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439B1 -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 - Google Patents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439B1
KR102323439B1 KR1020170050695A KR20170050695A KR102323439B1 KR 102323439 B1 KR102323439 B1 KR 102323439B1 KR 1020170050695 A KR1020170050695 A KR 1020170050695A KR 20170050695 A KR20170050695 A KR 20170050695A KR 102323439 B1 KR102323439 B1 KR 10232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orary storage
main body
storage unit
do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7505A (en
Inventor
안병만
정윤석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439B1/en
Publication of KR2018011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4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지폐 입출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지폐가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며, 상기 임시 저장부로부터 연장되는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지폐를 저장하는 리젝트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의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임시 저장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되는, 지폐 입출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 bill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 temporary storage unit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bills therein; a rejec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tore bills conveyed through a conveyance path extending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a door cov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cover a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door cover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wherein when the door cover unit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the main body A bill deposit/withdrawal device that is removed from may be provided.

Figure 112017038540732-pat00004
Figure 112017038540732-pat00004

Description

지폐 입출금 장치{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

본 발명은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임시 저장부와 리젝트부 사이에 지폐의 잼이 발생한 경우 임시 저장부를 쉽게 탈거하여 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solving the jam by easily removing the temporary storage unit when a jam of banknotes occurs betwe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the reject unit. .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In general,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can provide unattended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and withdrawal of cash and checks using a card or passbook without a bank employe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It is an automated device.

최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not only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s, but also convenience stores, department stores, and public places are increasingly using automated financial devices.

금융 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Automated financial devices can be divided into ATMs, deposit machines, and deposit/withdrawal machines depending on whether they deposit or withdraw money. .

그런데, 종래 금융 자동화기기는 일반적으로 수표를 입출금하는 장치와 현금을 입출금하는 장치가 따로 마련되며, 이들은 금융 자동화기기의 몸체에 별도로 장착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utomated financial device, a device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 check and a device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are provided separately, and these are separately mounted on the body of the automated financial device.

즉,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금이 입출금될 수 있으며, 수표 입출금기를 통해 낱장의 수표가 입출금될 수 있는바, 이처럼 현금과 수표의 입출금기가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 전체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That is, at least one or more cash can be deposi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ATM, and a single check can be deposi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check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There is a problem that space utilization is difficult.

한편, 수표의 크기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도 하지만, 일부 외국의 경우는 수표의 크기가 다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이 발행하는 퍼스널 수표와 기업이 발행하는 비즈니스 수표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 크기가 서로 다른 수표를 번들(Bundle) 형태로 입출금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size of a check is fixed, in some foreign countries, the size of the check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since the size of a personal check issued by an individual and a business check issued by a company may be different,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to deposit and withdraw checks of different sizes in the form of a bundle.

또한, 현금과 수표(이하, "지폐"라 한다)를 번들 형태로 입출금하는 경우, 여러 장의 지폐들이 동시에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로에 지폐가 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지폐의 입출금 처리가 지연되거나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and chec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nknotes") in a bundle form, a problem may occur that banknotes get stuck in the transfer path while several bills ar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ccordingly, deposit and withdrawal of bills may cause delays or unusable problems.

예컨대, 입출금 장치의 임시 저장부와 리젝트부 사이에 있는 이송로에 지폐가 끼어 잼(jam)이 발생한 경우, 종래에는 임시 저장부가 본체로부터 쉽게 착탈되지 않고 본체에 고정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잼이 발생한 지폐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볼트를 제거하여 임시 저장부를 해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임시 저장부와 리젝트부 사이에 잼 발생시 이를 해결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For example, when a bill is jammed in the transfer path betwe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the reject unit of the deposit/withdrawal device, in the prior art,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and is fixedly fastened to the main body. In order to remove the banknote, the operation of dismantling the temporary storage unit by removing a plurality of bolts fastened to the body should be preceded. Therefore, when a jam occurs betwe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the reject unit, it takes a long time and is inconvenient to solve the problem.

한국공개특허 제10-2010-3008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30085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시 저장부가 본체로부터 쉽게 착탈되도록 하여 임시 저장부와 리젝트부 사이의 이송로에 잼이 발생한 경우 잼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posit/withdrawal device capable of easily resolving a jam when a jam occurs in a transfer path betwe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the reject unit by making the temporary storage unit easily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지폐가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며, 상기 임시 저장부로부터 연장되는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지폐를 저장하는 리젝트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의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임시 저장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되는, 지폐 입출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 temporary storage unit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bills therein; a rejec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tore bills conveyed through a conveyance path extending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a door cov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cover a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door cover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wherein when the door cover unit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the main body A bill deposit/withdrawal device that is removed from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임시 저장부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벽면에 상기 임시 저장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이 계합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대향하는 상기 임시 저장부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제1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guide means for guiding that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accommodated or separated inside the main body, the guide means, The guide means, the first guide rail provid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guide groove provided to engage the first guide rail and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opposite to the first guide rail.

여기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임시 저장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guide means may further include a guide ba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또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임시 저장부의 바닥면에 상기 임시 저장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 개로 제공되는 스키드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mean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kid bar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 parallel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한편, 상기 임시 저장부는 일측면에 마련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일측에는 가이드 공이 제공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 공과 마주보는 부위에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cludes a connector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a guide bal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por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guide pin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guide pin facing the guide ball may be provided at the site.

또한 상기 도어 커버부에는 상기 도어 커버부가 상기 본체에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door cover part to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in the door cover part.

또한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도어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레버부; 상기 힌지축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 커버부를 상기 본체 일측에 록킹시키는 록킹부; 및 상기 힌지축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may include a hinge shaft rotatably provided to the door cover part; a lever part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to provide rotational force; a lock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end of the hinge shaft to lock the door cover part to one side of the body; and an elastic member providing a rotational restoring force to the hinge shaft.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힌지축의 끝단에 제공되며, 일측이 개방된 요홈의 구조를 갖는 록킹홈; 및 상기 록킹홈이 걸리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록킹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part, a locking groove provided at the end of the hinge shaft, the locking groove having an open groove structure at one side; and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locking groove is engaged.

또한 상기 록킹 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 커버부의 록킹 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의 커넥터부에 제공되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감지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etection un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means to detect unlocking of the door cover and block at least one of power and electrical signals provided to the connector of the temporary storage.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movable body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to provide rotational motion; and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and outputs a preset detection signal.

또한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관통구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 놓이면, 상기 도어 커버부가 록킹되었다는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ovable body, and the sensor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ight emitting unit, wherein the sensor unit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door cover unit is locked when the through hole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

또한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도어 커버부의 록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 커버부의 록킹 해제시 상기 커넥터부에 제공되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determine whether the door cover unit is locked, and block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and an electrical signal provided to the connector unit when the door cover unit is unlocked. .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임시 저장부와 리젝트부 사이의 반송로에 지폐의 잼이 발생한 경우 임시 저장부가 본체로부터 쉽게 탈거되도록 하여 잼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jam of banknotes occurs in the conveyance path betwe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the reject unit,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easi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thereby easily solving the ja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임시 저장부가 본체에서 쉽게 탈거되므로 임시 저장부에 대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easi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intenan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임시 저장부의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임시 저장부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가이드 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임시 저장부의 측면도,
도 6은 도 4를 "A"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도 4를 "B' 방향에서 바라본 임시 저장부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록킹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록킹 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감지유닛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removed from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temporary storage unit for showing a guide means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FIG. 4 viewed from the "A"direction;
7 is a rear view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viewed from the direction "B"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ans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ction of the locking means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claimabl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be omitted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king various changes and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임시 저장부의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임시 저장부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por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removed from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1)는 크게 본체(100), 임시 저장부(200), 리젝트부(300) 및 도어 커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2 ,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main body 100 , a temporary storage unit 200 , a reject unit 300 , and a door cover unit 400 .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지폐 입출금 장치(1)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eaning tha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mponents listed above does not mean that it consists only of these components, but basically includes these components, in addition to other components (eg, well-known techniques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 ) ),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because i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known techniques.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본체(100)는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지폐 입출금 장치(1)의 다른 구성들이 설치 또는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로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나 프레임 또는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briefly describ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 , first, the main body 100 constitute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 , and the As an element that allows other components to be installed or mounted, it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plates, frames, or structures, and an accommodating space may be formed therein.

도2를 참조하면,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입출유닛(10), 감별유닛(20), 경로전환부(30), 임시 저장부(200), 인쇄부(40), 스택부(50) 및 리젝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 includes a deposit/withdrawal unit 10 , a discrimination unit 20 , a path switching unit 30 , a temporary storage unit 200 , a printing unit 40 , and a stack unit 50 . and a reject unit 300 .

입출유닛(10)은 투입구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현금과 수표(이하, "지폐"라 한다)를 번들(다발, 묶음) 형태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입출유닛(10)은 지폐번들에서 지폐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이송하는 지폐분리부(11)를 구비할 수 있다.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0 may transfer cash and chec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nknotes") inject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 in the form of bundles (bundles, bundles). In additio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 bill separation unit 11 for transferring the bills to separate the bills from the bill bundle.

여기서, 지폐번들은 다발 또는 묶음 형태로 이루어진 지폐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폐는 종이 재질로 된 화폐로서 현금과 수표를 포괄할 수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 지폐번들이라 함은 현금 또는 수표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현금과 수표가 섞여 있는 묶음 형태를 지칭할 수 있다. Here, the banknote bundle means banknotes in the form of a bundle or bundle, and the banknote is paper money and may include cash and checks. In this embodiment, the banknote bundle is made of only cash or checks It can refer to the form of a bundle in which cash and checks are mixed.

또한, 감별유닛(20)은 입출유닛(10)에서 지폐를 제공받아 지폐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지폐를 감별할 수 있다. 감별유닛(20)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CIS)를 이용하여 지폐의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인식할 수 있으며, 혹시 지폐가 2매 공급된 경우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2매를 검지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CIS)를 이용하여 지폐의 OCR을 인식하는 기술 및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2매를 검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discrimination unit 20 may receive the banknote from the deposit/withdrawal unit 10 and scan the image of the banknote to discriminate the banknote. The discrimination unit 20 can recognize the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f the bill using the camera image sensor (CIS), and if two bills are supplied, the ultrasonic sensor can detect two bills. have. A technique for recognizing the OCR of a banknote using a camera image sensor (CIS) and detecting two banknotes using an ultrasonic sensor are generally well know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경로전환부(30)는 감별유닛(20)에서 이송된 지폐의 경로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경로전환부(30)는 외부의 신호(예컨대, 입금 신호 또는 입금 취소 신호)를 입력받아 경로전환부(30)에 이송된 지폐의 입금 또는 반송 여부를 결정하여 그 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h change unit 30 is an element that determines the path of the banknote transferred from the discrimination unit 20, the path change unit 30 receives an external signal (eg, a deposit signal or a deposit cancellation signal) to receive the path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path by determining whether the banknote transferred to the switching unit 30 is deposited or conveyed.

경로전환부(30)는 지폐번들의 지폐가 배서를 필요로 하는 수표이며 그 수표가 뒤집힌 상태로 투입되는 경우, 인쇄부(40)에서의 정상적인 배서를 위해서 뒤집힌 수표를 다시 뒤집는 표리 반전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path switching unit 30 has a front and back reversal function that reverses the overturned check again for normal endorsement in the printing unit 40 when the banknote of the banknote bundle is a check requiring endorsement and the check is inserted in an upside-down state. can

한편, 상기 임시 저장부(200)는 경로전환부(30)에서 제공된 지폐를 임시로 저장하는 요소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an elemen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banknotes provided by the path change unit 30, as shown in Figs. can

경로전환부(30)를 통과한 지폐는 임시 저장부(200)에 일시적으로 머물게 되며, 경로전환부(30)의 경로 결정에 따라 입금 경로 또는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banknote passing through the path switching unit 30 temporarily stays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 and moves along the deposit path or the conveyance path according to the path determination of the path switching unit 30 .

또한, 인쇄부(40)는 지폐 입금시 임시 저장부(200)의 지폐를 제공받아 지폐가 수표인 경우 일측면에 배서를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inting unit 40 receives the banknot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when depositing the banknote, and performs endorsement on one side when the banknote is a check.

또한 스택부(50)는 인쇄부(40)에서 제공된 지폐를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stack unit 50 may store bills provided by the printing unit 40 .

한편, 상기 리젝트부(300)는 지폐의 반송시 임시 저장부(200)의 지폐를 제공받아 일시적으로 지폐를 저장하고, 그 지폐를 입출유닛(1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ject unit 300 may receive the banknotes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when conveying the banknotes, temporarily store the banknotes, and transfer the banknotes to the deposit/withdrawal unit 10 .

여기서, 임시 저장부(200)의 지폐는 지폐 입금(경로전환부(30)의 입금 결정)시 인쇄부(40)로 바로 공급될 수도 있지만, 경로전환부(30)를 거쳐 인쇄부(40)로 공급될 수도 있다.Here, the banknotes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printing unit 40 when the banknote is deposited (determination of deposit of the path switching unit 30), but the printing unit 40 through the path switching unit 30 may be supplied as

또한 임시 저장부(200)의 지폐는 지폐 반송(경로전환부(30)의 입금 취소 결정)시 리젝트부(300)로 바로 공급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경로전환부(30)와 감별유닛(20)을 순차적으로 거쳐 리젝트부(300)로 공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nknotes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reject unit 300 when the banknotes are conveyed (decision to cancel the deposit by the path switching unit 30), but otherwise the path switching unit 30 and the discrimination unit ( 20) may b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reject unit 30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젝트부(300)는 본체(100) 내에서 임시 저장부(200)의 옆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저장부(20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반송로(60)에서 제공되는 지폐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ject unit 300 may be provided next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n the main body 10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and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store the banknotes provided in the conveyance path 60 .

또한, 상기 도어 커버부(4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저장부(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본체(100)의 일부를 커버하여 내부를 보호하고, 본체(100)에 개폐 가능하게 회동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은 도 1의 도면에서 도어 커버부(400)를 삭제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4 , the door cover unit 400 is disposed o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to cover a part of the main body 100 to protect the inside, and the main body 100 . It can be rotat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For reference, 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oor cover 400 removed from the drawing of FIG. 1 .

도어 커버부(400)는 제1 힌지(401)를 매개로 본체(100)에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커버부(400)가 닫혀 있는 경우 아래에 위치한 임시 저장부(200)를 가압하여 임시 저장부(200)의 탈거가 불가능하도록 한다. The door cover unit 400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reset angle on the main body 100 via the first hinge 401. As shown in FIG. 1, when the door cover unit 400 is closed, the By pressing the located temporary storage unit 200,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커버부(400)가 상방(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면 임시 저장부(200)가 본체(100) 내부로부터 탈거되어 본체(100)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4 , when the door cover part 400 is rotated up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temporary storage part 200 is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0 and comes out of the body 100 . can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저장부(200)가 본체(100)에서 완전히 탈거되면 임시 저장부(2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임시 저장부(200)와 리젝트부(300) 사이에 제공되는 반송로(60)가 외부로 노출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반송로(60)에 지폐의 잼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반송로(60)에 끼여 있는 지폐를 쉽고 간편하게 제거하여 잼을 해결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 wh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0 , it is located inside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and is located betwe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and the reject unit 300 . The conveyance path 60 provided in the bar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ccordingly, when the banknote jam occurs in the conveyance path 60, the jam can be solved by easily and conveniently removing the banknotes stuck in the conveyance path 60. have.

여기서, 본 실시예는 임시 저장부(200)가 본체(100) 내부에 수용 또는 분리될 때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ans 500 for guiding wh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accommodated or separ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

즉, 임시 저장부(200)는 가이드 수단(500)을 매개로 본체(100)에 삽입되거나 탈거될 수 있는데, 임시 저장부(200)의 삽입 및 탈거시 가이드 수단(500)은 정해진 경로로 임시 저장부(2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That is,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may be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0 via the guide means 500 , and wh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inserted and removed, the guide means 500 temporarily mov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It guides the storage unit 200 so that it can be mov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수단(500)은 본체(100)의 내벽면에 제공되는 제1 가이드레일(510)과, 임시 저장부(200)의 외벽면에 제공되는 제1 가이드홈(511)을 포함할 수 있다.5 and 6 , the guide means 500 includes a first guide rail 510 provid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first guide provided on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 A groove 511 may be included.

제1 가이드레일(510)은 임시 저장부(200)의 적어도 어느 일측면과 마주보는 본체(100)의 내벽면에 임시 저장부(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레일(510)은 임시 저장부(200)의 어느 일측면과 마주보는 본체(100)의 어느 한 내벽면에만 제공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임시 저장부(200)의 양측면과 마주보는 본체(100)의 내벽 양측에 모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guide rail 510 may be provid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facing at least one sid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 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guide rail 510 may be provided only on on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facing any one sid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but differently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0 facing both sides of the 200).

제1 가이드홈(511)은 제1 가이드레일(510)이 끼워지도록 임시 저장부(200)의 외측면에 제공되어 임시 저장부(200)가 본체(100)에 삽입되거나 탈거될 때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groove 51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so that the first guide rail 510 is inserted thereinto, so that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0 through a preset path. You can guide them to move along.

또한,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수단(500)은 가이드 바(520)와 스키드 바(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guide means 5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bar 520 and a skid bar 530 .

가이드 바(520)는 임시 저장부(200)의 상부면과 마주보는 본체(10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임시 저장부(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bar 52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 and may be elongat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

가이드 바(520)는 임시 저장부(200)가 본체(100)에 삽입되거나 탈거될 때 임시 저장부(200)의 상부면이 상부에 있는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어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상부에 있는 타 구성과 간섭되어 타 구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임시 저장부(200)의 삽입 및 탈거시 가이드 바(520)가 임시 저장부(200)를 하방으로 눌러 타 구조물이나 타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한다.Wh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0 ,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nterferes with other structures on the upper side to generate noise or the other guide bar 520 is installed. It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amage to other components by interfering with the configuration. Wh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inserted and removed, the guide bar 520 presses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downward to prevent other structures or other structures.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nfiguration.

상기 스키드 바(530)는 임시 저장부(200)의 바닥면에 임시 저장부(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것으로, 임시 저장부(200)가 본체(100)에 삽입 및 탈거될 때 임시 저장부(200)의 바닥면 전체가 본체(100)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임시 저장부(200)가 보다 부드럽게 삽입 및 탈거되도록 한다.A plurality of skid bars 530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n parallel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 and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When removed,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prevent noise and reduce frictional resistance so that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inserted and removed more smoothly. .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저장부(200)의 일측면(예컨대, 배면)에는 임시 저장부(200)의 외부로부터 전원 및 전기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받기 위한 커넥터부(201)가 마련될 수 있는데, 임시 저장부(200)에서 상기 커넥터부(201)의 일측에는 가이드 공(210)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on one side (eg, the back sid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 a connector unit 201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power and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utsid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 may be provided, and a guide ball 21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nector unit 201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

또한, 가이드 공(210)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부위에는 그 가이드 공(210)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110)이 제공될 수 있다.(도 5 참조)In addition, a guide pin 110 inserted into the guide ball 21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portion of the body 100 facing the guide ball 210 (see FIG. 5 ).

상기 가이드 공(210)과 가이드 핀(110)은 임시 저장부(200)가 본체(100)에 삽입될 때 임시 저장부(200)의 커넥터부(201)가 본체(100)에 제공되는 다른 커넥터(미도시)와 정 위치로 접속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The guide ball 210 and the guide pin 110 are different connectors in which the connector part 201 of the temporary storage part 200 is provided to the body 100 when the temporary storage part 200 is inserted into the body 100 . (not shown) is a configuration that guides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rrect position.

한편, 도 1,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부(400)에는 도어 커버부(400)가 닫혀 있을 때 본체(100)에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 수단(600)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1, 3, 4 and 8, the door cover portion 4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600 for locking the body 100 when the door cover portion 400 is closed. can

록킹 수단(600)은 도어 커버부(400)를 본체(100)에 록킹시켜 도어 커버부(400)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며, 임시 저장부(200)를 탈거하기 위해 도어 커버부(400)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소정의 외력을 가하면 록킹이 해제되어 도어 커버부(400)가 본체(100)로부터 개방되도록 한다.The locking means 600 locks the door cover 400 to the main body 100 to prevent the door cover 400 from being arbitrarily opened, and to remove the temporary storage 200 from the door cover 400 . When opening is required, the locking is released when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door cover part 400 is opened from the main body 100 .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수단(600)은 힌지축(610), 레버부(620), 록킹부(630) 및 탄성부재(6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록킹부(630)는 록킹홈(631)과 록킹돌기(6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 the locking means 600 may include a hinge shaft 610 , a lever part 620 , a locking part 630 and an elastic member 640 , and the locking part 630 .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groove 631 and a locking protrusion 632 .

상기 힌지축(610)은 도어 커버부(4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요소로서, 도어 커버부(40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커버부(400)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shaft 610 is an element rotatably installed on the door cover 400 , and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cover 400 when the door cover 400 is viewed from the front. .

상기 레버부(620)는 힌지축(610)의 외주면 일측에 연결되어 힌지축(6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요소로서, 사용자의 외력이 레버부(620)에 작용하면 힌지축(610)이 회전될 수 있다.The lever part 620 is an element tha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610 and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hinge shaft 610 .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acts on the lever part 620 , the hinge shaft 610 rotates. can be

상기 록킹부(630)는 힌지축(610)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 제공되어 도어 커버부(400)를 본체(100) 일측에 록킹시키는 요소로서, 힌지축(610)이 회전됨에 따라 록킹부(630)가 본체(100)의 일측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면서 도어 커버부(400)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거나 열리도록 할 수 있다.The locking part 630 is provided at at least one end of the hinge shaft 610 to lock the door cover part 400 to one side of the body 100, and as the hinge shaft 610 rotates, the locking part 630 ) may be locked or unlock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door cover part 400 maintains a closed state or opens.

또한 상기 탄성부재(640)는 힌지축(610)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요소로서, 레버부(620)에 가해지던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힌지축(610)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640 is an element that provides a rotational restoring force to the hinge shaft 610, and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ever part 620 is removed, the hinge shaft 610 is a torsion spring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can be implemented as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록킹부(630)는 록킹홈(631)과 록킹돌기(6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록킹홈(631)은 힌지축(610)의 끝단에 제공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요홈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9, the locking part 630 may include a locking groove 631 and a locking projection 632, the locking groove 631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inge shaft 610, one side is It may be provided with an open groove structure.

또한, 록킹돌기(632)는 록킹홈(631)이 걸리도록 본체(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요소로서, 록킹홈(631)은 상기 힌지축(61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지만 록킹돌기(632)는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 632 is an elemen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locking groove 631 is caught, and the locking groove 631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610, but the locking protrusion 632 )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and does not move.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커버부(400)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축(610)은 탄성부재(640)의 복원력에 의하여 록킹홈(631)이 록킹돌기(632)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부(620)에 외력을 가하면 힌지축(610)이 회전되면서 록킹홈(631)이 록킹돌기(632)에서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되므로 도어 커버부(400)의 개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임시 저장부(200)를 탈거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9 ,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cover part 400 is closed, the hinge shaft 610 ha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groove 631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63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40 . can keep In this state,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lever part 620, the hinge shaft 610 is rotated and the locking groove 631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632 to release the lock, so the door cover part 400 can be opened. and, accordingly,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may be removed.

한편,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록킹 수단(600)의 일측에는 도어 커버부(400)가 록킹 해제된 것을 감지하여 임시 저장부(200)의 커넥터부(201)에 제공되는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차단하는 감지유닛(700)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8 and 10 , one side of the locking means 600 detects that the door cover part 400 is unlocked and provides power or electrical power to the connector part 201 of the temporary storage part 200 . A detection unit 700 that blocks a signal may be provided.

구체적으로, 감지유닛(700)은 이동체(710)와 센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700 may include a moving body 710 and a sensor unit 720 .

이동체(710)는 힌지축(610)에 연결되어 힌지축(610)과 함께 회전 운동을 하는 구성으로서, 이동체(710)의 일측에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7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movable body 710 is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61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hinge shaft 610. A through hole 711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movable body 710. .

또한, 센서부(720)는 이동체(7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요소로서, 센서부(720)는 서로 대향하는 곳에 발광부(721)와 수광부(722)가 제공되어 상기 관통구(711)가 발광부(721)와 수광부(722)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어 커버부(400)가 록킹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720 is an element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710 and outputs a preset detection signal. When the through hole 711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72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722 ,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door cover unit 400 is locked.

즉, 도 10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커버부(400)가 록킹된 상태에서 이동체(710)에 형성된 관통구(711)는 센서부(720)의 내부(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다가, 도어 커버부(400)가 록킹 해제되는 경우 도 10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610)의 회전에 의해 이동체(710)도 회전 이동되면서 센서부(720)의 발광부(721)와 수광부(722) 사이에는 관통구(711)가 위치하지 않고 이동체(710)의 막힌 부분이 위치하는 바, 이에 따라 센서부(720)는 이를 도어 커버부(400)의 록킹 해제로 인식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0 , the through hole 711 formed in the movable body 71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cover part 400 is locked is located inside the sensor part 720 (between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Meanwhile, when the door cover unit 400 is unlocked,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10 , the movable body 710 is also rotated and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610 , and the light emitting unit 721 of the sensor unit 720 . The through hole 711 is not located between the light receiving unit 722 and the blocking portion of the movable body 710 is located. Accordingly, the sensor unit 720 recognizes this as unlocking the door cover unit 400 . .

한편, 본 실시예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720)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도어 커버부(400)의 록킹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8 and 10 ,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800 tha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7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door cover unit 400 is locked.

제어부(800)는 도어 커버부(400)의 록킹 해제시 임시 저장부(200)의 커넥터부(201)에 제공되는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임시 저장부(200)가 탈거될 때 임시 저장부(200)의 커넥터부(201)에 전기적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blocks the power or electrical signal provided to the connector unit 201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when unlocking the door cover unit 400 wh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from occurring in the connector part 201 of the 200 .

참고로, 커넥터부(201)에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부(201)가 분리되면 전기적 쇼트가 발생하게 되어 전자 부품이나 회로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는 바, 본 실시예는 도어 커버부(400)의 록킹이 해제되는 경우를 임시 저장부(200)가 본체(100)로부터 탈거되는 상황으로 인식함으로써 이 경우 미리 커넥터부(201)에 제공되는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800)를 통해 차단할 수 있다.For reference, if the connector part 201 is disconnected while power or an electrical signal is being supplied to the connector part 201 , an electrical short may occur, which may cause damage to electronic components or circuits. By recognizing the case in which the locking of the cover unit 400 is released as a situation in which the temporary storage unit 200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0 , in this case, power or an electrical signal provided to the connector unit 201 in advanc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800 . ) can be block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는 수표를 처리하는데 바람직하다.Such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for processing a check.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free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bstitution and change of components are possible, which also belongs to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 110 : 가이드 핀
200 : 임시 저장부 201 : 커넥터부
210 : 가이드 공 300 : 리젝트부
400 : 도어 커버부 500 : 가이드 수단
510 : 제1 가이드레일 511 : 제1 가이드홈
520 : 가이드 바 530 : 스키드 바
600 : 록킹 수단 610 : 힌지축
620 : 레버부 630 : 록킹부
631 : 록킹홈 632 : 록킹돌기
640 : 탄성부재 700 : 감지유닛
710 : 이동체 711 : 관통구
720 : 센서부 800 : 제어부
100: body 110: guide pin
200: temporary storage unit 201: connector unit
210: guide ball 300: reject unit
400: door cover 500: guide means
510: first guide rail 511: first guide groove
520: guide bar 530: skid bar
600: locking means 610: hinge shaft
620: lever part 630: locking part
631: locking groove 632: locking projection
640: elastic member 700: sensing unit
710: mobile 711: through hole
720: sensor unit 800: control unit

Claims (1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지폐가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며, 상기 임시 저장부로부터 연장되는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지폐를 저장하는 리젝트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의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임시 저장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수 있고,
상기 임시 저장부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벽면에 상기 임시 저장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이 계합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대향하는 상기 임시 저장부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제1 가이드홈;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임시 저장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a body forming an appearance;
a temporary storage unit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bills therein;
a rejec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tore bills conveyed through a conveyance path extending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cover a part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door cover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When the door cover part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the temporary storage part may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ans for guiding that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accommodated or separated in the body,
The guide means,
a first guide rail provid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a first guide groove provided to engage the first guide rail and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opposite to the first guide rail; and
Bill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comprising a guide bar provid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임시 저장부의 바닥면에 상기 임시 저장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 개로 제공되는 스키드 바를 더 포함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ans,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kid bars provided in parallel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지폐가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며, 상기 임시 저장부로부터 연장되는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지폐를 저장하는 리젝트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의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임시 저장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수 있고,
상기 임시 저장부는 일측면에 마련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일측에는 가이드 공이 제공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 공과 마주보는 부위에 제공되는, 지폐 입출금 장치.
a body forming an appearance;
a temporary storage unit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bills therein;
a rejec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tore bills conveyed through a conveyance path extending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cover a part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door cover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When the door cover part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the temporary storage part may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cludes a connector unit provided on one side,
A guide bal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part,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guide pin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guide pin is provided in a portion facing the guide ball,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버부에는 상기 도어 커버부가 상기 본체에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 수단이 제공되는, 지폐 입출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is provided in the door cover unit with a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door cover unit to the main bod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도어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레버부;
상기 힌지축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 커버부를 상기 본체 일측에 록킹시키는 록킹부; 및
상기 힌지축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cking means,
a hinge shaft rotatably provided to the door cover part;
a lever part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to provide rotational force;
a lock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end of the hinge shaft to lock the door cover part to one side of the body; and
Bill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 rotational restoring force to the hinge shaf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힌지축의 끝단에 제공되며, 일측이 개방된 요홈의 구조를 갖는 록킹홈; 및
상기 록킹홈이 걸리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록킹돌기를 포함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ocking unit,
a locking groove provided at the end of the hinge shaft and having a recessed structure with one side open; and
Bill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comprising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engage the locking groov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 커버부의 록킹 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의 커넥터부에 제공되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감지유닛이 제공되는, 지폐 입출금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cking means to detect unlocking of the door cover and block at least one of power and electrical signals provided to the connector of the temporary storag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ing unit is
a movable body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to provide rotational motion; and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comprising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and outputs a preset detection signal.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관통구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 놓이면, 상기 도어 커버부가 록킹되었다는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지폐 입출금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through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body,
The sensor unit,
light emitting unit; and
and a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sensor unit is placed in a state where the through hole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sensor unit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door cover unit is locke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도어 커버부의 록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 커버부의 록킹 해제시 상기 커넥터부에 제공되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cover unit is locked, and to block at least one of power and electrical signals provided to the connector unit when the door cover unit is unlocked Device.
KR1020170050695A 2017-04-19 2017-04-19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 KR1023234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95A KR102323439B1 (en) 2017-04-19 2017-04-19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95A KR102323439B1 (en) 2017-04-19 2017-04-19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505A KR20180117505A (en) 2018-10-29
KR102323439B1 true KR102323439B1 (en) 2021-11-09

Family

ID=6410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695A KR102323439B1 (en) 2017-04-19 2017-04-19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4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00452A1 (en) * 2021-02-25 2024-01-03 Hyosung Tns Inc.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KR20230077353A (en)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코럴 Absorbing a shock panel of packing bo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009Y1 (en) 2005-07-29 2005-10-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Locking device for cassette frame do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529B1 (en) 2008-09-09 2013-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Bulk Check Acceptor
KR102255918B1 (en) * 2014-12-31 2021-05-2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of paper money
KR101965855B1 (en) * 2017-04-06 2019-04-0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Door locking apparatus and safe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009Y1 (en) 2005-07-29 2005-10-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Locking device for cassette frame do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튜브 동영상(삼성전자 복합기 ~ 교체 방법)(캡쳐 사진), 삼성전자서비스, https://www.youtube.com/watch?v=Wq_GqfLbAuA(2015.07.0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505A (en)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657B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JP5795990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and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KR20120031931A (en) Paper money deposit/withdrawal machine
JP5500190B2 (en) Media transaction equipment
KR101732795B1 (en) Medium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2323439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paper money
WO2014155645A1 (en) Paper-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KR102255918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of paper money
US8151967B2 (en) Banknot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banknotes therefrom
KR101348868B1 (en) A media sen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2106865B1 (en) Paper money storage cassette
JP2014142845A (en) Paper money handling device
KR101849182B1 (en) Cash dispense machine
KR101280658B1 (en)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WO2013172084A1 (en) Paper-slip handl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KR20110078203A (en) Appratus for sensing a loading of a bundle note in a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JP4838998B2 (en)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KR101965855B1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safe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WO2016009761A1 (en) Cash handling device
JP5200889B2 (en) Bill recognition device
JP6711775B2 (en) Media handling device
JP6737014B2 (en) Medium storage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KR100526581B1 (en) dispensor in the bill recycling machine
KR101587689B1 (en) Financial device
KR100749297B1 (en) Cash dispense machine having dispenser 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