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291B1 -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291B1
KR101314291B1 KR1020070016157A KR20070016157A KR101314291B1 KR 101314291 B1 KR101314291 B1 KR 101314291B1 KR 1020070016157 A KR1020070016157 A KR 1020070016157A KR 20070016157 A KR20070016157 A KR 20070016157A KR 101314291 B1 KR101314291 B1 KR 101314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iddleware
digital broadcasting
standard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6347A (ko
Inventor
이예열
김시철
황유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291B1/ko
Priority to US11/855,538 priority patent/US20080201757A1/en
Priority to PCT/KR2008/000867 priority patent/WO2008100092A1/en
Publication of KR2008007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347A/ko
Priority to US13/366,043 priority patent/US96213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3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its own processing capabilities, e.g. external module for video 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07Interfacing a plurality of external cards, e.g. through a DVB Common Interface [DVB-C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3Implementing client middleware, e.g. Multimedia Home Platform [MH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Abstract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에 있어서, 제 1 미들웨어 표준상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2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실행 정보를 제공하는 실행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상기 제 2 장치의 요청사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요청사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요청사항 수행부를 포함한다.
오픈 케이블 응용 플랫폼(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OCAP), 확장형 홈 씨어터(eXpandable Home Theatre, XHT), HANA(High Definition Audio Video Network Alliance),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셋탑박스(Set-Top Box)

Description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in device that middleware standard of digital broadcasting is differ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OCAP NIU
111 : DOAS
120 : HANA DTV
121 : DOCC
122 : ERSP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픈 케이블 응용 플랫폼(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이하, OCAP라 칭함)이나 확장형 홈 씨어터(eXpandable Home Theatre, 이하 XHT라 칭함)의 기술이 포함된 CEA―2027과 같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각 표준 규격의 변동 없이 상호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방송은 다른 방송매체보다 양방향, 고속 및 대용량 전송에 있어 유리한 특성이 있으므로 고품질의 양방향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가올 방송 통신 융합의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매체가 될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양방향성의 특징을 가능하게 해 주기 위해서는 방송 수신 및 다양한 부가기능 구현이 가능한 제어용 박스인 셋탑박스(Set-Top Box, 이하 STB라 칭함)가 필요하다.
STB는 방송을 통한 양방향성을 제공하며, 고화질 및 고음질의 디지털 방송 수신과 양방향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므로 디지털 방송에서 STB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되기 전까지 STB는 특정 방송 사업자로부터의 방송 데이터 수신이 주된 기능이었지만, STB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되면서 방송수신은 물론 통신기능, 개인 영상 저장장치(PVR: 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ard, 이하 EPG라 칭함)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구현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국내 디지털 케이블 방송 표준으로 채택된 오픈 케이블(Open Cable) 표준은 크게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우선, 하드웨어는 STB와 STB로부터 보안 기능 및 수신제한 기능을 분리한 POD(Point of Deployment) 장치로 구성되며, 소프트웨어는 미들웨어인 OCAP 표준 규격이 핵심이다.
OCAP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의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작기반이 되는 표준으로서, OCAP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시청자들에게 보다 진보된 양방향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며, 오픈 케이블 방식은 OCAP이라는 공통된 미들웨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컨텐츠의 공유가 가능하다.
한편, 빌트-인(Built-in) DTV와 주변 기기를 IEEE 1394로 연결하여 기기 통합 제어 및 HD 컨텐츠 공유를 위한 HANA(High Definition Audio Video Network Alliance, 이하 HANA라고 칭함) 솔루션은 DTV 내에 디코더와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내장하고, 주변기기에는 웹 서버(Web Server)와 컨트롤 페이지(Control Page)를 각각 내장한다.
상술한 HANA 기반 솔루션은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주변 기기에 저장된 HD 컨텐츠를 DTV에서 디코딩하고, DTV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GUI 형태로 주변 기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HANA는 하나의 통합 리모컨을 사용하여 IEEE 1394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HANA는 HANA DTV, TV 노드(Node), A/V HDD, HANA XHT STB 케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Network Interface Unit, 이하 NIU) 등이 포함되는 HANA 장치와 XHT STB에서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는 EPG나 PPV, VOD, 쇼핑 프로그램 등의 장치간 송수신 및 UI 표시가 HTML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HANA 장치와 IEEE 1394로 연결되는 오픈 케이블 방식의 STB에 OCAP 미들웨어가 탑재되는 경우, MHP나 OCAP 미들웨어 위에서 동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HTML 형태로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IEEE 1394 네트워크로 연결된 HANA 장치에서 직접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IEEE 1394를 기반으로 하는 HANA 장치에서 OCAP 기반의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에 탑재되는 OCAP의 규격 확장이 요구된다.
또한, HANA에서의 UI 및 사용자 UI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각종 HANA 어플리케이션은 HTML 기반의 HANA DTV 등에 탑재된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OCAP 1.0의 경우 OCAP-J 어플리케이션이라는 Java 중심의 어플리케이션 및 UI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HANA DTV의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는 OCAP 1.0의 Java 어플리케이션을 HANA DTV에서 동작시킬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 OCAP 어플리케이션을 HANA 규격을 만족하는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에 있어서, 제 1 미들웨어 표준상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2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실행 정보를 제공하는 실행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상기 제 2 장치의 요청사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요청사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요청사항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실행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실행을 위한 요청사항을 상기 제 1 장치에게 요청하는 처리 요청부 및 상기 제 2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간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미들웨어 표준상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2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실행 정보를 제공하는 실행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상기 제 2 장치의 요청사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요청사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요청사항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간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실행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 상기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실행을 위한 요청사항을 상기 제 1 장치에게 요청하는 처리 요청 단계 및 상기 제 2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이미지의 재사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구성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구성(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 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구성(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구성(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구성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구성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구성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 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OCAP 표준 규격에 대한 특별한 수정 없이, HANA DTV에서 OCAP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될 수 있도록 분산형 OCAP 어플리케이션 수행을 위한 구성으로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도 1에서 보듯이 OCAP의 UI나 어플리케이션을 HANA DTV(120)에서 동작시키기 위해서, OCAP NIU(110)에는 분산형 OCAP 어플리케이션 서버(Distribute OCAP Application Server, 이하 DOAS라 칭함)(111)가 포함되고, HANA DTV쪽에는 분산형 OCAP 클라이언트 복사본(Distribute OCAP Client Copy, 이하 DOCC라 칭함)(121)이 포함된다.
또한, HANA DTV(120)의 그래픽 자원(Graphic Resource), MPEG2-TS 디코더(Decoder), A/V 디스플레이 자원(Display Resource) 등을 접근(Access)하기 위한 확장된 자원 지원 패키지(Extended Resource Support Package, 이하 ERSP라 칭함)(122)가 HANA DTV(120)에 포함되어, OCAP NIU(110)와 HANA 1394 네트워크 망을 통해서 연결된 HANA DTV(120)와 같은 디바이스에 OCAP 상호 서비스(Interactive Service)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술한 DOAS(111)와 DOCC(121)의 수행을 위해, 원시 실행 환 경(Primitive Running Environment)을 위한 분산형 OCAP 환경 라이브러리(Distributed OCAP Environment Library, DOEL)가 제공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DOAS(111), DOCC(121) 및 ERSP(12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200)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에 있어서, 제 1 미들웨어 표준상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2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실행 정보를 제공하는 실행 정보 제공부(201) 및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제 2 장치의 요청사항을 수신하고, 수신한 요청사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요청사항 수행부(20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300)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에 있어서, 제 1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실행 정보를 통해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실행을 위한 요 청사항을 상기 제 1 장치에게 요청하는 처리 요청부(302) 및 제 2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해당 구성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장치(200)는 제 1 장치에 포함되며, 도 3에 도시된 장치(300)는 제 2 장치에 포함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200) 중 실행 정보 제공부(201)는 제 1 미들웨어 표준상 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2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실행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제 1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 1 장치는 OCAP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며, 제 1 장치에서는 OCAP 표준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UI가 동작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제 1 장치에 설치된 케이블 카드(Cable Card), 케이블 모뎀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털 케이블 TV 규격(DOCSIS Settop Gateway), 튜너(Tuner), 역다중화기(Demux)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하며, 실행 정보 제공부(201)가 제 2 장치에게 제공하는 실행 정보는 제 1 장치에서 실행된 OCAP UI나 OCAP 어플리케이션을 제 2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한 OCAP Unbound, OCAP Xlet,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XAIT, SI 및 PSI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행 정보는 제 2 장치에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실행하기 위한 정보로서, 제 1 장치는 원격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제 2 장치에게 제공하는 서버의 역할을 담당한다.
참고로, OCAP 어플리케이션에는 Bound 및 Unbound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AIT(Bound 어플리케이션)와 XAIT(Unbound 어플리케이션)라는 정보로 헤드엔드(Headend)로부터 제공되는데, 실행 정보 제공부(101)는 제 1 장치에 포함되어 이러한 AIT나 XAIT의 정보를 파싱하며, 제 1 장치에서 실행될 Tuner, Cable Card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제 1 장치에서 수행되도록 분류하고, UI나 자바(Java)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제 2 장치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실행 정보 제공부(201)에서 제공한 실행 정보를 통해 제 2 장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제 2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요청사항을 제 1 장치에게 요청하고, 제 1 장치의 요청사항 수행부(202)는 제 2 장치의 요청사항을 수신하고, 수신한 요청사항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한다.
상술한 실행 정보 제공부(201) 및 요청 사항 수행부(202)는 도 1에 도시된 DOAS(111)에 포함된다.
참고로, 제 2 장치는 XHT의 기술이 포함된 CEA―2027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며, 제 2 장치는 하나 이상 다수의 HANA DTV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요청사항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채널 튜닝(Channel Tunning), 엠펙 전송 스트림(MPEG Transport Stream), SI 데이터(Data) 및 PSI 데이터, 그리고 제 1 장치에서 수행해야 할 Tuner, OOB, Persistent Storage, Section Filters, CAS Messaging, Cable Card 및 Object Carousels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요청사항 수행부(202)는 상술한 요청사항을 수신하면, 이에 대한 AIT와 Bound Application의 유지 및 종료 조건 등을 관리하여 제 2 장치로부터 원격 실행을 위한 OCAP Call 등을 메시지 형태로 교환하고, 제 1 장치와 제 2 장치가 상호 연관되게 동작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장치(300)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는 제 1 장치에서 실 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실행 정보를 통해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제 1 장치는 OCAP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며, 제 1 장치에서는 OCAP 표준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UI가 동작된다.
또한 제 2 장치는 XHT의 기술이 포함된 CEA―2027A 및 CEA-931B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며, 제 2 장치는 하나 이상 다수의 HANA DTV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어플리케이션 및 실행 정보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장치(200)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는 제 1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jar 파일 형태로 제공받아 HANA DTV와 같은 장치에서 모든 OCAP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는 OCAP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을 제공받게 되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장치(200)의 실행 정보 제공부(201)에서 AIT나 XAIT의 정보를 파싱하고, 제 1 장치에서 실행될 Tuner, Cable Card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제 2 장치에서 실행될 UI나 자바(Java)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여 제 2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에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참고로, 둘 이상 다수의 HANA 장치가 네트워크상에서 OCAP NIU와 연결되어 있어도 DOAS는 각각의 HANA 장치에 복사된 DOCC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OCAP 어 플리케이션이 각각의 HANA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HANA DTV같은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니터 어플리케이션, EPG, 그리고 OCAP Bound 어플리케이션은 물론 Unbound 어플리케이션도 동작 가능하다.
처리 요청부(302)는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실행을 위한 요청사항을 제 1 장치에게 요청하며, 요청사항은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 및 처리 요청부(302)는 도 1에 도시된 DOCC(121)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부(303)는 제 2 장치에서 실행된 OCAP UI 및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303)는 OCAP에서 정의된 OCAP UI 및 Media Play와 관련되어 네이티브(Native) 코드 또는 JAVA로 구현된 Class들의 집합인 ERSP(Extended Resource Support Package)로 명명된 org.dvb.* 패키지와 HANA DTV에서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Resource)을 매핑한다.
예를 들어 JAVA UI 어플리케이션을 PC에서 실행 하려면, JAVA UI상의 선(Line) 그리기와 같은 함수들이 PC의 그래픽 및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선 그리는 원시 코드(Primitive Code)와 매핑되어야 하는 것처럼, 디스플레이부(303)는 HANA DTV에서 화면의 선이나 화소(Pixels)등을 제어하는 그래픽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원시 코드들과 어플리케이션 상의 다양한 함수들을 매핑하기 위 한 ERSP를 제공한다.
상술한 디스플레이부(303)는 도 1에 도시된 ERSP(122)를 포함한다.
참고로, 패키지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시간 기반 미디어(Time Based Media)를 처리할 수 있는 JMF(Java Media Framework)에서 재생(play), 정지(stop)와 같은 기능 구현을 위해서도 상술한 것과 같은 매핑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능들을 ERSP가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 상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장치(200, 300)를 참조하여 도 4의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200) 중 실행 정보 제공부(201)는 제 1 미들웨어 표준상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2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실행 정보를 제공한다(S401).
여기에서 제 1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 1 장치는 OCAP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며, 제 1 장치에서는 OCAP 표준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UI가 동작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제 1 장치에 설치된 케이블 카드(Cable Card), 케이블 모뎀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털 케이블 TV 규격(DOCSIS Settop Gateway), 튜너(Tuner), 역다중화기(Demux)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하며, 실행 정보 제공부(201)가 제 2 장치에게 제공하는 실행 정보는 제 1 장치 에서 실행된 OCAP UI나 OCAP 어플리케이션을 제 2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한 OCAP Unbound, OCAP Xlet,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XAIT, SI 및 PSI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행 정보는 제 2 장치에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실행하기 위한 정보로서, 제 1 장치는 원격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제 2 장치에게 제공하는 서버의 역할을 담당한다.
S401 후, 실행 정보 제공부(201)에서 제공한 실행 정보를 통해 제 2 장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제 2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요청사항을 제 1 장치에게 요청한다(S402).
S402 후, 제 1 장치의 요청사항 수행부(202)는 제 2 장치의 요청사항을 수신하고, 수신한 요청사항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한다(S403).
참고로, 제 2 장치는 XHT의 기술이 포함된 CEA―2027A 및 CEA-931B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며, 제 2 장치는 하나 이상 다수의 HANA DTV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요청사항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채널 튜닝, 엠펙 전송 스트림, SI 데이터 및 PSI 데이터, 그리고 제 1 장치에서 수행해야 할 Tuner, OOB, Persistent Storage, Section Filters, CAS Messaging, Cable Card 및 Object Carousels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403 후, 요청사항 수행부(202)는 상술한 요청사항을 수신하면, 이에 대한 AIT와 Bound 어플리케이션의 유지 및 종료 조건 등을 관리하여 제 2 장치로부터 원격 실행을 위한 OCAP Call 등을 메시지 형태로 교환하고, 제 1 장치와 제 2 장치가 상호 연관되게 동작하도록 한다(S404).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장치(300)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는 제 1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제공받고(S501), 제공받은 실행 정보를 통해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502).
여기에서, 제 1 장치는 OCAP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며, 제 1 장치에서는 OCAP 표준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UI가 동작된다.
또한 제 2 장치는 XHT의 기술이 포함된 CEA―2027A 및 CEA-931B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며, 제 2 장치는 하나 이상 다수의 HANA DTV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어플리케이션 및 실행 정보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장치(200)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는 제 1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jar 파일 형태로 제공받아 HANA DTV와 같은 장치에서 모든 OCAP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는 OCAP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을 제공받게 되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장치(200)의 실행 정보 제공부(201)에서 AIT나 XAIT의 정보를 파싱하고, 제 1 장치에서 실행될 Tuner, Cable Card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제 2 장치에서 실행될 UI나 자바(Java)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여 제 2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에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참고로, 둘 이상 다수의 HANA 장치가 네트워크상에서 OCAP NIU와 연결되어 있어도 DOAS는 각각의 HANA 장치에 복사된 DOCC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OCAP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HANA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HANA DTV같은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니터 어플리케이션, EPG, 그리고 OCAP Bound 어플리케이션은 물론 Unbound 어플리케이션도 동작 가능하다.
S502 후, 처리 요청부(302)는 제 2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실행을 위한 요청사항을 제 1 장치에게 요청한다(S503).
참고로, 요청사항은 도 2에 도시된 장치(200)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S503 후, 디스플레이부(303)는 제 2 장치에서 실행된 OCAP UI 및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한다(S504).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303)는 OCAP에서 정의된 OCAP UI 및 미디어 재생과 관련되어 네이티브(Native) 코드 또는 JAVA로 구현된 Class들의 집합인 ERSP(Extended Resource Support Package)로 명명된 org.dvb.* 패키지와 HANA DTV에서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자윈(Resource)을 매핑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표준 규격인 OCAP 1.0 스펙의 변동 없이 OCAP 1.0이 탑재된 Open Cable Host Device2.x(OCAP Cable NIU 등) 제품과 HANA Device(HANA DTV 등)에서도 OCAP으로 제작된 방송 서비스 받을 수 있게 해줌으로써, HANA XHT 표준의 활성화 및 사업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헤드-엔드가 서비스를 하려고 하는 OCAP 기반의 양방향 서비스를 HANA와 연동할 수 있음으로써, 홈 네트워크와 연계된 AV를 공유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34)

  1.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장치에 있어서,
    제 1 미들웨어 표준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2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2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실행 정보를 제공하는 실행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실행 정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상기 제1 장치에서의 수행이 요청되는 요청사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요청사항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요청사항에 대한 결과가 원격으로 상기 제2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요청사항 수행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OCAP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장치에 설치된 케이블 카드(Cable Card), DSG(DOCSIS Settop Gateway) 모듈 및 튜너(Tun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제 1 장치에서 수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AIT, XAIT, SI 및 PSI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XHT의 기술이 포함된 CEA―2027A 및 CEA-931B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하나 이상 다수의 HANA DTV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사항은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채널 튜닝(Channel Tunning), 엠펙 전송 스트림(MPEG Transport Stream), SI 데이터(Data) 및 PSI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9.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실행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실행 정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상기 제1 장치에서의 수행이 요청되는 요청사항을 상기 제1 장치에 요청하는 처리 요청부; 및
    상기 요청사항에 대한 결과가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OCAP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장치에 설치된 케이블 카드(Cable Card), DSG(DOCSIS Settop Gateway) 모듈 및 튜너(Tun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제 1 장치에서 수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AIT, XAIT, SI 및 PSI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XHT의 기술이 포함된 CEA―2027A 및 CEA-931B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하나 이상 다수의 HANA DTV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실행 및 종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업을 관리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사항은 상기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채널 튜닝 (Channel Tunning), 엠펙 전송 스트림(MPEG Transport Stream), SI 데이터 및 PSI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8.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미들웨어 표준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2 미들웨어 표준을 사용하는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실행 정보를 제공하는 실행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실행 정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상기 제1 장치에서의 수행이 요청되는 요청사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요청사항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요청사항에 대한 결과가 원격으로 상기 제2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요청사항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OCAP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장치에 설치된 케이블 카드(Cable Card), DSG(DOCSIS Settop Gateway) 모듈 및 튜너(Tun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제 1 장치에서 수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AIT, XAIT, SI 및 PSI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XHT의 기술이 포함된 CEA―2027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하나 이상 다수의 HANA DTV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사항은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채널 튜닝(Channel Tunning), 엠펙 전송 스트림(MPEG Transport Stream), SI 데이터(Data) 및 PSI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6.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실행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실행 정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상기 제1 장치에서의 수행이 요청되는 요청사항을 상기 제1 장치에 요청하는 처리 요청 단계; 및
    상기 요청사항에 대한 결과가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OCAP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장치에 설치된 케이블 카드(Cable Card), DSG(DOCSIS Settop Gateway) 모듈 및 튜너(Tun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제 1 장치에서 수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AIT, XAIT, SI 및 PSI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XHT의 기술이 포함된 CEA―2027 표준 규격의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하나 이상 다수의 HANA DTV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3.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는 상기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실행 및 종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업을 관리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4.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사항은 상기 제 2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채널 튜닝(Channel Tunning), 엠펙 전송 스트림(MPEG Transport Stream), SI 데이터(Data) 및 PSI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70016157A 2007-02-15 2007-02-15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14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57A KR101314291B1 (ko) 2007-02-15 2007-02-15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1/855,538 US20080201757A1 (en) 2007-02-15 2007-09-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to device using different digital broadcast middleware standards
PCT/KR2008/000867 WO2008100092A1 (en) 2007-02-15 2008-02-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to device using different digital broadcast middleware standards
US13/366,043 US9621370B2 (en) 2007-02-15 2012-02-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to device using different digital broadcast middleware standar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57A KR101314291B1 (ko) 2007-02-15 2007-02-15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347A KR20080076347A (ko) 2008-08-20
KR101314291B1 true KR101314291B1 (ko) 2013-10-02

Family

ID=3969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157A KR101314291B1 (ko) 2007-02-15 2007-02-15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080201757A1 (ko)
KR (1) KR101314291B1 (ko)
WO (1) WO2008100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696B1 (ko) * 2008-12-31 2009-08-24 (주)테이크텍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US8875168B2 (en) * 2009-07-30 2014-10-28 Avaya Inc. Audio/Video monitoring service using set-top boxes and application servers
CN102023924B (zh) * 2009-09-21 2012-11-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整合接收设备的存储空间征用的装置及方法
TWI396084B (zh) * 2009-09-24 201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整合接收設備及其記憶空間徵用方法
CA2824965C (en) 2011-01-19 2016-05-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JP2013149171A (ja) * 2012-01-20 2013-08-01 Panasonic Corp プログラム実行方法およびその装置
BR112014032554A2 (pt) 2012-06-25 2017-06-27 Lg Electronics Inc aparelho e método para processamento de um serviço interativo
CN105579995B (zh) * 2013-09-23 2022-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应用的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526A (ko) * 1999-09-21 2001-04-06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번호 할당장치 및 방법
KR20040054040A (ko) * 2002-12-17 200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이기종 제어 미들웨어를 지원하는정보기기간의 협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2538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데이콤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433B1 (en) * 1998-09-30 2003-03-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for distributing native program converted from Java bytecode to a specified home appliance
US20020162117A1 (en) 2001-04-26 2002-10-31 Martin Pearso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synchronized interactive content interrelated to broadcast content
KR100517994B1 (ko) 2003-07-30 2005-09-29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홈 플랫폼과 네이티브 소프트웨어간의컨텍스트 스위칭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스위칭 방법
KR100574505B1 (ko) 2003-12-23 200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이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및 그의 인터넷제공방법
KR100636322B1 (ko) * 2004-10-25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픈케이블 디지털방송 수신기와 케이블카드 간의 데이터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60130110A1 (en) * 2004-12-13 2006-06-15 Yong-Seong Cho Apparatus for receiving MPEG-2 A/V data using cable modem
KR100724970B1 (ko) 2004-12-27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Tv 채널과 인터넷 웹 사이트의 연동 방법 및 장치
US7567565B2 (en) * 2005-02-01 2009-07-28 Time Warner Cab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bandwidth conservation
US7593469B2 (en) * 2005-07-28 2009-09-22 Sony Corporation OCAP engine module
JP2009520380A (ja) * 2005-12-19 2009-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
KR100785078B1 (ko) * 2006-09-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환경 알림 기능을 구비한 호스트장치 및 그 방법
US7814524B2 (en) * 2007-02-14 2010-10-12 Sony Corporation Capture of configuration and service provider data via OC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526A (ko) * 1999-09-21 2001-04-06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번호 할당장치 및 방법
KR20040054040A (ko) * 2002-12-17 200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이기종 제어 미들웨어를 지원하는정보기기간의 협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2538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데이콤 통합 셋탑 박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01757A1 (en) 2008-08-21
US9621370B2 (en) 2017-04-11
WO2008100092A1 (en) 2008-08-21
KR20080076347A (ko) 2008-08-20
US20120137339A1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27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1314291B1 (ko)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0518267C (zh) 上下文相关的web页面系统和方法
JP5738469B2 (ja) 単一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含まれる基本メディアプレイヤを用いてスマートサービス及びデジタルテレビサービスを提供するスマート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及びその駆動方法
US9544653B2 (en) Web-brows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EP2475184A1 (en) Multimedia device having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rocesing multiple graphic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41351A (ko) 영상 표시 기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20080196079A1 (en) Data-broadcast-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20130182192A1 (en)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apparatus thereof
US8250615B2 (en) Head-end system for providing two-way VOD service and service method thereof
JP2001333410A (ja) メディアデータの提供を最適化するためのメタデータ使用方法及びシステム
US8990879B2 (en) Method for providing data applic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KR20210076133A (ko) 네이티브 방송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수신기 디바이스
CN111726674B (zh) 一种HbbTV应用启动方法及显示设备
US201400754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host device and a user device through an intermediate device using a composite graphics signal
US20110214152A1 (en) Application Execution System for Digital Television, Apparatus for Application Execution for Digital Television and Method to Implement Said System
KR20120041601A (ko) 영상 표시 기기의 통합 검색 방법
CN111757176B (zh) 流媒体文件安全播放方法及显示设备
KR20120043569A (ko)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20078069A (ko)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760943B1 (ko)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WO2007066361A1 (en) Process, apparatus and system for executing mhp applications
KR20100100314A (ko)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9124428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