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06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with backside input function and sight line senso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with backside input function and sight lin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062B1
KR101445062B1 KR1020130004538A KR20130004538A KR101445062B1 KR 101445062 B1 KR101445062 B1 KR 101445062B1 KR 1020130004538 A KR1020130004538 A KR 1020130004538A KR 20130004538 A KR20130004538 A KR 20130004538A KR 101445062 B1 KR101445062 B1 KR 10144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ointer
user
mai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2142A (en
Inventor
구대희
Original Assignee
구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대희 filed Critical 구대희
Priority to KR102013000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062B1/en
Publication of KR2014009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0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후면 입력 기능과 시선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표시 제어 장치는, 단말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상기 단말의 후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후면 입력부; 및 상기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line-of-sight detection sensor are disclosed.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display uni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a terminal; A rear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pointer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ted from the rear input unit, And to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when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f the second input is within the pointer.

Description

후면 입력 기능과 시선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with backside input function and sight line sens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and a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line-

본 발명은 후면 입력기능과 시선 감지 센서 기능을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후면의 소정 영역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가 생성되고 제2 입력이 입력되면 메인 표시부에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시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visual-line sensor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nd to cause the main display unit to execute a corresponding command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와 같은 입력수단이 접촉(터치)하는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터치 패널의 예로서 압력식(Resistive Overlay), 표면초음파방식(Surface Acousticwav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의 터치 패널이 있다. 최근에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터치 포인터들을 추출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식이 등장하였다. A touch screen or a touch panel detects a touch position when an input means such as a human hand or an object touches a character or a specific position displayed on a screen (screen) without using a keyboard, And a user interfac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processing. Examples of touch panels include Resistive Overlay, Surface Acoustic Wave, Capacitive Overlay, and Infrared Beam touch panels. Recently, a multi-touch input method for extracting various touch pointers has appeared in order to enable a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interface.

그런데, 터치 패널을 구비한 종래의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거나 어떤 아이콘을 선택하여 특정 명령을 실행하는 등의 작업을 함에 있어 다소의 불편함이 존재하거나 잘못된 입력 작업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provided with a touch panel, there are some inconveniences in the user's inputting a character, selecting an icon, executing a specific command, etc., .

종래의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서는 화면을 이동하거나 특정 아이콘을 선택할 때, 사용자가 주로 오른손 엄지를 사용하여 비교적 넓은 영역의 전면 터치 패널을 두루 옮겨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이 아닌 다른 아이콘을 선택하는 실수를 범하기가 쉬웠고, 또한 전면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 있는 아이콘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 때에 따라서는 엄지 부분이 아닌 손의 다른 부분에 터치 패널이 접촉이 되어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있다.In the conventional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when the user moves the screen or selects a specific icon, the user has to carry out the operation while moving the front touch panel of a relatively large area mainly using the right thumb. Accordingly, it is easy for a user to make a mistake of selecting an icon other than an icon desired by the user, and when an icon near the upper edge of the front panel is to be selected, touching another part of the hand The panel is in contact and has unwanted applica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표시 제어 장치 후면의 소정 영역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가 생성되고 제2 입력이 입력되면 메인 표시부에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시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which has a function of causing a main display unit to execute a corresponding command when a pointer is generated in a main display unit and a second input is inputted, 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r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표시 제어 장치는, 단말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상기 단말의 후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후면 입력부; 및 상기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display uni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a terminal; A rear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d a point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ointer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ted from the rear input unit to hold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 from the rear input unit, when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is within the pointer, And a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일 수 있다.If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the control unit can remove the existing pointer and generate a new pointer. The rear input unit may be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상기 포인터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The pointer may be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 이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After the first input, 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point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second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상기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및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command may be at least one of a specific key selection, a forward / backward page movement, a page scroll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a specific application end, a screen capture, and a screen size adjust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gaze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rear input unit.

상기 단말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전면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 시선을 감지하는 시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visual line sensor attached 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for sensing a user's line of sigh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main display unit The pointer can be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표시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후면에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A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setting a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when a first input is inputted from a rear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Generating a pointer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and maintaining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a second input from the rear input unit is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if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is within the pointer, And executing the command to execute the command.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And removing the existing pointer and creating a new pointer if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상기 포인터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The pointer may be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상기 단말 표시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입력 이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first input, moving the point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The second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상기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및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command may be at least one of a specific key selection, a forward / backward page shift, a page scroll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a specific application end, a screen capture, and a screen size adjustment.

상기 단말 표시 제어 방법은 상기 후면 입력부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gaze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rear input unit.

상기 후면 입력부에 제1 입력이 입력되고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시선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단말 전면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a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user's line of sight by inputting a first input to the rear input unit includes the steps of: And generating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gaze detected by the gaze sensor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 표시 제어 장치 후면의 제1 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생성되고 제2 입력이 입력되면 메인 표시부에서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명령 입력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의 실수나 오류를 감소시키고 터치 입력 등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후면 입력 기능과 시선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inter is generated by a first input on the back side of a terminal display controller and a second input is inputted, a corresponding command can be executed in the main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line-of-sight sensor, which can reduce errors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ouch input or the lik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표시부, 후면 입력 기능과 시선 감지 센서 기능을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과 시선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표시 제어 장치에서 후면 입력부를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에서 후면 입력부(200)를 통한 제1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100)에 포인터(210) 생성 후 제2 입력에 의한 페이지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과 시선 감지 센서 기능을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S. 1 and 2 show front and rear views of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having a main display unit, a rear input function, and a line-of-sight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line-of-sigh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inter generated in a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touch input through a rear input unit in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pointer 210 in a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a first input through a rear input unit 200 in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and FIG.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line-of-sight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Further, the term "part" in the descrip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과 시선 감지 센서 기능을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는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단말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nd a line-of-sight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erminal or a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태블릿(tablet) 컴퓨터, 모바일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컴퓨터, 휴대용 정보기기, 휴대용 디스플레이기 및 게임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may be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computer, a mobile terminal, a portable computer, a smart computer,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one or mor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표시부(100), 후면 입력 기능(200)과 시선 감지 센서 기능(110)을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1 and 2 illustrat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10 having a main display unit 100, a rear input function 200, and a sight line sensor functio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200)과 시선 감지 센서(110)를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10 including a rear input function 200 and a visual line senso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는 메인 표시부(100), 후면 입력부(200), 제어부(300) 및 시선 감지 센서(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2, and 3, the terminal display controller 10 may include a main display unit 100, a rear input unit 200, a controller 300, and a line of sight sensor 110.

도 1, 도 2,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제어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 도 2,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control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FIG. 2, and FIG. 3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thereof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2 and 3,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depending on the user.

메인 표시부(100)는 단말 전면에 설치되어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의 다양한 종류의 상태(예를 들어, 충전 정도, 온, 오프 상태 여부 등)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메인 표시부(100)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표시부(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LED(Light Emitting Diode)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ain display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terminal and displays various kinds of states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0 (for example, the degree of charging, on, off, etc.). In this case, the main display unit 100 may be a separate display module that can display the status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0. [ In one embodiment, the main display unit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device.

후면 입력부(200)는 상기 단말의 후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후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은 가로 4cm, 세로 3cm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끝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는 소정의 크기일 수 있다. 후면 입력부(200)는 정전 용량식(Capacitive Type), 저항막 방식(감압식)(Resistive Type),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및 광학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가 아이패드(iPad) 태블릿과 같이 터치 방식 중 정전식 터치만을 지원하는 경우, 후면 입력부(200)는 감압식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input unit 200 may be a touch panel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and capable of sensing a user's touch operation.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area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may b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width of 4 cm and a length of 3 cm, and may be a predetermined size free of movement of the user's fingertip. The rear input unit 200 may be implemented using any one of a capacitive type, a resistive type, a resistive typ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an infrared type, an ultrasonic type, and an optical type And can be configured to detect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0 supports only the electrostatic touch of the touch method like the iPad tablet, the rear input unit 200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using the depressurization method .

구체적으로, 후면 입력부(200)와 시선 감지 센서(110)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300)을 거쳐 메인 표시부(100)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후면 입력부(200)로부터 터치 조작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후면 입력부(200)와 메인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es of the rear input unit 200 and the visual-line sensor 110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 The controller 300 converts the touch operation from the rear input unit 200 to an input signal. 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rear input unit 200 and the main display unit 100.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의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후면 입력부(200)를 직접 접촉함으로써 제어부(300)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300)는 후면 입력부(200)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후면 입력부(200)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후면 입력부(200)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후면 입력부(200)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가 제1 입력 이후에 제2 입력을 입력하기까지 충분한 시간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3초에서 5초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새로운 포인터를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에 생성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0 directly touches the rear input unit 200 using his / her finger, so that the controller 300 senses the touch operation. The control unit 300 generates a pointer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rear input unit 200,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ted from the rear input unit 200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It is possible to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by the user at a time sufficient for the user to input the second input after the first input.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from 3 seconds to 5 seconds. If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the controller 300 can remove the existing pointer and generate a new pointer.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300 may generate a new pointer at a location on the main display 10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후면 입력부(200)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100)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rear input unit 200, the controller 300 may generate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according to the user's gaze.

제어부(300)가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100)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는 시선 감지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10 may include a line-of-sight sensor 110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300 to generate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line of sight.

시선 감지 센서(110)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의 전면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고,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100) 상에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는 시선 감지 센서(110)의 ON/OFF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 활성화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능 활성화키(미도시)를 이용하여 시선 감지 센서(110)를 ON/OFF 함으로써, 제어부(300)가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100)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ON/OFF 할 수 있다.The visual line sensor 110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ler 10 to detect the user's gaze an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00 generates a pointer on the main display 100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gaze can do. In an embodiment,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activation key (not shown) that can set the ON / OFF state of the visual-attention sensor 110. The user turns the function of generating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in response to the user's gaze by turning the visual perception sensor 110 ON / OFF by using a function activation key (not shown) / OFF.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에서 후면 입력부(200)를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100)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pointer generated in the main display unit 100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hrough the rear input unit 200 in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포인터가 생성된 이후에, 제어부(30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포인터(210)를 이동시킬 수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 포인터(2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포인터(2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포인터(210)는 최소 지름 1cm 정도의 크기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최대 2cm까지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4, after the pointer is generated, it is shown that the controller 300 can move the pointer 21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pointer 210 may have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lternatively, the pointer 210 may be in the shape of another figure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ointer 210 has a minimum diameter of about 1 cm, and the size of the pointer 210 can be adjusted up to 2 cm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후면 입력부(200)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300)는 후면 입력부(200)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에 포인터(210)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210)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후면 입력부(200)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후면 입력부 (200)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가 포인터(210)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면 입력부(200)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후면 입력부(200)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상의 위치가 포인터(210)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다시 제1 입력이 입력되어 새로운 위치에 포인터(210)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generates a pointer 210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ted from the rear input unit 200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 Is located in the pointer 210, it can control to execute the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is located in the pointer 210 The first input may be input again to generate the pointer 210 at the new location.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제스처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특정 동작을 취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후면 입력부(200) 상에 터치 후 터치 상태에서 손가락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second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The gesture input is performed by taking a specific action with a user's finger and performing input through, for example, an operation such as moving or rotating the finger in a specific direction in a touch-after-touch state on the rear input unit 200 .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may be at least one of a specific key selection, a forward / backward page movement, a page scroll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a specific application end, a screen capture, and a screen size adjustm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에서 후면 입력부(200)를 통한 제1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100)에 포인터(210) 생성 후 제2 입력에 의한 페이지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pointer 210 in a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a first input through a rear input unit 200 in a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를 참조하면, 제1 입력이 입력되면 후면 입력부(200)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에 포인터(210)가 생성되고, 후면 입력부(200)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후면 입력부(200)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된다. 이 때, 제2 입력은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5, when a first input is input, a pointer 210 is generated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and the pointer 210 is generated from the rear input unit 200 When a second input is inputted, when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is located in the pointer,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is executed. At this time, the second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도 5에 도시된 제스처 입력은 후면 입력부(200) 상에 터치 후 터치 상태에서 손가락을 좌측으로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제스처 입력에 의해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의 메인 표시부(100)에 표시된 것이 웹페이지인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에 의해 이전 페이지 이동의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The gesture input shown in FIG. 5 is obtained by moving a finger to the left side in the touch-after-touch state on the rear input unit 200. By this gesture input,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0 can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For example, when a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10, a previous page movement command may be executed by the gesture input.

이와 유사하게, 후면 입력부(200) 상에 터치 후 터치 상태에서 손가락을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다음 페이지 이동의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는 후면 입력부(200) 상에 터치 후 터치 상태에서 손가락을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페이지 스크롤링의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finger is moved to the right in the touch-after-touch state on the rear input unit 200, a command for moving the next page can be executed. Alternatively, when the finger is moved up and down in the touch-after-touch state on the rear input unit 200, a page scrolling command may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having a rea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서 후면 입력부(200)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S501) 후면 입력부(200)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상의 위치에 포인터(210)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210)를 유지한다(S502). 그리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후면 입력부(200)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후면 입력부(200)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가 포인터(210) 내에 위치하면(S503),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S504). 단계(S503)에서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가 포인터(210)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S502). 일 실시예에서, 새로운 포인터를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에 생성할 수 있다.6, when a first input is inputted from the rear input unit 200 in step S501, a pointer is displayed on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210) and holds the pointer (210) for a predetermined time (S502).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ted from the rear input unit 200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is stored in the pointer 210 If it is positioned (S503), control is performed to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S504). If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210 in step S503, the existing pointer may be removed and a new pointer may be created (S502). In one embodiment, a new pointer may be created at a location on the main display 10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감지 센서 기능을 구비한 단말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having a visual-line senso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가 시선 감지 센서와 기능 활성화키를 포함할 경우, 단말 표시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is performed when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 sensor and a function activation key.

사용자가 기능 활성화키 입력 후(S505) 후면 입력부(200)에 터치 조작을 통하여 제1 입력이 입력되면(S506), 시선 감지 센서(11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한다(S507). 그리고 제1 입력이 있은 후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상(100)에 포인터(210)가 생성된다(S508). 포인터가 생성된 후에 후면 입력부(200)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후면 입력부(200)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가 포인터(210) 내에 위치하면(S509),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S509). 단계(S509)에서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가 포인터(210)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S508). 일 실시예에서, 새로운 포인터를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100) 상의 위치에 생성할 수 있다.After the user inputs a function activation key (S505),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ted through the touch operation to the rear input unit 200 in step S506, the visual perception sensor 110 senses the user's gaze in step S507. After the first input, the pointer 210 is generated i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s line of sight (S508).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ted from the rear input unit 200 after the pointer is generated,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200 is positioned within the pointer 210 (S509), and controls to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S509). If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210 in step S509, the existing pointer may be removed and a new pointer may be created (S508). In one embodiment, a new pointer may be created at a location on the main display 10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10)가 소형인 경우에 단말 표시 제어 장치의 작은 화면에 직접 입력을 수행하지 않고 후면 입력부(200)를 통하여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Due to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perform the input more accurately by performing the input through the rear input unit 200 without performing direct input to the small screen of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when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10 is small .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as limitatio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7)

단말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상기 단말의 후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후면 입력부; 및
상기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A main display uni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A rear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d
Wherein when a first input is input from the rear input unit, a pointer is generated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to hold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econd input is input from the rear input unit, when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is within the pointer, And a controller,
Wherein,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rear input unit, generates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a line of sight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when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the existing pointer is removed and a new pointer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
And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inter is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한 이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moves the point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fter generating the poi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input comprises:
Wherein the gesture input is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및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and includes:
Wherein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is any one of at least one of a specific key selection, a front and back page movement, a page scroll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a specific application end, a screen capture, and a screen size adjustm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전면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시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isual line sensor attached 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for sensing a user's line of sight,
Wherein,
Wherein the pointer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detected by the line of sight sensor unit.
단말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 후면에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1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후면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후면 입력부 상에서의 상기 제2 입력이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표시 제어 방법은,
상기 후면 입력부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방법.
A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When a first input is received from a rear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the second input is located at a position on a main display uni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Generating a pointer and maintaining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second input from the rear input unit is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if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on the rear input unit is located in the pointe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command,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includes:
And generating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gaze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rear input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의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가 상기 포인터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기존 포인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existing pointer and creating a new pointer if the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input is not located in the point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ointer is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생성된 이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moving the point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fter the pointer is gener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input comprises:
Wherein the gesture input is a gesture input input by a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특정키 선택, 전후 페이지이동, 페이지 스크롤링,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료, 화면의 캡쳐 및 화면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mmand includes:
Wherein the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is any one of at least one of selecting a specific ke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pages, scrolling a page,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terminating a specific application, capturing a screen, and adjusting a size of a screen.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입력부에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전면 일부에 부착된 시선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을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 상에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표시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when the first input is input to the rear input unit, the step of generating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line of sight comprises:
Monitoring a user's gaze from a line-of-sight sensor attached 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And
And generating the pointer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gaze detected by the gaze sensor unit.
KR1020130004538A 2013-01-15 2013-01-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with backside input function and sight line sensor KR1014450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538A KR101445062B1 (en) 2013-01-15 2013-01-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with backside input function and sight lin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538A KR101445062B1 (en) 2013-01-15 2013-01-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with backside input function and sight lin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42A KR20140092142A (en) 2014-07-23
KR101445062B1 true KR101445062B1 (en) 2014-09-29

Family

ID=5173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538A KR101445062B1 (en) 2013-01-15 2013-01-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with backside input function and sight lin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0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498B1 (en) * 2020-11-17 2022-07-2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phone with built-in rear touch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966A (en) * 2011-01-03 2012-07-11 터치유아이(주)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function and user interface method thereof
JP2012221478A (en) * 2011-04-14 2012-11-12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Portable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966A (en) * 2011-01-03 2012-07-11 터치유아이(주)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function and user interface method thereof
JP2012221478A (en) * 2011-04-14 2012-11-12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Portable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42A (en)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7468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ouch pad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911107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5859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JP6157885B2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EP3382516B1 (en) Tactile sense presentation device and tactile sense presentation method
KR102155836B1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objects display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US1067126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rge-size display scre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US20160291764A1 (en) User defined active zones for touch screen displays on hand held device
CN101910983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split type touch sensitive user input surface
KR20140047515A (en)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014084A (en) Device based on touch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thereof
JP2016126363A (en) Touch screen input metho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20170108662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09098990A (en) Display device
KR10099083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sensing devices, and touch-sensing devices using the same
KR101439737B1 (en) 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4450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with backside input function and sight line sensor
KR20130102670A (en) For detailed operation of the touchscreen handset user-specific finger and touch pen point contact loc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TWI462034B (en) Touch electronic device and digital information selection method thereof
KR20130074778A (en) Enlarge keyboard and input method of smartphones and smart devices using capacitive touch screen
KR101371524B1 (en) Mouse Device For Controlling Remote Access
TWI509499B (en) Page flip method used in a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a flip page function
TWI502481B (en)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ing user interface
TW201106221A (en) Touch pane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