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473A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473A
KR20080071473A KR1020070079243A KR20070079243A KR20080071473A KR 20080071473 A KR20080071473 A KR 20080071473A KR 1020070079243 A KR1020070079243 A KR 1020070079243A KR 20070079243 A KR20070079243 A KR 20070079243A KR 20080071473 A KR20080071473 A KR 20080071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character
keys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환
최우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10267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007931A/en
Priority to CN201010163979A priority patent/CN101840304A/en
Priority to EP08001717.1A priority patent/EP1953623B1/en
Priority to JP2008019464A priority patent/JP4981701B2/en
Priority to KR1020080009737A priority patent/KR101060222B1/en
Priority to US12/022,692 priority patent/US9141283B2/en
Priority to KR1020080009735A priority patent/KR101009883B1/en
Publication of KR2008007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473A/en
Priority to KR1020100008788A priority patent/KR101449781B1/en
Priority to KR1020100008789A priority patent/KR101350088B1/en
Priority to JP2010137417A priority patent/JP5823100B2/en
Priority to JP2010137416A priority patent/JP5701522B2/en
Priority to KR1020100063193A priority patent/KR101085662B1/en
Priority to KR1020100063189A priority patent/KR101085655B1/en
Priority to KR1020100063347A priority patent/KR101227300B1/en
Priority to KR1020100108759A priority patent/KR101331697B1/en
Priority to US14/859,762 priority patent/US938970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device and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touch keyboard of a terminal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input the characters easily by magnifying and displaying an inputted key among keys included in the touch keyboard. A touch screen(1110) displays a touch keyboard including consonant keys and displays the consonants inputted through the touch keyboard. A controller(1150) enables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popup window including the consonant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consonant and vowels keys combinable with the inputted consonant on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consonant when one consonant key is inputted through the touch keyboard. The controller enables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combined character by combining the inputted consonant and vowel when the consonant is inputted among the displayed vowel keys. An input detector(1130) informs the controller of key input by detecting a touch in the touch keyboard. The controller enables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Hangul input region including all Hangul consonant keys, and a function input region comprising special characters and symbols.

Description

단말기의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rough touch keyboard of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of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a touch keyboard of a terminal.

개인용 단말기의 대표적인 예로 개인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있다.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personal terminal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일반적으로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운용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며, 정보수집, 저장, 작성, 검색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근래에는 휴대폰 모듈을 탑재하여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복합기로서 발전하고 있다. Generally, PDA is equipped with various software and peripherals based 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emory, operating system (OS), and operating system that are the basis of the computer, and performs information collection, storage, creation, and retrieval functions. In recent years, the mobile phone module has been developed to enable a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통상 PDA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게 되는데, 터치스크린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와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판넬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포인터를 가지고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터치스크린상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 는 터치키보드를 터치하여 문자 등을 입력한다. In general, a PDA includes a touch screen, which is composed of a display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touch panel installed thereon. A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by touching an ico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with a finger or a pointer, or touches a touch keyboard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on a touch screen to input characters.

도 1은 종래 단말기의 터치키보드 배열방식 중 일반 키보드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keyboard arrangement of the touch keyboard arrangement method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은 입력받은 문자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문자를 입력 받는 터치키보드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키보드에는 일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한다.)의 키보드 배열방식이 적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touch screen of a terminal includes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input characters on a screen, and a touch keyboard that receives characters. The touch keyboard may be referred to as a personal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C). Keyboard layout is applied.

도 2는 종래 단말기의 터치키보드 배열방식 중 한글 입력을 위한 다른 키보드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알려진 나랏글TM 배열방식을 도시하였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keyboard arrangement for inputting Hangul among touch keyboard arrangement schemes of a conventional terminal. Here, the known Naragle TM array is shown.

도 2를 참조하면, 터치키보드에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특수키들을 제외한 5*3 배열방식 또는 3*4 배열방식을 적용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a 5 * 3 array method or a 3 * 4 array method except for special keys is applied to a touch keyboard to input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상기와 같이 상기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PC의 키보드 배열방식 및 나랏글 배열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한된 터치스크린의 크기로 인해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터치키보드의 크기는 작아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방식의 경우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터치키보드의 키 하나하나의 크기가 작아져, 보기에도 불편하고 터치하기에도 불편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어려우며 문자 입력에 따른 속도가 저하된다. 특히 한글 입력의 경우, 원하는 문자를 완성하기 위해서 손가락 혹은 포인터를 좌우로 움직이는 포인팅 조작에 어려움이 발생하며, 포인팅 조작을 위한 이동에 따라 문자 입력에 따른 속도가 저하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keyboard arrangement method and the naragle arrangement method of the PC are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the size of the touch keyboard implemented in the touch screen is inevitably reduced due to the limited size of the touch screen.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input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touch screen, the size of each key of the touch keyboard implemented in the touch screen is reduc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e the characters and is inconvenient to touch. Degrad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angul input, a difficulty occurs in a pointing operation of moving a finger or a pointer from side to side to complete a desired character, and the speed due to the character input decreases as the movement for the pointing operation occurs.

도 3은 종래 단말기의 터치키보드 배열방식 중 한글 입력을 위한 또 다른 키보드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알려진 사상한글TM 배열방식을 도시하였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keyboard arrangement for inputting Hangul among touch keyboard arrangement schemes of a conventional terminal. Here, known Sasang Hangul TM arrangement is shown.

도 3을 참조하면, 터치키보드에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특수키들을 제외한 3*4 배열방식을 적용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touch keyboard employs a 3 * 4 arrangement except for special keys to input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상기와 같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사상한글 배열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보다 적은 수의 키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에러를 최소화하면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지만, 자음의 경우 하나의 키에 2개 문자가 매칭되어 있음으로써 하나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한 키를 최대 2번씩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자음들을 모두 키당 하나씩 매칭시킨다면, 필요한 키 수가 12개에서 19개로 늘어남으로서 각 키의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사상한글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전형적인 배열방식의 경우 문자입력의 속도가 저하되며, 이를 변형하여 자음을 풀어놓았을 경우 키 개수의 증가로 인하여 키 검색 및 포인팅에 따라 문자 입력 속도가 저하된다.When applying the Hangul Hangul arrangement method to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input a character with a minimum number of keys while minimizing an error, but in the case of consonants, two characters match one key It is inconvenient to press one key up to two times to input one consonant. To improve this, if we match all the consonants, one per key, the size of each key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keys needed from 12 to 19. Therefore, in the case of a typical arrangement using a touch screen of Sasang Hangul, the speed of character input is reduced. If the consonants are deformed and the consonants are released, the speed of character input de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keys.

이에 따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문자입력이 용이하도록 하는 터치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touch keyboard to facilitate character input on a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문자입력이 용이하도록 하는 터치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touch keyboard to facilitate character input on a touch screen of a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터치키보드의 키들 중 입력된 하나의 키를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easily inputting a character by enlarging and displaying one of the keys of the touch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는,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자음들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키보드의 상기 자음키들 중 하나를 통해 자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자음키와 상기 입력된 자음과 조합 가능한 모음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고, 상기 모음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모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입력된 자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터치키보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여 해당 키가 입력됐음을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입력 감지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touch keyboard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that displays a touch keyboard including consonant keys, displays consonants input through the touch keyboard, and the consonant keys of the touch keyboard. When a consonant is input through one of the consonants, a popup window including a consonant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and a vowel key combinable with the input consonant is displayed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and at least one of the vowel key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combined letters by combining the input consonants and the input vowels when the vowel is input through one, and detecting a touch on the touch keyboard to input a corresponding key; It includes an input detecting unit for notifying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통해 하나의 자음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자음키와, 상기 입력된 자음과 조합 가능한 모음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모음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모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입력된 자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the touch keyboar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receiving one consonant through a touch keyboard including consonant keys, and the input consonant to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Displaying a pop-up window includ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consonant; and when the vowel is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owel keys, combining the input consonant and the input vowel. Displaying the combined charact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는,미리 정해지는 자음들 및 모음들의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키보드의 상기 문자키들 중 하나를 통해 문자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키 및 상기 입력된 문자와 조합 가능한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고,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와 상기 입력된 기능키를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터치키보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여 해당 키가 입력됐음을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입력 감지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evice for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the touch keyboar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creen including the predetermined consonants and the character keys of the vowels, and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the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touch keyboard And a pop-up window including a text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and a function key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text when a text is input through one of the text keys of the touch keyboar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combined character by combining the input character and the input function key when one of the function keys is input, and detecting a touch on the touch keyboard And an input detector for notifying the controller that the corresponding key has been inpu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미리 정해지는 자음들 및 모음들의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통해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키 및 상기 입력된 문자와 조합 가능한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와 상기 입력된 기능키를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the touch keyboar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receiving a single character through the touch keyboard including the predetermined consonants and character keys of the vowels, and corresponds to the input character Displaying a pop-up window including a text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and function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text on a key; and when one of the function keys is input, the input text and the input function Combining the keys to display the combined characters.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구비되는 터치키보드에서 입력된 키에 대해 다음 입 력될 문자 및 기능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여 문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input of a character by displaying a pop-up window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to be input next and a function key for a key input from a touch keyboard provided in the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은 작은 스크린의 단말기에서 글을 입력하고자 할 때, 문자 입력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를 입력하기 편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xt is to be input in a small screen terminal, the text input area is enlarged and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texts quickly and easi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터치키보드의 문자 입력 영역을 확대한 후, 확대된 문자 입력 영역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main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large the character input area of the touch keyboard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to facilitate input of characters in the enlarged character input area.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상에 구현되어 있는 터치키보드의 키 배열은 제조사나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달리 배치되어 있기도 하나 컴퓨터자판과 흡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키보드상에 자음이나 모음의 키들이 포함된 문자 입력 영역의 구체적인 예를 언급할 것이나, 각 키의 사용빈도나 목적에 따라 터치키보드 상에 배열되는 키들의 개수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다른 키 배열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key arrangement of the touch keyboard implement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may be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or developer, but may be arranged similarly to a computer keyboar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pecific example of a text input area including consonant or vowel keys on the touch keyboard will be mentioned, but the number of keys arranged on the touch keyboard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r purpose of each key. Other key arrangements may be us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모든 자음이 포함된 터치키보드를 표시하고, 상기 모든 자음이 포함된 터치키보드에서 하나의 자음키가 터치 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키 및 상기 입력된 자음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천지인의 모음)이 포함된 팝업창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팝업창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음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자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이 조합되어 하나의 문자를 구성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touch keyboard including all consonants for inputting Hangul, and when one consonant key is touched on the touch keyboard including all consonants, the input consonant key and the input Displays a pop-up window containing vowel keys (heaven's vowel) that can be combined with consonant keys. When a user inputs a desired vowel using the pop-up window, the input consonant and the input vowel are combined to form one character.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through a touch keyboard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는 PC의 키보드 배열방식으로 배열된 터치키보드가 구성되어 있으며, 한글을 입력하고자 사용자가 터치키보드상의 특정키(혹은 임의의 지점)를 터치하면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한글의 모든 자음들이 모아진 문자 입력 영역(400)과 한글 이외의 키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 입력 영역(410)이 상기 터치키보드 상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예를들어, 한글을 입력하고 싶다면 터치키보드 상의 특정키를 누르거나 터치키보드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고 싶은 문자를 하나라도 누르면, 한글의 모든 자음들을 가지는 문자 입력 영역(400)과 한글이외의 문자 혹은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 입력 영역(410)이 터치스크린 상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문자 입력 영역 및 기능 입력 영역(400, 410)의 위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붙어 있을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is configured with a touch keyboard arranged in a PC keyboard arrangement.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key (or an arbitrary point) on the touch keyboard to input Korean, the user inputs Korean. In order to display all the consonants of Hangul, the character input area 400 and a function input area 410 for inputting a key other than Hangul ar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For example, if you want to input Hangul, press a specific key on the touch keyboard or press any character you want to input on the touch keyboard, the character input area 400 having all the consonants of Hangul and non-Hangul characters or A function input area 410 for inputting a symbol or a func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Positions of the text input area and the function input area 400 and 410 on the touch scree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and may be attached or separated.

상기 문자 입력 영역(400)에는 스페이스 바 역할을 하는 키인 ''이 한글의 자음들과 함께 삽입되어 있어, 사용자가 문자 입력 영역(400)을 터치하여 원하는 글자를 입력하거나 띄어쓰기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키보드는 상기 문자 입력 영역(400)만으로 구성되어질 수도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기능 입력 영역(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입력 영역(410)은 한글 이외의 특수문자들('.', ',', '?', '!' 등)이나 기능키들(숫자키, 특수키, 엔터키, 문자 변환키 등)이 구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한글과 같이 상기 특수문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PC의 키보드 배열방식으로 배열된 터치키보드 대신에 상기 문자 입력 영역(400)과 상기 기능 입력 영역(410)가 상기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바로 표시되어 한글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In the character input area 400, a key '' serving as a space bar is inserted together with Korean consonants, so that a user can input a desired letter or a space by touching the text input area 400. . The touch keyboard may be composed of only the text input area 400, and may further include the function input area 410. The function input area 410 may include special characters other than Korean ('.', ',', '?', '!', Etc.) or function keys (numeric keys, special keys, enter keys, character conversion keys, etc.).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special characters, symbols or functions, such as Hangul. As anothe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area 400 and the function input area 410 may be direc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to receive Korean characters instead of the touch keyboard arranged in the keyboard arrangement method of the PC.

도 5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 영역(500)은 한글의 모든 자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문자 입력 영역(500)상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상에 상기 입력된 자음에 대한 팝업창(510)이 표시된다. 상기 팝업창(510)은 4등분 되어 각 영역에 상기 입력된 자음 및 상기 입력된 자음과 조합 가능한 모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음 'ㅁ'을 터치하면, 터치한 자음 'ㅁ'대한 팝업창(510)은 4등분되며, 분할된 각 영역에는 상기 자음 'ㅁ' 및 상기 자음 'ㅁ'과 조합 가능한 모음 구성요소들의 키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천지인 한글입력 방식을 이용하는 문자 입력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팝업창(5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음과 조합 가능한 모음 구성요소들로 'l', 'ㅡ', ' ㆍ'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모음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ext input area 500 includes all the consonants of Korean characters, and when a user inputs a consonant to be input on the text input area 500, the text input area 500 corresponds to the input consonant on the display. Pop-up window 510 is displayed. The pop-up window 510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and includes the input consonants and vowel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consonants in each area.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consonant 'ㅁ', the popup window 510 for the touched consonant 'ㅁ' is divided into four parts, and each divided region has a collection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nsonant 'ㅁ' and the consonant 'ㅁ'. The keys of the components are displayed. Herein, when the terminal applies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Korean input method, which is natur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op-up window 510, the vowel elements that can be combined with consonants are 'l' and 'ㅡ'. , 'ㆍ' is displayed. The user can enter all the vowels using the vowel elements.

즉, 터치키보드상의 상기 문자 입력 영역(500)에서 사용자가 포인터로 자음의 키를 터치하고 소정 시간 동안 포인터를 상기 키에서 움직이지 않으면, 도 5의 예시처럼 해당 자음의 키에 팝업창(510)이 표시된다. 그렇지 않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포인터가 상기 키로부터 이탈되면, 팝업창(510)은 표시되지 않고 해당 자음만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포인터로 자음의 키를 터치하고 포인터를 떼면, 도5의 예시처럼 해당 자음의 키에 팝업창(510)이 표시되고 동시에 해당 자음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팝업창(510)에 포함된 모음 구성요소들 중 하나라도 입력받으면, 해당 입력된 모음 구성요소가 상기 입력된 자음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여기서 팝업창(510)의 각 키는, 상기 영역이 포인팅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key of the consonant with the pointer in the text input area 500 on the touch keyboard and does not move the pointer from the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pup window 510 is displayed on the key of the consonant as shown in FIG. 5. Is displayed. Otherwise, if the pointer is removed from the key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popup window 510 may not be displayed and only the consona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lternatively, when the user touches the key of the consonant with the pointer and releases the pointer, the popup window 510 may be displayed on the key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the corresponding consona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5. When one of the vowel elements included in the pop-up window 510 is input, the corresponding vowel element is combined with the input consonan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each key of the pop-up window 510 is preferably sized such that the area is not inconvenienced to point.

사용자가 '대한민국'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대한민국'의 첫글자 '대'의 초성인 자음 'ㄷ'을 터치키보드상에 표시된 문자 입력 영역(500)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으면, 상기 자음 'ㄷ'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터치키보드에는 자음 'ㄷ'의 키에 대하여 상기 도 5의 예와 같은 팝업창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팝업창은 상기 사용자의 다음 입력을 기다리게 되며, 사용자가 모음 'ㅐ'를 입력하기 위해 팝업창의 4등분된 영역들 중 'l'->'ㆍ'->'l'을 순서대로 터치하면, '대'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완성된다. If the user wants to input 'Korea', the consonant consonant 'ㄷ' of the first letter 'Dae' of the 'Korea' is found in the text input area 500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or touched with a pointer. If the pointer is not relea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sonant 'c'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pop-up window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5 is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The pop-up window waits for the next input of the user, and when the user touches 'l'-> '-'-' 'l' in order to enter the collection 'ㅐ', The character 'large' is completed on the display.

사용자가 다음 글자인 '한'을 입력고자 하여 상기 문자 입력 영역(500)에서 자음 'ㅎ'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으면, 터치키보드에서 'ㄷ'의 키에 대한 팝업창은 제거되고, 상기 'ㅎ'의 키에 대한 팝업 창이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ㄷ'의 키에 대한 팝업창은 '대'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완성될 때 제거될 수 있다. 초성인 자음 'ㅎ'이 입력되었으므로 사용자가 중성인 모음 'ㅏ'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ㅎ'의 팝업창을 통해 'l'->'ㆍ'를 순서대로 터치하면 '하'라는 문자가 표시되고, 문자의 완성을 위해 종성인 자음 'ㄴ'을, 상기 문자 입력 영역(500)에서 찾아 터치하면 '한'이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완성된다. 이때, 상기 종성인 자음 'ㄴ'을 입력하면, 상기 'ㅎ'의 키에 대한 팝업창은 제거되고 상기 'ㄴ'의 키에 대한 팝업창이 표시된다. 상기 'ㄴ'의 키에 대한 팝업창은 다음 글자의 초성인 자음 'ㅁ'을 터치할 때 혹은 사용자가 'ㄴ'의 키에 대한 팝업창에서 포인터를 뗄 때, 제거된다. 나머지 문자인 '민국'도 마찬가지로 입력하면 '대한민국'이라는 문자가 완성된다.If the user touches the consonant 'ㅎ' in the character input area 500 or if the user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inputting the next letter 'one', the user touches the key of the 'ㄷ' key on the touch keyboard. The pop-up window is removed and the pop-up window for the key of 'ㅎ' is displayed. In another embodiment, the popup window for the key 'c' may be removed when the character 'large' is completed on the display unit. Since the first adult consonant 'ㅎ' has been entered, when the user touches 'l'-> '·' in order through the pop-up window of 'ㅎ' in order to enter the vowel 'ㅏ', the letter 'Ha' is displayed. When the final consonant consonant 'b' is found in the character input area 500 and touched, the character 'one' is completed on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when the final consonant 'b' is input, the popup window for the key of 'ㅎ' is removed and a popup window for the key of 'b' is displayed. The popup window for the key of 'b' is removed when the consonant consonant 'ㅁ' of the next letter is touched or when the user releases the pointer from the popup window for the key of 'b'. Entering the rest of the letters 'Korea' also completes the word 'Korea'.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모든 자음이 포함된 터치키보드에서 하나의 자음키가 터치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키 및 상기 입력된 자음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사상한글의 모음)가 포함된 팝업창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팝업창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음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자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이 조합되어 하나의 문자를 구성한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ngle consonant key is touched on a touch keyboard including all consonants, a popup window including the input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vowel of thought Hangul)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consonant key Is displayed. When a user inputs a desired vowel using the pop-up window, the input consonant and the input vowel are combined to form one character.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6A and 6B illustrate a text input method through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의 터치키보드에는 도 6a와 같이 한글 입력을 위한 모든 자음들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영역이 구성되어 있으며, 원하는 한글을 입력하고자 사용자가 문자 입력 영역의 특정 키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된 키 상에 도 6b와 같이 상기 터치 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와 조합 가능한 모음 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61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팝업창(610)의 각 키는, 상기 키가 포인팅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uch keyboard of the terminal is configured with a text input area including all consonants for Korean input as shown in FIG. 6A.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key in the text input area to input a desired Korean character, the user touches a key on the touched key. The pop-up window 610 including the vowel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letter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key is enlarged and displayed. Here, each key of the pop-up window 610 is preferably sized so as not to inconvenience the key is pointed.

예를 들어, 도 6b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 입력 영역에서 자음 'ㅁ'을 터치하면, 문자 입력 영역에 상기 자음 'ㅁ'을 중심으로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1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2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3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4
' 에 대한 모음 구성요소들의 키들이 포함된 팝업창(610)이 표시된다. 이때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터치된 자음 'ㅁ'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when the user touches the consonant 'ㅁ' in the character input area, the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1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2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3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4
A popup window 610 is displayed containing the keys of the vowel components for '. In this case, the touched consonant 'ㅁ'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610)에 표시된 모음 구성요소로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5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6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7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8
' 중 적어도 하나의 모음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모든 모음들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is a collection element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610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5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6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7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8
All vowels can be entered by combining at least one vowel element of the '.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에서 문자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a user inputs a character using a character input area in the touch keyboar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터치키보드에 표시된 문자 입력 영역으로 한글인 '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문자 입력 영역에서 자음 'ㅁ'을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자음 'ㅁ'에서 떼지 않으면, 상기 자음 'ㅁ'의 키에 팝업창(61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상기 팝업창(61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9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0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1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2
'에 대한 모음 구성요소 키들이 표시된다.If the user wants to input Korean character '먀' into the character input area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find the consonant 'ㅁ' in the character input area and touch it with the pointer, or touch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ouching the consonant 'ㅁ' If not, the popup window 610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key of the consonant 'ㅁ'. In the pop-up window 610, a user can input a desired collection.
Figure 112007057365658-PAT00009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0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1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2
The collection component keys for 'are displayed.

팝업창(610)에 모음 'ㅑ'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모음 구성요 소들을 이용하여 모음 'ㅑ'를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610)이 포함된 문자 입력 영역에서 팝업창(610)내의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3
'을 터치한 후,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4
'를 터치하고, 다시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5
'를 터치하면, 자음 'ㅁ'과,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6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7
',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8
'가 조합되어 문자 '먀'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팝업창(610)은 다른 자음이 입력될 때 사라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팝업창(610)은 상기 원하는 모음 키들의 입력이 완료되고 포인터가 상기 팝업창(610)에서 떼어질 때 사라진다.Since the vowel '존재' does not exist in the pop-up window 610, the user inputs the vowel 'ㅑ' using the vowel elements. That is, the user may enter 'in the popup window 610 in the text input area including the popup window 610.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3
Touch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4
Touch ', then again'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5
", The consonants" ㅁ "and"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6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7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8
'Is combined to display the letter' 먀 'on the touch screen. The pop-up window 610 disappears when another consonant is input. In another embodiment, the popup window 610 disappears when the input of the desired vowel keys is completed and the pointer is released from the popup window 610.

아래 <표 1>은 상기 설명한 모음 'ㅑ'를 입력하는 경우와 같이, 팝업창(610)에 존재하지 않는 모음들을 팝업창(610)에 존재하는 모음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사상한글 입력방법을 나타낸 표이다.Table 1 below shows a mapping method for generating Korean characters using vowel elements existing in the pop-up window 610 as shown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vowel 'ㅑ' described above. Table.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9
Figure 112007057365658-PAT00019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모든 자음이 포함된 터치키보드에서 하나의 자음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키 및 모든 모음키가 포함된 팝업창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팝업창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음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자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이 조합되어 하나의 문자를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consonant key is input on a touch keyboard including all consonants, a pop-up window including the input consonant key and all vowel keys is displayed. When a user inputs a desired vowel using the pop-up window, the input consonant and the input vowel are combined to form one character.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7 and 8 illustrate a text input method through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터치키보드에는 터치를 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가 있는 문자 입력 영역이 포함되고, 한글을 입력하고자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키를 터치하면 도 7과 같이 상기 단말기의 문자 입력 영역에 상기 터치된 자음키를 중심으로 팝업창1(70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의 문자 입력 영역은 PC키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자음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touch keyboard of the terminal includes a character input area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when one of the consonant keys is touched in the character input area to input Korean,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7. The pop-up window 1 700 is enlarged and displayed based on the touched consonant key in the character input area of the. In this case, the character input area of the terminal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PC keyboard or may consist only of consonants.

상기 팝업창1(700)은 한글의 모든 모음들과 '~', '/', 스페이스바(Space bar) 역할을 하는 키인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0
'를 포함하고, 중앙에는 문자 입력 영역에서 최초 입력된 한글자음을 포함한다. 즉, 상기 입력된 한글자음을 1차입력으로 인식하여, 상기 1차입력을 중심으로 하는 팝업창1(700)과 한글이외의 문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창2(710)가 표시된다. The pop-up window 1 (700) is a key that functions as '~', '/', space bar with all the vowels of Hangul.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0
', And the middle contains Hangul consonants first input in the character input area. That is, the pop-up window 1 (700) centered on the primary input and the pop-up window 2 (710) for inputting characters, symbols, or functions other than Hangul are displayed. .

팝업창2(710)는 한글이외의 특수문자들('.', ',', '?', '!'등)이나 기능키들(숫자키, 특수키, 엔터키, 문자 변환키 등)로 구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한글과 같이 상기 특수문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 가능하도록 한다. 터치스크린 상에서 팝업창 1,2(700, 710)의 위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붙어 있을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Pop-up window 2 (710) is implemented by special characters other than Korean ('.', ',', '?', '!', Etc.) or function keys (numeric keys, special keys, enter key, character conversion key, etc.). The user can input the special characters, symbols, or functions as in Korean. The position of the pop-up windows 1,2 (700, 710) on the touch screen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and may be attached or separated.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한다. An example of a method of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터치키보드에서 문자 입력 영역으로 '대한민국'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대'의 초성인 자음 'ㄷ'을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를 자음 'ㄷ'에서 떼지 않으면, 자음 'ㄷ'의 키 상에 팝업창1(700)이 표시된다. 팝업창1(700)은 1차입력인 지음 'ㄷ'을 중심으로, 가능한 모든 한글 모음들의 키들을 포함한다. 팝업창1(700)이 생성되고 모음 'ㅐ'를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자음 'ㄷ'을 터치한 포인터를 터치스크린에서 떼지 않고 팝업창1(700)내의 모음 'ㅐ'까지 포인터를 드래그한 후 드롭하면 문자 '대'가 표시되며, 2차입력인 모음 'ㅐ'가 입력되었으므로 팝업창1(700)은 사라진다. If the user wants to input 'Korea' into the character input area on the touch keyboard, find the consonant 'C' of the 'large' in the character input area and touch the pointer with the pointer and the pointer at the consonant 'c' for a predetermined time. If not released, the popup window 1 700 is displayed on the key of the consonant 'c'. The pop-up window 1 700 includes keys of all possible Hangul vowels around the first input 'ㄷ'. Pop-up window 1 (700) is generated and to enter the vowel 'ㅐ', the user drags the pointer to the vowel 'ㅐ' in the pop-up window 1 (700) without dropping the pointer touching the consonant 'ㄷ' from the touch screen The character 'large' is displayed, and the popup window 1 700 disappears since the second input vowel '인' is input.

다음 문자인 '한'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문자 입력 영역에서 자음 'ㅎ'을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를 자음 'ㅎ'에서 떼지 않으면 1차입력인 상기 자음 'ㅎ'을 중심으로 하는 팝업창1(70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In order to input the next character 'one', the user finds the consonant 'ㅎ' in the character input area and touches it with the pointer, and if the pointer is not released from the consonant 'ㅎ'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input is centered on the consonant 'ㅎ' The pop-up window 1 700 is enlarged and displayed.

2차입력인 모음 'ㅏ'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자음 'ㅎ'을 터치한 포인터를 떼지 않고 팝업창1(700)의 모음 'ㅏ'까지 상기 포인터를 드래그 한 후 드롭하면 문자 '하'가 표시된다. 2차입력인 'ㅏ'가 입력되었으므로 팝업창1(700)은 사라진다. 그리고 자음 'ㄴ'을 상기 문자 입력 영역에서 찾아 터치하면 문자 '한'이 완성된다. 이때 자음 'ㄴ'을 짧게 터치하게 되면 자음 'ㄴ'을 중심으로 하는 팝업창1(700)은 표시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다음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나머지 문자인 '민국'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하면 '대한민국'이 완성된다.In order to input the vowel 'ㅏ' which is the secondary input, drag the pointer to the vowel 'ㅏ' of the popup window 1700 without dropping the pointer which touched the consonant 'ㅎ' and then drop the character 'ha'. . Pop-up window 1 700 disappears since the second input 'ㅏ' is input. When the consonant 'b' is found in the character input area and touched, the character 'one' is completed. At this time, when the consonant 'b' is touched briefly, the popup window 1 700 centering on the consonant 'b' is not displayed, and the user may input the next consonant. The remaining characters 'Korea' can also be entered in the same way as above to complete 'Korea'.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키보드에서 '대한민국'을 입력하는 다른 방법으로, '대'의 초성인 자음 'ㄷ'을 문자 입력 영역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고 떼면 자음 'ㄷ'을 중심으로 하는 팝업창 1(700)이 표시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에 자음 'ㄷ'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팝업창 1(700)에 표시된 한글모음들 중 모음 'ㅐ'를 포인터로 터치한 후 떼면 디스플레이부에 문자 '대'가 표시된다. 나머지 문자인 '한민국' 또한 각 초성, 중성, 종성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순서대로 찾아 짧게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s 'South Korea' on the touch keyboard, the consonant consonant 'ㄷ' of the 'large' is found in the character input area, and touched and released with the pointer. Popup window 1 (700) center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and at the same time a consonant 'c'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n, after touching and releasing the vowel 'ㅐ' among the Korean collections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1 (700), the character 'lar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rest of the letters 'Hanmin Guk' can also enter the letters by touching each short, short, and first in order using the pointer.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문자 입력 방식 중 외국어를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외국어의 일 예로서 영어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모음과 자음을 가지는 문자라면 어디에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Next, a method of inputting English as an example of a foreign language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explain a method of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among character input methods with reference to FIG. 8. It can be applied anywhere.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는 터치를 하여 영어를 입력할 수가 있는 터치키보드가 구비되고, 영어를 입력하고자 상기 터치키보드상에서 어느 하나의 영어 문자키를 터치하면 도 8과 같이 상기 단말기의 터치키보드상에 팝업창1(80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8,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ouch keyboard capable of inputting English, and when one of the English letter keys is touched on the touch keyboard to input English, the terminal of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8. The pop-up window 1 800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상기 팝업창1(800)은 1차입력된 영어문자의 주위에 알파벳의 모음들과 스페이스바(Space bar) 역할을 하는 키인 '' 을 포함하고, 사용빈도나 개발자의 의도를 반영한 문자 혹은 기호 혹은 접미사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팝업창1(800)내의 각 모음영역은 1차입력된 문자에 연결되어 단어를 만들 수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p-up window 1 800 includes a key that serves as a vowel and a space bar of alphabets around the first input English letter, and a letter, symbol, or suffix reflecting a frequency of use or a developer's intention. Additionally. Each vowel area in the pop-up window 1 800 may include one or more vowels that are connected to the primary input letter to form a word.

팝업창2(810)는 알파벳 이외의 특수문자들('.', ',', '?', '!'등)이나 기능키들(숫자키, 특수키, 엔터키, 문자 변환키등)로 구현되어 있어, 사용자가 알파벳과 같이 상기 특수문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가능 하도록 한다. 터치스크린 상에서 팝업창1,2(800, 810)의 위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붙어 있을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Pop-up window 2 810 is implemented by special characters other than alphabets ('.', ',', '?', '!', Etc.) or function keys (numeric keys, special keys, enter keys, character conversion keys, etc.). It allows the user to input the special character, symbol, or function like the alphabet. The position of the pop-up windows 1, 2 (800, 810) on the touch screen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and may be attached or separat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영어를 입력하는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한다. An example of a method of inputting Englis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터치키보드로 영어인 'beautiful'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자음 'b'를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를 자음 'b'에서 떼지 않으면 자음 'b'의 키에 자음 'b'를 중심으로 하는 팝업창1(800)이 표시된다. 팝업창1(800)은 1차입력인 자음 'b'를 중심으로, 가능한 모든 알파벳 모음들과 사용빈도 또는 개발자의 의도에 따른 접미사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팝업창1(800)이 생성되고 모음 'e'를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자음 'b'를 터치한 포인터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떼지 않고 팝업창1(800)내의 모음 'e'까지 포인터를 드래그 한 뒤 드롭하면 문자 'be'가 디스플레이되며 2차입력인 모음 'e'가 입력되었으므로 팝업창1(800)은 사라진다.If the user wants to input 'beautiful' in English using the touch keyboard, find the consonant 'b' on the touch keyboard and touch it with the pointer and do not release the pointer from the consonant 'b' for a predetermined time. Pop-up window 1 (800) centered on the consonant 'b' is displayed. The popup window 1 800 includes all possible alphabetical collections and suffix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r the developer's intention, centering on the first input consonant 'b'. The pop-up window 1 800 is generated and to input the vowel 'e', the user drags the pointer to the vowel 'e' in the pop-up window 1 800 without releasing the pointer touching the consonant 'b' from the touch screen. When dropping, the letter 'be' is displayed and the popup window 1 800 disappears since the second input vowel 'e' is input.

다음 문자인 'au'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터치키보드에서 모음 'a'를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를 상기 모음 'a'에서 떼지 않으면 모음 'a'를 중심으로 하는 팝업창1(80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2차입력인 모음 'u'를 입력하기 위해 모음 'a'를 터치한 포인터를 떼지 않고 팝업창1(800)의 모음 'u'까지 포인터를 드래그 한 후 드롭하면 문자 'au'가 입력되어 문자 'beau'가 디스플레이 되며 팝업창1(800)은 사라진다. 나머지 문자인 'tiful'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된다. In order to input the next character 'au', the user finds the vowel 'a' on the touch keyboard and touches it with the pointer, and if the pointer is not released from the vowel 'a'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pup window 1 centering on the vowel 'a' ( 800 is enlarged and displayed. To enter the second vowel 'u', drag and drop the pointer to the vowel 'u' of the popup window 1 (800) without releasing the pointer touching the vowel 'a'. beau 'is displayed and the popup window 1 800 disappears. The remaining character 'tiful' is also entered in the same way.

즉, 1차입력으로 하나의 알파벳을 입력하면 상기 1차입력된 알파벳을 중심으로 하는 팝업창1(800)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기 1차입력을 터치한 포인터를 떼지 않고 주위의 모음들중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까지 드래그한 후 드롭하면 2차입력이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팝업창1(800)은 사라진다.That is, when one alphabet is input as the primary input, a popup window 1 800 centering on the primary input alphabet is displayed, and the user inputs among the surrounding vowels without removing the pointer touched by the primary input. If you drag to the vowel you want to drop, the secondary input is displayed and the popup window 1 800 disappears.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키보드에서 'beautiful'을 입력하는 다른 방법으로,자음 'b' 를 터치키보드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고 떼면 자음 'b'키에 자음 'b'중심으로 하는 팝업창 1(800)이 표시된다. 그리고 팝업창 1(800)에서 'eau'구성하는 모음들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순서대로 찾아 짧게 터치하면 'beau'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문자인 'tiful'이 포함된 자음 및 모음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순서대로 찾아 짧게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s 'beautiful' on the touch keyboard, the consonant 'b' is found on the touch keyboard and touched and released with the pointer. A popup window 1 800 is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1 800, the collections forming 'eau' are sequentially found using a pointer, and a short touch can be used to input 'beau'. In addition, the consonants and vowels containing the remaining characters 'tiful' can be found in order by using the pointer, and a short touch can be used to input characters.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는 최소의 자음 및 모음이 포함된 터치 키보드에서 자음 및 모음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키가 터치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키 및 상기 입력된 문자키와 조합가능한 기능키가 포함된 팝업창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팝업창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키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문자키와 상기 입력된 기능키가 조합되어 하나의 문자를 구성한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key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text key and the input text key when at least one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is touched on the touch keyboard including the minimum consonants and vowels. Display the pop-up window. When a user inputs a desired function key using the popup window, the input text key and the input function key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character.

도 9a 내지 도 9d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9A to 9D and 10 illustrate a text input method through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의 터치키보드에는 도 9a와 같이 한글 입력을 위한 최소의 자음 및 모음 키들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영역이 포함되어 있으며, 원하는 한글을 입력하고자 사용자가 문자 입력 영역의 특정 키를 터치하면, 도 9b 내지 도 9d와 같이 상기 터치된 키와 함께 상기 터치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와 조합 가능한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팝업창의 각 키는, 상기 키가 포인팅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uch keyboard of the terminal includes a text input area including a minimum consonant and vowel key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s shown in FIG. 9A. As shown in FIG. 9D, a pop-up window including function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key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is case, each key of the pop-up window is preferably sized so that it is not inconvenient to point the key.

예를들어 도 9b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 입력 역영에서 자음 'ㅁ'을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자음 'ㅁ'에서 떼지 않으면,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ㅁ'에 대한 팝업창(910)이 표시된다. 이때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터치된 '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팝업창(910)은 4등분되어 각 영역에 상기 'ㅁ'인 한글 자음 및 한글 자음 'ㅁ'과 조합 가능한 기능키들로 예를 들어, 획추가키, 쌍자음키, 스페이스(SP)키를 포함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B, when the user finds the consonant 'ㅁ' in the character input area and touches it with the pointer, or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rom the consonant 'ㅁ'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ouching, the 'ㅁ'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Pop-up window 910 for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touch 'ㅁ'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The pop-up window 910 is divided into quarters and includes, for example, a stroke addition key, a double consonant key, and a space (SP) key as function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Hangul consonant and the Hangul consonant 'ㅁ' in each area. do.

도 9b의 팝업창(910)에 나타낸 획추가키와 쌍자음키는 도 9c의 팝업창(93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stroke addition key and the consonant key shown in the popup window 910 of FIG. 9B may be represented as the popup window 930 of FIG. 9C.

또한 문자 입력 영역에서 도 9d와 같이 모음 'ㅏ'를 터치하면, 첫번째 영역에는 상기 'ㅏ'인 모음, 나머지 영역들에는 모음 'ㅏ'와 조합 가능한 기능키들로 예를 들어, 획추가키, 쌍모음키, 스페이스(SP)키가 포함된 팝업창(950)이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the vowel 'ㅏ' is touched in the character input area as shown in FIG. 9D, the vowel that is the 'ㅏ' in the first area and the vowel 'ㅏ' in the remaining areas may be combined with, for example, a stroke addition key or a pair. A popup window 950 including a vowel key and a space (SP) key is displayed.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에 표시되는 문자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도 10과 같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s a character using the character input area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may be input as shown in FIG. 10.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키보드에 표시된 문자 입력 영역으로 한글인 '다'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문자 입력 영역(1010)에 자음 'ㄷ'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자음 'ㄴ' 및 기능키를 이용하여 자음 'ㄷ'을 입력한다. 즉, 상기 자음 'ㄴ'을 문자 입력 영역(1010)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포인터를 자음 'ㄴ'에서 떼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에 자음 'ㄴ'이 표시되면서 동시에 상기 자음 'ㄴ'의 키영역에 팝업창(105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상기 팝업창(1050)에는 상기 자음 'ㄴ'의 키와 함께 획추가와, 쌍자음과, 스페이스(SP)에 대한 기능키들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Korean character 'Da' into the character input area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the consonant 'B' and the function key are not present because the consonant 'c' does not exist in the character input area 1010. Input consonant 'ㄷ'. That is, if the consonant 'b' is found in the character input area 1010 and touched with a pointer and the pointer is not released from the consonant 'b'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sonant '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consonant 'b' is displayed at the same time. The popup window 1050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key area of '. The pop-up window 1050 includes a stroke addition, a double consonant, and function keys for the space SP together with the key of the consonant 'b'.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1050) 내의 획추가키를 터치하면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자음 'ㄴ'은 자음 'ㄷ'으로 바뀌어 표시되며, 자음 'ㄷ'이 입력되었으므로 팝업창(1050)은 사라진다. 그리고 문자 '다'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모음 'ㅏ'를 문자 입력 영역(1010)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한 후, 포인터를 떼면 자음 'ㄷ'과 모음 'ㅏ'가 조합되어 문자 '다'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자음 'ㄴ'에 대한 팝업창(1050)은 다음 문자인 모음 'ㅏ'가 입력될 때 사라진다.Accordingly, when the user touches the stroke-add key in the pop-up window 1050, the consonant 'b'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is changed to a consonant 'ㄷ', and the pop-up window 1050 disappears since the consonant 'c' is input. . In order to input the letter 'da', the user finds the vowel 'ㅏ' in the letter input area 1010 and touches it with the pointer. Then, when the pointer is released, the consonant 'ㄷ' and the vowel '조합' are combined to make the letter 'da'. I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another embodiment, the popup window 1050 for the consonant 'b' disappears when the next character vowel 'ㅏ' is input.

아래 <표 2>는 상기 설명한 자음 'ㄷ'을 입력하는 경우와 같이, 터치키보드에 존재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을 터치키보드에 존재하는 자음 및 모음과 기능키들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Table 2 below shows a method of generating consonants and vowels that do not exist on the touch keyboard using consonants, vowels, and function keys that do not exist on the touch keyboard as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consonant 'c' described above.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1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1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10)은 입력 감지부(1130) 및 제어부(1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1110)상에 표시된 터치키보드의 어떤 키를 터치하면, 상기 입력 감지부(1130)는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 혹은 기능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1150)로 전달한다. 상기 문자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1150)는 상기 터치스크린(1110)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전달받은 문자 혹은 그 조합을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touch screen 1110 of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put sensing unit 1130 and the controller 1150 and the user touches any key of the touch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10, the touch screen 1110 of the terminal is touched. The input detector 1130 checks a character o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ontroller 1150. The control unit 1150 receiving the text displays the received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on the display of the touch screen 1110.

상기 제어부(1150)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아래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below.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1200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한글의 자음들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1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 1210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입력감지부(1130)에 의해 터치스크린(1110)에 표시된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받는다. 상기 122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입력된 키가 첫 입력이면 초성으로 판단하여 1230 단계로 진행하고, 이미 입력된 자음이 존재하면 중성이 입력될 차례라 판단하여 1260 단계로 진행하고, 이미 입력된 초성과 중성이 존재하면 종성이 입력될 차례라 판단하여 1270 단계로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12, in step 1200, the controller 1150 controls the touch screen 1110 to display a touch keyboard including a text input area including Korean consonants and waits for a user input. In step 1210, when the input of the specific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10 is detected by the input sensing unit 1130, the controller 1150 receive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n step 1220, if the input key is the first input, the control unit 1150 determines that it is the first contiguous, and proceeds to step 1230. If there is already an input consonant, the control unit 1150 determines that the neutral is input, and proceeds to step 1260 and already inputs it. If the initial and neutral stars exist,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al star is to be input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70.

상기 123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자음을 상기 터치스크린(1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124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현재 입력된 키에 모음들의 입력을 위한 모음 구성요소 키들을 포함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팝업창을 표시한다. 만일 이전 입력된 키에 대한 팝업창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125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이전 입력된 키에 대한 팝업창을 제거하고, 다음 입력을 받기 위해 상기 1200 단계로 복귀한다. 여기서 1230 내지 1250 단계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In step 1230, the controller 1150 controls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10. In step 1240, the controller 1150 configures a vowel for inputting vowels on the currently input key. Displays a popup window as shown in FIG. 5 including element keys. If the popup window for the previously input key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150 removes the popup window for the previously input key in step 1250 and returns to step 1200 to receive the next input. In this case, steps 1230 to 1250 may be per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상기 126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자음 또는 모음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모음 구성요소인 'l', 'ㅡ', 'ㆍ'을 상기 미리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과 조합하여 터치스크린(1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1200단계로 복귀한다. In step 1260, the controller 1150 displays a consonant or a vowel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so that the vowel elements 'l', '-', '·'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re displayed in advance. In combination with the vowel, the control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10,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200.

상기 127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이미 입력된 초성과 중성에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자음을 조합하여 완성된 문자가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110)을 제어한다.In operation 1270, the controller 1150 controls the touch screen 1110 to display a completed character by combining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with the already entered initial and neutral.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131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한글 입력을 위한 자음 키들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 및 도 6b에서 설명한 팝업창이 포함된 터치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1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Referring to FIG. 13, in operation 1310, the controller 1150 may display a touch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keyboard including a text input area including consonant keys for Korean input and a touch keyboard including a pop-up wind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B. 1110 controls the user's input.

133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입력감지부(1130)에 의해 터치스크린(1110)에 표시된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자음 및 모음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다.In operation 1330, when an input of a specific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10 is detected by the input sensing unit 1130, the controller 1150 receives at least one of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135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입력된 문자가 자음인지 모음인지를 판단하여, 자음인 경우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키에 팝업창을 표시하기 위해 1370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모음인 경우, 기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상기 입력받은 모음을 조합하기 위해 1390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135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입력받은 자음 및 모음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10)을 제어할 수 있다. In operation 1350, the controller 115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character is a consonant or a vowel, and if the consonant is a consonant, the controller 1150 proceeds to step 1370 to display a popup window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owe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390 to combine the previously inputted displayed character with the received vowel. In this case, in step 1350, the controller 1150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1110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consonants and vowels.

상기 137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키에 모음의 입력을 위한 모음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을 제어한 후, 상기 1310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때 상기 137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이전 입력된 키의 팝업창이 터치키보드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전 입력된 키에 대한 팝업창을 제거하여, 현재 입력된 키의 팝업창만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가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을 제어한다.In step 1370, the controller 1150 controls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pop-up window including vowel keys for inputting a vowel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nput through the touch keyboard, and then proceeds to step 1310 in order to Wait for input. In this case, in step 1370, when the pop-up window of the previously input key exists on the touch keyboard, the controller 1150 removes the pop-up window for the previously input key and displays the touch keyboard including only the pop-up window of the currently input key. Control the touch screen as much as possible.

상기 139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기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가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110)을 제어한 후, 사용자로부터 다른 문자를 입력받기 위해 상기 1310 단계로 복귀한다.In step 1390, the controller 1150 controls the touch screen 1110 to display the combined letters by combining the previously displayed letters and the vowels input through the touch keyboard, and then receive other characters from the user. Return to step 1310.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140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한글의 자음들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1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 141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입력감지부(1130)에 의해 터치스크린(1110)에 표시된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받는다. 142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가 상기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1430 단계에서 제어부(1100)는 상기 입력된 키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포인터가 고정되어 있는지 즉, 터치 키보드를 터치한 상태가 유지되어있는지 판단하여, 터치키보드를 터치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면 1440 단계로 진행하고, 터치 키보드를 터치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1400 단계로 돌아가서 단말기는 다음 입력을 대기한다. Referring to FIG. 14, in step 1400, the controller 1150 waits for a user input by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1110 to display a touch keyboard including a text input area including Korean consonants. In step 1410, when an input of a specific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10 is detected by the input sensing unit 1130, the controller 1150 receive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n step 1420, the controller 1150 controls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In step 1430, the controller 1100 determines whether the pointer is fixed in the input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whether the touch keyboard is kept in touch, and if the touch keyboard is kept in step 1440. If the touch keyboard is not maintain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400 and the terminal waits for the next input.

상기 144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모음키들이 표시된 도 7과 같은 팝업창이 상기 입력된 키를 중심으로 상기 터치키보드 위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n step 1440, the controller 1150 controls the pop-up window shown in FIG. 7 in which vowel keys are displayed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with respect to the input key.

145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팝업창에서 상기 포인터의 드래그(Drag) 및 드롭(Drop)을 감지한다. 146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드롭(Drop)된 포인터가 상기 팝업창 내부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여, 팝업창 내부에 위치해 있다면 1470 단계로 진행하고, 팝업창 내부에 위치해 있지 않다면 더 이상 입력을 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1400 단계로 복귀한다. In operation 1450, the controller 1150 detects drag and drop of the pointer in the popup window. In step 1460, the controller 1150 determines whether the dropped pointer is located inside the pop-up window, and if it is located inside the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150 proceeds to step 1470, and if it is not inside the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150 does not input any more. The determination returns to step 1400.

상기 147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드롭(Drop)된 포인터가 위치하는 모음을 2차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1차입력된 자음과 조합하여 완성된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1400 단계로 진행하며, 이때 상기 팝업창은 사라진다.In step 1470, the controller 1150 recognizes the vowel in which the dropped pointer is located as a secondary input, displays the completed character in combination with the primary input consonant, and proceeds to step 1400. The popup window disappears.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151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한글 입력을 위한 최소의 자음 및 모음 키들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 및 도 9b 내지 도 9d에서 설명한 팝업창이 포함된 터치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1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 Referring to FIG. 15, in step 1510, the controller 1150 may include a touch keyboard including a text input area including a minimum consonant and vowel keys for Korean input, and a touch keyboard including the pop-up window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B to 9D. The touch screen 1110 is controlled to display at least one, and waits for a user input.

153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입력감지부(1130)에 의해 터치스크린(1110)에 표시된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 및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다. In operation 1530, when an input of a specific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10 is detected by the input sensing unit 1130, the controller 1150 receives at least one of characters and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155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상기 입력된키가 문자인지 기능인지를 판단하여, 문자인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키에 팝업창을 표시하기 위해 1570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기능인 경우, 기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상기 기능을 조합하기 위해 1590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은 기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조합되어 다른 문자를 구성할 수 있는 획추가 혹은 쌍모음 혹은 쌍자음을 의미한다.In step 1550, the controller 115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key is a character or a function, and if it is a character, the controller 1150 proceeds to step 1570 to display a pop-up window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func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590 to combine the previously inputted displayed character with the function. Here, the function means a stroke addition or double vowel or double consonant which can be combined with the previously displayed characters to form another character.

상기 157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키에, 문자와 기능들의 입력을 위한 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110)을 제어한 후, 상기 1510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때 상기 157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이전 입력된 키의 팝업창이 터치키보드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전 입력된 키에 대한 팝업창을 제거하여, 현재 입력된 키의 팝업창만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가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710)을 제어한다.In step 1570, the controller 1150 controls the touch screen 1110 to display a pop-up window including keys for inputting letters and functions on a key corresponding to a letter input through the touch keyboard, and then in step 1510. Proceed to wait for user input. In this case, in step 1570, when the pop-up window of the previously input key exists on the touch keyboard, the controller 1150 removes the pop-up window for the previously input key and displays the touch keyboard including only the pop-up window of the currently input key. To control the touch screen 710 to be.

상기 1590 단계에서 제어부(1150)는 기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기능을 조합하여 완성된 문자가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110)을 제어한다.In step 1590, the controller 1150 controls the touch screen 1110 to display the completed text by combining the previously displayed text and the function input through the touch keyboard.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시, 필요한 기능을 팝업창에 나타냄으로써 포인팅 거리를 최소화하여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소정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터치키보드에 표시되어야 하는 키들의 개수를 줄임으로서 키 하나하나의 크기가 커서 보기에 편하고 터치하기에 편하여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racter is input in the terminal, a necessary function can be displayed in a pop-up window to minimize the pointing distance, and the character can be easily generated using a predetermined function key. Therefore, the character should be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By reducing the number of keys, the size of each key is large, which makes it easy to view and touch, thereby facilitating the input of character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변형의 예로서 본 발명은 큰 변형없이 자음과 모음을 가지는 다른 언어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vari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languages having consonants and vowels without major modificatio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단말기의 터치키보드 배열방식 중 키보드 배열을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arrangement of a touch keyboard arrangement method of a conventional terminal;

도 2는 종래 단말기의 터치키보드 배열방식 중 한글 입력을 위한 키보드 배열을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arrangement for inputting Korean among touch keyboard arrangement schemes of a conventional terminal;

도 3은 종래 단말기의 터치키보드 배열방식중 한글 입력을 위한 키보드 배열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arrangement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a touch keyboard arrangement method of a conventional terminal;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through a touch keyboard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6A and 6B illustrate a text input method through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7 and 8 illustrate a text input method through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 9d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9A through 9D and 10 illustrate a text input method through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1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을 나타낸 흐름도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keybo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8)

단말기에서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the touch keyboard in the terminal,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자음들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A touch screen that displays a touch keyboard including consonant keys, and displays consonants input through the touch keyboard; 상기 터치키보드의 상기 자음키들 중 하나를 통해 자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자음키와 상기 입력된 자음과 조합 가능한 모음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고, 상기 모음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모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입력된 자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와,When a consonant is input through one of the consonant keys of the touch keyboard, a popup window including a consonant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and a vowel key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consonant is displayed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combined character by combining the input consonant with the input vowel when the vowel is inpu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owel keys; 상기 터치키보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여 해당 키가 입력됐음을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including an input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touch on the touch keyboard to notify the controller that the corresponding key has been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키들은, 상기 입력된 모음을 구성하기 위한 모음 구성요소들인 l, ㅡ, ㆍ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vowel keys include vowel elements ,, ,, 占 which constitute the input vow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키들은, 상기 입력된 모음을 구성하기 위한 모음 구성요소들인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2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3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4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5
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vowel keys of claim 1, wherein the vowel keys are vowel elements for constructing the input vowel.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2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3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4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5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키들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owel keys are: 한글의 모든 모음들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that contains all the vowels of Hangu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키보드에 한글의 모든 자음들에 대한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한글 입력 영역과, 특수문자들 및 기호들로 구성된 기능 입력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문자 입력 장치. Character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Hangul input area including consonant keys for all the consonants of the Hangul, and a function input area consisting of special characters and symbols on the touch key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자음키들 중 하나가 소정 시간 동안 지속하여 터치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팝업창을 확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And when one of the consonant keys is touch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expanding the pop-up window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팝업창이 표시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자음키들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다른 자음이 입력되면, 상기 팝업창을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제거하는 문자 입력 장치.And when another consonant is input through another one of the consonant keys while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removing the pop-up window from the touch key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조합된 문자가 표시되면, 상기 팝업창을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제거하는 문자 입력 장치.And remove the pop-up window from the touch keyboard when the combined text is displayed. 단말기에서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the touch keyboard in the terminal,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통해 하나의 자음을 입력받는 과정과, Receiving a consonant through a touch keyboard including consonant keys;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자음키와, 상기 입력된 자음과 조합 가능한 모음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Displaying a pop-up window including a consonant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and a vowel key combinable with the input consonant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상기 모음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모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입력된 자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combined character by combining the input consonant with the input vowel when the vowel is inpu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owel keys.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모음키들은, 상기 입력된 모음을 구성하기 위한 모음 구성요소들인 l, ㅡ, ㆍ을 포함하는 문자입력 방법.The vowel keys include vowel elements l, ㅡ,... Which constitute constituting the input vowel.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모음키들은, 상기 입력된 모음을 구성하기 위한 모음 구성요소들인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6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7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8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9
을 포함하는 문자입력 방법.
The vowel keys are vowel components for constructing the input vowel.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6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7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8
,
Figure 112007057365658-PAT00029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키들은,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vowel keys, 한글의 모든 모음들을 포함하는 문자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cluding all vowels of Hangul.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터치키보드에 한글의 모든 자음들에 대한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한글 입력 영역과, 특수문자들 및 기호들로 구성된 기능 입력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Hangul input area including consonant keys for all the consonants of the Hangul and a function input area composed of special characters and symbols on the touch keyboard.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The displaying process, 상기 자음키들 중 하나가 소정 시간 동안 지속하여 터치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팝업창을 표시하는 문자 입력 방법. And displaying the popup window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when one of the consonant keys is touch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팝업창이 표시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자음키들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다른 자음이 입력되면, 상기 팝업창을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removing another pop-up window from the touch keyboard when another consonant is input through another one of the consonant keys while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조합된 문자가 표시되면, 상기 팝업창을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the combined text, removing the popup window from the touch keyboard. 단말기에서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the touch keyboard in the terminal, 미리 정해지는 자음들 및 모음들의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touch keyboard including character keys of predetermined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touch keyboard; 상기 터치키보드의 상기 문자키들 중 하나를 통해 문자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키 및 상기 입력된 문자와 조합 가능한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고,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와 상기 입력된 기능키를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와,When a character is input through one of the character keys of the touch keyboard, a popup window including a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and function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character is displayed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combined character by combining the input character and the input function key when one of the function keys is input; 상기 터치키보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여 해당 키가 입력됐음을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including an input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touch on the touch keyboard to notify the controller that the corresponding key has been inpu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문자키들 중 하나가 소정 시간 동안 지속하여 터치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팝업창을 확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And when one of the text keys is touch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expanding the pop-up window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팝업창이 표시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문자키들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다른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팝업창을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제거하는 문자 입력 장 치.And removing another pop-up window from the touch keyboard when another text is input through another one of the text keys while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조합된 문자가 표시되면, 상기 팝업창을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제거하는 문자 입력 장치.And remove the pop-up window from the touch keyboard when the combined text is displaye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은,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op-up window, 상기 입력된 문자가 자음인 경우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문자키와 함께, 획추가와 쌍자음과 스페이스에 대한 기능키들을 포함하고,If the input character is a consonant, and with a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and includes function keys for stroke addition, double consonants and space, 상기 입력된 문자가 모음인 경우 상기 입력된 모음에 해당하는 문자키와 함께, 획추가와 쌍모음과 스페이스에 대한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And a function key for adding a stroke, a pair of vowels, and a space together with a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vowel when the input character is a vowel.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지는 문자키들은,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keys, ㄱ, ㄴ, ㄹ, ㅁ, ㅅ, ㅇ, ㅏ, ㅓ, ㅗ, ㅜ, ㅡ, ㅣ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including a, b, d, ㅁ, ㅅ, ㅇ, ㅏ, ㅓ, ㅗ, TT, ㅡ, ㅣ. 단말기에서 터치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the touch keyboard in the terminal, 미리 정해지는 자음들 및 모음들의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를 통해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과,Receiving a single character through a touch keyboard including predetermined consonants and vowel character keys;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키 및 상기 입력된 문자와 조합 가능한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pop-up window including a text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and a function key combinable with the input text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와 상기 입력된 기능키를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the combined text by combining the input text and the input function key when one of the function keys is input.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displaying is performed. 상기 문자키들 중 하나가 소정 시간 동안 지속하여 터치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키에 상기 팝업창을 확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when one of the text keys is touch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displaying the pop-up window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팝업창이 표시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문자키들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다른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팝업창을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removing another pop-up window from the touch keyboard when another text is input through another one of the text keys while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문자가 표시되면, 상기 팝업창을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23, further comprising removing the pop-up window from the touch keyboard when the combined text is displayed.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은,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pop-up window, 상기 입력된 문자가 자음인 경우 상기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문자키와 함께, 획추가와 쌍자음과 스페이스에 대한 기능키들을 포함하고,If the input character is a consonant, and with a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and includes function keys for stroke addition, double consonants and space, 상기 입력된 문자가 모음인 경우 상기 입력된 모음에 해당하는 문자키와 함께, 획추가와 쌍모음과 스페이스에 대한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If the input character is a vowel,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cluding function keys for stroke addition, pair vowel, and space together with the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vowel.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지는 문자키들은,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keys, ㄱ, ㄴ, ㄹ, ㅁ, ㅅ, ㅇ, ㅏ, ㅓ, ㅗ, ㅜ, ㅡ, ㅣ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cluding a, b, d, ㅁ, ㅅ, ㅇ, ㅏ, ㅓ, ㅗ, TT, ㅡ, ㅣ.
KR1020070079243A 2007-01-30 2007-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KR200800714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67248.4A CN104007931A (en) 2007-01-30 2008-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CN201010163979A CN101840304A (en) 2007-01-30 2008-01-30 Be used for apparatus and method at the terminal inputing characters
EP08001717.1A EP1953623B1 (en) 2007-01-30 2008-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JP2008019464A JP4981701B2 (en) 2007-01-30 2008-01-30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of terminal
KR1020080009737A KR101060222B1 (en) 2007-01-30 2008-01-30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erminal
US12/022,692 US9141283B2 (en) 2007-01-30 2008-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KR1020080009735A KR101009883B1 (en) 2007-01-30 2008-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008788A KR101449781B1 (en)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008789A KR101350088B1 (en)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JP2010137417A JP5823100B2 (en) 2007-01-30 2010-06-16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of terminal
JP2010137416A JP5701522B2 (en) 2007-01-30 2010-06-16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of terminal
KR1020100063193A KR101085662B1 (en)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189A KR101085655B1 (en)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347A KR101227300B1 (en) 2007-01-30 2010-07-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108759A KR101331697B1 (en) 2007-01-30 2010-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US14/859,762 US9389700B2 (en) 2007-01-30 2015-09-2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602 2007-01-30
KR20070009602 2007-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473A true KR20080071473A (en) 2008-08-04

Family

ID=3988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243A KR20080071473A (en) 2007-01-30 2007-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71473A (en)
CN (1) CN101290555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9581A1 (en) * 2008-10-29 2010-05-06 Nokia Corporation Adaptive search
KR101050671B1 (en) * 2009-08-11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KR101104041B1 (en) * 2009-11-24 2012-01-06 (주)코어테크놀로지 interface device of virtual-keyboard.
WO2012077845A1 (en) * 2010-12-10 201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WO2013115440A1 (en) * 2012-01-30 2013-08-08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on multi-touch screen by using tapping motion
KR20140050987A (en) * 2012-10-22 201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7764B2 (en) * 2011-02-27 2016-08-24 ティーピーア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extended key
WO2012116497A1 (en) * 2011-03-03 2012-09-07 Nokia Corporation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in pinyin mode
KR101242210B1 (en) * 2011-06-02 2013-04-03 주식회사 참글 A letter input method of chinese with function of intonation choice for touch screen
KR101911804B1 (en) 2011-10-17 2018-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nction of searching in a touch-based device
KR101216881B1 (en) * 2012-02-23 2013-01-09 허우영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chinese language in mobile device
CN102937873B (en) * 2012-10-12 2015-09-16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The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 through keyboard is carried out in portable terminal
KR101370834B1 (en) * 2012-10-18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KR20140106287A (en) * 2013-02-26 2014-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npputing character for terminal
KR102157264B1 (en) 2013-10-30 202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6896938A (en) * 2017-03-09 2017-06-27 北京新美互通科技有限公司 Dard input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CN108733228A (en) * 2017-04-18 2018-11-02 北京新美互通科技有限公司 Bengali input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CN108803889A (en) * 2017-04-26 2018-11-13 北京新美互通科技有限公司 Tamil input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CN109634438B (en) * 2018-12-14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Input method control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9581A1 (en) * 2008-10-29 2010-05-06 Nokia Corporation Adaptive search
KR101050671B1 (en) * 2009-08-11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KR101104041B1 (en) * 2009-11-24 2012-01-06 (주)코어테크놀로지 interface device of virtual-keyboard.
WO2012077845A1 (en) * 2010-12-10 201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US9753544B2 (en) 2010-12-10 201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WO2013115440A1 (en) * 2012-01-30 2013-08-08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on multi-touch screen by using tapping motion
KR20140050987A (en) * 2012-10-22 201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0555A (en)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14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KR1010856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EP19536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JP6000385B2 (en) Multilingu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KR1011027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JP2003015808A (en) Touch-type key input apparatus
KR200400678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EP2537083A1 (en) Configurable multilingual keyboard
KR200901034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US8190421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Arif et al. A survey of text entry techniques for smartwatches
KR101046914B1 (en) Recursive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10022956A1 (en)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401919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CA2541580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TWI793232B (en) Touchscreen user interface with multi-language support
KR20170112838A (en) A keyboard in which complex hangeul vowel is allocated
KR101347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20230020711A (en) Apparatus for inputing english text for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114290A (en) A keyboard in which complex hangeul vowel is allocated
KR20160031700A (en) The method of noticing alphabet which has been inputted shortly before now when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KR20140109310A (en) The method of noticing alphabet which has been inputted shortly before now when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JP2002157073A (en) Screen key board,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key board,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control program for screen key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