비닛은, 사용자의 귀중품 또는 매체(유가증권, 현금)를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The cabinet is for storing valuables or media (securities, cash) of the user,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비닛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보인 사시도 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cabine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을 참조하면, 캐비닛(10)에는, 캐비닛(1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 상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는 캐비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외에도, 매체가 저장되는 금고 자체의 케이스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는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내부(7)를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시킨다. Referring to FIG. 1, a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 door 2 provided on a case 1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cabinet 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binet 10. The case 1 may include, in addition to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cabinet, a casing of the safe itself in which the medium is stored. The door 2 is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1, thereby selectively exposing the inside 7 of the case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도어(2)가 구비되는 캐비닛(10)에는,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 감지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감지장치는, 상기 도어(2)의 배면에 결합되는 접촉부(3)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부(3)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버튼부(6)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cabinet 10 provided with the door 2 is provided with a door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The door sensing device includes a contact portion 3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2 and a button portion 6 provided inside the case 1 to selectively contact the contact portion 3 .

여기서, 상기 접촉부(3)는 상기 도어(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와, 상기 수평부(4)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직부(5)의 일면이 상기 버튼부(6)에 접촉됨으로써 도어의 닫힘이 감지된다. The contact portion 3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4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 and a vertical portion 5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4. As the door 2 moves, one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utton portion 6, thereby detecting the closing of the door.

즉, 상기 도어(2)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되면, 상기 수직부(5)와 상기 버튼부(6)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2)의 열림상태가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닫히게 되면, 상기 수직부(5)는 상기 버튼부(6)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도어(2)의 닫힘상태가 감지된다. That is, when the door 2 is pivoted forward, the contact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5 and the button portion 6 is released, so that the opened state of the door 2 is sensed. When the door 2 is pivoted rearward, the vertical portion 5 contacts the button portion 6 to detect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2.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감지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door sens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도어의 잦은 개폐에 따라 상기 접촉부(3)는 외부 요인 또는 상기 버튼부(6)와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3)의 변형되면 상기 버튼부(6)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tact portion 3 may be deformed due to an external factor or frequent contact with the button portion 6 due to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when the contact portion 3 is de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realized.

특히, 자주 여닫거나 외부 충격등에 의해 접촉부(3)의 변형은 쉽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접촉부의 변형에 따른 감지 장치가 고장날 때마다 상기 접촉부(3)를 교체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deformation of the contact portion 3 can be easily caused by frequent opening or external impact, the contact portion 3 needs to be replaced every time the sensing device is broken due to deformation of the contact portion.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sensing apparatus capable of sens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내부 공간인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가압부; 및 상기 도어의 후방에 배치되어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 공간의 벽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서 상기 도어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끼워져 상기 가압부의 이동 방향이 안내되도록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도어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ing device comprising: a pressing portion extending from a rear surface of a door toward an inner space rearward; And a sensing unit mounted on the frame and sensing a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with the pressing unit,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wall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engaging portion toward the door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are formed with fitting grooves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is fitt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guided A door sensing device is provide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의 이동 경로가 감지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안내되므로, 가압부가 감지 센서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ing path of the pressing portion is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sens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sing portion can accurately reach the sensing sensor.

또한,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는 가압부가 끼움홈 및 수용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가압부 내에 비틀림 부위가 있더라도 보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press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the receiving hole when the door is clo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sing portion can be corrected even if there is a twisted por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비닛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감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abin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oor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inancial device that obtains various media such as banknotes, securities (including checks), giro, coins, gift certificates, etc. and processes and / or withdraws such as deposits, Such as processing such as issuance of paper money, release of paper money, release of gift certificate, and the like. Examples of such financial instruments include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such as a cash dispenser (CD), a cash recycling machine, and the like. However, the financial instr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various devices for automating the financial business such as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inancial instrument is a financial automatic instrument. However, this assumption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도어 감지장치는 금융기기 외에도, 도어의 개폐에 따라 내부 공간이 노출 또는 차폐되는 모든 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oor sensing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all devices that are exposed or shielded by the in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in addition to a financial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감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감지장치(100)는, 도어(110)의 배면에 결합되는 가압부(103)와, 상기 가압부(103)의 가압에 따라 상기 도어(11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3, the door sen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unit 103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a door 110, And a sensing unit 130 sens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play unit 110.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도어(1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케이스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거나, 슬라이드 구조를 통해 케이스의 내,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10)의 개폐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Although not shown, the door 1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forming the inner space, and can be hingedly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case, or can be drawn or drawn into the case through the slide structure. That is,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opening / closing manner of the door 110.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도어(110)의 배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압부(13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110)의 배면에 일측이 결합된다. 상기 가압부(130)의 폭의 길이는, 상기 도어(110)의 폭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어(110)의 폭의 길이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130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10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The pressing portion 1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130 is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110.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pressing portion 130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door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within the width of the door 110.

따라서,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도어(110)가 내부 공간을 차폐하기 위해 케이스에 장착 또는 내부 공간을 향해 이동 시, 함께 이동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door 110 is mounted on the case or moves toward the inner space to shield the inner space, the pressing portion 130 can be moved together an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사시도 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130)는, 프레임(140)과, 상기 프레임(140)에 장착되는 감지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3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내측 벽면, 일 예로 내부 공간에 내면 중 상기 도어(110)의 반대면 또는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3 to 5, the sensing unit 130 includes a frame 140 and a sensing module 150 mounted on the frame 140. As shown in FIG. The sensing unit 130 may be dispos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forming the inner space, for examp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r on the opposite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110.

상기 프레임(140)은,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 결합되는 결합부(143)와, 상기 결합부(143)의 양측에서 상기 도어(110)가 구비된 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41, 142)를 포함한다.The frame 14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43 coupled to a wall surface of the case and side portions 141 and 142 extending forward from th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143 with the door 110 do.

상기 결합부(143)는 케이스의 벽면, 예를 들면 내부 공간의 내면 중 후면 또는 상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43)에는, 상기 결합부(143)를 관통하는 홀(143a)이 형성되고, 상기 홀(143a)에 상기 감지모듈(150)이 끼워져 상기 도어(110) 방향으로 노출된다. The engaging portion 143 is coupled to a wall surface of the case, for example, a rear surface or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 hole 143a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part 143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43 and the sensing module 150 is inserted into the hole 143a and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110 .

상기 측면부(141, 142)는, 상기 결합부(143)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부(141)와 상기 결합부(143)의 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면부(142)를 포함한다. The side portions 141 and 142 include a first side portion 141 extending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143 and a second side portion 142 extending for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143 do.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부(141)와 상기 제 2 측면부(142)에는, 상기 가압부(130)가 끼워지도록 후방을 향해 함몰되는 끼움홈(144)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44)은 상기 제 1 측면부(141)의 전단에서부터 상기 결합부(143) 방향 즉, 후방을 향해 연장된다. The first side surface 14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42 are formed with fitting grooves 144 which are recessed backward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130 is fitted. The fitting groove 144 extends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side portion 141 toward the engaging portion 143, that is, toward the rear.

그리고, 상기 끼움홈(144)은, 상기 측면부(141, 142)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안내홈(145)과, 상기 안내홈(145)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끼움홈(1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0)에서 바라볼 때, 상기 안내홈(145)의 세로 길이는 상기 끼움홈(146)의 세로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fitting groove 144 has a guide groove 145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portions 141 and 142 and a fitting groove 145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14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46). The vertical length of the guide groove 145 i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tting groove 146 when viewed from the door 110.

상세히, 상기 안내홈(145)은 상기 도어(110)가 내부 공간으로 이동 시, 상기 가압부(103)가 최초로 끼워지는 구성으로써 이해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홈(145)은 상기 프레임(14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145)은 후방으로 갈수록 세로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홈(145)의 내주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 In detail, the guide groove 145 is understoo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103 is first fitted when the door 110 is moved to the inner spa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guide groove 145 extends rea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140. The guide groove 145 is formed so that the vertical length becomes shorter toward the rear.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45 form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다시 말하면, 상기 안내홈(145)에 의해 상기 측면부(142)는 측면부 상부(142a)와 측면부 하부(142b)로 분할될 수 있고, 상기 측면부 상부(142a)와 상기 측면부 하부(142b) 사이의 거리는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면에 의해 가까워진다. In other words, the side portion 142 can be divided into the side portion upper portion 142a and the side portion lower portion 142b by the guide groove 145,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portion upper portion 142a and the side portion lower portion 142b is The closer to the rear, the closer to the inclined surface.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가압부(103)가 상기 안내홈(145)에 삽입 시, 상기 감지센서(154)에 상기 가압부(103)의 측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부(103)의 삽입 경로를 안내한다.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103 is in contact with the detection sensor 154 when the pressing portion 10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45, Guide.

그리고, 상기 끼움홈(146)은 상기 안내홈(145)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끼움홈(146)은 상기 측면부(141, 142) 상에서 일정한 너비의 형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103)를 수용한다. 상기 끼움홈(146)의 너비는 대략 상기 가압부(103)의 두께에 대응되거나, 상기 가압부(103)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The fitting groove 146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145. The fitting groove 146 extends rearward in a shape of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side portions 141 and 142 to receive the pressing portion 103. The width of the fitting groove 146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pressing portion 103 or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essing portion 103. [

상기 감지모듈(150)은, 소켓(151)과, 상기 소켓(151)에 수용되어 상기 도어(11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54)를 포함한다. The sensing module 150 includes a socket 151 and a sensing sensor 154 accommodated in the socket 151 and sens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10.

상기 소켓(151)은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관통되는 수용홀(153)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153)을 통해 상기 감지센서(154)가 상기 감지모듈(15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54)의 배면에는 배선(157)이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154)의 감지가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The receptacle 151 may have a receiving hole 153 penetrating the receptacle 153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sensing sensor 154 may be exposed through the receptacle 153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module 150 . A wire 157 is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etection sensor 154 so that dete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154 can be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한편, 상기 소켓(151)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홀(153)은, 상기 소켓(151)의 전면을 상, 하로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홀(153)에 의해, 상기 소켓(151)은 소켓 상부(156)와, 소켓 하부(157)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홀(153)의 내주면은, 상기 소켓 상부(156)와 상기 소켓 하부(157) 사이의 거리가 후방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경사면(156a, 156b)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56a, 156b)은, 상기 가압부(103)가 상기 수용홀(153)에 삽입 시, 상기 가압부(103)의 측면이 상기 감지센서(154)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부(103)의 삽입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receiving hole 153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socket 151 is formed to divide the front surface of the socket 151 upward and downward. That is, the socket 151 is divided into the socket top 156 and the socket bottom 157 by the receiving hole 153.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hole 153 is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156a and 156b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ocket top 156 and the socket bottom 157 becomes closer toward the rear. The inclined surfaces 156a and 156b are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103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103 contacts the detection sensor 154 when the pressing portion 10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153. [ As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110)의 개폐 감지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process of the door 110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도어(110)가 수용 공간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 즉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103)의 일부가 상기 수용홀(153)에 안착되어 상기 가압부(103)의 측면이 상기 감지센서(154)를 푸쉬(push)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154)의 푸쉬에 의해 상기 도어(110)의 닫힘 상태를 인지한다. A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03 is seated in the receiving hole 153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103 can be detected The sensor 154 is in a state of pushing. Therefore,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110 by the pushing of the detection sensor 154.

그리고, 상기 도어(110)가 외부로 이동(열림 상태)됨에 따라 상기 가압부(103)가 상기 감지부(13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감지센서(154)는 푸쉬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110)의 열림 상태를 인지한다. When the pushing portion 103 is detached from the sensing portion 130 as the door 110 is moved to the outside (open state), the pushing state of the sensing sensor 154 is released, And recognizes the opened state of the door 110.

다음으로, 상기 도어(110)가 내부 공간의 차폐하는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도어(110)가 내부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가압부(103)는 상기 감지부(130)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03)는 상기 프레임(140)의 상기 안내홈(145)과 상기 끼움홈(146)을 따라 상기 측면부(141, 142)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103)의 이동 각도가 수평 상태가 아니거나, 변형에 의해 돌출된 부위가 있더라도, 상기 안내홈(145)의 경사면에 의해 이동 경로가 안내되므로 상기 가압부(103)는 상기 끼움홈(146)에 정확히 끼워질 수 있다. Next, when the door 110 is moved inward so that the door 110 is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interior space is shielded, the pressing portion 103 is moved backward toward the sensing portion 130 . The pressing portion 103 is inserted into the side portions 141 and 142 along the guide groove 145 of the frame 140 and the fitting groove 146. At this time, even if the moving angle of the pressing portion 103 is not horizontal or there is a portion protruding due to deformation, the moving path is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45, And can be accurate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46.

그리고, 상기 가압부(103)의 중심부는 상기 소켓(151)의 수용홀(153) 끼워져 상기 감지 센서(154)를 푸쉬한다. 이 때에도, 상기 수용홀(15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상기 가압부(103)는 상기 감지 센서(154)와 접촉되도록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The center of the pressing portion 10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153 of the socket 151 to push the detection sensor 154. At this time, the moving path may be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hole 153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103 is in contact with the detection sensor 154.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압부(103)의 이동 경로가 상기 감지부(13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안내되므로, 상기 가압부(103)의 이동 경로가 비평행 하거나, 상기 가압부(103) 내에 훼손에 의해 변형된 구간이 있더라도 상기 가압부(103)는 상기 감지 센서(154)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ovement path of the pressing portion 103 is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sensing portion 130, the moving path of the pressing portion 103 is not parallel, The pressing portion 103 can be accurately reached to the detection sensor 154 even if there is a section deformed by the damage in the pressing portion 103.

나아가, 상기 도어(110)가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103)가 상기 끼움홈(156) 및 수용홀(153)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부(103) 내에 비틀림 부위가 있더라도, 보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pressing portion 103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56 and the receiving hole 153 when the door 110 is closed, even if there is a twisted portion in the pressing portion 103, There is an advantag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인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가압부; 및
상기 도어의 후방에 배치되어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모듈은,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수용홀이 형성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홀을 통해 상기 소켓의 전면에 노출되어 상기 가압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상기 수용홀에 의해 소켓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고,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소켓 상부와 상기 소켓 하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감지장치.
A pressing portion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extending toward the rear which is an inner space; And
And a sensing module mounted on the frame and sensing a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The sensing module includes:
A socket in which a receiving hole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is formed; And
And a sensing sensor provided inside the socket and selectively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ocket through the receiving hole to selectively contact the pressing portion,
The socket is partitioned into a socket upper portion and a lower socket by the receiving hole,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hol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socke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ocket becomes closer to the re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 공간의 벽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서 상기 도어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끼워져 상기 가압부의 이동 방향이 안내되도록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도어 감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wall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And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engaging portion toward the door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And a fitting groove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as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by fitting the press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측면부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홈의 너비는 상기 끼움홈의 너비 보다 길게 형성되는 도어 감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tting groove
A guide groove extending rearward from a front end of the side portion; And
And a fitting groove extending rearward from a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Wherein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fitting groo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내주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도어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An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의 너비는 상기 가압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width of the fitting groov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essing portion.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복수의 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감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ing module includes:
Wherein the door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KR1020150082703A 2015-06-11 2015-06-11 A detecting apparatus of door KR101711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03A KR101711280B1 (en) 2015-06-11 2015-06-11 A detecting apparatus of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03A KR101711280B1 (en) 2015-06-11 2015-06-11 A detecting apparatus of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84A KR20160146084A (en) 2016-12-21
KR101711280B1 true KR101711280B1 (en) 2017-02-28

Family

ID=5773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703A KR101711280B1 (en) 2015-06-11 2015-06-11 A detecting apparatus of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280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715Y1 (en) * 1996-12-16 1999-06-15 전주범 Interlock mechanism of a microwave oven
KR19980061822U (en) * 1997-03-28 1998-11-16 김영귀 Car trunk opener
KR101195324B1 (en) * 2010-11-18 2012-10-29 구남호 Door release for fir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84A (en)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427B1 (en) Card reader of ATM
KR101732795B1 (en) Medium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6303921B2 (en) Media transaction equipment
JP5698086B2 (en) Recording medium reception device
KR101711280B1 (en) A detecting apparatus of door
KR101348868B1 (en) A media sen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US8789751B2 (en)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2010152611A (en) Paper currency discrimination device
KR102323439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
KR101598299B1 (en) unit of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JP5536525B2 (en) Recording medium reception device
KR101965855B1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safe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KR101667103B1 (en) Detecting apparatus of thickness and financial apparatus
KR101587689B1 (en) Financial device
JP6823402B2 (en) Valuable media processing equipment and valuable media processing method
JPWO2015163341A1 (en) Medium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KR101304045B1 (en) Media detect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KR101940733B1 (en) Banknote storage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KR101413954B1 (en) A media sen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146794B1 (en) Door control apparatus for A access module
KR101979280B1 (en) Body Cognition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932191B1 (en) Grounding apparatus and grounding structure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KR101648923B1 (en) Integrated ultrasonic sensor module device of counter and sorter
KR101620692B1 (en) Object detecting apparatus and object detecting method for object detect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comprising object detecting apparatus
KR101732823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