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78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781B1
KR101449781B1 KR1020100008788A KR20100008788A KR101449781B1 KR 101449781 B1 KR101449781 B1 KR 101449781B1 KR 1020100008788 A KR1020100008788 A KR 1020100008788A KR 20100008788 A KR20100008788 A KR 20100008788A KR 101449781 B1 KR101449781 B1 KR 10144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nsonant
character
key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8076A (en
Inventor
박세환
신근호
최우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7924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80071473A/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2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는,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입력된 하나의 자음키에 해당하는 자음과 조합 가능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자음키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확장키셋을 상기 입력된 자음키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기본키셋과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terminal. A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ansion unit including a basic key set including consonant keys and character keys including characters compatible with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one consonant key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extended keyset on the inputted consonant key when the consonant key is inputted through the basic key se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tring.

Figure R1020100008788
Figure R1020100008788

Description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0002]

본 발명은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touch keyboard of a terminal.

개인용 단말은 휴대할 수 있는 소형 단말을 모두 통칭하는 용어로, PDA(Personal Data Assistant), 무선통신단말, MP3 플레이어, 블루투스 기기, 디지털 카메라 등이 있으며, 이하 PDA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Personal Terminals (PDA),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 MP3 player, a Bluetooth device, a digital camera, and the lik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운용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며, 정보수집, 저장, 작성, 검색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근래에는 휴대폰 모듈을 탑재하여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복합기로서 발전하고 있다. Generally, a PDA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software and peripherals based on a computer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emory, an operating system (OS), and an operating system, and collects, stores, As a device that can be used, a mobile phone module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s a multifunctional device capable of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Internet use).

통상 PDA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게 되는데, 터치스크린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와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판넬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포인터를 가지고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터치스크린상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터치키보드를 터치하여 문자 등을 입력한다.Generally, a PDA includes a touch screen, which includes a display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touch panel mounted thereon. A user touches an ico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with a finger or a pointer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or touches a touch keyboar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touch screen to input characters or the like.

도 1은 종래 단말기의 터치키보드 배열방법 중 일반 키보드 배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keyboard layout method among touch keyboard layout methods of a conventional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은 입력받은 문자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문자를 입력 받는 터치키보드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키보드에는 일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의 키보드 배열방법이 적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touch screen of a terminal is composed of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s on a screen and a touch keyboard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the touch keyboard is provided with a keyboard arrangement of a personal computer Method is applied.

상기와 같이 상기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종래 키보드 배열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제한된 터치스크린의 크기로 인해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터치키보드의 크기는 작아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방법의 경우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터치키보드의 키 하나하나의 크기가 작아져, 보기에도 불편하고 터치하기에도 불편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어려우며 문자 입력에 따른 속도가 저하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ventional keyboard arrangement method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the size of the touch keyboard implemented in the touch screen is inevitably reduced due to the limited size of the touch screen.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the size of each key of the touch keyboard implemented on the touch screen is reduc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nput characters because it is inconvenient to view and inconvenient to touch, .

이에 따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문자입력이 용이하도록 하는 터치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touch keyboard that facilitates character input on a touch screen of a terminal.

본 발명은 문자입력이 용이하도록 하는 단말의 터치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ouch screen of a terminal, which facilitates input of characters.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는, 미리 정해진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입력된 하나의 자음키에 해당하는 자음과 조합 가능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자음키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확장키셋을 상기 입력된 자음키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기본키셋과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key set including predetermined consonant keys and character keys including character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one consonant key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extended keyset on the inputted consonant key when the consonant key is inputted through the basic key se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charac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미리 정해진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자음키들 중 하나의 자음키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자음키에 해당하는 자음과 조합 가능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키를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basic key set including predetermined consonant keys; inputting one consonant key among the consonant keys through the basic key set; Providing an extended keyset including character keys including character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key, and receiving at least one character key through the extended keys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는,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사각형 기본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기본 문자키들 중 선택된 제1 문자키에 해당하는 제1 문자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문자와 연관된 복수의 제2 문자들이 각각 할당된 복수의 사각형 제2 문자키들이 상기 제1 문자의 적어도 상하좌우 측에 형성되는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제1 문자키를 선택받은 경우 상기 확장키셋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제2 문자키는, 상기 제1 문자키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문자키들은, 상기 제1 문자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1 문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문자의 주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는 상기 기본키셋을 표시하는 터치키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부에는 상기 터치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키셋의 일부분(a part)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터치 이동 입력이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제2 문자키에 할당된 문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확장키셋은, 상기 제1 문자키보다 크며, 상기 제1 문자키에 인접한 다른 제1 문자키들에 표시된 문자들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확장키셋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된다.Also, a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key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basic character keys determined in advance; and a first key set corresponding to a first character key selected among the basic character keys, A touch screen in which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cond character keys each assigned a plurality of second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first character ar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charact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extended key set when the first character key is selected through the key set and receiving at least one character through the extended key set. Here, each of the second character keys has the same size as the first character key. In addition, the second character keys are formed around the first character so as to surround the first character with the first character as a center. A touch panel for displaying the basic key set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characters input by the touch panel is formed on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characters assigned to a second character key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a touch movement input inputted on the touch screen is directed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extended key set is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characters displayed on other first character keys adjacent to the first character key. The extended keyset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사각형 기본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기본 문자키들 중 제1 문자키를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1 문자키에 해당하는 제1 문자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문자와 연관된 복수의 제2 문자들이 각각 할당된 복수의 사각형 제2 문자키들이 상기 제1 문자의 적어도 상하좌우 측에 형성되는 확장키셋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상기 제2 문자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키를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제2 문자키는, 상기 제1 문자키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문자키들은, 상기 제1 문자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1 문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문자의 주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는 상기 기본키셋을 표시하는 터치키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부에는 상기 터치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키셋의 일부분(a part)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확장키셋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된다.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 basic key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basic character keys on a touch screen,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cond character keys each of which is assigned a plurality of second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first character centered on a firs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rst character key,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n extended keyset formed o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nd receiving at least one character key of the second character keys through the extended keyset. Here, each of the second character keys has the same size as the first character key. In addition, the second character keys are formed around the first character so as to surround the first character with the first character as a center. A touch panel for displaying the basic key set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characters input by the touch panel is formed on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extended keyset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형성된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자음키들 중 하나의 자음키가 터치됨으로써 상기 터치된 자음키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터치된 자음키가 입력된 후, 상기 터치스크린 상을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된 자음키에 해당하는 자음과 조합 가능한 또는 연관된 문자를 상기 자음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touched consonant key by touching one consonant key amo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included in a keypad formed on a touch screen, Combining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onsonant key with a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onsonant key according to a drag input for dragging on the touch screen after the key is input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형성된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키들 중 하나의 제1문자가 터치됨으로써 제1문자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제1문자가 입력된 후, 상기 터치스크린 상을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문자와 조합 가능한 또는 연관된 문자를 상기 제1문자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first character by touching a first character of a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a keypad formed on a touch screen, And combining the first character with the first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a drag input for dragging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키보드에서 입력된 키에 대해 다음 입력 가능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으로 확장키셋을 표시하여 문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input of characters by displaying an extended keyset with a pop-up window including the next inputable characters with respect to the key input from the touch keyboard.

또한 본 발명은 작은 스크린의 단말기에서 다음 입력 가능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편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 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keyset including the next inputtable characters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a terminal of a small screen, so that a user can easily input a desired character and input a character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 확장키셋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한 초기 입력화면에 배치되는 문자키들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number of character keys disposed on the initial input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by using the extended keyset in the terminal.

도 1은 종래 단말기의 터치키보드 배열방법 중 일반 키보드 배열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중국어 입력을 위한 기본키셋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중국어 입력을 위한 확장키셋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본키셋과 확장키셋을 이용하는 터치키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keyboard layout method among touch keyboard layout methods of a conventional terminal,
FIGS. 2A and 2B illustrate examples of a basic key set for Chines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through 3D illustrate examples of an extended keyset for Chines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and 4B illustrate a touch keyboard using a basic key set and an extended key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illustrate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주된 요지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터치키보드에 모든 자음키들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하나의 자음키가 터치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키와 조합가능한 문자키들이 포함된 팝업창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다.The main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ll consonant keys on a touch keyboard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enlarge a pop-up window including character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nsonant key when the consonant key is touched on the touch keyboard It is to display.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모든 자음키가 포함된 터치 키보드의 초기화면을 '기본키셋'이라 정의하고,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입력된 자음키와 조합가능한 문자키들이 포함된 팝업창을 '확장키셋'이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itial screen of a touch keyboard including all consonant keys is defined as a 'basic key set', and a pop-up window including character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consonant key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is defined as an 'extended key set' .

본 명세서에서는 자음이나 모음의 키들이 포함된 터치키보드의 구체적인 예를 언급할 것이나, 각 키의 사용빈도나 목적에 따라 터치키보드 상에 배열되는 키들의 개수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다른 키 배열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중 중국어와 영어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음과 자음을 가지는 문자라면 어느 언어에라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Herein, a specific example of a touch keyboard including consonant or vowel keys will be mentioned. However, the number of keys arranged on the touch keyboar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r purpose of each key, It is possible. A method of inputting Chinese and English characters among the methods of inputting characters will be described.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language as long as they have vowels and consonant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중국어 입력을 위한 기본키셋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basic key set for Chines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중국어 입력을 위한 기본키셋은, 도 2a와 같이 6*4 배열방법으로 모음(a,e,I,o,u)을 제외한 자음들을 알파벳 순서로 각 키에 배치하여 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W, X, Y, Z와 같이 구성되거나, 혹은 도 2b와 같이 상기 자음들을 쿼티(QWERTY) 키보드 배열방법으로 각 키에 배치하여 Q, W, R, T, Y, U, I, O, P, A, S, D, F, G, H, J, K, L, Z, X, C, V, B, N, M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키본키셋은 상기 자음들 이외에 중국어 병음 구성을 위해 초기 입력 가능한 문자인 Er 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본키셋은 상기 자음들과 상기 Er 키 이외에, 스페이스 바 역할을 하는 키, 백 스페이스 역할을 하는 키 및 모음의 직접 입력을 위한 a, u, e, i, o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basic key set for Chinese input is a key key set in which the consonants excluding the vowels a, e, I, o, and u are arranged in alphabetical order by B *, C, D, F, 2, a plurality of consonants may be configured as a QWERTY keyboard arrangement, as shown in FIG. 2B, or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B, W, R, T, Y, U, I, O, P, A, S, D, F, G, H, J, K, L, Z, X, C, V , B, N, and M,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consonants, the keyboar key set further includes an Er key, which is a character that can be initially input for constituting a Chinese pinyin. In addition to the consonants and the Er key, the basic key set may further include a key serving as a space bar, a key serving as a backspace, and a, u, e, i, o keys for direct input of a vowel .

그리고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기본키셋에서 C, S, Z 키들은 각각 C 혹은 Ch 및, S 혹은 Sh 및, Z 혹은 Zh의 입력에 사용되며, 상기 C, S, Z 키들이 포인터로 터치 혹은 해당 키 영역 내에서 짧은 드래그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C 혹은 Ch 및, S 혹은 Sh 및, Z 혹은 Zh가 표시된다.2A and 2B, the C, S, and Z keys are used for inputting C or Ch, S, or Sh, and Z or Zh, respectively, and the C, S, and Z keys are pointers When a short drag is performed within the touch or corresponding key area, C or Ch and S or Sh and Z or Zh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한편, 상기 기본키셋이 중국어 및 영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 적용되는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터치키보드에서 C, S, Z키에 아래첨자로 표시된 h와, E키에 아래첨자로 표시된 r이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sic key set is applied to another language such as Chinese and English, h is displayed as a subscript in the C, S, Z keys in the touch keyboard shown in Figs. 2A and 2B, and r Can be omitted.

도 2a 혹은 도 2b의 기본키셋에서 하나의 자음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키상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장키셋이 표시되며, 이하 일 예로 상기 확장키셋이 터치키보드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혹은 도 2b의 기본키셋에 사용 가능한 확장키셋들의 예들을 아래 도 3a 내지 도 3d에 나타내었다.When one consonant key is input in the basic key set of FIG. 2A or FIG. 2B, an extended keyset is displayed on the input consonant key image or the display area.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where the extended keyset is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area . Examples of extended key sets usable in the basic key set of FIG. 2A or FIG. 2B are shown in FIGS. 3A to 3D.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중국어 입력을 위한 확장키셋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확장키셋의 각 키는 포인팅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확장키셋의 영역은, 기본키셋을 통해 다른 자음이 포인팅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FIGS. 3A through 3D are examples of extended key sets for Chines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each key of the extended key set has a size such that it is not inconvenient to be pointed, and the area of the extended key set has such a size that it is not inconvenient for other consonants to be pointed through the basic key set.

도 3a와 같이 확장키셋에서는, 기본키셋에서 입력된 키(예를 들어, M)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된 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인 a,e,i,o,u, 키들과, 중국어에서 받침으로 많이 사용되는 키인 n키와 g키가 상기 입력된 키의 주변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A, in the extended key set, a key (for example, M) input from the basic key set is disposed at the center, and a, e, i, o, And an n key and a g key, which are commonly used keys in Chinese, are disposed around the input key.

도 3b와 같이 확장키셋에서는, 기본키셋에서 입력된 키(예를 들어, M)가 배치하고, 상기 입력된 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인 a,e,i,o,u키들이 상기 입력된 키의 주변에 배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B, in the extended key set, the keys (for example, M) input from the basic key set are arranged, and the a, e, i, o, and u keys, which are vowel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key, As shown in Fig.

도 3c와 같이 확장키셋에서는, 입력된 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인 a,e,i,o,u 키들이 배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C, in the extended keyset, the a, e, i, o, and u keys, which are vowel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key, are arranged.

도 3d와 같이 확장키셋에서는, 입력된 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인a,e,i,o,u,y 키들이 배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D, the extended key set is configured by arranging the a, e, i, o, u, and y keys as vowel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key.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을 것이지만, 확장키셋은 추가적으로 중국어에서 받침으로 많이 사용되는 키들인 n키와 g키가 동적으로 상황에 따라 배치되어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된 키와 조합가능한 기능키(예를 들어, space 키, <-(Back)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nded keyset can additionally include n keys and g keys dynamically arranged according to situations, which are commonly used in Chinese, and function keys (for example, For example, space key, <- (Back) key).

또한 상기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확장키셋에서 u키는 u 및

Figure 112010006569786-pat00001
의 입력에 사용되며, 상기 u키가 해당 키 영역 내에서 포인터로 터치 혹은 짧은 드래그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u 혹은
Figure 112010006569786-pat00002
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e키가 해당 키 영역 내에서 포인터로 터치 혹은 짧은 드래그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e 혹은 er로 표시된다.In the extended keyset shown in FIGS. 3A to 3D, the u keys are u and
Figure 112010006569786-pat00001
And when the u key is touched or short dragged in the key area as a pointer,
Figure 112010006569786-pat00002
. Also, when the e key is touched or short dragged as a pointer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it is displayed as e or er on the touch screen.

그리고, 확장키셋에서 모음키들인 a, e, i, o, u 키들 중 하나의 모음키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모음 키는 받침으로 많이 사용되는 n키로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n키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n키는 받침으로 많이 사용되는 g키로 변경된다. 상기 변경된 키를 포함하는 변경된 확장키셋은 소정시간이 지나면 초기 확장키셋으로 복귀된다.When a vowel key of one of the vowel keys a, e, i, o, and u is input in the extended keyset, the inputted vowel key is changed to an n-key commonly used as a receiver, In this case, the input n key is changed to a g key, which is often used as a base. The changed extended key set including the changed key is returned to the initial extended key set after a predetermined time.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본키셋과 확장키셋을 이용하는 터치키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4A and 4B illustrate a touch keyboard using a basic key set and an extended key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같이 6*4 배열을 이용하는 기본키셋을 통해 M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M키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된 M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예를 들어, 중국어의 모음인 a,e,i,o,u,y)과, 많이 사용되는 문자의 키(예를 들어, 중국어에서 받침으로 많이 사용되는 n키, g키)가 상기 입력된 M키의 주변에 배치된 확장키셋이 상기 기본키셋 상에서 입력된 M키에 오버랩되어 표시된다.4A, when the M key i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using the 6 * 4 arrangement, the input M key is disposed at the center, and vowel keys (for example, Chinese vowels (For example, an n key and a g key commonly used in Chinese as a key) are arranged around the input M key, The extended key set is displayed overlapping with the M key input on the basic key set.

도 4b와 같이 쿼티 키보드 배열을 이용하는 기본키셋을 통해 M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M키가 배치되고, 상기 입력된 M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예를 들어, 중국어의 모음인 a,e,i,o,u)이 상기 입력된 M키의 주변에 배치된 확장키셋이 상기 기본키셋에서 상기입력된 M키에 오버랩되어 표시된다.4B, when the M key i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using the QWERTY keyboard arrangement, the input M key is disposed, and vowel keys (for example, Chinese vowels a, e, i, o, u) is displayed in the basic key set overlapped with the input M key in the basic key set.

도 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5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6*4 배열방법으로 배열된 기본키셋을 가지는 터치키보드를 통해 NiHao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도 5의 (a)와 같이 터치키보드에 표시된 기본키셋에서 상기 NiHao의 첫문자인 자음 N을 입력하기 위해 N키(501)를 찾아 포인트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으면 상기 자음 N이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고, 도 5의 (b)와 같이 터치키보드에는 N키(501)에 대한 확장키셋(502)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다음 키 입력을 대기하여, 도 5의 (b)과 같이 사용자가 확장키셋(502)에 포함된 키들 중 i키(503)를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거나, 상기 N키(501)로부터 상기 i키(503)까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면, 디스플레이부(500)에 Ni가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5, a case where a user intends to input NiHao through a touch keyboard having a basic key set arranged in a 6 * 4 arrangement manner will be described. 5A, the user touches or touches the N key 501 to input a consonant N, which is the first character of the NiHao, in the basic key set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and then, after touching the pointer, The consonant 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and the extended keyset 502 for the N-key 501 is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as shown in FIG. 5 (b). 5 (b), the user touches or touches the i-key 503 among the keys included in the extended key set 502 as a pointer, Or drag and drop from the N key 501 to the i key 503, the display unit 500 displays Ni.

사용자가 다음 문자인 자음 H를 입력하고자 하여 도 5의 (c)와 같이 터치키보드에 표시된 기본키셋에서 H키(504)를 찾아 포인트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거나, 상기 i키(503)로부터 상기 H키(504)까지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디스플레이부(500)에 H가 표시되고, 도 5의 (d)와 같이 터치키보드에 상기 H키(504)에 대한 확장키셋(505)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Ni가 중국어의 병음에 해당하므로 Ni대신 해당 한자와 H가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키보드에서 N키(501)에 대한 확장키셋(502)은 다른 자음(즉, 상기 자음 H)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때 제거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자음(즉, 상기 N)이 디스플레이부에서 삭제될 때 제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 5의 (d)와 같이 사용자가 a를 입력하기 위해 확장키셋(505)에 포함된 키들 중 a키(506)를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거나, 상기 H키(504)로부터 상기 a키(506)까지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디스플레이부에 Ha가 표시된다. 이때, Ni 대신 해당 한자와 Ha가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될 수 있다.If the user tries to input the consonant H, which is the next character, by touching the H key 504 in the basic key set displayed on the touch keypad as shown in FIG. 5C, touching the point or not touching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H is dragged and dropped from the i-key 503 to the H-key 504, H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and an extension to the H-key 504 is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as shown in (d) Keyset 505 is displayed. At this time, since the Ni corresponds to Chinese Pinyin,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and H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instead of Ni. And the extended key set 502 for the N key 501 on the touch keyboard may be removed when another consonant (i.e., the consonant H)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sonant And may be removed when deleted from the display unit. 5D, when the user touches the a key 506 among the keys included in the extended key set 505 to input a or touches the pointer with a pointer and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 And drag and drop from the H key 504 to the a key 506, H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and Ha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instead of Ni.

그리고 사용자가 다음 문자인 모음 o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e)와 같이 확장키셋(507)에서 o키(508)를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거나, 상기 a키(506)로부터 상기 o키(508)까지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디스플레이부(500)에 Hao가 표시된다. 이때, 특정키가 터치되면 Ni 대신 해당 한자와, 상기 Hao가 중국어의 병음에 해당하므로 Hao대신 해당 한자가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user desires to input the next character o, the user touches the o key 508 in the extended keyset 507 with a pointer or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ouching, When dragging and dropping from the a key 506 to the o key 508, Hao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At this time, if a specific key is touched,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instead of Ni and the Hao corresponding to Chinese Pinyi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instead of Hao.

도 6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6*4 배열방법으로 배열된 기본키셋을 가지는 터치키보드를 통해 Shuang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도 6의 (a)와 같이 터치키보드에 표시된 기본키셋에서 상기 Shuang의 첫문자인 자음 S와 자음 h를 동시에 입력하기 위해 S키(601)를 찾아 포인트로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고 특정 영역(즉, S키의 영역내)에서 짧게 드래그하면 Sh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도 6의 (b)와 같이 터치키보드에는 S키(601)에 대한 확장키셋(602)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 6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확장키셋(602)에 포함된 키들 중 u키(603)를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거나, 상기 S키(601)로부터 상기 u키(603)까지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디스플레이부에 Shu가 표시된다. 이때 확장키셋(602)은 u키(603) 대신 n키를 포함하는 확장키셋(604)로 변경된다.Referring to FIG. 6, a case where a user desires to input a Shuang through a touch keyboard having a basic key set arranged in a 6 * 4 arrangement manner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6A, the user touches the S key 601 by touching a point to input simultaneously the consonant S and the consonant h, which are the first letters of the Shuang, in the basic key set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The Sh ke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key is dragged briefly in a specific area (i.e., in the area of the S key) without releasing the extended keyset 602 for the S key 601 on the touch keyboard as shown in FIG. 6 (b) Is displayed. 6B, when the user touches or touches the u-key 603 among the keys included in the extended keyset 602,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presses the S-key 601 ) To the u-key 603, Sh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extended key set 602 is changed to the extended key set 604 including the n key instead of the u key 603. [

그리고 사용자가 다음 문자인 모음 a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의 (c)와 같이 확장키셋(604)에서 a키(605)를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거나, 상기 u키(603)로부터 상기 a키(605)까지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디스플레이부에 Shua가 표시되고, 변경된 확장키셋(606)이 표시된다. 변경된 확장키셋(606)은 확장키셋(602)의 a키(605)가 n키(607)로 변환된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상기 확장키셋(606)에서 n키(607)를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에 Shuan이 표시되고, 변경된 확장키셋(608)이 표시된다. 변경된 확장키셋(608)은 확장키셋(606)의 n키(607)가 g키(609)로 변환된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상기 확장키셋(608)에서 g키(609)를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에 Shuang 혹은 해당한자가 표시된다. When the user intends to input the next character a, the user touches the a key 605 in the extended keyset 604 with a pointer or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ouching, When dragging and dropping from the u key 603 to the a key 605, Shu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changed extended keyset 606 is displayed. The modified extended key set 606 means that the a key 605 of the extended key set 602 is converted into the n key 607. [ If the user touches or touches the n key 607 with the pointer in the extended keyset 606 and then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Shua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changed extended keyset 608 is displayed. The changed extended key set 608 means that the n key 607 of the extended key set 606 is converted into the g key 609. [ If the user touches the g key 609 with the pointer in the extended keyset 608 or touches the pointer after the touch, the Shuang or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6*4 배열으로 배열된 기본키셋을 가지는 터치키보드를 통해 중국어인 S泓를 입력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도 7의 (a)와 같이 터치키보드에 표시된 기본키셋에서 상기 S泓의 첫문자인 자음 S를 입력하기 위해 S키(701)를 찾아 포인트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으면상기 자음 S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도 7의 (b)와 같이 터치키보드에 S키(701)에 대한 확장키셋(702)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확장키셋(702)에서 다음 문자인 모음 를 입력하기 위해 u키(703)를 찾아 포인트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거나, 상기 S키(701)로부터 상기 u키(703)까지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짧게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드스플레이부에 S 혹은 해당한자가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7, a case where a user inputs a Chinese character S? Through a touch key keyboard having a basic key set arranged in a 6 * 4 arrangement will be described. 7A, a user touches the S key 701 to input a consonant S, which is the first character of the S key, from the basic key set displayed on the touch keypad, or touches the S key 701, The consonant 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n extended keyset 702 for the S key 701 is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as shown in FIG. 7B. When the user touches or touches the u key 703 to input a vowel, which is the next character in the extended keyset 702, or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drag and drop is performed as shown by the arrow up to the u key 703, S or the Chines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Dissplay sec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터치키보드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810)과, 입력 감지부(830)와, 제어부(850)를 포함한다.8,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810 including a touch keyboard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an input sensing unit 830, and a control unit 850 .

상기 터치스크린(810)은 제어부(850)의 제어에 의해 터치키보드를 기본키셋 혹은 기본키셋과 확장키셋의 조합으로 표시하며, 상기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The touch screen 810 displays a touch key by a combination of a basic key set or a basic key set and an extended key s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50 and display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through the touch key on the display unit .

그리고 상기 입력 감지부(830)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810)에 표시된 터치키보드의 특정 키를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았거나, 상기 포인터가 드래그 앤드 드롭되었거나,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드래그 되었으면, 상기 특정 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된 키를 상기 제어부(850)로 전달한다. When the user touches or touches a specific key of the touch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10 with a pointer, the input sensing unit 830 determines that the pointer is not dragged and dropped If the pointer is dragged in a specific area without releasing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850 detects the input of the specific key and inputs the key to the controller 850.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전달받은 키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그 조합이 터치스크린(810)의 터치키보드 및/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기본키셋 또는 기본키셋과 확장키셋의 조합을 터치스크린(81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850)는 최초에 기본키셋을 표시하고 기본키셋에서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가 자음인 경우 기본키셋상에 확장키셋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810)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조합을 상기 터치키보드에 표시하는 것은 이전 터치된 문자와 조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850)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850 controls the display unit 810 to display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key or a combination thereof on a touch keyboard and / or a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8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display unit (810). That is, the control unit 850 initially displays the basic key set and controls the touch screen 810 to display the extended key set on the basic key set when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from the basic key set is consonant.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9, it is assumed that the character input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850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901 단계에서 제어부(850)는 기본키셋 혹은 기본키셋과 확장키셋의 조합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81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을 대기한다. Referring to FIG. 9, in step 901, the controller 850 controls the touch screen 810 to display a basic key set or a combination of a basic key set and an extended key set, and waits for a key input by the user.

903 단계에서 제어부(850)는 입력감지부(830)에 의해 터치스크린(810)에 표시된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감지결과를 전달받아, 기본키셋 혹은 확장키셋을 통한 키 입력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감지결과는, 상기 특정 키가 포인터로 터치되었는지, 터치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았는지, 상기 포인터가 드래그 앤드 드롭되었는지,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드래그 되었는지 등을 포함한다.In step 903, the control unit 850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pecific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10 by the input sensing unit 830, and confirms the key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or the extended key set. At this time, the detection result indicates whether the specific key is touched by a pointer, whether the pointer has been dragged and dropped after the touch has been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ther the pointer has been dragged in a specific area without releasing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

905 단계에서 제어부(850)는 상기 입력된 키가 문자인지 판단하여, 문자인 경우 909 단계로 진행하고, 문자가 아닌 경우 907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에 대한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In step 905, the controller 85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key is a character. If the input key is a charac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909. Otherwise, the control unit 850 proceeds to step 907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on the input key.

상기 909 단계에서 제어부(850)는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가 이전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와 조합가능한지 확인하여, 조합가능한 경우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와 이전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터치스크린(810)에 표시할 문자로 확인하고, 조합가능하지 않은 경우(즉, 이전입력된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터치스크린(810)에 표시할 문자로 확인한다. In step 909, the control unit 850 determines whether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can be combined with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input key. If the character corresponds to the input key, (I.e., when there is no previously input key),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10. In this case, (810).

일 예로, 중국어 입력의 경우, 제어부(850)는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가 이전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와 조합하여 조합된 결과가 중국어의 병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 후, 해당하는 한자가 있는 경우 해당하는 한자를 터치스크린(810)에 표시할 문자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국어 입력의 경우, 제어부(850)는 상기 감지결과로 사용자가 C, S, Z에 터치된 포인터를 특정 영역내(즉, 상기 각 C키, S키, Z키의 영역 내)에서 짧게 드래그하였다는 결과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에 h를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Ch, Sh, Zh)를 터치스크린(810)에 표시할 문자로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850)는 상기 감지결과로 사용자가 확장키셋의 u키에 터치된 포인터를 특정 영역내(즉, U키의 영역내)에서 드래그 하였다는 결과를 전달받은 경우, 문자 을 표시할 문자로 확인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Chinese input, the control unit 850 checks whether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s combined with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input key, and if the result is a Chinese Pinyin,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can be confirmed by a character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10. [ Also, in the case of Chinese input, the controller 850 may short-drag the pointer touched in C, S, Z in a specific area (i.e., within the area of each C key, S key, and Z key) (Ch, Sh, Zh) obtained by combining th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by h is confirmed as a character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10. In addition, If the result of the detection indicates that the user has dragged the pointer touched in the u key of the extended keyset in a specific area (i.e., within the area of the U key), the controller 850 may display the character Check.

911 단계에서 제어부(850)은 상기 확인된 문자가 터치스크린(8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n step 911, the controller 850 controls the displayed character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10.

913 단계에서 제어부(850)는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문자가 기본키셋에서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기본키셋에서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을 표시하기 위해 915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기본키셋에서 입력되지 않은 경우(즉, 확장키셋에서 입력된 경우) 기표시된 확장키셋의 변경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917 단계로 진행한다. In step 913, the control unit 850 determines whether the character for the input key is input in the basic key set. If the input key is input in the basic key set, the controller 850 proceeds to step 915 to display the extended key set for the input key. If it is not input in the keyset (that is, if it is input in the extended keyse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917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previously displayed extended keyset.

상기 915 단계에서 제어부(850)는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을 상기 입력된 키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810)을 제어한 후, 상기 901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을 대기한다. 이때 상기 915 단계에서 제어부(850)는 이전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이 터치키보드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전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을 제거하여, 현재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만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가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810)을 제어한다.In step 915, the controller 850 controls the touch screen 810 to display the extended keyset for the input key in an overlapped manner with the input key, and then proceeds to step 901 to wait for a key input by the user . If the extended keyset for the previously input key is present on the touch keyboard, the control unit 850 removes the extended keyset for the previously input key to include only the extended keyset for the currently input key And controls the touch screen 810 to display the touch keyboard.

확장키셋에서 입력된 경우라면, 상기 917 단계에서 제어부(850)는 상기 확장키셋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여 확장키셋을 변경 할 경우 1021 단계로 진행하여 확장키셋을 변경하고, 확장키셋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 901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을 대기한다.  If it is inputted in the extended key set, the control unit 850 determines whether the extended key set is changed or not in step 917. If the extended key set is changed, the extended key set is changed in step 1021, It proceeds to step 901 and waits for the user to input a key.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변형의 예로서 본 발명은 큰 변형없이 자음과 모음을 가지는 중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an example of a mod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languages other than Chinese, which have consonants and vowels without significant deforma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39)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입력된 하나의 자음키에 해당하는 자음과 조합 가능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기본키셋의 제1 자음키가 터치되면 상기 제1 자음키에 대응된 확장키셋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자음키의 터치가 떼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자음키로부터 상기 확장키셋의 제2 문자키까지 드래그앤 드롭되면 상기 제1 자음키의 자음과 상기 제2 문자키의 문자가 조합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A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n extended keyset including a basic key set including predetermined consonant keys and character keys including character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one consonant key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A first consonant key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sonant key is displayed when the first consonant key of the basic key set is touched and a second consonant ke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sonant key is displayed from the first consonant key without touching the first consonant key,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of the first consonant key and the character of the second character key when the character key is dragged and dropp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키셋은,
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W, X, Y, Z키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C, S, Z 키들은 각각 C 혹은 Ch 및, S 혹은 Sh 및, Z 혹은 Zh의 입력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keys comprises a plurality of keys, 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W, X,
Wherein the C, S, and Z keys are used for inputting C or Ch, S, or Sh, and Z or Zh,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키셋은,
Q, W, R, T, Y, U, I, O, P, A, S, D, F, G, H, J, K, L, Z, X, C, V, B, N, M키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C, S, Z 키들은 각각 C 혹은 Ch 및, S 혹은 Sh 및, Z 혹은 Zh의 입력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Q, W, R, T, Y, U, I, O, P, A, S, D, F, G, H, J, K, L, Z, X, C, V, / RTI &gt;
Wherein the C, S, and Z keys are used for inputting C or Ch, S, or Sh, and Z or Zh, respectively.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키셋은 Er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4.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basic key set further includes 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S, Z 키들이 포인터로 터치 혹은 해당 키 영역 내에서 짧게 드래그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C 혹은 Ch 및, S 혹은 Sh 및, Z 혹은 Zh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if the C, S, Z keys are touched with a pointer or are dragged in the key area, C or Ch, S or Sh and Z or Zh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은,
a, e, i, o, u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u키는, u 및 _의 입력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a, e, i, o, u keys,
Wherein the u key is used for inputting u and &lt; RTI ID = 0.0 &gt; _. &Lt; / RTI &g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은,
상기 입력된 자음 키와, y키와, n키와, g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consonant key, the y key, the n key, and the g ke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u키가 해당 키 영역 내에서 포인터로 터치 혹은 짧게 드래그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u 혹은 _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u or _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u key is touched or short dragg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with a point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상기 a, e, i, o, u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n키로 변경되고, 상기 n키가 입력되면 상기 n키가 상기 g키로 변경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at least one of the a, e, i, o, and u keys is input through the extended keyset, the input key is changed to the n key, Is changed to the g key an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이 표시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자음키들 중 다른 하나의 자음키가 입력되면, 상기 확장키셋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another consonant key of the consonant keys i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while the extended key set is being displayed, the extended key set is removed from the touch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문자가 표시되면, 상기 확장키셋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ombined character is displayed, the extended keyset is removed from the touch screen.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키셋의 제1 자음키가 터치되면 상기 제1 자음키에 해당하는 자음과 조합 가능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자음키의 터치가 떼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자음키로부터 상기 확장키셋의 제2 문자키까지 드래그앤 드롭되면 상기 제1 자음키의 자음과 상기 제2 문자키의 문자가 조합되어 표시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Displaying a basic key set including predetermined consonant keys on a touch screen;
Displaying an extended keyset including character keys including character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sonant key when the first consonant key of the basic key set is touched;
When the first consonant key is dragged and dropped from the first consonant key to the second character key of the extended keyset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sonant key is not touched, the consonants of the first consonant key and the characters of the second character key are combined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string on the display scree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은,
상기 입력된 자음키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forma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키셋은,
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W, X, Y, Z 키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C, S, Z 키들은 각각 C 혹은 Ch 및, S 혹은 Sh 및, Z 혹은 Zh의 입력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keys comprises a plurality of keys, 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W, X,
Wherein the C, S, and Z keys are used for inputting C or Ch, S, or Sh, and Z or Zh, respectivel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키셋은,
Q, W, R, T, Y, U, I, O, P, A, S, D, F, G, H, J, K, L, Z, X, C, V, B, N, M키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C, S, Z 키들은 각각 C 혹은 Ch 및, S 혹은 Sh 및, Z 혹은 Zh의 입력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Q, W, R, T, Y, U, I, O, P, A, S, D, F, G, H, J, K, L, Z, X, C, V, / RTI &gt;
Wherein the C, S, and Z keys are used for inputting C or Ch, S, or Sh, and Z or Zh, respectively.
제 14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키셋은 Er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4 or 15, wherein the basic key set further comprises Er.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C, S, Z 키들이 포인터로 터치 혹은 해당 키 영역 내에서 짧게 드래그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C 혹은 Ch 및, S 혹은 Sh 및, Z 혹은 Zh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4 or 15, wherein if the C, S, Z keys are touched with a pointer or are dragged briefly within the key area, C or Ch, S or Sh and Z or Zh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은,
a, e, i, o, u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u키는, u 및 _의 입력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 e, i, o, u keys,
Wherein the u key is used for inputting u and &lt; RTI ID = 0.0 &gt; _. &Lt; / RTI &g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은,
상기 입력된 자음 키와, y키와, n키와, g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9. The apparatus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consonant key, the y key, the n key, and the g key.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u키가 해당 영역 내에서 포인터로 터치 혹은 짧게 드래그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u 혹은 _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19.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claim 18, wherein when the u key is touched or short dragged in the area, the u or _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상기 a, e, i, o, u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n키로 변경되고, 상기 n키가 입력되면 상기 n키가 상기 g키로 변경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when at least one of the keys a, e, i, o, and u is input through the extended keyset, the input key is changed to the n key, Is changed to the g key an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이 표시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자음키들 중 다른 하나의 자음키가 입력되면, 상기 확장키셋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when the consonant key of another consonant key i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while the extended key set is being displayed, the extended key set is removed from the touch scree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문자가 표시되면, 상기 확장키셋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when the combined character is displayed, the extended keyset is removed from the touch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08788A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14497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602 2007-01-30
KR20070009602 2007-01-30
KR1020070079243 2007-08-07
KR1020070079243A KR20080071473A (en) 2007-01-30 2007-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KR1020070112148 2007-11-05
KR20070112148 2007-11-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35A Division KR101009883B1 (en) 2007-01-30 2008-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076A KR20100028076A (en) 2010-03-11
KR101449781B1 true KR101449781B1 (en) 2014-10-13

Family

ID=39882242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37A KR101060222B1 (en) 2007-01-30 2008-01-30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erminal
KR1020080009735A KR101009883B1 (en) 2007-01-30 2008-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008789A KR101350088B1 (en)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08788A KR101449781B1 (en)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063189A KR101085655B1 (en)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193A KR101085662B1 (en)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347A KR101227300B1 (en) 2007-01-30 2010-07-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108759A KR101331697B1 (en) 2007-01-30 2010-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37A KR101060222B1 (en) 2007-01-30 2008-01-30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erminal
KR1020080009735A KR101009883B1 (en) 2007-01-30 2008-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008789A KR101350088B1 (en)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189A KR101085655B1 (en)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193A KR101085662B1 (en)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347A KR101227300B1 (en) 2007-01-30 2010-07-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108759A KR101331697B1 (en) 2007-01-30 2010-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823100B2 (en)
KR (8) KR101060222B1 (en)
CN (2) CN10400793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36B1 (en) * 2009-01-22 2011-09-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1560372B1 (en) * 2009-08-23 2015-10-19 (주)티피다시아이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629711B1 (en) * 2009-09-16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O2011043574A2 (en) * 2009-10-08 2011-04-14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for same
KR101046914B1 (en) * 2010-11-03 2011-07-07 우순조 Recursive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039284B1 (en) * 2010-08-25 2011-06-07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CN103262004B (en) * 2010-12-10 2016-03-16 三星电子株式会社 Use Korean characters input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touch-screen
KR101231206B1 (en) * 2010-12-15 2013-02-07 박치원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touch and drag
KR101242210B1 (en) * 2011-06-02 2013-04-03 주식회사 참글 A letter input method of chinese with function of intonation choice for touch screen
JP5661000B2 (en) * 2011-08-23 2015-01-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Multi-function inform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328554B1 (en) * 2011-10-06 2013-11-13 김진수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WO2013086675A1 (en) 2011-12-12 2013-06-20 Google Inc. Techniques for input of a multi-character compound consonant or vowel and transliteration to another language using a touch computing device
CN102520874B (en) * 2011-12-30 2013-10-16 楚博纯 Pinyin input method based on touch screen and device
KR101216867B1 (en) * 2012-02-06 2012-12-28 허우영 Language input system for mobile device
KR101216881B1 (en) * 2012-02-23 2013-01-09 허우영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chinese language in mobile device
KR101371661B1 (en) * 2012-05-10 2014-03-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hangul inputting on cyber keyboard
KR101370834B1 (en) * 2012-10-18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JP5966963B2 (en) * 2013-02-15 2016-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101296590B1 (en) * 2013-03-22 2013-08-14 주식회사 네오패드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102157264B1 (en) 2013-10-30 202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USD727778S1 (en) 2013-11-19 2015-04-28 Earring Support, Llc Curlycue earring support
CN104090669B (en) * 2014-07-16 2017-03-0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Input method edit methods and device
CN108885502A (en) * 2016-03-07 2018-11-23 禹舜朝 Utilize the characters input method comprising target character and the expanded keypad of successive character and the computer installation for executing it
CN106896938A (en) * 2017-03-09 2017-06-27 北京新美互通科技有限公司 Dard input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CN108803889A (en) * 2017-04-26 2018-11-13 北京新美互通科技有限公司 Tamil input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365A (en) * 2002-08-16 2004-02-21 강윤기 character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KR20050025267A (en) * 2003-09-05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50073910A (en) * 2004-01-12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WO2007070223A1 (en) 2005-12-15 2007-06-21 Microsoft Corporation Smart soft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608A (en) * 1998-12-17 2000-06-30 Sharp Corp Virtual input device
JP2002108543A (en) * 2000-09-21 2002-04-12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inputting kana character
KR20030008873A (en) * 2001-07-20 2003-01-29 (주)네이스텍 Word inpu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WO2004017216A1 (en) * 2002-08-16 2004-02-26 Yun-Kee Kang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software keyboard
JP3995093B2 (en) * 2002-09-20 2007-10-24 富士通株式会社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Hangul character input device, Hangul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593993B1 (en) * 2003-10-22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JP2005182487A (en) 2003-12-19 2005-07-07 Nec Software Chubu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365A (en) * 2002-08-16 2004-02-21 강윤기 character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KR20050025267A (en) * 2003-09-05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50073910A (en) * 2004-01-12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WO2007070223A1 (en) 2005-12-15 2007-06-21 Microsoft Corporation Smart soft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883B1 (en) 2011-01-19
KR20080071523A (en) 2008-08-04
KR101331697B1 (en) 2013-11-20
KR20080071522A (en) 2008-08-04
JP2010198646A (en) 2010-09-09
KR101060222B1 (en) 2011-08-29
KR101085662B1 (en) 2011-11-22
KR20100028076A (en) 2010-03-11
JP5701522B2 (en) 2015-04-15
KR20100086451A (en) 2010-07-30
KR101085655B1 (en) 2011-11-22
KR101350088B1 (en) 2014-01-08
CN101840304A (en) 2010-09-22
KR101227300B1 (en) 2013-01-29
KR20100089807A (en) 2010-08-12
CN104007931A (en) 2014-08-27
JP2010198645A (en) 2010-09-09
KR20100133928A (en) 2010-12-22
KR20100086450A (en) 2010-07-30
KR20100020018A (en) 2010-02-19
JP5823100B2 (en)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7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US93897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KR1011673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11027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CN1012905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20140073245A (en) Method for inputting back surfa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347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11291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KR101399150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JP201319659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20090046390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