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939B1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939B1
KR101613939B1 KR1020090074166A KR20090074166A KR101613939B1 KR 101613939 B1 KR101613939 B1 KR 101613939B1 KR 1020090074166 A KR1020090074166 A KR 1020090074166A KR 20090074166 A KR20090074166 A KR 20090074166A KR 101613939 B1 KR101613939 B1 KR 10161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mobile terminal
remain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586A (ko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939B1/ko
Priority to US12/690,036 priority patent/US8385986B2/en
Priority to EP10001842A priority patent/EP2288040A1/en
Priority to CN201010130297.5A priority patent/CN101997558B/zh
Publication of KR2011001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기본 동작 관련 모듈만을 활성화하고, 지정 동작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상기 잔여 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저전력 상태에서 단말기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에서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잔여 전력량이 부족함을 알리거나 잔여 전력량 부족으로 특 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없음을 알릴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저전력 상태에서 현재 잔여 전력량으로 구동 가능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저전력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줄여야 함에도 전력 소모를 위한 구체적 대응책이 제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저 전력 상태에서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 전력 소모를 위하여 지정된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기본 동작 관련 모듈만을 활성화하고, 지정 동작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상기 잔여 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로의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기본 동작 관련 모듈 및 충전 관련 모듈만을 활성화하고, 지정 동작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상기 충전 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은,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기본 동작 관련 모듈만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지정 동작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상기 산출된 잔여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소비 전력량보다 일정량 이상 크거나 같은 경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은, 전원 공급부로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충전 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기본 동작 관련 모듈 및 충전 동작 관련 모듈만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지정 동작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상기 산출된 충전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충전 전력량이 상기 소비 전력량보다 일정량 이상 크거나 같은 경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 충전 저전력 상태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기본 동작 관련 모듈만을 활성화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비 충전 저전력 상태에서 지정 소비 전력량보다 잔여 전력량이 일정량 이상 크거나 같은 경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여, 효율적 전력 소모를 위하여 현재 전력 상태에서 구동 가능한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충전 저전력 상태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기본 동작 관련 모듈 및 충전 동작 관련 모듈만을 활성화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충전 저전력 상태에서 지정 소비 전력량보다 충전 전력량이 일정량 이상 크거나 같은 경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여, 현재 전력 상태에서 구동 가능한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 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 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 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 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복수의 전원(191, 192)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전원 각각으로부터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원 중 적어도 하나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용 기본 배터리를 메인 전원으로, 태양 전지를 보조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고, 물론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태양 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것으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사용해 전기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에 빛을 비추면 태양 전지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고, 전하들의 이동에 의해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태양전지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 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과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음향 출력 모듈(152, 도 2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전원 중 어느 전원은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한 구체적 설명에 앞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저전력 상태 알림 수단 및 태양 전지가 구비된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저전력 상태는, 잔여 전력량(또는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상태를 포함하고, 비 충전 상태 또는 충전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전면의 일 영역에 저전력 상태 알림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예를 들어 LED)(311)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전력 상태 알림 수단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단말기가 저전력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 알림 수단으로서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한 경우, 저전력 상태에서의 잔여 전력량에 비례하여 활성화되는 발광 소자의 수를 증가(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저전력 상태에서의 잔여 전력량의 크기에 따라 저전력 상태 알림 수단의 발광 색상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색상은, 잔여 전력량이 10%인 경우 빨간색, 5%인 경우 노란색, 3%인 경우 파란색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후면의 일 영역에 저전력 상태 알림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예를 들어 LED)(312)를 구비할 수 있고, 단말기 후면에 태양 전지(191)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후면에 태양 전지(191)와 층상 구조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수단(151-1)(특히, 전자 종이)을 구비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151-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가독성을 확보하고 태양 전지(191)로의 태양광의 효율적 입사를 위하여, 투명 형태의 태양 전지(191)를 디스플레이 수단(151-1)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은, 비 충전 상태 및 충전 상태로 각각 나누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 충전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 1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의 잔여 전력량을 산출한다(S410).
산출 단계(S410)는, 산출 주기에 따라 또는 임의의 산출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 주기 및 산출 시점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단말기 임의 결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산출된 잔여 전력량의 정도에 따라 산출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산출된 잔여 전력량이 50%인 경우 산출 주기를 1시간으로, 30%인 경우 산출 주기를 30분으로, 10%인 경우 산출 주기를 1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에 복수의 전원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180)는, 전원별로 별도 전력 저장 공간을 구비한 경우라면 복수의 전원 각각에 의해 공급되는 잔여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고, 복수의 전원 모두에 공통된 공동 전력 저장 공간을 구비한 경우라면 복수의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잔여 전력량을 통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에 태양 전지(191)가 포함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1)에 의해 공급되는 잔여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191)로 입사되는 태양 광량 및 태양 광세기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산출 단계(S410)에서 산출된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420).
여기에서, 일정 기준은, 이동 단말기(100)를 정상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최소 전력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상 동작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기준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단말기 임의 결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기준은,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전원 각각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하거나, 복수의 전원 전체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복수의 전원 중 메인 전원 및 서브 전원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인 전원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서브 전원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판단 단계(S420)에서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에 진입한다(S430).
여기에서, 절전 모드는, 이동 단말기(100)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하여금 기본 동작 및 지정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에 진입한 경우, 절전 모드 진입의 알림 정보 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 진입의 알림 정보는, 텍스트, 음성, 알람음, 진동, 램프(발광 소자 포함), 아이콘,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전원 중 하나라도 그것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또는 복수의 전원 전체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복수의 전원 중 메인 전원 및 서브 전원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인 전원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또는 메인 전원 및 서브 전원 각각의 잔여 전력량이 모두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절전 모드 진입에 관련된 화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절전 모드 설정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임을 알리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절전 모드 설정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입력창(5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입력창(510)을 통하여 절전 모드 진입(예)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 하이므로 절전 모드를 설정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창(5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입력창(510) 또는 알림창(520)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디스플레이 중단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절전 모드 설정의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 검색을 통하여 전원 절약 모드의 메뉴 항목(601)이 선택되는 경우(a), 전원 절약 모드에 관련된 메뉴 항목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예를 들어, 전원 절약 모드에 관련된 메뉴 항목 리스트에는, 최소 전원 상태 설정의 메뉴 항목 및 절전 모드 설정의 메뉴 항목(602)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b)에 도시된 메뉴 항목 리스트에서 절전 모드 설정의 메뉴 항목(602)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 설정에 관련된 메뉴 항목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 설정에 관련된 메뉴 항목 리스트에는, 절전 모드 진입 기준 설정의 메뉴 항목(603) 및 지정 동작 설정의 메뉴 항목(604)이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절전 모드 진입 기준 설정의 메뉴 항목(603)이 선택되는 경우, 절전 모드 진입 기준 설정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도 7 참조), 지정 동작 설정의 메뉴 항목(604)이 선택되는 경우 지정 동작 설정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8a 내지 도 8e 참조). 여기에서, 절전 모드 진입 기준은, 판단 단계(S420)에서의 판단 기준이 되는 일정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6b에서 절전 모드 진입 기준 설정의 메뉴 항목(603)이 선택되면, 절전 모드 진입 기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예를 들어, 절전 모드 진입 기준은, 기준 전력량(현재 또는 완충 상태에서의 잔여 전력량)을 100%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 진입 기준 리스트에는, 10%, 20%, 30%, 40%, 직접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절전 모드 진입 기준 리스트 중 10%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810)는, 10%를 절전 모드 진입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판단 단계(S420)에서 잔여 전력량이 10%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원(제 1 및 제 2 전원)을 포함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절전 모드 진입 여부의 판단 대상 전원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도 7(a)}.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 7(a)에서 "1"(701){또는 "2"(702)}이 선택되면 제 1 전원(또는 제 2 전원)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또는 절전 모드 진입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절전 모드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1+2"(703)이 선택되면 제 1 및 제 2 전원 전체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절전 모드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1→2"(704)이 선택되면 제 1 및 제 2 전원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절전 모드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절전 모드의 설정 대상 상태를 지정할 수 있다{도 7(b)}.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저전력 상태가 선택되는 경우 비 충전시 저전력 상태에서 절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충전 상태가 선택되는 경우 충전시 저전력 상태에서 절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비 충전 및 충전 시 저전력 상태 모두에 대하여 절전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지정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음성 통화(801), 메시지 작성/송신(802), 폰북(803) 및 MP3(804)를 지정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b 내지 도 8e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음성 통화(801), 메시지 작성/송신(802), 폰북(803) 및 MP3(804) 각각에 대하여 동작 기간(또는 횟수)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801)에 대하여 3분, 메시지 작성/송신(802)에 대하여 3회, 폰북(803)에 대하여 10분, MP3(804)에 대하여 30분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절전 모드 진입 기준 설정과 별도로, 상기 설정된 지정 동작에 관련하여 절전 모드 진입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도 9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설정된 모든 지정 동작{음성 통화_3분, 메시지 작성/송신_3회, 폰북_10분, MP3_30분} 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을 절전 모드 진입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 9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설정된 모든 지정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보다 일정량 이상 큰 전력량(예를 들어, 소비 전력량의 110%)을 절전 모드 진입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진입 단계(S430)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기본 동작 관련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S440).
여기에서, 기본 동작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 기능인 음성 호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 기본 동작 관련 모듈은, 음성 호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 동작에 관련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기본 동작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단말기 임의 결정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기본 동작 관련 모듈을 활성화함에 있어서, 음성 호 수신 동작에 관련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을 기본적으로 활성화하고 수신 호 연결시에는 마이크(122),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를 활성화할 수 있고, 메시지 수신 동작 관련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을 기본적으로 활성화하고 수신 메시지 알림 또는 확인 시에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알람부(153)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진입 단계(S430)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지정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이하 지정 소비 전력량)과 잔여 전력량{산출 단계(S410)에서 산출함}을 비교한다(S450).
여기에서, 지정 동작은, 일정 시간 동안의 음성/영상 통화, 일정 횟수의 메시지 작성/송신, 일정 시간 동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MP3, TV 시청, 카메라 촬영 등)의 구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지정 동작은, 지정 동작에 대한 시간 제한이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지정 동작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단말기 임의 결정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전원을 포함한 경우 복수의 전원 각각에 대하여 지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택에 따른 지정 동작 설정은 앞서 설명한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지정 동작이 적어도 하나인 경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동작 전체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잔여 전력량을 비교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지정 동작 각각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잔여 전력량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전원 각각의 잔여 전력량과 지정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거나, 복수의 전원 전체의 잔여 전력량과 지정 소비 전력량을 비교할 수 있다.
한편, 비교 단계(S450)에서 제어부(180)는, 기본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이하 기본 소비 전력량) 및 지정 소비 전력량을 합산하고(이하 합산 소비 전력량), 합산 소비 전력량과 잔여 전력량을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비교 단계(S450)에서의 비교 결과에 상응하도록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한다(S460).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잔여 전력량이 지정 소비 전력량(또는 합산 소비 전력량)보다 일정량 이상 크거나 같은 경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정량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단말기 임의 결정에 따라 기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잔여 전력량이 지정 소비 전력량보다 10% (또는 5%) 큰 경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10%는, 현재 또는 완충 상태에서의 잔여 전력량 또는 지정 소비 전력량을 100%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다.
출력 단계(S460)에서는, 텍스트, 음성, 알람음, 진동, 램프(발광 소자 포함), 아이콘, 애니메이션,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출력 단계(S46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제한 있는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정 동작은, 음성 통화_3분(제 1 지정 동작), 폰북_10분(제 2 지정 동작), MP3_30분(제 3 지정 동작)이라고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내지 제 3 지정 동작의 소비 전력량이 잔여 전력량과 같은 경우(또는 잔여 전력량보다 일정량 이상 작은 경우), 음성 통화_3분, 폰북_10분, MP3_30분이 수행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1010)를 출력할 수 있다(도 10a).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0a에서보다 잔여 전력량이 감소하여 일부 지정 동작(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지정 동작)의 소비 전력량이 잔여 전력량과 같은 경우, 음성 통화_3분, 폰북_10분이 수행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1020)를 출력할 수 있다(도 10b).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0a 또는 도 10b에서보다 잔여 전력량이 감소하여 일부 지정 동작(예를 들어, 제 1 지정 동작)의 소비 전력량이 잔여 전력량과 같은 경우, 음성 통화_3분이 수행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1030)를 출력할 수 있다(도 10c).
한편, 복수의 지정 동작에는 순위가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지정 동작 전체의 소비 전력량보다 잔여 전력량이 적은 경우, 상기 설정된 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_3분(제 1 순위), 폰북_10분(제 2 순위), MP3_30분(제 3 순위)가 지정 동작이고, 잔여 전력량으로 음성 통화_3분 및 MP3_30분 중 어느 하나를 수행 가능한 경우, 음성 통화_3분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가 우선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제한 없는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정 동작은 음성 통화라고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음성 통화의 소비 전력량과 잔여 전력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잔여 전력량으로 수행 가 능한 음성 통화 시간을 음성 통화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1110)로서 출력할 수 있다(도 11a).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1a에서보다 잔여 전력량이 감소하여 수행 가능한 음성 통화 시간이 감소한 경우, 감소한 음성 통화 시간을 음성 통화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1120)로서 출력할 수 있다(도 11b).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로써, 지정 동작이 영상 통화인 경우 영상 통화 가능 시간을, 지정 동작이 메시지 작성/송신인 경우 메시지 작성/송신 횟수를, 지정 동작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MP3, TV 시청, 폰북 등)인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 구동 가능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에서의 음성 통화 중 잔여 전력량 부족으로 음성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대방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통화 종료는, 불가피한 사유(잔여 전력량 소진으로 인한 단말기 전원 오프 등)에 의한 종료 및 사용자 선택에 의한 종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에서 음성 통화 중 잔여 전력량 부족으로 통화를 종료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알림 메시지 송신 및 단순 종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선택창(12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a에서 알림 메시지 송신(메시지)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를 종료하면서, 음성 통화 상대방에게 잔여 전력량 부족으로 통화를 불가피하게 종료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무선 통신부(110){특히,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도 12b). 그리고, 알림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송신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창(12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2a에서 단순 종료(종료)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를 종료할 뿐 음성 통화 상대방에게 통화 종료 사유의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잔여 전력량 부족으로 음성 통화를 종료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 선택 여부에 관계없이 음성 통화를 종료함과 동시에 음성 통화 상대방에게 통화 종료 사유의 알림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2b에서는, 화면상의 일부 영역에 현재 절전 모드 수행 중임을 알리는 지시자(1001, 1101 또는 1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외부(특히,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단계(S46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 동작 수행의 명령 신호(이하 수행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S470).
예를 들어,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에 제 1 내지 제 3 지정 동작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제 1 내지 제 3 지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동작에 대하여 수행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입력 단계(S470) 에서 입력된 수행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정 동작의 수행 관련 모듈을 활성화하고(S480), 상기 입력된 수행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90).
예를 들어, 상기 활성화된 수행 관련 모듈은, 수행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정 동작이 음성 통화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 마이크(122), 음향 출력 모듈(152), 또는 알람부(153)를 포함하고, 수행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정 동작이 폰북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메모리부(160)를 포함하고, 수행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정 동작이 MP3인 경우 음향 출력 모듈(112), 메모리부(160) 또는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정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4c는,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정 동작을 수행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에 해당하는 지정 동작은, 음성 통화_3분, 폰북_10분, MP3_30분이라고 가정한다.
도 13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_3분(1301), 폰북_10분(1302), MP3_30분(1303)이 수행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지정 동작에는 수행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역(OK)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4a에 의하면, 도 13에서 음성 통화_3분(1301)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 기(100)는, 음성 통화 수행 상태를 설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전화 번호를 입력받아(a),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b).
또는, 도 14b에 의하면, 도 13에서 폰북_10분(1302)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폰북 실행 상태를 설정하고,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a),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로부터 검색된 특정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b).
또는, 도 14c에 의하면, 도 13에서 MP3_30분(1303)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MP3 실행 상태를 설정하고, 재생 가능한 오디오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a),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오디오 파일 리스트로부터 검색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b). 또는, 도 13에서 MP3_30분(1303)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곧바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충전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 2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로 전력을 충전한다(S1510).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90)에 적어도 하나의 전원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각각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에 태양 전지(191)가 포함된 경우, 태양 전지(191)의 집광 수단(예를 들어 집광판)이 태양광에 노출됨에 따라 태양 전지(191)에 의한 전력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원 공급부(190)에 적어도 하나의 전원이 포함된 경우, 상기 충전된 전력을 전원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전원 각각에 대하여 개별 전력 저장 공간을 구비한 경우, 특정 전원에 의해 충전된 전력은 해당 개별 전력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에 공통된 공동 전력 저장 공간을 구비한 경우, 모든 전원에 의해 충전된 모든 전력은, 공동 전력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충전 단계(S1510)에서 충전된 충전 전력량을 산출한다(S1520)
산출 단계(S1520)는, 산출 주기에 따라 또는 임의의 산출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 주기 및 산출 시점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단말기 임의 결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산출된 충전 전력량의 정도에 따라 산출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산출된 충전 전력량이 10%인 경우 산출 주기를 10분으로, 30%인 경우 산출 주기를 30분으로, 50%인 경우 산출 주리를 1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에 복수의 전원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전원 각각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개별적으로 산출할 수 있고, 복수의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통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에 태양 전지(191)가 포함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 는, 태양 전지(191)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광량, 태양 광세기, 충전효율, 입사각 등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산출 단계(S1520)에서 산출된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530).
여기에서, 일정 기준은, 도 4의 판단 단계(S420)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언급한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전원이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전원 각각에 의한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하거나, 복수의 전원 전체에 의한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복수의 전원 중 메인 전원 및 서브 전원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인 전원에 의한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서브 전원에 의한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판단 단계(S1530)에서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에 진입한다(S1540).
진입 단계(S1540)에 관련하여서, 도 4의 진입 단계(S43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절전 모드 진입에 관련된 화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절전 모드 설정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임을 알리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절전 모드 설정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입력창(16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입력창(1610)을 통하여 절전 모드 진입(예)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또는, 도 16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이므로 절전 모드를 설정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창(16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입력창(1610) 또는 알림창(1620)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디스플레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9b를 참조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 도 6a 내지 도 9b에 관련하여 언급된 잔여 전력량은 충전 전력량으로 바꾸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진입 단계(S1540)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기본 동작 관련 모듈 및 충전 동작 관련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S1550).
여기에서, 기본 동작 및 기본 동작 관련 모듈에 관하여서는, 도 4의 활성화 단계(S44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충전 동작 관련 모듈에는, 전원 공급부(190), 인터페이스부(170)(USB 방식으로 충전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진입 단계(S1540)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지정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이하 지정 소비 전력량)과 충전 전력량{산출 단계(S1520)에서 산출함}을 비교한다(S1560).
비교 단계(S1560)에 관하여서는, 도 4의 비교 단계(S45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비교 단계(S1560)에서 제어부(180)는, 기본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이하 기본 소비 전력량), 충전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이하 충전 소비 전력량) 및 지정 소비 전력량을 합산하고(이하 합산 소비 전력량), 합산 소비 전력량과 잔여 전력량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단계(S1560)의 이하에서는, 도 4의 출력 단계(S460) 내지 수행 단계(S490)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 도 4에서의 잔여 전력량은 도 15에서의 충전 전력량에 대응됨을 주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15에 포함된 출력 단계(S46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충전-저전력상태에서 시간 제한 있는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정 동작은, 음성 통화_3분(제 1 지정 동작), 폰북_10분(제 2 지정 동작), MP3_30분(제 3 지정 동작)이라고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일부 지정 동작(예를 들어, 제 1 지정 동작)의 소비 전력량이 충전 전력량과 같은 경우(또는 충전 전력량보다 일정량 이상 작은 경우), 음성 통화_3분이 수행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1710)를 출력할 수 있다(도 17a).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7a에서보다 충전 전력량이 증가하여 일부 지정 동작(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지정 동작)의 소비 전력량이 충전 전력량과 같은 경우, 음성 통화_3분, 폰북_10분이 수행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1720)를 출력할 수 있다(도 17b).
이동 단말기(100)는, 도 17a 또는 도 17b에서보다 충전 전력량이 증가하여 제 1 내지 제 3 지정 동작의 소비 전력량이 충전 전력량과 같은 경우, 음성 통화_3분, 폰북_10분, MP3_30분이 수행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1730)를 출력할 수 있다(도 17c).
한편, 복수의 지정 동작에는 순위가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지정 동작 전체의 소비 전력량보다 충전 전력량이 적은 경우, 상기 설정된 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_3분(제 1 순위), 폰북_10분(제 2 순위), MP3_30분(제 3 순위)가 지정 동작이고, 충전 전력량으로 음성 통화_3분 및 MP3_30분 중 어느 하나를 수행 가능한 경우, 음성 통화_3분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가 우선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충전-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제한 없는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정 동 작은 음성 통화라고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음성 통화의 소비 전력량과 충전 전력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충전 전력량으로 수행 가능한 음성 통화 시간을 음성 통화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1810)로서 출력할 수 있다(도 18a).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8a에서보다 충전 전력량이 증가하여 수행 가능한 음성 통화 시간이 증가한 경우, 증가한 음성 통화 시간을 음성 통화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1820)로서 출력할 수 있다(도 18b).
더 나아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동작의 수행으로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절전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 해제 알림창(19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단말기 임의 결정에 따라 절전 모드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4c를 참조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전원을 포함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전원 각각에 대한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 충전 상태에서 잔여 전력량과 지정 소비 전력량의 비교 결 과에 따라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전원을 복수 전원으로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20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전원 각각에 지정 동작이 지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제 1 및 제 2 전원 각각의 잔여 전력량이 제 1 및 제 2 전원 각각에 지정된 지정 동작의 지정 소비 전력량과 같은 경우(또는 지정 소비 전력량보다 일정량 이상 큰 경우), 제 1 및 제 2 전원 각각에 대한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도 20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메인 전원인 제 1 전원에 복수의 지정 동작이 지정된 경우, 제 1 전원에 지정된 복수의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a).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전원의 잔여 전력량 감소로 인하여 "MP3_30분"을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제 2 전원에 대한 지정 동작으로 "MP3_30분"을 설정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b).
이동 단말기(100)는, 도 20b(b)에서 "종료"가 선택되면 제 1 전원에 대한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 중 "MP3_30분"을 삭제할 수 있고{도 20c(a)}, 도 20b(b)에서 "제 2 전원"이 선택되면 제 2 전원에 대한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로써 "MP3_30분"을 출력할 수 있다{도 20c(b)}. 물론, 제 2 전원의 잔여 전력량이 "MP3_30분"의 소비 전력량보다 일정량 이상 크거나 같은 경우에 그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서뿐만 아니라, 태양 전지(191)를 이용하여 소정 동작을 입력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 는, 태양 전지(191)를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동작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동작(손바닥 또는 손가락으로 가림 동작)에 의해 태양 전지(191)의 집광 수단을 태양으로부터 가릴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태양 전지(191)로 입사되는 태양광이 존재하지 않거나 일정량 미만인 경우, 사용자 동작이 입력되었음을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저전력 상태 알림 수단 및 태양 전지가 구비된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 1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관련하여 절전 모드 설정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절전 모드 설정의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절전 모드 진입 기준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지정 동작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지정 동작에 관련하여 절전 모드 진입 기준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제한 있는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제한 없는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저전력 상태에서 잔여 전력량 부족으로 통화 종료시 알림 메시지 송신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3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정 동작을 수행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 2 흐름도.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관련하여 절전 모드 설정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충전-저전력상태에서 시간 제한 있는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충전-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제한 없는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9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충전 저전력 상태에서 충전 전력량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절전 모드 해제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화면 구성도.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복수의 전원 각각에 대한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

Claims (20)

  1. 배터리 및 태양 전지를 구비하고,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필용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하이면, 기본 동작 관련 모듈을 활성화하고, 지정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상기 잔여 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지정된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 전지는, 투명한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은, 상기 배터리 내에 충전되어 남아 있는 전력량 및 상기 태양 전지 내에 충전되어 남아 있는 전력량을 합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동작이 둘 이상이면, 상기 둘 이상의 지정된 동작들 각각에 우선 순위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지정된 동작들 전체의 소비 전력량보다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적은 경우,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해당 지정된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상기 기준 이하이면,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이동 단말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동작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음성/영상 통화, 기 설정된 횟수의 메시지 작성/송신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동작은, 음성/영상 통화, 메시지 작성/송신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는, 상기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횟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소비 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 전력량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충전 전력량을 비교하고, 상기 충전 전력량이 상기 소비 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 동작 수행의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지정 동작 수행에 관련된 모듈을 활성화하는 이동 단말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배터리 및 태양 전지를 구비하고,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충전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하이면, 기본 동작 관련 모듈 및 충전 관련 모듈을 활성화하고, 지정된 동작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상기 충전 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지정된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 전지는, 투명한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충전 전력량은, 상기 배터리 내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량 및 상기 태양 전지 내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량을 합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동작이 둘 이상이면, 상기 둘 이상의 지정된 동작들 각각에 우선 순위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지정된 동작들 전체의 소비 전력량보다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적은 경우,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해당 지정된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동작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음성/영상 통화, 기 설정된 횟수의 메시지 작성/송신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동작은, 음성/영상 통화, 메시지 작성/송신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는, 상기 지정 동작의 수행 가능 횟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전력량이 상기 소비 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동작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 동작 수행의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지정 동작 수행에 관련된 모듈을 활성화하는 이동 단말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배터리 및 태양 전지를 구비한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잔여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하이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기본 동작 관련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지정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상기 산출된 잔여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잔여 전력량이 상기 소비 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지정된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동작이 둘 이상이면, 상기 둘 이상의 지정된 동작들 각각에 우선 순위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동작들 전체의 소비 전력량보다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적은 경우,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해당 지정된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은, 상기 배터리 내에 충전되어 남아 있는 전력량 및 상기 태양 전지 내에 충전되어 남아 있는 전력량을 합한 것이고,
    상기 산출 단계는, 이전 산출된 잔여 전력량에 따라 설정된 산출 주기 동안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배터리 및 태양 전지를 구비한 전원 공급부로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충전 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충전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하이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기본 동작 관련 모듈 및 충전 동작 관련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지정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과 상기 산출된 충전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충전 전력량이 상기 소비 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지정된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동작이 둘 이상이면, 상기 둘 이상의 지정된 동작들 각각에 우선 순위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동작들 전체의 소비 전력량보다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적은 경우,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해당 지정된 동작의 수행 가능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충전 전력량은, 상기 배터리 내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량 및 상기 태양 전지 내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량을 합한 것이고,
    상기 산출 단계는, 이전 산출된 충전 전력량에 따라 설정된 산출 주기 동안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90074166A 2009-08-12 2009-08-12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613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66A KR101613939B1 (ko) 2009-08-12 2009-08-12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US12/690,036 US8385986B2 (en) 2009-08-12 2010-01-19 Mobile terminal and power sour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0001842A EP2288040A1 (en) 2009-08-12 2010-02-23 Mobile terminal and power sour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010130297.5A CN101997558B (zh) 2009-08-12 2010-03-05 移动终端及其电源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66A KR101613939B1 (ko) 2009-08-12 2009-08-12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586A KR20110016586A (ko) 2011-02-18
KR101613939B1 true KR101613939B1 (ko) 2016-04-20

Family

ID=4298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166A KR101613939B1 (ko) 2009-08-12 2009-08-12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85986B2 (ko)
EP (1) EP2288040A1 (ko)
KR (1) KR101613939B1 (ko)
CN (1) CN1019975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180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 제어 방법
EP2341738B1 (en) * 2009-12-29 2017-03-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Wi-Fi module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and providing an AP func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id terminal
US20120086730A1 (en) * 2010-10-08 2012-04-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Display Backlight
US9088951B2 (en) 2011-05-25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feature-aware power management
US9048927B2 (en) * 2011-10-04 2015-06-02 Glynntech, Inc. Solar powered mobile phone
KR20130051153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70276B1 (ko) * 2012-04-24 202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41510B1 (ko) * 2012-06-13 201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85831B1 (ko) * 2012-12-03 2019-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6071647B2 (ja) * 2013-02-28 2017-02-01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動作状態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97452B1 (ko) * 2013-03-28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93332A1 (ru) * 2013-05-29 2014-12-04 Traktin Ruslan Volodymyrovych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й центр
US9467558B2 (en) * 2013-06-14 2016-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A2858921A1 (en) * 2013-08-08 2015-02-08 Instavolt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a battery charger
US20150091495A1 (en) * 2013-09-27 2015-04-02 Rashed Mahameed Electronic device having wireless laser charging
US8972760B1 (en) 2013-12-20 2015-03-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a second launcher
EP3127253B1 (en) * 2014-04-04 2021-01-13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Position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78942B1 (ko) 2014-04-10 2016-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기 상태의 소비 전류를 측정하여 절전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전자 장치 및 절전 방법
KR102151135B1 (ko) * 2014-04-28 2020-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EP3218985B1 (en) * 2014-11-11 2022-01-05 Galvion Soldier Power, LLC Control module for dc power network
US9596654B2 (en) * 2015-06-12 2017-03-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sociation of applications to clusters mapped to logical battery partitions
JP6496644B2 (ja) * 2015-09-28 2019-04-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6626992B2 (ja) 2016-12-15 2019-12-25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振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34528B2 (ja) * 2016-12-15 2020-01-2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振動デバイス、及び制御システム
JP6799077B2 (ja) 2016-12-15 2020-12-09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デバイス、コントローラ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93513A1 (ja) 2017-04-18 2018-10-25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振動制御装置
WO2018193514A1 (ja) 2017-04-18 2018-10-25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振動制御装置
US11013990B2 (en) 2017-04-19 2021-05-2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Vibration control apparatus
US11458389B2 (en) 2017-04-26 2022-10-0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Vibration control apparatus
US11259245B2 (en) 2017-08-18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
JP6884216B2 (ja) 2017-08-24 2021-06-09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振動制御装置
WO2019038888A1 (ja) 2017-08-24 2019-02-28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振動制御装置
JP7037567B2 (ja) 2017-08-29 2022-03-1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振動制御装置、振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98982B2 (ja) * 2018-03-19 2022-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10904306B2 (en) * 2018-05-07 2021-01-26 Spotify Ab Personal media streaming appliance system
CN110943501B (zh) * 2018-09-25 2024-03-15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充电控制装置及电子设备
JP2020060868A (ja) * 2018-10-05 2020-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996453B (zh) * 2019-12-30 2021-09-17 浙江晶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灯具控制方法及系统
CN111182231A (zh) * 2019-12-31 2020-05-19 联想(北京)有限公司 闪光灯控制方法和电子设备
WO2023210865A1 (ko) *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지앤아이테크 일출/일몰시간 예측을 통한 충전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3852A1 (en) * 2006-04-14 2007-10-18 Gibbs Benjamin K Virtual batteri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8042772A (ja) * 2006-08-09 2008-02-21 Kyocera Corp 端末装置
US20080113693A1 (en) 2006-11-09 200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of battery according to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of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US20090013204A1 (en) 2007-07-02 2009-01-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899B1 (ko) 1997-07-16 2000-02-01 윤종용 휴대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여 전원 표시장치및 방법
DE10236464A1 (de) * 2002-08-08 2004-03-04 Siemens Ag Chipkarte mit integriertem Energiewandler
US20020083059A1 (en) 2000-11-30 2002-06-27 Hoffman Woodward Crim Workflow access control
JP2002199062A (ja)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JP2004127574A (ja) 2002-09-30 2004-04-22 Mitsubishi Pencil Co Ltd 車両用ランプ
JP2005080385A (ja) 2003-08-29 2005-03-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バッテリ残容量表示方法
KR20050031815A (ko) 2003-09-30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7725094B2 (en) * 2005-06-29 2010-05-25 Intel Corporation Power prioritization among functions of a multi-function device
KR100656588B1 (ko) 2006-02-10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 배터리의 추가 장착에 대한 식별이 용이한 배터리잔량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JP4808036B2 (ja) * 2006-02-15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5231869B2 (ja) * 2007-07-02 2013-07-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3852A1 (en) * 2006-04-14 2007-10-18 Gibbs Benjamin K Virtual batteri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8042772A (ja) * 2006-08-09 2008-02-21 Kyocera Corp 端末装置
US20080113693A1 (en) 2006-11-09 200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of battery according to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of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US20090013204A1 (en) 2007-07-02 2009-01-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88040A1 (en) 2011-02-23
CN101997558A (zh) 2011-03-30
US20110039606A1 (en) 2011-02-17
US8385986B2 (en) 2013-02-26
KR20110016586A (ko) 2011-02-18
CN101997558B (zh)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9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604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6172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KR10171290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KR10153762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상태 알림 방법
KR101596842B1 (ko)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27495B1 (ko) 이동 단말기
KR1017018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신 데이터 송신 및 통신 리스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511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동작 제어 방법
KR101578738B1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방법
KR101556161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6918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9502B1 (ko) 인스턴트 메시지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30104764A (ko) 이동단말기
KR101727037B1 (ko) 이동 단말기 및 멀티 태스킹 제어 방법
KR10167494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리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41254B1 (ko) 이동 단말기 및 다중 클립보드 제어 방법
KR10174043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표시 방법
KR101741398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KR101622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입력 제어 방법
KR10180995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81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13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01805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9858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