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510B1 -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510B1
KR101941510B1 KR1020120063090A KR20120063090A KR101941510B1 KR 101941510 B1 KR101941510 B1 KR 101941510B1 KR 1020120063090 A KR1020120063090 A KR 1020120063090A KR 20120063090 A KR20120063090 A KR 20120063090A KR 101941510 B1 KR101941510 B1 KR 101941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wer mode
battery consumption
low power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551A (ko
Inventor
유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510B1/ko
Priority to CN201310231265.8A priority patent/CN103488272B/zh
Priority to EP13171550.0A priority patent/EP2675222B1/en
Priority to US13/915,750 priority patent/US9268387B2/en
Publication of KR2013013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전계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배터리 소모량으로 전계 상태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예측한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전자 장치에서 전계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전자 장치는 음성 및 영상 통화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저장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배터리라는 전원 공급 수단을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보다 큰 용량의 배터리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전자 장치의 발달에 비해 배터리의 발달은 미비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제한하고 있다.
이렇게 제한된 배터리의 용량을 가지고 상기 전자 장치의 많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는 방법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소모를 줄여야 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저전력 모드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전력 소모가 많은 모듈에 대하여 저전력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 전력 소모가 많은 백라이트, 근거리 통신 모듈 등에 저전력이 인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통화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모뎀으로 저전력을 인가하거나 전원 인가를 중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주기적으로 전계 상태를 파악하여 모뎀으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나, 전계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에서도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전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소모량에 따라 저전력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사용량이 많은 경우,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사용량이 많지 않은 경우,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생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더라도 배터리 사용량을 확인하여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배터리 소모량으로 전계 상태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예측한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배터리 소모량으로 전계 상태를 예측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예측한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처리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배터리 소모량으로 전계 상태를 예측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예측한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처리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소모량으로 약전계 지역으로의 이동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전계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의 횟수를 줄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소모량에 따라 전계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임계치 이상의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면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판단하기 위하여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 소모량으로 약전계 지역으로의 이동을 미리 예측하여 불필요한 전계 상태 확인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저전력 모드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에서 모뎀에 저전력을 인가하도록 하는 모드를 포함하고, 고전력 모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는 모드를 말한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오디오 처리부(130), 통신 시스템(140), 입출력 제어부(150), 터치스크린(160) 및 입력 장치(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10) 및 통신 시스템(140)는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모리(11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는 전화번호부,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시점을 판단하는데 사용하는 배터리 소모량에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준 정보는 미리 정한 시간 단위로 측정된 배터리 소모량을 말한다. 더하여, 상기 기준 정보는 애플리케이션별 배터리 소모량을 말한다. 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마다 실행시 소모되는 전력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에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운영체제 프로그램(113), 저전력 프로그램(114), 분석 프로그램(115)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 운영체제 프로그램(113)은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체제 프로그램(113)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프로그램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저전력 프로그램(114)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저전력 프로그램(114)은 저전력 모드 진입을 위한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0)에 저전력이 인가되도록 처리한다. 일반적인 상기 저전력 프로그램(114)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을 경우, 전력 소모가 많은 백라이트, 근거리 통신 모듈 등으로 저전력을 인가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저전력 프로그램(114)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모뎀으로의 전력 인가를 중단시켜 배터리 소모를 줄이도록 처리한다.
더하여, 상기 저전력 프로그램(114)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약전계에 위치하는 경우,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여 모뎀으로의 전력 인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전력 프로그램(114)은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을 알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전력 모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약전계 지역에서도 통화 연결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통화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더라도 모뎀에 정상적인 전원을 인가하여 통화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석 프로그램(115)은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판단한다.
일 예로, 상기 분석 프로그램(115)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전계 상태를 확인하여 약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할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분석 프로그램(11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면서 임계값 이상의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시점에만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전계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석 프로그램(115)은 임계값 이상의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기 전에는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석 프로그램(115)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한 후, 배터리 소모량이 적은 경우에 대하여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시점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인터페이스(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22) 및 인터페이스(124)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프로세서(122)와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한다.
더하여,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의 연결을 제어하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22)는 패턴분석 프로세서와 저전력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는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상기 저전력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전력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는 하기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131) 및 마이크로폰(1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14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통신 시스템(140)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 제어부(150)는 터치 스크린(160) 및 입력 장치(17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상기 메모리(120)의 인터페이스(124)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터치스크린(160)은 정보의 출력 및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장치로, 터치 입력부(161)와 표시부(162)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161)는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15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터치 입력부(161)는 터치 정보를 터치 다운(touch_down), 터치 움직임(touch_move) 및 터치 업(touch_up)과 같은 명령어 구조로 변경하여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62)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62)는 본 발명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을 선택하는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15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7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장치(1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미 도시되었지만, 상기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근접 센싱을 위한 근접 센서 모듈 등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과 이들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먼저 201단계로 진행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한 후, 2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이 많은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배터리 소모량을 미리 정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를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 대신에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별로 배터리 소모량을 측정하여 저장한 후,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하여 현재 배터리의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전류 소모량을 미리 정한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여 평균 배터리 소모량을 계산함으로써 이를 임계값으로 정의한다. 이때, 임계값은 미리 정한 시간 단위로 갱신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시점의 배터리 소모량을 계산하여 이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현재 시점이 배터리 소모량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이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203단계에서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이 적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고전력 모드를 유지한 후, 상기 2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 소모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203단계에서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이 많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전계 상태를 확인한 후,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EcIo(Chip Energy/Others Interference),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강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는지 또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이 많은 경우에 약전계 지역으로의 이동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불필요한 전계 상태 확인 과정이 수행됨에 따라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207단계에서 전자 장치가 강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고전력 모드를 유지하는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207단계에서 전자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모뎀으로 저전력을 인가하도록 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동안 통신 모듈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 소모가 많은 경우에만 전계 관련 파라미터인 RSCP/RSSI/EcIo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주기적으로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종래의 전자 장치보다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먼저 301단계로 진행하여 EcIo(Chip Energy/Others Interference),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확인하여 전계 상태를 확인한 후,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강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는지 또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303단계에서 전자 장치가 강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고전력 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303단계에서 전자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한 후, 307단계로 진행하여 배터리 소모량이 많은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배터리 소모량을 미리 정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를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 대신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하여 현재 배터리의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307단계에서 배터리 소모량이 적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고전력 모드를 유지한다. 일반적인 전자 장치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한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가 배터리 소모량이 없는 경우에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약전계 지역에서도 통화 연결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이러한 경우에는 통화 품질이 낮아지더라도 모뎀에 전원을 인가하여 통화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 예로, 약전계 지역에서 배터리 소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황으로 산악 지역과 같은 약전계 지역이 아니고 일시적인 약전계 지역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배터리 소모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사용자가 산악 지역과 같은 약전계 지역을 이동하는 상황이 될 수 있음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통화가 끊기더라도 응급 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307단계에서 배터리 소모량이 많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먼저 401단계에서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배터리 소모량을 미리 정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를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 대신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하여 현재 배터리의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전류 소모량을 미리 정한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여 평균 배터리 소모량을 계산함으로써 이를 임계값으로 정의한다. 이때, 임계값은 미리 정한 시간 단위로 갱신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시점의 배터리 소모량을 계산하여 이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현재 시점이 배터리 소모량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이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 배터리의 소모량을 확인한 전자 장치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이 많은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403단계에서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이 임계값 미만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생략한 후, 상기 4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403단계에서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이 임계값 이상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전계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는지 또는 강전계 지역에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EcIo(Chip Energy/Others Interference),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407단계에서 전자 장치가 강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401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이러한 경우에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407단계에서 전자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을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바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나, 사용자에게 약전계 진입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팝업시킨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상기 41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이 선택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처리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41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401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도 2 내지 도 4에 해당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하기 도 5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2)는 분석 프로세서(500) 및 저전력 프로세서(50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석 프로세서(50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분석 프로그램(115)을 실행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판단한다.
일 예로, 상기 분석 프로세서(500)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계 상태를 확인하여 약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할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분석 프로세서(5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면서 임계값 이상의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시점에만 상기 전자 장치의 전계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석 프로세서(500)는 상기 전자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한 후, 배터리 소모량이 적은 경우에 대하여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시점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상기 저전력 프로세서(502)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저전력 프로그램(114)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전력 프로세서(502)는 저전력 모드 진입을 위한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저전력이 인가되도록 처리한다. 일반적인 저전력 프로세서(502)은 상기 전자 장치가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을 경우, 전력 소모가 많은 백라이트로 저전력을 인가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저전력 프로세서(502)는 상기 전자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모뎀으로의 전력 인가를 중단시켜 배터리 소모를 줄이도록 처리한다.
더하여, 상기 저전력 프로세서(502)는 전자 장치가 약전계에 위치하는 경우,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여 모뎀으로의 전력 인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전력 프로세서(502)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을 알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전력 모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프로세서(122)는 주기적으로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종래의 프로세서와 다르게 배터리 소모량이 많은 경우에 대하여 전계 상태를 확인하도록 처리한다. 이로 인하여, 전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의 횟수를 줄여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처리한다.
더하여, 상기 프로세서(122)는 약전계 상황에서도 필요에 따라 고전력 모드를 유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유닛

Claims (11)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배터리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기준 소모량 이상의 상기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소모량 이하의 상기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 측정이 생략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의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측정되면,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및
    상기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의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측정되면, 고전력 모드를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배터리 소모량을 추가로 확인하는 동작;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의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측정되고 제 2 기준 소모량 이상의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및
    상기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의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측정되고 제 2 기준 소모량 미만의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고전력 모드를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 연료 게이지, 애플리케이션 별 배터리 소모량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이 판단되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메뉴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출력된 메뉴에 대한 제 1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및
    상기 출력된 메뉴에 대한 제 2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고전력 모드를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전자 장치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는,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배터리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소모량 이상의 상기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소모량 이하의 상기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 측정을 생략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의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측정되면,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고, 및
    상기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의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측정되면, 고전력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소모량을 추가로 확인하고,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의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측정되고 제 2 기준 소모량 이상의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기준 신호 세기 미만의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측정되고 제 2 기준 소모량 미만의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고전력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 애플리케이션 별 배터리 소모량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이 판단되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메뉴에 대한 제 1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출력된 메뉴에 대한 제 2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고전력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배터리 소모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배터리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소모량 이상의 상기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소모량 이하의 상기 배터리 소모량이 확인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 측정을 생략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20063090A 2012-06-13 2012-06-13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4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090A KR101941510B1 (ko) 2012-06-13 2012-06-13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201310231265.8A CN103488272B (zh) 2012-06-13 2013-06-09 节约电力消耗的方法和电子设备
EP13171550.0A EP2675222B1 (en) 2012-06-13 2013-06-11 Method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3/915,750 US9268387B2 (en) 2012-06-13 2013-06-12 Method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090A KR101941510B1 (ko) 2012-06-13 2012-06-13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51A KR20130139551A (ko) 2013-12-23
KR101941510B1 true KR101941510B1 (ko) 2019-01-23

Family

ID=4867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090A KR101941510B1 (ko) 2012-06-13 2012-06-13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68387B2 (ko)
EP (1) EP2675222B1 (ko)
KR (1) KR101941510B1 (ko)
CN (1) CN1034882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6868B2 (en) * 2011-06-06 2014-08-26 Apple Inc. Adaptive low-battery warnings for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s
WO2015132562A1 (en) * 2014-03-06 2015-09-1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User equipment battery consumption
EP3457152B1 (en) 2014-05-30 2020-04-08 Apple Inc. Battery usage tracking user interface
US9207835B1 (en) 2014-05-31 2015-12-08 Apple Inc. Message user interfaces for capture and transmittal of media and location content
DE212015000194U1 (de) 2014-08-06 2017-05-31 Apple Inc. Verkleinerte Benutzeroberflächen für Batteriemanagement
KR102143308B1 (ko) 2014-09-02 2020-08-10 애플 인크. 경고를 관리하기 위한 축소된 크기의 인터페이스
CN115695632A (zh) 2014-09-02 2023-02-03 苹果公司 电话用户界面
KR102294180B1 (ko) * 2014-10-31 2021-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전원제어 방법
US20160295548A1 (en) * 2015-04-03 2016-10-0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Message Receiving Mode and Method Thereof
CN105183132A (zh) * 2015-08-18 2015-12-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节能模式启动方法和装置
CN106131326A (zh) * 2016-06-30 2016-11-16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耗电提醒的方法及终端
CN106604226A (zh) * 2016-11-28 2017-04-26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天线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7040893A (zh) * 2017-04-18 2017-08-11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09219112B (zh) * 2017-07-01 2020-1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省电方法、装置
US11363133B1 (en) 2017-12-20 2022-06-14 Apple Inc. Battery health-based power management
JP7064912B2 (ja) * 2018-03-16 2022-05-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配達システム。
US11646591B2 (en) 2019-05-09 2023-05-09 Apple Inc. Indication for protective charging mode
CN113543288A (zh) * 2020-04-21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以及功率控制装置
WO2024090591A1 (ko)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실행중인 기능의 실행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695B2 (ja) * 1998-04-24 2000-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携帯情報端末及び無線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US7398110B2 (en) * 2004-06-24 2008-07-0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bandwidth indicator
US20070063676A1 (en) * 2005-09-22 2007-03-22 Davani Shouresh T Multiple mod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dicating remaining battery capacity level
US8135443B2 (en) * 2006-08-31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KR20080042367A (ko) * 2006-11-09 200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Dbdm 단말기의 수신전계강도에 따른 전원 관리 장치 및방법
KR101463989B1 (ko) 2007-11-26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수신성능에 기반한 전원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90164152A1 (en) 2007-12-20 2009-06-2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ower Consumption Notification and Management
US20110109613A1 (en) 2008-07-15 2011-05-12 Mitsumi Electric Co., Ltd. Mobile device, battery pack,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20100317374A1 (en) * 2009-06-11 2010-12-16 Yaron Alpert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aging paging interval access on a mobile station
KR101613939B1 (ko) 2009-08-12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US8358298B2 (en) * 2009-10-07 2013-01-22 Cisco Technology, Inc.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5222A2 (en) 2013-12-18
EP2675222B1 (en) 2017-10-25
KR20130139551A (ko) 2013-12-23
US9268387B2 (en) 2016-02-23
CN103488272A (zh) 2014-01-01
EP2675222A3 (en) 2014-07-30
CN103488272B (zh) 2016-11-02
US20130339772A1 (en)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510B1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172671B (zh) 一种信道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终端
CN111092671B (zh) 信号强度上报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KR201101371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11954286B (zh) 一种功率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20021270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charging,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734618B (zh) 应用程序关闭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6936516B (zh) 显示屏显示状态控制方法、存储介质及终端
CN110022405B (zh) 射频参数调整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3004686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372003A (zh) 一种摄像头切换方法、装置及终端
US99008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542867B (zh) 移动终端供电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0471622B (zh) 一种sd卡数据写入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995324B (zh) 蓝牙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1132282B (zh)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应用处理器唤醒方法及装置
CN111651299A (zh) 无线芯片复位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1355991A (zh) 视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2433694B (zh) 光强度调整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动终端
CN111987764B (zh) 放电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3179344B (zh) 一种sim卡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1984107B (zh) 一种终端设备供电异常处理方法和装置
CN112199021B (zh) 一种应用程序开启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0572516B (zh) 通话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2531835A (zh) 移动终端的充电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