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723B1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Google Patents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723B1
KR101306723B1 KR1020070002805A KR20070002805A KR101306723B1 KR 101306723 B1 KR101306723 B1 KR 101306723B1 KR 1020070002805 A KR1020070002805 A KR 1020070002805A KR 20070002805 A KR20070002805 A KR 20070002805A KR 101306723 B1 KR101306723 B1 KR 101306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aundry
pedestal
detergent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5754A (en
Inventor
정성해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723B1/en
Priority to DE112007003241.3T priority patent/DE112007003241B4/en
Priority to PCT/KR2007/007019 priority patent/WO2008084933A2/en
Priority to US12/518,181 priority patent/US20100018259A1/en
Publication of KR20080065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7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7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의류 처리 장치 본체에 보조 의류 처리 장치가 결합되어 사용이 편리한 복합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convenient to use by combining the auxiliary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ith a gener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in body.

본 발명에서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 장치; 상기 세탁 장치를 지지하고,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 장치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작으며, 내부에 세탁조를 갖는 페데스탈 세탁기; 상기 세탁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조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 장치; 그리고 외부의 급수원에서 상기 세제 공급 장치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의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laundry device for performing the washing or drying; A pedestal washer supporting the laundry device, the volume and height being smaller than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laundry device, respectively, and having a laundry tub therein; A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laundry device to supply detergent to the laundry tank; And there is provided a composit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supply pipe for guiding the wash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따라서, 상대적으로 큰 의류 처리 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xiliary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a small amount of clothing and the like without driving a relatively larg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use and saving energy.

페데스탈 세탁기, 복합 의류 처리 장치, 세제 공급 장치. Pedestal Washing Machine, Compound Garment Processing Unit, Detergent Supply Unit.

Description

복합 의류 처리 장치{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의류 장치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gar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페데스탈 세탁기와 페데스탈 세탁기의 상부에 위치한 세탁 장치를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a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a laundry apparatus located abov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도 4는 세제 공급 장치의 구성 요소인 세제통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ergent contain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도 5는 복합 의류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osite garment devic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복합 의류 처리 장치 110: 세탁 장치100: composite clothes processing device 110: laundry device

120: 페데스탈 세탁기 350: 세제 공급 장치120: pedestal washing machine 350: detergent supply device

62: 연결 유로 61: 메인 연결 유로 62: connection flow path 61: main connection flow path

51: 제 1 급수관 52: 제 2 급수관51: first water supply pipe 52: second water supply pipe

본 발명은 복합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의류 처리 장치에 보조 의류 처리 장치가 결합되어 사용이 편리한 복합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combined with a general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is easy to use.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의류 처리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Generally, a garment treating apparatus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ashing, drying, washing, or drying of clothes or the like. Here, on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perform only the washing or drying function, or both the washing and the drying. In recent year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refresh function, such as removal of wrinkles, odor removal,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clothes, is provided with a steam supply device.

한편,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이너터브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수평으로 눕혀진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are divided into a front loading type and a top loading type according to a pulling direction of clothes. There is also a vertical type in which the pulsator or inner tub is rotated and a horizontal type in which the drum lies horizontally, depending on the manner of washing.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horizontal type are drum washing machines or drum dryers.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의류 처리 장치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Thes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in size in response to recent user acceptance. That is, the outer size of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used for domestic use is gradually becoming larger.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세탁기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세탁기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세탁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Generally, each household is equipped with one large capacity washing machine. Therefore, when the laundry is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laundry, the washing machine is used several tim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washing laundry such as adult clothes and laundry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after the washing of the electronic is completed, the washing machine is used again for the latter washing. As a result, the washing time is long and the energy consumed is also large.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세탁기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 세탁기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 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또한, 세탁 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Further, i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saving to use a large washing machine like the conventional one in wash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The washing course provided in the large washing machine is expected to be large in the amount of laundry, so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is large. And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is consumed because the large drum has to be rotated. In addition, the washing time is relatively long because the washing course is scheduled for large quantities of laundry.

그리고, 대형 세탁기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arge washing machine is not suitable for washing delicate clothes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because the laundry is mainly provided with general clothes.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세탁기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Even if a small amount of laundry is frequently washed, a large washing machine is not suitable. Consumers collect laundry for a few days or longer to collect the laundry at once.

속옷류나 아기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Underwear and baby clothes are not good for long-term cleanliness. And, if such laundry is left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is stuck to the cloth and the laundry is not made clean.

그래서, 종래 대형 세탁기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세탁기가 필요하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세탁기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Therefore, a compact washing machine smaller in capacity than a conventional large washing machine is required. However, even if it is small, it is not preferable to install two washing machines in a house and install it side by side in space, and it is not good for aesthetics.

도 1은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이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패널(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appearance and a control panel (not shown) disposed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일 수 있다.Here,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may be a washing machine,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한편,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본체(1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받침대(20) 위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pedestal 20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10 against the floor. Here,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above the pedestal 20.

이와 같은 받침대는 종래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지지하는 역할 정도로만 활용될 뿐 그 이외의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Such a pedestal has not been utilized for other purposes than the conventional use only to support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용량의 세탁기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세탁물 등에 대한 세탁이 가능하고, 건조기 또는 세탁기 등의 받침대 역할도 할 수 있는 신개념의 페데스탈 세탁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new concept pedestal washing machine capable of washing a small amount of laundry, etc. without driving a large washing machine, and can also serve as a pedestal of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또한,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와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받침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복합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lex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a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pedestal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그리고 대용량의 세탁기에 구비된 하나의 세제 공급 장치를 통해서 페데스탈 세탁기와 세탁 장치에 모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one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 a large capacity washing machine allows the detergent to be supplied to both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devic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 장치; 상기 세탁 장치를 지지하고,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 장치의 체적 과 높이보다는 각각 작으며, 내부에 세탁조를 갖는 페데스탈 세탁기; 상기 세탁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조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 장치; 그리고 외부의 급수원에서 상기 세제 공급 장치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undry device for performing the washing or drying; A pedestal washer supporting the laundry device, the volume and height being smaller than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laundry device, respectively, and having a laundry tub therein; A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laundry device to supply detergent to the laundry tank; And it provides a complex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supply pipe for guiding the wash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여기서, 페데스탈 세탁기는 상기 세탁 장치의 하부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에는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전면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드로워(drawer)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내부의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은 상기 서랍의 내부 공간일 것이다.Her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may be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apparatus against the floor. The pedestal washer may be provided with a drawer that can be pulled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pedestal washer. In this case, the space in which the clothing insid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is accommodated will be the interior space of the drawer.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는 일반적인 건조기 또는 세탁 겸 건조기일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건조기 또는 세탁 겸 건조기에는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와 연통되기 위한 수단 등이 구비될 것이다. The washing apparatus may be a general dryer or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such a dryer or washing and drying machine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여기서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통; 그리고 상기 세제통과 상기 세탁조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이 때 상기 급수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상기 세제통과 상기 연결유로를 경유하여 상기 세탁조로 유입된다. Wherei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s a detergent container containing a detergent; And it comprises a connection flow path connecting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washing tank. At this time,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via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connection passage.

그리고 상기 세탁 장치가 세탁기 또는 세탁 겸 건조기인 경우에는 상기 세탁 장치는 메인 세탁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 세탁조와 상기 세제통을 연결하는 메인 연결 유로가 구비되어야한다. 또한 세탁수가 페데스탈 세탁기의 세탁조 및 상기 세탁 장치의 메인 세탁조에도 유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페데스탈 세탁기와 세탁 장치에 각각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급수관이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급수관은 각각의 세탁조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하여 2개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 때 외부 급수원이 두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급수관이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급수원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급수관에서 분지된 제 2 급수관을 제공하여 각각의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And when the washing apparatus is a washing machine or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the wash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washing tank. And a main connection flow path connecting the main washing tank and the detergent container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water must flow into the washing tank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the main washing tank of the washing apparatus, a water supply pipe must be provided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apparatus, respectively. Should be provided. In this case, when there are two external water sources, each water pip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However, when there is only one external water sourc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wash water to each washing tank by providing a second water pipe branched from one water pipe.

한편, 세탁 장치 내에 구비된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통도 세탁 장치에 투입되는 세제와 페데스탈 세탁기에 투입되는 세제를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구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제통의 구분된 각 공간은 페데스탈 세탁기의 유이될 세탁조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세탁 장치의 메인 세탁조로 유입될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각각 연결되고 각 세제통의 구분된 각 공간은 각각 메인 연결 유로와 연결 유로와 연결되어 메인 세탁조와 세탁조에 세탁수를 급수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gent container containing the detergent provided in the laundry device is also divided to accommodate the detergent to be put into the laundry machine and the detergent to be put into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Each sp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washing tank to be fed to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main washing tank of the washing machine.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low path and the connection flow path is to supply the wash water to the main washing tank and the washing tank.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세탁 장치에 구비된 드럼을 통하여 의류를 세탁할 수 있으며,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에 구비된 드로워(drawer) 내부 공간을 통하여 소량의 의류를 세탁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wash clothes through the drum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and a small amount of clothes can be washed through the drawer internal space provided i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which is convenient to use. Energy can be sav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세탁 장치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본체와 동일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세탁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세부 구성 또한 많은 부분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apparatus may be the same as the main body of a general washing machine. Of course, the detailed configuration provided inside the washing apparatus may also be the same in many parts.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a conventional general washing machine is omitted.

먼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의류 처리 장치에 대 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의류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페데스탈 세탁기와 페데스탈 세탁기의 상부에 위치한 세탁 장치를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mposit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site gar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the laundry device located on top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0)가 구비된 형태의 세탁 장치와 동일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가 단순히 받침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조 의류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페데스탈 세탁기라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에 상기 세탁 장치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130)이 구비된 것이 다르다.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appearance as the laundry apparatus having a pedestal 2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3, the pedestal is a pedestal washing machine that performs not only a function as a pedestal but also an auxiliary clothing processing function. And the pedestal washer is different from that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130 to be stably coupled to the washing apparatu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세탁기(120)는 세탁 장치(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페데스탈 세탁기(120)는 케이스(121)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드로워(1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 장치(110)의 내부에는 의류가 수용되어 세탁이 가능한 세탁조가 구비되며, 상기 세탁조는 드럼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and is prefer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n additio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is composed of a case 121 and a drawer 122 that is capable of sliding movement. In addition, the washing apparatus 110 is provided with a laundry tub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washable, and the washing tub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rum.

본 발명에 있어서, 페데스탈 세탁기(120)의 체적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가 결합되는 세탁 장치(110)의 체적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높이는 상기 세탁 장치의 높이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데스탈 세탁기(120)는 상부에 위치한 세탁장치(110) 장치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laundry device 110 is coupled to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the height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washing apparatus. This is becaus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erform an auxiliary func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located above.

그리고, 복합 의류 처리 장치(100)의 안정성 측면이나 외관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면,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가 세탁 장치(110)의 받침대 기능을 하기 때 문에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세탁 장치(110)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보다는 같거나 긴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stability side or the exterior design side of the composit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sinc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functions as a pedestal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or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widths is preferably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r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의류 처리 장치(100)는 상기 세탁 장치(110)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는 상기 세탁장치(11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upling means 130 for coupling the laundry device 110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to each other. Her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supports the washing apparatus 110 with respect to the floor.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상기 세탁 장치(110)와 페데스탈 세탁기(120)의 결합수단(1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means 130 of the laundry apparatus 110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 장치의 하부 레그(leg)들(116, 117)의 측면을 지지하는 레그 서포터(12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leg supporters 125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to support side surfaces of lower legs 116 and 117 of the laundry machine. Can be done.

상기 각 레그 서포터(125)는, 세탁 겸 건조기 레그(116)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안착홀(126), 그리고 건조기 레그(117)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안착홀(127)이 형성된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의 상면에 스크루 등을 통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 겸 건조기와 건조기는 세탁 장치의 일 형태이며, 세탁 겸 건조기의 외형이 건조기의 외형 보다는 큰 것을 예로 하였다.Each of the leg supporters 125 may include a first seating hole 126 formed to seat the laundry and dryer leg 116, and a second seating hole 127 formed to seat the dryer leg 117. The panel is formed,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through a screw or the like. Here,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and the dryer are one embodiment of a washing apparatus, and the outer shape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is larger than that of the dryer.

상기 레그 서포터(125)들은,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 상부의 각 모서리에 고정되며,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 전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두 개의 레그 서포터에 형성되는 상기 제1안착홀(126)과 제2안착홀(127)은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 고,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 후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두 개의 레그 서포터에 형성되는 상기 제1안착홀(126)과 제2안착홀(127)은 서로 구획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세탁 장치(110)의 레그(116)의 안착을 용이하기 하기 위함이다.The leg supporters 125 are fixed to each corner of the pedestal washer 120, the first seating hole 126 and the first formed in the two leg supporter is fixed to the front edge of the pedestal washer 120 The two seating holes 12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eating hole 126 and the second seating hole 127 formed at two leg supporters fixed to the rear edge of the pedestal washer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 This is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leg 116 of the laundry device 110.

그리고, 상기 세탁 장치(110) 하면의 대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안착홀(126)은 상기 제2안착홀(127)보다 바깥 측에 위치된다. 그 이유는 상기 세탁 장치가 건조기의 본체보다 통상 크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first seating hole 126 is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seating hole 127 based on a diagonal li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The reason is that the washing apparatus is usually made larger than the main body of the dryer.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세탁 장치(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 본체(12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38),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세탁 겸 건조 또는 건조기의 측면과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upling means 130, the coupling member 138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uxiliary main body 12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and the coupling member and the side of the washing and drying or dryer It includes a fixing member 135 for fixing to the side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상기 결합부재는 도 3에서와 같이, 육면체 현상의 페데스탈 세탁기(120)와 육면체 형상의 본체(110)의 경계의 양측 면을 상호 고정시키는 두개 이상의 결합부재(138)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upling member may be formed of two or more coupling members 138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boundary between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and the body 110 having a hexahedron shape.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120)와 세탁 장치(110)의 후면을 상호 고정시키는 제3의 결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upling member may further comprise a third coupling member (not shown) for fixing the back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and the washing apparatus 110.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세탁 겸 건조기 레그(116) 또는 건조기 레그(117)의 높이 변화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coupling means 130 may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height change of the laundry and dryer leg 116 or the dryer leg 117.

상기 고정부재(135)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를 상기 세탁 장치 측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136),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를 상기 페데스탈 세탁 기(120) 측면 상부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137)로 이루어진다. The fixing member 135, the first fixing member 136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to the lower side of the laundry machine, and the agent for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It consists of two fixing members (137).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136) 또는 제2고정부재(137) 중 적어도 하나는 양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된 것,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member 136 or the second fixing member 137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both surfaces, for example, a double-sided tape.

상기와 달리, 상기 제1고정부재(136) 또는 제2고정부재(137)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가 스크루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는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공을 가지는 것이 좋다.Unlike the abov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member 136 or the second fixing member 137 may be made of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When the fixing member is made of a screw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may have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세탁 장치(110)와 페데스탈 세탁기(120)의 결합을 위한 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the means for coupling the washing apparatus 110 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 4는 세제 공급 장치의 구성 요소인 세제통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ergent contain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세제통(300)은 세탁 장치(110, 도 5참조)내 메인 세탁조(71, 도 5참조)로 공급할 세제가 수용되는 제 1 챔버(310)와 페데스탈 세탁기(1120, 도 5참조)내 세탁조(72)로 공급할 세제가 수용되는 제 2 챔버(320)로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detergent container 300 includes a first chamber 310 and a pedestal washing machine 1120 (FIG. 5) in which detergent to be supplied to the main washing tank 71 (see FIG. 5) in the washing apparatus 110 (see FIG. 5)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chamber 320 in which detergent to b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72 is accommodated.

그리고 제 1 챔버는 제 1 급수관(51, 도 5참조)이 연결되기 위한 제 1 유입구(311) 및 메인 세탁조와 연결되는 메인 연결유로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구(312)가 형성된다In the first chamber, a first inlet 311 for connecting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see FIG. 5) and a first connector 312 for connecting the main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main washing tank are formed.

마찬가지로 제 2 챔버는 제 2 급수관(52, 도 5 참조)이 연결되기 위한 제 2 유입구(321) 및 세탁조와 연결되는 연결유로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구(322)가 형성된다.Similarly, the second chamber is formed with a second inlet 321 for connecting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see FIG. 5) and a second connector 322 for connecting a connection flow path connected to the washing tank.

도 5는 복합 의류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osite garment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복합 의류 처리 장치(100)는 세탁 장치(110)와 페데스탈 세탁기(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페데스탈 세탁기(120)는 케이스(121)와 케이스 본체 내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이 가능한 드로워(drawer)(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complex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laundry apparatus 110 and a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includes a case 121 and a drawer 122 that is located in the case body and slides forward to be pulled out.

상기 드로워(122)에는 세탁 수행이 가능한 세탁조(72)가 구비되며 상기 세탁조(72)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72a)와 상기 내조(72a) 외측에 구비되어 세탁수의 출입이 일어나는 외조(72b)로 구성된다.The drawer 122 is provided with a washing tank 72 capable of performing washing, and the washing tank 72 is provided at an inner tank 72a in which laundry is accommodated and an outer tank in which washing water enters and exits (outside of the inner bath 72a). 72b).

그리고 상기 세탁조(72)에 의하여 세탁 수행을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191)가 구비된다. 따라서 모터부(191)의 동력에 의하여 이너터브가 회전하는 통돌이 방식 또는 이너터브 안의 펄세이터가 회전하는 펄세이터 방식등을 이용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And a motor unit 191 for transmitting power for performing the washing by the washing tank 72 is provided. Therefore, washing is performed by using a circulator method in which the inner tub rotates or a pulsator method in which the pulsator in the inner tub rotates by the power of the motor unit 191.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의류 처리 장치(100)는 세탁 장치(110)에 의하여 세탁 수행이 가능하도록 세탁 장치(110)내에 메인 세탁조(71)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세탁조의 회전을 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 모터부(191)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lex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washing tub 71 in the washing apparatus 110 to perform washing by the washing apparatus 110, and transmits power for rotation of the main washing tub. The main motor unit 191 may be provided.

이 때 상기 메인 세탁조(71)는 드럼 형태의 세탁조가 바람직하며 상기 드럼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이너터브(미도시)와 세탁수가 이너터브내를 출입할 수 있도록 이너터브 외측에 아웃터브(미도시)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main washing tank 71 is preferably a drum washing tank, the drum is an inner tub (not shown) in which the laundry is accommodated and the outer tub (not shown) outside the inner tub so that the wash water can enter and exit the inner tub. Is provided.

이하에서는 상기 세탁조(72)와 메인 세탁조(71)에 세제 및 세탁수가 공급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detergent and washing water ar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72 and the main washing tank 71 will be described.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통은 제 1 챔버(310, 도 4참조), 제 2 챔버(320, 도 4참조)로 구분되고 세제통은 급수관(50)과 연결된다. 이 때 상기 급수관은 외부의 급수원이 두개 일 경우에는 각각 급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외부의 급수원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관(50)이 제 1 급수관(51)과 제 2 급수관(52)으로 나뉘어져 제 1 급수관(51)은 제 1 챔버(310, 도 4참조)와 제 2 급수관(52)은 제 2 챔버(320, 도 4 참조)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챔버(310, 도 4참조)는 메인 세탁조(71)와 연결된 메인 연결유로(61)와 연결된다.The detergent container in which the detergent is accommodated is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310 (see FIG. 4) and a second chamber 320 (see FIG. 4), and the detergent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0. In this case, when there are two external water supply sources, the water supply pipes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s, respectively,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However, when there is only on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he water supply pipe 50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is divided in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so that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is the first chamber 310 (FIG. 4)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hamber 320 (see FIG. 4). In addition, the first chamber 310 (refer to FIG. 4)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passage 61 connected to the main washing tank 71.

마찬가지로 제 2 챔버(320, 도 4 참조)는 세탁조(72)와 연결된 연결 유로(62)와 연결된다.Similarly, the second chamber 320 (refer to FIG. 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62 connected to the washing tank 72.

따라서 메인 세탁조(71)로 유입될 세탁수는 외부의 급수원에서 제 1 급수관(51) 및 제 1 챔버(310, 도 4참조)를 경유하여 메인 연결 유로(61)를 통과하여 유입된다.Therefore, the wash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main washing tank 71 is introduced through the main connection flow path 61 via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and the first chamber 310 (see FIG. 4)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마찬가지고 세탁조(72)로 유입될 세탁수는 외부의 급수원에서 제 2 급수관(52) 및 제 2 챔버(320, 도 4 참조)를 경유하여 연결 유로(62)를 통과하여 유입된다.Similarly, the wash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72 is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62 via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and the second chamber 320 (see FIG. 4)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한편 세탁 장치(110) 또는 페데스탈 세탁기(120) 둘 중 하나에 의해서만 세탁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용량의 세탁을 하는 경우에는 세탁 장치(110)만을 이용할 것이며 이 때에는 세탁수가 제 1 급수관(51)에만 흘러야 한다. 따라서 제 2 급수관(52)이 분지되는 곳에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단, 예 를 들어 메인 댐퍼(40b)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washing is performed only by either the washing apparatus 110 or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For example, when washing a large amount of washing, only the washing apparatus 110 will be used, and in this case, washing water should flow only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Therefore, a mean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where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is branched, for example, a main damper 40b may be provided.

또한, 페데스탈 세탁기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세탁수가 제 1 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급수관이 나뉘어 지는 곳에 세탁수가 제 1 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40a)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nly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is used, the washing water should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first chamber. Therefore, even in this case, a damper 40a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ipe to prevent wash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first chamber.

따라서 이러한 댐퍼의 동작으로 페데스탈 세탁기(120) 또는 세탁 장치(110) 둘 중 어느 하나에만 세탁수의 공급이 가능하여 세탁수가 공급된 곳에 의하여만 세탁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damper is possibl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only one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20 or the washing apparatus 110, it is possible to wash only where the wash water is suppli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큰 세탁 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페데스탈 세탁기를 제공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destal washing machine that can process a small amount of clothes and the like without driving a relatively large washing apparatus, thereby making it easy to use and saving energy.

페데스탈 세탁기와 페데스탈 세탁기 상부에 위치한 세탁 장치를 함께 사용하면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I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apparatus located abov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re used together, washing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또한 하나의 세제통을 이용하여 페데스탈 세탁기와 세탁 장치에 세제를 투입할 수 가 있어서,구조가 간편하며 제조원가의 절감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etergent can be added to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by using one detergent container, so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Claims (8)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하는 메인 세탁조를 갖는 세탁 장치;A washing apparatus having a main washing tank for performing washing or drying; 상기 세탁 장치를 지지하고,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 장치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작으며, 내부에 세탁조를 갖는 페데스탈 세탁기;A pedestal washer supporting the laundry device, the volume and height being smaller than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laundry device, respectively, and having a laundry tub therein; 상기 세탁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 장치; A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to supply detergent to the main washing tank and the washing tank; 상기 세제 공급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 장치의 상기 메인 세탁조로 세제를 공급하는 제 1 챔버,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의 상기 세탁조로 세제를 공급하는 제 2 챔버를 포함하는 세제통; 그리고A detergent container provided in the detergent supply device, the detergent container including a first chamber for supplying detergent to the main laundry tank of the laundry machine and a second chamber for supplying detergent to the laundry tank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외부의 급수원에서 상기 제 1 챔버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1 급수관과 상기 제 1 급수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 2 챔버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2 급수관;A first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first chamb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pip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second chamber;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의류 처리 장치.Composit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세제통과 상기 세탁조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 처리 장치.The detergent supply device is a composit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assage for connecting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washing tank.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세제통과 상기 메인 세탁조를 연결하는 메인 연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 처리 장치.The detergent supply device is a composit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connection flow path connecting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main washing tan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는 상기 세탁조를 지지하며,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한 드로워(draw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 처리 장치.The pedestal washing machine is a complex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washing tu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awer (drawer) to be pulled out forwar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탁 장치 본체의 일측에 상기 페데스탈 세탁기를 결합시키는 결합 수 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 처리 장치.Complex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to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KR1020070002805A 2007-01-10 2007-01-10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067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05A KR101306723B1 (en) 2007-01-10 2007-01-10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DE112007003241.3T DE112007003241B4 (en) 2007-01-10 2007-12-31 Multi-purpose machine for treating textile and leather goods
PCT/KR2007/007019 WO2008084933A2 (en) 2007-01-10 2007-12-31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12/518,181 US20100018259A1 (en) 2007-01-10 2007-12-31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05A KR101306723B1 (en) 2007-01-10 2007-01-10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54A KR20080065754A (en) 2008-07-15
KR101306723B1 true KR101306723B1 (en) 2013-09-10

Family

ID=3981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805A KR101306723B1 (en) 2007-01-10 2007-01-10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72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41A1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18117526A1 (en) * 2016-12-23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O2018117535A1 (en) 2016-12-23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O2018117415A1 (en)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324B (en) 2011-08-31 2018-03-30 Lg电子株式会社 Clothes treatment device
KR20180001016A (en) * 2016-06-24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619604B1 (en) * 2017-01-24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50961B1 (en) 2018-09-12 202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care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210A (en) * 2000-03-11 2001-09-26 구자홍 a Drawer type Washing Machine
KR20040069129A (en) * 2003-01-28 200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40086059A (en)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edestal for a washing machine
US20060156765A1 (en) * 2000-07-25 2006-07-20 Sunshine Richard A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ly arranged cabinet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210A (en) * 2000-03-11 2001-09-26 구자홍 a Drawer type Washing Machine
US20060156765A1 (en) * 2000-07-25 2006-07-20 Sunshine Richard A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ly arranged cabinet module
KR20040069129A (en) * 2003-01-28 200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40086059A (en)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edestal for a washing machin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41A1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1149377B2 (en) 2016-01-05 2021-10-19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18117526A1 (en) * 2016-12-23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O2018117535A1 (en) 2016-12-23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O2018117415A1 (en)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EP3541981A4 (en) * 2016-12-23 2019-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0669665B2 (en) 2016-12-23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multiple washing units
US10914030B2 (en) 2016-12-23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566366B2 (en) 2016-12-23 202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713533B2 (en) 2016-12-23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54A (en)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953B1 (en) Laundry device
KR101306723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8266930B2 (en) Laundry device
US20100018259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2118358B1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2099966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US8418511B2 (en) Drain structure for laundry treating device
CN101617077B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090052459A (en) Device for treating cloth
KR20090057793A (en) Laundry machine
KR10132067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US10954623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101319880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20674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19884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28935B1 (en) Laundry device
KR10131988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2318548B1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