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712B1 - Pedestal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Pedestal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712B1
KR101306712B1 KR1020060124807A KR20060124807A KR101306712B1 KR 101306712 B1 KR101306712 B1 KR 101306712B1 KR 1020060124807 A KR1020060124807 A KR 1020060124807A KR 20060124807 A KR20060124807 A KR 20060124807A KR 101306712 B1 KR101306712 B1 KR 10130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pedestal
outer tub
washing
bea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52967A (en
Inventor
조성진
안병환
지유철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6012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712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88336.8A priority patent/EP3135800B1/en
Priority to CA2671219A priority patent/CA2671219C/en
Priority to ES07851307.4T priority patent/ES2603220T3/en
Priority to PCT/KR2007/006336 priority patent/WO2008069607A2/en
Priority to RU2009126140/05A priority patent/RU2446238C2/en
Priority to CN2007800454125A priority patent/CN101617077B/en
Priority to EP16188377.2A priority patent/EP3133202B1/en
Priority to EP16188372.3A priority patent/EP3135801B1/en
Priority to EP07851307.4A priority patent/EP2118358B1/en
Priority to AU2007328625A priority patent/AU2007328625B2/en
Priority to PL07851307T priority patent/PL2118358T3/en
Priority to US12/517,870 priority patent/US8561438B2/en
Priority to EP16188356.6A priority patent/EP3133201B1/en
Publication of KR2008005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데스탈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받침대 역할과 세탁을 겸하는 신개념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페데스탈 세탁기는 종래의 대형 세탁기와는 달리 그와 같은 세탁장치를 위로 지지하여 받침대 역할을 하면서, 소형의 세탁물을 세탁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모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과 터브의 바닥판은 가스켓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세탁시 터브의 진동이 최소화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of a new concept that serves as a pedestal of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and washes. Such a pedestal washing machine is usefully used to wash small laundry while supporting the washing apparatus as a pedestal, unlike a conventional large washing machine. In addition, since the bearing housing supporting the motor shaft and the bottom plate of the tub are connected by a gasket, vibration of the tub is minimized during washing.

세탁장치, 받침대, 페데스탈, 소형세탁기, 페데스탈세탁기 Laundry Machine, Pedestal, Pedestal, Washing Machine, Pedestal Washing Machine

Description

페데스탈 세탁기 {PEDESTAL WASHING MACHINE }Pedestal washing machine {PEDESTAL WASHING MACHINE}

도1은 종래의 세탁장치 및 받침대를 도시한다.1 shows a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and a pedestal.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2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의 페데스탈 세탁기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of FIG.

도4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4 shows another embodiment.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 페데스탈 세탁기 110 : 케이스100: pedestal washing machine 110: case

120 : 드로워 121 : 상부프레임120: drawer 121: upper frame

122 : 가스켓 123 : 콘트롤 패널122: gasket 123: control panel

124 : 핸들 130 : 케이스 본체124: handle 130: case body

140 :아웃터브 141 : 아웃터브 도어140: out tub 141: out tub door

142 : 도어 프레임 143 : 후크142: door frame 143: hook

144 : 도어 실링재 150 : 이너터브144: door sealing material 150: inner tub

160, 162 : 댐핑장치 170 : 배수관160, 162: damping device 170: drainage pipe

171 : 주름관 172 : 배수펌프171: corrugated pipe 172: drainage pump

180 : 급수관 181 : 주름관180: water supply pipe 181: corrugated pipe

182 : 급수밸브 190 : 모터182: water supply valve 190: motor

191 : 회전축191: axis of rotation

본 발명은 페데스탈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받침대 역할과 세탁을 겸하는 신개념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of a new concept that serves as a pedestal of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and washes.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the laundry machin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washing, drying or washing or drying clothes. Here, one washing apparatus may perform only washing or drying functions, or both washing and drying. In addition, recently, a steam supply device is provided, and a washing device having a refresh function such as wrinkle removal, odor removal,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clothes, etc., has been widely used.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이너터브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수평으로 눕혀진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es are classified into a front loading type or a top loading type according to a drawing direction of clothes. There is also a vertical type in which the pulsator or inner tub is rotated and a horizontal type in which the drum lies horizontally, depending on the manner of washing.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horizontal type are drum washing machines or drum dryers.

이러한 세탁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장치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 가고 있다.These washing machine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in size in response to recent user acceptance. In other words, the external size of the laundry machines used for home use is also getting larger.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세탁기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세탁기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세탁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Generally, each household is equipped with one large capacity washing machine. Therefore, when the laundry is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laundry, the washing machine is used several tim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washing laundry such as adult clothes and laundry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after the washing of the electronic is completed, the washing machine is used again for the latter washing. As a result, the washing time is long and the energy consumed is also large.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세탁기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세탁기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 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 또는 이너터브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Further, i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saving to use a large washing machine like the conventional one in wash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Most of the laundry courses provided in large washing machines are scheduled to have a large amount of laundry, so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is large.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power is consumed because a large drum or inner tub must be rotated. In addition, the laundry course is relatively long because the laundry course is scheduled for large quantities.

그리고, 대형 세탁기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arge washing machine is not suitable for washing delicate clothes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because the laundry is mainly provided with general clothes.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세탁기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Even if a small amount of laundry is frequently washed, a large washing machine is not suitable. Consumers collect laundry for a few days or longer to collect the laundry at once.

속옷류나 아기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Underwear and baby clothes are not good for long-term cleanliness. And, if such laundry is left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is stuck to the cloth and the laundry is not made clean.

그래서, 종래 대형 세탁기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세탁기가 필요하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세탁기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Therefore, a compact washing machine smaller in capacity than a conventional large washing machine is required. However, even if it is small, it is not preferable to install two washing machines in a house and install it side by side in space, and it is not good for aesthetics.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탁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이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패널(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세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세탁이나 건조 등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1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appearance and a control panel 11 positioned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Therefore, the user performs a process such as washing or drying by operating the control panel.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일 수 있다.Here, the washing apparatus may be a washing machine,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는 상기 본체(1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0) 즉 페데스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받침대(20) 위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pedestal 20, that is,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body 10 against the floor. Here,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above the pedestal 20.

이와 같은 받침대는 종래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지지하는 역할 정도로만 활용될 뿐 그 이외의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Such a pedestal has not been utilized for other purposes than the conventional use only to support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용량의 세탁기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세탁물 등에 대한 세탁이 가능하고, 건조기 또는 세탁기 등 의 받침대 역할도 할 수 있는 신개념의 페데스탈 세탁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provides a new concept pedestal washing machine capable of washing a small amount of laundry, etc. without driving a large washing machine, and can also serve as a pedestal, such as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본 발명에 의한 페데스탈 세탁기는, 다른 세탁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아웃터브; 상기 아웃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요동시키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아웃터브 사이에 연결되는 유연한 실링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capable of supporting another washing machine; An out tub installed in the case to accommodate washing water; A rota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in the outer tub to swing laundry; A rotating shaf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otating body; A bearing housing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A flexible sealing material connected between the bearing housing and the outtub; .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아웃터브 사이에는 유연한 실링재가 연결되기 때문에 회전축을 통해 베어링하우징에 전달된 진동이 아웃터브로 전달되지 않는다.Since the flexible sealing material is connected between the bearing housing and the outer tub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bearing housing through the rotating shaft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er tub.

상기 케이스는 종래의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을 위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강하게 만들어진다. 그래서, 도1의 받침대(20)가 하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The case is made structurally strong to support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or dryer. Thus, the role of the pedestal 20 of FIG. 1 may be substituted.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인출입 가능한 드로워(draw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로워 내에서 고정된다.Here, the case may include a drawer (drawer) that can be pulled out from the case body. And, the outtub is preferably fixed in the drawe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아웃터브와 단일체로 된 상부프레임을 갖는다.More preferably, it has an upper frame unit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rawer and unitary with the outer tub.

상기 아웃터브 내에는 세탁물을 요동시키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는 이너터브 또는 펄세이터일 수 있다.In the outer tub, a rotating body for swinging laundry is rotatably installed. The rotating body may be an inner tub or a pulsator.

상기 이너터브에는 다수의 관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가 상기 관통홈을 통과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inner tub. Thus, the wash water in the outer tub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groove.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을 지지하는 댐핑장치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A damping device for supporting a bearing housing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과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는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고정되는 아웃터 로터 타입이다.Preferably the mo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more preferably, the motor is an outer rotor type in which a stator is fixed to the bearing housing.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는 집중권으로 권선된다. 분포권으로 권선되는 것보다 집중권으로 권선되는 것이 모터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출력을 높일 수 있다.And, more preferably, the motor is wound in a concentrated zone. Winding in the concentrated zone rather than winding in the distribution zone can reduce the height of the motor and increase the output.

페데스탈 세탁기는 특히 그 높이가 작기 때문에 모터가 설치될 아웃터브 아래의 공간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모터 또한 그 높이가 작으면서도 필요한 출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is particularly small in height, the space under the outboard where the motor is to be installed may be smal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motor that is small in height and capable of maintaining a required output.

또는, 상기 모터는 이중 로터 타입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otor may be made of a double rotor type.

모터는 적어도 그 직경이 높이보다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a motor at least whose diameter is larger than the height.

상기 드로워가 케이스 본체로부터 인출입될 때 상기 아웃터브, 회전체, 및 모터 등이 함께 인출입된다.When the drawer is withdrawn from the case body, the outtub, the rotating body, the motor, and the like are withdrawn in and out together.

또한, 상기 아웃터브의 상부를 통해 세탁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웃터브 도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브 도어는 상기 아웃터브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opening)를 덮는다.In addition, an outer door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The outer door covers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이너터브와 같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위로 유동되는 세탁수는 상기 아웃터브 도어에 의해 유출이 방지된다.The washing water flowing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such as the inner tub is prevented from being leaked by the outer door.

케이스에는 외부의 급수를 위한 관과 연결될 수 있는 급수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아웃터브 사이에 급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tha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pipe, and a water supply pip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outtub.

상기 급수관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가변되는 형태를 가진다. 예컨대, 상기 급수관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가지거나 또는 텔레스코픽하게 길이 가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preferably has a shape that is variable in length.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eed pipe may have a corrugated pip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telescopically variable in length.

그리고, 세탁수의 급수유로 상에는 세제 공급을 위한 세제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 세탁수는 상기 세제박스를 경유하면서 세제와 함께 아웃터브로 급수된다.In addition, a detergent box for supplying detergent may be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of the wash water.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with detergent while passing through the detergent box.

이와 같은 세제박스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내부 중 상부 코너에 위치된다.Such detergent box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upper corner of the inside of the case.

또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이 포함되되, 상기 배수관은 마찬가지로 길이 가변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ncludes a drain pipe for draining the wash 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in pipe has a form that is variable in length as well.

상기 배수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A drain pump for drainage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급수구조 또는 배수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의 코너에 위치되도록 한다. 예컨대, 급수밸브와 배수펌프는 케이스의 코너에 위치될 수 있다.And, the water supply structure or the drainag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case.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drain pump may be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cas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페데스탈 세탁기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함으로서 세탁효과를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am generator. By supplying steam to the laundry using the steam genera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ashing effect.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케이스 상부 중 일측 코너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The steam generator is preferably located at one corner of the upper case.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급수밸브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고 히터에 의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아웃터브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팀발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종래 세탁기에 사용되던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steam generat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to receive water, and to heat the water by a heater to generate steam to supply the water into the outtub.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such a steam generator can be used that used in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 및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케이스 본체(130)와 드로워(120)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120)는 상기 케이스 본체(13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ase 110 includes a case body 130 and a drawer 120. The drawer 120 may be pulled out from the case body 130 to the front.

상기 케이스 본체(130)는 그 위로 종래의 세탁장치를 놓을 수 있도록 알맞는 크기를 가지고 구조적으로 강하게 만들어진다.The case body 130 has a suitable size and structurally strong to place a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thereon.

상기 드로워(120)에는 아웃터브(140)가 고정 설치된다.The drawer 120 is fixed to the outer tub 140 is installed.

상기 드로워(120)에는 그 상부를 덮는 상부프레임(121)이 위치하고, 상기 아웃터브(140)는 상기 상부프레임(121)과 단일체로 만들어진다.The drawer 120 has an upper frame 121 covering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outer tub 140 is made of a single body with the upper frame 121.

상기 아웃터브(140)의 상부 개구에는 아웃터브 도어(141)가 설치된다. 아웃터브(140)의 내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도어 프레임(14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브 도어(141)에는 도어 실링재(144)가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아웃터브 도어(141)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 실링재(144)가 상기 도어 프레임(142)에 접하여 아웃터브(140)의 상부를 실링하게 된다.The outer door 141 is installed in the upper opening of the outer tub 140. A door frame 142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tub 14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door sealing material 144 is installed in the outer tub 141. Thus, when the outer door 141 is closed, the door sealing material 144 contacts the door frame 142 to seal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140.

또한, 상기 아웃터브 도어(141)에는 후크(1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크(143)는 아웃터브(140)의 내벽면에 형성된 후크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상기 후크(143)는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143)의 끝단은 완만하여 상기 도어(141)를 열거나 닫음에 적당한 힘을 가하면 상기 후크홈에서 이탈 또는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hook 143 is installed at the outer door 141. The hook 143 is inserted into a hook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er tub 140. The hook 143 is supported by a spring (not shown) installed therein. And, the end of the hook 143 is gentle and can be separated or inserted from the hook groove when a suitable force is applied to open or close the door 141.

이와 같은 후크장치는 종래 다른 장치들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후크장치 대신 다른 방법에 의한 잠금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Such a hook device can be used as it is a form commonly used in other conventional devices. Instead of the hook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locking means by another method.

페데스탈 세탁기(100)는 비교적 그 높이가 낮기 때문에 아웃터브(140) 내의 세탁수가 튀어 나갈 수 있는데, 상기 아웃터브 도어(141)가 있으면 그것이 방지된다.Since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00 is relatively low in height, the washing water in the outer tub 140 may be splashed out, and if the outer door 141 is present, it is prevented.

상기 아웃터브(140) 내에는 이너터브(150)가 위치한다. 상기 이너터브(150)에는 세탁수의 유출입을 위한 다수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터브(150)은 펄세이터가 될 수 있다.The inner tub 150 is located in the outer tub 140. The inner tub 1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wash water. In another embodiment, the inner tub 150 may be a pulsator.

상기 아웃터브(140)의 바닥판은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에 베어링하우징(192)이 위치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192)과 상기 아웃터브의 바닥판 사이는 유연한 실링재인 가스켓(122)이 설치된다.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tub 140. In addition, the bearing housing 192 is located in the opening. A gasket 122, which is a flexible sealing material, is installed between the bearing housing 192 and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tub.

상기 베어링하우징(192)에는 모터(190)의 스테이터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모터(190)는 아웃터 로터 타입의 모터이다. 그리고, 로터의 회전축(191)은 상기 베어링하우징(19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이너터브(150)의 바닥에 직결된다.The stator of the motor 19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bearing housing 192. The motor 190 is an outer rotor type motor. The rotor shaft 191 is supported by the bearing housing 192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inner tub 150.

또한, 상기 모터(190)는 집중권으로 권선되고, 그 직경이 높이에 비해 크다.In addition, the motor 190 is wound in a concentrated zone, the diameter of which is larger than the height.

상기 베어링하우징(192)를 지지하기 위해 댐핑장치(160, 162)가 연결된다.Damping devices 160 and 162 are connected to support the bearing housing 192.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140)의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관(170)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170)의 일단은 케이스 본체(130)에 고정되어 외부로 통하고, 타단은 상기 아웃터브(140)의 하부에 연결되어 통한다. 상기 배수관(170)에는 배수펌프(172)가 연결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a drain pipe 170 for drainag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tub 140. One end of the drain pipe 170 is fixed to the case body 13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tub 140 to communicate. The drain pipe 170 is connected to the drain pump 172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배수관(170)의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171)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드로워(12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주름관(171)이 신장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drain pipe 170 is made of a corrugated pipe 171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us, when the drawer 120 is pulled forward, the corrugated pipe 171 is extended.

상기와 같은 주름관 형태 대신에 텔레스코픽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A telescopic structure may be used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corrugated pipe shape.

상기 아웃터브(140)의 상부에는 급수를 위한 급수관(180)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180)의 타단은 급수밸브(182)와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180) 또한 마찬가지로 주름관(181)을 포함한다.A water supply pipe 180 for supplying water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uttub 140.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8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182. The water supply pipe 180 also includes a corrugated pipe 181.

또한, 상기 아웃터브(140) 내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185)가 설치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85)는 그 급수관(186)이 상기 급수밸브(182)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스팀은 스팀관(187)을 통해 아웃터브(140) 내로 공급된다.In addition, a steam generator 185 is installed to supply steam into the outer tub 140. The steam generator 185 has a water supply pipe 186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182 to receive water. And, the steam is supplied into the outer tub 140 through the steam pipe 187.

상기 스팀관(187)은 마찬가지로 주름관과 같은 길이 가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steam pipe 187 is likewise made of a variable length structure, such as corrugated pipe.

상기 스팀관(187)의 스팀 분출구는 스팀이 이너터브(150)로 공급될 수 있도 록 이너터브(150) 상부에 위치된다.The steam outlet of the steam pipe 187 is located above the inner tub 150 so that steam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tub 150.

위와 같은 스팀발생장치는 종래 세탁기에 사용되는 스팀발생장치와 그 구조가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steam generator used in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110)의 상부 코너에 위치한다.In addition, the steam generator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upper corner of the case (110).

도4는 모터가 이너로터 타입인 경우를 예시한다. 모터의 회전축(191)은 마찬가지로 이너터브(150)과 연결된다. 그리고, 모터의 외주에는 브라켓(192)가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92)에 댐핑장치(160, 162)가 연결된다.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motor is an inner rotor type. The rotating shaft 191 of the motor is similarly connected to the inner tub 150. In addition, a bracket 192 is install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tor, and damping devices 160 and 162 are connected to the bracket 192.

한편, 드로워(120) 전면에는 콘트롤 패널(123)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 패널(123)은 세탁코스 등 세탁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로서 각종 버튼 및 놉(kno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패널(123)에는 세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서 엘시디(LCD) 창 및 엘이디(LED) 램프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control panel 123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drawer 120. The control panel 123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and knobs a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related to washing such as a washing course.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123 is provided with an LCD window and an LED lamp 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laundry information.

그리고, 모터(190) 및 급수밸브(182)나 배수펌프(172) 등을 제어하게 되는 메인제어부 또한 상기 콘트롤 패널(123)에 구비된다.In addition, 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190, the water supply valve 182, the drain pump 172, and the like is also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23.

다만, 공간상 제약이 있는 경우 상기 콘트롤 패널(123)에는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만이 구비되고, 마이컴이 있는 메인제어부는 일측 코너에 위치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re is a space limitation, the control panel 123 may be provided with only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with a microcomputer may be located at one corner.

또한, 상기 드로워(120)가 상기 케이스 본체(130)에 인입된 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킹장치(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킹장치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식 라킹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wer 12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device (not shown) for maintaining the drawer 120 is inserted into the case body 130. Preferably, the locking device is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그래서, 세탁이 진행 중인 상태로서 이너터브(15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 서는 상기 드로워(120)가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라킹장치가 제어되도록 한다. 이너터브(150)가 회전하고 있을 때 드로워(120)가 인출되면 진동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이너터브(15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라킹장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전자식 라킹장치도 종래 가전제품에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us, the locking device is controlled so that the drawer 120 is not drawn out while the inner tub 150 is being rotated as the washing is in progress. If the drawer 120 is pulled out while the inner tub 150 is rotating, vibration may occur. Therefore, the main controller detects the rotation state of the inner tub 150 to control the locking device. Such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can also be used in the conventional home appliances.

여기서, 이너터브(150)의 회전상태는 모터(190)의 회전상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Here, the rotation state of the inner tub 150 may be detected through the rotation state of the motor 190.

그리고, 세탁이 진행 중일 때 사용자가 드로워(120)를 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메인제어부는 이너터브(15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라킹장치를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는 이너터브(150)의 작동을 중단한 후 드로워(120)를 인출하여도 될 시점을 알리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user wants to draw the drawer 120 when the washing is in progress.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 unit is preferably provided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inner tub 150.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may display the drawer 120 after the operation of the inner tub 150 is stopped to notify the time when the drawer 120 may be drawn out.

사용자가 드로워(12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를 판단하기 위해, 콘트롤패널에 '일시정지'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하중센서(force sensor)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드로워(12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드로워(120)를 인출하고자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그 힘이 상기 하중센서에 의해 센싱되고 메인제어부는 그 센싱된 결과를 기준치와 비교한다. 그래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드로워(120)를 인출하고자하는 것을 판단한다.In order to determine when the user wants to withdraw the drawer 120, a 'pause' button may be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Alternativel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awer 120 is to be drawn out using a sensor such as a force sensor. For example, when a user applies a force to draw the drawer 120, the force is sensed by the load sensor and the main controller compares the sensed result with a reference value. Thus, when the reference value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user,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120 is to be withdrawn.

상기와 같은 하중센서는 케이스 본체 중 라킹장치의 라커가 걸리게 되는 라커홈에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출하려고 당기는 경우 상기 라커에 의해 상기 라커홈에 설치된 하중센서가 힘을 받아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제어부로 전송한다.The load sensor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in the locker groove to which the locker of the locking device is caught. Thus, when the user pulls to draw the drawer, the load sensor installed in the locker groove is applied by the locker to transmit a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이하에서는 도3과 같은 페데스탈 세탁기(10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00 as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핸들(124)을 잡고 드로워(120)를 인출한 후 아웃터브 도어(141)를 열어 세탁물을 투입한다.First, the user grabs the handle 124 and draws the drawer 120, and then opens the outer door 141 to input laundry.

세탁물을 투입한 후에는 드로워(120)를 케이스 본체(130)에 밀어 넣고, 콘트롤 패널(123)을 통해 세탁코스 등 세탁과 관련된 옵션을 선택한다(S10).After the laundry is put in, the drawer 120 is pushed into the case body 130, and an option related to washing such as a washing course is selected through the control panel 123 (S10).

사용자가 '시작' 버튼을 눌러 세탁 시작을 명령하면 메인제어부는 관련 장치를 제어하여 도5와 같은 단계로 세탁코스를 수행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start' button to command the washing start, the main controller controls the relevant device to perform the washing course as shown in FIG. 5.

먼저, 메인제어부는 급수밸브(182)를 열어 세탁수를 급수한다(S11).First, the main control unit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182 to supply washing water (S11).

급수가 완료되면, 모터(190)를 제어하여 이너터브(150)를 회전시켜 세탁을 수행한다(S12).When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the motor 190 is controlled to rotate the inner tub 150 to perform washing (S12).

그리고, 세탁이 완료되면 물을 다시 급수하여 세탁물의 헹굼을 수행한다(S13).When washing is completed, water is supplied again to rinse the laundry (S13).

그리고, 이때 탈수단계를 제외하도록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30), 탈수단계를 제외하도록 선택된 경우에는 헹굼단계 완료 후 세탁코스를 완료한다. 그러나, 탈수단계를 제외하도록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헹굼단계 이후에 이너터브(150)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단계를 수행하고(S14) 완료한다.Then,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exclude the dehydration step (S30), if selected to exclude the dehydration step, the washing course is comple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insing step. However, if it is not selected to exclude the dehydration step, the inner tub 150 is rotated at a high speed after the rinsing step to perform the dehydration step (S14).

본 실시예의 페데스탈 세탁기(100)는 의류 이외에도 장난감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그래서, 탈수단계가 제외될 수도 있다.The pedestal washing machin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to wash toy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clothing. Thus, the dehydration step may be excluded.

이를 위해 콘트롤 패널(123)의 입력부에는 탈수단계가 제외된 세탁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탈수단계가 포함된 세탁코스와 탈수단계가 포함되지 않은 세탁코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5에서는 '탈수단계 제외' 버튼이 콘트롤 패널(123)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하고, '탈수단계 제외' 버튼을 누르면 상기 세탁코스에서 탈수단계가 제외된다.To this end, an input unit of the control panel 123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selecting a washing course from which the dehydration step is excluded. For example, the washing course including the dehydration step and the washing course not including the dehydration step may be provided.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ontrol panel 123 includes a button excluding the dehydration step. Thus, when the user selects the washing course and presses the 'except dehydration step' button, the dehydration step is excluded from the washing course.

또한, 세탁코스에는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course may include supplying steam.

세탁코스에 스팀공급단계를 포함시킬 수 있는 수단이 상기 콘트롤 패널(123)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콘트롤 패널(123)에 '스팀공급' 버튼이 구비되어, 도5와 같이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하고 '스팀공급' 버튼을 누르면 상기 세탁코스에 스팀공급단계가 포함되게 된다(S20).Means for including the steam supply step in the washing course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23. For example, the 'steam supply' button is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123,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washing course and presses the 'steam supply' button as shown in FIG. 5, the washing course includes the steam supplying step (S20).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세탁단계 수행 전에 세탁물의 불림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세탁효과를 높이기 위해 세탁단계 진행 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The steam supplying step may be performed for soaking the laundry before performing the washing step. Alternatively, the steam supplying step may be performed during the washing step to increase the washing effect.

또는,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세탁물의 살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살균효과가 나타나도록 정해진 스팀의 양이 공급되어 일정시간 유지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team supplying step may be used to sterilize laundry.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amount of steam may be supplied to maintain the sterilizing effect for a predetermined time.

바람직하게는 스팀에 의한 살균은 헹굼단계가 완료된 후 또는 탈수단계가 완료된 후 수행된다.Preferably, sterilization by steam is performed after the rinsing step is completed or after the dehydration step is completed.

스팀을 언제 공급할 것인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수단이 콘트 롤 패널(123)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팀공급' 버튼은 놉(knob)의 형태로 만들어져 상기 놉을 회전시킴에 따라 '세탁 전', '세탁 중', '헹굼 후' 등과 같은 옵션이 추가로 선택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스팀의 공급시점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판단한다(S21).Selection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23 so that the user can select when to supply the steam. For example, the 'steam supply' button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knob to be further selected so that options such as 'before washing', 'during washing' and 'after rinsing' may be further selected as the knob is rotated. Can be. T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upply time of the steam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selection (S21).

상기 세탁단계는 세탁물이 텀블되도록 이너터브(15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The washing step may be performed by rotating the inner tub 15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so that the laundry is tumbled.

또는, 상기 세탁단계는 세탁물이 세탁수가 V자 형상을 그리도록 이너터브(150)를 회전시켜 세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이너터브(150)를 회전시키는 속도가 전술한 예보다는 더 빠르다.Alternatively, in the washing step, the laundry may be rotated by rotating the inner tub 150 so that the washing water draws a V shape. At this time, the speed of rotating the inner tub 150 is faster than the above-described example.

또 다른 경우로서, 상기 세탁단계는 원심투과세탁이 이루어지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때에는 이너터브(150)의 회전속도가 더 빠르다. 이너터브(150) 내에 있던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을 투과하면서 이너터브(150)의 관통홈을 통해 이너터브(150) 밖으로 흐르게 된다.As another case, the washing step may be performed to perform centrifugal washing. 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ner tub 150 is faster. The wash water in the inner tub 150 flows out of the inner tub 150 through the through groove of the inner tub 150 while penetrating the laundry by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에 의한 페데스탈 세탁기는 세탁장치를 위로 지지할 수 있고,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기에 적합하다.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washing machine upwards and is suitable for washing a small amount of laundry.

대형 세탁기를 이용하지 않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그리고, 대형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Instead of using a large washing machine, you can save a small amount of laundry while saving energy. And since it can support a large washing machine or a dryer, it is not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대형 세탁기와 함께 사용하면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When used with a large washing machine it can be made at the same time washing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Claims (14)

다른 세탁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케이스;A case capable of supporting another laundry machine;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아웃터브;An out tub installed in the case to accommodate washing water; 상기 아웃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요동시키는 회전체;A rota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in the outer tub to swing laundry; 상기 회전체에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A rotating shaf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otating body; 상기 아웃터브의 하부 중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A bearing housing constituting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tub and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아웃터브 사이에 연결되는 유연한 실링재;A flexible sealing material connected between the bearing housing and the outtu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페데스탈 세탁기.Pedestal washing machine is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브는 상기 케이스의 드로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tub is fixed to a drawer of the case.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드로워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아웃터브와 단일체로 된 상부프레임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Pedestal 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frame which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and a single unit with the outer t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이너터브 또는 펄세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body is an inner tub or a puls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하우징을 지지하는 댐핑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amping device for supporting the bearing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tor of the motor is fixed to the bearing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아우터 로터 타입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tor is an outer rotor type mo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집중권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motor is wound in a concentrated zo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높이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7.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tor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heigh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웃터브에 연결되되, 길이 가변되는 급수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Pedestal washer is connected to the outer tub,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pipe variable in length.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아웃터브에 연결되되, 길이 가변되는 배수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Pedestal washer is connected to the outer tub,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ariable length of the drain pip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웃터브 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Pedestal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steam generator for supplying steam into the outer tub.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웃터브의 상부를 덮는 아웃터브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데스탈 세탁기.Pedestal 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uter do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다른 세탁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케이스;A case capable of supporting another laundry machine;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입 가능한 드로워;A drawer drawable from the case; 상기 드로워의 상부를 덥는 상부프레임;An upper fram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drawer; 상기 상부프레임과 단일체로 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아웃터브;An outer tub united with the upper frame and containing wash water; 상기 아웃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요동시키는 회전체;A rota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in the outer tub to swing laundry; 상기 회전체와 연결된 회전축;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상기 아웃터브의 하부 중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A bearing housing constituting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tub and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고정되는 모터;A mot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 stator fixed to the bearing housing;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아웃터브 사이에 연결되는 유연한 실링재;A flexible sealing material connected between the bearing housing and the outtub; 상기 베어링하우징을 지지하는 댐핑장치;Damping device for supporting the bearing housing; 상기 아웃터브에 연결되되, 길이 가변되는 급수관;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tub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상기 아웃터브에 연결되되, 길이 가변되는 배수관;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outtub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상기 아웃터브의 상부를 덮는 아웃터브 도어;An outer do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상기 아웃터브 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A steam generator for supplying steam into the outtu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페데스탈 세탁기.Pedestal washing machine is configured to include.
KR1020060124807A 2006-12-08 2006-12-08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06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807A KR101306712B1 (en) 2006-12-08 2006-12-08 Pedestal washing machine
EP16188372.3A EP3135801B1 (en) 2006-12-08 2007-12-07 Auxiliary washing machine
ES07851307.4T ES2603220T3 (en) 2006-12-08 2007-12-07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 procedure
PCT/KR2007/006336 WO2008069607A2 (en) 2006-12-08 2007-12-07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RU2009126140/05A RU2446238C2 (en) 2006-12-08 2007-12-07 Combine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its management
CN2007800454125A CN101617077B (en) 2006-12-08 2007-12-07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16188336.8A EP3135800B1 (en) 2006-12-08 2007-12-07 Auxiliary washing machine
CA2671219A CA2671219C (en) 2006-12-08 2007-12-07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07851307.4A EP2118358B1 (en) 2006-12-08 2007-12-07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U2007328625A AU2007328625B2 (en) 2006-12-08 2007-12-07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L07851307T PL2118358T3 (en) 2006-12-08 2007-12-07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12/517,870 US8561438B2 (en) 2006-12-08 2007-12-07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16188356.6A EP3133201B1 (en) 2006-12-08 2007-12-07 Auxiliary washing machine
EP16188377.2A EP3133202B1 (en) 2006-12-08 2007-12-07 Auxiliary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807A KR101306712B1 (en) 2006-12-08 2006-12-08 Pedestal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967A KR20080052967A (en) 2008-06-12
KR101306712B1 true KR101306712B1 (en) 2013-09-11

Family

ID=3980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807A KR101306712B1 (en) 2006-12-08 2006-12-08 Pedestal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6712B1 (en)
CN (1) CN101617077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985A (en) 2014-05-3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991B1 (en) * 2009-05-11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EP2700743B1 (en) 2012-08-23 2020-07-29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KR102082700B1 (en) 2013-01-16 2020-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E102014205368A1 (en) * 2014-03-21 2015-09-24 Emz-Hanauer Gmbh & Co. Kgaa Washing machine
KR102487095B1 (en) * 2014-05-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5202936B2 (en) 2014-05-30 2016-07-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5624993B (en) * 2014-10-30 2019-07-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wash module
CN105624964B (en) * 2014-10-30 2019-08-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drawer type wash mill
CN105624965B (en) * 2014-10-30 2019-07-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wash mill
KR102397005B1 (en) 2015-06-30 202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002889A (en)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002883A (en)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01639B1 (en) * 2015-06-30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201702453A (en) * 2015-06-30 2017-01-16 Lg電子股份有限公司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E540050C2 (en) * 2016-03-23 2018-03-06 Roderinno Ab Washing machine
CN107558089A (en) * 2016-06-30 2018-01-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Washing machine
CN107794695A (en) * 2016-08-31 2018-03-1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CN107794694A (en) * 2016-08-31 2018-03-1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CN107780122A (en) * 2016-08-31 2018-03-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CN107780123A (en) * 2016-08-31 2018-03-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KR20180053189A (en) 2016-11-11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laundry apparatus
EP3336234B1 (en) 2016-12-16 2020-09-02 LG Electronics Inc. -1-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7083637B (en) * 2017-03-31 2020-04-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Washing machine
CN112709047B (en) 2019-10-24 2023-12-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Drawer type clothes treatment device and compound wash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611U (en) * 1998-02-05 1999-09-15 구자홍 Drive shaft coupling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barrel is rotated
US20020042957A1 (en) 2000-10-12 2002-04-18 Kim Hyoun Jin Drawer-type washing machine and process of washing laundry using the same
US20050178165A1 (en) 2004-02-18 2005-08-18 Carey Michael R. Laundry appliance utility shelf
KR20050115970A (en)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tan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21609A (en) * 2004-07-15 2006-01-18 戴伟 Double power composite current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611U (en) * 1998-02-05 1999-09-15 구자홍 Drive shaft coupling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barrel is rotated
US20020042957A1 (en) 2000-10-12 2002-04-18 Kim Hyoun Jin Drawer-type washing machine and process of washing laundry using the same
US20050178165A1 (en) 2004-02-18 2005-08-18 Carey Michael R. Laundry appliance utility shelf
KR20050115970A (en)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tan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985A (en) 2014-05-3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17077B (en) 2011-01-26
KR20080052967A (en) 2008-06-12
CN101617077A (en)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712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EP3133202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KR101467752B1 (en) Device for treating cloth
EP2099966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20090052458A (en) Device for treating cloth
KR101328953B1 (en) Laundry device
KR20090052459A (en) Device for treating cloth
KR101319879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having locking assembly
KR101370894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2067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20674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87472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6555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19875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20671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comtrolling for the same
KR101319884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JP2005334346A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KR10131988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RU2446238C2 (en) Combine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its management
KR20140140849A (en) Method for displaying washing 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