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390A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390A
KR20090046390A KR1020070112501A KR20070112501A KR20090046390A KR 20090046390 A KR20090046390 A KR 20090046390A KR 1020070112501 A KR1020070112501 A KR 1020070112501A KR 20070112501 A KR20070112501 A KR 20070112501A KR 20090046390 A KR20090046390 A KR 20090046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touch screen
touch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5699B1 (en
Inventor
이철환
김성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699B1/en
Publication of KR2009004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3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6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 신호를 감지할 경우,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열로 배치된 입력 문자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 변경을 위한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터치 이동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입력 문자군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문자군의 위치 변경을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한정된 크기의 터치스크린에 문자입력에 사용되는 자판의 화면을 축소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확대된 메인 화면에 작성하는 문자의 내용을 사용자가 보다 많이 확인하면서 입력할 수 있다. In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when detecting a touch signal for text input, displaying a group of input characters including one or more characters and arranged in at least one column and the touch for changing the characters When detecting a movemen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character group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movement; and changing the character to be inpu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character group. By us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in the terminal, the use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characters written on the relatively enlarged main screen by reducing the screen of the keyboard used for character input on the limited size touch screen. can do.

터치스크린, 휴대용 단말기, 영문 입력, 스크롤링, 패닝 Touch Screen, Handheld Terminal, English Input, Scrolling, Panning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개인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ouch screen, and typically include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일반적으로, 상기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운영체제(OS : Operation System), 운용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며, 정보수집, 저장, 작성, 검색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근래에는 휴대폰 모듈을 탑재하여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복합기로서 발전하고 있다.In general, the PDA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software and peripherals based 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emory, operating system (OS), operating system that is the basis of the computer, information collection, storage, creation, retrieval function As a device capable of carrying out, a mobile phone module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s a multifunction device capable of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상기 PDA는 다양한 용어들로 불린다. 예를 들어, 팜 컴퓨터(Palm Computing)사의 팝(Palm)을 비롯해 여타 비슷한 형태의 개인 휴대용 디지털 장치가 PDA로 불 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상의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제품 중에 키보드 없이 펜을 사용하는 기기는 PPC(Palm - Size PC), 같은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지만 키보드를 사용하는 제품은 HPC(Handheld PC)라고 불린다. 현재는 이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PDA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추세이다.The PDA is called in various terms. For example, Palm Computing's Palm and other similar types of personal digital devices are called PDAs, and any device using a Windows CE operating system from Microsoft that uses a pen without a keyboard is available. Products that use the same Windows CE operating system as Palm-Size PC (PPC), but use a keyboard are called HPC (Handheld PC). Currently, the trend is to use the term PDA as an all-inclusive concept.

일반적으로, PDA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시창(LCD)과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판넬(touch pannel)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가지고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을 터치하여 문자 등을 입력한다.In general, a PDA has a touch screen, and is composed of a display window (LCD) of the touch screen and a touch panel installed thereon. Accordingly, the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by touching an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ith a finger or a stylus pen, or inputs a character by touching a keyboard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특히,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가 없고 터치스크린만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영문입력 방법은 쿼티(QWERTY) 자판을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the English inpu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without a keypad and only a touch screen uses a method in which a user selects and inputs a corresponding character by displaying a QWERTY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have.

PDA와 같은 소형기기는, 문자 입력시 화면 크기의 제한으로 인하여 터치스크린에 일반적인 쿼티(QWERTY) 자판을 띄워 손가락으로 터치할 경우 여러 키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불편함이 있다. 즉, 화면 크기의 제한으로 인한 터치 오류가 발생하여 입력 문자를 수정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잦은 수정에 따른 불편함과 불필요한 시간의 소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Small devices such as PDAs are inconvenient by pressing a number of keys simultaneously when a finger is touched by placing a common QWERTY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creen size when inputting characters. That is, a touch error occur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creen size, so that input characters are often modified, causing inconvenience and unnecessary time due to frequent modifications.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할 경우, 여러 키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입력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put a character in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 character input device that can reduce the error of input caused by pressing several keys at the same time and In providing a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문이나 특수문자의 입력이 편리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venient input of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in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 신호를 감지할 경우,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열로 배치된 입력 문자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 변경을 위한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터치 이동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입력 문자군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문자군의 위치 변경을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in the case of detecting a touch signal for character input, including one or more characters but arranged in at least one column Displaying a character group and detecting a touch movement for changing the characte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character group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movement,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character group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us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changing a charact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쿼티(QWRTY) 자판의 터치스크린에서 손가락으로 선택시 발생하는 다중 선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the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multi-selection that occurs when selecting with the finger on the touch screen of a typical QWRTY keyboard.

또한, 한정된 크기의 터치스크린에 문자입력에 사용되는 자판의 화면을 축소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확대된 메인 화면에 작성하는 문자의 내용을 사용자가 보다 많이 확인하면서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reducing the screen of the keyboard used for text input on the limited size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the contents of the text written on the relatively enlarged main screen while the user checks more.

더욱이, 영문 문자를 입력할 경우, 상기 자판을 통상적인 사용자가 쉽게 익숙한 알파벳 나열 순으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입력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the keyboard can be input more conveniently by arranging the keyboard in alphabetical order that is familiar to ordinary us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 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및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터치스크린(102)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자판을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자판을 스크롤링(scrolling) 또는 패닝(panning)할 수 있는 신호를 후술할 터치 신호 수신부(105)에서 수신받아 상기 스크롤링 또는 패닝 신호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자판을 스크롤링 또는 패닝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롤링 또는 패닝된 자판에서 터치 이동으로 선택된 문자를 확대 디스플레이하여 확인한 후, 터치가 종료되면 상기 확인된 문자를 메인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performing a control for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and input characters by touching th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2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usual functions, scrolling the keyboard (scrolling) Alternatively, a signal capable of panning may be received by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0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display the keyboard by scrolling or panning the keyboar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crolling or panning signal. In addition, the enlarged display of the selected character by the touch movement in the scrolled or panned keyboard is confirmed, and when the touch is terminated, the confirmed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of the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ventional control unit 100 is omitted.

메모리(10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단축 다이얼 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 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mory 101 includes a program memory, a data memory, a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The program memory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rogram memory may use a flash memory.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ata memory may use random access memory (RAM). The nonvolatile memory stores telephone numbers and system parameters registered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speed dialing. The nonvolatile memory may use EEPROM.

상기 터치스크린(102)는 액정 표시창(LCD : Liquid Crystal Display)(103)과 상기 액정 표시창 위에 설치되는 터치판넬(touch pannel)(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02)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다양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 접촉에 따른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신호 수신부(105)로 출력한다.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105)는 상기 터치스크린(102)으로부터의 상기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고, 접촉 화면 위치에 따른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The touch screen 102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103 and a touch panel 104 install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 touch screen 102 displays stat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various moving images, still images, and the like, and outputs an electrical analog signal according to a screen contact to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05. The touch signal receiver 105 analyzes the electrical analog signal from the touch screen 102 and outputs position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to the controller 100.

버튼 입력부(106)는 다수의 기능 버튼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The button input unit 106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nd outputs button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button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00.

무선통신모듈(107)은 미리 정해진 통신규격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RF(Radio Frequency)모듈, BBA(BaseBand Analog)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7 is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standard. As is well know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7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module, a baseband analog (BBA),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re-Decoder)(108)과, 상기 코덱(108)에 접속된 스피커(110) 및 마이크(109)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08)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0)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09)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A codec (Codre-Decoder) 108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and a speaker 110 and a microphone 109 connected to the codec 108 are voice input / output blocks used for phone calls and voice recording. . The codec 108 converts the PCM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00 into an analog voice signal, transmits the same through the speaker 110,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09 into PCM data. Provided to the controller 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자판을 스크롤링(scrolling) 또는 패닝(panning)한 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FIG. 3 illustrates a procedure for inputting a character after scrolling or panning a keyboard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모드로 진입시,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301 단계에서 자판(또는 키보드)을 화면의 소정 영역(예 : 하단부)에 디스플레이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entering a text input mode, the controller 100 first displays a keyboard (or a keyboard) in a predetermined region (eg, a lower portion) of the screen in step 301.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자판이라 함은 후술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링 또는 패닝이 가능한 입력 문자군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문자군에는 영문 소문자군(예 : a, b, c 등), 영문 대문자군(예 : A, B, C 등), 특수 문자군(예 : *, / 등) 및 숫자군(예 : 1, 2, 3 등)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영문 소문자군, 영문 대문자군 및 숫자군의 각 문자를 통상적인 사용자가 익숙한 순서(예 : "A", "B", "C", "D" ,"E" , "F" ...)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may be referred to as an input character group capable of scrolling or panning by a user, as shown in FIG. 4 to be described later. The input character group may include an English lowercase group (eg, a, b, c)), an uppercase English letter (e.g., A, B, C, etc.), a group of special characters (e.g., *, /, etc.), and a number group (e.g., 1, 2, 3, etc.). In particular, the characters of the lowercase letter group, uppercase letter group, and numeric group are familiar to the user in the order (eg, "A", "B", "C", "D", "E", "F").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access.

상기 자판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302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신호 수신부(105)로부터 자판 터치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자판 터치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제어부(100)는 303 단계에서 상기 수신되는 자판 터치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문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304 단계에서 상기 인식된 문자를 화면의 특정 영역에 확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keyboard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02 and checks whether a keyboard tou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ouch signal receiver 105. When the keyboard touch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00 analyzes the received keyboard touch signal in step 303 to recognize a character touched by a user. In operation 304, the controller 100 may enlarge and display the recognized text i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상기 터치된 문자를 확대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어부(100)는 305 단계에서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105)로부터 수신되는 자판 터치신호를 검사하여 자판 터 치가 종료되는지 검사한다.After the enlarged display of the touched character, the controller 100 checks the keyboard touch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ignal receiver 105 in step 305 to check whether the keyboard touch is terminated.

만일, 터치 종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06 단계에서 상기 30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자판을 특정 방향(예 : 오른쪽, 왼쪽, 위쪽, 아래쪽)으로 스크롤링 또는 패닝하는 신호를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105)로부터 입력받는지 검사한다.If the touch termination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100 receives a signal for scrolling or panning the keyboard displayed in step 301 in a specific direction (eg, right, left, up, down) in step 306. Check if it is received from 105.

상기 스크롤링 또는 패닝 신호가 감지된면, 상기 제어부(100)는 307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1 단계에서 출력된 자판을 상기 스크롤링 또는 패닝 신호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스크롤링 또는 패닝한다. 이후, 상기 303 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만약, 상기 스클롤링 또는 패닝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303 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If the scrolling or panning signal is detected,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07 to scroll or pan the keyboard output in step 301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crolling or panning signal. Thereaft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03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If the scrolling or panning signal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100 returns to step 303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즉,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105)로부터의 터치신호를 다시 분석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문자를 인식한고, 상기 인식된 문자를 상기 화면의 특정 영역에 확대 디스플레이한다.That is, the touch signal from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05 is analyzed again to recognize a character touched by the user, and the recognized character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만일, 상기 터치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09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화면의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문자를 메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자판 터치신호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302 단계로 되돌아 간다. 즉, 터치스크린의 소정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문자를 상기 메인 화면의 커서가 위치한 자리에 입력한다.If the end of the touch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09 to display a character displayed o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n the main screen, and returns to step 302 to check the keyboard touch signal again. Goes. That is,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touch screen is input at the position where the cursor of the main screen is loc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입력 문자군의 자판을 스크롤링 또는 패닝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board of a specific input character group can be scrolled or panned.

또한, 상기 스크롤링 또는 패닝된 자판에서, 터치된 문자를 미리 화면의 특정 영역에 확대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터치 종료가 감지될 경우 문자를 메인 화면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터치 종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터치된 문자는 메인화면에 입력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적용 예를 첨부된 도 4 내지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e scrolled or panned keyboard, the touched character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in advance, and when the touch end is detected, the character is input to the main screen. That is, if the touch end is not detected, the touched text is not input to the main screen. Hereinafter,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 practical application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B.

상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보여준다.4 illustrates screens displayed when a character is input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단부에 입력되는 문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화면(401)과 하단부에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403) 및 상기 자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402)을 보여준다.Referring to FIG. 4, the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creen 401 on which a character input at an upper portion is displayed, a screen 403 on which a keyboard is displayed at a lower portion, and a screen 402 for selecting a type of the keyboard. ).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자판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링 또는 패닝이 가능한 입력 문자군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문자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 소문자군(예 : a, b, c 등), 영문 대문자군(예 : A, B, C 등), 특수 문자군(예 : *, / 등) 및 숫자군(예 : 1, 2, 3 등)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may be referred to as a group of input characters that can be scrolled or panned by a user, and the input character group may include an English lowercase group (eg, a, b, c, etc.), English Can be one of uppercase letters (eg, A, B, C, etc.), special character sets (eg, *, /, etc.), or numbers (eg, 1, 2, 3, etc.).

특히, 상기 영문 소문자군, 영문 대문자군 및 숫자군의 각 문자를 통상적인 사용자에게 익숙한 순서(예 : "A", "B", "C", "D" ,"E" , "F" ...)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haracters of the lowercase letters alphabet, uppercase letters alphabet, and numbers groups are familiar to the user in general (eg, "A", "B", "C", "D", "E", "F").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access.

사용자가 화면 402의 터치 영역에서 자판의 종류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영문 소문자군을 선택하였다. 상기 선택이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403의 터치 영 역에 영문 소문자군중 일부 소문자열(j, k, l, m, n, o, p)이 디스플레이된다.The user selects a type of keyboard from the touch area of the screen 402. In this case, the lowercase letters are selected. When the selection is made, some lowercase letters (j, k, l, m, n, o, p) of the English lowercase letters are displayed in the touch area of the screen 403 as shown.

후술하겠지만, 사용자는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스크롤링 또는 패닝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링 또는 패닝에 의해 입력하기를 원하는 문자를 화면 40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ser can scroll or pa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Characters desired to be input by the scrolling or panning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403.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 "m"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하면 터치한 영역에 상기 문자 "m"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는 사용자가 입력될 문자를 가독성있게 확인할 수 있어 문자 입력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확대된 문자 "m"을 상기 메인 화면(401)의 문자가 입력될 커서(

Figure 112007079529902-PAT00001
) 또는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여도 무방하겠다.In addition, as shown, when the user touches to input the letter "m", the letter "m"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touched area. This will help the user to read the text to be read easily, thereby reducing the error that occurs when entering the text. Herein, the enlarged letter "m" is used to input the letter of the main screen 401 (
Figure 112007079529902-PAT00001
) Or in a specific area.

도 5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서 자판이 스크롤 또는 패닝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keyboard is scrolled or panned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전술한 특정 자판(여기서는, 영문 대문자군)에서, 사용자는 문자 "O"를 누른 상태(터치 미종료 상태)에서 입력하기를 원하는 문자가 속한 방향(여기서는 우측)으로 스크롤링 또는 패닝한다. 그러면, 자판 터치 영역인 403 화면에 오른쪽으로 스크롤링 또는 패닝된 자판이 디스플레이된다.In the specific keyboard described above in FIG. 4 (in this case, the English capital letter group), the user scrolls or pans in the direction (here, right) to which the character desired to be input belongs while pressing the letter "O" (non-touch state). Then, the keyboard scrolled or panned to the right is displayed on the screen 403 which is the keyboard touch area.

여기서는, 가로 방향의 좌우측으로 상기 자판이 스크롤링 또는 패닝됨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자판 터치 영역을 세로 방향으로 형성하여 위아래로 스크롤링 또는 패닝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Herein, although the keyboard is scrolled or pann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keyboard touch area may be vertically formed to scroll or pan up and down.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에 별도의 스크롤링 또는 패닝을 위한 버튼이 디스플 레이 되는 특정 터치 영역을 형성하여도 무관하다. In addition, a specific touch area in which a button for scrolling or panning is displayed may be formed on the touch screen.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을 이용한 문자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input of characters using a keyboard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현재 "ABCD"라는 문자열이 입력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자판의 문자를 터치한다면, (a)와 같이 화면의 특정 영역(여기서는, 터치한 위치 영역)에 상기 터치한 문자 "G"가 확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를 종료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터치된 문자는 메인 화면에 입력되지 않는다.The string "ABCD" is currently entered. In this state, if the user touches the letter of the keyboard, the touched letter "G"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a specific area (here, the touched location area) of the screen as shown in (a). At this time, since the user has not finished the touch, the touched text is not input to the main screen.

만약, 사용자가 문자 "G"가 아닌 문자 "K'를 입력하고자 했을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수단으로 자판을 누른 상태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K"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K"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문자 "K"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판 터치를 종료하면, (b)와 같이 확대 디스플레이된 문자 "K"가 메인 화면(401)에 입력된다.If the user wants to input the letter "K" rather than the letter "G", the user moves the keyboard to the position of the letter "K" while pressing the keyboard with an input means such as a finger or a stylus pen. When the user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letter "K" to be input, the letter "K"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when the user finishes touching the keyboard, the enlarged displayed letter "K"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401 as shown in (b). Is enter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터치된 문자를 바로 상기 메인 화면(401)의 커서 자리에 확대 또는 원래 크기로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종료가 감지될 경우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가 종료되지 않고 다른 문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다른 문자를 상기 커서 자리에 확대 또는 원래 크기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ouched character may be displayed at the cursor position of the main screen 401 in an enlarged or original size, and may be input when a touch end is detected. In this case, when the touch is not terminated and a touch of another character is detected, the other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enlarged or original size in place of the cursor.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자판을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displaying a keyboar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a touch screen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자판을 스크롤링(scrolling) 또는 패닝한 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inputting a character after scrolling or panning a keyboard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4 is a screen displayed when entering a character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서 자판이 스크롤 또는 패닝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5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keyboard is scrolled or panned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을 이용한 문자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5B is a view for explaining input of characters using a keyboard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 신호를 감지할 경우,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열로 배치된 입력 문자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When detecting a touch signal for character input,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group including one or more characters and arranged in at least one column; 상기 문자 변경을 위한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터치 이동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입력 문자군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Changing a position of the input character group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movement when detecting a touch movement for changing the character; And 상기 입력 문자군의 위치 변경을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changing the character to be inpu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character group.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문자 변경 후, 상기 변경한 문자를 메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And after the character change, displaying the changed character on a main scree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 문자군의 위치 변경을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변경하는 단계는,Changing the character to be inpu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character group, 상기 문자군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되는 문자를 특정 영역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izing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character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change of the character group in a specific are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 문자군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The input character group is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lowercase letters, upp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및 숫자의 입력 문자군은 순차적인 문자 데이터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character group of the lowercase letters, uppercase letters and numbers of English letters are arranged in sequential character data.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 신호를 감지할 경우,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열로 배치된 입력 문자군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문자의 변경을 위한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터치 이동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입력 문자군의 위치 변경을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When detecting a touch signal for text input, displays a group of input characters including one or more characters and arranged in at least one column, and when detecting a touch movement for changing the character,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movem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change a character to be inpu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character group.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문자 변경 후, 상기 변경한 문자를 메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n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character, to display the changed character on the main scree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문자군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되는 문자를 특정 영역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character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change of the character group is enlarged in a specific area.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입력 문자군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The input character group is a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lowercase letters, upp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및 숫자의 입력 문자군은 순차적인 문자 데이터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letter group of the lowercase letters, uppercase letters and numbers of English letters are arranged in sequential character data.
KR1020070112501A 2007-11-06 2007-11-06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KR1014656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501A KR101465699B1 (en) 2007-11-06 2007-11-06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501A KR101465699B1 (en) 2007-11-06 2007-11-06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390A true KR20090046390A (en) 2009-05-11
KR101465699B1 KR101465699B1 (en) 2014-11-27

Family

ID=4085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501A KR101465699B1 (en) 2007-11-06 2007-11-06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699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280B1 (en) 2003-10-29 200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KR20050052017A (en) * 2003-11-28 2005-06-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touch-screen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20060044219A (en)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699B1 (en)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2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KR1013316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US992797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imilar operations for different gestures
KR100770936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JP5755219B2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panel function and input method thereof
CN10812145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JP2000278391A (en)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back handwriting input function
US20180032831A1 (en) Character recognition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US20090249203A1 (en) User interface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ts recording medium
US20080168401A1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US200801804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EP198095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US20110037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using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WO20100899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US20070040812A1 (en) Internet phone integrated with touchpad functions
KR20100024563A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1465699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JP4697816B2 (en) Input control device
JP2014089503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1291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KR1008614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ol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99150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JP2010020667A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using touch sensitive po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