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185B1 -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185B1
KR101253185B1 KR1020070029474A KR20070029474A KR101253185B1 KR 101253185 B1 KR101253185 B1 KR 101253185B1 KR 1020070029474 A KR1020070029474 A KR 1020070029474A KR 20070029474 A KR20070029474 A KR 20070029474A KR 101253185 B1 KR101253185 B1 KR 10125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ice data
mobile service
frame
by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368A (ko
Inventor
송원규
최인환
곽국연
김병길
김진우
이형곤
김종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185B1/ko
Priority to US11/774,546 priority patent/US7940855B2/en
Priority to MX2009010194A priority patent/MX2009010194A/es
Priority to ARP080101233A priority patent/AR066398A1/es
Priority to EP08723717A priority patent/EP2130382A4/en
Priority to PCT/KR2008/001681 priority patent/WO2008117981A1/en
Priority to CN2008800102455A priority patent/CN101647289B/zh
Priority to CA2681046A priority patent/CA2681046C/en
Publication of KR2008008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368A/ko
Priority to US13/069,336 priority patent/US8068561B2/en
Priority to US13/280,263 priority patent/US8223884B2/en
Priority to US13/490,401 priority patent/US87311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185B1/ko
Priority to US14/229,548 priority patent/US9736508B2/en
Priority to US15/653,340 priority patent/US9924206B2/en
Priority to US15/886,458 priority patent/US10070160B2/en
Priority to US16/107,780 priority patent/US102442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04L1/006Trellis-coded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5Seria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6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066Carrier recover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27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271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coherent demodulation wherein the carrier recovery circuit uses only the demodulated signals
    • H04L27/227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coherent demodulation wherein the carrier recovery circuit uses only the demodulated signals using phase locked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27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extracting the synchronising or clock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spectrum, e.g. by using a resonant or bandpass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2Detectors therefor, e.g. correlators, state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때 에러에 강한 디지털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하여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강건성을 부여하면서 빠른 채널 변화에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Figure R1020070029474
디지털, 방송, VSB, 타이밍, 에러, 모바일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도 1은 디지털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서비스 다중화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3은 송신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전처리기의 일 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5는 RS 프레임 부호화 과정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송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디인터리버 전후단의 데이터 구성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RS 프레임의 분할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패킷 다중화된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블록 처리기의 일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0은 심볼 부호기의 일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1은 심볼 인터리버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12a는 블록 처리기의 일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2b는 블록 처리기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3는 심볼-바이트 변환기의 출력을 블록 내에서 일정 기준에 따라 배열한 예시도.
도 14는 트렐리스 부호화부의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5a는 록 처리기와 트렐리스 부호화부가 연접(concatenation)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5b는 블록 처리기와 트렐리스 부호화부의 다른 예시도
도 16은 1/N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는 블록 처리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17은 블록 처리기의 다른 실시예에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8은 그룹 포맷터에서 전송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그룹 내 바디 영역에 삽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9는 전송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하는 블록 처리기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0은 패킷 포맷터에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기 위하여 패킷 포맷터를 확장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1은 전송 파라미터를 필드 동기 세그먼트 영역에 삽입하기 위해 동기 다중화기를 확장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3은 RS 프레임 복호기의 에러 정정 복호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
도 24는 동일한 패턴의 기지 데이터 열을 전송하는 VSB 신호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5는 VSB 복조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26은 타이밍 클럭 복구부의 일 예의 블록도
도 27은 타이밍 클럭 복구부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28과 도 29는 기지 데이터와 수신된 신호의 상관값을 구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30은 타이밍 에러가 있을 경우 상관값을 예시한 도면
도 31은 시간 영역에서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타이밍 에러 검출기의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32는 타이밍 주파수 에러를 검출하는 타이밍 에러 검출기의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33은 타이밍 주파수 에러를 검출하는 타이밍 에러 검출기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중 북미 및 국내에서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채택된 VSB(Vestigial Sideband) 전송 방식은 싱글 캐리어 방식이므로 열악한 채널 환경에서는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휴대용이나 이동형 방송 수신기의 경우에는 채널 변화 및 노이즈에 대한 강건성이 더욱 요구되므로, 상기 VSB 전송 방식으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성능을 더욱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채널 변화 및 노이즈에 강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하여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알고 있는 기지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의 소정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시스템은 서비스 다중화기와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 율로 다중화하여 송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서비스 다중화기에서 전송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하고, 부호화가 수행된 다수개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 터 패킷을 모아 데이터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패킷 단위로 다중화하여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기는 데이터 그룹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버스트 구조로 다중화할 수 있으며, 상기 버스트는 데이터 그룹이 포함되는 버스트 온 구간과 데이터 그룹이 포함되지 않는 버스트 오프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그룹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 정도에 따라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이 없는 영역에는 주기적으로 긴 기지 데이터 열을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시스템은 상기 기지 데이터 열을 복조 및 채널 등화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시스템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경우, 버스트 온 구간에서만 전원을 온하여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실시예는 수신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리샘플러, 상기 샘플링된 데이터 중 모바일 데이터 영역에 정해진 패턴을 갖는 기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초기 주파수 옵셋(initial frequency offset)을 추정하는 기지 데이터 검출 및 초기 주파수 옵셋 추정부 및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데이터로부터 타이밍 에러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타이밍 에러 검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수신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된 데이터 중 모바일 데이터 영역에 정해진 패턴을 갖는 기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초기 주파수 옵 셋(initial frequency offset)을 추정하는 기지 데이터 검출 및 초기 주파수 옵셋 추정 단계, 상기 기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데이터로부터 타이밍 에러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계 및 상기 출력된 타이밍 에러 정보를 이용해 상기 수신 데이터를 다시 샘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메인 서비스 데이터는 고정형 수신 시스템에 서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로서, 오디오/비디오(A/V)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는 HD(High Definition) 또는 SD(Standard Definition)급의 A/V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데이터 방송을 위한 각종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지(Known) 데이터는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미리 알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모바일(mobile) 서비스 데이터는 모바일(Mobile) 서비스 데이터, 퍼데스트리언(Pedestrian) 서비스 데이터, 핸드헬드(Handheld) 서비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라 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M/P/H(Mobile/Pedestrian/Handheld) 서비스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동이나 휴대를 의미하는 서비스 데이터는 어느 것이나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M/P/H 서비스 데이터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의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프로그램 실행 파일, 주식 정보 등과 같이 정보를 갖는 데이터일 수도 있고, A/V 데이터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휴대용이나 이동형 단말기(또는 방송 수신기)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로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비해서 작은 해상도와 작은 데이터 율을 가지는 A/V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존 메인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는 A/V 코덱(Codec)이 MPEG-2 코덱(Codec)이라면,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A/V 코덱(Codec)으로는 보다 영상 압축 효율이 좋은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SVC(Scalable Video Coding)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서비 스 데이터로는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라도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데이터가 서비스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로는 날씨 서비스, 교통 서비스, 증권 서비스, 시청자 참여 퀴즈 프로그램, 실시간 여론 조사, 대화형 교육 방송, 게임 서비스, 드라마의 줄거리, 등장인물, 배경음악, 촬영장소 등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 스포츠의 과거 경기 전적, 선수의 프로필 및 성적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 상품 정보 및 이에 대한 주문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별, 매체별, 시간별, 또는 주제별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전송 시스템은 기존 수신 시스템에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backward compatible), 동일한 물리적 채널에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송 시스템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적인 부호화를 수행하고, 송/수신측 모두가 미리 알고 있는 데이터 즉, 기지(known) 데이터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면 수신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이동 수신이 가능하며, 또한 채널에서 발생하는 각종 왜곡과 노이즈에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안정적인 수신이 가능하다.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설명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로서, 서비스 다중화기(Service Multiplexer)(100)와 송신기(Transmitter)(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는 각 방송국의 스튜디오에 위치하고, 송신기(200)는 스튜디오로부터 거리가 떨어진 지역(site)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송신기(200)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개의 송신기는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개의 송신기는 모두 동일한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수신 시스템에서는 채널 등화기가 반사파로 인한 신호 왜곡을 보상하여 원 신호를 복원할 수가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복수개의 송신기는 동일 채널에 대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와 원격지에 위치한 각 송신기간의 데이터 통신은 여러 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SMPTE-310M(Synchronous Serial Interface for transport of MPEG-2 data)과 같은 인터페이스 규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SMPTE-310M 인터페이스 규격에서는 서비스 다중화기의 출력 데이터 율이 일정한 데이터 율로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8VSB의 경우 19.39 Mbps로 정해져 있고, 16VSB의 경우 38.78 Mbps로 정해져 있다. 또한 기존 8VSB 방식의 전송 시스템에서는 한 개의 물리적인 채널에 데이터 율이 약 19.39 Mbps인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기존 전송 시스템과 역방향 호환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에서도,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하여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한 후 이를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TS 패킷 형태로 다중화하여 전송하는데, 이때에도 다중화된 TS 패킷의 데이터 율은 약 19.39 Mbps가 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는 적어도 한 종류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각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각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으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는 적어도 한 종류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각 메인 서비스를 위한 PSI/PSIP 테이블 데이터를 입력받아 TS 패킷으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한다. 이어 상기 TS 패킷들을 기 설정된 다중화 규칙에 따라 다중화하여 송신기(200)로 출력한다.
서비스 다중화기
도 2는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Controller)(110), 메인 서비스를 위한 PSI/PSIP 발생기(120),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PSI/PSIP 발생기(130), 널 패킷 발생기(140),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 및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는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패킷 다중화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적어도 한 종류의 압축 부호화된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상기 메인 서비스를 위해 PSI/PSIP 발생기(120)에서 발생된 PSI/PSIP 테이블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의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로 입력된다. 상기 메인 서 비스 다중화기(161)는 입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PSI/PSIP 테이블 데이터를 각각 MPEG-2 TS 패킷 형태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고, 이러한 TS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TS 패킷 다중화기(162)로 출력한다. 상기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적어도 한 종류의 압축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PSI/PSIP 발생기(130)에서 발생된 PSI/PSIP 테이블 데이터는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로 입력된다.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PSI/PSIP 테이블 데이터를 각각 MPEG-2 TS 패킷 형태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고, 이러한 TS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TS 패킷 다중화기(162)로 출력한다.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송신기(200)에서 상기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상기 식별 정보는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데이터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해당 데이터 패킷 내 기 설정된 위치의 값을 변형시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각기 서로 다른 PID(Packet Identifier)를 할당하여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 동기 바이트를 변형함에 의해, 해당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 값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는 ISO/IEC13818-1에서 규정한 값(예를 들어, 0x47)을 변형없이 그대로 출력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는 변형시켜 출력함에 의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다. 반대로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를 변형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를 변형없이 그대로 출력함에 의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동기 바이트를 변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바이트를 비트별로 반전시키거나, 일부 비트만을 반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상기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는 기존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트랜스포트 다중화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다중화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메인 서비스의 데이터 율을 (19.39-K) Mbps의 데이터 율로 제한하고, 나머지 데이터 율에 해당하는 K Mbps를 모바일 서비스에 할당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이미 사용되고 있는 트랜스포트 다중화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는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다중화하여 송신기(200)로 전송한다.
그런데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의 출력 데이터 율이 K Mbps가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는 출력 데이터 율이 K Mbps가 되도록 널 패킷 발생기(140)에서 발생된 널 데이터 패킷을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널 패킷 발생기(140)는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의 출력 데이터 율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하여 널 데이터 패킷을 발생하여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19.39 Mbps 중 K Mbps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할당하고, 그 나머지인 (19.39-K) Mbps를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할당한다고 하면, 실제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다중화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율은 K Mbps보다 작아진다. 이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경우, 송신기의 전 처리기(pre-processor)에서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하여 데이터 량이 늘리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전송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율(data rate)이 K Mbps보다 작아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송신기의 전처리기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1/2 부호율 이하의 부호화를 수행하므로, 전처리기의 출력 데이터의 양은 입력 데이터의 양보다 2배 이상 많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다중화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율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율의 합은 항상 19.39 Mbps 보다 작거나 같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출력되는 최종 출력 데이터 율을 일정한 데이터 율(예를 들어, 19.39 Mbps)로 맞추기 위해, 상기 널 패킷 발생기(140)에서는 모자라는 데이터 율만큼 널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PSI/PSIP 테이블 데이터를 각각 MPEG-2 TS 패킷 형태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고, 이러한 TS 패킷들과 널 데이터 패킷을 다중화하여 TS 패킷 다중화기(162)로 출력한다.
상기 TS 패킷 다중화기(162)는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다중화하여 19.39 Mbps 데이터 율로 송신기(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 널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로 상기 TS 패킷 다중화기(162)에서 널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최종 데이터 율을 일정한 데이터 율로 맞출 수도 있다.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의 출력 경로 및 다중화 규칙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의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 TS 패킷 다중화기(162)에서의 다중화 및 널 패킷 발생기(140)에서의 널 데이터 패킷의 발생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송신기(200)에서는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전송하는 널 데이터 패킷을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하지 않고 버린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200)에서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버리기 위해서는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데이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 동기 바이트 값을 변형시켜 식별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고,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flag)를 식별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널 데이터 패킷 내 헤더의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를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의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는 1로 셋팅하고, 상기 널 데이터 패킷 이외의 모든 데이터 패킷들의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는 0으로 리셋시켜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상기 널 패킷 발생기(140)에서 널 데이터 패킷을 발생시킬 때 널 데이터 패킷의 헤더의 필드 중에서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를 '1'로 세팅하여 전송한다면 송신기(200)에서 이를 구분하여 버릴 수 있다.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의 적어도 일부, 또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PSI/PSIP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또는 OM(Operations and Maintenance) 패킷(또는 OMP라 하기도 함.)에 전송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송신기(200)에서는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해당 블록으로 출력하며, 필요한 경우 수신 시스템으로도 전송한다.
즉,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및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OMP(Operations and Maintenance Packet) 라는 패킷이 정의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OMP는 MPEG-2 TS 패킷의 형식을 따르며 해당 PID는 0x1FFA의 값을 가진다. 상기 OMP은 4바이트의 헤더와 184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상기 184 바이트 중 첫번째 바이트는 OM_type 필드로서 OM 패킷의 유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OMP의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OM_type 필드의 미사용 필드 값들 중에서 미리 약속된 값을 사용하여, 송신기(200)에 전송 파라미터가 OMP으로 전송됨을 알릴 수 있다. 즉, 송신기(200)에서는 PID를 보고 OMP를 찾을 수 있으며, 상기 OMP 내 OM_type 필드를 파싱하여 해당 패킷의 OM_type 필드 다음에 전송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송/수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부가 정보들로서, 예를 들면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는 데이터 그룹 정보, 데이터 그룹 내 영역(region) 정보, RS 프레임 정보, 수퍼 프레임 정보, 버스트 정보, 터보 코드 정보, RS 코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트 정보에는 버스트 사이즈(size) 정보, 버스트 주기 정보, 다음 버스트까지의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스트 주기(period)는 동일한 종류의 모바일 서비스를 전송하 는 버스트가 반복되는 주기(period)를 의미하고, 버스트 사이즈(size)는 하나의 버스트에 포함되는 데이터 그룹의 개수를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그룹은 다수개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데이터 그룹이 다수개 모여서 하나의 버스트를 형성한다. 그리고 버스트 구간(section)은 현재 버스트의 시작에서 다음 버스트의 시작까지를 의미하며, 데이터 그룹이 포함되는 구간(또는 버스트 온 구간이라 하기도 함)과 데이터 그룹이 포함되지 않는 구간(또는 버스트 오프 구간이라 하기도 함)으로 구분된다. 하나의 버스트 구간은 다수개의 필드들로 구성되는데, 하나의 필드는 하나의 데이터 그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심볼 영역의 신호들이 어떤 방법으로 부호화되는지에 대한 정보,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또는 여러 종류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간에 어떻게 다중화되는지에 대한 다중화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의 추가 및 삭제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전송 파라미터들은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송신기(200)로 제공할 수도 있고, 송신기(200) 자체적으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설정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받을 수 있다.
송신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200)의 구성 블록도로서, 역다중화기(210), 패킷 지터 경감기(Packet jitter mitigator)(220), 전 처리기(Pre-Processor)(230), 패킷 다중화기(240), 후처리기(Post-Processor)(250), 동기(Sync) 다중화기(260), 및 송신부(transmission unit)(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210)는 서비스 다중화기(1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인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인지, 아니면 널 데이터 패킷인지를 구분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역다중화기(210)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 내 PID를 이용하여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고, transport_error_indicator 필드를 이용하여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210)에서 분리된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은 패킷 지터 경감기(220)로 출력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은 전처리기(230)로 출력되며, 널 데이터 패킷은 버려진다. 만일 상기 널 데이터 패킷에 전송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면 전송 파라미터가 추출되어 해당 블록으로 출력된 후 널 데이터 패킷은 버려진다.
상기 전처리기(230)는 역다중화기(210)에서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 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의 부호화 및 전송 프레임 상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들의 용도에 따라 어느 특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그룹 형성 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노이즈 및 채널 변화에 빠르고 강력하게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전처리 기(230)는 추가의 부호화시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참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기(230)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다수개 모아 데이터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데이터 그룹 내 기 설정된 영역에 기지 데이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MPEG 헤더 등을 할당한다.
송신기 내의 전처리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기(230)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데이터 랜더마이저(301), RS 프레임 부호기(302), 블록 처리기(303), 그룹 포맷터(304), 데이터 디인터리버(305), 및 패킷 포맷터(3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처리기(230) 내 데이터 랜더마이저(301)는 역다중화기(210)를 통해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랜더마이징시켜 RS 프레임 부호기(302)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301)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랜더마이징을 수행함으로써, 후처리기(250)의 데이터 랜더마이저(251)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랜더마이징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랜더마이즈되어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복수개 모아 RS 프레임을 구성하고, RS 프레임 단위로 에러 정정 부호화(encoding) 과정, 에러 검출 부호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하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강건성을 부여하면서 전파 환경 변화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군집 에러를 흐트림으로써 극심하게 열악하고 빠르게 변하는 전파 환경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RS 프레임을 모아 수퍼 프레 임(Super Frame)을 구성하고, 수퍼 프레임 단위로 인터리빙(interleaving or permutation)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수퍼 프레임의 각 열을 기 설정된 규칙으로 섞는 인터리빙을 수행하면, 수퍼 프레임 내에서 인터리빙 전후의 로우의 위치가 달라진다. 상기 수퍼 프레임 단위의 인터리빙을 수행하면, 다량의 에러가 발생한 구간이 매우 길어 복호하려는 한 개의 RS 프레임 내에 정정 불가능할 만큼의 에러가 포함되더라도 수퍼 프레임 전체에서는 이 에러들이 분산되므로 단일 RS 프레임과 비교하여 복호 능력이 향상된다.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에러 정정 부호화는 RS 부호화를 적용하고, 에러 검출 부호화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화를 적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RS 부호화를 수행하면 에러 정정을 위해 사용될 패리티 데이터가 생성되고, CRC 부호화를 수행하면 에러 검출을 위해 사용될 CRC 데이터가 생성된다.
상기 RS 부호화는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중 하나이다. 상기 FEC는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상기 CRC 부호화에 의해 생성된 CRC 데이터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서 에러에 의해서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CRC 부호화 이외에 다른 에러 검출 부호화 방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에러 정정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수신측에서의 전체적인 에러 정정 능력을 높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미리 설정된 전송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제공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RS 프레임 구 성, RS 부호화, CRC 부호화, 수퍼 프레임 구성, 수퍼 프레임 단위의 인터리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기 내 RS 프레임 부호기
도 5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부호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즉,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먼저,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일정 길이(A) 단위로 구분한다. 상기 일정 길이(A)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187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정 길이(A)를 패킷이라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188바이트 단위로 구성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이라면 도 5의 (b)와 같이 첫 번째 MPEG 동기 바이트를 제거하여 187바이트로 한 패킷을 구성한다. 여기서 MPEG 동기 바이트를 제거하는 이유는 모든 모바일 서비스 패킷이 동일한 값을 갖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MPEG 동기 바이트 제거는 데이터 랜더마이저(301)에서 랜더마이징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MPEG 동기 바이트 제거 과정은 생략되며, 수신 시스템에서 MPEG 동기 바이트를 부가할 때에 RS 프레임 복호기 대신 데이터 디랜더마이저에서 부가한다.
따라서 입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제거 가능한 고정된 한 바이트가 존재하지 않거나 입력된 패킷의 길이가 187 바이트가 아닌 경우에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187 바이트 단위로 나누고, 나누어진 187 바이트 단위로 하나 의 패킷을 구성한다.
이어, 도 5의 (c)와 같이 187바이트로 구성된 패킷을 N개 모아서 하나의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이때 하나의 RS 프레임의 구성은 187 * N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RS 프레임에 187 바이트의 패킷을 차례대로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렇게 생성된 RS 프레임을 제1 RS 프레임이라 하기도 한다. 즉, 제1 RS 프레임에는 순수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 포함되어 있으며, N 바이트로 된 로우가 187개 구성된 것과 같다.
그리고, 상기 RS 프레임 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나눈 후, RS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전송을 하게 되면, 송/수신간에 특정 시점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RS 프레임 상에서도 에러가 모여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 에러 정정 디코딩시에 RS 이레이저(erasure) 디코딩을 사용함으로써,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RS 프레임의 N개의 모든 컬럼(column)은 도 5의 (c)와 같이 187바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각 컬럼에 대해서 (Nc,Kc)-RS 부호화를 수행하여 Nc-Kc개의 패리티 바이트를 생성하고, 해당 컬럼의 맨 마지막 바이트 다음에 추가하여 Nc 바이트의 한 컬럼을 만들 수가 있다. 여기서 Nc는 Kc보다 큰 수이며, 일 실시예로 Nc 값은 235, Kc 값은 187로 설정한다.
그러면 각 컬럼에 대해 (235,187)-RS 부호화가 수행되어 48개의 패리티 바이트가 생성된다.
그리고 도 5의 (c)의 N개의 모든 컬럼에 대해서 도 5의 (d)와 같이 (235,187)-RS 부호화를 수행하면, 235 * N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RS 프레임을 만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RS 패리티가 부가된 RS 프레임을 제2 RS 프레임이라 하기도 한다. 즉, 제2 RS 프레임은 N 바이트로 된 로우가 235개 구성된 것과 같다.
도 5의 (c) 또는 (d)에서와 같이 RS 프레임의 각 로우(row)는 N 바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송/수신간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상기 RS 프레임에 에러가 포함될 수가 있다. 이렇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각 로우 단위로 에러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CRC 데이터(또는 CRC 코드 또는 CRC 체크섬이라고도 함)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상기 CRC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RS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CRC 부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CRC 부호화에 의해 생성된 CRC 코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서 에러에 의해서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CRC 부호화 이외에 다른 에러 검출 부호화 방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에러 정정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수신측에서의 전체적인 에러 정정 능력을 높일 수도 있다.
도 5의 (e)는 CRC 데이터로 2 바이트(즉, 16비트) CRC 체크섬(checksum)을 사용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서, 각 로우의 N 바이트에 대한 2바이트 CRC 체크섬을 생성한 후 N 바이트 후단에 부가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로우는 N+2 바이 트로 확장이 된다.
하기의 수학식 1은 N 바이트로 된 각 로우에 대해 2바이트 CRC 체크섬을 생성하는 다항식의 예를 보이고 있다.
g(x) = x16 + x12 + x5 + 1
상기 각 로우마다 2바이트 CRC 체크섬을 부가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예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RS 패리티 및 CRC 체크섬이 부가된 RS 프레임을 제3 RS 프레임이라 하기도 한다. 즉, 제3 RS 프레임은 N+2 바이트로 된 로우가 235개 구성된 것과 같다.
지금까지 설명한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 과정을 모두 거치게 되면, 187 * N 바이트의 RS 프레임은 235 * (N+2) 바이트의 RS 프레임으로 확장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e)와 같이 확장된 RS 프레임은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된다.
상기 블록 처리기(303)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다시 G/H(여기서 G<H 임) 부호율로 부호화하여 그룹 포맷터(304)로 출력한다.
즉, 상기 블록 처리기(303)는 바이트 단위로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를 비트로 구분하고, 구분된 G 비트를 H 비트로 부호화한 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일 예로 입력 데이터 1비트를 2비트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면 G=1, H=2가 되고, 입력 데이터 1비트를 4비트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면 G=1, H=4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를 1/2 부호율의 부호화(또는 1/2 부호화라 하기도 함)라 하고, 후자를 1/4 부호율의 부호화(또는 1/4 부호화라 하기도 함)라 한다.
여기서 1/4 부호화를 사용하는 경우는 1/2 부호화에 비해서 높은 부호율 때문에 높은 에러 정정 능력을 가질 수가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후단의 그룹 포맷터(304)에서 1/4 부호율로 부호화된 데이터는 수신 성능이 떨어질 수 있는 영역에 할당하고, 1/2 부호율로 부호화된 데이터는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영역에 할당한다고 가정하면, 그 성능의 차이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 처리기(303)는 전송 파라미터를 담고 있는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도 입력받을 수 있는데, 이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간주되어 처리된다.
한편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상기 블록 처리기(303)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형성되는 데이터 그룹 내 해당 영역에 삽입하고, 또한 데이터 디인터리빙과 관련하여 각종 위치 홀더나 기지 데이터(또는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도 상기 데이터 그룹 내 해당 영역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그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층화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고, 계층화된 각 영역의 특성에 따라 각 영역에 삽입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영역은 일 예로 데이터 그룹 내에서 수신 성능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데이터 그룹은 필드 동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디인터리빙 전의 데이터 구성에서 하나의 데이터 그룹을 A,B,C 영역(Region)으로 구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RS 부호화 및 블록 부호화되어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해당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도 6a는 데이터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들이 구분되어 나열된 형태이고, 도 6b는 데이터 인터리빙 전의 데이터들이 구분되어 나열된 형태를 보여준다. 즉, 도 6a와 같은 데이터 구조가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도 6a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데이터 그룹이 데이터 디인터리버(305)로 입력된다.
도 6a는 데이터 디인터리빙 전의 데이터 구성에서 데이터 그룹을 크게 세 개의 영역(region) 예를 들어, A 영역(Region A), B 영역(Region B), C 영역(Region C)으로 구분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내지 C 영역을 각각 복수개의 하위 영역으로 다시 구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6a는 상기 A 영역이 5개의 하위 영역(A1~A5)으로 구분되고, B 영역이 2개의 하위 영역(B1,B2)으로 구분되며, C 영역이 3개의 하위 영역(C1~C3)으로 구분되 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A 내지 C 영역은 데이터 그룹 내에서 비슷한 수신 성능을 갖는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때 각 영역의 특성에 따라 삽입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 정도를 기준으로 A 내지 C 영역을 나누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그룹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각각의 용도를 달리하기 위해서이다. 즉,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이 없거나 적은 영역은 그렇지 않은 영역보다 강인한 수신 성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지 데이터를 데이터 그룹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연속적으로 긴 기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삽입하고자 할 때,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이 없는 영역(예를 들어, A 영역)에는 일정 길이의 기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이 있는 영역(예를 들어, B,C 영역)에는 서비스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으로 기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고 연속적으로 긴 기지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도 곤란하다.
다음은 도 6a를 참조하여 데이터 그룹 내에서 A(A1~A5), B(B1,B2), C(C1~C3) 영역이 할당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6a의 데이터 그룹의 크기, 데이터 그룹 내 계층화된 영역의 수와 각 영역의 크기, 계층화된 각 영역에 삽입 가능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 수 등은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이다.
이때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필드 동기가 삽입될 위치를 포함하여 데이터 그룹을 형성함으로써, 아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데이터 그룹을 구성할 수가 있다.
즉, 상기 A 영역은 상기 데이터 그룹 내 긴 기지 데이터 열(sequence)이 주기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영역이면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섞이지 않는 영역을 포함한다(예, A2~A5). 또한 상기 A 영역은 상기 데이터 그룹에 삽입될 필드 동기 영역과 첫 기지 데이터 열이 삽입될 영역 사이에 있는 영역(예, A1)을 포함한다. 상기 필드 동기 영역은 ATSC에 존재하는 한 세그먼트 길이(즉, 832 심볼)를 갖는다.
일 실시예로 도 6a에서 A1 영역에는 2428 바이트, A2 영역에는 2580 바이트, A3 영역에는 2772 바이트, A4 영역에는 2472 바이트, A5 영역에는 2772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서 트렐리스 초기화나 기지 데이터, MPEG 헤더, RS 패리티 등은 제외된다.
상기와 같이 앞뒤로 기지 데이터 열을 갖는 A 영역의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기지 데이터나 필드 동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등화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강인한 등화 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 B 영역은 상기 데이터 그룹 내 필드 동기 영역의 앞쪽 8 세그먼트 이내에 위치하는 영역(시간적으로 A1 영역의 앞에 위치함)(예, B1 영역)과, 상기 데이터 그룹에 삽입되는 가장 마지막 기지 데이터 열 다음 8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는 영역(시간적으로 A 영역의 뒤에 위치함)(예, B2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 기 B1 영역에는 930 바이트, B2 영역에는 1350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서 트렐리스 초기화나 기지 데이터, MPEG 헤더, RS 패리티 등은 제외된다.
상기 B 영역의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필드 동기 구간에서 얻어진 채널 정보를 사용하여 등화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마지막 기지 데이터 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채널 정보를 사용하여 등화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채널의 변화에 대응할 수가 있다.
상기 C 영역은 필드 동기 영역의 앞쪽 9번째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그 앞쪽으로 30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는 영역(시간적으로 A 영역의 앞에 위치함)(예, C1 영역), 상기 데이터 그룹 내 마지막 기지 데이터 열 다음 9번째 세그먼트를 포함한 12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는 영역(시간적으로 A 영역의 뒤에 위치함)(예, C2 영역), 및 상기 C2 영역 다음에 오는 32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는 영역(예, C3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C1 영역에는 1272 바이트, C22 영역에는 1560 바이트, C3 영역에는 1312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서 트렐리스 초기화나 기지 데이터, MPEG 헤더, RS 패리티 등은 제외된다.
이때 상기 A 영역보다 시간적으로 앞에 위치한 C 영역(예, C1 영역)은 제일 가까운 기지 데이터인 필드 동기에서도 꽤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수신 시스템에서 채널 등화시에 필드 동기로부터 얻은 채널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이 전 데이터 그룹의 가장 최근의 채널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A 영역보다 시간적으로 뒤에 위치한 C 영역(예, C2,C3 영역)은 수신 시스템에서 채널 등화시에 상기 마지막 기지 데이터 열에서 얻은 채널 정보를 사용하여 등화를 하더라도 채널이 빠르게 변하는 경우에는 등화가 완벽하게 되지 않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C 영역은 B 영역보다 등화 성능이 떨어질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그룹을 다수개의 계층화된 영역으로 할당한다고 가정하면, 전술한 블록 처리기(303)에서는 계층화된 영역의 특성에 따라 각 영역에 삽입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다른 부호율로 부호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 영역 내 A1~A5 영역에 삽입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블록 처리기(303)에서 1/2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렇게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상기 A1~A5 영역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B 영역 내 B1,B2 영역에 삽입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블록 처리기(303)에서 1/2 부호율보다 에러 정정 능력이 높은 1/4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렇게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상기 B1,B2 영역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C 영역 내 C1~C3 영역에 삽입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블록 처리기(303)에서 1/4 부호율이나 또는 1/4 부호율보다 더 강력한 에러 정정 능력을 갖는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렇게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상기 C1~C3 영역에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고, 추후의 사용을 위해서 미사용(reserve) 영역으로 남겨둘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는 별도로 전체적인 송신 정보를 알려주는 시그널링(signaling)과 같은 부가 정보 데이터도 상기 데이터 그룹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블록 처리기(303)에서 출력된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 외에도 도 6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후단의 데이터 디인터리빙과 관련하여 MPEG 헤더 위치 홀더, 비체계적 RS 패리티 위치 홀더,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다. 여기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하는 이유는 도 6a와 같이 데이터 디인터리버의 입력을 기준으로 B,C 영역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사이사이에 섞이게 되기 때문이다. 일 예로 상기 MPEG 헤더를 위한 위치 홀더는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빙 후의 출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볼 때, 각 패킷의 제일 앞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기 정해진 방법에 의해서 발생된 기지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기지 데이터를 추후에 삽입하기 위한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다. 더불어서 트렐리스 부호화부(Trellis Encoding Module)(256)의 초기화를 위한 위치 홀더를 해당 영역에 삽입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는 상기 기지 데이터 열의 앞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데이터 그룹에 삽입 가능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사이즈는 해당 데이터 그룹에 삽입되는 트렐리스 초기화 위치 홀더나 기지 데이터(또는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 MPEG 헤더 위치 홀더, RS 패리티 위치 홀더등의 사이즈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그룹 포맷터(304)의 출력은 데이터 인터리버(305)로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305)는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그룹 내 데이터 및 위치 홀더를 데이터 인터리빙의 역과정으로 디인터리빙하여 패킷 포맷터(306)로 출력한다. 즉, 도 6a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데이터 그룹 내 데이터 및 위치 홀더가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305)에서 디인터리빙되면 패킷 포맷터(306)로 출력되는 데이터 그룹은 도 6b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디인터리빙되어 입력된 데이터 중에서 디인터리빙을 위해 할당되었던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와 RS 패리티 위치 홀더를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들을 모은 후, 4바이트의 MPEG 헤더 위치 홀더에 널 패킷 PID(또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서 사용하지 않는 PID)를 갖는 MPEG 헤더를 대체하여 삽입한다.
또한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 경우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에 실제 기지 데이터를 삽입할 수도 있고, 또는 나중에 대체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조정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상기와 같이 패킷 포맷팅된 데이터 그룹 내 데이터들을 188바이트 단위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즉, MPEG TS 패킷)으로 구분하여 패킷 다중화기(240)에 제공한다.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는 상기 전처리기(230)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기 정의된 다중화 방법에 따라 다중화하여 후처리기(Post-Processor)(250)의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로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 방법은 시스템 설계의 여러 변수들에 의해서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의 다중화 방법 중 하나로서, 시간축 상으로 버스트(burst) 구간을 두고, 버스트 구간 내 버스트 온 구간에서는 다수개의 데이터 그룹을 전송하고 버스트 오프 구간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트 구간은 현재 버스트의 시작에서 다음 버스트의 시작까지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버스트 온 구간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는 상기 전송 파라미터 예를 들어, 버스트 사이즈나 버스트 주기 등의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의 버스트에 포함되는 데이터 그룹의 개수, 주기 등을 알 수 있다.
이때 버스트 온 구간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및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혼재할 수 있으며, 버스트 오프 구간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 존재한다. 따라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은 버스트 온 구간과 버스트 오프 구간에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버스트 온 구간 내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과 버스트 오프 구간에 포함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 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버스트 구조로 전송하게 되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수신 시스템에서는 버스트 구간에서만 전원을 온시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외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 전송되는 구간에서는 전원을 오프시켜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가 있다.
RS 프레임 구성 및 패킷 다중화에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
다음은 전처리기(230)와 패킷 다중화기(24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구성되는 RS 프레임의 한 로우의 길이인 N 값을 538로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538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을 입력받아 187 * 538 바이트 크기의 제1 RS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235,187)-RS 부호화를 거쳐 235 * 538 바이트 크기의 제2 RS 프레임을 형성하고, 다시 16-비트 CRC 체크섬 생성 과정을 거쳐서 235 * 540 바이트 크기의 제3 RS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6a에서와 같이 데이터 그룹 내 다수개의 영역들 중에서 1/2 부호화를 거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하게 될 A 영역 내 A1-A5 영역의 바이트 수를 합치면 13024 바이트(=2428+2580+2772+2472+2772 바이트)이다. 이 경우 1/2 부호화 전의 바이트 수는 6512(=13024/2) 바이트이다.
그리고 1/4 부호화를 거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하게 될 B 영역 내 B1,B2 영역의 바이트 수를 합치면 2280(=930+1350) 바이트가 된다. 이 경우 1/4 부 호화 전의 바이트 수는 570(=2280/4) 바이트이다.
정리하면, 상기 블록 처리기(303)로 7082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중 6512 바이트는 1/2 부호화를 통해서 13024 바이트로 확장되고, 570 바이트는 1/4 부호화를 통해서 2280 바이트로 확장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13024 바이트로 확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A 영역 내 A1~A5 영역에 삽입하고, 2280 바이트로 확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B 영역 내 B1,B2 영역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되는 7082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출력과 시그널링 정보로 구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7082 바이트 중 7050 바이트는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출력에서 받아들이고, 나머지 32 바이트는 시그널링 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한편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를 거친 한 개의 RS 프레임은 235 * 540 바이트 즉, 126900 바이트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것을 시간축에 대해 7050 바이트 단위로 나누면, 18개의 7050 바이트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출력되는 7050 바이트 단위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32 바이트 단위의 부가 정보 데이터와 합쳐진 후 블록 처리기(303)에서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되어 그룹 포맷터(304)로 출력된다.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1/2 부호화된 데이터는 A 영역에 삽입하고, 1/4 부호화된 데이터는 B 영역에 삽입한다.
다음은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RS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N 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즉,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된 최종 RS 프레임(즉, 제3 RS 프레임) 크기인 235 * (N+2) 바이트는 정수개의 그룹에 할당이 되어야 한다. 이때 단일 데이터 그룹에는 부호화 전을 기준으로 7050 바이트가 할당이 되기 때문에, 235 * (N+2)바이트를 7050(=235*30)으로 나누어 떨어지도록 하면,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출력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데이터 그룹에 할당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N+2가 30의 배수가 되도록 N 값을 결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N 값으로 538을 결정하고, N+2(=540)를 30으로 나누면 18이 된다. 이것은 하나의 RS 프레임 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 과정을 거쳐 18개의 데이터 그룹에 나누어 할당됨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S 프레임의 분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즉, 235 * (N+2) 크기를 갖는 RS 프레임을 30*235 바이트 블록으로 나눈다. 그리고 나누어진 각 블록은 하나의 그룹에 매핑된다. 즉, 30*235 바이트 크기를 갖는 하나의 블록의 데이터는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 과정을 거쳐 하나의 데이터 그룹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그룹 포맷터(304)에서 계층화된 각 영역에 해당 데이터 및 위치 홀더가 삽입된 데이터 그룹은 데이터 디인터리버(305)와 패킷 포맷터(306)를 거쳐 패킷 다중화기(240)로 입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패킷 다중화기(240)의 동작 예를 보인 것이다. 즉,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섞여 있는 데이터 그룹이 포함된 필드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 있는 필드를 다중화하여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로 출력한다.
이때, 235 * 540 바이트 크기를 갖는 한 개의 RS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18개의 데이터 그룹을 전송해야 한다. 여기서 각 데이터 그룹은 도 6a와 같이 필드 동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18개의 데이터 그룹은 18 필드 구간 동안 전송되며, 상기 18개의 데이터 그룹이 전송되는 구간을 버스트 온 구간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버스트 온 구간 내 각 필드에서는 필드 동기를 포함하는 하나의 데이터 그룹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출력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버스트 온 구간 내 각 필드에서는 118 세그먼트 크기의 데이터 그룹과 194 세그먼트 크기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출력된다.
도 8을 보면, 버스트(burst) 온 구간 동안 즉, 18 필드 구간 동안은 18개의 데이터 그룹이 포함된 필드를 전송하고, 그 다음 버스트 오프 구간 즉, 12 필드 구간 동안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으로 구성된 필드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다시 버스트 온 구간에서는 18개의 데이터 그룹이 포함된 18 필드를 전송하고, 다음 버스트 오프 구간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으로 구성된 12 필드를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첫번째 18개의 데이터 그룹을 포함한 버스트 온 구간과 두 번째 18개의 데이터 그룹을 포함한 버스트 온 구간에서 같은 종류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첫 번째 버스트 온 구간과 두 번째 버스트 온 구간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고, 수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만 수신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원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는 해당 버스트 온 구간에서만 전원을 온시켜 18개의 필드를 수신하고, 나머지 42개의 필드 구간 동안에는 전원을 오프시켜 수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버스트 온 구간에서 수신된 18개의 데이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RS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디코딩이 용이해지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버스트 온 구간에 포함되는 데이터 그룹의 수는 RS 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RS 프레임의 크기는 N 값에 따라 달라진다. 즉, N 값을 조정하여 버스트 내 데이터 그룹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235,187)-RS 부호화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N 값을 조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데이터 그룹 내 삽입 가능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크기는 해당 데이터 그룹에 삽입되는 트렐리스 초기화나 기지 데이터, MPEG 헤더, RS 패리티 등의 크기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킷 다중화 과정에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 사이사이에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그룹이 다중화되기 때문에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시간적인 위치가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 시스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스템 목표 디코더(즉, MPEG 디코더)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복호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은 널 데이터 패킷으로 인식하여 버리게 된다.
따라서 수신 시스템의 시스템 목표 디코더가 데이터 그룹과 다중화된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경우 패킷 지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스템 목표 디코더에서는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여러 단계의 버퍼가 존재하고 그 사이즈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에서 발생시키는 패킷 지터는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스템 목표 디코더가 가지는,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버퍼의 사이즈는 작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킷 지터로 인해 수신 시스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버퍼,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버퍼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나 언더플로우(underflow)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는 상기 시스템 목표 디코더의 버퍼에서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상대적인 위치를 재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버퍼의 동작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재배치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는 메인 서비스의 오디오 데이터 패킷이 최대한 균일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재배치한다.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 메인 서비스의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재배치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는 후단의 패킷 다중 화기(240)의 다중화 정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첫번째, 버스트 온 구간 내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 예를 들어 두개의 데이터 그룹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이 한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의 제일 앞에 배치하고, 2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일 앞과 제일 뒤에 배치하며, 3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일 앞과 제일 뒤에 배치하고 나머지를 그 사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두번째, 버스트 온 구간 시작 전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 즉, 버스트 오프 구간에서는 제일 마지막 위치에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배치한다.
세번째, 버스트 온 구간이 끝난 후 버스트 오프 구간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일 앞에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배치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가 아닌 패킷들은 입력되는 순서대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제외한 공간에 배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재조정하게 되면 그에 따른 PCR(Program Clock Reference) 값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PCR 값은 MPEG 디코더의 시간을 맞주기 위한 시간 기준값으로 TS 패킷의 특정 영역에 삽입되어 전송되어진다.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 PCR 값 수정의 기능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의 출력은 패킷 다중화기(240)로 입력된다.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전처리기(230)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기 설정된 다중화 규칙에 따라 버스트 구조로 다중화하여 후 처리기(250)의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는 입력된 데이터가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면 기존의 랜더마이저와 동일하게 랜더마이징을 수행한다. 즉,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 내 동기 바이트를 버리고 나머지 187 바이트를 내부에서 발생시킨 의사랜덤(pseudo random) 바이트를 사용하여 랜덤하게 만든 후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로 출력한다.
그러나 입력된 데이터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면, 패킷의 일부만을 랜더마이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처리기(230)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미리 랜더마이징을 수행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4바이트의 MPEG 헤더 중 동기 바이트를 버리고 나머지 3바이트에 대해서만 랜더마이징을 수행하여 상기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로 출력한다. 즉, 상기 MPEG 헤더를 제외한 나머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서는 랜더마이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기지 데이터(또는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와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에 대해서는 랜더마이징을 수행할 수도 있고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는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251)에서 랜더마이징되는 데이터 또는 바이패스되는 데이터에 대해 RS 부호화를 수행하여 20바이트의 RS 패리티를 부가한 후 데이터 인터리버(253)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는 입력된 데이터가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인 경우 기존 방송 시스템과 동일하게 체계적 RS 부호화를 수행하여 20바이트의 RS 패리티를 187바이트의 데이터 뒤에 부가한다. 그리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면 비체계적 RS 부호화를 수행하고, 이때 얻은 20바이트의 RS 패리티를 패킷 내 미리 정해진 패리티 바이트 위치에 삽입한다.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는 바이트 단위의 길쌈(convolutional) 인터리버이다.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의 출력은 패리티 치환기(254)와 비체계적 RS 부호기(255)로 입력된다.
한편 상기 패리티 치환기(254)의 후단에 위치한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출력 데이터를 송/수신측에서 약속에 의해 정의한 기지 데이터로 하기 위해 먼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내의 메모리의 초기화가 필요하다. 즉 입력되는 기지 데이터 열이 트렐리스 부호화되기 전에 먼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메모리를 초기화시켜야 한다.
이때 입력되는 기지 데이터 열의 시작 부분은 실제 기지 데이터가 아니라 전처리기(230) 내 그룹 포맷터에서 삽입된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이다. 따라서 입력되는 기지 데이터 열이 트렐리스 부호화되기 직전에 초기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트렐리스 메모리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와 치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트렐리스 메모리 초기화 데이터는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의 메모리 상태에 따라 그 값이 결정되어 생성된다. 또한 치환된 초기화 데이터에 의한 영향으로 RS 패리티를 다시 계산하여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에서 출력되는 RS 패리티와 치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비체계적 RS 부호기(255)에서는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로부터 초기화 데이터로 치환될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가 포함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고,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부터 초기화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 중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를 초기화 데이터로 치환하고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부가된 RS 패리티 데이터를 제거한 후 비체계적인 RS 부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비체계적 RS 부호화하여 얻은 RS 패리티를 상기 패리티 치환기(25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패리티 치환기(255)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 내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의 출력을 선택하고, RS 패리티는 비체계적 RS 부호기(255)의 출력을 선택하여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패리티 치환기(254)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거나 또는 치환될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가 포함되지 않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RS 패리티를 선택하여 그대로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출력한다.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는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를 심볼 단위로 바꾸고 12-way 인터리빙하여 트렐리스 부호화한 후 동기 다중화기(260)로 출력한다.
상기 동기 다중화기(260)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출력에 필드 동기와 세그먼트 동기를 삽입하여 송신부(270)의 파일롯 삽입기(271)로 출력한다.
상기 파일롯 삽입기(271)에서 파일롯이 삽입된 데이터는 변조기(272)에서 기 설정된 변조 방식 예를 들어, VSB 방식으로 변조된 후 RF 업 컨버터(273)를 통해 각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블록 처리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처리기의 상세 블록도로서, 바이트-비트 변환기(401), 심볼 부호기(402), 심볼 인터리버(403), 및 심볼-바이트 변환기(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트-비트 변환기(401)는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112)에서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를 비트로 구분하여 심볼 부호기(402)로 출력한다.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401)는 전송 파라미터 등을 담고있는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 시그널링 정보 바이트들도 비트로 구분하여 심볼 부호기(402)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담고 있는 시그널링 정보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데이터 랜더마이저(301)와 RS 프레임 부호기(302)를 거쳐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301)와 RS 프레임 부호기(302)를 거치지 않고 바로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심볼 부호기(402)는 입력되는 데이터 G비트를 H비트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G/H 부호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심볼 부호기(402)는 1/2 부호율의 부호화 (또는 1/2 부호화라 하기도 함) 또는 1/4 부호율의 부호화(또는 1/4 부호화라 하기도 함)를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심볼 부호기(402)는 입력받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과 시그널링 정보에 대해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간주되어 처리된다.
상기 심볼 부호기(402)에서는 1/2 부호화인 경우에는 1비트를 입력받아 2비트(즉, 1개의 심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고, 1/4 부호화인 경우에는 1비트를 입력받아 4비트(즉, 2개의 심볼)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도 10은 상기 심볼 부호기(402)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2개의 지연기(501,503)와 3개의 가산기(502,504,505)로 구성되어, 입력 데이터 비트 U를 부호화하여 4비트(u0~u3)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비트 U는 최상위 비트 u0로 그대로 출력됨과 동시에 부호화되어 하위 비트 u1u2u3로 출력된다.
즉, 입력 데이터 비트 U는 그대로 최상위 비트 u0로 출력됨과 동시에 제1,제3 가산기(502,505)로 출력된다. 상기 제1 가산기(502)는 입력 데이터 비트 U와 제1 지연기(501)의 출력을 더하여 제2 지연기(503)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지연기(502)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 클럭) 지연된 데이터는 하위 비트 u1로 출력됨과 동시에 제1 지연기(501)로 피드백된다. 상기 제1 지연기(501)는 상기 제2 지연기(502)에서 피드백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1 클럭) 지연시켜 제1 가산기(502)와 제 2 가산기(504)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가산기(504)는 제1,제2 지연기(501,503)의 출력을 더하여 하위 비트 u2로 출력한다. 상기 제3 가산기(505)는 입력 데이터 비트 U와 제2 가산기(504)의 출력을 더하여 하위 비트 u3으로 출력한 다.
이때 상기 심볼 부호기(402)는 입력 데이터 비트 U가 1/2 부호율로 부호화될 데이터라면 4개의 출력 비트 u0u1u2u3 중 u0u1 비트로 한 심볼을 구성하여 출력하면 된다. 또한 1/4 부호율로 부호화될 데이터라면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을 출력하고, 이어 u2u3 비트로 된 또 다른 심볼을 출력하면 된다. 다른 실시예로, 1/4 부호율로 부호화될 데이터라면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을 두 번 반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심볼 부호기(402)에서는 4개의 출력 비트 u0u1u2u3을 모두 출력하고, 후단의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1/2 부호율인 경우에는 4개의 출력 비트 u0u1u2u3 중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만을 선택하고, 1/4 부호율인 경우에는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과 u2u3 비트로 구성된 또 다른 심볼을 모두 선택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1/4 부호율인 경우에는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을 반복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심볼 부호기(402)의 출력은 심볼 인터리버(403)로 입력되고,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는 상기 심볼 부호기(402)의 출력 데이터에 대해 심볼 단위로 블록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는 구조적으로 어떤 순서 재배열을 하는 인터리버이면 어느 인터리버라도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순서를 재배열하려는 심볼의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가변 길이 심볼 인터리버를 사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심볼 인터리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순서를 재배열하려는 심볼의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가변 길이 심볼 인터리버이다.
특히 도 11은 K=6, L=8인 경우의 심볼 인터리버의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K는 심볼 부호기(402)에서 심볼 인터리빙을 위해 출력되는 심볼들의 개수이고, L은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실제로 인터리빙이 되는 심볼들의 개수이다.
본 발명의 심볼 인터리버(403)는 L = 2n(여기서 n은 자연수)이면서 L K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만일 K와 L의 값이 차이가 나게 되면, 차이나는 개수(=L-K)만큼 널(null 또는 dummy) 심볼이 추가되어 인터리빙 패턴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K는 인터리빙을 위해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로 입력되는 실제 심볼들의 블록 크기가 되고, L은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생성된 인터리빙 패턴에 의해 인터리빙이 이루어지는 인터리빙 단위가 된다.
도 11은 그 예를 보인 것으로서, 인터리빙하기 위해 심볼 부호기(402)에서 출력되는 심볼의 수(=K)는 6 심볼이고, 실제 인터리빙 단위(L)는 8 심볼이 된다. 따라서 도 11의 (a)와 같이 2 심볼이 널 심볼로 추가되어 인터리빙 패턴이 만들어진다.
하기의 수학식 2는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순서를 재배열하고자 하는 심볼 K개를 순서대로 입력받은 후, L = 2n이면서 L ≥ K 조건을 만족하는 L을 찾아 인터리빙 패턴을 만들어 재배열하는 과정을 수학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모든 위치 0 ≤ i ≤ L-1 에 대해서,
P(i) = S × i × (i+1) / 2 mod L
여기서 L ≥ K , L = 2n이고, n, S는 자연수이다. 도 11에서 S는 89, L은 8로 가정하고, 구현한 인터리빙 패턴 및 인터리빙 예이다.
상기 수학식 2, 도 11의 (b)와 같이 L 심볼 단위로 K개의 입력 심볼과 (L-K)개의 널 심볼의 순서를 재배열한 후 하기의 수학식 3, 도 11의 (c)와 같이 널 심볼의 위치를 제거하고 다시 정렬하며, 정렬된 순서대로 인터리빙된 심볼을 심볼-바이트 변환기(404)로 출력된다.
if P(i) > K-1, then P(i) 위치는 제거하고 정렬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404)는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순서 재배열이 완료되어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심볼들을 바이트로 변환하여 그룹 포맷터(304)로 출력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처리기의 상세 블록도로서, 인터리빙부(Interleaving nit)(610), 및 블록 포맷터(block formatter)(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리빙부(610)는 바이트-심볼 변환기(converter)(611), 심볼-바이트 변환기(612), 심볼 인터리버(613), 및 심볼-바이트 변환기(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볼 인터리버는 블록 인터리버라 하기도 한다.
상기 인터리빙부(610)의 바이트- 심볼 변환기(611)는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바이트 단위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X)를 심볼 단위로 변환하여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와 심볼 인터리버(613)로 출력한다. 즉, 상기 바이트- 심볼 변환기(611)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8비트)의 2비트를 1개의 심볼로 하여 출력한다. 이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입력이 2비트로 된 심볼 단위이기 때문이다. 상기 블록 처리기(303)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와의 관계는 뒤에서 설명한다.
이때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611)는 전송 파라미터 등을 담고 있는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 시그널링 정보 바이트들도 심볼 단위로 구분하여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와 심볼 인터리버(613)로 출력한다.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는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611)에서 출력되는 4개의 심볼을 모아 바이트를 구성한 후 블록 포맷터(62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와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611)는 서로 역의 과정이기 때문에 두 블록의 결과는 상쇄되어 도 12b에서와 같이 입력 데이터 X가 그대로 블록 포맷터(620)로 바이패스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12b의 인터리빙부(610)는 도 12a의 인터리빙부(610)와 등가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심볼 인터리버(613)는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61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심볼 단위로 블록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심볼-바이트 변환기(614)로 출력한다.
상기 심볼 인터리버(613)는 구조적으로 순서 재배열을 하는 인터리버이면 어떠한 인터리버라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순서를 재배열하려는 심볼의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가변 길이 인터리버를 사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2a, 도 12b에서도 도 11의 심볼 인터리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는 상기 심볼 인터리버(613)에서 순서 재배열이 완료되어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심볼들을 모아 바이트를 구성한 후 블록 포맷터(62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는 상기 심볼 인터리버(613)에서 출력되는 4개의 심볼을 모아 바이트를 구성한다.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도 13과 같이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출력을 블록 내에서 일정 기준에 따라 배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와 관계되어 동작한다.
즉,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입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기지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MPEG 헤더 데이터 등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들의 위치(또는 순서)를 고려하여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출력 순서를 결정한다.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는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12개의 트렐리스 부호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상세 블록도로서, 12개의 동일한 트렐리스 부호기가 노이즈 분산을 위해 인터리버로 결합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각 트렐리스 부호기는 프리코더(Pre 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a는 상기 블록 처리기(303)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가 연접(concatenation)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 송신 시스템에서는 도 3과 같이 블록 처리기(303)를 포함하는 전처리기(230)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사이에 다수의 블록이 존재하지만, 수신 시스템에서는 두 블록이 연접된 것으로 간주하여 복호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입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기지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MPEG 헤더 데이터 등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들은 상기 블록 처리기(303)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사이에 존재하는 블록들에서 부가되는 데이터들이다. 도 15b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블록 처리기(303)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사이에 데이터 처리부(650)가 배치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인터리빙부(610)는 1/2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 도 12a(또는 도 12b)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650)는 도 3을 예로 들 경우, 그룹 포맷터(304), 데이터 인터리버(305), 패킷 포맷터(306), 패킷 다중화기(240), 후 처리기(250)의 데이터 랜더마이저(251),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 데이터 인터리버(253), 패리티 치환기(254), 비체계적 RS 부호기(2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심볼화하여 기 정의 된 방식에 따라 각각의 트렐리스 부호기로 나누어 보낸다. 이때, 한 바이트는 2비트로 구성된 4개의 심볼로 변환되고, 하나의 바이트로부터 만들어진 심볼들은 모두 같은 트렐리스 부호기로 전송된다. 그러면 각 트렐리스 부호기는 입력 심볼 중 상위 비트는 프리코딩시켜 최상위 출력 비트 C2로 출력하고, 하위 비트는 트렐리스 부호화하여 두 개의 출력 비트 C1,C0으로 출력한다.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의 출력 바이트가 서로 다른 트렐리스 부호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 포맷터(620)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를 예로 들 경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의 출력 바이트와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의 출력 바이트는 상기 블록 포맷터(620)의 제어에 의해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서로 다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의 출력 바이트를 X라 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의 출력 바이트를 Y라 하기로 한다. 도 13의 (a)에서 각 숫자(0~11)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1번째부터 12번째까지의 트렐리스 부호기를 각각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의 출력 바이트들이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0번부터 5번까지의 트렐리스 부호기(0~5)로 입력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의 출력 바이트들이 6번부터 11번까지의 트렐리스 부호기(6~11)로 입력되도록,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출력 순서를 배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의 출력 바이트들이 할당되는 트렐리스 부호기들 및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의 출력 바이트들이 할당되는 트렐리스 부호기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이다.
또한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입력이 12바이트로 구성된 블록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에서는 X0~X11까지 12바이트가 출력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에서도 Y0~Y11까지 12바이트가 출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13의 (b)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입력되는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뿐만 아니라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및 RS 패리티 데이터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입력되어 각 트렐리스 부호기로 분배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상기 블록 처리기(303)로부터 출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그룹 포맷터(304)를 거치면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도 13의 (a)와 같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 그리고 RS 패리티 데이터가 섞인 형태로 출력된다고 할 때, 각 바이트들은 데이터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 그룹 내 위치에 따라 12개의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된다.
여기에 앞서 언급한 원칙에 따라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출력 바이트들(X,Y)을 해당 트렐리스 부호기에 할당하면, 각 트렐리스 부호기의 입력은 도 13의 (b)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13의 (b)를 보면,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에서 출력되는 6개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X0~X5)는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1번째부터 6번째 트렐리스 부호기(0~5)에 순차적으로 할당(또는 분배)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에서 출력되는 2개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Y0,Y1)는 7번째,8번째 트렐리스 부호기(6,7)에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그리고 5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 중 4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가 9번째부터 12번째 트렐리스 부호기(8~11)에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다음 1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가 다시 첫 번째 트렐리스 부호기(0)에 할당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도 13의 (b)와 같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메인 서비스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등이 각 트렐리스 부호기에 할당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입력이 12바이트로 구성된 블록이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에서는 X0~X11까지 12바이트가 출력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에서도 Y0~Y11까지 12바이트가 출력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도 13의 (c)와 같이 X0~X5,Y0,Y1,X6~X10,Y2~Y7,X11,Y8~Y11 순으로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출력을 배열하여 출력한다.
즉, 각 데이터 바이트들이 전송 프레임 내의 어느 위치에 삽입되는가에 따라 각각 어떠한 트렐리스 부호기에서 부호화되는지가 결정된다. 이때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뿐만 아니라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MPEG 헤더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등도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에 입력되므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기 위해서 블록 포맷터(620)는 데이터 인터리빙 이후의 데이터 그룹 포맷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1/N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는 블록 처리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병렬로 구성된 (N-1)개의 심볼 인터리버(741~74N-1)를 포함한다. 즉, 1/N 부호율을 갖는 블록 처리기는 원래의 입력 데이터가 그대로 블록 포맷터(730)로 전달되는 가지(branch or path)를 포함하여 총 N개의 가지를 갖는다. 그리고 각 가지의 심볼 인터리버(741~74N-1)는 서로 다른 형태의 심볼 인터리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1)개의 심볼 인터리버(741~74N-1)의 출력단에는 대응되는 (N-1)개의 심볼-바이트 변환기(751~75N-1)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1)개의 심볼-바이트 변환기(751~75N-1)의 출력도 블록 포맷터(730)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 N은 12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만일 N이 12라면 상기 블록 포맷터(730)는 12번째 심볼-바이트 변환기(75N-1)의 출력 바이트는 12번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되도록 출력 데이터를 배열할 수 있다. 만일 N이 3이라면 상기 블록 포맷터(730)는 심볼-바이트 변환기(720)의 출력 바이트들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첫 번째부터 4번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되고, 심볼-바이트 변환기(751)의 출력 바이트들은 5번째부터 8번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되며, 심볼-바이트 변환기(752)의 출력 바이트들은 9번째부터 12번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의 출력 데이터 순서는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섞이게 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외의 데이터들의 데이터 그룹 내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블록 처리기의 상세 블록도를 보인 것 으로서, 블록 포맷터를 제거하고 블록 포맷터의 역할을 그룹 포맷터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7의 블록 처리기는 바이트-심볼 변환기(810), 심볼-바이트 변환기(820,840), 및 심볼 인터리버(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820,840)의 출력은 그룹 포맷터(85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블록 처리기는 심볼 인터리버와 심볼-바이트 변환기를 더 추가하여 원하는 부호율을 얻을 수 있다. 만일 1/N 부호율로 부호화를 원하면 원래의 입력 데이터가 그대로 그룹 포맷터(850)로 전달되는 가지(branch or path)를 포함하여 총 N개의 가지와, N-1개의 가지에 병렬로 구성되는 (N-1)개의 심볼 인터리버, 심볼-바이트 변환기를 구비하면 된다. 이때 상기 그룹 포맷터(850)는 MPEG 헤더, 비체계적 RS 패리티,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위치를 확보하는 위치 홀더를 삽입하는 동시에 블록 처리기의 각 가지로부터 출력되는 바이트들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트렐리스 부호기의 개수, 심볼-바이트 변환기의 개수, 심볼 인터리버의 개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각 트렐리스 부호기로 할당되는 바이트 종류 및 위치는 데이터 그룹 포맷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블록 처리기(303)에서 1/N 부호율로 부호화되어 출력되는 모바 일 서비스 데이터는 그룹 포맷터(304)로 입력된다. 여기서는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블록 포맷터에서 출력 데이터 순서가 데이터 그룹 내 바이트 위치에 따라 배열되어 출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시그널링 정보 처리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200)에서는 전송 파라미터를 여러 가지 방법, 및 위치에서 삽입하여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송신기에서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파라미터에 대해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데이터 그룹 정보, 데이터 그룹 내 영역 정보, 수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RS 프레임의 개수(Super frame size :SFS), RS 프레임에서 한 개 컬럼당 RS 패리티 개수(P), RS 프레임의 로우 방향으로 에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추가되는 체크섬의 사용유무, 사용되는 경우 그 종류와 크기(현재는 CRC로 2바이트 추가), 한 개의 RS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 그룹의 개수- RS 프레임은 한 개의 버스트 구간에 전송되므로 한 버스트내의 데이터 그룹 개수(Burst size : BS)와 동일하다 - 그리고 터보 코드 모드, RS 코드 모드 등이 있다. 또한 버스트 수신시 필요한 전송 파라미터로는 버스트 주기(Burst Period :BP) - 한 버스트 주기는 한 버스트의 시작부터 다음 버스트의 시작까지를 필드 개수로 카운트한 값이다.- 그리고 현재 전송되는 RS 프레임이 한 개의 수퍼 프레임 내에서 차지하는 순서(Permuted Frame Index : PFI)나 한 개의 RS 프레임(버스트) 내에서 현재 전송되고 있는 그룹의 순서(Group Index :GI), 버스트 사이즈 등이 있다. 버스트 운용방법에 따라서는 다음 버스트 시작까지 남아있는 필드 개수(Time to Next Burst :TNB)가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전송 파라미터로서 전송함에 의해, 수신 시스템에 전송되는 각 데이터 그룹마다 다음 버스트 시작까지의 상대적인 거리(필드 개수)를 알려줄 수도 있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의 추가 및 삭제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제1 실시예로서, 전송 파라미터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그룹의 일정 영역을 할당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일단 수신 신호에 대해 동기와 등화가 이루어지고 심볼 단위의 복호가 이루어지고 난 후, 패킷 디포맷터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전송 파라미터를 분리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그룹 포맷터(304)에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전송 파라미터를 다른 데이터와 다중화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 데이터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다중화할 때, 기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 있으며 또는 기지 데이터와 혼합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그룹 포맷터(304) 또는 패킷 포맷터(306)에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로서,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프레임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 내에 미사용 영역의 일부를 할당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신호에 대한 심볼 단위의 복호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블록 처리기(303), 그룹 포맷터(304)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갖는 전송 파라미터를 상기 필드 동기 신호의 미사용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 시스템에서는 필드 동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필드 동기를 획득한 후 약속된 위치에서 전송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동기 다중화기(260)에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4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패킷보다 높은 계층(layer)에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신호를 수신하여 TS 패킷 계층 이상으로 이미 만들 수 있어야 하고, 이때 전송 파라미터의 용도는 현재 수신한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검증 역할과 이 후에 수신될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송 신호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전송 파라미터들을 상기된 실시예들의 방법을 통해 삽입하여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어느 한 실시예를 통해서만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를 통해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모든 실시예를 통해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송 파라미터 내 정보는 각 실시예에서 중복되어 삽입될 수도 있고, 필요한 정보만 해당 실시예의 해당 위치에서 삽입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강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짧은 주기의 블록 부호화를 수행한 후 해당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짧은 주기의 블록 부호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커독(Kerdock) 부호화, BCH 부호화, RS 부호화, 전송 파라미터의 반복 부호화 등이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블록 부호화의 조합도 가능하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들을 모아 작은 크기의 블록 부호를 만들어 데이터 그룹 내에 signaling용으로 할당해둔 바이트에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수신 측면에서 블록 복호기를 통과하여 전송 파라미터 값이 얻어지므로 블록 복호시 필요한 터보 코드 모드, RS 코드 모드 등의 전송 파라미터는 먼저 얻어져야 한다. 이 때문에 모드에 관련된 전송 파라미터는 기지 데이터 영역의 일부 구간에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빠른 복호를 위해 심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직교성이 우수한 시퀀스 8개(예, 표2의 8가지 모드를 나타냄)중에 한 개를 현재 모드에 맞춰 각 데이터 그룹마다 이 구간에 삽입한다. 수신 시스템은 각 시퀀스들과 현재 수신된 시퀀스간에 상관 관계를 보고 부호 모드와 조합 모드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필드 동기 세그먼트 영역 또는 기지 데이터 영역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전송 채널을 거쳤을 때 그 신뢰도가 떨어지므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기 정의된 패턴들 중 하나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된 신호와 기 정의된 패턴들과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여 전송 파라미터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트 내의 그룹의 개수가 5개인 경우를 A 패턴으로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미리 정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송신측에서는 버스트 내의 그룹의 개수가 5개일 때는 A 패턴을 삽입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측에서는 수신 데 이터와 미리 생성한 A 패턴을 포함하는 여러 기준 패턴들과의 상관 연산을 수행한다. 이때 수신 데이터와 A 패턴과의 상관값이 제일 크면 상기 수신 데이터는 전송 파라미터 특히, 버스트 내의 그룹의 개수를 나타내며 이때 그 개수는 5개라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전송 파라미터 삽입 및 전송하는 과정을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8은 그룹 포맷터(304)에서 전송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에 삽입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략도이다.
이때,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블록 처리기(303)로부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에 반해 전송 파라미터는 데이터 랜더마이징 과정, RS 프레임 부호화 과정, 블록 처리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거친 후 그룹 포맷터(304)로 입력될 수도 있고, 세 과정 모두를 거치지 않고 그룹 포맷터(304)로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제공될 수도 있고, 송신기(200) 내부에서 발생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수신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그룹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데이터 그룹 정보, 다중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데이터 그룹을 형성하는 규칙에 따라 데이터 그룹 내 해당 영역에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짧은 주기의 블록 부호화를 거친 후 상기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A 영역 중 약속된 임의의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블록 처리기(303)에서 블록 처리 과정을 거쳤다고 가정하면, 상기 블록 처리기(303)에서는 전송 파라미터를 담고있는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를 수행한 후 그룹 포맷터(304)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간주되어 처리된다.
도 19는 전송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하는 블록 처리기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9의 구성 요소에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와 다중화기(412)가 더 추가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에서는 전송 파라미터를 담고있는 시그널링 정보를 다중화기(412)로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기(412)는 시그널링 정보와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출력을 다중화하여 바이트-비트 변환기(401)로 출력한다.
상기 바이트-비트 변환기(401)는 다중화기(412)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 또는 시그널링 정보 바이트를 비트로 구분하여 심볼 부호기(402)로 출력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된 도 9를 참조하면 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만일,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상세 구성이 도 12, 도 15 내지 도 17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한다면 상기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와 다중화기(412)는 바이 드-심볼 변환기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에서 제공되는 전송 파라미터가 심볼 단위라면 상기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와 다중화기(412)는 바이트-심볼 변환기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기 정해진 방법에 의해서 발생된 기지 데이터를 데이터 그룹 내 해당 영역에 삽입할 경우, 기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의 시작 부분에 긴 기지 데이터 열을 삽입하는 경우, 이 중 일부에는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삽입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삽입되는 기지 데이터 열 중 일부는 수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그룹의 시작점을 포착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수신 시스템에서 채널 등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 데이터 영역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는 경우, 전송 파라미터는 짧은 주기로 블록 부호화하여 삽입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기 정의된 패턴을 삽입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데이터 그룹 내 기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는 영역에 기지 데이터 대신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패킷 포맷터(306)에서 삽입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 경우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에 기지 데이터를 대체하여 삽입할 수도 있고,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기지 데이터를 삽입한 경우에는 그대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0은 상기 패킷 포맷터(306)에서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기 위하여 패킷 포맷터를 확장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상기 패킷 포맷터(306)에 기지 데이터 발생부(351)와 시그널링 다중화기(352)가 더 포함된 구조이다.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352)로 입력되는 전송 파라미터는 현재 버스트의 길이에 대한 정보, 다음 버스트의 시점을 알려주는 정보, 버스트 내 그룹들이 존재하는 위치와 길이, 버스트 내에서 현재 그룹에서 다음 그룹까지의 시간, 기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352)는 전송 파라미터와 기지 데이터 발생부(351)에서 발생된 기지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패킷 포맷터(306)로 출력한다.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305)에서 출력되는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에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352)에서 출력되는 기지 데이터 또는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기지 데이터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의 시작 부분에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 경우,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 중 일부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 입하는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짧은 주기로 블록 부호화하여 삽입할 수도 있고,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기 정의된 패턴을 삽입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352)에서는 기지 데이터와 전송 파라미터(또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정의된 패턴)를 다중화하여 새로운 기지 데이터 열을 구성한 후 패킷 포맷터(306)로 출력한다.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데이터 디인터리버(305)의 출력으로부터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 RS 패리티 위치 홀더를 제거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MPEG 헤더, 시그널링 다중화기(352)의 출력으로 188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패킷 다중화기(240)로 출력한다.
이 경우 각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은 각기 다른 기지 데이터 패턴을 갖게 된다. 따라서 수신 시스템에서는 기지 데이터열 중에서 약속된 구간의 심볼만을 떼어 전송 파라미터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지 데이터는 송신 시스템의 설계 방식에 따라 패킷 포맷터(306)나 그룹 포맷터(304) 또는 블록 처리기(303)등 다른 위치에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기지 데이터를 삽입하는 블록에서 상기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기지 데이터 영역 중 일부에 블록 처리기(303)의 처리 방법을 포함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파라미터 심볼 자체를 위한 심볼 처리 방법과 그 위치가 정해져 있으며, 복호할 다른 데이터 심볼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송수신하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그러면 수신 시 스템에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 심볼을 데이터 심볼 복호 전에 검출하여 데이터 심볼을 위한 복호에 사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한편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필드 동기 세그먼트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1은 전송 파라미터를 필드 동기 세그먼트 영역에 삽입하기 위해 동기 다중화기를 확장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상기 동기 다중화기(260)에 시그널링 다중화기(261)가 더 포함된 구조이다.
통상 VSB 방식의 전송 프레임은 2개의 필드로 구성되고, 각 필드는 하나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와 312개의 데이터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각 데이터 세그먼트는 총 832 심볼로 구성된다. 이때, 한 데이터 세그먼트에서 첫 번째 4 심볼은 세그먼트 동기 부분이고, 한 필드에서 첫 번째 데이터 세그먼트는 필드 동기 부분이 된다.
하나의 필드 동기 신호는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 길이로 이루어지며, 처음 4개의 심볼(symbol)에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패턴이 존재하고, 그 다음에 유사 랜덤 시퀀스(Pseudo Random Sequence)인 PN 511, PN 63, PN 63, PN 63이 존재하며 그 다음 24 심볼에는 VSB 모드 관련 정보가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VSB 모드 관련 정보가 존재하는 24 심볼 다음의 나머지 104 심볼은 미사용(Reserved)인데, 상기 미사용 영역 중 마지막 12 심볼에는 이전 세그먼트의 마지막 12 심볼 데이터를 복사하여 놓는다. 그러면 상기 필드 동기 세그먼트에서 92개 심볼이 실제적인 미사용 영역이 된다.
따라서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261)는 전송 파라미터가 필드 동기 세그먼트의 미사용 영역에 삽입되도록 기존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 심볼과 다중화하여 동기 다중화기(260)로 출력한다. 상기 동기 다중화기(260)는 세그먼트 동기 심볼, 데이터 심볼들,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261)에서 출력되는 새로운 필드 동기 세그먼트를 다중화하여 새로운 전송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삽입된 필드 동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은 송신부(270)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기 위한 필드 동기 세그먼트 내의 미사용 영역은 92 심볼의 미사용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미사용 영역에 삽입하는 전송 파라미터는 일 예로, 메인 서비스 데이터인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인지 또는 다른 종류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인지 등을 구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전송 파라미터의 일부로서 전송되는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 블록 처리기(303)에 해당하는 복호가 수행될 때 이 블록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복호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블록 처리기(303)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는 블록 디코딩 전에 알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블록 처리기(303)(및/또는 그룹 포맷터(304))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갖는 전송 파라미터를 상기 필드 동기 신호의 미사용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하면,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신호에 대한 블록 디코딩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수신 시스템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2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에서는 송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기지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반송파 동기 복원, 프레임 동기 복원 및 채널 등화 등을 수행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은 튜너(901), 복조부(902), 등화기(903),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 블록 복호기(905), 데이터 디포맷터(906), RS 프레임 복호기(907), 디랜더마이저(908), 데이터 디인터리버(909), RS 복호기(910), 및 데이터 디랜더마이저(9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디포맷터(906), RS 프레임 복호기(907), 및 디랜더마이저(908)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처리부라 하고, 데이터 디인터리버(909), RS 복호기(910), 및 데이터 디랜더마이저(911)를 메인 서비스 데이터 처리부라 하기로 한다.
즉, 상기 튜너(901)는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다운 컨버전한 후 복조부(902)와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부(902)는 입력되는 IF 신호에 대해 자동 이득 제어, 반송파 복구 및 타이밍 복구 등을 수행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만든 후 등화기(903)와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로 출력한다.
상기 등화기(903)는 상기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채널 상의 왜곡을 보상한 후 블록 복호기(905)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는 상기 복조부(902)의 입/출력 데이터 즉, 복조가 이루어지기 전의 데이터 또는 복조가 이루어진 후의 데이터로부터 송신측에서 삽입한 기지 데이터 위치를 검출하고 위치 정보와 함께 그 위치에서 발생시킨 기지 데이터의 심볼 열(sequence)을 복조부(902)와 등화기(90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는 송신측에서 추가적인 부호화를 거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추가적인 부호화를 거치지 않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 의해서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블록 복호기(905)로 출력한다. 그리고 도 22의 도면에서 연결 상태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에서 검출된 정보는 수신 시스템에 전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데이터 디포맷터(906)와 RS 프레임 복호기(907) 등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복조부(902)는 타이밍 복원이나 반송파 복구시에 상기 기지 데이터 심볼열을 이용함으로써, 복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등화기(903)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기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등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복호기(905)의 복호 결과를 상기 등화기(903)로 피드백하여 등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등화기(903)는 다양한 방법으로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채널 임펄스 응답(Channel Impulse Response ; CIR)을 추정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송신 시스템에서 계층화되어 전송된 데이터 그룹 내 각 영역에 따라 채널 임펄스 응답(CIR)의 추정 및 적용을 다르게 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위치와 내용을 알고 있는 기지 데이터와 필드 동기를 이용하여 CIR을 추정함으로써, 채널 등화를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때 등화를 위해 입력된 하나의 데이터 그룹은 도 6a와 같이, A 내지 C 영역으로 구분되고, 다시 A 영역은 A1~A5 영역으로, B 영역은 B1,B2 영역으로, C1 영역은 C1~C3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6a와 같은 데이터 구조에서 필드 동기로부터 추정되는 CIR을 CIR_FS 라고 하고, A 영역에 존재하는 다섯 개의 기지 데이터 열(sequence)로부터 추정되는 CIR을 순서대로 CIR_N0, CIR_N1, CIR_N2, CIR_N3, CIR_N4 라고 하자.
본 발명은 상기 필드 동기와 기지 데이터 열로부터 추정된 CIR을 이용하여 데이터 그룹 내 데이터에 대해 채널 등화를 수행하는데, 이때 데이터 그룹의 각 영역의 특징에 따라 상기 추정된 CIR들 중 하나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CIR을 보간(interpolation)하거나, 외삽(extrapolation)하여 생성된 CIR을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보간(interpolation)은 어떤 함수 F(x)에 대해 시점 A에서의 함수값 F(A)와 시점 B에서의 함수값 F(B)를 알고 있을 때 A와 B 사이의 어떤 시점에서의 함수값을 추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보간의 가장 간단한 예로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이 있다. 상기 선형 보간 기법은 수많은 보간 기법 중 가 장 간단한 예이며 상기한 방법 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보간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예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외삽(extrapolation)은 어떤 함수 F(x)에 대해 시점 A에서의 함수값 F(A)와 시점 B에서의 함수값 F(B)를 알고 있을 때 A와 B 사이의 구간이 아닌 바깥쪽의 시점에서의 함수값을 추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외삽의 가장 간단한 예로 선형 외삽(Linear Extrapolation)이 있다. 상기 선형 외삽 기법은 수많은 외삽 기법 중 가장 간단한 예이며 상기한 방법 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외삽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예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즉, 상기 C1 영역의 경우, 이전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4, 채널 등화를 수행할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의 CIR_FS와 CIR_N0를 외삽하여 생성한 CIR 중 하나를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B1 영역의 경우, C1 영역과 같이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와 CIR_N0를 선형 외삽(extrapolation)하여 생성한 CIR을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를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A1 영역의 경우,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와 CIR_N0를 보간하여 생성한 CIR를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와 CIR_N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A2~A5 영역의 경우,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i-1)과 CIR_N(i)를 보간하여 생성한 CIR을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i-1)과 CIR_N(i)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B2,C2,C3 영역의 경우,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3와 CIR_N4를 외삽하여 생성한 CIR을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4를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그룹에 삽입된 데이터에 대해 채널 등화시에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서 설명한 데이터 그룹 내 각 영역에서 채널 등화를 위해 CIR을 구하는 방법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이러한 방법들은 보다 넓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상기 등화기(903)에서 채널 등화된 후 블록 복호기(905)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송신측에서 추가적인 부호화와 트렐리스 부호화가 모두 수행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이면 송신측의 역으로 트렐리스 복호화 및 추가적 복호화가 수행되고, 추가적인 부호화는 수행되지 않고 트렐리스 부호화만 수행된 메인 서비스 데이터이면 트렐리스 복호화만 수행된다.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서 복호화된 데이터 그룹은 데이터 디포맷터(906)로 입력되고,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디인터리버(909)로 입력된다.
즉 상기 블록 복호기(905)는 입력된 데이터가 메인 서비스 데이터이면 입력 데이터에 대해 비터비 복호를 수행하여 하드 판정값을 출력하거나 또는 소프트 판정값을 하드 판정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된 데이터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이면 상기 블록 복호기(905)는 입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하여 하드 판정값 또는 소프트 판정값을 출력한다.
즉, 상기 블록 복호기(905)는 입력된 데이터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이면 송신 시스템의 블록 처리기와 트렐리스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호를 수행한다. 이때 송신측의 전처리기의 RS 프레임 부호기는 외부 부호가 되고, 블록 처리기와 트렐리스 부호기는 하나의 내부 부호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접 부호의 복호시에 외부 부호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내부 부호의 복호기에서 소프트 판정값을 출력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블록 복호기(905)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하드 판정(hard decision) 값을 출력할 수도 있으나, 필요한 경우 소프트 판정값을 출력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909), RS 복호기(910), 및 디랜더마이저(911)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블록들로서, 오직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시스템 구조에서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909)는 송신측의 데이터 인터리버의 역과정으로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여 RS 복호 기(910)로 출력한다.
상기 RS 복호기(910)는 디인터리빙된 데이터에 대해 체계적 RS 복호를 수행하여 디랜더마이저(911)로 출력한다.
상기 디랜더마이저(911)는 RS 복호기(910)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송신기의 랜더마이저와 동일한 의사 랜덤(pseudo random) 바이트를 발생시켜 이를 bitwise XOR(exclusive OR)한 후 MPEG 동기 바이트를 매 패킷의 앞에 삽입하여 188 바이트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 단위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서 데이터 디포맷터(906)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형태는 데이터 그룹 형태이다. 이때 상기 데이터 디포맷터(906)에서는 입력 데이터 그룹의 구성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그룹 내에서 시스템 정보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구분한다. 그리고 구분된 시그널링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위한 곳으로 전달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RS 프레임 복호기(907)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디포맷터(906)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및 데이터 그룹에 삽입되었던 기지 데이터, 트렐리스 초기화 데이터, MPEG 헤더 그리고 송신 시스템의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 또는 비체계적 RS 부호기에서 부가된 RS 패리티를 제거하여 RS 프레임 복호기(907)로 출력한다.
즉,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상기 데이터 디포맷터(906)로부터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입력받는다.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에서는 송신 시스템의 RS 프레임 부호기에서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RS 프레임 내 에러들을 정정한 후, 에러 정정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RS 프레임 부호화 과정에서 제거되었던 1 바이트의 MPEG 동기 바이트를 부가하여 디랜더마이저(908)로 출력한다.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의 상세한 동작은 뒤에서 설명한다.
상기 디랜더마이저(908)는 입력받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서 송신 시스템의 랜더마이저의 역과정에 해당하는 디랜더마이징을 수행하여 출력함으로써, 송신 시스템에서 송신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의 상세한 동작 설명이다.
도 23은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의 에러 정정 복호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즉,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데이터 디포맷터(906)로부터 입력받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을 모아서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송신 시스템에서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된 데이터이다.
도 23의 (a)는 RS 프레임을 구성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송신 시스템에서 235 * (N+2) 크기의 RS 프레임을 30*235 바이트 블록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블록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각 데이터 그룹에 삽입시켜 전송하였다고 가정하면, 수신 시스템에서도 각 데이터 그룹에 삽입된 30*235 바이트 블록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모아 235 * (N+2) 크기의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RS 프레임이 18개의 30*235 바이트 블록으로 구분되어 하나의 버스트 구간에서 전송되었다고 가정하면, 수신 시스템에서도 해당 버스트 구간 내 18개의 데이터 그룹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모아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N이 538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하나의 버스트 안에 있는 18개의 데이터 그룹 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을 모아서 235 * 540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서 복호 결과를 소프트 판정값으로 출력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상기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해당 비트의 0과 1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결정된 비트를 8개 모아서 한 바이트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버스트 안에 있는 18개의 데이터 그룹의 소프트 판정값에 대해 모두 수행하면 235 * 540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을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판정값을 RS 프레임을 구성하는데 이용할 뿐만 아니라, 신용 맵(Reliability Map)을 구성하는데 이용한다.
상기 신용 맵은 상기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결정된 비트를 8개 모아 구성한 해당 바이트가 믿을만하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소프트 판정값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넘을 경우에는 해당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판단한 해당 비트 값은 믿을만하다고 판단하고, 넘지 못할 경우에는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판단한 비트를 8개 모아 구성한 한 바이트 내 한 비트라도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신용 맵에 해당 바이트를 믿을 수 없다고 표시한다. 여기서 한 비트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복수개 예를 들어, 4개의 이상의 비트가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신용 맵에 해당 바이트를 믿을 수 없다고 표시할 수도 있다.
반대로 한 바이트 내 모든 비트가 믿을만하다고 판단된 경우 즉, 한 바이트의 모든 비트의 소프트 판정값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넘는 경우에는 신용 맵에 해당 바이트를 믿을만하다고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한 바이트 내 복수개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비트가 믿을만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신용 맵에 해당 바이트를 믿을만하다고 표시한다.
상기 예시한 수치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수치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프트 판정값을 이용한 RS 프레임의 구성과 신용 맵의 구성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용 맵 내 신용 정보는 상기 RS 프레임 내 각 바이트에 1:1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RS 프레임이 235 * 540 바이트 크기를 가진다면, 상기 신용 맵은 235 * 540 비트 크기를 가진다. 도 2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 맵 형성 과정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235 * (N+2)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이 구성되면, 이 RS 프레임에 대해 CRC 신드롬 체크를 수행하여 각 로우의 에러 발생여부를 검사한다. 이어 도 23의 (b)와 같이 2 바이트 CRC 체크섬을 제거하여 235 * N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을 구성하고, 각 로우에 대응하는 에러 플래그에 에러 여부를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신용 맵 중 CRC 체크섬에 해당하는 부분은 활용도가 없으므로, 이 부분을 제거하여 도 23의 (b')와 같이 235 * N 개의 신용 정보만을 남긴다.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CRC 신드롬 체크가 수행되고 나면, 컬럼 방향 으로 RS 복호화(decoding)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CRC 에러 플래그의 수에 따라 RS 이레이저(erasure) 정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23의 (c)와 같이 상기 RS 프레임 내 각 로우에 대응하는 CRC 에러 플래그를 검사하여,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컬럼 방향 RS 복호화를 할 때 RS 이레이저 정정을 수행할 수 있는 최대 에러 개수보다 같거나 작은지를 판단한다. 상기 최대 에러 개수는 RS 부호화시 삽입된 패리티 개수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각 컬럼마다 48개의 패리티 바이트가 부가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만일 CRC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decoding)로 수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실시예에 따르면 48)보다 작거나 같다면 도 23의 (d)와 같이 235개의 N 바이트 로우를 갖는 RS 프레임에 대해서 컬럼 방향으로 (235,187)-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하고, 도 23의 (f)와 같이 각 컬럼의 마지막에 부가되었던 48바이트의 패리티 데이터를 제거한다.
그런데, CRC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수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즉, 48)보다 크다면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할 수가 없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RS 복호화를 통해서 에러 정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판정값으로부터 RS 프레임을 구성할 때 함께 생성한 신용 맵을 이용하여 에러 정정 능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에서는 블록 복호기(905)의 소프트 판정값의 절대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해당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결정되는 비트 값의 신용을 판단하였다. 그리고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판단한 비트를 8개 모 아 구성한 해당 바이트에 대한 신용 정보를 신용 맵에 표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3의 (e)와 같이 특정 로우의 CRC 신드롬 체크 결과 그 로우에 CRC 에러가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그 로우의 모든 바이트가 에러가 있는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용 맵의 신용 정보를 참조하여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바이트에 대해서만 에러로 설정한다. 즉, 해당 로우의 CRC 에러 여부에 상관없이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서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바이트만을 이레이저 포인트(erasure point)로 설정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CRC 신드롬 체크 결과 해당 로우에 CRC 에러가 있다고 판단되면서 신용 맵의 신용 정보가 믿을만 하지 못한다고 판단된 바이트에 대해서만 에러로 설정한다. 즉, 해당 로우에 CRC 에러가 있으면서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서 믿을만 하지 못하다고 판단이 되는 바이트만을 이레이저 포인트(erasure point)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각 컬럼별로 에러 포인트의 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수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즉, 48)보다 작거나 같다면 그 컬럼에 대해서는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한다. 반대로 에러 포인트의 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수정 가능한 최대 개수(즉, 48)보다 크다면 그 컬럼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RS 복호화를 수행한다.
즉, CRC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수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예를 들면, 48)보다 크면,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 의해 결정된 해당 컬럼 내 이레이저 포인트 수에 따라 그 컬럼에 대해서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하 거나, 일반적인 RS 복호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RS 프레임 내에서 CRC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48보다 크고,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 의해 결정된 이레이저 포인트 수가 첫 번째 컬럼에서는 40개가 표시되고, 두 번째 컬럼에서는 50개가 표시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첫 번째 컬럼에 대해서는 (235,187)-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하고, 두 번째 컬럼에 대해서는 (235,187)-RS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RS 프레임 내 모든 컬럼 방향으로 에러 정정 복호화가 수행되면 도 23의 (f)와 같이 각 컬럼의 마지막에 부가되었던 48바이트의 패리티 데이터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RS 프레임 내 각 로우에 대응되는 전체 CRC 에러의 개수는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정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보다 크더라도, 특정 컬럼의 에러 정정 복호화시에 해당 컬럼의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 의해 신용이 낮은 바이트의 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정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보다 같거나 작으면 그 컬럼에 대해서는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RS 복호화와 RS 이레이저 복호화의 차이는 정정 가능한 에러의 개수이다. 즉, 일반적인 RS 복호화를 수행하면 RS 부호화 과정에서 삽입된 (패리티의 개수)/2에 해당하는 개수(예를 들면, 24)만큼 에러를 정정할 수 있고,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하면 RS 부호화 과정에서 삽입된 패리티의 개수(예를 들면, 48)만큼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에러 정정 복호화가 수행되고 나면, 도 23의 (f)와 같이 187개 의 N 바이트 로우(즉, 패킷)로 된 RS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187 * N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은 순서대로 N개의 187 바이트의 크기로 출력이 되는데, 이때 도 23의 (g)와 같이 각 187 바이트의 패킷에 송신 시스템에서 삭제한 1 바이트의 MPEG 동기 바이트를 부가하여 188 바이트 단위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방송 수신 시스템의 실시예 중 수신 신호의 타이밍 에러를 제거할 수 있는 타이밍 복구부에 대해 상세히 예시한다.
도 6a의 신호 프레임 구조로부터 필드 동기 영역의 데이터(즉, 필드 싱크 데이터), 기지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는 방송 수신 시스템이 이미 알고 있으므로 이러한 신호들임을 알기 위해 신뢰도 검사를 수행한 후 동기 영역의 데이터 및 기지 데이터임을 알 수 있다. 이 영역의 데이터들은 복조부(902)에서 이용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밍 주파수 및 위상 오프셋 복구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4는 디지털 방송 송신기에서 동일한 패턴의 기지 데이터 열을 실제 데이터 사이에 주기적으로 삽입하여 전송하는 VSB 신호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도 24에서 A는 유효 데이터 심볼의 구간이며 B는 기지 데이터의 심볼 구간이다. 따라서 (A + B) 구간의 심볼의 주기로 B 심볼 구간에 기지 데이터가 삽입되어 전송된다. 상기 A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일 수도 있고 메인 서비스 데이터일 수도 있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혼합일 수도 있으며, 본 예에서는 기지 데이터와 구분하기 위하여 이를 유효 데이터라 칭한다.
방송 수신 시스템에서는 이렇게 주기적으로 삽입되어 전송되는 기지 데이터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 과정에서 대략적인 주파수 옵셋(Coarse frequency offset)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정보와 대략적인 주파수 옵셋 추정값으로 반송파 주파수 옵셋을 보다 정밀하게 추정하여 보상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VSB 복조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위상 분리기(1511), 수치 제어 발진기(Numerically Controlled Oscillator ; NCO)(1512), 제 1 곱셈기(1513), 리샘플러(1514), 제2 곱셈기(1515), 정합 필터(Matched Filter)(1516), DC 제거기(1517), 데시메이터(1518), 타이밍 복구부(1520), 반송파 복구부(1530), 및 위상 보상부(154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복구부(1520)는 버퍼(1521), 데시메이터(1522),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 루프 필터(1524), 유지기(Holder)(1525), 및 NCO(1526)를 포함한다.
상기 반송파 복구부(1530)는 버퍼(1531), 주파수 옵셋 추정기(1532), 루프 필터(1533), 유지기(1534), 가산기(1535), 및 NCO(1536)를 포함한다.
상기 위상 보상부(1540)는 버퍼(1541), 주파수 옵셋 추정기(1542), 유지기(543), NCO(544), 및 곱셈기(1545)를 포함한다.
상기 데시메이터(1518,1522)는 복조부(902)로 입력되는 신호가 ADC(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미도시)에서 N배로 오버샘플링(oversampling)되었을 경우에 필요한 부분이다. 즉, N은 수신 신호의 샘플링 비율(sampling rate)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가 ADC에서 2배로 오버 샘플링되었다면(N=2), 1 심볼에 2개의 샘플이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이 경우 상기 데시메이터(1518,1522)는 1/2 데시메 이터이다. 상기 데시메이터(1518,1522)는 수신 신호의 오버샘플링 여부에 따라 바이패스될 수도 있다.
도 25에서, 위상 분리기(1511)는 ADC에서 출력되는 통과대역 디지털 신호를 위상이 서로 직교하는 실수 성분과 허수 성분의 통과대역 디지털 신호 즉, 복소 신호로 분리하여 제1 곱셈기(1513)로 출력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위상 분리기(1511)에서 출력되는 실수 성분의 신호를 I 신호라 하고, 허수 성분의 신호를 Q 신호라 한다.
상기 제1 곱셈기(1513)는 NCO(1512)로부터 출력되는 상수(constant)에 비례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복소 신호에 상기 위상 분리기(1511)에서 출력되는 통과대역 디지털 복소 신호(I,Q)를 곱하여, 상기 통과대역 디지털 복소신호(I,Q)를 기저대역 디지털 복소신호로 천이한다. 상기 제1 곱셈기(1513)의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는 리샘플러(1514)로 입력된다.
상기 리샘플러(1514)는 제1 곱셈기(15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타이밍 복구부(1520)의 NCO(1526)에서 제공하는 타이밍 클럭에 맞게 리샘플링하여 제2 곱셈기(1515)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ADC가 25MHz의 고정 발진자를 사용할 경우, 상기 ADC와 위상 분리기(1511), 제1 곱셈기(1513)를 거쳐 생성된 25MHz 주파수를 갖는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는 상기 리샘플러(1514)에서 보간(interpolation) 과정을 거쳐 수신 신호의 심볼 클럭의 2배의 주파수 즉, 21.524476MHz 주파수를 갖는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로 복원된다. 만일 상기 ADC가 타이밍 복구부(1520)의 NCO(1526)의 출력 주파 수를 샘플링 주파수로 이용하는 경우, 즉 가변 주파수를 이용하여 A/D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샘플러(1514)는 상기 복조부(902)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곱셈기(1515)는 상기 리샘플러(1514)의 출력에 반송파 복구부(1530)의 NCO(1536)의 출력 주파수를 곱하여 상기 리샘플러(1514)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잔류 반송파를 보상한 후 정합 필터(1516)와 타이밍 복구부(1520)로 출력한다.
상기 정합 필터(1516)에서 정합 필터링된 신호는 DC 제거기(1517)와 기지 데이터 검출 및 초기 주파수 옵셋 추정부(known sequence detector & initial frequency offset estimator)(1450), 및 반송파 복구부(1530)로 입력된다.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 및 초기 주파수 옵셋 추정부(145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기지 데이터 열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 과정에서 초기 주파수 옵셋(initial frequency offset)을 추정한다.
즉, VSB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 및 초기 주파수 옵셋 추정부(1450)는 VSB 데이터 프레임 안에 포함된 기지 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 정보(Known Sequence Position Indicator)를 복조부(902)의 타이밍 복구부(1520), 반송파 복구부(1530), 및 위상 보상부(154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 및 초기 주파수 옵셋 추정부(1450)는 초기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여 반송파 복구부(1530)로 출력한다. 타이밍 에러 검출부(1520)는 리샘플러(1514)가 출력한 신호 또는 리샘플러(1514)가 출력한 신호가 반송파 복구부(1530)의해 복구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타이밍 에러 검출부(1520)의 버 퍼(1521)는 입력받은 신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시메이터(1522)는 버퍼(1521)에 입력된 신호가 오벗샘플링되었을 경우 오버샘플링된 신호를 오버샘플링 비율의 역수에 따라 데시메이팅하여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는 타이밍 에러 검출부(1520)에 입력된 신호의 타이밍 에러를 산출할 수 있다. 타이밍 에러 검출부(1520)의 동작은 이후의 도면에서 상세히 예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클럭 복구부의 블록도로서,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 루프 필터(1524), 및 수치 제어 발진기(Numerically Controlled Oscillator ; NCO)(1526)를 포함한다.
리샘플러(1514)에서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는 타이밍 클럭 복구부(1520)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는 리샘플러(1514)의 출력 신호로부터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여 루프 필터(1524)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는 일 실시예로서, 수신 신호의 스펙트럼의 측대역을 이용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스펙트럴 라인 방법을 적용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패턴을 갖는 기지 데이터 열이 주기적으로 삽입되어 전송된다면 상기 기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 데이터를 이용한 타이밍 에러 검출 방법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루프 필터(1524)는 상기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에서 검출된 타이밍 에러 정보를 필터링하여 타이밍 클럭의 에러를 NCO(1526)로 출력한다. 상기 루프 필터(1524)는 2차 필터로 구성하여 타이밍 클럭의 위상 에러와 주파수 에러를 보정 할 수 있다.
상기 NCO(1526)는 상기 루프 필터(1524)에서 출력되는 타이밍 에러를 누적하고, 누적된 타이밍 에러의 위상 성분을 리샘플러(1514)로 출력하여 리샘플러(1514)의 샘플링 타이밍을 조절한다. 즉, 상기 리샘플러(1514)에서 올바른 위상의 신호가 보간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도 27은 타이밍 클럭 복구부의 다른 예로서, 리샘플러(1514), 제1, 제2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a,1523b), 먹스(1523c), 루프 필터(1524), 및 NCO(1526)를 포함한다.
방송 신호에 기지 데이터가 있는 영역과 없는 영역이 구분되어 전송되는 경우, 기지 데이터의 유무에 따라서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기지 데이터 유무에 따라 적합한 타이밍 에러 검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7의 경우, 일정 길이의 기지 데이터가 정해진 위치에 삽입되는 영역과 기지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은 영역으로 나누어 전송되는 경우에 적용하면 효과적인 경우이다.
예를 들어, 제1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a)는 수신된 신호의 스펙트럼의 측대역을 이용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고, 제2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b)는 기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먹스(1523c)는 기지 데이터가 없는 영역에서는 제1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a)의 출력을 선택하고, 기지 데이터가 있는 영역에서는 제2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b)의 출력을 선택하여 루프 필터(1524)로 출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 는 기지 데이터가 있는 영역에서는 제 1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a)의 출력과 제2 타이밍 에러 검출기(1523b)의 출력을 통합하여 루프 필터(530)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기지 데이터가 있는 영역에서는 기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신뢰도가 높은 타이밍 에러를 검출함으로써, 타이밍 클럭을 더욱 안정되게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지 데이터를 이용한 타이밍 에러 검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타이밍 에러 검출 방법에 대해 두 개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하나는 시간 영역에서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알고 있는 기지 데이터와 수신 데이터와의 상관 특성을 이용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주파수 영역에서 수신되는 두 기지 데이터의 상관 특성을 이용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도 28과 도 29는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알고 있는 기지 데이터(즉, 수신측에서 발생한 기준 데이터)와 수신된 신호의 상관값을 구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예를 보인다.
먼저, 도 28의 (a)는 데이터 블록 주기마다 반복되는 기지 데이터열 전체를 수신된 신호열에 맞추어 이동시키면서 수신된 신호열과 상관값을 구하는 예를 도시한다. 이때 기지 데이터 열과 수신 신호간의 상관값은 도 28의 (b)에 보인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기지 데이터 열 마지막 심볼 위치에서 최대치 또는 피크 값을 출력한다.
도 29의 (a)는 기지 데이터 열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어 상관값을 구하 는 예를 개시한다. 이 경우 기지 데이터의 상관값의 피크들은 각 기지 데이터가 분리된 부분의 마지막 심볼 위치에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한 피크값을 하나의 값으로 합산 등의 연산을 통해 최종 피크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9의 (b)는 기지 데이터가 3부분으로 나누어 상관될 경우, 각 상관값들과 그 상관값들의 합인 최종 치크값을 나타낸다.
상기 타이밍 에러는 상관값의 피크 위치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도 28과 같이 하나의 기지 데이터 열 전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상관값을 구할 경우 타이밍 에러 검출은 매 데이터 블록 주기마다 한 번씩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기지 데이터 열을 도 29와 같이 나누어서 수신된 신호와 상관값을 구하면 기지 데이터 열을 전체에 대한 상관 정도가 떨어질 경우 더 정확한 타이밍 에러를 산출할 수 있다. 나눈 수 만큼에 해당하는 상관값의 피크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기지 데이터 열을 나누어 다수의 상관 피크값을 얻고 이를 합산 등의 연산을 하나의 피크값을 산출할 경우 전체 기지 데이터 열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기지 데이터 열을 부분으로 나누어 상관값을 구하는 것이 반송파 주파수 에러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상관 피크값을 각각 이용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타이밍 복원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측에서 약속에 의해 알고 있는 기지 데이터 열을 K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수신 신호와 상관을 취하면 상기 기지 데이터 열에서 K개만큼 상관값의 피크를 얻을 수 있으며, 그 수만큼의 타이밍 에러, 또는 조합에 의해 조정된 개수의 타이밍 에러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 기지 데이터 열을 이용하는 경우는 타이밍 에러 검출값의 분산 은 적으나 적용 주기가 길어지게 되고, 부분 기지 데이터 열을 이용하는 경우는 전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분산은 약간 증가하나 적응 주기를 줄일 수도 있다.
타이밍 에러는 상관값의 피크 부분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30과 같이 기지 데이터열 전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상관값을 구하면 타이밍 에러는 매 데이터 블록 주기로 한 번씩 검출된다. 그러나 기지 데이터 열을 도 29와 같이 나누어서 수신된 신호와 상관값을 구하면 기지 데이터 열을 나눈 수 만큼에 해당하는 상관값의 피크를 얻을 수 있고 그 나눈 수만큼의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0을 참조하여 도 28과 도 29에서 설명한 기지 데이터와 수신 데이터 간의 상관값을 구하여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굵은 점은 기지 데이터와 수신 데이터 간의 상관값을 표시한 것이고 실선은 상기 점들의 흐름을 대략적으로 이은 것이다. 상기 점들은 심볼 클럭의 두 배 빠른 주기로 샘플링한 샘플들에 대해 상관값을 구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도 30에서 랜덤 데이터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고 잡음이 없고 타이밍 클럭의 오차가 없다면 기지 데이터 열과 수신 데이터 열의 상관값은 상기 도면에서 실선의 모양과 유사하게 피크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타이밍 위상 에러가 있다면 피크의 바로 앞 뒤 샘플들의 대칭형이 유지되지 않고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상관값을 이용한 타이밍 에러 검출은 타피크 값의 바로 이전 값과 이후 값의 차에 비례한 값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31은 전술한 기지 데이터와 수신 신호의 상관값을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 서 타이밍 에러를 검출하는 타이밍 에러 검출기의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이다. 도 31의 예는 상관기(1621), 다운 샘플러(1623), 절대값 연산기(1625), 지연기(1627), 및 감산기(1629)를 포함한다.
상기 상관기(1621)는 심볼 클럭 주파수의 두 배 이상으로 빠른 클럭으로 샘플링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지 데이터 심볼 열과 상관값을 계산하여 다운 샘플러(1623)로 출력한다. 상기 다운 샘플러(1623)는 상관값을 샘플링 비율만큼 다운 샘플링하여 심볼 주파수의 샘플을 얻는다. 예를 들어, 상기 상관기(1621)로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가 2배의 심볼 주파수로 샘플링된 데이터라면 상기 다운 샘플러(1621)는 1/2 다운 샘플링하여 심볼 주파수의 샘플을 얻는다. 상기 다운 샘플러(1621)의 상관값은 절대값 연산기(1625)로 입력되고, 상기 절대값 연산기(1625)는 다운 샘플링된 상관값들의 절대값 또는 절대값의 제곱을 구하여 위상 성분이 없는 크기값의 성분으로 변환한다. 상기 절대값 연산기(1625)의 출력은 지연기(1627)와 감산기(1629)로 제공된다. 상기 감산기(1629)는 상기 지연기(1627)에서 1 심볼 지연된 절대값 또는 절대값의 제곱과 현재 절대값 또는 절대값의 제곱의 차를 타이밍 에러 값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 절대값 연산기(1625)의 출력을 한 심볼만큼 지연시킨 값과 상기 절대값 연산기(1625)의 출력값의 차가 곧 타이밍 위상 에러에 비례하는 값이 된다.
여기서 각 블록의 선후 관계는 절대적이지 않고 결과값이 바뀌지 않는 논리적으로 타당한 범위 내에서 서로 순서를 바꾸어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 샘플러, 상관기, 절대값 연산기 순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관기, 절대값 연산기, 다운 샘플러 순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타이밍 에러는 기지 데이터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타이밍 주파수 에러가 발생하면 주파수 영역의 신호의 대역 내에서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위상이 일정하게 증감하고, 현재 블록에 비해 다음 블록의 주파수에 따라 위상의 증감하는 기울기가 변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기지 데이터 두 블록간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주파수에 따른 위상 변화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타이밍 주파수 에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2는 상기 기술한 기지 데이터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타이밍 주파수 에러를 검출하는 예를 예시한다. 현재 수신된 기지 데이터 열을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이전 수신된 기지 데이터 열을 FFT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전 기지 데이터 열의 주파수 응답의 콘쥬게이트(conjugate) 값과 현재 기지 데이터 열의 주파수 응답의 각 주파수 값끼리 곱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상관값을 산출한다. 즉, 이전 기지 데이터 열의 주파수 값과 현재 기지 데이터 열의 주파수 값의 상관값을 얻음으로써 각 주파수에서 기지 데이터 블록 간의 위상 변화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에 의한 위상 왜곡의 영향을 없앨 수도 있다.
복소수 VSB 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VSB 특성으로 인해 도 30의 주파수 응답 예와 같이 전체 영역에 값이 존재하지 않고 반쪽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의 상관값 역시 반쪽 영역에만 존재한다. 주파수 영역에서 상관값의 위상 기울기를 구하기 위해, 상관값이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을 둘로 나누고, 각 영역에서 해당 영 역 내 상관값들을 모두 합한 값들의 각각 위상들을 구한다. 그리고, 두 영역에서 각기 구한 두 위상 간의 차이를 구하면 타이밍 주파수 에러를 산출할 수 있다.
각 주파수에서 상관값을 더한 후 위상을 구하는 것은 각 상관값의 성분을 크기와 위상으로 나누어볼 때, 각 상관값의 크기 성분은 곧 신뢰도와 비례하고 이 크기에 비례하는 형태로 각 상관값의 위상 성분이 최종 위상 성분에 영향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3은 도 32에 개시한 방법으로 타이밍 에러를 검출할 수 있는 예를 개시한다. 도 33의 타이밍 에러 검출기는 FFT부(1601), 제1 지연기(1603), 콘쥬게이터(1605), 곱셈기(1607), 가산기(1609), 위상 추출기(1611), 제2 지연기(1613), 및 감산기(16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연기(1603)는 1 데이터 블록 지연기이고, 제2 지연기(1613)는 1/4 데이터 블록 지연기를 실시예로 한다. 상기 1 데이터 블록이란 N개의 기지 데이터 심볼 열의 주파수 응답으로 구성된 하나의 블록을 의미한다.
즉, 기지 데이터 영역이 알려지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 열이 입력되면, 상기 FFT부(1601)는 입력되는 데이터 심볼 열 중에서 연속적인 N개의 기지 데이터 열의 복소수 값을 주파수 영역의 복소수 값으로 변환하여 제1 지연기(1603)와 곱셈기(1607)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지연기(1603)는 기지 데이터의 주파수 영역의 복소수 값을 1 데이터 블록만큼 지연시켜 콘쥬게이터(1605)로 출력하고, 상기 콘쥬게이터(1605)는 입력 복소수 값을 콘쥬게이팅하여 곱셈기(1607)로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1607)는 FFT부(1601)에서 출력되는 현재 데이터 블록의 기지 데이터와 콘쥬게이 터(1605)에서 출력되는 이전 데이터 블록의 기지 데이터를 샘플 단위로 복소 콘쥬게이트 곱하여 가산기(1609)로 출력한다. 즉, 상기 곱셈기(840)의 출력은 한 기지 데이터 블록 내 주파수 영역의 상관값들이다.
이때 복소수의 VSB 데이터는 주파수 영역에서 절반 영역에만 데이터가 존재하므로, 상기 가산기(1609)는 상기 기지 데이터 블록 내 의미있는 데이터 영역을 다시 반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서 해당 영역의 상관값들을 누산한 후 위상 추출기(1611)로 출력한다. 상기 위상 추출기(1611)는 의미있는 두 데이터 영역 내 누산값으로부터 위상 정보만을 각각 추출하여 제2 지연기(1613)와 감산기(1615)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지연기(1613)에서 1/4 블록 지연된 위상 정보는 감산기(1615)로 입력된다.
상기 감산기(1615)는 제2 지연기(1613)에서 1/4 데이터 블록 지연된 위상 정보와 상기 위상 추출기(860)의 위상 정보와의 차를 구하고, 이 값을 타이밍 주파수 에러 값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시간 영역에서 기지 데이터와 수신 신호간의 상관값을 구하고 그것의 피크에서 타이밍 에러를 구하는 방법은 수신 신호가 시간 지연에 따른 다중 경로 채널을 겪는 경우, 상기 상관값의 모양이 채널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단점이 있으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전 수신한 기지 데이터와 이후 수신한 기지 데이터의 상관값을 이용하여 타이밍 에러를 구하는 경우는 채널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1, 제2 실시예의 타이밍 에러 검출 방법은 송신기에서 삽입한 기지 데이터 열 전부를 사용하여 타이밍 에러 검출을 수행할 수도 있고, 시간 지연에 따른 다중 경로 채널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 채널에 따른 랜덤 데이터의 영향이 적은 기지 데이터 열의 일부만을 취하여 타이밍 에러 검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은 채널 변화 및 노이즈에 강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하여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알고 있는 기지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의 소정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들을 랜더마이징하는 단계;
    Reed-Solomon(RS) 프레임 페이로드의 컬럼들의 마지막 밑부분에 RS 패리티 데이터 바이트들을 삽입하고, 상기 랜더마이징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RS 프레임 페이로드의 로우들 마지막 우측부분에 Cyclic Redundancy Check(CRC) 데이터 바이트들을 삽입하여 RS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RS 프레임을 RS 프레임 부분들로 분할하는 단계;
    식 P(i) = (S × i × (i+1)) / 2 mod L 에 따라 상기 RS 프레임 부분들의 데이터에 상응하는 심볼들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여기서 0≤i≤L-1, L = 2n이고, n과 S는 자연수이고;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들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그룹들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데이터 그룹들 각각은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 시그널링 정보,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 위치 홀더들 및 MPEG 헤더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RS 패리티 데이터 바이트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출력하도록 상기 데이터 그룹들 내의 상기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제거하고, 상기 데이터 그룹들 내의 상기 MPEG 헤더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MPEG 헤더 데이터와 교체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 내의 상기 MPEG 헤더 데이터를 랜더마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 신호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송신 신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데이터 그룹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송신 신호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송신 신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에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를 삽입하도록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에 대해 비체계적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송신 신호 데이터 처리 방법.
  4.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들을 랜더마이징하는 제1 랜더마이저;
    Reed-Solomon(RS) 프레임 페이로드의 컬럼들의 마지막 밑부분에 RS 패리티 데이터 바이트들을 삽입하고, 상기 랜더마이징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RS 프레임 페이로드의 로우들 마지막 우측부분에 Cyclic Redundancy Check(CRC) 데이터 바이트들을 삽입하여 RS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RS 프레임을 RS 프레임 부분들로 분할하는 RS 프레임 인코더;
    식 P(i) = (S × i × (i+1)) / 2 mod L 에 따라 상기 RS 프레임 부분들의 데이터에 상응하는 심볼들을 인터리빙하는 제1 인터리버, 여기서 0≤i≤L-1, L = 2n이고, n과 S는 자연수이고;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들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그룹들을 형성하는 그룹 포맷터,
    여기서 상기 데이터 그룹들 각각은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 시그널링 정보,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 위치 홀더들 및 MPEG 헤더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RS 패리티 데이터 바이트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출력하도록 상기 데이터 그룹들 내의 상기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제거하고, 상기 데이터 그룹들 내의 상기 MPEG 헤더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MPEG 헤더 데이터와 교체하는 패킷 포맷터; 및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 내의 상기 MPEG 헤더 데이터를 랜더마이징하는 제2 랜더마이저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그룹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인터리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에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를 삽입하도록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에 대해 비체계적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RS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7.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및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방송 신호는,
    Reed-Solomon(RS) 프레임 페이로드의 컬럼들의 마지막 밑부분에 RS 패리티 데이터 바이트들을 삽입하고, 상기 랜더마이징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RS 프레임 페이로드의 로우들 마지막 우측부분에 Cyclic Redundancy Check(CRC) 데이터 바이트들을 삽입하여 RS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식 P(i) = (S × i × (i+1)) / 2 mod L 에 따라 상기 RS 프레임의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상응하는 심볼들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여기서 0≤i≤L-1, L≥K, L = 2n이고, n과 S는 자연수, K는 상기 인터리빙에 입력된 심볼들의 수이고;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들에 상응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을 데이터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매핑시키고,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들,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 위치 홀더들 및 MPEG 헤더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상기 데이터 그룹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그룹에서 상기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들 및 상기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제거하고, 상기 MPEG 헤더 데이터 위치 홀더를 MPEG 헤더 데이터로 교체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과 제1 다중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다중화된 데이터 패킷들을 필드 동기 데이터 및 세그먼트 동기 데이터와 제2 다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처리된 신호이고;
    상기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채널 왜곡을 보상하는 단계;
    상기 보상된 방송 신호 내의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터보-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터보-디코딩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CRC 디코딩 및 RS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신호 데이터 처리 방법.
  8.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및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여기서 상기 방송 신호는,
    Reed-Solomon(RS) 프레임 페이로드의 컬럼들의 마지막 밑부분에 RS 패리티 데이터 바이트들을 삽입하고, 상기 랜더마이징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RS 프레임 페이로드의 로우들 마지막 우측부분에 Cyclic Redundancy Check(CRC) 데이터 바이트들을 삽입하여 RS 프레임을 생성하는 RS 프레임 인코더;
    식 P(i) = (S × i × (i+1)) / 2 mod L 에 따라 상기 RS 프레임의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상응하는 심볼들을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버,
    여기서 0≤i≤L-1, L≥K, L = 2n이고, n과 S는 자연수, K는 상기 인터리빙에 입력된 심볼들의 수이고;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들에 상응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을 데이터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매핑시키고,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들,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 위치 홀더들 및 MPEG 헤더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상기 데이터 그룹에 삽입하는 그룹 포맷터;
    상기 데이터 그룹에서 상기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들 및 상기 비체계적 RS 패리티 데이터 위치 홀더들을 제거하고, 상기 MPEG 헤더 데이터 위치 홀더를 MPEG 헤더 데이터로 교체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출력하는 패킷 포맷터;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과 제1 다중화하는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1 다중화된 데이터 패킷들을 필드 동기 데이터 및 세그먼트 동기 데이터와 제2 다중화하는 제2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처리된 신호이고;
    상기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채널 왜곡을 보상하는 이퀄라이저;
    상기 보상된 방송 신호 내의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터보-디코딩하는 제1 디코더; 및
    상기 터보-디코딩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CRC 디코딩 및 RS 디코딩하는 제2 디코더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20070029474A 2007-03-26 2007-03-26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5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474A KR101253185B1 (ko) 2007-03-26 2007-03-26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11/774,546 US7940855B2 (en) 2007-03-26 2007-07-06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ARP080101233A AR066398A1 (es) 2007-03-26 2008-03-26 Sistema de recepcion de television digital y metodo de procesamiento de una senal de television digital
EP08723717A EP2130382A4 (en) 2007-03-26 2008-03-26 DTV RECEIVING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PCT/KR2008/001681 WO2008117981A1 (en) 2007-03-26 2008-03-26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CN2008800102455A CN101647289B (zh) 2007-03-26 2008-03-26 Dtv接收系统和处理dtv信号的方法
MX2009010194A MX2009010194A (es) 2007-03-26 2008-03-26 Sistema receptor de dtv y metodo para procesar señal de dtv.
CA2681046A CA2681046C (en) 2007-03-26 2008-03-26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13/069,336 US8068561B2 (en) 2007-03-26 2011-03-22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13/280,263 US8223884B2 (en) 2007-03-26 2011-10-24 DTV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13/490,401 US8731100B2 (en) 2007-03-26 2012-06-06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14/229,548 US9736508B2 (en) 2007-03-26 2014-03-28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15/653,340 US9924206B2 (en) 2007-03-26 2017-07-18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15/886,458 US10070160B2 (en) 2007-03-26 2018-02-01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16/107,780 US10244274B2 (en) 2007-03-26 2018-08-21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474A KR101253185B1 (ko) 2007-03-26 2007-03-26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368A KR20080087368A (ko) 2008-10-01
KR101253185B1 true KR101253185B1 (ko) 2013-04-10

Family

ID=3978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474A KR101253185B1 (ko) 2007-03-26 2007-03-26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8) US7940855B2 (ko)
EP (1) EP2130382A4 (ko)
KR (1) KR101253185B1 (ko)
CN (1) CN101647289B (ko)
AR (1) AR066398A1 (ko)
CA (1) CA2681046C (ko)
MX (1) MX2009010194A (ko)
WO (1) WO2008117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1779A1 (en) 2006-02-10 2007-08-1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WO2007100186A1 (en) * 2006-03-02 2007-09-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WO2007126196A1 (en) * 2006-04-29 2007-1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WO2007136166A1 (en) 2006-05-23 2007-11-2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7873104B2 (en) 2006-10-12 2011-01-18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ing data
US7826498B2 (en) * 2007-01-24 2010-11-0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EP2115911B1 (en) 2007-02-01 2018-01-24 Rohde & Schwarz GmbH & Co. KG Improvement of synchronisation at the emission of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data packets
KR101285887B1 (ko) 2007-03-26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53185B1 (ko) 2007-03-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53186B1 (ko) * 2007-03-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85888B1 (ko) * 2007-03-30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21914B1 (ko) * 2007-04-06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405966B1 (ko) 2007-06-26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56002B1 (ko) 2007-06-26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433973B2 (en) 2007-07-04 2013-04-3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20090002855A (ko) * 2007-07-04 200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WO2009005326A2 (en) 2007-07-04 2009-0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20090004061A (ko) *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이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방송 신호 처리방법
KR20090012180A (ko) 2007-07-28 2009-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A2697453C (en) 2007-08-24 2013-10-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2191644A4 (en) * 2007-08-24 2015-01-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A2694704C (en) * 2007-08-24 2013-06-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MX2010001831A (es) 2007-08-24 2010-03-11 Lg Electronics Inc Sistema de difusion digital y metodo para procesar datos en sistema de difusion digital.
KR101559771B1 (ko) 2007-09-21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09038402A1 (en) *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102008017290A1 (de) 2007-12-11 2009-06-18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ldung eines gemeinsamen Datenstroms insbesondere nach dem ATSC-Standard
US8199811B2 (en) 2008-02-18 2012-06-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9054953B2 (en) 2008-06-16 2015-06-09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DE102008056703A1 (de) 2008-07-04 2010-01-07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und System zur Zeitsynchronisierung zwischen einer Zentrale und mehreren Sendern
US8355458B2 (en) 2008-06-25 2013-01-15 Rohde & Schwarz Gmbh & Co. Kg Apparatu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ducing a single frequency network for ATSC mobile / handheld services
DE102008059028B4 (de) 2008-10-02 2021-12-02 Rohde & Schwarz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Transportdatenstroms mit Bilddaten
US8121232B2 (en) * 2008-11-06 2012-02-21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EP2342854B1 (en) 2008-11-06 2013-01-30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ed mapping of data packets in an atsc data stream
CN102257816B (zh) * 2009-01-07 2013-11-06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和接收信号的装置以及用于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
KR101664428B1 (ko) * 2009-02-12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0107259A2 (ko) * 2009-03-18 201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EP2234357B1 (en) * 2009-03-21 2016-07-27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for improving the data rate of mobile data and the quality of channel estimation in an ATSC-M/H transport data stream
KR101442115B1 (ko) 2009-04-10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시스템
KR101580517B1 (ko) * 2009-04-15 2015-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1771990B1 (ko) * 2009-05-21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신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들의 스트림 구성 및 처리 방법
CN102439967A (zh) 2009-05-21 2012-05-02 三星电子株式会社 数字广播发送器、数字广播接收器及其流构成及处理方法
EP2453610B1 (en) 2009-07-06 2019-05-15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10010374A (ko)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US9253000B2 (en) * 2009-12-29 2016-02-0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
KR101748605B1 (ko) 2010-01-15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진단시스템
ES2538211T3 (es) * 2010-07-06 2015-06-18 Lg Electronics Inc. Sistema y método de diagnóstico de utensilio doméstico
US8989021B2 (en) 2011-01-20 2015-03-24 Rohde & Schwarz Gmbh & Co. Kg Universal broadband broadcasting
KR101416937B1 (ko) 2011-08-02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동작방법
KR101252167B1 (ko) 2011-08-18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101942781B1 (ko) 2012-07-03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을 위한 신호음 출력방법
KR20140007178A (ko) 2012-07-09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시스템
JP6703364B2 (ja) * 2014-04-10 2020-06-03 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受信装置
CN107106077B (zh) 2014-08-29 2021-03-09 科迪影技术股份有限公司 对象的定位和跟踪
US20160080778A1 (en) * 2014-09-11 2016-03-17 Gatesair, Inc. Hybrid modulator utilizing digital domain multiplexing
KR102380285B1 (ko) * 2015-10-14 2022-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13057B2 (en) * 2016-06-01 2019-06-04 Qualcomm Incorporated Error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sectional redundancy check information
US10256845B1 (en) * 2018-02-26 2019-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mbol timing recovery based on speculative tentative symbol decisions
CN110324269B (zh) * 2019-06-24 2022-01-04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一种高速解调器的符号同步系统及实现方法
WO2022036434A2 (en) * 2020-04-06 2022-02-24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able digitization
US11757535B2 (en) * 2020-06-23 2023-09-12 Infinera Corporation Data synchronization in optical networks and devices
CN114500767A (zh) * 2020-11-12 2022-05-13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输入视频源调节方法、装置、视频输入卡和视频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755A (en) 1983-03-31 1987-02-10 At&T Bell Laboratories Shared memory with two distinct addressing structures
US5208816A (en) 1989-08-18 1993-05-04 At&T Bell Laboratories Generalized viterbi decoding algorithms
US5177796A (en) 1990-10-19 1993-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age data processing of correlated images
DE69224687T2 (de) 1991-07-30 1998-07-02 Nec Corp Trägerfrequenz-Fehlerdetektorschaltung zur genauen Feststellung eines Trägerfrequenzfehlers
JPH06508805A (ja) 1991-08-05 1994-10-06 ザ、ブ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差込み式ハンドル
US5544060A (en) 1991-10-16 1996-08-06 Zexel Usa Corporation Vehicle mounted navigation system with preview function
US5892879A (en) 1992-03-26 1999-04-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system for plural data streams
US5258987A (en) 1992-04-16 1993-11-02 At&T Bell Laboratories Multilevel coding using trellis-coded modulation and reed-solomon codes
US5301167A (en) 1992-08-05 1994-04-05 Northeastern University Apparatus for improved underwater acoustic telemetry utilizing phase coherent communications
CA2113941A1 (en) 1993-01-25 1994-07-26 Andrew J. Macdonald Error correcting decoder and decoding method for receivers in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US5488635A (en) 1993-10-29 1996-01-30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complexity adaptive equalizer radio receiver employing reduced complexity branch metric calculation
KR960010495B1 (ko) 1993-11-04 1996-08-01 대우전자 주식회사 채널 등화방법 및 장치
US5583562A (en) 1993-12-03 1996-12-10 Scientific-Atlanta,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digital services including imaging services
US5511096A (en) 1994-01-18 1996-04-23 Gi Corporation Quadrature amplitude modulated data for standard bandwidth television channel
JP2853553B2 (ja) 1994-02-22 1999-02-03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方式
US6803970B1 (en) 1994-03-24 2004-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match filter responsive to field synchronization code
WO1995027368A1 (fr) * 1994-03-30 1995-10-12 Sony Corporation Commutateur numerique
US5508752A (en) 1994-04-12 1996-04-16 Lg Electronics Inc. Partial response trellis decoder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system
US5903324A (en) 1994-06-30 1999-05-11 Thomson Multimedia S.A. Transport processor interface for a digital television system
US5583889A (en) 1994-07-08 1996-12-1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rellis coded modulation system for HDTV
US5619269A (en) 1995-06-07 1997-04-0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Frame sync signal for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5691993A (en) 1995-06-07 1997-11-25 Seagate Technology, Inc. Rate 4/5 trellis code for PR4 channels with improved error propagation
US6665308B1 (en) 1995-08-25 2003-12-16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qualization in distributed digital data transmission systems
US6307868B1 (en) 1995-08-25 2001-10-23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CDMA digital data transmission using orthogonal codes and a head end modem with no tracking loops
KR0166923B1 (ko) 1995-09-18 1999-03-20 구자홍 디지탈 방송 시스템의 불법 시청 및 복사 방지방법 및 장치
DE69634607T2 (de) 1995-10-24 2006-03-02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Burstübertragung variabler länge über die physikalische schicht eines mehrschichten-übertragungsformats
US5771239A (en) 1995-11-17 1998-06-2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a transport packet stream to provide concatenated synchronization bytes at interleaver output
US5956373A (en) 1995-11-17 1999-09-21 Usa Digital Radio Partners, L.P. AM compatible digital audio broadcasting signal transmision using digitally modulated orthogonal noise-like sequences
JP3369874B2 (ja) 1995-11-21 2003-01-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非同期データ・リンクの構成パラメータを検出する装置
US5867503A (en) 1996-01-30 1999-02-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sound broadcasting receiver and automatic phase controlling method therefor
IL117348A (en) 1996-03-04 2002-03-10 Oren Semiconductor Ltd Improved DSP device
US6314420B1 (en) 1996-04-04 2001-11-06 Lycos, Inc. Collaborative/adaptive search engine
US5754651A (en) 1996-05-31 1998-05-1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rocessing and storage of digital data and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KR100222680B1 (ko) 1996-07-09 1999-10-01 윤종용 고선명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작 모드 절환 방법 및 장치
JPH1174868A (ja) 1996-09-02 1999-03-16 Toshiba Corp 情報伝送方法およびその方法が適用される情報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並びに符号化・多重化装置/復号化・逆多重化装置
JP3684560B2 (ja) * 1996-09-03 2005-08-1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6266370B1 (en) 1996-09-03 2001-07-2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Brightness-variation compensation method and coding/decoding apparatus for moving pictures
JPH10154373A (ja) 1996-09-27 1998-06-09 Sony Corp データデコード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デコード方法、伝送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5978424A (en) 1996-11-18 1999-11-02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Frame identification system
US6148026A (en) 1997-01-08 2000-11-14 At&T Corp. Mesh node coding to enable object based functionalities within a motion compensated transform video coder
US6005894A (en) 1997-04-04 1999-12-21 Kumar; Derek D. AM-compatible digital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EP0985292B1 (en) 1997-05-30 2005-04-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rror protection for over-the-air file transfer
US6334187B1 (en) 1997-07-03 2001-1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embedding method, information extracting method, information embedding apparatus, information extrac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a
JPH1127641A (ja) 1997-07-07 1999-01-29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6219386B1 (en) 1997-07-21 2001-04-17 Globespan, Inc. Frameless reed-solomon coding system and method
US6904110B2 (en) 1997-07-31 2005-06-07 Francois Trans Channel equalization system and method
EP0899703B1 (en) 1997-08-25 2002-10-30 Texas Instruments France A navigational system
US6665343B1 (en) 1997-09-12 2003-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a converting a high definition image to a lower definition image using wavelet transforms
EP0903886B1 (en) 1997-09-18 2006-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multiplexing and encryption
JP3389843B2 (ja) 1997-10-17 2003-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AU1109099A (en) 1997-10-20 1999-05-10 Wireless Facilities Inc. Wireless multimedia carrier system
JPH11127138A (ja) 1997-10-24 1999-05-11 Sony Corp 誤り訂正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
US6233295B1 (en) 1998-08-26 2001-05-15 Thomson Licensing S.A. Segment sync recovery network for an HDTV receiver
US6356598B1 (en) 1998-08-26 2002-03-12 Thomson Licensing S.A. Demodulator for an HDTV receiver
KR100396507B1 (ko) 1997-11-17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리어를사용하는통신시스템의순방향링크통신장치및그구현방법
JP3096020B2 (ja) 1997-12-16 2000-10-10 日本放送協会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H11261906A (ja) 1998-01-12 1999-09-24 Sony Corp テレビ放送受信装置、テレビ放送受信方法およびテレビ放送方法
DE19802134A1 (de) 1998-01-21 1999-07-22 Basf Ag Verwendung von Carotinoid-Aggregaten als Färbemittel
US6405338B1 (en) 1998-02-11 2002-06-11 Lucent Technologies Inc. Unequal error protection for perceptual audio coders
US6226380B1 (en) 1998-02-19 2001-05-0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of distinguishing between echo path change and double talk conditions in an echo canceller
US6130894A (en) 1998-03-09 2000-10-10 Broadcom Homenetworking, Inc. Off-line broadband network interface
US6351290B1 (en) 1998-03-23 2002-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with separate I-F amplifiers for VSB and QAM digital TV signals that are digitally synchrodyned
US6459427B1 (en) 1998-04-01 2002-10-01 Liberate Technologies Apparatus and method for web-casting over digital broadcast TV network
US6272660B1 (en) 1998-04-03 2001-08-07 Agere Systems Guardian Corp. Screening for errors in data transmission systems
US20020080992A1 (en) 2000-12-21 2002-06-27 Decker Stephen K. Watermarking holograms
US6433835B1 (en) * 1998-04-17 2002-08-13 Encamera Sciences Corporation Expanded information capacity for exist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s
US6310919B1 (en) 1998-05-07 2001-10-30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scaling motion vector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tream decoder
US7038732B1 (en) 1998-05-12 2006-05-02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DTV signal with GCR components in plural-data-segment frame headers and receiver apparatus for such signal
US6738949B2 (en) 1998-05-13 2004-05-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rror correction circuit and error correction method
JP4324276B2 (ja) 1998-06-03 2009-09-02 株式会社日立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 磁気ディスク誤り訂正方法及び装置
US6124898A (en) 1998-06-19 2000-09-26 Samsung Elctronics Co., Lt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equalization performed on digital intermediate-frequency signals
US6931198B1 (en) 1998-07-15 2005-08-16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oading desired data signal to user-selectable storage unit
JP2000050268A (ja) 1998-07-31 2000-02-18 Minolta Co Ltd 画像符号化装置
US7079584B2 (en) 1998-08-10 2006-07-18 Kamilo Feher OFDM, CDMA, spread spectrum, TDMA, cross-correlated and filtered modulation
FR2783120B1 (fr) 1998-09-04 2000-11-24 Nortel Matra Cellular Procede d'egalisation numerique, et recepteur de radiocommunication mettant en oeuvre un tel procede
US6636892B1 (en) 1998-09-11 2003-10-21 Lv Partners, L.P. Method for conducting a contest using a network
US6490628B2 (en) 1998-09-25 2002-12-03 Intel Corporation Modem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signal based command set
KR100378058B1 (ko) 1998-09-28 2003-03-2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Vsb수신기
JP3968545B2 (ja) 1998-10-28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
US6775334B1 (en) 1998-11-03 2004-08-10 Broadcom Corporation Equalization and decision-directed loops with trellis demodulation in high definition TV
JP3645721B2 (ja) 1998-11-27 2005-05-1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復調器
US6456611B1 (en) 1998-12-04 2002-09-24 Nortel Networks Limited CDMA modem using common block architecture
KR100304115B1 (ko) 1998-12-18 2001-09-24 이계철 무선통신시스템에서동기용버스트를이용한사용자구별방법
US6515713B1 (en) 1998-12-31 2003-0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which compensates for channel distortion
US6498936B1 (en) 1999-01-22 2002-12-24 Ericss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ding of broadcast messages
EP1022884A1 (en) 1999-01-25 2000-07-26 CANAL+ Société Anonyme Address assignment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EP1068698A1 (en) 1999-01-28 2001-0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nchronisation of decryption keys in a data packet transmission system
JP3743742B2 (ja) 1999-02-01 2006-02-0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6810090B1 (en) 1999-02-18 2004-10-26 Sarnoff Corporation Direct digital vestigial sideband (VSB) modulator
US6542808B2 (en) 1999-03-08 2003-04-01 Josef Mintz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traffic congestion
US6993021B1 (en) 1999-03-08 2006-01-31 Lucent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internet protocol encapsulation (LIPE) scheme for multimedia traffic transport
US6446234B1 (en) 1999-03-16 2002-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cyclic redundancy check information for data storage
US6765931B1 (en) 1999-04-13 2004-07-20 Broadcom Corporation Gateway with voice
US6909743B1 (en) 1999-04-14 2005-06-21 Sarnoff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transition streams
WO2000064058A1 (fr) 1999-04-16 2000-10-26 Fujitsu Limited Codeur et decodeur
US6529558B1 (en) 1999-05-27 2003-03-04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oding and decoding a signal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feedback states of an encoder
US6687310B1 (en) 1999-05-27 2004-02-03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rellis coded modulation system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 with trellis coded data and synchronization symbols
EP1061746A1 (en) 1999-06-14 2000-12-20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Channel decoder for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0617778B1 (ko) 1999-07-0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신호 열화 보상장치 및 방법
US6577685B1 (en) 1999-08-02 2003-06-10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Programmable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demodulating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6775521B1 (en) 1999-08-09 2004-08-10 Broadcom Corporation Bad frame indicator for radio telephone receivers
US6985537B1 (en) 1999-09-15 2006-01-10 Lucent Technologies Inc. Symbol self synchronous interle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FDM-based communication system
US7102692B1 (en) 1999-10-13 2006-09-05 Thomson Licensing Digital and analog television signal digitization and processing device
JP4250832B2 (ja) 1999-10-14 2009-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送出装置
US6459741B1 (en) 1999-10-21 2002-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Implementation of N-VSB training sequences in N-squared QAM receiver structures
US6693566B2 (en) 1999-12-03 2004-02-17 Broadcom Corporation Interspersed training for turbo coded modulation
US6816204B2 (en) 2000-01-19 2004-11-09 Allen Le Roy Limberg Ghost cancellation reference signals for broadcast digital television signal receivers and receivers for utilizing them
CN1790520B (zh) 2000-01-21 2010-09-01 索尼公司 识别光盘的方法、重放光盘的方法和光盘设备
WO2001067702A1 (en) 2000-03-07 2001-09-13 Vyyo, Ltd. Adaptive downstream modulation scheme for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JP3660555B2 (ja) 2000-03-27 2005-06-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US6975689B1 (en) 2000-03-30 2005-12-13 Mcdonald James Douglas Digital modulation signal receiver with adaptive channel equalization employing discrete fourier transforms
US7080396B2 (en) 2000-04-14 2006-07-18 Lg Electronics Inc. Event overrun and downstream event shift technology
US6996133B2 (en) 2000-04-18 2006-02-0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obustly encoded data
US6963618B2 (en) 2000-04-18 2005-11-0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Enhanced slice prediction feedback
US6694518B1 (en) * 2000-05-30 2004-02-17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data across high definition analog component video interfaces
KR100360622B1 (ko) 2000-06-12 2002-11-13 주식회사 문화방송 엠펙 데이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송수신 시스템
US6650880B1 (en) 2000-06-12 2003-11-18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using FIFO for synchronization memory
US6411253B1 (en) 2000-06-14 2002-06-25 Raytheon Company Equalization system using general purpose filter architecture
CN1383669A (zh) 2000-06-28 2002-12-04 索尼公司 附加信息嵌入装置及附加信息嵌入方法
US6912258B2 (en) 2000-07-07 2005-06-28 Koninklijke Philips Electtronics N.V. Frequency-domain equalizer for terrestrial digital TV reception
US20030093798A1 (en) 2000-07-10 2003-05-15 Michael Rogerson Modular entertainment system configured for multiple broadband content delivery incorporating a distributed server
WO2002005555A1 (en) 2000-07-11 2002-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petitive-pn1023-sequence echo-cancellation reference signal for single-carrier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systems
US6744822B1 (en) 2000-08-14 2004-06-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EC scheme for encoding two bit-streams
US7406104B2 (en) 2000-08-25 2008-07-29 Lin Yang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US6693984B1 (en) 2000-08-29 2004-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intersymbol interference in a received signal
WO2002019552A2 (en) 2000-09-01 2002-03-07 Broadcom Corporation Satellite receiver
KR100672561B1 (ko) 2000-09-22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통신 시스템
KR100351829B1 (ko) 2000-09-26 2002-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통신 시스템
KR100351831B1 (ko) 2000-10-02 2002-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Vsb 송신 시스템
US20020046406A1 (en) 2000-10-18 2002-04-18 Majid Chelehmal On-demand data system
US7154846B2 (en) 2000-10-24 2006-12-26 Nortel Networks Limited Shared channel structure, ARQ systems and methods
US6686880B1 (en) 2000-10-25 2004-02-03 Xm Satellite Ra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a reverse channel response from receiver in a digital broadcast system
US6560303B1 (en) 2000-10-26 2003-05-06 Comsat Corporation Joint frame, carrier and clock synchronization scheme
US7224935B2 (en) 2000-11-29 2007-05-2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elematics application for implementation in conjunction with a satellite broadcast delivery system
US6744474B2 (en) 2000-12-13 2004-06-01 Thomson Licensing S.A. Recursive metric for NTSC interference rejection in the ATSC-HDTV trellis decoder
KR100673419B1 (ko) 2000-12-2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6944242B2 (en) 2001-01-04 2005-09-13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verting soft symbol information to soft bit information
US6731700B1 (en) 2001-01-04 2004-05-04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Soft decision output generator
US6511621B2 (en) 2001-01-11 2003-01-2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Method for injection-molding a propeller fan
JP2002218339A (ja) 2001-01-16 2002-08-02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674423B1 (ko) 2001-01-19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020136197A1 (en) 2001-02-09 2002-09-26 Sarnoff Corporation Enhanced frame structure for use i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s broadcast
US7430212B2 (en) 2001-02-13 2008-09-30 Parady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data transmission speed by fixing the lower corner frequency at a frequency above voice band in a symmetric DSL transmission system
US7065703B2 (en) 2001-02-14 2006-06-20 Conexant Systems, Inc. Synchronization of a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150167A1 (en) 2001-02-17 2002-10-17 Victor Demjanenko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able or assymetric forward error correction
US6470047B1 (en) 2001-02-20 2002-10-22 Comsys Communications Signal Processing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duc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s receiver
US6977977B1 (en) 2001-02-20 2005-12-20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Compensation of I/Q gain mismatch in a communications receiver
US7050419B2 (en) 2001-02-23 2006-05-23 Terayon Communicaion Systems, Inc. Head end receiver for digital data delivery systems using mixed mode SCDMA and TDMA multiplexing
US7170849B1 (en) 2001-03-19 2007-01-30 Cisco Systems Wireless Networking (Australia) Pty Limited Interleaver, deinterleaver, interleaving method, and deinterleaving method for OFDM data
US7093179B2 (en) 2001-03-22 2006-08-15 University Of Florida Method and coding means for error-correction utilizing concatenated parity and turbo codes
US7206352B2 (en) 2001-04-02 2007-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TSC digital television system
US7675994B2 (en) 2001-04-02 2010-03-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cket identification mechanism at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an enhanced ATSC 8-VSB system
US7111221B2 (en) 2001-04-02 2006-09-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transmission system for an enhanced ATSC 8-VSB system
US6937648B2 (en) 2001-04-03 2005-08-30 Yitran Communications Ltd Equalizer for communication over noisy channels
US7042949B1 (en) 2001-04-03 2006-05-09 Rosum Corporation Robust data transmission using broadcast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6919930B2 (en) 2001-04-06 2005-07-1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signal translator
US6947487B2 (en) 2001-04-18 2005-09-20 Lg Electronics Inc. VSB communication system
US6925126B2 (en) 2001-04-18 2005-08-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complexity prediction and regulation of MPEG2 decoding in a media processor
US7631340B2 (en) 2001-04-18 2009-12-08 Lg Electronics Inc. VSB communication system
KR100734351B1 (ko) 2001-04-20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전송 시스템
US6734920B2 (en) 2001-04-23 2004-05-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rror propagation in a decision feedback equalizer of ATSC VSB receiver
KR100736500B1 (ko) 2001-04-25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티브이의 브이에스비 통신시스템
KR100706508B1 (ko) 2001-04-25 200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티브이의 브이에스비 통신시스템
JP4038996B2 (ja) 2001-04-27 2008-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US6763229B2 (en) 2001-05-02 2004-07-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iming recovery switching for an adaptive digital broadband beamforming (antenna diversity) for ATSC terrestrial DTV based on segment sync detection
FI20011111A (fi) 2001-05-28 2002-11-29 Nokia Corp Yhteydenmuodostusparametrien välittäminen pakettidataverkossa
FI111776B (fi) 2001-05-28 2003-09-15 Nokia Corp Ohjausviestien välittäminen pakettidataverkon ohjauskanavilla
US20030099303A1 (en) 2001-06-04 2003-05-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television (DTV) transmission system using enhanced coding schemes
US7190744B2 (en) 2001-06-07 2007-03-13 Micronas Semiconductors, Inc. Error generation for adaptive equalizer
KR100850932B1 (ko) 2001-06-11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793766B1 (ko) 2001-06-11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28076A1 (en) 2001-06-30 2004-02-12 Strolle Christopher H Robust data extension for 8vsb signaling
US7295623B2 (en) 2001-07-11 2007-11-13 Vativ Technologies, Inc. High-speed communications transceiver
WO2003009197A1 (en) 2001-07-19 2003-01-30 Catalina Marketing International,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distributing electronic coupons over a network after the consummation of a purchase transaction based on a client's purchase history
CN100393110C (zh) 2001-07-19 2008-06-04 汤姆森许可公司 数字广播传输可靠接收的方法和系统
JP2003032640A (ja) 2001-07-19 2003-01-31 Nippon Hoso Kyokai <Nhk> 番組特定情報送出装置、及び番組特定情報伝送システム
JP2003037623A (ja) 2001-07-23 2003-02-07 Philips Japan Ltd Mpegネットワーク上におけるダイレクトrtp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
GB0120033D0 (en) 2001-08-16 2001-10-10 Fujitsu Ltd Cell selection
KR100510679B1 (ko) 2003-03-21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 및 부가 데이터 다중화 방법
CN1555460A (zh) 2001-09-19 2004-12-15 张近锡 风车叶片和利用风车叶片产生风能的设备
US6927708B2 (en) 2001-09-24 2005-08-0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Mapping system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ultiple data types
CA2404404A1 (en) 2001-09-24 2003-03-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improved digital transmission system for an enhanced atsc 8-vsb system
US6924753B2 (en) 2001-09-24 2005-08-02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Robust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p data
JP2003101812A (ja) 2001-09-26 2003-04-04 Hitachi Ltd 受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US7343487B2 (en) 2001-10-10 2008-03-11 Nokia Corporation Datacast distribution system
US7218672B2 (en) 2001-10-16 2007-05-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aining the value of feedback filter tap coefficients in a decision feedback equalizer
KR100440687B1 (ko) 2001-11-02 2004-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EP1315148A1 (en) 2001-11-17 2003-05-2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f ancillary data in an audio bitstream
US6973137B2 (en) 2001-12-03 2005-1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obust ATSC 8-VSB bit streams
US7406647B2 (en) 2001-12-06 2008-07-29 Pulse-Lin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045935B2 (en) 2001-12-06 2011-10-25 Pulse-Link, Inc. High data rate transmitter and receiver
JP3969096B2 (ja) 2002-01-16 2007-08-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送受信システム
JP4109003B2 (ja) 2002-01-21 2008-06-2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信号復号回路及び方法
US7130313B2 (en) 2002-02-14 2006-10-31 Nokia Corporation Time-slice signaling for broadband digital broadcasting
US20040022278A1 (en) 2002-02-28 2004-02-05 Thomas Charles Gomer Localization and targeting of data in broadcast streams
JP2003284037A (ja) 2002-03-26 2003-10-03 Toshiba Corp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受信装置及び方法、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送信装置及び方法
KR100406122B1 (ko) 2002-03-29 2003-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데이터 삽입 장치 및그 방법
US20030206053A1 (en) 2002-04-04 2003-11-06 Jingsong Xia Carrier recovery for DTV receivers
MXPA04010140A (es) 2002-04-16 2005-06-08 Thomson Licensing Sa Ecualizador de retroalimentacion de decision.
AU2003225385A1 (en) 2002-04-17 2003-1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Kalman-viterbi joint channel equalizer
US20050175080A1 (en) 2002-04-17 2005-08-11 Bouillett Aaron R. Equalizer status monitor
AU2003224963A1 (en) 2002-04-19 2003-11-03 Thomson Licensing S.A. Channel aquisition processing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0754721B1 (ko) 2002-04-26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통신시스템에서 다중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30212948A1 (en) 2002-05-07 2003-11-13 Mustafa Eroz Synchronization scheme in a turbo decoder based FEC system
US7548984B2 (en) 2002-05-27 2009-06-16 Panasonic Corporation Stream distribution system, stream server device, cache server device, stream record/playback device, rel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KR100859876B1 (ko) 2002-05-28 2008-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그먼트동기정보를 이용하여 등화를 수행할 수 있는vsb수신기의 등화기
US20030223516A1 (en) 2002-05-28 2003-12-04 Xinying Zhang Sequential bezout space-time equalizers for MIMO systems
KR100466237B1 (ko) 2002-06-20 2005-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그 시스템
US7376186B2 (en) 2002-07-15 2008-05-20 Thomson Licensing Motion estimation with weighting prediction
US7346013B2 (en) 2002-07-18 2008-03-18 Coherent Logix, Incorporated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of communication signals
US7151575B1 (en) 2002-07-18 2006-12-19 Entropic Communications, Inc. Wireless extension for cable television signals
KR100464034B1 (ko) 2002-07-19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클록 동기화 방법
US7194047B2 (en) 2002-09-20 2007-03-20 Ati Technologies Inc. Receiver for robust data extension for 8VSB signaling
US7221358B2 (en) 2002-09-24 2007-05-22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KR100482286B1 (ko) 2002-09-27 2005-04-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택형 빔형성을 통해 수신성능을 개선하는 디지털 방송수신 장치
KR100984610B1 (ko) 2002-10-01 2010-09-30 파나소닉 주식회사 화상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JP3916542B2 (ja) 2002-10-07 2007-05-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ドレス割当システム
KR100920723B1 (ko) 2002-10-08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환경변화에 적응가능한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및 그방법
US7116703B2 (en) 2002-10-15 2006-10-03 Thomson Licensing Multipath signal strength indicator
JP2004146982A (ja) 2002-10-23 2004-05-20 Sony Corp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符号化方法のプログラム、復号装置、復号方法、復号方法のプログラム
WO2004043073A1 (en) 2002-11-04 2004-05-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enhanced vsb on the studio side
KR100523054B1 (ko) 2002-11-19 2005-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제어 장치
KR100985578B1 (ko) 2002-12-03 201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렐리스 복호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채널등화장치를가지는 단일반송파수신기 및 그의 채널등화방법
US7502589B2 (en) 2002-12-06 2009-03-10 Bose Corporation Supplemental broadcast data processing
KR100463544B1 (ko) 2002-12-14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등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tv 수신기
US7564905B2 (en) 2002-12-20 2009-07-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using single frequency network
US6977914B2 (en) 2002-12-23 2005-12-20 Nokia Corporation Broadcast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US7197685B2 (en) 2003-01-02 2007-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ust signal transmission i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CA2512670C (en) 2003-01-06 2012-03-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gital television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ual stream using 4 level vestigial side band robust data
KR100510861B1 (ko) 2003-01-18 2005-08-31 디지피아(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전송 시스템에서의 훈련 신호 결정방법 및 그 훈련 신호를 이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수신기와 수신 방법
KR20040071546A (ko) 2003-02-06 2004-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상태에 대응하여 등화성능이 개선된 디지털 통신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KR20040074345A (ko) 2003-02-17 2004-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항법시스템의 통화제어장치
US20040181811A1 (en) 2003-03-13 2004-09-16 Rakib Selim Shlomo Thin DOCSIS in-band management for interactive HFC service delivery
CN1286317C (zh) * 2003-03-25 2006-11-22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数字电视及其信息的提供方法
US7590917B2 (en) * 2003-05-01 2009-09-15 Alcatel-Lucent Usa Inc. Parameter generation for interleavers
JP2004336527A (ja) 2003-05-09 2004-11-25 Pioneer Electronic Corp データ処理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GB2402307A (en) 2003-05-30 2004-12-01 Nokia Corp Encapsulating irregular burst transmissions with overhead information specifying the timing interval to the next burst
KR20040104238A (ko) 2003-06-03 200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KR20060027372A (ko) 2003-06-30 2006-03-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Atsc dtv 신호를 디코딩하는 수신기 및 패킷 포매터
KR20050008431A (ko) 2003-07-15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KR100585933B1 (ko) 2003-08-20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3970225B2 (ja) 2003-08-28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221680B2 (en) 2003-09-02 2007-05-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transmission of multiple data streams in a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8509051B2 (en) 2003-09-02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transmission of multiple data streams in a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7334181B2 (en) * 2003-09-04 2008-02-1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hort block length 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KR100640935B1 (ko) 2003-09-16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 수신기 및 자기 진단 방법
JP2005094354A (ja) 2003-09-17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機
GB2406483A (en) 2003-09-29 2005-03-30 Nokia Corp Burst transmission
US8145120B2 (en) 2003-10-27 2012-03-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ce selection and sorting
KR100683179B1 (ko) 2003-11-03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트림용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강건한에러정정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의 방법
US7599348B2 (en) 2003-11-04 2009-10-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E8-VSB reception system and E8-VSB data demultiplexing method
KR100519361B1 (ko) 2003-11-24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e8-vsb 수신 시스템 및 e8-vsb 데이터역다중화 방법
JP2005159779A (ja) 2003-11-27 2005-06-16 Hitachi Ltd 受信装置、表示装置および記録装置
KR100608113B1 (ko) 2003-12-26 2006-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러 핸들러를 포함한 디지털 오디오 복호화기 및 디지털오디오 재생기
US7848878B2 (en) 2003-12-27 2010-12-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Geographic information transceiv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640390B1 (ko) 2004-01-17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스포트 스트림방식 엠펙-2 시스템의 부가 데이터 삽입 장치와 그 방법
KR100896684B1 (ko) 2004-01-27 200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CA2554495C (en) * 2004-01-27 2011-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having an improved receiving performan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594241B1 (ko) 2004-01-29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순방향 치엔 서치 방식의 리드 솔로몬 디코더 회로
EP1566905A1 (en) 2004-02-18 2005-08-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hanced error protection for packet-based service delivery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KR100595208B1 (ko) 2004-03-19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수신기 및 소비 전력 절감 방법
KR100657819B1 (ko) 2004-04-01 2006-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혼합 이중 스트림 구조의 디지털 텔레비전 송수신장치 및그 방법
US7856590B2 (en) 2004-04-01 2010-12-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gital television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using 16 state trellis coding
CN100507939C (zh) 2004-04-02 2009-07-01 西尔弗布鲁克研究有限公司 其中或其上设置了编码数据的表面
WO2005101655A1 (en) 2004-04-09 2005-10-27 Micronas Semiconductors, Inc. Advanced digital receiver
US7853978B2 (en) 2004-04-16 2010-12-14 Endres Thomas J Remote antenna and local receiver subsystems for receiving data signals carried over analog television
US7626960B2 (en) 2004-04-20 2009-12-01 Nokia Corporation Use of signaling for auto-configuration of modulators and repeaters
KR100683879B1 (ko) 2004-05-06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US7882421B2 (en) 2004-05-06 2011-02-01 Seyfullah Halit Oguz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t source-channel map decoding
KR100692596B1 (ko) 2004-05-06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MXPA06012670A (es) 2004-05-06 2007-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stema de transmision y recepcion de difusion digital que tiene desempeno de recepcion mejorado y metodo de procesamiento de senales del mismo.
KR100630086B1 (ko) 2004-05-12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하는 장치
KR100708471B1 (ko) 2005-05-11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기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US8582682B2 (en) 2004-05-13 2013-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s capable of improving a receiving performan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7852961B2 (en) 2004-05-20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s capable of improving a receiving performan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667316B1 (ko) 2005-05-18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기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US8089855B2 (en) 2004-06-04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overhead information for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5122573A1 (en) 2004-06-05 200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tilizing srs and trs code to improve receiving performan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577007B1 (ko) 2004-06-22 200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장치
KR100744055B1 (ko) 2004-06-23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 및 등화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 신호처리방법
GB2415873A (en) 2004-06-30 2006-01-04 Nokia Corp Erasure information generation in Forward Error Correction decoding
KR101165379B1 (ko) 2004-07-15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지상파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그의 신호처리방법
KR100580195B1 (ko) 2004-07-16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채널 타임시프트가 가능한 녹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708929B1 (ko) 2004-07-26 2007-04-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송망과 지상망의 연동에 의한 방송 및 데이터 서비스제공 방법
KR100626665B1 (ko) 2004-08-03 2006-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변환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시스템
KR100678936B1 (ko) 2004-08-06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복조 방식 선택 방법 및 그방법을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US7324591B2 (en) 2004-08-17 2008-01-2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Adaptive equalizer
KR100651939B1 (ko) 2004-08-18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디코딩 방법
WO2006028337A1 (en) 2004-09-06 2006-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US20060053436A1 (en) 2004-09-07 2006-03-09 Echostar Technologies Corporation Wireless back channel for satellite television system
US8638860B2 (en) 2004-09-15 2014-01-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gital television transmission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1/4 rate coded robust data
GB0420540D0 (en) 2004-09-15 2004-10-20 Nokia Corp Burst transmiss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network
KR20060029495A (ko) 2004-10-01 200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드-솔로몬 부호의 복호 장치 및 방법
JP4828906B2 (ja) 2004-10-06 2011-11-30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でのビデオサービスの提供及び受信方法、並びにその装置
FR2876196B1 (fr) 2004-10-06 2006-12-01 Renault Sas Dispositif de gestion de l'alimentation du systeme multimedia d'un vehicule automobile
KR100631203B1 (ko) 2004-10-07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Vsb 방식 수신기를 위한 반송파 및 심볼 타이밍복원장치 그리고 그 복원방법
KR100604910B1 (ko) 2004-10-12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 장치의 동기신호 검출기 및 그 방법
JP4511906B2 (ja) 2004-11-02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KR100646851B1 (ko) 2004-11-03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비디오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의 동기화를 위한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송/수신 시스템
US7933365B2 (en) 2004-11-16 2011-04-26 Lg Electronics Inc. Enhanced VSB Viterbi decoder
JP4417820B2 (ja) 2004-11-19 2010-02-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ジタル受信機
KR101080966B1 (ko) 2004-11-23 201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62464A (ko) 2004-12-0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영상 피 오 아이 서비스방법
KR20060063258A (ko) 2004-12-07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시스템
KR100702356B1 (ko) 2004-12-10 2007-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브채널 디코더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방법
US20060130099A1 (en) 2004-12-13 2006-06-15 Rooyen Pieter V Method and system for cellular network and integrated broadcast television (TV) downlink with intelligent service control without feedback
US8199781B2 (en) 2004-12-14 2012-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emultiplexing received transport stream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036471B1 (ko) 2004-12-15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E8-vsb 송/수신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 속성 발생장치 및 방법
KR100777280B1 (ko) 2004-12-17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오류정정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20060070138A (ko) 2004-12-20 200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E8-vsb 맵 정보 복구 장치 및 방법
KR100687614B1 (ko) 2004-12-21 2007-02-27 엘지노텔 주식회사 아이피 기반 키폰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 동적 할당 방법
KR20060072573A (ko) 2004-12-23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기와 수신기
US7593390B2 (en) 2004-12-30 2009-09-22 Intel Corporation Distributed voice network
US20060146951A1 (en) 2005-01-05 2006-07-06 Integrated Programmabl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frequency-diversity coded signals with low sampling rate
US8826093B2 (en) 2005-01-19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method for coded transmission
KR100790117B1 (ko) 2005-02-02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1066292B1 (ko) 2005-02-07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데이터 방송 선택적 수신시스템 및 방법
US7590169B2 (en) 2005-02-07 2009-09-15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th interference reduction on pilot estimation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
KR100630191B1 (ko) 2005-02-28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13664B1 (ko) 2005-02-28 2007-05-02 주식회사 쏠리테크 위성 경로를 사용하는 지상파 디엠비 방송 시스템 및 방법그리고 그것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US7684481B2 (en) 2005-03-01 2010-03-23 Broadcom Corporation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minimum mean squared equalization with direct matrix inversion training
US7535980B2 (en) 2005-03-01 2009-05-19 Broadcom Corporation Selectively disabl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channel dispersion estimation
US7532857B2 (en) 2005-03-02 2009-05-12 Rohde & Schwarz Gmbh & Co. K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ime diversity for mobile broadcast services
US20060245516A1 (en) 2005-03-02 2006-11-02 Rohde & Schwarz,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band atsc vestigial sideband signaling or out-of-band signaling
KR100708482B1 (ko) 2005-03-0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등화기 및 채널 등화 방법
JP2008533819A (ja) 2005-03-08 2008-08-21 クゥアルコム・フラリオン・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ジタル放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092557B1 (ko) 2005-03-11 201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신호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vsb 수신기 그리고그 방법
KR20060102160A (ko) 2005-03-23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서의 crc 복호 방법
KR100708479B1 (ko) 2005-03-2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US7356549B1 (en) 2005-04-11 2008-04-08 Unisy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oss-reference linking of local partitioned B-trees
KR20060110426A (ko) 2005-04-19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주파수 망을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100689440B1 (ko) 2005-04-26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KR100819266B1 (ko) 2005-04-27 2008-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차등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673199B1 (ko) 2005-04-27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제한 수신 방법
US20060245505A1 (en) 2005-05-02 2006-11-02 Limberg Allen L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ing linear block coding
KR100693701B1 (ko) 2005-05-11 2007-03-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타임시프트를 위한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분류 방법과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동기화 제어 방법
US7920602B2 (en) 2005-05-23 2011-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formatting digital broadcast transport stream packet for improved receiving performance,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07010368A (ja) 2005-06-28 2007-01-18 Pioneer Electr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100735359B1 (ko) 2005-07-0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KR101129387B1 (ko) 2005-07-12 2012-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Dab 시스템에서 ip 데이터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US7711045B2 (en) 2005-07-13 2010-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receiver having improved receiving performan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JP4717072B2 (ja) * 2005-08-12 2011-07-06 富士通株式会社 送信装置
KR100735276B1 (ko) 2005-08-18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토콜 캡슐화순방향 오류 정정 프레임의 복호 방법 및 장치
US8606037B2 (en) 2005-08-24 2013-12-10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improve contrast enhancement
KR20070024162A (ko) 2005-08-26 2007-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로틀 밸브
JP4699467B2 (ja) 2005-09-06 2011-06-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と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と無線受信方法なら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と無線通信方法
KR100724891B1 (ko) 2005-09-1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섹션 검출 및 신뢰성 정보획득을 위한 다중 순환잉여검증 장치 및 방법
KR100735399B1 (ko) 2005-09-23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643406B2 (ja) 2005-09-27 2011-03-02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
KR101191181B1 (ko) 2005-09-27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구조
KR101147759B1 (ko) * 2005-10-05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CA2562194C (en) 2005-10-05 2012-02-2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KR101276820B1 (ko) 2006-09-15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A2562206C (en) * 2005-10-05 2012-07-10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CA2562220C (en) 2005-10-05 2013-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CA2562202C (en) 2005-10-05 2013-06-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7840868B2 (en) 2005-10-05 2010-1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7668209B2 (en) 2005-10-05 2010-0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7720062B2 (en) 2005-10-05 2010-05-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147760B1 (ko) 2005-10-06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송/수신 시스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US8711947B2 (en) 2005-10-11 2014-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a signal processing method using turbo processing and turbo decoding
US8619876B2 (en) 2005-10-11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urbo transmission of digital broadcasting transport stream, a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a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8009781B2 (en) 2005-10-12 2011-08-30 Lg Electronics, Inc. DTV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signal in DTV receiver
KR101370889B1 (ko) 2005-12-28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7932956B2 (en) 2005-10-20 2011-04-26 Lg Electronics, Inc. DTV transmitter and method of coding data in DTV transmitter
KR100794790B1 (ko) 2005-10-21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전송 스트림을 인코딩하는 트렐리스 인코딩 장치 및그 방법
KR100797176B1 (ko) 2005-10-21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0209B1 (ko) 2005-10-21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100811184B1 (ko) 2005-10-21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우터 인코더 및 그 방법
KR100794791B1 (ko) 2005-10-21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보 스트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7769111B2 (en) 2005-10-27 2010-08-03 Broadcom Corporation Detection of large carrier offsets using a timing loop
KR100774168B1 (ko) 2005-11-16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임 쉬프트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983354B2 (en) 2005-11-25 2011-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receiver having an improved receiving performan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199369B1 (ko) 2005-11-25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191182B1 (ko) 2005-11-26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216079B1 (ko) 2005-11-30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7773961B2 (en) 2005-12-09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without signaling overhead
EP3116194B8 (en) 2005-12-16 2022-06-22 Dolby International AB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interpreting a data stream with segments having specified entry points
US7797607B2 (en) 2005-12-27 2010-09-14 Lg Electronics, Inc. DTV transmitter and method of coding main and enhanced data in DTV transmitter
KR101208504B1 (ko) 2005-12-27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7913152B2 (en) 2006-01-03 2011-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er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tream and method thereof
US7823051B2 (en) 2006-01-03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07081102A1 (en) 2006-01-10 2007-07-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WO2007081108A1 (en) 2006-01-13 2007-07-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7644343B2 (en) 2006-01-17 2010-01-05 Rajugopal Gubbi Error resilience methods for multi-protocol encapsulation forward error correction implementations
KR101208509B1 (ko) 2006-01-20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WO2007086654A1 (en) 2006-01-25 2007-08-0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20070079719A (ko) 2006-02-03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단말기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WO2007091779A1 (en) 2006-02-10 2007-08-1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WO2007100185A1 (en) * 2006-02-28 2007-09-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WO2007100184A1 (en) 2006-02-28 2007-09-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WO2007100186A1 (en) * 2006-03-02 2007-09-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20070091962A (ko) 2006-03-08 2007-09-12 한국방송공사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디엠비 데이터 방송의 나레이션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8179980B2 (en) 2006-03-15 2012-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ust DTV signals that can overcome burst errors up to 1040 bytes or more in length
KR100661005B1 (ko) 2006-03-24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수신 네비게이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네비게이션 수행 방법
US7639751B2 (en) 2006-04-04 2009-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vanced-VSB system (A-VSB)
KR100994661B1 (ko) 2006-04-20 2010-11-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방송 라디오를 위한 태깅 언어
WO2007126196A1 (en) 2006-04-29 2007-1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7945844B2 (en) 2006-05-22 2011-05-17 Limberg Allen Leroy Robust DTV signals transmitted at two thirds the code rate of ordinary 8VSB DTV signals
WO2007136165A1 (en) 2006-05-23 2007-11-2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100771631B1 (ko) 2006-05-23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 및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KR101227504B1 (ko) 2006-06-09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WO2007145411A1 (en) 2006-06-16 2007-12-2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CA2656976C (en) * 2006-07-07 2012-03-2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7787491B2 (en) 2006-08-25 2010-08-3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ble E-VSB enhanced data interleaving and data expansion
US7729381B2 (en) 2006-09-15 2010-06-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band media performance monitoring
US7643235B2 (en) 2006-09-28 2010-01-05 Seagate Technology Llc Synchronization for data communication
KR101253176B1 (ko) 2006-11-02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91684B1 (ko) 2006-12-07 2013-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근접 윈도우에 기초한 채널 추정 방법 및 채널 추정장치
KR101253178B1 (ko) 2006-12-11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21913B1 (ko) * 2006-12-20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059655B2 (en) 2006-12-27 2011-11-15 Newport Media, Inc. Unified interfacing for DVB-T/H mobile TV applications
WO2008088181A1 (en) * 2007-01-19 2008-07-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20080077473A (ko) * 2007-02-20 2008-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59118B1 (ko) 2007-02-23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343407B1 (ko) 2007-02-26 2013-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송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3185B1 (ko) * 2007-03-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85887B1 (ko) 2007-03-26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85888B1 (ko) 2007-03-30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53187B1 (ko) 2007-04-05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21914B1 (ko) 2007-04-06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276863B1 (ko) * 2007-04-11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351019B1 (ko) 2007-04-13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351026B1 (ko) * 2007-04-13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US7848400B2 (en) 2007-04-26 2010-12-07 Broadcom Corporation Retransmission of reordered/coded data in response to presumed receiver decoding failure
US20100165213A1 (en) 2007-06-21 2010-07-01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 mobile/handheld communications system
KR101461958B1 (ko) 2007-06-29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04660A (ko) 2007-07-02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09005326A2 (en) 2007-07-04 2009-0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20090028230A1 (en) 2007-07-27 2009-01-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service for reception i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systems
CA2697483C (en) 2007-08-24 2013-05-2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A2694704C (en) 2007-08-24 2013-06-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2191644A4 (en) 2007-08-24 2015-01-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9028851A1 (en) 2007-08-24 2009-03-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9038409A2 (en)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9038408A2 (en)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20090111486A1 (en) 2007-10-26 2009-04-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essage
DE112009000817T5 (de) 2008-04-22 201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Senden von zusätzlichen Informationen in den Headern von verkapselnden Datenpaketen in Mobil/Handheld (M/H)-DTV-Signalen
CA2726022C (en) 2008-05-29 2016-1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communication data
US8750315B2 (en) 2009-01-23 2014-06-10 Akamai Technologies, Inc. Efficiently storing transport streams
US8331500B2 (en) * 2009-05-13 2012-12-11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US8559564B2 (en) * 2009-05-21 2013-10-15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US8432961B2 (en) * 2009-06-11 2013-04-30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7981A1 (en) 2008-10-02
US8223884B2 (en) 2012-07-17
US20190007710A1 (en) 2019-01-03
CA2681046C (en) 2012-05-29
US8068561B2 (en) 2011-11-29
US9924206B2 (en) 2018-03-20
MX2009010194A (es) 2009-10-19
CA2681046A1 (en) 2008-10-02
US20140230004A1 (en) 2014-08-14
KR20080087368A (ko) 2008-10-01
EP2130382A4 (en) 2010-06-16
US20180014042A1 (en) 2018-01-11
US8731100B2 (en) 2014-05-20
US10244274B2 (en) 2019-03-26
CN101647289B (zh) 2011-06-08
US20180167651A1 (en) 2018-06-14
US10070160B2 (en) 2018-09-04
CN101647289A (zh) 2010-02-10
US20110170015A1 (en) 2011-07-14
US20080239161A1 (en) 2008-10-02
US20120246541A1 (en) 2012-09-27
US20120038831A1 (en) 2012-02-16
US9736508B2 (en) 2017-08-15
EP2130382A1 (en) 2009-12-09
AR066398A1 (es) 2009-08-19
US7940855B2 (en) 201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185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8588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76851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22191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28588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53186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19938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17214B1 (ko) 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21471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