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339B1 - 고주파 전달전극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전달전극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339B1
KR101401339B1 KR1020120040392A KR20120040392A KR101401339B1 KR 101401339 B1 KR101401339 B1 KR 101401339B1 KR 1020120040392 A KR1020120040392 A KR 1020120040392A KR 20120040392 A KR20120040392 A KR 20120040392A KR 101401339 B1 KR101401339 B1 KR 101401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frequency
moving
electr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294A (ko
Inventor
강성권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2004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33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6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a particular treatment
    • A61N1/36114Cardiac control, e.g. by vagal stimulation
    • A61N1/36117Cardiac control, e.g. by vagal stimulation for treating hyper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05Urinary tract
    • A61B2018/00511Kid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4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025/0079Separate user-activated means, e.g. guidewires, guide tubes, balloon catheters or sheaths, for sealing off an orifice, e.g. a lumen or side holes, of a cath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평 안정화 장치는 인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을 포함하는 삽입유닛,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일단이 상기 이동부의 둘레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와 상기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구비되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타단과 상기 이동부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 및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으로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전달전극 삽입장치{STENT INTRODUCER FOR HIGH FREQUENCY SURGICAL OPERATION}
본 발명은 고주파 시술용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전달부 및 고주파차단부로 구획된 고주파 전달 전극을 이용하여 인체의 다점에 대하여 1회에 치료를 할 수 있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출력의 고주파를 특정 간격으로 인체에 인가하여 다양한 시술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고주파에 따른 열을 이용하여 간의 종양세포를 괴사시키는 간암고주파열치료술, 고주파전류를 체내에 인가하여 인체 내부에 열을 발생하여 근육통, 관절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고주파요법(High frequency therapy) 등 다양한 형태의 시술이 행하여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신장 신동맥 교감신경을 고주파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고혈압을 치료하는 시술이 시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고혈압이란 신체 혈액 흐름의 이상이 생길 경우 혈관에 있는 신경이 뇌로 심장에서 더 강한 압력이 필요하다라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 때 뇌신경은 다시 심장으로 강한 혈압을 만들도록 신호를 보내는데, 이로 인하여 혈압이 강해지는 것이 고혈압이다. 그리고 혈관에서 이러한 센서를 담당하는 곳이 신장 신동맥(Renal Artery) 주변에 있는 신경(Renal Plexus)이다.
따라서 고혈압을 요청하게 하는 신장 신동맥 주변의 신경을 고주파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제거하면, 뇌에서는 고혈압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받지 못하게 되어 혈압을 인위적으로 정상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신장 신동맥의 혈관 내부에는 다수의 신경이 복잡하게 위치하고, 기존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의 경우 고주파를 인가하는 고주파발진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지점에 대한 신경을 제거할 수 밖에 없어 수회의 시술에 따라 시술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관 형태로 길게 형성된 고주파발진기를 신장의 신동맥에 삽입하기 위하여, 별도의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고주파발진기의 삽입과정을 확인하면서 시술을 하여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319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주파전달부 및 고주파차단부로 구획된 고주파 전달 전극을 이용하여 인체의 다수의 지점에 일회에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인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을 포함하는 삽입유닛,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일단이 상기 이동부의 둘레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와 상기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구비되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타단과 상기 이동부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 및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으로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전달전극은 인가되는 고주파가 차단되는 고주파차단부 및 인가되는 고주파가 인체로 전달되는 고주파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전달부의 상기 이동부와의 거리는 상기 고주파차단부의 이동부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전달부의 이동부의 반대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에는 인체로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고주파 전달 전극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고주파 전달 전극이 상기 이동부와 형성하는 각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상기 이동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개구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의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인가되는 고주파가 차단되는 고주파차단부 및 인가되는 고주파가 인체로 전달되는 고주파전달부로 구획되며, 상기 고주파전달부 내부 공간의 단면적은 상기 고주파차단부 내부 공간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전달전극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동부의 둘레에 결합된 와이어가 교차하면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이용한 수평 안정화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주파 전달 전극을 이용하여 인체와 고주파 전달 전극의 다수의 접촉지점을 만들고 고주파를 인가하여 일회의 시술로 인체의 다점에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가이드와이어를 통하여 인체의 혈관 등의 특정지점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고주파 전달 전극을 삽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서로 다른 단면적 또는 이동부와의 거리의 고주파차단부 및 고주파전달부를 통하여 인체의 특정부위에만 고주파를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고주파전달부 내부공간의 최대단면적 또는 이동부와의 거리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혈관에 범용적으로 시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 및 고주파 전달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의 내부공간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이 신장의 신동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고주파 전달 전극이 펼쳐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가이드와이어가 신장 신동맥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싱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신장의 신동맥으로 안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의 일부가 외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압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30)가 혈관벽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가 시술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의 일부가 외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이 신장의 신동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 및 고주파 전달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인체 내부의 혈관 등에 삽입되어 혈관의 특정 부분에만 고주파를 인가하여, 고주파를 이용한 특정 세포의 괴사 또는 신경의 제거 등의 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리고 삽입유닛(10), 이동유닛(20), 고주파 전달 전극(30) 및 고주파발생유닛(4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혈관 내부의 특정 부위에만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는 다양한 시술에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신장 신동맥 교감신경을 고주파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고혈압을 치료하는 시술에 적용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삽입유닛(10)은 전방에 개구부(12a)가 형성된 외관(12) 및 외관(12)과 연결된 제1커넥터(14)를 포함한다. 즉 외관(12)의 내부에는 개구부(12a)와 연결된 공간(S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커넥터(14)의 내부에도 상기 공간(S1)과 연통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커넥터(14)에는 후술하는 가이드와이어(50), 고주파인가선(44) 및 이동부(22)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홀(14a)이 형성된다. 즉 가이드와이어(50), 고주파인가선(44) 및 이동부(22)는 개구홀(14a)을 통하여 제1공간(S1)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동유닛(20)은 외관(1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22) 및 이동부(22)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24)를 포함한다. 즉 이동부(22)가 외관(1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커넥터(24)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22)은 외관(12)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30)를 형성하는 와이어가 이동부(22)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므로, 결국 고주파 전달 전극(30)는 이동부의 이동과 함께 이동을 하게 되고, 외관(12)의 개구부(12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펼쳐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유닛(20)은 이동부(22)의 전단에 결합된 안내부(26)을 더 포함한다. 안내부(26)는 외관(12)의 인체 내부의 진행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안내부(26), 이동부(22) 및 제2커넥터(24)에는 서로 연통되는 홀(20a)이 형성된다. 상기 홀을 통하여 시술시 인체에 일차적으로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50)가 통과하게 된다.
즉 가이드와이어(50)가 인체의 외부에서 신장의 신동맥(Renal Artery: RA)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인체의 외부에 노출된 가이드와이어(50)는 안내부(26), 이동부(22) 및 제2커넥터(24)에 형성된 홀(20a)을 통과한다. 이 때 이동부(22)는 외관(1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결국 외관(12)는 가이드와이어(50)를 따라 신동맥으로 안내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시술방법과 같이 고주파발진기가 신동맥으로 직접 진입하는 방식의 시술보다 보다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외관(12) 및 이에 삽입된 고주파 전달 전극(30)를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고주파 전달 전극(30)는 일단이 이동부의 둘레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부와 상기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구비되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타단과 상기 이동부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주파 전달 전극(30)이 외관(12)의 개구부(12a)를 통하여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서 이동부(22)와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타단의 거리는 탄성적으로 가변된다. 사용자가 이동부(22)를 이동시킴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혈관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시술이 가능하다.
한편, 고주파 전달 전극(30)은 타단의 거리가 이동부(22)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동부(22)의 둘레를 따라 개구부(12a)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의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양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W)가 교차하면서 내부의 공간(S2)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경우 와이어(W)가 교차하면서 내부공간의 둘레를 따라 개구면(S3)을 형성한다. 그리고 와이어(W)의 적어도 일부는 이동부(22)의 둘레에 결합되고,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부(22)에는 와이어(W)의 일부를 이동부(22)의 둘레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22a)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W)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부(22)의 둘레를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W)는 내부공간(S2)가 형성되도록 교차하고, 와이어(W)의 교차에 따라 내부공간의 둘레를 따라 와이어(W)가 형성하는 개구면(S3)이 형성된다.
그리고 와이어(W)의 일부가 고정부재(22a)에 의하여 이동부(22)의 둘레에 결합이 됨에 따라,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30)는 내부공간(S2)의 단면적이 전단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고주파 전달 전극(30) 내부공간(S2)는 외관(12)의 내부공간(S1)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주파 전달 전극(30)가 외관(12)의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위치하고, 고주파 전달 전극(30)가 개구부(12a)를 통하여 노출됨에 따라 고주파 전달 전극(30)는 펼쳐지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관(12)의 개구홀(12a)을 통하여 노출되는 길이에 따라 고주파 전달 전극(30) 내부공간(S2)의 크기는 점진적으로 커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30)는 고주파차단부(32) 및 고주파전달부(34)로 구획된다. 고주파차단부(32)는 후술하는 고주파발생유닛(40)을 통한 고주파가 와이어(W)를 통하여 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고주파전달부(34)는 와이어(W)로 전달된 고주파를 인체로 전달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의 내부공간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이 신장의 신동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고주파 전달 전극(30) 내부공간(S2) 중 고주파전달부(34)의 내부공간의 단면적(A2)은 고주파차단부(32)의 내부공간의 단면적(A1)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내부공간은 전단으로 갈수록 커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바, 고주파전달부(34)가 고주파차단부(32)보다 전단에 위치하게 된다.
결국 인체의 혈관 등, 특히 신동맥의 내부에서 고주파 전달 전극(30)가 펼쳐지는 경우, 고주파차단부(34)가 신동맥의 혈관벽에 1차적으로 접촉을 하게 된다. 이 때 시술자는 별도의 영상을 통하여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고주파전달부(34)가 혈관에 접촉하는지를 확인하면서 이동부(22)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차단부(34)를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에 의하여 혈관벽 내부의 신경은 차단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주파차단부(32) 및 고주파전달부(34)로 구획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형상은 고주파전달부(34) 내부공간의 단면적(A2)이 고주파차단부(32) 내부공간의 단면적(A1)보다 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주파 전달 전극(30)를 형성하는 와이어(W)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부(22)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원뿔 형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즉 고주파 전달 전극(30) 후방의 고주파차단부(32)의 내부의 공간은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고주파차단부(32)의 전방의 고주파전달부(34) 역시 전방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주파전달부(34) 내부공간 중 최대단면적(A4)을 형성하는 부분은 신동맥 혈관벽과 직접 접촉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최대단면적을 형성하는 부분의 와이어(W)가 인체와 접촉을 하게 되고, 이 때 혈관벽에 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최대단면적을 형성하는 지점의 전방으로 형성하는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안쪽으로 벤딩(bending)처리가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주파전달부(34)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고주파전달부(34)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1차적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커지다가 일정지점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서로 교차하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단면적의 증감이 발생하는 지점이 최대단면적을 형성하는 부분이 되고, 상기 지점이 인체와 직접 접촉을 하며, 인체에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점의 와이어는 벤딩처리가 되게 된다.
즉 고주파전달부(34)의 전단의 단면적(A3)는 고주파전달부(34) 내부공간의 최대단면적(A4)보다 작게 형성되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고주파 전달 전극이 펼쳐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5를 참조하면, 고주파 전달 전극(30)를 형성하는 와이어(W)가 이동부(22)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기 때문에 고주파 전달 전극(30)는 이동부(22)의 이동을 따라 외관(12)을 이동한다. 그리고 개구부(12a)를 통하여 노출이 되면서 펼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혈관의 내벽과 접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22)의 이동의 정도에 따라서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고주파전달부(34) 내부공간의 최대단면적(A4)는 가변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혈관에 대하여 과도한 팽창으로 인하여 혈관에 무리를 주지 않는 상태로 고주파 시술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주파차단부(32)는 와이어(W)를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가 인체로 전달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차단부(32)의 외부에 고주파를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의 막이 형성되거나, 고주파차단부(32)를 형성하는 와이어 자체가 고주파 차단물질로 코팅일 될 수 있을 것이다.
고주파 발생유닛(40)은 고주파 전달 전극(40)를 형성하는 와이어(W)로 고주파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발생유닛(40)은 고주파발생부(42) 및 고주파인가선(44)을 포함한다.
고주파발생부(42)는 고주파를 이용한 인체 시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인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고주파인가선(44)는 다양한 형태로 와이어(W)에 연결되어 와이어에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22)와 나란히 배치되어 이동부(22)의 둘레에 결합된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따른 시술과정을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가이드와이어가 신장 신동맥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을 참조하면, 1차적으로 가이드와이어(50)가 고주파 치료를 하기 위한 인체의 특정 부분에 삽입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신장의 신동맥에 삽입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싱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신장의 신동맥으로 안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안내부(26), 이동부(22) 및 제2커넥터(24)에 형성된 홀(20a)에 인체의 외부에 노출된 가이드와이어(50)의 타단이 삽입된다. 그리고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신동맥으로 삽입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의 일부가 외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제2커넥터(24)를 전, 후 방향으로 조작을 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22)가 외관(12)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22)의 이동에 따라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일부가 외관(12)의 개구부(12a)를 통하여 노출이 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고주파 전달 전극(30) 내부공간(S2)는 외관(12) 내부공간(S1)보다 크기 때문에 고주파 전달 전극(30)가 노출됨에 따라 고주파 전달 전극(30)는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형상에 따라 이동부(22)가 전방으로 이동할수록 고주파전달부(34) 내부공간의 최대단면적(A4)는 점점 커지게 된다.
이 때 시술자는 별도의 영상장비 등을 통하여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고주파전달부(34)가 혈관의 내벽과 접촉을 하는지를 확인하면서 이동부(22)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고주파 전달 전극(30)를 이용하더라도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혈관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시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국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최대단면적(A4)을 형성하는 부분이 혈관의 내벽과 접촉을 하게 되고, 와이어(W)로 인가된 고주파에 의하여 혈관벽 내부에 위치하는 신경(Renal plexus:RP)가 괴사되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압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30)가 혈관벽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와이어(W)가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고주파전달부(34)를 형성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와이어(W)과 혈관벽과 접촉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와이어(W)가 혈관의 내벽과 접촉을 한다. 그리고 각 와이어(W)를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에 의하여 신동맥(RA) 혈관 내벽의 신경(RP)이 괴사되게 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가 시술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의 일부가 외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이 신장의 신동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 및 도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하 상기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고주파 전달 전극(130)은 상기 실시예의 와이어 형태가 아닌 특정 길이로 형성된 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은 고정부재(22a)에 의하여 이동부(22)의 둘레에 결합이 되고, 타단은 이동부(22)의 둘레와 일정 거리(d)를 같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고주파 전달 전극(130)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타단과 이동부(22)의 둘레와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전달 전극(130)이 외관(12) 내부의 공간(S1)에 있는 경에는 외관(12)의 직경에 따라 이동부(22)와 거리가 짧아지도록 벤딩되고, 외관(12)의 개구부(12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부(22)와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벤딩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개구부(12a)를 통한 고주파 전달 전극(130)의 노출 정도에 따라서 이동부(22)와 거리를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혈관 등에 범용적으로 시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주파 전달 전극(130)은 고주파차단부(132) 및 고주파전달부(134)를 포함한다.
고주파차단부(132)는 인가되는 고주파가 인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차단을 위한 구성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같다. 고주파전달부(134)는 인가되는 고주파를 인체로 전달한다. 그리고 고주파전달부(134)의 이동부(22)와의 거리는 고주파차단부(132)의 이동부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외관(12)의 개구부(12a)를 통하여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고주파전달부(134)는 혈관 등의 내벽에 접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고주파전달부(134)의 이동부(22)의 반대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와 직접 접촉을 하는 부분이 곡면처리가 되어 혈관벽 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곡면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주파전달부(134)가 이동부(22)의 반대방향으로 벤딩처리가 되면서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고주파 전달 전극(134)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혈관의 다점에 대한 일회의 시술이 가능하다.
나아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각 고주파 전달 전극(134)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혈관에서도 각 고주파전달부(134)가 혈관의 내벽과 접촉을 할 수 있도록 시술할 수 있다. 나아가 외관(12)이 혈관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각 고주파전달부(134)가 혈관의 벽과 접촉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다양한 형태의 혈관 또는 외관(12)의 위치에 따른 시술의 용이를 위하여 각 고주파전달전극이 이동부(22)와 형성하는 각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삽입유닛 12: 외관
14: 제1커넥터 20: 이동유닛
22: 이동부 24: 제2커넥터
26: 안내부 30: 고주파 전달 전극
32: 고주파차단부 34: 고주파전달부
40: 고주파 발생유닛 50: 가이드와이어

Claims (5)

  1. 인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을 포함하는 삽입유닛;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일단이 상기 이동부의 둘레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와 상기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구비되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가 상기 외관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타단과 상기 이동부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 및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으로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유닛;
    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전달전극은 인가되는 고주파가 차단되는 고주파차단부 및 인가되는 고주파가 인체로 전달되는 고주파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전달부의 상기 이동부와의 거리는 상기 고주파차단부의 이동부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인체로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고주파 전달 전극의 길이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형성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고주파 전달 전극이 상기 이동부와 형성하는 각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KR1020120040392A 2012-04-18 2012-04-18 고주파 전달전극 삽입장치 KR101401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92A KR101401339B1 (ko) 2012-04-18 2012-04-18 고주파 전달전극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92A KR101401339B1 (ko) 2012-04-18 2012-04-18 고주파 전달전극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94A KR20130117294A (ko) 2013-10-25
KR101401339B1 true KR101401339B1 (ko) 2014-06-02

Family

ID=4963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392A KR101401339B1 (ko) 2012-04-18 2012-04-18 고주파 전달전극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802A (ko)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전극 전달 장치 및 전극 전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744B1 (ko) * 2018-03-30 2019-10-2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광역학 치료용 광학 유닛, 광역학 치료 장치 및 광학 유닛의 사용 방법
KR102347531B1 (ko) * 2021-06-08 2022-01-07 주식회사 딥큐어 전극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737B1 (ko) 2001-11-30 2005-03-08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JP2005523130A (ja) * 2002-04-23 2005-08-04 フォガヅィ デイ ヴェンツレリ アンドレア アンド シー.エス.エヌ.シー. 少なくとも二本の高周波活動ワイヤーを備えた腫瘍の医療処置用器具
KR20090119529A (ko) * 2008-05-16 2009-11-19 (주) 태웅메디칼 고주파 열치료용 전극침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737B1 (ko) 2001-11-30 2005-03-08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JP2005523130A (ja) * 2002-04-23 2005-08-04 フォガヅィ デイ ヴェンツレリ アンドレア アンド シー.エス.エヌ.シー. 少なくとも二本の高周波活動ワイヤーを備えた腫瘍の医療処置用器具
KR20090119529A (ko) * 2008-05-16 2009-11-19 (주) 태웅메디칼 고주파 열치료용 전극침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802A (ko)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전극 전달 장치 및 전극 전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94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8862B2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切開システム
JP5911652B2 (ja) 内視鏡用処置具
EP3115014B1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KR101401339B1 (ko) 고주파 전달전극 삽입장치
CN111601560A (zh) 用于冲击波导管的低剖面电极
US10226267B2 (en) Treatment instrument
CN105324089A (zh) 阴道壁切开器具
KR101465163B1 (ko)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JP6605594B2 (ja) 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I611819B (zh) 去神經支配導管和包含其之去神經支配裝置
US20140371719A1 (en) Cathete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101145404B1 (ko) 혈관 문합 장치
KR101709601B1 (ko) 고정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US20170246431A1 (en) Medical instrument
KR101465159B1 (ko)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KR100464501B1 (ko) 신체의 협착부위 시술용 스텐트 삽입장치
EP3542763A1 (en) Stent delivery system comprising monopolar electrocautery tip
EP4335397A1 (en) Electrode unit and electrode device including same
KR102112977B1 (ko) 척추 내시경 수술 중 확장 시술을 위한 수술 장치
KR20220010802A (ko) 전극 전달 장치 및 전극 전달 방법
US20240057849A1 (en) Catheter having variable front end part structure
US20180184886A1 (en) Endoscope sheath and endoscope system
KR102541457B1 (ko)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RU2501529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захвата и удержания камня в литотрипторе со спиралевидными удержив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JP2000083964A (ja) 内視鏡用ワイヤループ型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