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545B1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545B1
KR101710545B1 KR1020090106528A KR20090106528A KR101710545B1 KR 101710545 B1 KR101710545 B1 KR 101710545B1 KR 1020090106528 A KR1020090106528 A KR 1020090106528A KR 20090106528 A KR20090106528 A KR 20090106528A KR 101710545 B1 KR101710545 B1 KR 101710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page images
area
web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492A (ko
Inventor
허근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545B1/ko
Priority to US12/764,825 priority patent/US8560967B2/en
Priority to EP10187282.8A priority patent/EP2320630B1/en
Priority to CN2010105398820A priority patent/CN102054023B/zh
Publication of KR2011004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페이지 또는 파일 등 과거에 접근했던 다양한 콘텐츠들의 히스토리(history)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 히스토리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웹페이지 또는 파일 등 과거에 접근했던 다양한 콘텐츠들에 대한 접근 히스토리(history)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기기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웹사이트/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게 하거나, 각종 문서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가 열어 보거나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자 기기는, 전술한 웹페이지 또는 파일 등 과거에 접근했던 다양한 콘텐츠들의 접근 히스토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기기가 제공하는 접근 히스토리는, 그 기능이 너무 단순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웹페이지 또는 파일 등 과거에 접근했던 다양한 콘텐츠들에 대한 접근 히스토리(history)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인터넷 모듈; 및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을 통해 과거에 제공된 웹페이지들을 캡쳐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미리 정해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의하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들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웹페이지들을 제공받을 때마다, 상기 웹페이지들을 캡쳐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미리 정해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웹페이지 또는 파일 등 과거에 접근했던 다양한 콘텐츠들에 대한 접근 히스토리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공된 접근 히스토리의 내용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과거에 접근했던 콘텐츠들 중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재접근할 때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 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 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 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 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 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및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 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 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 조작부(131)가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터치는, 접촉 터치와 근접 터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터치에 관하여는,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 구성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의 실제 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구동할 수 있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웹 브라우저의 구동에 따라, 대응되는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웹 브라우저의 초기 구동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 또는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미리 설정된 특정 웹사이트(website)로 접속하여 상기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webpage)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영역(10)과 현재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S110].
도 5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와 도 5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지 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른 경우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센싱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지표면과 이루는 각도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몸체의 지향 방향(orientation)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 또는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상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접속된 웹사이트에 의해 현재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하고[S120],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웹페이지를 캡쳐한 웹페이지 이미지를 상기 제1 영역(10)에 표시한다[S13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제공되는 제1 웹페이지(40a)를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하고, 상기 현재 제공되는 웹페이지(40a)를 캡쳐한 제1 웹페이지 이미지(30a)를 상기 제1 영역(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웹페이지(40a)는, "http://www.naver.com"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 또는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새로운 웹페이지를 제공받는지를 판단하고[S140], 상기 새로운 웹페이지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S120 단계로 회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웹페이지(40a)와는 다른 제2 웹페이지(40b)를 대응되는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제2 웹페이지(40b)를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할 수 있다[S120].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웹페이지(40b)를 캡쳐한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를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할 수 있다[S13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를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함에 있어서, 이전에 접속했던 상기 제1 웹페이지(40a)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미지(30a)와 함께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된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미지(30a)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는, 인터넷으로부터 제공된 웹페이지들의 히스토리(history), 즉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구성하게 된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웹페이지를 제공받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웹페이지(40b)와는 다른 제3 웹페이지(40c)를 제공받고, 이를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한다[S120].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로서, 상기 제3 웹페이지(40c)에 대응되는 제3 웹페이지 이미지(30c)를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한다[S130].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특정 웹페이지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가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되는 시점이, 상기 특정 웹페이지가 상기 제2 영역(20)에 제공되는 시점과 동시에 또는 그 직전 또는 그 직후일 수 있다.
그러나, 웹페이지 이미지가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되는 시점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웹페이 지(40b)가 상기 제2 영역(20)에 제공되고 있는 동안,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를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새로운 웹페이지인 상기 제3 웹페이지(40c)가 상기 제2 영역(20)에 제공됨에 따라,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를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상기 제1 영역(10)과 상기 제2 영역(20)이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반드시 상기 제1 영역(10)과 상기 제2 영역(20)이 동시에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영역(10)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제공되는 상기 제3 웹페이지(40c)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1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접촉되지 않는 외부의 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1 위치(50a)에서 제2 위치(50b)로 이동하면, 상기 손가락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이 제3 위치(50c)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영역(1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손가락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영역(1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더 이상 제공하지 않고, 상기 제2 영역(20)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S13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의 제공 방식이 그룹핑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0].
상기 그룹핑 방식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0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의 제공 방식이 상기 그룹핑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세부 설정으로서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의 개수에 기초한 그룹핑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1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10 단계의 판단 결과, 웹페이지 이미지들의 개수에 기초한 그룹핑 방식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되 는 웹페이지 이미지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22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의 개수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10)에 표시한다[S230].
상기 카테고리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과거에 제공된 웹페이지들(또는 현재 제공중인 웹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음)의 인터넷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과거에 제공된 웹페이지들을 캡쳐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동일한 상위 인터넷 주소를 갖는 웹페이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끼리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과거에 제공된 웹페이지들의 접속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동일한 접속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된 웹페이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끼리 그룹핑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기타 다양한 기준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인터넷 주소 및 상기 접속 경로만을 기준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도 11은 도 8의 상태에서 제4 웹페이지(40d)를 인터넷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기준값이 3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1 영역(1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의 개수가 4개이므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이 카테고리별로 그룹핑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되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이, 상기 인터넷 주소를 기준으로 하여 그룹핑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제1 그룹(50)은,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미지(30a),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 및 상기 제3 웹페이지 이미지(30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룹(50)에 포함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30a, 30b, 30c)은, 상위 인터넷 주소가 "www.naver.com"으로서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웹페이지 이미지들(30a, 30b, 30c)은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10 단계의 판단 결과, 웹페이지 이미지들의 개수에 기초한 그룹핑 방식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10)에 표시한다[S23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3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되는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의 개수와는 무관하게,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끼리 그룹핑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S230 단계가 수행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도 12a는, 사용자에 의해 접속된 웹페이지들의 히스토리가 상기 제1 웹페이지(40a)와 상기 제2 웹페이지(40b)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도 12b는, 사용자에 의해 접속된 웹페이지들의 히스토리가 상기 제1 내지 제3 웹페이지들(40a, 40b, 40c)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웹페이지(40a) 및 상기 제2 웹페이지(40b)의 상위 인터넷 주소들이 모두 "www.naver.com"으로서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웹페이지(40a)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미지(30a)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를 제2 그룹(51)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웹페이지들(40a, 40b, 40c)의 상위 인터넷 주소들이 모두 동일하므로, 상기 제1 내지 제3 웹페이지들(40a, 40b, 40c)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웹페이지 이미지들(30a, 30b, 30c)을 제3 그룹(52)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도 13은, 동일한 상위 인터넷 주소를 갖는 웹페이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그룹핑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5개의 웹페이지 이미지들(30a, 30b, 30c, 30e, 30f)은 모두 상위 인터넷 주소가 동일한 웹페이지들에 대응된다.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30a, 30b, 30c, 30e, 30f)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tree) 구조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와 상기 제5 웹페이지 이미지(30e)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는,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미지(30a)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의 하위 웹페이지들이다.
그리고 상기 제3 웹페이지 이미지(30c)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는,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의 하위 웹페이지이다. 그리고 상기 제6 웹페이지 이미지(30f)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는, 상기 제5 웹페이지 이미지(30e)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의 하위 웹페이지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웹페이지 이미지들(30a, 30b, 30c)를 하나의 그룹(53, 이하 "제4 그룹"이라 함)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미지(30a)와 상기 제5 웹페이지 이미지(30e)와 상기 제6 웹페이지 이미지(30f)를 다른 하나의 그룹(54, 이하 "제5 그룹"이라 함)으로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5개의 웹페이지 이미지들(30a, 30b, 30c, 30e, 30f)를 모두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상기 그룹핑 방식에 의해 그룹핑되어 표시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동일한 그룹(50)에 속함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상기 제1 그룹(50)을 보고 상기 제1 그룹(50)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은 동일한 그룹(50)에 속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은, 도 13에 도시된 트리 구조로서 그룹핑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그룹핑하여 표시하는 방식은,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도 14 내지 도 17은, 접속 경로를 기준으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그룹핑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7 웹페이지(40g)를 해당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7 웹페이지(40g)는, 다른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링크 주소들이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들(예를 들어, 참조번호 60, 6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60, 6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링크 주소가 대응되어 있는 제1 콘텐츠(60)를 선택하면, 상기 제1 링크 주소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대응되는 제8 웹페이지(40h)를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8 웹페이지(40h) 또한, 상기 제7 웹페이지(40g)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링크 주소들이 대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8 웹페이지(40h)에 포함된 특정 콘텐츠(62)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62)에 대응되는 링크 주소에 해당하는 제9 웹페이지(40i)를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4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상기 제7 내지 제9 웹페이지들(40g, 40h, 40i)은, 동일한 접속 경로를 구성하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는,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가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4에 도시된 웹페이지들(40g, 40h, 40i)은 동일한 접속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된 것이므로, 하나의 그룹(54)으로 그룹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웹페이지 이미지들(30g, 30h, 30i)은, 도 14에 도시된 웹페이지들(40g, 40h, 40i)을 각각 캡처(capture)한 것들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제7 웹페이지(40g)에 포함된 다른 콘텐츠(61)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콘텐츠(61)에 대응되는 링크 주소와 대응되는 제10 웹페이지(40j)를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6에 도시된 웹페이지들(40g, 40j)이 동일한 접속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된 것이므로, 하나의 그룹(55, 이하 "제6 그룹"이라 함)으로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웹페이지 이미지들(30g, 30j)은, 도 16에 도시된 웹페이지들(40g, 40j)을 각각 캡처한 것들이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되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통해 과거에 접속했던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과거 접속된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된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 중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웹페이지(40b)에 해당하는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웹페이지(40b)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를 캡처할 때 상기 제2 웹페이지(40b)에 해당하는 상기 인터넷 주소를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를 선택하면,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미지(30b)와 대응되어 저장된 인터넷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웹페이지(40b)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d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과거 접속된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과거에, 또는 과거 및 현재에 접속한 웹페이지들의 히스토리를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는, 적어도 3개의 그룹(56, 57, 58)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7 그룹(56)은, 제11 웹페이지 이미지(30k)와 제12 웹페이지 이미지(30l)와 제13 웹페이지 이미지(30m)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8 그룹(57)은, 제14 웹페이지 이미지(30n)와 제15 웹페이지 이미지(30p)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되는 그룹들의 개수가 많아짐으로써 모든 그룹들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바(scroll bar, 7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 중 특정 웹페이지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되는 복수의 그룹들 중 특정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7 그룹(56)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상기 제7 그룹(56)을 선택함에 따라,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7 그룹(56)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30k, 30l, 30m)을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된 웹페이지 이미지들 중 자신이 원하는 특정 웹페이지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2 웹페이지 이미지(30l)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상기 제12 웹페이지 이미지(30l)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12 웹페이지 이미지(30l)에 대응되어 저장된 인터넷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제12 웹페이지 이미지(30l)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웹페이지 이미지(30l)에 대응되는 웹페이지(40l)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영역(10)에 제공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 중 특정 웹페이지 이미지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1은,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웹페이지 이미지의 시각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제14 웹페이지 이미지(30n)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로부터 영화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고 있는 상황을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운로드는, 현재 접속 중인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가 변경되더라도, 백그라운드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와 관련된 웹페이지에 대응되는 제14 웹페이지 이미지(30n)를 하이라이트(highlight)하거나 깜박거리는 방식으로 시각적인 강조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4 웹페이지 이미지(30n)의 시각적 변화를 통해, 상기 제14 웹페이지 이미지(30n)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다운로드의 완료 및 이메일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송수신을 포함하는,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에 대응되는 웹사이트와의 데이터 송수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미리 설정된 명령에 의해,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의 갱신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1 영역(10)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에 각각 대응되는 웹페이지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데이터 통신 성능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동시에 접근하여 현재 제공 중인 웹페이지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공된 웹페이지들을 캡처한 웹페이지 이미지 또는 대표 이미지를 상기 제1 영역(10)에 새롭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에 대한 갱신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영역(10)에 표시된 웹페이지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갱신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은, 주로 웹페이지, 웹 문서 및 웹사이트와 관련하여 설명되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파일 접근 히스토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과거에(또는 현재를 포함하는) 접근하거나 오픈했던 파일들의 목록을 종류별로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그룹들(80, 81, 82, 83)은, 각각 속성이 서로 다른 파일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도 22에 도시된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된 콘텐츠(91)는, 상기 제1 영역(10)에 표시된 그룹들 중 특정 그룹(81)이 선택된 경우,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근접 센서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2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 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 구성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의 실제 예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4의 S13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상태에서 제4 웹페이지(40d)를 인터넷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2 영역(20)에 표시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S230 단계가 수행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도 13은, 동일한 상위 인터넷 주소를 갖는 웹페이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그룹핑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접속 경로를 기준으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그룹핑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과거 접속된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0d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과거 접속된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웹페이지 이미지의 시각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파일 접근 히스토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 단말기 112: 이동통신 모듈
113: 무선인터넷 모듈 140: 센싱부
151: 디스플레이부 (터치 스크린) 160: 메모리
180: 제어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인터넷 모듈; 및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을 통해 과거에 제공된 웹페이지들을 캡쳐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미리 정해진 제1 영역에 표시하고, 현재 제공받는 웹 페이지를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웹 페이지 이미지들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웹페이지 이미지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를 시각적 변화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거에 제공된 웹페이지들이 미리 정해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그룹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면 상기 그룹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로서 상기 웹페이지들의 인터넷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동일한 상위 인터넷 주소를 갖는 웹페이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끼리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로서 상기 웹페이지들의 접속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동일한 접속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된 웹페이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끼리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접촉하지 않는 객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을 통해 상기 선택된 웹페이지 이미지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핑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이 선택된 경우, 상기 그룹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을 통해 상기 선택된 웹페이지 이미지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에 대응되는 웹사이트와의 데이터 송수신으로서, 데이터 다운로드의 완료 및 이메일(e-mail)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송수신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미리 설정된 명령에 의해,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들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들을 제공받을 때마다, 상기 웹페이지들을 캡쳐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를 미리 정해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현재 제공받는 웹 페이지를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접속 히스토리에 포함된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웹 페이지 이미지들의 적어도 일부를 중첩하여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웹페이지 이미지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를 시각적 변화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로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들의 인터넷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동일한 상위 인터넷 주소를 갖는 웹페이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끼리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그룹핑하여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로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들의 접속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 이미지들을 동일한 접속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된 웹페이지들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이미지들끼리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090106528A 2009-11-05 2009-11-05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710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528A KR101710545B1 (ko) 2009-11-05 2009-11-05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US12/764,825 US8560967B2 (en) 2009-11-05 2010-04-21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EP10187282.8A EP2320630B1 (en) 2009-11-05 2010-10-1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net access history information using the same
CN2010105398820A CN102054023B (zh) 2009-11-05 2010-11-05 移动终端和使用该移动终端提供信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528A KR101710545B1 (ko) 2009-11-05 2009-11-05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492A KR20110049492A (ko) 2011-05-12
KR101710545B1 true KR101710545B1 (ko) 2017-02-27

Family

ID=4346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528A KR101710545B1 (ko) 2009-11-05 2009-11-05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60967B2 (ko)
EP (1) EP2320630B1 (ko)
KR (1) KR101710545B1 (ko)
CN (1) CN1020540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4001A1 (en) 2011-05-26 2020-04-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53382B1 (ko) * 2011-09-21 201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표시제어장치 및 방법
WO2013052493A2 (en) 2011-10-04 2013-04-11 Google Inc. Combined activities history on a device
CA2795569A1 (en) * 2011-11-14 2013-05-14 Google Inc. Visual search history
KR101758363B1 (ko) 2011-12-14 2017-07-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972B1 (ko) * 2011-12-21 2018-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3368999A (zh) * 2012-03-29 2013-10-2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互联网的访问系统及方法
CN102681847B (zh) * 2012-04-28 2015-06-03 华为终端有限公司 触屏终端对象处理方法及触屏终端
JP6213467B2 (ja) * 2012-06-29 2017-10-18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63952B1 (ko) 2012-10-10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84683B1 (ko) 2012-10-10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3937B1 (ko) 2012-10-10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툴 제공 방법
KR102061881B1 (ko) 2012-10-10 202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83918B1 (ko) 2012-10-10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1228B1 (ko) 2012-10-10 2019-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촬상 방법
US20150212647A1 (en) 2012-10-10 2015-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US9075500B2 (en) * 2012-11-27 2015-07-07 Sap Se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nd navigating embedded user interface elements
DE112013001305T5 (de) * 2013-01-06 2014-12-31 Intel Corporation Ein Verfahren, eine Vorrichtung und ein System zur verteilten Vorverarbeitung von Berührungsdaten und Anzeigebereichsteuerung
KR20150027614A (ko) * 2013-09-04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841670A (zh) * 2014-02-10 2014-06-04 管海兵 Zigbee转WIFI网关
KR102179816B1 (ko) * 2014-03-25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9429B1 (ko) * 2014-07-28 2016-01-28 정시은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WO2017061682A1 (en) * 2015-10-08 2017-04-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20412B1 (ko) 2015-10-08 2022-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805688B1 (en) * 2016-12-02 2020-10-13 Didja, Inc. Locally relayed broadcast and community service television
US10444946B2 (en) * 2016-12-13 2019-10-15 Evernote Corporation Shared user driven clipping of multiple web pages
KR102083226B1 (ko) * 2019-02-22 2020-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0443285A (zh) * 2019-07-16 2019-11-12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相似轨迹的确定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1549A1 (en) * 2004-08-20 2006-02-23 Gundersen Matthew A Mapping web sites based on significance of contact and category
US20060101330A1 (en) * 2004-11-08 2006-05-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Browser sitemap viewer
US20060161870A1 (en) 2004-07-30 2006-07-20 Apple Computer,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20060224997A1 (en) 2005-03-31 2006-10-05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web browser history toolba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969093A (en) * 1992-04-30 1993-11-2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information in a computer system
AU1566597A (en) * 1995-12-27 1997-08-11 Gary B. Robinson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in world wide web advertising
US7065713B1 (en) * 2000-11-09 2006-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keeping aggregated portions of multiple web sites simultaneously displayed and updated
US20030231216A1 (en) * 2002-06-13 2003-1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Internet navigation tree with bookmarking and emailing capability
GB0314782D0 (en) * 2003-06-25 2003-07-30 Ibm A searchable personal browsing history
US7424476B2 (en) * 2004-04-16 2008-09-09 Aol Llc Categorized web browsing history
US20070162298A1 (en) * 2005-01-18 2007-07-12 Apple Comput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data items
JP4813104B2 (ja) * 2005-06-17 2011-1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装置および表示方法
WO2007116705A1 (ja) * 2006-03-31 2007-10-18 Nec Corporation ウェブコンテンツ閲覧情報表示装置、方法、プログラム
CN101075880A (zh) 2006-06-19 2007-11-2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浏览器的网址导航方法
US8051388B2 (en) * 2006-08-31 2011-11-01 Access Co., Ltd. Device having bookmark thumbnail management function
US8037182B2 (en) * 2006-11-30 2011-10-11 Microsoft Corporation Capture of content from dynamic resource services
US20090327913A1 (en) * 2008-06-27 2009-12-31 Microsoft Corporation Using web revisitation patterns to support web interaction
US20100095219A1 (en) * 2008-10-15 2010-04-15 Maciej Stachowiak Selective history data struc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1870A1 (en) 2004-07-30 2006-07-20 Apple Computer,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20060041549A1 (en) * 2004-08-20 2006-02-23 Gundersen Matthew A Mapping web sites based on significance of contact and category
US20060101330A1 (en) * 2004-11-08 2006-05-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Browser sitemap viewer
US20060224997A1 (en) 2005-03-31 2006-10-05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web browser history tool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0630A2 (en) 2011-05-11
CN102054023B (zh) 2013-12-11
EP2320630B1 (en) 2018-09-12
CN102054023A (zh) 2011-05-11
US8560967B2 (en) 2013-10-15
US20110107226A1 (en) 2011-05-05
KR20110049492A (ko) 2011-05-12
EP2320630A3 (en)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54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56635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56835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02363B1 (ko)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7915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US965211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2374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KR10168514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1048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53119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맵 표시 방법
KR10155820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아이템 설정 방법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191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8590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69179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EP242421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52164B1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맵 상에 위치표시방법
KR201401439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1072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224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KR10151362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스티커 기능 수행방법
KR1017647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1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14639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