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737B1 - 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737B1
KR101439737B1 KR1020130008480A KR20130008480A KR101439737B1 KR 101439737 B1 KR101439737 B1 KR 101439737B1 KR 1020130008480 A KR1020130008480 A KR 1020130008480A KR 20130008480 A KR20130008480 A KR 20130008480A KR 101439737 B1 KR101439737 B1 KR 10143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unit
cover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4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5733A (en
Inventor
구대희
Original Assignee
구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대희 filed Critical 구대희
Priority to KR102013000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737B1/en
Publication of KR2014009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7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는,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단말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back cover are disclosed. A terminal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art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terminal body; An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unit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an interface unit installed in the cover unit for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terminal body.

Description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단말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를 교체하거나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 후면에 장착하여 손쉽게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terminal display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for easily inputting a rear input by replacing a battery cover of an existing terminal or attaching the battery cover to a rear surface of a battery cover of an existing terminal by including an interface part for connection, ≪ / RTI >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와 같은 입력수단이 접촉(터치)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A touch screen or a touch panel detects a touch position when an input means such as a human hand or an object touches a character or a specific position displayed on a screen (screen) without using a keyboard, And a user interfac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processing.

터치 패널의 예로서 압력식(Resistvie Overlay),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의 터치 패널이 있다. 최근에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터치 포인트들을 추출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식이 등장하였다.Examples of touch panels include Resistvie Overlay, Surface Acoustic Wave, Capacitive Overlay, and Infrared Beam touch panel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nable more complex and diverse interfaces, a multi-touch input method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touch points has appeared.

그런데, 터치패널을 구비한 종래의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거나 어떤 아이콘을 선택하여 특정 명령을 실행하는 등의 작업을 함에 있어 다소의 불편함이 존재하거나 잘못된 입력 작업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provided with a touch panel, there are some inconveniences in the user's inputting a character, selecting an icon, executing a specific command, etc., .

종래의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서는 화면을 이동하거나 특정 아이콘을 선택할 때, 사용자가 주로 오른속 엄지를 사용하여 비교적 넓은 영역의 전면 터치 패널을 두루 옮겨 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이 아닌 다른 아이콘을 선택하는 실수를 범하기가 쉬웠고, 또한 전편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 있는 아이콘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때에 따라서는 엄지 부분이 아닌 손의 다른 부분에 터치패널이 접촉되어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휴대폰의 패널 크기가 증가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when the user moves the screen or selects a specific icon, the user has to carry out the operation while moving the front touch panel of a relatively large area mainly using the right thumb. Accordingly, it is easy for a user to make a mistake of selecting an icon other than the icon desired by the user, and when an icon near the upper edge of the front panel is selected, the touch panel There is a problem that an unwanted application is performed. This problem is more prominent as the size of the cellular phone increases.

이러한 전면 터치 패널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후면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면 터치 패널과 후면 입력부를 함께 이용하여 단말 본체를 조작하는 방식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후면 입력부가 생산 당시부터 구비되어 있어야만 후면 입력부를 활용할 수 있고, 후면 입력부가 없는 기존의 단말 사용자들은 계속 전면 터치 패널만을 이용하여 단말을 조작할 수 밖에 없었다.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front touch panel, a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body by using the front touch panel and the rear input unit together with the rear input unit has appeared. However, this method can only utilize the rear input unit when the rear input unit is provided from the time of production, and existing terminal users without the rear input unit have to operate the terminal using only the front touch panel.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단말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를 교체하거나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 후면에 장착하여 손쉽게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placing a battery cover of an existing terminal or replacing a battery cover of an existing terminal by includ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d an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terminal main body, And to provide a terminal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for easily inputting a rear input and a terminal display controller including the back co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는,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단말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terminal body; An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unit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an interface unit installed in the cover unit for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terminal body.

상기 커버부는, 상기 단말 본체의 배터리를 덮어서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 또는 상기 단발 본체의 후면에 장착된 배터리 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는 단말 케이스일 수 있다.The cover portion may be a battery cover which is mounted to cover the battery of the terminal main body or a terminal case which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ingle main body.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와 함께 연동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receive a gesture input of a user by being interlocked with a main display unit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interface uni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 본체의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 본체의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 본체의 제어부와 송수신할 수 있다.Wherein the interface unit generates a pointer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input unit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holds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If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input unit is within the pointer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o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main body.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일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be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상기 포인터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The pointer may be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단말 본체의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가 생성된 이후에,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신호를 상기 단말 본체의 제어부와 송수신할 수 있다.After the pointer is generated in the main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body, the interface unit can transmit / receive a signal for moving the pointer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body.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The second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상기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및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command may be at least one of a specific key selection, a forward / backward page movement, a page scroll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a specific application end, a screen capture, and a screen size adjust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표시 제어 장치는, 단말 본체 및 단말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후면 커버는, 상기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단말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본체는, 상기 단말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및 상기 단말 후면 커버의 입력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terminal body and a terminal rear cover, the terminal rear cover including: a cover portion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unit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an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terminal main body, wherein the terminal main body comprises: a main display uni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pointer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input unit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of the rear cover of the terminal and holding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second input from the input unit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when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input unit is located in the pointer,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is execut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상기 커버부는, 상기 단말 본체의 배터리를 덮어서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 또는 상기 단발 본체의 후면에 장착된 배터리 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는 단말 케이스일 수 있다.The cover portion may be a battery cover which is mounted to cover the battery of the terminal main body or a terminal case which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ingle main bod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If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the control unit can remove the existing pointer and generate a new pointer.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일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be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상기 포인터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The pointer may be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생성된 이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point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fter the pointer is generated.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The second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상기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및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command may be at least one of a specific key selection, a forward / backward page movement, a page scroll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a specific application end, a screen capture, and a screen size adjust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gaze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input unit.

상기 단말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전면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시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isual line sensor attached 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for sensing a user's line of sigh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gaze detected by the gaze sensor unit.

상기 단말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단말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커버부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단말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terminal body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an operate the terminal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cover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단말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를 교체하거나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 후면에 장착하여 손쉽게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and an interface unit for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main body are provided in a cover unit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A terminal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for easily mounting the rear cov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and a terminal display controller including the rear cov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의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가 단말 본체와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가 단말 본체의 뒷면에 장작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를 포함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와 단말 본체 간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가 단말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말 후면 커버의 입력부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의 입력부를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 본체의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를 포함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서 입력부를 통한 제1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 생성 후 제 2입력에 의한 페이지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and 2 show front and rear views of a rear cover of a terminal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a terminal body.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FIG. 5 illustrates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terminal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terminal back cover and a terminal main body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put method through an input unit of a rear cover of a terminal in a state that the rear cover of the terminal having the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inter generated in a main display unit of a terminal body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hrough an input unit of a back cover of a terminal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a pointer is generated in a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first input through an input unit, Fig.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Further, the term "part" in the descrip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는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단말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terminal rear cover having the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erminal or a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태블릿(tablet) 컴퓨터, 모바일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컴퓨터, 휴대용 정보기기, 휴대용 디스플레이기 및 게임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may be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computer, a mobile terminal, a portable computer, a smart computer,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one or mor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의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가 단말 본체와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가 단말 본체의 뒷면에 장작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를 포함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와 단말 본체 간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가 단말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말 후면 커버의 입력부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and 2 are front and rear views of a rear cover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terminal body, and FIG. 5 illustrates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terminal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terminal body and a terminal body.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is mounted on a terminal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r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system made of parts of the cover through the inpu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10)는 단말 본체(2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11); 상기 커버부(11)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100); 상기 커버부(11)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00)와 단말 본체(20)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7, a terminal rear cover 10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unit 11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terminal body 20; An input unit 100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unit 11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an interface unit 150 installed in the cover unit 11 and for connecting the input unit 100 to the terminal body 2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를 포함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는 단말 본체(20); 및 상기 단말 본체(20)에 장착되는 단말 후면 커버(10)를 포함하는데, 단말 후면 커버(10)는 단말 본체(2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11); 상기 커버부(11)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100); 상기 커버부(11)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00)와 단말 본체(20)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한다.Also, a terminal display controller including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20; And a terminal rear cover 10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20. The terminal rear cover 10 includes a cover part 11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0; An input unit 100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unit 11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an interface unit 150 installed in the cover unit 11 and for connecting the input unit 100 to the terminal body 20. [

단말 후면 커버(10)의 커버부(11)는 상기 단말 본체(20)의 배터리(21)를 덮어서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 또는 상기 단발 본체(20)의 후면에 장착된 배터리 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는 단말 케이스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단말 후면 커버(10)의 커버부(11)가 배터리 커버인 경우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단말 후면 커버(10)가 상기 단발 본체(20)의 후면에 장착된 배터리 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는 단말 케이스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10)는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를 교체하거나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 후면에 장착하여 손쉽게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ver 11 of the terminal rear cover 1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ngle body or the battery cover mounted on the battery body 21 of the terminal body 20, Case. 1 to 7, only the case where the cover portion 11 of the terminal rear cover 10 is a battery cover is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ngle foot body 20. Therefore, the terminal rear cover 10 having the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place the battery cover of the existing terminal or mount it on the rear surface of the existing battery cover of the terminal, have.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접속된 단말 본체(20)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커버부(11)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단말의 조작이 가능하다.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terminal body 20 connected via the interface unit 150, the terminal can be op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100 provided in the cover unit 11. [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10)에는 커버부(11)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입력부(100)가 구비되어 있다. 입력부(100)는 상기 단말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 본체(20)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200)와 함께 연동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받게 된다.1 to 5, the terminal rear cover 10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100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unit 11 . The input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main display unit 20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0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receives a user's gesture input.

입력부(100)는 단말 후면 커버(10)의 커버부(11)의 특정 영역에 설치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의 중상반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그보다 위 또는 아래의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타원형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입력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후면 커버(10)가 단말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 본체(20)와 단말 후면 커버(10)를 손으로 잡았을 때 통상적으로 검지 손가락 또는 중지 손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input unit 100 is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of the cover 11 of the terminal rear cover 10 and may be formed over the middle half of the cover 11 as shown in FIGS. 1 and 2, But may be installed in an area above or below it. Also, the input unit 1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2, or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7, when the user inserts the terminal rear cover 10 into the terminal main body 20 and the terminal rear cover 10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rear cover 10 is mounted on the terminal main body 20, It would be preferable to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index finger or the stop finger is normally positioned when the finger is held by hand.

입력부(100)는 상기 커버부(11)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입력부(100)는 정전 용량식(Capacitive Type), 저항막 방식(감압식)(Resistive Type),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및 광학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말 본체(20)가 아이패드(iPad) 태블릿과 같이 터치 방식 중 정전식 터치만을 지원하는 경우, 입력부(100)는 감압식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00 may be a touch panel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unit 11 to sense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The input unit 100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or more of a capacitive type, a resistive type (resistive typ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an infrared type, an ultrasonic type, And can detect the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Meanwhile, when the terminal body 20 supports only the electrostatic type touch of the touch type like the iPad tablet, the input unit 100 can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using the depressurization type .

상기 단말 후면 커버(10)의 입력부(100)를 활성화시키는 커버 입력 기능 활성화 키(미도시)는 단말 본체(20)나 단말 후면 커버(10)의 앞면, 뒷면, 측면 등의 어느 특정한 지점에 있는 입력 키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커버 입력 기능 활성화를 시키기 위해 미리 지정된 모션동작이나 단말 본체(20)의 메인 표시부(200) 상의 특정 지점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키가 될 수도 있다.A cover input function activation key (not shown) for activating the input unit 100 of the terminal rear cover 10 is located at a specific point on the front surface, back surface, side surface, etc. of the terminal body 20 or the terminal rear cover 10 Or may be a button or a key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of the terminal main body 20 or a predetermined motion operation for activating the cover input function.

단말 후면 커버(10)에서, 커버부(11)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본체(20)의 뒷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입력부(100)는 상기 단말 후면 커버(10)가 단말 본체(20)의 뒷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3 and 6, the input unit 100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rear cover 10, and the terminal cover 10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0,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input while being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10)는 입력부(100)와 단말 본체(20) 간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하고 있는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각종의 명령이나 터치입력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단말 본체(20)의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에 설치될 수 있다.The terminal rear cover 10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150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100 and the terminal body 20, Various commands and touch input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of the terminal body 2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 The interface 150 may be installed in the cover portion 11 as shown in FIG.

단말 본체(20)는 상기 단말 본체(20)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20 includes a main display unit 20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0; And a control unit 300.

메인 표시부(200)는 단말 본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단말 표시 제어 장치(1)의 다양한 종류의 상태(예를 들어, 충전 정도, 온, 오프 상태 여부 등)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메인 표시부(200)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표시부(2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LED(Light Emitting Diode)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ain display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20 and displays various kinds of states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 (for example, . In this case, the main display unit 200 may be a separate display module that can display the status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 [ In one embodiment, the main display 20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device.

상기 커버 입력 기능 활성화 키(미도시)를 통해 커버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단말 후면 커버(10)의 입력부(100)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100)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에 포인터(도 8의 210)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100)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가 제1 입력 이후에 제2 입력을 입력하기까지 충분한 시간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3초에서 5초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포인터는 메인 표시부(200)에서 사라지게 된다.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cover input function activation key (not shown),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the first input from the input unit 100 of the terminal rear cover 10 on the input unit 100 (210 in FIG. 8)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f the input unit 100, holds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If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input unit 100 is located in the pointer,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is executed .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by the user at a time sufficient for the user to input the second input after the first input.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from 3 seconds to 5 seconds.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pointer disappears from the main display unit 200.

이 때, 단말 후면 커버(1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단말 본체(20)의 제어부(300)가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 본체(20)의 제어부(300)와 송수신하게 된다.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terminal back cover 10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300 of the terminal main body 20 to the controller 300 of the terminal main body 20, Lt; / RTI >

제어부(300)는 제1 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생성된 이후에 제2 입력이 입력되고,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새로운 포인터를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에 생성할 수 있다.If the second input is inputted after the pointer is generated by the first input and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Can be removed and a new pointer can be created.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300 may generate a new pointer at a location on the main display 10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단말 후면 커버(10)의 입력부(100)에 제 1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단말 본체(20)의 메인 표시부(200)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가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200)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단말 본체(20)는 시선 감지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0 displays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200 of the terminal body 20 corresponding to the user's gaze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input unit 100 of the back cover 10 of the terminal Can be generated. The terminal body 20 may include a line sensor 110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300 to generate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200 in response to the user's line of sight.

시선 감지 센서(110)는 단말 본체(20)의 전면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고,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200) 상에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시선 감지 센서(110)는 단말 표시 본체(20)에 구비된 카메라일 수 있다.The visual line sensor 110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0 to detect the user's gaze and the controller 300 can generate a pointer on the main display 200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gaze have. In this case, the line of sight sensor 110 may be a camera provided in the terminal display main body 20.

일 실시 예에서, 단말 표시 제어 장치(1)는 시선 감지 센서(110)의 ON/OFF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시선 감지 기능 활성화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선 감지 기능 활성화키(미도시)를 이용하여 시선 감지 센서(110)를 ON/OFF 함으로써, 제어부(300)가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200)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ON/OFF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visual line detection function activation key (not shown) which can set the ON / OFF state of the visual line detection sensor 110. The user can turn on / off the visual perception sensor 110 by using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ctivation key (not shown), and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300 to generate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line of sight Can be turned ON / OFF.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를 포함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8 and 9,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ler including the terminal back cover having the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의 입력부를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 본체의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inter generated in a main display unit of a terminal body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hrough an input unit of a back cover of a terminal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포인터가 생성된 이후에, 제어부(30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포인터(210)를 이동시킬 수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단말 후면 커버(1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단말 본체(20)의 제어부(300)가 상기와 같이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신호를 상기 단말 본체의 제어부와 송수신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 after the pointer is generated, it is shown that the controller 300 can move the pointer 21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t this time,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terminal rear cover 10 transmits / receives a signal for moving the pointer as described above to /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main unit 20 of the terminal main body 20.

포인터(2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포인터(2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포인터(210)는 최소 지름 1cm 정도의 크기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최대 2cm까지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The pointer 210 may have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lternatively, the pointer 210 may be in the shape of another figure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ointer 210 has a minimum diameter of about 1 cm, and the size of the pointer 210 can be adjusted up to 2 cm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입력부(100)로부터 제 1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300)는 입력부(100) 상에서의 상기 제 1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에 포인터(210)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210)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입력부(100)로부터 제 2입력이 입력되면 입력부(100)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가 포인터(210)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 2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100)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입력부(100)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200)상의 위치가 포인터(210)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다시 제1 입력이 입력되어 새로운 위치에 포인터(210)가 생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100, the controller 300 generates a pointer 210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input unit 100, The posi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2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input unit 100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100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When positioned within the pointer 210, it can be controlled to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If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input unit 100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210 when a second input is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100, The first input may be input again and a pointer 210 may be generated at a new position.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제스처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특정 동작을 취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입력부(100) 상에 터치 후 터치 상태에서 손가락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second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The gesture input is performed by taking a specific action with a user's finger and performing an input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moving or rotating the finger in a specific direction on the input unit 100 in a touch- will be.

상기 제 2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may be at least one of a specific key selection, a forward / backward page movement, a page scroll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a specific application end, a screen capture, and a screen size adjustment.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를 포함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서 입력부를 통한 제1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 생성 후 제 2입력에 의한 페이지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terminal rear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a pointer is generated in a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first input through an input unit, Fig.

도 9를 참조하면,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입력부(100)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에 포인터(210)가 생성되고, 입력부(100)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입력부(100)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된다. 이 때, 제2 입력은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9, when a first input is input, a pointer 210 is generated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2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input unit 100, and a pointer 210 is generated from the input unit 100 When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2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input unit 100 is located in the pointer, an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is executed. At this time, the second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도 9에 도시된 제스처 입력은 입력부(100) 상에 터치 후 터치 상태에서 손가락을 좌측으로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제스처 입력에 의해 단말 표시 제어 장치(1)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표시 제어 장치(1)의 메인 표시부(200)에 표시된 것이 웹페이지인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에 의해 이전 페이지 이동의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The gesture input shown in FIG. 9 is obtained by moving a finger to the left in the touch-after-touch state on the input unit 100. With this gesture input,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 can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For example, when the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 the previous page movement command may be executed by the gesture input.

이와 유사하게, 입력부(100) 상에 터치 후 터치 상태에서 손가락을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다음 페이지 이동의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00) 상에 터치 후 터치 상태에서 손가락을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페이지 스크롤링의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finger is moved to the right in the touch-after-touch state on the input unit 100, an instruction to move the next page can be executed. Alternatively, when the finger is moved up and down in the touch-after-touch state on the input unit 100, a page scrolling command may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 후면 커버(10)가 단말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부(11)에 설치된 입력부(100)를 통해 원하는 각종의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단말 조작을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input desired various commands through the input unit 100 installed in the cover unit 11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rear cover 10 is mounted on the terminal main body 20 So that the terminal operation can be made more convenient.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갖는 단말 후면 커버는, 단말 본체의 배터리를 보호하는 단말 후면 커버의 본연의 임무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를 교체하거나 기존의 단말의 배터리 커버 후면에 장착하여 손쉽게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단말 본체에 장착되는 단말 후면 커버의 입력부에 터치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하는 것에 의해 단말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 조작의 실수나 오류를 감소시키고 터치 입력 등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rear cover having the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aithfully perform the task of the terminal rear cover for protecting the battery of the terminal body, The battery cover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of the terminal and the touch input or motion input can be performed on the input portion of the terminal rear cover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mistakes or errors in terminal operation an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ouch input and the lik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as limitatio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단말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 본체의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 본체의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 본체의 제어부와 송수신하며,
상기 입력부는,
기 지정된 모션동작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후면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A cover portion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unit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And an interface unit installed in the cover unit for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terminal body,
The interface unit includes:
When a first input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a pointer is generated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input unit to hold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second input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when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main bod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input unit is located in the pointer,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is executed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main body,
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Wherein the back input function is activated when a pre-designated motion oper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단말 본체의 배터리를 덮어서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 또는 상기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된 배터리 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는 단말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terminal cover is a terminal cover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battery cover mounted on the battery cover or a battery cov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와 함께 연동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Wherein the back cover has a rear input function, the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the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the back cover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Wherein the touch panel is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inter has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단말 본체의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가 생성된 이후에,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신호를 상기 단말 본체의 제어부와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unit includes:
Wherein a signal for moving the pointer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s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a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main body after a pointer is generated in the main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main body. One terminal rear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input comprises:
Wherein the gesture input is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및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and includes:
Wherein the back cover has at least one of a specific key selection, a front and back page movement, a page scroll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a specific application termination, a screen capture, and a screen size adjustment.
단말 본체 및 단말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후면 커버는,
상기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단말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본체는,
상기 단말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및
상기 단말 후면 커버의 입력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기 지정된 모션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후면 입력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A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including a terminal body and a terminal rear cover,
The terminal rear cover includes:
A cover unit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unit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And an interface unit installed in the cover unit for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terminal body,
The terminal body includes:
A main display uni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A pointer is generated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input unit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of the terminal rear cover, the pointer is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econd input from the input unit is input, when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input unit is located in the pointer,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And activates the rear input function when receiving a pre-designated motion operation from a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단말 본체의 배터리를 덮어서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 또는 상기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된 배터리 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는 단말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terminal cover is a battery cover which is mounted to cover the battery of the terminal main body or a terminal case which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Wherein when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the existing pointer is removed and a new pointer is gener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And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ointer is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생성된 이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nd moves the point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fter the pointer is gener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input comprises:
Wherein the gesture input is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및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mmand includes:
Wherein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is any one of at least one of a specific key selection, a front and back page movement, a page scroll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a specific application end, a screen capture, and a screen size adjustm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Wherein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input unit, the pointer is generated on the main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a line of sight of the us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본체 전면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시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 line of sight sensor attached 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to sense a user's line of sight,
Wherein,
Wherein the pointer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a line of sight of the user detected by the line of sight detection sens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단말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커버부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단말의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terminal body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terminal can be op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cover unit.
KR1020130008480A 2013-01-25 2013-01-25 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439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80A KR101439737B1 (en) 2013-01-25 2013-01-25 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80A KR101439737B1 (en) 2013-01-25 2013-01-25 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733A KR20140095733A (en) 2014-08-04
KR101439737B1 true KR101439737B1 (en) 2014-09-12

Family

ID=5174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480A KR101439737B1 (en) 2013-01-25 2013-01-25 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7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82B1 (en) 2014-12-04 2016-04-14 이동훈 Mobile terminal case apparatus having electrostatic touch pannel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83A (en) 2015-01-21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793A (en) * 2000-12-04 2002-06-12 홍경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touch panel on the back and user interface therefor
KR100849336B1 (en) * 2007-03-30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key operation in a dual-display wireless terminal
KR20080102503A (en) * 2007-05-21 2008-11-26 한국과학기술원 Mobile device with input units behind the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793A (en) * 2000-12-04 2002-06-12 홍경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touch panel on the back and user interface therefor
KR100849336B1 (en) * 2007-03-30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key operation in a dual-display wireless terminal
KR20080102503A (en) * 2007-05-21 2008-11-26 한국과학기술원 Mobile device with input units behind the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82B1 (en) 2014-12-04 2016-04-14 이동훈 Mobile terminal case apparatus having electrostatic touch pannel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733A (en)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7468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ouch pad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US97337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26104B2 (en) Thumb access area for one-handed touchscreen use
EP3754471B1 (e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haptic effect
KR10216076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a gesture to control functions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KR10217884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EP40803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AU2014208041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to input unit
KR10203114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KR1022644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EP2752737B1 (en) Portable device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ic pen and portable device thereof
US20150199125A1 (en) Displaying an application image on two or more displays
KR10140423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155836B1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objects display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JP2016126363A (en) Touch screen input metho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6235349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operation function
KR101439737B1 (en) 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200057518A1 (en) Smart touch pad device
KR1014450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with backside input function and sight line sensor
KR101311832B1 (en) 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KR101371524B1 (en) Mouse Device For Controlling Remote Access
KR20140100668A (en) Smart Device Cover and Smart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56868A (e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2001005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