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039B1 - 정보처리장치, 표시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표시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039B1
KR101529039B1 KR1020120058975A KR20120058975A KR101529039B1 KR 101529039 B1 KR101529039 B1 KR 101529039B1 KR 1020120058975 A KR1020120058975 A KR 1020120058975A KR 20120058975 A KR20120058975 A KR 20120058975A KR 101529039 B1 KR101529039 B1 KR 10152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tab
unit
display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091A (ko
Inventor
테쓰야 사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a navigation tr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32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tab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가 현재 설정된 파라미터를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 것을 대상으로 삼는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저 조작에 의해 구조 표시 영역의 노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설정의 탭을 특정해서 상세 설정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또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의 탭이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탭과 관련된 노드를 특정해서 상기 구조 표시 영역에 선택 상태로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 또는 그 표시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표시제어방법 및 기억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 표시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MFP: Multi Function Peripheral)등의 화상처리장치가 갖는 문서에 대한 태스크를 복수 조합하여 일련의 처리의 흐름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고, 그 등록된 일련의 처리의 흐름은 유저가 그것을 호출하여서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빈번히 사용되는 처리의 조합을 번거로운 조작 없이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태스크를 복수 조합하여 설정된 일련의 처리의 흐름을, "처리 플로우"로서 정의한다.
"태스크"란,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처리를 가리키고, 주로 복합적 기능을 갖는 화상처리장치의 개개의 기능으로 실현 가능한 처리다. 예를 들면, 화상처리장치의 태스크는, 원고의 스캔, 문서 데이터의 프린트, 송신(예를 들면, 전자우편, 팩스, 파일 등), 디스크에의 보존(화상처리장치내외의 하드디스크에의 보존)등을 가리키지만, 특히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문서 데이터"란, 텍스트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처리 플로우에는, 상기 태스크를 제공하는 화상처리장치 외에, 여러 가지 태스크를 제공 가능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어플리케이션에는, 화상처리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퍼스널 컴퓨터(PC)등의 정보처리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처리장치와 정보처리장치등의 복수의 기기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태스크를 포함함으로써, 처리 플로우는 워크 플로우로서 동작한다. 처리 플로우를 일단 작성하면, 빈번히 사용하는 여러 가지 태스크의 조합을 번거로운 조작 없이 실행할 수 있다.
한편, PC등의 정보처리장치의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여, 처리 플로우를 작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도 제공되어 있다.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성은, 화상처리장치의 터치패널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UI)로 처리 플로우를 작성하는 것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도 조작성에 과제가 있다.
처리 플로우에는 여러 가지 태스크의 설정을 포함하므로, 유저가 설정할 필요가 있는 파라미터가 많다. 일반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은 파라미터의 규정 값을 가져, 유저가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도 태스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UI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설정해야 하는 파라미터를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유저의 환경에 대응한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규정 값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유저가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감소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그 파라미터는, 문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의 패스나 그 서버에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처리 플로우에는, 문서 데이터를 복수의 서버에 송신하는 태스크의 설정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재한 것처럼, 처리 플로우에는 여러 가지 기기로 처리하는 태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들의 기기에의 패스 등도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설정UI에서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많은 입력 필드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로 인해, 유저는 스스로가 설정하고 싶은 파라미터를 찾기 어려워진다.
또한, 파라미터가 많기 때문에, 유저가 설정하고 싶은 파라미터의 입력 필드를 선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유저가 현재 행해진 처리 플로우를 잊어버리기 쉽도록 조작성의 과제가 있다.
일본특허 제2549268호에는, 유저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찾기 쉽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2549268호에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2개의 페인(pane)(좌우측)으로 나누고, 좌측에 파라미터명을 알파벳순으로 리스트 표시한다.
우측에는,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필드를 설치한다. 유저에 의해 좌측의 리스트의 파라미터명이 선택되면, 우측의 페인에는 상기 선택된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 필드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유저는 데이터를 찾기 쉽고 그 입력 필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우측의 페인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에 의해서 별도의 입력 필드로 변경하는 경우, 이 동작에 따라 좌측의 페인의 리스트의 선택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우측의 페인의 조작을 해서 별도의 입력 필드를 선택한 후에, 좌측의 페인을 유저가 확인하는 경우에는, 좌측의 페인과 우측의 페인 사이에서 다른 파라미터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설정하는 파라미터가 많은 경우에는, 유저는 스스로가 현재 설정하고 있는 파라미터를 잊어버리기 쉽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우측의 페인에 알파벳순으로 파라미터를 리스트 표시할 뿐이다. 처리 플로우등의 구조를 가진 복수의 태스크를 갖는 처리 플로우에 대하여, 종래기술은, 전체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서 적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유저가 현재 설정중인 파라미터를 잊어버리지 않을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 및 표시제어방법을 대상으로 삼는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데이터의 구조를 노드로서 트리 모양으로 표시하는 구조 표시 영역과, 상기 구조 표시 영역에 표시된 동일 계층의 제 1 노드로 나타낸 설정을 탭마다 표시하고, 각 탭에는 설정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필드를 표시하는 상세 설정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및 상기 노드, 상기 탭 및 상기 필드 사이의 관련성을 관리하는 관리부로서, 상기 노드는 상기 탭에 대응하는 제 1 노드와 상기 필드에 대응하는 제 2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부를 구비한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표시부는,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구조 표시 영역의 상기 제 1 노드 중 1개의 노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탭을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탭을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또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의 상기 탭 중 1개의 탭이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탭과 관련된 노드를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노드를 상기 구조 표시영역에 선택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는,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구조 표시 영역의 상기 제 2 노드 중 1개의 노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탭과 필드를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탭을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탭의 상기 식별된 필드에 커서를 이동시켜 문자열의 입력을 접수하고, 또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의 상기 필드 중 1개의 필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탭과 관련된 노드를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노드를 상기 구조 표시영역에 선택 상태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현재 설정하고 있는 파라미터를 잊어버리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MFP(1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다.
도 3은 PC(1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다.
도 4는 MFP(110) 및 PC(120)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다.
도 5a는 태스크 데이터 관리부(455)에서 관리하는 태스크 정의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태스크 정의 리스트(500)의 열(502)에 격납된 태스크 정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이미 처리 플로우에 "SMB송신"과 "FTP송신"의 태스크가 1개씩 추가된 상태의 UI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술한 태스크를 추가하기 위한 UI에 있어서 태스크의 추가의 지시를 접수할 때부터 처리 플로우에 태스크를 추가할 때까지의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UI데이터 관리부(456)로 관리된 UI제어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유저 조작에 의해, 페인601이나 페인609를 마우스로 선택될 때부터의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에서의 표시 제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도 6의 상태의 UI에서, 유저에 의해 탭 페이지(612)가 선택된 후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UI데이터 관리부(456)로 관리된 상기 UI제어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UI부(454)가 표시하는 처리 플로우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페인이 마우스 등으로 선택될 때부터의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는 UI가 도 12의 상태일 때에, 유저 조작에 의해 입력 필드(1401)를 선택된 후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처리 플로우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 필드에의 설정을 접수할 때부터의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의 흐름도다.
도 17은 도 15의 UI의 상태에서, 입력 필드(1701)에 "Taro"가 입력된 후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UI부(454)가 표시하는 처리 플로우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필요한 경우 또는 단일의 실시예의 개개의 실시예의 요소나 특징들의 조합이 이로운 경우에, 단일 또는 복수의 실시예나 특징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MFP(110) 및 PC(120)는, 이더넷(등록상표)등으로 이루어진 근거리 통신망(LAN)(100)에 접속되어 있다. PC(120)는, 정보처리장치의 일례다.
MFP(110)는, 카피 기능을 가진다. 동시에, MFP(110)는, 원고화상을 판독해서, 그 판독되어 얻어진 문서 데이터를,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이나 서비스 메시지 블록(SMB)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LAN(100)상의 지정된 장치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기능을 갖는다. MFP(110)는, 문서 데이터를 첨부 파일로서 이(e)-메일을 작성하여, 이(e)-메일 서버(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이용해서 상기 이-메일을 송신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것들의 구성 기기의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방법으로서 LAN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역망(WAN)(공중회선)등의 임의의 네트워크, 범용 직렬 버스(USB)등의 직렬 전송 방식, 센트로닉스나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등의 병렬 전송 방식등도 사용 가능하다.
도 2는, MFP(1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MFP(110)는, 화상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부(112), 화상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부(113), MFP(110)의 제어를 행하는 콘트롤러(200), 및 조작부(111)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스캐너부(112)는, 원고상의 화상을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다. 원고는 원고 피더(feeder)에 세트되어, 콘트롤러(200)로부터 스캐너부(112)에 원고 판독 지시가 주어진다.
스캐너부(112)는, 이 지시를 받으면 원고 피더로부터 원고를 1매씩 피드하고, 원고의 판독동작을 행한다. 원고를 판독하는 방법은, 원고 피더에 의한 자동 이송 방식이외에, 원고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유리면 위에 놓고서 노광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원고를 주사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프린터부(113)는, 콘트롤러(200)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용지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디바이스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형성 방식은 감광체 드럼이나 감광체 벨트를 사용한 전자사진방식이외에도, 잉크젯 방식등이어도 된다.
콘트롤러(200)가 조작부(111), 스캐너부(112) 및 프린터부(1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한편, 콘트롤러(200)는 LAN(100)에 네트워크I/F(20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다시 말해, 콘트롤러(200)는, LAN(100)을 경유해서 다른 기기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MFP(110)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에 따른 다른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중앙처리장치(CPU)(201)는, 판독전용 메모리(ROM)(202)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접속된 각종 디바이스에의 액세스 및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액세스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CPU(201)는, 콘트롤러(200) 내부에서 행해진 각종 처리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이 제어는, 후술한 흐름도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실행도 포함한다.
ROM(202)에는 장치의 부트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03)는, CPU(201)가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이며, 또한, 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이기도 하다. RAM(203)은, 전원의 백업에 의해 기억한 내용을 장치본체의 전원 오프 후도 유지해 두는 영역과, 전원 오프 후에는 기억한 내용이 소거되어버리는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04)에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화상 데이터가 격납될 수 있다.
조작부I/F(205)는, 시스템 버스(211)와 조작부(111)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다. 조작부I/F(205)는, 조작부(111)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데이터를 시스템 버스(211)로부터 받아 조작부(111)에 출력함과 아울러, 조작부(111)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시스템 버스(211)에 출력한다.
네트워크I/F(206)는, LAN(100) 및 시스템 버스(211)에 접속되어,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스캐너I/F(207)는, 스캐너부(112)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 가공, 및 편집을 행한다. 스캐너I/F(207)는, 상기 받은 화상 데이터가 컬러 원고인가 흑백원고인가, 문자원고인가 사진원고인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화상처리부(208)는, 화상 데이터의 방향 변경처리, 화상압축처리, 및 신장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208)는, HDD(204)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끼리를 합성해서 한 장의 화상으로 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린터I/F(209)는, 화상처리부(208)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를 받아, 그 화상 데이터에 첨부된 속성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화상 데이터에 화상형성을 실시한다. 화상형성 후의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부(113)에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MFP가 유저 인터페이스(UI) 표시를 실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용 MFP이지만, 범용 스캐너나 범용 프린터 등을 접속한 범용 컴퓨터 등, 상기 MFP이외의 화상처리장치이어도 된다.
도 3은, PC(1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CPU(301), RAM(302), ROM(303), 네트워크I/F(305),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306)가 시스템 버스(309)를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음극선관(CRT)등의 표시장치(307),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304),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308)가, 시스템 버스(309)를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ROM(303) 또는 HDD(306)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의 제어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CPU(301)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필요에 따라서 ROM(303)이나 HDD(306)로부터 RAM(302) 상에 판독해서, 그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CPU(301)는, 표시장치(307)를 통해 각종 정보의 표시를 행함과 아울러, 입력 장치(304)나 포인팅 디바이스(308)를 거쳐 유저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CPU(301)는, 네트워크I/F(305)를 통해 LAN(100)상의 기타의 장치와 통신한다.
도 4는, MFP(110) 및 PC(120)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MFP(110)/PC(120) 각각이 갖는 HDD(204/306)에 보존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CPU(201/301)가 RAM(203/302) 상에 판독해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도 4에 나타낸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현한다(기능한다).
MFP(110)는, 처리 플로우 실행 어플리케이션(400)을 갖는다. 처리 플로우 실행 어플리케이션(400)은, UI부(401),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 처리 플로우 관리부(403), 태스크 실행부(404), 및 통신부(405)로 이루어진다.
UI부(401)는, 조작부I/F(205)를 통해 조작부(111)에 표시를 행하고, 조작부(111)로부터의 유저의 입력을 처리한다. UI부(401)는, 처리 플로우 관리부(403)에서 관리된 처리 플로우를 버튼으로서 표시한다. 또한, UI부(401)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버튼이 눌려지면, 그것을 검지하여,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에 처리 플로우의 실행을 지시한다.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는, 처리 플로우의 해석을 행한다.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는, UI부(401)로부터 처리 플로우의 실행이 지시되면, 처리 플로우 관리부(403)로부터 처리 플로우를 취득한다. 그리고,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는, 취득한 처리 플로우의 해석을 행하여, 각 태스크에 분할한다. 또한,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는, 각 태스크를, 처리 플로우에서 지정되어 있는 순서로 실행하도록 태스크 실행부(404)에 통지한다. 또한,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는, 통신부(405)로부터 처리 플로우를 받고, 처리 플로우 관리부(403)에 처리 플로우의 등록을 지시한다.
처리 플로우 관리부(403)에는, 처리 플로우를 기억하고,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처리 플로우의 판독과 기록을 행한다.
태스크 실행부(404)는,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로부터 받은 태스크를 실행한다. 태스크 실행부(404)에서 실행된 태스크란, 원고의 주사, 문서 데이터의 프린트, 송신(예를 들면, 전자우편, 팩스, 파일), 디스크에의 보존(MFP(110) 내외에 위치된 하드디스크에의 보존)을 가리킨다.
통신부(405)는, 네트워크I/F(206)를 통하여, 후술하는 PC(120)의 통신부(451)와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405)는, PC(120)의 통신부(451)로부터 처리 플로우를 받아, 처리 플로우 제어부(402)에 전송한다.
PC(120)는,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을 갖는다.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은, 통신부(451),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 처리 플로우 관리부(453), UI부(454), 태스크 데이터 관리부(455), 및 UI데이터 관리부(456)로 구성된다.
통신부(451)는, 네트워크I/F(305)를 통하여 MFP(110)의 통신부(405)와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451)는,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의 지시에 따라, 처리 플로우 관리부(453)에 기억되어 있는 처리 플로우를 MFP(110)의 통신부(405)에 송신한다.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는, 처리 플로우의 해석을 행한다.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는, UI부(454)로부터 전송된 태스크의 데이터를 처리 플로우로 변환한다. 또한,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는, 처리 플로우 관리부(453)에 기억되어 있는 처리 플로우를 해석하여, 태스크에 분할해서 그 태스크를 UI부(454)에 전송한다.
처리 플로우 관리부(453)에는, 처리 플로우를 기억하고,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처리 플로우의 판독이나 기록을 행한다.
UI부(454)는, 표시장치(307)에 표시하고, 입력장치(304)나 포인팅 디바이스(308)로부터의 유저의 입력을 처리한다.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의 UI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태스크 데이터 관리부(455)는, 태스크 정의 리스트를 관리한다. 태스크 정의 리스트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UI데이터 관리부(456)는, UI제어 데이터 리스트를 관리한다. UI제어 데이터 리스트에 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a는, 태스크 데이터 관리부(455)에서 관리하는 태스크 정의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식적인 도로서 테이블 형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콤마 분리값(CSV)형식이나, 확장 마크업 언어(XML)에서의 텍스트 파일을 사용하여도 좋다.
태스크 정의 리스트(500)는, 열501, 열502의 2개의 열로 구성되어 있다. 1 레코드가 1개의 태스크를 의미한다. 열501은, 태스크명을 의미하고 있고, 태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레코드의 태스크명은 "SMB송신"이다.
열502는, 각 태스크의 상세한 정의를 의미한다. 태스크의 상세한 정의에 대해서는, 도 5b를 참조해서 후술한다.
도 5b는, 태스크 정의 리스트(500)의 열502에 격납되어 있는 태스크 정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XML로 태스크 정의(550)를 표현하지만, 태스크 정의(550)는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을 처리할 수 있는 형식이면 어떠한 형식이어도 된다.
태그551은, "Send"태그이며, 송신에 관한 태스크를 나타낸다. 본 태그내에 송신에 관한 태스크의 정의가 기재되어 있다. 태그552는, "sendName"태그이며, 송신에 관한 태스크의 태스크명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태스크명은 "SMB송신"이다.
태그553, 태그561은, "step"태그이며, 태스크의 처리를 단위로 분할할 때의 스텝을 나타내고, 그 태스크는 속성"no"에 기재되어 있는 스텝 순서로 실행된다. 태스크를 실행할 때 속성"no"이 "1"인 태그553내에 정의된 처리가 실행되고나서, 속성"no"이 "2"인 태그561내의 처리가 실행된다. "step"태그의 속성"name"은, 스텝의 명칭을 의미한다. 태그553의 스텝의 명칭은 "로그인"이다.
태그554는, "item"태그이며, 태스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item"태그의 "name"속성은, 파라미터의 명칭을 의미하고, 태그554의 파라미터의 명칭은, "유저명"이다.
태그555는, "textItem"태그이며,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필드가 문자열로 입력하는 형식인 것을 의미한다.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으로 표시하는 UI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태그556은, "initValue"이며, 파라미터명이 "유저명"인 파라미터의 초기값을 나타내고 있다. 태그556에서는, 초기값이 비어 있다.
태그557은, "choiceItem"이며,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필드가 선택 형식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으로 표시하는 UI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태그558은, "initValue"이며, 파라미터명이 "인증 방식"인 파라미터의 초기값을 나타내고 있다. 태그558의 값은 "1"이며, 선택사항이 초기값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태그559, 태그560은, "choice"태그이며, 파라미터명이 "인증 방식"인 파라미터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선택사항을 나타내고 있다. "choice"태그의 속성"no"는 선택사항의 번호를 의미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파라미터명이 "인증 방식"인 파라미터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선택사항의 첫번째가 "NTLMv2"이며, 두번째가 "Kerberos"이다.
우선, 유저 조작에 의해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의 기동 지시를 받으면, UI부(454)는,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의 초기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표시한다.
초기 화면에서는, UI부(454)는, 처리 플로우의 작성의 지시나, 작성한 처리 플로우를 MFP(110)의 처리 플로우 실행 어플리케이션(400)에 송신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유저 조작에 의해 처리 플로우 작성의 지시를 접수하면, UI부(454)는, 도 6에서 나타낸 처리 플로우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표시한다. 도 6은, 이미 처리 플로우에 "SMB송신"과 "FTP송신"의 태스크가 1개씩 추가된 상태의 UI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태스크의 추가 처리에 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페인601은, 트리 뷰(tree view)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처리 플로우에 추가된 태스크를 트리 모양으로 표시한다. 태스크를 트리 모양으로 표시함으로써, 처리 플로우의 전체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페인601은, 구조 표시영역의 일례다.
노드602는, 처리 플로우에 추가된 "SMB송신"의 태스크를 나타낸다. 노드602는, 트리 뷰에 있어서 깊이 0의 제1 노드다. 즉, 노드602는,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최초에 실행되는 태스크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노드603은, 처리 플로우에 추가된 "SMB송신"의 태스크에 정의된 제1 스텝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스텝이란, 태스크 정의(550)의 태그553에 정의되어 있는 스텝을 말한다. 노드603은, 트리 뷰에 있어서 노드602의 제1 아이(child) 노드다.
노드604는, 처리 플로우에 추가된 "SMB송신"의 태스크에 정의된 제2 스텝을 나타내고 있다. 노드604는, 트리 뷰에 있어서 노드602의 제2 아이 노드다.
노드605는, 처리 플로우에 추가된 "SMB송신"의 태스크에 정의된 제3 스텝을 나타내고 있다. 노드605는, 트리 뷰에 있어서 노드602의 제3 아이 노드다.
노드606은, 처리 플로우에 추가된 "FTP송신"의 태스크를 나타낸다. 노드606은, 트리 뷰에 있어서 깊이 0의 제2 노드다. 즉, 노드606은,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2번째로 실행되는 태스크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버튼607은, 처리 플로우에 태스크를 추가하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607이 눌려지면, UI부(454)는, 태스크를 추가하기 위한 UI(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표시한다. 태스크를 추가하기 위한 UI에서는, 태스크 정의 리스트(500)로 관리된 태스크의 추가를 가능하게 한다.
버튼608은, 처리 플로우에 추가된 태스크를, 처리 플로우로부터 삭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페인609는, 탭 콘트롤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페인609에서는, 처리 플로우에 추가된 태스크의 상세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UI를 표시한다. 탭 콘트롤은, 태스크마다 표시된다. 또, 탭 콘트롤에는, 복수의 탭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는, 페인609에는 "SMB송신"의 태스크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탭 콘트롤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다. 페인609는, 상세 설정 표시영역의 일례다. 페인609에서는, 페인601에 표시되어 있는 동일 계층의 노드로 나타낸 설정이 탭마다 표시된다.
탭 페이지(610)는, "SMB송신"의 제1 스텝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탭 페이지다. 제1 스텝은, 태스크 정의(550)의 태그(553)에 정의되어 있는 스텝 명칭이 "로그인"인 스텝이다. 탭 페이지(610)는 "SMB송신"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탭 콘트롤의 제1 탭 페이지다.
탭 페이지(611)는, "SMB송신"의 제2 스텝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탭 페이지다. 탭 페이지(611)는 "SMB송신"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탭 콘트롤의 제2 탭 페이지다.
탭 페이지(612)는, "SMB송신"의 제3 스텝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탭 페이지다. 탭 페이지(612)는 "SMB송신"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탭 콘트롤의 제3 탭 페이지다.
입력 필드(613)는, 스텝 명칭이 "로그인"인 스텝의 제1 파라미터(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필드다. 입력 필드(613)는, 태스크 정의(550)에서 태그555로 정의되어 있는 "textItem"에 대응한 필드이며, 문자열의 입력을 접수한다.
입력 필드(614)는, 스텝 명칭이 "로그인"인 스텝의 제3 파라미터(설정 항목)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필드다. 입력 필드(614)는, 태스크 정의(550)에서 태그557로 정의되어 있는 "choiceItem"에 대응한 필드이며, 유저에 의한 선택을 접수한다. 선택사항은 태그559와 태그560의 "choice"태그로 정의되어 있는 "NTLMv2"와 "Kerberos"이다.
이상과 같이, 입력 필드가 다수 있는 경우에도, 스텝 단위로 탭 페이지로 분할된 것을 표시함으로써, 모든 입력 필드를 일람 표시하는 것보다도 스크롤 표시를 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유저가 설정하고 싶은 항목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우측의 페인의 탭을 선택하여서 스텝마다 항목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스스로가 설정하고 싶은 항목에 보다 쉽게 도달할 수 있다.
버튼(615)은, 처리 플로우를 등록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저 조작에 의해 버튼(615)이 눌려지면, UI부(454)는, 설정된 태스크 정의나 태스크의 파라미터를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에 전송하여, 처리 플로우의 작성을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에 지시한다.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는, UI부(454)로부터 전송된 태스크 정의나 태스크의 파라미터로부터 처리 플로우를 작성하고, 처리 플로우 관리부(453)에 처리 플로우의 등록을 지시한다. 처리 플로우 관리부(453)는, 처리 플로우 제어부(452)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처리 플로우의 기록동작을 행한다.
버튼(616)은, 처리 플로우의 작성을 캔슬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저 조작에 의해 버튼(616)이 눌려지면, UI부(454)는, 설정된 파라미터 등을 파기하고,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7은, 전술한 태스크를 추가하기 위한 UI에 있어서 태스크의 추가의 지시를 접수하고나서 처리 플로우에 태스크를 추가할 때까지의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스텝S701에서, UI부(454)는, 유저 조작에 의해 처리 플로우에 태스크를 추가하는 지시를 접수했는지를 판단한다. 태스크의 추가의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는(스텝S701에서 YES), UI부(454)는, 스텝S702의 처리로 진행한다. 태스크의 추가의 지시를 접수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스텝S701에서 NO), UI부(454)는,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S702에서, UI부(454)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태스크 정의를 태스크 데이터 관리부(455)로부터 취득한다. UI부(454)는, 취득한 태스크 정의를 해석하고, 스텝S703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S703에서, UI부(454)는, 해석한 태스크 정의에 따라 UI제어 관리 테이블을 생성하고, UI데이터 관리부(456)에 격납을 지시한다. UI데이터 관리부(456)는, UI부(45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UI제어 관리 테이블을 격납한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UI데이터 관리부(456)에서 관리된 UI제어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모식도로서 테이블 형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트리 뷰와 탭 콘트롤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 경우만, 그 형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UI관리 테이블은, 열801로부터 열805까지로 구성되어 있다. 열801은, 처리 플로우에 추가되어 있는 태스크를 나타내고 있다. 그 태스크 내부에 태스크명과 스텝이 격납되어 있다.
열802는, 페인601에 표시하는 트리 뷰의 깊이 0의 노드의 어디에 표시할지를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서 열801이 "SMB송신"인 태스크는, 열802의 값은, "1"이다. 이 때문에, 그것은, 깊이 0의 제1 노드에 "SMB송신" 태스크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열803은, 페인601에 표시하는 트리 뷰의 깊이 1의 노드의 어디에 표시할지를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서 열801이 "Step2"인 스텝은, 열802의 값이 "1"이며, 열803의 값이 "2"이다. 이 때문에, 그것은, 그 스텝이 깊이 0의 제1 노드의 아이 노드로서 깊이 1의 제2 노드에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열804는, 페인609에 표시하는 탭 콘트롤을 나타낸다. SMB처리 플로우에 추가되는 태스크마다 탭 콘트롤이 생성된다.
열805는, 열804에 나타낸 탭 콘트롤의 어느 탭 페이지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서 열801이 "Step2"인 스텝은, 열804의 값이 "1"이며, 열805의 값이 "2"이다. 이 때문에, 그것은, 상기 스텝이 제1 탭 콘트롤의 제2 탭 페이지에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로 되돌아가서, 스텝S704에서, UI부(454)는, 스텝S702에서 해석한 태스크 정의에 따라, 페인601에 트리 뷰를 생성한다. 스텝S705에서, UI부(454)는, 스텝S702에서 해석한 태스크 정의에 따라서, 페인609에 탭 콘트롤을 생성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처리 플로우에 태스크의 추가를 행한다. 상술한 것처럼, 도 6의 UI는, "SMB송신"과 "FTP송신"의 태스크가 추가된 상태의 UI다.
다음에, 유저에 의해 페인601이나 페인609가 마우스 등으로 선택되었을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유저 조작에 의해, 페인601이나 페인609가 마우스 등으로 선택되었을 때의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에서의 표시 제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의 UI부(454)에서는, 버튼 가압 등, 유저에 의한 복수의 조작을 검지한다. 그렇지만, 본 흐름도에서는, 본 예의 특징인, 마우스 등으로 페인이 선택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행해진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S901에서, UI부(454)는, 선택된 페인이 페인601인지, 페인609인지를 판단한다. 페인601이 선택된 경우에는(스텝S901에서 YES), UI부(454)는, 스텝S902의 처리로 진행한다. 페인609가 선택된 경우에는(스텝S901에서 NO), UI부(454)는, 스텝S904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S902에서, UI부(454)는,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페인601의 트리 뷰의 노드를 선택 상태로 하고, 스텝S904의 처리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UI부(454)는, 유저 조작에 의해 노드605가 선택되어 있으면, 노드605를 선택 상태로 한다.
스텝S903에서, UI부(454)는,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탭 콘트롤 및 탭 페이지를 식별해서, 페인609에 표시한다. UI부(454)는, 우선, UI데이터 관리부(456)로부터 UI제어 관리 테이블을 취득한다.
그리고, UI부(454)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탭 콘트롤과 탭 페이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UI부(454)는, 검색 결과 얻어진 탭 콘트롤러의 탭 페이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UI부(454)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노드가 노드602일 경우, 도 8의 UI제어 관리 테이블의 최초의 레코드인 것을 안다. 이 경우, UI부(454)는, 제1 탭 콘트롤을 표시한다.
UI부(454)는, 도 8의 UI제어 관리 테이블에는 응용 가능한 탭 페이지가 없으므로, 탭 페이지(610)(즉, 제1 탭 페이지)를 표시한다. UI부(454)는,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노드가 노드605인 경우에는, 노드605가 도 8의 UI제어 관리 테이블의 제4 레코드인 것을 안다. 이 경우, UI부(454)는, 제1 탭 콘트롤의 제3 탭 페이지인 탭 페이지(612)를 표시한다.
스텝S902 및 스텝S903에서의 처리는, 제1 표시 제어의 처리의 일례다.
스텝S904에서, UI부(454)는,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탭 페이지를 표시하고, 스텝S905의 처리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UI부(454)는, 탭 페이지(612)가 선택된 경우에는 탭 페이지(612)를 표시한다.
스텝S905에서, UI부(454)는,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탭 페이지와 관련된 노드를 특정하고, 그 페인601의 노드를 선택 상태로 한다. UI부(454)는, 우선 UI데이터 관리부(456)로부터 UI제어 관리 테이블을 취득한다. 그리고, UI부(454)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탭 페이지와 관련된 노드를 검색한다.
그 후, UI부(454)는, 검색의 결과로서 얻어진 노드를 선택 상태로 한다. 예를 들면, UI부(454)는, 탭 페이지(612)가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는, 탭 페이지(612)가 도 8의 UI제어 관리 테이블의 제4 레코드인 것을 안다. 이 경우, UI부(454)는, 트리 뷰의 깊이 0의 노드의 제3 아이 노드인 노드605를 선택 상태로 한다.
스텝S904 및 스텝S905의 처리는, 제2 표시 제어의 처리의 일례다.
도 10은, UI가 도 6에 나타낸 상태에 있을 경우, 유저에 의해 탭 페이지(612)가 선택된 후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탭(1001)에 나타낸 것처럼 탭 페이지(612)가 최전면에 표시되어 있다. 노드1002에 나타낸 것처럼 탭 페이지(612)와 관련된 노드605가 선택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페인601에 표시된 트리 뷰와, 페인609에 표시된 탭 콘트롤이 서로 연동된다. 이에 따라, 유저 조작에 의해 좌우의 페인이 표시된 위치의 차이 없이, 유저는 스스로가 현재 설정하고 있는 파라미터를 잊어버릴 가능성이 더 적다.
다음에,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트리 뷰의 노드와 탭 콘트롤의 탭 페이지와의 연동에 관하여 설명했다. 제2 실시예에서는, 더욱 트리 뷰의 노드와 입력 필드와의 연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MFP(110), PC(120)의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구성은 제1 실시예와 같다.
태스크 추가의 처리에 대해서,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태스크 추가시의 스텝S703에서 작성한 UI제어 관리 테이블은 도 8에서 나타낸 것이었다. 그렇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UI제어 관리 테이블이다. 도 8과의 차이만 설명하겠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UI데이터 관리부(456)에서 관리한 UI제어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열1101은, 트리 뷰의 깊이 2의 노드의 어디에 레코드를 표시할지를 나타낸다. 일례로서 레코드(1103)의 경우, 깊이 2의 노드의 제1 노드에 표시되는 것이다. 열1102는, 탭 페이지에 레코드가 표시되는 입력 필드의 몇 번째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서 레코드1103일 경우, 제1 입력 필드인 것을 안다.
제1 실시예에서는, 깊이 1까지의 스텝S704에서 생성된 트리 뷰가 표시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깊이 2까지의 트리 뷰가 표시된다.
도 12는, UI부(454)가 표시하는 처리 플로우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미 처리 플로우에 "SMB송신"과 "FTP송신"의 태스크가 각각 추가된 상태의 UI다.
노드1201은, 파라미터명이 "유저명"인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노드1201은 선택 상태다. 입력 필드(1202)는, 파라미터명이 "유저명"인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필드다. 입력 필드(1202)에는 커서가 위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커서가 위치되어 있다"는 구는, 유저에 의한 입력을 접수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입력 필드(1202)에 커서가 위치되어 있는 경우, UI부(454)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304)를 통해 유저 조작에 의한 문자열의 입력을 접수하면, 입력된 문자열을 입력 필드(1202)에 표시한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라, 페인이 마우스 등으로 선택될 때부터의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의 흐름도다. 제1 실시예와 다른 처리만을 설명한다.
스텝S1301로부터 스텝S1303까지의 처리는, 스텝S901로부터 스텝S903까지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스텝S1304에서, UI부(454)는,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입력 필드를 특정하여, 선택 상태로 한다. UI부(454)는, 우선 UI데이터 관리부(456)로부터 UI제어 관리 테이블을 취득한다. 그리고, UI부(454)는, 유저에 의하여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입력 필드를 검색한다. 그리고, UI부(454)는, 검색의 결과로서 얻어진 입력 필드에 커서를 이동한다.
예를 들면, UI부(454)는, 노드1201이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는, 도 11의 UI제어 관리 테이블의 제3 레코드인 것을 안다. 이 경우, UI부(454)는, 제1 탭 페이지의 제1 입력 필드(1202)에 커서를 이동한다.
스텝S1305에서, UI부(454)는, 어느 탭 페이지와 입력 필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UI부(454)는, 탭 페이지가 선택된 경우에는(스텝S1305에서 YES), 스텝S1306의 처리로 진행한다. UI부(454)는, 입력 필드가 선택된 경우에는(스텝S1305에서 NO), 스텝S1308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S1306 및 스텝S1307에서의 처리는, 스텝S904 및 스텝S905에서의 처리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스텝S1308에서, UI부(454)는, 선택된 입력 필드에 커서를 이동한다. 예를 들면, UI부(454)는, 입력 필드(1202)가 선택된 경우에는, 입력필드(1202)에 커서를 이동한다.
스텝S1308에서, UI부(454)는,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입력 필드와 관련된 트리 뷰의 노드를 특정하여, 그 노드를 선택 상태로 한다.
UI부(454)는, 우선 UI데이터 관리부(456)로부터 UI제어 관리 테이블을 취득한다. 그 후, UI부(454)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입력 필드와 관련된 노드를 검색한다. 그리고, UI부(454)는, 검색의 결과로서 얻어진 노드를 선택 상태로 한다.
예를 들면, UI부(454)는, 입력 필드(1202)가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는, 노드가 도 11의 UI제어 관리 테이블의 제3 레코드인 것을 안다. 이 경우, UI부(454)는, 깊이 3의 제1 노드(1201)를 선택 상태로 한다.
도 14는, UI가 도 12의 상태에 있을 때에, 유저 조작에 의해 입력 필드(1401)를 선택한 후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 필드(1401)는, 파라미터명이 "패스워드"인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필드다. 커서는, 입력 필드1202로부터 입력 필드1401로 이동하고 있다.
노드1402는, 파라미터명이 "패스워드"인 파라미터를 의미하고 있다. 선택 상태는, 노드1201로부터 노드1402로 이동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트리 뷰와 탭 콘트롤이 서로 연동한다. 탭 콘트롤에 배치된 입력 필드와 트리 뷰가 서로 연동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유저가 설정하고 싶은 파라미터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조작에 의해 좌우의 페인에 표시된 위치의 차이가 없이, 유저 스스로가 현재 설정하고 있는 파라미터를 잊어버릴 가능성이 더 적다.
제2 실시예에서는, 트리 뷰의 노드와, 탭 콘트롤 위에 배치된 입력필드가 선택되었을 때의 연동에 관하여 설명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유저 조작에 의해, 입력 필드에 설정이 행해졌을 경우의 연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MFP(110) 및 PC(120)의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구성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태스크 추가의 처리에 대해서,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태스크 추가시에 스텝S704에서 상기 해석된 트리 뷰에 따라 트리 뷰를 생성했지만, 초기값의 유무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초기값을 갖는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노드를 비표시한다. 초기값이 없는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노드를 표시한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 플로우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이미 처리 플로우에 "SMB송신"과 "FTP송신"의 태스크가 각각 추가된 상태의 UI다.
입력 필드(1501)는, 파라미터명이 "인증 방식"인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필드다. 입력 필드(1501)는, 초기값으로서, "NTLMv2"가 설정되어 있다.
노드1502는, 파라미터명이 "인증 방식"인 파라미터를 의미하고 있다. 그렇지만, 파라미터명이 "인증 방식"인 파라미터에는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노드는 비표시로 설정되어 있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라, 입력 필드에의 설정을 접수할 때부터 처리 플로우 작성 어플리케이션(450)의 흐름도다.
스텝S1601에서, UI부(454)는, 상기 설정된 값을 입력 필드에 표시한다.
스텝S1602에서, UI부(454)는, 입력 필드에서 설정된 값이 비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UI부(454)는, 그 설정된 값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S1602에서 NO), 스텝S1603의 처리로 진행한다. UI부(454)는, 그 값이 비어 있는 경우에는(스텝S1602에서 YES), 스텝S1604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S1603에서, UI부(454)는, 입력을 접수한 입력 필드와 관련된 노드를 도 11의 UI제어 관리 테이블을 사용해서 식별하여, 그 노드를 비표시 상태로 한다.
스텝S1604에서, UI부(454)는, 입력을 접수한 입력 필드와 관련된 노드를 도 11의 UI제어 관리 테이블을 사용해서 특정하여, 그 노드를 표시한다.
도 17은, 도 15의 UI의 상태에서, 입력 필드(1701)에 "Taro"가 입력된 후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 필드(1701)에는, "Taro"가 표시되어 있다. 노드1702는, 입력 필드(1701)에 상기 값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표시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관한 노드를 비표시로 설정하였지만, 파라미터에 대하여 설정을 행하는지를 인식할 할 수 있는 UI에 대해서 필요할뿐이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것처럼 설정되지 않은 파라미터의 노드의 배경이 채색되어도 된다.
입력 필드(1801)는 비어 있다. 노드1802가 입력 필드(1801)와 관련되고 설정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노드의 배경이 채색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설정되지 않은 파라미터의 노드만, 굵은 글씨나 이탤릭등, 문자의 서체를 변경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라미터에 대하여 설정을 행하였는가에 따라 판단한다. 또한, 설정이 파라미터에 필수적인지의 여부를 판단에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설정이 필수적이고 설정이 행해지지 않은 파라미터의 노드의 배경색을 변경한다. 설정이 필수적인지의 여부는, 도 5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태스크 정의에 정의되어 있는 것처럼 판단한다.
이상과 같이, 설정의 유무에 따라, 트리 뷰의 노드와, 탭 콘트롤 위에 배치된 입력 필드가 서로 연동해서 표시를 변화시킴으로써, 유저는 스스로가 설정하고 싶은 항목이나 설정해야만 하는 항목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거쳐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싱 유닛(MPU))가 상기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저 스스로가 현재 설정하고 있는 파라미터를 유저가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 및 상기 프로그램이 격납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있는 것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8)

  1. 데이터의 구조를 노드로서 트리 모양으로 표시하는 구조 표시 영역과, 상기 구조 표시 영역에 표시된 동일 계층의 제 1 노드로 나타낸 설정을 탭마다 표시하고, 각 탭에는 설정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필드를 표시하는 상세 설정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및
    상기 노드, 상기 탭 및 상기 필드 사이의 관련성을 관리하는 관리부로서, 상기 노드는 상기 탭에 대응하는 제 1 노드와 상기 필드에 대응하는 제 2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부를 구비한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표시부는,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구조 표시 영역의 상기 제 1 노드 중 1개의 노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탭을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탭을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또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의 상기 탭 중 1개의 탭이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탭과 관련된 노드를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노드를 상기 구조 표시영역에 선택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는,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구조 표시 영역의 상기 제 2 노드 중 1개의 노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탭과 필드를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탭을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탭의 상기 식별된 필드에 커서를 이동시켜 문자열의 입력을 접수하고,
    또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의 상기 필드 중 1개의 필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관리부를 거쳐서 상기 선택된 탭과 관련된 노드를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노드를 상기 구조 표시영역에 선택 상태로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필드에 비어 있지 않은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어 있지 않은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의 사이에서 노드의 표시를 다르게 하도록 구성된, 정보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필드에 비어 있지 않은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드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필드에 비어 있지 않은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노드를 표시하지 않는, 정보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필드에 비어 있지 않은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상기 선택된 필드에 비어 있지 않은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의 사이에서 노드에 표시된 문자의 서체를 다르게 하도록 구성된, 정보처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필드에 비어 있지 않은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상기 선택된 필드에 비어 있지 않은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의 사이에서 노드의 배경색을 다르게 하도록 구성된, 정보처리장치.
  6. 정보처리장치가 실행하는 표시제어방법으로서,
    데이터의 구조를 노드로서 트리 모양으로 표시하는 구조 표시영역과, 상기 구조 표시영역에 표시된 동일 계층의 제 1 노드로 나타낸 설정을 탭마다 표시하고, 각 탭에는 설정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필드를 표시하는 상세 설정 표시영역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스텝;
    상기 노드, 상기 탭 및 상기 필드 사이의 관련성을 관리하는 스텝으로서, 상기 노드는 상기 탭에 대응하는 제 1 노드와 상기 필드에 대응하는 제 2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하는 스텝;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구조 표시영역의 상기 제 1 노드 중 1개의 노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탭을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탭을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 제어를 행하는 스텝; 및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의 상기 탭 중 1개의 탭이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선택된 탭과 관련된 노드를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노드를 상기 구조 표시 영역에 선택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 제어를 행하는 스텝;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구조 표시 영역의 상기 제 2 노드 중 1개의 노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선택된 노드와 관련된 탭과 필드를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탭을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탭의 상기 식별된 필드에 커서를 이동시켜 문자열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제3 표시 제어를 행하는 스텝;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상세 설정 표시영역의 상기 필드 중 1개의 필드가 선택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선택된 필드와 관련된 노드를 식별해서 상기 식별된 노드를 상기 구조 표시영역에 선택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제4 표시 제어를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표시제어방법.
  7. 정보처리장치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에게 청구항 6에 따른 표시제어방법을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격납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8. 삭제
KR1020120058975A 2011-06-02 2012-06-01 정보처리장치, 표시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529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4591 2011-06-02
JP2011124591A JP5868032B2 (ja) 2011-06-02 2011-06-02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091A KR20120135091A (ko) 2012-12-12
KR101529039B1 true KR101529039B1 (ko) 2015-06-16

Family

ID=4654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975A KR101529039B1 (ko) 2011-06-02 2012-06-01 정보처리장치, 표시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63036B2 (ko)
JP (1) JP5868032B2 (ko)
KR (1) KR101529039B1 (ko)
CN (1) CN102811300B (ko)
GB (1) GB24916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3943B2 (en) * 2005-04-07 2013-09-24 Sap Ag Methods and systems for entering object assignments
USD750662S1 (en) * 2014-04-23 2016-03-01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1105S1 (en) * 2014-04-23 2016-03-0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1109S1 (en) 2014-04-23 2016-03-0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1106S1 (en) * 2014-04-23 2016-03-0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1104S1 (en) * 2014-04-23 2016-03-0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60224214A1 (en) * 2015-02-02 2016-08-04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Optimizing Display Space of a User Interface of an Imaging Apparatus
JP7171326B2 (ja) 2018-09-07 2022-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3055235A (zh) * 2021-03-30 2021-06-29 合安科技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树的设备选择方法、系统及相关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268B2 (ja) * 1993-04-16 1996-10-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ノートブック・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リスト・アイテム
US20040230599A1 (en) * 2003-05-16 2004-11-18 Microsoft Corporation File system shel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3459A (ja) * 1997-08-29 1999-03-16 Toshiba Corp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ドキュメント管理操作方法
US6115044A (en) * 1998-03-31 2000-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or controlled display with a tree of items with modification of child item properties designated at parent level without modification of parent item properties
US7079166B1 (en) * 2000-01-07 2006-07-18 Ricoh Company, Lt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enhanced operations when changing display screen
JP4325075B2 (ja) * 2000-04-21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オブジェクト管理装置
JP2003125064A (ja) * 2001-10-12 2003-04-25 Sharp Corp 通信端末
US7010755B2 (en) * 2002-04-05 2006-03-07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desktop manager
US7925682B2 (en) * 2003-03-27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virtual folders
US20050188295A1 (en) * 2004-02-25 2005-08-25 Loren Konkus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tensible administration tool
US20070168885A1 (en) * 2005-01-21 2007-07-19 Michael Muller Sorting and filtering activities in an activity-centric collaborative computing environment
US8543943B2 (en) * 2005-04-07 2013-09-24 Sap Ag Methods and systems for entering object assignments
US8195646B2 (en) * 2005-04-22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toring, searching, navigating, and retrieving electronic information
JP2007058545A (ja) * 2005-08-24 2007-03-0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20070186183A1 (en) * 2006-02-06 2007-08-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a palette of items
JP2007272326A (ja) * 2006-03-30 2007-10-18 Tokyo Denki Univ 情報設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080141166A1 (en) * 2006-12-11 2008-06-12 Cisco Technology, Inc. Using images in alternative navigation
JP2008158971A (ja) * 2006-12-26 2008-07-10 Fujitsu Ltd 作業計画管理プログラム、作業計画管理方法、及び作業計画管理装置
JP5276328B2 (ja) * 2008-01-08 2013-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88875A (ja) * 2008-05-27 2009-12-10 Hitachi Ltd 資料作成支援装置、資料作成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16038B2 (en) * 2008-06-06 2013-08-20 Apple Inc. Browsing or search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JP5018794B2 (ja) * 2009-01-20 2012-09-0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印刷ジョブ出力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2092445A2 (en) * 2010-12-30 2012-07-0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User control interface for a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JP2014514184A (ja) * 2011-03-25 2014-06-19 オセ−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エー デジタル式文書を印刷し、コピーするための複写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268B2 (ja) * 1993-04-16 1996-10-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ノートブック・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リスト・アイテム
US20040230599A1 (en) * 2003-05-16 2004-11-18 Microsoft Corporation File system sh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209153D0 (en) 2012-07-04
CN102811300A (zh) 2012-12-05
US8863036B2 (en) 2014-10-14
KR20120135091A (ko) 2012-12-12
CN102811300B (zh) 2015-08-12
GB2491699A (en) 2012-12-12
US20120307296A1 (en) 2012-12-06
JP2012252517A (ja) 2012-12-20
JP5868032B2 (ja)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039B1 (ko) 정보처리장치, 표시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EP2015554B1 (en) User interface generat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2993882A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EP2450790A1 (en) Terminal device, server, screen control method, screen transition method, and compute program
JP4895347B2 (ja) 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5066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090002683A (ko) 분산인쇄 설정을 위한 호스트 장치 및 분산인쇄 설정 방법
KR20110085218A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프리뷰 이미지 디스플레이방법, 및 서버와 그 프리뷰 이미지 제공방법
EP23932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4737215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15263A (ko)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108931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2102753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9631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list display generator, and list display method
JP2010166174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ワークフロー管理方法
JP545123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99735A (ja)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7027283A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50032472A (ko) 화상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장치, 화상 처리방법, 정보 처리방법,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US20110179202A1 (en) Method of storing document in document box, and host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method
JP5040770B2 (ja) 電子ファイル生成装置、電子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6468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5477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184140B2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39363A (ja) 情報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