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32B1 - 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832B1
KR101311832B1 KR1020120118723A KR20120118723A KR101311832B1 KR 101311832 B1 KR101311832 B1 KR 101311832B1 KR 1020120118723 A KR1020120118723 A KR 1020120118723A KR 20120118723 A KR20120118723 A KR 20120118723A KR 101311832 B1 KR101311832 B1 KR 101311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ver
input
input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7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대희
Original Assignee
구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대희 filed Critical 구대희
Priority to KR102012011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8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32B1/en
Priority to PCT/KR2013/009406 priority patent/WO201406555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phone cover and a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onveniently operate a mobile phone by performing touch input or motion input to an input unit of the mobile phone cover. CONSTITUTION: A first cover (11)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body. A second cover (12) is engaged with the first cover. An input unit (100)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cond cover. The input unit receives inputs from a user. An interface unit (150) is installed either on the first cover or the second cover. The interface unit performs access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mobile phone body.

Description

휴대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휴대폰 커버의 입력부에 터치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하는 것에 의해 휴대폰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over and a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and relates to a mobile phone cover and a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by allowing a touch input or a motion input to an input portion of the mobile phone cover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102087호(2012. 1. 4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02087 (published on Jan. 14, 2012).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와 같은 입력수단이 접촉(터치)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A touch screen or a touch panel detects a touch position when an input means such as a human hand or an object touches a character or a specific position displayed on a screen (screen) without using a keyboard, And a user interfac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processing.

터치 패널의 예로서 압력식(Resistvie Overlay),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의 터치 패널이 있다. 최근에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터치 포인트들을 추출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식이 등장하였다.Examples of touch panels include Resistvie Overlay, Surface Acoustic Wave, Capacitive Overlay, and Infrared Beam touch panel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nable more complex and diverse interfaces, a multi-touch input method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touch points has appeared.

그런데, 터치패널을 구비한 종래의 휴대폰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거나 어떤 아이콘을 선택하여 특정 명령을 실행하는 등의 작업을 함에 있어 다소의 불편함이 존재하거나 잘못된 입력 작업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aving a touch pan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enters a character or selects an icon and executes a specific command, such as some inconvenience or wrong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there was.

종래의 휴대폰에서는 화면을 이동하거나 특정 아이콘을 선택할 때, 사용자가 주로 오른속 엄지를 사용하여 비교적 넓은 영역의 전면 터치 패널을 두루 옮겨 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이 아닌 다른 아이콘을 선택하는 실수를 범하기가 쉬웠고, 또한 전편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 있는 아이콘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때에 따라서는 엄지 부분이 아닌 손의 다른 부분에 터치패널이 접촉되어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휴대폰의 패널 크기가 증가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when a user moves a screen or selects a specific icon, the user has to move around the front touch panel of a relatively large area by using his right thumb. Accordingly, it is easy for a user to make a mistake of selecting an icon other than the icon desired by the user, and when an icon near the upper edge of the front panel is selected, the touch panel There is a problem that an unwanted application is performed. This problem is more prominent as the size of the cellular phone increases.

또한, 종래의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에 장착되거나 설치되어 단순히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폰 커버를 휴대폰에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폰을 조작하는 데에 있어 다소 불편함이 존재하고 사용자에게 휴대폰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cover is mounted on or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to perform only a function to simply protect the mobile phone from external impact or hit.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somewhat uncomfortable in operating the mobile phone while the mobile phone cover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and there is a limit in providing the user with convenience in using the mobile phon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폰 본체를 보호하는 휴대폰 커버의 본연의 임무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휴대폰 커버의 입력부에 터치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하는 것에 의해 휴대폰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 조작의 실수나 오류를 감소시키고 터치 입력 등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faithfully perform the essential task of the mobile phone cover protecting the mobile phone body, but also to provide touch input or motion input to the input unit of the mobile phone cover mounted on the mobile phone bod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over and a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which can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reduce mistakes or errors in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increase convenience of touch inpu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상기 제 2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제 1 커버 또는 제 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휴대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버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first cover mounted to a mobile phone body;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ver; An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cover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d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or the second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provides a mobile phone cover.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휴대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휴대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mobile phone main body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op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cover.

본 발명에서,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상기 제 2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제 1 커버 또는 제 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휴대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is mounted to the mobile phone body;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ver; An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cover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d an interface unit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nd connected to the input unit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is preferably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가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휴대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ver is rotatably installed while the first cover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and the input unit is installed to enable input while the second cover is folded to the rear side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be.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폰 커버는 플립형 커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cover is preferably a flip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폰 본체; 및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휴대폰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폰으로서, 상기 휴대폰 커버는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상기 제 2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제 1 커버 또는 제 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휴대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body; And a mobile phone cover mounted to the mobile phone body, wherein the mobile phone cover comprises: a first cover mounted to the mobile phone body;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ver; An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cover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d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or the second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mobile phone body, provides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cover.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mobile phon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op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cover.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is preferably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가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휴대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ver is rotatably installed while the first cover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and the input unit is installed to enable input while the second cover is folded to the rear side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be.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폰 본체는 상기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body includes a main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obile phone; 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ler generates a pointer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touch input on the input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특정 키 선택 또는 모션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execu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 selection or motion input by the touch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폰 커버는 플립형 커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cover is preferably a flip cover.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를 보호하는 휴대폰 커버의 본연의 임무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휴대폰 커버의 입력부에 터치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하는 것에 의해 휴대폰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 조작의 실수나 오류를 감소시키고 터치 입력 등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mobile phone cover and the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faithfully perform the essential task of the mobile phone cover protecting the mobile phone body but also provide touch input or motion input to the input unit of the mobile phone cover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reduce mistakes or errors in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increase convenience of touch inpu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가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와 휴대폰 본체 간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가 휴대폰 본체의 뒷면에 장작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가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접혀질 수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가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어 휴대폰 본의 뒷면에 접혀진 상태에서, 휴대폰 커버의 입력부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 휴대폰 커버의 입력부를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llustrates a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that the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cover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rotated and folde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put method made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mobile phone cover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body and folded o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bon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generating and displaying a pointer on a main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hrough an input unit of a mobile phone cover in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가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와 휴대폰 본체 간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가 휴대폰 본체의 뒷면에 장작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가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접혀질 수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illustrates a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ounted on a mobile phone body, and FIG. 3 illustrates a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body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and FIG. 4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and FIG. It is shown that can be folded by rotating in a state mounted on.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10)는 휴대폰 본체(20)에 장착되는 제 1 커버(11); 상기 제 1 커버(11)에 결합되는 제 2 커버(12); 상기 제 2 커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100); 및 상기 제 1 커버(11) 또는 제 2 커버(1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00)와 휴대폰 본체(20)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5, the mobile phone co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ver 11 mounted on the mobile phone body 20; A second cover (12) coupled to the first cover (11); An input unit 100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cover 12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11 or the second cover 12,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face unit 150 for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100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20); 및 상기 휴대폰 본체(20)에 장착되는 휴대폰 커버(10)를 포함하는데, 휴대폰 커버(10)는 상기 휴대폰 본체(20)에 장착되는 제 1 커버(11); 상기 제 1 커버(11)에 결합되는 제 2 커버(12); 상기 제 2 커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100); 및 상기 제 1 커버(11) 또는 제 2 커버(1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00)와 휴대폰 본체(20)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bile phone body 20; And a mobile phone cover 10 mounted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wherein the mobile phone cover 10 includes a first cover 11 mounted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A second cover (12) coupled to the first cover (11); An input unit 100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cover 12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an interface unit 150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11 and the second cover 12, and connected to the input unit 100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접속된 휴대폰 본체(20)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커버(12)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휴대폰의 조작이 가능하다.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일 수 있다.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the mobile phone can be op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100 installed in the second cover 12. The input unit 100 may be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그리고, 제 2 커버(12)는 상기 제 1 커버(11)가 휴대폰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00)는 상기 제 2 커버(12)가 상기 휴대폰 본체(10)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12 is rotatably installed while the first cover 11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and the input unit 100 includes the second cover 12 having the mobile phone main body. It may be implemented to enable input in a state folded into the back of the (10).

휴대폰 본체(20)는 상기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에 포인터(도 7의 210)를 생성할 수 있다.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includes a main display unit 20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mobile phone; And a controller 300. 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ler 300 displays a pointer on the main display 2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on the input unit 100 Of 210).

또한,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특정 키 선택 또는 모션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can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 selection or motion input by the touch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의 동작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가 장착된 휴대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cover and the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휴대폰 커버에 의한 커버 입력 기능 사용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능활성화 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S801), 휴대폰 본체(20)의 제어부(300)는 입력부(100)의 활성화, 즉 휴대폰 본체(20)에 장착된 휴대폰 커버(10)를 통한 커버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한다(S802).First, when a preset function activation key is input from the user to use the cover input function by the mobile phone cover (S801), the control unit 300 of the mobile phone body 20 activates the input unit 100, that is, the mobile phone body 20. The cover input function through the mobile phone cover 10 mounted on the cover is activated (S802).

휴대폰 커버(10)에서, 제 1 커버(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20)의 뒷면에 장착될 수 있고, 제 2 커버(12)는 이러한 제 1 커버(11)에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제 2 커버(12)는 상기 제 1 커버(11)가 휴대폰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부(100)는 상기 제 2 커버(12)가 휴대폰 본체(10)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the mobile phone cover 10, the first cover 11 can be mounted o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body 20 as shown in FIG. 4, and the second cover 12 is coupled to this first cover 11. To form. In addition, the second cover 12 is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11 is mounted on the cellular phone main body 20, and as described below, the input unit 100 may include the second cover 12. Even when folded to the rear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may be installed to enable inpu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본체(20)에 장착되는 휴대폰 커버(10)에는 제 2 커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입력부(1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입력부(100)는 휴대폰 커버(10)의 제 2 커버(12)의 특정 영역에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버(12)의 중상반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그보다 위 또는 아래의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00)는 도 1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타원형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입력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커버(10)가 휴대폰 본체(20)에 장착되어 제 2 커버(12)가 휴대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폰 본체(20)와 휴대폰 커버(10)를 손으로 잡았을 때 통상적으로 검지 손가락 또는 중지 손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1 and 2, the mobile phone cover 10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100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cover 12. The input unit 100 is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of the second cover 12 of the mobile phone cover 10, and may be formed over the upper and middle half of the second cover 12 as shown in FIG. It may be installed in an area above or below it. In addition, the input unit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 or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region.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input unit 100 includes a mobile phone cover 10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so that the second cover 12 is fold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When holding the main body 20 and the mobile phone cover 10 by hand, it will typically be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the index finger or middle finger is locat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커버(10)는 입력부(100)와 휴대폰 본체(20) 간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하고 있는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각종의 명령이나 터치입력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휴대폰 본체(20)의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11)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는 달리 제 2 커버(12)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co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terface unit 150 for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100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various inputs through the input unit 100 The command or touch inpu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of the mobile phone body 2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The interface 15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cover 11 as shown in FIG. 1, or in some cases,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cover 12.

휴대폰 본체(20)의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를 활성화시켜서 휴대폰 커버(10)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이나 실행 등의 명령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00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activates the input unit 100 to allow a user to input a command such as selecting 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through the mobile phone cover 10.

상기에서 입력부(100)를 활성화시키는 기능 활성화 키는 휴대폰 본체(20)나 휴대폰 커버(10)의 앞면, 뒷면, 측면 등의 어느 특정한 지점에 있는 입력 키가 될 수도 있고, 또는 후면 활성화를 시키기 위해 미리 지정된 모션동작이나 메인 표시부(200) 상의 특정 지점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키가 될 수도 있다.The function activation key for activating the input unit 100 may be an input key at any specific point such as the front, rear, side, or the like of the mobile phone body 20 or the mobile phone cover 10, or to activate the rear surface. It may be a button or a key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motion operation or a specific point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결과를 휴대폰 본체(20)의 메인 표시부(200)에 표시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the input resul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0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of the mobile phone body 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우선, 커버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제어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에 포인터(21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S803). 이 포인터(210)는 입력부(100) 상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메인 표시부(200) 상의 일정 위치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컴퓨터에 있어 마우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0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300)는 휴대폰 본체(20)의 메인 표시부(200)의 특정 지점에 포인터(210)를 표시하게 되며 이후 입력부(100) 상에서 손가락의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면 제어부(300)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210)의 위치도 함께 이동시킨다. 물론, 제어부(300)는 커버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입력부(100) 상에 사용자의 터치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미리 특정 지점에 포인터(210)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7, 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ler 300 generates a pointer 210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20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t which the touch input is performed on the input unit 100 (S803). The pointer 210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2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input on the input unit 100 and functions similar to a point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ouse in the computer. When the user touches the user's finger on the input unit 100, the controller 300 displays the pointer 210 at a specific point of the main display unit 200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20, and then the finger on the input unit 100. When the touch position is moved, the controller 300 also move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10 correspondingly. Of course, 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300 may generate and display the pointer 210 at a predetermined point before the touch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input unit 100 by the user.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 또는 터치패드일 수 있으며, 그 외에 다른 어떠한 입력 수단일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put unit 100 may be a touch panel or a touch pad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or may be any other input means.

이어서, 제어부(300)는 입력부(100)를 통하여 입력되는 터치 동작 등의 입력동작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커버 키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받는다(S804). 여기서, 커버 키입력 또는 모션입력은 사용자가 휴대폰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부(100)를 통하여 입력하는 명령 입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키입력은 입력부(100)를 통한 터치입력에 의해 메인 표시부(200) 상에 표시된 포인터(210)를 통하여 특정 아이콘이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하는 등의 명령 입력을 의미하고, 상기 모션입력은 입력부(100) 상에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 긋거나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긋는 등의 다양한 모션 동작을 통해 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정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명령 입력 작업을 의미한다.Then,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cover key input or a mo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n input operation such as a touch oper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0 (S804). Here, the cover key input or motion input refers to a command input that the user inputs through the input unit 100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Specifically, the cover key input is a command input such as selecting and executing a specific icon or a specific application through the pointer 210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200 by touch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0 , The motion input is performed such that a predetermined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put is performed through various motion operations such as dra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drawing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while the finger is touched on the input unit 100 Quot; command input operation "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00)에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도 7의 포인터(210)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위로 이동시킨 다음, 손가락을 뗌과 동시에 다시 입력부(100)를 간단히 터치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input unit 100, the pointer 210 of FIG. 7 is moved over the desired application icon. Then, the user simply touches the input unit 100 again while pressing the finger, Can be selected.

마지막으로, 제어부(300)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S805).Finally, the controller 300 executes the correspond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icon (S805).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폰 커버(10)의 제 2 커버(12)가 휴대폰 본체(10)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 또는 접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커버(12)에 설치된 입력부(100)를 통해 원하는 각종의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휴대폰 조작을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may input the second cover 12 of the mobile phone cover 10 while the second cover 12 is folded or unfolded toward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By inputting a variety of desired commands through the (100) it can be more convenient to operate the mobile phone.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를 보호하는 휴대폰 커버의 본연의 임무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휴대폰 커버의 입력부에 터치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하는 것에 의해 휴대폰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 조작의 실수나 오류를 감소시키고 터치 입력 등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cover and the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faithfully perform the essential task of the mobile phone cover protecting the mobile phone body, but also touch the input unit of the mobile phone cover mounted on the mobile phone body. By inputting or motion inpu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reduce mistakes or errors in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increase convenience of touch inpu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휴대폰 본체; 및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휴대폰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폰으로서,
상기 휴대폰 커버는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상기 제 2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제 1 커버 또는 제 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휴대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조작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폰 본체는 상기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A mobile phone body; And a mobile phone cover mounted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The mobile phone cover
A first cover mounted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ver;
An input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cover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d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or the second cover, including an interface for connecting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mobile phone body,
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mobile phone main body,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is possible through the input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cover,
The mobile phone main body includes a main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obile phone; And a control unit,
And when the cover input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ler generates a pointer at a position on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touch input on the input unit.
삭제dele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put unit is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가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휴대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cover is rotatably installed while the first cover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The input unit is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ver is installed to enable input in a state folded i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body.
삭제dele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특정 키 선택 또는 모션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controller execu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 selection or a motion input by the touch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제 6항, 제 8항, 제 9항,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커버는 플립형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8, 9, 11,
And the mobile phone cover is a flip cover.
KR1020120118723A 2012-10-24 2012-10-24 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KR1013118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723A KR101311832B1 (en) 2012-10-24 2012-10-24 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PCT/KR2013/009406 WO2014065557A1 (en) 2012-10-24 2013-10-22 Cellular phone cover and cellular phon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723A KR101311832B1 (en) 2012-10-24 2012-10-24 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832B1 true KR101311832B1 (en) 2013-09-26

Family

ID=4945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723A KR101311832B1 (en) 2012-10-24 2012-10-24 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1832B1 (en)
WO (1) WO2014065557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649A (en)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아모센스 Authentication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rotect cover for mobile terminal
KR101790503B1 (en) 2015-09-21 2017-10-26 정종기 Cover for smart devic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and smar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978B1 (en) * 2012-04-19 2012-10-09 고돈호 Mobile terminal cover for supporting dual monitor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173B1 (en) * 2010-07-19 2012-11-02 (주)금오전자 Protecting case for Bar-type handheld
KR101183278B1 (en) * 2012-03-23 2012-09-14 여창기 Carrying case for portable device
KR20120005719U (en) * 2012-06-25 2012-08-08 임동춘 Case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978B1 (en) * 2012-04-19 2012-10-09 고돈호 Mobile terminal cover for supporting dual monitor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649A (en)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아모센스 Authentication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rotect cover for mobile terminal
KR101790503B1 (en) 2015-09-21 2017-10-26 정종기 Cover for smart devic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and sma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557A1 (en)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7128B2 (en) Input device for VR/AR applications
US8259083B2 (en) Mobile device having backpanel touchpad
JP5295328B2 (en) User interface device capable of input by screen pad, input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638315B2 (en) Virtual touch screen system
KR101749956B1 (en) Computer keyboard with integrated an electrode arrangement
JP5640486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1102852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pointing method
US88301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1070609A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with touch panel,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JP5374564B2 (en) Drawing apparatus, drawing control method, and drawing control program
JP4924164B2 (en) Touch input device
JP5676036B1 (en) User interface program and game program including the program
KR20160019762A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with one hand
JP2016129579A (en) Interface program and game program
JP52754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pointing method
JP2016126363A (en) Touch screen input metho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201401674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program
KR101311832B1 (en) Mobile phone cover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JP6081338B2 (en) Input device including pointing stick, portable computer, and operation method
TWI494846B (en) One-hand touch method and hand-held touch device for hand-held touch device
KR20130102670A (en) For detailed operation of the touchscreen handset user-specific finger and touch pen point contact loc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KR101439737B1 (en) Terminal rear cover and terminal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10095699A (en) Drive control device of display terminal
WO2016079931A1 (en) User Interface with Touch Sensor
KR20140100668A (en) Smart Device Cover and Smart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