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953B1 - Laundry device - Google Patents

Laund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953B1
KR101328953B1 KR1020070002818A KR20070002818A KR101328953B1 KR 101328953 B1 KR101328953 B1 KR 101328953B1 KR 1020070002818 A KR1020070002818 A KR 1020070002818A KR 20070002818 A KR20070002818 A KR 20070002818A KR 101328953 B1 KR101328953 B1 KR 10132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edestal
supply pip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5760A (en
Inventor
정성해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00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953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0011723.3A priority patent/EP2298982B1/en
Priority to PCT/KR2007/007018 priority patent/WO2008084932A2/en
Priority to CA2674266A priority patent/CA2674266C/en
Priority to CN2007800496804A priority patent/CN101578409B/en
Priority to AU2007342790A priority patent/AU2007342790B2/en
Priority to EP10011722.5A priority patent/EP2298981B1/en
Priority to US12/517,694 priority patent/US8266930B2/en
Priority to EP07860795.9A priority patent/EP2122034B1/en
Priority to RU2009130357/21A priority patent/RU2407830C1/en
Publication of KR2008006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와 페데스탈 세탁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기와 페데스탈 세탁기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가능한 급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탁장치는 세탁기, 상기 세탁기를 외부 하면에서 지지하며, 상기 세탁기를 외부 하면에서 지지하며,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기의 체적과 높이보다 각각 작고 낮으며 세탁 수행 가능한 페데스탈 세탁기, 하나의 외부 급수원에서 상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하도록 구성된 급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washing machine and a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supplying a washing machine and a pedestal washing machine from a single external water source. The washing apparatus supports a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machine at an external lower surface thereof, and supports the washing machine at an external lower surface thereof, a pedestal washing machine having a volume and a height smaller than and smaller than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washing machine, and capable of performing washing. The washing machine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ter supply devic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feed water to the washing machine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세탁기, 받침대, 페데스탈, 페데스탈 세탁기, 세탁장치 Washing machine, pedestal, pedestal, pedestal washer, washing machine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DEVICE}Laundry device {LAUNDRY DEVICE}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데스탈 세탁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데스탈 세탁기의 분해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100 : 세탁기 110 : 세탁기 세제박스100: washing machine 110: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20 : 세탁기 세탁공간 200 : 페데스탈 세탁기120: washing machine washing space 200: pedestal washing machine

210 : 케이스 220 : 드로워210: Case 220: Drawer

221 : 상부프레임 222 : 가스켓221: upper frame 222: gasket

223 : 콘트롤 패널 230 : 케이스 본체223 control panel 230 case body

240 : 아웃터브 241 : 아웃터브 도어240: outer 241: outer door

243 : 후크 250 : 이너터브243: hook 250: inner tub

260, 262 : 댐핑장치 270 : 배수관260, 262: damping device 270: drain pipe

271 : 배수 주름관 272 : 배수펌프271: drainage corrugated pipe 272: drainage pump

285 : 스팀발생장치 286 : 스팀 급수관 285 steam generator 286 steam water supply pipe

287 : 스팀관 290 : 모터287 steam tube 290 motor

300 : 급수장치 310 : 세탁기 급수관300: water supply device 310: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2 : 세탁기 급수밸브 320 : 페데스탈 급수관312: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valve 320: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1 : 급수 주름관 322 : 페데스탈 급수밸브321: water supply corrugated pipe 322: pedestal water supply valve

330 : 급수관 340 : 분지부330: water supply pipe 340: branch

400 : 외부 급수원 400: external water source

본 발명은 세탁기와 페데스탈 세탁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기와 페데스탈 세탁기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가능한 급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washing machine and a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supplying a washing machine and a pedestal washing machine from a single external water source.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the laundry machin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washing, drying or washing or drying clothes. Here, one washing apparatus may perform only washing or drying functions, or both washing and drying. In addition, recently, a steam supply device is provided, and a washing device having a refresh function such as wrinkle removal, odor removal,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clothes, etc., has been widely used.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es are classified into a front loading type or a top loading type according to a drawing direction of clothes. And there is a vertical type in which the pulsator or the washing tank is rotated and the horizontal type in which the drum rotates depending on how the washing is performe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horizontal type are drum washing machines or drum dryers.

이러한 세탁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장치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These washing machine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in size in response to recent user acceptance. That is, the external size of washing machines used for domestic use is becoming larger and larger.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세탁기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세탁기를 여러 번 사용하게 괸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 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세탁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Generally, each household is equipped with one large capacity washing machine. So, if you want to wash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to wash the washing machine to use several times. For example, when a laundry such as adult clothing and laundry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are to be divided and washed, the washing machine is used again for the latter after the former laundry is completed. As a result, the washing time is long and the energy consumed is also large.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세탁기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 세탁기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 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 또는 이너터브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 Further, i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saving to use a large washing machine like the conventional one in wash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The washing course provided in the large washing machine is expected to be large in the amount of laundry, so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is large. And because a large drum or inner tub must be rotated, a lot of power is consumed. Also, since the laundry course is intended for mass laundry, the washing time is relatively long.

그리고, 대형 세탁기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 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 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large washing machines may be suitable for washing delicate fabrics,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because a washing course is provided mainly for general clothes.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세탁기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Even if a small amount of laundry is frequently washed, a large washing machine is not suitable. Consumers collect laundry for a few days or longer to collect the laundry at once.

속옷류나 아기 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 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Underwear and baby clothes are not clean for long periods of time. And, if such laundry is left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is stuck to the cloth and the laundry is not made clean.

그래서, 종래 대형 세탁기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세탁기가 필요하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세탁기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Therefore, a compact washing machine smaller in capacity than a conventional large washing machine is required. However, even if it is small, it is not preferable to install two washing machines in a house and install it side by side in space, and it is not good for aesthetics.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탁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이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패널(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세탁이나 건조 등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1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appearance and a control panel 11 positioned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ere,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e, the user performs a process such as washing or drying by operating the control panel.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일 수 있다.Here, the washing apparatus may be a washing machine,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는 상기 본체(1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받침대(20) 위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may comprise a pedestal 20 for supporting the body 10 against the floor. Here,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above the pedestal 20.

이와 같은 받침대는 종래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지지하는 역할 정도로만 활용될 뿐 그 이외의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Such a pedestal has not been utilized for other purposes than the conventional use only to support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용량의 세탁기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세탁물 등에 대한 세탁이 가능하고, 건조기 또는 세탁기 등의 받침대 역할도 할 수 있는 페데스탈 세탁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laundry apparatus including a pedestal washing machine capable of washing a small amount of laundry or the like without driving a large washing machine and also serving as a pedestal of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와 페데스탈 세탁기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경우 단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 각각에 급수되도록 이루어진 세탁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machine configured to feed water to a washing machine and a pedestal washing machine from a single external water source when the washing machine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re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driven.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는 세탁기; 상기 세탁기를 외부 하면에서 지지하며, 상기 세탁기를 외부 하면에서 지지하며,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기의 체적과 높이보다 각각 작고 낮으며 세탁 수행 가능한 페데스탈 세탁기; 하나의 외부 급수원에서 상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하도록 구성된 급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hing machine; A pedestal washing machine supporting the washing machine at an outer bottom surface, supporting the washing machine at an outer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volume and a height smaller and lower than the washing machine's volume and height, respectively; And a water supply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feed water to the washer and the pedestal washer from one external water supply.

상기 세탁기는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주 세탁 장치이다.The washing machine is a main laundry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drying or washing or drying clothes.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는 소량의 세탁물 등에 대한 세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종래의 세탁기를 위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강하게 만들어진다.The pedestal washing machine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washing a small amount of laundry, etc., and is made structurally strong to support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up.

또한,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체적과 높이는 상기 세탁기의 체적과 높이보다 작고 낮게 함으로써 상기 세탁장치가 더욱 안정적인 구조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도 1의 받침대(20)가 하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is smaller and lower than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washing machine so that the washing apparatus can perform washing with a more stable structure. Thus, the role of the pedestal 20 of FIG. 1 may be substituted.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는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아웃터브를 지지하며, 전방으로 입출입 가능한 드로워(draw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edestal washing machine supports an outtub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includes a drawer that is capable of entering and leaving the fron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아웃터브와 단일체로 된 상부프레임을 갖는다.More preferably, it has an upper frame unit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rawer and unitary with the outer tub.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서 분지 되어 세탁기로 급수하는 세탁기 급수관, 그리고 상기 급수관에서 분지 되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로 급수하는 페데스탈 급수관을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supply a washing machine, and a pedestal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supply water to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따라서, 상기 급수장치는 하나의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에 급수 가능하다.Thus, the water supply device is capable of watering the washing machine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from one external water supply.

또한,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는 페데스탈 급수관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에 신축 가능하도록 길이 가변되는 형태를 가진다. 예컨데,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가지거나 또는 텔레스코픽하게 길이 가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provided 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has a form variable in length so as to be stretchable when the sliding door is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may have a corrugated pip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telescopically variable in length.

한편, 상기 급수관에서 상기 세탁기 급수관과 페데스탈 급수관으로 분지 되는 분지부가 상기 세탁장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branch portion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may be provided outside the washing apparatus.

또한, 상기 급수관에서 상기 세탁기 급수관과 페데스탈 급수관으로 분지 되는 분지부가 상기 세탁기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는 페데스탈 급수관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branch portion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s provided in each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급수관에서 상기 세탁기 급수관과 페데스탈 급수관으로 분지 되는 분지부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탁기 급수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탁기 급수관은 상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기 급수관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branch portion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may be provided insid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In this case, at least a part of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is preferably provided insid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s provided in each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세탁기 급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세탁기 급수밸브와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페데스탈 급수관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and a pedestal water supply pip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또한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세탁기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세탁기를 지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is fixedly coupled to the washing machine by a coupling means to support the washing machin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데스탈 세탁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데스탈 세탁기(200)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세탁기(100)의 받침대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serves as a stand of the washing machine 100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페데스탈 세탁 기(200)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기(100)와 상기 케이스(21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는 상기 세탁기(10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to 3,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case 210 and the case 210 form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rein the washing machine 100 ) And the coupling means 500 for coupling the case 210 with each other. Her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supports the washing machine 100 with respect to the floor.

그리고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기(100)의 하부 레그(leg)들(516,517)의 측면을 지지하는 레그 서포터(52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eg supporters 525 may be provided o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to support side surfaces of the lower legs 516 and 517 of the washing machine 100.

상기 각 레그 서포터(525)는, 상기 레그들(516, 517)이 각각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안착홀(526)과 2안착홀(527)이 형성된 패널로 이루어지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케이스(210) 상면에 스크루 등을 통하여 고정된다. Each leg supporter 525 is a case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when the legs are formed of a panel in which the first seating holes 526 and the second seating holes 527 are formed to seat the legs 516 and 517, respectively. 21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through a screw or the like.

상기 레그 서포터(525)들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케이스(210) 상부 각 모서리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210) 전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두 개의 레그 서포터에 형성되는 상기 제1안착홀(526)과 제2안착홀(527)은 서로 구획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레그들(516, 517)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leg supporters 525 are fixed to the upper corners of the case 210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the first seating holes 526 and the first support holes 526 formed in the two leg supporters fixed to the front edges of the case 210. The two seating holes 527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is is to facilitate the seating of the legs (516, 517).

상기 결합수단(500)은, 상기 세탁기(100) 의 측면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케이스(210) 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부재(538),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538)를 상기 세탁기(100)의 측면과 사이 페데스탈 세탁기의 케이스(210)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upling means 500, the coupling member 538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case 210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and the coupling member 538 to the washing machine ( And a fixing member 535 fixed to the side of the case 210 of the side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538)는 도 3에서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페데스탈 세탁기의 케이스(210)와 육면체 형상의 세탁기(100)의 경계의 양측 면을 상호 고정시 키는 두개 이상의 결합부재(538)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Here, the coupling member 538, as shown in Figure 3, two or more coupling members 538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boundary of the casing 210 of the cube-shaped pedestal washing machine 100 and the cube-shaped washing machine 100 mutually It may consist of).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결합부재(538)는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케이스(210)와 세탁기(100)의 후면을 상호 고정시크는 제 3의 결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upling member 538 may further comprise a third coupling member (not shown) for fixing and fixing the back of the case 210 and the back of the washing machine 100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500)은 상기 레그들(516, 517)의 높이 변화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coupling means 500 may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height change of the legs (516, 517).

상기 고정부재(535)는, 상기 결합부재(538)의 상부를 상기 세탁기(100)의 측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536),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538)의 하부를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측면 상부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537)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member 535, the first fixing member 536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538 to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538 to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side The second fixing member 537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536) 또는 제2고정부재(537) 중 적어도 하나는 양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된 것,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member 536 or the second fixing member 537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material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for example, a double-sided tape.

상기와 달리, 상기 제1고정부재(536) 또는 제2고정부재(537)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Unlike the abov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member 536 or the second fixing member 537 may be made of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가가 스크루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는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공을 가지는 것이 좋다.When the fixing member is made of a screw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may have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상기 세탁기(100)와 페데스탈 세탁기 케이스(210)의 결합을 위한 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the coupling of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case 210 may be variously modified.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의 안정성 측면이나 외관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케이스(210)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세탁기(100)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보다는 같거나 긴 것이 바람직하다.And, considering the stability or appearance design side of the washing machine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width or front and rear width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case 210 is preferably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r front and rear width of the washing machine 100. Do.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데스탈 세탁기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3 및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 and 6,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includes a case 210 having a space in which clothing is accommodated.

상기 케이스(210)는 케이스 본체(230)와 드로워(220)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220)는 상기 케이스 본체(23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다.The case 210 includes a case body 230 and a drawer 220. The drawer 220 can be pulled out from the case body 230 to the front.

상기 케이스 본체(230)는 그 위로 종래의 세탁기를 놓을 수 있도록 알맞은 크기를 가지고 구조적으로 강하게 만들어지며, 이를 위하여 체적과 높이를 상기 세탁기(100)의 체적과 높이보다 작고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body 230 has a suitable size and structurally strong to place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thereon, and for this purpose, the volume and height are preferably smaller and lower than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washing machine 100.

상기 드로워(220)에는 아웃터브(240)가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아웃터브(240)는 상기 케이스 본체(230)에 구비되는 지지장치들(2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장치들(260)의 일단들은 드로워(220)의 상부를 덮고 있는 상부프레임(221)의 각 코너에 연결되고, 타단들은 각각 아웃터브(240)의 측벽에 연결된다.The drawer 220 is supported and installed with the outer tub 240, and the outer tub 2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devices 260 provided in the case body 230. One end of the support devices 260 is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upper frame 221 covering the top of the drawer 22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outer tub 24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아웃터브(240)의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221)과 유연한 실링재인 가스켓(22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21)과 가스켓(222)은 아웃터브(240)와 드로워(220) 사이로 물을 비롯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240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221 through a gasket 222 that is a flexible sealing material. The upper frame 221 and the gasket 222 prevent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water, from entering the outer tub 240 and the drawer 220.

상기 아웃터브(240)의 상부 개구에는 아웃터브 도어(241)가 설치된다. 이는 페데스탈 세탁기(200)가 비교적 낮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상기 아웃터브(240) 내의 세탁수가 튀어나갈 수 있는데, 상기 아웃터브 도어(241)가 있으면 그것이 방지된다. An outer door (241) is installed at an upper opening of the outer box (240). This is becaus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has a relatively low height can wash out the wash water in the outer tub 240, if the outer door 241, it is prevented.

또한, 상기 아웃터브 도어(241)에는 후크(243)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아웃터브(240)의 내벽면에 형성된 후크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잠금을 수행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er door 241 is provided with a hook 243 is inserted into a hook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er tub 240 to perform a lock.

상기 아웃터브(240) 내에는 이너터브(250)가 위치한다. 상기 이너터브(250)에는 세탁수의 유출입을 위한 다수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An inner tub 250 is disposed in the outer tube 240. The inner tub 2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wash water.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240)의 바닥 하면에는 모터(29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모터(290)는 그 스테이터가 상기 아웃터브(240)의 바닥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축(291)은 상기 아웃터브(240)의 바닥을 관통하여 이너터브(250)의 바닥에 직결된다.The motor 29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lower surface of the outer tub 240. The stator of the motor 29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bottom of the outer tub 240, and the rotation shaft 291 of the motor passes directly through the bottom of the outer tub 240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inner tub 250. do.

상기 아웃터브(240)의 바닥에는 상기 회전축(291)을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이 설치된다.A bearing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tub 240 to support the rotating shaft 291.

상기 아웃터브(240)의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관(270)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270)의 일단은 케이스 본체(230)에 고정되어 외부로 통하고, 타단은 상기 아웃터브(240)의 하부에 연결되어 통한다. 상기 배수관(270)에는 배수펌프(272)가 연결되어 설치된다.A drain pipe 270 for drainag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tube 240. One end of the drain pipe 270 is fixed to the case body 23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tub 240 to communicate with it. A drain pump 272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270.

그리고, 상기 배수관(270)의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배수 주름관(271)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드로워(22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배수 주름관(271)이 신장된다.A portion of the drain pipe 270 is made of a drain corrugated pipe 271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us, the drainage corrugated pipe 271 is extended when the drawer 220 is pulled forward.

상기와 같은 주름관 형태 대신에 텔레스코픽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A telescopic structure may be used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corrugated pipe shape.

한편, 상기 드로워(220) 전면에는 콘트롤 패널(223)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 패널(223)은 세탁코스 등 세탁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로서 각종 버튼 및 놉(kno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패널(223)에는 세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서 엘시디(LCD) 창 및 엘이디(LED) 램프가 구비된다.Meanwhile, a control panel 223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drawer 220. The control panel 223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and knobs a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related to washing such as a washing course.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223 is provided with an LCD window and an LED lamp 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laundry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를 제어하게 되는 메인제어부 또한 상기 콘트롤 패널(223)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is also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223.

다만, 공간상 제약이 있는 경우 상기 콘트롤 패널(223)에는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만이 구비되고, 마이컴이 있는 메인제어부는 일측 코너에 위치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re is a space limitation, the control panel 223 may be provided with only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nd a main controller with a microcomputer may be located at one corner.

또한 상기 드로워(220)가 상기 케이스 본체(230)에 인입된 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킹장치(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킹장치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식 라킹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rawer 22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device (not shown) to be maintained in the case body 230 is inserted. Preferably, the locking device is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0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tha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세탁장치의 급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4 to 6,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pply of the washing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세탁장치는 세탁기(100), 소량의 세탁물 등에 대한 세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페데스탈 세탁기(200), 상기 세탁장치에 급수를 위한 급수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washing machine 100 includes a washing machine 100, a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configured to wash a small amount of laundry, and a water supply device 3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ing machine.

상기 급수장치(300)는 하나의 외부 급수원(400)으로부터 상기 세탁기(100) 및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급수장치(300)는 상기 외부 급수원(400)과 연결되는 급수관(330), 상기 급수관(330)에서 분지되어 상기 세탁기(100)로 급수하는 세탁기 급수관(310), 그리고 상기 급수관(330)에서 분지 되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로 급수하는 페데스탈 급수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water supply device 300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feed water to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from one external water supply 400. That is, the water supply device 300 is a water supply pipe 330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400, a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30 to supply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water supply pipe ( Branched at 3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for supplying water to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또한 상기 급수장치(300)는 상기 외부 급수원(400)에서 상기 급수관(330)으로부터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과 페데스탈 급수관(320)으로 분지 되는 분지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분지부(240)는 상기 세탁장치 외부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device 300 includes a branch portion 340 which is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30 to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n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400, the branch ( 240 is provided outside the washing apparatus.

그리고, 상기 분지부(340)는 상기 급수관(330), 세탁기 급수관(310), 페데스탈 급수관(320)을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분지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ranch portion 340 is preferably formed of a branch pipe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 330,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can be interconnected.

따라서 상기 급수관(330)은 일단이 외부 급수원(400)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분지부(340)에 연결된다. Accordingly,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33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4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 340.

또한,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은 일단이 분지부(340)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세탁기(100)의 세탁기 세탁공간(120)과 연결되어 통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is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 34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washing space 120 of the washing machine 100 through.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탁기(100) 내부와 연결된 세탁기 급수관(310)의 끝단이 상기 세탁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기 세제박스(110)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세탁기 세제박스(110)를 통해 급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급수와 동시에 상기 세탁기 세제박스(110) 내의 세제가 같이 세탁기 세탁공간(120) 안으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nd of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100 is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10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100 to supply water through the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10. do.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10 flows into the washing machine washing space 120 at the same time as water supply.

또한,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은 일단이 분지부(340)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아웃터브(240)의 상부와 연결되어 통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s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 34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240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의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급수 주름관(321)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드로워(22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급수 주름관(321)이 신장된다.A portion of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s made of a water supply corrugation pipe 321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us, the feed corrugated pipe 321 is extended when the drawer 220 is pulled forward.

상기와 같은 주름관 형태 대신에 텔레스코픽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A telescopic structure may be used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corrugated pipe shape.

그리고,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은 세탁기 급수밸브(312)를 구비하며,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은 페데스탈 급수밸브(322)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단일 외부 급수원(400)으로부터 상기 세탁기(100) 및 페데스탈 세탁기(20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includes a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valve 312,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ncludes a pedestal water supply valve 322. Therefore, the water supply from the single external water supply 400 to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can be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supplied.

또한, 상기 아웃터브(240) 내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285)가 설치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285)는 그 스팀 급수관(286)이 상기 급수밸브(282)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스팀은 스팀관(287)을 통해 아웃터브(240) 내로 공급된다.In addition, a steam generator 285 is installed to supply steam into the outer tub 240. The steam generator 285 has its steam water supply pipe 286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282 to receive water. And, the steam is supplied into the outer tub 240 through the steam pipe (287).

상기 스팀관(287)은 마찬가지로 주름관과 같은 길이 가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steam pipe 287 is likewise made of a variable length structure, such as corrugated pipe.

상기 스팀관(287)의 스팀 분출구는 스팀이 이너터브(25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너터브(250) 상부에 위치된다.The steam outlet of the steam pipe 287 is positioned above the inner tub 250 so that steam may be supplied to the inner tub 250.

위와 같은 스팀발생장치(285)는 종래 세탁기에 사용되는 스팀발생장치와 그 구조가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285 as described above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steam generator used in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실시예가 제 1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급수장치(300)에서 상기 급수 관(330)으로부터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과 페데스탈 급수관(320)으로 분지 되는 분지부(340)가 상기 세탁기(100) 내부에 구비된다는 점이다.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branching unit 340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30 to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n the water supply device 300 is the washing machine. It is provided inside the (100).

따라서, 상기 급수관(330)이 일단은 상기 외부 급수원(40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는 분지관(340)에 연결된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33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4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340 provid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단이 세탁기(100) 내부의 분지부(340)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세탁기 세탁공간(120)과 연결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branch part 340 inside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washing space 120.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탁기(100) 내부와 연결된 세탁기 급수관(310)의 끝단이 상기 세탁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기 세제박스(110)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세탁기 세제박스(110)를 통해 급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급수와 동시에 상기 세탁기 세제박스(110) 내의 세제가 같이 세탁기 세탁공간(120) 안으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nd of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100 is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10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100 to supply water through the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10. do.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10 flows into the washing machine washing space 120 at the same time as water supply.

또한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은 일단이 분지부(3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아웃터브(240)의 상부와 연결되어 통한다. 즉,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세탁기(100) 내부에 형성되며, 다른 일부는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탁기(100) 내부의 페데스탈 급수관(310과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의 페데스탈 급수관(320)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s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 34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240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s formed in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other part is formed 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so that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10 and the pedestal washer inside the washing machine 100 (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nside the 200 is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의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급수 주름관(321)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드로워(22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급수 주름관(321)이 신장된다.A portion of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provided 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is made of a water supply corrugation pipe 321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us, the feed corrugated pipe 321 is extended when the drawer 220 is pulled forward.

상기와 같은 주름관 형태 대신에 텔레스코픽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A telescopic structure may be used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corrugated pipe shape.

그리고,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은 세탁기 급수밸브(312)를 구비하며,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은 페데스탈 급수밸브(322)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단일 외부 급수원(400)으로부터 상기 세탁기(100) 및 페데스탈 세탁기(20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includes a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valve 312,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ncludes a pedestal water supply valve 322. Therefore, the water supply from the single external water supply 400 to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can be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supplied.

또한, 상기 세탁기 밸브(320) 및 페데스탈 밸브(330)는 상기 분지부(340)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분지부(340)에 형성되어 급수 밸브를 공유할 수 있음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valve 320 and the pedestal valve 330 are formed in the branch 340 to be controlled in the branch 340 is not excluded that the water supply valve can be shared.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실시예가 제 1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급수장치(300)에서 상기 급수관(330)으로부터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과 페데스탈 급수관(320)으로 분지 되는 분지부(340)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에 구비된다는 점이다.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branching unit 340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30 to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n the water supply device 300 is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is provided inside.

따라서, 상기 급수관(330)이 일단은 상기 외부 급수원(40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에 구비되는 분지관(340)에 연결된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33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4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340 provided 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은 일단이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에 구비되는 분지부(3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탁기 세탁공간(120)과 연결되어 통한다. 즉,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세탁기(100) 내부에 형성되며, 다른 일부는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의 세탁기 급수관(320)과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의 세탁기 급수관(320)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다.One end of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is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 340 provided 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washing space 120.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is form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other part is formed insid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and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20 and the pedestal insid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are installed.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20 inside the washing machine 200 is connecte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탁기(100) 내부에 형성되는 세탁기 급수관(310)의 끝단이 상기 세탁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기 세제박스(110)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세탁기 세제박스(110)를 통해 급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급수와 동시에 상기 세탁기 세제박스(110) 내의 세제가 같이 세탁기 세탁공간(120) 안으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nd of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formed in the washing machine 100 is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10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100 to supply water through the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10. Be sure to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machine detergent box 110 flows into the washing machine washing space 120 at the same time as water supply.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단이 페데스탈 세탁기(200) 내부의 분지부(340)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200)의 세탁기의 아웃터브(240) 상부와 연결되어 통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s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 340 inside the pedestal washer 2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240 of the washing machine of the pedestal washer 200. It works.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의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급수 급수 주름관(321)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드로워(22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급수 급수 주름관(321)이 신장된다.A part of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s made of a water supply corrugated pipe 321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us, when the drawer 220 is pulled forward, the feed water supply corrugated pipe 321 is extended.

상기와 같은 주름관 형태 대신에 텔레스코픽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A telescopic structure may be used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corrugated pipe shape.

그리고, 상기 세탁기 급수관(310)은 세탁기 급수밸브(312)를 구비하며,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320)은 페데스탈 급수밸브(322)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단일 외부 급수원(400)으로부터 상기 세탁기(100) 및 페데스탈 세탁기(20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310 includes a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valve 312,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320 includes a pedestal water supply valve 322. Therefore, the water supply from the single external water supply 400 to the washing machine 100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200 can be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supplied.

또한, 상기 세탁기 밸브(320) 및 페데스탈 밸브(330)는 상기 분지부(340)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분지부(340)에 형성되어 급수 밸브를 공유할 수 있음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valve 320 and the pedestal valve 330 are formed in the branch 340 to be controlled in the branch 340 is not excluded that the water supply valve can be shar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implement another embodiment of a modified form within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는 페데스탈 세탁기를 포함하므로 대용량의 세탁기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세탁물 등에 대한 세탁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며, 건조기 또는 세탁기 등의 받침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washing machine, which enables washing of a small amount of laundry without driving a large washing machine, thereby saving energy, and acting as a pedestal of a dryer or washing machine, there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Has

또한, 분지부를 포함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므로 단일 급수원으로부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since it includes a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branch portion has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watering the washing machine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from a single water supply.

Claims (14)

세탁 공간을 구비한 세탁기;A washing machine with a laundry space; 상기 세탁기를 외부 하면에서 지지하며,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기의 체적과 높이보다 각각 작고 낮으며 세탁 수행 가능한 페데스탈 세탁기;A pedestal washing machine supporting the washing machine at an outer lower surface thereof, the volume and height being smaller and lower than the washing machine volume and height, respectively, and capable of washing the washing machine; 하나의 외부 급수원에서 상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급수하도록 구성된 급수장치;A water supply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feed water to the washer and the pedestal washer from one external water supply;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세탁기의 세탁 공간으로 급수하는 세탁기 급수관, 그리고 상기 급수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로 급수하는 페데스탈 급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The water supply apparatus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supply the washing space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pedestal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supply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아웃터브를 지지하며, 전방으로 입출입 가능한 드로워(draw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And a case configured to support the tub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including a drawer capable of entering and enter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washing machine.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드로워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아웃터브와 단일체로 된 상부프레임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Wash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and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drawer and the uni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급수관에서 상기 세탁기 급수관과 페데스탈 급수관으로 분지되는 분지부가 상기 세탁장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nching portion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outside the washing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급수관에서 상기 세탁기 급수관과 페데스탈 급수관으로 분지되는 분지부가 상기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nching portion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은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edestal water supply line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art is provid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은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edestal water supply line 상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는 페데스탈 급수관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s provided in each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급수관에서 상기 세탁기 급수관과 페데스탈 급수관으로 분지되는 분지부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The washing machine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and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급수관은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적어도 일부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At least a part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급수관은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of claim 10 상기 세탁기 및 페데스탈 세탁기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기 급수관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machine water pipes provided in each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세탁기 급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세탁기 급수밸브와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페데스탈 급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And a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pipe and a pedestal water supply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edestal water supply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 급수관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destal water supply line 적어도 일부는 길이가 가변되는 급수관으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At least a portion of the laund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water supply pipe is variable in leng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세탁기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세탁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washing machine by a coupling means to support the washing machine.
KR1020070002818A 2007-01-10 2007-01-10 Laundry device KR101328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18A KR101328953B1 (en) 2007-01-10 2007-01-10 Laundry device
PCT/KR2007/007018 WO2008084932A2 (en) 2007-01-10 2007-12-31 Laundry device
CA2674266A CA2674266C (en) 2007-01-10 2007-12-31 Laundry device
CN2007800496804A CN101578409B (en) 2007-01-10 2007-12-31 Laundry device
EP10011723.3A EP2298982B1 (en) 2007-01-10 2007-12-31 Laundry device
AU2007342790A AU2007342790B2 (en) 2007-01-10 2007-12-31 Laundry device
EP10011722.5A EP2298981B1 (en) 2007-01-10 2007-12-31 Laundry device
US12/517,694 US8266930B2 (en) 2007-01-10 2007-12-31 Laundry device
EP07860795.9A EP2122034B1 (en) 2007-01-10 2007-12-31 Laundry device
RU2009130357/21A RU2407830C1 (en) 2007-01-10 2007-12-31 Linen process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18A KR101328953B1 (en) 2007-01-10 2007-01-10 Laund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60A KR20080065760A (en) 2008-07-15
KR101328953B1 true KR101328953B1 (en) 2013-11-14

Family

ID=3981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818A KR101328953B1 (en) 2007-01-10 2007-01-10 Laundr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8953B1 (en)
CN (1) CN101578409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002A (en) 2014-05-30 202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0743B1 (en) 2012-08-23 2020-07-29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US9758918B2 (en) 2012-09-28 2017-09-1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Washing machine
KR102082700B1 (en) 2013-01-16 2020-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4250906B (en) * 2013-06-28 2019-04-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Dual laundry machines and control method
KR102487095B1 (en) * 2014-05-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66570B1 (en) 2014-05-30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5202936B2 (en) 2014-05-30 2016-07-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70002889A (en)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201702453A (en) * 2015-06-30 2017-01-16 Lg電子股份有限公司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401639B1 (en) 2015-06-30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04592B1 (en) * 2015-09-04 202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6222928A (en) * 2016-08-31 2016-12-1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Roller washing machine
US11913161B2 (en) 2016-12-23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2486261B1 (en) * 2016-12-23 2023-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80074459A (en)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102619604B1 (en) * 2017-01-24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76A (en) * 1996-06-28 1998-01-20 Sanyo Electric Co Ltd Double tub washing machine
EP1029961A2 (en) * 1999-02-16 2000-08-23 IAR-SILTAL S.p.A. Combined washing machine
JP2005065908A (en) * 2003-08-22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machine
KR20050079774A (en) * 2004-02-06 2005-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edestal for washing machine
US20060156765A1 (en) * 2000-07-25 2006-07-20 Sunshine Richard A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ly arranged cabinet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0902B2 (en) * 2000-10-12 2003-05-22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washing machine
KR20060005849A (en) * 2004-07-14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Domestic appliances having a stack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76A (en) * 1996-06-28 1998-01-20 Sanyo Electric Co Ltd Double tub washing machine
EP1029961A2 (en) * 1999-02-16 2000-08-23 IAR-SILTAL S.p.A. Combined washing machine
US20060156765A1 (en) * 2000-07-25 2006-07-20 Sunshine Richard A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ly arranged cabinet module
JP2005065908A (en) * 2003-08-22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machine
KR20050079774A (en) * 2004-02-06 2005-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edestal for wash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002A (en) 2014-05-30 202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10096017A (en) 2014-05-30 202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60A (en) 2008-07-15
CN101578409B (en) 2011-04-27
CN101578409A (en)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953B1 (en) Laundry device
CA2674266C (en) Laundry device
KR101306712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EP2118358B1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2099966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20090052458A (en) Device for treating cloth
US20100018259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06723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090052459A (en) Device for treating cloth
KR10132067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20080065752A (en) Pedestal washing machine having locking assembly
KR101320674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19880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28935B1 (en) Laundry device
KR101319884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6555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87472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1988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20671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comtrolling for the same
RU2422569C2 (en) Washing machine used as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