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159B1 -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159B1
KR101465159B1 KR1020130016813A KR20130016813A KR101465159B1 KR 101465159 B1 KR101465159 B1 KR 101465159B1 KR 1020130016813 A KR1020130016813 A KR 1020130016813A KR 20130016813 A KR20130016813 A KR 20130016813A KR 101465159 B1 KR101465159 B1 KR 10146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electrode
moving unit
outer tub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355A (ko
Inventor
권오기
이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Publication of KR2013014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404Blood vessels other than those in or around the 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4W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ard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인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을 포함하는 삽입유닛,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와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및 상기 돌기로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Radio-Frequency Electrode and Introducer System}
본 발명은 고주파 시술용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전달부에 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신속하고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다양한 출력의 고주파를 특정 간격으로 인체에 인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에 따른 열을 이용하여 간의 종양세포를 괴사시키는 간암고주파열치료술, 고주파전류를 체내에 인가하여 인체 내부에 열을 발생하여 근육통, 관절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고주파요법(High Frequency Therapy) 등 다양한 형태의 시술이 행하여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신장 신동맥 교감신경을 고주파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고혈압을 치료하는 시술이 시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고혈압에 대해 설명하면, 신체 혈액 흐름의 이상이 생길 경우 혈관에 있는 신경이 뇌로 심장에서 더 강한 압력이 필요하다라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때 뇌신경은 다시 심장으로 강한 혈압을 만들도록 신호를 보내게 되며, 이로 인하여 혈압이 강해지는 것이 고혈압이다. 그리고 혈관에서 이러한 신호를 인지하는 곳이 신장 신동맥(Renal Artery) 주변에 있는 신경(Renal Plexus)이다.
따라서 고혈압을 요청하게 하는 신장 신동맥 주변의 신경을 고주파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제거하면, 뇌에서는 고혈압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받지 못하게 되어 혈압을 인위적으로 정상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신장 신동맥의 혈관 내부에는 다수의 신경이 복잡하게 위치하고, 기존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의 경우 고주파를 인가하는 고주파발진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지점에 대한 신경을 제거할 수 밖에 없어 수회의 시술에 따라 시술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시술이 요구되는 지점을 정확히 접촉시켜 정밀하게 시술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주파전달부 및 고주파차단부로 구획된 고주파 전달 전극을 이용하여 인체의 다수의 지점에 일회에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정밀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인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을 포함하는 삽입유닛,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와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및 상기 돌기로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고,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전극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와이어는 상기 이동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전극와이어의 절곡 부분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고주파 차단물질로 형성된 고주파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은 복수 개가 상기 고주파차단부의 둘레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나선 배열되고, 상기 전극와이어는 상기 복수 개의 삽입홀을 따라 상기 이동부에 나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차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단위부재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부재 중 서로 인접한 단위부재 간의 이격된 사이는 상기 삽입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상기 돌기의 돌출된 단부 외의 부분에 고주파 차단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의 길이는 이동부의 후방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복수의 와이어가 교차함에 따라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일부는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복수의 와이어가 교차함에 따라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둘레에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는 서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한 쌍이 서로 전후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 위치에는 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좁힐 경우 상기 접힘선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의 각 접힘선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부재 사이에 적어도 한곳 이상 위치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지지부를 더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이용한 수평 안정화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주파 전달 전극을 이용하여 인체와 고주파 전달 전극의 다수의 접촉지점을 만들고 고주파를 인가하여 일회의 시술로 인체의 다점에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고주파 발생유닛은 돌기를 포함하므로, 인체의 혈관 등의 특정 지점에 안전하고 정밀하게 시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와 고주파 전달 전극이 외관 내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와 고주파 전달 전극이 외관 외측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가이드와이어가 신장 신동맥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가 신장의 신동맥으로 안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의 일부가 외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이 혈관 벽과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구비된 전극와이어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와 고주파 전달 전극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와 고주파 전달 전극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와 고주파 전달 전극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와 고주파 전달 전극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두 번째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각 고정부 사이를 좁혀 돌기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두 번째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각 고정부 사이를 좁혀 돌기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인체 내부의 혈관 등에 삽입되어 혈관의 특정 부분에만 고주파를 인가하여, 고주파를 이용한 특정 세포의 괴사 또는 신경의 제거 등의 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삽입유닛(10), 이동유닛(20), 고주파 전달 전극(30) 및 고주파발생유닛(4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혈관 내부의 특정 부위에만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는 다양한 시술에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신장 신동맥 교감신경을 고주파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고혈압을 치료하는 시술에 적용되는 경우로 설명하도록 한다.
삽입유닛(10)은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12) 및 외관(12)과 연결된 제1커넥터(14)를 포함한다. 즉 외관(12)의 내부에는 개구부와 연결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커넥터(14)의 내부에도 상기 공간과 연통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커넥터(14)에는 후술하는 가이드와이어(50), 고주파인가선(44) 및 이동부(22)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홀(14a)이 형성된다. 즉 가이드와이어(50), 고주파인가선(44) 및 이동부(22)는 개구홀(14a)을 통하여 상기 공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동유닛(20)은 외관(1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22) 및 이동부(22)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24)를 포함한다. 즉 이동부(22)가 외관(1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커넥터(24)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22)는 외관(12)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후술할 고주파 전달 전극(30)을 형성하는 전극와이어는 이동부(22)의 둘레에 설치될 것이므로, 결국 고주파 전달 전극(30)은 이동부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게 되고, 외관(12)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펼쳐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유닛(20)은 이동부(22)의 전단에 결합된 안내부(26)을 더 포함한다. 안내부(26)는 외관(12)의 인체 내부의 진행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안내부(26), 이동부(22) 및 제2커넥터(24)에는 서로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홀을 통하여 이후 시술 시 인체에 일차적으로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50)가 통과하게 된다.
즉 가이드와이어(50)는 인체의 외부에서 신장의 신동맥(Renal Artery: RA)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인체의 외부에 노출된 가이드와이어(50)는 안내부(26), 이동부(22) 및 제2커넥터(24)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다. 이 때 이동부(22)는 외관(1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결국 외관(12)은 가이드와이어(50)를 따라 신동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종래의 시술방법과 같이 고주파발진기가 신동맥으로 직접 진입하는 방식의 시술보다 보다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외관(12) 및 이에 삽입된 고주파 전달 전극(30)을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주파 발생유닛(40)은 고주파 전달 전극(30)를 형성하는 전극와이어(30a, 30b)로 고주파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발생유닛(40)은 고주파발생부(42) 및 고주파인가선(44)을 포함한다.
고주파발생부(42)는 고주파를 이용한 인체 시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인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고주파인가선(44)는 다양한 형태로 고주파 전달 전극(30)에 연결되어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22)와 나란히 배치되어 이동부(22)의 둘레에 결합된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22) 및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모습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는 이동부(22) 및 고주파 전달 전극(30)이 외관(12)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이며, 도 3은 이동부(22)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22) 및 고주파 전달 전극(30)이 외관(12)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이동부(22)에 설치되고, 이동부(22)와 외관(12)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이동부(22)의 이동에 따라 외관(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는 이동부(22)의 이동과 함께 외관(12)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고주파 전달 전극(30)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주파 전달 전극(30)은 적어도 일부가 이동부(22)에 고정되고, 일부가 절곡되어 돌기를 형성하는 전극와이어(30a, 30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고주파 전달 전극(30)은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이동부(22)의 상하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는 복수 회에 걸쳐 절곡되어 복수 개의 돌기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주파 전달 전극(3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고주파 차단 물질로 형성된 고주파차단부(2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고주파차단부(23)의 둘레면에는 전극와이어(30a, 30b)의 절곡 부분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홀(23b)이 형성되고, 전극와이어(30a, 30b)의 일부를 이동부(22)의 둘레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23a)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의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에 대응되도록 삽입홀(23b) 역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더불어 고주파차단부(23)가 고주파 차단 물질로 형성되는 이유는 시술이 요구되지 않는 부위에 고주파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고주파 전달 전극(30)이 외관(12)의 내측으로 삽입된 경우에는,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는 고주파차단부(23)의 둘레를 따라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도 3과 같이 고주파 전달 전극(30)이 외관(12)의 외측으로 노출될 경우에는,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의 절곡 부분이 삽입홀(23b)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는 고주파 전달 전극(30)이 외관(12)의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접히는 형태를 가지나, 이와 달리 전극와이어(30a, 30b)는 외관(12)의 내측으로 삽입될 시 압력에 의해 삽입홀(23b) 내측으로 눌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극와이어(30a, 30b)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가지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외관(12)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따른 시술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가이드와이어(50)가 신장 신동맥(RA)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가이드와이어(50)가 고주파 치료를 하기 위한 인체의 특정 부분에 삽입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신장의 신동맥(RA)에 삽입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가이드와이어(50)를 따라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가 신장의 신동맥(RA)으로 안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26), 이동부(22) 및 제2커넥터(24)에 내측에 연통된 홀에 인체의 외부에 노출된 가이드와이어(50)의 타단이 삽입된다. 그리고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는 가이드와이어(50)를 따라 신동맥(RA)으로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시술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50)의 일부가 외관(1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도 1에 도시된 제2커넥터(24)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이동부(22)는 외관(12)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22)의 이동에 따라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일부가 외관(12)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고주파 전달 전극(30)은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를 포함하므로,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일부가 외관(12)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될 경우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의 절곡 부분이 고주파차단부(23)의 삽입홀(23b)을 통해 돌출된다.
이 때 시술자는 별도의 영상장비 등을 통하여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가 혈관의 내벽과 접촉하는지를 확인하면서 이동부(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본 발명의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가 혈관의 내벽과 접촉되고, 인가된 고주파에 의하여 혈관벽 내부에 위치하는 신경(Renal Plexus: RP)이 괴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30)이 혈관 벽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가 혈관 벽에 접촉된다. 그리고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를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에 의하여 신동맥(RA) 혈관 내벽의 신경(RP)이 괴사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와이어(30a)와 제2전극와이어(30b)의 절곡 부분은 복수 개이므로 동시에 여러 부분에 대해 시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극와이어(30a, 30b)의 절곡 부분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며, 고주파 전달 전극(30)의 둘레에는 고주파차단부(23)가 구비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전극와이어(30a, 30b)의 절곡 부분의 크기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고주파차단부(23)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전극와이어(30a, 30b)의 절곡 부분의 높이가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질 경우에는 하나의 고주파 전달 전극(30)를 이용하더라도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혈관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시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주파차단부(23)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극와이어(30a, 30b)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전극와이어(30a, 30b) 자체가 고주파 차단 물질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제2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구비된 전극와이어(630)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고주파차단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전극와이어(630) 자체가 고주파 차단 물질에 의해 코팅된다. 구체적으로, 전극와이어(630)에 의해 형성된 고주파 전달 전극의 돌기의 돌출된 단부(630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630b)에 고주파 차단 물질이 코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의 돌출된 단부(630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630b)이 혈관에 접촉될 경우 고주파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술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122)와 고주파 전달 전극(13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안내부(126), 외관(112), 이동부(122)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나, 고주파 전달 전극(130) 및 고주파차단부(123)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주파차단부(123)의 삽입홀(123b)은 복수 개가 고주파차단부(123)의 둘레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나선 배열되고, 고주파 전달 전극(130)은 하나의 전극와이어가 복수 개의 삽입홀(123b)을 따라 이동부(122)에 나선 형태로 구비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전극와이어만으로도 다점 시술이 가능하며, 삽입홀(123b)의 개수에 따라 혈관 벽의 다양한 각도를 동시에 시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222)와 고주파 전달 전극(23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안내부(226), 외관(212), 이동부(222)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나, 고주파 전달 전극(230) 및 고주파차단부(223)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주파차단부(223)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단위부재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며, 복수 개의 단위부재 중 서로 인접한 단위부재 간의 이격된 사이가 전술한 실시예들의 삽입홀에 대응된다.
또한 고주파 전달 전극(230)은 제2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전극와이어만이 사용되며, 이는 각 단위부재의 사이에 상하 교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역시 하나의 전극와이어만으로도 다점 시술이 가능하며, 고주파차단부(223)가 복수 개의 단위부재로 분리되므로 각 단위부재를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이격된 거리를 변경시켜 전극와이어의 높이 등을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322)와 고주파 전달 전극(33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안내부(326), 외관(312), 이동부(322)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나, 고주파 전달 전극(330)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되며, 고주파차단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전달 전극(330)은 공간형성부를 포함한다. 즉 복수의 와이어(330b)가 교차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물 형태를 가진다. 특히 복수의 와이어(330b) 중 일부 와이어(330a)는 고주파 전달 전극(330)의 돌기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시술 시 시술 부위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태의 고주파 전달 전극(330)의 경우, 외관(312)의 외측으로 노출 시 크기가 확장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돌기를 형성하는 와이어(330a)의 단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고주파 차단 물질에 의해 코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이동부(422)와 고주파 전달 전극(43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역시 전술한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전달 전극(430)은 공간형성부를 포함한다. 즉 복수의 와이어가 교차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물 형태를 가진다.
다만, 제5실시예와의 차이점은 고주파 전달 전극(430) 자체의 단면적이 변화한다는 것이다. 특히 제6실시예에서 고주파 전달 전극(430)은 단면적이 큰 돌출부(430a)와, 돌출부(430a)보다 단면적이 작은 함몰부(430b)가 서로 교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430a)는 고주파 전달 전극(430)의 돌기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시술 시 시술 부위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6실시예의 고주파 전달 전극(430)의 경우,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관(412)의 외측으로 노출 시 크기가 확장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돌출부(430a)의 단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고주파 차단 물질에 의해 코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제1전극와이어(530a)와 제2전극와이어(530b)가 이동부(522)의 후방까지 연장되어 제1커넥터(514)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것이 다르다.
이와 같이 제1전극와이어(530a)와 제2전극와이어(530b)가 이동부(522)의 후방까지 연장됨에 따라 시술자는 제1전극와이어(530a)와 제2전극와이어(530b)를 직접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제1전극와이어(530a)와 제2전극와이어(530b)를 전방으로 밀어 넣거나 후방으로 당기는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경우, 고주파 전달 전극이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전도성 판재 등의 재료를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14의 위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주파 전달 전극을 제작하기 위해서 전도성 판재(723)가 준비된다. 전도성 판재(723)로는 전도성을 가지는 것이면 어떤 재질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니켈(Ni) - 티탄(Ti) 합금의 일종인 니티놀(Nitinol)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먼저 이와 같은 전도성 판재(723)를 도 14의 아래쪽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가공한다. 이는 프레스 공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가공된 전도성 판재(723)는 구체적으로 고정부(723a)와 연결부(723b)를 포함한다.
즉 전도성 판재(723)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함에 따라, 양단에는 한 쌍이 서로 전후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고정부(723a)가 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부(723a) 사이에는 한 쌍의 고정부(723a)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723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가공과 함께 연결부(723b)의 소정 위치에는 접힘선(724)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이후 한 쌍의 고정부(723b)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좁힐 경우 접힘선(724)이 돌출되어 고주파 전달 전극의 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두 번째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단계에서는 전 단계에서 가공된 전도성 판재(723)를 원형으로 말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관 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관 형태의 전도성 판재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각 고정부(723a) 사이를 좁혀 돌기를 형성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태로 제작된 고주파 전달 전극의 전후에 위치된 한 쌍의 고정부(723a) 간의 이격된 거리를 좁힐 경우, 연결부(723b)에 형성된 접힘선(724)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고주파 전달 전극의 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고정부(723a) 사이에 위치된 복수 개의 연결부(723b)의 각 접힘선(724)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돌기는 고주파 전달 전극의 주위를 따라 나선형 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경우, 기본적인 구성은 고주파 전달 전극이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상술한 제8실시예와 같이 전도성 판재(723) 등의 재료를 가공하여 제작된다. 하지만, 여기서 상술한 바와 달리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된 연결부(723b)에 별도의 지지부(723c)가 더 구비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판재(723)를 가공할 때, 단순히 연결부(723b)와 고정부(723a) 만으로 가공하지 않고, 복수 개의 연결부(723b)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부재 사이에 적어도 한곳 이상 위치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지지부(723c)를 함께 가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 판재(723)는 도 17의 아래쪽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가공하며, 이는 프레스공정 등에 의해서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공된 전도성 판재(723)는 구체적으로 고정부(723a), 연결부(723b) 및 지지부(723c)를 포함한다.
전도성 판재(723)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하며, 양단에는 한 쌍이 서로 전후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723a)가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부(723a) 사이에는, 한 쌍의 고정부(723a)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723b)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복수 개의 연결부(723b) 중 서로 이웃하는 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부(723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도성 판재(723)의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은 이웃하는 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도성 판재(723)를 가공하는 경우 고정부(723a) 연결부(723b) 및 지지부(723c)가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8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판재(723)의 가공에 의해서 연결부(723b)의 소정 위치에는 접힘선(724)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이후 한 쌍의 고정부(723a)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좁힐 경우 접힘선(724)이 돌출되어 고주파 전달 전극의 돌기를 형성한다.
여기서, 한 쌍의 고정부(723a) 사이의 이격거리가 길어서, 연결부(723b) 자체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연결부(723b)가 접힘선(724)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경우, 지지부(723c)는 서로 이웃한 연결부(723b)를 지지하여 돌출된 고주파 전달 전극의 돌기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전도성 판재(724)를 이용하여 고주파 전달전극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두 번째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의 각 고정부(723a) 사이를 좁혀 돌기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단계에서는 전 단계에서 형성된 전도성 판재(723)를 원형으로 말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관 형태로 제작한다.
이와 같이 전도성 판재(723)가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동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부(723a) 사이를 좁혀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고정부(723a) 사이의 이격거리가 좁아짐에 따라, 연결부(723b)에 형성된 접힘선(724)을 따라 연결부(723b)가 돌출되어 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연결부(723b)는 한 쌍어 고정부(723a)에 의해서 양단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서로 이웃한 부재끼리 연결된 지지부(723c)에 의해서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형성되는 돌기의 위치가 보다 정밀해진다.
이와 같이 제작된 관 형태의 전도성 판제는 지지부(723c)에 의해서 연결부(723b)의 자유도를 일부 억제함으로써, 연결부(723b)가 돌기를 형성할 때 형성된 돌기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고정부(723a)(723a) 사이에 위치된 복수 개의 연결부(723b)(723b)의 각 접힘선(724)(724)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돌기는 고주파 전달 전극의 주위를 따라 나선형 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723c)는 전도성 판재(723)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한 연결부(723b) 사이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삽입유닛 12: 외관
14: 제1커넥터 20: 이동유닛
22: 이동부 23: 고주파차단부
24: 제2커넥터 26: 안내부
30: 고주파 전달 전극 30a: 제1전극와이어
30b: 제2전극와이어 40: 고주파 발생유닛
50: 가이드와이어

Claims (13)

  1. 삭제
  2. 인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을 포함하는 삽입유닛;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와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및
    상기 돌기로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고,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전극와이어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와이어는 상기 이동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전극와이어의 절곡 부분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고주파 차단물질로 형성된 고주파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복수 개가 상기 고주파차단부의 둘레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나선 배열되고, 상기 전극와이어는 상기 복수 개의 삽입홀을 따라 상기 이동부에 나선 형태로 구비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차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단위부재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부재 중 서로 인접한 단위부재 간의 이격된 사이는 상기 삽입홀을 형성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상기 돌기의 돌출된 단부 외의 부분에 고주파 차단물질이 코팅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의 길이는 이동부의 후방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9. 인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을 포함하는 삽입유닛;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와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및
    상기 돌기로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복수의 와이어가 교차함에 따라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일부는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10. 인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을 포함하는 삽입유닛;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와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및
    상기 돌기로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복수의 와이어가 교차함에 따라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둘레에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는 서로 교대로 형성된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11. 인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관을 포함하는 삽입유닛;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와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및
    상기 돌기로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전달 전극은 한 쌍이 서로 전후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 위치에는 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좁힐 경우 상기 접힘선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의 각 접힘선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부재 사이에 적어도 한곳 이상 위치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KR1020130016813A 2012-06-15 2013-02-18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KR101465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57 2012-06-15
KR20120064357 2012-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355A KR20130141355A (ko) 2013-12-26
KR101465159B1 true KR101465159B1 (ko) 2014-11-25

Family

ID=4998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813A KR101465159B1 (ko) 2012-06-15 2013-02-18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210A1 (ko) * 2021-08-25 2023-03-02 주식회사 딥큐어 체내의 신경을 차단 또는 조절하기 위한 전극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3961A1 (en) * 1997-11-12 1999-05-20 Vnus Medical Technologies, Inc. Catheter having expandable electrodes and adjustable stent
KR20060074112A (ko) * 2004-12-27 2006-07-03 (주) 태웅메디칼 고주파 열치료용 전극 장치
WO2012015722A1 (en) * 2010-07-30 2012-02-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f electrodes on multiple flexible wires for renal nerve ablation
JP2012095853A (ja) * 2010-11-02 2012-05-24 Nippon Erekuteru:Kk 高周波加温バルーン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3961A1 (en) * 1997-11-12 1999-05-20 Vnus Medical Technologies, Inc. Catheter having expandable electrodes and adjustable stent
KR20060074112A (ko) * 2004-12-27 2006-07-03 (주) 태웅메디칼 고주파 열치료용 전극 장치
WO2012015722A1 (en) * 2010-07-30 2012-02-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f electrodes on multiple flexible wires for renal nerve ablation
JP2012095853A (ja) * 2010-11-02 2012-05-24 Nippon Erekuteru:Kk 高周波加温バルーンカテーテ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210A1 (ko) * 2021-08-25 2023-03-02 주식회사 딥큐어 체내의 신경을 차단 또는 조절하기 위한 전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355A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8663B2 (en) Bendable catheter arms having varied flexibility
EP2662015B1 (en) Locating a catheter sheath end point
US9808311B2 (en) Deflectable medical devices
EP4335399A2 (en) Pulmonary vein isolation balloon catheter
JP4940332B2 (ja) カテーテル
US20150270634A1 (en) Electrode assembly for catheter system including struts having a non-uniform thickness
CN111601560A (zh) 用于冲击波导管的低剖面电极
KR101465163B1 (ko)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JP2016539711A (ja) カテーテル曲線形状ストラット
WO2008141150A2 (en) Basket catheter having multiple electrodes
KR102462417B1 (ko) 체내의 신경을 차단 또는 조절하기 위한 전극 장치
JP6896621B2 (ja) 高周波及び/またはマイクロ波周波数エネルギーを電気手術器具に伝送するためのケーブル
KR20100117558A (ko) 조직 덩어리를 없애기 위한 앵커식 rf 절제 장치
JP5201755B2 (ja) 操舵可能なスタイレット
JP6072384B1 (ja) 処置具
JP2018503490A (ja) 螺旋構造の高周波アブレーションカテーテル及びその機器
US20210030462A1 (en) Catheter device
CN105407822B (zh) 用于血管内装置的连接结构和相关联的系统和方法
RU26568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вления индуктивных помех
KR101465159B1 (ko) 고주파 전달 전극 삽입장치
KR101401339B1 (ko) 고주파 전달전극 삽입장치
JP2016504957A (ja) 除神経用カテーテル
JP6909304B2 (ja) 医療機器用の大容量コネクタ
KR101399555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JP2021034377A (ja) 少なくとも1つのインピーダンス制御構造を有するカバー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