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425B1 - Hive for Dead Bee Collection - Google Patents

Hive for Dead Bee Coll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425B1
KR101174425B1 KR1020100100140A KR20100100140A KR101174425B1 KR 101174425 B1 KR101174425 B1 KR 101174425B1 KR 1020100100140 A KR1020100100140 A KR 1020100100140A KR 20100100140 A KR20100100140 A KR 20100100140A KR 101174425 B1 KR101174425 B1 KR 10117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access network
bees
upper side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1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8605A (en
Inventor
최용수
이만영
홍인표
김남숙
김혜경
이명렬
이광길
변규호
안인영
제현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10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425B1/en
Publication of KR2012003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6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4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봉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벌통의 하측에 장착되는 사봉 수집 장치(100)로서, 일측에 벌 출입구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벌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출입하도록 벌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된 벌 출입망(120)과, 상기 몸체 상측의 꿀벌들과 격리하도록 상기 벌 출입망의 상측에 설치된 격리판(130)과,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떨어지는 사봉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하측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사봉채(140)와, 상기 벌 출입망을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을 상기 벌 출입망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이동방지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병해충 조절을 위한 꿀벌의 관리 및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양봉농가의 꿀벌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양봉산업을 발전시키고 양봉농가의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d stick collection device. Specifically, as a four-segment collection device 100 is moun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eehive, the body 110 is formed with a bee entrance and exit, and the bee entrance and exit through the bee entrance to the edge of the bee entrance to the inside of the body. The bee access network 120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plate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e access network so as to isolate from the bees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the top of the body to collect the drop fall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Sabongchae 14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lower side, and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15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abongchae so that bees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bee access network does not move the sabong collected in the Sabongchae to the bee entry network.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f bees for controlling pests and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e management of bee farms is facilitated, thereby improving the bee farming industry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bee farms.

Description

사봉 수집 장치{Hive for Dead Bee Collection}Sand collection device {Hive for Dead Bee Collection}

본 발명은 죽은 꿀벌(사봉)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사봉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d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collecting dead bees (soveons).

양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은 양봉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산물(꿀)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The pests that occur during the beekeeping process result in poor beekeeping productivity and poor product quality (honey).

대표적인 꿀벌 해충으로는 꿀벌 응애(varroa destructor)가 있으며, 꿀벌 질병으로는 노제마병, 부저병, 백묵병, 바이러스성 질병이 있다. 이 중에서 꿀벌 응애는 전세계적으로 퍼져 있으며, 양봉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외부기생 해충으로서 꿀벌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 기생하면서 체액을 빨아먹는다. 이러한 꿀벌 응애로 인하여 꿀벌은 정상적인 발육을 하지 못하여 정상활동을 할 수 없게 되고, 꿀벌 응애가 심하게 발생하면 봉군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어 폐군에 이르게 된다.Representative bee pests include bee varroa destructor, and bee diseases include nasal horse disease, buzzer disease, chalk disease and viral diseases. Among them, honeybee mites are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nd are a parasitic pest that causes serious damage to the bee farming industry. Due to these bee mites, the bees are unable to develop normally and cannot perform normal activities, and when the bee mites occur severely, the forces of the Bong-gun are greatly weakened and lead to the lung army.

상기 꿀벌 응애의 방제하기 위해 유기합성 살비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유기합성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개체(꿀벌 응애)가 출현하고 있어 방제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며, 꿀벌 응애는 1960년대에 발생이 확인된 이후 국내 꿀벌에 만성적으로 기생하고 있는데 1990년대 중반에 외국에서 유입된 중국가시응애와 더불어 국내 양봉산업에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다.Organic synthetic acaricides are used to control the honey bee mite, but individuals resistant to organic synthetic acaricides (bee mites) have emerged and are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to control, and honey bee mites have been identified since their occurrence in the 1960s. It is chronically parasitic to domestic honey bees, and it is causing the biggest damage to the domestic beekeeper industry, along with Chinese mites introduced from abroad in the mid-1990s.

꿀벌 봉군에서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진균성 질병인 백묵병의 병원균(아스코레라아피스)은 포자 형태로 유충의 입으로 침입하고 중장에서 발아한 후, 균사가 증식함으로써 유충을 치사시키는데, 이 백묵병 포자는 10년~15년까지 병원성을 유지하여 완전 방제가 어려운 질병이다.The pathogen of asymptomatic bacteria (ascorera apis), a chronic fungal disease in the bee bong, invades the larvae's mouth in the form of spores, germinates in the intestine, and kills the larvae by proliferating mycelia. It is a disease that is completely difficult to control because it remains pathogenic for years to 15 years.

이러한 꿀벌 병해충에 의한 꿀벌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국내외 많은 학자들이 꿀벌 병해충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병해충 관련 연구를 위해서는 학자들이 직접 꿀벌을 사육하면서 실험을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꿀벌을 사육하는 데는 오랜 기간의 경험을 필요로 하고 개체별 실험을 수행할 시에는 실험의 신뢰도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꿀벌의 생리적 특성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사봉수 측정을 통해 꿀벌의 질병에 의한 감수성 등의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of bees caused by bee pests, many researchers at home and abroad are conducting research on bee pests. However, for this pest-related research, there are difficulties that scholars must conduct experiments while raising bees. Bee breeding requires long-term experience,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experiments when performing individual experiments.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experiments such as susceptibility caused by honey bee disease by measuring the water in the situation of maintaining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ney bees.

일반적으로 양봉농가는 도시와 멀리 떨어져서 생활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요즈음에는 도시근교에 양봉농가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꿀벌을 사육하는데 좋지 않은 영향이 있다고 호소하는 농가가 많다. 대표적인 사례로 양봉장 근처의 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공사현장의 소음, 진동 및 분진 등에 의한 양봉농가의 피해 발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민사상의 문제 발생시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있다.In general, beekeeping farmers live far away from the city, but nowadays beekeepers tend to increase in the suburbs of the city, and many farmers complain that there is an adverse effect on the bee breeding. For example, due to the development project near the apiary, the cases of bee farms caused by noise, vibration and dust are increasing. In the case of such civil problems, it is difficult to provide clear evidence.

그리고, 최근 전세계적인 이상 기온현상 등 생태계의 변화로 인해 꿀벌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일교차 등으로 꿀벌의 생리, 생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 변화에 따라 많은 관리 노력이 필요하게 되어 인건비의 발생 등 양봉농가의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In recent years, damage to bees has increased due to changes in ecosystems such as abnormal temperature phenomenon worldwide, and has a bad effect on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bees due to high daily crossings. As the ecosystem changes, a lot of management efforts are required, which adversely affects the productivity of bee farms such as labor cost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해충 조절을 위한 꿀벌의 관리 및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양봉농가의 꿀벌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양봉산업을 발전시키고 양봉농가의 생산성을 향상하는 사봉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bee management of bee farms in accordance with the management of bees for changing pest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develop the bee farming industry and bee farms It is to provide a sand collecting devic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는, 벌통의 하측에 장착되는 사봉 수집 장치로서, 일측에 벌 출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벌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출입하도록 벌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된 벌 출입망과, 상기 몸체 상측의 꿀벌들과 격리하도록 상기 벌 출입망의 상측에 설치된 격리판과,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떨어지는 사봉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하측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사봉채와, 상기 벌 출입망을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을 상기 벌 출입망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이동방지부를 포함한다.The sand stick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nd stick collecting device mounted at a lower side of a beehive, and has a body having a bee entrance and exit at one side, and a bee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bee entrance and exit at the edge of the bee entrance and exit. A detachable bee access network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bee, an isolation plate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bee access network so as to isolate the be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and a detachable installation i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body to collect the rods fall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Sabongchae, and the movement prevention por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ebong so that bees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bee access network does not move the sabong collected in the beebong into the bee access network.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에 과도한 수의 꿀벌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보조 격리판을 추가로 구비한다.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ary separato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our sticks so that the excessive number of bees close to the four sticks collected in the four sticks.

상기 격리판 및 보조 격리판은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걸이대에 안착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The separator and the auxiliary separator may be tilted by being mounted on a hanger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both inner sides of the body.

상기 이동방지부는 다수의 이동방지봉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설치된다.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ement preventing rod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이동방지봉은 상기 몸체의 양측벽면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된다. The movement preventing rod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through both side wall surfaces of the body.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에 의하면, 꿀벌 질병의 인위적인 감염 실험을 통해 꿀벌 질병 감염에 따른 병의 진행과정을 구명하고 질병에 따른 약제의 처리에 의한 약효 시험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꿀벌의 사봉수 측정을 용이하게 하고, 사봉 수집 장치를 이용한 꿀벌의 생리 상태 변화의 관찰을 통해 꿀벌의 피해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어서 구병할 수 없는 피해를 입은 양봉 농가의 명확한 증거 제시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our-stag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rtificial infection experiment of honey bee disease, the honey bee to collect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the investigation of the progress of the disease according to the bee disease infection and the drug efficacy test by the treatment of the drug according to the disease It is easy to measure the water and observe the change in the physiological status of the bee using the sand collection device to establish the basis for judging the damage level of the bee. There is an effect to facilitat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는 연구 및 양봉농가의 꿀벌 생리 상태 관찰을 통한 꿀벌의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병충해 문제를 이해하고 주변 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양봉농가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소득증대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beekeeper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elpful in the management of bees through research and observing the bee physiological status of beekeepers, to understand the pest problem and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roductivity of beekeepers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ncome and increasing the incom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에 의하면, 꿀벌의 연구를 위하여 죽은 벌(사봉)의 회수를 통한 질병의 진단 및 사봉(죽은 벌) 수의 증감 측정을 통한 꿀벌의 질병 발생여부를 조기 진단할 수 있으며, 꿀벌 응애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꿀벌 응애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and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tudy of honey bees to diagnose the disease through the recovery of the dead bee (sabong) and the early diagnosis of the disease occurrence of bees by measur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number of dead bees (dead bees) Can be easily removed bee mite can reduce the damage caused by bee mit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는 벌통 내부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공기 순환을 도와 온도 조절을 순조롭게 하므로, 여름철 고온에서 꿀벌이 분가를 하는 현상인 분봉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space inside the hive and facilitates the air circulation to smooth the temperature contro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separation, which is a phenomenon that the bee divides at a high temperature in summ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도1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stag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봉 수집 장치(100)는 일반 벌통의 하측에 장착되는 사봉 수집 장치로서, 일측에 벌 출입구(111)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벌 출입구(111)를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출입하도록 벌 출입구(111)의 내부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된 벌 출입망(120)과, 상기 몸체(110) 상측에 서식하는 꿀벌들과 격리하도록 상기 벌 출입망(120)의 상측에 설치된 격리판(130)과,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떨어지는 사봉(죽은 벌)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몸체(110)의 내부 하측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사봉채(140)와, 상기 벌 출입망(120)을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사봉채(140)의 상측에 모인 사봉을 상기 벌 출입망(120)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140)의 상측(몸체의 앞쪽 상측)에 설치된 이동방지부(150)와, 상기 사봉채(140)에 모인 사봉에 과도한 수의 꿀벌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140)의 상측(몸체의 뒷쪽 상측)에 설치된 보조 격리판(160)를 구비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nd stick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and collecting device 100 is a sand collecting device which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mmon beehive, the body 110, the bee entrance 111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bee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bee entrance 111. The bee access network 120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bee entrance 111 to access the inside of the body 110, and the bee access network 120 to be isolated from the bees inhabiting the body 110 above. And a separation plate 13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10 and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body 110 so as to collect the sand sticks (dead bees) fall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110 to the lower side. To prevent the bees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bee access network 120, the sand sticks collected on the top of the sand stick 140 to the bee access network 120, the upper side (front upper side of the body) Movement prevention part 150 installed in the) and gathered in the four sticks 140 The auxiliary separator 16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the upper back side of the body) of the four sticks 140 to prevent an excessive number of bees from approaching the four poles.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상기 몸체(110)는 상기 일반 벌통의 크기로 형성되며, 전, 후판(110a)(110b)과 좌, 우판(110c)(110d)이 조립되어 상, 하측이 트인 사각통 형태(목판으로 제작)로 되어 있다. 상기 벌 출입구(111)는 몸체의 전판(110a, 도면에서는 우측) 상부에 사각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ody 110 is formed in the size of the general beehive, the front and rear plates 110a, 110b and the left, right plate 110c (110d) is assembled to form a square barrel shape (top board)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pen. It is. The bee entrance and exit 1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hole on the top of the front plate (110a, the right in the figure) of the body.

상기 좌, 우판(110c, 110d)의 내면에는 상기 격리판(130)이 안착하여 걸리도록 제1걸이대(112, 112')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보조 격리판(160)이 안착하여 걸리도록 제2걸이대(113, 1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 우판(110c, 10d)에는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후술하는 이동방지봉이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다수의 관통구멍(114)(114')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On the inn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110c and 110d, the first hangers 112 and 112 'are installed so that the separator 130 is seated and caught while the auxiliary separator 160 is seated and caught. Two hangers 113 and 113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plates 110c and 10d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4 and 114 ′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movement preventing rods described later of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150 penetrate therethrough.

상기 제1걸이대(112)(112')는 제1고정부재(115)(115')에 의해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걸이대(113)(113')는 제2고정부재(116)(116')에 의해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The first hangers 112 and 112 'are rotatably installed and tilted by the first fixing members 115 and 115', and the second hangers 113 and 113 'are second. The fixing members 116 and 116 'are rotatably installed and can be tilted.

상기 제1고정부재(115)(115')와 제2고정부재(116)(116')는 머리 달린 나사핀 형태로서 약간 풀린 상태에서 상기 제1걸이대(112)(112')와 제2걸이대(113)(113')를 회동시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fixing member 115, 115 ′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16, 116 ′ are in the form of a headed screw pin and slightly loosened in the state of the first hanger 112, 112 ′ and the second hang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by rotating the 113 and 113 '.

상기 후판(110b)의 하부에는 상기 사봉채(140)가 서랍식으로 결합되도록 사봉채 출입구(117)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좌, 우판(110c, 110d)의 내면 하측에는 상기 사봉채(140)를 안내하는 한편 받치는 안내받침대(118)(118')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plate (110b) is a four-season bond entrance 117 is formed so that the four-season bond 140 is coupled in a drawer type, while the fou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110c, 110d) below the inner four Guide guides 118, 118 'are provided while supporting the guide.

상기 몸체(110)의 외면에는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돌출된 손잡이부 또는 요입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or protruded handle portion protruding to facilitate handling.

상기 벌 출입망(120)은, 사각테에 결합된 와이어 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벌 출입구(111)의 하측변 내면에서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강력 접착제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좌, 우판(110c)(110d)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벌 출입망(120)은 착탈가능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벌 출입망(120)의 망 구멍의 크기는 벌 1마리가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약 1cm x 1cm)로 되어 있다.The bee access network 120 is made of a wire mesh coupled to the rectangular fram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bee entrance and exit 111, by the strong adhesive or fixing means not shown I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110c and 110d. The bee access network 120 may be installed detachably. The size of the net hole of the bee access network 120 is a size (about 1cm x 1cm) that one bee can escape.

상기 격리판(130)은 상기 제1걸이대(112)(112')에 안착되어, 평시에는 그 앞측단이 상기 벌 출입구(111)의 상측변 내면에 접하고 그 후측단은 상기 벌 출입망(120)의 후측변에 접하게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걸이대(112)(112')를 기울여서 기울기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The separator 130 is seated on the first hangers 112 and 112 ′, and its front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ee entrance and exit 111, and the rear end thereof is the bee access network 120. I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and the inclination is adjusted by tilting the first hanger (112, 112 ') as necessary.

따라서, 상기 격리판(130)의 후측단과 상기 벌 출입망(120)의 후측변이 접한 상태에서는 상기 벌 출입망(120)의 망구멍을 통해서만 꿀벌이 벌통 내에 출입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rear end of the separator 130 and the rear side of the bee access network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ees may enter and exit the beehive only through the net hole of the bee access network 120.

상기 사봉채(140)은 사각형태의 와이어 망(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 프레임(142)이 결합된 형태로서 서랍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망(141)의 망 구멍의 크기는 꿀벌 응애 또는 사봉이 빠지지 않는 크기(1mm x 1mm)로 되어 있다.The four-sided blade 140 is a rectangular frame 142 is coupled along the edge of the rectangular wire mesh 141 has a drawer shape, the size of the mesh hole of the wire mesh 141 is bee mite or It has a size (1mm x 1mm) that does not fall out of the sand stick.

상기 이동방지부(150)는 이동방지봉(151)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관통구멍(114)(114')을 관통하는 다수의 이동방지봉(151)이 일정간격(약 1cm : 2마리의 꿀벌이 한꺼번에 통과하기 어려운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다.The movement preventing part 150 is a structure in which the movement preventing rod 151 is installed to penetrate both side wall surfaces of the body 110, and a plurality of movement preventing rods penetrating the through holes 114 and 114 '( 151)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about 1cm: interval that is difficult for two bees to pass at once).

상기 이동방지봉(151)은 파이프(151a)의 양단에 캡(151b)이 씌워지는 구조이며, 상기 캡(151b)은 상기 관통구멍(114)(114')에 접하여 지지된다.The movement preventing rod 151 has a structure in which caps 151b are covered at both ends of the pipe 151a, and the cap 151b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s 114 and 114 '.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앞측 이동방지봉(151)은 상기 전판(110a)의 내면에서 소정거리(a) 이격되는 한편 몸체(110)의 바닥면에서 소정거리(b) 이격되어 있다.The front movement preventing rod 151 of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1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

상기 보조 격리판(160)은 상기 제2걸이대(113)(113')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후측에서 이동방지부(15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평시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걸이대(113)(113')를 기울여서 기울기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The auxiliary separator 160 is mounted on the second hangers 113 and 113 ′,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150 at the rear side of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150, and is usually horizontal. It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it is to adjust the inclination by tilting the second hanger (113, 113 ') as necessar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사봉 수집 장치(100)에서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 설치된 일반 벌통에서 생긴 사봉 또는 꿀벌 응애는 하측으로 떨어져, 상기 격리판(130) 및 보조 격리판(160)에서 그 기울어진 상태에 따라 사봉채(140) 상에 떨어지거나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이동방지봉(151) 사이 간격을 통해 하측으로 떨어져 사봉채(140)에 떨어져 모인다.In the sand coll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and or bee mites produced from the general beehiv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10 fall to the lower side, in the separator 130 and the auxiliary separator 160. Depending on the inclined state falls on the four sticks 140 or fall apart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ovement preventing rods 151 of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150 is collected apart on the four sticks 140.

이때, 상기 벌 출입구(111)와 벌 출입망(115) 및 상기 이동방지부(150)를 통해 상기 사봉채(140)에 접근하는 꿀벌은 상기 이동방지부(150)의 이동방지봉(151)의 사이간격을 통해 사봉을 끌어 옮기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벌 출입망(115)을 통해 사봉을 끌어 옮기지 못하므로, 꿀벌에 의해 죽은 꿀벌(사봉)이 외부로 버려지는 것을 차단하고 꿀벌 응애와 꿀벌과의 과도한 접촉을 막아서 2차감염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bee approaching the four sticks 140 through the bee entrance and exit 111 and the bee access network 115 and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150 is the movement preventing rod 151 of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150. Not only can not be dragged thr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bee and the bee does not drag the sand through the access network 115, so bees (sabongs) dead by the bees to be discarded to the outside and bee mites and bees Blocks secondary infections by preventing excessive contact.

상기 사봉채(140)에 사봉이 많이 모이면 사봉채(140)를 빼내어 사봉을 수집제거한다.When the four sticks are collected in the four sticks 140, the four sticks 140 are removed to remove the four sticks.

100 : 사봉 수집 장치 110 : 몸체
111 : 벌 출입구 112, 112' : 제1걸이대
113, 113' : 제2걸이대 114, 114' : 관통구멍
115, 115' : 제1고정부재 116, 116' : 제2고정부재
117 : 사봉채 출입구 118, 118' : 안내 받침대
120 : 벌 출입망 130 : 격리판
140 : 사봉채 141 : 와이어 망
142 : 사각 프레임 150 : 이동방지부
151 : 이동방지봉 160 : 보조 격리판
100: four-round collection device 110: the body
111: bee entrance 112, 112 ': first hanger
113, 113 ': 2nd hanger 114, 114': through hole
115, 115 ': first fixing member 116, 116': second fixing member
117: Sabongchae exit 118, 118 ': guide pedestal
120: bee access network 130: separator
140: Sabongchae 141: wire mesh
142: square frame 150: movement prevention
151: movement preventing rod 160: auxiliary separator

Claims (6)

벌통의 하측에 장착되는 사봉 수집 장치로서,
일측에 벌 출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벌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출입하도록 벌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된 벌 출입망과,
상기 몸체 상측의 꿀벌들과 격리하도록 상기 벌 출입망의 상측에 설치된 격리판과,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떨어지는 사봉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하측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사봉채와,
상기 벌 출입망을 출입하는 꿀벌이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을 상기 벌 출입망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이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A sand stick collecting device mounted below the beehive,
Body with bee entrance and exit on one side,
A bee access network installed in contact with an edge of a bee entrance and exit so that a bee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bee entrance and exit is inside the body;
A separator installed above the bee access network to isolate the bees from above the body,
Sabongcha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body to collect the four drops fall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 bee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ement preve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e stick so that the bee entering and exiting the bee access network does not move the sand stick collected in the sand stick bond to the bee access networ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봉채에 모인 사봉에 과도한 수의 꿀벌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상기 사봉채의 상측에 설치된 보조 격리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사봉 수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p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eparato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our sticks so that the excessive number of bees in close proximity to the four sticks collected in the four stick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제1걸이대에 안착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Claim 1
The separator is disposed on the first hanger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collection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격리판은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제2걸이대에 안착되어 기울어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auxiliary separator is mounted on the second hanger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collec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다수의 이동방지봉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is a four-screw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movement preventing rods are arranged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봉은 상기 몸체의 양측벽면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 수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movement preventing rod is a four-screw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is installed through the both side wall surface of the body.
KR1020100100140A 2010-10-14 2010-10-14 Hive for Dead Bee Collection KR101174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40A KR101174425B1 (en) 2010-10-14 2010-10-14 Hive for Dead Bee Coll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40A KR101174425B1 (en) 2010-10-14 2010-10-14 Hive for Dead Bee Coll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05A KR20120038605A (en) 2012-04-24
KR101174425B1 true KR101174425B1 (en) 2012-08-22

Family

ID=4613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140A KR101174425B1 (en) 2010-10-14 2010-10-14 Hive for Dead Bee Coll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4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5237B (en) * 2016-05-11 2019-05-10 陈忠良 A kind of self-service swarmming device and its implementation
CN108684576B (en) * 2018-05-09 2021-01-05 东华理工大学 Intelligent beehi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29B1 (en) 2007-03-23 2007-12-21 유한회사 벌과사람들 Base plate structure of honey comb and honey com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29B1 (en) 2007-03-23 2007-12-21 유한회사 벌과사람들 Base plate structure of honey comb and honey com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05A (en)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8370B2 (en) Hive-mounted disseminator device
US8801493B2 (en) Beehive
GB2495284A (en) Beehive entrance Varroa mite trap
IL274613B1 (en) Automatic beehives
KR101259018B1 (en)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KR20130140363A (en) Apparatus of capturing a hymenoptera
KR101174425B1 (en) Hive for Dead Bee Collection
KR102117119B1 (en) Wasp capturing device with bee exclusion type
CN108575921B (en) Method for removing worker bees of Chinese bees of parasitized Stevensis cocoons in vivo
JP3192877U (en) Honeycomb structure
KR101934779B1 (en) Native bee door of native wooden beehive
KR101719906B1 (en) Block absence for queen bee of native bee, management device using it and method thereof
CN104430050B (en) Urban practical simple household Chinese bee hive
KR200435155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collection block of honey
KR20190091619A (en) Beehive with pollen gathering device
US4494263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with bee flight control
KR20110015488A (en) Double soled beehive
RO128080B1 (en) Multifunction beehive with anti-varroosis protection
KR102108379B1 (en)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Salkova et al. Detection of Varroa destructor Mite and Nosema spp. in Bee Samples From Bulgaria
KR102548373B1 (en) bee removal device of beehives
KR200458813Y1 (en) insect moving apparatus for bee-keeping
US20140017976A1 (en) Bottom board for supporting a honey bee hive
GB2445861A (en) Trap for bee hive
CN205623851U (en) Honey nest t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