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687B1 -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687B1
KR101345687B1 KR1020130063762A KR20130063762A KR101345687B1 KR 101345687 B1 KR101345687 B1 KR 101345687B1 KR 1020130063762 A KR1020130063762 A KR 1020130063762A KR 20130063762 A KR20130063762 A KR 20130063762A KR 101345687 B1 KR101345687 B1 KR 10134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navigation
ta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6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6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routes to a destination by using a relay device in an indoor structure which cannot use GPS. For the purpose, provided is an indoor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tag storing tag information; a terminal receiving the tag information by tagging with the tag, immediately generating a starting position where a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in by analyzing the tag information, transmitting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rting position to a server through a relay device after generating it, and receiving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 relay device receiv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o provide the terminal or the server with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receiv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generating navig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it;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Reference numerals] (200) Terminal;(320) Mot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400) Server

Description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GPS 를 사용하지 못하는 실내에서의 NFC 태그를 이용하여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ute information using an NFC tag in a room that does not use GPS.

기존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이용하는 기술이었다.Conventional navigation systems and methods have been used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그러나 기존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navigation system cannot be use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cannot be generated using the GPS receiver.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80699에는 GPS 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도로의 RFID 태그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80699 는 GPS 를 주로 하고 부가적으로 RFID 태그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불과하다.Accordingl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80699 describes a navigation system that generates navigation information by reading an RFID tag of a road when GPS is not available. Howev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80699 mainly uses GPS and additionally generates a navigation information by reading an RFID tag.

또한, 도시화가 진행되어 인공적인 지하 및 실내 구조물이 대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거대한 실내 구조물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해주는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필요하다.In addition, when urbanization is progressing and the artificial underground and indoor structures are being enlarged, an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guiding a route from such a huge indoor structure to a destination is required.

본 발명은 GPS 를 이용하지 못하는 실내 구조에서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제공해주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navigation route to a destination by using a relay device in an indoor structure that does not use GP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로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목적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map data to a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발지의 위치를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생성하므로 지체 없이 즉시 네비게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mediately generate a location of the starting point using the tag inform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navigation immediately without delay.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본 발명은 고유 ID를 가지며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다수의 중계장치;와 상기 중계장치의 고유 ID를 수신하고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요청하는 단말;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알아내고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정보를 서치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having a unique ID and performs a network connection, and receives the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and transmits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ame to the server to request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 server connected to a network to find ou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ing a unique I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to search and transmit map information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here is provided an indoor navigation system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중계장치는 AP(Access Point)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relay device may be an access point (AP)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여기서, 태그 아이디, 태그의 위치정보, 목적지 정보, 상기 중계장치의 접속 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엔에프씨 태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태깅에 의해 상기 엔에프씨 태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설정하거나 상기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NFC tag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ag ID, a tag location information, a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n access address of the relay device, and the terminal is currently tagged using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may be set or the destination may be set us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input.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태그와 태깅하여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NFC 통신부;와 상기 태그와 태깅하는 경우에 네비게이션 앱을 구동하는 앱구동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중계장치의 접속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중계장치에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the NFC communication unit for tagging with the tag to receive the tag information; and an app driver for driving a navigation app when tagging with the tag;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from the server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analyze the tag information, extract a connection address of the relay device to access the relay device, and perform a navigation operation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You can do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와 상기 출발지 위치 또는 상기 현재위치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지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목적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목적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출발지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현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rver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map information matching the starting location o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i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exists by analyz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searching for the storage unit, and generating navigation information, which is a path from the starting location to the destin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 server controller for generating navig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when the information does not exist; And a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상기 출발지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로, 상기 현재위치정보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경로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는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현재위치정보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moving path information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destination, and is a text message describing the moving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or map data of the moving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t may be characterized by.

또한, 단말이 중계장치와 접속하여 중계장치의 고유 ID 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이 상기 중계장치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중계장치의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알아내고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정보를 서치하는 단계; 및 서버가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elay device to receive a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and the terminal generate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navig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questing information; and finding, by the serv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searching the map information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map information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또한, 단말이 태그와 태깅하여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이 상기 태그정보를 분석하여 단말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출발지 위치를 즉시 알아내고 상기 출발지 위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단말이 중계장치의 접속 주소를 알아내고 중계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서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tagging with the tag to receive the tag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to analyze the tag information to immediately find the starting location where the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and to generat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rting location; and Determining, by a terminal, a connection address of a relay device, accessing the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a server through the relay device; and receiving, by the server,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 relay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navig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the relay device. And receiving, by the terminal,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에는 목적지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목적지 정보는 상기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destin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or input by a user.

여기서, 상기 중계장치는 AP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이고, 단말은 상기 AP 에 접속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AP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relay device is an AP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ccesses the AP to transmit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when the access to the AP is impossible, the relay device accesses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server.

여기서, 상기 단말과 상기 중계장치는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이 위치하는 곳에 가까운 중계장치와 서로 지속적으로 통신을 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상기 서버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when the terminal is moved, the terminal and the relay device may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a relay device near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to inform the server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지도 데이터 또는 문자 메시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s map data or a text message.

본 발명은 GPS 를 이용할 수 없는 실내에서도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 또는 현재 위치를 생성하므로 지체 없이 즉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starting point or the current location by using the tag information even in a room where GPS is not available, thereby provid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without any delay.

또한, 단말로 지도 데이터가 포함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사용자가 보다 쉽게 목적지를 찾아 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ap data is provided to the terminal, the user can find the destination more easily.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고유 ID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door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navig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sing a unique ID received from a re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door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태그(100), 단말(200), 중계장치(300), 서버(400)를 포함한다.The indoor navig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g 100, a terminal 200, a relay device 300, and a server 400.

태그(100)는 태그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태그정보는 태그(1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 태그 아이디, 태그의 위치정보, 특정 장소의 위치정보, 태그 중계장치의 접속 주소(특히, AP의 접속 주소)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The tag 100 stores tag information. Here, the tag information is information stored in the tag 100 and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such as a tag ID, a location information of a tag, a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and an access address of a tag relay device (particularly, an access address of an AP). .

여기서, 특정 장소의 위치정보는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즉, 태그(100)에는 실내 구조물의 유명 장소나 사람들이 주로 찾는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장소를 찾아가고자하는 단말 사용자는 태그(100)와 태깅하여 태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가고자하는 특정 장소로의 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lace mea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That is, the tag 100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a famous place of an indoor structure or a place that people mainly look for. 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who wants to visit this specific place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lace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by tagging with the tag 100 and receive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specific place to go.

즉, 단말의 사용자는 가고자하는 장소의 위치나 네비게이션 경로를 알고자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장소(즉, 가고자 하는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100)와 태깅하여 해당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특정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태그(100)들은 동일 블럭에 복수개 가 잇을 수 있어 단말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100)와 태깅하여 원하는 장소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하나의 태그(100)에 복수개의 특정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단말 사용자는 태그(100)와 태깅하여 복수의 특정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 중에서 원하는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태그에 원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는 단말(200)에 직접 원하는 장소(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원하는 장소(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wants to know the location or navigation path of the place to go, tagging the tag with the tag 100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ired place (that is, the destination to go to) You can get it. To this end, a plurality of tags 100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pecific place may be provided in the same block, so that a terminal user may tag with a tag 100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desired place to navigate to a desired plac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one tag 100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specific places, so that a terminal user may tag with the tag 100 to position a desired place amo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specific places. You can also select the information. Alternatively, when the tag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about a desired place, the terminal use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 desired place (destination) by directly inputting information on a desired place (destination) to the terminal 200. .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지 및 출발지의 정보가 필요하다. 목적지 정보는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출발지 정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In order to use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and a departure point is required.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departur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method.

단말 사용자는 태그(100)와 태깅하는 경우에 태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태그 아이디 또는 태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위치정보를 즉시 알아낼 수 있다.When tagging with the tag 100, the terminal user may immediately fi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by using the tag ID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태그(100)는 실내 구조물의 벽이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엑스 같은 거대한 지하 구조에 조성된 다목적 쇼핑몰(Shopping Mall)의 특정 블럭의 벽이나 이정표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tag 100 may be attached to a wall or a specific location of an indoor structure. For example, it may be attached to a specific block wall or milestone in a shopping mall built in a huge underground structure such as COEX.

단말(200)은 태그(100)와 태깅을 통해 태그정보를 수신한다(①). 이를 위해서 단말(200)은 NFC 통신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태그(100)는 NFC 태그일 수 있다.The terminal 200 receives tag information through the tag 100 and tagging (①). To this end, the terminal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NFC communication unit 210. In this case, the tag 100 may be an NFC tag.

단말(200)은 이후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태그정보에 포함된 중계장치의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중계장치(300)에 접속하여 생성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전송한다(②).The terminal 200 generate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generated by accessing the relay apparatus 300 using the access address of the relay apparatus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②).

여기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에는 출발지 위치를 포함한다. 출발지 위치는 단말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로 태그 아이디 또는 태그의 위치정보를 의미한다.Here,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a starting location. The starting location is a location where the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and means a tag ID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태그(100)는 각 태그마다 고유의 태그 아이디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태그 아이디를 이용하여 태그(100)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를 알 수 있으며, 태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직접적인 태그의 위치(즉, 출발지 위치)를 알 수 있다.Since the tag 100 has a unique tag ID for each tag, the tag 100 can know the position where the tag 100 is attached by using the tag ID, and the position of the tag directly (that is, the starting point) using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이후 중계장치(300)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한다(③). Thereafter, the relay device 300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to the server 400 (③).

서버(400)는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중계장치로 전송한다(④).The server 400 analyzes the received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navig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relay device (④).

중계장치(300)는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한다(⑤).The relay device 300 transmits the received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⑤).

중계장치(300)는 단말(200)로부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서버(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중계장치(300)는 단말(200)과 지속적으로 통신하여 단말의 위치를 트래킹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알려준다. 여기서, 단말의 현재 위치는 중계장치(300)의 위치를 의미한다.The relay device 300 receive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rver 400. In addition, the relay device 300 continuously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00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o inform the server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He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means the position of the relay device 300.

중계장치(300)는 AP(310)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320)이 될 수 있다The relay device 300 may be an AP 310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여기서, 중계장치(300)는 기본적으로 AP(310)를 의미하고, 단말(200)이 AP(310)와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말(200)은 이동통신 기지국(320)과 접속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기지국(320)이 중계장치(3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relay device 300 basically means the AP 310, and when the terminal 200 cannot connect to the AP 310, the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may perform the role of the relay device 300.

특히 중계장치(300)가 AP(310)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코엑스 같은 거대한 지하 구조에 조성된 다목적 쇼핑몰(Shopping Mall)의 특정 블럭마다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블럭에 설치되어 있는 중계장치(300)가 단말(200)과 통신을 하게 되면 현재 단말과 통신을 하고 있는 중계장치(300)의 위치를 단말이 현재 위치로 간주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relay device 300 is the AP 310, for example, the relay device 300 may be installed for each specific block of a shopping mall formed in a huge underground structure such as COEX. Therefore, when the relay device 300 installed in the specific block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00, the terminal regards the position of the relay device 300 that is currently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s the current location.

본 발명에서는 태그(100)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200)이 태그(100)와 태깅하자마자 즉시, 태그아이디 또는 태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 정보를 생성하므로 보다 빠르고 네비게이션을 즉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oon as the terminal 200 tags with the tag 100 using the tag information stored in the tag 100, since the source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tag ID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navigation is quicker and faster. There is an advantage available.

본 발명에서의 목적지 정보는 태그정보에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태깅시 자동적으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에 목적지가 입력되며 만일 태그정보에 목적지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말에 원하는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출발지와 목적지가 포함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이용하여 서버(40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the destination is automatically input to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when tagging. I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the destination desired by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Can be entered. Us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the server 400 generates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만일 단말(200)이 목적지가 입력되니 않은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서버(400)는 단말(200)의 이동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200)로 전송한다.If the terminal 200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which the destination is not input to the server 400, the server 400 generates the naviga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200, and thus the terminal 200. To send.

여기서 본 발명의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태그(100)를 제외한 단말(200), 중계장치(300), 서버(400)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indoor navig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terminal 200, a relay device 300, and a server 400 except for the tag 100.

중계장치(300)는 고유 ID를 가지며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lay 300 may have a unique ID and may be configured in plural to perform a network connection.

단말(200)은 위치하는 곳과 가장 가까운 중계장치(300)와 접속하여 고유 ID를 수신하고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단말(200)은 서버(400)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단말의 위치정보는 단말(200)이 수신한 중계장치(300)의 고유 ID를 이용하여 단말(200)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단말(200)이 이동함에 따라 접속하는 중계장치(300)가 달라지므로 단말(200)의 이동에 따라 서버(400)로 전송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에 포함되는 고유 ID 는 달라질 수 있다.The terminal 200 receives a unique ID by connecting to the relay device 300 closest to the location where it is located, generates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ame,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server 400. The terminal 200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rver 400 and reques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eans a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 is currently located by using the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300 received by the terminal 200. As the terminal 200 moves, the relay apparatus 300 to be accessed is changed, so that the unique ID included in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may var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200.

서버(400)는 단말(200)로부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고유 ID 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서 단말(200)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서버(400)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통해 단말의 이동에 따른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갱신하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400 may receive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00, analyze the extracted information, extract a unique ID, and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re the terminal 200 is currently located. The server 400 may extract and updat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rough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또한 서버(400)는 단말(20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단말의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receiving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00, the server 400 may generate navigation information by us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ransmit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단말(200)은 NFC 통신부(210), 앱구동부(220), 제어부(230), 통신부(240)를 포함하고 있다.Th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FC communicator 210, an app driver 220, a controller 230, and a communicator 240.

NFC 통신부(210)는 태그(100)와 태깅하여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즉,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태그(100)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경우에 태그(100)는 NFC 태그를 의미한다.NFC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tag information by tagging with the tag (100). That is, tag information stored in the tag 100 is received by using the NFC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tag 100 refers to an NFC tag.

앱구동부(220)는 단말의 실내 네비게이션 어플이 저장되어 있고 실내 네비게이션 어플을 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내 네비게이션 어플은 사용자에 의해서 구동될 수도 있으며, 단말(200)이 태그(100)와 태깅하여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실내 네비게이션 어플이 구동되면 태그(100)에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단말(200)에 목적지를 직접 입력하여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The app driver 220 stores an indoor navigation app of the terminal and performs a function of activating the indoor navigation app. The indoor navigation app may be driven by a user, or may be automatically driven when the terminal 200 receives tag information by tagging with the tag 100. When the indoor navigation application is driven, the user may set the destination by directly inputting the destination to the terminal 200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tag 100.

제어부(230)는 태그정보를 분석하여 AP(310)의 접속주소를 추출하여 알아내고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는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태그 아이디 또는 태그의 위치정보인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목적지 정보는 태그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 또는 단말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목적지 정보일 수 있다.The controller 230 analyzes the tag information, extracts and finds an access address of the AP 310, and generates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source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which are tag IDs or location information of tags included in tag information. Her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included in the tag or destination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of the terminal.

또한, 제어부(230)는 AP(310)가 접속 불가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기지국(320)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기지국(320)을 통해서 서버(40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AP 310 is not accessible, the controller 23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and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server 4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통신부(240)는 AP(310)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320)과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통신부(240)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장치 및 3G 나 4G와 같은 이동통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40 performs a function of accessing the AP 31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4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Wi-Fi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3G or 4G.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서버(400)은 서버 통신부(410), 서버 제어부(420), 위치정보 저장부(430), 지도정보 저장부(440)를 포함하고 있다.The serv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410, a server control unit 420,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30, and a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440.

서버 통신부(410)는 중계장치(300)를 통해서 단말(200)과 연결되어 단말(200)로부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서버(400)에서 생성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41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relay device 300 to receiv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er 400 to the terminal 200. Do this.

서버 제어부(420)는 중계장치(300)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및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서 서버 제어부(420)는 위치정보 저장부(430)와 지도정보 저장부(440)를 검색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한다.The server controller 420 analyze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relay device 300, extracts source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ich is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Generat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is end, the server controller 420 searches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30 and the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440 to generate navigation information.

여기서 네비게이션 정보는 출발지 또는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의미한다. 경로 정보는 출발지 또는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경로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는 문자 메시지일 수 있고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데이터일 수도 있다.Here, the navigation information refers to rout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parture point or th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The route information may be a text message that describes the movement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rigin or th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or may be map data about the movement route.

위치정보 저장부(430)는 태그정보에 상응하여 매칭되어 있는 주소 또는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절대위치좌표 또는 태그 아이디에 매칭된 위치좌표를 의미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30 stores address or loc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eans location coordinates matched with absolute location coordinates or tag IDs.

지도정보 저장부(440)는 지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The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440 stores map information.

여기서, 지도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내장소의 구체적인 지도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내장소가 코엑스와 같은 쇼핑몰인 경우에는 지도 데이터는 코엑스의 내부구조에 대한 상세한 지도데이터를 의미한다.Here, the map information means specific map data of the indoor plac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f the indoor place is a shopping mall such as COEX, the map data means detailed map data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COEX.

지도정보 저장부(440)와 위치정보 저장부(430)는 서로 연동되어 하나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절대위치좌표 또는 태그 아이디에 매칭된 위치좌표는 지도 데이터가 연동되어 저장되어 있다.
The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44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30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stored in one storage unit. Therefore, the map data is interlocked with the location coordinates matching the absolute location coordinates or the tag ID.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4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0 단계는 단말(200)이 태그(100)와 태깅하여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Step S100 is a step in which the terminal 200 receives tag information by tagging with the tag 100.

단말(200)이 태그(100)와 태깅하여 태그정보를 수신하면, 네비게이션 어플이 자동적으로 구동되어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 정보를 즉시 생성한다. When the terminal 200 receives the tag information by tagging with the tag 100, the navigation app is automatically driven to immediately generate the source information using the tag information.

S110 단계는 단말(200)이 수신한 태그정보를 분석하여 AP 접속 주소를 추출하여 알아내고, 태그정보와 목적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한다. Step S110 analyzes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200 to extract and find an AP access address, and generates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tag information and a destination.

태그정보에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태그정보에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어플을 이용하여 목적지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I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sour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I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the user uses the navigation app. You can enter the destination directly.

S120 단계는 단말(200)이 알아낸 AP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AP(310)에 접속하고 생성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AP(31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만일 단말(200)이 AP(310)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말(200)은 기지국(320)에 접속하여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전송한다. In step S120, the terminal 200 accesses the AP 310 using the AP access address fou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AP 310. Here, if the terminal 200 cannot access the AP 310, the terminal 200 accesses the base station 320 and transmits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S130 단계는 AP(310)가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만일 단말(200)이 AP(310)와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말(200)은 이동통신 기지국(320)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기지국(320)을 통해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한다.In step S130, the AP 310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to the server 400. If the terminal 200 is unable to access the AP 310, the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and transmits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rver 4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

S140 단계는 서버(400)가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서버(400)는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출발지 및 단말의 현재위치와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알아내고 위치정보 저장부(430)과 지도정보 저장부(440)을 검색하여 출발지 또는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인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한다. Step S140 is a step of generating navig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rver 400. The server 400 analyzes the received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find 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terminal and the destin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sear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30 and the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440 to searc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tarting point or the terminal. Generates naviga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a movement route from a location to a destination.

S150 단계는 서버(400)가 생성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AP(310)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320)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In step S150, the navig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er 400 is transmitted to the AP 31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S160 단계는 AP(310)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320)이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In step S160, the AP 31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transmi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400 to the terminal 200.

여기서, 만일 단말(200)이 AP(310)와 접속이 불가능하여 이동통신 기지국(320)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기지국(320)을 통해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한 경우에는 서버(400)도 이동통신 기지국(320)으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통신 기지국(320)은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한다. Here, if the terminal 200 is unable to access the AP 310 and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rver 4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the server 400. ) Also transmi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transmits the received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이후 사용자는 단말(200)이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한다.Thereafter, the user moves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200.

상술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데이터 일 수 있고, 목적지까지 이동 경로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는 문자 메시지일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be map data about a movement route to a destination, or may be a text message including a description of the movement route to a destination.

도4에서는 단말(200)의 현재 위치는 단말(200)이 이동중에 태깅하는 태그(100)의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In FIG. 4,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200 may be indirectly determined by using tag information of the tag 100 that the terminal 200 tags while moving.

도5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200 단계는 단말(200)이 태그(100)와 태깅하여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Step S200 is a step in which the terminal 200 receives tag information by tagging with the tag 100.

S210 단계는 단말(200)이 수신한 태그정보를 분석하여 AP 접속 주소를 추출하여 알아내고,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한다.In step S210,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200 is analyzed to extract and find an AP access address, and generat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S220 단계는 단말(200)이 알아낸 AP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AP(310)에 접속하고 생성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AP(31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In step S220, the terminal 200 accesses the AP 310 using the AP access address fou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AP 310.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200)과 AP(310)이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말(200)은 이동통신 기지국(320)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기지국(320)으로 위치요청 정보를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200 and the AP 310 are unable to connect, the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and transmits loc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S230 단계는 AP(310)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320)이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In step S230, the AP 31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to the server 400.

S240 단계는 서버(400)가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목적지를 알아내고 이를 로딩하는 단계이다.Step S240 is a step of analyz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rver 400 to find a destination and loading it.

도5에서는 단말(200)의 이동에 따른 단말의 현재 위치를 AP(310) 또는 이동통신기지국(320)과 단말간의 지속적인 위치 트랙킹(tracking)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다. 도4에서는 단말(200)이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태그정보로부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었다.In FIG. 5,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200 may be determined through continuous location tracking between the AP 31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and the terminal. In FIG. 4, when the terminal 200 receives tag information, the terminal 200 determines a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tag information.

그러나 도5에서는 단말(200)이 중계장치(300)와 접속하게 되면 단말(200)과 중계장치(300)간의 지속적인 위치 트랙킹을 통해서 단말의 현재 위치를 알아낸다.However, in FIG. 5, when th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relay device 300,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s determined through continuous location tracking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relay device 300.

즉, 단말(200)이 현재 접속한 AP(310)으로부터 단말(200)의 이동에 따라 다른 AP(310)로 접근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핸드오버를 하게 되어, 단말(200)이 이동한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AP(310)와 접속하게 되고 새롭게 접속한 AP(310)의 설치 위치와 아이디를 이용하여 단말(200)의 이동에 따른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트랙킹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erminal 200 approaches another AP 31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200 from the currently connected AP 310, the handov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 terminal 200 is installed near the moved. It is connected to the AP 310 and the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200 can be continuously tracked us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ID of the newly connected AP 310.

또는 단말(200)이 현재 접속한 이동통신 기지국(320)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에 따라 다른 이동통신 기지국(320)에 접근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핸드오버를 하게 되어, 단말(200)이 이동한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320)과 접속하게 되고 새롭게 접속한 이동통신 기지국(320)의 설치 위치와 아이디를 이용하여 단말(200)의 이동에 따른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트랙킹 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terminal 200 approaches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from the currently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handov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 terminal 200 is installed near the moving place. It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and the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200 can be continuously tracked us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ID of the newly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20.

S250 단계는 단말(200)이 이동하는 경우에 단말(200)과 중계장치(300)와의 지속적이 통신을 통해 단말의 위치를 트랙킹하는 단계이다.Step S250 is a step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relay device 300 when the terminal 200 moves.

S260 단계는 중계장치(300)가 위치 트랙킹을 통해 알아낸 단말의 현재 위치치를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In step S260, the relay device 300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value of the terminal found through location tracking to the server 400.

S270 단계는 서버(400)가 수신한 단말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인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In step S270, the server 400 generates navigation information that is a moving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S280 단계는 서버(400)가 생성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중계장치(3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In step S280, the navig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er 400 is transmitted to the relay device 300.

S290 단계는 중계장치(300)가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In step S290, the navig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lay device 3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이후 사용자는 단말(200)이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한다.Thereafter, the user moves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200.

여기서, 네비게이션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데이터 일 수 있고, 목적지까지 이동 경로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는 문자 메시지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be map data about a movement route to a destination, or may be a text message including a description of the movement route to the destination.

본 발명은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정보에 출발지(또는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는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에서 단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즉, 단말의 현재 위치의 주변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로 전송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하는 주변의 정보를 지도나 메시지를 통해서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stination is set,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es a movement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or a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o a destination desir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move to a desired destination. In addition, when the destination is not set, the server generates navig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e,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surrounding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You can learn more about the surrounding information through a map or a message.

도6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고유 ID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navig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sing a unique ID received from a re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300 단계는 단말(200)이 중계장치(300)와 접속하여 중계장치(300)의 고유 ID를 수신하는 단계이다.Step S300 is a step in which th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relay device 300 to receive a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300.

단말(200)은 이동에 따라 근처에 위치하는 중계장치(300)와 접속하여 중계장치(300)로부터 고유 ID 를 수신한다.The terminal 200 receives a unique ID from the relay device 300 by connecting to a relay device 300 located near by movement.

S310 단계는 단말(200)이 수신한 고유 ID 가 포함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네비게이션 요청정보에는 고유 ID 와 단말이 가고자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Step S310 is a step of generating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 received by the terminal 200.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a unique ID and a destination to which the terminal wants to go.

여기서 목적지 정보는 태그(100)와 태깅하여 수신한 태그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단말(200) 사용자가 직접 목적지를 입력할 수도 있다.Her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from tag information received by tagging with the tag 100, and the user of the terminal 200 may directly input a destination.

S320 단계는 단말(200)이 생성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In step S320,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S330 단계는 서버(400)가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단말의 위치정보와 단말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정보를 서치하는 단계이다.In operation S330,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rver 400 is analyzed to search f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map information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서버(300)에는 지도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단말의 위치정보를 알면 해당 위치의 지도정보를 서치하여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위치정보는 단말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현재 위치정보를 의미한다.Map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rver 300, so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known, the ma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can be searched and found.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ean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S340 단계는 서버(400)가 알아낸 단말의 위치정보와 서치한 해당 지역의 지도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In step S340, the server 4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map information of the searched area to the terminal 20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태그 200 : 단말
210 : NFC 통신부 220 : 앱구동부
230 : 제어부 240 : 통신부
300 : 중계장치 310 : AP
320 : 이동통신기지국 400 : 서버
410 : 서버 통신부 420 : 서버 제어부
430 : 위치정보 저장부 440 : 지도정보 저장부
100: tag 200: terminal
210: NFC communication unit 220: App driver
230: control unit 240: communication unit
300: repeater 310: AP
320: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400: server
410: server communication unit 420: server control unit
430: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440: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Claims (13)

실내장소에서 이용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고유 ID를 가지며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다수의 중계장치;
상기 중계장치의 고유 ID를 수신하고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요청하는 단말;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알아내고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정보를 서치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출발지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이동경로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는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실내장소의 구체적인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In a navigation system used indoors,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having unique IDs for performing network access;
A terminal receiving the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ame to a server to request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unique I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obtained, and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searching the map information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generat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erver for transmitting; includ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a route information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destination, the indoor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text message or a detailed map data of the indoor location that describes the movement rout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AP(Access Point)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lay device is an indoor navig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P (Access Point)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태그 아이디, 태그의 위치정보, 목적지 정보, 상기 중계장치의 접속 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태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태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태그와 태깅하여 수신한 상기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설정하거나 목적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further comprising a tag in which ta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ag I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n access address of the relay device is stored.
The terminal sets a current location or a destination by using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by tagging with the t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comprises indoor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p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태그와 태깅하여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NFC 통신부;
상기 태그와 태깅하는 경우에 네비게이션 앱을 구동하는 앱구동부;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정보를 분석하여 출발지 위치를 생성 및 상기 중계장치의 접속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중계장치에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terminal,
NFC communication unit for tagging with the tag to receive the tag information;
An app driver for driving a navigation app when tagging with the tag;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receives the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analyze the tag information, generate a starting position, extract an access address of the relay device, and access the relay device, and perform a navigation operation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door navig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실내장소의 지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목적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목적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정보를 검색하여 출발지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인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알아내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compris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information including map data of the indoor location; And
I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exists by analyz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the map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searched, and the navigation information which is a route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destin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determined by us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he navig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 server control unit controlling to make; Indoor navigation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실내장소에서 이용되는 네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중계장치와 접속하여 중계장치의 고유 ID 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이 상기 중계장치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중계장치의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알아내고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정보를 서치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버가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출발지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이동경로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는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실내장소의 구체적인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방법.
In the navigation method used indoors,
Receiving, by the terminal, a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by connecting to the relay device;
Generating, by the terminal,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a server to request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Generating navigation information by finding, by the serv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unique ID of the relay device received from the terminal, searching the map information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ap information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a moving path information from a starting position to a destination, and includes a text message or a detailed map data of the indoor location that describes the moving rout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실내장소에서 이용되는 네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태그와 태깅하여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이 상기 태그정보를 분석하여 단말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출발지 위치를 즉시 알아내고 상기 출발지 위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이 중계장치의 접속 주소를 알아내고 중계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서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상기 출발지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이동경로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는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실내장소의 구체적인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방법.
In the navigation method used indoors,
Receiving, by the terminal, tag information by tagging with tag;
Analyzing, by the terminal, the tag information to immediately determine a starting location of the terminal where the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and generating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rting location;
Determining, by the terminal, an access address of the relay device, accessing the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the relay device;
Receiving, by the server,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navig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the relay device; And
And receiving, by the terminal,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a moving path information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destination, the indoor navigation method comprising a text message or a detailed map data of the indoor location that describes the movement rout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는 상기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said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said tag information or input by a us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AP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이고, 단말은 상기 AP 에 접속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AP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lay device is an AP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ccesses the AP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n the relay device cannot access the AP, the relay device accesses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o provide the navigation request information. Indoor navig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serv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상기 중계장치는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이 위치하는 곳에 가까운 중계장치와 서로 지속적으로 통신을 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상기 서버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terminal and the relay device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the relay device near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when the terminal moves to inform the server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삭제delete
KR1020130063762A 2013-06-04 2013-06-04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3456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762A KR101345687B1 (en) 2013-06-04 2013-06-04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762A KR101345687B1 (en) 2013-06-04 2013-06-04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687B1 true KR101345687B1 (en) 2013-12-30

Family

ID=4998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762A KR101345687B1 (en) 2013-06-04 2013-06-04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68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00A (en) * 2018-11-27 2020-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ocation using contactless communication in indoor space
KR102673268B1 (en) * 2023-01-20 2024-06-07 주식회사 스페이셜데이터서비스 method of providing in-door navigation by use of UWB tags and smartphon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441A (en) * 2002-03-13 2003-09-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System for detecting position in building
KR20090118463A (en) * 2008-05-14 2009-11-18 (주)씨엔에스에프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fline object information using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101178042B1 (en) * 2010-07-21 2012-08-30 한국과학기술원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ndoor navigation
KR20120113053A (en) * 2011-04-04 2012-10-12 (주)다인티앤에이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ur service of exhibition using user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441A (en) * 2002-03-13 2003-09-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System for detecting position in building
KR20090118463A (en) * 2008-05-14 2009-11-18 (주)씨엔에스에프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fline object information using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101178042B1 (en) * 2010-07-21 2012-08-30 한국과학기술원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ndoor navigation
KR20120113053A (en) * 2011-04-04 2012-10-12 (주)다인티앤에이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ur service of exhibition using user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00A (en) * 2018-11-27 2020-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ocation using contactless communication in indoor space
KR102412257B1 (en) 2018-11-27 2022-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ocation using contactless communication in indoor space
KR102673268B1 (en) * 2023-01-20 2024-06-07 주식회사 스페이셜데이터서비스 method of providing in-door navigation by use of UWB tags and smartph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5377B2 (en) Mobile navigation to a moving destination
KR101638135B1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14253B1 (en) Method, system, terminal, and map server for displaying a map
KR101634321B1 (en) Multimode path find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6218027A (en) Positioning system and measurement terminal
KR102107120B1 (en) Method for searching route, apparatus and server
KR101345687B1 (en)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50099544A1 (en)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routing to a person for pick-up retrieval
KR20080049423A (en) Method for leading a way and system for the same based on user created contents
JP7397116B2 (en) Map query methods, devices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9002784A (en) Navigation system, its search method, and search program
KR102297436B1 (en) Server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using beacon
CN105066987A (en) GPS navigation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KR20160113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lking navigation
KR101211354B1 (en) Using a mobile terminal device provides an independent method and system for specific local information
CN112432646B (en) Route navigation method,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US202201964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 navigable area of an indoor space using location trace snippets
KR101421613B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mehotd for controlling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of traffic information
JP2009186182A (en) Navigation system and program for same
KR101994542B1 (en)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13573B1 (en) Navi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by a crowd-sourcing
JP2009288224A (en)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KR1020986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f course
JP2007333651A (en) Route guidance system and navigation system
KR20140010496A (en) A distributed method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constrained k-nearest neighbor queries in roa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